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생과 교사의 고교학점제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유현경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학생과 교사의 고교학점제 경험을 통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교육의 요구를 듣고, 2025년 전면 시행 전 정책의 개 선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일반고의 학생 8인과 교사 7인을 대상으로 질적 사례연구를 진행하였다. 특히 학생과 교사가 상호작용하는 학습, 진로·진학 지도 및 생활지도의 측면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 학점제의 학습 측면에서 학생과 교사의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고교학점제의 진로·진학 측면에서 학생과 교사의 경험은 어떠한 가? 셋째, 고교학점제를 시행하는 학교에서의 생활은 어떠한가?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측면에서 새로운 교 과 개설은 학생들에게 흥미와 동기, 그리고 책임감을 주었다. 하지 만, 여전히 실제 학생들의 수요는 흥미나 진로보다 ‘입시’를 위한 과목들이었다. 한편 흥미 위주로 선택하는 학생들의 경우는 기본 교과 기피 현상과 함께 기초학력의 저하를 가져왔다. 교과목 다양 화의 이면에는 교과 통합성과 계열성을 무너지고 있었다. 평가 측 면에서도 미이수자가 생기면 그 부담은 담당 교사가 혼자 해결해 야 하는 업무가 되어, 교사는 미이수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평가 수준을 낮추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학교 간 연계한 공동교육과정 이 운영되고 있으나, 이는 기본적으로 특목고와의 차이, 지역에 따 른 소규모학교와의 차이가 있었다. 둘째, 진로·진학의 경우, 진로 탐색 프로그램들이 다양화되어, 학생들이 진로에 대해 탐색할 기회가 많아졌다. 이러한 경험을 통 해 진로를 확정한 학생들은, 수행평가와 진로를 연계하며 학생부 종합전형에 지원하려고 준비를 하고 있었다. 하지만 진로를 정하 지 못한 학생의 경우, 수행평가에서 진로와의 연계에 어려움을 느 꼈다. 학생기록부에서 불이익을 얻을 것이라는 불안감과 수시를 포기해야 하는 절망감을 느끼고 정시로 가려는 학생들도 있었다. 또는 진로가 없으니, 아예 쉬운 선택 과목을 선택해 점수를 따거 나, 들은 과목들에 진학을 맞추는 주객전도로 진학에 활용하고 있 었다. 학생들은 전반적으로 학교 내 진로 관련 전문 상담이 부족 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셋째, 학교생활 측면에서 교사는 상담에서부터 행정까지 모든 것 이 담임의 업무라는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문·이과 통합과 고교학 점제 시행으로 담임 반에도 담임 과목을 듣지 않는 학생들이 생기 면서, 조회나 종례 시간 외에는 담임과 소통하기 어려운 상황이 많았다. 이동 수업 시간이 많아지면서 반 친구들끼리 만나는 시간 도 적었다. 학생과 교사 모두 학급 간 소통과 공동체 활동이 줄어 든 것을 안타까워했고, 인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인식하고 있었다. 이처럼 고교학점제는 시험의 부담이 없는 자유학기제와 다르게, 진로가 수행평가와 연계되고 성적에 반영되며 나아가 입시와 연결 되기에 학생과 교사들은 큰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진로를 정한 학생들은 미래와 진로를 연결하여 긍정적 효과를 가져왔지만, 진 로를 찾지 못한 학생들은 어려움과 혼돈을 경험하였다. 교사들은 학업 지도 측면에서 ‘다 과목 교사’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생활 지도와 진로지도 측면에서는 ‘담임’으로서의 역할에서도 혼란을 겪 고 있다. 심지어 학업 지도에서 자신감을 잃고, 생활지도와 진학 지도에 버거움을 느끼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점은 다음과 같다. 먼저 학습 측면에 서는 첫째, 학교 간의 격차 완화와 연계가 필요하다. 특목고와 일 반고의 격차 완화를 위한 노력과 더불어 소규모학교를 위한 프로 그램, 강사 등의 지원과 학교 간의 교류 시스템도 필요할 것이다. 둘째, 기초학력 안정화가 필요하다. 교과 다양화는 사실상 교과의 단편화와 기본 교과 기피 현상을 초래하여, 학생들의 기초학력과 독해력 저하를 가져왔다. 이를 위한 교육 과정적 측면에서 기본 학력을 뒷받침하는 방향으로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미이수 자의 책임 교육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 미이수자를 학교나 교사 에게만 ‘책임’으로 요구할 것이 아니라, 이에 관해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 차원의 구체적인 논의와 방안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진로·진학 측면에서는 첫째, 중학교와의 실질적 연계가 필요하다. 학생들이 고교학점제와 선택 과목을 미리 알고 고등학 교에 입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대학입시와 연계되어야 한다. 학생들에게 대학입시는 자신의 학업에 대한 평가이자 결과 이다. 대학 입시 제도와 학교에서 수업하는 고교학점제가 전혀 다 른 방향으로 진행된다면, 그 혼란은 고스란히 학생들에게 부담이 될 것이다. 최근 <2028 대학입시제도 개편안 확정>이 발표되었는 데, 이러한 대학입시제도 개편과 고교학점제도가 잘 맞물릴 수 있 도록 보완과 개선이 필요할 것이다. 셋째, 진로·진학 측면에서 학 생별 맞춤형 개별상담이 필요하다. 학생에게 진로와 진학 정보를 제공하는 것만이 아니라, 자신을 이해하고 자신에게 맞는 진로와 진학을 결정할 수 있도록 맞춤형 상담을 위한 지원이 요구된다. 마지막으로 학교생활 측면에서 첫째, 교사를 위한 행정업무자, 수업 강사, 상담교사 등 인력 지원이 시급하다. 지금과 같은 교사 의 과중한 업무 상태로는 고교학점제가 지속해서 운영되기 어렵기 에 교사와 교육 현장을 위한 폭넓고 세심한 지원이 요구된다. 둘 째, 학생들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교사 지원을 통해 소외되는 학 생들이 언제든 찾아갈 수 있도록 조력해야 한다. 이는 교사들 간 의 협력을 통한 생활지도가 더욱 요구된다. 셋째, 학생들이 교과목 의 다양화뿐만 아니라 학습경험의 다양화를 느낄 수 있도록 교과 외 활동과 인성 교육과 공동체 활동이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학 습뿐만 아니라 학생을 전인적 인간으로 길러내기 위한 공교육의 역할과 교육의 방향에 대해 교육구성원 전체의 고민이 필요하다. 주요어 : 고교학점제, 학생과 교사의 경험, 학습 측면, 진로·진학 측 면, 학교생활, 고교학점제 개선 방안 학 번 : 2022-27023 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teachers regard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Particularly, case studies were conducted on aspects of learning, career and further education, and school life.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rom a learning perspective, students felt interest and responsibility through subject diversification, and the classroom atmosphere was enthusiastic. However, due to facility and teacher shortages, the diversification tended towards 'realistic' rather than tailored approaches, and subject offerings were often geared towards college entrance exams. Especially in small schools, it seemed challenging to diversify subjects or participate in collaborative educational programs. In evaluations, teachers expressed concerns about non-completion, leading to a lowering of standards, while students showed a tendency to perform adequately in classes and assessments, perhaps due to ease in achieving high grades, thus exhibiting a lack of engagement. Teachers also expressed concerns about students' interest-driven subject choices leading to a decline in fundamental academic skills, undermining the coherence of th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career and further education, with the proliferation of exploration programs, students were finding career paths and preparing for further education during class time. However, students who couldn't find or changed their career paths faced difficulties and perceived themselves as being disadvantaged. Some students resorted to easy subjects or tailored their course selection to fit into their desired career paths. Teachers also lamented this situation. It appeared that students needed more exploration of their own interests and aptitudes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r career paths. Regarding school life, both students and teachers didn't place much emphasis on the meaning of 'class' and often found their classmates and teachers unfamiliar and somewhat distant. Students found it challenging to engage in personal or career counseling with homeroom teachers. Teachers, with frequent class rotations, also found it challenging to advise students on unfamiliar majors for further education. Relationships were strained, and there was a lack of character education or community activities. Hence, both students and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school as a small society and felt the need for social education. These results demonstrate unintended side effects of initiatives pursu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necessitating not only efforts at the student, teacher, and school levels but also crucial support from educational authorities.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policy improvements are required in the following areas concerning learning, career and further education, and school life: First, regarding learning, efforts are needed to reduce disparities between schools in terms of subject offerings and teaching quality. Support programs, instructors, and activities for small schools are crucial. Additionally, there is a need for a system for schools to share their high school credit system operation data and educational programs. Second, stability in fundamental academic skills is essential. Educational interventions should focus on bolstering basic skills affected by the aversion to fundamental subjects. Third, supporting responsible education for non-completion is necessary. Rather than holding schools or teachers accountable, specific discussions and measures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education authority levels are needed regarding students who do not complete their studies. Regarding career and further education, first, practical linkage with middle schools is necessary. High schools and nearby middle schools should collaborate to provide students with explanations abou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elective subjects. Second, enhancing alignment with university admissions is essential. Given recent announcements regarding university admissions reform, how this aligns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quires further on-site research. Third, personalized individual counseling for each student is necessary for career exploration and further education, focusing on self-awareness and aptitude. Lastly, regarding school life, first, administrative support and personnel are needed for teachers. Support for career counseling teachers to share the workload and administrative staff for administrative tasks is urgent. Second, supporting counselors and homeroom teachers to ensure the emotional well-being of students is crucial. Additionally,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for life guidance is needed. Third, promot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character education, and community activities to diversify learning experiences require efforts at the school level, supported by educational authorities.

      •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고교학점제 및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인식 연구

        이주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고교학점제 및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을 위한 인식을 연구하여 특수교육 현장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 적용을 위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고교학점제 및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기본적인 인식 및 참여 경험은 어떠한가? 둘째, 고교학점제 적용을 위한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고교학점제 및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 편성·운영 방향에 관한 기대 인식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국 고등학교 특수학급에 재직 중인 교사 246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통계적으로 검증하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은 Likert 5점 척도에서 3.04로 나타났다. 고교학점제 참여 경험에서 특수교사는 주로 교실 이동 및 공강 시간 생활 지도에서의 어려움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에 참여하는 학급은 주로 특수학급 간 거리를 중심으로 구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에 대한 기대 인식은 Likert 5점 척도에서 3.62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는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 편성·운영 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진로 흥미와 적성을 고려한 다양한 과목의 편성·운영을 주된 목표로 하였으며, 주로 진로 및 직업과 관련한 교과(목) 또는 수업을 편성·운영하기를 희망하였다. 또한 최소 성취수준 보장을 위한 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인식하였으며,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고교학점제 및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을 지원하기 위한 기구의 필요도를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첫째,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정착과 실행을 위하여 특수교사의 인식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고교학점제 및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시 교실 이동, 공강 시간 생활 지도, 특수학급 간 이동 등에 관한 구체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정착과 실행을 위하여 교사 외적 차원에서의 지원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고교학점제 및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 편성·운영은 특수교육대상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에 기여할 수 있으며 진로와 직업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성취평가제를 바탕으로 한 특수교육대상학생의 학습자 맞춤형 평가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일반교사와 특수교사의 공동 책무성을 바탕으로 한 지원 방안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2025년 고교학점제의 전면 도입에 앞둔 교육 현장에 특수교육대상학생을 위한 고교학점제 및 특수학급 간 공동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위한 정책 및 연구 과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고교학점제에 대한 학생 인식 연구 : 평가방식과 평가공정성을 중심으로

        문수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 공통과목의 상대평가(내신 9등급) 방식을 이미 경험했고, 2학년 1학기에 자신들의 진로나 대학 전공의 필요에 따른 진로선택 과목을 수강하며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을 경험한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이 고교학점제 정책, 상대평가(내신 9등급) 방식과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 평가방식의 공정성 및 각 평가방식에 대한 인식이 평가방식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그들의 목소리를 들어보고자 하며, 그 의견을 바탕으로 개선 방안을 제언하고자 하는 데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고교학점제, 학생 평가방식, 평가공정성 및 평가공정성 인식에 대한 다양한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또한, 설문조사를 위해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이해 및 인식 영역, 상대평가(내신 9등급) 방식에 대한 학생 인식 영역,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에 대한 학생 인식 영역, 평가방식의 공정성에 대한 학생 인식 영역으로 설문지를 구성하여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실시 하였고, 설문지는 설문 문항의 적합성을 검증하기 위해 타당도 및 신뢰도 분석을 하였다. 설문분석을 통해 나타난 결론과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고교학점제 정책에 대한 이해 및 인식은 어떠한가? 과목 선택 시 가장 중요한 기준 1순위에 학생들은 성취수준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진로와 대학 전공의 필요를 선택했고, 고교학점제 시행 기대효과 1순위에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맞는 다양한 과목 수강 및 원하는 과목 수강으로 학생이 자발적으로 학습하고 싶은 마음이 더욱 강화됨을 선택했다. 따라서, 고교학점제를 통해 학생이 자신의 진로나 대학 전공과 연계한 다양한 과목을 소신껏 선택할 수 있도록 학생 개별 진로 및 학업 상담을 강화하고 다양한 교과목을 개설할 수 있는 지원 시스템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고교학점제 내신 평가방식인 상대평가(내신 9등급) 방식에 대한 학생 인식은 어떠한가? 내신 등급이 중상 이상(1∼3등급)인 학생들과 성취수준이 A, 그리고 학업 계획을 수립한 학생들은 상대평가 방식의 긍정적 측면을 발견했다. 반면에, 상대평가 방식의 경험 요소와 상대평가 방식이 학생들의 진로선택 과목 선택에 미치는 영향 요소에 대해 학생들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고교학점제에서 진로선택 과목에만 적용되는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을 전 학년 전 과목에의 도입을 더 이상 미루어서는 안 될 것이다. 셋째, 고교학점제 내신 평가방식인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에 대한 학생 인식은 어떠한가?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의 경험 요소에 대해 내신 등급, 성취수준과 학업 계획 수립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내신 등급 상(1∼2등급) 학생들을 제외한 내신 등급 중상 이하(3∼9등급)의 학생들은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의 경험이 긍정적이었고, 특히 내신 등급 중상(3등급) 학생들은 더욱 그러했다. 절 대평가(성취평가) 방식이 학생들의 진로선택 과목 선택에 미치는 영향 요소에 대해 내신 등급 상(1∼2등급) 학생들에게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교육의 본질적 기능 회복, 고등학교 내신제도로서의 성취평가제의 역할 및 진로선택 과목 선택에 미치는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은 고교학점제의 정책적 취지 및 목표에 부합하는 학생 평정 방식이라는 인식으로의 전환이 절실히 필요하다. 넷째, 평가방식의 공정성에 대한 학생 인식은 어떠한가?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들을 제외한 학생들은 상대평가(내신 9등급) 방식의 기대 공정성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학업성적이 높은 학생들을 포함한 모든 학생은 상대평가(내신 9등급) 방식의 지각된 통제감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결과를 통해 고교학점제에서의 학생 평정방식으로 상대평가(내신 9등급) 방식을 계속 선택하는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평가방식의 공정성에 관한 관심이 늘어가고 있는 지금,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현장 안착을 위해 학생들이 자신이 평가받는 평가 결과 기준이 명확하고 이 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노력을 지원하는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으로의 전환을 적극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제한점을 가진다.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연구자가 근무하는 일반 고등학교에 속하는 학생으로 특목고, 특성화고, 자율고, 기타 학교에 속하는 학생에게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한계를 가지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타당도와 신뢰도를 갖춘 설문지로 양적 연구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변수에 따른 인과관계를 밝힐 수 없었고, 심층면담을 통한 학생들을 관찰할 수 없었다. 마지막으로 단기간 집중적으로 설문조사 하였기에 연속적인 종단연구가 필요해 보인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처음으로 고교학점제 정책의 평가방식인 상대평가(내신 9등급) 방식과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각 평가방식의 평가공정성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 는지를 그들의 목소리를 통해 직접 듣고 실증 분석을 했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의 기대공정성과 지각된 통제감에 대한 인식을 높이기 위한 정교한 절대평가(성취평가) 방식의 설계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제언하고 싶다.

      •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운영 사례 연구 : 경기도 지역 선도학교를 중심으로

        윤혜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727

        고교학점제는 학점제를 기반으로 학생들이 희망하는 진로·진학과 관련하여 스스로 교육과정을 설계하는 제도이다. 본 논문은 경기도 지역의 고교학점제 선도학교에서 1년 이상 근무한 음악교사 6명을 대상으로 FGI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목적은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운영 현황을 분석하고, 관련 교사 인식을 조사하여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운영 개선 방안에 대해 고찰해보는 데 있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고교학점제는 제도 도입의 과도기이기 때문에 교육과정상의 여러 변화에 따라 학교 현장에서의 혼란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제도 및 선택 과목의 안내와 교사의 전문성 증진, 체계적인 학생 관리 방안 마련, 교사의 의견을 반영한 지원 확대를 제안하였다. 둘째, 음악 교과와 대학 입시 제도와의 연계가 강화될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음악 교과의 성적을 대학 입시제도에 반영하는 두 가지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셋째,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재구성이 이루어질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음악 감상과 비평>과 관련된 교육과정 및 교과서 재구성 방향과 이수 권장 및 가능 시기의 조정을 제안하였다. 넷째, 학생들의 과목 선택권을 존중하되 일정한 기준을 설정할 필요성이 존재하였다. 따라서 음악 단일 편성으로 시수를 부여하고 음악 선택 과목 안에서 학생들의 자율적인 선택권을 부여하는 방안과 원만한 협의를 위한 교사의 노력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은 음악과의 고교학점제 선도학교의 사례 조사 및 교사 인식에 대한 교육 현장의 직접적인 경험이 담긴 연구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또한 고교학점제의 2023년 단계적 도입과 2025년 전면 도입에 따른 운영 현황을 파악하고, 활성화 방안에 대한 후속연구로 이어져 성공적으로 음악과의 고교학점제가 운영되기를 기대한다.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llows students to design their own curriculum based on their interests and career plans. This study conducted FGI interviews with six music teachers who worked for a year or longer at leading school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music department and assess how the system is perceived by music teachers, so as to derive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has caused some confusion because it is still in a period of transition and brings many changes to existing policies. This study proposed to provide information on the system and subject selection, enhanc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develop measures for systematic student management, and expand support in consideration of feedback from teachers. Second, there is a need to strengthen the link between the music curriculum and university entrance exam. Two measures were proposed to reflect high school music grades in university admissions. Third, there is a need to reorganize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directions for reorganization of the curriculum and textbooks related to the Music Appreciation and Criticism subject, recommendation of subject completion, and adjustment of possible completion period. Fourth, subject selection criteria should be established while respecting students’ right to choose their own subjects. The proposed measures were to assign credit hours solely to music subjects, grant student autonomy within the scope of music electives, and for teachers to exert efforts to provide related consultat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nvestigating leading school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assessing the actual experiences and perceptions of music teachers. With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eing phased in in 2023 and fully implemented in 2025, the findings are expected to encourage follow-up research and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oper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the music department.

      •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미술교과 교원 및 선택 수요자 요구조사 : 서울특별시·경기도 일반고등학교를 중심으로

        이도희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논문은 교육부의 중·장기적 고등학교 교육체제 개편 정책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미술교과 교원과 선택 수요자의 교과 요구를 조사·분석하여 학점제형 학사제도 구현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교육의 시행 방안을 마련하는 데 연구 목적을 두었다.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자신의 진로와 적성에 알맞은 희망 과목을 선택하고 수강하여 과목 교과별 최소 이수 학점과 총 학점을 취득하면 졸업을 인정하는 학사제도이다. 학생 개별화 교육과정 실현을 위한 고교학점제의 편성·운영 방향은 단위학교 자체 선택과목을 확대하는 경우와 학교 간 공동교육과정, 지역사회 연계 교육과정이 있으며 나아가 온라인 공동교육을 활성화해 지역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는 데 지원 강화하고 있다. 또한, 학생의 성장 중심 평가를 위해 성취평가제를 기반으로 한 내신 평가제도를 구축하고, 책임교육으로서 학습의 질적 성장 도모를 위한 미이수 지원방안을 마련하고 있다. 2장에서는 고교학점제를 이해하기 위한 선행연구와 정책 포럼, 연구보고서를 바탕으로 학점제의 개념과 도입 배경, 편성·운영과 평가 및 선결과제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2025년 학점제 전면 시행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교육의 구체적인 교과 운영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교원과 학생 수요조사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고등학교 미술교육은 체육·예술 영역 예술 교과[군]의 선택 교육과정으로, 일반선택과 진로선택 교과로 구분하며 일반고등학교에서는 특수목적고등학교 및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에서 개설하는 전문교과를 학교 여건에 따라 자유롭게 개설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미술과 교육과정 편성·운영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교원과 선택 수요자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3년간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소재 일반계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211개교의 미술과 교육과정 편제 현황 분석 결과, 단위학교 자체 학생 선택권 확대를 위한 방법으로 교과 영역을 별도 구분 없이 개방하여 학생들에게 선택권을 부여하거나 공동교육과정을 통해 선택의 범위를 확대하였다. 또한, 이수 기간 및 단위를 고려하여 ‘학교지정’, ‘학생선택’, ‘지정·선택 결합’ 형태로 편제하고 있었다. 과목 개설에 있어 일반고등학교에서도 일반선택 및 진로선택 교과를 넘어 전문교과를 개설할 수 있었으며, 학교마다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자율적으로 전문교과를 개설하고 있었다. 학점제 연구·선도학교의 미술교과 현황 파악을 토대로 일반고등학교 미술교과 교원 및 선택 수요자를 중심으로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교원 인터뷰 참여자들은 정책의 개념, 시행 취지에 대한 높은 인식을 보였으며, 교육제도 적합성에 관해 대입 및 학생 생활지도 측면에서 우려 사항을 표하였다. 또한, 학점제 적용에서도 미술교과를 편제하는 데 있어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일반고등학교의 특성을 고려해 미술 전공 희망자와 비 희망자가 공유할 수 있는 수업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었다. 교과 선택 수요자들은 전문교과 개설을 통해 수업을 다양하게 접하기를 희망하고 있었으며, 미술 전공 희망자의 경우 개설되는 미술교과를 통한 담당 교원과 학교 차원의 진로지도 지원을 요구하였다. 더하여 교과 개설을 기반으로 타 교과와 융합 수업 및 현장체험 수업, 학교 밖 학습경험으로 미술관 혹은 지역대학과 연계하여 이수하는 운영방안을 희망하였다. 4장에서는 3장의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 현황 파악 및 교원 인터뷰와 선택 수요자의 설문을 통해 나타난 시사점을 도출하고 그에 따른 교과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미술교과 교원과 선택 수요자 요구조사 결과의 시사점은 첫째, 학교는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학생의 과목 선택권 확대를 위해 자율적으로 전문교과를 개설하고 편제할 수 있다. 둘째, 일반고등학교의 미술교과 공교육 역할을 상기해야 한다. 교원은 미술 전공 희망자와 비희망자 모두를 위한 수업으로 학점제를 통해 교과의 다양성은 확보하되, 의무교육으로서 전공 비희망 학생들과 함께하는 수업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미술 교과 학습자는 다양한 교과를 수강할 수 있는 개설 과목 확대 및 연계 수업을 요구하였다. 전문교과 및 공교육의 역할. 학습자 수요에 맞춘 교육과정 운영방안 시사점에 따른 교과 활성화 방안은 첫째, 학습자에게 전문교과에 대한 학습 기회를 제공·확대해야 한다. 둘째, 교육과정에 기반한 미술교과 운영을 체계화하여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셋째, 미술 현장체험 수업 및 학교 밖 학습경험을 지향하여 교과 선택 수요자의 요구에 따라 확대해야 한다. 2025년 전면 시행에 따른 고교학점제의 미술교육은 교원과 학교, 시도교육청과 지역사회에서 학습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학습자 또한 학사제도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함께 미술교과를 통해 학교 자원을 활용하여 자신의 진로를 스스로 탐색하고 학업을 설계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focuses on an implementation plan for high school art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ubject needs of art teachers and elective courses taken for research purposes after the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e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for the mid-to-long-term high school education system reform policy.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an academic system that allows students to select and take desired courses that are appropriate for their career path and aptitude. The direction of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realize the individualized curriculum for students includes the case of expanding the elective subjects of each school, a joint curriculum between schools, and a curriculum linked to the local community. It is also to strengthen and support to bridge the educational gap between regions. In addition, a self-assessment system based on the achievement evaluation system has been established for a process-oriented evaluation of students. Finally, a plan to support non-completed courses is to promote quality growth for learning as a responsible education. Chapter 2 examines the concept and background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organization, operation, evaluation, and outcomes based on prior research, policy forums, and research reports to underst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this, a teacher and student demand survey was necessary to prepare a specific curriculum management plan for high school art education following the full implementation of the credit system in 2025. Art education in high school is categorized as an elective curriculum under physical education and the arts, and it can be taught as general elective subjects in most high schools and as career elective subjects in special high school and meister schools. Chapter 3 examines the current statu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and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art departments in leading schools and based on this, the needs of art teachers and elective courses taken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e of art and curriculum organization of 211 general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and leading school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for three years from 2018 to 2020, each school opened its subjects without distinction as a way to expand student choice. Students were given a choice or expanded the range of choices through a joint curriculum. In addition, in consideration of the period and unit of completion, they were organized in the form of “designated school,” “student selected,” and “combined designated and selected.” As a result, each school could open specialized subjects based on the curriculum autonomously. Based on the research on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and understanding the current status of art classes, interviews and surveys were conducted on school sites focusing on teachers and elective courses takers. Teachers interviewed displayed high awareness of the policy concept and the purpose of implementation and expressed concerns about the educational system's suitability in terms of college admissions and student guidance. They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providing general art classes that can be taken both by students who desire to major in art and those who do no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l high schools based on the curriculum. Those who demanded elective subjects wished to have access to a variety of classes by opening up specialized subjects, and those wishing to major in art requested support for career guidance at the school level by teachers through these art classes. In addition, these classes are hoped to converge classes with local universities and have field experiences and as an out-of-school learning experience with museums. Chapter 4 draws the implications from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and the status of leading schools in Chapter 3, interviews with teachers, surveys of elective consumers, and suggests ways to revitalize subjects accordingly. The implication of the survey results on the needs of art teachers and elective course taker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that first, schools can autonomously open and organize specialized courses to expand students' choice of subjects based on the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recall the role of public education in art subjects in general high schools. Teacher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art classes as compulsory for students who do not wish to major in art while securing the diversity of subjects through the credit system as classes for those who wish to major in art and those who do not. Third, learners requested expansion for open subjects and related classes for a better course selection. The role of a professional curriculum and public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plan tailored to the learners' needs is to expand and provide learning opportunities for specialized subjects to learn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 by systematizing the operation of art subjects based on the curriculum. Third, it should be expanded according to demands by aiming for field experiences and out-of-school learning experiences. Art education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will be fully implemented in 2025, will require efforts by the local community, teachers, schools, metropolitan/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local communities to create a community of learning. Therefore, students should explore their career paths and design their studies by fully utilizing these resources.

      • 고교학점제 도입과 그에 따른 진로전담교사의 역할 변화에 대한 인식

        김현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에 대한 진로전담교사의 수용 태도와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진로전담교사의 역할 변화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진로전담교사 업무 지원 방안을 도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진로전담교사의 수용 태도는 어떠한가?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진로전담교사의 역할 변화에 대한 인식의 정도는 어떠한가? 셋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진로전담교사는 수행해야 하는 업무 중요도의 변화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넷째,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진로전담교사는 수행해야 하는 업무 비중의 변화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이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경기도 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진로전담교사를 대상으로 구글 설문방식을 이용한 온라인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 조사에 131명이 응답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전담교사의 고교학점제 관련 수용 태도는 높게 나타났다. 진로전담교사는 고교학점제의 교육과정, 개념과 도입배경, 평가 순으로 높은 수용 태도를 보였다. 반면에 진로전담교사는 추진 경과에는 낮은 수용 태도를 보였다. 진로전담교사의 성별, 연령, 근무학교, 근무지역, 근무경력 및 연구·선도학교 재직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 간 수용 태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교학점제 연구·선도학교에 재직한 경험이 있는 진로전담교사가 연구·선도학교 재직경험이 없는 교사보다 고교학점제 추진 경과에 대해 긍정적인 수용 태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에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진로전담교사 집단 간 수용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전담교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진로전담교사의 역할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진로전담교사의 변인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진로전담교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진로전담교사의 업무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진학 관련 학생 상담, 고교학점제 관련 진로·진학을 연계한 학생 학업 설계서 작성, 대학입시 및 진학 전형 정보 제공, 과목 선택 및 이수 지도 업무의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변인별 분석에서 49세 이하의 진로전담교사는 50세 이상의 진로전담교사보다 진로 교육과정 운영 계획, 대학 입시·진학 전형 정보 제공, 과목 선택 및 이수 지도, 학생 학업 설계서 작성 지도 업무의 중요도 변화가 클 것으로 응답하였다. 또한, 진로전담교사 경력 5년 이하의 경력 교사는 6년 이상의 경력 교사보다 진로 교육과정 운영 계획, 과목 선택 및 이수지도, 학업 설계서 작성지도에 대한 업무 중요도가 더 커질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이 외의 항목에서는 교사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진로전담교사는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른 진로전담교사 업무 비중이 현재보다 커질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진로전담교사는 학생 상담, 고교학점제와 관련이 깊은 진로·진학을 연계한 학생 학업 설계서 작성과 과목 선택 및 이수지도 업무 비중이 커질 것으로 응답했다. 교사 집단 간 분석에서 업무 중요도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49세 이하의 진로전담교사가 50세 이상의 진로전담교사보다 진로 교육과정 운영 계획, 과목 선택 및 이수 지도, 학업 설계서 작성 지도 업무 비중의 변화가 클 것으로 응답했다. 또한, 경력 5년 이하의 경력 교사가 6년 이상의 경력 교사보다 진로 교육과정 운영 계획, 과목 선택 및 이수지도, 학업 설계서 작성지도에 대한 업무 비중이 커질 것으로 응답하였다. 더불어 여성이 남성보다 학생 진로 심리검사 실시 및 활용 업무 비중이 더 커질 것으로 응답하였다. 이 외의 변인에서는 교사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교학점제 「음악 이론」 수업방안 연구 : 대중음악을 중심으로

        유진주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27

        A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develops every year, innovative alterations like automatic driving car are emerging in overall society. With this drastic technologic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various curriculums and guides about career & learning-designing are needed in public education in order to student himself can find his own career as well as develops his own career in various fields (Ministry of education 2021.)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the system that makes some alters, so that make customized- lesson possible which is varied by students individual career course and his aptitude. This study is aim to develop lesson instruction plans about ‘[music theory] subject’ which is among music curriculums by reflecting the introduc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considering high school student who want to specialize in practical music as a target. So I composed lesson mainly with theory and activity, utilizing Korean pop song which is included in text book. The method of teaching and learning suggested in this study is targeting academic high school students who wants to specialize practical music, and premises that basic musical theory can be educated by utilizing popular music. So, method of teaching that suggested in this study is focused on broaden the width of knowledge about musical theory, by utilizing study contents that corresponding 3 fields which are ‘meaning of music’, ‘components of music’, ‘music notation’ among 5fields of [Music theory] subject. And this process is mainly conducted by utilizing Korean popular music. Methods of teaching of this study is made up by 16stages, concerning high school credit system, beginning with the understanding of basic music theory by utilizing popular music, and ending with activity that making musical program refer to certain genre of Korean popular music. By suggesting lesson plan ‘Music theory’ which utilizing popular music, it became possible to contribute to develop student`s competence that proper to his aptitude, and to foster learner with self-directed disposition and creativeness. And also, by appling ‘popular music-utilizing theory’ which was lacked in established education field to teaching, it`s expected to offer some help to academic high-school students regarding setting their career. Hope that by this study, many studies on various lesson method become conducted actively in order to students themselves can make their own career plan and go through to the purpose of credit-system. 매년 정보통신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인공지능, 자율주행 자동차 등과 같이 사회 전반적으로 혁신적인 변화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와 같은 급격한 기술의 발전과 경제 성장에 맞춰 공교육에서도 다양한 분야에 대한 탐색을 거쳐 학생 스스로 진로를 설정하고 개척해 갈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교육과정과 진로·학업설계 안내가 필요하다(교육부, 2021). 학생의 개별 진로와 적성에 따라 맞춤형 수업이 가능하도록 변화를 주는 제도가 고교학점제이다. 이러한 고교학점제 도입을 반영하여, 실용음악 전공을 원하는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본 연구는 음악 교과 중 「음악 이론」과목의 수업 지도방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교과서에 수록된 우리나라 대중가요를 활용하여 이론수업과 활동 위주의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수업 지도방안은 고교학점제를 시행하는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 중 실용음악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며, 대중음악을 활용하여 음악 기초이론을 학습할 수 있는 것을 전제로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수업 지도방안은「음악 이론」과목의 내용 체계 5가지 영역 중 ‘음악의 의미’와 ‘음악의 구성요소’, ‘기보법’ 총 3가지 영역에 해당하는 학습 내용을 교과서에 수록된 우리나라 대중음악을 활용하여 음악 이론에 대한 지식의 폭을 넓힐 수 있는 활동을 중점으로 한다. 본 연구의 수업 지도방안은 고교학점제 교육제도에 맞춰 총 16차시로 구성하였고, 우리나라 대중음악을 활용한 음악 기초이론의 이해를 시작으로 마지막 차시에는 우리나라 대중음악의 한 장르를 바탕으로 음악 프로그램을 만들어보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대중가요를 활용한「음악 이론」과목의 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함으로 인해, 고교학점제 교육제도의 취지에 맞게 학생 개인의 적성에 맞는 능력을 계발하고 자기주도성과 창의적인 특성을 갖춘 학습자를 양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존 교육현장에서 부족했던 대중음악을 활용한 이론을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실용음악을 전공으로 하고자 하는 인문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선택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본 연구를 계기로 하여, 고교학점제 취지에 맞게 학생 스스로 진로를 설정하고 개척해 갈 수 있도록 다양한 음악 장르를 다루는 수업 지도방안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 고교학점제에 대한 공립 일반 고등학교 교원의 인식

        이유정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727

        이 연구는 고교학점제에 대한 공립 일반 고등학교 교원의 인식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고교학점제 도입을 준비하는 인천광역시에 있는 공립 일반 고등학교 두 곳을 선정하였고 각 학교에서 교장, 교감, 부장, 평교사의 직위별로 연구대상자를 선정하여 인터뷰하였다. 질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심층면담과 현상학적 연구방법 이용하여 인터뷰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 일반 고등학교 교원들은 고교학점제에 대해 전반적으로 높은 이해도 지니고 있었다. 학생의 선택을 강화한다는 면에서는 고교학점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앞으로 나아갈 교육의 흐름이라는 것에도 동의했다. 그러나 부정적인 면으로는 우리나라의 현재 교육환경에서 고교학점제를 바로 도입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것과 제반 환경이 잘 준비되어 있지 않다는 것이 있었다. 둘째, 고교학점제 도입을 위해 실제 학교 현장에서는 많은 변화와 노력이 있었다. 교원의 인식 변화 및 학교문화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었으며 학생선택이라는 취지에 맞추어 선택과목의 수를 늘리고 있었다. 또한 학교환경의 개선을 위해 힘쓰고 있는 모습이었다. 셋째, 선결과제로는 다교과 지도에 따르는 어려움 해소, 교원양성 및 교원 선발 제도의 변화, 강사 지원, 온라인 수업 등 다양한 학습 채널의 제공이 필수적이다. 또한 절대평가로의 변화, 융통성 있는 학사운영, 교과교실제에 최적화된 학교환경의 조성, 교과 담당 교사의 권한 강화 및 항상 공부하고 소통하는 학교문화의 정착 등이 있다.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고교학점제의 도입 및 성공적인 안착을 위해 현장의 교원들은 학점제에 대해 상당히 잘 이해하고 긍정적인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으며, 변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고교학점제의 실현을 위해서는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다교과 지도 가능한 교원 양성, 학사운영, 수업 면, 행정 면, 학교 환경면에서 많은 변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how public high school teachers awar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achieve this, two high schools that prepare to apply the school credit system to their schools were selected among public high schools in Incheon city. In each school, subjects were chosen by their positions; principals, vice-principals, and regular teachers. The study is conducted by qualitative research and consists of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d by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 is the following: First, the subjects generally showed a high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redit system. In terms of reinforcing students’ choices on their curriculum, the subjects perceived the system positive and they also agreed that the system will be the mainstream in the education field in the nearest future. On the other hand, it is discovered that current surroundings in our education system are not well-prepared to adapt school credit system. Second, lots of efforts are being made to change in the actual schools. There were lots of efforts to change teachers’ awareness and to improve school culture. The number of elective subjects was enlarging. Also, the schools had high interests in improving their school surroundings. Third, there existed tasks to be solved beforehand: relieving the stress caused by teaching different subjects at once, the necessity of change in teacher training and selection system, hiring auxiliary instructors, and providing a variety of learning channels such as on-line. Also, the application of absolute evaluation, flexibility in adjusting academic calendar, improvement of the school environment, and creating a communicative atmosphere can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To sum up, school faculties understand the school credit system very well and have a positive view of this phenomenon. Most of all, they are trying their best to make a change in a good way. However, to actualize the school credit system in our schools, there must be lots of changes preceded in the aspects of teacher training, adjustment of academic schedule, teaching methods, administration, and school environments.

      • 뉴질랜드 선택 교육과정 운영이 우리나라 고교학점제에 주는 시사점 탐색

        박운재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7

        고교학점제는 학생이 과목을 선택하고 수업을 들으며 일정 수준의 성취기준에 도달한 학생에게 학점을 부여하고, 과목별 학점이 누적되어 기존에 정해 놓은 최소 졸업 학점에 도달하는 학생에게 졸업을 인정하는 고등학교 운영체제이다. 고교학점제는 최근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단순한 지식과 기술을 습득하는 것이 아닌 창의성과 문제해결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필요성에 바탕에 두고 있다. 즉, 모든 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선택하는 학생 맞춤형 교육과정을 통해 경직되고 획일적인 교육으로부터 벗어나 유연하고 개별화된 교육을 제공하여 실질적으로 학생의 성장을 돕고자 하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2025년에 본격적으로 도입되고자 하는 고교학점제에 대한 것으로 기존에 여러 학자들로부터 논의된 선행 연구들을 분석·검토함으로써 고교학점제라는 것이 어떤 배경 속에서 출현하게 되었으며 학년제에 따른 교육과정 이수와는 무엇이 다른 교육정책인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발표된 논문들과 관계 부처에서 발표한 문서 및 기고문들을 분석하고, 다양한 논의거리들을 확인하였다. 나아가 우리나라보다 앞서 역량중심 교육과정에 따른 고교학점제를 시행하고 있는 뉴질랜드의 고등학교 운영 사례를 찾아 검토함으로써 우리나라 고교학점제 도입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로 학교 교육과정은 학생들에게 다양한 과목들을 제시하고 그 안에서 자신의 진로에 맞는 과목들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양한 과목의 제공은 진로가 명확히 정해져 있거나 그렇지 않은 학생들에게 모두 진로를 탐하는 과정에서 관련 영역에서의 심화학습을 할 수 있거나 다양한 영역의 교과 학습을 통해 자신의 진로를 찾을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기 때문이다. 둘째로 초등학교부터 중학교에 이르는 시기 학생들에게는 필수과목을 위주로 과목을 이수하도록 하고, 고등학교에 진학해서는 진로나 흥미를 고려하여 보다 심화된 학습을 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선택과목 위주로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해야 한다. 더불어 고2, 고3 학년의 경우 학생들이 듣게 되는 과목의 이수 단위를 늘리고, 이수해야 하는 과목의 수를 줄인다면 학생들이 겪고 있는 학업에 대한 부담도 해소시킬 수 있고, 학생의 진로에 따른 심화학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로 필수교과는 교과별이 아닌 교과군으로 제공하여 학생들이 필수적으로 과목을 들어야 할 때 학습 수준이나 흥미에 따라서 다양한 교과목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지금까지 누구에게나 ‘동일한 수업’, ‘동일한 내용에 대한 평가’를 강조한 나머지 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저마다 다른 학업적 역량을 올바르게 평가하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필수과목으로 영어를 개설하였을 때 학생들의 영어 실력을 고려해 심화, 보통, 기초로 구분하여 선택할 수 있도록 하거나 영어, 영미문학, 영어회화와 같이 영어 과목에서도 특별히 관심이 있는 분야를 선택해서 과목을 들을 수 있도록 하고, 듣는 과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수했을 때는 모든 학생이 학교생활기록부에 같은 과목으로 인정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고교학점제는 학생들이 선택한 과목의 학점을 이수하고 졸업 요건에 해당하는 학점을 취득했을 때에만 졸업이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과목 이수에 대한 기준을 명확하게 정해야 한다. 또한 특정 과목 평가에서 일정 점수 이상을 받지 못할 경우 학생들이 학점을 취득하지 못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이수하지 못했을 경우 구제할 수 있는 재이수의 기회를 제공해야 한다. 나아가 무학년제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학년에 관계없이 자신이 듣고 싶은 과목을 선택해서 들을 수 있도록 하는 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