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건설산업 ESG 평가를 위한 Digital Twin framework 개발 :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정확도 향상 위한 방법론

        소종훈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 세계적인 지속가능경영 추세 속에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기후변화 대응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기업의 평가에 재무적인 지표 뿐만 아니라 비재무적인 요소들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건설산업은 전 세계 약 38%의 탄소를 배출하면서도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의 수준은 초기단계로 운영되고 있으며 특히 환경 문제에 관하여는 타 산업 대비 뒤쳐져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러한 문제인식 하에 본 연구는 건설산업의 ESG 평가를 위한 Digital Twin framework의 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특히 환경 부문 평가에서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론에 대해 다룬다. 건설산업은 그 특성상 각 건설현장에서의 환경 데이터 측정과 관리 문제를 비롯하여 하도급 업체로부터의 데이터 수집에 대한 신뢰성 이슈로 인해 환경 영향을 정확하게 평가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현재 건설산업에서는 낮은 수준의 Tier 기준을 사용하여 배출량을 간접적으로 산출하고 있어 그 산출 정확도가 낮고 미확인 변수에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도전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트윈의 이론적· 기술적 요소를 활용하여 데이터와 모델 중심의 평가 기반으로 온실가스 산출을 위한 직접적인 방법과 간접적인 방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접근법을 제안한다. 또한, Digital Twin 기술인 현장 기반 모델링 방법론을 기반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량을 추적하고 모델링하고 예측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며, 건설기계 및 장비에 대한 고유한 배출계수 개발을 위한 시나리오 사례연구를 통해 간접적인 방법으로 framework 및 프로세스에 대한 검증을 실시한다. 그 결과 Digital Twin framework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출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측정에 드는 시간과 비용을 절감시키며 배출량을 직접 측정하는 수준으로 모델링 할 수 있는 잠재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다만, 제안된 framework의 활용성과 보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현장 측정을 통한 실측 데이터로 추가적인 연구와 검증이 권장된다. In a trend of the global sustainability management, the importanc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response to climate change is being highlighted, and investors are reflecting not only financial indicators but also non-financial factors when evaluating companies. However, although the construction industry emits about 38% of the world's carbon, the level of ESG (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management is operating at an early stage, and is especially evaluated as lagging behind in environmental issues. Recognizing this problem, this study focuses on the development of a Digital Twin framework for ESG evalua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specifically addresses methodology to improve the accuracy of greenhouse gas emissions calculation in environmental sector evaluatio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experiencing challenges in accurately assessing environmental impacts due to difficulties measuring and managing environmental data at each construction site and reliability issues with data collection from subcontractors. In addition, the current construction industry indirectly calculates emissions using low-level standards tiers, resulting in low calculation accuracy and exposure to unidentified variables. To respond to these challenges, this study proposes a hybrid approach that combines direct and indirect methods for calculating greenhouse gases based on data and model-based evaluation by utilizing the theoretical and technical elements of Digital Twin.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s a method that can be used to track, model, and predict greenhouse gas emissions output based on in-situ(field-based) modeling methodology, which is one of Digital Twin technology. Furthermore the framework and process are verified indirectly through a scenario case study to develop emission factors for construction machinery and equipment. As a result, the Digital Twin framework is expect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greenhouse gas emissions calculations, reduce the time and cost of measurement, and provide the potential to model emissions at the approximately same level of directly measuring emissions. However, additional research and verification through simulation and real data are recommended to improve the applicability and universality of the proposed framework.

      • 건설산업 선진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추진전략 중심으로

        김철웅 전남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건설산업은 국가 주요시설물을 비롯한 사회 인프라 및 주거·편의시설의 확충을 이끌어온 국가 중추 산업으로써 생산효율의 극대화를 통한 부가가치가 높은 성장산업이다. 그러나 국내 건설산업의 여건은 낙후된 제도와 환경, 노동집약적 1차 산업이라는 낮은 인식수준으로 인하여 선진화 도약을 위한 준비와 노력이 필요한 단계로서, 세계 건설업 시장의 개방에 따른 경쟁력 확보와 미래지향적이며 글로벌 스탠다드화 측면에서 국내 건설산업의 선진화 전략수립과 이를 위한 준비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선진화를 위한 추진전략의 수립 및 분석을 위하여 정부 및 민간주도 부분으로 구분하여 필요 전략항목들을 선정하고, 각 항목들에 대한 AHP분석을 통한 가중치를 산정하여, 중점 추진전략 항목을 선정하였으며, 향후 건설선진화를 통한 경제위기 극복, 글로벌 스탠다드화 및 국가경쟁력을 증진의 발판을 마련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건설선진화를 위한 정부주도 추진전략의 제도 및 발주 시스템 혁신부문에서는 일괄․대안입찰공사 설계심의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와 공공발주기관의 사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도입이 필요하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부문에서는 건설과정 투명화와 정보공개 확대, 부패방지 노력의 실천전략과 건설이미지 개선이 중점전략으로 분석되어 해외시장에서 적용 가능한 글로벌 스탠다드화 된 공공발주제도 정립방향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민간주도 추진전략의 책임경영 부문에서는 구성원의 혁신 역량과 지식경영을 위한 전략, 정보기술이 중점전략으로 도출되어 관리자의 책임경영 의식과 경영합리화의 노력 및 전 직원의 참여 등을 도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민간주도 추진전략의 관리 및 사업운영 부문에서는 사원 능력 계발을 위한 노력과 근로 및 보건․복지 지원 노력 중점전략으로 분석되어, 기업내부의 재무구조나 원활한 조직운영 등 최고관리계층으로서 경영정책, 경영전략 등의 의사 결정 문제에 대한 역량강화 및 핵심주력기능 위주의 사업관리와 성과물 등의 중요성을 재정립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건설산업 ASP 적용요인 및 의사결정 방법

        이상형 明知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최근 건설산업의 시장개방과 치열한 세계시장에서의 경쟁하기 위하여 인적, 기술, 프로세스를 연계하는 기업통합에 따른 환경변화로 건설산업의 생산성향상과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ASP(Application Service Provider)를 도입함으로 투자자금과 정보기술에 대한 지식 및 인력이 부족한 건설기업 내에서 도입비용 및 위험부담을 줄임으로 건설업체의 정보시스템의 주요기반시설로써 그 역할을 담당하고 이를 통해 부족한 경영력과 미비한 경영환경을 상당부문 극복할 수 있어 기업의 자원과 비용을 최소화하고 업무처리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을 강화 할 수 있다고 예상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건설산업 ASP적용요인 및 의사결정 방법에 영향을 주는 업무기능과 요인에 관한 모델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탐색적인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왜냐하면, 아직까지 건설산업에서 ASP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재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ASP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ASP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ASP동향을 분석하고 현 건설산업의 ASP동향을 파악한다. 둘째 건설산업 ASP도입 시 우선적으로 도입해야할 업무기능과 의사 결정방법을 추출한다. 이상과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먼저 ASP의사결정방법과 아웃소싱 의사결정방법에 대한 광범위한 문헌연구를 실시하고, 연구 모델을 개발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설문지를 대한건설협회에서 지정한 토건 능력순위 1000위까지의 업체 중에서 무작위로 200개 업체를 선택하여 설문지를 배포하여 25부가 수거되어 23부의 설문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설문 조사 대상은 건설기업의 전산실 실무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ASP지수를 산출하기 위해서 건설 산업의 특성과 정보시스템의 특성을 이해하고 있는 전문가 자문집단인 7명에게 AHP기법을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단위는 시공능력순위별, ASP지수 순위별로 나누어서 실시하였으며, ASP, 아웃소싱, 인소싱 선택 선호도를 조사하여 ASP선택 선호도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연구모델을 검증하여 ASP의사결정방법을 추출하고 건설 산업의 특성을 가지고있는 7가지 업무기능별로 ASP선택 선호도를 조사하여 우선적으로 도입해야할 업무기능을 추출하였다. ASP선택 선호도와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보안의 중요성(0.53), 품질 및 지원·적합성(0.61), 기술개발능력(0.64)이 ASP도입 시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공능력 순위별로는 시공능력이 떨어지는 하위그룹에서, ASP지수 순위별로는 ASP지수가 낮은 하위지수에서 ASP선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설교통부에서 조사한 정보화 지수와의 비교에서도 정보화 지수가 높은 기업에서 ASP선택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ASP를 도입하는 것보다는 아웃소싱도입을 선호하고 인소싱을 도입하는 것보다는 ASP도입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기능별로 ASP, 아웃소싱, 인소싱을 비교할 때 공정업무기능에서 ASP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공능력 순위별로는 시공능력이 떨어지는 하위그룹에서, ASP지수가 떨어지는 하위지수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건설산업에 ASP에 대한 연구의 기틀을 제공하고, 건설산업에 ASP적용 시 우선적으로 적용해야할 업무기능과 의사결정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건설기업에서 ASP 도입 시 의사결정에 도움을 줄 것이다. Recently the construction industries introduce ASP(App1ication Service Provider) not only for competition in market opening and in the world market, but also for enhancement of production and competition as environmental changes following the enterprise integration including human resources, technologies and management processes because they predict that ASP can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ir purpose by making each construction enterprise which doesn't have enough knowledge about investment fund and information technology take less risk and pay lower expense, and by having ASP play a role as main basic equipment of information system for the construction industries, consequently, overcoming insufficient management ability and surroundings. So this paper develops and examines a model of business functions and factors which have influence on the assessment of ASP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research was performed in the exploratory method because no one has developed systematic research about ASP so far. With respect to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one is finding clear understanding and tendency of ASP through studying wide documents, and the other is choosing business functions and decision-making methods needed first for the introduction of ASP. Accordingly, questionnaire was carried out after having studied extensive documents about ASP and outsourcing and having developed a model for research.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l000 domestic construction corporations which have been randomized and registered in the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for conducting empirical study. 25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23of those were used in this research. The unit of analysis was construction firm level and respondents were person in charge of information systems of each construction corporation. The objects of this inquiry was persons in charge of information systems of each Construction firm, and 7experts who understand the features of construction industry and information system responded to this inquiry using AHP method. This research is practiced by construction ability orders and ASP index orders and chooses a decision-making method for ASP by analyzing correlation between ASP and the others after investigating each preference about ASP, outsourcing and insourcing and by examining a model for research, and selects business functions needed preferentially through surveying ASP preference by 7 business functions which have traits of construction industr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bout correlation between ASP preference and the others', it shows that the importance of security(0.53), the compatibility of quality and service support(O.61), and the ability of developing technology (0.64)have influence on the decision-making when introducing ASP and ASP preference takes higher place in the lower group has lower construction ability and lower ASP index. ASP preference is also higher than others in the comparison with information index which was investigated by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ffic and that gets lower preference than outsourcing's and higher preference than insourcing 's. ASP is preferred to outsourcing and insourcing in processing business function when comparing by business functions and preferred to others in the medium group has less construction ability and the lower group has less ASP index. This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offer the basis of ASP research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help the construction firms to make decision when introducing ASP by offering business functions needed first and decision-making method.

      • 중국 랴오닝성(遼寧省) 건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Tian, Xinyue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703

        건설산업은 중국 인프라의 핵심산업이고 중국경제의 고속성장을 견인하는 내재적 동력이다. 최근 몇 년간 건설산업의 총생산액 비중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랴오닝성 건설산업은 그동안 랴오닝성 경제발전의 지주산업 중 하나로, 관련된 산업사슬이 길기 때문에 수많은 산업의 공동발전을 견인할 수 있는 버팀목 효과로 작용하였다. 하지만 1995년에 중국의 산업정책이 조정되고 조방형에서 집약형으로 점차 전환되면서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총생산액은 1990년 전국 2위에서 2020년 최근 23위로 점차 후퇴하였다. 랴오닝(遼寧)성 건설산업의 발전은 장수(江蘇)성, 산둥(山東)성, 저장(浙江)성 등 다른 건설주요성에 비교해 아직 큰 격차가 있다. 랴오닝성의 건설산업 발전과정은 다른 성들과 상대적으로 비정상적이다. 국가 정책에 대응하고 동북지역 전체의 건설산업 발전을 더욱 촉진하기 위하여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중국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발전을 통한 향후 중국경제에 발전에 일조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중국 랴오닝성 통계청이 발표한 2002년, 2007년, 2012년, 2017년 산업연관표를 사용하여 기본분류인 42개 산업 중 건설산업의 미치는 경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생산유발계수의 열 합계는 2002년 2.960, 2007년 3.136 2012년 3.464, 2017년 3.188로 42개 산업부문 중은 2002년 10위, 2007년 7위, 2012년 12위, 2017년 10위를 차지하여 비교적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행 합계는 2002년 1.083, 2007년 1.190, 2012년 1.465, 2017년 1.273로 나타났는데 2002년 37위, 2007년 37위, 2012년 34위, 2017년 35위를 차지하여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었기 때문에 랴오닝성 건설산업 자체가 기타 산업에 미치는 효과는 훨씬 적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감응도계수(전방연쇄계수)는 2002년 0.422, 2007년 0.479 2012년 0.4940, 2017년 0.491로 42개 산업부문 중은 2002년 37위, 2007년 33위, 2012년 34위, 2017년 35위를 차지함으로써 경제여건에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또한, 영향력계수는 2002년 1.155,2007년 1.210, 2012년 1.167, 2017년 1.229로 42개 산업부문 중은 2002년 10위, 2007년 7위, 2012년 12위, 2017년 10위를 차지하였다. 이는 1보다 높은데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최종수요 변화가 경제 전체에 미친 영향이 다른 산업의 최종수요 변화보다 상대적으로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최종수요 변화가 다른 산업부문의 수요변화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는 랴오닝성 건설산업이 다른 산업을 견인하는 정도가 높다고 말할 수 있다. 셋째,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노동유발계수는 2002년 0.827, 2007년 0.257, 2012년 0.1430, 2017년 0.022로 42개 산업부문에서 각각 5위, 9위, 5위, 1위 차지하였다. 넷째,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부가가치유발계수는 2007년 0.695, 2012년 0.638, 2017년 0.721로 나타났다. 넷째,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부가가치유발계수는 2002년 0.291, 2007년 0.277, 2012년 0.238, 2017년 0.170로각각 31위, 31위, 28위, 35위를 차지하였다. 다섯째,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소득유발계수는 2002년 0.141, 2007년 0.163, 2012년 0.138, 2017년 0.124으로 각각 25위, 17위, 20위, 26위를 차지하였다. 여섯째,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생산세유발계수는 2002년, 0.043, 2007년 0.034, 2012년 0.035, 2017년 0.039로 각각 31위, 26위, 28위, 18위를 차지하였다. 마지막으로, 랴오닝성 경제에 대한 최종수요는 2002년 1조 4,253억 위안,2007년 3조 1,080억 위안, 2012년 5조 4,017억 위안, 2017년 6조 1,083억 위안으로 나타났다. 이를 투입하였을 때 전체 산업에서 유발되는 총생산유발액, 부가가치유발액, 총소득유발액 및 총생산세유발액 중에 랴오닝성 건설산업 자체는 모두 훨씬 작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이에 따라 랴오닝성 건설산업의 경제적 효과 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랴오닝성 건설산업은 다른 산업에 대한 추진력은 크지만 다른 산업은 건설산업에 대한 추진력은 상대적으로 작다. 둘째, 전방연쇄계수 및 전방연쇄계수 보면 랴오닝성 건설산업은 다른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반면 다른 산업이 건설산업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기 때문에 건설산업의 발전이 다른 산업부문을 함께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랴오닝성 건설산업이 사회 전반의 고용률을 높일 수 있는 만큼 정부가 건설산업을 육성하고 인프라를 확충해 건설산업의 시장 수요를 지속적으로 높여야 한다.

      • 한국 해외건설산업의 국제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이민수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paper was to analyze competition power for Korean overseas construction industry. Korean contractors have history of their six decades of construction experience abroad. Throughout the 1980s and 1990s, Korean contractors have applied construction techniques across the globe. They have worked side by side with some of the world’s leading construction firms, participated in a wide variety of public and private sector projects, and established a reputation for quality and cost-effectiveness in the process. Korea is now enjoying the 2nd construction boom in the Middle East construction market. The structure of construction market in the Middle East has the host countries as demand side and the foreign companies as supply side. The background of present construction boom especially in plant market depends on the rapid increase of oil money due to the higher oil price in the oil exporting countries. The Korean construction companies are recently concentrating to the plant contracts. By the International Contractors Association of Korea, the contracts amount of Korea reached US$39.8billion in 2007. The features and background of recent construction boom in Korea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ffluent oil revenue in Middle East and recovering of the worldwide construction market, 2) Transforming of contract project type from civil engineering and architecture based on the simple lower wage to plant project based on hi-technology, 3) Korean companies` aggressive contract award strategy is turning to the desirable trend of contract policy with profit based from non-profit base during the past period. Higher oil price and increasing oil revenue are maintaining strongly the construction boom due to the many projects for plant to develop energy and resources. but, recently environment of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is rapidly changing. Followings are the enhancement plan of international competition power for the Korean overseas construction industry. 1) Revise or amend the government’strategy for the promotion plan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2) Enhance the finance mobilization ability, 3) Prohibition of excessive competition among Korean enterprises, 4) Entry expansion of small and medium sized construction companies. The above suggested strategies will enhance the market diversification and the level of localization, building of the overseas construction industry information system, improving project financing capacity, and supporting small and medium sized construction companies`s efforts of entering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s When government and construction world do their best to make the construction industries reborn as the leading role of korea economy,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will have the global competition power. 2008년은 우리나라 건설산업 61주년이 되는 해이다. 우리나라의 건설산업은 과거 30년 이상 국가경제 발전을 위한 기반 역할을 해왔다. 건설산업은 국가경제 및 국민생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경제발전 속도에 비례하여 더욱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국가경제에 대한 기여도에 반비례하게 건설산업에 대한 이미지는 대기업의 비리를 위한 필수조직, 부실, 부동산투기, 낙후산업 등 주로 부정적인 측면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건설산업의 부정적 이미지를 제거하고 건설산업의 경쟁력 및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으로 해외건설시장으로의 진출이 이미 오래전부터 모색되어 왔다. 국내내수시장과 마찬가지로 해외건설시장으로의 진출은 지난 30년간 꾸준히 이어져오고 있다. 그 와중에 건설산업의 진출국가와 수주분야 및 방식은 끊임없이 변화해왔다. 거시적인 경제관점으로 볼 때 이는 이미 포화상태에 이른 국가 내수시장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해주는 동시에, 해외시장에서의 국가경쟁력 및 국가이미지 제고를 위한 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해외건설시장은 현재 글로벌화가 진행 중이며, 건설시장의 개방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특히 고유가 시대를 맞아 중동국가들의 자국 산업시설을 확충하고 있고, 외환위기 이후 아시아 시장에서의 발주량 증대, 신흥 아시아 개도국들의 투자개발형 공사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2000년 대 이후 우리나라의 해외시장 건설은 중동국가를 중심으로 수주액이 증가하고 있어 해외건설의 증흥기를 맞이하고 있다. 그러나 전문인력 부족으로 인해 제3국의 인력을 이용하는 어려움과, 신흥 아시아 시장에 진출하려는 중소규모 건설업체들의 정보와 자본부족으로 신흥 시장 진출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특히 중동지역에 대한 건설진출이 플랜트 공사 위주로 발주액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갖고 있다. 국제유가의 상승기조는 당분간 지속될 전망이다. 또한 해외건설산업은 발주규모의 대형화, 발주공정의 복합화, 공사기간의 단축, 첨단화ㆍ자본화가 이루어져 기술력과 자본력이 없이는 건설산업이 후퇴할 수밖에 없는 무한경쟁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선진국의 주요 건설업체들은 글로벌기업의 양성과 M&A를 통한 다국적기업화,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등으로 경쟁력을 갖추어 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해외건설시장의 해외진출의 특성을 분석하여 해외 건설시장에 진출 확대를 위한 필요조건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방법으로, 첫째 국가적인 투자 확대의 필요성 언급, 둘째 플랜트 분야에 치중된 공사수주 상황 분석을 통한 다양한 분야로의 확대방안 제시, 수주국의 확대 및 다변화, 그리고 수주규모 및 질적 변화를 위한 부동산 개발 산업으로의 전환투자, 해외펀드의 조성과 확대, 정부정책의 제시 등을 제안하고자 한다.

      • 工事入札制度의 變化가 建設産業 財務構造에 미치는 影響

        김용 전주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건설산업은 토지위에 정착되어 있는 모든 구조물을 창조하는 일련의 생산과정으로 복합적 생산체제를 갖는 종합산업이다. 낮은 기술과 소자본으로 비교적 짧은 기간에 성장하는 반면 장기적인 제품 및 기술의 개선, 인력관리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증대, 호을적인 경영합리화를 통한 기업경쟁력의 제고 없이는 정부정책 및 경기 등의 외부요인에 따라 변화가 심한 산업이다. 우리나라는 회계의 투명성부족으로 1997년 IMF경제위기를 초래했는데 특히 대우나 동아건설 등 건설기업의 재무정보의 신뢰성에 큰 문제점으로 대두되었으며 건설시장의 개방에 대비하기 위한 경쟁력 제고와 각종 규제의 완화정책 등에 의해 건설정책 제도면에서 구조변화가 빠르게 진행되었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건설산업의 외형(수입금액)에 대한 분석내용중 건설업생산추이는 97년 52조 7,955억원에서 2000년 42조 1,956억원으로20.1%가 감소하였으며, 건설수주동향은 97년 79조 9,080억원에서 2000년 60조 1,520억원으로 24,7%가 감소하였으며, 건설투자동향은 97년 100조 6,505억원에서 2000년 81조 8,263억원으로 18,7%가 감소하였고, 일반건설업 평균수주액도 97년 202억원에서 2000년 41억원으로 5배가 감소하여 전반적인 건설산업 경기 및 경영상태는 악화되었다. 둘째, 건설산업중 일반건설업의 경영상태를 보면 부채비율을 98년 437.7 %에서 2000년 310.93%로 126.7%가 감소하여 자기자본구조가 양호해졌고 유동비율은 98년 110.3%에서 2000년 110.82%로 거의 동일하고 매출액순이익율은 98년에 -3.4%에서 2000년 -1.18%로 적자이지만 2.3%증가하였다. 전문건설업의 경영상태를 보면 부채비율은 98년에 비해 최고 77.8%가 줄었고 유동비율은 최고 76.23%가 증가하였으며 매출액순이익율은 전 업종이 2-3%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 셋째, 건설산업의 외형대비 법인세 부담을 살펴보면 99년도 업체별 법인세 신고상황 중에서 건설업의 외형대비 법인세부담를은 0.45%로 제조업보다도 0.36% 적게 부담하였다. '97~2000년도의 지방건설업체의 외형 대비 법인세 부담률은 97년 0,39%, 98년 0.53%, 99년 1.05%, 2000년 1.21%로 매년 증가추세로 특히 98년부터는 제조업보다 높은 법인세를 부담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연도별 건설산업의 분석내용은 97년 이후 건설경기 등은 모든 부분에서 하강국면을 맞이하지만 99년부터 모든 공사입찰에서 사전 적격심사제로 변함에 따라 건설업체에서는 바람직한 구조조정에 의한 건전한 재무상태를 유지하여야 하지만 오히려 공사입찰제도의 변화로 분식 결산 등의 사유로 경영상태가 양호해지고 특히 당기순이익의 증가로 나타나 외형대비 법인세부담이 증가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던 것이다. 마지막으로 건설산업의 투명한 회계와 공정한 공사입찰의 관리를 위한 건설정보관리를 통합할 것을 제안하고자 한다 현재 건설관련 업무는 건설교통부, 업체의 실적정보는 관련 협회, 입찰관련 경영상태평가는 각 발주기관별로 관리하여 인력낭비와 예산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특히 입찰참가자격사전심사와 적격심사에 대한 정보관리를 위한 심사기관을 일원화하고 각 분야별 전문가를 채용하거나 외부전문기관에 의뢰하여 재무상태의 진단을 겸한 투명한 자료를 구축하고 모든 공사발주기관이 정보를 공유함으로서 예산절감과 건설산업의 건전한 경영상태를 가진 업체만이 존속하고 수주할 수 있는 풍토를 만들어야 한다. 또한 디지털시대에 걸맞게 공사입찰공고와 공사입찰은 하나의 입찰사이트로 인터넷에 의해 시행한다면 공정하고 또한 정부와 업체의 인력과 예산을 절감할 것이다. Construction industry is a synthetic one which has complicate productin system. While it comparatively grows up in a short term, it has shown a serious change due to the external cause such as the government a policy and business conditions. In Korea the lack of acconting transparency resulted in IMF crisis in 1997. Especially, it was proved that the imformaition of financial affairs about Dawoo and Donga construction co. etc. has a big trouble in belief. Afterward, in order to prepare for opening of construction market, rethink of competition and the allay of various kinds of restriction made it to be fast the change of system in the part of policy and regulation about construction. the main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thing is to be concerned with the analysis of the income-figure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income was reduced by 20.1% from 52,795.5billion in 1997 to 42,195.6 billion, and the amount of construction orders received was reduced by 24.7% from 79,908 billion in 1997 to 60,152 billion in 2000. The investment in construction industry showed a downward tendency by 18.7% from 100,650.5 billion in 1997 to 81,826.3 billion in 2000, and the amount of average orders received general construction industry was reduced by 5 times from 20.2 billion in 1997 to 4.1 billion in 2001. As a result the business and management conditons of construction got worse. Second, if we look into the management condition of general construction industry, th ratio of liabilities was reduced by 126.7% from 437.7% in 1998 to 310.93% in 2000. After all self-capital system became better. The floating ratio is almost the same from 110.3% in 1998 to 110.82% in 2000. The clear profit ratio of total sales was appeared to be detriment from -3.4% in 1998 to -1.18% in 2000. In the part of the management condition of a special construction industry, the ratio of liabilities got less by maximum 77.8% and the ratio of floating got more increased by maximum 76.23% than one in 1998. the clear profit ratio of total sales was appeared to keep 2~3% through all the types of construction business Third, looking into the charge of corporation-tax about the total sales in construction industry . we knew its ratio was 0.45% in the aspect of the corporation tax declaration in 1999. It was charged less as 0.36% much as one manufacturing industry was th ratio of the charge of corporation tax about the total sales in local construction industry companies was 0.39% in 1997, 0.53% in 1998, 1.05% in1999, 1.21% in 2000. As a result every year it more than manufacturing industry did. After all, the study on construction industry showed that it was faced an downward tendency in all parts from 1997 on. However, according to changing into pre-qualification policy in all construction bidding, the companies of construction industry tried to look like that they had good management conditions, using things such as embellishment financial statement to take part in the bidding.

      • 건설산업을 둘러싼 노동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 건설일용근로자를 중심으로

        박영식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problems about the labor laws applied to constructing daily workers in construction industries and on its matters to be improved related to them. The construction industries have the specialty in obtaining orders, multi-layer subcontract, employment structure and so on. In particular, the lowest bid system in obtaining orders makes the companies have no choice but to employ daily workers and temporary workers. 62.2% of all construction workers are temporary and daily workers, and 63.5% of them are being supplied by foremen(chief workmen) in the construction site, less than 10% of the field workers are the staffs of general construction companies, and it is a special employment structure that more than 90% of them are temporary workers including daily workers who are employed by foreman(chief work man), sub-suppliers. These daily workers can not look for stable working surroundings as they do not work at a fixed area, change the working place several times even a day, and the users directing the duties are often changed. Also, the construction daily workers in civil engineering can not help being unemployed persons because most of the sites are closed(Dec. - Feb.) due to the climate during winter. The study analyzes the working environment of the workers and seeks its countermeasures by the specialty of employment structur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industries. Examining the wage system of construction daily workers, they close verbal or tacit contracts rather than accurate written contracts from the time of employment contract. This contracting system has been continued as a custom at construction sites. Although the contracting system is stipulated by the law, there should be intensive supervision to enforce the law. Because it occurs under the conditions in which the labors themselves can not help connive it. Though they say that they can not supervise too many construction sites one by one from the standpoint of the Department of Labor and Employment, they have to even think to find the its way. The wage payment system is a bigger problem than it. It is a principle for daily workers to get wages for the day every day, but there are cases that they get the wages for a month after three months. The earliest most of the daily workers get wages is after 10 days they worked, the latest is after 60 days, it is called 'The Delayed Disbursement of Wage'. It is typical that full-time employees get the wage for a month before the end of the month. In the wage payment system of daily workers, it is a hard reality that they keep even the minimum standard of living. The study grasps the cases of delayed disbursement of wage and the cause and devises the way of eradicating it. And the construction sites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supply of workforc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the government started to bring in 20,000 people as 'Industrial Technology Trainee System' on April in 1994, as of now, 557,363 migrant workers are working for all the industries by Jan. 2010 as 'General Employment Permit System' and 'Special Employment Permit System'. Among these, it is shown that 82,489 people, 14.8%, of the migrant workers are work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ies. The National Construction Labor Union reports in the survey statistics that about 90,000 migrant workers are working. (Report by the Central Committee of the National Construction Industry Federation, Sep. 2010) The National Construction Labor Union was planning to establish a national migrant workers-oriented organ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migrant workers themselves were making a labor union. They submitted the application to establish it to the Ministry of Employment in April 2005, but it was returned. Then, the union filed the lawsuit for clearing the rejection against application for establishing labor union, won the lawsuit and it is acting legally. Of course, the Supreme Court didn't handed down its decision. And the study checks the reality of illegal migrant workers and analyzes the items of the labor laws in their work relation and checks its countermeasure. In order to check the individual legal status of construction daily worker by the laws related to the employer and employees, the study analyzes the issues of the verbal contract and tacit contract which is a customary in labor contract and that of 'The Improvement of the Employment Act on Construction Workers'. And checks whether the delayed disbursement of wages is rooted out as the joint responsibility for wage bond is made to the right above suplliers by the abolition of the construction participant system in Jan. 1, 2008, and the study analyzes the cause of which the incidents of the late disbursement of wage are still occurring in spite of these, and searches its countermeasure. The study grasps the extent of its users about the issues in the laws related to the employer and employees of collective construction daily workers, and the user character of foremen(chief workman) and a site managers in the labor laws, meanwhile checks the need of composing user organization in the collective bargaining with industrial unions, and analyzes the extent of collective agreements whose conclusion can affect on construction workers and whether the extension of its binding power is possible in the boundary of labor laws. Terms 'Chief Workman' is the meaning of a leader of ten persons, a term being used in construction sites, the study marks the term of a chief workman as "Foreman(Chief Workman)" to aid the understanding of readers. 'The Construction Participant System' was abolished by the revis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Fundamental Law Jan. 1, 2008. It was the system that the subcontract relationship between the specialized constructor of contract or subcontract and construction participants was permitted by the Construction Industry Fundamental Law, and individual, privately owned businesses and construction machinery business and so on without the license for construction business could join in the constructions. 본 논문은 건설산업에서 건설일용근로자들에게 적용되는 노동관련 법률에 대하여 문제점과 그에 관한 개선 사항을 연구하는 것이다. 건설산업은 수주방식 및 중층적 하도급 등의 특수성과 고용구조에서 특수성이 있다. 특히 수주방식에서 최저낙찰방식은 일용근로자나 비정규직근로자를 고용할 수밖에 없는 고용구조를 만들고 있다. 전체건설업 종사자의 62.2%가 일용직인 임시직 근로자이고, 이 근로자 중 63.5%가 반장(십장)들에 의해 건설현장에 공급되고 있으며, 현장근로자 중 원수급인인 일반건설업체의 직원은 10%미만이고 90%이상이 일용근로자를 포함한 비정규직으로 하수급인 반장(십장)의 근로자로 구성된 특수한 고용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일용근로자들은 일정한 지역에서 일하지 않고 하루에도 몇 번씩 근무 장소를 이동하기도 하고 업무를 지시하는 사용자도 수시로 바뀌고 있어, 안정된 근무 환경을 기대 할 수 없다. 또한 토목공사에서 일하는 건설일용근로자는 동절기에는 기후관계로 대부분의 현장이 동절기휴업을(12월~2월)하기 때문에 어쩔 수 없는 실업자가 될 수밖에 없게 된다. 이러한 산업의 특성에 따른 고용구조의 특수성으로 인한 근로자들의 근로환경을 분석하고 그 대책을 찾아본다. 또한 건설일용근로자들의 임금구조를 보면 근로계약을 체결할 당시부터 정확한 서면계약보다는 구두계약 혹은 묵시적으로 근로계약을 체결하게 된다. 이러한 계약방식은 건설현장에서는 관행으로 지속되어지고 있는 것이다. 법으로 계약방식이 규정되어 있지만 근로자 스스로 묵인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을 사용자가 이용하는 것이므로 법을 시행하는데 있어 철저한 감독이 되어야 한다. 고용노동부 입장에서 보면 그 많은 건설현장을 일일이 감시감독 할 수 없다고 하겠지만 방법을 찾을 생각이라도 해 봐야 한다. 이보다 더 큰 문제는 임급지급 방식이다. 일용근로자는 하루 일하고 하루 정산하는 게 원칙이지만 한 달 일하고 석 달 만에 임금을 받는 경우도 있다. 대부분의 일용근로자는 빠르면 10일 이후, 늦으면 60일 이후에 임금을 받게 되는데 이를 ‘유보임금’ 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정규직근로자의 경우 한 달 급여를 그 달이 끝나기 전에 임금을 받는 것이 일반적이다. 일용근로자들의 이러한 임금지급 구조에서는 최저생활을 유지하기에도 어려운 현실이다. 일용근로자들의 유보임금 사례와 원인을 파악하고 근절 방안을 강구한다. 또한 건설현장에서는 인력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정부는 이주근로자를 도입하는 ‘산업기술연수생제도’로 1994년 5월에 2만 명을 도입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일반고용허가제’와 ‘특례고용허가제’로 2010년 2월 현재 전 산업에 취업한 이주근로자는 557,363명으로 이중 건설업에 취업한 이주근로자는 82,489명으로 14.8%로 나타났다. 전국건설노동조합에서 조사한 통계에서는 대략 9만 명 정도로 보고 있다.(2010.9 전국건설산업연맹 중앙위원회 보고자료) 전국건설노동조합은 이들을 조직 대상으로 목표를 세우고 전국적인 조직화 작업을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이주근로자들은 스스로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있다. 2005년 4월 이주근로자들은 노동조합을 결성하고 고용노동부에 설립신고를 하였으나, 설립신고를 반려처분 받고 노조설립신청반려처분취소 소송을 하여 승소하면서 합법적인 노조활동을 하게 되었다. 물론 대법원 판결을 받지 않은 상태이다. 또한 불법이주근로자들의 실상을 알아보고 그들의 근로관계에 있어 노동법적인 사항을 분석하고 대책을 알아본다. 건설일용근로자의 개별적 노사관계법상 법적 지위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근로계약에 있어서 관행으로 되고 있는 구두계약과 묵시적 계약의 문제점과 ‘건설근로자의 고용개선 등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도 분석하고, 2008.1.1 시행되고 있는 시공참여자제도 폐지로 직상수급자 에게도 임금채권의 연대책임 을지우고 있어 체불임금이 근절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그럼에도 아직까지도 체불임금 사건이 발생되고 있는 원인을 분석하고 그 대책을 찾아본다. 건설일용근로자의 집단적 노사관계법상의 문제점에 대하여 그 사용자의 범위는 어디까지인지, 반장(십장)과 현장소장의 사용자성을 노동법상에서 파악하고, 한편 산별노조와 단체교섭에서 사용자단체 구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단체협약의 체결이 건설근로자들에게 미칠 수 있는 단체협약의 적용범위와 구속력 확장이 가능한가를 노조법 범위에서 분석한다. 용어 : ‘십장(什長)’은 열사람의 우두머리라는 의미로서, 건설현장에서 쓰는 용어이지만 일제시대에 ‘노가다’라는 말과 함께 쓰던 용어라는 비판이 있어,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십장이란 용어를 “반장(십장)” 이라고 표기 한다. ‘시공참여자 제도’는 2008.1.1 건설산업기본법 개정으로 폐지 되었음. 건설산업기본법에서 허용하는 건설공사에서의 원도급 또는 하도급 받은 전문건설사업자와 시공참여자의 하도급 관계를 허용하고, 건설업 면허가 없는 개인, 개인사업자, 건설기계 사업자 등을 시공에 참여하는 제도였다.

      • 한국 건설기계산업의 국제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권순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한국 건설기계산업의 국제경쟁력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Korean Construction Heavy Machinery Industry 무역학과 권 순 욱 지도교수 조 한 식 국내 건설기계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하고 있는 대표적인 수출주력 산업으로 중국을 비롯한 개도국의 성장과 FTA 체결이라는 새로운 환경에서 도약의 계기를 마련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건설기계산업의 국제경쟁력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기초로 국제경쟁력 제고방안에 대해 논의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현재 국내 건설기계산업에서 인식하고 있는 내적 역량과 관련된 강점, 약점 요인과 외적 환경과 관련된 기회, 위협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국제경쟁력 우위를 구축하기 위해 지향해야 할 장단기적인 전략의 방향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현황과 관련된 문헌조사 및 전문가 의견조사를 실시하여 국내 건설기계산업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 요인을 도출하였고 국제경쟁력과 관련된 요인들의 전반적인 상대적 중요도를 파악하기 위해 SWOT(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Threat) 분석과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분석을 연계시켜 분석하는 SWOT-AHP 기법을 수행하였다. SWOT 분석과 AHP 분석을 연계한 이러한 방식은 개괄적인 SWOT 분석을 통해 경쟁력 강화방안을 제시하고 있는 기존의 다른 논문 및 보고서와 가장 큰 차이를 보이는 부분이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강점 요인에서는 품질대비 가격경쟁력 우위, 선진국 수준의 조립․생산 기술능력, Mid-Tech에 대한 경쟁력 확보, 고객 요구중심의 기술개발 및 서비스, 리드타임 경쟁력 우위가 도출되었고, 약점 요인에서는 부품업체의 영세성, 자체기술 개발능력 부족, 핵심부품 수입의존도 심화, 브랜드 가치의 약세, 기술인력 부족이 도출되었다. 대외적인 기회 요인에는 신흥개도국 시장의 확장 가능성, 제조원가 등 일본의 국내생산이 어려운 여건 활용, FTA 체결에 따른 시장 확대, 부품공용화를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품질경쟁력 우수 기업인증제도 활용이 도출되었고, 위협 요인에는 선진국 및 후발국과의 경쟁 심화, 내수건설시장의 한계 도래 및 건설경기 악화, 선진국의 기술보호주의 및 무역규제 강화, 중국 정부의 정책적 자국산업 육성, 선진국의 미흡한 경기회복이 도출되었다. 실증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부품업체의 경우 요인별 가중치는 약점요인과 기회요인의 가중치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강점요인, 위협요인의 순서였다. 또한, 개별 요인의 전반적인 가중치는 '신흥개도국 시장의 확장 가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자체기술 개발능력 부족’, ‘선진국 수준의 조립, 생산 기술능력’, ‘부품업체의 영세성’의 순으로 높은 가중치를 보였으며, 반면에 ‘내수건설시장의 한계 도래 및 건설경기 악화’와 ‘선진국의 기술보호주의 및 무역규제 강화’는 매우 낮은 가중치를 보이고 있다. 즉, 부품업체의 경우에는 완성업체에 비해 규모 및 기술 등에 있어 해외의 주요 부품업체에 비해 국제경쟁력이 상당히 낮기 때문에 기술적인 측면에서 자체기술 개발능력, 선진국 수준의 조립, 생산 기술능력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생산규모의 확대도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에 완성업체의 경우에는 요인그룹별로는 강점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위협요인, 약점요인, 기회요인의 순서였으며, 개별 요인의 전반적인 가중치는 강점 요인인 ‘품질대비 가격경쟁력 우위’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역시 강점 요인인 ‘Mid-Tech에 대한 경쟁력 확보’, 약점 요인인 ‘자체기술 개발능력 부족’, 위협 요인인 ‘중국 정부의 정책적 자국산업 육성’의 순서였다. 반면에 기회 요인인 ‘FTA 체결에 따른 시장 확대’와 ‘제조원가 등 일본의 국내생산이 어려운 여건 활용’은 매우 낮은 가중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협회 및 연구원의 경우에는 요인그룹별로는 약점요인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위협요인, 강점요인, 기회요인의 순서였으며, 개별 요인의 전반적인 가중치는 약점 요인인 ‘기술인력 부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역시 약점 요인인 ‘자체기술 개발능력 부족’, ‘핵심부품 수입의존도 심화’, 위협 요인인 ‘선진국의 기술보호주의 및 무역규제 강화’의 순서였다. 반면에 ‘제조원가 등 일본의 국내생산이 어려운 여건 활용’은 가장 낮은 가중치를 나타내었다. 협회 및 연구원의 경우에는 공통적으로 자체의 핵심기술 개발 부족과 관련 기술인력 부족을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결해야 할 중요한 요인들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선진국의 기술보호주의 및 무역규제 강화도 동일한 맥락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협회 및 연구원의 경우는 한국 건설기계산업의 장기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는 측면이 강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부품업체, 완성업체, 협회 및 연구원에서 나타난 개별 요인들의 전반적인 가중치를 단순히 산술평균한 결과를 살펴보면 ‘자체기술 개발능력 부족’, ‘기술인력 부족’, ‘품질대비 가격경쟁력 우위’가 건설기계산업 관련기관 전체로 볼 때 상대적으로 가중치가 높은 요인들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FTA 체결에 따른 시장 확대’와 ‘제조원가 등 일본의 국내생산이 어려운 여건 활용’이 상대적으로 가중치가 낮은 요인들로 나타났다. 또한, 기관별로 가중치가 높은 5가지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자체기술 개발능력 부족’, ‘기술인력 부족’과 ‘중국 정부의 정책적 자국산업 육성’이 공통적으로 주요한 요인들로 제시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앞서 도출된 요인들의 상대적 중요도의 순서에 따라 개별 요인과 연관하여 국제경쟁력 제고방안을 제시하였다. 국내 건설기계산업은 국제경쟁력이 이미 확보된 전자 및 자동차 산업과 달리 세계시장에서 차지하는 점유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부품업체의 영세성과 함께 핵심부품 수입의존도가 큰 산업이다. 이를 극복하고 높은 단계로 도약하기 위해 선진외국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 및 관련 연구소의 유치 등을 통해 보다 높은 핵심역량의 확보가 절실히 요구된다. 주요어 : 건설기계산업, 국제경쟁력, SWOT, AHP, SWOT-AHP

      • 국내 건설산업의 시대적 변천과정분석을 통한 향후 건설시장전망에 관한 연구

        조용근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의 산업은 경제발전과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 하고 있다. 국내 건설산업은 과거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6.25전쟁을 지나 국가 기반시설과 경제 재건을 목표로 발전해왔다.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대규모 개발 사업을 통해 건축부분에 투자금 규모가 확대되었고, 대형 건축사업 등으로 국내 건설업의 기반을 다지게 되었다. 그러나 국내 전체 산업에서 차지하는 건설산업의 비율은 축소되고 있다. 건설산업과 설계산업, CM산업의 활성화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 모색을 위해 발전과정과 정책 동향의 파악, 미래 전망의 도출로 이어지는 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설, 설계, CM산업 시장을 구축기(1978 ~ 1988년), 1차 성장기(1989 ~ 1997년), 1차 침체기(1998 ~ 1999년), 2차 성장기(2000 ~ 2007년), 2차 침체기(2008 ~ 2013), 현재(2014 ~ 현재)로 구분하고, 각 구분된 시기별로 건설, 설계, CM산업 시장에 관한 변천과정과 정책 동향을 조사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국내현황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전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축기(1978년 ~ 1988년)에는 건설산업이 국가 주요산업으로 부상하였고, 유동성과잉에 따른 아파트 가격 급등으로 부동산 투기 억제정책과 부동산 안정정책이 주를 이루었다. 건설수주가 매우 안정적으로 증가하면서 건설산업의 기초를 닦아 세우게 되는 시기이다. 1차 성장기(1989년 ~ 1997년)에는 건설경기의 지속적인 호황에 따른 주택 안정정책을 시행되었으며, 해외 건설습득기술과 장비․인력의 국내 반입으로 대형국책사업 수행이 가능해져 시장 개방과 함께 건설산업이 성장기를 맞이하게 되는 시기이다. 1차 침체기(1998년 ~ 1999년)에는 외환 위기가 발생하며 주택건설업체의 대량부도와 구조조정이 발생한다. 경기 침체 극복을 위한 저금리 정책과 주택경기 활성화 대책이 시행되었다. 2차 성장기(2000년 ~ 2007년)는 세계적인 저금리 기조의 영향으로 주택산업 계약실적이 증가하게 되며, 외환위기의 교훈으로 건설업체의 재무구조가 개선되는 시기이다. 저금리정책의 지속과 부동산 시장 규제완화 정책을 시행함과 동시에 재개발 열풍과 부동산 가격 폭등으로 인한 부동산 규제 정책, 공급관리 정책을 추진하였다. 2차 침체기(2008년 ~ 2013년) 글로벌 금융위기가 찾아오게 되어 주택시장이 크게 위축된다. 대형 주택건설업체가 자금난을 겪게 되고 건설사들은 공격적인 매출액을 설정한다. 발전기(2014년 ~ 현재)는 국내 건설업체가 해외수주 실적 증가를 통해 2015년 이후 2년 연속 건설 수주가 호조세에 힘입어 역대 최고치를 경신하게 된다. 하지만 2017년 140조원으로 감소세가 지속되고 있다. 투자활성화 대책과 빅데이터를 이용한 건설사업의 효율성 제고와 건설안전 사고 저감방안. 인프라 활성화 대책, 시공 책임형 건설사업관리제도 도입과 정부 차원의 건설기술 제도 개선방안의 연구가 필요하다. In this study, the future construction market is predict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blem factors originated from domestic construction, design, CM demand, and the policy changes in the last 40 years. I analyze the changes in the construction, design and CM order patterns, examine the impact of the domestic economic downturn on the domestic construction order market, analyze the factors that impacted the market changes due to policy changes in order to present the application and practicality of the application of the 4th industry based technology. In this study, i differentiate as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design and CM industry market’s establishment period (1978 ~ 1988), the first growth period (1989 ~ 1997), the first stagnation period (1998 ~ 1999), the second growth period (2000 ~ 2007), and the second stagnation period, (2008 ~ 2013), and the current development period (2014 ~ present), and investigate the transition process and policy trends in the construction, design, and CM industry market by each segmented period. Through this process, we will analyze the domestic situation objectively and present future prospects. During the establishment period (1978 ~ 1988), the construction industry emerged as a major industry in the construction sector, and real estate stabilization policies and real estate speculation suppression policies were dominant due to surging apartment prices due to excess liquidity. It was a time to lay the foundation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with a steady increase in construction orders. During the first growing period (1989 ~ 1997), the housing stabilization policy was implemented in response to the boom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With the acquisition of overseas construction technology and the import of equipment and human resources, this helped the open and growth of the market. During the first stagnation period (1998 ~ 1999), the foreign exchange crisis caused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massive defaults and restructuring. The low interest rate policy and measures to revitalize the housing economy were implemented to overcome the recession. In the second growing period (2000-2007), the housing industry contracts has increased due to the global low interest rate trend, and the financial structure of construction companies has improved with lessons learned from the foreign exchange crisis. We implemented the policy of low interest rate policy and the deregulation of the real estate market, as well as real estate regulation policy and supply management policy due to redevelopment craze and surge in real estate prices. During the second stagnation period (2008 ~ 2013), the housing market has shrunk due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Large housing construction companies faced financial difficulties and construction companies set aggressive sales. The current development period (2014 ~ current) has set the highest record of overseas orders after the year 2015 due to concrete construction orders. However, the figure has steadily been dropping to 140 trillion won from the year 2017. The construction investment in the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is 287 trillion won as of 2017, and the number of employed is 1.99 million, accounting for 16.6% of the total domestic production, as well as for 7.5% of total domestic employment. However, the domestic construction industry is overly concentrated in the housing market, which is unlikely to continue to grow due to market limitations in the housing market. There are concerns mounting over the loss of a trillion won of overseas construction industry from 2013 to 2015. Korea has excellent IT infrastructure and ICT technology that can utilize the new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e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digitized throug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roductivity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will increase dramatically to the manufacturing industry level. As a result, the productivity gap will be linked to the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and the enterprise. Various start-up companies will transform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many areas, such as field management, machinery, equipment or construction materials, and many new businesses will be created in this process. Ultimately, the construction industry will be determined by how it utilizes and develops the digital technology innova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refore,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study and consider the importance of improving the infrastructure, the introduction of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system, and the improvement plan of construction technical system supported by the government which would eventually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nstruction projects and reduce the accidents.

      • 화공플랜트 건설산업의 경쟁력 강화방안에 관한 연구

        이광일 全南大學校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해외 화공플랜트 건설산업은 주문자 생산방식으로 발주방식이 변화되고 과거와 달리 국제금융 시장에 대한 전문기술 활용능력과 사업관리 전문기술이 중시되어 무한 가격경쟁의 입찰방식이 전개되고 있는데 해외건설산업에서 발주되는 건설공사는 규모나 상징성이 크기 때문에 건설기업들만이 아닌 국가적인 관심을 불러 일으키는 경우가 많아 해외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인간관계, 문화, 언어능력 등 글로벌 기반 지식을 배양하고 활용하는 것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또한 중동 및 동남아 지역에 편중된 우리나라 기업들은 상품별, 지역별 시장 다변화를 고려하여 현재의 글로벌 경영체계와 세계 건설시장의 불확실성 시대에 있어서 기업의 생존과 직결되는 사업에 대한 포트폴리오 전략을 수립하여야 하며, 아울러 국가와 산업의 마케팅 전략은 중장기적으로 자국 건설기업들의 해외시장 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요소라고 할 수 있겠다. 최근 국제유가 상승으로 산유국 및 다국적기업들의 유전, 가스전 개발이 급증하면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2008년 해외수주를 분석하여 보면 석유화학, 정유, 가스 등 화공플랜트 비중이 과반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유가하락을 유도하여 화공플랜트 수주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인 것으로 판단되나 금융위기 진행 정도에 따라서 해외화공플랜트 수주가 급격히 위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으며, 국내기업들의 입지가 좁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중동지역에서는 원자재 가격 및 인건비 하락에 맞춰 프로젝트 발주를 재개할 것으로 예상되고 아프리카와 러시아 및 CIS지역 가스플랜트가 발주될 것으로 예측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기업들이 선진기업에 비해 공정기술 및 기본설계 기술경쟁력이 떨어져 GTL플랜트와 같이 최근 경제성이 부각되나 선진기업들이 독점하고 있는 가스플랜트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하여야 하고, 가격 경쟁력을 갖춘 중국, 터키 등 후발 기업들과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어 우리나라 화공플랜트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방안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화공플랜트 건설산업에서 우리나라 기업들의 국제 경쟁력 강화방안을 강구하기 위하여 주요 글로벌 기업들의 동향과 글로벌 경영전략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기업들의 내부 환경요인과 외부 환경요인을 도출하여 SWOT 분석을 실시 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기초설계 및 상세설계 기술 개발, 글로벌 구매 전략 수립 및 플랜트 건설에서 전략적 공사 수행방안을 수립하여 설계, 구매, 공사 등 각 부문에서 화공플랜트 건설산업에서의 경쟁우위 전략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 따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기업들이 강점을 지니고 있는 상세설계 능력을 바탕으로 기본설계 분야에서도 글로벌 기업들과의 격차를 좁히기 위해 공정기술 개발에 주력하여 에너지 시장에 새로운 연료를 공급하려는 움직임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정유, 가스, 석유화학 등 각 분야별 중장기 설계 기술개발 로드맵을 설정하여 GTL 등 미개척 분야에 글로벌 기업과 협업으로 진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우리기업들이 가장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정유 분야에서는 중질유 분해 및 탈황설비 기술개발을 강화하여 장기적으로는 독자적인 라이센스를 확보하는 등 기술독립을 고려하여야 한다. 둘째, 화공플랜트 공사에 있어 총 공사비의 50~60%를 차지하는 기자재 구매 조달의 업무는 프로젝트의 품질 및 납기를 크게 좌우하는 요인으로 기업의 이윤 확보와 프로젝트 성패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구매관리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구매전략 수립, 구매기획 기능을 강화하고 구매인력 양성과 운영 시스템을 구축하여 중장기적으로 기본 설계를 포함하는 턴키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공급업체를 육성하고 낙후된 기자재 산업의 경쟁력을 제고하는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글로벌 기업들과의 경쟁에서 다른 어느 분야보다 경쟁력이 있는 공사부문 에서의 국제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철저한 시공계획 관리, 컨스트럭터빌리티 극대화, Modularization 공법의 적극 도입과 IT 기술을 활용한 공사정보관리 시스템을 접목하여 중동, 아프리카 오지 및 극한지대 등에서 글로벌 기업과 후발 업체들이 넘볼 수 없도록 더욱 격차를 넓혀야 한다. 또한 사업초기 기획 및 설계 단계 에서부터 시공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여 공사품질을 확보하고 시운전 공정계획에 따라 시공의 우선순위가 확보되어 사업을 마무리하는 시운전을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체역량을 키워야 한다. It is recognized that overseas plant construction industry has becoming more competitive unprecedentedly as mostly seen in lowest bidder systems, being increasingly responsive to its clients on its contract method and laying increased stress on the expertise and knowledge of business management and of the international financial market. Since an interest in a construction business involving overseas construction entities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but the country as a whole for its symbolic significance and scale, understanding on human relations and different culture and languages is now indispensable to thrive in the overseas construction market. In addition, Korean companies targeting mostly the Middle East and Southeast Asia should consider possible market changes by products and regions to establish portfolio strategies against the global construction market era and uncertainly in it. The portfolio strategies which are closely linked with the survival of business coupled with the marketing strategies bear a huge influence in the competitiveness of domestic companies out in the global market in mid-and long-term. Given that recent hikes in oil prices increased oil and gas field explorations of oil-producing countries and multi-national companies, chemical engineering such as petrochemical, refining, gas plants accounted for more than half of overseas contracts of Korean companies in 2008. Although it is unlikely that the global financial crisis will decrease oil prices and influence plant construction industry, the pace of recession is still unpredictable, leaving rooms for contracting the overseas plant construction industry and weakening Korean companies’ competitiveness. Project orders from the Middle East will soon emerge with lower raw material and labor cost while some African countries, Russia, and CIS countries are expected to place orders for gas plant construction. Still, compared to leading companies in the industry, Korean companies are less competitive in process technology and basic engineering technology, which gives them an opportunity to learn from other gas plants like GTL plant monopolized by advanced companies. Further, competitive prices expect fierce competition. Therefore, the competitiveness in technology and price is what Korean companies need more than ever before. In order to study how Korean companies can strengthen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in the chemical engineering plant construction market, this analyzes major industry leaders and their global business skills, identifies internal and external environment of Korean companies, and performs SWOT analysis. Based on the findings, strategic construction method is developed in basic and detail engineering technologies and global procurement strategies to provide competitive edge in engineering, procurement, and construction in the chemical engineering plant construction market. The above mentioned study produces major findings as follows. First, Korean companies should make best use of its strength in detail engineering to minimize the gap in basic engineering between industry leaders. To this end, process technology should be developed further so that Korean companies can cope with the emerging demand in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Mid-and long term engineering technology development roadmap should be set in petrochemical, gas, and refining sectors to collaborate with advanced companies should strengthen its base and gain a license in their most competitiveness, namely refining sectors by developing further technologies in heavy oil upgrading and sulfur recovery facilities. Second, as equipment and material procurement is an important factor in deciding quality and delivery of a project by a project by accounting 50~60% of total construction cost, the procurement skill should be guaranteed for the company’s profits and success of the project. A company should establish its procurement strategy, plan better, and nurture its procurement staff to make contract on turn-key basis which includes basic engineering. Suppliers to the company should be nurtured as well and outdated equipment industry needs to improve its competitiveness. Lastly, Korean companies’ biggest competitiveness lies construction sector compared to even industry leaders. In order to reinforce the competitiveness in the Middle East, Africa and arctic regions and excel advanced companies and late-comers, several efforts should follow: plan construction phase thoroughly, maximize constructability, implement modularization method, and utilize computer-based system for construction information management. In addition, construction quality should be secured in early stages such as business planning phase and engineering phase. Considering pre-commissioning schedule in advance will bring competency in a company to decide construction priorities in a timely manner and to guarantee successful pre-commissio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