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개인훈련과 단체훈련에 따른 심리적 경험

        김영진 한국체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8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psychological experiences of speed skaters in individual and group training.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n open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57 speed skaters aged 19 and above, registered with the Korea Skating Union in 2023. Among the survey participants, four athletes who were either current national representatives or had national representative experience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The collected data were interpreted with reference to expert meetings and previous studies and categorized through inductive analysis. Based on th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speed skaters categorized their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individual training into 2 general areas and 13 sub-areas. The general areas appeared in the order of ‘positive experiences’ and ‘negative experiences,’ Positive experiences included 8 factors: ‘free training,’ ‘increased concentration,’ ‘reinforcement training,’ ‘increased sense of achievement,’ ‘peace of mind,’ ‘goal setting,’ ‘rest,’ and ‘relief of tension,’ Negative experiences included 5 factors: ‘training restrictions,’ ‘lack of feedback,’ ‘loneliness,’ ‘worries,’ and ‘limits of training.’ Second, speed skaters categorized their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group training into 2 general areas and 14 sub-areas. Similar to individual training, general areas appeared in the order of ‘positive experiences’ and ‘negative experiences,’ Positive experiences included 8 factors: ‘stimulating cooperation,’ ‘stimulating competition,’ ‘learning opportunities,’ ‘diversity of training,’ ‘physical improvement,’ ‘sense of responsibility,’ ‘common goals,’ and ‘increased confidence.’ Negative experiences included 6 factors: ‘conflicting opinions on training methods,’ ‘boring repetitive training,’ ‘long training hours,’ ‘coach focusing on elite athletes,’ ‘atmosphere,’ and ‘difficulty in adjusting conditions.’ This study showed different psychological factors that affect the speed skaters in individual and group trainings. Through this study results, it is believed to be beneficial not only to speed skaters but also to coaches and athletes in all sports, serving as foundational data for future use.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의 개인훈련과 단체훈련에 따른 심리적 경험 김 영 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체육학과 본 연구는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이 개인훈련과 단체훈련에 따른 심리 적 경험을 알아보기 위해 진행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023년 대한빙상연맹에 등록된 만 19세 이상의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총 57명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을 진행하였으며, 개방형 설문 참여자 중 현 국가대 표이거나 국가대표 경험이 있는 선수 4명을 선정하여 심층면담을 진행하 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전문가 회의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해석하였으며 귀납적 분석을 통해 범주화하였다. 이를 토대로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은 개인훈련에 따른 심리적 경험은 2개의 일반영역과 13개의 세부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일반영역은 ‘긍정적 경험’, ‘부정적 경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경험은 ‘자유로운 훈련’, ‘집중력 증가’, ‘보강 훈련’, ‘성취감 증가’, ‘편안한 마음’, ‘목표설정’, ‘휴식’, ‘긴장감 해소’ 순으로 8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부정적 경험은 ‘훈련 제한’, ‘피드 백 부재’, ‘외로움’, ‘걱정’, ‘훈련의 한계’ 순으로 5개의 요인이 도출 되었다. 둘째,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들은 단체훈련에 따른 심리적 경험은 2개의 일반영역과 14개의 세부영역으로 범주화 하였다. 일반영역은 ‘긍정적 경 험’, ‘부정적 경험’ 순으로 나타났으며, 긍정적 경험은 ‘협동심 유발’, ‘경쟁 심 유발’, ‘학습기회’, ‘훈련의 다양성’, ‘체력 향상’, ‘책임감’, ‘공동 목표’, ‘자신감 상승’, 순으로 8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부정적 경험은 ‘훈련방법 의견 대립’, ‘지루한 반복훈련’, ‘긴 훈련시간’, ‘우수선수 위주의 지도방법’, ‘분위기’, ‘컨디션 조절 어려움’ 순으로 6개의 요인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선수들이 개인훈련과 단체훈련에 따라 다양한 심리적 경험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스피드 스케이팅뿐만 아 니라 모든 스포츠에 종사하는 지도자와 선수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통해 선수들이 개인훈련과 단체훈련에 따라 다양한 심리적 경험을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가 스피드 스케이팅뿐만 모든 스포츠에 종사하는 지도자와 선수들에 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 스피드 스케이팅 선수, 개인훈련, 단체훈련, 심리적 경험

      • 항공객실승무원의 교육훈련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서균림 한국항공대학교 항공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9

        항공객실승무원의 교육훈련이 서비스지향성에 미치는 영향 서비스산업의 대표업종인 항공사의 경영활동은 서비스지향적 시스템을 중심으로 직원의 서비스지향적 노력을 전사적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기업의 서비스지향적 노력의 최종적인 결과가 고객이 지각한 서비스품질이라고 보았을 때, 직원을 통해 고객에게 제공되는 서비스 결과물은 직원의 서비스지향성에 의해 결정되므로 직원의 서비스지향성은 결정요인으로서의 가치가 크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 서비스지향성의 선행변수 중 조직차원의 지원측면에서 교육훈련이 개인의 서비스지향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존의 연구들이 조직 서비스지향성 관점에서만 관련변수와의 관계를 측정하고 평가하였다면, 본 연구에서는 개인서비스지향성 관점에서 정확한 개념정립과 측정을 통해 교육훈련과 개인서비스 지향성과의 상관관계를 측정해 보고자 한다. 또한 개인 서비스지향성과 성과와의 관계를 개인이 지각한 관점에서 평가 분석함으로써 개인차원에서의 서비스성과측면을 파악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국내항공사의 교육훈련 과 개인서비스지향성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였다. 특히 개인서비스지향성은 철저한 선행연구 고찰로 정확한 개념을 정립하여 연구의 질을 한층 높였으며 이에 머물지 않고 개인서비스지향성을 측정하는 도구(Lee-Ross의 SPI, 2000)를 활용하여 개인서비스지향성 측정의 유용성을 입증하였다. 연구목적에 따라 국내 4개 항공사 객실승무원 318명을 대상으로 객실교육훈련과 서비스지향성 그리고 개인이 지각한 성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실증연구로 가설1의‘항공사의 객실교육훈련은 객실승무원의 서비스지향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가설2의‘항공사 객실승무원의 개인 서비스지향성은 개인이 지각한 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에 대한 가설을 검증하였고, 그 결과 교육훈련의 4가지 차원(기본자세, 고객관계, 직무수행, 응급안전)이 개인서비스지향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개인서비스지향성의 6개 차원이 개인이 지각한 성과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개인서비스지향성에 대한 정확한 개념 정립과 구성요소 측정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을 입증하였다는 부분에서 기존 연구와 차별성을 두었으나 객실 교육훈련과 개인서비스 지향성의 요인분석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향후 각 요인분석에 대한 비교검증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항공사의 객실교육훈련 요인 중 응급안전요인이 다른 요인에 비해 개인서비스지향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히려 고객관계 요인이 다른 요인에 비해 영향을 덜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객실교육훈련과 서비스지향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심도 깊은 보완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또한 성과측정은 고객이 인지한 성과 측정 없이 개인이 지각한 성과만을 측정하여 객관성과 정확성을 확보하지 못한 것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존재하며 향후 성과에 대한 객관적 평가 평가방법을 모색하여 개인서비스지향성과 성과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심도 깊은 보완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본 연구의 시사점이다. The Effect of Training Program for Flight Attendants on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Suh, Kyoon-Lim Dept, of Business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Aviation & Management Korea Aerospace University (Advisor:Porf, Hee-Young Hur, Ph.D.) Representative of the service industry sector of the airline's management activities in service-oriented systems, service-oriented efforts of the staff will be made at the enterprise level. When the final results of the company's service-oriented efforts to the quality of service perceived by customers, the services offered to the customers, employees, the result of the employee's service orientation is determined by the value of the employee's service orientation as the determining factor is huge. Therefore, this research service orientation and how it affects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of the antecedents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erms of personal training and empirically examined. In this study, existing research organization service orientation from the standpoint of measuring and evaluating the relationship of the relevant variables and, if personal service from the point of view of a directional training and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and the correlation between measured through accurate and concept formulation was measured. Also evaluated in terms of personal perception and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and performance relationship on a personal level by analyzing the service performance aspects were identified.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lean up the theory about the service orientation training of domestic airlines and private study. Especially for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a thorough literature review was to establish the exact concept. And utilizing a tool to measure service orientation (Lee-Ross of SPI, 2000) have demonstrated the usefulness of the measurement of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Airline crew training and service orientation,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is study, four domestic airlines crew 318 patients and conducted a survey on the performance perceived by individuals. Of the crew of the airline crew training service orientation will affect the positive (+) 'Hypothesis 1 was tested. And 'private airline crew's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affect the perceived performance of the positive (+), will have a' Hypothesis 2 was tested. The results confirmed that the four dimensions of education and training (basic posture, customer relationships, job performance, and safety emergency) has an impact on the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Also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of the six-dimensional performance affects individual perception was confirmed. In this study, we placed the exact concept for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established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the measurement of components and proved on the part of existing research and differentiation. Flight attendant training and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of the factor analysis, however, there was a limit. Future studies are needed to verify the analysis for each factor. In particular, the factors of education and training flight attendant emergency safety factor compared to other facto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Rather, customer relationship factors had less of an impact compared to other factors. This suggests that air crew training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orientation and deep complementary studies are needed in the future. In addition, performance measurement, customer Cognitive performance measurement measure the perceived individual performance only. Therefore, it is a limitation of the study that we did not secure the objectivity and accuracy.Future, shall study the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 for objective evaluation. So for personal service orientation and performance an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lementary studies are needed dept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참가자의 현업적용도와 관련변인, 개인 및 조직성과와의 영향관계

        최희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32318

        이 연구의 목적은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참가자의 현업적용도와 관련변인, 개인성과 및 조직성과와의 영향관계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참가자의 개인, 프로그램 및 조직 특성을 구명하고, 둘째,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참가자의 개인, 프로그램 및 조직 특성이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 셋째,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참가자의 현업적용도가 개인성과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며, 넷째,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참가자의 현업적용도와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개인성과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 것으로 연구 목표를 설정하였다. 연구의 모집단은 정부가 지원하는 중소기업을 위한 교육훈련사업 중 참여인원과 투입예산이 가장 많고, 소속 근로자를 위한 교육시스템 및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에게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교육훈련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는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 참가자를 목표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조사대상은 2015년에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에 참가한 근로자이며, 조직성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2015년에 최소 5인 이상이 교육에 참가한 기업의 근로자만을 조사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표집은 2015년도에 재직자 향상훈련과정에 참가한 근로자를 대상으로 참가인원이 많은 상위 7개 훈련분야를 선정하여 선정된 분야별로 비율표집 하여 총 500명의 표본을 선정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는 현업적용도와 개인성과, 조직성과 및 개인, 프로그램, 조직특성을 측정하는 문항으로 구성된 질문지를 활용하였다. 현업적용도와 개인성과 및 조직성과 측정도구는 선행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의 특성을 분석하여 문항을 개발하였으며, 예비조사를 통해 내적일치도,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토한 후에 본조사에 활용하였다. 그리고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설정한 자기효능감, 경력계획, 인지된 유용성, 교육훈련 내용, 강사의 교수능력, 교육훈련 환경, 상사지원, 동료지원, 변화가능성, 조직보상의 측정도구는 이 연구의 목적에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기존 도구를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확보하여 사용하였다. 자료수집은 2016년도 10월 31일부터 11월 24일까지 이메일 및 우편 조사를 통하여 이루어졌으며, 500부를 배포하여, 230부가 회수되어 회수율은 45.6%였다. 이중 불성실 응답 자료 17부를 제외하고 213부(유효자료율 42.6%)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등 기술통계와 차이분석, 단순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매개변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참가자의 현업적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중 개인특성인 자기효능감, 경력계획 및 인지된 유용성의 수준은 평균 3.39∼3.92로 모두 보통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그램 특성인 교육훈련 내용과 강사의 교수능력, 그리고 교육훈련 환경의 수준은 3.73∼4.0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상사지원, 동료지원, 변화가능성, 조직보상으로 측정한 조직특성의 수준은 3.31∼3.60으로 개인특성과 프로그램 특성보다 약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현업적용도는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관련변인과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성과(r=.744)와 교육훈련 내용(r=.677), 인지된 유용성(r=.630)과 높은 정적인 상관을 보였으며, 그 뒤를 이어 동료지원(r=.594), 자기효능감(r=.575), 상사지원(r=.517) 순으로 정적 상관이 있었고, 교수능력(r=.448)과 교육훈련 환경(r=.441) 및 경력계획(r=.396)이 중간정도의 정적 상관을 보였다. 조직특성 중 조직보상(r=.332)과 변화가능성(r=.283)은 비교적 약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현업적용도와 조직성과 간의 상관계수 값은 .282로 나타났다. 현업적용도와 관련변인 간의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개인특성은 현업적용도를 49.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개인특성 중에서 인지된 유용성(β=.180)이 현업적용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통계적으로 가장 큰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β=.164)으로 나타났다. 경력계획(β=.156)도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프로그램 특성을 추가로 투입한 모형의 설명력은 55.3%이었으며, 프로그램 특성 중에서는 교육훈련 내용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영향력의 크기(β=.313)는 가장 컸다. 조직특성을 추가로 투입한 모형에서는 설명력이 58.8%로 나타나 전체 모형은 매우 큰 설명력을 보였다. 조직특성에서는 동료지원(β=.236)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의 현업적용도는 개인성과와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개인성과와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개인성과는 조직성과에 직접적인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현업적용도와 조직성과의 관계에서 개인성과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 참가자는 자기효능감이 대체로 양호하며, 직업생활에서 경력에 대한 계획을 가지고 있는 비율이 응답자의 약 68%정도이며, 직무교육훈련에 대한 유용성을 잘 인지하고 있다. 중소기업 컨소시엄 교육훈련 내용의 적합성을 다소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강사의 교수능력도 우수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교육훈련 환경에 대해서도 높은 수준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한편, 중소기업의 조직지원 특성에 대해서는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에 비해, 변화가능성과 조직보상을 상대적으로 더 낮게 인식하고 있다. 이는 조직원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변인인 상사지원과 동료지원을 조직의 환경적인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조직보상과 변화가능성 수준보다 높게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현업적용도 관련변인으로 개인특성, 훈련 프로그램 특성과 조직특성의 세 가지 차원이 모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며, 현업적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 세 가지 차원의 변인들이 모두 고려되어야 한다. 셋째,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의 현업적용도는 개인성과와 조직성과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이것은 Kirkpatrick의 교육훈련의 4단계 평가모형에서 3단계 행동평가가 4단계 결과평가로 이어지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것이다. 즉,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에 참가한 근로자가 교육에서 배운 것을 현업에 적용함으로써, 개인성과와 조직성과가 함께 나타나며, 교육훈련의 성과가 조직의 성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현업적용도를 높여야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직무교육훈련 참가 근로자는 교육훈련에 참가한 후 교육에서 배운 지식, 기술 등을 현업에 적용함으로써 개인성과가 향상된다고 인지하고 있으며, 중소기업의 관리자는 소속 근로자들이 직무교육훈련에 참가한 후 현업적용을 통하여 조직의 성과가 나타난다고 인식하고 있으므로 현업적용도가 개인성과와 조직성과에 영향을 미치지만, 개인성과를 매개로 조직성과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이와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 및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사업의 제도 개선을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으로는 첫째, 중소기업 직무교육훈련은 연간 약 285만명의 근로자가 참여하고 있고(고용노동부, 2015), 훈련을 실시하는 업종과 직종이 매우 다양하며, 정부가 지원하는 훈련사업도 다양하다. 따라서 직무교육훈련의 성과와 현업적용도에 대한 연구가 업종별, 직종별, 또는 직무별로 대상을 세분화하여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이 연구에서는 현업적용도와 개인성과, 조직성과를 교육훈련 종료 후 6개월~2년이 경과한 직무교육 참가자와 중소기업의 관리자를 대상으로 1회만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교육훈련을 마친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현업적용도와 개인 및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변화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향후에는 단계에 따라 현업적용도와 성과를 측정하는 장기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Kirkpatrick의 3단계 행동평가와 4단계 결과평과의 관계에서 선행연구의 평가모형에는 있지만 교육훈련 평가연구에서 많이 다루지 않고 있는 개인성과와 조직성과간의 관계연구를 지속적으로 시도할 필요가 있다. 제도개선 측면에서는 첫째,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 현업적용도에 직접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개인특성인 자기효능감, 경력계획, 인지된 유용성을 높이기 위한 방안과 프로그램 특성인 교육훈련 내용, 조직특성인 상사지원과 동료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현업적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사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공동훈련센터의 평가에 있어서 현업적용도 평가를 강화하고, 교육훈련의 유효성을 평가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셋째, 중소기업 컨소시엄 직무교육훈련 과정에 대하여 현업적용도 측정을 위한 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중소기업 컨소시엄 공동훈련센터에서 협약기업의 수요조사를 통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현업적용도 도구도 같이 만들도록 하여, 이를 평가에 반영하거나 교육훈련과정 선정 심사 시에 우대하는 방식을 통하여 사전에 현업적용도 도구를 개발한다면, 교육훈련 종료 후 현업에 돌아갔을 때 현업적용도 평가가 수월하고, 현업적용을 강화하는 데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형광물질을 이용한 시각적 자극이 간호사의 개인보호장비 착탈 수행에 미치는 효과

        김도하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7

        The present study was a non-equivalent comparison group pre and post quasi-experimental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sual stimuli using fluorescent marker on nurses' performance of donning and doffing of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PPE). The subjects, 1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8 in the control group, were randomly sampl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among the nurses at a general hospital in Gyeonggi-do, and homogeneity was secur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December 8, 2016 to January 18, 2017, and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reliminary survey, education, donning and doffing training including experimental treatments, and follow-up survey. For measuring the effect, an instrument developed in a previous study was modified for the attitude toward PPE, an instrument for self-efficacy on PPE was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content validity was verified by experts before use, and contamination after doffing, accuracy during doffing, and the time for doffing were measured using a performance checklist. Th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χ²-test, Fisher`s exact probability test, and t-test using SPSS version 22.0.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s. 1. Hypothesis 1,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attitude toward PP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fluorescent marker wa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donning and doffing of PPE, and the control group to which fluorescent marker was not applied’, was rejected(t=1.861, p<.071). 2. Hypothesis 2,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self-efficacy on PP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fluorescent marker wa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donning and doffing of PPE, and the control group to which fluorescent marker was not applied’, was supported (t=2.766, p<.009). 3. Hypothesis 3,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contamination after doffing of PP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fluorescent marker wa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donning and doffing of PPE, and the control group to which fluorescent marker was not applied’, was rejected (t=-1.222, p<.231). 4. Hypothesis 4,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performance accuracy of doffing of PP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fluorescent marker wa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donning and doffing of PPE, and the control group to which fluorescent marker was not applied’, was rejected (t=1.382, p<.183). 5. Hypothesis 5, ‘‘There will be a difference in the time required for doffing of personal PP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to which fluorescent marker was applied at the beginning of donning and doffing of PPE, and the control group to which fluorescent marker was not applied’, was supported (t=-2.921, p<.008). In conclusion, the reinforcing method using visual stimuli with fluorescent marker at the beginning of PPE donning and doffing training was found to improve self-efficacy and reduce the time for doffing of PPE. The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the findings can be utilized for new nurses training and on-the-job training in terms of nursing practice; provide an evidence of training methods to prepare for ant disaster situations such as pandemic influenza, radiation leaks, and chemical terrorism in terms of nursing education; the first study that measured the effect of a differentiated PPE reinforcement training for nurses in terms of nursing research. Henceforward, follow-up studies including various treatment methods and measuring instruments using fluorescent marker and comparative studies using time series design are suggested to improve learning effect of PPE donning and doffing training. 본 연구는 형광물질을 이용한 시각적 자극이 간호사의 개인보호장비 착탈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소재 일 종합병원의 간호사 중 대상자 선정기준에 따라 임의표출 하였으며, 실험군 18명과 대조군 18명을 포함하였으며, 집단간 동질성을 확보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2016년 12월 8일부터 2017년 1월 18일까지였으며, 사전조사, 교육 및 실험처치를 포함한 착탈 훈련, 사후조사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형광물질을 이용한 착탈 훈련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측정도구로서,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태도는 선행연구에서 개발된 도구를 연구자가 수정 보완하였으며,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자기효능감 도구는 문헌고찰 토대로 본 연구자가 개발하여 전문가의 내용타당도 검증를 거쳐 사용하였고,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착탈 수행 평가 체크리스트 통해 개인보호장비 탈의 시 오염도, 개인보호장비 탈의 수행 정확도 및 탈의 소요시간을 측정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2.0 version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와 χ²-test, Fisher`s exact porbability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제 1가설 ‘개인보호장비 착탈 훈련 초기 형광물질을 적용한 실험군은 형광물질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형광물질을 이용한 포함한 착탈의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태도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1.861, <.071). 2. 제 2가설 ‘개인보호장비 착탈 훈련 초기 형광물질을 적용한 실험군은 형광물질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자기효능감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형광물질을 포함한 착탈의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개인보호장비에 대한 자기효능감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지지되었다(=2.765, <.009). 3. 제 3가설 ‘개인보호장비 착탈 훈련 초기 형광물질을 적용한 실험군은 형광물질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개인보호장비 탈의 후 오염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형광물질을 포함한 착탈의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개인보호장비 탈의 후 오염도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1.222, <.231). 4. 제 4가설 ‘개인보호장비 착탈 훈련 초기 형광물질을 적용한 실험군은 형광물질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개인보호장비 탈의 수행 정확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형광물질을 포함한 착탈의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개인보호장비 탈의 수행 정확도가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기각되었다(=1.382, <.183). 5. 제 5가설 ‘개인보호장비 착탈 훈련 초기 형광물질을 적용한 실험군은 형광물질을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과 개인보호장비 탈의 소요시간에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형광물질을 포함한 착탈의 훈련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의 개인보호장비 탈의 소요시간이 대조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지지되었다(=-2.921, <.008). 결론적으로, 개인보호장비 착탈 훈련 초기 형광물질을 이용한 시각적 자극을 이용한 강화방법은 개인보호장비 착탈에 자기효능감을 증진시키며, 소요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간호실무 측면에서는 신규간호사 교육 및 직무강화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고, 간호교육 측면에서는 감염병 확산, 방사능 누출, 화학테러 등 예측 가능한 재난에 대비하여 PPE 관련교육 방법의 근거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간호연구 측면에서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차별화된 PPE 착탈 강화훈련의 효과를 측정한 첫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향후, 개인보호장비 착탈 훈련의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 형광물질을 적용한 다양한 처치방법과 다양한 측정도구를 포함한 후속연구 및 시계열적 설계를 이용한 비교연구가 이어질 것을 제언한다.

      • 회계직공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우정사업본부 조직을 중심으로

        고영표 단국대학교 정책경영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2316

        본 연구의 목적은 회계직공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연구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심층 분석하여 회계직공무원의 만족도를 향상하여 조직과 사업성과 제고를 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고자 수립한 구체적인 연구과제는 직무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직무특성, 교육훈련프로그램(교육내용, 교수전문성, 교육생 태도), 개인특성(개인적 태도, 직무자신감)이 직무만족(직무의욕, 직무몰입)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회계직공무원의 직무만족은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었으며, 연령은 나이가 많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대별로 약간의 차이는 보였고, 직급에 따른 직무만족은 차이가 있었으며, 담당업무별 직무만족과 근무부서별 차이는 없었으며. 근무경력에 따라 직무만족은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다. 직종별 즉, 일반직과 기능직간의 만족도는 차이가 있을 것이란 가설은 기각되었으며 집합교육 횟수에 따른 직무만족의 차이는 없었으나 전문교육 횟수가 많을수록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직무특성의 신뢰도가 낮아 약한 설명력을 보이거나 역상관관계로 향하고 있는 부분도 있어 본 연구의 목적에 부합하고, 직무만족의 하위변수인 직무의욕과 직무몰입에 약한 부(-)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겠다. 이는 우정사업의 회계공무원의 특성을 잘 반영한 결과로 볼 수 있으며 업무수행의 특성은 법규에 의한 업무처리가 주업무임을 감안하면 재량행위은 없고 규정에 적합하게 처리하여야 하는 귀속행위가 지배적이며 난이도가 비교적 높으며, 예산집행이나 회계처리의 부적정 등에서 오는 감사 책임도가 가장 높아 만족도는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음을 판단할 수 있겠다. 셋째, 교육훈련프로그램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바, 어느 조직이든 종사원의 교육훈련은 직무만족이나 직무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설은 채택되었다. 교육훈련프로그램의 하위변수로는 교육내용, 교수의 전문성, 교육생 태도로 분류하여 실증 분석한 바에 의하면 교육생의 태도, 교수의 전문성, 교육내용 순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교수의 전문성과 교육내용보다는 교육생태도 즉, 직무만족의 주체적인 입장인 자신의 의지와 태도가 긍정적이냐 부정적이냐, 적극적이냐 소극적이냐, 피동적이냐 능동적이냐를 결정하는 중요한 변수이라는 것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특성에 대한 독립변인을 분석한 바에 개인특성에는 설명력이 높지는 않지만 직무만족에 영향이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인특성의 하위변수로 개인적 태도, 직무자신감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으나 직무자신감보다 개인적 태도가 직무만족에 더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개인의 성격이나 태도 등 개인의 의지 또는 역량의 차이에 따라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주요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분석된다. 이상으로 우정사업 회계직공무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최종결론을 내릴 수 있겠다.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보면 상당히 많은 요인을 찾아 볼 수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직무특성, 교육훈련프로그램, 개인특성요인으로 한정하여 연구한 바 직무만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교육훈련프로그램, 개인특성, 직무특성 순으로 볼 수 있었다. 특히, 회계직공무원의 직무특성은 직무만족에 부정적이거나 역상관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하여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직무특성을 순기능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직무만족을 높이는 방안을 강구한다면 회계직공무원의 만족도는 향상 될 것으로 분석하여 볼 수 있겠다. 그 구체적인 만족도 향상 방안으로 직무의 전문화, 세분화, 표준화, 잦은 순환보직의 지양, 적정한 교육훈련기회의 보장, 회계 감사책임의 경감 또는 완화, 타보직과 업무 형평성을 고려하여 인센티브의 보장 등 적극적인 만족도 향상대책이 강구될수록 우정사업의 재정혁신의 선도자로서 역할에 충실할 수 있고 우정사업의 성과는 보장될 것으로 분석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and productiveness of organization through job satisfaction of accounting officer as the results of research studying affective factors on job performance are practically are analyzed in depth. In this research relationship of job satisfaction to job characteristics, job training programs - training contents, professionalism, trainee attitude, individuals - attitude and confidence, intention and absorption is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followings: Firstly, Job satisfaction of accounting officer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and the classified aged have some various response in job satisfaction - More aged more satisfied and more career also more satisfaction in their Job. But there is no difference in satisfaction on their assignment. Moreover the study reveals that there is no variety on the number of training but frequency of professional training influence on the job satisfaction. the assumption that there will be various in performance satisfaction between general accounting official and technical accounting officials is rejected. Secondly, analysis shows that impact of job characteristics on job satisfaction is negative and the variables of job characteristics which is individual intention and absorption have also negativeness on the job satisfaction. The results explain well that it reflect the specialty of accounting officials in Korea post in which they should perform their job on the law and regulations without their discretionary power but with high responsibility and difficulty. Thirdly, the assumption that the training program will a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in any organization is adopted and training contents, professionalism, trainee attitude is selected as variables of training program. the results are that trainee attitude, professionalism, training contents in order affect on job satisfaction. That is, individual attitude which dominates the other variables mostly a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Individual attitude is decided based on whether their thinking toward their performance is affirmative or negative, active or passive or not. Lastly, it is analyzed that individuals a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not strongly. variables of individuals is attitude and confidence. In this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the individual attitude which is decided by their own will and capacity affect more on performance than individual confidence. In conclusion, According to previous study, there are many impact factors on job satisfaction.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that training program, individuals, job characteristics in order have effect on the job satisfaction. Especially in the accounting officials performance, the job characteristics affect negatively on the job satisfaction. accounting performance should be professionalized, classified, and standardized to change negative impact on the satisfaction into positive ones. It should be guaranteed to have proper opportunity for training, to sublate the frequent change of performance, to alleviate resposbility for audit and accounting inspection.

      • 일학습병행제의 개인, 프로그램 및 조직 특성이 학습전이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김병주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014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체 중 일학습병행제에 참여하고 있는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개인, 프로그램 및 조직 특성 변수와 학습전이, 조직몰입과의 영향관계 등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의 모집단은 일학습병행제 유형 중 공동훈련센터형에 참여 하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일학습병행제의 교육훈련기간이 대부분 6개월 이상인 점과 교육훈련 내용이 현장에서 근로자가 수행할 업무와 긴밀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특성을 고려하여 설문 시점에 교육훈련을 받고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선정하였다. 조사도구는 개인 특성과 프로그램 특성 및 조직 특성과 학습전이와 조직몰입을 측정하는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각 변수의 조사도구는 선행연구에서 사용된 도구를 기본으로 일학습병행제 목적이나 취지에 맞게 맥락을 수정하거나, 세분화된 항목을 통합하는 등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위해 추가로 개발한 도구는 선행연구들을 참고하고, 일학습병행제의 목적과 취지를 고려하여 설문문항을 설계한 후, 전문가 집단의 내용 적합성 검토를 거쳐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한 후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는 2019년 7월 마지막 주부터 8월 셋째 주까지 4주에 걸쳐 서울, 경기, 인천에 소재하고 있는 6개 공동훈련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설문을 실시하여 수집하였으며, 300부를 배포하여 300부를 회수하고 이중 불성실 응답자료 9부를 제외한 291부를 분석에 활용(분석율 97.0%)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for windows 20.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분석과 차이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및 매개변수 분석을 실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sonal, program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of the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work-learning dual system among compan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Seoul, Gyeonggi, and Incheon) to learning transf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study population is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co-training center-type work-learning dual system. And samples were taken from those who were receiving training at the time of the questionnair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training period of the work-learning dual system is more than 6 month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are closely related to the work to be performed by workers in the field. The research tool utilized a questionnaire consisting of items that measure personal characteristics, program characteristic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learning transfer,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asurement tool for each variable was supplemented by using the tools used in the previous research, such as modifying the context or integrating subdivisions according to the purpose or purpose of the work-learning dual system. In addition, the tools added for this study were referred to the preceding studies,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the purpose of the work-learning dual system, and after reviewing the content suitability of the expert group, the preliminary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verify reliability and validity,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6 joint training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for four weeks, from the last week of July to the third week of August. Of these, 300 copies were distributed, 300 copies were recovered, 291 copies were used for analysis(97.0% analysis rate), except for 9 unfaithful responses. For the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mean, standard deviation, frequency, percentage) analysis, difference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arameter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for windows 20.0 progra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