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 사의 플랜트현장 설문조사를 통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개선 연구

        김진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 목 : 일 사 플랜트건설현장의 설문조사를 통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개선 연구 최근 고용노동부에서는 건설업 산업재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체계적인 안전보건교육의 기회를 건설업 근로자에게 제공하는 기초안전보건교육 제도를 도입하여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초안전보건교육은 시범사업을 실시한 이후 이에 대한 분석결과 교육의 성과가 어느 정도 있다고 판단하고 동 교육의 내실화와 질적 수준 향상을 위하여 건설업 근로자들을 위한 기초안전보건교육제도를 제도적으로 도입, 현재 실시하고 있는 기초안전보건교육을 플랜트 건설업체 관계자와 플랜트 현장의 교육이수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하여 기초안전보건교육의 만족도 및 효과를 파악하여 그 결과에 따라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제도의 정착에 도움이 되고자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국내건설사 중 1개 대형건설회사에 대해 1,000억 원 이상의 플랜트 공사를 수행하고 있는 현장 5개소를 방문하여 건설업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한 근로자 437명과 이수자를 고용한 건설관계자 64명을 대상으로 건설업기초안전보건교육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Excel과 SPSS 15.0(ver.)을 이용하였으며, 구체적으로 적용된 분석방법은 변수 및 요인에 대하여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Analysis)과 요인들간의 상관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고, 변수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서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 교육이수 근로자의 기초안전보건교육의 교육서비스(강사, 교재, 강의실 등)와 교육만족도(의식수준, 지식, 태도)는 전체적으로 “만족한다”이상으로 나타났다. 다만 각 문항에서 몇 개의 특정 전문 공종은 “보통”의 만족도를 나타내었다. 건설관계자의 교육이수 근로자에 대한 만족도에서도 “만족한다”이상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보수교육주기에 대하여 2년, 3년이 61%, 적정 보수교육시간은 2시간이 53%로 나타났다. 플랜트 건설업에서의 기초안전보건교육 실시는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결과로 나타났다. 그러나 몇 개의 특정 직종에서는 만족도가 다소 낮게 나타나 기초안전보건교육의 세분화된 직종별 교육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현재까지 보수교육의 의무는 없지만 향후 일정기간의 보수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여지며, 교육주기와 적정시간에 대하여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를 잘 활용한다면 교육효과와 안전활동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그리고 향후 단계적으로 시행해야 할 중·소규모의 건설현장에 대한 적응을 위하여 더욱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lant Construction for Basic Safety and Health Training through Questionnaires Kim, Jin Joon (Supervised by Yi, Young-seop) Dept. of Safety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Industry and Engineer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This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satisfaction and effect of the current basic safety and health training through questionnaires distributed to plant construction sites and workers who have completed training at plant site, and help to establish the institution of building industry basic safety and health training according to the findings. 437 workers who have completed the building industry basic safety and health training and 64 building practitioners who employ them were surveyed about the training, and the findings were analyzed by visiting 5 sites in which the plant construction which would cost over 100 billion won is being implemented, under one large construction firm among construction firms in Korea. In analysis, Excel and SPSS 15.0(ver.) were used, specifically, the descriptive analysis of variables and factors and correlation, the analysis for understanding of correlation among factors and the cross analysis for grasping the relations of variables were implemented,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raining service (instructor, teaching materials, lecture room, etc) and training satisfaction (consciousness level, knowledge, attitude) of the basic safety and health training seemed to be beyond the 'satisfied' level in general. But some specific kinds of construction tasks in each questions showed the 'moderate' level. The construction practitioners' satisfaction for the workers who have completed the training was also over the 'satisfied' level. And it was found that 2 and 3 years were 61%, for the frequency of in-service training, and 2 hours were 53% for the duration of in-service training. The result of the basic safety and health training in plant construction company seems to be entirely affirmative. However, since some specific jobs were somewhat less satisfied, the training should be implemented according to more segmented jobs. The in-service training is not yet compulsory but the training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would be necessary in the future. In addition, the frequency and adequate time of training are considered to be reviewed. Through these processes, the training effects and the level of activity for safety are expected to be enhanced. And more and more researches would have to be conducted for the application of it to be gradually conducted hereafter, to medium and small construction sites.

      •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황윤호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는 고도의 산업 사회화와 지식화, 정보화와 다양화를 향하여 발전하는 사회이다. 우리 나라의 교육이 이에 대응한 고급 인력 양성과 새로운 첨단 과학 기술 분야에서의 경쟁 추세에서 낙후되지 않고 선도적 위치를 유지해 나가기 위해서는 학교에서 인력양성과 교육을 직접 담당하고 있는 교사의 질이 사회의 질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고등교육의 육성에 있어서 특수대학원의 일종으로서의 교육대학원은 실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하겠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을 설치한 6개 교육 대학원을 중심으로 설립의 기준이 되는 목적을 조사 비교하였으며, 교육 대학원의 기능과 역사적인 발달과정을 알아보고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의 교과과정에 있어서 바람직한 개선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이러한 조사를 토대로 각 교육대학원별 학사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설정 교과목을 분석하여 건설교육의 일반적 흐름과 과정의 특성, 그리고 교과목과 학점의 비교·분석 및 중등 공업계 전문교과과정과의 비교·분석을 통하여 교육대학원 건설교육전공 교과과정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이 보다 미래지향적인가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목적 및 성격규정에 대한 별도의 법적 조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대학원 교육의 비효율성을 초래하므로 이에 대한 법적 근거 마련이 시급하다. 둘째, 교과과목 편제가 지나치게 세분화되어 전문성을 강조하기 보다는 복잡해 보였으며, 많은 교과목을 편제하고서도 학기당 학점을 초과해서 이수 할 수 없는 법규 때문에 획일적이고 폐쇄적인 운영상의 문제점이라 지적할 수 있다. 셋째, 교육대학원의 특징을 살릴 수 있는 교과교육학 과목의 개발을 위해 다각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하겠다. 건설교사 내지는 건설교육전문가를 양성하는 전문기관으로서 교육현장의 문제점 발견 및 해결방안 제시, 새로운 지도방법 개발, 교사의 기능향상을 위한 방향으로 교과과정이 편성·운영되도록 개방적이고 지속적인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넷째, 중등공업계의 현장교육 위주의 실제문제 해결능력 함양을 목적으로 하는 교과목 개설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건설교육의 전공과목에 있어서 실험·실습분야도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교육대학원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편성·운영되도록 노력을 보여주어야 하겠다. 본 연구 결과 교육대학원의 특성에 맞는 건설교육을 통해 보다 효과적인 교육을 이룩할 수 있듯이 교육대학원별 특성을 최대한 고려한 건설교육 교과과정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Modern society is developing towards a highly advanced industrial and knowledge based society, as well as information society and diversification. In order to keep the competitive leading status of Korean education for high quality human powers and scientific technologies, the quality of teachers, who are responsible for cultivating human forces and educ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ich determines the quality of a society. The special purpose of graduate schools does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se high-class educations. In this aspect, the basis of establishing graduate schools were investigated and compared, focusing on 6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hich have constructional education curriculums. The functions and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s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surveyed, and methods for improving these curriculums were studied. Based on this investigation, the present status of each educational school and its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curriculum subjects were compar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general tendency and curriculum feature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nd to suggest the future direction of constructional education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outlined below. Firstly, legal basis was necessary because there is an inefficiency and the purpose, and character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were not supported by legal basis. Secondly, the curriculum was too detailed to focus on any specialty. The legal regulation, which did not permit additional subjects exceeding a fixed number of credit hours for each semester induced a standardized and closed operation. Thirdly, it was necessary to do a variety of research to develop curriculum for pedagogies. As a special organization to cultivate educational experts in construction, there should be open and continuous efforts to make and operate curriculum to discover deficiencies and their solutions, to develop new tutoring methods, and to elevate the functionality of teachers. Fourthly, there was no subject to elevate the problem solving capacity focusing on field education in middle class industrial fields. Therefore, the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had better try to establish and operate to develop experiments and exercises as major subjects of constructional education. As more efficient education was possible via constructional education proper to the features of educational graduate schools, it was necessary to establish curriculums for constructional education, considering the features of each educational school.

      • 하이브리드 러닝 기반의 건설시공교육 적용성 연구

        윤원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Since the construction planning basically involves the risk of unexpected situations or accidents, such as various changes in the external environment etc,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eld, so that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educate a complex knowledge-understanding and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 In particular, universities have pointed out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lecture methods that educate learners through text-based theories. Also, the necessity of practical problem-solving education based on constructivism such as problem - based learning (PBL) which can bring balance between theory and practical education educational demands-centere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industry has been raised. This study, therefore, suggests method to apply a learner-centered construction planning course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ion field and the situational context as a viewpoint of practical applicability. This course is a hybrid learning-based process of education that combines diverse instructional methodologies that enable learners to experience basic knowledge and functions to be learned in college through a cognitive situation similar to problems that they can experience in construction field. Construction planning requires complex consideration of the given field conditions, circumstances and influence factors to them, based on design,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concepts and theories. In this way, a construction plan optimized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ject is established, and a knowledge structure in which information and document data provided from various construction participants are employed is utilized to perform a single activity. In this study, the curriculum criteria to apply authentic tasks and contextual learning of theoretical knowledge by using situational context-based construction scenario information in the knowledge-based environments were set. Here, the scenario is the temporal and spatial information on the execution of the construction work, and it is embodied as the problem situation and influence factors that can occur in the future. The top-level structure of the stage model that constitutes the curriculum, as the flipped learning model, comprises online-based ‘pre-learning’ which is the objective of the individual's subjective learning and 'class learning' which performs collaborative problem-solving to modify and reinforce meaning through experience of social interaction based on the contextual concept and theory attained from the course. The flipped learning, situated learning and goal-based scenario(GBS) and existing concept for learning of constructivism are used as the educational components of the three categories of 'task', 'context', and 'culture' in the situated learning environment which is the underlying theory of this study. This was reflected in the details of step and instructional design strategies. In order to verify learner-centered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se design strategies, while ‘foundation work’, which is largely dealt with in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in universities, is selected as a case. also a learning environment prototype to support learning contents and activities was designed and, which was applied to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 practical knowledge level improved by about 24%, the satisfaction of instructional method improved by about 14% and the degree of staying in long-term memory is improved by about 9% higher than the traditional instructional method and learning activity. In addition, the impacts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e problem-solving skills' and 'collaboration and communicating skills' of construction planning engineer is expected to have a high impact of at least 70 ~ 90%. This study, under the recent study of learning by doing, suggested that the active learning activity of the learner based on the practical contextual knowledge be able to contribute development of creative thinking-based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capacity for the application field named as construction planning. Especially, in the integrated point of view of the diverse experiential education methods, the new convergence-based instructional strategies through fusion of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y, flipped learning and situational learning is a very effective way to organize learning activities through conjunction with cognitive experience and authentic activity. 건설시공은 기본적으로 현장 특성에 따라 다양한 외부환경 변화 등 예기치 못한 상황이나 사고의 위험을 내포하고 있기 때문에 복합적인 지식 이해 및 창의적인 문제해결 역량을 교육해야할 필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특히, 대학에서는 텍스트를 기반의 이론을 통해 학습자를 시키는 전통적인 강의 방식에 대해 한계를 지적하고 있으며, 산업계 교육 수요 중심의 이론과 실무 교육이 균형을 가져올 수 있는 문제중심학습(PBL)과 같은 구성주의기반의 실제적 문제해결 교육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건설현장의 특성과 실무 적용성에 대한 관점으로서 상황맥락(situational context)을 고려한 학습자 중심의 건설시공교육 과정을 적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이 과정은 학습자가 대학에서 학습하게 되는 시공분야 기본 지식과 기능들을 현장에서 직접 경험할 수 있는 문제들과 유사한 인지적 상황을 통해 경험해볼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교육 방법론들을 융합한 하이브리드 러닝 기반의 교육 과정으로 구성되었다. 건설시공은 설계·엔지니어링 및 시공 개념과 이론들을 기반으로 주어진 현장 여건과 상황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의 복합적인 고려를 필요로 한다. 이를 통해 사업특성에 최적화된 공사수행 계획을 수립하게 되며, 하나의 공정의 수행을 위해 다양한 참여자들로부터 제공되는 정보와 문서 자료들을 활용한 지식 구조가 활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지식기반 환경에서 상황중심의 건설 시나리오 정보 활용을 통해 이론 지식의 맥락적 학습과 실제적 과제에 적용해보는 교육 과정 기준이 설정되었다. 여기서 시나리오는 건설 업무수행상의 시·공간적 정보이자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문제상황 및 영향요인으로 구체화하였다. 교육 과정을 구성하는 단계 모델의 최상위 구조는 플립 러닝(flipped learning) 모델로 개인의 주관적 학습이 목적인 온라인 기반의 ‘사전학습’과 이러한 과정을 통해 습득한 맥락적 개념과 이론 지식에 기반하여 사회적 상호작용 경험을 통해 의미를 수정·강화하기 위한 협력적 문제해결을 수행하는 ‘강의실학습’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핵심방법론인 플립러닝, 상황학습 및 목표기반시나리오(GBS)와 기존 구성주의 학습개념들을 본 연구의 기저이론이 되는 상황학습 환경에서의 ‘과제’, ‘맥락’, ‘문화’의 세 가지 범주로 교육 구성요소로 설정하였다. 이는 교육 과정 세부단계 구조 및 설계 전략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설계 전략을 기반으로 학습자 중심 학습성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 대학 교육내용에서도 많이 다뤄지고 있는 ‘기초공’이 사례로 선정되었으며, 학습내용과 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학습 환경 프로토타입을 설계하여 학생들에게 적용되었다. 본 교육 실험결과 전통적 수업방식 및 학습활동에 비해 실무기반 지식수준이 약 24%, 강의방식 만족도가 약 14%, 지식의 장기기억에 남는 정도가 9%정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건설시공 엔지니어의 '창의적 문제해결력'과 '협업, 의사소통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모두 최소 70~90%이상의 높은 영향력이 기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의 실천적 학습(learning by doing) 배경하에 건설시공이라는 응용분야를 대상으로 실무관점의 맥락적 지식에 기반한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활동이 창의적 사고에 기반한 문제해결 및 의사소통 역량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특히, 다양한 경험적 교육 방식들의 통합관점에서 구성주의 학습이론과 플립 러닝 및 상황학습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교육 전략은 인지적 경험과 실제적 활동 연계로 학습활동을 구성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 일용 건설 근로자를 위한 온라인 안전교육 지원시스템 개발 및 활용방안

        김대호 中央大學校 建設大學院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재 건설현장의 법정 안전교육은 대부분 건설현장에서는 법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충족하는데 급급한 실정으며 특히, 중소 건설사업장의 경우 교육장, 전문 강사, 교육시설 등의 불충분 문제와 사업주와 근로자의 무관심 등으로 교육이 제대로 시행되고 있지 않고 있어 안전교육의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건설현장의 법정안전교육과 관련하여 사업장 자체안전교육, 기초안전보건교육, 이러닝(e-learning) 안전교육의 실태 조사를 통해 현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법정 안전교육의 실태파악을 통하여 안전교육내용 및 교육실태에 대한문제점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일용근로자 안전교육시 온라인기반의 건설안전교육 지원 시스템 개발 및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러닝(e-learning) 교육기관에서 일용근로자의 신규채용자 교육실시로 다양한 교육운영 체제 구축이 필요하다. 이제는 기초안전보건교육기관 및 안전교육 법정직무교육기관의 건설현장의 특성에 맞추어 다양한 안전콘텐츠의 개발을 제안한다. 산업안전보건법 제33조 1항의 근로자 안전교육의 관리감독자교육, 신규채용자교육, 정기안전교육 및 특별안전교육등의 교육시 법정교육시간을 이수 하여야 하며, 해당현장 실정에 맞도록 맞춤식 교육이 필요하다. 현장 상황을 고려하지 않은 일률적인 안전교육을 실시한다. 이런 교육 상황들이 안전콘텐츠의 부실을 불러온다. 근로자 법정 안전교육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일용근로자 이러닝 안전교육 실시 및 사업장의 특성이나 근로자의 작업공정에 맞는 영상교육, 체험교육, 해당공종별 재해사례등의 맞춤형 교육자료로 안전교육을 할 수 있는 안전교육 지원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상기에서 개선방안으로 제시한 바와 같이 근로자의 법적안전교육을 개선한다면 해당 공정의 위험성평가를 병행 할때, 유해위험요인에 따른 안전교육 지원시스템의 활용도는 매우 높을 것이며, 일용근로자의 건설재해 발생 감소에 대해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urrently legally-required safety training on construction sites are mostly perfunctory, barely meeting legal standards. Especially on small-to-medium-sized construction sites, due to the lack of training space, professional instructor and training facilities as well as interest from construction workers, proper training is difficult to find; this undermines the desired effect of safety train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ty issues with the current practice of legally-required safety training at construction sites in Korea through a survey of safety training at construction sites, basic health and safety training and e-learning system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reality of safety training, the causes of problems both in the contents and practice of training will be examined to offer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online-based construction safety training support system for day-to-day construction workers.     A diverse training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s e-learning institutions provide training for new recruits. Now, diverse safety contents should be developed to serve various characteristics of basic health and safety training institutions and legally-required vocational safety training centers which serve different construction sites. As per Clause 1, Article 33 of Industrial Health and Safety Act, legally-required number of hours for supervisor training, new recruit training, regular safety training and special safety training should be met; tailored training is also required to serve the particular needs of the site. Singular training, insensitive to the needs of the site, results in substandard safety contents.    To address these issues in legally-required safety training for workers, e-learning for safety training for day-to-day workers, visual training tailored to the nature of site and the working process, experience-based training, tailored educational contents showing case studies in each category should be developed to offer a safety training support system.    Such improvement in legally-required safety training for workers, along with risk assessment for work process, the use of safety training support system will increase for each risk factor. As a result, a reduction in construction accidents among day-to-day construction worker can be expected.

      • 건설현장 근로자 기초안전·보건교육 개선에 관한 연구

        신재권 경기대학교 건설·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a domestic industrial accidents occurring each year in a construction site construction industry, basic health and safety education legislation in order to prevent the government and daily workers. Requiring for the completion of their education. A day worker is currently working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order to construction industry, which ended in health and safety training and education but a one-time basis and thus be considered. The construction industry because basic health and safety edu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passing of time the first time after day worker's health and safety is compromised, such as construction industry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undation. And be a problem for effectiveness. Therefore, the construction industry safe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a period of time after receiving basic health and safety training, analyze and assess the construction industry, according to his day worker safety awareness levels. I wish to study the second re-education is appointed and a time when lower time. Adequate retraining periods to study the basic evaluation and survey (basic construction industry, basic awareness education, health and safety survey) conducted (test), and basic evaluation of (test).The problem is a total of 20 problems with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Corp. distribution that resulted from and survey from materials that were used in the value of the basic evaluation scores. Using SPSS Statistics 12 Program t -test to analysis. Safety and health education foundation construction industry by the results of the basic evaluation first who have completed a day worker's safety awareness “more than a year to less than two years,” and " we look at the state two years." showed a significant level by the score differences happen a lot less than three years to more than second re-education, and time frame between completion of education and the first time period be carried out in the previous two years. Day worker's construction industry safety awareness will stay above the level of food. The next day worker's construction sector based on secondary education really laying down the time of day worker's sense of security and further utilization a construction site to raise the status of contributions to disaster prevention. I hope you can do. 본 연구는 국내 건설현장에서 매년 발생하는 산업재해자를 예방하기 위하여 정부에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입법 제정하였으며 일용근로자를 대상으로 교육을 실시 이수토록 하였다. 현재 일용근로자가 건설업에 작업하기 위하여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하고 있으나 1회성 교육으로 끝나는 것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으며 그로 인하여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최초 받은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일용근로자의 안전관련 지식 이해도 상태가 저하되는 등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의 실효성에 대한 문제가 발생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이수 받은 후 일정 기간에 따른 안전관련 지식 이해도를 평가분석하고, 그에 따른 건설업 일용근로자 안전관련 지식의 이해도 관련평가 점수 차이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시점을 정하여 2차 재교육 시기 선정 등 개선방안을 연구하고자 한다. 적정한 2차 재교육 시기를 연구하기 위해 설문 조사(기본적 사항,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 인식 조사) 및 기본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기본평가의 문제는 총 20 문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기존 연구 및 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배포 사용 중인 교재를 바탕으로 자체적으로 도출하여 출제하였으며, 설문 조사 결과에서 나온 기본평가 점수 값을 ‘SPSS(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12 Program’을 이용하여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기본평가의 결과 값에 의하여 건설업 기초안전·보건교육을 최초 이수한 일용근로자의 안전관련 지식 이해도 평가 평균 점수를 살펴보면 ‘1년 이상 ∼ 2년 미만’과 ‘2년 이상∼ 3년 미만’ 평균 점수 차이가 가장 크게 발생하여 t-검정 결과 값이 유의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2차 재교육 시기를 최초 교육 이수 후 경과 기간이 2년 이전에 실시하여 건설업 일용근로자의 안전관련 지식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이를 바탕으로 건설업 일용근로자의 2차 교육 시기를 정하는데 있어 충분하게 활용되어 일용근로자의 안전관련 지식을 지속적으로 습득토록 하여 안전의식 수준을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불안전한 행동이 유발되지 않아 건설현장에서 발생될 수 있는 산업재해 예방에 기여 할 수 있기를 바란다.

      • 포스트 코로나 건설현장 안전보건교육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방윤수 인천대학교 공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COVID-19 pandemic is having enormous impacts on all areas including society, economy and culture, and the entire mankind is facing a new era defined as "post-COVID." In South Korea, there are endless damage cases caused by COVID-19 mass infection at construction sites, where efforts are made to prevent COVID-19 cases such as reinforcing preventive measures and hygiene management in the field and minimizing face-to-face contacts among workers. There were many changes especially to the management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cluding the reduction of educational staff. As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s neglected at construction sites, there are growing concerns about increasing disasters. As a matter of fact, the number of death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ade an increase from 2019 before COVID-19 to 2020 after the pandemic according to the statistics of industrial accident deaths. Safety and health education was proven to be an important means of preventing disasters in previous studies. There seem to be very close connections between the causes of increasing death disasters and safety and health educ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given the many changes to the management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construction sites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he rising trend of education as a cause of death disaster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urrent industrial accidents for the last five years by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This study thus set out to contribute to the goal of reducing accident and death disaster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set by the government and propose plans to improv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construction sites fit for the post-COVID era. Literature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current COVID-19 infections and the related trend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find implications for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lso examined in the study were changes to educational policies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s well as the understanding of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system stipulated in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The results identified several institutional issues including the risk of spreading COVID-19 infections due to the field-centered curriculum organization, not enough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s in the curriculum, the forced nature of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system that may be an obstacle to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quality, and the lack of motivation policies to vitalize education on the utilization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fit for the post-COVID era. The investigator also conducted a survey with senior safety and health managers in the field working for the top 100 construction companies that joined the practitioners' council for construction safety and collected their opinions about the actual management, perception, and improvement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nalyzing and examining survey responses. The main analysis results show that a majority of respondents said that it became more difficult to manag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fter COVID-19 broke out, which shows that the growing workload of education was reflected along with the unrealistic legal mandatory hour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hey also pointed out that the causes of rising accident and death disasters at construction sites were closely related to safety and health education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nd that the education system did not fit the current COVID-19 situations, which indicates that damage by COVID-19 had adverse effects on the management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t construction sites and resulted in more disasters and raises a need to reorganize the education system. Finally, a majority of respondents felt a need to improve the management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and were positive about the need for proposed improvement measures. These findings raise a need for a paradigm shift from cluster education in the field to certified individual education to fundamentally prevent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It is also needed to cut down legal mandatory hours of education by half to provide substant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More occupations should be added to spec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to supplement the current system by full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sites. It is also required to expand incentives for workplaces dramatically and bring up professional instructors for related education for the active application of smart construction technologies to the field of education. 코로나19 발발로 인한 팬데믹 사태는 사회, 경제, 문화 등 전 분야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세계 전 인류는 ‘포스트 코로나’로 정의되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국내 건설현장 또한 코로나19 집단감염으로 인한 피해 사례가 지속해서 발생하고 있으며, 이를 예방하기 위해 현장 방역․위생관리 강화, 인원 간 대면 접촉을 최소화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안전보건교육 운영상에 있어 교육 인원 규모 축소 등 많은 변화가 있었는데, 한편으로는 안전보건교육 소홀로 인한 재해 발생 증가 우려의 목소리 또한 높아지고 있으며, 실제로 산업재해 사고사망 통계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발발 이전인 2019년도와 발발 이후인 2020년도를 비교하였을 때 건설업 사고 사망자수는 증가하였다. 안전보건교육은 재해 예방을 위한 중요한 수단임이 기존 선행연구를 통해 검증된 바 있으며, 코로나19 발발 이후 건설현장 안전보건교육 운영에 있어 많은 변화가 있었다는 점과 최근 5년간 고용노동부 산업재해 현황분석에 따른 사망 재해 원인 중 교육적 원인의 비중이 증가 추세에 있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건설업 사망재해 증가 원인과 안전보건교육과는 상당한 연관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정부의 건설업 사고사망재해 감축 목표 달성에 이바지함과 동시에,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부합하는 건설현장 안전보건교육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문헌 조사를 통해 현 코로나19 감염 실태 및 관련 건설업 동향을 파악하여 안전보건교육 관련 시사점을 도출하고, 산업안전보건법상 안전보건교육제도 이해 및 코로나19 발발 이후 교육 정책 변화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현장 중심 교육과정 구성으로 인한 코로나19 감염 확산 리스크 존재, 건설현장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않은 교육과정 존재, 교육 질적 향상 측면에 있어 장애 요인이 될 수 있는 안전보건교육제도의 강제성,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부합하는 스마트 건설기술 활용 교육 활성화를 위한 동기 부여 정책 부족의 제도상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또한, 건설안전실무자협의회 소속 100대 건설사 현장 선임 안전․보건관리자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코로나19 발발 이후 안전보건교육 운영 실태, 인식 및 개선 방안 의견을 수렴하여 설문 결과를 분석하고 고찰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응답자 대다수가 안전보건교육 운영에 있어 코로나19 발발 이전보다 어려워졌다고 답변하였으며, 이는 교육 업무량 증가, 법정 안전보건교육 의무시간의 비현실성 등이 반영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응답자 과반수가 코로나19 발발 이후 건설현장 사고사망재해율 증가 원인이 안전보건교육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교육제도가 현 코로나19 상황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답변하였다. 이는 코로나19 발발로 인한 피해가 건설현장 안전보건교육 운영에도 악영향을 미쳐 재해 증가로 이어졌으며, 교육제도 개편의 필요성을 반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응답자 대다수가 안전보건교육 운영에 있어 개선이 필요하다고 답변하였으며, 제안한 개선 방안 필요성에 대한 설문에서 응답자 대다수가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이상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코로나19 등 감염병 확산의 근원적 예방을 위해 현장 집체교육 중심에서 개인 인증교육 중심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며, 법정 교육 의무시간을 현행 1/2 이상 단축해 내실 있는 안전보건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건설현장 특성을 충분히 반영한 안전보건교육 제도 보완방안으로 특별안전보건교육 대상 작업을 추가하여야 하며, 스마트 건설기술 교육 분야 적용 활성화를 위해 사업장에 대한 인센티브를 대폭 확대하고 관련 전문 교육 강사 양성이 필요하다.

      • 키오스크시스템을 이용한 건설안전 교육용 콘텐츠 개발

        권일 인천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논문은 건설산업의 재해를 예방하기 위해 건설현장에서 근로자 및 관리자의 안전교육용으로 간편하게 활용 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 단말기 시스템 개발과 교육컨텐츠 전반을 포함하는 개발방법과 적용에 대한 것으로써, 현장 접근성이 편리하고 간편한 조작으로 사용자(근로자)중심, 자기주도형의 교육시스템으로 직접 조작운영 할 수 있도록 키오스크를 활용한 시스템과 콘텐츠의 융합된 안전교육시스템의 효율적인 개발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전까지의 획일화되고 수동적인 건설 안전교육 환경을 벗어나 다양한 교육 콘텐츠들을 담고 있는 키오스크 단말기를 이용하여 개개인 근로자에 해당되는 안전교육을 유도함으로써 건설안전 교육환경에 적합한 영상 및 3D그래픽으로 재구성된 재해사례들을 통하여 건설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관리자 및 근로자가 안전에 대한 실천교육을 고취시키는 것이 콘텐츠개발의 목적이다

      • 건설현장 고위험작업자 안전교육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갱폼작업자를 중심으로)

        정명훈 경희대학교 테크노경영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87

        해마다 건설현장에서 크고 작은 재해로 근로자들이 목숨을 잃고 있다. 2017년 국내 건설현장 산업재해로 506명의 근로자가 고귀한 생명을 잃었다. 재해율의 전체적 감소를 생각해도 사망만인율이 점차 늘어난다는 것은 재해 대비 중대재해의 비율이 특히 높아짐을 알 수 있다. 2017년 고용노동부 보도자료를 인용하면 2012년∼2016년 5년 간 갱폼 관련 사망재해가 총 21건 발생해 22명의 작업자가 생명을 잃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갱폼사고는 발생 즉시 중대재해로 이어져 수많은 근로자의 생명을 위협한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최근에는 비교적 안전하다고 평가받던 SWC(Safety Working Cage)방식의 작업발판이 추락해서 한꺼번에 4명의 목숨을 빼앗아가는 사고가 부산에서 발생하기도 했다. 하지만 건축물의 고층화 및 작업의 편의성에 맞물려 갱폼작업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갱폼작업의 경우 30층 일반 아파트현장을 기준으로 1개 동당 약 600번의 인양작업이 이뤄진다고 가정하면 10개동 1개 단지에 6,000번의 갱폼 인양작업이 반복적으로 진행되며 이 중 한번이라도 작업자의 부주의나 부재 결함 등으로 인해 사고가 발생할 경우 돌이킬 수 없는 중대재해로 이어질 수 있다. 이런 고위험 갱폼작업을 관리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본 연구는 교육에 주안점을 두고 관리자와 작업자의 안전교육에 관한 인식 비교를 중심으로 바람직한 갱폼작업자 안전교육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수행은 건설업 관련 기타 법령 등에서의 안전교육 관련기준, 유사 논문 및 선행 연구 고찰과 갱폼작업이 진행 중인 3개사 25개 현장의 관리자와 갱폼작업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드러난 문제점 및 그에 따른 해결방안 모색하여 기존 갱폼작업자 안전교육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 수행 결과를 간략히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갱폼사고의 원인을 묻는 설문에서 갱폼사고의 주요 원인을 교육 미비와 경험 미숙으로 보는 작업자의 비율이 관리자의 비율보다 높다는 점이다. 이는 갱폼작업 전반에 대한 교육의 중요성 및 교육개선의 필요성이 대두된다고 볼 수 있다. 둘째, 갱폼작업 안전교육의 적정성 부족에 대한 문제점 인식이 필요하다. 관리자와 작업자의 30% 이상이 본인이 주관하고 받아야하는 법적 교육시간을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 아울러 현장에서 진행되는 이론형 강의교육 및 위험성평가표에 의한 갱폼 안전교육이 재해사례 교육이나 실습 및 체험형 교육보 다 기대 효용이 낮음으로 고위험 작업인 갱폼작업 전반에 대한 새로운 교육방안 마련이 시급하다 할 수 있다. 셋째, 갱폼작업 관련 전문 교육 및 자격에 대한 제도화의 필요성이 대두 된다. 조사결과 관리자와 작업자들의 갱폼관련 전문교육과 자격증에 대한 요구는 크지만 실제로 이를 뒷받침할 교육이나 법적 제도는 부족한 것이 현실이다. 전문교육을 통한 관리자와 작업자의 전문가 양성 및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법적 제도화를 통해 타워크레인과 같이 건설현장에 유자격 관리자와 작업자가 근무하는 환경이 조성되고 갱폼작업 전 과정이 법적 제도 내에서 관리된다면 발생 시 중대재해로 이어지는 갱폼관련 사고를 현저히 줄일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다만, 이번 연구는 설문 진행시 언어 및 소통 그리고 처한 신분의 문제점으로 설문에 참여하지 못한 외국인 작업자에 대한 내용이 누락되었으며, 갱폼작업자와 관리자에 대한 구체적 교육 방안과 갱폼작업자 법규 및 제도 개선에 대한 설문결과를 바탕으로 한 제언을 드리는 데 한계를 나타냈다. 이는 추후 다양한 자료의 검토와 추가 연구를 통하여 합리적이고 실질적인 갱폼작업자 교육 방안을 수립하는 추가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any workers have lost their lives in construction site due to big or little accidents every year. As of 2017, 506 workers lost their precious lives due to industrial accidents in construction site in S. Korea. Considering overall decrease in accident rate, a gradual increase in a rate of fatal injuries indicated that especially, a rate of fatal accident to accident h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press release by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in 2017, a total of 21 gang form-related death accidents occurred for 5 years from 2012 to 2016 and 22 workers lost their lives and furthermore, such gang form accidents immediately resulted in fatal accident threatening lives of many workers. Recently, as the SWC(Safety Working Cage) plate collapsed—although it used to be praised for its safety relatively, 4 workers lost their lives in all at the same time in Busan. However, the construction works have been done steadily with gang form for its convenience and advancement of building. Assuming the gang forms are lifted up about 600 times in a 30-story apartment building, the gang forms are repetitively lifted up for about 6,000 times in 1 complex with 10 apartment buildings; in case of an accident due to negligence, absence and fault of worker, it may lead to irrevocable, fatal accident. Al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research findings to manage such high risk gang form work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ut emphasis on comparison of safety education recognition between manager and worker focusing on education and seek for desirable safety education plan for gang form workers. For the research, the survey was conducted on managers and gang form workers in 25 construction sites of 3 companies where worked with gang form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blem and seek for solution based upon questionnaires, safety education-related standards in legislation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relevant research and preceding research and moreover, the safety education improvement plan for existing gang form workers was suggested accordingly. The research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shown below. First, the percentage of workers who thought the main cause of gang form accident can be found in lack of education and experience was higher than the manager’s in the questionnaire that asked the cause of gang form accident. It indicate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in general gang form works and necessity of education improvement. Second, it’s required to recognize problem about lack of propriety in safety education in case of working with gang form. Since more than 30% of managers and workers did not recognize their compulsory education hours in which they must organize or participate in and moreover, the gang form safety education which has been often operated with lectures focusing on theory and Risk Assessment in the construction site had lower expected utility, compared to the accident case studies or practice and experiential education, it’s urgent to arrange new education plan for general gang form work with a high risk. Third, the necessity of institutionalization of technical gang form works education and qualification came to the force. The results of survey discovered that there has been a huge demand for technical gang form works education and certificate among the managers and workers, despite of lack of education and legal institutionalization in fact. If the managers and workers receive technical education to develop themselves as experts and also, authorized managers and workers can work together in construction site through legal institutionalization—furthermore, as we can see in the tower crane case, if the whole process of gang form works could be controlled legally, it’s expected to greatly reduce gang form-related accidents which may result in fatal accident. However, this research has omitted foreign workers who did not take part in the survey due to their language barrier, communication and status and moreover, failed to give an accurate proposal about detailed education plan for gang form workers and managers, regulations and system improvement. Therefore, it’s necessary to establish rational, practical education plans for the gang form workers through reviews on various data and further research in future.

      • 온톨로지 기반 건설 직종별 안전교육 콘텐츠 공유를 위한 데이터 구조화

        조준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1

        건설 산업에서의 사고는 여전히 전 세계적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사고의 경감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인 불안전한 상태를 제거함으로써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건설안전교육이 주목받고 있지만, 안전교육의 형식적인 시행 및 교육에 사용되는 콘텐츠의 재사용, 정보의 집약적인 형태로 인해 특정 정보만을 전달하기 힘들다는 문제로 인해 교육의 효과성은 여전히 저조하다. 다양한 도메인 내 저장되어 있는 정보들은 안전교육 콘텐츠로서 활용 가능하지만, 해당 콘텐츠의 비 구조적인 형태와 다양한 도메인에 분산되어 있다는 문제로 인해 현장의 직종별 적절한 교육을 실시하기까지 많은 시간을 소모하게 만든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비 구조적인 데이터의 관리 및 활용을 원활히 할 수 있는 툴을 활용한 정보의 구조화를 통해 직종별 맞춤형 안전교육 콘텐츠의 구조화 모델을 제안하였다. 모델의 설계 과정은 크게 3가지로, 모델을 구성하는 요소에 대한 기술, 모델의 클래스 및 특성을 반영하기 위한 Schema 작성, 모델 내 인스턴스 생성을 위한 각 도메인 별 메타데이터 추출 및 모델 내 매핑 과정 순으로 기술하였다. 모델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특정 공종 및 작업을 사고통계에 기반하여 선정하고, 작업에 관련된 콘텐츠들에 대한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모델을 통한 정보의 검색 및 공유에 대한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이후, 모델 내 정보의 검색에 대한 추론과정을 분석하고 앞서 설계한 의미관계에 대한 검증과 정보의 효율적인 검색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였다. 특정 작업 상황에 대해 설정하고, 해당 상황에서 필요한 안전교육 콘텐츠를 검색함으로써 추론과정 분석을 통한 적정 콘텐츠가 도출되었는지 확인하였다. 설계된 모델은 특정 안전교육 콘텐츠의 특성을 키워드 형식으로 반영하고, 키워드 간의 관계정의로 인해 직종 별 작업 내용에 맞는 자료가 추론되어 효율적으로 정보의 검색 및 공유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통해 구조화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제안된 모델을 활용하여 다양한 도메인에 분산되어 있는 비 구조적인 데이터의 구조화 및 통합 분류 체계를 통한 구조화된 정보의 공유가 가능할 것이고, 이는 모델을 기반으로 한 플랫폼의 개발을 통해 근로자 간의 경험지식 공유 및 자율안전활동에 기여하고 교육의 효과성 또한 높아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Accident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re still attracting worldwide attention, and various efforts are being made to mitigate them. Although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which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by eliminating unsafe conditions that are the direct cause of accidents, is attracting attention, specific information retrieval and sharing is limited due to the formal implementation of safety education, the reuse of contents used for education.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is still low due to the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deliver and share the specific information. Information stored in various domains can be used as safety education content, but due to the unstructured form of the content and the problem of being distributed in various domains, it takes a lot of time to conduct appropriate education for each job type in the field. Therefore, in this study, a structural model for safety education contents tailored to each job category was proposed by structuring information using tools that can facilitate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unstructured data. The design process of the model i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description of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model, creation of a schema to reflect the clas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extraction of Metadata for each domain to create instances in the model, and mapping within the model. described. In order to suggest a method of using the model, a specific type of work and work was selected based on accident statistics, and an instance of the contents related to the work was created to suggest a method of using the model to search for and share information. Then, the reasoning process for information retrieval in the model was analyzed, and the verification of the previously designed semantic relationship and the efficient retrieval of information were confirmed. By setting for a specific work situation and searching for safety education contents necessary for the situation, it was confirmed that appropriate contents were derived through an analysis of the reasoning process. The designed model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specific safety education content in the form of keywords, and by def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eywords, infers data suitable for work by job category, and efficiently retrieves and shares structured data through the process of efficient information search and sharing.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manageable. Using the proposed model, it will be possible to structure unstructured data distributed in various domains and to share structured information through an integrated classification system. It can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autonomous safety activities and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 건설기술교육서비스품질이 교육만족을 통하여 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성격5요인의 조절효과

        심민섭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ervice quality of construction technology education affects the intention of the act through the satisfaction of the learners, to identify the effect of personality five factors on educational satisfactio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ducational satisfaction on the behavioral intention. In order to accomplish this purpose, by verifying how the theoretical model subordinate factors such a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confidence, empathy, and the subordinate personality five factors - extroversion, affinity, sincerity, nervousness, openness – affect on the behavior intention, this study is to provide systematic and practical education service quality to improve the practical skills of construction engineers and to utilize them as basic data for the reorganiz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development of new educational program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wo research methods,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e attendees of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Education(KICTE).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60 days from April 19th to June 18th, 2017. A total of 225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and 212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the 13 poor questionnaires.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21.0 statistical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