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지혜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and differences among variables, and how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es effect on development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lso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basic materials for use of helping mot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 or consultation field. To achieve this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How is marital satisfaction,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2.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ren’s self-regulation? 2-1 How is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2-2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on children’s self-regulation? 3.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3-1 How is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children’s self-regulation? 3-2 What is the effec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131 infants in 5 years old, who are in 8 kindergarten located in Yongin City, Kyeong-gi Province and 131 their mother and teacher respectively. The MSS(Marital Satisfaction Scale) method which is developed by Roach, Fraizer & Bowden(1981), and adapted and modified by Insoo Lee & Youngjoo Yu(1986) is used in order to measur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lso measure of PSI(Parenting Stress Index) deveolped by Abidin(1990) and adapted by Hyeyoung Seo(1992) is applied to investigate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Scale of Self-regulation which is developed by Okseung Yang(2006) for teacher’s use, is applied to investigate children’s self-regulation. Materials were analyzed with one way ANOVA, t-test, Scheffe 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using the program,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WIN 18.0.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followed: First,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s above average and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depending on not their employment, monthly income in the home but only the number of children. The general tendency of mother's parenting stress is average and there is a meaningful difference in mother's parenting stress on not their employment, monthly income in the home but only the number of children. The general tendency of children's self-regulation is comparatively high and cognitive-regulation is higher than emotional-regulation. Second, There's a meaningful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every field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recognition of marriage, lower factor of marital satisfaction positively a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ird, There's a meaningful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every field of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arent-child dysfunctional interaction, lower factor of parenting stress negatively a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Fourth, mother's parenting stress draw greater negative influence on every field of children's self-regulation than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In conclusion, it represents that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stress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appears to affect on children's self-regulation more than the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upply the program which can raise a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properly control mother's parenting stress. 본 연구는 유아기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의 전반적인 경향과 변인별 차이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현장이나 부모교육 등 상담현장에서 어머니 지원을 위해 실제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아래와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양육 스트레스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어떠한가? 2.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2-1.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2-2. 어머니의 결혼만족도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3-2.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용인시에 위치한 민간어린이집 8곳에 재원하고 있는 만 5세 유아 131명과 담임교사, 유아의 어머니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Roach, Fraizer와 Bowden(1981)이 개발한 Marital Satisfaction Scale(MSS)을 이인수와 유영주(1986)가 번안․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Abidin(1990)이 개발한 ‘Parenting Stress Index’(PSI)를 서혜영(1992)이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양옥승(2006)이 교사용으로 개발한 자기조절능력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One-way ANOVA(일원변량분석)과 t-test(검증), Scheffe 검증을 실시하였고, 상관관계 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의 전반적인 경향성은 중간 이상이었으며 어머니의 개인변인(직업유무, 가정의 월 소득, 자녀수)에 따른 결혼만족도를 알아본 결과, 직업유무와 가정의 월소득에 따른 차이는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녀수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의 양상은 보통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어머니의 개인변인(직업유무, 가정의 월 소득, 자녀수)에 따른 양육스트레스를 알아본 결과, 직업유무와 가정의 월소득에 따른 차이는 의미 있게 나타나지 않았으며 자녀수에 따른 차이만 나타났다. 끝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양상은 비교적 높은 편으로 나타났으며, 정서조절능력이 인지조절능력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결혼만족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결혼만족도는 자기조절능력의 모든 영역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는 결혼만족도의 하위 변인 중 결혼생활에 대한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는 자기조절능력 전체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양육스트레스의 하위 변인 중 부모-자녀간 역기능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어머니의 결혼만족도 및 양육스트레스와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와 양육스트레스 모두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그 중 양육스트레스가 보다 많은 설명력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머니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고 양육스트레스를 적절히 관리하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할 것이다.

      • 아버지의 결혼만족도, 직업만족도 및 양육참여 : 아버지 기질의 조절효과

        임애련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아버지의 양육 참여는 자녀 양육에 대한 역할 분담과 더불어 자녀의 성장발달에 큰 영향을 미친다. 특히, 유아기의 자녀에게 있어 아버지와 함께 보내는 시간은 인지 및 정서지능을 향상시키고, 신체발달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인다는 점에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중요성에 입각하여 본 연구에서는 아버지가 자녀 양육에 참여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탐색하고, 아버지의 개인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육 참여와 참여 수준을 결정하는 변인을 알아보고자 아버지의 심리적 특성과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심리적 특성으로는 선행연구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는 결혼만족도와 직업만족도를 중심으로 탐색하였다. 그리고 개인적 특성으로는 아버지의 성향과 성격을 반영하는 기질을 조사하여 기질의 세 유형인 부정적 정서성, 활동성, 사회성의 특성과 차이를 알아보았다. 탐색한 변인을 실증하기 위해 두 차례의 조사를 진행하였다. 먼저, 예비조사를 통해 측정도구를 평가하였고, 결과에 따라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조사는 유아기 자녀를 두고 있으며, 결혼생활과 직장생활을 하고 있는 아버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자료 수집은 전국 7대도시를 기준으로 비례 할당하였으며, 임의표본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인터넷 조사를 통해 수집된 543의 표본을 투입하여 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PLS 분석과 군집분석에 의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버지의 결혼만족도는 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결혼생활에 만족하는 아버지일수록 자녀 양육에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직업만족도와 양육 참여의 영향 관계를 살펴본 결과, 아버지의 직업만족도는 자녀 양육에 높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결혼만족도와 직업만족도를 구성하는 하위요인 가운데 양육 참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부부 의사소통으로 밝혀졌으며, 배우자 지지와 배우자 유사성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만족도에 비해, 결혼만족도와 이에 관련된 요인들이 양육 참여에 높은 관련이 있음을 설명한다. 넷째, 아버지의 모든 기질 유형은 결혼만족도와 직업만족도, 그리고 양육 참여의 관계에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의 기질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져 기질에 대한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유형별로 살펴보면, 부정적 정서성의 아버지는 직업만족도보다 결혼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녀 양육에 많이 참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부부 의사소통이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결혼만족도의 영향력은 활동성 기질과 사회성 기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파악되었다. 활동성 기질의 아버지 또한 직업만족도에 비해 결혼만족도가 양육 참여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결혼만족도는 부부 의사소통에 의해 결정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영향력은 부정적 정서성 기질보다는 낮고, 사회성 기질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사회성 기질의 아버지는 직업만족도가 양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이 결혼만족도보다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직업용이성에 대한 상대적 영향력이 강하게 나타나, 직업에 투자하는 시간과 신체적ㆍ정신적 노력이 낮을수록 양육 참여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자녀 양육의 참여 수준을 결정하는 영향 변인은 아버지의 기질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을 탐색하고, 세부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봄으로써 양육 참여와 영향 요인의 구조적 관계를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리고 아버지의 기질을 파악하고 기질 유형별로 양육 참여에 대한 특성과 차이가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양육 참여 연구에 기질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해 주고 있다. Participation of father's parenting affect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children as well as sharing the parenting role. In particular, it is a noteworthy fact that the involvement of father's parenting improves not only the cognitive and emotional intelligence but also the positive effect on physical development in their infancy.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 the father's psychological and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to determine the level of parenting involvement and participation. Fo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t is focused the marital and job satisfaction which have been studied mainly in previous research. Regardi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temperament which reflects the disposition and personality of the father is examined to evaluate the differences and features between temperament types(emotionality, activity, sociality). Twice survey was conducted to demonstrate the variables. The measurement items were evaluated through a pre-test and according to this result, the practical survey was performed. The questionnaire survey target is father who have infant child and keep working life. Data collection was based on the proportion allocated seven large cities across the country, and use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e 543 samples collected through the internet survey was analysed with PLS and K-means cluster analysis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marital satisfaction of the father affect the participation in parenting. So the more satisfied he is, the more involved in child rearing.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parenting involvement, it was confirmed. Third,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impact on parenting participation among features of job satisfac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is the communication between husband and wife. And next is the spouse support and the spouse similarity in order listed. These results illustrate the marital satisfaction and sub-factors are highly relevant to the parenting participation. Fourth, all temperament types of the father have an positive effect to the marital satisfaction, the job satisfaction and the parenting participation. Also, the moderating effect of father's temperament is proved a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temperament of the father. In case of negative emotionality type, the father who satisfied more in marriage than in job satisfaction involve more in parenting. Especially couple communication is important factor. The influence of marital satisfaction was identified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activity and the sociality temperament. For the father of activity temperament type, also the marital satisfaction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arenting than the job satisfaction. The marital satisfaction is determined by the couple communication. This impact of the marital satisfaction on parenting is lower than negative emotionality type and higher than the sociality type. On the contrary, the father of the sociality temperament type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job satisfaction is higher than the marital satisfaction. About the sub-factors, strongly influence the career appeared ease, time to invest in jobs and lower the physical, mental effort also has been found to increase participation custody. These results show that the influence factors which determine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parenting depends on the temperament of his father. This study provide that the key factors which influence to involvement in parenting of the father who have the infant and the degree of the relative influence of sub-factors and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parenting involvement and influence factor. And this paper suggest that the temperament of the father should be considered for research of participation in parenting. Key words: parenting participation, temperament

      • 신노년층 부부관계 변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 : 부부친밀감과 애정생활 및 결혼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길현 호서대학교 벤처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신노년층을 대상으로 부부관계 변인(애정생활 상호존중, 부부여가, 경제갈등, 부부친밀감),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의 수준을 파악하고,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대한 연구변인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또한 부부관계 변인이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고, 부부관계와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 간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과 애정생활이 매개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50세 이상 64세 이하의 남녀 유배우자 474명이고, 자료 분석은 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구조방정식모델링(SEM)을 실시하였다. 첫째, 부부관계 변인과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의 수준을 파악한 결과 평균값에 가까운 보통수준을 나타냈다. 이혼의도에 대한 인식도 평균 이하의 수준이지만 일부 응답자들에게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대한 부부관계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정(+)과 부(-)의 안정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부친밀감, 애정생활,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검증한 결과, 모형의 적합도가 전반적으로 양호하였고, 경로계수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된 경제갈등이 애정생활에, 상호존중이 결혼만족도에, 부부여가가 이혼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외하고 나머지 변인들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부부관계 변인과 결혼만족도 및 이혼의도와의 관계에서 부부친밀감, 애정생활 및 결혼만족도는 연구가설에서 부분적으로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논의 및 결론을 맺었다.

      • 결혼정보업체의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전략연구 : 배우자 선택요소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이도현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결혼정보업체의 기존 한계점이었던 단순 매칭 즉 성혼을 성공의 결과치로 보는 시각을 벗어나 기혼자들의 배우자 선택 시 가장 고려했던 요소를 파악하고 그 선택요소에 따른 결혼 만족도를 측정하여 사후 고객의 만족도를 높여 지속가능 경영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외적인 요인만 강조하여 매칭해주는 기존시스템은 빠른 회전율에 의해 당장의 회사에 이윤을 가져다 줄 수는 있지만 분명한 한계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기혼자들을 대상으로 하여 배우자 선택요인에 따른 만족도를 조사하여 매칭 시스템에 접목한다면 보다 궁극적으로 결혼정보회사의 미래 경쟁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단순히 외적인 요인만 강조한 주선보다 기혼자들의 선택요인에 따른 만족도와 내적 요소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매칭에 성공한다면 성혼의 질이 높아질 것이며 그에 따라 사회적 기여까지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기혼자를 대상으로 배우자를 선택 시 고려했던 요소들이 실제 결혼 후 어떻게 달라졌는지 그리고 그것들이 결혼만족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배우자 선택 시 구체적인 요소들에는 나이, 재산, 학력, 외모, 직업, 건강상태, 가정환경, 종교, 부모의 동의(본인), 부모의 경제적 지위(배우자), 출생순위와 같은 외적 요소가 고려되었으며, 성적만족도, 애정의 표현 정도, 유머감각, 정서적 성숙, 성취욕, 대인 관계 원만성, 가치관, 성격, 매력 정도와 같은 내적 요소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세대에 따른 성향을 알아보기 위해 20대, 30대, 40대, 50대 각각 25% 설정하고 남녀 성비율을 50%로 설정하여 대중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성별에 따라 또는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하며 실제 남녀 간의 배우자 선택 시 고려되는 요소를 먼저 판별해 배우자 선택요소들이 직, 간접적으로 결혼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볼 것이다. 결혼은 개인적인 일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으나 거시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개인의 결혼과 이혼 등은 경제적, 사회적으로 매우 큰 파장을 일으킨다고 볼 수도 있다. 대표적인 예로 이혼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하는 가운데 많은 사람이 결혼 전 배우자 선택 시 고려했던 요소들의 기대와 실제 결혼생활 중에 중요한 요소들의 괴리로 인해 힘들어하는 부부가 다소 많다. 이러한 괴리의 원인을 파악하고 실제적 선택요소들과 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문제를 조금이나마 해결하고자 한다. 결혼 전 배우자 선택 시 고려했던 요소들 즉 상대 배우자를 선택하게 했던 결정적 요소가 과연 결혼 후 나의 결혼만족도와 어떤 상관관계가 있을지 실증 분석을 통해 검증해 본다.

      • 기혼부부의 결혼만족도, 이혼고려 및 이혼장애 요인에 관한 연구 : 부부간 차이 및 가족생활주기를 중심으로

        구혜경 신라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에서는 결혼의 안정성을 예측하는 변인으로서 결혼만족도와 이혼고려 및 이혼장애 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이들 요인의 관계는 어떠하며, 역동적인 가족 내에서 부부간 어떠한 차이를 보이며, 가족생활주기별로 어떻게 다른지 살펴보고, 이혼고려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부부관계를 향상하기 위한 지침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맞추어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부부 218쌍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만족도, 이혼고려, 이혼장애 요인의 상관은 각기 다른 양상을 보였다. 결혼만족도와 이혼고려는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가족관계요인과 부부관계요인에 있어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결혼만족도와 이혼장애요인은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이혼고려와 이혼장애요인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정적 상관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결혼만족도, 이혼고려, 이혼장애 요인은 부부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만족도의 정서적 의사소통 만족도, 문제해결 의사소통 만족도, 경제적 만족도에 있어서는 남편이, 성적만족도와 자녀만족도에 있어서는 아내가 더 높았다. 또한 이혼고려의 개인적요인, 부부관계요인, 가족관계요인에 있어서 아내가, 이혼장애 요인은 이혼 후 삶에 대한 염려에 있어서도 아내가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결혼만족도, 이혼고려, 이혼장애 요인은 가족생활주기에 따라 일부만 차이가 나타났다.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결혼만족도 정도를 살펴본 결과, 자녀만족도만 자녀출산 및 미취학기와 자녀 결혼기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며,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이혼고려는 모든 주기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이혼장애 요인은 자녀출산 및 미취학기의 부부가 자녀 결혼기의 부부보다 가족에 대한 걱정이 유의미하게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남편과 아내의 이혼고려 경험 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판명할 수 있었다. 남편은 결혼만족도와 연령차이가 이혼고려 경험에 영향을 미쳤으며, 아내는 결혼만족도, 이혼고려 차이, 결혼 기대수준 차이가 이혼고려 경험에 영향을 미쳤다. 위 결과에서 보듯이 결혼만족도, 이혼고려, 이혼장애 요인에 대해서 부부를 쌍으로 표집하여 개별 가정 내의 부부간 역동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이혼 고려 경험에 미치는 주요 변수들이 아내와 남편 간 서로 다르다는 것을 밝혀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marital satisfaction, divorce consideration and barriers to divorce focusing on gender and family life cycle. It aimed to explore possible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pouses in these variables, and to figure out their impact on couples' consideration of divorce. The subject of this research was 218 couples living in Busan, and they were processed through SPSS WIN 12.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male and female spouses in marital satisfaction, divorce consideration and barriers to divorce. Husbands were higher than wives in 3 subscales(affective communication, problem-solving communication, and financial satisfactions) of K-MSI, while wives showed higher satisfaction than husbands in sex and children. Also, wives were higher than husbands in all 3 subfactors of divorce consideration (individual, couple relational, and family relational factors). Second, martial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with divorce consideration(total score, couple relational, and family relational, but not individual factors) and no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barriers to divorce, while divorce consideration and barriers to divorce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totals and all their subfactor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arital satisfaction(except for higher child satisfaction of the couples with pre-school children compared to those with married children) and divorce consideration, but significant overall differences in barriers to divorce total and its subfactors(worry about post-divorce life and worry about family) among the 6 family life stages. Finally, considerations of divorce in life course were well predicted by lower marital satisfaction, and age difference in couples, divorce consideration gap in couples, and higher expectations for marriage.

      • 영·유아기 자녀를 가진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도경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중 특히 부부의 상호이해와 지지, 역할 분담의 필요성과 긍정적 내적 자기 평가 요인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결혼만족도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부부 의사소통, 성역할 태도, 지각된 배우자 지지를 배우자 관련 변인으로 선정하고 이들 변인과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자녀가 한 명인 집단과 2명 이상인 다집단 간 구조적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리서치 전문회사를 통해 영·유아기 자녀를 가진 20세이상 60세 미만 성인 남녀 411명의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1 및 AMOS 21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량,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및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 의사소통은 결혼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의사소통은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서도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쳤다. 부부 의사소통이 자아존중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여자는 유의미한 영향이 있었으나 남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부부 의사소통에서 결혼만족도로 가는 경로에서는 남자와 여자 모두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성역할 태도는 결혼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성역할 태도와 결혼만족도 간에도 매개 효과를 나타냈다. 성역할 태도가 자아존중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영향력의 크기 차이는 있으나 남성과 여성 모두 유의미한 부적 영향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지각된 배우자 지지는 결혼만족도에 가장 큰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각된 배우자 지지와 결혼만족도와의 경로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 효과는 없었다.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자아존중감으로 가는 경로에서 여자는 유의미한 영향 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나 남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지각된 배우자 지지가 결혼만족도로 가는 경로에서는 남자와 여자 모두 유의미한 정적 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자녀가 1명인 집단의 구조모형 결과 자아존중감은 변인들이 결혼만족도로 가는 경로에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녀가 2인 이상인 다중집단에서는 성역할 태도가 결혼만족도에 직접적으로도 자아존중감을 매개하여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일반적으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관련변인들이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부부의 경우에도 적용됨을 시사한다. 또한 자녀의 수에 따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경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자녀의 수에 따라 집단 간 변인들의 중요성에 차이가 있으며, 집단의 특성에 맞는 정서적 개입 및 정책적 대안이 제시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 한국사회의 고정관념과 결혼 이주 여성의 결혼만족도 : - 베트남 결혼이주여성 중심으로 -

        부티투흐엉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세계화의 영향으로 국제 통합 단계로 접어들며 이는 한국도 피할 수 없다. 현재 한국에서는 도처에 외국인이 나타나는 것에 너무 익숙하지만 한국처럼 오래 존재한 단일민족의 나라는 다문화가 등장할 때 많은 문제를 겪을 것이다. 경제적, 사회적 기회들을 찾기 위해 많은 외국인들이 노동, 결혼, 공부, 사업 등 다양한 방법으로 그들의 나라로부터 더 발전된 나라로 떠나기를 선택한다. 현재, 많은 결혼 이주 여성들이 한국에서 새로운 삶을 건설하고 있으며 이들은 더 이상 외국인이나 사회 소수자의 일부가 아니라 한국에서 자녀를 양육하고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이웃들이다. 하지만, 이 결혼 이주 여성들은 한국 여성들에 비해 여전히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들의 생활을 어렵게 만들며 결혼만족도를 감소시키는 원인 중 하나는 한국인의 고정관념과 편견이다. 이 논문은 한국 여성들을 기준으로 결혼 이주 여성의 결혼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혼 이주 여성들이 겪는 고유한 어려움은 삶에 영향을 미치고 그들의 결혼만족도와 생활 수준을 악화시킨다. 그중에서 베트남인 결혼이주여성을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는데 이 대상은 한국에서 국제결혼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베트남과 같은 외국인 여성에 대한 한국 내 고정관념은 일부 사람들에게서 차별을 만들어 결혼 생활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쳤다. 이들 베트남 여성들은 결혼을 목적으로 한국에 오거나 일부는 더 나은 삶을 원하기 때문에 부정적인 영향과 삶의 어려움과 동시에 그들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한국 사회의 고정관념이 베트남 결혼 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어려움과 영향을 이해하고 여성 결혼만족도 특히 결혼 이주여성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인식과 정책 모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추가로 논의하였다. Due to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each country enters the stage of international integration, which establishes multiculturalism in each country that South Korea cannot avoid. Currently, in South Korea, foreigners are so used to appearing everywhere, but a country of a single nation that exists for a long time like Korea will have many problems when multiculturalism emerges. To find economic and social opportunities, many foreigners choose to leave their country for more advanced countries in various ways, including labor, marriage, study, and business. Currently, many married migrant women are building new lives in Korea, and they are no longer part of foreigners or social minorities, but neighbors who raise children and participate in economic activities in Korea. However, these migrant women still have more difficulties than Korean women. One of the reasons why marriage satisfaction decreases while making their lives difficult is the stereotype and prejudice of Koreans. This paper evaluated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migrant women based on Korean women. The inherent difficulties faced by migrant women affect their lives and deteriorate their marital satisfaction and living standards. Among them, a study was conducted focusing on Vietnamese marriage migrant women, which accounts for a high proportion of international marriages in Korea. Korean stereotypes of foreign women, such as Vietnam, have negatively affected marriage by making discrimination in some people. This is because these Vietnamese women come to Korea for the purpose of marriage or some want a better life, which affects their marital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as negative effects and difficulties in lif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nd effects of stereotypes in Korean society on marriage satisfaction of Vietnamese married migrant women, and to increase marriage satisfaction, especially for married migrant women, improvement measures for both perception and policy were further discussed.

      • 가사분담이 결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성역할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박다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division of labor in the household has become more subdivided, and the perception of traditional gender roles has changed. The imbalance between the demands of society and the family regarding women's labor participation has the first effect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family life of family members. Modern society has changed into a deformed form of supporters of dual-family workers and single-family worker, and as a result, marital satisfaction might be affected. As a change factor in marital satisfaction, a study on participation in housework and marital satisfaction is requeste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division of housework in family life on marital satisfaction of married couples. In order to achieve this research purpose, a empirical study model was conducted using direct survey data. Specifically, a research model was constructed with household distribution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marital satisfa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pouse's gender role attitude had an effect on the spouse's satisfaction with housework sharing. Second, it was analyzed that spouse's satisfaction with housework sharing affects marital satisfaction. Third, it was analyzed that participation in meal preparation was the largest in the perception of the individual and his/her spouse in terms of household sharing. 가정 내 가사노동의 분업화는 더욱 세분화 되었으며, 전통적인 성역할에 대한 인식은 변화하였다. 여성의 노동참여에 관한 사회와 가정의 요구의 불균형은 가족구성원의 가정생활에 대한 만족 수준에 가장 먼저 영향을 미친다. 현대사회는 이인생계부양자, 일인가사노동자의 기형적인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받게 된다. 결혼만족도의 변화요인으로서 가사노동 참여와 결혼만족도에 관한 연구가 긴요하다.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가정생활에서의 가사분담이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설문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가사분담을 독립변수로 하고, 결혼만족도를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접 표본을 추출하여 설문조사를 통해 분석 자료를 확보하였다. 자료조사는 전국에 거주하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고 197부의 유효설문을 회수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배우자 성역할 태도는 배우자 가사 분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배우자 가사 분담 만족도는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본인과 배우자의 가사분담 실태에 대한 인식은 식사준비 참여가 본인의 가사분담인식과 배우자의 가사분담 인식에서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 결혼초기 남녀의 부정적 기분조절에 대한 기대가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스트레스에 대한 부부대처의 매개효과

        허희수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결혼초기 남녀의 부정적 기분조절에 대한 기대, 스트레스에 대한 부부대처,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부정적 기분조절에 대한 기대와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부부대처(지지적 부부대처, 위임적 부부대처, 합의적 부부대처, 부정적 부부대처)가 매개적 역할을 하는가를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대상은 부산 지역의 결혼기간 6년 미만 남성 150명, 여성 206명이다. 자료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t-test, 내적 합치도 분석, Pearson의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21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초기 남녀의 부정적 기분조절에 대한 기대는 스트레스에 대한 부부대처 중 지지적, 위임적, 합의적 부부대처 및 결혼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부정적 부부대처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또한 결혼초기 남녀의 스트레스에 대한 부부대처 중 지지적, 위임적, 합의적 부부대처는 결혼만족도와 정적 상관을, 부정적 부부대처는 결혼만족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결혼초기 남녀의 부정적 기분조절에 대한 기대와 결혼만족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에 대한 부부대처 중 지지적, 위임적, 합의적 부부대처는 정적인 부분 매개, 부정적 부부대처는 부적인 부분 매개가 나타나, 결혼초기 남녀의 부정적 기분조절에 대한 기대가 결혼만족도에 직접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스트레스 부부대처의 하위요인들을 통하여 결혼만족도에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가진다. 첫째, 결혼초기 남녀의 부정적 기분조절에 대한 기대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국내외에서 처음 밝혔다. 둘째, 선행연구에서는 스트레스에 대한 부부대처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만을 살펴보았으나 본 연구에서는 부정적 기분조절에 대한 기대와 결혼만족도의 관계를 스트레스에 대한 부부대처가 부분 매개됨을 검증하여 결혼초기 남녀가 부정적 기분조절에 대한 기대 및 스트레스에 대한 부부대처 중 지지적, 위임적, 합의적 부부대처를 하는 것이 안정된 부부관계를 형성하는 방안이 될 수 있음을 밝혔다. 셋째, 스트레스에 대한 부부대처와 결혼만족도 간의 매개효과를 스트레스에 대한 부부대처의 하위요인들마다 개별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