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시주최자 혁신 프로세스의 구조관계 연구

        이해석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Despite the quantitative growth of the domestic exhibition industry in Korea, many obstacles such as exhibition cloning, lack of resources and investments by small and medium sized show organizers, insufficient international level venue space, limitations in establishing global network and lack of professional manpower, and closed local distribution structure and strong dependency on domestic demand, still exist. In order for Korean exhibition industry to secure it s competitiveness, it is necessary to examine new approach centering on trade show organizers by restructuring business models and adopting innovation process of the overall exhibition industry. Traditionally, Korean exhibition organizers' innovation activities have been centered on closed innovation activities that depend on their internal resources and manpower to develop new shows and services. However, due to rapid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including new technological advances, diversification of customers’ demand and over-segmentation of market have driven local show organizers to perceive limitation of their own business model and resources. As a result, interest in adopting an alternative business model called open innovation that enhance innovation performance by utilizing external resources and capabilities in a series of innovation processes has been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focuses o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e show organizers’ innovation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 focusing on the organizer's innovation objectives and resources. Furthermor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ources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novation objectives and activities will be analyzed.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the Demand-Pull Theory, Resource Based View and Social Capital Theory have been applied to provide the theoretical rationale to explai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s within the organizers’ innovation process. Th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986 local trade show organizers registered in membership directory of the Association of Korean Exhibition Industry and affiliated industry associations. The questionnaire included questions regarding innovation objectives, resources, innovation activities and business performances. A total of 244 organizers, 24.7% of the total sample, responded to this survey. However, only 236 valid samples were analyzed, excluding 8 invalid questionnaires. The valid replies were utilized to verify reliability and feasibility.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confirm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de show organizers’ innovation objectives, resources, innovation activities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In addition,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 of resourc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novation objective and the innovation activity. Finally, the Z-test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venue-bound-organizers and non-venue-bound-organizer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organization innovation objective, one of the major innovation drivers to increase the performance efficiency through work system improv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both closed and open innovation activities.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exhibition development innovation objective, in which profit is earn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new exhibitions and improvement of existing exhibitions, and the marketing objective, in which the use of innovative marketing tools are encouraged,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open innovation. However, it failed to confirm the significant effect between the process innovation objective and innovation activities. The internal resource and social capital confirmed to have an effect to both closed and open innovation activities. This result implies that qualified human resources and their accumulated experience are important elements to exhibition R&D activities along with other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exhibition organizer's social capital has a greater impact on open innovation activities than closed innovation activities as it promotes formation of mutual trust and exchange of knowledge resources among the partners. The moderated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internal resour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innovation objective and the innovation activiti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as confirmed the input of internal resource promotes the internal innovation activities through improvement of the work performance process within the organization. It is also a major factor that enables open innovation activities through the integr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 with external partners and work standardization process. In addi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capital was confirmed between exhibition development innovation objectives and open innovation activities Furthermore, this research also demonstrated that the exhibition organizer's closed and open innovation activitie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oth financial and non-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 This result shows that most of trade show organizers, despite the difficult business environment due to COVID-19, clearly recognizes the need for continuous innovation activities for positive business performance. Finally, the Z-test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n the relationship of each variables between venue-bound-organizers and non-venue-bound-organizer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identifi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 innovation objectives and open innovation activities, and between closed innovation activities and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s. It was confirmed that the venue-bound-organizers strongly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 innovation objective and the open innovation than non-venue-bound-organizers as they are more open to external cooperation and recognizes the importance of long term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goal. 국내 전시산업은 양적 성장에도 불구하고 유사·중복 전시회의 난립, 전시주최자의 영세성에 따른 자원의 한계 및 R&D 투자 부족, 국제 수준 전시 인프라 부족, 글로벌 네트워크 구축의 한계와 전문 인력의 부족, 폐쇄적인 유통구조 및 내수 중심의 전시회 운영 등 질적인 측면에서는 경쟁 국가와 비교하여 비교열위에 있다. 따라서 국내 전시산업이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전시주최자를 중심으로 산업 전반에 걸쳐 혁신 프로세스를 재정립하고, 혁신활동의 패러다임에 대하여 새로운 접근방식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전시주최자의 혁신활동은 내부자원만을 활용하여 자체적으로 완결하는 폐쇄형 혁신활동을 중심으로 추진되어왔다. 그러나 기술 진보에 따른 사업 환경의 빠른 변화, 산업의 세분화 등으로 인해 많은 전시주최자들은 가용한 R&D 자원 활용의 한계에 봉착하게 되었고, 이로 인해 연구, 개발, 상업화, 수익화로 이어지는 일련의 혁신 프로세스에서 외부의 자원과 역량을 활용하여 혁신성과를 높이는 개방형 혁신활동을 채택하고자 하는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시주최자의 혁신동기와 보유자원을 중심으로 혁신활동과 경영성과에 대한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아울러 혁신동기와 혁신활동의 영향관계에 대한 보유자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혁신동기와 혁신활동의 영향관계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인 수요견인이론(Demand-Pull Theory), 보유자원과 혁신활동의 영향관계를 설명하는 주요 이론인 자원기반이론(Resource Based View)과 사회적 자본이론(Social Capital Theory)을 중심으로 전시주최자의 혁신 프로세스의 구조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국내 전시산업 관련 협회를 통해 취합한 총 986명의 전시주최자를 대상으로 선행 연구를 통해 도출한 전시주최자의 혁신동기, 보유자원, 혁신활동, 경영성과와 관련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설문에 응답한 전시주최자는 총 244명으로 전체 표본의 24.7%가 조사에 응답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치, 특이값 등 총 8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36명의 유효 표본을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표본을 바탕으로 기초분석을 통하여 신뢰성(Reliability)과 타당성(Feasibility)을 파악하였으며,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활용하여 혁신동기와 혁신활동, 보유자원과 혁신활동, 혁신활동과 경영성과 간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아울러 조절회귀분석(Moderated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여 혁신동기와 혁신활동의 영향관계에 대한 보유자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추가연구로 위와 동일한 통계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전시장 소유 전시주최자와 전시장 비소유 전시주최자의 요인들 간 영향관계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두 집단 간 영향관계의 차이가 유의미한지 확인하고자 Z-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전시주최자의 혁신동기 중 전시회 사업비 및 제반비용을 절감시키고자하는 공정혁신동기는 혁신활동과의 영향관계가 확인되지 않았으나, 신규 전시회 개발 및 기존 전시회의 개선을 통해 수익을 실현코자 하는 전시개발혁신동기는 개방형 혁신활동과 유의한 영향관계가 확인되었다. 전시주최자의 업무수행 절차 개선 등을 통해 업무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는 조직혁신동기는 폐쇄형 혁신활동과 개방형 혁신활동 모두와 유의한 영향관계가 확인되었으며, 차별화된 마케팅 기법 도입을 통한 수익을 제고하고자 하는 마케팅 혁신동기는 개방형 혁신활동과 유의한 영향관계가 확인되었다. 전시주최자의 보유자원 중 내부자원과 사회적 자본은 폐쇄형 혁신활동과 개방형 혁신활동에 모두 유의한 영향관계를 나타났다. 전시주최자의 내부자원 중 다양한 유형자원과 무형자원이 신규 전시회 개발과정에 영향을 미치지만, 특히 인적자원의 축적된 경험과 역량은 경쟁자 대비 차별화된 전시회 구성을 가능케 한다. 또한 전시주최자의 사회적 자본은 파트너 간의 신뢰 형성과 지식자원의 교류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폐쇄형 혁신활동보다 개방형 혁신활동에 더욱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전시주최자의 혁신동기 중 조직혁신동기와 폐쇄형 혁신활동 간의 영향관계, 조직혁신동기와 개방형 혁신활동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내부자원의 조절효과가 모두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내부자원의 투입은 조직 내 업무수행절차의 개선을 통한 내부 혁신활동 수행을 촉진시키며, 아울러 외부 파트너와의 조직문화 통합 및 업무표준화를 통한 원활한 개방형 혁신활동 수행이 가능하게 하는 주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전시개발혁신동기와 개방형 혁신활동 간의 영향관계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해 전시주최자의 개방형 혁신활동을 통한 신규 전시회 개발과정에 있어 지식공유 확대 및 활용측면에 있어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전시주최자의 폐쇄형 혁신활동과 개방형 혁신활동은 재무적 경영성과와 비재무적 경영성과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통해 COVID-19로 인해 어려운 사업 환경 속에서도 전시주최자 구성원 대부분이 지속적인 혁신활동의 필요성과 이에 따른 성과창출의 결과를 명확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가연구로 Z-test를 통해 전시주최자 유형별 영향관계에 대한 회귀계수의 차이를 실증 분석한 결과, 조직혁신동기와 개방형 혁신활동의 영향관계 및 폐쇄형 혁신활동과 비재무적 경영성과의 영향관계에 있어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전시장 소유 전시주최자는 업무절차와 운영 프로세스 개선에 있어 전시장 비소유 전시주최자에 비해 외부와의 협력에 대한 수용성이 높고, 중장기적 성과목표인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제조업 해외직접투자가 무역수지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성철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248703

        A Study on the Effects of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on Trade Balance and Business outcomes of Korea's Foreign Manufacturing Subsidiari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Korean parent companies'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FDI) in their overseas subsidiaries on trade balance and the subsidiaries' business outcomes. To this end, this study adopted two(2) empirical econometrics analysis models using firm-level panel datasets containing eight(8) years of data of 573 Korean overseas manufacturing firms and field surveys on 17 Korean companies which are engaged in manufacturing business mostly in China and Southeastern Asia. Model 1 was designed to analyze the impact of seven(7) explanatory variables - FDI amount, operation period, sales per capita, Korean investor's investment ratio, capital equipment ratio, intra-firm sales and intra-firm purchases- on the inducement of exports, the diversion of imports, the substitution of exports, re-imports, and net trade balance of Korea. Model 2 was designed to analyze the impacts of the same variables used in Model 1 on revenue rates, total asset rates, business profit ratio, quick ratio, and debt ratio. The following summary highlights the estimation results of the two models above. First, it turns out that the increase of FDI amount by parent companies have various impacts on trade balance, including the inducement of exports, the diversion of imports, the substitution of exports, re-imports, etc. The results show that the more the parent firms increase the FDI amount, the higher the possibility of Korea's net trade deficit to grow. It should be emphasized that such phenomenon is likely to continue in the future since the overseas subsidiaries will inevitably have to expand their business coverage, for instance, arm's length as well as intra-firm transactions with entities in their home country, host country (the countries of their business operations), third countries, etc., in order to cope with changing local business environment and strengthen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These suggest that appropriate policies to respond to or prevent trade deficits should be prepared. Second, it shows that the negative effect on trade balance is mainly caused by large companies, not by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By region, however,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vidence is found that the net trade deficit is concentrated in any specific locations, such as China, Asia, United States or Europe which are categorized in this study as the major investment destinations of Korean companies. By sector, outward FDI is found to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trade balance in the sectors including electronics, textiles, wearing apparel and leather manufacturing where Korean companies have actively been investing. Third, although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FDI might cause trade deficits, business performance of overseas subsidiaries show both positive and negative outcomes at the same time: growth indices, including the rate of revenues and total asset increase, and business earnings ratio are positively affected, while quick and debt ratios are negatively affected. It is found that these adverse impacts are demonstrated mainly in Korea's major investment sectors, including electronics, automobile, textiles, wearing apparel and leather manufacturing, and in China. Fourth, this study uses another six(6) explanatory variables including operation period etc., to analyze their impacts on the trade balance and the overseas subsidiaries' business performance. The following summary presents impacts of each variable on both trade balance and business outcomes of overseas subsidiaries. (1) The longer the presence of the subsidiaries in host countries is, the stronger positive effects it has on the net trade balance, revenue rate and quick ratio. However, it is found that the operation period of the subsidiaries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business earnings ratio, irrespective of the size or type of business. Generally, once the overseas subsidiaries are localized in their host countries, they become more competitive in those markets. However, the following two assumptions suggest that their competitive position may weaken their profitability base: (a) their competitive position driving them into fierce competitions in the local markets, or (b) the rise of production costs, etc. (2) The higher the Korean investor's equity ratio in subsidiaries, the faster the rate of revenue increases. Nevertheless,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overseas subsidiaries shows negative signals in for instance, trade balance(-), business earnings ratio(-), quick ratio(-) and debt ratio(+). However, in cases where the average equity ratio in the overseas subsidiaries reaches almost 90%, it would not be proper to conclude any economical implications on these results. (3) The increase of sales per capita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trade balance irrespective of the size, location or sector of the subsidiaries. While the sales per capita causes positive effects on the rate of revenue increase and business earnings ratio, it does the opposite on the trade balance, demonstrating trade-off effects between growth indices and liquidity position. (4) Capital equipment ratio, which reflects the long-term growth base of a compan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trade balance in the following areas: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in Asia, and in the automobile, textiles, wearing apparel, and leather manufacturing sectors. However, it turns out that the capital equipment ratio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rate of revenue increase regardless of the size, location or type of manufacture. In addition, it also tends to decrease business earnings ratio in the following areas: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Asian and European regions, and the automobile, textiles, and wearing apparel and leather manufacturing sectors. (5) Intra-firm sale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rate of revenue increase, however, the sales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financial stability of the subsidiaries since the intra-firm sales increase debt ratio, which was found in the entire samples. By size, the results from large companies are in line with those of entire samples, while the intra-firm sales of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have positive effects on Korea's trade balance and the rate of revenue increase, and negative effects on the firms' business earnings ratio. By region, the intra-firm sales have positive impacts on growth indices for the companies operating in China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By sector, Korea's major FDI destinations, such as the electronics, automobiles, textiles, wearing apparel and leather manufacturing sectors show that the growth indices of these sectors are positively affected by the intra-firm sales. Although the effects of the infra-firm sales show statistically insignificant results in general, it is found to have a point to be noted about its effect on the balance of trade. While intra-firm sales are sales between parent companies in Korea and their overseas subsidiaries, the sales seem to be substituted by local and third country sales. This inference is suggested by negative substitution effect of exports. In other words, an inverse relationship is found between the export amount to host country and the sales amount to local and third countries. (6) Intra-firm purchases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trade balance, the rate of revenue increase and debt ratio of subsidiaries. By size, the results from large companies share the same results from the entire samples. On the contrary, for small-and medium-sized companies, the intra-firm purchases have negative effects on the trade balance, and positive effects on the rate of revenue increase and business earnings ratio. By region, the purchases have positive impacts on the trade balance in Europe and Asia and positive impacts on the rate of revenue increase in China. By sector, the intra-firm purchas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trade balance in the electronics sector. Also, the intra-firm purchases turn out that the purchases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rate of revenue increase in some sectors such as electronics, automobiles and textiles, wearing apparel and leather manufacturing. Meanwhile, the intra-firm purchases are observed that the increase of the purchases facilitate the induction of exports while they do the opposite to the diversion of imports at the same time. It could be inferred that the overseas subsidiaries' purchases from their parent companies in Korea are substituted by their intra-firm purchases from local and third countries. Given that there are many existing studies which have dealt with local sales or purchases as main explanatory variables to analyze trade effects, the intra-firm sales and purchases turn out to have explanatory power and lead us to precisely analyze the trade balance of Korea and Korean overseas subsidiaries' business performance. This study deals with some unprecedented topics which have not been emphasized in previous studies. Thus, it is anticipa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elp not only the companies already abroad but also the companies that are planning to establish foreign subsidiaries in response to the stagnation of domestic economy. Nevertheless,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first, the research was done with the financial data of Korean subsidiaries abroad only, which limit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whole population, partly because it is strictly prohibited to access the information of Korean parent companies. In addition, the datasets available were not sufficient. Furthermore, the models used in this study have been prepared by modifying or adding some variables to the models used in previous studies which seem to be imperfect. Considering all the aforementioned limitations, the results in the study may represent exaggerated estimates on the selected samples. Hence, it is expected that more accurate and useful results will be obtained if the study is supplemented with extended data. In the following studies, the effects of FDI on foreign exchange earnings including royalties, wages, dividends, etc. would need to be analyzed. Also, it will remain to be studied whether different types or purposes of FDI have different effects on the trade balance and business outcomes of the overseas subsidiaries. If the scope of the analysis is expanded to include FDI samples of advanced countries, including the US, Japan, Germany, etc., and the direction and outcomes of their government policies are dealt with, it is expected that the studies will be able to suggest the direction of national policies with regard to FDI and localization of the overseas subsidiaries more clearly. Key Words : Out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Impacts on Trade Balance and Business Outcomes, Intra-firm Sales, Intra-firm Purchases, Inducement of Export, Diversion of Import, Substitution of Export, Re-Import 제조업 해외직접투자가 무역수지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해외직접투자 대상기업인 현지법인은 진출초기의 정착단계를 지나 어느 정도 영업기반을 갖추면, 다양한 현지 영업활동을 수행할 뿐 아니라 영업활동 범위도 제3국 등지로 점차 확대한다. 가장 직접적인 결과는 현지 매출․입 규모가 증가하거나, 모기업을 포함한 글로벌 관계사와의 기업내 무역이 증가하게 된다. 실제로 한국수출입은행이 2014년 기준 우리나라 제조업종 해외직접투자 기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전체 매출과 매입액중 현지 매출과 매입 비중은 각각 63.6%와 54.3%, 기업내 매출과 매입 비중은 각각 42.0% 및 53.6%에 달한다. 우리나라 현지 제조업체들이 종래 비용절감형 투자에서 현지화를 통한 내수 및 제3국 수출시장 개척, 원천기술 확보, 모기업의 현지시장 개척, 자유무역협정 체결 국가로의 진출 확대 등 시장개척형으로 진화하면서 거래 형태의 다양화 현상이 심화되고 현지 매출입 및 기업내 무역 의존도는 향후에도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해외직접투자 기업들의 현지국에서의 영업활동 및 거래형태 변화는 생산․영업․인력관리․경영수지 등 경영전반에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현지에서의 거래 유형에 따라 투자국인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수출유발․역수입․수출대체․수입전환 등 다양한 형태의 무역효과를 유발시킬 수 있다. 기업 차원에서는 생산 및 판매의 효율화라는 해외직접투자의 긍정적인 측면도 기대할 수 있으나, 거시경제 차원에서는 국내 제품의 수출 감소와 생산기반의 해외 이전에 따른 국내 투자위축 등의 부작용도 우려된다. 아울러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으면서 전세계적으로 자국 산업보호․고용확대를 위한 보호무역 정책이 강화되면서 세계교역량이 위축되는 상황에서 제한된 국내 수요를 벗어나 해외에서 지속적인 제품및 서비스 수요를 발굴하고 외화재원 확충을 위해 적정 수준의 안정된 무역수지 기반을 유지해야만 하는 우리나라 경제 여건을 감안할 때 수출 유발 또는 역수입 거래외에도 수출대체 및 수입전환 등 다양한 무역형태 변화와 이러한 변화가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선행연구는 현지법인들의 무역 형태 변화와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거나, 영업상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의 미비 등으로 부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다 보니 분석 내용이 실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고 보다 정확한 분석을 위해 제조업을 영위하는 현지기업의 경영자료를 이용하여 두 가지 연구과제를 수행하였다. 첫째, 해외직접투자가 다양한 무역형태, 즉, 수출유발․수입전환․수출대체․역수입 거래를 유발하는 지와 무역수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살펴보았다. 둘째, 해외직접투자가 현지법인들의 경영성과(성장성․수익성․유동성․안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였다. 이 두가지 관점은 앞으로도 대외개방 경제체제를 유지해야만 하는 우리나라의 경제상황하에서 건전한 대외균형 유지와 국내 기업과 차세대 산업 생태계 육성 차원에서 동시에 고려해야만 하는 사안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상황 변화와 정확한 문제점 파악을 위해 장기간에 걸쳐 수집한 우리나라 현지법인 경영성과 자료 및 현지 진출사례 조사 등을 바탕으로 계량경제학적인 실증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제조업 현지법인앞 해외투자액이 증가할수록 수출대체 효과를 제외하고 수출유발․수입전환․역수입 효과가 동시에 나타나면서 우리나라 무역수지에는 부정적인 효과가 발생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정된 외화재원을 지닌 우리나라로써 이러한 부정적 효과가 향후에도 지속될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해외투자가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심도있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 둘째, 무역수지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은 중소기업 보다는 대기업에 의한 수출대체 효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아시아․미국․유럽 등 4개 주요 투자지역별로 살펴본 결과 특정지역에서 부정적인 영향이 집중적으로 발생한다는 근거는 찾기 어렵다. 업종별로는 일부 업종(전기전자 및 섬유의복 등)에서 무역수지 적자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해외투자액 증가가 무역수지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현지기업은 매출 증가 등을 통해 현지기업의 성장성과 수익성에 유의한 수준에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유동비율을 하락시키거나, 부채비율을 상승시킴으로써 재무적 안정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이러한 현상이 우리나라의 주력 해외투자 업종인 전기전자․자동차․섬유의복 등의 업종과 우리나라의 주된 진출지역인 중국 및 아시아 지역에서 나타내고 있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해외투자액외에도 영업년수․1인당매출액․투자자지분율․자본장비율․기업내 매출 및 매입 등의 설명변수를 활용하여 무역수지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유의미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영업년수가 증가할수록 무역수지 및 성장성, 유동성 지표 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된다. 특히 우리나라 기업의 투자비중이 높은 지역(중국․아시아)과 업종(전기전자․자동차․섬유의복)에서 무역수지에 긍정적인 효과가 발생하는 점은 특기할 만하다. 다만, 영업기간이 오래될 수록 기업규모 및 업종에 관계 없이 수익성은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현지화가 진행되면서 현지 업체와의 경쟁이 심해지거나, 생산원가의 상승 등으로 전체적으로 수익성 기반이 취약해진 것도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투자자 지분율은 전반적으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으나 몇가지 특이점을 보여준다. 지분율이 높아질수록 매출액 증가율에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대체로 무역수지(-), 수익성(-), 유동성(-) 및 재무안정성(+) 등 부정적 영향이 더 많게 나타난다. 중소기업은 지분율이 높아질수록 성장성과 수익성은 제고되는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분석대상 현지법인들의 평균 지분율이 90%에 달하고, 동 지분율 자체가 크게 변화하지 않는 특성을 고려할 때 동 설명변수의 추정결과에 대해 큰 경제적 함의를 부여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1인당 매출액이 증가할 경우 기업규모, 지역 및 업종에 관계없이 우리나라 무역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성장성과 수익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동 변수는 현지법인들의 생산성을 나타내는 주요 변수인 데, 현지법인들이 현지경험이 어느 정도 축적되면 규모의 경제가 나타나면서 생산성이 증가하고, 다양한 거래 형태 유발을 통해 매출액이 증가하는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1인당 매출액이 증가할수록 유동성에는 음(-)의 영향을 나타내고 있다. 해외투자액과 1인당 매출액은 증가할수록 유동비율은 하락하는 일종의 상충관계(trade-off)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자본장비율이 높아질수록 일부 기업규모(중소기업)와 특정지역(아시아) 및 업종(자동차, 섬유의복)에서 무역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들 업종이 현지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시설 증설 등의 후속 투자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국내로부터의 관련 시설재나 원부자재의 수출을 유발하는 현상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기업규모, 지역 및 업종에 관계없이 매출액 증가율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특히 중소기업, 아시아 및 유럽 지역, 자동차 및 섬유의복 업종 등은 수익성도 하락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업내 매출은 대기업의 성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부채비율을 상승시켜 재무적 안정성은 저하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의 기업내 매출은 무역수지와 기업의 성장성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수익성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업종별로는 투자규모나 진출기업수면에서 비중이 높은 전기전자, 자동차 및 섬유의복 업종에서 성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기업내 매출이 무역수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유의할 점도 발견된다. 기업내 매출이 증가할수록 역수입 효과가 늘어나는 데, 이는 현지법인들의 기업내 매출이 모기업(국내 관계회사 포함)앞으로 이루어지면서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현지법인의 모기업앞 기업내 매출과 현지국 및 제3국앞 매출간에 대체효과가 발생하여, 국내로의 기업내 매출이 증가할 수록 현지국 및 제3국앞 매출이 감소할 가능성도 엿보인다. 이와 같은 사실은 기업내 매출이 증가할수록 음(-)의 부호를 나타내는 수출대체 효과를 통해 추론이 가능하다. 기업내 매입 규모가 증가할수록 우리나라의 무역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기업의 성장성과 재무적 안정성을 높이는 것으로 확인된다. 지역별로는 아시아및 유럽지역에서 무역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중국은 성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된다. 업종별로는 전기전자 업종에서 무역수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전기전자, 자동차 및 섬유업종 일부에서 성장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기업내 매입의 경우에도 양(+)의 수출유발 효과와 음(-)의 수입전환 효과가 관찰되는 데, 이는 현지법인이 모기업으로부터 기업내 매입이 현지 및 제3국으로부터 매입을 대체하여 이루어질 가능성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기업내 매출과 마찬가지로 기업내 매출과 매입이라는 설명변수만으로 추론하였기 때문에 실상을 정확히 설명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나, 기존 연구에서는 현지화를 분석하는 주요한 설명변수로 현지 매출과 현지 매입 비중을 다룬 사례가 많은 상황에서 현지법인들이 실제로 현지에서 경영을 하면서 발생하는 기업내 매출과 기업내 매입을 설명변수로 사용함으로써 해외직접투자가 우리나라 무역수지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보다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조업 현지법인을 기업규모․지역․업종별로 세밀히 살펴본 결과, 어떠한 부문에서 우리나라 무역수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를 확인하였으며, 초기 선점 효과가 사라지면서 현지 경쟁 심화로 수익성 저하 가능성 등의 많은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아울러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현지법인들은 다양한 방법을 통해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중인 사실도 사례조사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현지기업을 운영하는 기업, 정부 및 유관기관에서 적극 반영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기업은 수익성 기반을 확충하고 지속적으로경쟁력을 강화하는 방안을 강구할 시점이다. 한 예로 비용절감형에서 시장개척형으로 투자전략을 수정하되, 기업내 매입 등을 통해 경쟁력을 갖춘 원부자재의 국내로부터의 조달 및 현지 생산 → 수익성이 높은 현지 소재국 및 제3국 판매 등 신흥시장 개척을 적극 도모할 경우 성장성․수익성․안정성 등 전반적인 경영성과가 높아지고 우리나라 무역수지에도 지속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중기적으로는 단순한 단독투자 혹은 합작투자 형태의 진출보다는 원천기술을 지닌 외국기업 M&A, 현지 유통망 확충 보유기업과 합작투자, 중국의 산업고도화를 위한「중국제조 2025」, 일본의「All Japan」정책 등 해외투자사업을 적극 유치하거나 장려하는 국가의 기업들과 상호간 지분출자 등 다양한 신수익 모델 창출을 도모하고, 현지 사업개발형 투자사업 참여 등을 통해 사업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도 끊임없이 강구해 볼 필요가 있겠다. 정부는 단기적으로는 저임 활용형 투자는 과감히 축소하고 국내 모기업의 R&D투자를 적극 장려하여 현지법인앞 고부가가치 원부자재 수출이 가능토록 유도하는 한편, 1차 협력사 및 중소‧중견 협력업체를 동반한 클러스터형 해외투자사업에 대해 한국수출입은행 등의 전문금융기관을 통한 양질의 금융 지원을 장려할 경우 무역수지 개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중장기적으로는 최근 지속되고 있는 글로벌 수요 위축과 공급과잉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현안으로 대두되는 국내 산업 및 기업구조조정 측면에서, 기업들이 사업재편을 통해 고부가가치 창출이 가능한 해외사업에 진출하도록 적극적인 정책 노력을 기울여야겠다. 해외 자원개발, 내수산업의 해외투자 진출 확대, 인프라 개발 및 현지 투자사업형 해외투자 사업 촉진,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가로의 투자 진출 확대, 기술이전을 병행한 유휴설비 이전형 투자 사업 지원 강화 등의 과감한 산업정책차원의 해외투자 촉진 정책을 강구하는 게 바람직하다. 금융기관도 독자신용(Stand-alone)개념에 충실한 현지법인의 자체 현지 신용도를 중점적으로 평가하여 건전한 현지 경영기반을 구축하는 현지기업들을 발굴․지원하는 데 적극 힘쓸 필요가 있다. 한편 아직까지는 일부 지역 및 특정업종에서 무역수지나 경영성과면에서 부정적 영향이 나타나고 있지만, 이와 같은 편중현상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아시아 신흥공업국, 중남미 및 아프리카 등지로 투자지역을 확대해 나가야만 한다. 이를 위해 정부 및 유관기관 모두가 현지국 투자정보 등 양질의 비금융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회계, 마케팅 및 경영 분야의 전문인력을 현지에 적극 파견토록 정책적 지원에 힘씀으로써 기업들의 글로벌 경영이 가속화되도록 유도하여야만 하겠다. 자료 제약상 현지법인의 경영자료만을 이용하여 국내 투자기업의 특성이 고려되지 못한 점, 분석업종이 제조업으로 한정된 점, 본 연구의 분석 자료가 현지법인들의 2006년 회계연도부터 2013년까지 8개년에 국한된 점, 이론적인 분석틀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에서 이 논문에서 다룬 분석모형의 불완전성으로 인한 과대 추정이 발생할 수 있는 측면에서 연구의 한계점을 지닌다. 향후 해외직접투자가 로열티, 임금 및 배당금 등 실질적인 외화가득 효과에 어느정도 기여하는 지에 대해서도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투자 유형이나 동기에 따른 무역 및 경영성과에 어떠한 영향이 발생하는 지에 대해서는 연구과제로 남겨둘 것이다. 그리고 연구 분석 범위도 미국․일본․독일 등 여러 선진국 기업들의 해외직접투자 사례나 정부 정책 추진 방향 및 성과 등으로 확대할 경우 보다 유용한 해외투자 정책 수립 및 울기업의 현지화의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애자일 문화의 영향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안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In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plenty of companies are interested in the Agile Culture which is a new management paradigm. They adopt Agile Culture because they need a strategy which can quickly responds to uncertain futures including economic trends and political issues that do not change the time and the reason. 502 companies located in the coastal area of China’s trade center were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ere are two purposes. The first one is to understand how influence factors of Agile Culture of Chinese enterprises affect Agile Culture. And the second one is how Agile Culture affects performance. Following are the results. Firstly, they pertaining to the conceptual framework. There are multiple influence factors, include organizational factors (Top Management Support and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technical factors (Information Technology Utiliz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environmental factors (Dynamics, Complexity and Hostility). Secondly, Top management support as well as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classified in organizational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gile Culture, which is critical to build a successful agile culture. The fact that people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Top Management Support and Human Resource means that it reaches the level of Agile Culture and has direct impact. Thirdly, it is show that IT Utilization and I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ncluded in technical factors exert influence on Agile Culture. IT Utilization is playing a role in improving efficiency in its work and facilitating communication. IT Infrastructure Construction is needed in places where establish Agile Culture in which members of the organization are more actively involved in decision making and they learn actively and continuously. Both of these showed that the Agile Culture is a direct factor. Fourthly, Dynamics and Complexity involved in environmental factors also greatly effect Agile Culture while Hostility has no significant impact on it. As the external environment becomes increasingly complex and dynamic, they can promote the formation of agile culture for members of the organization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with the result that uncertainty is reducing. Fifthly, Agile Culture significantly affects Competitive Advantage. The higher level of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continuous learning, empowerment, collaboration, and personal communication have significant impact on Product Leadership, Operational Excellence, and Customer Intimacy. Sixthly, Agile Culture greatly affects Company’s Performance. The higher level of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continuous learning, empowerment, collaboration, and personal communication exert great influence on Operational Performance and Financial Performance. Seventhly, the classification of SMEs, midsize companies, and large companies is based on their size.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traint model and the non-constraint model through the multi-group analysis, it can be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Different industries have different priority due to the influence of Agile Culture, which can helps us identify what kind of elements should be focused and supported in each industry. This study has both implication and limit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Agile Culture and the Influence Factors and Performance has demonstrated the empirical confirmation of existing research results and the possibility of new discussions. There is also a limitation that is it needs to be supplemented by the fact that a lateral analysis does not allows that performance is changing as time goes by. 최근 급변하는 환경에 발 맞추어 많은 기업에서는 새로운 경영방식인 ‘애자일’ 문화에 대한 관심이 점차 높아지고 있다. 언제 어떻게 변화할지 모르는 경제 정세, 급속히 변하는 업계 트렌드, 정치적 이슈 등 불확실한 미래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업에서도 애자일 문화를 도입하게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기업문화에 적합한 애자일 문화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많이 제시되지 않아 정확한 솔루션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정확한 애자일 문화의 영향요인과 성과를 파악하기 위해 실전과 접목시켜 현존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애자일 문화에 대해 조사하고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중국 무역중심 연해 지역의 502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본고의 연구목적은 조직적, 기술적, 환경적 차원의 영향요인이 애자일 문화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파악하는 데 있다. 동시에 애자일 문화가 경쟁우위 및 경영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통계적 분석을 통해 검정 결과를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조직적 요인에서 최고 경영진 지원과 교육 및 인적자원 모두 애자일 문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다. 성공적인 애자일 문화 구축을 위해서는 최고 경영진의 지원이 매우 중요하다. 또한, 기업은 직원에게 애자일에 관한 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으며, 지식기반사회가 요구하는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도 인지하고 있다. 따라서 두 요인이 애자일 문화를 형성하는데 모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기술적 요인에서 정보기술 활용과 정보기술 인프라 구축이 모두 애자일 문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하다. 이는 조직이 과업을 수행하면서 정보기술을 활용하여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고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리고 조직 내 구성원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의사결정에 참여하고 능동적이고 지속적으로 학습을 하는 애자일 문화를 형성하려면 정보기술 인프라를 갖추어야 함을 설명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애자일 문화 구축에 두 요인 모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요소임을 보여주었다. 셋째, 환경 불확실성에서 환경동태성과 환경복잡성은 애자일 문화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외부의 환경이 복잡하고 동태적일수록 기업에서는 발생하는 불확실성을 감소하기 위하여 전문가 집단, 외부 컨설팅, 조직 내 구성원들을 의사결정에 참여시켜 애자일 문화를 형성시킬 수 있다. 그러나 환경적대성은 애자일 문화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못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이는 기업이 새로운 제품 및 서비스 개발에 경쟁적이고 치열하며 조직의 생존을 위협하는 환경적대성이 애자일 문화에 직접적인 영향변수가 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애자일 문화는 경쟁우위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도 모두 유의하다. 이는 참여적 의사결정, 지속적 학습, 임파워먼트, 협업 및 개인적 커뮤니케이션의 수준이 높을수록 경쟁우위인 제품지속성, 운영효율성, 고객친밀성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다섯째, 애자일 문화는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도 모두 유의하다. 이는 참여적 의사결정, 지속적 학습, 임파워먼트, 협업 및 개인적 커뮤니케이션의 수준이 높을수록 경영성과인 운영성과와 재무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여섯째, 기업규모의 크기에 따라 중소기업, 중견기업, 대기업으로 분류하여 다중집단분석을 통해 제약모형과 비 제약모형으로 차이를 검증한 결과 3개 집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기업규모에 따른 영향요인과 애자일 문화가 경쟁우위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영향요인과 애자일 문화와의 관계에서의 경로계수는 대부분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중소기업은 정보기술 활용이 원활 할수록 애자일 문화 형성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중견기업은 기본적인 정보기술 인프라 구축을 바탕으로 조직에서 교육 및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을 인지하며, 정보를 계속 업로드하고, 환경의 복잡성이 강할수록 애자일 문화 형성을 촉진시킨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대기업은 외부 환경의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환경의 동태성이 강할수록 애자일 문화 형성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곱째, 업종별로 도출된 애자일 문화요인의 우선순위가 각각 다르며, 이를 통해 각 업종에서 어떠한 요소에 초점을 맞추고 지원해야 하는지도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애자일 문화와 영향요인 및 성과 사이에서 구조적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기존의 연구결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나아가 이에 대한 새로운 논의를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는 횡단적인 분석에 불과하므로 시간의 변화에 따른 성과를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없다는 부분에서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한계점을 갖고 있다.

      • 가족기업 CEO의 DISC 행동유형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병진 건국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influence of CEO’s DISC Behavior Type on Performance for Family Businesses Kim, Byung jin Department of Global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Konkuk University The role of the CEO is very important for the growth and innovation of the company. Based on the CEO’s will and values, firms often take different approach to solve problems even in the same environment. The decisions are sometimes reflected on the given environment or situation; however, there are many cases that the behavior type of the CEO has a direct influence on the business performance. Although the role and behavior characteristic of the founder or CEO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success and failure of the company, the influence is much more especially in the case of the family busi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e (1) the effects that CEO`s characteristics have on business performance by applying DISC behavior type model and (2) whether the influence relationship is controlled by the family business culture type. Sample was collected from 242 CEOs of small and medium family businesses and the hypothese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DISC behavior type, family business culture type and the business performance from the previous studies. Empirical analysis was done and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First, it showed that the DISC behavior type of the family CEO had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More detailed, the Dominance type(D-type), Steadiness type(S-type) and Conscientiousness type(C-type) showed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while the Influence type(I-type) had no effect. Second, it showed that the family business culture type plays a role in control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O`s DISC behavior type and business performance. Particularly, the D-type showed no significant effect on Paternalistic, Laissez-Faire, Participative, and Professional culture. However, the I-type showed significant control effects in the Paternalistic culture but there was no moderate effect in the Laissez-Faire, Participative and Professional culture. The S-typ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ontrolling the Paternalistic, Laissez-Faire, Participative, and Professional culture. In the form of the Paternalistic and Laissez-Faire culture, the moderate effect of the C-type was significant; however, there was no moderate effect in the Participative and Professional culture. In this study, it was identified that the D-type, S-type and C-type of DISC behavior of the CEO in the family busin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while the I-type had no influence on business performance. The Paternalistic culture could control the I-type and the Paternalistic and Laissez faire culture could control the C-type as a moderate effect. This research is significant as it is the first paper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s of DISC behavior types on business performance and the effectiveness of family corporate culture types in relation to business performances in both Korea and abroad. It is also a study that combines DISC behavioral type model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nder or CEO of a long-term oriented family company. It is significant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CEOs or prospective entrepreneurs who run the business. However, this study had limitations including the complex nature of human behavior that was surveyed as simply DISC behavioral type, limited theory of family business culture types, and limited samples. In the future, more studies are required on human behavior patterns and family business culture. 국문초록 가족기업 CEO의 DISC 행동유형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기업이 성장하고 혁신하는 배경에는 CEO의 역할은 너무나 중요하다. 기업은 CEO의 의지와 가치를 기반으로 유사한 환경에서도 문제해결을 위해 각각 다른 접근 방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주어진 환경이나 상황에 대해서도 선택적으로 반영하기도 하지만 CEO의 행동특성은 경영성과에 직접 영향을 끼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난다. 특히 가족기업의 경우 창업주 또는 CEO의 역할과 행동특성은 가족기업의 경영성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기업의 성공과 실패를 좌우한다고 해도 지나친 말이 아니다. 이러한 CEO의 특성을 DISC 행동유형 모델을 적용하여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인지(가설 1), 이러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가족기업 문화유형이 조절작용을 하는지(가설 2)를 살펴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중소규모 가족기업의 CEO 242명으로 부터 연구 자료를 수집하였다. DISC 행동유형과 가족기업 문화유형, 경영성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기업 CEO의 DISC 행동유형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DISC 행동유형 모델의 주도형, 안정형, 신중형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교형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나타났다. 둘째, 가족기업 CEO의 DISC 행동유형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가족기업 문화유형이 조절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주도형(D)은 가부장형 문화, 방임형 문화, 참여형 문화, 전문가형 문화 유형 모두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사교형(I)은 가부장형 문화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방임형 문화, 참여형 문화, 전문가형 문화 유형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안정형(S)은 가부장형 문화, 방임형 문화, 참여형 문화, 전문가형 문화 유형 모두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신중형(C)은 가부장형 문화, 방임형 문화 유형에서 조절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참여형 문화, 전문가형 문화 유형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가족기업 CEO의 DISC 행동유형 모델의 주도형, 안정형, 신중형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사교형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 나아가 이러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사교형(I)은 가부장형 문화, 신중형(C)은 가부장형 문화와 방임형 문화 유형에서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가족기업 CEO의 DISC 행동유형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있어서 가족기업 문화유형의 조절효과에 관한 실증적 연구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연구사례를 찾을 수 없는 최초의 연구논문이라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장기지향성을 추구하는 가족기업의 창업주 또는 CEO의 특성을 DISC 행동유형 모델을 접목한 연구이기도 하지만, 본 연구 결과는 현업을 경영하는 CEO 또는 창업을 꿈꾸는 미래의 CEO들에게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인간의 복잡다단한 행동 특성을 단순히 DISC 행동유형으로 나타내었다는 점, 가족기업 문화유형에 대한 제한된 이론, 한정된 표본을 활용한 연구는 한계점으로 나타난다. 향후에는 더 많은 표본과 인간의 행동유형 관련 다양한 접근 방법 및 가족기업 문화 유형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면 좋을 듯하다.

      • 외식산업의 창업준비성과 서비스몰입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조인현 가톨릭대학교 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외식산업의 창업자를 대상으로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창업준비성과 서비스몰입을 실증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에서는, 창업준비성은 2개의 요인이 추출되어 사업기회계획수립과 전문적 지원으로 명명하였고, 서비스몰입도 2개의 요인이 추출되어 고객만족 몰입과 서비스품질 몰입으로 명명, 경영성과는 타 연구와 같이 재무적 그리고 비재무적 경영성과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인 신뢰도는 Cronbach's 0.872로 높은 신뢰성을 나타냈다. 가설의 검증에서는, 창업준비성의 사업기회계획수립(t=2.774, p<0.01)은 재무적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몰입은 서비스품질 몰입(t=3.789, p<0.001)은 재무적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 몰입(t=2.851, p<0.01)과 서비스품질 몰입(t=4.914, p<0.001)은 모두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보였다. 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창업준비성에서는 사업기회계획수립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문적 지원은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외식창업자들이 창업 전 전문적 지원에 대한 관심과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정부나 관련 단체에서는 적극적이고도 체계적이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전적 지원과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어: 외식산업, 창업준비성, 서비스몰입, 재무적 경영성과, 비재무적 경영성과 본 연구는 외식산업의 창업자를 대상으로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창업준비성과 서비스몰입을 실증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연구의 주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타당성과 신뢰성 분석에서는, 창업준비성은 2개의 요인이 추출되어 사업기회계획수립과 전문적 지원으로 명명하였고, 서비스몰입도 2개의 요인이 추출되어 고객만족 몰입과 서비스품질 몰입으로 명명, 경영성과는 타 연구와 같이 재무적 그리고 비재무적 경영성과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인 신뢰도는 Cronbach's 0.872로 높은 신뢰성을 나타냈다. 가설의 검증에서는, 창업준비성의 사업기회계획수립(t=2.774, p<0.01)은 재무적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몰입은 서비스품질 몰입(t=3.789, p<0.001)은 재무적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고객만족 몰입(t=2.851, p<0.01)과 서비스품질 몰입(t=4.914, p<0.001)은 모두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보였다. 연구를 통하여,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창업준비성에서는 사업기회계획수립이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전문적 지원은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외식창업자들이 창업 전 전문적 지원에 대한 관심과 정보가 부족함을 알 수 있다. 정부나 관련 단체에서는 적극적이고도 체계적이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사전적 지원과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주요어: 외식산업, 창업준비성, 서비스몰입, 재무적 경영성과, 비재무적 경영성과

      • 중소기업의 기업가 정신, 경영전략과 조직문화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광균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국내 중소기업의 조직단위를 대상으로 기업가 정신, 경영전략과 조직문화유형에 대한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하고 알아보고자 하였다. 변수들의 개념 및 관계를 설정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하여 국내 중소기업 120곳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으며 결과는 SPSS 20.0으로 분석하였다. 표본에 대한 빈도분석을 포함한 변수에 관한 신뢰도 및 타당성분석,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가정신은 원가우위 전략 , 차별화 전략, 집중화 전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기업가 정신은 관계지향 문화, 위계지향 문화, 혁신지향 문화, 과업지향 문화 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문화의 관계지향 문화는 경영전략의 차별화 전략, 원가우위 전략, 집중화전략 으로 모두 유의하며 약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혁신지향 문화는 차별화 전략 , 집중화 전략과는 약간 높은 상관관계를 원가우위 전략은 모두 유의하며 약한 정(+)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과업지향 문화는 차별화 전략, 원가우위 전략 로 모두 유의하며 약한 정(+)의 상관관계가 있지만, 집중화전략과는 유의하지 않아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위계지향 문화는 원가우위전략 로 약간 높은 상관관계를, 차별화 전략, 집중화 전략 로 약한 상관관계로 모두 유의하며 정(+)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관계지향 문화가 경영성과에, 위계지향 문화가 경영성과에, 과업지향 문화 경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으나, 혁신지향 문화에 경영성과에 유의하며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원가우위 전략과 집중화 전략은 경영성과에 유의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으나, 차별화 전략이 경영성과에 유의하지 않으므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과 한계점 및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business philosophy, management strategy and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performance of management by examining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in Korea. To establish a concept and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he model and hypotheses of this study were formalized. A survey was conducted on 120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in Korea and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0.0. The statistics such as frequenc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variables,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usiness philosoph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st leadership strategies,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intensive strategies. Second, business philosophy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relation-oriented culture, hierarchy-oriented culture, innovation-oriented culture, and task-oriented culture. Third, the relation-oriented culture of an organiz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differentiated strategies, cost leadership strategies and intensive strategies, and it showed a low positive correlation. The innovation-oriented culture ha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intensive strategies, while it had significance on cost leadership strategies and showed a limited positive correlation. The task-oriented culture had significance on cost leadership strategies and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showed a limited positive correlation but it did not have significance over intensive strategies, so it showed no correlation. The hierarchy-oriented culture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cost leadership strategies, but a weak positive correlation with differentiated strategies and intensive strategies. Fourth, the relation-oriented cultur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on the performance of management, while hierarchy-oriented culture and task-oriented culture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management. However, innovation-oriented culture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management. Lastly, cost leadership strategies and intensive strategie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management, but differentiated strategies did not have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manag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 창업기업의 온라인 마케팅 활용이 고객인지도, 고객이미지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임경미 중앙대학교 산업·창업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Many startup companies are grown by a lot of crises in business. However, most of them fail in business by deciding to go out of business less than five years due to a hard fund-raising. This study helps startup companies to have a solid customer awareness and customer image based on the online marketing knowhow of many companies and contributes to their management results. This implies that raising a success rate of business requires the online marketing channels that make companies' good results through a customer awareness and customer image by the online marketing by catching up with the rapidly developing online environment.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a theoretical concept based on preceding studies, develop and prove study models for management results through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online marketing of startup companies on a customer awareness and customer image. I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 of a customer awareness and customer image of startup companies on management results by the online marketing. For a purpose of this study, I used the statistical package, SPSS21.0 and summarized a result and implication of this study as follow. First, a website, a blog, Youtube and a search portal among the online marketing channe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customer awareness in that order. This means many consumers depend on a resource for particular information when deciding to purchase products. Because company websites are more credible than the individual information such as Instagram for the product promotion by the online marketing. Ultimately, this implies that the companies encourage consumers to appreciate their good brands or products that reduce the uncertainty and are reliable for consumers. Second, a website, Youtube and a blog among the online marketing channel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a customer image in that order. This means many consumers finally purchase products through company websites like a customer awareness. Third, a customer awareness and customer image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inancial result, one of management results, but customer image's effect is greater than a customer awareness. This means a stable customer image isn't variable first. Fourth, a customer awareness and customer image als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non-financial result, another one of management results, but customer image's effect is greater than a customer awareness. This shows the highly evaluated image of company leads to a favorable customer awareness. By achieving a purpose of this study, a customer awareness and customer image expect to lead to management results by the online marketing strategy. 기업들은 사업을 이끌어 나가는데 많은 고비를 통해서 성장해 나가기도 한다. 또한, 자금조달에 어려움을 겪으며 창업기업은 거의 다수가 불과 5년을 넘기지 못하고 폐업을 결정해야만 하는 실패를 경험한다. 본 연구는 기업들이 운영한 온라인 마케팅 노하우를 기반으로 고객이미지와, 고객인지도를 탄탄히 하여, 창업기업의 경영성과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인터넷환경이 빠르게 발전하는 사회에 발맞추어, 온라인 마케팅을 활용한 고객인지도와, 고객이미지 확보로 기업의 성과를 내는 온라인 마케팅채널을 찾을 수 있다면 사업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고 시사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선행된 연구들을 바탕으로 이론적 개념을 정립하고 창업기업의 마케팅 활용이 고객인지도와 고객이미지에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로서, 경영성과에 대한 연구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실증하는데 있다. 창업기업의 온라인 마케팅 활용으로 고객인지도 및 고객이미지, 고객인지도 및 고객이미지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통계패키지 SPSS21.0을 사용하였고 결과 및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마케팅 채널중 홈페이지->블로그->유튜브->검색포탈 순으로는 고객인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소비자가 구매결정시 특정한 정보원천에 의존한다. 그 이유는 온라인 마케팅을 활용하는데 있어, 인스타그램 같은 개인적인 정보로 제품을 홍보하기보다는 기업이 가지고 있는 페이지에 더 신뢰를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결국 소비자들 사이에서 좋은 브랜드 혹은 좋은 상품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어 불확실성을 줄여주고 안심할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온라인 마케팅 채널중 홈페이지->유튜브->블로그 순으로는 고객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객인지도와 마찬가지로 최종적으로 기업의 홈페이지를 통해 구매가 이루어 진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셋째, 고객인지도 및 고객이미지가 경영성과인 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고객인지도 보다 고객이미지가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다. 고객이미지가 안정적이면 일단 변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넷째, 고객인지도와 고객이미지가 경영성과인 비재무적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고객인지도보다 고객이미지가 미치는 영향력이 크게 나타났으며, 고객들이 기업의 이미지를 높게 평가해야 고객들의 호의적인 인지를 받을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통하여, 기업의 고객들의 인지도와 이미지제고에 온라인 마케팅 전략설정을 통한 경영성과로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외식업체 종사자의 성격특성이 서비스지향성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최치영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외식기업 종사자들의 성격특성과 서비스지향성 및 경영성과와의 구체적인 영향관계를 검증하고, 국내 외식기업의 서비스지향성을 강화할 수 있는 효율적인 인적자원관리의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과 AMOS 7.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성격특성 요인은 외향성, 개방성, 호감성, 정서적안정성, 성실성 등으로 분류하였으며, 외식업체 종사자의 서비스지향성 요인은 고객만족, 고객에 대한 준비, 전달능력 등 3개의 요인과 경영성과는 1개의 요인은 분류하였다. 둘째, 연구 개념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고객에 대한 준비 변수가 타 변수와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그 중 개방성, 호감성, 정서적안정성, 성실성, 고객만족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성격특성과 서비스지향성 간의 관계에 있어 외향성을 제외한 나머지 변수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경영성과와의 관계에 있어서 개방성, 호감성, 정서적안정성, 성실성이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그 외에도 경영성과와 고객에 대한 준비, 전달능력의 경우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셋째, 외식업체 종사자의 성격특성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성격특성 중 외향성은 서비스지향성의 고객만족, 고객에 대한 준비, 전달능력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방성은 서비스지향성의 전달능력변수에서만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격특성 중 호감성은 서비스지향성의 고객만족, 고객에 대한 준비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격특성 중 정서적안정성은 서비스지향성의 고객에 대한 준비, 전달능력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격특성 중 성실성은 서비스지향성의 고객만족, 고객에 대한 준비, 전달능력 등 전체변수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식업체 종사자의 서비스지향성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서비스지향성 중 고객만족이 경영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외식산업에서 종사자의 성격특성과 서비스지향성 및 경영성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연구를 하지 않은 상황에서 연구의 영역을 넓힌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외식업종사자들의 인적관리 측면에서 볼 때, 성격유형별 서비스지향성에 대한 연구결과는 차후 서비스기업 경영자들의 종사원 채용 시 중요한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determine the effect relations between food service company work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their service‐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ffici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enhanced service‐orientation at food service companies in Korea.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7.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rom 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ere identified the factors of personality (extroversion, openness, likability, emotional stability, and sincerity), 3 factors of food service workers’ service‐orientation (customer satisfaction, preparation for customers, and transfer capability), and 1 factor of business performance. Secon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correlations among the research concepts, preparation for customers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other variables, in particular, with openness, likability, emotional stability, sincer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In the relation between personality and service‐orientation, moreover, all the factors of personality except extroversion showed a high correlation with service‐orientation. In addition, openness, likability, emotional stability and sincerity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with business performance. Besides, business performance was in a high correlation with preparation for customers and transfer capability.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food service workers’ personality on service‐orientation, extroversion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preparation for customers, and transfer capability, and openness had a positive effect only on transfer capability. In addition, lik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reparation for customers, and emotional st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preparation for customers and transfer capability. Lastly, sincerity had a positive effect on all the variables of service‐orientation, namely, customer satisfaction, preparation for customers and transfer capability. Fourth,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effect of food service workers’ service‐orientation on business performance, customer satisfa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usiness performance. Lastly,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extended the domain of research in the situation that few of previous studies analyzed comprehensively the relations between worker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service‐orientation and business performance in the food service industry. From the aspect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for food service workers, moreove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the results on service‐orientation by personality type suggest important directions for service company managers to screen out their employe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