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산림토양 유기탄소 농도와 토양입단 크기의 상관관계

        배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토양은 육상생태계에서 가장 큰 유기탄소 저장고이다. 우리나라 면적의 64%를 차지하는 산림생태계는, 고도에 따라 기온, 강수, 식생분포가 달라지고, 산림토양 유기탄소 농도도 달라질 수 있다. 토양입단은 토양유기탄소 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이기 때문에, 이 연구에서는 지리산 노고단-반야봉 부근 산림생태계에서 고도에 따른 토양유기탄소 농도와 토양입단 크기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지리산 노고단-반야봉 인근 산림 600 m, 1,200 m, 1,600 m 고도에서 각각 세 곳의 조사구를(총 9곳) 설치하고, 0~5 cm, 5~10 cm, 10~15 cm,15~30 cm 깊이에서 토양을 채취하였다. 토양을 풍건한 후, 용적밀도, 토양 pH 등 토양의 주요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고, 5 mm 체를 통과시킨 토양에 대해 습식체별법(wet-sieving method)을 사용하여 토양 입단을 2~5 mm, 0.25~2 mm, 0.053~0.25 mm, ≤0.053 mm의 크기로 구분하고, 각 토양입단별 유기탄소 농도, 안정탄소동위원소비(δ13C),방사성탄소동 위원소비(Δ14C)를 측정하였다. 고도가 높아짐에 따라 용적밀도, 토양pH 는 감소하였고, 토양질소 농도는 증가하였다. 토양유기탄소 농도는 600 m보다 1,200 m와 1,600 m에서 높았다. 토양유기탄소의 δ13C는 - 23.8~-26.9‰로 고도별, 입단 크기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토양 깊이 0~30 cm에서 토양유기탄소의 평균 Δ14C는 고도 600 m에서 23.1‰였고, 고도 1,200 m에서 -13.2‰로 감소하였다. 네 가지 토양 깊이 중 15~30 cm 깊이에서만 Δ14C가 유의하게 달랐고, 고도 600 m, 1,200 m에서 Δ 14C는 각각 -11.7‰, -80.0‰였다. 모든 조사구에서 지름 0.25 mm~2 mm인 입단은 각 깊이마다 토양질량의 53% 이상을 차지했고, 토양유기탄소 농도의 54% 이상을 차지하여 다른 크기의 입단에 비해 중요한 크 기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토양유기탄소 농도는 대체로 600 m 고도보다 1,200 m와 1,600 m고도에서 높았으나, 고도가 높아져도 주요 입단의 비율이 유의하게 다르지 않았다. 시료 수가 제한적이었던 한계가 있으나, 이 연구 결과로부터 토양입단 외 다른 요인들이 고도에 따른 산림 토양 유기탄소 농도 차이를 가져올 가능성을 유추할 수 있다. Soil is the largest reservoir of organic carbon in terrestrial ecosystems. In the forest ecosystem, which occupies 64% of South Korea.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vegetation distribution vary depending on the altitude, affecting concentration of organic carbon in forest soils. Since soil aggregate is a factor that can affect the concentration of organic carbon in the soil, I examin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ize of soil aggregate and concentration of soil organic carbon in Mt. Jiri. Three survey plots (a total of nine plots) were set up at three different altitudes: 600 m, 1,200 m, and 1,600 m in Mt Jiri, and soils were collected at depths of 0-5 cm, 5-10 cm, 10-15 cm, and 15-30 cm.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such as bulk density and soil pH were measured using the air-dried soil. Using the wet sieving method, four groups of soil aggregates were prepared depending on the size: 2-5 mm, 0.25-2 mm, 0.053-0.25 mm, and ≤0.053 mm. Then the aggregates were analyzed for concentration of soil organic carbon, stable carbon isotope ratio(δ13C), and radiocarbon isotope ratio(Δ14C). The bulk density and soil pH decreased whereas concentration of soil nitrogen increased with altitude. The concentration of soil organic carbon was lower at 600 m compared to the other altitudes, 1,200 m and 1,600 m. The δ13C of the soils ranged from -23.8 to -26.9‰,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δ13C with the altitudes or soil aggregate sizes. At the depth of 0-30 cm, the mean Δ14C of soil organic carbon was 23.1‰ at 600 m altitude and decreased to -13.2‰ at 1,200 m altitude. Among them, only at a depth of 15-30 cm, the Δ14C was -11.7‰ at 600m, and decreases to -80.0‰ at 1,200 m. In all survey plots, the mass of soil aggregate with the diameter of 0.25 mm-2 mm accounted for more than 53%, and their influence on concentration of soil organic carbon was more than 54%, which was the most important size compared to other aggregates. In summary, concentration of soil organic carbon was higher at 1,200 m and 1,600 m than at 600 m. However, the proportion of soil aggregates did not significantly vary with altitude. Although the number of samples was limited, I infer the possibility that factors other than soil aggregates may contribute to the difference in concentration of forest soil organic carbon with altitude in Mt Jiri.

      • 고도보존육성사업과 관련 지역계획의 특징에 관한 분석 : 부여고도지정지구를중심으로

        이결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e development-oriented urban renewal project, cultural assets have been preserved in individual units. As the place of people's lives has urbanized, historical buildings and buried cultural properties that existed in the same space fell or were covered, while those recognized are protected after moved from the original site. Ancient capital is a place that can work as a historical center due to many cultural assets remaining from the capital cities of the nations that originated and revived on the Korean Peninsula. In ancient capital, where cultural heritage remains, facilities for the tourists and local living spaces co-existed with. In many cities, urbanization has resulted in the loss of old landscapes, so the need for a preservation and upbringing of ancient capitals which worked as a historic center has arose. As the ‘Special Act on Preservation of Ancient Capital’, enacted in 2004, was revised to the ‘Special Act on Preservation and Promotion of Ancient Capital’ in 2011, Gyeongju, Gongju, Buyeo, and Iksan are designated as ancient capitals. In those cities, cultural property preservation and maintenance project, and resident-support project were promoted. To this, each ancient capitals establish and implement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plans, which work with higher and related plans in the process. When the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plan is expressed as a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and promotion project, it can be sorted into physical implementation in space and social institutional manifes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Buyeo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Plan to find out what characteristics are considered as important means in the preservation of Buyeo. As a result, there were three considerations found in the purpose and vision of Buyeo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Plan established in 2009 and the modified version of the plan in 2017. The first one is that the plans all considered the preservation of the heritage in the ancient capital area, and valued excavation and preservation of cultural heritage. Second, it is shown that excavated and preserved cultural heritage were enjoyed in a way of creating tourist attraction with the ancient capital area and enjoying heritage. Third, the domicilation of inhabitants in ancient capital area shows the identity of ancient capital works as a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area and residenti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ontents of the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promotion project were analyzed by year to see how those characteristics appeared in the higher plans and related plans and how they correspond to the project. As a result, it is shown that the higher plans and related plans tried to satisfy the three main characteristics that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the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plan. However, some of them were reflected only partially or lacked the linkage between the plans. In the case of the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promotion project, among the main concepts, the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project regarding the preservation of the originality of the heritage of the ancient capital area is consistent and outstanding. However in the case of the resident support project on the domiciliation of inhabitants, it has reduced or altered in a narrow range. In addition, the results were found to be inconsistent with the basic purpose of 'ancient capital for residents to live in' and the basic framework of ancient capital management such as 'removing and filling plans'. After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lans and plans, plans and projects, I researched what difficulties appear when these key concepts emerge in the lives of residents in a unit of project. First, in the case of the domiciliation of the inhabitants, it was difficult to resettle because of the lack of budget and the prolonged purchase of land in the site. In addition, it was not good to access the excavated area after maintenance and utilization both for tourists and residents. Also, the purchased land were left with old and empty houses so it caused to destroy the landscape of ancient capital. Second, it attempted to establish a residential area to relocate the residents from the Special Conservation District according to the plan, but the exploration period for the residential area was delayed due to the discovery of excavation area. As a result, many of the residents who sold their homes in the Special Conservation District moved outside of Buyeo town, and eventually the intention to transfer the functions of the Special Conservation District to th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District faded. Third, Buyeo Girls' High School in the Special Conservation District is regarded as a historically important space for excavation and maintenance projects. Therefore, although it was necessary to transfer, it was delayed because it was regarded as an exception to legal compensation for land expropriation. As it was not clear who was responsible for the transfer of Buyeo Girls' High School, the committee led by parents focused on it. As a result, it is expected to transfer Buyeo Girl’s High School not in the intended area of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District but outskirts of Buyeo. As it was planned to transfer two more educational facilities in the revised version of the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and Promotion Plan(2017), it would cause another confusion unless the problem of the Buyeo Girls High School is solved. Until now, the subject of relief in the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system facing urban development has been cultural property. However, in the ancient capital, which is special area puts the protection of cultural properties in higher value, residents are the subject of relief. Therefore, it is relatively less considered the domiciliation of inhabitants than the preservation of the heritage of the ancient capital area and the creating tourist attractions and enjoying heritage of the ancient capital area in the higher and related plans.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the analyzed plans are limited. The analysis did not identify phenomena or problems that could arise when analyzed on a practical field. However,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it mediately suggests ancient capital preservation and promotion plans, the higher plans and related plans to consider three key characteristics and further linkage with other plans in the future. 개발중심의 도시정비체제에서 문화재는 점단위로 보존되어왔다. 사람들의 삶의 터전이 도시로 변해감에 따라 같은 공간에 존재했던 건축물과 매장문화재는 스러지거나 덮여졌고, 그 가치를 일찍이 인정받은 경우에는 다른 장소로 이전되어 보호를 받았다. 고도(古都)는 한반도에서 발생하고 중흥했던 국가들의 도읍 중 문화재가 다수 남아있어 역사적 중심지로 기능할 수 있는 곳이다. 고도로 지정된 도시는 문화유산이 잔존하는 공간에 관광객들을 응대하기 위한 시설들과 지역의 생활공간이 공존하였다. 다수의 도시들에서 도시화가 진행되어 옛 경관을 상실하였기에 역사적으로 중심지로 기능했던 고도의 보존과 육성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2004년 제정된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이 2011년 「고도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으로 개정됨에 따라 경주, 공주, 부여, 익산을 고도로 지정하고, 일정 구역을 대상으로 문화재 보존·정비사업과 주민지원사업을 추진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고도에서는 고도보존계획을 수립해 추진하는데 그 과정에서 상위계획 및 관련 계획과 작용한다. 고도보존계획이 고도보존육성사업으로 발현될 때 공간에 물리적으로 발현되는 것과 사회제도적으로 발현되는 것으로 구분한다. 본 연구는 부여 고도보존계획을 분석하여 부여를 고도로 보존함에 있어 중요하게 고려하는 특징들이 무엇인지를 알아내고자 하였다. 그 결과, 2009년 수립된 부여 고도보존계획과 2017년 변경된 부여 고도보존육성 기본계획의 목적 및 미래상에서 고려하고 있는 것은 세 가지였다. 첫째는 고도지역 유산의 원형보존성으로 문화유산의 물리적인 발굴 및 보존과 관련한 가치를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었다. 둘째, 고도지역의 관광지화 및 유산의 향유방식으로, 발굴되고 보존된 문화유산을 관광지로 정비하고 유산을 향유하는 형태에 대해 보여준다. 셋째, 고도 주민의 정주성은 문화유산 유존지역이자 주민들의 정주환경으로서의 고도의 정체성을 나타낸다. 또한, 그 특징들이 상위 및 관련 계획에서 어떻게 나타났고, 고도보존육성사업과는 어떻게 대응되는지를 연도별로 사업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위 및 관련 계획에서 전반적으로 고도보존계획에서 중요하게 고려하는 주요 개념 세 가지를 충족하고자 하였으나 몇몇 단독적인 계획에서는 일부만 반영된 거나 계획 간의 연계성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고도보존육성사업의 경우, 주요 개념 중 고도지역 유산의 원형보존성에 관한 고도보존사업은 일관성 있게 꾸준히 지속되어 성과가 두드러지지만 고도주민의 정주성에 관한 주민지원사업의 경우 한정적인 범위 안에서 사업이 변경되거나 축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계획에서 실제로 의도한 ‘주민들이 살기 좋은 고도’라는 목적과 ‘비우는 계획, 채우는 계획’이라는 고도관리의 기본 틀과는 맞지 않는 기조로 결과가 나타나고 있음을 도출했다. 계획과 계획, 계획과 사업의 관계를 살펴봄에 이어 이러한 계획상의 주요 개념이 사업의 단위로 주민들의 삶에서 발현될 때 어떤 어려움이 발생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첫째, 고도 주민의 정주성에 관한 내용은 계획한 것과는 다르게 예산부족으로 대상지 내 토지 매입이 장기화되면서 주민들의 재정착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매입한 토지를 발굴한 이후 정비 및 활용하는 데 관광객과 주민들에게 접근성이 좋지 않았고, 발굴 전까지 매입한 대지의 낙후한 건축물을 공가(空家)로 남겨두어 고도의 경관을 해치고 있다. 둘째, 특별보존지구의 주민들을 이주시키기 위한 이주단지를 계획에 따라 조성하려 하였으나 유적지의 발굴로 조사기간이 장기화되어 지연되었다. 이에 따라 특별보존지구 내의 주거지를 매매한 주민들은 다수 부여읍 외부로 이주하였고 결국 특별보존지구의 기능을 보존육성지구에 이전하겠다는 의도가 퇴색되었다. 셋째, 특별보존지구 내의 부여여고는 발굴·정비 사업에서 역사적으로 중요한 공간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필수적으로 이전해야 하는 대상이었으나 토지수용에 있어 법적인 보상 대상의 예외로 간주하여 이전이 지연되었다. 부여여고 이전을 주도하는 주체가 명확하지 않아 학부모를 중심으로 하는 위원회가 중심적으로 추진하였고 그 결과, 부여여고의 이전대상지는 당초 예정했던 보존육성지구 내의 공간이 아니라 도심 외곽으로 의견이 좁혀졌다. 2017 고도보존육성 기본계획 변경에서 부여여고 이외의 교육시설 두 곳을 더 이전할 계획을 하는 데 부여여고의 문제에 대한 해결 없이 이를 계획하는 것은 또 다른 혼란을 초래할 수 있다. 지금까지 도시개발을 대면하는 문화유산 보존체계에서 구제의 대상은 문화재였다. 하지만 문화재의 보호를 상위에 놓는 고도라는 특수한 공간에서는 주민이 구제의 대상이 된다. 따라서 상위 및 관련 계획에서 고도지역 유산의 원형보존성이나 고도지역의 관광지화 및 향유방식을 고려하는 것에 비해 고도 주민의 정주성에 대한 고려가 상대적으로 부족할 수밖에 없다. 본 연구는 고도보존육성 기본계획과 상위계획 및 관련 계획의 특징을 분석하고자 하여 문헌연구의 비중이 높고, 분석 대상으로 삼은 계획들이 한정적이라는 한계점이 있다. 실무 기반으로 분석하였을 때 나올 수 있는 현상이나 문제점들을 규명하지는 못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차후 재수립될 상위계획들과 고도보존계획에서는 고도를 보존하기 위해 세 가지 주요 요소를 고려해야 하며 기존 계획들과의 연계성을 더욱 확보할 것을 간접적으로 제안하는 데서 그 의의를 찾는다.

      • 고도를 기다리며』에 관한 연구 : 인간관계, 고도, 기다림의 의미

        이은주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부조리는 철학적인 의미에서 볼 때 비이성적이고, 혼란스러우며, 의미와 목적이 부재(不在)함을 뜻한다. 그리고 부조리 연극은 진정한 존재의미를 상실한 채 살아가는 인간의 삶을 다룬 극이다. 사무엘 베켓(Samuel Beckett)은 인간의 부조리한 상황을 부조리한 형식으로서 가장 잘 묘사한 작가 중의 한 사람으로, 그의 걸작 『고도를 기다리며』 (Waiting for Godot)는 오지 않는 고도(Godot)를 기다리는 상황을 나타낸 극이다. 『고도를 기다리며』의 등장인물들은 서로 분리될 수 없는 보완적 존재들이다. 내면적으로 각 등장인물들은 정반대의 성격을 가지고 있지만, 외면적으로는 서로 의지하고 보완한다. 우리는 그들의 대조를 통한 이러한 조합이 바로 각각의 인간이 대면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할 수 있다. 베켓은 등장인물들이 실제에서의 우리 자신들을 상징하는 원형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무대는 우리 삶의 축소판이다. 베켓은 새로운 형식을 통하여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그러한 인간관계의 원형적인 패턴을 표현한다. 베켓에게 형식과 내용은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기 때문에 그 둘은 분리될 수 없는 것이다. 두 부랑자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곤은 그들이 고도라 불리는 사람을 만나기 위해 기다리는 동안 일련의 판에 박힌 일을 한다. 그들은 고도가 어떻게 생겼는지도 모르고, 그들이 고도에게서 바라는 것이 무엇인지, 또 어떻게 해서 약속을 하게 되었는지조차 모르지만, 그들에게 분명한 한 가지는 그들이 고도를 기다려야 한다는 사실이다. 부유한 지주인 포조와 정신이상이 된 노예 럭키는 극의 기초가 되는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곤 커플에 다양성을 제공하면서 일종의 부차적 줄거리를 구성한다. 『고도를 기다리며』에서 등장인물들은 결코 자신들의 실존의 실체를 알지 못한다. 그들은 습관이 부여해 준 행동의 양식을 반복, 유지한다. 존재의 참된 의미를 알지 못한 채, 그들은 단지 기다리고 있다. 기다림이란 삶의 양식이다. 기다림이란, 무엇인가를 기다리는 행동이 아닌 실존적이고 정신적인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는 기다림 그 자체인 것이다. Absurdity in the philosophical sense implies irrationality, confusion, and the absence of meaning and purpose. And the Theatre of the Absurd deals with the life of human beings in the absurd world without any sense of meaning in existence. Samuel Beckett is one of the few dramatists who have best described the absurd human condition in an absurd form. Waiting for Godot, one of his masterpieces, is a play about waiting for Godot who is supposed to come. Characters of Waiting for Godot are inseparably related with each other. Internally, each character has opposite personality, but externally, they are interdependent and complementary. We can say that this union through opposition is the very situation with which every human being is faced. Beckett shows us that the characters are archetypes of ourselves in reality. The stage is a miniature of our life. Beckett expresses such archetypal patterns of human relationships in Waiting for Godot through a new form. Form and content are inseparable to Beckett because they are intrinsically the same things. Two tramps, Vladimir and Estragon, perform a series of routines on a stage, while they are waiting to meet a man called Godot. Although they are not sure what Godot looks like, what they expect from Godot, or how they came to make the appointment, they are certain of one thing - that they must wait for him. Pozzo and Lucky, the rich landowner and his lunatic slave, constitute a kind of sub-plot offering a variation on the basic couple. In Waiting for Godot the characters can never become aware of the true reality their situation. They sustain their identities within their behavioral pattern habit has imposed upon them. Without perceiving the true meaning of existence, they are just waiting. Waiting is the pattern of life. Waiting is not an act of waiting something but the activity of waiting itself in all its existential and spiritual dimensions.

      • 고도 경주 역사문화유산의 지속가능한 보존ㆍ관리 방향에 관한 연구

        이소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고도인 경주시를 중심으로 역사문화유산의 보존·관리 현황을 살펴본 후 지속가능한 고도의 보존·관리 방향을 제안하는 논문이다. 국제기구를 중심으로 한 국제적 동향과 국내의 동향, 경주시의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지속가능한 고도 역사문화유산의 보존을 위해 고려해야 할 방향을 모색해 보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경주는 과거 한 국가의 왕도로서 많은 역사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문화유산의 보존 및 정비를 위한 계획이 1971년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을 시작으로 추진되었다. 하지만 90년대까지 시행된 계획은 도시경제 활성화를 위한 도시개발, 관광개발로서 역사문화유산은 관광을 위한 하나의 자원으로서 활용되었다. 현재 경주시의 역사문화유산을 보존·관리하기 위해 문화재청,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재관련 부서 등의 행정조직, 『문화재보호법』, 『고도보존에 관한 특별법』,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의 법제도와 문화유산 관련 계획들이 추진되고 있다. 이와 같은 행정체제를 기반으로 한 역사문화유산을 중심으로 한 실질적이고 본질적인 고도 보존·관리 계획이 필요하게 되었다. 2004년 「경주역사문화도시조성」계획과 2005년『고도보존법』제정을 기반으로 하고 있는 ‘고도보존계획’의 시행은 경주가 고도로서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계획오로서 보존측면계획과 활용측면계획의 성격을 분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또한 역사문화유산 보존을 중심으로 한 보존영역의 확장, 종합·단계적 계획 및 도시계획적 요소를 도입하는 등의 특징을 보여준다. 이는 고도의 역사문화환경을 보존하려는 시도로서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활용을 위한 역사문화유산의 개발 증가 및 고도보존을 위한 시작단계로서 보여지는 문제점을 보완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고도로서 지속가능한 보존·관리를 위해 ①고도의 가치 회복 및 유지, ②발굴 및 복원을 통한 진정성회복, ③지구지정 및 경관계획을 통한 완전성유지, ④주민과 고도의 상생, ⑤지속가능한 보존·활용계획 을 제안한다.

      • 古都 익산의 역사경관 보전 및 활용을 위한 지구지정 방안 : 역사문화자원 유형화 및 가치평가를 통하여

        오대건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역사문화자원의 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인식되면서 고도를 중심으로 하는 역사문화중심도시의 가치에 대한 관심이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관심은 각 고도의 보존계획의 수립에 영향을 끼치는데, 문화재청에서는 고도보존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근거로 하여 고도 지역에 고도지구를 지정하여 보존 및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고도지구에 대해 ①고도지구지정의 절차 불명확, ②지구지정범위의 모호성, ③고도보존사업의 우선순위 기준 누락 등으로 인한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고도에 특성에 맞는 지구지정 절차 및 방법을 수립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조사는 고도 익산의 고도대학에 참여한 지역주민 70명을 대상으로 2012년 10월 30일, 11월 30일 두 차례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고도 익산의 역사문화자원 유형화 및 가치평가를 실시하고 고도지구지정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설문결과를 통한 역사문화자원의 유형으로는 역사적 자연요소와 문화요소 구분되고 다시 산림녹지자원, 수변자원, 유형자원과 무형자원으로 세분화되어 고도 익산의 주요 역사문화자원으로 미륵산, 미륵사지, 왕궁리유적, 제석사지 등이 도출되었다. 또한 가치평가기준으로 역사성, 희소성, 심미성, 장소성이 도출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고도 익산 역사문화자원의 가치평가를 실시하였다. 지구지정절차는 주민들을 중심으로 기초조사(자연환경조사, 문화환경조사)를 실시하여 의견을 수립하고, 전문가의 이론적, 기술적 보완(역사문화자원 유형화 및 가치평가)이 행해져, 행정과의 종합적이고 포괄적인 계획 및 심의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익산 고도보존계획에서 수립한 6개의 예정구역 중 가치기준에 따라 3개의 구역을 선정하고 각 구역에 문화재보호법의 현상변경허용기준을 바탕으로 가치평가내용에 따라 특별보존지구와 보존육성지구로 구분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고도 익산의 고도지구를 지정하는데 있어서 기존의 획일적인 지구지정방식을 고도 익산에 맞게 보완할 뿐만 아니라 이를 통해 타 고도 지역의 지구지정 방안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하지만 연구 과정에 있어서 타 고도지역의 사례를 검토하지 못하였고 금마시가지의 주민들만 대상으로 했다는 한계가 있으며, 유형화 및 가치평가에 있어서 신뢰성과 타당성에 대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 Die servitus altius tollendi und die servitus altius non tollendi : Untersuchungen uber zwei Dienstbarkeiten im klassischen romischen Recht

        이진기 Rheinische Friedrich - Wilhelms - Univ. Bonn 1998 해외박사

        RANK : 247807

        Ⅰ. 로마법상 고도건축역권은 승역지의 소유자가 요역지상의 고도건축을 용인하여야 하는 지역권이다. 고도건축역권은 자기 자신의 물건 위의 작위를 보장하는 권리이므로 필연적으로 소유권의 제한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기존의 로마법학자는 학설전집(U1p.D.8.2.9)을 근거로 고전기로마법상 소유권은 제한이 불가능한 절대권이었다 한다. 이들은 고도건축역권을 수록하는 법원은 전주정기 또는 유스티니아누스의 법전편찬과정에서 소송법상 고도건축금지역권을 부인하고 소유권의 자유를 주장하는 인락소권을 착오로 지역권으로 규정하였거나 원수정기 이래의 - 특히 전주정기의 - 공법상의 건축제한규정을 해소하는 수단으로 고도건축역권으로 도입되었을 것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미 고전기의 로마법원전은 명백하게 고도건축역권을 규정하고 있다. Ⅱ. 기원후 2세기 중반의 법학자인 가이우스에 따르면 고도건축역권이 합의와 이에 대한 담보로서 문답계약에 의해 설정될 수 있었다. 이에 대해 로마법상 지역권은 장악행위나 법정양도를 통해서만 설정될 수 있음을 근거로 가이우스의 전승은 로마의 지방고시를 언급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는 반론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지역권의 설정과 관련하여 로마법과 지방법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 또한 네라티우스도 고도건축역권을 언급한다. 고도건축역권을 전승하고 있는 대표적인 법학자인 파울루스는 D.8.4.7.1과 D.8.2.1 pr. 에서 당사자의 합의에 따라 서로 이어지지 않은 격지를 승역지로 하는 지역권의 성립요건과 관련하여 농촌역권인 통해권과 더불어 도시역권인 고도건축역권과 고도건축금지역권을 설명한다. 특히 D.8.4.7.1은 지금까지 이해할 수 없는 법문이라거나 법전편찬과정에서 수정된 것으로 평가되어 왔으나 이는 법문을 오해한 것에 기인한다. 위에서 언급한 전승은 고전기의 원문임이 분명하며, 이는 고도건축역권이 이미 고전기에 존재했음을 말해준다. 그럼에도 다수의 로마법학자의 전승에서 고도건축역권을 전혀 찾아볼 수 없다는 사실에서 로마법학자간에 견해의 차이가 존재했을 가능성을 부인할 수 없다. Ⅲ. 고도건축역권과 마찬가지로 법원의 전승에서 고도건축금지역권도 또한 여러 가지의 모습으로 표현된다. 요역지의 소유자는 고도건축금지역권의 설정을 통하여 승역지소유자의 건축행위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법익의 침해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이는 건축행위와 관련성이 인정되는 법위에 있어서 현행법상 상린권(민권 제216-244조)으로 규율되는 모든 법익을 포함한다. 어느 경우를 막론하고 이의 주된 목적은 사인간의 합의에 의해 일조권을 확보함으로써 쾌적한 생활을 보호하는 데 있다. Ⅳ. 이미 12표법 이래 공공의 이익을 위한 공법상의 건축제한이 반복하여 입법화되었다. 이는 특히 공중위생과 홍수 및 화재의 예방을 위한 목적으로 재정되었다. 그러나 사인간의 합의에 의해 공법규정의 적용이 배재될 수 있는 근거가 분명하지 않다. 로마법원은 공법규정은 강행법규로서, 비록 현실적으로 실효성의 문제가 제기될 여지는 있으나, 공법규정이 사법에 의해 배재될 수 없음을 명확히 하고 있으므로 공법상의 건축제한을 이유로 고도금지역권의 존재를 부인하는 주장은 타당하지 않다. 다만 제노황제를 비롯한 전주정기의 황제들은 주거생활의 보호를 위하여 임의법적인 성질의 건축제한을 입법하고 이러한 법률의 적용이 사인간의 약정에 의해 배제될 수 있음을 규정했다. This paper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ehavior for use in market segmentation. For the purpose od this study,four hypothetical travel characteristics were tested using logit analysis and survey data on air travel.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avel characteristics such as trip, mode consumer and trave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as important influetial factors in choosing a certain type of air travel.

      • 孤島時期 上海 話劇 硏究 (1937-1941)

        배연희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7807

        This dissertation traces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prevalence of spoken drama in Shanghai during the Isolated Island Period (1937-1941), while focusing on the temporal and spatial settings and characters in that genre. The Isolated Island Period is a historical name derived from the similarity to an isolated island surrounded by sea when the Japanese army invaded all of Shanghai except for the conceded area. First, Shanghai's temporal and spatial setting and its process of modernization are examined through the city's history. Similar to China's modernization, Shanghai's urbanization and modernization were not achieved by an independent and spontaneous inner force but rather implemented forcefully by others. This skewed image of modernity influenced the growth of the modern city Shanghai, and the city's temporal and spatial setting developed in a distorted manner, centered on the power and logic of capitalism. A market for popular culture developed early on but it was easily affected by the logic of capitalism. In this situation, Shanghai's culture showed two sides, with commercial and popular literature growing rapidly while leftist culture and a new Western genre coexisted. Especially after 1920, from the period when Beijing's intellectuals and literary men moved south to Shanghai, the city began to play the role of a capital as the center of Chinese civilization. Even though Shanghai's cultural reputation was weakened due to the invasion by the Japanese army in 1937, the city's vitality and latent energy also continued in the Isolated Island Period. Although Shanghai's theatrical tradition was weak, a vast theatrical market developed as various theatrical styles was concentrated in Shanghai in the modern era. Wenmingxi, which was transplanted to China through Japan, lost its freshness as a new form and became commercialized. And spoken drama, which was introduced to China around 54, tried to approach the Chinese audience as a new theatrical form with a new ideology and content. However, the early spoken dramas only solicited response from some intellectuals and students and could not gain support from a vast audience. Thus, the popularization of the spoken drama did not really take place until after the 1930's. Especially after the Japaneseinvasion of China, the spoken drama's ability to respond to reality began to receive attention and the spoken drama reattempted a dialogue with the audience. As resistance persisted and the spoken drama began to look for new styles that fit each region's peculiar characteristics, theatrical activities began to be centered on theaters in Shanghai of the Isolated Island Period. Although the condition for performances worsened due to censorship by the authority in the conceded area, in the relatively stable political and economic conditions compared with other areas, actors of that time developed the spoken drama into an even more mature form. When the temporal and spatial settings of spoken drama of this period are examined, skewed modernity and closed space are emphasized.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double-sidedness of Shanghai's modernity is revealed through the city's bipolarized image and contrast. In the case of the latter, Shanghai's closed and blocked spatial characteristic during the Isolated Island Period was symbolically recomposed as iron railings and fences. Moreover, the family, which provided a place for peaceful living, was destroyed and dissolved due to the wounds of war and differences in beliefs. As the circumstances of war and survival are piled upon the fragmented individual's existential condition after modernization, the aspect of division and fissure is more conspicuously revealed. In the spoken drama of this period, the sense of identity within enclosed space went backward to the past or was internalized as exits were blocked from the outside. In this respect, time was usually transformed into an aspect of discord within a human being by transforming it into space. Moreover, time within the existing time experienced by humans reveals aspects of discord among survival, soul, and conscience. In the case of some works that are remote from spoken dramas from the Isolated Island Period, an emphasis on destiny is notable and a tendency to return to the womb is strong. In general, time in the spoken drama of this period has continuity as in a human's life, but it also seeks temporal interruption through dreams and extreme forms. Furthermore, by conferring progress and hope to the direction of time, it reveals the understanding of time by modern people who look toward the future despite the darkness of reality. When examining the characters in the spoken drama of the Isolated Island Period in Shanghai, women figures are conspicuous. The image of women that appear in this period focuses on how weak women are hurt and destroyed in the post-modern society. Moreover, most women are depicted as exhausting their lives while being hurt by love and longing for love. Meanwhile, there are some women who try to end this type of cycle and discover and extend themselves through social change, but the women's process of self-realization tend to be broken or fused as they participated in social reform. Other lives are also depicted: the lives of people who use the logic and power of capitalism, people who are destroyed by them, those who live with money and ambition, and outsiders who roam the outskirts of the city. In the case of historical figures that appear in historical dramas, they are figures that were anticipated and dreamed of in the reality of that time, and more than the actual individual is embodied in the figure. Women figures are also notable in historical dramas of that time, and figures of women warriors and patriotic courtesans are worthy of attention in the sense that they are figures that break away from women's traditional image as the weak. This deviation can be due to the creative freedom that historical dramas possess. They were created so that one can feel the grimness of the times from the image of the women warriors and heroes who resist against the invasion of their nation. They were made with a consideration of the strong effect that "the image of the resisting woman" produces, and forms a good comparison with the "the image of sisterhood" in reality dramas. Furthermore, through the image of the failed hero, they demonstrate the mental greatness of human beings who do not give up in the face of death even if they are unable to change the reality or fate that is given. Even though the spoken drama of the Isolated Island Period in Shanghai does not reveal reality directly, it reveals reality metaphorically through history and allegory. Even in the waves of commercialism and populism, they sought their own ways and broke away from their fear and silenc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ater. The spoken drama of the Isolated Island Period provided the foundation for developing stylistically the spoken drama of the resistance period by improving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mensions of theater through active interaction between professional theater and amateur dramatic companies and by overcoming the broken temporal and spatial setting by enlisting realistic and historical creativity. 이 논문은 孤島時期(1937-1941) 上海에서 話劇이 성행되었던 문화사적 배경을 추적하고 당시 창작되고 공연된 話劇작품에 나타난 時空間과 등장인물을 연구하였다. 고도시기는 1937년 일본군이 조계지를 제외한 상해의 전지역을 점령하여 마치 바다에 둘러싸인 孤島와 같다는 데서 유래된 역사적 명칭이다. 먼저 상해의 도시사를 통해 상해의 시공간과 근대과정을 살펴보았는데, 상해의 도시화, 근대화 역시 중국의 근대가 그러했던 것처럼 주체적이고 자발적인 내적인 원동력에 의해 이루어지지 못하고 타자에 의해 강제 시행되었다. 이렇게 굴절된 근대의 모습은 근대도시 상해의 성장에도 영향을 미쳐, 도시의 시공간은 자본의 힘과 논리, 조계지를 중심으로 기형적으로 발전하였다. 일찍부터 대중문화시장이 광범위하게 형성되었지만, 자본의 논리에 의해 시장이 좌우되는 경향이 농후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상해의 문화는 상업화, 대중화 문학이 급성장하는 가운데, 좌익문화와 서구의 새로운 장르가 공존하는 양상을 보여주었다. 특히 1920년대 이후 북경의 지식인들과 문인들이 상해로 남하한 시기부터, 상해는 중국문화의 중심지로서 다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비록 1937년 일본군의 침략으로 상해의 문화적 위상이 약화되었지만, 상해가 가진 활력과 저력은 고도시기에도 그대로 이어졌다. 상해의 연극적 전통은 약했지만, 각종 연극양식이 근대 이후 상해로 집중됨으로써 광범위한 연극시장이 형성되었다. 일본을 통해 중국에 이식된 文明戱는 새로운 형식으로서 신선함을 잃고 상업화되었고, 5ㆍ4를 전후하여 중국에 소개된 話劇은 새로운 극양식으로서 새로운 사상과 내용을 담아 중국 관객들에게 다가가려고 하였다. 그러나 초기 화극은 일부 지식인과 학생들의 호응만 끌어냈을 뿐 광범위한 대중의 지지를 받지 못해, 화극의 대중화는 1930년대 이후에서야 본격적으로 전개된다. 특히 1937년 일본의 중국 침략 이후 화극이 가지는 현실대응력이 주목받기 시작하면서, 話劇은 관객들과 다시 대화를 시도하였다. 이후 항전이 장기화되면서 화극은 각 지역의 특성에 맞는 새로운 방식을 모색하게 되고, 고도시기 상해에서는 극장을 중심으로 연극활동이 이뤄지게 되었다. 비록 조계 당국의 검열로 공연상황이 이전보다 불리해졌지만, 당시 연극인들은 타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안정된 정치ㆍ경제적 여건을 바탕으로 화극양식을 더욱 성숙하게 발전시켰다. 이 시기 話劇의 시공간을 살펴보면, 먼저 공간적 측면에서 굴절된 근대와 폐쇄된 공간이 강조되었는데, 전자의 경우 상해 도시의 양극화된 모습과 대비를 통해 상해 근대의 양면성을 나타냈다. 후자의 경우 孤島시기 상해가 가졌던 폐쇄되고 봉쇄된 공간적 특성이 철책과 울타리로 상징적으로 재구성되었다. 또한 전쟁의 상처와 신념의 차이로 안식처인 가정은 파괴되고 해체되었다. 근대이후 파편화된 개인의 실존적 상황에 전쟁과 생존이라는 상황이 중첩됨으로써 분할과 균열의 양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시기 화극에서 외부로부터 출구가 봉쇄됨으로써 갇힌 공간 속 주체의 의식은 과거로 역행하거나 내면화되었다. 이런 점에서 시간은 주로 인간의 내면 속 갈등양상으로 공간화되었다. 또한 인간에 의해 경험된 실존의 시간 속에서 시간은 생존과 영혼, 양심 사이의 갈등의 양상을 보여주었다. 고도시기 화극의 양상과 거리를 가지는 일부 작품의 경우, 운명에 대한 강조가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자궁으로 회귀하려는 경향이 농후하였다. 전반적으로 이 시기 화극에 나타난 시간은 인생처럼 연속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꿈, 극중극의 형식을 통해 시간적 단절을 꾀하기도 하였다. 또한 시간의 방향에 진보와 희망적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비록 현실은 암흑이지만 미래를 지향하는 근대인의 시간인식을 보여주었다. 한편 이 시기 화극은 주제면에서 비극적인 현실적 상황 속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것인가 하는 실존문제에 대한 문제제기를 하면서 자유와 저항, 救亡과 단결이라는 시대정신에도 부응하고자 하였다. 이러는 가운데 암흑의 현실을 뚫고 미래를 지향하는 희망의 씨앗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고도시기 상해 화극에서 나타난 등장인물을 살펴보면, 여성 형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 시기 등장하는 여성의 이미지에는 연약한 여성이 근대 이후 사회 속에서 어떻게 상처입고 파멸되어가는가 하는 것에 초점이 맞쳐져 있다. 또한 대부분의 여성은 사랑에 의해 상처받고 사랑을 갈망하는 가운데 자신의 삶을 소모하는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다. 한편 이러한 고리를 끊고 사회변혁을 통해 자아를 발견하고 확장하려는 여성들의 모습도 보여지지만, 사회변혁의 대열에 동참함으로써 여성의 자아실현과정이 해소되거나 융합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여성 형상 외에도 자본의 논리와 힘을 행사하는 사람들과 그로 인해 파멸되는 사람들의 삶, 돈과 욕망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 도시의 외곽을 배회하는 변두리 사람들의 삶이 그려져있다. 역사극에서 등장하는 역사적 인물의 경우 당시 현실 속에서 기대하고 꿈꾸었던 인물로, 당대인의 이상이 형상 속에 녹아들어가 있다. 당시 역사극에서도 여성 형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특히 여전사, 애국적인 기생의 형상은 전통적으로 약자로 대변되는 여성의 이미지에서 탈피한 형상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이것은 역사극이 가지는 창작상의 자유로움 때문이라고 할 수 있겠는데, 죽음을 무릅쓰고 이민족의 침략에 맞서 저항하는 여전사와 영웅의 모습에서 시대에 대한 비장함을 느끼게 하였다. 이는 「저항하는 여성의 이미지」가 주는 강력한 효과를 고려하여 만든 것으로, 현실극에서 「누이의 이미지」와 좋은 대조를 이루고 있다. 또한 실패한 영웅의 형상을 통해, 비록 주어진 현실이나 운명을 바꾸지 못했지만 죽음이라는 한계상황에서도 꺾이지 않는 인간의 정신적 위대함을 보여주었다. 비록 고도시기 상해 화극이 현실을 정면에서 드러내지 않았지만, 역사나 알레고리의 방법을 통해 현실을 은유했다. 고도시기 화극은 상업주의와 통속주의의 파도 속에서도 자신들의 길을 모색해가며 두려움과 침묵을 깨고 연극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극단과 아마츄어 극단과의 활발한 교류와 공연활동을 통해 연극의 양적, 질적 차원을 높이고, 현실적, 역사적 상상력을 동원하여 단절된 시공간을 극복하여 항전시기 화극을 양식적으로 성숙시키는 토대를 마련하였다.

      • 高度處理에 따른 下水處理 效率檢討에 관한 硏究 : 西部下水處理場 高度處理 中心으로

        김일관 영남대학교 환경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se as basic data for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effective sewage disposal plant, by investigat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moval efficiency of nutrients and the quality of treated water of the existing standard activated sludge process,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advanced treatment process and change in property of inflow quality of water of the Seo-bu sewage treatment plant that is hard to achieve the target process quality of water and with serious change in inflow quality of water for treatment, by highly concentrated nitrogen contained in night soil of the Seo-bu night soil treatment plant and life sewage of the other districts- western, southern, Dalseo-gu, Dalseong-gun of Daegu- being flowed in. The scale of the Seo-bu sewage treatment plant is 520,000㎥/day, and the treatment zone area is 44.73㎢, the population of treatment is 3,050,000 people, and the effluent water is connected to Nakdong River through Daemyeong Stream. The applied advanced treatment process was classified and set up into- Denitrifying zone/Anaerobic zone, Anaerobic zone, Anoxic zone, Anoxic zone/Aerobic zone and Aerobic zone- that can remove nitrogen and phosphorus biologically at the same time, by improving the existing expiration group facility into bio-response group. After introducing the advance treatment process according to it, each operation factor was analyz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1) In the change in T-N, T-P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inflow BOD change, the higher the concentration of the inflow BOD concentration, the T-N, T-P removal efficiency increased; and as for the T-P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BOD/T-P ratio, the removal efficiency was higher, the higher the BOD/T-P ratio. 2) In the BOD, CODMn, SS, T-N, T-P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change in water temperature, the removal efficiency was high the higher the water temperature, and there was a tendency of the T-N and T-P increasing in removal efficiency when the MLSS concentration was high. 3) Among the observation period, the F/M ratio change range was 0.22∼0.41day-1, with an average of 0.33day-1, and the BOD removal efficiency was higher the higher the F/M ratio on the whole.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the monthly average A-SRT changed in the range of 4.1∼12.7 days and, BOD, T-N and T-P showed a comparative high removal efficiency in the range of 7∼10 days. With the low water temperature during the winter in November 2001, the longest A-SRT of 12.7 days was maintained and the removal efficiency dropped, and in November 2001 to March 2002, when the range of change of A-HRT maintained for more than 4 hours with 3.5∼4.3 hours, likewise the A-SRT, with the low water temperature of winter, as A-HRT became longer. 4) In the standard activated sludge process, there was broad change in the BOD removal efficiency according to the season, but in the advanced treatment process, the change was narrow and comparatively stable without relation to the season, with high removal efficiency. The removal efficiency of SS, likewise BOD and CODMn, the range of change of removal efficiency was low on the whole and maintained stably. 5) As for the removal efficiency of T-N, compared to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of 52.7% of the standard activated sludge process, the average advanced treatment process was 75.5%- there was 22.8% of improvement effect. In addition, even in the condition when the C/N ratio was low, it was analyzed that the target processing rate was possible to achieve; and there was 10.5% of improvement for the removal efficiency of T-P- from the average standard activated sludge process of 71.2% to 81.7% of advanced treatment process. It was analyzed that there can be great expectations for nitrogen and phosphorus removal effect in the advanced treatment process. As a result, there were improvement effects of the removal efficiency of 3.8% in BOD, 4% in CODMn and 2.4% in SS, and in particular, 22.8% in T-N and 10.5% in T-P for the removal efficiency of advanced treatment process when compared to the existing standard activated sludge process.

      • 高度에 따른 Sudangrass系 雜種의 生育, 收量 및 飼料成分 變化

        김보현 濟州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硏究는 濟州市 해안가에서 標高 685m에 이르는 地域을 對象으로 하여 標高 5m. 175m. 345m, 515m, 685m의 685m의 5개 地域으로 區分하여 Sudangrass系 雜種의 生育, 收量 및 飼料價値를 究明하기 위하여 1997年 5月 18日부터 同年 9月 29日까지 修行하였으며. 그 結果는 다음과 같다. 1. 出穗日數는 高度가 높아짐에 따라 늦어졌으며. 品種에 따른 出穗日數는 高度에 따라서 Pionoeer 988이 빨랐고, Pioneer 931이 늦었다. 2. 草長은 標高에서 가장 旺盛한 生長을 나타냈으나, 高度가 높아짐에 따라 漸次的으로 生育은 不振하였다. 3. 品種의 平均 草長은 標高 5m에서 188.1cm로 매우 길었으나, 高度가 높아짐에 따라 漸次的으로 짧아져서 685m에서는 115.cm였다. 品種에 따른 각 高度別 草長은 Pioneer 988이 길었고, 그 다음은 Jumbo였으며 Pioneer 931이 짧았다, 4. 10a當 生草收量은 標高 5m에서 品種 平均 6.802kg으로 가장 많았으나, 高度가 높아짐에 따라 높아짐에 따라 漸次的으로 減少되어 685m에서는 2.831kg으로 매우 減少되었으며, 10a當 乾草收量도 같은 傾向이었다. 5. 品種에 따른 10a當 生育收量은 모를 高度에서 S-1435가 많았고. Pioneer 931이 매우 적었으며, 10a當 乾草收量도 비슷한 傾向이었다. 6. 粗蛋白質 含量과 粗脂肪 含量은 高度가 높아짐에 따라 漸次的으로 增加되었으나, 이와는 反對로 粗纖維 含量과 粗灰分 含量은 오히려 減少되었다. 7. 葉綠素 測定値는 모든 品種이 高度가 높아짐에 따라 減少되는 傾向이었다. 品種에 따른 葉綠素 測定値는 각 高度마다 Pioneer 988이 높은 편이었고, Pioneer 931이 낮았다. 8. 草長은 10a當 生草收量·103a當 乾草收量·粗纖維와는 高度로 有意한 正의 相關을 나타냈고, 粗蛋白質·粗脂肪과는 高度로 有意한 負의 相關을 나타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altitude on the growth, yield and feed composition of four Sudangrass hybrids were grown at five altitudes (5, 175, 345, 515, and 685m) 18 May to 29 August, 1997.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s the altitude heightened, the number of days from planting to heading were delayed. The number of days from planting to heading of Pioneer 988 were shortest, but those of Pioneer 931 were longest. 2. The plant height was very vigorous at 5m altitude As altitude heightened, the growth was inclined to be poor gradually. 3. The mean plant height of cultivars at 5m was longest (188.1cm), but that of cultivars at 685m was shortest (115.5cm). 4. Fresh yield per l0a was greatest at 5m altitude (6,802kg), but was smallest at 685m altitude (2,831kg). Dry matter yield per l0a had the same tendency with fresh yield per 10a. 5. Fresh yield of S-1435 at every altitude was greatest, but that of Pioneer 931 was smallest. 6. Crude protein and crude fat were increased gradually, but crude fiber and crude ash were decreased as altitude heightened. 7. As the altitude heightened, values of SPAD reading of all cultivars were decreased. Those of Pioneer 988 were greatest, hut those of Pioneer 931 were smallest. 8. The plant height was high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fresh yield per 10a. dry yield per 10a and crude fiber, but was highly negatively correlated with crude protein and crude fa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