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용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방과 후 수업을 듣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박가경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students attending in after-school classes in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s on their school life satisfaction. Moreover, this paper aims to promote the aptitude and interest of students, develop potential talents and abilities, and finally provide basic data related to career maturit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by empirical analysis of the elements of after-school classes. The survey was executed by distributing the questionnaires to 330 students (20 male students and 310 female students) who were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 in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s in Gwangju (168 students) and Jeollanam-do (162 students) from Feb. 22 to March 31, 2016. Three hundred thirty-one questionnaire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those with incomplete responses were not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 data from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ccurately entered, the missing values were processed using spss20.0 and the EM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average values of each variable and reaction patterns of subjects. Then, the reliability, technical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executed for each variable. Next, the structural equation on the impact of career maturity o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verified using AMOS 20.0. In accordance with the comparison between the partial mediation model, the test model, and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the alternative model, both models were nested model so that this paper adopted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by verification on the difference of . The analysis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For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career maturity and self-efficacy of students attending in the after-school classes in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s, the variabl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one another. The standardized influence coefficient of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β =.971(CR=12.083, p < .001). The result verified that the higher the career maturity was, the more self-efficacy was influenced. I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of students in the after-school classes in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s, the variable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each other. The standardized influence coefficient betwee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β =.496, which indicated statistical significance (CR=7.313, p < .001).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higher self-efficacy was, the higher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In the case of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maturity perceived by students in the after-school classes in beauty specialization high schools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s the medium, the variables had influence on each other. The standardiz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β = .48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 = .315, p < .001).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results on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based on the hypothesis verification, career maturity had direc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had direct impa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Furthermore, career maturity had direct influence on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self-efficacy as the medium. In other words, career maturity had an impact on school life satisfaction with self-efficacy as the medium. Thus, the higher career maturity, the more self-efficacy was elevated. It was also verified that higher self-efficacy meant higher school life satisfaction. This paper proposed the full mediation model which all variables had the direct impact related to the correlation of variables. However, this paper has several limits in spite of the analysis results identified above. The sampling scope for the respondents was limited to Gwangju and Jeollanam-do. Next, there is no analysis on the difference of variable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subjects by inserting the variable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subjects which the respondents took in the after-school classes. Furthermore, this paper didn’t discuss a variety of standardized sub-factors related to career maturity,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Further study needs to expand the sampling targets and areas to the entire country. It is also required to analyze the difference of variable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subjects by applying the variables depending on the curriculum subjects in the after-school classes. At last, it is proposed to expand or reduce the sub-factors related to the main analysis factors with the new viewpoints.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광주(168명) · 전남지역(162명)에 있는 미용특성화고등학교 2학년과 3학년 학생 330명(남 20명, 여 310명) 대상으로 2016년 02월 22일부터 2016년 3월 31일까지 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응답이 불완전한 설문지를 제외한 330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가 정확하게 입력되었는지 점검하기 위해 SPSS 20.0을 사용하여 결측치를 각 변인의 평균값과 대상자 반응 패턴을 고려한 EM방식으로 처리한 후 각 변인들에 대한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 분석을 하였고, 진로성숙도가 진로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방정식은 AMOS 20.0을 사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과 대안모형인 완전매개모형에 대한 미형비교를 실시한 결과, 두 모형이 nested model이므로 차이점검을 통해 본 연구에서는 완전매개모형을 선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진로성숙도와 자기효능감과의 변인관계에서는 서로간의 변인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의 영향관계 표준화계수는 β =.97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CR=12.083, p < .001) 나타나 진로성숙도가 높을수록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이 높을 것으로 증명되었다. 두 번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수업을 받는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와의 변인관계에서는 서로간의 변인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자기효능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 표준화계수는 β =.496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CR=7.313, p < .001) 나타나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학교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증명되었다. 세 번째, 미용특성화고등학교 방과 후 수업을 받는 학생들이 지각하는 진로성숙도는 진로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만족도와의 변인관계에서는 서로간의 변인들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의 영향관계 표준화계수는 β = .481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한(B = .315, p < .001) 것으로 나타나 가설검증 결과 밝혀진 변인들 간의 영향관계는 진로성숙도는 진로자기효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진로자기효능감은 학교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또한 진로성숙도는 진로자기효능감을 매개하여 학교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진로성숙도는 진로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학교생활만족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진로성숙도가 높아지면 진로자기효능감은 상승되고 진로자기효능감이 높을 때 학교생활만족도가 증가하게 됨이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 변인관계에서 모든 변인들이 직접적 영향을 주는 완전매개 모형이 제시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한계점이 제시될 수 있다. 첫 번째, 연구 대상의 표집 범위가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지역에 한정되어 있다는 점과 두 번째, 조사 대상자들이 듣고 있는 방과 후 학교의 과목에 따른 변인을 삽입하여 과목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점 분석이 없는 점, 세 번째는 진로성숙도와 진로자기효능감, 학교생활만족도에 대한 일반화된 하위요인에 대한 다양한 제시가 되지 못한 점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지역 및 대상 표본을 전국적으로 넓힘으로써 연구 대상에 대한 표본 대상 확대가 필요하며, 방과 후 학교 과목에 따른 변인을 삽입하여 과목에 따른 변인들의 차이점이 있는지 분석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또한 연구 요인들에 대한 하위요인들의 새로운 시각에서의 확대 및 축소가 이루어져야 함으로 제언하고자 한다.

      • 고등학교 학생들의 벡터에 관한 이해 실태 분석

        김지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능형 벡터문제의 이해정도와 오답의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수능형 벡터문제에 대한 기본요소 이해는 어떠한지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과 벡터단원의 교수학습 방법의 개선과 학습자료 개발 및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준비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능형 벡터문제의 이해정도와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오답은 어떠한가? 2. 수능형 벡터문제에서 벡터의 기본요소에 관한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이해정도는 어떠한가?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창원시에 소재하는 C고등학교 3학년 자연계열 학생 중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수리영역(가형)을 선택하는 63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예비검사와 전문가의 조언을 통해 수정․보완한 수능형 벡터문제, 벡터의 기본요소를 검사지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1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능형 벡터문제의 이해도는 각 문항별로 정답․오답․무응답자의 수와 비율로 나타내었다. 오답의 유형은 풀이과정에서 나온 학생들의 응답에 따라 ①문제의 내용을 잘못 사용하거나 해석한 경우 ②문제해결능력 부족으로 풀이를 중단한 경우 ③계산을 실수하거나 부주의로 인한 경우 ④기타의 경우로 설정하였고 오답의 유형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사례들을 분석하였다. 연구문제2의 해결하기 위하여 수능형 문제의 벡터 기본요소가 무엇인지 분석하였고 수능형 문제에서 벡터 기본요소의 이해도는 각 문항별로 정답․오답․무응답자의 수와 비율로 나타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수능형 벡터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선수학습이 잘 이루어져야한다. 수능형 문제에서 정답인 학생들은 벡터의 기본요소의 정답률이 93.1%이었고, 수능형 문제에서 오답인 학생들은 벡터의 기본요소의 정답률이 69.8%이었으며, 수능형 문제에서 무응답인 학생들은 벡터의 기본요소의 정답률이 53.4%이었다. 각 수능형 문제에 대한 벡터의 기본요소는 수능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수학습에 해당된다. 수능형 문제를 정답으로 답한 학생들의 기본요소 이해도가 가장 높게 나왔으며 수능형 문제를 무응답으로 답한 학생들의 기본요소 이해도가 가장 낮게 나왔다. 여기서 선수학습의 이해도가 높을수록 수능형 문제의 정답률이 높으므로 선수학습이 잘 이루어져야 수능형 문제를 잘 해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수능형 문제의 오답유형 중 문제해결력 부족으로 풀이를 중단한 경우가 39.7%로 가장 많았다. 수능형 문제의 오답인 답안을 분석하면 풀이과정에서 벡터의 기본요소 중 평균적으로 한 개만 정답을 한 경우가 전체 오답자들 중 39.2%이었고 두 개 정답을 한 경우가 전체 오답자들 중 35.9 %이었다. 이처럼 문제풀이과정에서 부분적으로만 문제를 해결한 경우도 선수학습의 부족으로 본다. 따라서, 수능형 벡터문제 지도는 기본적인 개념과 내용, 교과서 기본예제, 정형화된 응용문제 등의 선수학습의 이해가 먼저 이루어져야한다. 둘째, 수능형 벡터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문제에서 제시된 도형 및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도록 한다. 학생들은 문제에 있는 그림을 제대로 해석하지 못하거나 문제의 내용에 맞는 도형을 정확하게 그리지 못하여 오답을 나타내었다. 문장으로 제시된 문제의 조건을 3차원 공간상의 도형으로 나타내거나 2차원 평면으로 표현된 그림을 3차원 공간상의 도형으로 바르게 나타낼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또, 문제의 내용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문제에서 요구하는 벡터의 개념을 스칼라의 개념으로, 직선의 방정식을 평면의 방정식으로 잘못 나타내었다.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을 제대로 파악하는 습관을 갖도록 지도해야 할 것이다. 셋째, 벡터의 개념 학습은 단순한 공식 암기에 그치지 말고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수능형 문제에 대한 벡터의 기본요소 이해도는 <기하와 벡터> 교과서의 공식 적용문제의 정답률이 81.2%이었고 두 가지 이상의 수학적 개념과 원리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종합하는 내신형 응용문제의 정답률이 61.9%이었다. 벡터의 기본요소는 내신형 문제로 교실수업에서 이루어지는 교과내용의 지식, 이해정도를 확인하는 문제들로 주로 단편적으로 다루어진 내용들로 이루어져 있다.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고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벡터의 기본요소 이해도는 내신형 응용문제에서는 정답률이 낮게 나왔다. 2학년 때 배운 벡터의 내용을 단순한 공식 암기로 그치지 말고 개념의 정확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 복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수능형 벡터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공간능력과 기하학적인 사고 능력을 키우고 다른 단원과의 연관성을 잘 파악하도록 한다. 수능형 벡터문제는 단순히 벡터의 내용과 관련된 문제들만 있는 게 아니라 공간능력을 바탕으로 공간도형 단원과 연관된 문제들이 종종 있다. 수능형 문제1에서 방향을 생각하는 위치벡터를 이용하지 않고 단순히 길이만 생각하는 코사인 법칙을 이용하여 문제를 푼 학생들이 있었듯이 벡터문제를 공간도형 단원을 이용하여 문제해결이 가능하다. 여기서 벡터문제는 반드시 벡터의 내용만을 이용하여 문제를 푸는 게 아니라 다양한 풀이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공간도형과의 연관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다른 단원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종합적인 사고를 함양시키고 공간능력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다른 매체이용하거나 다양하고 실제적인 활동을 개발해야 할 것이다.

      • 고등학교 BSC 시스템의 적용과 한계 : 부산경호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김종훈 부산외국어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Balanced Scorecard(BSC) has been introduced and applied to the profit corporation and non-profit organization such as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universities. Nowadays, the highschool also needs to develop its own Balanced Scorecard system. Therefore, with choosing the Busan guard of highschool as a case for this research, the study generally applies BSC system on the highschool, rather than creating new BSC system. Based on applying BSC system on the highschool, it showed the possibility of putting BSC system into the highschool. This paper contains limitation and suggestion about applying the Balanced Scorecard(BSC) system on Busan Guard of highschool. In addition, with the result on applying the system on the model, it shows the necessary of developing the better system in this study. There ar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during applying the BSC system to Busan Guard of school. The limitations are lack of the clarification and specification of the goal, difficulty of building a strategy and possessing of the objectivity of BSC, hard to select relationship, and difficulty of proceeding with the Balanced Scorecard system. The suggestion of the study is that at first, the school organization, not like profit corporation, do not consider the finance as priority objective in the goal. Second, among institution of evaluation, the problem of reiteration needs to be solved. Third, it is important that finding the way of implementation and performing the BSC system. Fourth, for maximize the process of strategic goal, it is essential to mak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centering outcome. In conclusion,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highschool Balanced Scorecard system research. Unfortunately, a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collected data are not all of the samples. The author expects that well developed and more efficient Balanced Scorecard can be built by the next study with modifying limitations.

      •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컴퓨터 활용 실태와 활성화 방안

        이정아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컴퓨터 활용실태와 컴퓨터 활용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활용능력을 알아보고 컴퓨터 활용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특수학급의 컴퓨터 활용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려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전국의 고등학교에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370개 학교 중 153개 학교의 특수학급 담당 교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연구이며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를 사용하여 처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특수학급이 보유한 컴퓨터의 하드웨어 현황은 예전 연구에 비해서 다소 개선되었으나 소프트웨어의 보유 현황과 활용도는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와 학생 모두 컴퓨터 활용 수업에서 인터넷을 가장 선호하며, 특수학급 학생을 위한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특성으로 수준별 내용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특수학급은 컴퓨터 교육을 직업 교육과 더불어 특수교사가 직접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교사와 학생의 컴퓨터 활용 능력에 있어 먼저 교사의 경우는 교수에 필요한 능력보다는 인터넷, 워드프로세서와 같은 기본 능력에서는 우세하였고, 전문적인 능력에서는 부족함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생들도 기능적인 능력은 대부분 수행하나 다양한 컴퓨터 활용 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 영역별 활용 능력은 시각장애, 건강장애, 청각장애 영역의 활용 능력이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셋째, 특수학급 교사들은 컴퓨터의 활용은 주의집중 개선과 체계적인 반복학습, 학습동기유발 등의 측면에서 효과적이라고 인식하고 있으며, 컴퓨터 활용의 활성화 방안으로 다양한 교육용 소프트웨어의 개발과 교사들의 수준별 과정의 컴퓨터 연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use and activation method of computer use of special class teachers of high schools and abilities of teachers and students to use computers and present an effective plan to use computers for special classes. This study targets special class teachers from 153 of 370 with special classes of nationwide high schools and the data collected are analysed with a descriptive statistics. The result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the current status of hardwares in special classes of high schools have been somewhat improved, but possession and use of software are not satisfying. Both teachers and students prefer internet network most and it is thought that organization of software for special class students according to grades is the most important. Special class teachers are in charge of computer education for most of the special classes along with job education. Second, in respect to the ability of special class teachers and students to use computers, teachers are superior in basic ability to deal with internet network and word-processing rather than ability needed for teaching, and they recognize that their technical ability are not satisfying. And most of the students have basic ability to use computers, but less ability to deal with computers in various directions. For the ability to use according to areas of disabilities, the students with visual impairments have the highest ability to deal with computers, followed by those with physical disabilities and hearing impairments Third, special class teachers recognize that computer use is effective for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organized repetitive learning, and learning motivation, and as effective plans of computer use, they suggest development of various educational softwares and computer training according to grades of teachers.

      • 고등학교 과학교과서 물질 단원의 내용수준과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 비교 분석

        김성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standardized by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to survey the cognitive level of grade 10 students and to make clear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vel of the textbooks and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To carry out this study, the material unit contents of science textbooks were analyzed by using CAT (curriculum analysis taxonomy) and 336 10th grade students in In-cheon, Gyeong-gi, Jeon-buk, and Gyeong-buk Province were inspected for the cognitive level by using SRT Ⅲ (science reasoning task Ⅲ). As a result of analyzing content level of six kinds of high school science textbooks by using CAT, the introduction parts of most textbooks were composed of inquiry activity requiring to do concrete operation ability. And it was required to do formal operation ability in the conception part of the textbooks. But there were some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content between same conception because each textbook's explaining levels and required response levels were different. The results showed that 19% of the surveyed grade 10 students reached concrete operation level, 30%, transition level, 11%, early formal level, and 40%, latter formal level. The percentage of formal operation level was from 20% to 69%, so each school had big differences. In conclusion, it is needed to develop the proper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various school textbooks suitable for the students' cognitive level for eliminating unbalance between the content level of textbooks to the students' cognitive level. 이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내용수준을 분석하고,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을 검사하여 교과서의 내용수준과 학생들의 인지수준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물질 단원의 내용수준을 CAT (curriculum analysis taxonomy) 분석틀로 분석하였으며, 인천, 경기, 전북, 경북 소재의 고등학교 1학년 학생 총 336명의 인지수준을 SRT III (science reasoning task III)를 사용하여 검사하였다. CAT 분석틀을 이용하여 6종의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내용수준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교과서가 도입부분에서 구체적 조작 사고를 요구하는 탐구활동으로 시작하여, 개념의 이론적 설명부분에서는 형식적 조작기 수준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같은 개념이라도 설명하는 수준의 차이와 학생들에게 요구하는 답변 수준의 차이로 인해 내용수준에 약간씩의 차이가 있었다.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인지수준을 분석한 결과, 구체적 조작기 19%, 과도기 30%, 초기 형식적 조작기 11%, 후기 형식적 조작기 40%로 나타났다. 형식적 조작기에 도달한 학생의 비율은 20~69%로 학교별 차이가 컸다. 그러므로 교과서의 내용수준과 학생들의 인지수준 간의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학생들의 인지수준에 맞는 적절한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다양한 수준의 교과서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고등학교 '생태와 환경' 수업의 실태와 개선방안 연구 : 수원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고경민 경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In the academic year 2006, 29.8% of all high schools nationwide (637 out of 2,140 schools) was offering 'Ecology & Environment' course. It is, however, a mandatory elective in Gyeonggi-do. Current classroom situation of this course was evaluated in December, 2006, for 12th graders in Suwon, Gyeonggi-do, through interviews and a questionaire on knowledge, attitude, application of student's life, and teaching method. In Suwon, 22 among 27 general high schools (82%) were offering 'Ecology & Environment'. Of all the high school teachers who taught 'Ecology & Environment' nationwide during the 7 years from 2000 to 2006, those who major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was no more than 3.2%. In Suwon, however, 8 out of the 22 high schools which offered 'Ecology & Environment' had 11 teachers who major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Below are the results of a survey conducted of 210 students in the 12th grade from 12 schools who have studied 'Ecology and Environment' in Suwon in the year 2006. The results of questions regarding the students' general knowledge, attitude,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 were out of a total 5 points, application 3.40 points, knowledge 3.28 points, and attitude 3.11 points. The most used teaching methods in 'Ecology and Environment' were in order: audio-visual aids, current events materials, case studies, discussion, task-based learning, experimental learning, field method and field trips. The development of students' knowledge, attitude, application of the environment through listening to 'Ecology and Environment' were knowledge 2.74 points, attitude 2.81 points, application 2.49 points showing comparatively low scores. The scores of questions regarding the differential aspects of the class compared to other subjects, the usefulness in entering university were 2.71 and 2.46 points respectively, which was also comparatively low. However, the question regarding the need for environment education in schools was 3.63 points which shows that although the class is not satisfactory now, students still feel the need for environment education in schools. There was a noticeable difference in the teaching methods and the results of students' evaluation of the course between teachers who majored in environment education and teachers who did not. The teaching methods of teachers who majored in environment education involved the active use of audio-visual aids, current events materials, discussions, case studies, task-based learning, field method and field trips and experimental learning compared to non-major teachers. In the results of students' evaluation of the class, teachers who majored in environment education achieved more positive results than the non-major teacher in all of these aspects: the amount of knowledge acquired through environment education, the amount of interest, the amount of application, thoughts on the need for environment education in schools, the differential aspects of the class compared to other subjects, the usefulness in entering university. In the results of teaching methods and students' evaluation of course according to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departments, teaching methods differed only in the use of audio-visual aids and task-based learning in that the natural science department used these methods more actively. In the students' evaluation of 'Ecology and Environment', the natural science department showed noticeably higher scores in the questions regarding amount of application, the differential aspects of the 'Ecology and Environment' compared to other subjects and the usefulness in entering university. In the Gyeonggi-do, 'Ecology and Environment' is an elective subject assigned by the province which makes it the same as a required subject. However, students learn it in the 12th grade of high school, which makes it difficult to teach and learn due to the education system focused on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elow are some suggestions to help alleviate these problems. First, 'Ecology and Environment' should be offered, rather than in the 12th grade, in the 10th or 11th grade when students have less burden of entrance examination. Better yet, it should be offered in the 7th to 9th grade (that is, junior high school) as a required subject. The more certain and fast method for effective environment education is to legislate environmental education statutes. At presen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making efforts to do so. Second,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 of teachers were better for teachers who major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us, high schools, private as well as public, should employ more teachers who major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2006년 12월말 전국 2,140개 고등학교 중에서 ‘생태와 환경’을 선택한 학교는 637개교로 전체의 29.8%였다. 본 연구는 경기도 수원시의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경기도 지정 선택과목인 ‘생태와 환경’ 과목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교수학습방법,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평가를 통해 ‘생태와 환경’ 수업의 실태를 파악하고, 수원시의 환경전공 교사 유무 및 계열에 따른 수업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수원시내 고등학교의 ‘생태와 환경’ 선택과목 수업을 평가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수원시의 경우, 일반계 고등학교 27개교 중에서 ‘생태와 환경’을 선택한 학교는 22개교로, 80%이상의 높은 비율을 보였다. 또한 2000년~2006년의 7년간 전국의 환경과목 담당교사 중 환경전공 교사의 비율은 평균 3.2%에 지나지 않은데 비해, 수원시의 경우, 환경전공 교사가 1명 이상 존재하는 학교는 22개교 중 8개교로, 총 11명의 환경전공 교사가 존재하였다. 수원시에서 2006년도 ‘생태와 환경’ 수업을 들었던 12개교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얻은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학생들의 일반적인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 관련 문항 점수는 5점 만점에 실천 3.40점, 지식 3.28점, 태도 3.11점으로 나타났다. ‘생태와 환경’ 수업에서 많이 활용된 교수학습방법은 시청각 자료, 시사 자료, 실생활 사례, 토론·토의 학습, 과제학습, 실험 실습, 야외조사 및 현장학습 순으로 나타났다. ‘생태와 환경’ 수업을 통한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지식, 태도, 실천면에서의 계발 정도는 지식 2.74점, 태도 2.81점, 실천 2.49점으로, 비교적 낮은 점수를 보였다. 타 교과와의 차별화 된 정도, 입시에 도움이 된 정도와 관련한 문항 또한 각각 2.71점, 2.46점으로 역시 비교적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학교 환경교육의 필요성과 관련한 문항은 3.63점을 보임으로, 현재 ‘생태와 환경’ 수업은 만족스럽지 못하다 하더라도, 학생들이 학교 환경교육의 필요성만큼은 크게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환경전공 교사의 전공여부에 따른 교수학습방법 및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평가 결과, 교수학습방법에 있어서는, 시청각 자료, 시사 자료, 토론·토의 학습, 실생활 사례, 과제학습, 야외 조사 및 현장 견학, 실험 실습 모두 전공 교사의 경우 비전공 교사에 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였으며,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는, 학교 환경교육을 통한 지식 습득 정도, 관심 계발 정도, 실천 계발 정도, 학교 환경교육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 타 교과와 차별화 된 정도, 입시에 도움이 된 정도 모두 전공 교사의 경우 비전공 교사에 비해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 전공·비전공 교사 간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인문·자연 계열에 따른 교수학습방법 및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평가 결과, 교수학습방법에 있어서는 시청각 자료와 과제 학습의 경우만 자연계열의 경우 더 적극적으로 활용함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나머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평가에서는 실천 계발 정도, 타 교과와의 차별화 된 정도, 입시에 도움이 된 정도에 있어서 자연계열의 경우 더 높은 점수를 나타냄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기도에서는 ‘생태와 환경’을 ‘도지정 선택과목’으로 선택하고 있기 때문에 필수 과목이나 다름이 없다. 그러나 대부분 고등학교 3학년 때 편제되어 있어,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인해 바람직한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위의 결과와 관련하여 제시하고자 하는 대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선택과목으로 선택된 경우, 고등학교 3학년 때보다는 입시의 부담이 덜한 고등학교 1,2학년 때 편제해야 한다. 나아가, 고등학교는 입시위주의 분위기로 인해, 비입시과목인 ‘생태와 환경’ 과목이 선택과목으로 선택될 확률이 적거나, 환경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여건이라는 것을 감안한다면, 보다 효과적인 학교 환경교육을 위해 중학교 필수과목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진다. 효과적인 학교 환경교육이 이루어지기 위해 가장 확실하고 빠른 방법은 환경교육 관련법을 제정하는 일이다. 현재 환경부 등은 이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둘째, 환경전공 교사의 수를 늘려야 한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환경전공 교사의 교수학습방법,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평가 모두 더 좋은 결과를 얻었다. 이를 위해 환경 교사의 임용을 늘리고, 사립학교에서도 환경전공자를 채용해야 한다고 판단된다.

      • 실업계 고등학교 사회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와 개선 방안

        이지웅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식기반사회의 도래와 산업구조의 고도화에 따른 사회·경제적인 변화요구에도 불구하고 실업교육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능력보다 학력을 우선시하는 사고방식, 지속적인 학령인구의 감소 등으로 실업계 고등학교의 존립 근거가 흔들리고 있다. 현재 실업계 고등학교는 졸업 후에 취업보다 진학을 많이 하고 있으나 오히려 기초적인 직업능력 함양을 정체성으로 하는 중등 교육기관으로 자리매김할 때 존재의 가치를 인정받을 것이다. 그러므로 실업계 고등학교는 직업교육을 교육목적으로 삼아야 하며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과정 내 보통교과 교육과정도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목적에 따라 운영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등 직업교육 기관으로서의 실업계 고등학교 설립 근거에 부합하면서 민주시민으로서의 자질 함양이라는 사회과 교육 목표를 실현시킬 수 있는 실업계 고등학교에 적합한 사회과 교육과정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실업계 고등학교의 사회과 교육과정을 정상화 하는 데 가장 시급한 문제라고 판단되는 사회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개선안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고 연구내용을 선정하였다.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각종 통계적 지표 자료를 수집·분석하여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한다. 둘째, 실업계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을 조사한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 사회과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다면적으로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한다. 실업계 고등학교 사회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은 학습에 필요한 기초 수학능력이 부족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보통교과의 내용이 일반계 고등학교의 교과 내용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둘째, 학생들은 관심이 없고 교사들은 편의를 추구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교사의 전공과 수업 시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관행에 따라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고 있다. 셋째, 실업계 고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대부분의 교사들은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 부족 그리고 학생들의 수학능력과 맞지 않는 교육내용 등을 이유로 주입식 수업에 의존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들이 있지만 선택중심 교육과정 개선에 우선적으로 필요한 방안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흥미를 유발하여 자기 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도록 실업계용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 둘째, 현행 제7차 교육과정에서의 ‘교양 증진 및 실생활과 연관’이라는 일반 선택 과목의 취지를 살리고, 사회과 교사들의 전공에 따른 애로사항을 감안하여 사회과의 각 분야에서 일반 선택 과목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학급당 학생 수 축소, 사회과 교실 확보, 실업계 고등학교에 근무하는 사회과 교사를 위한 연수 과정 개발 등 행·재정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이 실업계 고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사회과 선택중심 교육과정 운영 실태를 진단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해 보았다. 앞으로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능력에 대한 엄밀한 진단에 기초하여 실업계 고등학교를 위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고 이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교육 환경이 개선되기를 바란다.

      • 일반계 고등학교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교사 인식 연구

        김방규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2학년도부터 시행된 고등학교 제7차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중점적인 내용은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표방이나, 국민 공통 기본교육과정, 수준별 교육과정,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도입이다. 이러한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인한 교실 상황은 교사들에게 매우 낯설고 어렵게 느껴질 가능성이 많다. 교육행정 이론에서 겟젤스-구바의 모형에 의하면 「사회적 행동은 제도적으로 주어진 역할과 성격(가치, 인식)에 따른 역할 규정의 상호 작용에 의해 결정된다.」고 하였다. 따라서 아무리 제도적으로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도록 되어있더라도 교사가 지각하는 환경 요인과 가치 기준에 따라 그 실행 방식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는 것이다. 이는 현재의 여건으로는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기에 다소 무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수준별 학습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특별한 교수-학습 방법이 필요하고, 도 단위의 평가 도구와 학교 실정에 맞는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7차 교육과정에서는 교과 및 학습 내용이 체험 학습, 실험·실습 위주로 짜여져 있는데, 현재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운영하는데는 다소 역부족 현상이 나타났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일반계 고등학교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 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을 대부분의 교사들은 잘 알고 있으나, 부정적인 답변을 보여준 교사들도 있어 200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수준별 교육과정이 일부 형식적으로 운영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둘째,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현재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수준별 이동 수업과 유사한 형태인 진급형의 단계형 교육과정으로 인식하는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영어나 수학 교과와 동일하게 이동 수업의 형태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운영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셋째,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들은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을 바르게 이해하고 있으나, 대부분의 교사들이 국가가 개발한 자료를 단위 학교가 재구성하거나, 국가가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여 수준별로 가르치는데서 야기되는 수업 자료와 평가의 어려움을 덜어 주어야 할 것으로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