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감성디자인을 주제로 한 오피스 공간 디자인 연구

        최민영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인간이 생활하면서 많은 시간을 소용하는 공간을 거주 공간, 오피스 공간, 여가 공간 등으로 나눠볼 수 있는데 현대 사회에서 오피스 공간은 사람의 휴면시간을 제외하고도 인생의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는 생활의 장으로서 점점 그 의미와 가치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산업화에 따른 업무형태의 다양화, 지식 정보화 시대의 도래, 인텔리전트 빌딩의 출현, 자동화 오피스실의 출현 등 여러 환경적 변화를 겪으면서 현대의 오피스 공간은 오피스 공간 안에서 생활하고 활동하는 인간의 관점에서 공간과 인간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보다 감성적인 공간으로의 변화가 요구되고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디자인분야에서 인간의 감성에 관해 선행연구자들의 연구를 토대로 감성적 특성요소들을 도출해보고 현대 오피스 공간디자인에서 감성적 특성 적인 오피스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감성 오피스 공간디자인 방향성을 제시하려고 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서론에서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방법 및 범위에 대하여 서술한다. 본문에서는 오피스와 감성에 관한 개념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본 논문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론적 기초를 정립한다. 단, 오피스의 이론적 고찰에서는 오피스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서술하고, 오피스 공간의 감성 디자인화에 따른 업무, 환경적인 변화와 중요성에 대해 서술한다. 감성 디자인이 적용 된 오피스 공간 디자인 작품 중 트랜드와 실태를 반영할 수 있는 국내외 다양한 직종의 오피스와 창의적인 업무공간을 연구대상으로 한정하였다. 마지막 결론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내용을 종합하여 현대 오피스 공간디자인의 감성적 공간 특성들에 대한 연구 고찰을 토대로 결론을 제시한다. The persons have been lived many hours in the space where the space can be divided into living, office and leisure of it and the office space in modern society have been encountered more and more to the importance to it’s meanings and values as a place of living consuming most of hours of life except sleeping hours. Also as experienced to many environment changes which means diversification of business type following industrialization, advent of information of knowledge’s era and appearance of intelligent building and automation offices etc, current office space has been requested the change to more emotional space which can be able to mutually communicate with spaces and persons in view of persons living and working in it’s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draw out emotional elements of characteristics as basis on studies of precedent researchers related with emotion of persons in space design field and also draw out it’s purpose and meanings in order to guide the direction of space design in emotional office which can be able to reform office space having emotional nature in current office space design. As an introduction part, I will descript background and purpose of this study, methods and scope of it. As a main body, I will set up the theoretical foundations to help understanding of it’s study as a reviewing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conception related with office and emotion. But in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office, I will describe mainly process of change of office and will also describe works, change of environment and importance followed by emotional design in office space. Also I have restricted subject of study to office of various kinds of occupations in interior and external and creative work space which can be reflected Trend and Real condition among design works in office space adopted to emotional design. Finally I can guide conclusions as basis on reviews of research to emotional space natures in present office space design integrated contents of studytodate.

      • 감성 요소를 적용한 Tea infuser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구실 동서대학교 디자인&IT 전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demand of the consumers is getting more and more individual and diversity. Moreover, the view point of design function is getting focused on the view point of functionalism rather than the view point of emotional design in the development of the modern society. In case of the Tea infuser product, the producers all focus on that how to abstract the emotional area. In this context, the ’emotion issue’ is the main issues in the Tea infuser product design. Therefore, the ’emotion’ concept that offer a joyful and satisfy to consumers is emerging in these days. This research can be seen the almost first research work which tried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 products, and then develop the emotion products as an experimental research. This research mainly has two aims as follows. First of all, the aim of this research work is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products in order to product the guide lines for making emotional products. The other aim is to develop new tea infuser product which follows the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design as a case study. This research work carried out the below steps as a research methods. The first, make a collection of famous products within emotion concept as many as you can; second, choose the representative samples in the collected products following the design team’s common opinions; third, make a interview to 10 designers in different majors and record the results; forth, make a visual grouping analysis to the samples and a linguistic grouping analysis to the interview results using the Emotional Engineering method at the same time; fifth, define the emotional product design characters following the analysis results; and last, make a guide line applying the defined emotional product design . This research woke can be contributed to help people, who want to make emotional design, with the definitions of emotional design.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시대의 트렌드(Trend)를 파악하여 소비자의 감성을 만족 시킬 수 있는 Tea infuser 제품 디자인 개발해보자 한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연구를 통하여 감성 제품 디자인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그리고 이렇게 분석 되어진 감성 제품 디자인 특징을 기반으로 실제적인 제품 디자인에 대한 감성 개념을 적용하고 Tea infuser 제품 개발을 진행해 보았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 논문의 목적을 기술하면, 첫째, 기준 제품의 특징을 분석하여 Tea infuser 제품 디자인개발을 위한 가이드라인(Guide line)을 만드는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위의 감성 컨셉을 적용한 Tea infuser 제품 디자인을 개발하여 제안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런 연구 목적을 갖고 이론적인 선행 연구를 고찰하였다. 이론적인 고찰은 문헌조사를 통하여 연구 하였다. 실증적인 연구는 기존 제품들을 연구 대상으로 감성의 원인을 디자인 전공 학생을 대상으로 인터뷰조사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그리고 분류법과 귀납적 연구 방법이 채택되어졌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 키워드를 중심으로 Tea infuser 을 직접 디자인 개발 사례 연구 진행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물로 사용자에게 새로운 감성만족을 주는 Tea infuser 를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그 동안의 선행연구들의 경우에는 “감성디자인 개발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에 대한 논문들과 “어떻게 감성디자인 해야 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해준 연구가 거의 없었다. 감성디자인 개발 방법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대부분 오감을 만족하는 제품디자인을 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언급만을 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성디자인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잘 모르는 디자이너에게 매우 중요한 감성디자인 방법을 위한 가이드라인 정보를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감성 디자인이 적용된 소재, 표면처리에 관한 연구 : 주방가전제품을 중심으로

        노미래 한서대학교 대학원 산업디자인학과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Consumption became one of important parts of daily life in modern society. The choice of a product became the basis of evaluation for individual. Consequently consumers are very aware of what they chose to purchase in various point of views. Elements such as function or efficiency of a product were the criterion in the period of early to mid industrial development. However recently we are passing the period of design management in which marketing is focusing on design and now entering to the emotion design era. Products in this era need to be not only functional and beautiful, but also emotionally pleasing for consumers. The purpose of emotional design is to reflect such phenomenon to design and try to satisfy emotional desire of consumers for product. Emotional design is applied in diverse types of products, but especially it’s very significant in electronic appliances used in everyday life. The range of electronic appliances is enormous since it’s closely related everyone’s need.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make a product different from other manufacturer’s product in the market. At the moment, difference in technology is almost minimal so that design differentiation by efficient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 is the only method to be distinguished by consumers.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two particular products, refrigerator and rice cooker, because the application of emotional design can be crucial factor for these products’ sales result. The history of refrigerator and rice cooker is less than a century in Korea. However the speed of growth of these products is faster than any other product and its quality of function and design is acclaimed domestically and also internationally. Each manufacturer developed their own technology and design theme continuously and established unique brands. These products pursued emotional design approach through not only its morphological aspect but also material and surface design. Material and surface design can satisfy not only visual but also the sense of touch which is very important for emotional design. Unfortunately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for this area are insufficient compare to its importance. In this study, most commonly used materials and surface design methods were researched, especially for refrigerator and rice cookers. Even though various types of material and surface design are applied to these products, its variation is much less distinguishable than morphological change. In order to create diverse types of products according to consumer and living trend, the importance of material and surface design must be emphasized in product design. For 2010, eco-techno, the trend which emphasizes on eco-friendly and technological aspects, and Zen style, a style focusing on emotions, will attract consumers attention. Therefore natural and eco-friendly material and surface design will be the key elements for product design. 현대 사회에서 소비는 생활의 일부분이 되었고 어떤 제품을 사용하느냐가 개인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었다. 결과적으로 그 어느 때보다 소비자들은 제품을 선택하는 데 있어 신중을 기하고 여러 가지 관점에서 고려한다. 기능이나 성능이 제품의 선택 기준이었던 산업 발전의 초·중기시대를 지나 디자인을 통해 마케팅을 하는 디자인 경영시대도 경험하였고 이제 소비자 감성시대에 돌입하였다. 이제 제품은 기능이 뛰어나고 아름다워야 할 뿐만 아니라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어야 판매될 수 있다. 감성 디자인은 이러한 현상을 반영하여 소비자가 제품에 기대하는 감성적 욕구를 충족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감성 디자인은 다양한 제품에 적용되고 있는데 특히 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가전제품에 활발히 적용되고 있다. 가전제품은 생활 전반에서 사용되는 만큼 선택의 폭이 매우 넓다. 그러므로 타 업체의 제품과의 차별화가 가장 중요하다. 기술력에 있어서는 더 이상 변별력을 가질 수 없는 현재, 감성 디자인의 효과적인 적용만이 제품의 차별화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수 많은 가전 제품 중 특히 감성 디자인이 적용되어 높은 매출을 올릴 수 있는 제품인 냉장고와 전기 밥솥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의 냉장고와 전기 밥솥의 역사는 1세기가 채 되지 않지만 그 어느 품목보다 놀라운 발전 속도를 보이고 있으며 국내는 물론 국외에서도 인정받는 제품이 되었다. 기술력은 물론 지속적인 디자인의 개발을 통해 각 업체별로 개별적인 브랜드를 구축하였다. 이 가전 제품들은 형태적인 디자인 개발은 물론 소재와 표면처리의 개발을 통해 감성 디자인을 추구하였다. 오감 중에 시각과 촉각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소재와 표면처리는 감성 디자인의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소재와 표면처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연구 및 개발이 미약한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소재와 표면처리 디자인 기법을 조사하였고 이 중에서 냉장고와 전기밥솥에 적용된 소재 및 표면처리 디자인 기법에 대한 조사도 이루어졌다. 현재 다양한 소재와 표면처리 디자인이 사용되고 있지만 형태적인 디자인의 변화만큼 소재와 표면처리디자인의 변화는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앞으로의 소비자 경향 및 리빙 트렌드에 맞추어 다양한 제품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감성 디자인과 소재·표면처리 디자인의 중요성에 관심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2010년에는 친환경적인 면과 기술적인 면이 결합된 에코테크노와 감성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새로운 젠 스타일의 트렌드에 맞추어 자연적인 소재와 친환경적 표면처리디자인이 각광을 받을 것이다.

      • 후각적 감정과 시각적 감정의 연관관계 : 향수 향기와 패키지 색채의 공감각적 분석을 중심으로

        이수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21세기 디자인 트렌드 중 하나는 감성디자인이다. 과거에는 제품이나 디자인의 기능적인 측면이 소비자의 구매촉진을 유발시켰다면 현재 소비자의 제품 구매 성향은 제품의 기능적인 측면이 우수하여 생활에 편리를 주는 부분뿐만 아니라 제품에서 자신만의 감성을 자극하여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감성 중심의 디자인 제품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구매를 하고 있는 시점이다. 이러한 경향으로 인해 디자인에 있어서 감성적 요소방법의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다. 감성디자인 중에서도 시각을 통해 감성을 자극하는 디자인이 가장 비중을 크게 차지한다. 우리는 눈을 뜬 그 순간부터 눈을 감고 있는 순간에도 색을 느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만큼 시각은 아주 중요한 감각기관인데 그 중에서도 색채는 우리 생활 속에 있는 모든 사물을 보고 느끼게 해주는 중요한 도구이며, 제품의 가독성을 향상시켜주며 주의를 끄는 효과적인 수단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제품 또는 브랜드의 부가가치를 높이고 상징성을 느끼게 해주는 수단이다. 그렇기 때문에 색채는 제품의 경쟁력과 마케팅 측면에서 평가할 때 디자인의 가치를 높이고 새로움을 주는 것뿐만 다른 감각기관에도 영향을 주어 공감각적인 감각현상을 가능하게 한다. 이렇게 시각은 미각, 청각, 촉각, 후각에 영향을 주어 공감각현상으로 연상 작용을 불러일으키는데, 시각과 미각, 시각과 청각, 시각과 촉각에 대한 연구에 비해 시각과 후각에 대한 연구는 턱없이 부족한 상태이다. 그런 반면 후각감성을 활용하는 감성디자인마케팅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후각은 여러 감각과 연결되어 있으며 기억을 재생하는 과정도 독립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러므로 색채를 통하여 향수와 화장품, 탈취제, 방향제 등의 후각감성 제품의 패키지 혹은 광고에서 공감각적 표현을 통해 제품에 관한 연상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는 큰 장점이 있다. 특히 향수는 패키지에서 나타나는 시각감성과 향기에서 나타나는 후각감성이 연관되어 심미성이 강조되고 그 후각에서 오는 감성 메시지는 상품 자체의 이미지와 동일시 될 만큼 중요하다. 향수 패키지 디자인에 적용되는 색채는 향수 자체의 이미지를 반영하며, 향에 대한 느낌을 대언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 공감각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향기에서 나타나는 후각적 감성을 기초로 하여 실험을 통해 분석을 진행한 뒤 언어적 의미에로 나타나는 결과를 추출한다. 그리하여 향수 패키지의 색채에서 나타나는 시각적 감성을 언어적 의미에서 비교분석하여 향수 향기의 후각적 감정과 패키지 색채의 시각적 감정 일치성 분석에 대한 연관성에 주목하였다. 후각적 감성에 대한 매개체로는 마이클 애드워즈의 향기의 바퀴를 참고하여 소비자에게 가장 많이 판매가 되고 있는 향수의 그룹을 분석하여 7가지 그룹으로 설정하여 향 그룹별 4가지를 이용하여 총 28가지를 실험 자극물로 선정하였다. 실험에 참가한 대상은 국내 20~30대 여성과 남성이었으며 대상인원은 총 20명으로 조사 분석하여 통계를 내고 그에 따른 결과를 도출하였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약 140여개의 향수 제품들의 패키지 색채 이미지를 I.R.I 이미지 스케일을 이용하여 형용사 이미지를 분석하여 시각감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현재 출시되고 있는 향수 제품들의 향 그룹별에 따른 향기와 패키지 색채는 약 60%의 일치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향기와 패키지가 일치한 그룹은 우디, 씨트러스, 그린, 프루티 그룹이었으며 이 그룹들의 패키지디자인 특징은 고명도, 그리고 고채도에서 저채도의 흐름이 이어지는 색조 분포가 나타났다. 이는 고명도의 난색계열에서 향기로운 냄새를 느낀다는 기본적인 문헌적 이론에 근거와 일치하게 나타나는 연구결과로 도출되었다. 또한 현재 출시되고 있는 향수 제품들의 향 그룹별에 따른 색채 디자인 패턴과 이미지 언어를 알 수 있었다. 또한 향수 패키지의 주조색이 무채색인 경우가 많다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하양을 적용한 패키지들은 일러스트나 로고, 또는 향 그룹의 대표적인 이미지를 나타내는 등 향수 이미지에 연관된 색채나 이미지를 포인트로 사용하고 있었다. 또한 검정에 가까울수록 패턴과 다른 색상 없이 로고가 적용되어 전체적으로 디자인이 심플하고 모던하게 나타났다.

      • 감성기반의 웹 그래픽 디자인 모형에 관한 연구 : 웹 사이트 초기 화면을 중심으로

        정승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831

        고객의 요구와 감성이 중요시되는 고도의 정보 시대를 맞아 웹 디자인 분야에서도 '사용자의 감성적 니즈(need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감성정보사회에서는 모든 가치판단이 개개인의 직관적 감성에 의해 결정되며, 사용자의 니즈 역시 감성적, 심리적 만족감이 많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우리는 첫 화면을 보고 웹 사이트의 수준을 가늠하곤 한다. 사실 첫 페이지만 보고서 그 사이트의 좋고 나쁨을 말하기 어려운 것을 잘 알면서도 말이다. 첫 인상을 결정하는 홈페이지의 디자인은 그래서 더욱 중요하다. 그러나, 디자이너가 아무리 멋지게 디자인을 한다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요구하는 감성에 부합될 때에만 원하는 공감이나 애착을 불러 일으킬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과 이에 관련되는 조형적 특성을 알아야만 사용자가 요구하는 감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웹사이트 홈페이지 디자인의 조형적 특성에 대하여 사용자가 느끼는 감성을 추출하고, 이 감성에 부합되는 조형요소들의 특징을 정리함으로서, 사용자의 감성을 웹 사이트의 디자인 과정에 반영시키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범위,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내용 및 범위를 규정하고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감성에 대한 개념 정의와 감성공학을 응용한 여러 감성디자인 사례를 고찰하고 이번 연구의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제 3장에서는 웹 그래픽 인터페이스의 디자인 요소들을 선정하고, 디자인의 조형요소와 원리에 대한 이론적 접근과 기법적 사례를 찾아 제시하였다. 제 4장에서는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조사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분석하여 감성차원과 이에 대응하는 웹사이트 이미지를 추출하였으며, 감성별로 추출된 대표적 웹사이트의 조형적 특성을 분석.평가하여 각 감성에 따른 웹 그래픽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제 5장에서는 연구의 결론과 제한점을 설명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이상의 연구로부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웹 사이트에 대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대표적인 감성과 그 감성을 나타내는 웹 그래픽 디자인의 조형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요인분석을 통해 추출된, 사용자들의 웹사이트에 대한 감성차원은 '화려한', '재미있는', '편리한', '안정된'의 형용사로 대표되었으며, 각각 조형적 특징이 분석되었다. 이들은 사용자들이 요구하는 대표적인 감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웹 그래픽 디자인 과정에서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2. 어떤 감성요소와 어떤 형태의 조형요소 간에는 일정한 관계를 가진다. 사물의 인터페이스는 디자인되는 순간부터 감성을 발생시키며 개인의 사고, 사회.문화적 배경 등에 따라 수신자들의 해석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다양한 해석 역시 각 감성마다 어느 정도 공통된 속성을 가진다. 즉, 각 감성에 대해 포지셔닝 된 대상 사이트들은 조형의 공통적 속성을 가지고 있어, 그 대표적 형태를 분석할 수 있었다. 3. 조형의 특징적 표현에 따라 목적한 감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연구 결과 감성과 조형 요소간에 어떤 일정한 관계를 가진다는 것은, 디자인 과정에서 어떤 감성에 대한 특징적인 조형속성을 적용했을 때 목적한 감성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본 연구에서 조사가 행해진 네 가지 감성 외에 다른 감성에 대해서도 특징적인 형태의 분석을 이끌어 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며, 디자인 과정에 있어서는 목적하는 감성을 표현하는 객관적 기준점으로써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감성을 단일한 형태로 개념화 한다는 것은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혹은 그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객관적인 감성에 대한 연구는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과정으로 볼 수 있으며, 여기서 얻어진 객관적 이미지는 디자인 작업의 진행에서 더욱 신속하고 설득력을 가지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감성디자인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정희 경주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최근 기업 경쟁력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들 중 하나로 그 중요성이 제고되고 있는 감성디자인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기본적인 목적을 두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능 및 성능에 대한 기대차이(제품 기능 및 성능에 대한 사전기대와 실제 사용 후 성과와의 차이)와 감성디자인의 두 독립변수가 소비자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독립변수 중 감성디자인은 문헌조사와 전문가 집단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깔끔한, 심플한, 세련된, 깨끗한, 호감이가는, 균형적 등 14개의 감성어휘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주 연구방법은 설문지 조사(별첨1참조)로서 120명의 대학생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을 위해 SPSS Win 12.0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회귀분석, 요인분석 등 통계적 기법이 이용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능 및 성능에 대한 기대차이와 감성디자인은 모두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준다. 둘째, 기능 및 성능에 대한 기대차이보다 감성디자인이 소비자 만족도에 보다 더 많은 영향을 준다. 셋째, 상황에 따라 감성디자인이 소비자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진다. 즉 기능 및 성능에 대한 기대와 실제 사용 후 성과가 모두 낮거나 또는 높은 집단에서 감성디자인이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능 및 성능에 대한 기대가 낮고 성과가 높은 경우나 그 반대의 경우, 감성디자인은 소비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basic object of this study is to verify how emotional design, which has been considered to be one of crucial elements that decides a company's competitiveness, effects on customer satisfaction. More specially, I studied how the gap between expectation and performance about technical functions of a product. and emotional design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One hundred emotional words representing emotional design, were gathered by literate review. Then 14 emotional words such as neat, tidy, simple, sophisticated, clean, and favorable were drawn out.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with 30 professional. The main method of the study was survey (see appendix #2) and the data from the group of 120 university students was analytical with SPSS win 12.0 frequency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statistical methods used include. The research findings of are; 1) both the gap between expection and performance, and emotional design effect on custormer satisfaction; 2) design has more effect on customer satisfaction than the gap between expectation and performance; and 3) the effect of emotional design is differentiated depending on situation, meaning that emotional design improves customer satisfaction when gap between expectation and performance is low.

      • 21C 감성시대-사상을 통해본 현대 감성디자인과 절로의 미 : 이미지 웹싸이트 제작을 중심으로

        홍수연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831

        현 감성세대를 이끌고 있는 감성철학과 동양의 사상은 감성이라는 공통분모를 가지며 많은 연관성 가지고 있고 그 표현에 있어서도 보다 많은 공통분모를 가지고 있다. 표현의 배경이 되는 사상적 고찰을 통하여 현 감성세대 감성디자인과 절로의 미의 관계성을 고찰해 보고, 그 표현의 가능성을 논하여 보고자 한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먼저 사상적 고찰을 통한 동양 한국 미의식의 원형인 절로의미와 감성철학을 논할 것이다. 한국 미의식의 원형인 절로의 미의식은 '스스로 그러한' 미의식을 바탕으로 탈기교의 기교에 의한 절로의 공간을 창조하는 조형원리이다. 절로의 공간은 남에게 보이기 위해 꾸며 놓은 공간도 사람의 생각이 온통 구석구석까지 미쳐 있는 계획된 공간도 아니다. 꾸며 놓았으되 계획됨이 드러나지 않는 '스스로 그러한 듯' 있는 공간이다. 탈기교의 기교사상은 마땅히 절로의 사상을 잉태하며, 절로의 사상은 탈기교의 기교 사상을 낳는다. 기교가 넘치면 자연스러움을 잃게 되므로 절로를 잃게 되며 기교를 벗겨 버리지 않고서는 '스스로 그러한 듯' 한 자연스러움을 잃게 되기 때문이다. '무념(無念)의 공간'은 아직 어떤 생각도 잃지 않고 있는 백색의 공간이며 마음의 공간이다. 절로의미 사상과 감성 철학을 비교해 보자면, 감성 세대의 기반을 이루고 있는 감성 철학은 감성은 모든 것이 하나로 통합을 지향하는 집약의 에너지, 선에서 말하는 <전기현(全機晛)>이라는 에너지의 폭발을 말하는 것이다. 감성은 합리 작용 외에 통일작용과 조화작용이라는 능력을 갖고 있다. 이것이 우리가 소위 말하는 감(勘), 요령인데 감성이 갖고 있는 합리 작용 외에 통일 작용과 조화 작용이 감성적으로 발휘되어 나타나는 것이 감이나 요령이다. 감성을 왜곡시키는 것이 무엇인가 하는 것에 일본의 철학자 요시무라 시후는 디펜시브한 메카니즘이 원인이라 지적하고 있으며, 디펜시브한 매카니즘 즉 남에게 보이기 위한 욕(慾)으로 인해 감성의 발로를 막는다고 지적하고 있다. 절로의 미의식에서도 절로의 공간을 이루기 위채 탈기교의 기교를 낳기 위해서는 세속의 욕(慾)을 절제하며 '무욕의 조형을 창조하는 미학원리라는 점에서 볼 때에도 한국의 '절로의 미'사상과 감성철학의 연관성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두 사상은 미의식을 이루는 사상적 측면에서 그 맥을 같이 하고 있으므로, 두 사상이 녹아 있는 '절로의 공간미로 표현된 감성 디자인'은 보다 한국인의 감성에 맞는 감성디자인을 제시해 줄 것이다. 본 논문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Ⅰ 장은 서론 부분으로 본 연구가 갖는 목적과 연구의 범위 및 방법을 서술하였고, Ⅱ장에서는 표현의 이론적 토대를 제시하였다. 한국인의 원형의식인 절로의 미의식을 알아보고, 현대 감성디자인 기반인 감성철학과 감성디자인 및 감성세대의 특징을 알아보았으며, 현대 감성철학 사상을 통해 본 <절로의 미>의 관계 및 가능성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자 나름대로 '절로 공간' 개념을 가치고 현대 감성세대를 위한 감성 디자인을 싸이트 작업을 통해 이미지 웹 싸이트로 표현하였다. Ⅳ장은 <절로 공간미를 가지고 표현한 감성 디자인> 싸이트의 가능성에 대한 탐구의 결론 부분이다. Korean beauty is flowing line beauty, low monotonouse sense, round curved shape, texture sense, the beauty of reality & empty and the beauty of space, etc. through Korean history and cultural inheritance, geopolitics. The concept can be called "Korean Naturalism" This reflects simple nature and Korean naturalism. This Korean natural concept is real humanism. Western humanism of reasonable rationalism is the principle without human thought. In this concept, there is no I, You and We. Chuang-tzu said "Everything is satisfied with its nature, if it could be allowed naturally," claiming the idle life of naturalism. It means everything becomes complete natural1y: everything works matually by the circuitous rule in the universe. If we realize the abstract reason of the universe in the Zen, sect, we become a great master. Painting is to play the emotion formed self-ego with the brush, it contributes to the doctrine of oriental painting which expresses beyond the reality of objects. This natural nature comes from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ho loves nature and the combination of oriented naturalism. This re-discovery of the natural beauty of Korea can suggest to us one way to open a subjective modeling art world in this late 20th century's post modernism society. This thesis is as follows: Chapter Ⅰ: Introduction The statement of purpose, scope and method of this study. Chapter Ⅱ: The ideal suggestion of the sense of natural beauty. The introduction of oriental naturalism which affects the Korean, and the possibility of subjective modeling sense without western modeling concept by looking at the natural sense. Chapter Ⅲ: The Introduction and analysis of poster-illustration based on the concept of natural beauty. Chapter Ⅳ: The conclusion of the natural beauty & possibility of independent modeling sense.

      • 감성디자인을 적용한 백화점 문화센터 실내디자인 계획

        오진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In the unlimited competition of distribution market, the manufacturers are working out various marketing strategies such as conducting a preference test and advertising in order to possess superior position than the competitors and to develop the products meeting the needs of the consumers. The department stores in where the products of different brands are displayed and the life cycle of the consumers can be grasped at a gland, are becoming diversified and specialized. The department stores tend to be specialized and upgraded through expanding resting places, and implementing various marketing techniques and culture to cope with such distribution environment. Due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the quality of products has become diversified and the life has become more convenient. On the contrary, the human value and their emotions are getting barrener each day. So perhaps therefore the corporations are implementing various marketing techniques to meet the emotions of the consumers, namely emotional management, emotional marketing, emotional engineering and etc. John Naisbitt, who is renown to be one of the experts in the field together with Alvin Toffler, has predicted the emergence of emotional generation earlier anticipating that the 21st century will be the 3F era led by feeling, female and fiction. Therefore, as for the department stores also, they must take the role of creating cultural spaces while satisfying the emotional/cultural needs of the consumers and not only attracting the consumers by presenting upgraded stores merely aiming at selling the products. The ways to make the plan for a cultural center of department store are as follows. First, consider the general concept of the cultural center and inquire into its functions and roles. Second, it is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for emotion. By finding out the concept and definition of emotions and culture, inquire the meaning of emotion and look in to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the space. Third, it is the application of the emotional design. By analyzing the cases presented in the prior studies, find out the ways to apply the emotional design to the space. Fourth, we will analyze the programming of the cultural center, which is the object for the plan of the emotional space plan. In addition, through the keyword 'Emotion', which is the topic of the 21st century, we will apply human's five senses (sight, hearing, taste, smell and touch) into the space to plan for the space that satisfies the emotions of the customers. While faithfully serving with its educational function, the basic function of the cultural center, which is the life-time learning facility, the emotion (five senses) of the consumers will be applied into the lobby, resting place and lecture room to create various spaces. This would not only be the space aiming at effecting the consuming habits but it will stimulate the cultural emotions of the users and also act as a community space. This will lead to the higher customer satisfaction and naturally meet the corporate requirements to make profits. Furthermore, the corporations will be able to fulfill social roles while improving the corporate image and though such, trust between the corporations and the customers can be built. An expansive directions of the space plan that stimulates good corporate and consumer cultures will be suggested in this thesis. 유통시장의 무한경쟁 속에서 생산자들은 소비자의 니즈에 맞는 상품을 개발하고 경쟁업체보다 우위를 점유하기 위해 소비자의 선호도 조사와 광고 등 다양한 마케팅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각 브랜드 상품들의 전시판매장이면서 소비자들의 라이프 사이클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백화점 또한 다양화 되고 전문화 되고 있는 유통환경 변화에 맞춰 다양한 마케팅 기법과 문화, 휴식 공간 등의 확대를 통한 전문화, 고급화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술력의 발달로 상품의 질과 생활은 편리해지고 다양화되었지만 그에 비해 인간적인 가치나 감성은 갈수록 척박해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기도 하다. 그래서인지 각 기업들은 감성경영, 감성마케팅, 감성공학 등 소비자의 감성에 맞는 다양한 마케팅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앨빈토플러(Alvin Toffler)와 함께 양대산맥으로 불리는 존 나이스비트(John Naisbitt)가 1982년 그의 저서 「메가트렌드(Megatrends)」에서 21세기는 Feeling(감성)ㆍFemale(여성)ㆍFiction(상상)등이 주도하는 3F의 시대가 될 것으로 예견하여 일찍이 감성시대의 출현을 예측한바 있다. 따라서 백화점 또한 단순히 상품판매 목적의 고급화된 매장으로서만 소비자를 끌어들이는 것이 아닌 문화센터 등을 통해 소비자의 감성과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킴과 동시에 생활문화공간으로서 문화생활의 창조자 역할도 필요할 것이다. 백화점의 문화공간인 문화센터 계획의 진행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센터의 일반적 개념에 대한 고찰과 기능과 역할에 대해 조사한다. 두 번째는 감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로서 감성의 개념과 정서의 개념 및 정의를 통해 감성 의미를 알아보고 공간 도입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세 번째는 감성 디자인 적용 방안으로, 선행된 연구들의 사례를 분석하여 감성디자인이 공간에 적용되는 방안에 대해 분석해 본다. 네 번째는 감성 공간 계획의 대상 공간인 백화점 문화센터의 프로그래밍을 분석하고, 21세기의 화두라고 할 수 있는 '감성'이란 키워드를 통해 인간의 오감인 다섯가지 감각(시각,청각,후각,촉각,미각)을 공간에 적용함으로써 고객의 감성에 충실한 공간을 계획해 보고자 한다. 평생학습시설의 하나인 백화점 문화센터의 기본기능인 교육적 기능에 충실하면서 공간을 이용하는 소비자의 감성(오감)을 로비공간, 휴게공간, 강의실 등에 적용하여 오감에 의한 공간적 개념을 통해 다양한 공간연출을 하고 이는 단순한 소비행태만을 목적으로 하는 공간이 아닌 사용자의 문화적 감성을 촉발하고 커뮤니티공간의 역할도 하게 될 것이다. 이는 백화점 고객의 만족도를 높이고 이익창출이 목적인 기업의 요구도 성취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기업의 이미지 개선과 함께 사회적인 역할을 함으로서 이를 통해 기업과 고객간에 신뢰성을 형성하여 올바른 기업문화와 소비문화를 촉진시킬 수 있는 공간계획의 발전적 방향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 도널드 노먼의 감성디자인 관점에서 본 VMD

        서해영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매장 VMD는 현대인의 다양하고 세분화된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에 따라 구매욕구 충족을 위해 다양한 디자인을 선보였다. 이러한 사회 전반의 변화로 인해 고객의 요구를 분석하여 매장 VMD에 적용하는 디자인 접근 방법은 중요한 부분이다. 매장 VMD는 고객의 요구, 기업 경영의 효율화, 수익의 극대화라는 마케팅 전략을 위한 도구이며, 감성 디자인의 중요한 부분이다. 매장에서 VMD에 관련된 종사자는 고객의 시선과 마음을 사로잡기 위한 디자인 방법에 대해서 탐구할 것이다. 이렇듯 인간의 마음을 사로잡는다는 것은 인간의 욕구와 감성뿐 만 아니라, 인간의 두뇌를 자극하는 것이 중요한 핵심일 것이다. 특히 VMD 연출에 있어서 인간의 두뇌에 관한 지식을 이용한다면 좀 더 효과적인 디자인이 될 것이다. 이러한 감성디자인을 본격적으로 탐색하게 된 계기는 도널드 노먼의 저서 『감성디자인』이었다. 도널드 노먼은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동료 교수들과 공동으로 수행한 감성연구에서 인간의 속성들이 두뇌의 서로 다른 3가지 차원에서 비롯된다는 「두뇌 작용의 3단계」을 주장했다. 그의 감성 3차원에 관한 관점을 매장에 적용했을 때, 첫째, 고객의 충동구매나 구매욕구가 더 잘 일어날 것이다. 둘째, 매장 이미지의 표현과 구성 그리고 상품을 구분하는데 있어서 더 체계적일 것이라는 연구자의 가설을 가지고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현장에서 VMD을 표현하는 연출자에게 많은 공감이 될 것이다. 그래서 도널드 노먼의 감성 3차원을 그의 시각과 분석의 틀로 매장 내부 구성에 관해 재해석을 시도했다. 먼저 본능적 디자인은 외형과 관련된 인식단계이다. 인간의 오감은 본능적 디자인에서 주요한 요인이며 VMD 매장에서 컬러가 중요한 변수라는 것을 사례를 통해서 파악할 수 있었다. 행동적 디자인은 전적으로 행동 자체가 중요하며, 행동을 유발할 수 있는 ‘기능’이 가장 중요한 요소이다. 행동적 디자인은 고객의 욕구에 초점을 맞춰 고객을 이해하고 만족시키며, 정확한 피드백이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파악되었다. 회고적 디자인은 범위가 포괄적이다. 이 영역은 전반적인 문화의 흐름, 제품과 제품사용에 관련된 모든 것을 의미하는 것들을 포함하고 있다. 매장 내 상품구성이나 디스플레인 된 매장분위기가 주는 감각적인 체험을 통해 느껴지는 만족감과 즐거움은 쾌락적 가치의 차원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도널드 노먼의 감성 3차원을 적용한 매장 VMD는 브랜드 컨셉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며, 브랜드 가치를 확립하여 주는 디자인 요소이기도 하다. 특히 도널드 노먼의 감성 3차원을 적용한 매장 VMD는 고객의 구매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감성적 디자인 요소라고 주장한다. 도널드 노먼의 이론을 매장 VMD에 적용시킨다면, 기업의 수익창출과 효과적인 감성적 디자인 개발로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그 무엇보다도 고객의 감성을 풍부하게 자극함으로써, 고객은 감동을 받고 그 감동은 고객에게 행복을 제공할 것이다. Store’s VMD displayed various design to satisfy purchase desire according to changes of atomized life-style. It is important part for Design access method that analyze customer need and apply to VMD. Store's VMD is a tool of marketing strategy for customer need, efficiency of business management, maximization of profits, and is a important part of emotional design. Personnel concerned with VMD at store may investigate with design way to catch customer's gaze and mind. In catching human's mind it may be an important part to know human's desire and emotion and to stimulate human's brain. In particular, it will be more effective design to use know­how about human's brain in VMD display. A chance to search emotional design really was the Donald Norman's book, 『Emotional Design』. Donald Norman insisted 'third dimension of brain action'. He performed joint work with fellow professors at northwestern university. In this joint work, he proposed that human's attributes are caused in different 3 dimension of brain in emotion research. When the viewpoint about his emotional third dimension was applied to store, first, customer's impulse buying or purchasing desire may happen more. Second, this research was progressed with researcher's hypothesis that store's VMD is more systematic to express store image and composition and to divide goods. This viewpoint will have a lot of sympathies to director who express VMD on the spot. So, I tried to reinterpret Donald Norman's emotion third dimension. This reinterpretation is about store inside composition with his sight. First, instinctive design is awareness stage related to external form. And I could know that color is an important variable at VMD store by case study. In behavioral design, action itself is entirely important, and the 'Function' that can cause behavior is the most important. Behavioral design understands and satisfies customer focusing on customer's desire, and Behavioral design get to know that correct feedback is important factor. Retrospective design is comprehensive extent. This area includes facts which mean everything connected with flowing of general culture, product and product use. Sensual experience by merchandising or store atmosphere in store is linked to dimension of hedonic value. Therefore, store's VMD applying with Donald Norman's emotional third dimension is able to give brand concept effectively and establish brand value. In particular, store's VMD that apply Donald Norman's emotional third dimension is emotional design component that can make effect on customer's buying behavior. If We applied Donald Norman's theory to store's VMD, we will experience positive aspects to have company's generating profit and effective emotional design development. I assert that first of all, customers are moved from stimulating customer's emotion richly and the emotion may offer customers 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