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파주시 공공체육시설 적정 규모 산정 및 확충을 위한 연구

        이호병 인하대학교 공학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근래 우리나라 국민들은 국민소득의 증대 주 5일 근무제로 인한 여가시간의 증가, 건강에 대한 관심의 증가로 각 개인은 체육활동을 통해 건강을 증진하고 여가 생활을 즐기고 행복한 한 삶을 영위하고자, 국가나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체육활동을 통한 국민의 생활을 풍요롭게 하고 삶의 질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복지·체육 정책을 추진하고 이런 흐름과 국민욕구를 해소하고자 공공체육시설 건립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공공체육시설 계획 수립 시, 정책입안자나 도시계획 입안자 및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책 방향에 의해 시설 규모나 특정 시설, 예산 확보 및 규모가 설정되어지고 있으나, 인구비례에 따른 적정규모나 주민들의 욕구, 시설 선호도, 경제성, 효율성 등 체육시설 규모나 주민이용 만족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분에는 소홀히 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체육시설조성을 계획대로 진행할 수 있는 가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부분인 예산확보 과정을 보면, 시설 규모를 산정한 후 공사비, 설계비, 경비를 계상 및 예산규모 산정하여, 지방자체단체 예산만으로는 공공체육시설을 건축할 수 없어 국·도비를 보조 받아 진행하는 것이 보편적인 과정이나 실제로는 시민체육대회나 전국 시·도 단위 체전행사에 맞춰 이용시민을 산정 후 여기에 예산을 맞추어 체육시설을 건축하는 것이 상례여서, 종목별 적정 공급단위는 국민에게 합리적 서비스 수준을 제공하기 위한 필수 요소일 것이다. 미래의 수요 예측과 예측된 결과에 따라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시설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종목별 적정 공급 산정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공공체육시설 조성에 관한 정부의 정책, 연도별, 설치 주체별, 유형별 공공체육시설 현황 조사 및 건축계획 각론과 해외 주요국가의 체육시설 설치 기준에 대한 실태분석,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체육진흥법 등 관련법 기준 통하여 공공체육시설의 현황을 파악하고 적정 규모·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파주시에 적용함으로서 효율적인 공공체육시설 규모 계획과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체육시설 적정 규모와 예산을 예측 가능토록 하여 지방자치단체마다 공공체육시설 건립에 대한 과다·중복 투자를 피하고자 함을 목적으로 한다. 공공체육시설의 적정규모 산정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공공체육시설 현황을 파악하고 적정 규모·기준을 제시하고 이를 파주시에 적용함으로서 효율적인 공공체육시설 규모 계획과 기준을 제시함으로서 체육시설 적정 규모와 예산을 예측 가능토록 하여 지방자치단체마다 공공체육시설 건립에 대한 과다·중복 투자를 피하고자 연구를 한 결과는, 주민 1인당 체육시설 소요면적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설정한 3.52㎡/인으로 하고, 체육시설 설치시설은 아래 표와 같이 설치해야 할 것으로 결론지으며, 구 분 개소수 면 적(㎡) 비 고 실내체육관 1 150,000 교하읍, 금촌1동, 금촌2동 국민체육센터 1 20,000 금촌2동 문화체육센터 2 30,000 문산읍, 법원읍, 적성면 운동장생활체육시설 31 148,800 학교운동장 중심 근린형복합체육시설 1 6,250 진서/군내/진동 마을단위체육시설 46 169,801 지역주민 접근 쉬운 곳 신규시설 합계 82 524,851 이 결과를 파주시에 적용하여 향후 체육시설 설치 시 제안한다면, 첫째, 파주시의 공공체육시설의 최대 문제점인 다양한 공공체육시설이 부족한 것이다. 이를 설치하려면 많은 예산과 시간이 필요한 상황에서 우선 기존시설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해야 할 것이다. 향후 순차적으로 주민들이 가장 선호하고 필요한 체육시설인 수영장과 배드민턴 등을 할 수 있는 다목적 실내체육관 그리고 조깅을 할 수 있는 체육공원 위주로 설치계획을 하여야 할 것이며, 주민들이 이용하기 쉽도록 주거밀집지역 주변에 야간에도 운동 가능하도록 야간조명을 갖춘 체육시설을 설치해야 할 것이다. 둘째 교하읍과 금촌동에 편중되어 있는 체육시설을 지역균등발전차원에서 다른 지역에도 균형 설치토록 하되 방법은 기존시설을 다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기존 시설에 추가설치 및 화장실 및 휴게시설 등 신설·보수하여 기존 시설 활용도를 높이며 또한 LG DISPLAY 등 기업들의 시설 참여를 유도하여 종업원과 주민이 시설 공유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주민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에 다목적 소규모 체육공원을 건설하여 주민들이 운동할 수 있도록 하되 공원 기능과 체육시설 기능을 같이하여 경제적 이득 및 이용률을 높인다. 특히 공릉천, 문산천과 같은 하천주변과 애룡저수지, 삼방저수지, 직천저수지와 같은 전망 좋은 수변지역에 레져와 스포츠를 같이 할 수 있도록 레져 겸용 체육공원을 건립한다면 적은 비용으로 시민들에게 휴식과 체육을 같이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전망이 수려한 수변시설이 산재해 있으나 공공체육시설이 거의 없는 법원읍이나 광탄면 지역에 레져 겸용 체육공원 설치는 효과 클 것으로 보인다. 기존의 체육공원이나 근린공원을 리모델링하고 화장실과 휴게시설 등을 정비 및 시설 주변의 유휴 공간 또는 미 활용 공간을 이용하는 것도 체육시설 설치에 따른 고비용에 대한 하나의 대안일 수 도 있다. . 넷째, 공공체육시설이 부족한 파주읍, 법원읍, 광탄면 지역의 초·중·고교 운동장에 인조잔디 설치와 실내체육관 보수사업, 운동기구 지원 사업을 하여 학교체육시설을 최대한 활용하도록 하고 청소년시설과 파주영어마을 내 체육시설 등 학교, 청소년시설 등을 연계,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스포츠시설을 저렴하게 대여하거나 새로 이사 온 주민들에게 스포츠클럽 현황과 정보지 등을 제공하여 자연스럽게 가입할 수 있는 등 야구, 게이트볼, 축구 등 소규모클럽과 동호회를 적극 지원하여 유아 및 아동, 청소년, 성인, 노인 등 연령대별로 끊김 없이 연속성을 지니도록 한다. 생활속에서 스포츠활동을 즐기고 대회에 참가하여 청소년과 성인 등 모든 연령층이 다양한 종목의 체육시설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면 성인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동호인조직의 문제점도 개선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런 스포츠클럽이나 체육동호회는 자원봉사자에 의해 운영되므로 파주시를 위한 자원봉사활동과 접목 즉 각종 체육행사 및 대회의 준비, 운영스케쥴 작성과 대회 운영 시 운영요원 및 기타 요원으로의 활동과 체육시설과 용구의 관리 등의 행정효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여섯째, 주택법에서 규정한 공동주택 건립 시 의무적으로 설치토록 되어 있는 운동시설을 활용한다. 이 운동시설은 운동종목도 다양할 뿐 아니라 단지 안에 설치되어 있는 운동시설이기 때문에 잘만 활용한다면 주민들의 이용도를 극대화 시킬 수 있다. 또한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 규정에 의해 설치토록 되어 있는 직장 내 운동시설 즉 LG DISPLAY나 출판단지 등의 체육시설을 적극 활용해야 할 것이다. 이 직장 내 운동시설 특히 LG DISPLAY 풋살구장은 시설도 좋을뿐더러 파주시의 유일한 인조잔디 풋살구장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는 2000년에 이미 인구의 7.2%가 65세 이상으로서 UN이 분류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고 있다. 고령화 사회의 도래에 따른 노인을 대상으로 한 체육활동과 연계한 건강프로그램 등 건강한 노년생활을 위한 체계적·규칙적 체육활동을 전개하고 정책에 많은 고려를 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체육 활동의 내용과 방법은 사람들의 연령이나 성별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인구구조의 변화는 중요한 정책 환경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 고도 도시의 공공가로시설물 디자인 연구 : 고도 백제 수도 '부여'를 중심으로

        김용성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의 도시는 그 도시만의 창조적이고 고유의 가치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 내외적으로 도시 이미지를 제고하고, 시민 삶의 질적 향상을 꾀하며, 지속적으로 사회, 문화, 역사적으로 발전하는 도시로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동시에 도시의 가치와 미래 비전을 느낄 수 있는 정체성을 가지기 위해 많은 관심과 지원을 집중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고도 도시는 일반적 도시와 차별화된 역사문화적 정체성을 내포하고 있어 도시의 가치성 및 독특성 등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고도 도시는 도시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다양한 실험 및 행위 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공공 디자인으로서 도시 공간 및 도시 이미지의 인식 시발점이 되고 도시민 및 사용자의 편의를 제공하는 공공가로시설물에 대한 인식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고도 도시들에 설치된 공공가로시설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고도 도시인 부여의 공공가로시설물이 갖추어야 할 특성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는 고도 도시로서 부여의 정체성 확립 및 이미지 향상과 도시 공간의 질적 수준을 향상 시켜 주고 궁극적으로 도시의 경쟁력을 갖추는데 이바지 할 것이다. 고도 도시에 있어 공공가로시설물 디자인은 도시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한 가치 구현의 의미가 크다. 역사문화적 과거와 현재의 도심을 잇는 가교 기능으로서 도시의 공간적 구성 역할을 하는 것이다. 고도 도시로서 역사문화적 유적지가 산재해 있는 도심속에 근대화를 통한 현 도심의 이질적 구성을 연계시켜 주는 요소적 역할로서 공공가로시설물의 디자인 방향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구성 요소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고도 도시 및 공공가로시설물에 대한 개념 및 구성 요소 등을 연구하였고, 고도 도시들 및 특성을 같이 하는 공간들을 직접 조사하고 연구 논문 등을 통한 사례 연구로 이루어 졌다. 고도 도시의 선정 기준은 국내의 경우 고도보존특별법이 정하는 도시로 정했으며, 이 고도 도시들을 바탕으로 연구하였으며, 사례의 질적 우수성을 위해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지는 역사문화공간을 추가로 연구하였다. 해외의 경우도 역사문화도시로서 고도 도시의 성격을 가지는 대표 도시를 연구하였다. 도시의 고유성과 정체성이 중요한 가치이며, 도시 발전의 원동력으로 삼고자 하는 고도 도시에 있어 공공가로시설물을 분석한 결과 특성과 디자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도시의 정체성을 바탕으로 이루어 져야한다. 고도 도시의 역사. 문화. 사회. 경제적 특성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그 도시만의 자기다움이 내포되어야 하며, 고도 도시로서 다른 도시와 비교하여 우월성 및 독특성이 내포되어 있는데 이런 기대감을 충족시켜야 한다. 둘째, 디자인의 가치성이 내포되어야 한다. 사랑받는 디자인으로 단순한 시설물의 차원을 벗어나 오랫동안 지속 가능한 디자인으로 의미성 부여를 통한 도시의 상징화를 이루어야 한다. 셋째, 유무형적 역사적 시간을 이어갈 수 있는 디자인으로 전통성이 있어야 한다. 도시의 역사. 문화의 유물, 유적, 재료, 기술 등의 계승을 구현해야 한다. 넷째, 도시 요소들과의 조화 위에서 이루어 져야 한다. 과거, 현재, 미래와의 조화. 주변공간과 시설물간 및 인간과의 조화 및 연계가 이루어 져야 하며, 주변 환경과 색채, 형태의 어울림 속에서 기능적 요소와 상징적 요소 등 모든 상호관계간의 배분 및 효율성을 지켜야 한다. 다섯째, 도시의 자원 요소 활용 및 가치성 지원 아래에서 예술적 조형미로 승화할 수 있는 미적 추구를 표현한다. 이는 기술적 , 정신적 요소의 혼합을 통한 예술미를 가져야 한다. 여섯째, 공공가로시설물의 새로운 기능성 추구로 고도 도시 인식 및 체험 요소 가미로서 편의 및 안정성 차원의 공공가로시설물에서 시각, 촉각, 등을 통한 디자인 컨셉의 도시 이해 및 교육의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다.

      • 효과적인 정보전달을 위한 공공디자인 가이드라인 작성방법에 관한 연구

        김효정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도시의 물리적 개발을 뛰어넘어 조형적·문화적·사회적 관점을 통합하는 공공디자인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공공디자인의 체계적인 관리와 높은 효율성 확보를 위해 서울시에서는 대표적인 정책으로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작하였다. 하지만 현재 일부 모호한 언어의 사용으로 인해 가이드라인의 의미 전달이 명확하지 않아 구체적인 규제와 필수사항에 대한 내용이 불분명하여 실질적인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의 대표적 요소인 공공시설물의 디자인 가이드라인연구를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과 실질적인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가이드라인 제작 방법을 연구 목적으로 한다. 가이드라인의 구성요소 중 언어의 표현과 표현방법을 통해 가이드라인 분석 방법을 제시하고, 이를 토대로 주요 지자체의 공공시설물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문제가 되는 언어를 도출하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방법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시한 제작방법을 토대로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여 실제 가이드라인 제작 가능여부를 알아보고, 연구의 발전 방향과 한계점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로는 첫째,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크게 이미지와 언어로 구성되며, 이미지는 사례 예시나 권장 이미지 등의 부수적인 요소로 대부분은 언어로 구성된다. 둘째, 공공시설물은 관리주최에 따른 분류로 인해 주변시설물과의 연계성이 떨어지며, 가이드라인은 설계목적을 갖고 정부에서 작성한 문서로서 의사전달에 어려움이 없어야 하지만 현재 모호한 언어의 사용으로 구체적인 적용과 규제에 어려움이 발생한다. 셋째, 공공시설물의 통합적 디자인을 위한 시설물의 분류를 진행하고, 모호한 언어는 품사의 종류에 따라 동사와 형용사로 나뉘며, 이러한 언어의 구체적인 기준, 범위 설정, 실행방법에 따른 위계 설정으로 언어를 보강하여 제작한다면 보다 원활한 의사소통이 가능하다. 넷째, 구체적인 개선 방안으로 형용사는 해당 언어에 대한 기준을 정립하고, 시각적인 범위를 제시한다. 동사는 강도에 대한 위계단계를 설정하고, 이를 디자인 진행 프로세스에 대입하여, 가이드라인 세부지침사항에 대한 의사 결정과 권한에 대한 기준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주요 지자체 디자인 가이드라인 사례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구체적인 개선방법을 제시하여, 가이드라인 재제작 시 활용하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가이드라인의 이해를 높이고, 지침사항을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공공디자인에 대한 구체적인 적용과 규제가 가능해 지고, 이를 통해 도시디자인을 효율적으로 관리 해줄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the needs of public design which integrates not only city's physical development but also formative, cultural, social view keeps growing, Seoul has established design guideline as the representative policy for highly effective and systematic management of public designs. However the partial use of equivocal language makes the meaning of the guideline unclear which makes the concrete regulation and essential points vague so it is not easy to actually use the guideline. This study focuses on establishment method of the public infrastructure design guidelin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actual usage through the research on the guideline itself which is the crucial factor for public designs. Among the component of the guideline the expression of language is studied to suggest a guideline analysis method. With this conclusions the design guideline of public infrastructures of main local government is analyzed. Through the analysis the problematic language is deducted and the resolution is given. Lastly, through the establishment method give a simulation is carried to see whether the actual guideline establishment is possible and draw the future research guidelines and its limi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 First, the design guideline mainly consists of image and language. The main component is language and image is subordinate which is used only for examples or recommended image guidelines. Second, the public infrastructures has low connectivity with the surrounding facilities due to the categorizing pursuant to administrative regulation and as the guideline is written by the government it should not have any communication mistakes but at the moment the vague language is making the concrete proposal and regulation difficult. Third, if the classification for integrative design of public infrastructure is carried and the language is constructed among concrete standard, range specification, and procedure considering the word class(verb or adjective) of the vague language, more effective communication is possible. Fourth, for concrete improvement, adjective establishes the standard of the language and suggests visual range. Verb sets hierarchical stage for strength and substitutes it to design process, so suggests standard for decision making and authority for guideline's detailed guidance.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to examine problems by case analysis on main regional governments' design guideline, suggest concrete improvements for those problems and utilize them for manufacturing guideline. It will improve understanding of guideline, deliver guidances more effectively, furthermore, make concrete application and regulation of public design possible and manage urban design effectively.

      • 중국 하남성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공공체육시설 이용만족 및 스포츠소비행위와 공동체의식의 관계

        섭몽검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ty sentiment and sport consumer behavior of public sports facilities customer satisfaction of public sports facilities users of Hénán Shěng, China. For which, there has been a research investigation conducted through surveys answered by 1,196 user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from July to September in year of 2015. Based o collected data, Win SAS Ver. 9.2 was applied an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analysis of variance, multiple range test of Scheffe,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as a result of analysis on community sentime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der, all community sentiment sub-variabl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when it came to community sentim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monthly income, and main participation,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ub-variables of feeling of solidarity, sense of belonging, sense of closeness, and feeling of satisfaction. Second,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of public sports facilities customer satisfaction and community sentiment showed that sub-variables of public sports facilities customer satisfaction such as service fee satisfaction, program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he leader, facilities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kindnes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feeling of solidarity and feeling of satisfaction, while service fee satisfaction, program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he leader, satisfaction with kindness and etc.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ense of belonging, as service fee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the leader, facilities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kindness and etc. had on sense of closeness. Third, th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of sports consumer behavior and community sentiment showed that the sub-variables of sports consumer behavior such as experience tour, sports equipment, sports participation, sports web and watching sports gam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feeling of solidarity, and sub-variables of community sentiment such as information of media, experience tour, sports equipment, sports web and watching sports gam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feeling of belonging. Also, among the sub-variables of sports consumer behavior, information of media, experience tour, sports participation, sports web and watching sports gam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ense of closeness which is one of the variables of community sentiment. Lastly, as to the feeling of satisfaction, the information of media, sports equipment, sports web and watching sports gam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sports facilities customers’ satisfaction. key words: public sports facilities users, public sports facilities customer satisfaction, sports consumer behavior, community sentiment 본 연구는 중국 하남성 공공체육시설 이용자의 공공체육시설 이용만족 및 스포츠소비행위와 공동체의식의 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7월부터 9월까지 7개시 소재 공공체육시설 이용자 1,196명에 대해 설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기초로 Win SAS Ver. 9.2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t검증, 일원분산분석, Scheffe’의 다중범위검증, 상관분석 및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 공동체의식 차이 분석 결과 공동체의식 하위변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별, 학력별, 결혼유무별, 월수입별, 주참여활동횟수에 따른 공동체의식에는 연대감, 소속감, 친밀감, 충족감의 하위변인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공체육시설 이용만족과 공동체의식의 관계 규명 결과 공공체육시설 이용만족의 하위변인인 이용요금만족, 프로그램만족, 지도자만족, 시설만족, 친절만족 등 모두 연대감, 충족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용요금만족, 프로그램만족, 지도자만족, 친절만족 등이 소속감에, 이용요금만족, 지도자만족, 시설만족, 친절만족 등이 친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포츠소비행위와 공동체의식의 관계 규명 결과 스포츠소비행위의 하위변인인 체험관광, 스포츠용품, 스포츠 참여, 스포츠웹, 경기관람 등이 연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공동체의식 하위변인 중 소속감에는 매체정보, 체험관광, 스포츠용품, 스포츠웹, 경기관람 등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포츠소비행위 하위변인 중 매체정보, 체험관광, 스포츠참여, 스포츠웹, 경기관람 등이 공동체의식 하위변인 중 친밀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넷째, 매체정보, 스포츠용품, 스포츠참여, 스포츠웹, 경기관람 등이 공동체의식 하위변인 충족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어: 공공체육시설 이용자, 공공체육시설 이용만족, 스포츠소비행위, 공동체의식

      • 프로그램 복합화가 적용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이수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산업과 문화의 발달로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복지와 편의를 위해 제공되는 공공시설에 대한 요구도 증대되고 다양해졌다. 공공시설은 주민들에게 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지역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하는 중요한 요소이며, 주민들의 일상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기 때문에 시설의 입지나 제공되는 서비스의 질과 양은 주심들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요소가 된다. 그러나 현재 공공시설의 질적 수준과 서비스는 주민의 기대에 못 미치는 실정이다. 이는 공공시설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는 이유도 있지만 현재 도시에서 새로운 공공시설을 지을 만한 대지가 부족하다는 것도 문제점으로 작용한다.이러한 공공시설의 입지적 문제점과 대지 부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시된 것이 공공시설의 복합화이다. 공공시설의 복합화는 기본적으로 공공시설을 집단화시켜 개별시설에 투입되는 비용을 최소화하고 동시에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투자효과를 극대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공공시설의 복합화는 관련 시설들을 한 곳에 집중시켜 주민의 편의를 도모하고 공공시설의 이용률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공공도서관은 각종정보와 지식자료의 보관뿐이 아니라 지역커뮤니티 시설로서 지역주민들에게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하지만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의 수집과 자료 보관이 컴퓨터로 가능해지면서 공공도서관의 이용률이 현격하게 감소함은 물론 공공도서관이 단순히 독서실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각 시·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이용률을 증대시키기고, 공공서비스의 질을 향상시켜 공공도서관의 본래 목적인 지역커뮤니티로서의 역할을 제공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복합화를 시도하는 추세이다.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복합화가 활발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프로그램 복합화에 따른 복합공간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프로그램 복합에 따른 복합공간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과는 달리 실제로 이용하는 실 이용자에 관한 만족도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이에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 복합화가 이루어진 공공도서관들을 대상으로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분석하여 추후 프로그램 복합화가 적용되는 공공도서관 계획 시 건축계획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갖고자 한다.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첫째, 문헌고찰 및 관련연구를 통하여 공공시설의 복합화와 공공도서관의 기본 개념을 명확히 한다.둘째,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복합화에 관한 일반적 조사를 실시하고, 프로그램 복합화가 적용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행태관찰과 면담을 실시한다.셋째, 조사대상 공공도서관의 도면분석과 현장조사를 통하여 현재 도서관 이용 현황을 파악한다.넷째, 위의 과정에 근거하여 프로그램 복합화가 적용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를 조사하기 위한 설문을 구성하여 예비조사를 실시하고, 이를 통하여 적합성이 떨어지는 평가항목을 제거하여 설문을 재구성한다.다섯째, 설문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통계 분석하여 이용자 만족도에 기여하는 영향 인자 및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복합화 문제점을 도출한다.여섯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복합화가 적용되는 공공도서관 계획 시 기초자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용자 특성을 고려한 건축계획 방향을 제시한다.위와 같이 진행된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복합화가 도서관의 이용률을 증대는 가져왔지만 대부분의 이용자들은 자신이 방문한 목적 공간이외의 공간은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공도서관의 주프로그램과 복합화 된 부프로그램들 사이에 연관 관계가 없어 프로그램들이 각각 이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서로 연계되지 않는 프로그램들로 인하여 이용자들의 도서관 이용에 관한 만족도는 낮아졌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복합 시 단순히 이용자의 증가만을 위한 것이 아닌 복합되는 프로그램들과 도서관의 기존 프로그램들의 유기적 연계가 고려되어야 한다.둘째, 이용자들은 프로그램 복합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과 혼잡함 때문에 도서관 이용에 불편을 느끼고 있었다. 소음을 줄이기 위하여 소음 발생이 적은 대상과 교육내용이 복합 시 고려되어야 하며, 도서관 공간 배치 시 어린이자료실을 쉼터나 개방된 공간과 연계하여 복도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줄여야 한다. 또한 혼잡함을 줄이기 위해서는 계획 시 프로그램들 사이의 동선과 복합화 되는 교육시설의 교육시간 배정을 고려하여 도서관의 혼잡함을 방지하여야 한다.셋째, 조사대상 공공도서관의 이용자는 열람실, 자료실, 정기간행물실 등과 같이 도서관의 주프로그램들 이용 시 인터넷과 컴퓨터의 사용이 함께 되기를 원했다. 이는 공부나 자료검색에 인터넷을 이용하는 현대 문화의 반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공도서관의 프로그램 복합 시 이용자 요구 조사가 이루어지고 이것이 반영되어 계획하는 것이 중요하다.넷째, 도서관 이용 만족도가 낮은 부프로그램 이용자에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아이들의 교육 프로그램 때문에 도서관을 방문한 부모님을 위하여 아이들의 교육시간 동안 부모님들이 있을 수 있는 공간에 대한 배려나 같은 시간에 이용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배치로 이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해야 한다.다섯째, 공공도서관의 독서실화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도서관 프로그램 계획 시 개인공부를 위한 열람실보다는 회의실과 세미나실의 공간을 늘려 회의나 집단 토론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또한 이러한 집단 이용자들의 도서관 이용을 유도할 수 있는 교육적인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본 연구에서 은평구립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 조사를 통하여 프로그램 복합화가 적용된 공공도서관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조사가 은평구립도서관 한 곳을 대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보다 다양한 공공도서관의 조사로 객관성을 확보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만족도 평가에 있어 구제적인 물리적 평가 항목에 대한 연구가 향후 과제로 남는다.

      • 경남지역 지하공공보도시설의 실태조사 및 개선요소 추출에 관한 연구

        조진형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하공공보도시설의 확대개발과 활용은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제2의 생존공간으로, 토지의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영역으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와 같은 토지부족 국가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할 공간으로 우리생활 속에서 밀접하게 관계하고 있다. 국내뿐만 캐나다, 일본 등의 국외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시설로서, 도시공간의 구축, 환경문제 해결의 기능으로서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가야 할 필연적 과제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경남지역 지하공공보도시설의 실태조사와 개선요소를 추출하기 위하여,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개념적 틀을 설정하고, 물리적 구성요소를 통하여, 현장조사 및 실태조사와 더불어 시설에 대한 근무자와 이용자의 설문을 통한 조사를 통하여 개선요소를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들을 도출할 수 있었다. 경남지역 지하공공보도시설의 실태조사 결과로서 경남지역은 현재 마산 합성, 마산 부림, 진주 중앙 지하공공보도시설이 설치·운영되고 있다. 대규모 도시와는 다르게 경남지역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 지하철의 활성화 되지 못한 점에서 대도시 지역과는 다른 현상을 보이지만, 지하공공보도시설의 입지, 보행통로의 역할에서 개발 및 이용실태는 활발한 모습을 볼 수 있었다. 마산 합성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 전체적으로 시외버스 터미널과 연계된 위치로서, 이동인구가 많으며, 보행통로의 역할과 동시에 시민들의 휴식공간. 쇼핑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경남지역 지하공공보도시설 중 가장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시설로 볼 수 있다. 마산 부림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 부림시장의 상권의 쇠퇴로 인한 문제점 등으로 인해, 시설의 낙후와, 운영의 부진, 등으로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기능 보다는 보행통로의 역할로 사용되고 있다. 진주 중앙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 진주시 상권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있으며, 마산 합성 지하공공보도시설과 같은 역할로서, 통행로 및 만남의 장소, 쇼핑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경남지역의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 마산 부림, 진주 중앙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 경남지역의 중심에서 활발히 이용되고 있지만, 마산 부림 지역의 경우와 같이, 상권의 이동 등에 따라 이용되지 못하고 낙후되어, 오히려 도시경관을 해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즉 경남지역의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 상가요소, 출입요소, 방재요소, 어메니티 요소, 기타요소들에 대한 부족한 부분들이 많았다. 즉, 국내의 지하공공보도시설 및 외국 사례를 통한 다양한 프로그램들과, 시민들의 휴게공간, 참여 공간, 갤러리 등의 활용방안 등으로 이용되어야 할 것이다. 경남지역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개선요소 추출의 분석의 결과로서 마산 합성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경우 표지, 안내판 설치에 관한 요소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나타났으며, 진주중앙의 경우 휴게공간 및 편의 공간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높게 나타났다. 근무자의 경우 개선의 필요성이 높은 요소로서, 시간대의 변화, 조명의 밝기, 내부의 온도, 습도, 표지판 및 안내도, 상점의 디자인, 유지관리에 관한 요소들이 이용자의 개선순위 지수에 비해 매우 높게 분석되었다. 이용자의 경우 내부 환기 및 먼지, 휴게 공간 및 편의시설, 안전성에 대한 요소에 대해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되었다. 또한 개선요소 추출에 대한 과정으로 만족도 조사에서 근무자와 이용자의 개선점에 대해 다른 현상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개선요소에 대해 다양한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새로운 지하공간의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개선요소를 추출함으로써, 지하공공보도시설에 대한 적절한 자료를 제시하고, 지하공공보도시설의 구성요소들을 다양한 기능에 따라 적용함으로써 적극적으로 지하공공보도시설의 활용과 환경의 질을 높이는 것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공공폐수처리시설 설치운영 최적화를 위한 인자 분석 연구

        이규만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요약 공공폐수처리시설의 효율적인 설치․운영을 위한 제도개선을 위하여 공공폐수처리시설 및 공공하수처리시설의 설치, 운영에 따른 법령 및 업무지침, 운영현황 등을 비교 검토하고 법적, 제도적 측면에서 설치․운영 최적화를 위한 공공폐수처리시설 계획 및 설치 관련 제도개선 인자와 공공폐수처리시설 운영 관련 제도개선 인자를 도출하고 제도개선 인자별 현행 법령, 지침 및 운영상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법령 개정 등 제도개선 방안을 연구․분석하였다. 공공폐수처리시설 계획 및 설치 관련 제도개선 인자로 첫째, 기본계획 승인 및 변경승인 대상을 처리구역 변경, 총사업비 변경, 공공폐수처리시설 전면 개량 등으로 확대하고 둘째, 신규 산업단지 폐수를 인근 공공폐수처리시설 연계시 설치부담금 부과대상 원인자에 증설을 유발하는 타공사 및 타행위 사업자를 추가하고 증설에 따른 설치비용과 폐수관로 설치비용을 부담하도록 개선하고 셋째, 공공폐수처리시설 공법선정 시 공법 및 설계에 따른 책임을 시설별로 공법사 또는 설계용역사에 부여하고, 공공폐수처리시설을 증설, 개량하는 경우 기존 처리공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도록 개선하고 넷째, 별도 배출허용기준 중 총대장균군수 항목을 제외하거나 완화하여 전처리시설 설치에 따른 중복투자를 방지하고 다섯째, 산업단지내 공공폐수처리시설에 폐수를 유입하는 사업장에 대하여 생태독성 별도배출허용기준을 정하여 생태독성 방류수수질기준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연구․분석하였다. 공공폐수처리시설 운영 관련 제도개선 인자로 첫째, 공공폐수처리시설 방류수수질기준 준수 예외사항 범위를 시설 증설, 처리공법 변경 등 처리공법상 필요한 경우로 확대하고, 예외를 인정받기 위한 사전 협의, 확인절차를 규정하고 둘째, 시설개선충당금 사용용도를 개․보수 등 단기적인 용도로 규정하고, 노후화된 시설의 재설치 비용은 국고지원 및 원인자 부담금으로 충당하며 셋째, 공공폐수처리시설 관리업무 대행자 범위에 하수도법에 따른 관리대행업자를 추가하고 공공폐수 및 하수처리시설의 관리대행업자의 장비 및 기술인력 등 등록기준과 대행계약 종류와 기간, 선정기준 등을 통일시키고 넷째, 공공폐수처리시설 기술진단시 소규모 공공폐수처리시설은 환경기술지원을 받은 경우 기술진단을 한 것으로 대체하고 폐수관로에 대한 기술진단 근거를 마련하며 부실, 허위 기술진단을 방지하기 위해 기술진단 결과 검토절차, 현행 기술진단비용 고시를 유지하는 방안과 가격경쟁을 도입하는 방안 등을 제시하였으며 다섯째, 공공폐수처리시설 폐수유입 승인, 사용개시 절차 등에 관한 사항을 법령에 규정하여 법령체계를 정비하는 방안을 연구․분석하였다.

      • 노인활동센터와 공공서비스시설의 복합화 모델 개발

        왕위량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本研究为中国城市社区老年活动中心与公共服务设施的复合模式开发研究,挖掘现有城市社区老年活动中心存在的特点和问题进行研究。为了达到本研究的目的,一方面阐明研究背景,另一方面提出问题,为了解决这个问题,决定进行科学、系统的模式构建,以提升老年活动中心的利用率,满足老年人多样化的需求。 首先,了解中国城市社区老年活动中心的实际情况,找出问题所在,梳理出可复合的公共服务设施。其次,通过对老年活动中心与社区公共服务设施的案例研究,进一步明确老年活动中心的基本类型和可复合公共服务设施的基本类型,明确设施的核心功能。另外,为解决相关的问题,提出了科学的复合模式构建的体系化及有效适用方案。最终通过合理准确的复合模式构建,以期解决现有老年活动中心存在的诸多问题。对此,本研究如下。 第一、通过对城市社区公共服务设施的功能研究,分析老年活动中心和各公共服务设施的基本功能,明确本文的研究对象为老年活动中心,日间照料中心及幼儿园。 第二、通过案例分析,对各设施案例的功能空间进行深入分析,得出老年活动中心的四个基本类型、日间照料中心的两个基本类型及幼儿园的两个基本类型,通过设施类型之间的单一复合和多元复合两种方式,得出13个初步的复合模式。 第三、选取100名行业内专家,针对提出13个初步复合模式进行专家问卷的验证,进一步科学、合理的确定开发的复合模式。综合分析专家问卷验证结果,共有11项复合模式在专家问卷调查中得到很好的确认。 第四、通过对设施核心功能的分析,基于对复合模式完整性和多样化功能的思考,进一步明确以核心功能进行复合的方式,并确定各设施的核心功能模块,共分析得出五项复合模式,同时进行了模式的综合分析,明确各模块的重要程度及各个模式复合的特性。 第五、选取中国哈尔滨的五个老年老年活动中心案例,进行了案例所在社区类型及复合模式最低适用面积的分析,并通过案例适用结果,确定了问题和改进方案。 本研究是城市社区老年活动中心与公共服务设施复合模式开发的基础性研究,我们认为今后有必要拓展城市社区其他公共服务设施的复合研究。希望该研究论文能为城市社区公共服务设施发展做出贡献。 This study is to develop a composite model of China's urban community senior activity centers and public service facilities, digging into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existing urban community senior activity cent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one hand, the dissertation shows the research background; to get the problem resolved, the dissertation builds up a scientific and systematic model construction to improve the utilization rate of the senior activity centers, to meet the diverse needs of the seniors. First, getting the picture of China's urban community senior activity centers, uncover the problems, and seek the compound public service facilities. Second, through the case study of facilities in senior activity centers and community public service, clarify the basic genres of senior centers and type of compound public service facilities, so as to identify the core functions of the facilities. In addition, to solve other related problems, the dissertation proposes an effective and applicable scheme which is more systematic on the building of the compound model. Finally, through the reasonable and accurate construction of this model, solve the existing problems in the senior activity centers. First, by studying the functions of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urban communities, this dissertation analyzes the basic functions of senior activity centers and various public service facilities, further clarifies senior activity centers, day-care centers and kindergarten as the object of the study. Second, analyze the function space of the various facilities cases through case study. There are four basic types of senior center, two for day care centers and two for kindergartens. By recombination and multi-component among the basic types, we get thirteen preliminary compound patterns. Third, 100 experts in the industry were selected to verify the 13 preliminary compound models by means of questionnaire, to make the composite model of development more scientific and more rational. After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experts’ questionnaires, 11 compound patterns were confirmed. Fourth, through the analysis of core function facilities, based on reflection on the integrity and multifunction of the model, take core function as the key method of compounding, and define the core function of the facilities. After the analysis, I find out five applicable compounding modes. After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models, distinguish the importance of the various modules and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unding model. Fifthly, five senior activity centers in Harbin, China were selected as a case study to analyze the genres of communities and the minimum applicable area of the compound model. Based on the case application result, I find out their problems and an improvement scheme.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he composite model between the urban community senior activity center and public service facilities. We believe that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compounding study of other public service facilities in urban communities. I hoped that the research could make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urban community public service facilities. 본 연구는 중국의 도시 커뮤니티 노인활동센터와 공공서비스시설의 복합모델 개발연구를 위해, 기존 도시 커뮤니티 노인활동센터의 존재 특성과 문제점에 대하여 탐구 및 분석을 진행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한편으로는 연구배경을 명확히 규명하였고, 다른 한 편으로는 관련 문제를 제기하였다. 또한,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노인활동센터의 이용률을 높이고 노인층의 다양한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모델을 구축하여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 과정에서 우선, 중국 도시의 노인 지역사회 활동센터의 실제 상황을 정확히 파악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발생되고 있는 문제점을 찾아낼 수 있었고, 복합 가능한 공공서비스 시설을 정리해 낼 수 있었다. 그다음에는 노인활동센터 및 지역사회 공공서비스 시설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해 노인활동센터 및 복합 공공서비스 시설의 기본 유형을 보다 명확히 하고 시설의 핵심기능 역시 명확하게 분류하였다. 또한, 관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학적 복합모델 구성의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응용 방안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합리적이고 정확한 복합모델 구성을 통해 기존 노인활동센터에 존재하는 많은 문제의 해결을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첫째, 도시 공동체의 공공서비스 시설 기능에 대한 연구를 통해 노인활동센터 및 공공서비스 시설의 기본 기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는 연구 대상을 노인활동센터, 보육 센터 및 유치원으로 한정하기로 하였다. 둘째, 사례 분석을 통해 각 시설 사례의 기능공간에 대한 심층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노인활동센터에서 4가지 기본 유형, 일간 돌봄센터에서 2가지 기본 유형, 유치원에서 2가지 기본유형을 추출해 낼 수 있었다. 이렇게 추출한 기본유형들을 가지고 각 시설끼리 단일 복합 및 다원복합의 방식으로 복합을 진행한 결과 13개의 기초 복합모델을 도출해 낼 수 있었다. 셋째, 관련 업종에 종사하고 있는 100명의 전문가를 선발하여 설문조사를 시행하는 방식으로 13개의 기초 복합모델에 대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그리하여 더욱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복합모델이 개발되었다. 설문조사의 결과를 분석한 결과, 전체 11개의 복합모델이 전문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넷째, 개발된 복합모델은 완벽해야 하고 다양한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기본 전제 하에, 각 시설의 핵심기능에 대한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핵심기능의 복합방식을 더욱 발전시킬 수 있게 되었다. 또한, 각 시설의 핵심기능 모듈 역시 조금 더 정확히 분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총 5개의 복합모델을 도출해 내었다. 여기에서 그치지 않고 각 모델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도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각 모듈의 중요도와 각 복합모델의 특징을 밝혀 낼 수 있었다. 다섯 번째, 중국 하얼빈의 5 가지 노인활동센터에 대한 사례를 선별하였다. 사례가 있는 지역사회 유형과 복합모델의 최소 적용 가능한 영역을 분석하고 실제 사례의 적용 결과를 통해 문제 및 개선 계획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도시 커뮤니티의 노인활동센터와 공공서비스 시설 복합모델 개발의 기초적인 연구이다. 우리는 향후 도시 커뮤니티 내 기타 공공서비스 시설간의 복합에 대한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연구 논문이 도시 커뮤니티 공공서비스 시설 복합화 연구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