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이공간으로서의 화장장 외부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Mu, Keke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화장장 시설에 대한 유족들의 심리적·문화적 요구가 증가하면서 장례, 화장, 봉안 등 일련의 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유족들이 경험하는 심리적 변화에 대한 대응은 화장장 시설 계획에서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부각된다. 특히 화장절차가 진행되는 동안 유족들이 겪게 되는 심리적 변화는 주로 기능별 공간을 이어주는 전이공간에서 그 정도가 심하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화장장 시설에서의 전이공간의 역할과 기능은 화장장의 고유기능을 수행하는 주 기능 공간 못지않게 계획적으로 중요한 공간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화장장의 외부전이 공간은 이용자의 심리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할 수 있는 계획적 고려가 수반되어야 하는 공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화장장 시설의 기능을 연계하여 유족과 조문객의 이용적·심리적 차원에 부합하는 전이공간으로서의 외부공간의 특성을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이공간으로서의 화장장 외부공간구성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일반적인 전이공간의 특성을 토대로 전이공간으로서의 화장장 외부공간의 역할을 구분하고 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비교 분석하여 각 대상 시설의 공간 물리적 한정요소, 공간의 연출 기법, 공간의 구성 유형, 공간의 기능에 따른 전이공간으로서의 화장장 외부공간의 상관관련을 파악하고 전이공간으로서의 외부공간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결론적으로 화장장은 화장장 고유 기능의 복합적 수용뿐만 아니라 화장 흐름에 따라 유족과 조문객의 이용과 상처를 고려한 공간의 계획이 요구되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공간은 다름 아닌 각 시설간을 연계하며 유족의 이용과 심리적 변화가 가장 크게 발생하는 외부공간이며, 기능적 심리적 전이공간으로서의 계획적 고찰이 요구되는 사정이다. 화장장 외부 전이공간은 주요 기능 사이의 종속적인 역할을 넘어, 화장장 전체의 성격을 결정하는 주요공간으로 역할하고 있음을 보았다. 이러한 외부 전이공간은 현대 화장장에서 복합적인 건축물 간의 공간 관계를 연결시키고 계획하는데 있어 시야를 확대하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Recently, by increasing psychological and cultural demand of the bereaved, in the while of funeral, cremation, and enshrinement, the actions for psychological changes the bereaved experiences has become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plan of crematorium facility. Especially in the process of cremation, considering the psychological changes the bereaved feels would be severe at the transition place where connects main functional spaces, the important place is not only the main functional place performing original functions of crematorium, but also the role and function of transition space in the crematorium facility. In this meaning, the outside-transition space of crematorium should be considered for coping with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us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outside as transition suitable for use and psychological side of the bereaved and condolers, relating with function of crematorium. For analysis on characteristic of out side space constitution of crematorium as transition, it separates the roles of crematorium outside as transition based on general characteristic and space of transition, and understands relations of out side space as transition according to the functions of constitution, type, function, direction technique, space limitation factors of each object faciliti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examples of Korea and Japan. As a conclusion, the crematorium is required not only to have complex accommodation space of crematorium’s original function, but also to be planed for space considering use and sorrow of the bereaved and the condolers according to the process of cremation, and in the while of proceeding this function, planned consideration is required for functional and psychological out side transition where the psychologic change and use of the bereaved is frequent, relating with each facilities. The outside transition of crematorium has the role of main space deciding the characteristic of whole crematorium beyond the original function among main function. This study suggests to widen our vision in order to see that this outside transition space has more functions to connect and plan the space relations among complex structures in modern crematorium.

      • 한국기념공간의 구성특성과 기억문화론적 해석

        원종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우리 기념공간이 갖는 일반적인 인상인 ‘수직적이고 권위적인 이미지’가 어디서 어떻게 출발했는지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 의문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먼저 한국기념공간의 객관적인 구성특성을 현지답사와 문헌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그러한 구성상의 특성이 어떠한 배경을 두고 발현되어 왔는지를 기억문화 담론의 관점에서 해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직접적인 범위는 국가보훈처에서 승인한 기념사업회들이 해방 이후 조성해 온 전국 각지의 61개 기념공간으로 한정하였다. 61개의 기념공간은 크게 ‘공간’을 기념성 획득의 주된 수단으로 삼고 있는 국립묘지, 기념관, 사당, 기념공원이라는 네 가지 유형과 ‘조형물’을 기념성 획득의 주된 수단으로 삼는 기념동상, 기념탑의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는 것이 가능하였다. 이와 같은 총 여섯 유형의 기념공간에 대한 전수답사를 통해 각 기념공간 유형이 지니는 구성상의 특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국립묘지의 경우 속세의 공간에서 성역의 공간으로 점차 나아가는 한국 전통능역의 공간구성방식을 따르고 있다. 하지만 그와 동시에 공간을 이루는 주요 조형요소들은 전통양식과 서구양식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다. 둘째, 기념관은 오픈 스페이스 혹은 사당 등과 결합하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건축 양식에 있어서는 서구 신고전주의 양식과 전통 한옥 양식이 모두 발견되며 이 두 양식이 혼재된 경우도 있다. 셋째, 사당은 한국 전통의 서원, 향교, 종가집 사당 등에서 발견되는 공간구성의 기본원리를 거의 그대로 차용하고 있다. 넷째, 기념공원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도시공원의 구성특성과 크게 다르지 않으며 기념성은 주로 기념조형물을 공원 내에 적절히 배치하는 방법을 통해 획득하고 있다. 다섯 번째, 기념동상은 기념의 대상이 되는 인물의 사실적인 묘사에 치중하고 있는 특징을 보이며 부속 조형물과 오픈 스페이스를 통해 비로소 하나의 기념공간으로 기능하고 있다. 여섯 번째, 기념탑은 유형화가 불가능할 정도의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지만, 스케일이 매우 크고 수직적인 형태를 지닌다는 점은 공통적이다. 이상과 같이 도출된 현대 한국 기념공간의 구성특성이 어떠한 배경을 통해 발현되어 왔는지 해석하기 위해 본 연구는 먼저 한국의 기념사업, 기념사업회가 일반적으로 갖는 보수성이라는 사회적 현상에 주목하였다. 보수적인 성향을 갖는 기념사업, 기념사업회의 일반적인 현황은 크게 두 가지의 사회적 배경을 근거로 하고 있음을 파악했는데, 이는 모리스 알박스의 집단기억론과 아스만의 문화적 기억이라는 기억문화 담론의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 매우 유용하였다. 첫째, 한국의 기념공간은 기념사업의 효과를 보다 직접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조형물 조성’방식을 선호해 왔다. 이는 의도된 ‘집단기억’을 일반 대중들에게 주입하기 용이한 방식으로 발현되어 온 기념공간의 조성문화가 우리 기념사업의 보수성을 불러일으킨 첫 번째 배경임을 의미한다. 둘째, 기념공간의 주요한 구성특성 중 하나였던 전통건축요소의 지속적 도입은 전통적 방식을 긍정적으로 여겨온 한국 사회의 일반적 인식을 배경으로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결국 전통건축요소의 선호는 대중에의 지속적인 노출과 반복을 통해 한국 사회의 대표적인 ‘문화적 기억’으로 굳어져 왔으며, 이는 전통 이외의 새로운 방식 도입을 경계하는 기념사업의 보수성을 설명하는 두 번째 배경이다. 다만 전통은 우리 기념공간만이 가질 수 있는 새로운 가능성의 보고이기도 함을 발견하였다. 기념공간 조성에 있어 우리 전통의 광역적 공간구성원리를 도입해 온 것은 한국성을 실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방식이었음을 국립묘지와 사당 등을 통해 확인하였기 때문이다. 기념사업의 보수성이라는 사회적 현상과 이의 두 가지 배경에 대한 연구, 나아가 전통의 새로운 가능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앞선 도출해 냈던 한국기념공간의 구성특성들이 나름의 사회적, 기억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탄생하였음을 종합적으로 해석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한국사회의 문화로 이미 굳게 자리 잡은 기념사업의 보수성을 비판하며 우리 기념공간의 개선점을 찾기 보다는, 우리 기념문화의 틀 안에서 기존 기념공간들의 잠재적인 가능성들을 발전시키는 것이 보다 현명함을 제안한다. 이러한 잠재적 가능성은 전통의 계승, 전시방식의 개선, 현상공모를 통한 디자인 발굴, 그리고 공공성의 발현이라는 네 가지의 키워드로 정리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결과가 갖는 시사점과 학문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명 우리 기념문화만의 독특한 디자인 언어가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이미 인지하고 있는 수직적이고 위압적인 디자인만이 한국 기념문화가 갖고 있는 디자인의 전부는 아니라는 것이다. 표면적으로는 잘 드러나지 않는 우리 특유의 공간구성언어가 기념공간 곳곳에 녹아있음을 인지하고 이를 이용할 줄 아는 태도가 필요하다. 둘째, 우리가 현재 보유하고 있는 기념문화는 몇몇 디자이너들의 단편적인 작가성의 결과물이 아닌 복잡다단한 사회문화적 배경의 결과물임을 인식해야 한다. 우리 기념공간의 한계에 대한 비판을 내놓기 전에 왜 이러한 공간들이 나올 수밖에 없었는지를 먼저 생각해 보는 것은, 디자이너의 작업들이 단순한 개인의 작품을 뛰어넘어 이 시대의 산물임을 깨닫게 하는 첫걸음일 것이다. 셋째, 기념의 대상에 대한 보다 심도 있는 연구가 기념공간 디자인에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기념대상의 성격보다는 지배적인 구성 원리에 대한 학습과 적용이 우선시되었던 과거의 디자인 문화를 넘어 우리 기념공간의 다양성을 높여 나가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기념대상 자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한국 현대단독주택 공간구성의 중심성

        우연수 충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주거는 수많은 건축유형 중에서도 인간의 삶과 가장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인간을 위한 공간으로 그 시대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인 모든 요소를 형태로 보여 준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현대단독주택 공간구성의 중심성에 대한 연구는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땅에서 집이 세워지는 힘의 원리를 살펴보고, 근본적으로 ‘살기 좋은 집’이란 무엇인가에 대해 고찰해봄에 있어 중요한 주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는 작품자체에 주목하기보다 시대적 의미나 작가의 의도를 근간으로 하여 연구되고 있거나, 작품 전체의 구성방식이 아닌 부분적인 구성방식에 초점을 두고 있어 주택전체의 설계수법을 읽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21세기 주택을 공간구성의 중심성에 따라 그 특징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건축가의 작품이 다수 실려 있는 SPACE 건축 잡지와 건축가협회 수상작을 중심으로 2001~14년까지 총 15개의 작품을 사례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15개의 작품은 형태의 중심성과 그에 따른 공간구성의 특징이 잘 두드러져 있기 때문에 유형에 따라 분류가 가능하며, 이를 통해 각 주택의 조형방식과 계획의도를 파악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주택의 공간구성에서 나타나는 중심성의 대표적인 세 가지 유형-단일중심형, 다중심형, 축형-으로 분류하여 중심성의 개념-에워쌈, 영역성, 방향성(축성)-에 따라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때, 공간구성은 주택의 부분에서 전체에 이르기까지 중심을 이루는 역학적 관계에 의해 다양한 조립방법을 가지며, 이를 원형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것은 오늘날 한국단독주택 작품을 분석함에 있어 공간구성의 중심성에 주목해야 함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지며, 그에 따른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단일중심형 : 공간 단위를 통합하는데 있어 건축물 전체가 중정이나 마당에 의해 하나의 공간적 중심(void적 중심)을 형성하는 것을 말한다. 단일중심형은 중심공간인 중정(또는 마당)의 가시적 형태, 규모, 위치에 따라 구심성, 원심성, 편심성 등 다양한 성질을 띠게 되며, 에워쌈의 정도에 따라 외관형태가 ㄱ자형, ㄷ자형, ㅁ자형, 一자형으로 나타난다. 2) 다중심형 : 공간상에 위계가 없는 다수의 중심을 형성하고 있으며, 각 중심은 통로에 의해 연결된다. 다중심형은 건물전체가 다중공간을 에워싸는 ‘주위를 확정짓는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전체윤곽에 따라 부정형과 격자형, 상자형으로 나타난다. 3) 축형 : 중심을 한 점에 고정시킬 수 없을 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형으로, 긴 통로에 의해 중심축을 형성하여 두 개의 공간적 중심(void적 중심)을 연결하는 평면으로 나타난다. 이때, 통로는 두 영역을 연결하는 방향성을 가지며, H형의 구성형태를 가진다. 이상의 작품분석을 통해 건축공간은 어떠한 지배적인 힘, 즉 중심에 의해 단일중심형, 다중심형, 축형 크게 세 가지로 나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세 가지 유형은 중심을 에워싸는 정도에 따라 ㄱ자형, ㄷ자형, ㅁ자형, 一자형, 부정형, 격자형, 상자형, H형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나열되며, 내·외부 영역의 역학적인 관계에 의해 방향성(구심성, 편심성, 원심성, 축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국, 이러한 공간구성 형태들은 공간을 중심화하려는 경향에서 비롯되었으며, 점차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중심성을 형성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Housing is very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out of many different architectural types so that it shows economical, social, and cultural factors as a form of space. Therefore, the study of centrality of spatial composition in Korean contemporary private houses is a significant topic considering fundamentals of building houses and what is a good house to live in. However, existing study is based on historical meaning or intention of architect other than architecture itself or focused on architecture partially other than overall structure. It limits the understanding methods of architectural design. To fully understand methods, current study is focused on the centrality of spatial composition in Korean contemporary private houses in 21st century. The subject of study is selected from architectural magazine, called SPACE, and 15 designs that won the competition held by Korean Institute of Architects from 2011 to 2014. Since selected 15 designs are well made considering centrality and form of architecture, they are possibly categorized to figure out modeling mode and purpose of design. This thesis categorizes centrality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which are mostly shown centrality in forms of architecture – single-centered, multi-centered, and axial. The form of architecture has various ways of assembling by dynamical relationship which balances from partial to overall structure of houses. It is shown as archetype. To understand architecture of Korean private houses, centrality of spatial composition in Korean contemporary private houses. The below is a result. 1) Single-centered : To unite areal units, overall architectural structure forms one areal center by yard. Single-centered shows various properties such as centripetalism, efference and eccentric by form, size, and position of yard. Depending on the degree of enclosure, outer appearance can vary – ㄱ-shaped, ㄷ-shaped, ㅁ-shaped, and ㅡ-shaped. 2) Multi-centered : There are multiple centers formed which do not have hierarchy on space, and all centers are connected by a path. Multi-centered is that multiple areas are enclosed by one building and there are indeterminate forms, grid patterns, and box forms by overall outline. 3) Axial : This type is generally used when the center cannot be fixed at one point. Central axis is formed by a long path and connect centers in two different space. This path has directional property that connects two different area and is H-shaped. From results above, the form of architecture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 single-centered, multi-centered, and axial. These three types are categorized by degree of enclosure - ㄱ-shaped, ㄷ-shaped, ㅁ-shaped, and ㅡ-shaped, indeterminate forms, grid patterns, box forms, and H-shaped. By dynamical relationship between interior and exterior area, it also has centripetalism, efference and eccentric property. Finally, this form of architecture is from centration of spaces and it is getting more complicated and varied.

      • 公共圖書館의 利用者 行態分析에 의한 空間構成 類型에 關한 硏究

        김정희 弘益大學校 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공공도서관은 이용자별 다양한 학습기회의 제공, 지역주민의 상호교류·집회 등의 움직임을 포함하여, 지역의 거주환경수준, 특히 문화생활기능수준의 향상에 대한 요청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단순히 도서나 정보를 수집 정리하여 수요자들에게 제공하는 전통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고도의 전문적 연구·분석기능, 평생학습의 장으로서의 교육적 기능, 새로운 지식과 정보의 창출, 개발 등 다양한 역할의 수행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그리고 시설용지의 효과적 이용과 관리운용의 합리화 등의 과제가 부상되면서 다양한 기능을 포함한 공공도서관이 계획되어져 왔으며 또한 계획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다양한 기능이 복합되어 있는 공공도서관의 특성과 경향을 파악하고 “서로 다른 기능의 공간들이 이용자측면에서 어떻게 유기적으로 구성되어 있는가”와 “교육관련기능과 타 기능들과의 연계성 및 공간구성형태는 어떠한가”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공도서관의 공간구성형태와 특성을 교육 관련기능을 중심으로 유형을 분석, 정리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서울시의 공공도서관 30개관을 선정하여 공공도서관의 다양한 기능 중 교육관련기능을 중심으로 각각의 시설현황 및 개요를 도면을 통해 살펴보았고, 교육관련기능과 타 기능과의 공간구성형태를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조사대상별 시설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동선체계 및 공간구성에 대한 만족도를 검토하고 도출된 결과를 가지고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유형을 분류하였다. 한편 본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을 밝히고, 연구의 방법 및 진행과정을 논한다. 2장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일반적 사항을 고찰하는데 우선 공공 도서관의 개념 및 시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복합기능의 공공도서관 설치조건과 설치지역의 도시적 특성을 파악한다 3장에서는 서울시 30개 공공도서관을 조사대상으로 설정하여 각 공공도서관의 일반적 현황을 조사하고 공공도서관의 공간 구성형태를 분류함에 있어서 분류될 수 있는 기준을 설정, 설정된 기준에 의해 나타나는 유형들을 국외사례와 조사대상 공공도서관에 적용하여 유형별 특성을 분석한다. 4장에서는 3장에서 분석한 결과를 가지고 조사대상 공공도서관의 이용형태를 조사 및 분석하여 유형과 이용형태와의 상관성을 살펴본다. 5장에서는 4장의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결과로 공공도서관의 복합화에 따른 교육기능의 공간구성에 대하여 종합 고찰한다. 이상의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복합기능의 공공도서관 설치이유와 도시적 조건을 검토한 결과, 설치이유는 “지역에 대한 커뮤니티 형성의 기대”와 “용지취득관련 등의 물적 및 재정적 조건”이 그 중심이었고 도시적 조건은 “인구 조밀지구”이거나 “택지 개발지구” “신도시 개발지구”에 설치되는 경향이 있다. 둘째, 공공도서관의 분석기준에 의해 유형을 분석한 결과, 분석대상 공공도서관 모두 건물일체에 의해 교육기능이 구성되어 있고 건물이 일체화되어 있는 사례들은 “관리운영의 공동화”와 “공간의 공동 이용”측면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평가됨을 알 수 있다. 또한 합리적인 관리 운영을 위해 73.4%에 해당하는 도서관들이 입구를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고 내부동선의 경우는 기능적으로 관련성이 적은 공간에서 동선이 분리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셋째, 공공도서관의 교육기능과 타 기능과의 공간상호 위치관계에 의한 분석결과, 상호간 공용공간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상호 이용자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조사대상 공공도서관의 결합형태로는 혼합형(66.7%)이 수직결합형(20%), 수평결합형(13.3%)보다 많음을 알수 있다. 또한 수직결합형은 대부분 주기능 공간에 세부기능이 포함되어 구성되어 있으며 혼합형은 공용공간을 중심으로 구성되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분석기준에 의해 분류하여 정리하면 분석대상 공공도서관의 46.7%에 해당하는 도서관들이 TYPE 7(A3-B2-Cl:건물일체-혼합형-입구공통-내부동선분리)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넷째, 공공도서관의 유형별 이용자에 대한 만족도를 검토한 결과, TYPE 3 (A l-B2-C3;수직결합, 입구공통, 동선일체) 인 경우 상호이용자수가, TYPE 6 (A3-Bl-C1;혼합형, 입구분리, 동선분리) 인 경우 단독이용자수가 많게 나타났으며 상호이용자수의 감소 원인은 이용동선이 분리되어 있어 상호공간이용이 불리하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본 연구를 통해서 파악된 내용을 정리해 보았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의 이용자 이용행태에 의한 공간구성상의 특성을 교육 관련기능을 중심으로 보다 세밀히 분석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으로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공공도서관의 유형을 분석·분류함은 어떠한 유형이 가장 바람직한가를 밝히기 보다는 현대의 이용자 요구에 따른 변화 양상이 어떻게 나타나며 각 유형별 세부적 특징을 살펴보기 위한 기초적 자료로서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그러나 본 연구는 연구대상을 서울시로 그 범위를 한정함과 공공도서관 공간을 포괄적으로 다룸에 있어서 세부적인 요소까지 명확히 파악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음을 밝히며 향후 이러한 부분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ccording to society changing fast, human life is changing in the direction of comolexity and variety, the middle class and multiple structure have been generated in relation between architecture and function. Accordingly, considering the analyed elements of the main floor space planning and relation of the factors in space planning of Seoul's public libraries. The Public Library is variety of function is abstracted to the plan for Space Composition Form from future public library , analysis of "This point of user, how to composition is the space of different function" and " How to is the connection between the educational function and the other function, complexity of space." The study methods are as follows. The 1th Chap. specifies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sets up the scope. The 2th Chap. synthesizes documentary records and opinions about the concept and the function of a public library. From those, the purpose of the study is produced. In addition, analyzes the change of the existing public libraries through case studies. And the study on the allocation of public social miexed-use facilities of public library in urban areas and the classification of those by an operation collaboration. The 3th Chap. static and data based research with affective factor such as density, space form, internal organizations and circulation. it is to clarify and classify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library in more specific and classified way. It also classified the characteristics of a public library by types according to local characteristics. The 4th Chap. analysis of internal spatial organization of the public library has been engaged. To develop more effective classification and research the typology of public library. The 5th Chap. approach of understanding the main theme of this research is dicussed to finalize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With above distinctive themes and the research, the typology of public library in seoul city, At the first, the research shows that the public library is 8 type, and high in typology of "TYPE 7 (A3-B2-Cl)". Secondary, There appears public library, such as in the satisfaction of the One-Function-User is high in "TYPE 3 (Al-B2-C3)", in the satisfaction over the Two-Function-User is high in "TYPE 6 (A3-Bl-Cl)" The foregoing are main substance in the study. But it goes with a limits. Therefore, I think that study will be must continued which can up-grade.

      • 공간의 조직관계를 통해 본 브랜드 자동차 전시관의 공간구성체계 연구

        조대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평면적, 중립적 전시공간을 지닌 종합전시관의 공간에 대한 문제제기에서 시작되었다. 최근 전시공간은 자동차, 미디어, 건축, 가구 전시관과 같이 공간을 활용하는 입체 전시물을 통해 전시공간을 구성하는 전문 전시관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는 전문전시관에서 나타나는 새로운 유형의 전시공간 구성체계를 규명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자동차 전시관에서 공간은 단순히 전시물을 강조하기 위한 중립적 배경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이때의 공간은 장(Field) 형성을 통해 전시물과 공간성을 모두 표현하는 장치이다. 평면적으로 이동하고 회화적 관점에서 전시를 감상하는 일반 전시공간과는 다르게 자동차 전시관은 입체적으로 이동하고 공간적 관점에서 감상하는 전시공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00년대 중반이후 새로운 전시공간으로 주목받고 있는 자동차 전시공간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전시공간의 입체성과 표현성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전시관의 공간을 4가지 공간구성요소와 이것이 결합된 3가지 공간조직을 통해 관찰하였다. 4가지 공간구성요소에는 주변맥락에 대응하여 전체 공간의 영역을 규정하는 1) 공간틀, 내부 공간의 성격을 결정짓고 전시공간을 표현하는 2) 공간오브제, 전시공간에서 관람자의 미세한 흐름을 제어하는 3) 전시배치방식 그리고 이를 통해 흐름선(線)으로 나타나는 4) 관람동선형식이 있다. 3가지 공간조직에는 공간 속에서 층을 형성하는 1) 켜조직, 통합된 공간 속에서 특정 방향으로 나선형 흐름을 만드는 2) 나선조직, 마찬가지로 통합된 공간 속에서 공간의 장(Field)를 통해 서술적 흐름을 만들어내는 3) 선(線)형 조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각 전시관마다 다르게 나타나는 전시공간요소와 공간조직을 종합하여 시대별로 나열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 자동차 전시관의 시대별 경향 분석을 통해 방향성을 예측하였다. 그 결과 자동차 전시관은 공간 볼륨의 사이공간을 통해 흐름의 영역을 생성하는 공간으로 변화 하고 있고, 이를 통해 입체적 전시배치와 연출적 전시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공간의 선형성을 바탕으로 단순한 배경으로서의 전시공간이 아닌 도입․전환․가속․절정․결말을 지닌, 즉, ‘공간 이야기’가 명확한 서술적 전시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자동차 전시관은 2차원 흐름을 나타내는 켜 조직에서 1차원 흐름을 나타내는 선형조직으로 변화 하면서 역설적으로 더 큰 입체적 공간효과를 나타내게 되었다. 이것은 1차원의 선형흐름이 3차원의 입체 공간을 표현하기에 더욱 적합한 표현방식이기 때문이다. 통합된 3차원 공간에 2차원의 켜조직이 형성될 경우 관람자는 급작스럽게 늘어난 자율성 때문에 방향성을 잃게 된다. 하지만 통합된 3차원 공간에 공간을 표현할 수 있는 서술적 요소인 볼륨을 배치하면 공간의 조직관계를 통해 형성된 1차원의 흐름선이 공간을 이끌어 나가며 보다 다층적이고 서술적인 공간을 경험할 수 있게 한다. 이처럼 자동차 전시관은 공간의 조직관계를 통해 일반 전시공간과는 다른 새로운 공간성을 경험하게 한다. 다시 말해 전문주제를 바탕으로 공간을 활용하는 전시 방법이 늘어남에 따라 전시공간도 이에 맞추어 변화해야 하는 시점에서 자동차 전시관은 실험적 공간을 통해 전시공간의 최신 경향을 이끌고 있다. 자동차 전시관의 입체적 전시공간 조직체계에 대해 분석한 본 연구를 통해 입체적 전시공간을 구성하는 구축 방식이 새롭게 등장하는 전문전시관에 적용되길 기대한다. In this study, I began with presentation of a problem that space of general museum which is planar and neutral. Exhibition space of recent, changes to the professional museum. This makes up the exhibition space using three-dimensional objects such as furniture, ceramic, graphic, media and Automobil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spatial organization of exhibition space system of a new type that displayed in the automobile museum. Space of automobile museum is not intended to be shown as neutral for the exhibition only. This is an element for representing both the spatial properties and exhibits through the formation of “Field” long between the displayed objects. Generally, museum used to have exhibits that are planar and pictorial. But automobile museums, which contains three-dimensional exhibits, makes more variety of movements and space oriented display. Therefore, through the analysis of automobile museums, there is a goal to examine the three-dimensional and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new kind of exhibition space. Automobile museums are constructed with four elements and combined into three compositions. In four elements, there is ‘space frame’ which is formed by outer factors and ‘space object’ which makes inner space. And also there is ‘display arrangement’ which defines onlooker’s flow and the ‘line of flow’ which is made by the other elements. In three compositions, there is ‘layer composition’ which makes layers of exhibits in the space and ‘spiral composition’ which makes continuous spiral flow in the space. For the last, there is ‘linear composition’ which makes sequential flow by making field in exhibition space. In the study, by synthesizing space elements and space compositions, I arranged each characteristics and found age-specific trend in Automobile museums. As a result, display of the vehicle is changing into a space to produce field of flow through the space between the volumes arranged in the exhibition area. Thereby, automobile museums can have dramatic exhibition space and stereoscopic display layout. Futhermore, based on the linearity of the space, museums can have clear and narrative exhibition space. Thus, automobile museum is a good example for the new kind of exhibition space. That is, at the point of the swift in museums which contains three-dimensional exhibits, has to be designed expressive by space volume and narrative flow.

      • 미궁과 미로의 구성원리를 통한 건축적 다이어그램에 관한 연구

        김윤겸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시작은 가치의 다양성 속에서 살아가는 현대인들이 강렬하게 중심을 지향하는 미궁과 같은 존재에 이끌리는 현상에서부터 출발한다. 흔히 미궁이라는 말에서 상상하는 것은 질서나 이성과는 반대되는 혼돈의 극치라는 이미지를 지닌 어떤 공간을 상상하는 게 일반적이다. 현대에서는 위와 같은 의미로 그러한 장소 혹은 상태를 미궁이라 부르는 습관이 정착해 있다. 그러나 뜻밖에도 미궁은 그러한 카오스적 상황과는 전혀 관계가 없는 존재다. 미궁을 지배하고 있는 것은 오히려 수준 높은 계산과 이성과 질서다. 미궁에는 일정한 구성원리가 엄연하게 존재하고 있다. 즉 현대에 이르기까지 미궁이라는 말이 우리에게 계속 부여해온 이미지와는 정반대로, 미궁의 본질은 혼란을 의미하지도 뒤엉킨 통로와 막다른 길을 의미하지도 않는다. 또한 현대에서는 미궁(Labyrinth)과 미로(Maze)의 구분이 없이 미로라는 한단어로 사용되고 있다. 미궁은 미로와 달리 중심에 모든 것을 집중시키는 전체로서 해석되어야 하고, 엄밀한 규칙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미로는 이와 반대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미궁이 아닌 미로가 현대에서 디자인의 도구로서 혹은 지적 유희의 도구로서 관심의 대상이 되는 이유가 본 연구의 출발점이다. 미궁과 미로를 미로라는 한단어로 보면 고전적 미로와 근대적 미로로 구분된다. 고전적 미로의 구성은 간단하고 하나의 길을 따라 계속가면 언젠가 중심에 도달하고, 거기서 뒤돌아 걸으면 다시 밖으로 나오게 된다. 그러나 근대적 미로는 길이 여러 갈래로 갈라져, 매순간 선택을 해야 한다. 시작과 끝이 없는 것을 의미한다. 즉 입구와 출구가 특별히 정해지지 않고 다양하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고전적 미로는 미궁(Labyrinth)으로 근대적 미로는 미로(Maze)와 흡사하다. 이처럼 현대에서는 미궁과 미로에 대한 해석이 다양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혼란스럽기만 한 이러한 미궁과 미로의 올바른 해석을 통해서 본질적 개념을 규정하고 미궁과 미로 속에 내재하고 있는 건축적 기본원리를 도출하고자 한다. 형태 구성에 따른 본질적 개념 파악을 통해 건축 공간의 특성, 구조적 원리 그리고 공간 안에서 동선의 특성이 파악된다. 이러한 건축적 기본원리는 미궁과 미로의 구성원리와 함께 공간배치, 자유로운 경로, 프로그램의 유동성에 대한 건축적 다이어그램 연구에 근거가 된다. 또한 다이어그램 연구는 기존 건축물의 연구를 통해 미로의 현대적 공간 활용을 파악하고 건축적 요소가 적용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다이어그램 실험을 통해서 현대 건축에서 다이어그램이 지니고 있는 특성과 같이 과거 건축이 지니고 있었던 디자인 동기부여의 스케치 역할과 함께 디자인 과정의 한 부분으로서 건축적으로 발전 가능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디자인 실험에서는 본 연구가 미궁과 미로의 본질적 개념 및 구성원리의 파악에 한정되지 않고 현대 건축 공간의 디자인 요소로 적용되는 디자인 방법론을 보여주고자 한다. 디자인 실험을 통해 현대건축의 고밀도이면서 다 기호적 특성을 수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미궁과 미로의 건축적 적용이 그 목적을 두고 있다. The basic of this study is started by a phenomenon, which contemporary people that live in value of the varieties are conducted the existences as maze and labyrinth aim at the center intensively. Ordinarily, to be conceived by the word maze or labyrinth is to imagine a space that has the images, as the culmination of chaos which is contrary to order or logos. The habit which the places or circumstances as is stated above are regarded as labyrinth in contemporary, is firmly established. However, labyrinth is a existence that does not connect with chaotic circumstances. To sway labyrinth is order, logos, consideration. There is a certain compositional principle in a labyrinth. In other words, totally opposite to the image that the word ‘labyrinth’ has provided us until now, the essence of labyrinth does not mean chaos, a complicated path, or a dead-end street. In addition, labyrinth and maze are used as a word without distinguishing, in a different way, labyrinth has to be analyzed as the whole which centralizes all, and it demands on a strict regulation. However, maze has opposite features. The reason why maze becomes an object of interest is the starting point of this study as a resort of design or intellectual pleasure. Labyrinth and maze are distinguished classical maze and modern maze if they are regarded as a word 'maze'. The composition of classical maze is simple as it can be reached the center if it is walked along a way, and it can be returned to the beginning at the same way before. However, modern maze, which is divided into several ways, should choose every time. It means that there is no way from the start to the finish, or it is varied without defining an entrance or exit. Classical maze which is spoken above, is similar to labyrinth, and modern maze is similar to maze, in this way, there are varied analyses about labyrinth and maze in contemporary society. Accordingly, this study defines the essential meaning by analyzing labyrinth and maze, and then it deduces architectural basic principles which exist in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space, structural principle, and characteristics of circulation grasp by analyzing the essential meaning according to foaming a composition. Thus, the compositional principles of labyrinth and maze, arrangement of space, free path, and fluidity of program are based the study of architectural diagram on the architectural basic principles. Moreover, the study of diagram grasps modernistic spatial application through studying of existing architecture and examine whether architectural elements are applied or not. According to the diagram experiment, it will provide possibilities of architectural extension with the sketch role of design motivation, which architecture in the past has had like the characteristics of diagram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s a part of the design process. Finally, this study in the design experiment is shown by a design methodology, which is applied as a design element of modern architectural space, without becoming limit that is compositional principle and essential meaning of labyrinth and maze. The architectural application of labyrinth and maze as a method, which is able to admit massed and multi-symbolic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s purposed through the experiment.

      • 리듬선형 공간 수평부가 구성방식 연구 : 다니엘 리베스킨트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과 르 꼬르뷔지에 빌라 라로슈 공간 구성방식 비교를 중심으로

        송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nalyzes the strategic space composition method used by Daniel Libeskind 's representative work, the Berlin Jewish Museum. For the objectivity of analysis contents, visualization through drawings, not concept analysis, will sequentially display all the spaces that are composed, and will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by using text. In order to effectively explain the unique design strategy of Daniel Libeskind, we compare the Villa La Roche of Le Corbusier, which is judged to be similar to his spatial composition method, and analyze it in the same order as the analysis of the Berlin Jewish museum. 본 연구는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대표작품인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을 대상으로 그가 사용하고 있는 전략적 공간구성방식을 분석한다. 분석내용의 객관성을 위해 개념분석이 아닌 도면을 통한 시각적 분석으로 모든 공간이 구성되어가는 모습을 순차적으로 보여주고 텍스트를 사용하여 해당내용의 이해도를 높일 것이다. 또한 다니엘 리베스킨트의 독특한 설계전략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그의 공간구성방법과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르 꼬르뷔지에의 빌라 라로슈를 비교대상으로 선정하여 베를린 유대인 박물관 분석법과 같은 순서로 분석을 진행한다.

      • 렘 쿨하스와 베르나르 츄미 건축의 프로그램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에 관한 연구

        곽재영 건국대학교 건축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프로그램은 모든 건축이 담고 있는 필수적인 요소인 동시에 건축이 다른 조형예술과 구별될 수 있게 한다. 근대건축에서 기능과 형태의 관계에 주목하면서 기능주의의 문제점이 부각되었던 반면, 그러나 현대건축에서는 기능의 문제를 프로그램으로 해석, 설계개념화 과정의 요소로 적용하여 현대건축에 긍정적으로 끌어드리는 시도와 제안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현대도시의 변화와 인간의 행위에 중심을 두고 이를 프로그램으로 반영하여 새로운 건축 유형을 만들어가는 두 건축가 렘 쿨하스와 베르나르 츄미를 대상으로 한다. 이 두 건축가는 프로그램을 건축어휘로 사용하는 특징을 보이지만 서로 다른 프로그램 해석과 그에 따른 공간 구성 방법은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프로그램을 건축어휘로 사용하는 두 건축가의 프로그램 조직과 그에 따른 공간구성방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건축가의 프로그램 조직과 공간구성 방법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으며, 이의 분석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프로그램의 조직방법을 비교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렘 쿨하스는 도시적 관점으로 현대도시를 해석하며 마천루라는 매체를 통해 불안정하고 예측 불가능한 행위의 조합을 수용하며, 불확정 개념으로 통합된 프로그램으로 계획한 후 단절하는 관계로 조작하여 행위에 대해 변화 가능성과 수용에 대한 재해석을 한다. 반면 베르나르 츄미는 맨하탄에서 일어나는 인간의 행위에 집중하여, 행위가 달라짐으로써 건축공간과 분리된 독자성을 지닌 일시적 프로그램으로써, 이러한 변화를 수용하는 방법으로 전체와 무관한 부분으로 파편화 된 이벤트로서 해석한다. 다음으로 두 건축가의 공간구성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렘 쿨하스는 수직적 관계에 중점을 두어 공간을 구성하는 반면, 베르나르 츄미는 평면적 관계에 중점을 두는 건축적 사고 방식을 보인다. 둘째, 렘 쿨하스는 연속된 경로로 동선부분과 중심활동 부분이 통합하는 동선을 사용하는 반면, 베르나르 츄미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통해 동선부분에 중심활동 부분을 중첩시켰다. 셋째, 구조에 있어서 렘 쿨하스는 프로그램 개념 구현 수단으로 반중력적 형태를 띄고, 더 나아가 움직이며 변화하는 건축물의 형태를 보여주는 반면, 베르나르 츄미는 과도한 구조체로 표현하여 실제로 움직이지 않으나 기계의 동적인 이미지로써 프로그램의 개념 구현 수단으로 표현했다. 넷째, 공간구성에서 가구의 특성을 살펴보면 렘 쿨하스는 구조와 가구를 통합하여 가변적 특성으로 사용하는 반면, 베르나르 츄미의 가구적 특성은 소극적이며 크게 특성으로 부각되지 않는 점이다. 이상으로 두 건축가의 방법론을 비교분석 함으로써, 현대사회에서의 다양한 흐름과 변화와 인간의 행위를 수용하고, 고정적이지 않으며 변화 가능성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공간을 계획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진다. A program is what can differentiate architecture from other plastic arts, and at the same time, is an essential element which all architectures have. While in modern architec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and form gained attention and the problems of functionalism were magnified, but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functional issues are interpreted in the program and applied as the procedural element of design conceptualization with positive attraction in its attempt and suggestion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 this study, changes in contemporary city and human behaviors are placed in the center and reflected into the program with two architects, Rem Koolhaas and Bernard Tschumi, making the unprecedented architectural pattern, as the object. These two architects are characterized by using a program as the lexicon of architecture, but they show different aspects in program interpretation and its associated spatial composition method. By comparative analysis about program organiz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method of two architects using a program as the lexicon of architecture, the description of program organiz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method of two architects was observed, and the analysis of details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following is the comparative analysis about the method of program organization. Rem Koolhaas interprets contemporary city from the urban perspective and accepts the combination of unstable and unpredictable behaviors through skyscraper as the medium while the program integrated with the undecided concept is planned and then the potential for change about the behavior and re-interpretation about acceptance are performed with manipulation for discontinuity in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Bernard Tschumi focuses on human behaviors seen in Manhattan, and as temporary program with independence separated from architectural space by behavioral change, he interprets as the event fragmented into parts irrelevant to the whole for the method accepting these changes. The following is the spatial composition method of two architects. Firstly, while Rem Koolhaas composes space with emphasis on a vertical relation, Bernard Tschumi shows the architectural way of thinking with emphasis on a flat relation. Secondly, while Rem Koolhaas uses the combined line of flow of the line of flow and central activity parts as a continuous path, Bernard Tschumi overlapped central activity part with the line of flow through user's motion. Thirdly, while in structure Rem Koolhaas showed a form of architecture which is further in motion and transformation as well as a form of anti-gravity as a way of implementing a program concept, Bernard Tschumi expressed an excessive structure and a way of implementing a program concept as the dynamic image of a machine, but not moving in practice. Fourthly, regarding the nature of furniture in spatial composition, the characteristics of furniture of Bernard Tschumi are not largely magnified as its nature and passive, while Rem Koolhaas integrates structure with furniture and uses as a variable attribute. In the above wit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wo architects' methodologies, the diverse trends, changes, and human behaviors in modern society are accepted and the possibility with planning of space being flexible in responding to the potential of change with no steadiness is maintai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