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朝鮮初期 江原道 地方의 開墾

        박정미 淑明女子大學校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개간을 통해 강원도 향촌사회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이를 위해 먼저 강원도의 지역적 특성을 살폈고, 개간정책과 개간실태를 살폈다. 강원도에 대한 국가의 토지정책은 개간과 禁耕이라는 두가지 형태를 지녔으며 특히 禁耕地에서 나타나는 향촌사회와 국가와의 갈등관계를 통하여 선초 강원도 향촌사회를 이해하려 하였고, 개간의 실태를 통하여 개간지의 위치가 사회적 신분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점을 밝히려 하였다. 강원도의 지역적 특성은 地高氣寒과 地廣人稀 한 지리적인 여건과 상관관계를 가진다. 이에 따라 土品은 下三道에 미치지 못하였으며 嶺西의 대부분은 山田을 경작하였는데 산전의 수확이 水田에 비해 배나 되었다. 강원도의 戶口는 전체적으로 잔잔호의 비율이 압도적으로 많았으며 科田法이나 貢納의 收稅에 대해서는 척박한 토지를 가진 강원도의 백성들이 상대적으로 무거운 부세를 부담해야 했다. 개간정책에는 사민이나 진전절수를 통한 개간지원정책과 講武場이나 산지에서의 禁耕이 있었다. 특히 진전절수는 수혜자를 양반지주에 한정하고 있었으므로 이것의 혜택을 이용한 개간이 활발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강무장과 산지에서의 禁耕은 일반민의 경작지를 제한하는 결과를 초래하여 이곳에서 盜耕이 이루어지게 하였다. 강원도에는 講武를 시행하는 장소, 혹은 강무의 支供을 바치는 강무장이 嶺西의 여러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는데, 토질이 척박하여 山田을 주로 경작하던 영서지방에서 강무장은 경작지를 더욱 부족하게 하는 요인이었다. 따라서 강무장의 금경에 대하여 일찍이 향촌사회 내부에서 시정을 요구하는 상소가 올려지기도 하였다. 그들은 강무장의 설치로 인한 향촌사회의 피폐들 들면서 강무장 주변의 규제를 완화해 주거나 공부를 면해주기를 요구하였다. 그러나 국가는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강무장 제도를 필요로 하고 있었으므로 향촌사회의 요청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재지지주인 사족들의 개간지는 강릉의 경우 물의 공급이 유리한 지역이었고, 이들 지역에서는 강원도의 농업환경으로 인해 水田과 旱田이 같이 경작되었다. 강원도 주민의 대다수는 잔잔호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이들 일반민들은 자신들의 소유토지를 상실하고 강무장이나 산지에서 盜耕하였고, 이런 곳은 주로 火田방식으로 경작되었다. 강원도 지역의 개간의 특징은 개간지가 태백산맥 쪽의 산지로 확대된 것과 잔잔호가 대다수인 일반민은 세역화전을 주로 경작하였음으로 강원도 지역에서의 일반민의 생활은 매우 불안정 하였던 데 있다. 강원도에서 강릉지역을 중심으로 지주적인 면모를 드러내는 계층이 생기기 시작하였으며 이들은 16세기 지주전호제의 전개에 따라 그들의 농장을 관리하였을 것으로 보여진다. 이상의 강원도 지방의 개간을 통하여 본 강원도 향촌사회는 개간자의 사회적 신분에 따라 개간지가 분리되어 지주층인 사족들은 경작에 유리한 땅을 차지하면서 그들의 소유토지를 넓혀 갔으며 대부분의 잔잔호로 구성된 일반민은 토지를 상실하고 禁耕地를 盜耕하면서 火田을 경작하는 불안정한 상태에 있었다. 국가의 금경지 설치에 대하여 향촌사회 내부의 반발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그들의 요구는 받아들여지지 않았고 향촌사회는 더욱 불안정한 상태에 노출되어 있었다. 따라서 지역사회로서의 강원도 향촌사회의 불평등한 사회적 구조는 조선 정부의 통제하에 있는 토지개간에 위해 유지되고 강화되고 있었다. 중요어 : 江原道, 開墾, 講武場, 禁耕地, 盜耕, 火田, 山田, 殘殘戶.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understand the society of Kangw ndo(江原道) as a local region from the standpoint of land reclamation. In the early Chos n Dynasty, tidal land of weastern coast and Yanggye(兩界) were reclaimed strongly by national policy of land expansion. In relaton to land reclamation, there were contradictary aspects in the society of Kangw ndo. Firstly, common people were deported to northern districts of Chos n Dynasty(徙民), and yangban(兩班) were ceded ownerless lands by national government(陳田切授). So, the benefit was mainly limited to yangban. Secondly, common people of Kangw ndo were prohibited from cultivating the lands in Kangmujang(講武場) and mountain districts. The Kangmujang and the mountain districts were not permitted to reclaim or occupy. Kangmujang, which was the place for executing Kangmu(講武) or supporting the necessities of Kangmu, was eatablished in the most of Yongs (嶺西). The quality of the soil in Kangw ndo was poorer than Hasamdo(下三道). So the area of Yongs had many sterile lands. Therefore, in the most area of Yongs , lots of mountainous fields(山田) were cultivated, and the quantity of harvest in that area was twice as great as that of paddy fields(水田). And the common people cultivated the forbidden lands like the lands in Kangmujang(講武場) and mountain districtssecretly for their survival. Though the cultivation-forbidden lands(禁耕地) were restricted to all equally, the existence of them brought about inequal economic results. To the common people who had not lands to cultivate, stealthy cultivation(盜耕) was inevitable. The proportion of Janjanho(殘殘戶), who were the lowest of common people, was overwhelming. Neverthless, heavy taxes were charged to them unfairly. While the prohibition led common people to illegal and secret cultivation of lands in that areas, yangban, as landowner dwelling in that society, could cultivate a lot of fertile lands relatively. Despite of repeated requests for the relaxation of prohibition, the Chos n Government did not accept these for the maintenance of Kangmujang which was much of military importance. So, the inequality to cultivate lands between yanban and common people was strengthened by differential reclamation policy. Through above summary, this study can be concluded as follows. irst of all, Chos n Dynastys policies related to land reclamation were differential. According to the high social status, Sajok(士族) as the class of land owner cultivated and occupied fertile lands by the supports of Chos n Government. However, common people, who were mostly composed of Janjanho, could not avoid to cultivating the forbidden lands illegally and secretly or the slash-and-burn fields(火田) for their survival. So, their lives could not be stable. The unequal social structure of Kangw ndo as a local society was maintained and strengthened by land reclamation under the control of Chos n Government. Key Words: land reclamation, Kangw ndo(江原道), Kangmujang(講武場), Yanggye(兩界), Yongs (嶺西), paddy fields(水田), mountainous fields(山田), slash-and-burn fields(火田), Janjanho(殘殘戶), stealthy cultivation(盜耕), forbidden cultivation(禁耕), cultivation-forbidden lands(禁耕地), deportion of common people(徙民), cession of ownerless lands to yangban(陳田切授),

      • 강원도 관광 발전을 위한 전통 음식점 수용 태세 지수 개발 - 강원도 강릉시 초당 두부 전통 음식점을 중심으로-

        정은숙 가톨릭관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2019년 12월 이전에 경험하지 못했던 코로나19(COVID-19) 상황에서 관광업은 추측할 수 없을 정도로 무섭게 침체되기 시작했다. 코로나19 발생 전에 이미 새로운 밀레니엄 세대의 도래로 첨단기기와 검색 능력을 가진 밀레니엄 세대들이 여행 정보의 확보가 여행의 횟수와 여행의 질을 결정하고 있다. 수동적 관광에서 능동적 관광으로의 변화가 시작되었으며 결정적으로 메타 서치 서비스의 출현은 가격 정보의 불균형을 무너뜨리고 누구나 숙박과 지역 음식점의 메뉴와 가격을 빠르게 확인할 수 있게 만들었다. 그 결과 소비자에게는 엄청난 자유가 주어졌고, 관광업 종사자들에게는 또 다른 도전에 직면하게 된 것이다. 한 동안은 대규모 해외여행보다는 적은 인원으로 근거리 여행을 하는 것이 대세가 될 것이며, 비대면 안전 여행을 위해 붐비는 관광지 이외의 장소를 방문할 것이며, 과도한 서비스나 접촉도 당분간은 피하려고 할 것이다. 즉 자연스럽게 관광객들에게는 관광 및 여행관련 컨텐츠의 다변화가 대세가 될 것이다. 강원도 지역은 대도시에서 접근성의 향상과 지역자치단체 및 소셜 미디어 홍보 등으로 국내 여행의 대안으로 떠오르는 곳이 되었다. 새로운 세대의 여행은 다양한 콘텐츠와 함께 먹거리 음식이 여행지 선정에 중요한 요인이 된 것이다. 음식관광은 일상적인 음식이 아닌 지역의 특색을 갖춘 진정성(authenticity) 있는 음식을 찾아가는 여행을 의미한다. 음식관광은 농촌발전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대외적인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수단으로서 활용됨으로써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OECD, 2016). 국내에서는 관광객들의 음식관광 편의 확대 및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해 방문 전 메뉴 검색, 예약, 결제 시스템까지 가능한 스마트음식 관광에 대한 수급이 증가하고 있다. 많은 도시가 기존의 스마트도시 컨셉에 디지털 기술 인프라를 기반으로 스마트관광 생태계를 개발하며 관광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으며, 음식관광에 있어도 예외가 아니다. 강원도 지역관광 발전을 위한 노력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강원도 지역에 관광수용태세 현황에 대한 정확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한다. 요약하면 강원도 지방의 음식관광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지역 음식관광 수용태세를 확인하고 지원이 필요한 요소를 구체적으로 지원하여 자원투입에 따른 대비효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관광장소에 가치를 더하고 해당 관광지를 다른 관광지와 차별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할 수 있는 요소를 찾고 음식관광에 대한 관심과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학계에서는 아직까지 음식관광 또는 음식점 수용태세 관련 연구는 여전히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강원도 지역에 음식관광 수용 태세를 판단하고 비교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강원도 전통 음식점 수용 태세 지수’를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국내 학계·업계·공공부문의 관광 분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시행할 것이며, 퍼지 계층분석 (analytic hierarchy process: Fuzzy-AHP)를 활용하여 지표들의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델파이 기법과 Fuzzy-AHP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문가들의 경험적 지식을 바탕으로 음식관광 수용 태세 문항들을 도출하고 각 항목 간 우선순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본 연구에서 말하는 음식관광의 범위는 ‘관광목적지에서의 음식점 경험’에 한정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음식점 수용 태세 지수를 이용하여 강원도 지역의 음식관광 수용 태세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향후에 지원 정책 방향을 설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코로나 19 이후 강원도에 여행객 증가에 대비하여 강원도 지역의 관광수용태세 개선 시 정책 의사 결정을 돕기 위해 정책 문제들의 순위를 알아 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해 개별여행객 증가에 따른 강원도 관광예산의 합리적 배분, 관광 불편 해결책 마련, 관광정책의 실효성 확보에 필요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江原道 傳統住宅 平面의 圈域別 特性에 관한 硏究

        민성중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강원도에 분포하는 전통주택을 대상으로 하여, 강원도 전통주택 평면의 권역별 특성을 연구해보았다. 강원도 전통주택 평면 특성을 도출해내기 위해 강원도 전통주택 116채의 평면을 분석하였으며, 유형을 홑집과 겹집, 그리고 주변 지역 전통주택 평면과의 관계를 통하여 분류해보았으며, 분류한 평면을 가지고 권역을 나누어 보았다. 또한 권역에 따른 평면의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강원도 전통주택의 평면특징을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의 평면을 분석한 결과 강원도 전통주택 평면 유형은 홑집과 겹집, 그리고 주변 지역 전통주택 평면과의 관계를 통하여 분류할 수 있다. 유형을 분류하여 분포지역을 살펴보면 먼저 홑집과 겹집의 분포지역은 영서․영동지역으로 분류하는 것보다는 홑집은 주로 영서지역의 평지, 겹집은 태백산맥과 영동지역으로 분류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주변 지역 전통주택 평면인 서울․중부형, 함경남도형, 함경북도형, 태백산간형을 통하여 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위와 같이 강원도 전통주택의 평면 유형을 분류한 것을 바탕으로 강원도는 크게 서부권, 동북권, 동남권의 세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강원도 서부권은 홑집을 채용한 서울․중부형 평면이 주로 분포하며, 춘천시, 원주시, 횡성군, 홍천 서부․중부지역, 영월 중부지역이 해당된다. 강원도 동북권은 대체로 겹집을 채용한 함경남도형 평면이 주로 분포하며, 고성군, 속초시, 양양군, 강릉시, 인제군이 해당된다. 강원도 동남권은 동해시, 삼척시, 태백시, 정선군이 해당된다. 이 권역은 대표적인 평면형이 나타나지 않고 겹집과 홑집, 서울․중부형과 함경남도형, 함경북도형, 태백산간형이 혼재해서 나타나고 있다. 각 권역별 특징 및 전개방향은 다음과 같다. 강원도 서부권에 분포하는 전통주택의 안채는 홑집을 채용한 서울․중부형 평면을 나타내고 있다. 북방형인 겹집 및 함경도형이 영동지역보다 평균기온이 낮은 서부권에 전파되기는 어렵지 않았을 것으로 보이나 서부권은 서울․중부형 평면을 채용하고 있다. 그 이유에 대해서는 교류에 의한 문화적인 영향이 컸을 것으로 생각된다. 현재 춘천지역에 존재하는 전통주택은 튼ㅁ자집으로, 튼ㅁ자의 배치 형태는 부속채의 규모가 커지고 내용이 다양해지므로 중농(中農) 이상의 가계가 되지 못하면 경영하기 어려운 수준이다. 또한 튼ㅁ자형태의 배치는 서울․중부형 민가가 도달한 완성형으로 본다. 따라서 춘천과 원주지역은 수운으로 인한 경제적인 성장과 더불어 문화적인 교류로 인해 서울지역에서 발달된 평면형태가 영향력을 미쳤을 것으로 생각된다. 강원도 동북권에 포함된 전통건축의 평면은 대부분 겹집에 함경남도형을 나타내고 있다. 강원도 동북권의 전통주택 평면은 함경도형의 영향을 받기는 했지만 그 안에 확장 발전을 하여 독자적인 평면이 완성되었으며, 이러한 평면은 보수적이고 토착적인 문화를 형성해 나갔다고 할 수 있다. 강원도 동남권은 서울․중부형, 함경남도형, 함경북도형, 태백산간형이 모두 나타나는 지역으로 하나의 특성으로 정하기 어려운 지역이다. 삼척지방을 중심으로 하는 강원도 동남권은 태백산맥의 영향과 영남지역 문화의 북상으로 인해 여러 종류의 주택평면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여러 평면형태는 동해 이상으로는 북상하지 못하게 되는데, 이것은 전술하였듯이 강원도 동북권에 강력한 토착문화가 형성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This study researche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e plane by zone in Kangwondo around traditional houses found in Kangwondo. Floor plane of 116 traditional houses in Kangwondo are analyzed to draw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ouse floor plane in Kangwondo. Types are classified through a relationship between a single-winged house, house with several wings, and traditional house floor plan in surrounding areas, and divided zones with classified floor planes. Also, characteristics of floor plane of traditional houses in Kangwondo are studied by looking into different features of floor planes found in different zones. As a result of analyzing floor planes of the research topics, types of traditional house floor plane in Kangwondo can be classified through a relationship between single-winged houses and houses with several wings and traditional house floor plane in Kangwondo. It is reasonable to classify distribution area of single-winged houses by flatland in Yeongseo region and houses with several wings by the Taebaek Mountains and Yeongseo region than classifying the distribution area of single-winged houses and houses with several wings into Yeongseo․Yeongdong region. Also, the type can be classified through Seoul․central region style, Hamgyeongnam-do style, Hamgyeongbuk-do style, and Taebaek Mountainous district. Kangwondo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reat regions, the western region, northeast region, and southeast region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the plane type of traditional houses in Kangwondo as explained above. Seoul․central region style of single-winged houses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western part of Kangwondo, and Chun-Cheon city, Won-Ju city, Hoengweong-gun, western and central part of Hongcheon, and central part of Yeonwol-gun fall under this classification. Hamgyeongnam-do style of houses with several wings is mainly distributed in the northeast part of Kangwondo, and Goseong-gun, Sokcho-si, Yangyang-gun, Kangreung-si, and Inje-gun fall under this classification. Donghae-si, Samcheok-si, Taebaek-si, and Jungsung-gun belong to the southeastern region of Kangwondo. Representative plan did not appear in this region, but mixture of Seoul․central region style, Hamgyeongnam-do style, Hamgyeongbuk-do style, and Taebaek Mountainous district style are distributed. Characteristics and developmental direction of each region are as follows. The main building of traditional houses in western Kangwondo used Seoul․central region style which adopted a single-winged house. Northern style houses with several wings and Hamgyeong-do style to be spread out in western part of lower average temperature than the Yeongdong region seem to make sense, but the western region is adopting Seoul․central region style. Cultural influence due to the exchange seem to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for this reason. Traditional houses found in Chooncheon region are open-rectangular plan, and as the scale of attached buildings of the layout of open-rectangular plan is getting larger and more diverse, it is difficult to operate them if the family budget is not bigger than middle-class farmers. Also, the layout of open-rectangular plan is considered as a complete format attained by Seoul․central region private houses. Therefore, Choonchoen and Wonju region are considered to have been influenced by floor plans developed in Seoul region due to the economic growth from water transport as well as cultural exchange. Most of floor plans of traditional buildings in northeastern part of Kanwondo are houses with several wings in Hamkeongnam-do style. Floor plan of traditional houses in northeastern Kanwondo was influenced by Hamkeongdo style, but was developed into its own independent plane and such plane has created conservative and native culture. Southeast Kangwondo is a region that is difficult to determine into one specific characteristic and style as every Seoul ․central region style, Hamkeongnam-do style, Hamkeongbook-do style, and Taebaek Mountainous district style are evident in. Various types of floor plan are located in southeast Kangwondo around Samcheok region due to the influence of Taebaek Mountains and culture of Youngnam region. Also, these various floor plans were not able to move northward than the East Sea, and this is because powerful aboriginal culture was developed in northeast Kangwondo.

      • 강원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사례를 통한 문화콘텐츠로의 발전 방안

        서주연 강원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강원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의 현황을 조사하여 상설프로그램의 가치와 의미를 살펴보고 공연예술로 문화콘텐츠로의 발전방안을 연구하였다. 강원도는 전통예술자원 특성이 분명하고 자원이 풍부하여 민속 중심의 전통공연이 지역공연브랜드화 할 수 있는 문화콘텐츠적 의미를 가진다. 강원도는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을 문화올림픽의 슬로건으로 문화기반을 조성하고 있지만 지역의 축제, 행사 등 일회성 공연이 대부분일 뿐 극장에서의 지속적인 상설공연은 현재의 강원도 공연실정에서는 거의 실행되지 못한다고 볼 수 있다. 지역적 특성을 살린 전통상설공연은 현재 정선과 강릉에서 공연되고 있지만 지역을 대표하는 문화콘텐츠의 공연브랜드로는 부족함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각 지역 단체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의 여러 형태를 고찰하고 이러한 바탕으로 강원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의 대표성,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의 그 현황 및 내용을 정리하여 강원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의 지역공연브랜드화와 상설공연의 발전방안을 아래와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타 장르와의 융·복합이 이루어져야 한다. 새로운 스타일의 혼합 장르로 새로운 예술의 탄생을 보여주거나 전통적인 요소를 배제하지 않아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이 가지고 있는 우리전통문화를 향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도내의 문화시설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각 지역의 예술회관이나 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는 극장 및 문화시설을 상설화된 공연장으로 활용하여 공연을 지속적으로 유지, 지역의 특성을 살린 브랜드공연을 개발하여 완성도 높은 공연으로 만들어 전통공연프로그램을 통한 공연을 활성화해야 한다. 상설공연을 하고 있는 극장으로 관광객의 방문을 유도하게 하는 문화관광상품과 연계 발전해야 할 할 것이다. 셋째, 강원도에서 활동하는 전문예술인을 적극 활용하여야 한다 강원도 전문예술인들로 지역의 콘텐츠를 개발하고 전문적인 분야의 기획과 창작인력이 활동할 수 있는 공연 및 지역단체를 만들어 강원도 전문 예술의 일자리 창출의 성과만이 아니라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지역민들이 강원도에서 활동하는 계기를 만들어 향토민속예술의 발굴과 개발의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 넷째, 강원도 전통적 설화 및 역사스토리를 스토리텔링하여 문화콘텐츠로 활용한다. 정선아리랑의 내용의 설화와 노랫말의 설화로 다양한 콘텐츠를 만들어 공연 할 수 있고 강릉지역은 영동지방의 설화에서 스토리 보완을 할 수 있는 점등 지역 내 많은 스토리를 만들 수 있다는 점이라 생각된다. 다섯 째, 무형유산을 활용한 공연과 강원도의 문화유적지 및 관광지에서의 공연을 활성화한다. 관광지, 이동거리가 편리한 지역을 중심으로 전통상설공연프로그램을 야간 볼거리 제공 및 공연콘텐츠로 활용하여 지역을 찾는 관광객에게 문화체험기회가 제공 되며 지역의 명소가 되는 기회를 갖는다. 여섯째, 강원도립예술단체를 활용한다. 강원도에서는 일정한 공간과 시간에 공연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한 상황이지만 현재로는 강원도립예술단으로서 강원 도민을 위한 문화제공의 장이 부족하다. 강원도립예술단은 춘천에 상주하고 있어 문화시설의 기반이 충분하여 도민과 관광객을 위한 상설공연을 할 수 있다고 본다.

      • 지역별 인구 분석과 지역발전방안 연구 : 강원도를 중심으로

        김명선 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2005년부터 본격화된 정부의 출산장려 정책에도 불구하고 2018년 우리나라의 합계출산율은 역대 최저수준인 0.98명을 기록하였으며 앞으로도 더욱 하락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저출산으로 인구감소가 지속될 경우 일부 지역은 멀지 않아 소멸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강원도 18개 시·군의 인구감소 실태를 기초통계자료와 지역쇠퇴지표, 축소도시 선정기준, 지역소멸위험지수 등 3가지 접근법을 사용하여 동태적으로 진단하고, 둘째, 강원도 지역의 인구구조 변화 및 인구감소 실태에 부합하는 지역발전 대응정책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방법과 지역쇠퇴지표, 축소도시 선정기준, 지역소멸위험지수 등의 산출을 위한 통계분석방법, 설문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강원도 18개 시·군 공무원을 대상으로 한 설문분석은 SPSS 25.0 체험판으로 변인별 교차분석을 실시하고, 독립표본 T검정과 카이스퀘어(X²)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원도의 시·군별 인구감소 실태 분석 결과, 지역쇠퇴지수, 축소도시 진단지수, 인구소멸위험지수 등의 3가지 지표에서 강원도 전 지역의 인구감소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쇠퇴지수는 최대값이 0.66에 불과하였으며 축소도시 진단 결과 5개 시‧군을 제외하고는 모든 지역이 축소도시의 범주에 포함되었다. 지역소멸위험지수에 의한 분석결과 7개 시·군은 소멸위험 주의단계, 11개 시·군은 소멸위험 진입단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강원도 18개 시·군 간에는 지역적 편차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군 지역의 소멸가능성이 시 지역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18개 시·군 공무원들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공무원들은 인구감소가 지역사회에 미칠 부정적인 영향을 매우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보면 절대 다수의 공무원들이 저출산으로 인한 유아‧청소년인구의 감소,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 저출산과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른 지역경제의 위축, 인구의 타 지역 유출, 노후주택‧노후건물‧빈집‧빈 상가 증가 등에 대해 우려를 표명하였으며 자신들이 근무하는 지역의 인구가 앞으로 계속 감소할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인구 감소로 지역 소멸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공무원들이 상당수 있었다. 또한 응답자들은 지역 인구의 타지 유출에 대한 핵심원인으로 일자리 부족을 꼽았으며 특히 인구유출의 핵심계층인 청년들이 졸업 후에 일자리를 찾아 외지로 떠나는 경향이 많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생활정주환경의 부족, 교육환경의 열악함도 주요한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밖에 보육환경 부족, 교통 불편 등도 인구유출의 원인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중앙정부나 자치단체들의 현행 인구감소 대책의 효과성에 대한 신뢰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감소문제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못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인구감소대책이 지역별 특성을 고려하지 못하고 일률적이고 형식적이며 각 중앙부처별로 산발적이고 단편적인 정책을 추진하는 것이 문제라고 인식하고 있었다. 지자체 대책의 경우 현금지원 중심의 단편적인 지원정책도 문제라고 보았다. 같은 맥락에서 인구감소 문제에 대한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국가 및 지방차원의 종합계획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인구감소 대책의 기본방향으로 ① 파격과 과단성 있는 정책, ②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접근, ③ 지역성과 상황적합성에 기초한 시책, ④ 민간의 자발성과 참여도 제고 유도 등을 제시하였다. 인구감소 대책으로는 첫째, 분권형 국정운영체제로의 전환과 중앙정부의 선제적인 대응체제 확립, 둘째 농산어촌지역과 도시지역의 공생 네트워크 추진, 셋째, 지역실태에 부합하는 창조적 인구감소 대책 마련, 넷째, 스마트도시·축소도시를 지향하는 정주환경 개선, 다섯째 주민자치·주민참여 등을 통한 민관협력 거버넌스 구축, 마지막으로 지방자치단체의 자율적인 행·재정개혁 추진 등을 제시하였다. 특히 중앙정부의 선제적인 대응체제 확립을 위해서 지역발전 종합계획의 수립과 ‘인구감소지역에 대한 특별법’의 조속한 제정, 범정부 추진체제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또한 창조적인 인구감소 대책 마련은 인구정책부문, 일자리 및 지역경제 부문 등으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강원도 지역의 인구감소 실태를 종합적으로 분석한 결과 인구감소 현상이 타 지역보다 더 빠르게 진행되고 있으며, 그로 인해 지역쇠퇴현상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인구감소 현상이나 그로 인한 제반 과제들은 지금부터라도 장기적이고 체계적으로 접근해 나간다면 충분히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 지역에 기반을 둔 기업 등 산업계, 학계, 그리고 지역 주민 모두가 인구감소 문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공공의 영역으로 활동하는 지역거버넌스가 구축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또 바람직하다. 상호협력적인 거버넌스의 구축과 상호 신뢰와 자율적 참여, 인구감소 대책 추진 기관 간의 네트워크 연결, 자원봉사 등의 사회적 자본의 축적을 통해 인구감소로 인해 야기되고 있는 지역의 위기를 극복해 나가야 할 것이다.

      • 江原道 住居團地 土地利用 特性에 關한 硏究 : 宅地開發 事業地區를 中心으로

        金炯河 삼척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 주거단지 개발은 주택정책과 아울러 이와 관련된 각종 주택 관련법의 영향을 받아왔다. 이에 따른 보다나은 환경을 만들기 위하여 법적 근거로 도시설계제도가 선 보였고, 2000년 7월을 기하여 지구단위계획이 수립 보완되어 시행되었다. 이러한 제도적인 변화에 따라 수려한 자연경관을 갖은 강원도에서도 쾌적한 주거단지 조성을 위해 질적, 양적으로서의 균형을 이루기 위한 노력이 없어서는 안 될 시기에 당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인식을 갖고 본 연구에서는 1) 새로운 지구단위계획의 제도적 특성파악 외국의 제도와 우리나라의 법제적인 제도를 상호 비교하고, 지구단위계획이 제공하는 완화/규제 내용을 개발되어진 사례를 통하여 우리나라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2) 전국 택지개발사업지구의 토지이용 분석 지구단위계획 지정이 의무화 되어있는 한국토지공사 택지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도시설계제도가 적용된 1990年代 이후부터 전국을 대상으로 한 택지개발사례를 통하여 토지이용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3) 강원도 토지이용 특성 비교 분석 상기 항목을 중심으로 얻어진 자료를 바탕으로 공동주거와 단독주거가 함께 조성되어진 택지개발사업지구의 주거단지를 비롯한 가로망 패턴과 공원·녹지율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설계협력방식( Collaboration Design System )의 응용 도입 대규모 택지개발사업지구에서 인접단지간의 연계성을 도모하고 획일적인 단지환경의 조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계협력방식의 기법이 보다 구체적으로 응용 도입되어야 하겠다. 2) 전국 택지개발사업지구의 토지이용 특성 우리나라 택지개발사업의 토지이용특성을 보면 전체적으로 단독주택, 공동주택, 근린생활시설, 학교용지와 같은 기본시설요인과 도로, 공원녹지와 같은 오픈스페이스요인 그리고 공공의 청사와 주차장과 같은 서비스 요인으로 구분되어지며, 주로 토지이용의 구성요소는 12개 요소임이 요인분석에서 나타났다. 3) 강원도 주거단지 토지이용 특성 분석 첫째, 대상지 선정 연도별 분석 주거단지의 토지이용 현황을 분석해 보면 전국에 비하여 단독주택지가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나고 있으나 연차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공동주거단지 및 도로율 그리고 공공의 청사 등은 비교적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대상지 선정 규모별 분석 단독주택지의 비율은 강원도가 전국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에 비해 공동주택지는 다소 낮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전국의 주택지가 고밀도로 계획되어지기 때문에 거주환경의 영향과 함께 공원녹지 및 학교, 도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셋째, 대상지 선정 지역별 비교분석 강원도를 영동지역과 영서지역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토지이용의 면적의 구성비를 산출하였다. 이를 보면 영동지방의 단독주거비가 높게 나타났고, 공동주거비를 비롯한 기본시설요인과 공원녹지를 포함한 서비스요인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소규모 개발에서부터 대규모 주거단지에 이르기까지 친환경적 개발에 힘써야 할 것이며, 택지개발 사업 시 초기 계획 단계에서부터 MA (Master Architecture)가 주관하는 설계협력방식을 도입하여 자연환경을 보존하며 강원도에 알맞은 주거단지를 계획할 수 있는 기초적 자료가 되기를 바란다. In Korea, the development of the residential district has been influenced by the various house-related regulations as well as the house-related government's policy. To make a better environment for the land development area, the 'District Unit Plan' has been introduced as a urban designing system in July, 2000. According to such an institutional changes, In order to create a pleasant and beautiful landscaped residential district in Kangwon-do, it became necessary to maintenance a balance between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hanges. With such an awareness, a research has been done based on the following factors: 1) Understanding the institutional characteristic of 'District Unit Plan' - To compare with several legal systems of Korea and other countries, - To understand how the district unit plan has influenced in Korea, by comparing it with other examples. How the effect reflected through the alleviation and restriction of regulation. 2) Analyzing the land use of the national residential district development - By focusing on land development executed by the Korea Land Corporation. Such development has been done by an obligation of district unit plan. An analysis has been execut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land use, with examples on the national land development since 1990 when the urban designing system was firstly applied. 3)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land use in Kangwon-do - Based on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focusing on the factors mentioned above, an analysis has been executed on the residential district of the land development area, both housing and common residential area. Also, an analysis has been executed on the pattern of street network and the proportions of parks and gree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Application and introduction of "Collaborated Design System" - In order to plan a connection between large land development district and other neighboring regions, and to prevent a formation of a uniform district environment, cooperative methods of designing should be introduced and practiced in a more definite way. 2) Characteristic of the national land use of land development district - By clos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district unit plan in Korea, there are three major factors in land use. - Those factors include: a) Basic institutional factor ; housing, common residences, the neighborhood living facilities and school sites, b) Open space factor ; roads, parks and green, c) Service factor ; public government office buildings and parking spaces. - According to the factor analysis, factors of land use are divided into 12 sub-factors. 3) Analyzing the characteristic of land use for the residential district in Kangwon-do a) Analysis of selected land by year By analyzing the current situation of land use for the residential district, the housing area are showing a relatively high ratio compared to the rest of the nation. However, the figure is decreasing annually. It seems to be no relative difference ; the ratios of common residential areas, roads and public government office buildings, compare to the rest of the nation. b) Analysis of selected land by scale The ratio of housing area is relatively high in Kangwon-do, compared to the rest of the nation. However, the ratio of common residential areas is relatively low. The figures have been influenced by the national high density residential area plan. The ratio of green, schools and roads are also high. c) Comparison and analysis of selected land by the regions By dividing Kangwon-do into two parts ; Yeongdong(middle-eastern part) and Yeongseo(middle-western part). The forming ratio of the regional land use has been calculated. As a result, the ratio of housing area in Yeongseo region is higher than the other. However, the basic institutional factors including the ratio of the common residential areas, and the services factors including parks and green are almost same. From now on, it will be necessary to focus on environment-friendly development, from small-scaled development to large-scaled residential district. In order to conserve the natural environment, and plan a suitable residential region for Kangwon-do, it will be required to introduce the cooperative methods of design run by MA(Master Architecture), from the beginning of the plan for the land development plan.

      • 조선후기 강원도지역의 貢納制 개혁과 大同·詳定法 시행

        전상욱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조선후기 공납제 개혁은 공납물의 전결세화를 법적으로 公認하는 과정이었다. 이로 인해 전결수는 공납제 개혁방식을 결정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었다. 중앙정부는 各道의 전결수에 부합한 운영방식을 설계해야만 했던 것이다. 이러한 중앙정부의 의도는 大同法, 詳定法, 收米法 시행으로 이어졌다. 이처럼 조선후기 공납제 개혁은 다양한 흐름이 있었다. 이러한 흐름을 본 논문은 강원도지역에 국한하여 살펴보았다. 1장에서는 17세기 전반 강원도 대동법의 시행과 운영방식을 검토하였다. 16세기 공납제 운영상의 모순이 확대되면서, 공납제 개혁논의가 전개되었다. 이는 강원도 대동법 시행으로 이어졌다. 강원도 대동법은 삼도대동법이 폐지되는 과정에서도 유일하게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정은 대동법 시행으로 인한 공납물 부담의 경감, 대동법 반대세력의 미미함, 한강 수운을 이용한 대동미 운반의 용이성을 고려한 결과였다. 그러나 강원도 대동법은 공납제 개혁을 위한 전결수가 충분하지 못하였다. 이는 공물가 책정방식, 호남청의 공물가 지원, 지방차원의 광범위한 잡역 징수 등 강원도 대동법 운영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2장에서는 강원도 대동법 재정비 시도가 상정법 시행으로 귀결되는 과정을 살펴보았다. 강원도 대동법 운영방식은 결당부과액 16두, 경대동 방식으로 요약된다. 이를 기축양전 시행을 통해 삼남지역 방식으로 재정비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전결수 확보가 충분하지 못하면서, 강원도 대동법의 운영방식을 일부 개정하는 수준에서 그쳤다. 이후 관찰사가 기유상정을 시행하여 잡역을 상정함으로써, 강원도 대동법의 운영방식을 일부 보완하였다. 기축양전‧기유상정 시행 이후 강원도지역의 대동‧상정의 결당부과액이 군현별로 차이가 있었다. 중앙정부는 인삼 분정방식 개정을 통해 군현별 상정의 결당부과액 차이를 줄이고자 하였다. 그러나 영서미량읍의 양전 시행이 좌절되면서, 보삼고를 설립하여 속전 전세를 활용하는 차선책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기유상정 시행 이후 상정가 이외 잡역 징수가 확대되었다. 이는 기유상정의 한계와 인삼가격 상승 등 지출규모의 확대와 관련이 있었다. 이에 대한 대책은 기유상정을 개정하는 ‘甲戌改詳定’이 시행으로 이어졌다. 갑술개상정은 󰡔邑摠節目󰡕과 󰡔詳定事目󰡕이라는 節目을 통해 운영방식을 법제화하였다. 이로 인해 ‘甲戌改詳定’은 ‘詳定法’으로 지칭되었다. 3장에서는 상정법 운영방식을 살펴보았다. 중앙정부는 󰡔邑摠節目󰡕과 󰡔詳定事目󰡕을 통해 세입과 지출에 대한 규정을 정립하였다. 그리고 중앙정부는 재정지원과 대동‧상정의 과세대상 확대를 통해 지방재정의 안정적인 운영을 도모하였다. 그러나 상정 부족이 만성화되면서, 각종 후속대책이 이어졌다. 중앙정부는 인삼의 경작공 확대시행을 통해 인삼 조달 방식을 변경하였다. 그리고 지방은 각종 식리전, 대동‧상정 이외 추가징수, 민고 운영 등 자구책을 시행하였다.

      • 건강식으로서 강원도 떡에 대한 가치 인식도 연구

        최미정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강원도 지역은 지리적 특성상 쌀농사보다는 밭농사를 많이 짓는다. 고랭지에서 질 좋은 감자, 화전을 일궈 메밀, 옥수수 등을 재배하며, 수리취, 곤드레, 도토리 등 자연 건강식 재료가 많이 나므로 그것들을 활용한 건강식 떡이 발달되었다. 본 연구는 건강식으로서 강원도 지역의 떡에 대해 어느 정도 인식하고 있는 지와 그 가치평가에 대한 연구이다. 1장 서론에서는 문제 제기 및 연구 목적, 연구 방법 및 연구 범위를 제시하였고, 2장 이론적 배경에서는 건강식과 건강식으로서의 강원도 떡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3장에서는 연구 설계로 음식관련 전문가 20명에게 설문을 구성하였다. 4장에서는 설문결과를 토대로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연구목적에 따라 본 연구의 결론을 요약하였다. 분석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식으로서의 강원도 떡에 대하여 수리취떡, 감자송편, 메밀총떡, 수수부꾸미를 알고 있으며, 그 맛은 재료의 맛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담백함, 모양이 투박하며 소박한 형태를 보인다고 인지하고 있다. 둘째, 건강식으로 강원도 떡 재료 중 선호하는 것은 수리취와 감자 그리고 메밀이며 영양적으로도 우수한 건강식으로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셋째, 식이섬유가 풍부한 재료로 만들고, 적게 먹어도 포만감을 주는 재료이며 항산화 식품으로 우리 몸의 노화를 지연시키는 등의 다이어트나 각종 성인병 예방으로 강원도 떡을 건강 증진을 위해서 직접 활용한 적이 있다. 넷째, 건강식으로서 강원도 떡과 타 지역의 떡 사이에 두드러진 차이점이 있다고 인지하며, 그것은 탄수화물이 많은 쌀을 주재료로 하기 보다는 청정지역 고랭지에서 재배되는 칼륨이 많은 감자와 섬유질이 많은 수리취를 이용하는 등 자연친화적이며 약이 되는 재료로 만들어 믿을 수 있는 건강식이다. 다섯째, 건강식으로서의 강원도 떡은 영양적 가치, 기호적 가치, 건강증진 가치 그리고 강원도 지역이 주는 청정이미지로의 지역적 가치, 체험교육으로 인한 지역방문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는 사회적 가치, 학문적으로 연구할 만한 교육적 가치, 강원도 지역의 자연환경 및 생활 풍습을 배경으로 시절식 떡을 해먹어 내려오는 향토음식문화의 가치 등이 있다. 여섯째, 건강식으로서의 강원도 떡에 관해 배우거나 맛보기 위해서 강원도를 직접 방문한 적이 있다. 봉평 메밀마을, 정선 5일장, 양양 송천 떡마을, 양구 곰취축체장에 방문하였고 떡과 떡의 재료들을 구매하였다. 일곱째, 떡을 만들거나 판매할 때 강원도 지역의 떡 재료를 사용한 적이 있다. 수리취, 감자전분, 메밀가루, 수수, 도토리가루, 칡가루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건강식으로서의 강원도 떡의 가치에 대한 인식이 확대되고, 더불어 강원도 떡문화의 발전‧계승에 기여하고자 한다. Make a lot of upland farming rather than rice paddies in Gangwon Province is geography. Hwajeon reclaimed a high quality potatoes, buckwheat, and corn grown in the highland fields, and a kind of marsh plant, acorns, and half in the natural health food ingredients, because a lot of using them. Healthy food is rice cake. Some awareness and about the rice cake of Gangwon Province as a healthy diet this study for the valuation and research. Chapter 1 problem in the introduction and working methods and research purposes was proposed, and the scope of two theoretical backgrounds, for Gangwon Province as a rice cake with a healthy diet. In Chapter 3, Research and Design, discussed and 20 involving food experts to form a survey. In chapter 4, questionnaire response analysis based on the outcome of the tour. Finally,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the chapter 5. Analysis of the nature of the items are summarized as follows : First, know about the rice cake, Gangwon Province as a healthy diet. Surichwi tteok, potato songpyeon, Millet Pancake, Buckwheat Crepe, rice cake, cakes knows. that can fully experience the taste of the taste, and you know. Aware that a bland, looks rugged and simple forms. Second, the Ingredients of rice cake, Gangwon Province as a health food preferences is Surichwi, potato and buckwheat and nutritionally superior as I think it means a healthy diet. Third, make ingredients rich in dietary fiber, antioxidant and materials that make you feel full and eat less, food diet such as delaying or other signs of aging in our bodies. Diseases of adult people courtesy call to Gangwon Province, a rice cake ever be directly utilized to improve their health. Fourth, yielded striking differences between the pie in the rice cakes and other areas in Gangwon Province as a healthy diet, recognises that it is starchy rice rather than as the main ingredient. Potato a lot of potassium and fiber that are clean in highland areas to use a lot of mixing finely pounded Surichwi make more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medicinal materials such as reliable. A very healthy dish. Fifth, Gangwon Province as a rice cake is nutritional value and symbolic value, health promotion values, Gangwon Province local values, to a clean image. Hands-on education due to social values that can interact, disciplinary research in regional visits to educational value and Gangwon Province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life style. To cook rice cake down the times set in the value of local food culture, etc. Sixth, Gangwon Province as a rice cake or ever visiting the Gangwon Province to learn about. Buckwheat Jeongseon 5-day Market, Bongpyeong-myeon, Yangyang Songcheon Village rice cake, Yanggu Gomchwi Festival visit and purchasing materials the rice cakes and rice cake in length. Gangwon Province when the seventh, making a cake or selling rice cake of materials ever used. Acorn, arrowroot, buckwheat, millet and mixing finely pounded Surichwi, millet and used. The study of rice cake, Gangwon Province as a healthy diet through the culture committee meeting at the development of awareness about the values are expanding, Gangwon Province as well as rice cake to see and hope.

      • 강원도 무용공연 현황분석 : 6개 시 문예회관 공연을 중심으로

        정근영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After having a research into analysi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Kangwon-do dance, I discovered some controversial points. Although there is currently seven Hall of Arts(Kangneung, Wonju, Samcheok, Sokcho, Chuncheon, Taebaek, Donghae) in Kangwon-do only five currently have statistics available. From these five not all the statistics are complete and there veracity is unknown especially in Wonju and Sokcho city Hall of Arts. In the case of Wonju, the statistics only back-date five years, as after this period they are seen as irrelevant and therefore they remain only five years statistics, it is thus impossible to know if the current system is improving. The present state of Kangwong-do is impossible to fully comprehend due to these statistical discrepancies, they are neither officially governed nor complete. However, after researching thoroughly it would seem that current state of Kangwon-do ballet and dance circumstance is rather dire. In Kanrwon-do, they have only five official dance companies. The majority of dance companies are privately run and thus it would seem that the emphasis is weighted more towards financial gain than the promotion of art and culture. All within the Art should be working towards its progression, otherwise it will stagnate. A clear and progressive structure is required from foundation (grass roots level) to professional productions. Otherwise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of Ballet ,Dance and also all kinds of arts work are impossible to accomplish in Kangwon-do. Most of the productions annually staged are amateur. This is fine if one wishes to simply invoke interest in the art, especially ballet, but a cross section of abilities must be viewed to promote progression. Talent must be locally nurtured, with obvious linear routes of development implemented and executed regularly. Above all things, Kangwon-do is definitely lack of public institution which has to assist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dance sphere. They only have one University and a highschool for educate professionally and properly for dance sphere. The introduction of a local governing body consisting of representatives from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could only assist in the progression of Kangwon-do dance circumstance. In conclusion it is impossible to induce a 'quick fix' as the current situation is so unclear. An immediate need to fix these controversial points is The government of Korea, The Arts Council Korea and provincial office of Kangwon-do have to focus on these problems. They have to approach in this controversial points as a long term view. And in the same breath they have to construct a concrete and manifest blueprint as well. Initially, precise and independently collated statistics should be gathered. Thus, a full comprehension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current system can be assessed. A problem-solution approach is the most effective and simple method in tackling the initial problems. With these statistics financial aid, resources etc. can be correctly distributed and effectively utilized and there results can then be (and should be) sporadically assessed. 현대인들은 무용공연과 같은 문화생활을 접함으로서 창의적 사고가 증진되고 삶의 질이 향상되고 있다. 하지만 무용의 경우, 공급자 중심의 무용공연을 고집함으로서 관객에 대한 욕구를 발 빠르게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관람 행태는 도시보다 지방의 공연 관람관객이 극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강원도의 문예회관에서 행해지는 무용공연을 비교분석하여 무용 관객을 확보하고 유치하며, 강원도의 공연문화 발전에 도움이 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강원도 무용공연 현황분석을 위해 강원도 7개 시 문예회관 자료를 바탕으로 연구의 범위를 설정하였으나 자료보관 및 기록의 미흡으로 인하여 범위를 축소 수정했다. 총 6개 시 문예회관의 2002년부터 2006년까지 이루어진 공연은 총2,577건으로 원주가 655건으로 가장 많은 공연을 하였으며, 춘천문화예술회관 613건, 삼척문화예술회관 448건, 태백문화예술회관 358건, 강릉문화예술회관305건, 동해문화예술회관 198건순으로 나타났다. 강원도 무용공연을 시 문화회관별로 살펴보면 총 328건의 공연이 이루어졌으며, 총관객수는 247,942명으로 통계상 나타났다. 강원도 연 평균무용공연건수를 살펴보면 65.6건으로 나타났으며 연평균 49,588.4명이 강원도 문예회관을 찾은 것으로 드러났다. 무용건수를 비교해 보았을 때 삼척과 원주가 각각 91건과 81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는 원주와 삼척에서의 공연이 강원도 내 52.4%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평균 관객 수에 있어서도 원주와 삼척의 경우 54.5%로 절반을 조금 웃도는 수치로 강원도 7개 시 문예회관에서 2개의 시 문예회관이 절반에 가까운 공연과 관객을 유치하고 있는 공연의 불균형 화를 통계상으로 알 수가 있다. 수집된 자료에 의하면 2002년부터~2006년까지 이루어진 공연기록을 보면 학생들에 의한 복합장르무용으로 비전문적인 공연이 이루어졌다. 강원도 다수의 무용단체들은 개인적인 활동으로 국가의 지원이 없어 재정적인 문제에 직면해있다. 많은 단체들이 재정적인 문제에 부딪혀 수준 높은 무용공연의 작품성을 키워나가는데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재정적 지원을 국가나 지방자치단체의 도움으로 무용단체의 기반이 잡혀야 전문적인 작품 활동을 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강원도의 많은 공연활동의 활성화가 불가능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화예술에 대한 장기적인 안목으로 확고한 청사진을 계획해 나가야 한다. 강원도는 지방 자치단체뿐 아니라 국가지원과 관심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위와 같은 공연예술단체의 재정적 문제, 전문적인 교육프로그램의 활성화, 각 시 문예회관의 정확한 통계자료유지 등 문제점들은 해결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