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국제경쟁력 전략요인 연구 : - 농산물 수출의 중국 및 일본시장 특화도를 중심으로 -

        송황준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제경쟁력 전략요인 연구 송 황 준 지도교수 문 창 권 배재대학교 대학원 컨설팅학과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산물의 중국·일본시장에 대한 국제(수출)경쟁력 전략요인의 도출 및 효과추정과 국제(수출)경쟁력 전략계획을 수립을 목적으로 국제경쟁력의 구성개념과 3P모형 성분들과 함께, 무역특화도 측정 차원 및 방법들을 분석하고 경쟁우위 강화 요소 및 전략 성분들을 규명하였다. 우리나라 농산물의 중국·일본시장에 대한 수출입실적의 종단분석 및 패널 분석자료를 기초로 기술적 분석을 수행하여 특화패턴을 규명하고, 각 시장에서의 수출특화도에 대한 환율, GDP, 수입액, 관세율, 해외직접투자 유출입 실적(FDI), 소비자물가지수(CPI), 의 영향 추정과 유의성 규명을 위해 상관분석 결과를 활용한 패널회귀분석을 변량효과모형으로 수행하였다. 또한, 2차원 그리드 분석 및 계층군집분석 결과를 통한 IPA모형 적응 지각지도 작성으로 경쟁전략요소 및 강도의 파악과 함께 전략계획 의사결정을 수행하였다. 주제어 : 국제(수출)경쟁력, 3P모형, 현시비교우위(RCA), 현시대칭비교우위(RSCA), 정규화무역수지(Z지수), 무역특화지수, 2차원 그리드모형, 패널자료집합, 피어슨 상관분석, 변량효과, 계층군집분석, IPA모형, 지각지도 A study on the Strategic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 The Agricultural Product Export Specializations of Korea in the Chinese and Japanese Markets Hwang-Joon, Song Department of Consulting, Graduate School of Paichai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Chang-Kuen Moon)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strategic factors for international(export) competitivenes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estimate their effects, and establish the strategic plans for international(export) competitiveness in the Chinese and Japanese markets. Analyzing the dimensions and methods of measuring trade specialization along with the constituent concepts and the 3P model components for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 clarified the factors for reinforcing the competitive advantages and the strategic components. With the longitudinal analysis of export-import performances of Korean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 technical analysis based on the panel anaylsis data in the Chines and Japanese markets, the specialized pattern was identified. To estimate the impact of the exchange rate, the amount of imports, GDP, the tariff rate, the foreign direct investment inflow-outflow(FDI), and the consumer price index(CPI) for “export Specialization” in each market and investigate the significances, a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results of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s a random effect model. In addition, by creating an adaptation-perceptual map of the IPA model through the results of two-dimensional grid analysis and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 carried out the strategic planning decision-making with the identification of competitive strategy elements and strengths. Key words : international(export) competitiveness, 3P model, revealed comparative advantage(RCA), revealed Symmetric comparative advantage (RSCA), normalized trade balance(Z index), trade specialization index, two-dimensional grid model analysis, combination of panel dat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andom effect, hierarchical cluster analysis, IPA model, perceptual map.

      • 통합조직의 경쟁력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오창세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A Study on the Competitiveness and Influence Factors of Integrated Organization Oh Chang-Se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In a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competition among organizations is also accelerating. The public sector has already merged government ministries and public agencies to provide high-quality administrative services by advocating competition principles and customerism and applying competition for services and customer choice to the fullest extent possible. The private sector is also working on various achievements such as strengthening its market dominance for corporate growth, finding new growth engines and reorganizing its business portfolio through mergers and acquisitions. However, the main reason for consolidation of organizations, regardless of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to strengthen competitiveness. Efforts for survival in the rapidly changing global economic environment have continued constantly, with the public sector's lax management and inefficient administrative demands reduced, and private companies addressing their business and overlapping func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ifferences between independent variables (vision, personnel, leadership, culture, communication) and dependent variables (competitiveness), and control variables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gencies, private companies) examined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to evaluate their impact on the coordination effects and competitiveness, thus to improve the synergy of the organization's growing performa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both ground and mobile survey methods for government ministries with experience in integration (7), public agencies (8), and private companies (8). The survey distributed a total of 450 copies, 150 copies each for each type of organization, and mobile surveys were conducted in places limited by geographical conditions and small organizations. ’ 397 (88%) were retrieved from 18 days from 1.14 to 1.31 in 1919, but all 375 (83.3%)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excluding 22 insincere or erroneous samples. The data analysis of this study utilized the Social Survey Statistics Package (SPSS24.00) program and performed the one-way ANOVA and the post-test of the Scheffe for the analysis of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integrator. To verify the study theory,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in accordance with the three-step adjustment effectiveness verification procedure proposed by Baron &Kenny (1986). For detailed analysis, the research was reinforced by interviews with experts engaged in integrated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gencies and private businesses.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found in this study, first,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s between the values of the variables of the integrated organization showed that the values of leadership, vision, culture, communication, and competitive variables, excluding personnel, differ in the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integrated organization. Personnel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three organizational types. This measured promotion, remuneration, employment, personnel change, welfare, and fairness, which are close to personal status, and it is judged that any organization is in a different position due to sensitive issues. Second, the multi-reciprocution analysis results for the analysis of the competitive impact of the integrated organization showed that both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gencies and private companies were appropriate for their explanatory power and model. Government ministries and public institutions have shown a significant impact on competitiveness in vision, communication variables, and private companies in leadership, personnel and communication variables. What is unusual is that the communication variables affect all three organizations by type, demonstrat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in today's organizational environment. Third, it was analyzed that only leadership, personnel, and cultural variables control their influence on competitiveness by type of integrated organization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institutions, private companies) after evaluating the effect of controlling by type of integrated organization in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1 The policy implications should be identified and the objectives of the integrated public/private sector should be presented in order to identify and maintain the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as significant variables (vision, leadership, personnel, culture, and communication) as well as the fact that they are carefully compared and studied under the same conditions, objective indicators, 2 studies of the performance of the organization or the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 and 3 variables (vision, leadership, culture, and communication) that are still examined through prior research). In making advance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the size of the relatively small sample may cause statistical error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analysis results, as the survey in this study had difficulties obtaining samples for organizations with prior experience of integration. Subsequent studies will be able to gather survey data for respondents with more sufficient sample sizes, and to utilize quota sampling of the values of the respondents’ demographic variables will enable them to obtain data that conforms to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draw useful conclusions. □ Topic words: government ministries, public and private companies, integrated organizations, competitiveness, vision, leadership, personnel, culture, communication 통합조직의 경쟁력과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오 창 세 강원대학교 대학원 행정학과 급변하는 경영환경에서 조직 간의 경쟁 또한 가속화되고 있다. 공공부문은 이미 경쟁원리와 고객주의를 주창하며 서비스 경쟁과 고객 선택권을 최대한 적용하여 수준 높은 행정서비스를 제공하고자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을 통·폐합하여 왔다. 민간부문에서도 기업 인수·합병(M&A) 방식으로 기업 성장을 위한 시장지배력 강화, 신성장동력 발굴, 사업포트폴리오 재편 등 다양한 성과를 목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공공·민간부문을 막론하고 조직을 통·폐합 하는 주된 이유는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함이다. 공공부문의 방만한 경영과 비효율적인 행정소요를 줄이고 유사업무와 중복 기능을 해소하며, 민간 기업들은 급변하는 글로벌 경제 환경에서 생존을 위한 노력들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문헌연구을 통하여 조사된 독립변수(비전, 인사, 리더십, 문화, 소통)와 종속변수(경쟁력), 그리고 조절변수(정부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간의 차이분석과 조절효과 및 경쟁력에 대한 영향여부를 평가하고 통합된 조직들이 경쟁력을 갖춘 조직으로 성과를 내고 있는지 여부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여 점차 증가하는 조직통합 기관들의 성과 향상에 기여는 물론, 통합조직의 경쟁력 향상 및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의 대상은 통합 경험이 있는 정부부처(7개), 공공기관(8개), 민간기업(8개)을 대상으로 지면 및 모바일 설문 방식을 병행하였다. 설문은 조직유형별 각각 150부씩, 총 450부를 배포하였으며 지리적인 여건상 제한되는 곳과 소규모 조직에는 모바일 설문을 하였다. 2019년 1.14일부터 1.31일까지 18일간 실시하여 397부(88%)를 회수하였으나, 불성실하거나 오류가 있는 표본 22부를 제외한 375부(83.3%)를 모두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데이터 분석은 사회조사통계 패키지(SPSS24.0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고, 통합기관에 따른 차이분석을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및 Scheffe의 사후검정을 수행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regression analysis)과 통합조직 유형별 조절효과 분석을 위하여 Baron & Kenny(1986)가 제안한 3단계의 조절효과 검증 절차에 따라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세밀한 분석을 위하여 통합 정부부처와 공공기관, 민간 기업에 종사하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연구 내용을 보강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실증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통합조직 유형별 변인값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인사를 제외한 리더십, 비전, 문화, 소통, 경쟁력 변인 값이 통합조직에 따라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사는 3개 조직유형에서 공히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이는 개인의 신상과 밀접한 승진, 보직, 인사이동, 보수, 복지, 상하 공정성을 측정하였으며, 어느 조직이든 민감한 사안으로 각 기관의 처한 상황이 다르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통합조직의 경쟁력 영향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결과에서는 정부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 모두 설명력과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부부처와 공공기관이 비전, 소통 변수에서, 민간 기업은 리더십, 인사, 소통 변수에서 경쟁력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이한 점은 소통 변수가 3개 조직유형별 기관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어 오늘날 조직 환경에 있어 소통의 중요성을 입증하고 있다. 셋째,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인과관계에서 통합조직 유형(정부부처, 공공기관, 민간기업)별 조절효과를 평가한 결과, 리더십, 인사, 문화변수만이 통합조직의 유형별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정책적 시사점은 ① 통합 공공·민간부문에 있어 동일 조건하, 객관적 지표로 비교·연구한 점, ② 조직의 성과 또는 조직의 효율성을 ‘경쟁력’이라는 평가 지표로 연구 한 점, ③ 선행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조직통합에 대한 변수(비전, 리더십, 인사, 문화, 소통)들이 현재까지도 여전히 유의한 변수로써 조직의 특성이 유지되고 있다는 사실 확인, ④ 조직통합의 목표달성을 위하여 기획 단계부터 통합 전·중·후 구간별로 구분하여 관리해야 될 이슈들을 착안하고 해당조직에 특화된 조직융합관리(PMI)를 해야 된다는 점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시한다. 향후 연구를 위한 발전적인 제언을 한다면,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기 통합 경험이 있는 조직에 대하여 표본을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므로 상대적으로 작은 표본의 크기는 분석결과의 해석에 통계적 오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추후 연구는 보다 충분한 표본의 크기를 가지는 응답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데이터를 수집하고, 응답자의 인구 통계학적 변수의 값에 대한 할당샘플링(quota sampling)을 활용하게 되면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데이터 확보와 유익한 결론을 도출할 수 있을 것이다. □ 주제어: 정부부처, 공·사기업, 통합조직, 경쟁력, 비전, 리더십, 인사, 문화, 소통

      • 한·중 석유화학 산업의 국제 경쟁력 비교분석

        유매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Oil is rapidly being used worldwide in the 20th century as an important industrial energy, a noble chemical material of versatile use, and is causing great changes in the world's consumer energy structure. As of 2019, total global trade exports amounted to $18694 billion, gross imports $18988.5 billion. And Korea is one of the world's seven largest trading countries with exports of $541.8 billion and imports of $504.2 billion. Among them, the oil industry's exports of oil, counter-pollution and oil (HScode 2710) items ranked third ($392.80 billion), while those of chemical hydrocarbons (HScode 2902) in the petrochemical industry ranked ninth ($90.2 billion). China is the world's second-largest trading nation with $2464.4 billion in exports and $2068 billion in imports. Among them, the oil industry's exports of oil, oil, and oil (HScode 2710) items amounted to $384.36 billion, while the petrochemical industry's exports of chemical hydrocarbons (HScode 2902) items amounted to $47.3 billion. The petrochemical industry, an important sector that leads the economies of Korea and China, is also expected to face fierce competition as it provides opportunities for bilateral trade. This study conducted an evaluation of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the petrochemical industry through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evaluation index, such as market share and trade competitiveness, using RCA, MCA, and TSI index measurement formula using export and import data of petrochemical related items for 7 years from 2012 to 2018. Through this, we found out the level of competitiveness of certain items that are being exported and imported by the Korean petrochemical industry and found highly competitive item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hree competitiveness assessment indicators show Korea's annular hydrocarbons(2902), polycarboxylic acids and their anhydrous, halogenated, peroxide, peroxide, peroxide, nitrofluorinated derivatives(2917), styrene's polymers(3903), non-exchangeable hydrocarbons(2901), Mixed alkylbenzene and mixed alkylnaphthalene(3817), Pactis made from synthetic rubber and oil(4002), polyacetal resin and other polymers and epoxy resin, polycarbonate, alkyd resin, polyaryl ester and other polyester(3907) have a strong intern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in exporting the same item in the world.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is mainly focused on petrochemical basic chemical manufacturing, synthetic rubber manufacturing and synthetic resins and other plastic material manufacturing. China's silicone resin(3910), halogenated derivatives of hydrocarbons(2903), amine tubular compound(2921), polycarboxylic acid and their anhydrous, halogenated, peroxide, peroxide, peroxide, their halogenated derivatives, Sulphonated derivatives, nitrofluorinated derivatives(2917), Mixed alkylbenzene and mixed alkylnaphthalene(3817) items have a strong international competitive edge in the export of the same item in the world. And the competitive advantage is mainly focused on the manufacturing of petrochemical basic chemicals and the manufacture of coal chemical compounds and other basic organic chemical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competitiveness advantage of the four petrochemical industries in Korea and China. Second, although the RCA index of the Korean petrochemical industry falls before and after the Korea-China FTA takes effect, it has a strong competitive edge in the global trade market and has a stronger competitive edge than China when comparing the same items.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 should strengthen the production, export and import of products from coal-chemical compounds and other basic organic chemical manufacturers such as tar, pachy, coke and organic chemicals in the future, as the manufacturing of coal-chemical compounds and other basic organic chemical compounds out of the four petrochemical categories has a weaker competitive advantage than other industries. Second, securing original technology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petrochemical industry and efforts should be made to produce high value-added products by enhancing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Price competitiveness should also be enhanced through large-scale, intensive, logistics integration and stable supply of raw materials. And the competitiveness of the petrochemical industry is maintained by the high quality of engineers who basically participate in production and accumulation of technologies in downstream processing processes in the absence of original technology. In order to cope with the vulnerability of source technology and low-cost tactics of oil-producing countries such as the Middle East, achieving economies of scale is the most important thing, and it is urgent to increase production scale and save costs through mass purchases of raw materials. Third, Korea should strive for diversification of export markets and strategic overseas investment. The per capita consumption of synthetic resins in Asian countries still falls short of advanced countries. In general, consumption of synthetic resins per capita has increased steadily to around $20,000 per capita GDP. Asia and Southeast Asia, which are still growing hard, are also big markets. The Southeast Asian market, which will require increasingly high-end products based on Korea's technological prowess, is expected to allow Korean products to become more competitive. Based on this, future improvements in income levels in Asian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and the consequent expansion of consumption capacity will be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rise in demand for Korean petrochemicals. Finally, it is important to nurture and develop talented people who will study and continue basic chemical technologies. Companies are suffering from losses every year due to the increasing burden of labor costs and low-cost orders for overseas projects. Therefore, many companies are scouting high-quality manpower from foreign workers (Indonesia, India, Myanmar, etc.) to carry out petrochemical projects. If this continues, the future of Korea's petrochemical industry will be very uncertain. Therefore, the state and the government should place importance on nurturing correlated human resources in the petrochemical sector and also need policies to protect the victims. 석유는 중요한 공업에너지, 다용도의 고귀한 화학원료로 20세기 세계적으로 빠르게 이용되고 있으며, 세계 소비에너지 구조에 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2019년을 기준으로 세계 무역 총수출 186,940억 달러, 총수입 189,885억 달러 가운데 한국은 세계 7대 무역국으로서 수출액은 5,418억 달러이고, 수입액은 5,042억 달러의 실적을 올렸다. 그중 석유 산업의 석유와 역청유, 원유 제외(HScode 2710) 품목 수출액은 3위(392.80억 달러)를 차치하였고, 석유화학 산업의 화학탄화수소(HScode 2902) 품목 수출액은 9위(90.22억 달러)를 차지하였다. 중국은 세계 2대 무역국으로서 수출액은 24,644억 달러이고 수입액은 20,680억 달러이다. 그중 석유 산업의 석유와 역청유, 원유 제외(HScode 2710) 품목 수출액은 384.36억 달러이고, 석유화학 산업의 화학탄화수소(HScode 2902) 품목 수출액은 4.73억 달러이다. 한·중 양국 경제를 이끌어 가는 중요한 분야인 석유화학 산업은 양국 무역의 기회를 제공하면서 격렬한 경쟁도 예상된다. 본 연구는 2012-2018년 7년 동안 석유화학 상관 품목의 수출·수입 데이터를 이용하여 RCA, MCA, TSI 지수 측정 산식을 사용해서 시장 점유율, 무역 경쟁력 등 국제 경쟁력 평가 지수를 통해 석유화학 산업의 국제경쟁력에 대한 평가를 진행했다. 이를 통해 한·중 석유화학 산업의 수출·수입 되고 있는 특정 품목의 경쟁력 수준을 알아봤으며, 경쟁력이 강한 품목을 발견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3개 경쟁력 평가지표를 통해 한국의 환식탄화수소(2902), 폴리카르복시산과 이들의 무수물·할로겐화물·과산화물·과산화산, 이들의 할로겐화유도체·술폰화유도체·니트로화유도체·니트로소화유도체(2917), 스티렌의 중합체(3903), 비환식탄화수소(2901), 혼합알킬벤젠과 혼합알킬나프탈렌(3817), 합성고무와 기름에서 제조한 팩티스(4002)와 폴리아세탈수지·그 밖의 폴리에테르와 에폭시수지, 폴리카보네이트·알키드수지·폴리아릴에스테르와 그 밖의 폴리에스테르(3907), 7개 품목은 세계의 같은 품목 수출에서 강한 국제 경쟁력 우위를 있다. 그리고 경쟁력 우위는 주로 석유화학계 기초 화학물질 제조업, 합성고무 제조업 및 합성수지 및 기타 플라스틱물질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의 실리콘수지(3910), 탄화주소의 할로겐화유도체(2903), 아민관능화합물(2921), 폴리카르복시산과 이들의 무수물·할로겐화물·과산화물·과산화산, 이들의 할로겐화유도체·술폰화유도체·니트로화유도체·니트로소화유도체(2917)와 혼합알킬벤젠과 혼합알킬나프탈렌(3817), 5개 품목은 세계의 같은 품목 수출에서 강한 국제 경쟁력 우위를 있다. 그리고 경쟁력 우위는 주로 석유화학계 기초 화학물질 제조업 및 석탄화학계 화합물 및 기타 기초 유기화학물질 제조업에 집중되어 있다. 그래서 한·중 석유화학 4개 세 분류 산업의 경쟁력 우위에 대한 차이를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중 FTA 발효 전후 한국 석유화학 산업의 RCA 지수가 떨어지지만 세계 무역시장에서 강한 경쟁력 우위를 차지하고 같은 품목을 비교할 때 중국보다 강한 경쟁력 우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은 석유화학 4개 세 분류 산업 중 석탄화학계 화합물 및 기타 기초 유기화학물질 제조업은 다른 산업보다 약한 경쟁력 우위가 있기 때문에 미래의 타르, 파치, 코크스 및 유기화학품 등 석탄화학계 화합물 및 기타 기초 유기화학물질 제조업의 제품의 생산과 수출·수입은 강화해야 한다. 둘째, 석유화학 산업에서 원천기술 확보가 가장 중요하고 기술적 경쟁력을 높여 고부가가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대형화, 집약화, 물류통합, 원료의 안정적 공급을 통해 가격경쟁력도 제고해야 한다. 그리고 석유화학산업의 경쟁력은 원천기술의 부재 속에서 기본적으로 생산에 참여하는 엔지니어의 높은 자질과 하류 가공공정상의 기술 축적으로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는 실정이다. 원천기술의 취약성 및 중동 등 산유국의 저가공략에 대비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고 생산규모를 확대와 원료의 대량 구입을 통한 비용을 절약하는 것은 시급하다. 셋째, 한국은 수출시장 다변화와 전략적인 해외투자를 위해 노력해야 한다. 아시아 국가의 1인당 합성수지 소비량은 여전히 선진국에 미치지 않다. 일반적으로 1인당 합성수지 소비량은 1인당 GDP 2만 달러 수준으로 꾸준히 증가한다. 아시아를 포함해 지금도 열심히 성장하고 있는 동남아시아도 역시 무시할 수 없는 큰 시장이다. 한국의 기술력을 바탕으로 점점 고급화된 상품을 요구하게 될 동남아시아 시장은 한국의 제품이 더욱 경쟁력 있는 상품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앞으로 아시아와 동남아시아 국가들의 소득수준 향상과 이에 따른 소비능력 확대는 한국 석유화학 수요 증가의 원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마지막으로 기초화학기술을 연구하고 이어나갈 인재를 육성하고 개발해야 한다는 점이 중요한다. 기업들의 인건비 부담은 날로 더해지고 해외프로젝트는 저가에 수주하는데 비해 업무 능력과 효율은 떨어져 해마다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래서 많은 기업에서 석유화학 프로젝트 집행할 때 많은 한국 인력보다 더 외국인 인력(인도, 인도네시아 및 미얀마 등)으로부터 고급인력을 스카우트 하여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런 상태가 계속 지속된다면 한국 석유화학 산업의 미래는 아주 불투명해 진다. 그래서 국가 및 정부는 석유화학 분야 상관 인재 양성을 중시해야 하고 이재 보양 정책도 필요해야 한다.

      • 기업의 국제경쟁력강화를 위한 국제화 전략으로서의 M&A 연구

        전혜경 가톨릭대학교 국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21세기 무한경쟁 시대를 맞아 단일시장으로서의 통합이 가속화 되면서, 세계 경제는 그 경쟁이 더욱 격화되고 있다. 공정거래와 상호주의를 내세우는 선진국과의 통상마찰을 비롯해 EU 통합에 의한 경제블럭화로 지역주의화 되어 역외국가에 대한 수출의 장벽이 더 높아지는데다가, 자원보유국은 그 자원을 무기화 하는 등 단일시장권 내에서 심각한 자국주의를 표방하는 추세이다. 더불어 기업을 둘러싼 세계 환경의 급격한 변화는 기업의 경영에 불확실성을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이러한 환경에서 노동과 자본은 이제 더 이상 경쟁우위의 원천이 될 수 없으며 자국시장에 안주하는 기업은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할 수 없는 시대가 되었다. 생존을 위해 변화를 적극적인 기회로 삼아 세계의 기업으로 변신하지 않으면 안 되는 기업의 국제화 전략에 대한 필연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 시장에서 많은 기업들이 국제 경재에서 이길 수 있는 우위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으로 M&A를 선택하고 있는 것은 아마도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M&A가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기 때문일 것이다. 기업의 국제화는 단순히 기업의 활동을 해외로 확장 시키는 단계적인 과정이 아니라, 국제경쟁에 대응할 수 있는 기업의 경쟁우위와 급변하는 환경에 대한 신속한 적응력을 의미하게 되었다. 따라서 기업의 국제화 과정은 이러한 경쟁력과 적응력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을 선택하는 과정이며, 특히 M&A 는 그 효율성 면에서 기업의 국제경쟁력 향상에 부합하는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기업의 생존과 성장 전략으로 자리 잡고 있는 M&A에 대해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기업의 국제화 전략으로서 M&A 는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또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M&A를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에 대해 정리해 봄으로써 기업의 경영혁신을 위한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rapidly changing international environment of the past decades has brought in a new concept about the emerging new world order - internationalization. According to this new trend, the main economic and corporate phenomena today are dominated by the dynamics of that international process, which is characterized by the borderless world economy, integration of markets, regional economic blocs, protectionism and growing uncertainty of management environment. As internationalization is no more an option but an inevitable strategic decision for corpoations to play 'survival game' in this changing competitive era, comparative advangage gave i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to competitive advantage. This implies that the meaning of internationalization as an entry mode stage of foreign market expansion has been changed to a strategic decision making to create competitive advantage and adaptability in international competition. There is no single opinion on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Some believe that the nation remains its main actor; some claim that industry represents the competitiveness; while others insist on the role of corporations. In this dissertation, I attempt to provide an alternative theory. I assumed that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s divided into two factors: 'internalities' and 'externalities'. This division shows that the key factor lies in the internalities (corporate-specific factors), which core competence of corporations is created by, while the externalities are exclusive ones such as market condition, competition structure, related industries etc. affecting internalities. These two are relatively inter-active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nd from my point of view, M&A c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s one of the most effective internationalization strategies based on global scale economies. Not to mention of the current M&A tendency, I hold that M&A has successful implications on reinforc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especially for going concerns: both internal and external growth, market share expansion, stable financial structure, cost reduction, technological change, brand recognition, maximized synergy efficiency. However, the core impact of M&A as internationalization strategy is to transform the internalities into competitive advantage through management innovation under the pressures for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t is true that M&A brings in some negative effects as well as opportunities, nevertheless, placed in front of twofold task of pursuing survival and sustainable growth simultaneously in the 21^st century, corporations have already realized what 'win-win' game in the world competition is about, at least proactive 'cooperation'.

      •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수상기업의 재무성과에 관한 연구

        이형석 강원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807

        품질경영은 생산 공정에서 검사를 통하여 규격에 벗어난 불량품을 걸러내어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품질통제에서 시작하여, 전사적 품질경영(Total Quality Management, TQM)은 생산과정뿐만 아니라 소비자 지향적인 제품의 설계에서부터 시작하여 구매와 생산 및 사후서비스와 피드백까지를 포함한 전반적인 프로세스 전체에서 품질을 관리하는 개념으로 발달되었다. 또한 말콤볼드리지(MB)상의 기준은 경영전반의 품질을 의미하는 경영품질로까지 발전되었다. 오늘날에는 업종의 구분 없이 많은 기업들은 품질경영활동을 통해서 기업경쟁력을 확보하고 그를 통하여 기업의 경영 및 재무성과 실현을 추구하고 있다. 품질경영활동과 경영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정성적 경영성과와 정량적 재무성과를 결합하여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으며, 품질상 수상기업과 경영성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품질경영활동의 지속적인 성과 보다는 수상의 의미가 높은 국가품질상 수상기업들을 대상으로 하여 경영성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들이 분석기간 및 대상기업의 범위 확장에 대한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 있음에 따라, 본 연구에서 분석대상기업은 국가품질상 중에서 수상의 의미에 더하여 지속적인 품질경영활동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는 “품질경쟁력 우수기업”을 수상한 기업으로 설정하였다. 분석대상기간은 2002년부터 2014년까지 선정된 전체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고, 2003년부터 2014년까지 재무자료를 수집하여 재무성과 평가지표인 성장성, 수익성, 안정성 재무성과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들이 정량적 재무성과 보다는 응답자의 인지된 경영성과를 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있어 정량적인 재무성과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많지 않음에 따라 정량 재무자료만으로 품질경영에 대한 재무성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모집단으로 설정한 우리나라 제조업과의 재무성과의 차이에 대한 검정과 품질경쟁력 우수기업으로 선정된 횟수를 기준으로 그룹 간 차이에 대한 검정 그리고 연도를 조절변수로 하여 재무성과에 대한 연도별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상횟수가 재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회귀분석을 통하여 차이분석에 따른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첫째, 품질경쟁력 우수기업과 제조업과의 차이분석 결과 성장성 재무성과는 모든 항목에서 품질경쟁력 우수기업의 재무성과가 제조업에 비하여 높은 결과를 보여 선행연구의 결과를 뒷받침하고 있으며, 안정성 재무성과중에서는 부채비율만 부(-)의 성과차이를 보여 선행연구와는 다른 결과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품질경쟁력 우수기업이 지속적으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외부자본의 조달에 의한 레버리지 효과를 목적으로 자본의 운용을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수익성 재무성과는 선행연구와는 다르게 제조업과 차이가 없는 결과를 보였다. 둘째, 수상횟수를 기준으로 3개의 그룹으로 구분하여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수익성 재무성과에서 자기자본순이익율만 낮은 수준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한 회귀분석의 결과에서는 수익성 재무성과에서 자기자본순이익율이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총자산증가율과 총자산순이익율이 낮은 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회귀분석의 결과는 차이분석의 결과에 비하여 차이가 있으나, 전체적으로 평가할 경우에는 크지 않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품질경쟁력 우수기업의 수상횟수와 재무성과는 수익성 재무성과에서 일부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재무성과 전체를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에서 차이는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TQM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품질경쟁력 우수기업들의 재무성과는 수상횟수와는 관계없이 재무성과를 실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품질경쟁력 우수기업과 제조업과의 재무성과 차이검정 결과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총자산증가율, 자기자본증가율, 매출액증가율 및 부채비율을 대상으로 연도 조절효과를 반영하여 재무성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총자산증가율, 자기자본증가율, 매출액증가율의 성장성 재무항목 모두 2008년 이전의 재무성과는 제조업과의 차이를 보였으나, 2009년 이후 재무성과는 제조업과 차이가 낮은 결과를 보였고, 또한 추세분석의 결과에서는 2009년 이후 성장성 재무성과가 체감하는 추세를 보였다. 2009년 이후 품질경쟁력 우수기업과 제조업과의 재무성과가 차이를 보이지 않는 요인으로는 첫째, 2000년부터 국가품질상제도가 확대 운영되고 있어 정책적 지원 및 기업의 TQM 활동의 결과가 해를 거듭할수록 확산되는 긍정적인 성과에 의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2009년 이후 추세분석에서 품질경쟁력 우수기업의 재무성과가 낮아지고 제조업과 유사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부분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산업구조가 저성장 국면에 진입함에 따라 품질경쟁력 우수기업 뿐만 아니라 제조업 모두 기업경쟁력이 낮아지고 있어 외부환경요인의 영향으로 판단할 수 있다. 품질경쟁력 우수기업의 재무성과에 대한 연구의 결과는 지속적인 품질경영의 추진으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TQM 활동의 추진성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외부환경의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들의 경쟁력이 낮아지고 있어 품질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확대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Quality management has been started from production management to heighten the competitiveness of companies through the effective operation of the production process. Today's quality management(Total Quality Management, TQM) has been expanded to include the concept of surveillance from the product design. Many countries are aware that the quality competitiveness of enterprises expanded to increase the country's competitiveness, thereafter encourage quality management activities of the company through the National Quality Awar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useful suggestions by analyzing difference of financial performance between "Excellent Quality Competitiveness Enterprise(EQCE)" awarding companies and all the manufacturing companies during the period 2003-2014 and by test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formance year. This paper perform the longitudinal study during the period 2003-2014. The collected data through list of National Quality Award and financial report of CRETOP were analyzed using independent-sample t-test, paired-sample t-test, one way ANOVA and empiric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QCE showed higher growth rate than all the companies until 2008, but profitability, stability, and activity a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both. Therefore EQCE have partial influences on growth rate among several financial performance measures until 2008. Since 2009 there are no differences. The effects of EQCE on financial performance are different by the year. EQCE award system was a meaningful promotion method to enhance good financial performance through encouraging quality management for the manufacturing companies until 2008, But since 2009 it is expected to lose its role as a promoting tool for quality management and performance excellence. Therefore new way of thinking for EQCE, as a national quality award system, is necessary; changing awarding system, award criteria, or etc. Despite analysis to enlarge the time period and to extended all awarding companies, feasibility for applying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cross the entire enterprise is considered low. Therefore follow-up study will be proceed to apply on the company size, industry classification and listing.

      • 원자력발전 플랜트 건설사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민경수 숭실대학교 경영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A Study on the Improving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MIN, KYUNG SOO Department of Project Management Graduate School Soongsil University Today, the major countries have focused on developing nuclear energy in order to confront an obligation of carbon dioxide reduction. As restarting the nuclear power renaissance period, the world wide nuclear power plant market will be extended in the near future. So,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The focus of this study was to see how competition factor as a dependent variable correlate with competition performanc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o see how environment factor as a control variable affect competition factor and competition performance. To verify this factors, research model was designed and set hypotheses. To examine the hypotheses, 105 questionnaires returned from those involved i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such as project owner, designer, manufacturer and constructor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through research model design and test. First, financial competition factors had positive correlations to competition performances such as quality, price and marketing. Also, non-financial competition factors had positive correlations to competition performances such as technology and price. Second,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to competition performances such as price and marketing. Based on the above analyzed results, following several factors to be executed rapidly for improving the competitiveness of Korean Nuclear Power Construction Project were drawn : ① acquiring core technology, ② training experts, ③ restructuring the nuclear power industry, ④ government policy, ⑤ strategic cooperation, ⑥ improving marketing. Also, following countermeasures were suggested : ① sustaining high construction technology, ② strengthening international cooperation, ③ strengthening marketing strategy. This study suggests that improving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 is very important. There will be some limitations to generalize this study results, because the survey was restricted to partial nuclear industry employes and this population would hardly be representative or generalized. Therefore, this study is just significant in that it offered an opportunity to conduct research on various nuclear industry fields as well as for nuclear power plant construction projects in the future on the ground of these limitations. 원자력발전 플랜트 건설사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경영학과 민경수 지 도 교 수 최정일 본 연구는 최근 글로벌 경제위기 이후 세계 각국이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가 의무화되면서 원자력발전을 확대하는 원자력 르네상스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세계 원자력시장도 획기적으로 증대될 전망이므로, 이에 따른 국내 원자력발전 플랜트 건설사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을 모색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내용은 독립변수인 경쟁력요인이 종속변수인 경쟁력강화 성과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조절변수인 환경요인이 경쟁력요인에 따라 경쟁력 강화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원자력발전 플랜트 건설프로젝트에 종사하고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회수한 105개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배경과 목적을 바탕으로 연구모형 설계와 검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내부 경쟁력요인인 재무적요인은 품질, 가격경쟁력, 마케팅능력 향상에 비재무적요인은 기술력 및 가격경쟁력 향상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부 환경요인은 가격 및 마케팅 경쟁력강화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쟁력 강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분석과 더불어 국내 원자력발전 플랜트 건설사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분야로 ① 핵심기술 확보, ② 전문인력 양성, ③ 원전산업추진체제 구조개편, ④ 정부정책, ⑤ 전략적 제휴, ⑥ 마케팅 강화 등의 항목을 도출하였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주요 전략방향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첨단 건설기술의 개발 등을 통한 기술수준 고도화 둘째, 국제협력 강화로 해외수주 확대기반 구축 셋째, 마케팅 전략의 강화 본 연구는 원자력발전 플랜트의 해외수출을 위해 필수적인 국제경쟁력 강화 방안을 연구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으나 설문조사 대상이 원자력발전 플랜트 건설프로젝트에 참여하고 있는 일부 종사자로 제한되어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에 대해 일반화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점을 바탕으로 향후 정부, 학계, 연구기관을 포함한 전 원자력산업계로 확대한 연구가 진행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한데 본 연구의 의미를 두고자 한다.

      • 관광경쟁력과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 : 국가그룹 간 비교

        김준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tourism industry has expanded its market according to the improvement of national economy and the demand of enhancing the quality of life. The tourism industry has been increasingly important, accounting for over 10% of global GDP, in accordance with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tourism by free trade and exchange of human resources. Therefore, many countries have aggressively established related systems, tax support, capital investment, human resources and tourism facilities to improve tourism competitiveness. Moreover, the tourism industry has an effect on economic growth by promoting economic activities, with differential effects on each country according to the condition of national economy. Tourism competitiveness is essential to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tourism industry, attracting more tourists to consume tourism expenditure and inducing multiplier effects directly and indirectly. Meanwhile, entrepreneurial activities have been increasing according to the advancement of industrial structure, thereby activating national economy by creating new jobs, promoting competition, developing new technology, improving effectiveness and diversifying products. Institutional systems, such as social and economic systems, cultural values, etc., have been measured as tourism competitiveness index in the tourism industry. They are important factors for successful entrepreneurial activities because they have significant effects on performance of start-ups. Moreover,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fulfill tourists’ needs by providing diversified products and services in accommodation, food & beverage, recreation facilities and retail commodities, thereby enhancing the effect of tourism competitiveness on economic growth. Therefore,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tourism competitiveness a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is expected to strengthen individual effect on economic growth with each other. According to th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countries are categorized as factor-driven, efficiency-driven and innovation-driven economies. Depending on each stage where country is located,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determinants of tourism competitiveness a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may be different in each country because institutional environments are directly and indirectly related to entrepreneurial performances. Thus, it has been more critical to comprehensively analyze the effect of tourism competitiveness a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on economic growth, considering th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However, study on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tourism competitiveness and entrepreneurial activit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has been insufficient in the literature. Consequ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tourism competitiveness, that is, enabling environment, T&T policy and enabling conditions, infrastructure, and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entrepreneurial activit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on economic growth, comparing the effects in terms of th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Firs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f ‘enabling environment’ and ‘infrastructure’ on gross national income per capita. Enabling environment is helpful in reducing unemployment, mitigating income disparity, and strengthening capability of business process. Infrastructure contributes to improving production process and raising factor productivity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Second, the interaction between ‘infrastructure’ and entrepreneurial activit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gross national income per capita. Both public and private infrastructure increases convenient facilities and branded tourism products such as festivals and events for attracting tourists, thereby increasing regional residents’ income. Therefore, an interaction between infrastructure and entrepreneurial activit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contributes to increasing personal income level by making progress of productivity in traditional enterprises and providing favorable environments for start-up firms. Third, as for moderating effects of country groups, the interaction between ‘infrastructure’ and entrepreneurial activit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has a positive and significant effect on gross national income per capita between the efficiency-driven and innovation-driven economies. The interaction between infrastructure and entrepreneurial activit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has a positive effect on economic growth in the whole country groups.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nfrastructure is an important factor to manage for driving economic growth in that the interaction effect between infrastructure a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 the hospitality industry helps the efficiencydriven countries in reaching the innovation-driven countries. This study suggests important implications of promoting the tourism industry and stimulating entrepreneurial activit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by proving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infrastructure and entrepreneurial activity in the hospitality industry on the basis of enhanced tourism competitive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gross national income per capita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national econom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each country will be able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by maintaining economic growth and increasing national income from promoting the tourism and hospitality industries in accordance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stage. 관광산업은 국민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삶의 질을 높이려는 욕구의 충족과 더불어 시장규모가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또한 국가 간 무역거래와 인적 교류의 확대에 따른 국제관광 발달로 관광산업은 전 세계 GDP의 10% 이상을 차지하며 글로벌 경제에서 국가경제의 성장 동력으로서 그 중요성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각국은 고부가가치 산업인 관광산업 발전과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관련 제도의 정비 및 세제 개편, 자본 및 인프라 투자, 인적자원 육성, 관광시설 확충, 국제대회 및 회의 유치 등을 적극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나아가 관광산업은 산업 간 파급효과가 크므로 경제활동을 촉진하여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경제적 효과는 개별 국가경제의 상황과 여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관광산업 발전을 위해 관광시장 환경이나 조건이 지속적인 부가가치의 창출을 통해 국부를 증가시키는 능력으로서 관광경쟁력 확보가 전제되어야 한다. 관광경쟁력은 관광객 유치와 관광소비 지출을 유도하며, 경제전반에 직·간접 승수효과를 유발하여 경제성장에 기여한다. 한편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다양화가 진행되면서 신규 창업이 활발해지고, 창업은 새로운 일자리 창출, 건전한 경쟁 가속화, 신기술 발전 및 생산성 향상, 제품과 서비스의 다양화로 경제에 활력을 준다. 성공적인 창업을 위해 제도적 기반이 중요하며, 관광산업에서 관광경쟁력으로 측정되는 사회적·경제적 시스템, 문화적 가치 등 제도적 기반 및 환경은 관련 분야 창업의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친다. 나아가 관광객의 수요에 대응하며 숙박, 식음료, 위락시설 및 소매판매 등 환대산업의 제품과 서비스가 다양화되어 신규 아이디어형 창업이 활성화되므로 환대산업 창업은 관광경쟁력 수준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더욱 강화시킬 것이다. 따라서 관광경쟁력 또는 환대산업 창업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관광경쟁력과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 효과가 기대된다. 경제발전 수준에 따라 국가의 경쟁우위 단계는 요소주도형, 효율주도형, 혁신주도형으로 구분되고, 제도적 환경과 창업활동은 직·간접적 상호작용 효과가 있으므로 제도적 기반으로서의 관광경쟁력 개별 결정요인과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 효과는 요소주도형, 효율주도형 및 혁신주도형 단계에 위치한 국가에 따라 다를 것이다. 따라서 지속적 성장을 위한 관광경쟁력 결정요인과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및 경제발전 단계에 따른 국가그룹 간 차이를 비교한 종합적인 분석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기존 연구는 관광경쟁력의 요소와 효과에 대한 연구에 머물러 관광경쟁력 결정요인과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및 국가 간 비교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환경조성, 관광정책 및 기반조성, 인프라, 자연·문화자원으로 구분한 관광산업 경쟁력의 각 결정요인과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이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 및 국가그룹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첫째, 관광경쟁력 결정요인과 경제성장의 관계에서 ‘환경조성’과 ‘인프라’는 1인당 국민총소득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환경조성 요인은 실업률 감소와 소득격차 완화에 도움을 주고, 제품, 프로세스, 사업모델의 혁신 역량을 강화하여 경제성장을 촉진하며, 인프라는 생산 프로세스를 효율화하여 요소 생산성이 향상되므로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관광경쟁력 결정요인과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 및 경제성장의 관계에서 ‘인프라’와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은 1인당 국민총소득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인프라는 신규 관광객 유치와 기존 관광객 재방문을 위한 관광목적지 개발에 필수적인 요소로서, 환대산업 관련 기업의 고객 기반을 확장하고 이들 관광객의 인프라 이용률이 증가함으로써 상호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강화한다. 나아가 공공부문과 민간부문 인프라는 상호 보완하여 관광객 유인에 필요한 편의시설의 증대, 인프라 설비를 활용한 축제, 이벤트 등 관광상품의 브랜드화로 지역주민 소득을 증가시키며, 인프라 확보는 기존 기업의 생산성 향상과 더불어 신생기업 활동에 유리한 여건을 제공하여 창업활동의 경제성장 효과를 증가시키므로 인프라와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은 개인 소득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관광경쟁력 결정요인과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 및 경제성장의 관계에서 국가그룹의 조절효과는 ‘인프라’와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이 효율주도형 국가와 혁신주도형 국가 간 1인당 국민총소득에 유의미한 정(+)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인프라와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은 전체 국가를 대상으로 경제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효율주도형 국가에서 혁신주도형 국가로의 발전에서 1인당 국민총소득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나타내므로 관광경쟁력의 개별 결정요인 중 경제성장 효과를 위해 인프라는 더욱 중점적인 투자와 관리가 필요한 요인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관광경쟁력 제고를 통한 관광산업 발전에서 인프라 개발과 환대산업 창업의 상호작용이 경제성장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국가경제 발전이 지속됨에 따라 그 효과가 더욱 커지는 것을 실증함으로써 국가경제 발전의 지속 가능한 성장동력으로서 관광산업의 의미를 부각하고 환대산업 창업 활성화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경제성장 단계에 따라 관광산업과 환대산업의 발전 전략 수립과 실행을 통해 지속적인 경제성장 및 국민 소득수준 향상으로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 델파이 기법과 AHP를 활용한 국가 간 관광산업 경쟁력 평가지표 개발

        오문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각국의 관광산업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국가경쟁력, 관광경쟁력, 목적지 경쟁력 모델 및 지표와 관련한 선행연구를 학습하였으며,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기존 국가경쟁력 모델에 관광경쟁력, 목적지 경쟁력 관련 연구에서 제시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새로운 관광경쟁력 모델을 제안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과 AHP를 활용하였다. 델파이 패널 20명을 선정하여 2차에 걸친 델파이와 1차에 걸친 AHP 설문을 실시하였다. 1차 조사(2012년 7월 4일~7월 20일)는 16명, 2차 조사(2012년 8월 8일~8월 23일)는 17명, 3차 조사(2012년 9월 16일~10월 22일)는 15명이 응답하였으며, 유효 표본은 각 16, 16, 14부였다. 초기 196항목 중 1차 델파이 조사 결과에 따라 총 139개 항목으로 정제되었으며, 2차 델파이 조사에 따라 총 61개 항목을 포함한 지표가 개발되었다. 또한 이들 항목 간 가중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AHP를 위한 3차 조사를 실시한 결과, 상위개념 가운데 ‘sustainability management’가, 하위개념 중에는 ‘demand’가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세부지표에서는 ‘level of service quality’가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게 평가되었다. 본 연구는 기존 관광경쟁력 평가지표의 문제점을 보완하였고, 관광산업에 적합한 새로운 관광경쟁력 평가 모델 및 척도를 제시함으로써 국가경쟁력 이론과 관광경쟁력 이론의 접목을 시도하였다는데 그 가치가 있다.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ourism competitiveness evaluation index. To achieve this research goal, this study reviewed literature related to national competitiveness, tourism competitiveness, and destination competitiveness model or index, and suggested new tourism competitiveness evaluation model based on Dual Double Diamond model for improving existing research. This study used Delphi Technique and Analytic Hierarchy Process. This study formed 20 world-wide tourism field experts panel, and they answered 3rd round survey including 2 delphi survey for refining items and 1 survey for calculating priority vector. This study received data from 16 panels for 1st round(July 4∼20, 2012), 17 panels for 2nd round(August 8∼23, 2012), 15 panels for 3rd round(September 16∼October 22, 2012), and used 16, 16, 14 copies for the analysis. As a result of 1st round survey, this study gained 139 refined items from 196 items at first, and final 61 items left from the 2nd round refinement. Also, this study conducted 3rd round survey for establishing weighting of item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sustainability management' was the first priority criterion, 'demand' was the first priority sub-criterion, and 'level of service quality' had the best relative importance among 61 items. Results of this research contribute to fill up a lacuna in previous study results, and to try to make connection between national competitiveness theory and tourism competitiveness research.

      • 전시산업의 국제경쟁력 평가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김태칠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807

        전시산업의 국제경쟁력 평가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각국의 전시산업 경쟁력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형과 지표를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시분야에서 선행연구, 국가경쟁력 및 서비스 산업에서 국제경쟁력에 관한 선행연구를 학습하였다. 전시산업에 대한 선행연구가 부족하여 기존 국가경쟁력 연구와 여타 서비스산업에서 국제경쟁력 연구에서 제시된 제시한 변수들을 바탕으로 전시산업에 적용할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과 AHP를 활용하였다. 전시산업분야에서 델파이 패널 25명을 선정하여 1차 조사(2015년 4월6일~4월14일), 2차 조사(2015년 4월20일~4월26일), 3차 조사(2015년 4월28일~5월3일)를 실시하였다.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에서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평균값 기준으로 항목을 정제하였으며, 2·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평균값과 CVR 값을 기준으로 정제하였다. 최종 항목에 대한 신뢰도는 Cronbach's α 값을 통해 구하였다. 최종 항목에 대한 가중치를 구하기 위해 12명의 델파이 패널을 대상으로 4차 AHP 조사(2105년 5월6일~5월9일)를 실시하여, 지표별 상대적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초기 제안모델에서 제시된 7개 상위개념의 109개 세부지표가 최종 모형에서는 6개 상위개념의 65개 세부지표로 도출되다. 상위개념 가운데 ‘전시산업 성과’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그 다음으로 산업발전 기반이 되는 ‘전시산업 기반조건이며, ’정부역할‘의 비중이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부지표에서는 1순위는 ‘전시회 브랜드 수준’이 상대적 중요도가 가장 높은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전시장 접근성’이고, 가장 낮은 순위(65위)는 ‘전시장치 및 운영 연계성’인데, 1순위는 65위에 비해 8.89배 상대적 중요성을 갖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최종 도출된 전시산업 경쟁력 모형은 한 국가의 전시산업 크기를 나타나며, 세부지표 측정을 통해 각 국가들의 전시산업 규모를 비교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미는 전시산업이란 개념이 명확히 정립된 되지 않은 분야이나 본 연구를 통해 전시산업을 구성하고 있는 내용을 파악할 수 있었다. 경쟁력에 관한 이론적 틀을 기반으로 전시산업의 경쟁력을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든 것에 학문적 의미가 있는 연구라 하겠다. 또한 본 연구결과를 통해 전시산업에서 정책적, 실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그러나 한계점으로 연구의 목적이 국가 간 비교이나 델파이 패널 대상이 국내 전문가들만 대상으로 해서 국제적인 여러 의견을 종합적인 관점에서 반영한 평가모델과 지표구성이 되지 못했다. 향후는 본 연구에서 도출된 전시산업 경쟁력 평가모델을 바탕으로 각국의 전시산업 경쟁력을 실제로 평가해 보고, 본 연구에서 도출된 평가 모델이 현실을 잘 반영하는 타당한 모델인지를 검증해 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evelop a model and index that can objectively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exhibition industries in different countries. Previous researches on exhibition industry, national competitiveness theor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in other service industries have been studied. Due to lack of previous studies on exhibition industry, this research suggests a new model based on national competitiveness research and variables in other service industries. Delphi Technique and AHP have been used for this purpose. 25 Delphi panels from the exhibition industry were selected for the 1st round survey(April 6~14, 2015), 2nd round survey(April 20~26, 2015), and the 3rd round survey(April 28~May 3, 2015). Average value was used to refine the items in the 1st survey, while average value and CVR were used to refine the items in the 2nd and 3rd round. The credibility for the final items was attained through Cronbach's α. In order to calculate the weighted value for the final items, 4th survey(May 6~9, 2015) was done on 12 Delphi panels. Throughout this process, 109 items for 7 upper categories in the initial model were eventually developed into 65 items for 6 upper categories. Among the upper categories, 'Exhibition Industry Performance' takes the largest portion, followed by 'Basis Conditions for Exhibition Industry' and 'Role of Government'. Among the items, 'Level of Exhibition Brand' turned out to be most important, followed by 'Venue Accessibility'. The lowest in rank (65th) was 'Booth Construction and Operation Networking', and the 1st indicator was 8.89 times more important than the 65th. The final model for competitiveness is to indicate the size of a country's exhibition industry, and countries can be compared the size of their exhibition industries by measuring total item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identified the items of exhibition industry and created a model to evaluate its competitiveness, which was previously unavailable. These results have many implications to be used for policy making as well as on working level. Whil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build a comprehensive model for international comparison, the limitation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Delphi panel was limited to domestic experts. In the future, it would be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a study that can evaluate the competitiveness of each country's exhibition industry, as well as to test if the model for this research is adequately reflecting the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