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약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장현화 청주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influence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in military contract department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For thi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responsiveness and certainty was highest in terms of educational service quality. This suggests that the degree to which professors provide various feedbacks to students about the lecture contents and the degree to which students are confident about the content of the lecture are highly correlated. Second,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in the military contract department was found to affect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students and graduat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ffective and norma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influenced by reliability, empathy, and tangibility. This is due to strict admission to the military contract department curriculum, management of the bachelor's degree, smooth communication between professors and students,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of the lecture room, and the educational atmosphere of the department. And that they may also increase their loyalty, self-esteem, and organizational loyalty and self-efficacy. Third, the university is an educational institution that provides education services, and it should provide appropriate education places and facilities and equipments for the students who are in demand. In addition, through this, satisfaction should be provided to the university, and students' opinions should be positively reflected to create an environment that constitutes awareness of the nation and society. In this process, the role of the educator, that is, the professor, is especially important and it is necessary for the students to provide satisfaction with the majors through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students. Fourth, the competence of the professors belonging to the military contract department affects the students' definition, tenacity and normative commitment, and also has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diffusion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in the organization. Therefore, the professors need to clarify the educational philosophy by accurately understanding the nature and purpose of the education of the military contract department. Military contracting professors need to understand that students are engaged in a military occupation, and it is necessary to run clear and specific lectures to that level.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performance of education through various lectures such as theoretical lectures and practical lectures, and announcements related to the defense business. Fifth, in order to maintain the strictness of the operation of the military contract department and to continuously develop it,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integrated evaluation tool that can evaluate the operation level of the military contract department. In order to continuously develop the military contract department that entered the fleet, a continuous evaluation and feedback system should be prepared. To do this, a tool to evaluate the operation level of the military contract department should be preceded. Sixth, administrative support for military contract students should be expanded and education infrastructure should be improved and accessible. In orde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secure full-time administrative manpower, to support students by strengthening the guidance function of the contract department, to improve the educational facilities, and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of the student support facilities for the student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e implications of the empirical analysis and suggest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on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Especially, military contract department education will be used as basic data to provide organizational commitment. 본 연구는 군 계약학과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독립변수인 교육서비스 품질의 하위 구성요소를 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 등으로 구분하고, 종속변수인 조직몰입의 하위 구성요인을 정의적 몰입, 근속적 몰입, 규범적 몰입 등으로 구분하여 실증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 품질 측면에서 반응성과 확신성의 상관관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수들이 강의내용에 대해 학생들에게 각종 피드백을 제공하는 정도와 학생들이 교수의 강의내용에 대해 확신을 갖는 정도는 상관관계가 매우 크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군 계약학과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군 계약학과 재학생 및 졸업생들의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독립변수인 군 계약학과 교육서비스 품질 중 신뢰성 및 공감성, 그리고 유형성의 영향 정도에 따라 정의적 조직몰입과 규범적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군 계약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엄정한 출결 및 학사관리, 그리고 교수와 학생 간 원활한 의사소통, 강의장 시설 및 장비, 그리고 학과의 교육분위기 등의 정도에 따라 군 계약학과 재학생 및 졸업생들이 해당 부대에서 조직에 대한 애착심, 행복감, 자부심, 그리고 조직에 대한 충성도 및 자기 효능감도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셋째, 대학은 교육서비스를 제공하는 교육기관으로 수요자인 학생들에게 적절한 교육장소와 원활한 수업진행을 위한 시설과 장비를 제공해야한다. 또한, 이를 통해 대학에 대한 만족도를 제공하고 학생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국가와 사회에 대한 인식을 구성하게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교육자, 즉 교수의 역할이 특히 중요하며 학생들과의 원활한 소통으로 학생들이 전공에 대한 만족도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군 계약학과에 소속된 교수들의 역량이 학생들의 정의적, 근속적, 규범적 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학생들이 조직 내에서 조직몰입의 확산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교수들은 군 계약학과에 대한 교육의 본질과 목적을 정확하게 이해하여 교육철학을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군 계약학과 전공 교수는 학생들이 군이라는 직업에 종사하고 있다는 점을 깊이 이해할 필요가 있으며, 그 수준에 맞는 명료하고 명확한 강의를 운영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이론 강의와 실무 강의를 병행하고, 국방업무 관련 사례 발표 등 다양한 교육기법을 통하여 교육의 성과를 높이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군 계약학과 운영의 엄격성을 기하고 지속적으로 발전할 수 있기 위해서는 군 계약학과 운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통합적인 평가도구 개발이 요구된다. 현재 정착기에 진입한 군 계약학과가 지속적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평가와 피드백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군 계약학과 운영 수준을 평가할 수 있는 도구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여섯째, 군 계약학과 학생들이 학업에 몰입할 수 있도록 이들에 대한 행정지원이 확대되어야 하고, 교육 인프라 개선 및 접근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구체적으로 전임 행정인력을 확보하고 계약학과 안내 기능을 강화하여 학생들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교육시설을 개선하고 학내 학생 지원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 학생들의 편의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을 도출하여 군 계약학과 교육서비스 품질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향후 연구를 위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군 계약학과 교육이 조직몰입의 성과를 제공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16세기 《은대(銀臺)회도》와 《만력임오합사(合司)회도》 연구

        박효정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논문은 새롭게 발굴된 <은대계회도>와 <만력임오합사계회도>를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이다. 계회도가 가장 유행하였던 16세기에 제작된 이 작품들은 회화사적으로 완성도가 높을 뿐 아니라, 두 작품 모두 임진왜란 이전의 창덕궁을 묘사하여, 조선전기 궁궐의 모습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승정원 관료들의 모임을 그린 <은대계회도>는 좌목에 두 계원이 전직관료로 표기된 점과, 명종실록에 이 두 사람이 동시에 다른 곳으로 관직을 제수받았다는 기록으로 미루어 ‘전별연(餞別宴)’의 목적으로 모임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은대계회도>의 제작 시기는 세 가지의 단서를 바탕으로 ‘1560년’으로 도출해 보았다. 첫 번째는 두 명의 계원이 관직을 제수받은 날짜 1560년 8월 19일과 두 번째는 명종이 창덕궁에 머물렀던 1560년 7월 27일에서 1561년 9월 26일, 마지막으로 1560년 9월 19일에 제작된 <서총대친림사연도(瑞蔥臺親臨賜宴圖)>와 <은대계회도>의 좌목에 기록된 ‘윤근수’의 관직이 일치됨을 통해 제작 시기를 추론해 보았다. <은대계회도>는 누각의 전경을 중심으로 그렸으므로 화면을 차지하는 배경산수의 비중이 다소 작다. 그러나 산수표현에서 ‘응봉’과 ‘보현봉’을 그려 넣어 실경적인 요소를 반영하였다. 특히 보현봉을 좌측에 부각하여 편파구도화 한 점, 근경을 강조하고 중 · 원경을 대담하게 안개 속에 생략한 점, 그리고 여백을 두어 넓은 공간을 암시한 점 등에서 ‘마하파’ 적 요소가 두드러진다. <은대계회도>에 묘사된 누각의 표현은 1830년 이전에 제작된 <동궐도(東闕圖)>와 비교하여, 창덕궁의 임진왜란 전 · 후 건축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동궐도>에는 인정문이 단층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계회도에는 중층으로 표현된 것, 두 번째는 인정문의 좌우 행각(行閣)의 모서리 위의 ‘십자각(十字各)’ 역시 <은대계회도>에만 그려 있다. 마지막으로 계회도에 표현된 ‘어도(御道)의 박석’과 인정문 축대의 ‘막돌쌓기’ 기법 또한 임진왜란이전의 창덕궁에서만 볼 수 있는 건축요소이다. <만력임오합사계회도>는 ‘萬曆(만력, 1573∼1620)’연간 ‘壬午(임오, 1582)’년에 ‘합사(合司)’ 즉, 사헌부와 사간원의 합동 계회를 기념하여 제작되었다. 이 작품의 배경산수는 한양의 주산인 ‘백악산’으로, 백악산이 갖는 뚜렷한 이미지를 ‘상징적 표지물’로 계회도에 반영하였다. 특히 백악산 본모습을 거의 그대로 재현하여 실경에 대한 표현 의지를 엿볼 수 있다. 백악산 전체에 담묵으로 묘사된 단선점준과 함께 희미하게나마 나타나는 묵면의 ‘흑백대조’는 16세기 산수화의 영향과 무관하지 않음을 시사한다. 또한, 화면 전체에 진한 연무는 조선 중기를 대표하는 양송당 김지(金禔, 1524∼1593)의 <연운산수도>를 연상시킨다. <만력임오합사계회도>의 계회배경은 이 시기의 논쟁적 사안이었던 ‘정릉의 전례문제(典禮問題)’ 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요한 단서로 그림에 묘사된 조선시대와 계회장면에서 확인된다. 조선시대는 궐내에서 열린 공간이며, 마당에 양사가 함께 정좌한 모습은 임금을 향한 일종의 강력한 의사 표시를 위한 ‘양사합복(兩司伏閤)’ 을 연상시킨다. ‘정릉의 전례문제’ 는 태조의 계비였던 신덕왕후(神德王后)의 시호와 존호를 복귀하고 정릉을 회복해야 한다고 주장한 논쟁으로, 이 시기의 선조실록에 양사의 합계상소가 6개월여 동안 26회, 즉, 선조연간 전체 32%를 차지한다. 이러한 논쟁적인 사안으로 하여금 양사의 결집을 더욱 필요로 하였고, 계회도의 형식을 빌려 기록물로 남겼던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newly unearthed <Eundae Kyehoedo(銀臺契會圖)> and <Manryukimohhapsa Kyehoedo(萬曆壬午合司契會圖)>. These works produced in the 16th century when kyehoedo was most popular have high completeness in the history of painting and both of the two works described Changdeokgung(昌德宮) before it was burned du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so they are important data through which the appearance of the palace in the early Joseon can be assumed. In <Eundae Kyehoedo> that drew Seujeongwon(承政院) staff meeting, judging from the records that two persons were marked as ex-employees on the attendance roster and the two were assigned to a different place at the same time in the annals of King Myeongjong, the meeting was held for the purpose of ‘a farewell party.’ The production period of <Eundae Kyehoedo> was drawn as ‘1560’ based on the following three clues: first, the date of appointment of the two employees, August 19, 1560; second, the period between July 27, 1560 and September 26, 1561 when King Myeongjong stayed in Changdeokgung; and lastly, the coincident position of ‘Yun, Geun-Soo’ recorded in the attendance roster of <Seochongdaechinlimsayeondo(瑞蔥臺親臨賜宴圖)> and <Eundae Kyehoedo> produced on September 19, 1560. <Eundae Kyehoedo> was drawn centering around the view of the palace, so the proportion of ‘landscape painting’ is somewhat less. Yet, in terms of the expression of mountains, life-size ‘Eungbong(鷹峰)’ and ‘Bohyeonbong(普賢峰)’ were partially drawn. In particular, ‘Maxiapai(馬夏派)’ elements are noticeable in that it drew Bohyeonbong biased to the left, that it emphasized the view from the front and omitted distant scenery in the mist, and that it suggested a spacious room. In <Eundae Kyehoedo>, from the expression of the palaces depicted, architectural differences in Changdeokgung before and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could be identified compared to <Donggwoldo(東闕圖)> produced prior to 1830. First, in <Donggwoldo>, Injeongmun(仁政門) was expressed in one story while in kyehoedo, it was expressed in two stories; Second, ‘Shipjagak(十字閣)’ at the corners of the left and right Hanggak(行閣) of Injeongmun also was drawn only in <Eundae Kyehoedo>. Lastly, ‘flagstones(薄石)’ of the roadways for king’ and ‘rubble masonry(雜石積工)’ technique of Injeongmun embankment expressed in kyehoedo also are the architectural elements that can only be seen in Changdeokgung prior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Manryukimohhapsa Kyehoedo> was produced to commemorate the joint meeting of ‘Hapsa(合司),’ that is, Sahunbu(司憲府) and Saganwon(司諫院) in ‘Imo’(임오: 1582) on ‘Manryuk(만력: 1573∼1620).’ The landscape of this work is ‘Baekaksan(白岳山)’ the central mountain in Hanyang, and the sharp images of Baekaksan were reflected as ‘a landmark’ in kyehoedo. Especially, it reproduced Baekaksan almost intactly, through which the artist’s will of expression for the real thing can be suggested. The contrast between black and white appearing though vaguely along with Danseonjeomjun(短線點皴) described in Dammuk(淡墨) in the entire Baekaksan suggests an impact of the 16th century landscape painting. In addition, on the dark haze of the entire painting reminds us of <Smoking landscape painting(煙雲山水圖)> by Yangsongdang Kim, ji(養松堂 金禔; 1524 ∼ 1593) representing the mid-Joseon period. It is assumed that the meeting in <Manryukimohhapsa Kyehoedo> was held because of ‘Rite(典禮問題) of Jeongneung(貞陵)’ a controversial issue during period. It is an important clue which are found in the meeting place and the meeting scene depicted in the painting. The meeting place is a very open space inside the imperial court, and the image of Yangsa(兩司; Sahunbu and Saganwon)sitting together in the yard reminds us of ‘Yangsahapbok(兩司伏閤)’ for a kind of robust expression of opinions toward the king. ‘The precedent issue regarding Jeongneung’ is a controversy that some insisted on the restoration of a posthumous epithet(諡號) and eulogistic posthumous title(尊號) of Queen Sindeok, a royal concubine of King Taejo and restore Jeongneung, and appeal together(合啓上疏) of Yangsa in the annals of King Seonjo during this period were raised 26 times for about 6 months, which takes up 32% of appeal together of Yangsa(合啓上疏) during the entire reign of King Seonjo. These controversial issues further necessitated the meeting of Yangsa and it is judged that they were documented in the form kehoedo.

      • PC 고유동화제의 합성과 시멘트 내에서의 유동특성

        채은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시멘트/콘크리트 분야에서 고강도, 고유동 또는 고내구성 콘크리트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고유동화제가 필수적인 재료가 되었다. 고유동화제는 시멘트 입자를 분산시키고 분산된 상태를 안정화시키므로, 시멘트의 고유동화를 촉진시키거나 또는 물/시멘트 비를 낮출 수 있다. 고유동화제의 주성분은 폴리나프탈렌설포네이트(Polynaphthalene sulfonate, PNS)계에서 폴리에틸렌옥사이드(Polyethyleneoxide, PEO)가 graft 사슬로 구성된 폴리카복실레이트(Polycarboxylate, PC)계로 전환되는 추세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이 PC계 고유동화제가 가지는 특징들 때문이다.1) 적은 첨가량으로도 높은 유동성을 얻을 수 있다.2) 유동성의 유지능력이 우수하다.3) 분자구조를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다는 점 등이다.이와 같은 장점들을 살리기 위해서는 고유동화제의 기본적인 구조를 이해하고, 분자 구조가 시멘트 페이스트에 미치는 영향성을 체계적으로 인지하고 있을 때 정확한 사용량과 적절한 용도에 적용할 수 있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C계 고유동화제의 화학 구조가 시멘트 계의 분산성에 미치는 영향성을 규명하고자 PC계 2원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공중합체 확인 및 시멘트 계에서의 전환율과 흡착, 유동특성을 평가하였다. 측쇄(graft chain)로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 ate(PMEM, Mn=2080)을 사용하였고, 주쇄(main chain)로는 Acrylic acid(AA)와 Methyl acrylic acid(MAA)를 사용하였다. 그리고, 시멘트페이스트 내 수화 반응에 미치는 영향성을 평가하고 분석하기 위해 각각의 시편을 만들어 재령(1일, 3일, 28일)별로 적외선 분광법(FT-IR), X-선회절분석(XRD), 주사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고 시멘트 모르타르 특성을 평가하고자 압축강도를 측정을 실행하였다. 부가적으로, 플라이 애쉬가 일정부분 치환된 시멘트 계 내에서 PC계 고유동화제를 첨가 후 공기량과 유동특성을 평가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FT-IR을 분석 결과를 통해 3,000-2,800cm-1에서 나타나는 C-H 신축진동, 1,470cm-1에서의 C-H 굽힘진동으로 PEO 그룹의 -CH3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고, AA와 MAA의 3,400-2,500cm-1에서의 카복시산에 의한 O-H 신축진동, 1,700cm-1, 1,320-1,210cm-1에서 각각 카복시산에 의한 C=O 신축진동과 C-O 신축진동으로부터 카복실기의 존재와 PC계 공중합체의 합성상태를 확인할 수 있었다. 공중합체의 평균 분자량(Mw)은 17,000~37,000 정도였고, Polydispersity(PDI)는 2.4~3.3, 그리고 공중합체의 전환률은 60~95% 였다. 주쇄의 종류에 따른 Mw와 전환율은 공중합 반응 시 유도효과, 입체적 장애 효과 때문에 AA>MAA계 순서로 감소했다. 주쇄의 몰 비 증가에 따라 Mw는 감소하는 반면, 전환율은 높아졌다. 동일 화학구조에서 주쇄의 몰비 증가에 따라 시멘트 입자상에 흡착량은 증가했고, 화학 구조 내의 탄소 함량과 상대적으로 낮은 중합도 때문에 AA계와 비교해 MAA계 공중합체가 높은 흡착 특성을 나타냈다. 주쇄의 종류에 따른 유동성은 AA>MAA계 순으로 감소했고, 몰 비가 높아질수록 카복실기 밀도 증가로 주쇄의 흡착과 측쇄의 확장이 용이하기 때문에 초기 유동성은 개선되었다. 수화 반응에서 재령 1일에서는 다소 수화 반응 속도가 지연되었으나, 시간 경과에 따라 수화 지연은 완화되었으며 AA의 몰 비가 증가할수록 PC계 고유동화제의 수화 지연성은 커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주쇄 몰비 증가에 따라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 강도 또한 수치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플라이 애쉬 치환율이 증가할수록 공기량과 유동성은 감소하였고, 미연탄소분이 3%에서 8%로 증가함에 따라 미연탄소분에 의한 공기량/유동성 감소폭이 컸다. Superplasticier have been required a material for manufacturing high-stren gth, high-flow, high-durability concrete in cement & concrete research. Superplasticizer could be reduced to the amount of additive or the ratio of water/cement. The main ingredient of superplasticizer have been transfered from PNS(Polynaphthalene sulfonate)type to PC(Polycarboxylate)type. The reason why that PC-type superplasticizer have next reasons.1) That can be obtained high-flow performance through low amount of additive2) That have a good maintenance performance of the flow3) That can be controlled naturally the molecular structure of thesuperplasticizerAs the following reasons, we shall do to apply exact the amount used and adaptable purporse if we can be aware of basic structure of superplasticizer and the effect of molecular structure in cement paste.Thus, in this study, It have been synthesized for PC-type copolymers to research effect of chemical structure of PC-type superplasticizer, in the dispersion of cement matrix and to verify conversion rate, adsorption amount , flow property of the copolymer and to check up the polymerization in cement paste or mortar. PC-type copolymers were synthesized using Polyethylene glycol methyl ether methacrylate(PMEM, Mn=2080) to differ ent mole ratios of mono-carboxylic acid (AA : Acylic acid, MAA : Meth acrylic acid). To investigate effects of PC-type copolymers on hydration of cement, experiments involving FT-IR, XRD, SEM have been analysed with cement paste specimens to 1, 3, 28 days. And to investigate of property of cement mortar, have been analized compresive strength. In addition to involving PC-type copolymer on fly ash based system, could acquired air content and flow property. As a resul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PC-type copolymer synthesis was found when there were C-H expansion vibration in 3000-2800cm-1 and C-H bending vibration in1470cm-1 and expansion vibration in 3400-2500cm-1 by FT-IR. The average molecular weight(Mw), Polydispersity(PDI), and conversion rate of PC-type were 17,000 to 37,000, 2.4 to 3.3 and 60 to 95% respectively. Because of the polymerization reaction have Inductive effect and Steric effect, the conversion rate and Mw according to the type of main chain reduced to AA>MAA type. While the Mw reduced according to decrease of graft chain and increase main chain in molar ratio, the conversion rate increased. As the density of carboxyl group(COO-)increases according to increase main chain in molar ratio and decrease graft chain in the same chemical structure, the adsortion amount on cement particles increased. The flow according to the type of main chain reduced in the order of AA>MAA type, and the initial flow was enhanced as enlargement of graft chain and adsorption of main chain were easy because the carboxyl group density increased as the molar ratio increased. The hydration reaction rate of cement paste was slightly delayed at 1 day, due to increase in molar ratio of〔AA〕/〔PMEM〕, it was recovered in the days after and the copolymer was active, because of low carboxylic acid content. PC-type copolymers applied 2AA-type were fastest copoly mer on hydration reaction of cement paste to 3 day and the more AA mole ratios increased, the more hydration was retarded. As a increase of main chain mole ratio, have been increased compressive strength. As a increase of amount of fly ash, have been reduced air content and flow property and loss of air content/flow property were more increased than that of results.

      • 지(桂枝), 도인(桃仁), 망초(芒硝) 혼합물의 항관절염 및 항염효과

        이지원 경희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목표 류마티스 관절염 연구에 널리 쓰이는 동물모델과 염증약물 기전연구에 활용되는 대식세포에 대하여 桂枝(Cinnamon Cortex), 桃仁(Persica Semen), 芒硝(Mirabilite) 혼합물의 항관절염 및 항염증 효과를 알아본다. 방법 관절염 실험에 사용한 동물은 7주령 수컷 DBA/1J 마우스이며 각 군은 7∼8 마리로 구성되었다. 관절염을 유도하지 않은 정상군(Normal group), 관절염을 유도하되 생리식염수를 투여한 대조군(Control group), 桂枝, 桃仁, 芒硝 혼합물을 투여한 군(100 mg/kg, 500 mg/kg group)으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Bovine type II collagen 면역주사를 이용하여 관절염을 유도하였으며, 실험 1일부터 38일까지 하루에 1회 주 3회씩, 100 mg/kg과 500 mg/kg의 桂枝, 桃仁, 芒硝 혼합물을 경구투여하였다. 마우스의 관절염 진행 상태를 육안적 및 조직학적으로 관찰하고, 혈액 내 B세포, T세포 비율, 콜라젠 항체, TNF-α, IL-6, PGE2의 농도를 측정하였으며, lipopolysaccharides(LPS) 자극 대식세포에서 NO, iNOS, COX-2, MAPKs 활성과 IκBα 분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1. 桂枝, 桃仁, 芒硝 혼합물은 콜라젠 유도 관절염 마우스에서 관절염 발생을 억제하였으며 저농도(100mg/kg)에서 더 강하게 억제하였다. 2. 桂枝, 桃仁, 芒硝 혼합물은 콜라젠 유도 관절염 마우스에서 마우스 족부 관절 활막 내 염증세포의 증식을 억제하고 연골조직과 관절강을 잘 보존하였다. 3. 桂枝, 桃仁, 芒硝 혼합물은 콜라젠 유도 관절염 마우스에서 혈액 내 T 세포와 B 세포 비율이 모두 증가시켰으나 혈액 내 콜라젠 항체 양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桂枝, 桃仁, 芒硝 혼합물은 콜라젠 유도 관절염 마우스에서 혈액 내 TNF-α, IL-6 생성을 감소시켰다. 5. 桂枝, 桃仁, 芒硝 혼합물은 콜라젠 유도 관절염 마우스에서 혈액 내 PGE2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였으나, LPS 자극 대식세포에서 COX-2 생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지 않았다. 6. 桂枝, 桃仁, 芒硝 혼합물은 LPS로 자극한 대식세포에서 NO 분비와 iNOS 유전자 발현을 억제하였고 IκBα의 분해와 ERK1/2와 p38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결론 桂枝, 桃仁, 芒硝 혼합물은 콜라젠 유도 관절염의 진행을 막으며, LPS 자극 대식세포에서 NF-κB의 신호를 억제하였다. 따라서 桂枝, 桃仁, 芒硝 혼합물은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대한 보조제로 활용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키워드 : 桂枝, 桃仁, 芒硝, 류마티스 관절염, 콜라젠 유도 관절염, 대식세포, 염증성 사이토카인 Objective Some characteristic symptoms of rheumatoid arthritis(RA) correspond to what Oriental traditional medicine has designated as blood stasis. Among the many herbal agents used for blood stagnation, we chose Cinnamon Cortex, Persica Semen and Mirabilite(CPM) and examined the anti-arthritic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the mixture of three herbal agents. Methods DBA/1J mice with collagen-induced arthritis(CIA), an established model for RA, were administered CPM for 38 days. Peritoneal macrophages isolated from C57BL/6 mice were pre-treated with CPM in vitro and stimulated with lipopolysaccharides(LPS) for 15 min. Results 1. Oral administration of CPM significantly reduced the arthritic scores of CIA mice. 2. Histological analysis revealed the protective effect of CPM on inflamed joints. 3. Serum levels of the pro-inflammatory markers TNF-α, IL-6, PGE2, but not anti-collagen antibodies, were significantly reduced. 4. CPM did not affect the activation of JNK but inhibited phosphorylation of ERK1/2 and p38. Also, CPM inhibited LPS-induced IκBα degradation, a required event prior to the translocation NF-κB to the nucleus. Conclusions The ameliorating effect of CPM on arthritis progression seems to be mediated by its anti-inflammatory effect, without affecting antibody response. As a supplementary agent, CPM could be beneficial for treatment of RA. Key words : Cinnamon Cortex, Persica Semen, Mirabilite, rheumatoid arthritis(RA), collagen induced arthritis, macrophage, inflammatory cytokines

      • 지물추출물의 염증조절과 대식세포 활성에 대한 연구

        양가은 경희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목표 본 실험에서는 동물 실험과 세포수준에서 LPS로 유도된 염증반응에 대한 계지 물추출물의 항염 기전을 규명하고 아울러 계지 물추출물을 분자량 크기에 따라 분획한 후 폴리페놀 함량과 항염 작용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계지 물추출물을 6일간 실험 쥐에 경구 투여한 후, LPS를 주입하여 전신성 염증 반응을 유도하고, 1시간 후 채혈 하여 혈청의 TNF-α와 IL-6 수치를 측정하였다. 세포실험에서 계지 물추출물과 분자량 크기에 따라 분리한 분획들의 항염기전을 살펴보기 위해 사이토카인 발현과 NF-κB와 MAP kinase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결과 1. 계지 물추출물의 경구투여는 LPS 자극에 대한 혈액내 TNF-α와 IL-6의 분비를 억제하였다. 2. 계지 물추출물은 LPS 자극에 대한 대식세포의 TNF-α와 IL-6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였다. 3. 계지 물추출물은 LPS로 자극한 대식세포에서 IκBα의 분해를 억제하였으며, 이것은 IκBα 인산화 이후의 과정에서 일어났다. 4. 계지 물추출물은 LPS로 자극한 p38, JNK, ERK1/2의 활성을 억제하였다. 5. 분자량 크기에 따라 계지 물추출물을 분획한 결과 3 kDa 이하 분획의 수율이 가장 높았으나, 폴리페놀 함량은 10 kDa 이상의 분획에서 가장 많았다. 6. 분자량 크기에 따라 나눈 분획 중 10 kDa 이상의 고분자 분획이 IκBα의 분해 및 p38, JNK, ERK1/2의 인산화를 억제하였다. 결론 계지 물추출물은 동물실험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하며, 세포 수준에서는 폴리페놀 함량이 높은 고분자 분획에서 소염 작용이 나타난다. 키워드 : 계지, 항염작용, 수용성 폴리페놀, 대식세포 Obj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 vivo and in vitro inhibitory effect of cinnamon water extract(CWE) on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inflammatory cytokines and its underlying intracellular mechanisms. Methods CWE was orally administrated to mice for 6 days prior to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LPS. Serum levels of tumor necrosis factor(TNF)-α and interleukin (IL)-6 were determined 1 hour after LPS stimulation. Peritoneal macrophages from thioglycollate-injected mice were isolated and assayed for viability, cytokine expression and signaling molecules upon LPS stimulation. CWE was further fractioned according to molecular size, and the levels of total polyphenols and anti-inflammatory effect of each fraction were measured. Results The oral administration of CWE to mice significantly decreased the serum levels of TNF-α and IL-6. CWE treatment in vitro decreased the mRNA expression of TNF-α and IL-6. CWE blocked the LPS-induced degradation of IκBα as well as the activation of JNK, p38 and ERK1/2. Furthermore, size-based fractionation of CWE showed that the observed inhibitory effect of CWE in vitro occurred in the high-molecular size fraction which containing the highest level of total polyphenols. Conclusions Treatment with CWE decreased LPS-induced TNF-α and IL-6 in serum. In vitro inhibition of TNF-α and IL-6 gene by CWE may occur via the modulation of IκBα degradation and JNK, p38, and ERK1/2 activation. Our results also indicate that the observed anti-inflammatory action of CWE may originate from the polyphenol-rich high molecular weight fraction. Key words : cinnamon, anti-inflammatory activity, water soluble polyphenols, macrophages

      • 조선 전기 비(繼妃) 선정의 변천과 그 의미

        윤혜민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조선시대에는 왕비가 사망하거나 지위를 박탈당했을 때, 왕비의 지위를 이어받는 ‘繼妃’를 들였다. 繼妃는 성리학 이념이 정착되면서 등장한 개념이었다. 본고에서는 선조대까지로 시대를 한정하여 ‘조선 전기 繼妃’를 연구 대상으로 삼았으며, 繼妃 선정의 변천을 통해 당대의 시대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繼妃 선정 방법은 중종의 두 번째 繼妃인 문정왕후를 선발할 때 큰 변화를 보였다. 문정왕후 간택 이전에는 후궁 중에서 繼妃를 선발하여 승격시켰고, 문정왕후 때부터는 繼妃를 외부에서 새로 간택하여 선정하였다. 조선 초기에 후궁 출신의 繼妃가 선정될 수 있었던 것은, 당시 후궁의 위상이 비교적 높았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으로 보인다. 안순왕후ㆍ폐비 윤씨ㆍ정현왕후ㆍ장경왕후가 후궁 출신의 繼妃였다. 이들은 궁중에서 생활해 본 검증된 처자였기에 왕실에서의 선호도가 높았다. 중종의 繼妃 문정왕후 선정 때는 繼妃를 외부에서 간택하는 큰 변화가 일어났다. 이것은 성리학 이념의 정착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후궁 朴氏에 대한 경계와 元子의 보호와 같은 현실적 요인이 결합되면서 이루어진 결과였다. 문정왕후가 외부에서 간택되면서, 왕의 혼례식에 처음으로 親迎禮가 등장하였다. 親迎禮의 도입은 성리학적 이념의 구체적 실천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전기가 되는 사건이었다. 이후, 선조의 繼妃가 된 인목왕후의 경우에도 문정왕후 때 행해진 외부 간택과 親迎禮가 계승되어 시행되었다. 이로써 繼妃를 외부에서 선정하는 것이 새로운 관행이 되었고, 親迎禮도 완전히 정착될 수 있었다.

      • 戒體觀에 대한 불교윤리학적 연구

        김현진 동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concept of the precept substance has undergone significant changes in its meaning through the history of Buddhism since the very beginning of the formation of the vinayapi&#7789;aka. It is also often referred as the unexpressed (無表) or the uncreated (無作) in the texts of early Buddhism in India. The term, precept substance (계체, 戒體), was coined only after the teachings of the vinayapi&#7789;aka were introduced to the Chinese Buddhists. Therefore, it seems natural that the concept of the precept substance had been interpreted with remarkable differences cor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Buddhist thoughts. In this paper, the precept substance is investigated as of material (r&#363;pa), non-material non-mind (ar&#363;pa acittat&#257;), and mind (cittam). For the Sarv&#257;stiv&#257;dins, since the unexpressed moral entities are part of material, they are formed when Buddhists receive precepts and remain as a materialistic power of the mutually related karma. According to the Material-Mind Mutual Influence theory (色心互熏設) of the Sautr&#257;ntika (輕量部), it is not clear whether the b&#299;ja precept substance is material or mind. They accept non-self and at the same time objects outside. Consciousness-only school suggests that the objects seen, including the b&#299;ja precept substance, are all arising in the mind. However, these understandings are all in common in that they accept that a sort of precept substance is formed when they take precepts. Taking precepts in the early Buddhist period was taking a kind of universal norm in India, which may be compared to the golden rule in many religious traditions. However, it is different from simply following a utilitarian moral law because by taking precepts the precept taker forms precept substance. And by taking different precepts, precept takers form different precept substances. It is also suggested in this paper that the precept substance is the power of forcing us to keep the precepts as well as the power of keeping the precepts. Therefore, the concept of precept substance is quite different from Utilitarian rules in that it has inner basis of the ethical judgment. It is also different from Deterministic norms in that it accepts universal laws according to individuals. Here is a great possibility of the precept substance as an alternative breakthrough for the modern ethics, which has been lost its ways forward in the dead end of determinism and in the swamps of utilitarianism.

      • <축일기>의 소설적 특성

        박정은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Gyechukilgi> which deals with secret stories of the court in Joseon Period including <Hanjungrok> and <Inhyunwanghujeon> has been highly recognized as having great literary value. It has some stories occurring for 20 years as follows: Queen Mother Inmok was selected as the second queen; she had babies of Princess Jungmyong and Prince Yongchang; and King Injo's restoration. This study clarifies the genre of <Gyechukilgi>, examines what reasons features of the genre are revealed on, structures of the story and the author's attitude to stories. Then it identifies the reasons and aspects of the conflicts in the stories, and what ways are used to express the author's intention effectively in order to find values of the story as a novel. <Gyechukilgi> was described centered on what happened in the period governed by Gwanghaegun, but this study considers the genre of the work as a novel it has strong nature of a novel. It deals with part of the history, but it is considered as the court novel in that it used the place where the public could not make an easy access as a background. The discussion on the author was made in various viewpoints, but this study considers the author of the novel as follows: princess Jungmyong who was smart and had outstanding writing skill collected what Queen Mother Inmok wrote and data of that time and wrote the novel based on the testimony of the court ladies who served for Queen Mother Inmok. The princess who was devoted to her parents wrote it to console her mother and used expressions of court ladies to give reality to the novel. The structure of the <Gyechukilgi> is composed in consecutive order. It is chronologically structures as most of the classical novels are, but it does not describe stories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with some changes in time. Stories of the past are inserted into stories or stories of future are presented in advance, which breaks chronological order and highlights the effect of epic. <Gyechukilgi> describes stories according to time flow, but the entire plot focuses on Gwanghaegun's enthronement, Imhaegun's conspiracy, Gyechuk- oksa(Death In Prison), and Confinement to Seogung. Therefore, the reasons of main conflicts in happenings in it and developmental aspects of the conflicts are roughly categorized into two: conflicts between Gwanghaegun who had no legitimacy and other princes, and his opposition against Queen Mother Inmok. The conflicts were derived from legitimacy, which deteriora- ted in the process to maintain absolute power and were released by external reasons. <Gyechukilgi> is a novel with background of historical events, but as it was reorganized to show the author's intention, its falsity is remarkable. Such falsity indicates that it has a feature as a novel rather than a simple record of facts. The characters are real, but Gwanghaegun is reborn as a representative evil person and Queen Mother Inmok as a representative good person. It reflects the author's intention to accuse evil behaviors of Gwanghaegun and his followers, and inform of suffering and good behaviors of Queen Mother Inmok and her followers. <Gyechukilgi> is highly recognized as one of highly valuable representative court literary works including <Hanjungrok> and <Inhyunwanghujeon>. It describes life of suffering in the court in the novel,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development of novel literature. It mainly uses dialogues to dynamically develop stories and inserts letters to describe changes in psychology of characters. It has a great meaning in history of literature in that it was written in woman's perspective and sublimed woman's grief into a literary work. <Gyechukilgi> contains stories on the court ladies who played important part in the court, which are not available in historical or public records. It has ancient words and terms used in the court, which is considered as important data for research on special language, and it is very helpful for research on Korean used in middle ages in that it used pure native tongues. <계축일기>는 <한중록>, <인현왕후전>과 더불어 조선시대 궁중의 비사를 소재로 다룬 작품으로서 많은 문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작품이다. 선조 말 인목대비가 두 번째 왕비로 간택되어 정명공주와 영창대군을 출산하는 것부터 인조반정까지 약 20년간의 이야기를 담고 있다. 본고에서는 <계축일기>의 장르를 명확히 하고, 장르의 특성을 잘 나타내주는 근거가 무엇인지 살펴보고 작품의 구조와 작자의 작품화의 태도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작품에 나타나는 갈등의 원인과 양상에 대하여 살펴본 뒤 작자가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어떤 방식을 사용하였는지 등을 살펴봄으로써 작품이 소설로서 가지는 가치를 고찰해 보았다. <계축일기>는 조선시대 광해군대에 일어난 계축옥사라는 실제 일어난 사건을 중심으로 서술된 기록적 성격이 강한 수필로 볼 수도 있겠지만 작품 속에 소설적 성격이 강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필자는 작품의 장르를 소설로 설정하였다. 소설 중에서도 역사의 한 부분을 다루기는 했지만, 그 중심이 궁중으로 일반 백성들은 접근하기 힘든 곳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근거로 궁중소설로 보았다. 작자에 관한 논의는 나인설, 인목대비설, 정명공주설 등으로 다양한 시각에서 이루어졌는데 필자는 <계축일기>의 작자를 총명하고 뛰어난 문장력을 갖추었던 정명공주가 인목대비가 쓴 글과 당시의 자료들을 수집하고 훗날 당시의 일을 회고하며 인목대비를 모셨던 나인 중에 살아남은 자들의 증언을 토대로 하여 썼다고 보고 나인은 서술자의 위치로 작품에 등장한 것이라고 보았다. 또한 효심이 강했던 정명공주가 인목대비를 위로하기 위해 쓴 것으로 작품에 사실성을 부여하기 위해 나인들의 표현을 사용하여 나인들이 쓴 것처럼 하였다고 설정하였다. <계축일기>의 구조는 사건이 발생한 순서에 따라 기술하는 순차적인 구조로 되어있다. 고전소설의 대부분이 그렇듯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내용을 서술하는 연대기적 구성으로 되어 있는데 단순히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건을 서술한 것이 아니라 시간의 변화를 주는 구조로 되어 있다. 시간의 흐름에 따라 사건을 서술하다가 과거의 이야기를 현재의 이야기 중간중간에 삽입하거나 미래의 일을 사전 제시하면서 연대기적 질서를 깨뜨리고 서사의 효과를 부각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계축일기>는 대체적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술된 작품이지만 전체적인 줄거리를 살펴보면 광해군의 즉위, 임해군의 역모사건, 계축옥사, 서궁 유폐 등의 사건을 중심으로 기술되어 있다. 그러므로 <계축일기>에 나타난 사건을 중심으로 하여 작품에 나타난 주된 갈등의 원인과 갈등의 전개 양상을 보면 크게 두 가지로 나타난다. 정통성을 갖지 못한 광해군과 다른 왕자들의 갈등, 절대 권력을 사이에 둔 광해군과 인목대비의 대립이다. <계축일기>는 정통성 문제에서 갈등이 파생했고, 권력자가 자신의 절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에서 갈등이 심화되며 외부에 의해 갈등이 해소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계축일기>는 장르가 소설이기 때문에 역사적 사건을 배경으로 하였지만 작자가 자신의 의도를 드러내기 위하여 재구성하였기 때문에 허구성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이러한 허구성은 <계축일기>가 단순한 사실의 기록이 아닌 소설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또한 등장인물도 실존인물을 등장인물로 설정하였지만 작자의 의도에 의하여 새로운 성격을 가진 인물로 재탄생하게 된다. 이것은 작자의 창작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악인인 광해군과 그의 측근들의 악행을 고발하고 선인인 인목대비와 그의 측근들의 고난과 고통을 후대에 알리고자 하여 새로운 인물로 재탄생한 것이다. <계축일기>는 <인현왕후전>∙<한중록>과 함께 궁중문학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되고 있으며 궁중소설로서 가지는 가치가 크다. 궁중 안에서의 처절한 삶의 현장을 소설화하였고 소설문학 발달에 크게 이바지했다. 주로 대화를 통하여 내용을 전개하여 생동감 있게 내용을 전달하였고, 서간문을 삽입하여 등장인물의 심리 변화를 잘 묘사하였다. 또한 여성의 시각에서 쓰인 작품으로 여성의 한을 작품으로 승화했다는데 문학사적 의의가 있다. <계축일기>는 궁중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나인들의 이야기가 상당부분 있는데 실록이나 공적인 기록에서는 알 수 없는 이면의 이야기를 알 수 있게 해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이 작품에는 폐쇄된 사회에서만 가능한 고어와 중후하고 전아한 궁중용어가 곳곳에 나타나고 있어 특수어 연구의 귀중한 자료가 되며 순수 고유어를 사용하여 문학성을 높여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약학과에 관한 인지가 그의 기대에 미친는 영향 :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을 중심으로

        김현정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 계약학과 제도에 대한 안내와 운영현황 등을 소개함으로써 재학생들의 인지정도를 높이고 이를 통하여 그들이 진로를 선택하는데 있어서 과거의 선 취업 후 진학 중심의 진로선택이 아닌 취업과 동시에 학업을 병행 할 수 있도록 이론적 준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이 논문을 통해서 계약학과의 본질과 가치를 증진시키고 결국 제도에 대한 논리적지지 또는 준거를 제공하는게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특성화고등학교에 재학중인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계약학과에 대한 내용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인지가 기대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64명이 참여하였으나 불량한설문지와 무응답자를 제외한 231부의 설문지를 빈도분석 과 T-검증, ANOVA, 신뢰도 분석 그리고 요인간 상간관계를 이용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계약학과의 제도에 대한 지각과 계약학과의 설립취지에 대한 지각은 계약학과에 대한 기대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이 계약학과 운영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계약학과 제도에 대한 지각은 특성화고등학교에 대한 경쟁력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계약학과 설립취지에 대한 지각은 특성화고등학교의 경쟁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계약학과의 운영방법이 산업발전에 도움이 되는 인재상이나 핵심산업과의 관련성,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한 협력 등 특성화고등학교의 설립취지와 일맥상통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계약학과의 제도와 계약학과의 설립취지에 대한 지각과 수요자 진로선택에 대한 기대에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계약학과 제도에 대한 지각은 지역산업 발전의 기대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 그러나 계약학과 설립취지에 대한 지각은 지역산업 발전의 경쟁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는 계약학과의 운영방법이 산업발전에 도움이 되는 인재상이나 핵심산업과의 관련성, 맞춤형 인재양성을 위한 협력 등 특성화고등학교의 설립취지와 더불어 지역산업발전과 연결되어 있어 계약학과와 특성화고등학교 그리고 지역산업발전이 하나의 클러스터와 같이 형성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연구결과 나타난 계약학과에 대한 특성화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지와 기대성과에 대한 요구는 매우 절실하며 그 설립취지나 운영방안 등이 특성화고등학교의 설립취지와 일치한다는 점을 살펴볼 때, 새로운 모형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제도적인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This report will enhance students' awareness by introducing the information and operating status for the Contract Based Departments System. This tries to give the logical criteria to keep the employment and study not past phased career choice, higher grade after employment, while choosing the career choice. Especially through this report it is to enhance the essence and value of the Contract Based Departments. Finally it is the purpose to provide the logical support or criteria for it. Its positive analysis explained the contents of the Contract Based Departments to the three grade students in specialized high school and surveyed the impact of the result by the awareness. We got 231 sheets, outliers and nonresponse, of all 264. We took the frequency analysis, T-verification, ANOVA,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correlation of the facto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the Contract Based Departments System and its direction has significant impacts to its expectation. It shows that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have the expectations for the operation. Second, the perception of the Contract Based Departments System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acts 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school. But the perception of the direction of the Contract Based Departments has significant impacts 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school. The operation method seems to be same with the purpose of this school(competent person for industry development, relation between the core industries and cooperation for training qualified competent person). Third, the perception of the Contract Based Departments System and its direction has significant impacts to its expectation of the user's career choice. Fourth, the perception of the Contract Based Departments System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acts to the local industry development. But the perception of the direction of the Contract Based Departments has significant impacts 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local industry development. The operation method seems to be the same with the purpose of this school(competent person for industry development, relation between the core industries and cooperation for training qualified competent person). Also, due to the relation with the local industry development, the Contract Based Departments, specialized high school and the local industry development are expected to be a cluster.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urgently demand the awareness and expectation for the Contract Based Departments and the purpose of it or operation plan is the same with the purpose of specialized high school. So, we think it is necessary for positive promotion and institutional support of the new model.

      • 상호 인덕턴스 추정을 통한 자 권선형 동기 전동기의 자 전류 리플 저감에 대한 연구

        박병현 국민대학교 자동차공학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전기 동력 자동차에 사용되는 구동용 전동기의 대부분은 영구자석형 동기 전동기이다. 하지만 최근 세계 희토류 시장의 90%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의 자원 무기화 전략으로 인한 가격 상승과 수급 문제와 희토류 생산 과정에서의 환경 오염으로 인해 비영구자석형 전동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비영구자석형 전동기에는 유도 전동기와 계자 권선형 동기 전동기가 대표적이다. 그 중에서도 계자 권선형 동기 전동기는 높은 전력 밀도와 좋은 고속 운전 특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전기 동력 자동차의 구동용 전동기로 채택되고 있다. 고속 운전시에 전압 여유 확보를 위해 음의 방향으로 d축 전류를 인가시키는 약자속 제어 외에도 계자 권선형 동기 전동기는 계자 자속을 계자 전류를 통해 제어할 수 있어 고속 운전에 유리하다. 하지만 계자 권선형 동기 전동기는 고정자 d축과 계자 측이 모두 자속 발생 축으로 서로 커플링 되어있어 d축 쇄교 자속의 변화가 계자 전류에 리플을 야기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전향 보상 방식의 계자 전류 리플 저감 기법이 연구되어왔다. 해당 기법을 적용하기 위해 상호 인덕턴스 검출이 필수적인데, 현재는 전압 방정식을 이용한 계산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자속 포화, 온도 변화와 같은 구동 조건 및 실험 환경 변화 등을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가 존재한다. 본 논문에서는 슬라이딩 모드 관측기 기반의 인덕턴스 추정 방식을 제안한다. 슬라이딩 모드 제어는 시스템 상태 변수의 불확실성과 외란에 강인한 비선형 제어 방식이다. 영전류 제어 조건에서 상호 인덕턴스를 추정하는 기존의 방법과는 달리 제안하는 방법은 구동 조건과 파라미터 변동을 고려한 상호 인덕턴스 성분을 추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법에 대한 검증을 위해 Matlab/Simulink 기반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방식과의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고, 실제 실험을 통해 실효성을 검증하였다. Currently, most of the driving motors used in electric-powered vehicles are permanent magnet-type synchronous motors. However, interest in non-permanent magnet-type motors has recently increased due to rising prices, supply and demand problem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in the process of rare earth production due to China's resource weaponization strategy, which accounts for more than 90% of the world's rare earth market. For non-permanent magnet type motors, induction motors and fieldwinding synchronous motors are typical. Among them, field-winding synchronous motors are adopted as driving motors for electric-powered vehicles because of their high power density and good highspeed driving characteristics. In addition to weak speed control that applies a d-axis current in the negative direction to secure voltage margin during high-speed operation, a field-winding synchronous motor can control the field speed through a field current, which is advantageous for high-speed operation. However, the field-winding synchronous motor has the disadvantage that the change in the d-axis chain bridge speed can cause ripple in the field current because both the stator d-axis and the field side are coupled to each other as a magnetic flux generation axis. To overcome this, a field current ripple reduction technique of a forward-looking compensation method has been studied. Mutual inductance detection is essential to apply the technique, and currently, a calculation method using a voltage equation is applied. However, this method has limitations in that it does not take into account driving conditions such as magnetic flux saturation, temperature changes, and changes in the experimental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propose a sliding mode observer-based inductance estimation method. Sliding mode control is a nonlinear control method that is resistant to uncertainty and disturbance in system state variables. Unlike conventional methods of estimating mutual inductance under zero current control conditions, the proposed method can estimate mutual inductance components taking into account driving conditions and parameter fluctuations. To verify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the performance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existing method through Matlab/Simulink-based simulation, and the effectiveness was verified through actual experi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