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財産權의 憲法的 保障과 制限의 限界

        신정규 경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52

        The right of property was thought to be sacred and inviolable as an innate right, at the beginning of modern ages. So it was recognized as an absolute right. Modern constitutional law had set in core provisions on the complete guarantee of property right as well as liberty right. However provisions right of ci-tizens, especially on the right of land ownership, has changed over time in in-cent ages. In fact, land which is a basic resource in a country lays the found-ations lives of the people of the country. Hence, whil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guarantees all citizens the property right, it permits to restrict their private property for public necessities.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rticle 23 (1) provides that the right of property of all citizens shall be guaranteed, the contents and limitations thereof shall be determined by Act. (2) provides that the exercises of property rights shall conform to the public welfare. (3) provides that expropriation, use or re-striction of private property from public necessity and compensation therefor shall be governed by law: Provided, that in such a case, just compensation sh-all be paid. Like this, the constitutional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determin-ed under the conditions as prescribed by Act. but the legislation of property- rights is not unlimited. In determining the contents of property right, legislature should be in conformity with the principles of proportionality review, confidence protection, inviolability to essential sphere the right and equal protection caluse. The principle of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is existence guarantee, value gu-arantee is permitted exceptionally. Accordingly the purpose of property guara-ntee doesn′t lie in the compensation for the loss of proprietary value but in the existence to itself as a protection right. In this point the cotents-clause of property right without compensation provision would be unconstituitonal on the grounds of excessive of property right, shall not be converted into invasion f-or public necessity. In making of the study of property rights theory, the property right theory of Germany and U. S furnish with useful information. Because The constitutional court draw a distinction between the contents of property right without comp-ensation and the invasion for public necessity in a standpoint of the seperati-on theory by reason that it accords with the rule of constitutional existence guarantee of property right, originated from the freedom-guaranting function of property right. The property rights as a material presupposition of freedom regard 'private u-tility' and 'disposition' as an essential sphere. moreover the right of property has such meaning as a fundamental right and as a private property system. hence, the 'public concept policy of real estate of participation government get accomplished within the constitutional scope of guarantee of property rights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s about public concept policy of real estate consider as 'the constitutional limitation' of public concept policy. therefor, In the compliance of constitutional limitation' of public concept policy, government must promote a estate policy for the essential settlement of speculation in re-al estate. Besides, the essential factor of speculation in real estate can regard as the concentration of capital region. In this point, national balanced land development policy should be executed as the essential factor of speculation in real estate,

      • 憲法상 財産權의 制限, 限界에 관한 考察

        성중탁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51

        The Constitution allows an extensive legislative action to restrict individuals' right to land property for the sake of public. But in case private interest is infringed, it orders legislators to compensate. A modern nation bases its ultimate values on realizing the dignity of its people and enhancing a welfare system and reinforc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o this nation, various restrictions on right to land property are sometimes inevitable. However, the development restriction, so called Greenbelt program - the representative tool for restricting individual right to land property, does not have a clause regarding compensation. There have been repeated debates whether the loss of private interest is endurable for the benefit of society or it is an unreasonable sacrifice of one party. On December 24, 1998,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Greenbelt program is not totally constitutional. Following that, the administration decided to lift a ban on individual right to land property in the belt by announcing a plan designed to improve the program. The constitutional court draw a distinction between the contents of property right without compensation and the invasion for public necessity in a standpoint of the separation theory by reason that it accords with the rule of constitutional existence guarantee of proparty right, originated from the freedom-guaranting function of property right. and, it triggered another arguments from civil organizations against exploiting natural environment. In case of the compensation for development restriction without relevant regulations, the compensation has been performed according to other laws. However, the ruling of the Constitutional Court detailed that development restriction program itself is constitutional in a sense that it practices a social responsibility intrinsic in property right. However, it states that it is unconstitutional because there was not a clause for compensation in some exceptional cases. This ruling has significance in that the government body deliberated and recognized partially a long ignored subject, the compensation for Greenbelt program. To realize social justice, it is a prerequisite to guarantee a equitable right to land property. Specially when it includes concerns for environment and limited natural resource, we should consider the justice of generations after.

      • 테크노스트레스와 業務의 連續性이 職務滿足에 미치는 影響 硏究 : 일-삶의 葛藤을 媒介로

        오성탁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34

        본 연구는 ‘일-삶의 갈등’을 매개로 ‘테크노스트레스’와 ‘일과후 업무의 연속성’이 ‘직무만족’과 어떠한 영향관계를 가지며, 동시에 ‘스트레스 완화효과’는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연구를 통해 파악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초로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제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표본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리고 실증 자료 분석한 결과를 해석하였다.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업무종료 후, 휴일, 휴가 등 개인 생활의 와중에 끊임없이 스마트폰을 확인하고 메일을 확인하며 메신저를 통해 업무를 수행(‘일과후 업무연속성’)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기술로 인한 스트레스와 일과 삶의 갈등, 그리고 직무만족과의 영향을 살펴보았다. 특히, 일과후 업무연계성의 선행변수를 조직과 개인의 특성으로 살펴보았으며 조직특성에서는 회사의 정보통신기기의 지원여부, 주관적 규범을 설정하였고, 개인의 특성으로 다중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속성이 복합시간성과 개인의 IT혁신에 대한 정도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개인의 IT혁신을 제외하고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주관적 규범이 일과후 업무연계성과 유의하게 영향을 맺는다는 결과는 기존 해외 연구와 일관된다. 이것은 높은 수준으로 주관적 규범을 따르는 자는 더더욱 일과 개인 삶의 경계가 희석이 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회사의 IT지원, 복합시간성은 유의미하게 결과가 나왔지만, 개인의 IT혁신성은 기각되었으며 개인의 혁신성 표출이 회사업무 영역으로 확대는 별개의 결과로 해석되었다. 일과 후 업무연계성과 일-삶의 갈등과 관련한 기반 연구이론으로 경계이론 (Ashforth, et al., 2000)과 접경이론(Clark 2000)을 바탕으로 추진되었다. 일과후 업무연계성이 높을수록 일-삶의 갈등도 정의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기존 테크노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의 선행연구와 일-삶 갈등과 직무만족의 선행연구를 결합하여 새로운 연구 분야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기존 테크노스트레스 연구에 따르면 테크노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행사하지만 반면에, 본 연구결과에서는 테크노스트레스는 일-삶 갈등이 개입함에 따라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행사하지 못하고, 일-삶 갈등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테크노스트레스는 일-삶의 갈등에 높은 수준의 관계를 맺으며 간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행사하는 것이다 . 스트레스 완화요인은 테크노스트레스와 달리 역으로, 기존 연구에서는 조절 효과에 머물렀으나 본 연구를 통해 조절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직접적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일-삶의 갈등을 통한 간접적인 효과는 발생하지 못한다. 흔히 만족과 불만족의 형성요인이 서로 다른 이요인 이론을 따르는 것처럼, 스트레스 유발요인과 완화요인은 서로 다른 요인으로 영향을 행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업무연속성 및 일-삶의 갈등과의 관계를 주도적으로 확인 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해외 문헌이 주로 업무연속성에 대한 측정변수를 심리적 변수를 주로 활용했다면, 본 연구에서는 Richardson(2011)이 개발한 상황적 특성을 주로 활용하여 업무연속성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업무연속성에 대해서 개인의 특성뿐만 아니라 조직의 특성까지 반영하였다. 조직내 근로자 개인으로서 지각하는 속성과 실제 조직차원에서의 속성이 다를 수 있으므로 두 가지 속성을 다 고려했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독립변수들인 테크노스트레스와 일과후 업무연속성의 경우에는 개인과 기술인 IT와의 관계에서 형성되는 것이라면, 일-삶의 갈등은 개인과 또 다른 개인 즉 이해관계간의 갈등의 요소로 나아가고 있다. 이러한 개인과 기술의 접합, 접목이라는 것은 궁극으로 사회현상측면에서 개인과 이해관계자들 간의 관계로 확대되어 연구가 진행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이야기 할 수 있다.

      • 스마트폰 사용이 직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근무시간 외 업무 관련 스마트폰 사용 중심으로

        이윤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martphone usage in a business environment, focusing on work-related use of smartphones outside of working hours. Using boundary theory, I will also examine how changes in work environment affects both work and personal life. In boundary theory, if there is no clear and distinguished boundary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the two areas conflict with each other. Work-related use of smartphones outside of working hours blurs the boundary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resulting in a conflict that affects job stress. I expected that companies with a work culture that encourages a more clear boundary between work and personal life would result in reduced job stress. An employee survey was conducted for analysis. The result of our analysis found that when smartphones were used for flexible working methods, there was an increase in both overtime and work connectivity, resulting in overload. I found that work connectivity outside working hours and work overloa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work and life conflicts, leading to increased job stress. Work cultures that avoided these conflicts by encouraging a clear boundary between both work and personal life were found to result in reduced stress for their employees. This research shows that reducing the work-related use of smartphones outside of working hours is necessar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employees. Above all, an effective ICT utilization management policy should be established to protect against work overload and ensure that overtime cannot be extended. 본 연구는 스마트폰의 업무활용에 따른 속성과 특히 근무시간 외 업무관련 스마트폰 사용을 중심으로 업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한다. 또한, 업무 환경 변화로 인해 직장 및 개인생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 지 경계 이론을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경계 이론에서는 직장과 개인생활 두 영역의 경계가 구분되지 않고 모호하다면 영역 간 갈등이 생긴다고 한다. 근무시간 외 스마트폰으로 업무를 처리하는 것은 업무와 개인시간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일과 삶의 갈등이 나타날 것이며, 발생된 갈등은 직무 스트레스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다만, 조직 문화에 따라 일과 삶의 갈등과 직무 스트레스 간 관계를 조절할 것이라 예상하였다. 이를 분석하고자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폰으로 인한 유연한 업무방식은 근무시간 외 업무와 연결성을 높이고 이로 인해 업무 과부하가 나타났다. 근무시간 외 업무 연결성과 업무 과부하는 구성원의 일과 삶의 갈등에 유의한 영향이 있음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갈등은 직무 스트레스를 높이는 것으로 이어졌다. 단, 일과 삶의 갈등과 직무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일과 개인생활 세분화를 지원하는 조직 문화에 따라 스트레스가 조절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근무시간 외 업무관련 스마트폰 사용에 의한 부작용을 줄이고, 직원의 삶의 질을 제고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ICT 활용 관리방안 수립과 근무시간 외 업무 지시나 잔여 업무 수행을 막는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무엇보다 근무시간 외 업무가 연장되지 않도록 정책 이행을 돕는 문화가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 할리우드 메이저 영화 스튜디오의 애니메이션 영화 수급전략 : 수직통합 vs. 아웃소싱

        고미록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3

        픽사와 드림웍스 그리고 일루미네이션 엔터테인먼트와 같은 애니메이션 영화제작에서 최근 괄목할만한 성과를 내고 있는 기업들은 원래는 독립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사였지만 이후 할리우드의 메이저 영화 스튜디오인 월트 디즈니와 유니버설에 인수되었다. 다른 할리우드의 메이저 영화 스튜디오인 파라마운트, 워너브라더스, 소니, 20세기 폭스도 모두 외부의 애니메이션 제작사 인수 경험이 있었다. 따라서 할리우드의 6대 메이저 영화 스튜디오는 모두 독립적인 애니메이션 제작사를 인수 합병함으로써 애니메이션 영화를 제작 배급한 경험이 있었다. 본 논문은 할리우드 메이저 영화 스튜디오의 이런 전략적 선택에 주목하였다. 본 논문은 이를 기업 경계 결정(Firm Boundary Decision) 이론에서의 두 가지 선택 대안인 수직적 통합과 아웃소싱으로 보고 할리우드 메이저 영화 스튜디오가 어떤 상황에서 수직적 통합을 통해 애니메이션 작품을 제작하고 다른 어떤 상황에서는 외부 제작사와의 계약을 통해 작품을 공급받으려 해왔는지를 이해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거래비용 이론, 핵심역량과 경쟁우위 이론, 그리고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고유한 특성에 비추어 애니메이션 영화 확보를 위한 할리우드 메이저 영화 스튜디오들의 전략적 결정들을 분석해보았다. The companies that have recently made remarkable achievements in animated film making, such as Pixar, DreamWorks and Illuminations Entertainment, were originally independent animation productions that later acquired by Hollywood's major film studios – Walt Disney and Universal. Other Hollywood major movie studios, Paramount, Warner Bros. Sony and 20th Century Fox all had experience acquiring external animation productions. As a result, Hollywood's six major movie studios all had experience producing and distributing animated films by merging and acquiring independent animation productions. This paper focuses on this strategic choice of Hollywood major film studios. This paper considers this as two alternative alternatives to vertical integration and outsourcing in Firm Boundary Decision theory. In some situations, Hollywood major film studios produce animation films through vertical integration and in other situations, Hollywood major film studios produce animation films through the contract with animation film productions. In this paper, we analyze strategic decisions of Hollywood major movie studios to acquire animated films according to transaction cost theory, core competencies, competitive advantage theory, 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entertainment industry.

      • 슬라이딩모드제어기를 이용한 유압서보시스템의 힘 제어

        안수병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03

        The hydraulic servo systems are widely used in many industrial and research fields such as aerospace, machine tools, shipping industry, and control of military gun turrets. These hdraulically operated systems are usually represented by the hydraulic actuator and load wystem whose dynamic characteristics are complesx and highly nonlinear due to either flow-pressure relationships of the hydraulic system or a load system motion itself. Furthermore, these characteristics are sometimes unknown due to uncertainty of the external load disturbance to the system.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design the optimal controller for hydraulic system, since the external load disturbance is unknown or uncerain. In this paper, and experimental set up is designed to simulate the real hydrulic processes. The PI controller is used for the disturbance system to generate several types of disturbances to the main servo system. In the main servo system, the sliding-mode controller keeps the force constant even though any disturbance comes from the disturbance system. The sliding-mode control and fuzzy-sliding-mode control are proposed and used for the main servo system. The sliding-nide ciontrol has the chattering problem. Chattering occurs when the control input switches discontinuously across the boundary, and it is undesirable because it inbolves high contrlo activity and may excite high-frequency dynamics. To alleviate chattering, the sliding-mode control with the boundary layer and a gybrid control consisting of the sliding-mode contrlo and fuzzy logic control is proposed, which is fuzzy-sliding mode control. The role of fuzzy logic contrlo in fuzzy-sliding mode contrlo is to repace a fixed gain of a discontinuous term with a time-varying one based on a specified rule base. The characteristics of proposed controller are shown to be similar to those of the boundary layer with a saturation function instead of sign function. In all these controllers, the basic idea is just ot smooth the control action across the sliding surface. In this paper, the equivalent control input and switching control input are used ofr sliding-mode control. Once the trajectory of the system is in the sliding suface, the switching control input plays a role in vibrating the trajectory of the system. In experiments, the pattern of sgn(s) function is the almost same as the boundary layer whose thickness is very thin. However, the thicker the voundary layer is, the the ghigher the possibility of steady-state error is. In thickness 100, there was a certain amount of steady-sliding mode controf, the force error and the derivative of force error were used as fuzzy inputs. The output pattern in fuzzy-sliding mode control was much the same as the boundary layer theory when the thickness is approximately 20. *A thesis submitted to the committee of the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fulfillment of the requirements for the degree of master in Mechanical Design Engineering conferred in February 2002.

      • (A) numer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heat removal performance and operation characteristics for PCCS designs

        방정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02

        After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power plant accident, passive safety systems that guarantee the safety of nuclear power plants came to be of utmost concern. In particular, ensuring the integrity of the containment building became greatly important with its being the last barrier in preventing leakage of radioactive materials to the environment. Of the various passive safety systems, passive containment cooling systems (PCCSs) have been actively researched to prevent containment failure when no electricity is available, e.g., in the case of a station black-out.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two concepts PCCS, open-loop PCCS (OL-PCCS) and closed-loop PCCS (CL-PCCS), applicable to the PWR with a concrete-type containment. We analyzed the heat-removal performance and flow instability of these PCCS concepts using the GOTHIC code. In both cases, PCCS performance improved when a passive containment cooling heat exchanger (PCCX) was installed in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ment building. The OL-PCCS was found to be superior in terms of heat-removal performance. However, in terms of flow instability, the OL-PCCS was more vulnerable than the CL-PCCS. In particular, the possibility of flow instability was higher when the PCCX was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containment. Therefore,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OL-PCCS should be restricted to minimize flow instability. In contrast, a CL-PCCS can be installed without any positional restriction by adjusting the initial system pressure within the loop, which eliminates flow instability. Also, we performed a design parameter study for the CL-PCCS such as the circulation loop diameter, heat exchanger sizes, locations, PCCS heat sink volume to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CL-PCCS in PWR such as OPR-1000 in KOREA. In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heat exchangers and dimension of the circulation loop are major design parameters affecting the PCCS heat performance. Particularly, the PCCX area (inside HX of the containment) would be more important on the heat removal performance of PCCS than that of the HX installed in a heat sink. Through the parametric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 closed-loop type PCCS could be designed compactly enough for installation in the available space within the containment of PWRs like OPR-1000. Furthermore, we designed a single tube condensation apparatus to analyze the condensation heat transfer coefficient (HTC) under transient conditions. After that, the experimental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GOTHIC code calculation using a built-in model of the GOTHIC code such as Uchida and DLM. It was confirmed that the HTC calculated by the GOTHIC code is approximately 40 % lower than that of experimental datasets. Accordingly, we proposed a new condensation HTC based on DLM model to improve the condensation model of the GOTHIC code. The proposed model was applied with the GOTHIC code, and then, it was confirmed that GOHTC code calculation predicted the experimental dataset within a ±20 % accuracy. Although the presented results are based on the OPR-1000 NPPs, the proposed PCCS design concept and analysis method can be applicable to PWRs with a dry containment. 후쿠시마 제1원전 사고 이후 원전의 안전성을 보장하는 피동안전계통에 대한 관심사가 증가하였다. 특히, 원자로 격납건물의 건정성 확보는 방사선 물질의 환경 유출을 막는 마지막 방벽이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이에 모든 전력이 차단된 SBO(Station Black out) 환경에서도 격납건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피동안전계통 중 격납건물 피동 냉각계통(PCCS)에 관한 연구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콘크리트 유형의 격납건물에 적용 가능한 PCCS 유형으로 개방 루프 PCCS(OL-PCCS)와 폐 루프 PCCS(CL-PCCS)를 제안하였으며, GOTHIC code를 활용하여 각 PCCS의 유형에 따른 열 제거 성능과 루프 내 유동 불안정성을 초점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두 유형 모두 격납건물 하부에 열교환기를 설치하는 것이 PCCS의 성능 증진에 유리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열 제거 성능 측면에서 OL-PCCS가 CL-PCCS보다 우수한 반면 유동 불안정성의 측면에서 OL-PCCS가 더 취약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열교환기를 격납건물 상단 영역에 설치할수록 유동 불안정성 발생 가능성이 더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OL-PCCS의 열교환기 설치 위치는 유동 불안정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격납건물 상단부분에 설치하는 것을 지양해야 한다. 반면에 CL-PCCS의 경우, 루프 내 초기 압력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동 불안정성을 방지할 수 있어 열교환기 설치 위치의 큰 제약이 없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가동원전을 대상(OPR-1000)으로 격납건물 내 CL-PCCS의 적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CL-PCCS에 관한 설계인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설계 인자로는 순환 루프의 직경, 열교환기의 크기 및 위치, PCCS 냉각 탱크(PCCT) 체적을 선정하였다. 그 결과 열교환기 및 순환 루프의 직경이 PCCS 열 제거 성능에 주요 설계인자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격납건물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 면적이 냉각 탱크(PCCT)에 설치된 열교환기 면적보다 열 제거 성능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최종적으로 설계인자 연구를 통해 CL-PCCS가 가압경수로(OPR-1000) 격납건물 가용공간내에 설치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더 나아가, 과도 상태에서 열교환기에의 응축 열전달 계수(HTC)를 분석하기 위해 단일 전열관 응축 실험 장치를 설계하였으며, 실험 결과와 GOTHIC 코드 내장 모델(Uchida, 확산 경계층 이론 (DLM) 모델)을 사용한 계산 결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GOTHIC 코드의 응축열전달계수는 실험 결과 값에 비해 약 40% 낮게 예측하였다. 이러한 GOTHIC 코드의 응축 모델을 개선하기 위해 DLM 모델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응축열전달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해당 모델을 GOTHIC 코드에 적용한 결과 실험 결과를 약 20% 내로 잘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 제시된 결과는 OPR-1000형 발전소를 기반으로 수행되었지만, PCCS의 설계 개념 및 분석방법은 가압수형 원자로 격납건물에 널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합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