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게시판을 활용한 비실시간 상호작용이 수학학습부진아의 수학적 성향과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최광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학습부진아의 학습에 도움을 주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컴퓨터 온라인게시판을 활용한 보충학습과정에 비실시간 상호작용이 수학학습부진아에 대한 수학적 성향, 학습태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1. 온라인 수학학습 게시판을 활용한 집단이 학습지를 활용한 집단보다 수학학업 성취도가 더 높은 것인가? 2. 온라인 수학학습 게시판을 활용한 집단이 학습지를 활용한 집단보다 수학적 성향이 더 높을 것인가? 3. 온라인 수학학습 게시판을 활용한 집단이 학습지를 활용한 집단보다 수학에 대한 학습태도가 더 좋을 것인가?. 본 연구를 위하여 전라남도 ㅇㅇ군 ㅇㅇ중학교 3학년 학생 53명을 선발하여 학습지집단 18명, 학습자-학습자 온라인게시판 상호작용집단 25명, 학습자-학습자와 교사-학습자 온라인게시판 상호작용집단 10명을 표집하여 연구 대상으로 정하였다. 그리고 실험처치전후에 학업성취도 검사, 수학적성향, 학습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습지집단은 학습지를 이용하여 주1회에 다항식의 곱셈 5문항, 인수분해 5문항씩 제시된 학습지를 보충학습하여 제출하였고, 온라인게시판을 이용한 집단은 주1회에 학습지집단과 동일한 문제가 제시된 온라인게시판에 비실시간 상호작용을 통하여 보충학습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으로 공변량분석 (ANCOVA)기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수학학습 게시판을 활용한 집단이 학습지를 활용한 집단보다 수학학업성취도가 더 높았다. 그러나 온라인 게시판을 활용한 집단내에서 학습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만 있는 집단과 학습자와 학습자, 그리고 교사와 학습자 상호작용이 있는 집단간에는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둘째, 수학적 성향에 있어서는 세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수학 교과에 대한 학습 태도 검사에서도 세 집단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따라 위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온라인 게시판을 활용한 비 실시간 상호작용이 학업성취도에는 긍정적인 영함을 주지만 수학적 성향이나 학습태도 면에서는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이는 장기간에 걸쳐 형성된 수학적 성향이나 수학교과에 대한 학습태도가 일 개월여에 걸친 처치로 유의미하게 변화하기는 어렵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effect of asynchronous interaction during the supplemental studying process which uses the online conference systems to assist underachievers in mathematics. To achieve this puropse, the following hypotheses were established. 1. The group using the online conference systems will have higher achievement of mathematics than the group studying mathematics only with supplemental paper materials. 2. The group using the online conference Systems will have a higher mathematical aptitude than the group studying mathematics only with supplemental paper materials. 3. The group using the online conference systems will have a better study attitude than the group studying mathematics only with supplemental paper materials. To verify these hypotheses, the study sampled 53 students of the third grade of the middle school. They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 18 for the group studying mathematics on supplemental paper materials, 25 for the student-student interaction group using online conference systems and the other ten for the student-student, student-teacher interaction group using online conference systems. Before the experiment began, three pretests were carried out:a test measuring the level of mathematical achievement, a test of mathematical aptitude and a test measuring study attitudes. The three groups received the same homework problems for four weeks:5 polynomial multiplication problems and 5 factorization problems. After the four homework assignments were completed for the experiment, the students were given the same three tests (accomplishment, aptitude, attitude) which they took at the beginning. To test the hypotheses, the means of the three group's achievement scores from the post tests were compared using SPSS's ANCOVA proced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1. Hypothesis 1 was confirmed (the F=5.63, p<.01). That is, it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in achievement. 2. Hypothesis 2 was rejected. That is, scores in mathematical aptitude did not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3. Hypothesis 3 was also rejected. That is, scores in study attitudes did not show a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three groups. The results of the study verified that the online conference systems could help the learning activitives of underachiever in mathematics.

      • 다기능 공개형 게시판의 성능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심민재 서울산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943

        현재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사용자간의 웹 정보 교류가 더 활발해지면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전자게시판(BBS)은 더 쉽고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여러 가지 기능을 포함하는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이에 발맞추어 공개형 이면서도 완성도가 높은 무료 게시판을 쉽게 구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각각의 게시판들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시스템 효율성이나 속도 등에서 차이를 보이며 자신만의 장/단점을 가지게 된다. 하지만 한번 인식시킨 게시판은 최적화가 되어 있지 않거나 자신의 시스템에 적당하지 않더라도 쉽게 교체하기가 쉽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재 웹상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오픈소스 게시판 중 본 논문이 제시한 기준에 합당한 표본을 추출하여 각 게시판에 대한 기능비교 분석을 하여 각각 게시판의 장/단점을 파악하고 내부적 성능 분석을 하여 Query의 시간에 대한 성능비교, 서버의 사용성에 의한 점유율을 비교하였으며 성능 향상을 위한 튜닝 방안을 제시하고 튜닝 전과 튜닝 후의 성능을 비교하였다. 또한 AHP분석을 통하여 실제 웹 관련 업무 자들의 전자게시판을 선택함에 있어서의 평가요소 및 가중치를 제시하였으며, 웹 관련 업무자들의 평가 요소별 가중치 선택과 실제 계산된 수치들과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웹 시스템 개발에서 게시판 사용 시 게시판 선택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향후 게시판 성능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을 제공할 수 있다. As the exchange of web information become more active with the current development of Internet, the Bulletin Board System (BBS), in which people can freely express opinions and share information, is developing to be operated more easily and efficiently, and to cover various capacities, at the same time. Also, along with these developments, free Bulletin Board System that is open source and has high level of perfection, has become more easily available. Yet, each Bulletin Board System has different structures, thus shows difference in system efficiency or speed, and allows it to have uniqu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However, it is hard to replace the Bulletin Board System after it is implemented fully even if it is found not to be in optimum state or not appropriate for the corresponding system. This thesis selected two BBS samples considering the selection criteria, which was suggested in this paper, among open source bulletin boards which are easily accessible in current web. Through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n the functions of selected bulletin boards, merits and demerits of each bulletin board are identified .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nal performance, this paper presented the performance comparison on the time of Query and the utilization of server. And then, this study suggested ways of tuning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and compared the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tuning.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AHP, this paper suggested evaluation factor hierarchy and identified the weights to help the web system development participants choose Bulletin Board System. As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judgemental weights on each primary evaluation factor by web system development participants and numerical value calculated practically, this study results will be helpful for selection of bulletin board when researchers use the bulletin board developing web system and for improvement of performance of future bulletin board.

      • 어린이도서관 전자게시판의 질의분석을 통한 어린이 서비스 개선방안

        윤위재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3

        이 연구는 어린이도서관 전자게시판의 질의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어린이도서관의 서비스 개선사항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자가 직접 어린이도서관 홈페이지를 방문하여 27개 도서관의 전자게시판 게시 글 가운데 순수한 질의 4,827건을 독립된 홈페이지를 가지고 운영기간이 1년 이상인 도서관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게시된 글을 도서관의 서비스 기능 및 시설 측면에서 8개 영역으로 나누고 비공개와 광고를 포함하여 10개 영역으로 나누었다. 질의를 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를 각 도서관의 FAQ와 비교하여 이용자가 요구하는 서비스와 사서가 중요하게 인식하는 서비스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자료이용 영역에서는 자료 대출과 도서신청 같은 전통적인 서비스가 e북이나 오디오북, DVD 같은 디지털 자료에 비해서는 이용자가 중요한 도서관 서비스로 인식함을 알 수 있었다. 서비스 영역에서는 홈페이지의 오류로 인해 원하는 서비스를 받지 못했다는 질의가 가장 많아 홈페이지가 오류 없이 작동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정보서비스 영역에서는 즉답형 서비스가 가장 많았다. 정보서비스의 핵심이 즉답형 질의이기 때문에 전통적인 정보서비스와 동일하게 전자게시판을 통해서도 즉답형 질의에 대한 중요도가 높았다. 프로그램 영역에서는 프로그램 개설요청과 프로그램 신청에 대한 질의가 많아 부모들이 자녀에게 좋은 프로그램을 듣게 하고 많은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원하고 있었다. 회원관리 영역에서는 도서관 이용에 관한 질의가 가장 많았다. 이용연령, 가입방법, 대출 가능한 거주지역등에 대해 명확히 인지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도서관에 방문하기 전에 전자게시판을 통해 질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봉사활동 영역에서는 신청/취소/변경에 대한 질의가 가장 많았다. 학교에서 원하는 봉사활동을 도서관을 통해 완료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생이 아니더라도 자신의 전공이나 능력을 이용하여 도서관에 봉사하려는 성인들의 활동문의도 찾아볼 수 있었다. 도서관평가 영역에서는 도서관 이용 중 마주치는 근무자에 대한 불만사항, 열람실, 디지털자료실, 프로그램 교실 등 도서관 서비스 이용 중 불쾌하거나 개선이 필요한 부분, 도서관 시설 이용 중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지적하고 있었다. 기타 영역에서는 이용시간에 대한 질의가 가장 많았다. 부모와 자녀들이 함께 어린이도서관에 방문하기 위해 주차공간을 묻는 경우가 많음을 알 수 있었다. FAQ 분석결과 자료이용 영역에 대한 FAQ가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FAQ 내용은 전반적으로 이용자의 요구를 잘 반영하고 있었다. 하지만 북스타트나 딸림 자료, 예약 등 일부 영역에 대한 부분은 이용자의 요구를 사서가 FAQ를 통해 빠르게 대응하지 못하고 있어 사서의 관심이 필요하였다. 이 연구는 대학도서관 중심이던 도서관 전자게시판에 대한 연구를 대학도서관에 비해 연구가 활성화되지 않았던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진행하였고 그 중 어린이도서관의 전자게시판을 연구했다는데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또 전자게시판의 질의와 FAQ를 함께 살펴봄으로서 조금 더 이용자의 요구를 반영한 어린이도서관 서비스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service improvement for children by analysing queries on bulletin board systems in children's libraries. The writer selected bulletin board systems which have been in use at 27 libraries for more than a year, and examines messages and queries on each bulletin board system. The queries are classified into 8 areas according to service function and library facilities, and into a further 10 parts by adding subsections such as advertisements and closed messages. By comparing the results from analysis queries to the FAQ section of library bulletin board systems, this paper draws a comparison between the services which users require and the service which librarians put a premium on. For users of libraries, in the area of material usage the existing services such as data lending and requesting books have precedence over digital data services such as electronic books, audio books, and DVDs. In the service area, stable use and management of home pages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information service area, a prompt reply service which provides users and inquirers with prompt replies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e program area, there are lots of queries regarding applications for specific programs and requests for establishing helpful programs because parents want their children to have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and participate in lots of educational programs. In the area of member management, on the bulletin board system there are lots of queries on library usage methods such as the age at which one can borrow certain books, hoe to become a member of the library, or which residential district a person should live in to be eligible to borrow books. In the area of volunteer work, there are lots of queries about applications, cancellations, and change of plans. Children tend to complete the compulsory volunteering work and hours which schools require through libraries. In the area of library evaluation, users point out inconveniences including unfriendly staff and librarians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such as reading rooms, digital data rooms, or classrooms for special programs. In the miscellaneous area, questions about library hours comprise a large proportion. There are also some questions about parking spaces. The FAQ section is mainly focus on material usage and users' requirements are also well reflected in its content. However, certain areas such as bookstart, attached materials, and book reservations need improvements because some librarians did not reply and respond quickly through the FAQ service. This study focuses on public libraries which have not been the main subjects of study previously, and especially examines the contents and queries on bulletin board systems in children's libraries. This study presents opportunities for service improvement for children by analyzing FAQ pages and queries on bulletin board systems in children's libraries.

      • 게시판 분석을 통한 초등학교 교육용 웹사이트의 요구 분석

        이진숙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본 연구에서는 교육용 웹사이트의 초등학생 학습관련 게시판의 이용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하며 게시판에 나타난 이용자들의 요구 사항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웹사이트의 내용 설계와 개발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웹은 시공을 초월한 사이버 공간에서의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자기 주도적이고 창조적으로 문제 해결을 할 수 있는 인간을 지향할 수 있다. 교육용 웹사이트는 다양한 교육내용과 멀티미디어 기술을 통해 높은 교육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시간과 비용에 따른 효과성으로 학생, 학부모, 교사 및 일반 성인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으나, 2001년 현재 천여 개나 되는 많은 수에 비해 질적으로 우수한 사이트는 그리 많지 않고 평가 또한 쉽지 않은 실정이다.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교육용 웹사이트에 대한 평가는 교육인적자원부 소속 한국교육학술정보원에 의해 2001년에 두 차례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 사이트로 선정된 초등학생 관련 3개의 사이트를 분석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용 웹사이트의 학습 관련 게시판은 관리자에 의해 어떻게 구성되며 운영되고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들의 학습 관련 게시판 이용 실태는 어떠한가? 셋째, 게시판에 나타난 질문 제목의 표현 형태는 어떠한가? 넷째, 게시판 내용에 나타난 이용자들의 교과별 학습 및 체제와 관련된 요구는 무엇인가? 이론적 배경으로써 초등학교에서의 인터넷 활용과 웹기반 교육, 교육용 웹사이트의 양호도, 교육용 웹사이트 게시판의 구성과 운영 등을 살펴보았다. 게시판의 전반적 검색은 4개월 동안 하였으며, 세부사항의 분석을 위해 조사 기간을 학기 중/방학 중, 평일/주말로 구분하여 총 4주 중 16일 동안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여 교육용 웹사이트의 게시판 활용과 관련한 효과성 증진을 위해 이용자들의 사용 실태를 근거로 연구자가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관련 게시판은 교과목과 교과목 외의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교과목 외의 내용은 회원가입이나 정보이용 안내, 동아리/동호회, 대화방, 자유게시판 등으로 다양하게 운영되고 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주말보다 평일에, 방학보다 학기 중에 게시판을 많이 이용하며, 사회교과와 관련된 질문을 가장 많이 한다. 셋째, 이용자들의 2/3정도는 게시판의 질문 제목을 분명히 하지 않으며, 제목이 분명치 않은 경우 ‘궁금하다’와 ‘부탁’의 내용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다. 넷째, 이용자들은 학습을 위해 1:1 맞춤서비스와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 자료의 검색이 웹사이트 상에서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길 원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usage of a bulletin board of an educational website by elementary schoolchild and to understand the requirement of the website by the users, so that more efficient design and developmentof the website is possible. The Web makes it possible for anyone to interact on the cyberspace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and to give easy access to the Web for troubleshooting problems initiatively and creatively. The educational website can offer remarkable educational effects through various contents and multimedia technology and attract popular attention from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adults by its effectiveness of time and cost. Though, there are not many good-quality websites compared with the number of thousands of websites as of 2001 and the evaluation of the website is also not that easy. The evaluation of the websites, which increase by geometrical progression, was carried out two times by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and analyze the usage of a bulletin board of an educational website by elementary schoolchild and to understand the requirement of the website by the users, so that more efficient design and development of the website is possible. The Web makes it possible for anyone to interact on the cyberspace regardless of time and space and to give easy access to the Web for troubleshooting problems initiatively and creatively. The educational website can offer remarkable educational effects through various contents and multimedia technology and attract popular attention from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adults by its effectiveness of time and cost. Though, there are not many good-quality websites compared with the number of thousands of websites as of 2001 and the evaluation of the website is also not that easy. The evaluation of the websites, which increase by geometrical progression, was carried out two times by the Korea Education &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 Human Resources Development. In this study, following research topics are established targeting the three elementary schoolchild-related websites, which are chose as an excellent website: Firstly, how the bulletin board of educational website targeting the elementary schoolchild is organized and operated by an administrator? Secondly, how the actual usage of the learning-related bulletin board by the elementary schoolchild? Thirdly, how does the question's title represent in the bulletin board? Lastly, what is the requirement of the learning and system for each subject by the users in the bulletin board. For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utilization of the Internet and web-based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educational website and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educational website was reviewed. The bulletin board was comprehensively browsed for 4 months and, for analyzing the detailed information, the period was broken into In Semester/On Vacation, Weekday/Weekend and the analysis was carried out 16 days out of total 4 weeks. Based on the actual usage of the users, following results are made for improving effectiveness of the use of the educational website: Firstly, the learning-related bulletin board is composed of the contents of the subjects and the contents not related with the subjects. The contents not related with the subjects are various and composed of How to Use Information, Club/Community, Chatting Room and Bulletin Board etc. Secondly, the elementary schoolchild uses the bulletin board in weekday and semester more often than on weekend and vacation, and asks more questions on the social subject. Thirdly, the title of questions of 2 out of 3 users are not clearly represented and, in this case, the title is frequently represented as 'I wonder' and 'I have request.' Lastly, the users want to retrieve one-to-one customized service, necessary information and data on the website more easily and quickly.

      •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은주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943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지속적이고 구조적인 지원을 전제로, 통합교육은 명백하게 '모든 아동'을 위한 교육이 될 수 있다. 즉, 통합교육을 통한 일차적인 수혜자는 장애아동임에 분명하지만 일반아동들도 장애아동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사회적 능력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학업 능력만큼 중요한 능력으로 우리나라 초등교육계도 '인성교육'이라는 목표 하에 사회적 능력을 촉진하는 교육경험을 학교 교육·생활 전 영역에서 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통합교육을 통해 일반아동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이 현재 초등교육 실제에서 중요한 의미가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시사해 준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통합교육 실행을 위한 지원이 충분하게 제공되지 않은 결과 일반아동이 받을 수 있는 통합교육의 혜택은 인식조차 되고 있지 않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실현되고 있지 않다. 이러한 현실에서 '모든 아동'을 위한 통합 교육을 실행하기 위해 특수교사는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즉, 특수교사는 장애아동을 가르치는 일차적인 역할 외에도 통합학급 지원이 비중 있는 역할임을 인식하고, 시간상·방법상으로 학교 현장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통합학급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합환경에서 모든 학생들이 얻을 수 있는 혜택을 촉진하기 위해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을 제공하는 것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상호작용을 촉진하기 위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연구자가 지원내용·지원방법을 구성하였다. 즉, 지원방법으로 효과적인 전달과 실행의 용이성을 위해서 통합학급의 자연적인 환경인 게시판을 활용하였으며 정보전달을 위한 게시판의 구성요소로 소식지·동화·질문코너를 선정하였다. 여기에 특수교사가 주도하여 일주일에 한번씩 지속적으로 장애급우의 유사성을 강조한 정보, 장애로 인한 차이점을 이해하고 해결하기 위한 정보, 장애급우와의 상호작용을 칭찬·강화하는 정보를 제공하였다. 질문코너에서는 일반아동의 의견을 적게 하여 일반아동의 참여를 촉진하였고 아동들의 필요에 의한 지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일반교사는 아동들이 게시판을 활용할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로 이루어졌으며 실험은 일반아동들에게 게시판을 홍보하는 오리엔테이션 1회와 일주일에 한번씩 총 6회의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으로 7주 동안 시행되었다.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이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6학급의 일반아동을 두 학급씩 1) 장애급우가 없는 집단(통제집단1), 2) 장애급우가 있으나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을 제공받지 않는 집단(통제집단2), 3) 장애급우가 있으면서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이 제공되는 집단(실험집단)으로 나누었다. 연구에 참여한 아동은 총 일반아동은 239명, 장애아동 4명이다.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정귀순(2001)이 중학생의 사회적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질문지를 초등학생에게 맞게 낱말과 문맥을 수정한 후, 구성 타당도와 신뢰도 검증을 거쳐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로 사용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아동들이 직접 보고한 사회적 능력 질문지에 의한 것이다.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사회적 능력 사전, 사후 검사를 토대로 공분산 분석과 사후 비교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중재가 제공된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장애아동에 대한 사회적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후 비교분석에서 실험집단과 다른 두 통제집단들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통제집단 1과 통제집단 2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2. 장애아동에 대한 사회적 능력 척도를 세부 요인별로 살펴보면 '대인 관계에 대한 원칙의 발달'인 1요인과 '특수학급 학생과의 상호작용의 어려움'인 3요인과 '특수학급 학생과의 관계 증진'인 4요인에서는 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가져왔으나 2요인인 '긍정적 자아개념'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유의미한 변화를 보인 1요인과 4요인에서는 통제집단 2와 실험집단의 차이가 나타났고 3요인에서는 통제 집단 1과 실험집단, 통제집단 2와 실험집단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통합학급 내의 자연스런 환경을 활용하고, 실행하기 용이하며, 장애급우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 제공을 할 수 있고, 장애아동과의 상호작용 촉진·강화가 가능하며, 일반교사의 부분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는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은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촉진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의 결과는 지원이 제공된다면 통합학급은 일반아동들로만 구성된 학급보다 장애아동에 대한 일반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촉진할 수 있으며 결과 아동들의 인성발달에도 도움이 될 수 있는 환경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따라서 특수교사들은 한국 교육현장에 적합한 통합학급 지원방법을 창출하여 통합교육이 일반아동을 포함한 모든 학생을 위한 교육임을 인식시킴은 물론, 통합학급을 모든 학생을 위한 지원적인 환경으로 조성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그 한 방법으로 '게시판을 활용한 통합학급 지원'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sing the bulletin board to promote interactive partnership in regular classrooms on social competency of non-disabled children. The bulletin board as a natural environment in classroom contained weekly-changing information about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e way of how to interact with, such as newsletters, related stories, and Q & A, in order to reinforce positive interaction among children involved. The total of 243 children (4 disabled, 239 non-disabled) from two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whole process of pre-test, treatment, and post-test. The non-disabled children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1 of no experience of integration (82), control 2 of integration without support (80), experimental group of integration with support (77). While control groups were not given any treatments, experimental group had the weekly support using a bulletin board, including orientation, for 7 weeks. The Social Competency Scale was used to measure the social competency of three groups and both pre-test and post-test were implemented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ANCOVA and scheffe´ Post-Hoc Comparis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differences in social competence among groups. The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were as follows; 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experimental group and two control groups. The differences were supported by the result in post-hoc comparison analysis as well. 2. Among four factors of the Social Competence Scale, significant changes were found in three factors - Development of policy on relationship(l), Difficulties on interaction with disabled children(3), and Improvement of relations with disabled children(4), but not any significant changes in Positive self-concept factor(3). The significant contrast was found between control group 2 and experimental group in both factor 1 and 4. In factor 3, changes between two control groups and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 enough. Using the bulletin board to promote interactive partnership in regular classrooms was positively effective for social competency of non-disabled children. Th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individually-devised and ongoing support for each integrated educational setting bombarded especially in terms of its mutual benefits for everyone involved as well as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전자 게시판을 활용한 과정 중심 영어 작문 지도

        신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943

        컴퓨터 통신과 작문 교육의 접목은 이미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컴퓨터 통신 중에서도 전자 게시판의 상호작용성을 인식하고 이를 작문 교육에 활용 하려는 시도는 없었다. 본 연구는 전자 게시판이 새로운 방식의 의사소통을 제시 할 수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하였다. 새로운 의사소통 방식으로 전자 게시판을 사용한 작문 교육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과정 중심 작문 교육의 개념 및 의의를 살폈다. 과정 중심 작문은 작문을 사고 과정으로 간주하고 학습자들의 작문은 무엇을 쓰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쓰느냐 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결과 산출물보다 쓰기 과정을 더 중요시한다. 과정 중심 작문은 여러 가지면에서 의의를 찾아 볼 수 있다. 첫째, 과정 중심의 접근을 통한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구체적으로 글을 쓰는 방법 혹은 전략을 배울 수 있다. 둘째 학생들 스스로의 활동이 왕성하게 이루어진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셋째, 학생들이 작문에 대한 홍마를 갖고, 쓰기에 대한 두려움이나 부담감을 줄일 수 있다. 넷째, 학생들은 의미의 창조와 전달이라는 쓰기의 본질에 더욱 충실해진다. 먼저 과정 중심 작문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해 작문에 대한 관점의 변화를 살펴본다. 그 속에서 과정 중심 작문의 문제점을 찾아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하였다. 과정 중심 작문은 글이 형성되고 필자가 의미를 찾아가는 과정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에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지 않은 글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시하여 작문의 목적을 망각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작문의 사회주의적 관점을 과정 중심 작문과 접목시켜 한계를 극복하고자 하였다. 사회주의적 관점에서의 작문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전자 게시판이라는 매개체를 이용하였다. 전자 게시판은 교사-학생간, 학생-학습 자료간, 학생-학생간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해 준다. 본고에서는 특히 학생-학생간 상호작용에 집중하여 과정 중심 작문의 제약 점들을 넘어보고자 시도하였다. 전자 게시판은 학생들에게 사회적 상호작용을 위한 환경을 제시한다. 개인의 인지적 구성 과정에서 벗어나 학생들은 독자와 텍스트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작문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전자 게시판은 학생들의 최종 결과물을 게시할 수 있는 대중 저널 혹은 전자 출판의 기능을 하는데, 이 역사 전자 게시판의 상호작용성이 전제된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론들을 기반으로 전자 게시판을 실제로 구성해 보았다. 전자 게시판은 첫째, 글을 올릴 수 있는 “write" 코너를 마련하였다. 학생들이 동료의 글을 읽고 수정해 줄 수 있도록 “reply"를 제공했는데, 이때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동료 수정 양식을 기본값으로 삽입하였다. 이는 학생들에게 자연스럽게 동료 수정의 과정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과정 중심 작문 교육이 지니는 의의를 밝혀고, 이의 문제점을 찾아내어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자 게시판의 상호작용적 특성을 설명하였으며, 실제로 작문 수업을 위한 전자 게시판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작문 능력 향상 여부와 다른 컴퓨터 통신을 매개로 한 작문 수업과의 비교 연구가 없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전자 게시판을 활용하고 난 후의 작문 능력 향상 여부를 분석하지 않았고, 전자 게시판을 활용한 작문 지도와 다른 컴퓨터 통신의 수단을 활용한 작문 지도와의 비교 절차가 없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후속 연구와 학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 모형을 만들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vercome possible disadvantage of process-oriented writing through connecting it with the social perspective of writing which emphasizes social interaction. This thesis uses electronic bulletin board because it makes possible to facilitat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students, students-learning materials and students-students. Especially, interaction of students-students through electronic bulletin board is discussed and used for interactive process-oriented writing. Electronic bulletin board is constructed on the web for peer revision in process-oriented writing. It contains the section "write" to post students' drafts and the section "reply" to revise peers' drafts. The section "reply" has the 'peer revision form' suggest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hich is inserted as default. It helps students approach peer revision naturally. Electronic bulletin board supplies students with circumstances for social interaction. Students would rather construct their drafts considering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er, the reader and the text than be concerned with focus on cognitive writing process. It also functions as a public journal of electronic publishing on which students post their final drafts. Finally, the active peer revision through electronic bulletin board causes self-revision and makes individual writing expand into interactive writing.

      • 대학도서관의 전자게시판 활용에 관한 연구

        김형규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943

        컴퓨터 통신이 발달함에 따라 웹 기반의 도서관 봉사가 점차 보편화되면서 도서관과 이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는 여러 장치가 마련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로 컴퓨터 매개 의사소통의 유형 가운데 전자우편과 전자게시판이 도서관에서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전자우편은 교환되는 메시지가 사적인 면이 강하고 다른 이용자가 교환되는 메시지를 알 수 없다. 하지만, 전자게시판은 읽고 쓰기에 있어 접근이 자유로우며, 내용이 공개적이다. 이용자는 전자게시판을 통해 도서관 이용에 따른 제반 사항(불편, 문의, 건의 등)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공개된 내용을 통해 도서관 이용에 관한 응답을 받을 수 있다. 도서관은 이러한 이용자의 요구를 수용하여 도서관 봉사를 개선시킬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도서관에서 전자게시판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웹 기반의 도서관 정보시스템에서 전자게시판이 어떤 용도로 이용되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였다. 둘째, 전자게시판의 내용분석을 통해 이용자의 요구 사항을 파악하였다. 셋째, 전자게시판을 이용하는 이용자와 이용하지 않는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전자게시판에 대한 인식 수준을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인 150개 대학도서관 가운데 99개 대학도서관(66%) 홈페이지에서 전자게시판이 이용되고 있었다. 전자게시판의 게시글은 자료 신청, 자료 이용 방법, 도서관 정보시스템에 관련된 문의, 건의, 불편 사항을 다루는 것이 많았다. 전자게시판을 이용하는 이용자와 이용한 경험이 없는 이용자의 전자게시판 활용에 관한 인식 수준은 비슷했다. 그러나, 전자게시판을 이용하는 이용자가 도서관에 대해 자신의 의견을 더 적극적으로 표출하고 있었다. 전자게시판은 웹 기반의 도서관에서 다음과 같은 용도로 활용될 수 있다. 첫째, 이용자 교육의 보조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둘째, 도서관의 공지 사항을 전달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이용자의 건의 사항 수렴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넷째, 온라인 정보조사제공의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다섯째, 도서관 정보시스템의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현재 대학도서관에서 운영하고 있는 전자게시판은 하나의 게시판에 너무나 다양한 내용의 글이 게시되어 있다. 도서관과 무관한 글을 줄이고 더 효율적으로 전자게시판을 운영하려면 내용을 다루는 주제에 따라 세분하여 운영하여야 한다. 기본적으로는 온라인 정보조사제공을 하는 전자게시판과 이용자 교육의 보조 도구로써 자료 이용 방법과 관련된 전자게시판, 이용자의 건의 사항을 수렴하는 전자게시판으로 나누어 운영할 필요가 있다. 이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질문이나 응답을 담고 있는 전자게시판에 접속하기 때문에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도서관은 이용자의 질문에 해당 부서에서 신속히 응답을 할 수 있으며, 무분별한 글로 인한 게시판 관리의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With rapid advances in computer communications, web-based library services have become more generalized leading to various interaction tools between libraries and library users. Among these tools, electronic mail (e-mail) and bulletin board systems (BBS) are the most used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system (CMC) in libraries. E-mail is more private than other type of tool, and other users cannot have access to e-mail. On the other hand, BBS is easy to access, since the contents are open to everyone. Regarding the use of a library, users can express their opinions on various matters such as difficulties, references, and suggestions through BBS. In addition, they can receive answers about the uses of the library through the open message environment of BBS. By taking into account the demands provided by users, libraries can improve their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plan to manage BBS efficiently in academic libraries. To this end, this study will focus on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the uses of BBS in web-based library information systems; second, the users' demand through content analysis; and third, determining the level of awareness on BBS by conducting a survey of users and non-users. Among the 150 academic libraries, BBS is being used in 99 academic library homepages. The contents of BBS were mainly in library materials requests, material utilization methods, and references to the library information system. The awareness of the uses of BBS were similar between the users and the non-users. However, it was the users who expressed more actively their thoughts through BBS. BBS can be utilized in web-based academic library as follows: 1) an assistance tool for educating users, 2) a tool for informing announcements, 3) a tool for soliciting users' opinions, 4) a tool for online reference services, and 5) a tool for evaluating the library information system. There are many different contents in the BBS of academic libraries. In order to reduce unrelated contents and to increase efficiency in the management of BBS, it should be divided according to subjects. It needs to be divided basically into several tools for 1) providing online reference services; 2) educating users; and 3) soliciting users' opinions. The users can then connect to a BBS to ask questions or get answers which will eventually enhance the satisfaction of the users. This will then reduce the numerous problems regarding management of BBS due to unrelated materials. In addition, users will be provided with quick answers for all questions since the post in charge will only have to deal with those items for which he is specifically responsible.

      • 홈페이지 게시판을 활용한 쓰기교정지도가 학습장애아동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942

        본 연구는 홈페이지 게시판을 활용한 쓰기교정지도가 학습장애아동의 쓰기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들을 설정하였다. 첫째, 홈페이지 게시판을 활용하여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는 전통적인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동에 비해 띄어 쓰기의 정확도가 향상될 것인가? 둘째, 홈페이지 게시판을 활용하여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는 전통적인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동에 비해 철자법의 정확도가 향상될 것인가? 셋째, 홈페이지 게시판을 활용하여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는 전통적인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동에 비해 문장부호사용의 정확도가 향상될 것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본 연구자는 서울시내에 소재하는 D초등학교의 학습장애아동(3.4학년) 18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구성하였다. 실험은 본 연구자가 근무하는 특수학급 교실에서 실시하였는데 총 7주간주 5회 아침자습시간(8:30∼9:00; 통제집단지도)과 1교시수업시간(9:10∼9:40; 실험집단지도)을 이용하였다. 교실에는 컴퓨터가 4대 있어서 실험집단 아동개개인이 개별적으로 자기 홈페이지에 접속하여 게시판에 일기를 쓰고 교사의 개별지도 내용을 매일 확인할 수 있었다. 통제집단은 정해진 시험지에 일기글을 쓰고 교사의 교정지도가 된 자신의 시험지를 공부한 후 사후검사 기간에 자신이 쓴 글을 고쳐쓰도록 하는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실험집단은 자기홈페이지 게시판에 아동이 일기를 쓰고, 게시판의 답변란에 교사가 교정지도를 실시한 후 아동이 자율학습하게 하였다. 사후검사기간에는 아동이 쓴 글을 출력하여 만든 시험지(통제집단과 동일한 유형의 시험지)를 보고 스스로 자기가 쓴 글에서 틀린 부분을 고쳐쓰기하면서 글쓰기를 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사후검사는 아동 한 사람당 각각 10회씩 실시하였다. 교정지도내용과 사후검사시 평가는 띄어 쓰기, 철자법, 문장부호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부록6에 제시된 기준표에 의거하여 실시하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이 실시되기 전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KEDI-WISCⅢ를 이용한 지능검사와 기초학습기능검사, 쓰기능력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한 홈페이지를 이용한 쓰기교정지도와 전통적인 방법의 쓰기교정지도는 다음의 3단계로 이루어졌다. 1단계는 실험대상아동을 사전검사를 통하여 선정하고 실험집단아동에게 개개인의 홈페이지를 만들어 주는 것으로 이루어졌다. 2단계는 4주간 실험집단아동에게는 자기홈페이지 게시판에 일기를 쓰도록 하고 이에 대한 교정지도를 개별적으로 개인 홈페이지 게시판의 답변란을 이용하여 하도록 하였다. 통제집단아동에게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아동이 쓴 글에 대해 펜으로 첨삭하는 교정지도를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3단계는 이러한 교정지도내용을 바탕으로 시험지를 만들어 자신이 쓴 글을 보고 틀린 부분을 고쳐가며 다시 한번 쓰도록 하여 다시 쓴 글 속에서 띄어 쓰기, 철자법, 문장부호의 오류가 이전에 비해 얼마나 고쳐졌는지를 비교하여 교정도를 살펴봄으로써 분석하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사후검사는 총2주동안 10회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홈페이지 게시판을 활용하여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는 전통적인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동에 비해 띄어 쓰기의 정확도의 향상도 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홈페이지 게시판을 활용하여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는 전통적인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동에 비해 철자법의 정확도 면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홈페이지 게시판을 활용하여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는 전통적인 쓰기교정지도를 받은 학습장애아동에 비해 문장부호사용의 정확도 면에서는 그리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자판을 이용한 문장부호쓰기가 학습장애아동에게는 다소 어려움이 있었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한다. 본 연구의 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연구문제에 대한 결론을 내리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홈페이지 게시판을 이용한 쓰기교정지도는 학습장애아동의 쓰기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띄어 쓰기, 철자법 영역에서는 그 효과가 매우 크다. 그러나 이 효과면에서 개인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이를 통해 홈페이지 게시판을 이용한 쓰기교정지도는 각 개인의 특성에 따라 그 효과가 다양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홈페이지 게시판을 이용한 쓰기교정지도는 학습장애아동의 쓰기능력 중 문장부호영역에서는 효과적이지 않다. 이는 자판을 이용한 문장부호쓰기가 학습장애아동에게 다소 어렵게 느껴졌기 때문이 아닌가 생각되며 이에 대한 자판사용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된다. 셋째, 홈페이지 게시판을 이용한 쓰기교정지도는 학습장애아동의 학습의욕을 높이는데 효과적이다. 이는 실험집단 아동에 대한 심층관찰 및 면담결과(부록4)를 토대로 연구자가 내린 결론으로 컴퓨터라는 매체는 이미 여러번의 학습실패로 자신감이 떨어진 학습장애아동에게 긍정적인 의미를 부여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홈페이지 게시판을 활용한 쓰기교정지도의 효과연구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지역에 거주하는 보다 많은 수의 그리고 다양한 다른 학년(저학년, 중학년, 청소년)의 학습장애학생 및 일반아동을 대상으로 더 오랜기간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내에는 표준화된 쓰기표현 검사도구나 교정지도법에 관한 책이나 연구가 부족하여 본 연구를 하는데 있어 어려움이 많았다. 앞으로 쓰기표현력을 잴 수 있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높은 검사도구의 개발과 교정지도에 관한 연구들이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글쓰기를 지도하는 학습사이트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려는 교사들의 노력이나 학생들의 관심이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쓰기 및 여러 학습영역에서 웹사이트의 개발과 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교사들의 연구노력이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 학습장애아동은 매우 상이한 학습상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들을 함부로 진단하기도 어렵고 이들을 동질집단으로 간주하는 것도 자칫 위험한 발상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학습장애아동을 명확히 진단내릴수 있는 기준마련과 이들의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한 교사들의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homepage bulletion board on writing ability in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The research questions set up for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Will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the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homepage bulletion board be better than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the traditional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in terms of the story correctness of spacing words? Second, Will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the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homepage bulletion board be better than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the traditional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in terms of the story correctness of Spelling? Third, Will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the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homepage bulletion board be better than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the traditional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in terms of the story correctness of punctuation? Based on the these research questions, I constituted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ith the 18 Learnig Disabled Childrens at the D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the special education class and five times per week for 7 weeks. It was the morning private study time(8:30∼9:00:control group teaching) and 1 class study time(9:10∼9:40:experimental group teaching). There are four computrs in this classroom, so the individual of the experimental group can contact their homepage in private and can confirm the content of the individual instruction by a researcher daily.. For the control group, they write a diary on the testing paper and study about the content of revision instruction in private. And then they take a post-test which is correct errors on their composition during the post-test period. A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ey write a diary on the bulletion board of their homepage and then they took a posttest(with pen) in the same method with the control group. And post-test was taken 10 sessions per one child. The content of revision instruction and post-test performed on the basis of the spacing words and spelling and punctuation and it was taken by the standrad text which is presented at the appendix 6. For this study, Intelligence test using the KEDI-WISCⅢ and fundamental study test and writing skill test was taken to have the same quality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before beginning this experimentation. And the result of this test was analyzed using the Excel program. For this study, the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homepage and traditional revision instruction was carried out by three stage is as follows. First,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as chosen by the pretest and then they was given the individual homepage. Second, The researcher made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rite a diary on the bulletion board in their homepage. And they was taken the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reply room at the bulletion board of the private homepage. The researcher taught the children of control group as the traditional revision instruction with a pen. Third, the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corrected their error in their diary to find out their improvement in terms of spacing words and spelling and punctuation as post-test. This post-test was taken 10 session for two weeks.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homepage bulletion board and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traditional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in terms of correctness of spacing words. Second, a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homepage bulletion board and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traditional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in terms of correctness of spelling. Third, a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homepage bulletion board and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rom traditional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in terms of correctness of punctation. Because it seems to be a hard thing to Learning Disabled Children in terms of using the keyboard. Based on the result and the discussion of this study, several conclu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can develop the writing ability of the Learning Diabled Children. Specially, there were a significant effect in terms of the spacing words and spelling. But the effect was diverse and we can know that the effect of the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homepage bulletion board can be diverse according to the special character of individual. Second, the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homepage bulletion board is not effective in terms of punctation of writing ability. Because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felt writing pucntation hardly, and the use teaching of keyboard should be preceded. Third, the writing revision instruction using the homepage bulletion board is effective to improve the learning eagerness. This is the conclusion from the deepen observation and the result of interview about the children of the experimental group. The method of computer gave the positive meaning to a Learning Disabled Children losing self-belief for study fail in many times. Some suggestion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o generalize this study, there needs to more studies with the diverse grade and Learning Disabled Children and general children for longer period. Second, It was much difficult in doing this project for short of standardized writing expression testing materal or the book and study of revision teaching method. There should be more developed testing material with high credibility and properbility and more studied about the revision instruction. Third, there are many web site for teaching composition, but it is short of teacher's effort and student's interest to use it effectively. So many web site must be developed and made effort to use it effectively by researchers and teachers. Forth, the Learning Disabled Children have many divese trait in study, so it is very hard thing to diagnosis them and to consider them as a same group. And then it needs to have a standard to diagnosis correctly them and a diverse study to enhance the effect of study by teachers.

      • 인터넷 게시판에 나타난 커뮤니케이션 영향 연구 : 오마이뉴스의 익명과 실명 토론분석을 중심으로

        정호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942

        One of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discourse in internet billboard is possible for both anonymity discourse and real name discourse. Internet billboard is guaranteed anonymity. Internet billboard is noticed by this characteristic. But, anonymity in internet billboard caused the problem that is using vulgar words. Therefore, this study is to analyze distinction based on communication factors such as contents, strategies. This study premises that communication factors are influenced by anonymity. Also, this study is to analyze distinction based on subjects such as politics, entertainment, sports. Hypothesis1 is that disposition of description in anonymity internet billboard will lead to increase negative disposition of description. As a result, verbal violence, ungrammatical disposition, disposition of blame are high. Thus, hypothesis1 is approved. But, a gap between two internet billboards(internet billboard of anonymity, internet billboard of real name) is not distinct. Hypothesis2 is that discourse in real name internet billboard will lead to increase level of description. As a result, disposition associated with themes, logicality, interactivity in real name are high, thus hypothesis2 is approved. But, a gap between two internet billboards(internet billboard of anonymity, internet billboard of real name) is not distinct. Research question 1 examines that negative disposition of description is different by internet billboard. Firstly, social, entertainment, sports in verbal violence is significant. Politics, social, sports in real name internet billboard are high. Only, entertainment in internet billboard of anonymity is high. Secondly, entertainment, sports in ungrammatical disposition is significant. Politics, social, sports in real name internet billboard are high. Only, entertainment in internet billboard of anonymity is high. Thirdly, social, entertainment, sports in disposition of blame is significant. Politics, social, sports in real name internet billboard are high. With regard to blame of matter, entertainment in internet billboard of anonymity is high. Also, with regard to blame of a journalist, a subject of article, orthography in real name internet billboard is high. Research question 2 examines that level of description is different by subject. Only, politics in disposition associated with themes is significant. Politics, social, entertainment, sports in real name internet billboard are high. Only, interactivity in social section is significant. Research result is that negative disposition of description in internet billboard of anonymity is high. But as pointed out prospect of research, general presupposition may wrong. Because a gap is a few, it is requirement that research of another internet billboard or diversity of analysis. Research result is that level of description is high. But a gap is a few. Thus the gap that is made by characteristics of real name internet billboard is important. Also, subject of internet billboard make a gap. If it is watched a gap that is made by subject of internet billboard, interesting research result is derived from the gap. 인터넷을 이용한 토론이 오프라인 토론과 차별되는 특징 중 하나는 익명과 실명 토론이 모두 가능하다는 점이다. 특히 익명성은 인터넷 토론에서만 보장된다는 점에서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그러나 그에 못지않게 문제점이 노출되면서 익명성이 보장된다는 특징 때문에 간혹 왜곡되고 과장된 표현과 상스러운 표현을 담는 경구가 종종 있다. 실제로 인터넷 게시판을 살펴보면 신분이 노출되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상스러운 표현으로 일관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커뮤니케이션에 큰 영향을 끼칠 것으로 생각되는 익명과 실명에 주목하면서, 실제로 커뮤니케이션 내용과 전략 등 다양한 커뮤니케이션 요인에 차이가 존재하는가를 알아보고, 익명과 실명이라는 기본 전에 안에서 주제에 따라 정치, 사회, 연예, 스포츠 분야의 커뮤니케이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가설1> 익명 게시판에서 부정적 기술성향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결과, 익명 게시판에서 부정적 기술성향인 언어폭력, 비문법성, 비난적 성향이 높게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익명 게시판과 실명 게시판에서 큰 수치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연구가설2> 실명 게시판에서 내용 기술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가설결과, 실명 게시판에서 내용 기술수준인 주제관련성, 논리성, 상호작용성이 높게 나타나 가설이 지지되었다. 그러나 이 가설 또한 익명 게시판과 실명 게시판에서 근소한 차이만을 보이고 있다. <연구문제1>은 주제에 따라 각 게시판의 부정적 기술성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는데 언어폭력의 경우 사회, 연예, 스포츠 분야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주제별로 살펴보면 연예 분야만을 제외하고 정치, 사회, 스포츠 분야는 실명 게시판에서 높게 나타났고, 연예 분야만이 익명 게시판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비문법성에 대해 살펴보면 연예, 스포츠 분야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주제별로 살펴보면 앞서의 비문법성과 마찬가지로 정치, 사회, 스포츠 분야는 실명 게시판에서 높게 나타났고, 연예 분야는 익명 게시판에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비난적 성향의 경우 사회, 연예, 스포츠 분야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주제별로 살펴보면 정치, 사회, 스포츠 분야의 경우 실명 게시판에서 높게 나타났고, 연예 분야에서만 글 소재를 비난의 경우 익명 게시판에서 높게 나타났다. 또 기자를 비난하거나 글 제목 및 맞춤법을 비난한 경우는 실명 게시판에서 높게 나타났다. <연구문제2>는 주제에 따라 각 게시판의 내용 기술수준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알아보는 것이었는데 주제관련성의 경우 정치 분야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주제별로 살펴보면 정치, 사회, 연예, 스포츠 분야 모두 실명 게시판에서 높게 나타났다. 논리성의 경우 연예 분야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주제별로는 정치, 사회, 연예, 스포츠 분야 모두 실명 게시판에서 높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호작용성은 사회 분야에서만 유의미하게 나타났고, 주제별로는 4분야 모두 실명 게시판에서 높게 나타났다. 익명 게시판에서 부정적 기술성향이 높게 나타날 것이라는 연구 결과 익명 게시판에서 높게 나타나긴 했지만 몇몇의 선행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듯이 일반적 예상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그 차이가 매우 근소하여 다른 인터넷 게시판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거나 분석 유목을 다양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 실명 게시판에서 내용 기술수준이 높게 나타날 것이라는 연구 결과 실명 게시판에서 높게 나타나긴 했지만 이 또한 근소한 차이만을 보이고 있어 익명과 실명 게시판의 특성과 주제에 따른 차이도 더욱 자세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또 주제별로 게시판의 특성에 따라 다른 결과들이 도출되었는데, 익명·실명 게시판에 따른 차이보다 먼저, 주제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본다면 더욱 흥미로운 결과가 도출될 것이라 생각된다. 토론 내용과 토론 과정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분석을 통해 보다 객관적이고 타당한 연구 결과를 도출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