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警察權行使關聯 法令의 具體化 方案에 關한 硏究 : 警察官執務執行法을 中心으로

        함영욱 全州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mission of the police is to maintain the public peace and orders in case of either breaking out the public orders or fearing those situations. This is a basic and essential function of a nation in a modern society. Let alone the conventional function of the police with the advances of science and technology, however, there has been more stresses on an active and constructive role of a nation to deliver, promote, and plan in all aspects of our daily lives. Therefore, the arena of police enforcement is getting narrowed with excluding some existing function from the conventional police mission. Although functions of the police are reducing, the fundamental mission of a nation is to protect citizens and communities from all kinds of risks. Furthermore, it would be fair to say that the importance of police enforcement is more emphasized as various types of dangers are coming out wit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 nation, there should be a perfect legal framework to perform an essential and basic role, i.e., a policing. There are several kinds of laws concerning a police, like 「The Police Law」, 「The Law of Performing Police Officers' Duties」. However, 「The Police Law」 is general rules of law on the police organization, and 「The Law of Performing Police Officers' Duties」deals mainly with an immediate police enforcement. These have been lots of problems in general police operations because there was no specific codes in a substantial and formal way. Also, illegal police enforcements might occur with a baseless legal ground in performing police officers' duties. That is because of a lack of aspects of general rules of law in the system of 「The Law of Performing Police Officers' Duties」 Therefore, most people feel the same way that general law on policing is necessary. That means 「The Law of Performing Police Officers' Duties」is either revised all over the surface or enacted as soon as possible. And there are some points at issue that several provisions are unreal and insubstantial in the texts. This study examines overall problems coming from 「The Law of Performing Police Officers' Duties」 among police enforcement laws, and does a systematic research. I also look into a legal system, which has not been introduced systematically, and several cases of foreign countries. I mention in this paper that a new enactment of police enforcement is necessary. And general theories of exercising police power, several concepts at issue, details of 「The Law of Performing Police Officers' Dutie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The Law of Performing Police Officers' Duties」and the 「Model Codes of Unified German Police Law」, and alternative measures are also reviewed. I hope that this study will give a good opportunity to better understand overall legal issues on police enforcement, and to start sincere researches on police enforcement laws to make alternative plans, especially in the academic world and government agencies. Lastly, I wish that police enforcement laws should be changed for the better by enacting a new police enforcement law, like 「Model Codes of Unified German Police Law」

      • 군사법경찰관(헌병)의 직무집행에 관한 연구 : 불심검문과 장구·무기사용을 중심으로

        오재경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민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하고 사회공공의 안녕과 질서의 유지를 위한 경찰행정 작용은 엄격한 법치행정 원칙이 요구됨으로 법령집행 등의 직무를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조치를 규정해야 한다.한편 평시?특별경찰집행기관인 군사법경찰관(이하 “헌병”)은 우리나라 군 내부에서 실질적으로 범죄예방 및 수사, 군 장병의 권익을 보호하는 중요한 임무를 수행하고 각종 사고예방 활동은 물론 군 범죄자를 신속하게 검거하여 유죄 판결을 받게 하는 등 사법권을 행사하고 있다.그러나 헌병의 직무와 관련된 법규는 군사법원법이 유일하며 일반 사법경찰관리와 같은 '경찰관직무집행법' 등이 제정되어 있지 못하여 헌병의 직무수행에 대상이 되는 일반 군인들은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법률도 없이 명령과 하위규정 등에 의해 신체의 자유를 침해받고 있다.따라서 헌병이 범죄수사를 함에 있어 장병과 국민 모두가 수긍할 수 있도록 헌병의 직무에 대한 법적근거를 입법화하여 명확히 규정하는 것이 장병의 인권 보장과 군의 전투력 향상에 기여하고자 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먼저 제2장에서는 군사법원법상 군사법경찰관의 의의와 군 수사기관에 대한 개념, 외국의 헌병제도와 우리나라 헌병제도를 비교하고, 헌병부대 및 군사법경찰관의 영역별 직무중 범죄수사활동, 불심검문, 사고예방 활동 등 직무를 소개하였다.제3장과 제4장에서는 군사법경찰관(헌병)의 불심검문에 대한 문제점과 개선방향과 장비·무기 사용에 대해 입법에 필요한 조문별 세부적으로 의견안을 제시하였다.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헌병의 임무수행과 관련하여 장병의 인권보호와 전투력 보존 등을 위해 합법적인 직무수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법률 제정이 시급한 실정이다. The process of police administration protects the right and freedom of citizens and preserve the peace and order of the public society. Which means the process requires a strict discipline of constitutional administration leading to a need for regulations in order to fully accomplish its duty such as the law enforcement.The military police officer(below 'military police'), a special police enforcement agency in time of peace, carries out significant duties of practically dealing with crime-prevention activities and investigations of the army, and protecting the rights and interests of the privates, also exercising jurisdiction such as swiftly arresting military criminals and proving them guilty.Nevertheless, the only legal background that is related to the duties of the military police is the Military Court Act, which is not enough, leading to the violation of personal liberty of the object, the whole military people, by orders and subordinate regulations; in absence of concrete and systematic laws. Which differs greatly from public police officers who perform their duty guaranteed by the Police Functions Act and some other legal backgrounds.In order to make people, whether military or non-military, consent to the military police performing criminal investigation, a clear prescription through legislating the legal basis of the military police duty is definitely in need. This study focuses on protecting the human rights of soldiers and enhancing the combat efficiency of the military through the legalization.Firstly, chapter 2 presents concept of the system of military investigation agency and significance the presence of military police officers has, based on the Military Court Act. This chapter also introduces the comparison between the military police system of Korea and that of other nations, and sectional duties of military police, including the criminal investigation activities, instant questioning of the suspicious and crime prevention activities.Chapter 3 and 4 examine the problems military police officers face while questioning suspicious people on spot in legal purposes followed by the possible solutions. These chapters also conclude ideas for each provisions needed for the legislation which could legally guarantee the use of equipments and weapons by the military police.In conclusion, this research strongly insists that the legislation, which enables the military police fully accomplish its functions, has to be made as soon as possible, in order to make the law enforcement actions performed by military police officers legally just, while creating the effects of protecting human rights of the privates and preserving the combat capabilities of the forces.

      • 현장경찰관의 법률분쟁 지원에 관한 연구 : 서울지방경찰청 사례를 중심으로

        이주민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현장경찰관은 그 직무집행이 형사처벌을 전제로 하거나 물리력 행사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아 언제든지 민ㆍ형사 소송 등 법률분쟁에 휘말릴 가능성이 있다. 문제는 경찰관이 민ㆍ형사 피소되었을 때, 공식적인 지원제도가 충분하지 않아 경찰관 개인이 직접 소송에 대응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경찰소송지원단ㆍ법률구조금 제도 등 경제적 지원제도는 지원대상을 정당한 공무집행 중에 발생한 민ㆍ형사 소송으로 제한하고 있어 제도의 활용성이 떨어진다. 또한, 소송지원을 담당하는 인력과 예산이 부족하여 충분한 지원이 이루어지기 어려운 실정이다. 홍보 부족으로 현장경찰관들이 법률분쟁 지원제도에 대해서 잘 모르는 경우도 많다. 이와 같은 현실은 경찰관의 소극적 직무집행을 유도할 수 있고, 이로 인한 피해는 그대로 국민에게 전가된다는 점에서 그 문제가 심각하다고 할 것이다. 현장경찰관이 법과 원칙에 따라 정당하게 직무를 집행한 경우, 그 이후 발생하는 법률분쟁으로부터 자유로워야 당당하게 직무를 집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재의 법률분쟁 지원제도는 개선ㆍ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먼저 경찰소송지원단 등 경제적 지원제도의 지원요건을 고의 및 중과실이 아닌 경과실의 경우에는 법률지원이 가능하도록 완화하고, 지원요건에 대해 명확히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각 지방경찰청의 송무관 수를 늘리고, 외국과 같이 지방경찰청에 과 또는 계 단위의 소송지원부서를 신설하는 동시에 경찰소송지원단ㆍ법률구조금 등 경제적 지원제도의 기금 규모 확대 및 최근 시행되어 현장경찰관의 만족도가 높은 경찰법률보험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재원 확보와 지원한도의 현실화를 위한 노력이 절실하다. 장기적ㆍ근본적 대책으로 외국경찰과 같이 현장경찰관 법률분쟁 지원에 관한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현장경찰관이 법령ㆍ내부규정 등에 따른 적정한 직무집행을 한 경우에는 현장경찰관에게 책임을 물을 수 없도록 민ㆍ형사책임을 면제하는 방향의 법제화가 필요하다. 특히, 현장경찰관은 주취자 처리와 관련하여 법률분쟁이 많이 발생하고 있는바, 외국처럼 주취자에 대한 보호 처리 과정에서 분쟁이 발생할 경우 민ㆍ형사 소송 및 징계책임을 사전에 면제하는 내용의 법제화도 추진해야 한다. 또한, 현장경찰관의 직무집행에 관한 내부규칙과 현장매뉴얼을 현장의 실정에 맞도록 지속해서 연구하고 개선해 나가야 한다. 아울러 법률분쟁 지원제도와 실제 지원사례를 적극적으로 홍보함으로써 경찰관들이 피소의 두려움 없이 직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경찰관의 법률분쟁을 예방하는 차원에서 평상시 법 집행 절차 및 실무적인 대응요령, 경찰의 법적 책임 및 소송절차 등에 대해 교육해야 한다. 또한, 현장경찰관들이 법률분쟁 지원제도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불편함이 없는지 지속 점검하고 제도를 개선함으로써 이 제도가 내실 있게 운영되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주제어: 현장경찰관, 직무집행, 경찰직무 특성, 직무관련 소송, 법률분쟁, 법률분쟁 지원제도, 경찰소송지원단, 법률구조금, 경찰법률보험, 송무관, 업무매뉴얼

      • 警察上 保護措置에 관한 法的硏究 : 酒醉者 保護措置를 中心으로

        백창현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3

        Gem&auml;ß §4 des Gesetzes von der Amts&uuml;bung als Polizei, darf der Gewahrsam erfolgen, wenn dies zum Schutz der Person gegen eine Gefahr f&uuml;r Leib oder Leben erforderlich ist, insbesondere weil die Person imbetrunkenen Zustand oder sonst in hilfloser Lagen befindet. Die Polizei kann die Person (Betrunkene) in Gewahrsam nehmen, wenn sie es zum Schutz der Person gegen einen Gefahr f&uuml;r Leib oder Leben unerl&auml;ßlich findet. Die gesetzliche Grundlage des Gewahrsames der Betrunkene l&auml;ßt sich neben dem Gesetz von der Amts&uuml;bung der Polizei auch in dem Verwendungskriterium der polizeilichen Ausstattungen, der Auff&uuml;hrungsregel von Beruhigungsraum, dem Strafgesetz des leichten und kriminalen Verbrechens und dem Gesetz der medizinischen Nothilfe usw. zu finden. Der Gewahrsam dient der Abwehr einer Gefahr und daher ist die unmittelbareZwangsmaßnahme angewendet. Im Falle der Haftbegleitenden Maßnahme wie der zwanghafter Schutzgewahrsam kann der Haftbefehl grunds&auml;tzlich in Frage stellen. Zu dieser Frage gibt es verschiedeneAnsichten, aber wenn es als unentbehrlich anerkannt wird, um dasVerwaltungszweck zu erzielen, kann der Haftbefehl ausgeschlossen werden. Wenn der Haftbefehl im Grundgesetz auf die Verhinderungsmaßnahme der Gefahr anwendet, kann das Zweck nicht erreicht werden. Dies ist auch von der Verfassungsgericht (31.10. 2002, 12.2000) anerkannt. In dem Schutzgewahrsam der Betrunkene liegt aber diegesetzliche Grenze von den Verh&auml;ltnisregelungen. Das bedeutet das Prinzip der Anpassung, der Notwendigkeit (Mindestverletzung) und Entsprechung. Wenn diese gesetzlichen Grenzen &uuml;berschreitet wird, dann wird es ohnehin rechtswidrig. Betrachtet man die Lage des Verbrechens in Bezug auf die Trunkenheit, betr&auml;gt der Verbrechensprozentsatz von Januar bis August im Jahr 2009 auf 22.5%. Besonders der Prozent von den Verbrechen des Gewaltt&auml;tigkeit und St&ouml;rungen der offiziellen Dienste jeweils auf 35.6% und57.4%. Die meisten Verbrechen, die die soziale Ordnung, die Auff&uuml;hrung der Polizei und die offiziellen Dienste bedrohen, begehen in der Trunkenheit. F&uuml;r die Betrunkene, die nicht das Verbrechen begehen, Nothilfe zu fordern oder in Schutz zu nehmen, verwenden die Polizisten ihre Zeit und M&uuml;he. F&uuml;r einen Monat von Juli im Jahr 2004 zeigt die Lage der Betrunkenenbehandlung in Polizeistelle des ganzen Landes insgesamt 152,550 F&auml;lle. Um eine Begebenheit zu erledigen, ist normalerweise 2~3 Stunden n&ouml;tig. Das kommt vor, in einer Polizeistation ungef&auml;hr 10 F&auml;lle zu erledigen. Das bedeutet, die Polizei kann sich nicht auf die eigentlichen Aufgaben, wie die Inspektion, die Vorbeugung des Verbrechens, und den Dienst an den Bewohner, konzentrieren. Seit Oktober 2000 hat die Polizei das "Beruhigungsraum" auf den 154 Polizeistationen zugef&uuml;hrt, um die Betrunkene in Sicherheit zu nehmen. Doch das Beruhigungsraum ist f&uuml;r die Betrunkene nicht ad&auml;quat und daf&uuml;r sind die gesetzlichen Grundlage mangelhaft. Durch die Vorlegung der vielen Problemen ist die F&auml;lle des Schutzgewahrsames nicht mehr als 182 F&auml;lle, und im Jahr 2009 die Zahl der Beruhigungsraum auf 25 vermindert. Schließlich passiert es die Todesunf&auml;lle der Betrunkene im Polizeistation und kommt oft die St&ouml;rung der &ouml;ffentlichen Ordnung von den Betrunkenen vor. Daher ist es notwendig, eine Gegenmaßregel zu finden. In Bezug auf dem Schutzgewahrsam der Betrunkene, der zur Zeit ausf&uuml;hrt, gibt es zwei Problemen. Ein Problem ist das Problem des Systems des Gewahrsames und zu dem (1)Entscheidungssubjekt der Notwendigkeit der Nothilfe, (2) Unvollst&auml;ndigkeit der Hilfeleistungsregelung von offiziellen Hilfsorganisation, (3) Gewahrsam in der Polizeistation, geh&ouml;ren. Anderes Problem ist das Problem des Unterdr&uuml;ckungsmittels, zu dem (1) Anwendungsgrenze der Kriminalzwangsmaßnahme, (2) Anwendungsgrenze der Verwaltungzwangsmaßnahme, (3) Verwendung der Polizeiausstattungen, geh&ouml;ren. In den meisten Wohlstandsl&auml;ndern ist ein Gesetz mit der Funktion des Schutz und Zwangsmaßnahme gegen Betrunkene vorbereitet. Bei uns ist nicht vollst&auml;ndig gesetzgebend und der Schutz ist funktional sehr schwach. In der Tat sind die Betrunkene oft außer Acht gelassen. Der Pflicht, sie zu sch&uuml;tzen und zu bew&auml;hren, f&auml;llt nur der Polizei zur Last. Die Polizei hat Schwierigkeiten, mit den gegenw&auml;rtigen Gesetzen die Betrunkene zu sch&uuml;tzen oder unterzudr&uuml;cken. Daher klagt die Polizei &uuml;ber die Verschwendung der Polizeikraft. Aus diesem Grund soll das neue Gesetz geben, um ein nationales System, das die Betrunkene sch&uuml;tzt, ihre Menschrechte nicht &uuml;bergreift und in dem die verschiedenen Organisationen zusammenarbeiten, zu errichten. Durch das neue Gesetz solllen die ausf&uuml;hrlichen Angelenheiten bez&uuml;glich der Betrunkene bestimmt werden. Auf der Grundlage des Problems von dem aktuellen System und der Beispiele der Auslands sind die gesetzlichen Verbesserungsmaßnahmen f&uuml;r den Schutzgewahrsam von Betrunkene folgendes; 1. Das Entscheidungssubjekt von der Notwendigkeit der Nothilfe soll als ein System der Zusammenarbeit, das die verschiedenen Organisationen, in die die medizinischen Institutionen oder die Feuerwehreinrichtungen teilnehmen, errichtet werden. 2. Zu dem Bereich der Schutzinstitutionen f&uuml;r Betrunkene sollen die reigionalen Selbstverwaltungen und die verschiedenen medizischen Organisationen angeh&ouml;ren, besonders muss es klar sein, dass die regionale Selbstverwaltung als ein Wohlfahrtsverwaltung der Subjekt der Schutzinstitution sein. 3. Die Leistung 'des Programmes von Heil und Schutz der Gewohnheitsbetrunkene" in Busan soll analysiert und auf Grund davon rationale Schutzmodel der Betrunkene entwickelt werden und in ganzem Land verbreiten. 4. Die Regelung des Gewahrsames, das im aktuellen Gesetz nicht bestimmt ist, soll zurechtmachen, damit die zwangshafte Unterdr&uuml;ckung m&ouml;glich ist. 5. Dadurch, dass die Vorbedingungen des Gegenstandes von der zwangshaften Behandlung genauig verordnet sind, soll der Mißbrauch des Amtsgewaltes von Polizei verhindern. 6. Außer den Handschellen und Fesseln soll die Einf&uuml;hrung der neuen Ausstattungen der Polizei, die f&uuml;r den Schutz und die Unterdr&uuml;ckung geeignet sind, angetrieben werden. 7. Um die Unruhe der Betrunkene zu verhindern, ist die &Auml;nderung des Gesetzes von der Amts&uuml;bung der Polizei § 7 (Zutritt f&uuml;r die Verhinderung der Gefahr) notwendig, so dass der Zutritt der Polizei im Grundst&uuml;ck von den anderen erm&ouml;glicht. 8. Ein Sondergesetz f&uuml;r den Schutz der Betrunkene ist erforderlich. Die Polizei hat Gefahren f&uuml;r die &ouml;ffentliche Sicherheit und Ordnung abzuwehren. In den L&auml;ndern wie in Australien und in Canada gibt es einen Sondergesetz, das denBetrunkene sch&uuml;zt und unterdr&uuml;ckt. Die koreanische Polizei gemeisam mit der koreanischen Regierung m&uuml;ssen sich bem&uuml;hen, um das Problem der &ouml;ffentlichn Sicherheit und Ordnung, die von den Betrunkenen bedrohen, zu l&ouml;sen. 우리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는 술취한 상태로 인하여 자기 또는 타인의 생명&#8228;신체와 재산에 위해를 미칠 우려가 있는 자 등에 대하여 공중보건의료기관이나 공공구호기관에 긴급구호를 요청하거나 경찰관서에 보호하는 등 적당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다. 따라서 술취한 상태에 있는 자(주취자)가 응급의 구호를 필요로 하거나 공공의 안녕과 질서를 침해할 때에는 경찰이 보호조치를 할 수 있다. 주취자에 대한 보호조치의 법적근거로서는 경찰관직무집행법 이외에 경찰장비의 사용기준등에 관한 규정, 주취자안정실 운영규칙, 경범죄처벌법 등 형사처벌법, 그리고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등등이 있다. 이와 같은 보호조치는 위험방지작용으로서 행정상 즉시강제의 원리가 적용된다. 따라서 경찰관직무집행법 제4조 제1호의 강제적 보호조치와 같은 감금을 수반하는 유치의 경우에 헌법상의 영장주의가 적용될 것인가의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중에서, 원칙적으로 영장이 필요하다고 볼 수 있지만 행정목적 달성을 위하여 불가피하다고 인정할 만한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경우에 한하여 영장주의가 배제된다는 견해가 타당하다. 경찰의 위험방지작용에 헌법상의 영장주의를 그대로 관철시킨다면 그 목적을 달성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것은 헌법재판소(헌재 2002.10.31,2000헌가12)에서도 인정하고 있다. 그렇지만 주취자 보호조치에도 헌법상의 비례의 원칙에 의한 한계가 있다. 행정기관이 취한 조치 또는 수단이 목적달성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는 적합성의 원칙, 행정조치는 의도하는 목적달성을 위해 필요하고도 최소침해의 것이어야 한다는 필요성의 원칙(최소침해의 원칙), 어떤 행정조치가 설정된 목적실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라 할지라도 그 행정조치를 취함에 따른 불이익이 그것에 의해 달성되는 이익보다 큰 경우에는 당해 행정조치를 취해서는 안된다는 상당성의 원칙(협의의 비례의 원칙)이 그것이다. 이러한 한계를 위반하게 되면 위헌&#8228;위법의 문제가 발생한다. 현재 경찰이 취급하고 있는 주취자와 관련한 범죄현황을 살펴보면, 2009년도 1월부터 8월까지 총범죄중에서 술취한 상태에서 저지른 범죄의 비율이 22.5%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폭력범죄나 공무집행방해죄 등의 범죄비율이 각각 35.6%, 57.4%에 이르러 사회질서를 위태롭게 하고 경찰권 행사에 저항하는 등 공공질서를 위협하는 대부분의 범죄가 술취한 상태에서 저질러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술취한 상태에서 저지르는 범죄의 비율이 매우 높기도 하지만, 또한, 범죄에 해당하지 않는 주취자들에 대하여 경찰이 긴급구호를 요청하거나 경찰관서에 보호하는 등의 조치를 하는데 경찰서의 지구대나 파출소에서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고 있다. 2004년도에 6월 1개월 동안 전국의 순찰지구대에서 조치한 주취자들의 현황을 보면, 총 152,550건으로 나타나고 있다. 주취자와 관련한 사건 1건을 처리하는데 보통 2~3시간 정도 소요되고 있으며, 또한, 치안수요가 많은 지구대의 경우 하루에 10건 정도를 처리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곧 지구대의 업무가 주취자들을 처리하는데 상당한 경찰인력이 사용되고 있고, 또한, 경찰 본연의 임무인 순찰과 범죄예방, 주민봉사활동 등에 집중하지 못하게 만드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말해준다. 이와 같이 많은 주취자들을 적정하게 보호하기 위해서 경찰은 2000년 10월부터 전국 시단위 이상 154개 경찰서에 ‘주취자안정실’을 설치하여 운영하였다. 그러나 주취자안정실이 주취자를 보호하는데 적합한 시설을 갖추고 있지 못할 뿐만 아니라 대내적 구속력만을 가지는 경찰청 훈령(주취자안정실운영규칙)으로 제정되어 법적인 근거가 취약하고, 주취자들을 시설에 유치하는데 따르는 부담, 그리고 보호중에 사망할 수도 있는 우려, 인권침해의 제기 등으로 인하여 2007년도에는 보호조치 실적이 182건에 불과하고, 주취자안정실도 2009년도에 25개소로 축소되었다. 결국 지구대내에 주취자들을 보호하다가 사망하는 사건들이 발생하고 있고, 또한, 주취자들이 소란이나 난동을 부리는 등 공공질서를 침해하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게 되었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주취자 보호조치와 관련한 문제점을 요구호자에 대한 보호체계상의 문제와 주취자에 대한 제지수단상의 문제로 나누어 살펴보면, 전자에는 (1) 응급구호 필요성 판단의 주체의 문제, (2) 공공구호기관 구호의무규정의 미비, (3) 경찰관서내 보호의 문제 등이 있으며, 후자에는 (1) 형사상 강제처분 활용의 한계, (2) 행정상 강제처분 활용의 한계, (3) 경찰장구사용의 문제 등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선진외국의 주취자관련 입법례를 살펴 본바, 우리에게 제공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취상태에서 다중이 모이거나 공공장소에서 소란을 피우거나 질서를 위반하는 경우에는 공통적으로 별도의 법에 의해 처벌하고 있다. 둘째, 미국이나 영국과 같이 공공장소에서의 주취상태 그 자체를 범죄시하여 처벌하는 경우도 있다. 셋째, 주취자를 보호 또는 유치하는 경우에는 의사와 같은 전문인의 검진을 받도록 하고 있다. 넷째, 보호 또는 유치기간은 주취해소상태시까지 또는 일정기간을 넘어서지 못하도록 제한하여 인권침해 방지장치를 마련해 두고 있다. 다섯째, 주취자나 기타 사람의 생명이나 신체 등을 해할 우려가 있는 경우에는 일정한 한도내에서 경찰장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섯째, 주취자를 조치하는데 있어서 여러 기관이 협력하는 체제를 갖추고 있다. 일곱째, 호주의 경우와 같이 주취자를 처리하는 과정중에 선의의 직무집행으로 발생한 손해에 대하여 해당 경찰관에게 책임을 묻지 않는 면책규정을 두고 있는 국가도 있다. 즉 대부분의 선진외국에서는 주취로 인하여 위법행위를 하거나 판단력 및 신체기능이 저하되어 타인의 도움이 필요한 상태에 있게 되는 주취자들에 대하여 보호기능과 아울러 강제기능을 입법화하여 이에 대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의 경우에는 입법의 미비와 아울러 보호기능도 매우 취약하여 사실상 사회적으로 주취자를 방치하고 있으며, 다만, 경찰에게 이들을 보호하고 관리하도록 하는 부담을 지우고 있다. 현행 제도의 문제점과 외국의 입법례 등을 기반으로 하여 주취자 보호조치를 위한 입법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응급구호의 필요성을 판단하는 주체를 의료기관이나 소방기관 등이 참여하는 다기관 협력체제로 설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주취자 보호기관의 범위에 지방자치단체, 각종 의료기관 등을 포함시키고, 특히 복지행정서비스의 주체인 지방자치단체가 보호기관으로서의 주체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 셋째, 부산지역에서 시행중인 ‘상습 주취소란자 치료&#8228;보호 프로그램’의 성과를 분석, 이를 바탕으로 합리적인 주취자 보호모델을 개발하여 전국에 확산시키는 것이다. 넷째, 현행 법규에 규정되어 있지 않은 보호유치규정을 마련하여 강제로 물리력을 사용할 수 있는 법적인 근거로 삼아야 한다. 다섯째, 강제처분 대상자의 요건을 명확히 규정하여 경찰권 남용을 방지하여야 한다. 여섯째, 수갑&#8228;포승 이외에 주취자 보호&#8228;제지에 적합한 새로운 경찰장구의 도입을 추진해야 한다. 일곱째, 주취자의 소란행위등을 방지하기 위해 타인의 토지나 건물 또는 선차(船車)내에 출입할 수 있도록 경찰관직무집행법 제7조(위험방지를 위한 출입)의 개정이 필요하다. 여덟째, 주취자보호를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 특히 경찰은 현행 법규로는 주취자를 보호하거나 제지하기에는 어려운 점이 많아서 주취자로 인한 경찰력 낭비를 호소하고 있다. 따라서 주취자를 보호&#8228;제지하는 수단을 마련하고, 인권침해를 방지하며, 다기관이 협력하는 국가적인 시스템을 만들기 위해서는 경범죄처벌법이나 경찰관직무집행법의 일부 조항의 개정을 통하는 것보다는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여 주취자와 관련된 세세한 사항들을 규정하는 것이 옳다고 본다. 경찰의 목적은 사회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에 있다. 여기에는 국민의 생명&#8228;신체 및 재산의 보호가 포함되는 바, 세계에서 최상위권의 음주량을 기록하고 있고 그로 인하여 나타나고 있는 우리나라의 음주행태를 그대로 방치하는 것은 경찰의 목적에 배치된다. 호주, 캐나다 등 음주량이 많은 나라들이 대체로 주취자를 보호하고 제지할 수 있는 특별법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우리나라도 하루 속히 주취자로 인한 공공의 안녕과 질서유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경찰뿐만 아니라 전정부적(全政部的)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 경찰수사전문직무교육훈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이문숙 중앙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olice education was began nearly same time when the modern police had been established because of recognizing the importance on it earlier in Korea. As the education and training to the police directly exercise authority to citizen is a valued thing, so the police can adopt the professional knowledge, skill and accomplishments as a good policeman through education. Especially no policeman can discharge their duties efficiently without acquisition of new knowledge or skill on their duties. Therefore by education and training, all policemen must adapt themselves to new circumstances as such the rapidly changing world situation Based on recognizing the reality of our police education, this study was not only written to examine thoroughly the official education & training system of police which is carrying now to rear the superlative professional as a matter of duty, but also to present an alternative plan of policy for official education of criminal investigation based on analysis results on the contents and problems in official education of criminal investigation. To do this, limited the study scope to official duty education of police, I inquire into the general education training way of policemen by using the preceding studies, a questionnaire to the professional education students for criminal investigation in Police Investigation Security Institute, Interview to the students as the study method. And then I devised a improvement scheme on the investigation official education of the professional police by analyzing a few problems through the actual situation of education and a questionnaire. As a few result, I would like to present the following improvements scheme. Firstly, in the selecting policeman of needing official education and training, it must be prescribed in the rules of the police to raise the efficiency of education about requisites for entering into training school, raising trainer's year to 45 years old. Secondly, It must be to secure the full-time professor, improve the requisites for qualification, prepare to be preferred a policeman on the active list to an ex-policeman as a preferential treatment in addition to an ample budgets to secure the excellent professor. Thirdly, the course of policy study should have been reduced with eight kinds of course by present office organization and class. And a concentrated education and training more than 4 weeks needs to produce a professional investigation policeman, also program must be formed variously to perform the role of the class and the perfect practical affairs. Fourthly, the number of one class must be limited under 40 students, the method of education which is based on lecturing must be changed into participating class together or experiencing the realities, the basis of grading must put more importance in actual training. Fifthly, it must be advanced the date of selecting lecturer and entrusting, and it needs to excite trainee's interest into education through new education media besides ample budget. Sixthly, it also needs to expand the leisure facilities, to lighten imposing a heavy burden on education by changing lodging life into one's home, giving an allowance for education sufficiently. It should be satisfied conditions as such the trainee, professor, environment for good education and training to be rich in contents as seeing above statements. It is considered to be difficult to achieve an educational goal if any one was lacking. Therefore the police order must effort to make better education and training for attaining the good result of rearing of professional investigation police by more many supporting for good educati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the criminal investigation polices can make the maintenance of the public order all the more conveniently and democratically, it may have gone one step forward the independence of investigation.

      • 청원경찰제도의 개선방안

        구성원 충북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소속된 청원경찰은 청원경찰법상 직무와 관련하여 공무원으로 보고 있음에도 1973년 청원경찰법 시행령의 개정으로 공무원의 신분에서 민간인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청원경찰은 복무에 관하여는 국가공무원법과 경찰공무원법을 준용하도록 되어있지만, 복무 이외에 대해서는 청원주의 지휘를 받는 근로기준법상 근로자 신분이다. 이에 청원경찰은 청원경찰법상 직무와 관련하여 공무원으로 보고 있음에도 국가공무원법상 승진 임용 규정이 적용되지 않으며, 근속승진의 경우도 그 기간이 공무원에 비하여 상당히 길다. 또한 공무원의 종합적 능력발전 기회 부여 등을 위한 인사교류제도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수당의 경우도 주택수당, 특수지근무수당, 위험근무수당, 특수업무수당, 업무대행수당 등은 자체 예산이 편성이 되지 않는 경우 지급받지 못한다. 반면 청원경찰법 제3조 ‘청원경찰의 직무는 그 경비구역만의 경비를 목적으로 필요한 범위에서 「경찰관 직무집행법」에 따른 경찰관의 직무를 수행한다’는 규정 하나로 인해 민간인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위반행위에 대하여는 청원경찰은 직무의 특성상 청원경찰은 「형법」이나 그 밖의 법령에 따른 벌칙을 적용하는 경우와 법 및 이 영에서 특별히 규정한 경우는 공무원으로 보고 있다. 그럼에도 청원경찰의 경우 징계와 관련하여 청원경찰법 시행령 제8조상 ‘관할 경찰서장은 청원경찰이 직무상의 의무를 위반하거나 직무를 태만히 하거나 품위를 손상하는 행위를 한 때에는 청원주에게 해당 청원경찰에 대하여 징계처분을 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정직(停職)은 1개월 이상 3개월 이하로 하고, 그 기간에 청원경찰의 신분은 보유하나 직무에 종사하지 못하며, 보수의 3분의 2를 줄인다. 감봉은 1개월 이상 3개월 이하로 하고, 그 기간에 보수의 3분의 1을 줄인다. 견책(譴責)은 전과(前過)에 대하여 훈계하고 회개하게 한다.’는 규정만 있을 뿐이어서 징계위원회 구성의 객관성과 제척·기피제도를 통한 방어권 보장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국가기관 또는 지방자치단체 소속 청원경찰의 이중적 지위에서 파생되는 청원경찰제도의 문제점과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경찰관직무집행법 개정방향에 관한 연구

        임성순 연세대학교 법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경찰권은 공공의 안녕과 질서의 유지를 위하여 개인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적·사실적 행위를 할 수 있는 권력적 강제력으로 이러한 경찰권의 근거는 법치행정의 원칙상 법률에 의하여야 한다.경찰작용에 있어서 일반법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법률로는 경찰관직무집행법이 있으나, 동법은 개괄적 수권조항 및 경찰책임에 대한 근거규정을 결여하고 있는 등 체계상 문제가 있고, 또한 1953년 제정된 이후 현실에 맞는 법 개정이 그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다.따라서 경찰활동의 효율성을 최대한 도모하면서도 경찰권남용을 방지할 수 있는 법적장치 마련이라는 관점에서 현행 경찰관직무집행법의 문제점을 규명해 보고 법집행 현실에 부합하는 실효성있는 내용으로 개정방향을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우선 제2장에서는 경찰관직무집행법의 지위 및 개정연혁에 대해서, 제3장에서는 외국의 경찰관직무집행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제4장에서는 학계 및 정부기관에서 행해진 경찰관직무집행법에 대한 연구의 결과를 정리해 보았다.제5장에서는 경찰관직무집행법을 크게 13개의 주제로 구분하여, 전반적인 입법체계상 문제점과 개별 조문별 문제점을 도출해 내고, 이에 대한 개정방향을 제시하였다.본 연구에서 특히 고려한 점은 비록 치안 현장에서 근무하는 경찰관들은 엄정하고 강력한 법집행, 즉 경찰권의 강화가 입법화되길 원하고 있지만, 경찰권은 국민의 기본권을 최소화하거나 기본권과의 적절한 비례 및 조화를 위해 남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분명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The police power is authoritative and legal which can practically limit individuals'' freedom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public peace and order, and the foundation of this police power should be based on the principle laws of constitutional administration.Although there is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that plays the role as a general law to control the action of police, this act has a systematic problem in that it lacks of the foundational regulations on general authorization and on police responsibility. In addition,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has not been improved appropriately since 1953 when the act first was built.Therefore, it was required to explore the current problems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and to discover the practical pith for the improvement, in light that we should prepare the proper legislative step stones to pursue the effectiveness of police conducts and to prevent the abuse of police power.To begin with, Chapter Two explored the status and revision history of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and Chapter Three explored how other countries do with regard to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Chapter Four summarized the results of the researches conducted so far by academics and governmental organizations.Chapter Five divided the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into thirteen topics, found out the problems according to both general legislative system and specific articles, and suggested the direction to improve it.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local police officers long for a fair and powerful performance of law, that is to say, they want to have their police power strengthened by legislation. Nevertheless, there should be counter plans to prevent the minimiza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and to prevent the abuse of police power so as to balance the harmony with other fundamental rights.

      • 경찰관직무집행법상 불심검문에관한 연구

        고영완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본 논문은 경찰관직무집행법 제3조에서 규정하고 있는 불심검문에 관하여 연혁, 외국의 입법례, 법적성질에 대한 학설과 판례들을 정리․검토함으로써, 문제점을 찾아내어 그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불심검문은 거동 불심자에 대해 정지시켜 질문하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불심검문은 1953년 제정 경찰관직무집행법 제2조에서 규정한 이래 1981년, 1988년, 1991년 3차례에 걸쳐 개정되었으며, 불심검문 규정의 개정은 시대적 상황에 민감하게 작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불심검문과 유사한 외국의 입법례로는 미국의 Stop and Frisk 제도, 영국의 정지․수색 권한, 프랑스와 독일의 신원확인제도, 일본의 직무질문제도가 있다. 미국의 Stop and Frisk는 경찰관이 거리에서나 공공장소에서 질문하거나, 다른 수사를 위하여 위험한 무기를 찾을 목적으로서 의심스러운 사람을 정지시키는 관행이 있었고, 1968년 Terry 판결로 확립되었다. 그 기준은 자신과 다른 사람의 보호를 위해 무기를 찾기 위한 시도로써 그 사람의 겉옷을 가볍게 두드리는데 제한되었다. 영국의 정지․수색권한은 ‘경찰․범죄증거법’(1984년)상에 규정되어 있다. 경찰관은 합리적 이유가 있는 경우 사람 또는 차량에 소재하는 물건에 대하여 도품 또는 금제품을 수색할 수 권한이 주어져 있다. 프랑스 신원확인제도는 의심스러운 사람에 대한 신분증명을 요구하고, 신분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에는 신원확인 절차에 들어가게 되는 데, 이때는 강제력이 수반되고 사법경찰관만이 할 수 있다. 독일의 신원확인제도는 경찰법과 형사소송법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범죄예방활동을 위한 목적인 경우에는 경찰법에 의하여, 형사소추의 경우에는 형사소송법에 따라 신원확인을 하는 이원체제로 되어있다. 일본의 직무질문제도는 우리나라가 일본의 경찰관직무집행법을 계수한 관계로 우리나라 불심검문과 거의 유사하다. 영미법계 국가들의 경우 행정절차와 사법절차의 구분 없이 불심검문이 행해지면서 합리적의심을 요건으로 하고, 대륙법계 국가의 경우는 행정절차와 사법절차가 명확하고 행정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면이 강하다. 불심검문의 법적성격은 경찰관직무집행법 제3조가 ‘범죄자’가 아닌 ‘어떠한 죄를 범하였다고 의심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자’에 대한 질문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는 수사절차가 아닌 범죄 예방차원에 해당한다. 따라서 불심검문은 범죄의 예방과 관련된 활동으로서 행정경찰작용에 속한다고 보는 행정경찰작용설이 타당하다. 불심검문의 방법론과 관련하여, 정지시 실력행사가 어느 정도 가능할 것인가에 대한 학설상 이론 대립이 있으나, 판례는 강제에 이르지 않을 정도의 실력을 행사하여 피질문자를 정지시키는 행위에 대해서 상당한 이유가 있는 경우에 적법한 직무행위로서 허용된다고 보고있다. 동행요구의 임의성과 관련해서는 동행이 자유로운 의사에 의한 것이냐를 판단하는 기준은 단순히 피동행자의 심리적상태만을 기준으로 하여 판단할 것이 아니라, 동행시의 제반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결정되어야 할 것이며, 장시간의 경찰관서의 동행은 실질적인 구금에 해당되어 동행허용 시간을 단축할 입법적 필요가 있다. 흉기소지조사와 관련해서는, 원칙적으로 질문에 수반된 행위로서 강제성이 인정되지 않는 범위내에서만 인정된다. 소지품검사의 허용한계는 외부에서 관찰하고 그 내용에 대하여 질문 하거나 소지품의 개피를 요구하여 개피 또는 제시하는 경우에 그 내용물을 검사하는 행위는 임의수단이므로 허용될 수가 있지만, 본인의 의사에 반하여 소지품을 강제로 검사하는 행위는 위법행위로서 허용될 수 없다고 본다. 또한 소지품검사의 법적근거는 질문부수설의 입장에서 경찰관직무집행법 제3조1항에서 그 근거를 찾아야 할 것으로 생각되나, 궁극적으로는 입법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심검문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으로는, 너무 추상적이고 모호한 용어나 거부감을 주는 용어의 규정, 소지품 검사의 법적근거 미비, 질문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방법 규정의 미비, 신원확인을 위한 강제조치 규정 신설의 문제점, 동행요구의 사유 및 시간의 문제점과 무작위적으로 시행되는 일제검문, 법적 근거가 확실치 않은 전․의경의 단독 불심검문, 집회시위현장에서 검문 등 문제점에 대해서 각 개선방안으로 입법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동차검문 관련해서 현재 직접적인 법적근거가 미비된 채 도로교통법 등에 의하여 전국적으로 행하여지고 있어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자동차검문은 보행자에 대한 불심검문보다 자동차검문이 더 큰 법익침해를 수반한다는 점과 원활한 교통소통이 필요하다는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역시 입법적 해결이 필요한 부분이다. 결국 불심검문은 범죄의 예방 및 진압, 검거를 목적으로 하는 수단이므로 범죄자들에게는 꼭 필요한 수단이 되고 있지만, 반면에 선량한 국민들의 입장에서 보면 불편을 주는 불필요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경찰관들이 불심검문권을 행사함에 있어서는 이 두가지가 적절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최대한의 노력이 있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경찰 정보 수집·처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김기환 경찰대학 경찰대학 치안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경찰의 정보수집활동은 건국 이전부터 다양한 형태로 행해 져 왔고 현재까지 경찰 정보는 국가정보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 그러나 경찰이 정보를 수집하고 처리할 수 있는 법적근 거를 마련하기까지는 상당히 오랜 시간이 걸렸다. 1953년 처음 제정된 경찰관직무집행법은 경찰 작용법으로 기능하였지만 입 법 초기부터 경찰의 정보 수집·처리 권한을 부여하지는 않았 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찰의 정보수집활동은 계속되어 왔고, 1981년에 비로소 임무규정으로 ‘치안정보의 수집·작성 및 배 포’ 규정이 마련되었다. 경찰의 정보수집활동은 권력적 작용으 로써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하는 행위임에도 동법은 2021년 경 찰관직무집행법이 개정될 때까지 정보 수집·처리의 수권규정 이 마련되지 않았다. 더욱이 ‘치안정보’라는 애매한 해석에 기 대어 시행령과 시행규칙으로 수집할 수 있는 정보의 범위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광범위한 범 위에 걸쳐 정보수집활동을 계속하여 왔다. 그 결과 경찰 정보 의 폐단이 드러나기 시작하였고 2018년 경찰개혁과 맞물려 출 범한 경찰개혁위원회는 정보경찰 개혁에 박차를 가하였다. 경 찰개혁은 2021년 3월 경찰관직무집행법의 개정으로 결실을 맺 었고, 개정 내용 중 돋보이는 것은 ‘치안정보’의 삭제와 함께 제8조의2 규정을 신설하여 경찰의 정보 수집·처리의 수권규범 을 마련한 것이다. 이로써 경찰은 정보를 수집함으로써 국민의 기본권을 제한 할 수 있는 법적근거를 갖추게 되었다. 그러나 경찰관직무집행법의 개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를 안 고 있다. 먼저 법 제정 이후 현재까지 전면 개정 없이 일부개 정을 통한 소수 규정의 수정·보완은 경찰법 전반적인 이론을 내포하지 못하였고, 경찰권 발동의 기초되는 일반이론과 통제 장치의 결여로 경찰 정보의 폐단이 불거질 여지를 남기고 있 다. 또한 동법 제8조의2 제1항의 규정은 정보수집에 대한 일반 조항 형식으로 규정되어 있어 그 범위와 대상,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해석 가능성과 ‘위험의 예방’을 위한 정보 수집·처리를 가능하게 하였다. 정보수집활동으로 경찰이 위험과 관련된 정 보를 사전에 수집하여 이를 방지하고 예방하는 것은 경찰의 직무에 충실한 것이지만, 동시에 정보수집의 대상이 되는 국민 의 정보의 자기결정권 및 사생활의 자유 등의 기본권을 침해 하는 행위이다. 위험방지를 위한 경찰의 정보수집활동은 국민 의 기본권 보호와 대립되는 긴장관계 속에서 이루어진다. 따라 서 경찰 정보의 범위와 대상, 그리고 수집·처리의 방법은 명확 하게 규정해야 한다. 그럼에도 정보 수집·처리의 근거규정과 별개로 개인정보에 대한 보호규정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경찰 의 정보수집활동과 개인정보자기결정권과의 보호와의 불균형 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현행 경찰관직무집행법에 대한 한 계 검토와 앞으로의 추가적인 개정 필요성이 제기된다. 경찰 정보 수집·처리의 개선방안은 기본원칙에 충실한 경찰 작용과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통제장치의 마련이다. 또한 일반규정 형식으로 규정된 근거조항의 범위와 대상, 방법의 한계를 설정 하는 것이다. 이로써 경찰이 정보수집의 목적달성과 제한되는 기본권과의 조화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위임입법 된 정 책정보와 신원조회는 그 필요성에 따라 입법적 규율이 필요하 고 위임된 범위 내에서 이루어 질 수 있도록 관련 규정을 엄 격히 해석하고 경찰의 정보활동 범위를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경찰관직무집행법, 공공의 안녕, 위험의 예방과 대응, 정 보경찰, 경찰의 정보 수집·처리 학 번 : 2022130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