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 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및 골밀도에 관한 연구

        원인숙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830

        Purpose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the level of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and bone mineral density of adult women and to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these variables. Ultimate goal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effective osteoporosis prevention program. Method :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adult women over 18 years of age or older. The date were collected using osteoporosis Quiz, (Ailinger, Howard, & Braun, 2003), Osteoporosis self-efficacy scale (Horan, Kim, Gendler, Froman & Patel, 1998), Osteoporosis health promoting behaviors scale (Eunjoo Youn, 2001). The Data on bone mineral density(BMD) was obtained from the subject's medical record. For BMD, the mean of T-scores between L1 and L4 of the spinal column was retrived. The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with SPSS WIN 14.0 .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Subjects'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Correlations among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and bone density were analyzed by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The differences of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by subject's characteristics were compared using t-test or ANOVA. Also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were examined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mean age of the subjects(N=312) was 43.4(±9.67) and 91% were married. About 70% had menarche at the age of 14 to 16, 76.3% were not menopaused, 68.9% had given 1 to 2 childbirth. The mean scores(SD) of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 were 13.2(3.09), 77.6(22.32), 47.1(6.75) respectively. With regard to bone mineral density, 13 subjects (4.2%) showed bone loss and the mean T-score was -1.780. One subject(0.3%) had osteoporosis wth T-score of -2.950. The knowledge of osteoporosis and self-efficacy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r=.290, p<.001). Also self-efficacy and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r=.426, p<.001). When compared by characteristics of subjects, the mean score of osteoporosis knowledge of osteoporosis differ by age (t=4.055, p<.05), osteoporosis education (t=2.135, p<.05)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age, history of fracture, osteoporosis education, number of medication, and number of chronic disease were entered into regression model and these variables explained 24.7% variance of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 and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01) Conclusion : 1)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 on osteoporosis including strategies to correct some misunderstandings such as risk factors, recommended daily allowance, calcium sources, effect of hormone-therapy on post-menopausal women, and possible treatment after onset of osteoporosis. 2) Self-efficacy on exercise found to be lower than that on calcium-intake. Henc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xercise educational program would be required to increase the self-efficacy on exercise. 3) To promote the practice of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s, nursing intervention is needed with provision of useful information and advice on the diet to prevent osteoporosis from their earlier life. Tailored educational intervention is also necessary to increase osteoporosis knowledge, self-efficacy, and this eventually can enhance them to practice the health promoting behaviors. 본 연구는 성인 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정도를 파악하고 골밀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여 효과적인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자료 수집은 서울 및 대전 소재의 E종합병원과 제주 소재의 J병원에서 종합검진을 시행하는 18세 이상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다공증 지식은 Ailinger, Howard, & Braun (2003)이 개발한 도구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자기효능감 측정 도구는 Horan, Kim, Gendler, Froman & Patel (1998)이 개발한 것으로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였고, 골다공증 예방 건강증진행위 측정은 윤은주(2001)가 개발한 골다공증 예방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골밀도는 Lunar사의 PRODIGY Advance(2006년) 장비를 이용하여 요추 L1-L4사이의 T-score 평균치를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전산 통계 처리하였으며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정도, 골밀도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다. 대상자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과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정도, 골 밀도와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다공증 지식, 자기효능감,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t-test, ANOVA를 이용하여 차이를 분석 및 사후분석 하였다.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회귀분석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령은 평균 43.4(±9.67)세였고 기혼이 91%였다. 초경연령은 14세에서 16세사이가 70%로 가장 많았으며, 폐경 유무 및 시기에서는 대상자의 연령이 대체로 낮아 폐경 안됨이 76.3%였고, 출산횟수로는 1-2회가 68.9%로 많았다. 골다공증 지식은 평균 13.2(3.09)점이었고, 자기효능감의 평균은 77.6(22.32)점, 건강증진행위의 평균은 47.1 (6.75)점이었다. 골밀도 분석에서 골감소증 소견을 보이는 대상자가 13명(4.2%)으로 T-score의 평균은 -1.780이었고, 골다공증 소견을 보이는 대상자는 1명(0.3%), T-score는 -2.950(.0)이었다. 골다공증 지식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r=.290, p<.001)와, 자기효능감과 건강증진행위와의 상관관계에서(r=.426, p<.001)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골다공증 지식 정도에서는 나이(t=4.055, p<.05)와 골다공증 교육(t=2.135, p<.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24.7%설명력을 나타났다(p=<.001). 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은 낮은 편이었고 대상자들이 그릇된 인식을 가지고 있었던 저체중과 골다공증의 발생, 우유의 칼슘함유량에 따른 일일 섭취량, 폐경 이후에 호르몬 치료효과, 가족력과 골다공증의 발병요인 관련성, 골다공증 발병 이후의 치료 가능성에 관한 지식을 중심으로 교육하여야 하며,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골다공증에 관한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겠다. 골다공증 자기효능감에서는 특히 운동 수행 자기효능감이 칼슘섭취 자기효능감보다 낮아, 적극적으로 운동-건강증진행위를 도모하는 교육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또한 골다공증이 발생하기 전에 대상자 교육을 통하여 지식수준을 높여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식이를 할 수 있도록 돕는 간호 중재와 자기효능감을 증진시켜 건강증진행위의 실천을 도모해야 하겠다.

      • 여대생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민혜진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2447

        본 연구는 성인 초기에 해당되는 여대생이 올바른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도록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건강증진행위를 파악하고 성인 중·후반기 즉 폐경기에 골다공증 예방을 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D시 소재의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다공증 지식은 Ailinger, Howard, & Braun(2003)이 개발한 도구 골다공증 지식 측정도구 Osteoprosis Quiz를 한국어로 번역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골다공증 건강신념은 Kim, Horan & Gendler (1991)가 개발한 골다공증에 대한 건강신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골다공증 건강증진행위는 윤은주(2001)가 개발한 골다공증 예방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 특성 및 골다공증 관련 대상자 특성,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건강증진행위의 점수분포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는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하였다. 대상자특성에 따른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t-test 또는 ANOVA를 이용하여 차이를 분석 및 사후분석 하였다.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여대생의 평균 연령은 20.1세이고, 전공학과에 따라 보건계열이 34.1%, 비보건계열이 65.9%로 나타났다. 다이어트 경험이 70.7%였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있다고 대답한 대상자가 92.4%로 나타났다. 골다공증 관련 대상자 특성은 골다공증 정보를 TV, 라디오, 인터넷에서 48.4%가 들었다고 답하였다. 가족 중에 골다공증 진단을 받았다고 15.0%가 대답하였다. 골다공증에 관한 지식은 평균 12.7(3.81)점이었으며, 대상자 일반적 특성 중 전공학과 (t=6.904, p<.001), 골다공증 정보여부 (t=3.525, p<.001), 교육경험여부 (t=3.986, p<.001), 가족 중 골다공증 진단 여부(t=2.058, p=.040), 건강에 관심여부(t=.3986, p=.046)는 골다공증 지식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건강신념은 총점 120점에 평균 90.0(12.66)점으로 나타났다. 건강에 관심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t=.383, p<.001). 건강증진행위는 총점 68점에 평균 40.7(6.98)점으로 나타났고, 대상자의 특성 중 가족 중 골다공증 진단 여부(t=2.068, p=.039), 건강에 관심 여부(t=2.674, p=.008)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골다공증 지식과 건강신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323, p<.001). 건강신념의 하부영역인 지각된 유익성(r=.309, p<.001), 지각된 장애성(r=.206, p<.001)과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골다공증 지식과 건강증진행위(식이)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r=.136, p=.016). 건강신념과 건강증진행위의 상관관계는 기호식품(r=.113, p=.045), 운동(r=.163, p=.004)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나 (F=4.420, P<.001), 6.7%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나 설명력은 낮았다. 건강증진행위 실천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건강신념의 하부영역인 지각된 장애성이 주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여대생의 골 건강의 유지 및 증진을 위해 올바른 식이습관, 규칙적인 운동의 중요성을 거듭 인식시켜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건강증진행위를 실천하도록 해야겠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descriptive research in the knowledge of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initial stage of adulthood on osteoporosis, their health belief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an effort to guide their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the right direction. And it's also mean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in the middle and late stages of adulthood, namely the menopaus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female students at a college located in the city of D. The inventory used to evaluate their knowledge of osteoporosis was a Korean version of Ailinger, Howard & Braun(2003)'s Osteoporosis Quiz, and Kim, Horan & Gendler(1991)'s Osteoporosis Health Belief Inventory was employed to assess their osteoporosis health belief. And Yoon Eun-joo(2001)'s Health Promotion Inventory for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was utilized to evaluate their osteoporosis-related health promotion behavior. Method :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PASW 18.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ere obtained to find out their osteoporosis-related characteristics, knowledge of it, health belief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tilized to look for connections among their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Beside, t-test or ANOVA was carried out to grasp the relationship of their characteristics to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on behavior.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female college students, they were at the average age of 20.1. By major, 34.1 percent were health- related majors, and 65.9 percent majored in health-unrelated departments. 70.0 percent ever were on a diet, and 92.4 percent were interested in health. Concerning osteoporosis-related characteristics, 48.4 percent heard about that from TV, radio or the Internet. 15.0 percent had family members who were diagnosed with osteoporosis. They got a mean of 12.7(3.81) in osteoporosis knowledge,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at aspec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volving major(t=6.904, p<.001), osteoporosis information acquisition(t=3.525, p<.0010, educational experiences(t=3.986, p<.001), whether to have a family member who was diagnosed with osteoporosis(t=2.058, p=.040) and health interest(t=.3986, p=.046). They got a mean of 90.9(12.66) out of possible 120 points in health belief, and whether they were interested in health or not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t=.383, p<.001). In health promotion behavior, they got a mean of 40.7(6.98) out of possible 68 points, a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gaps in that aspect according to two general characteristics: whether to have a family member who was diagnosed with osteoporosis(t=2.068, p=.039), and health interest(t=2.674, p-.008).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belief(r=.323, p<.001), and the former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to perceived usefulness(r=.309, p<.001) and perceived obstacle(r=.206, p<.001), which were subfactors of health belief. In addition,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diet behavior) (r=.136, p=.016). As to the correlation between health belief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health belief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to favorite food(r=.113, p=.045) and exercise(r=.163, p=.004). According to the regression model, some factor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health promotion behavior(F=4.420, p<.001), but they made just a 6.7% prediction of it. The factor that exercised the most influence on health promotion behavior was perceived obstacle. In conclusion, female college students should be taught to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right dietary habits and regular workout as a way to maintain or promote the health of their bones so that they could try to promote their health to prevent osteoporosis.

      • 노년여성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이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

        정수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446

        본 연구는 노년여성들의 골다공증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이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경기도 O시 지역사회에 거주하면서 M노인대학과 S교회, O교회, P교회에 다니는 독립적인 일상생활수행능력(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이 가능한 65세 이상의 노년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골다공증 지식은 Ailinger, Howard와 Braun(2003)이 개발한 골다공증 지식 측정도구(Osteoporosis Quiz)로 측정하였다. 골다공증 건강신념은 Kim, Horan과 Gendler(1991)가 개발한 골다공증에 대한 건강신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골다공증 자기효능감은 Kim 등(1991)이 개발한 골다공증 자기효능감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골다공증 예방행위는 윤은주(2001)가 개발한 골다공증 건강증진행위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특성 및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 예방행위의 점수분포는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는 독립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과 골다공증 예방행위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로 분석하였고,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은 다중회귀분석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대상자의 특성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골다공증 관련 특성, 여성 건강관련 특성으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연령은 평균 72.8세이었고 체중은 평균 56.8kg이었으며, 배우자가 생존한 경우가 58.3%를 차지했다. 대상자의 골다공증 관련 특성으로 골절을 경험한 대상자가 31.3%였으며, 골다공증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25.2%로 나타났다. 가족(어머니, 외할머니 등) 중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는 15.7%를 차지했다. 대상자의 여성 건강관련 특성으로 체질량지수(BMI)는 평균 23.3kg/m²이었으며 정상범위가 대다수를 차지했고, 폐경연령은 45-49세가 가장 많았으며, 자연폐경이 대다수를 차지했다. 출산횟수는 1-2회가 가장 많았고, 모유수유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가 대다수를 차지했으며, 경구 피임약을 복용한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28.7%로 나타났다. 치료를 목적으로 지속적으로 복용하는 약물이 있다고 응답한 대상자는 47.0%이었고, 동반질환이 있는 대상자는 63.5%로 나타났다. 2. 골다공증 지식은 총 20점 만점에 평균 12.7점이었으며, 모유수유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 점수(13.0점)가 경험이 없는 대상자(10.7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건강신념은 총 120점 만점에 평균 88.7점으로 나타났고, 자기효능감은 총 60점 만점에 평균 38.6점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 예방행위는 총 68점 만점에 평균 49.5점이었고, 가족(어머니, 외할머니 등) 중 골다공증으로 진단받은 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예방행위 점수(53.0점)가 경험이 없는 대상자(49.0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3.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골다공증 지식은 건강신념과 유의한 관계는 없으나, 지식과 자기효능감, 건강신념과 자기효능감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즉 골다공증 지식이 높을수록, 골다공증 건강신념이 높을수록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과 예방행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은 골다공증 예방행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 정도가 높을수록 골다공증 예방행위 정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대상자의 골다공증 예방행위 실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독립변수로 모유수유경험, 골다공증 진단경험, 지식, 건강신념의 하위영역인 지각된 유익성과 장애성,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운동과 칼슘섭취 총 7가지 변수를 회귀분석에 투입하였다.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면 설명력(R2)은 35.0%였으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골다공증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칼슘섭취는 유의한 차이가 있고,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노년여성의 골다공증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이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노년여성의 골다공증 예방행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칼슘섭취이었다. 따라서 골다공증에 취약한 노년여성의 골다공증 예방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지식, 건강신념,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이 필요하겠다. 노년여성의 부족한 지식을 강화하고, 적절한 체중부하운동과 칼슘섭취 및 기호식품제한 등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행위가 노년기 여성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a descriptive research the effect of the knowledge, health beliefs and self efficacy on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s among old-aged wom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ld-aged women who were independent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t M college for the elderly, S church, O church and P church located in the city of O in Gyeonggi-do. The inventory used to evaluate their knowledge of osteoporosis was an Ailinger, Howard, & Braun(2003)'s Osteoporosis Quiz, and Kim, Horan & Gendler(1991)'s Osteoporosis Health Belief Inventory was employed to assess their osteoporosis health beliefs. Kim, et al.(1991)'s Osteoporosis Self Efficacy Inventory was employed to assess their osteoporosis self efficacy. And Yoon Eun-joo(2001)'s Health Promotion Inventory for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was utilized to evaluate their preventive health behavior of osteoporosis. Method :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a SPSS 18.0 program. Statistical data on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obtained to find out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Demographic characteristics, Osteoporosis-related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female), knowledge of osteoporosis, health belief, self efficacy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T-test or one way ANOVA was carried out to grasp the relationship among their characteristics to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self efficacy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Besid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utilized to look for connections among their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self efficacy and preventive health behavior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preventive health behavior. Results :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nalyzed as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steoporosis-related characteristics,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femal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as follows: average age was 72.8, average weight was 56.8kg and existence of spouse occupied 58.3%. As for characteristics related to subject’s osteoporosis, those who fractured accounted for 31.3%, and 25.2% of the subjects received an osteoporosis education. Among the family members(mother, and maternal grandmother), 15.7% of the response were diagnosed as osteoporosis. As the fema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subject’s health, average BMI(body mass index, BMI) was 23.3kg/m² therefore majority of subject took up major range. 45∼49 took up the majority of menopausal age and the cause of menopause was mostly explained by natural menopause. The number of birth was mainly 1∼2, among the subjects, those who experienced breast-feeding took up major range and among 28.7% of who took an oral contraceptive pill. 47.0%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took medication for medical therapies continuously, 63.5% of the respondents with diseases. 2. The knowledge related to osteoporosis recorded 12.7 as average on the basis of a 20-point scale. The osteoporosis knowledge scores(13.0) of the respondents who experienced breast feedin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experienced. The health belief recorded 88.7 in average on the basis of 120-point scale and self efficacy recorded 38.6 in average on the basis of 60-point scale. The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 recorded 49.5 in average on the basis of 68-point scale and the preventive health behavior score(53.0) of the respondents who had their family members(mother, maternal grandmother etc) who are diagnosed as osteoporosis(53.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non-experienced(49.0). 3. When examining the correlation among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 efficacy, ther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steoporosis knowledge and health belief but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knowledge and self efficacy, health belief and self efficacy. Therefore, when one has the higher osteoporosis knowledge and the higher osteoporosis health belief, the higher self-efficacy is shown.. In terms of correlation among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self efficacy and the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 there were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 and knowledge, health belief, self efficacy. Therefore, when one gets the higher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 efficacy, the higher degree of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 is shown. 4. In order to verify the affective factor of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 practice of subject, 7 variants were put into regression analysis which were as follows: experience of breast feeding, osteoporosis family history, knowledge, perceived benefits of health belief, perceived barrier of health belief, exercise and intake of calcium as a sub-domain of self efficacy. When examining the effect of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self efficacy to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 explanation power(R2) recorded 35.0%, and it was confirmed significant. Also intake of calcium as a sub-domain of self efficacy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nd it was shown to be the most effective factor of osteoporosis preventive power. Conclusion : The knowledge, health belief, self efficacy related to osteoporosis of elderly women are verified that those affect osteoporosis preventive health behaviors positively, and the most effective factor of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 was the intake of calcium. Therefore, in order to enhance degree of osteoporosis preventive behavior of elderly women who are vulnerable to osteoporosis, a realistic plan of increasing knowledge, health belief, and self efficacy is needed. Reinforcing old aged women's health knowledge and preventing osteoporosis by proper weight bearing exercise and adequate calcium intake are considered increasing elderly women's quality of life. Keywords: old-aged women, osteoporosis, knowledge, health belief, self efficacy, preventive health behavior

      • 골다공증 여성노인의 골다공증 지식, 운동기대감과 운동자기효능감과의 관계

        박애화 충북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32431

        운동기대감은 총점평균 51.90±5.97점으로, 연령(t=4.98, p<.001), 교육수준(F=8.86, p<.001), 월 소득수준(t=-3.03, p=.003), 동거형태(F=4.96, p=.008), 만성질환(t=-3.53, p=.001), 현재 복용약물(t=-4.17, p<.001), 체질량 지수(χ2=8.73, p=.013), 건강상태(χ2=10.62, p=.005)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자기효능감은 총점평균 47.49±19.69점으로, 연령(t=2.38, p=.019), 월 소득수준 (t=5.96, p=.003), 만성질환(t=-2.03, p=.044), 현재 복용약물(t=-2.36, p=.020)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구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은 운동기대감(r=.491, p<.001)과 운동기대감은 운동자기효능감(r=.403,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골다공증 지식이 높을수록 운동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기대감이 높을수록 운동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연구대상자의 골다공증 지식은 중간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운동기대감은 평균이상 수준으로 나타났다. 운동자기효능감은 연령대와 비교해 중간 이상의 수준을 가지고 있었다. 골다공증 지식이 높을수록, 운동기대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운동기대감이 높을수록, 운동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골다공증 여성노인들에게 골다공증 지식 수준과 운동기대감과 운동자기효능감의 관계를 연령과 직업유무를 고려한 신체활동 증진 교육을 통해 추후 간호 중재 프로그램 적용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nowledge of osteoporosis,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and self-efficacy for exercise in elderly women with osteoporosis. Participants were 149 elderly women aged 60 years or older who were diagnosed with osteoporosis. Th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August 20, 2018 and September 22, 2018 using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s. Knowledge of osteoporosis was measured using the Facts on Osteoporosis Quiz developed by Ailinger et al. (2003)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Won (2009).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was measured using the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2 (OEE-2) developed by Resnick (2005)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Jung (2015). Self-efficacy for exercise was measured using a Self-Efficacy for Exercise (SEE) developed by Resnick and Jenkins (2000) and translated into Korean by Jung (2015).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s, ANOVA, Mann-Whitney U, Kruskal-Wallis,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average scores of knowledge of osteoporosis,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and self-efficacy for exercise were 13.61, 51.90, and 47.49, respectively.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knowledge of osteoporosis were observed in terms of age (t=4.94, p<.001), education level (F=28.53, p<.001), household income (t=-4.94, p<.001), type of household (F=5.01, p=.008), comorbidity (t=-3.31, p=.001), medication (t=-2.84, p=.005), alcohol consumption (Ζ=-2.01, p=.044), and perceived health status (χ2=6.80, p=.033). 3.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were observed in terms of age (t=4.98, p<.001), education level (F=8.86, p<.001), household income (t=-3.03, p=.003), type of household (F=4.96, p=.008), comorbidity (t=-3.53, p=.001), medication (t=-4.17, p<.001), body mass index (χ2=8.73, p=.013), and health status (χ2=10.62, p=.005). 4.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efficacy for exercise were observed in terms of age (t=2.38, p=.019), household income (t=5.96, p=.003), comorbidity (t=-2.03, p=.044), and medication (t=-2.36, p=.020). 5. When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of osteoporosis,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and self-efficacy for exercise were analyzed, it was found that knowledge of osteoporosi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r=0.491, p<.001). Additionally, self-efficacy for exercise (r=0.403, p<.001) was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erms of knowledge of osteoporosis was moderate, and that for outcome expectations for exercise was above average. Based on this study, the development of a physical activity program is necessary by considering the knowledge of osteoporosis, outcome expectation, and self-efficacy for exercise.

      •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의 골다공증 지식,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 및 골밀도

        김성혜 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32415

        골다공증은 사람의 활동성을 제한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며 조기 사망에 이르게 하는 심각한 대사성 질병이며, 이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골다공증을 예방하기 위한 방안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의 골다공증 지식,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 행위, 골밀도에 대해 연구함으로서 골다공증 예방 및 건강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 일 지역주민 중 골밀도 측정행사를 통해 연구 참여에 동의한 145명 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3년 10월 7일부터 2013년 10월 11일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Waller 등(2002)이 개발한 골다공증 관련 지식측정도구를 선광순(2003)이 번역한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는 윤은주(2001)가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χ2-test, t-test, 및 로지스틱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골감소증 군은 전체 대상자 중 59.3%이었다. 골감소증군은 성별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χ2=6.72, p=.010) 2. 골다공증 관련 특성에서 골감소증군과 정상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던 것은 흡연이었고(χ2=5.18, p=.023), 골감소증군이 정상군에 비해 흡연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골다공증 지식에서 골감소증군은 평균 15.99±4.0점, 정상군은 평균 16.17±4.3점으로 두 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 행위에서는 골감소증군이 평균 2.52±.33점이였고, 정상군은 평균 2.59±.42점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하위영역에서 기호식품이 골감소증군은 평균 3.00±.60점, 정상군은 평균 3.29±.47점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t=-3.26 , p=.002). 5. 골밀도 관련 영양소 섭취정도는 골감소증군과 정상군 모두 단백질, 인, 나트륨은 비교적 과다 섭취하는 경향을 보였고, 특히 나트륨은 충분섭취량의 약 3배 이상 과다 섭취하였으며 칼슘, 비타민C는 권장량에 비해 덜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의 차이는 없었다. 6. 로지스틱 분석 결과 일반적 특성에서 골감소증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30대)(OR=3.43,CI=1.08-10.94),직업(생산노무직)(OR=2.85, CI=1.08-7.85)이었고, 골다공증 지식 문항 중에서는 ‘흡연은 골밀도에 영향을 준다.’(OR=0.10, CI=0.02-0.66), '뼈는 20-30세 정도에 뼈가 가장 단단한 최대 골밀도에 도달한다.'(OR=0.52, CI=0.27-1.02), ‘여성 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은 뼈를 강화시키는 것을 방해한다.’(OR=0.19, CI=0.06-0.59)였고,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행위 중에서는 ‘소다수를 자주 마신다.’(OR=0.40, CI=0.22-0.73), ‘술을 자주 마신다’(OR=0.46, CI=0.24-0.90), ‘흡연을 한다.’(OR=0.21, CI=0.06-0.75)이었다. 이상으로 볼 때, 골감소증군과 정상군에서 차이가 있었던 성별, 흡연, 기호식품과 골감소증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을 고려하여 성인의 골다공증 지식을 향상시키고, 골다공증 예방적 건강증진 행위의 적극적 실천을 유도함으로써 골다공증 예방 및 건강증진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 골다공증환자의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골절예방행위와의 관계

        문은숙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99663

        Prevention management is very important prior to the development of osteoporotic fracture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correlation analysis of grasping the score of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 and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to provide basic materials necessary to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This study used convenience sample which came from 120 patients with osteoporosis who attended regularly the orthopedics of K general hospital located in G city from December 2007 to February 2008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he osteoporosis knowledge instrument developed by Waller et al.(2002) and adapted by Seon(2003), the health belief and prevention behaviors instrument developed by Kim, Horan & Gendler(1991) and adapted by Lee(2006), and the osteoporosis prevention behavior instrument developed by Grady(2000) and adapted by Lee were modified and complemented by this researcher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Mean and SD were used to analyze knowledge of fracture prevention, health belief, and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 t-test, Man-Whitney U test, ANOVA, Kruskal-Wallis test, and Scheffe, test were used to compare scores of the knowledge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health belief, and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 and Spearman rho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cores of knowledge, health belief, and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 This study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1. The subjects were mainly low-income women in their 70s with at least elementary school education. 55.0% of them lived with their spouses. A majority of subjects had no family history of fracture and were experienced in receiving information of fracture prevention from medical professionals. Most osteoporosis subjects did not smoke but had a coffee. 2. The score of knowledge fracture prevention in the subjects was mean 17.53±3.22(a perfect score of 27); the score of health belief, mean 2.75±0.23(a perfect score of 5); and the score of health, mean 2.27±0.38(a perfect score of 5). 3. In the result of comparing scores of knowledge of fracture prevention, health belief, and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subjects, the 50s and under group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the 60s, 70s, and 80s groups(F=3.33, p=.022) and the at least elementary school education group showed a significant lower score than the middle and high school and college graduate groups(U=12.78, p= .005) in knowledge of fracture prevention. The 50s and 60s groups showed a significant higher score than the 60s and 70s groups in the health belief (U=11.50, p= .009). 4. In the result of comparing scores of knowledge of fracture prevention, health belief, and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 according to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in the subjects, the sitting and active groups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in the health belief score(F=5.51, p= .005). 5. In the result of correlation among scores of the knowledge of fracture prevention, health belief, and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 in the subjects, knowledge score became higher with the increase in health belief(r= .382, p= .001) and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r= .424, p= .001). Also, health belief score became higher with the increase in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r= .805, p= .001). Specifically, as usefulness, a sub-area of health belief, became higher, the score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 was increased(r= .782, p= .001). In conclusion, although the level of knowledge of fracture prevention, health belief, and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 were relatively low in the subjects, their fracture prevention behaviors and health belief had a very high positive correla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to induce desirable health promotion behaviors by providing the education programs of fracture prevention which consider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reinforce the subjects' health belief. 골다공증환자는 골다공증성 골절이 발생되기 이전에 예방적 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골다공증환자의 간호중재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골절예방행위 점수를 파악하고, 이들 변수 간의 관계를 조사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본 연구는 2007년 12월부터 2008년 2월까지 G시에 소재한 K종합병원 정형외과 외래를 정기적으로 방문한 골다공증환자 120명을 편의표집 하였으며,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선광순(2003)이 번안한 Waller 등(2002)의 골다공증지식 도구, 이순희(2006)가 번안한 Kim, Horan & Gendler(1991) 등의 골다공증 건강신념 도구, 이순희(2006)가 번안한Grady(2000)의 골다공증 예방행위 도구를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골절예방행위 점수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지식, 건강신념, 골절예방행위 점수 비교는 t-test / Man-Whitney U test, ANOVA / Kruskal-Wallis test, Scheffe' test를, 그리고 지식, 건강신념, 골절예방행위 점수와의 관계는 Spearman rho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초졸 이하 70대 여성으로 주로 경제적 수준이 낮았으며, 과반수 정도인 55.0%가 부부동거 상태였다. 또한 대상자의 대다수가 골절 가족력은 없었으며, 의료인으로부터 골절예방에 대한 정보를 들은 경험이 있었다. 골다공증 대상자의 대부분이 음주 및 흡연은 하지 않았으나 커피는 상당수가 마시고 있었다. 2. 대상자의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 점수(27점 만점)는 평균 17.53 ± 3.22점, 건강신념 점수(5점 만점)의 평균평점은 2.75 ± 0.23점이었으며, 골절예방행위 점수(5점 만점)의 평균평점은 2.27 ± 0.38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골절예방행위 점수를 비교한 결과, 골절예방 지식에 있어서는 50대 미만 군이 60대~ 80대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고(F=3.33, p= .022), 초졸 이하가 중졸· 고졸· 대졸 군보다 각각 유의하게 낮았다(U=12.78, p= .005). 건강신념 점수에서는 50대 · 60대 군이 70대· 80대 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U=11.50, p= .009). 4. 대상자의 질병관련 특성에 따른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골절예방행위 점수를 비교한 결과, 건강신념 점수에 있어서는 앉아있거나 활동하는 군에서 건강신념 점수가 유의하게 높았다(F=5.51, p= .005). 5. 대상자의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골절예방행위 점수와의 상관관계는 골절예방행위의 지식 점수가 높을수록 건강신념(r= .382, p= .001)과 골절예방행위(r= .424, p= .001) 점수가 높았다. 또한 건강신념 점수가 높을수록 골절예방행위 점수(r= .805, p= .001), 특히 건강신념의 하위영역인 유익성 점수가 높을수록 골절예방행위 점수(r= .782, p= .001)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대상자는 골절예방에 대한 지식, 건강신념 및 골절예방행위의 수준이 비교적 낮은 편이었으나 대상자의 골절예방행위와 건강신념간의 매우 높은 순 상관관계를 보이므로 대상자의 건강신념을 강화시킬 수 있는 개인의 특성을 고려한 골절예방 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함으로써 바람직한 건강증진행위를 유도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