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미술감상교육이 학생들의 인격형성에 미치는 영향

        변현숙 又石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교육의 큰 과제는 지성과 감성의 조화로운 발전을 유지하므로서 보다 온전한 인격체를 육성하는 것이다.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미술교육은 표현 및 감상활동을 통하여 개인의 미적정서와 창의성의 발달을 돕고 생활환경 개선에 능동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국민적 자질을 기르는데 그 기본 성격이 있다. 미술교육은 독특하고 다양한 경험을 통하여 학생들의 사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고 사물의 특질을 파악할 수 있는 시각적 사고의 증대를 통하여 다양하고 풍부한 현대사회의 시각정보들에 대하여 개방적인 자세로 수용하므로서 환경과 원만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조화로운 인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미술교육의 내용은 표현과 감상 두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두 영역은 서로 동등한 가치를 가지고 상호 보완적으로 지도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의 미술교육의 내용은 표현활동 중심으로 감상활동은 표현활동의 부수적 수단이 되고 있다. 현재 학교에서의 감상활동은 서로의 작품감상하기, 우리나라의 미술품 감상하기, 자연미, 인공미에 대한 감상 등 여러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미술품에 대한 감상은 인간정신의 상징적 소산인 미술품을 이해하는 과정을 통하여 학생들은 복잡하고 다양한 현대미술과 문화를 받아들일 수 있는 지식을 갖출 수 있으며 이러한 지식은 그 가치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것이다. 미술작품은 감상한다는 것은 향수 활동에서 느끼는 쾌감뿐 아니라 미적, 문화적 가치를 이해해야 하는 지성적 활동이 동시에 요구되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현학교 미술교육에서 발달단계의 특성에 따른 감상활동의 과정을 이해하고 미술작품을 감상하므로서 감상의 관점을 발견해내며 그 체계론 습득할 수 있도록하였다. 바람직한 감상활동은 학생 나름대로의 미술품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과정에서 조형요소와 조형원리등을 발견하고 미술품속에 내재되어 있는 다양한 가치를 수용하고 미적감각과 인격을 향상시킴으로서 깊이 있는 미의식함양을 이를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교사는 학생들의 발달단계에 맞는 적절한 미술작품의 선정과 정확한 감상의 관점에 대한 파악, 그리고 학생들의 인격형성에 알맞은 지도요소를 추출해야 하며 미술과 미술품에 대한 폭넓은 이해가 필요하다. 따라서 미술감상활동은 학생들로 하여금 미술작품의 미적가치를 경험에 의해 학생들에게 효과적인 미적감각과 미의식을 형성해 나가며 미술작품을 향수하고 정서적으로 안정된 유능한 인간을 형성하는데 미술감상교육의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The most import task of modern is to bring up around personality by maintaining a harmonious development between intelligence and emotion. The basic character of art education in school is to rear a national feat are which may half individual’s aesthetic feeling and creative development through expressing and apprehending activities and make participate in improvement of life condition actively. Art education makes student express their thought and feeling freely through unique and various experiences, so that it can bring up a harmonious human who may maintain smooth relation with environment by opening attitude on the diverse and rich informations of modern society through increasing vidual though apprehensible the nature of things. The expression and apprehension, two fields of art education, should be thought to be complemented mutually with equal value. The content of art education in korea is, however, that, it, is focusing on expressive activity, and apprehensive one becomes an additional means of it. As for the apprehensive activity, they are interested in various aesthetic features, escaping from realistic ones, and shows rather serious and interesting response on expressive mead, object and technique of works. The apprehensive activity today consists of diverse parts like apprehensions of mutual works, of korean works and of natural and artificial aesthetic, Art apprehension is an understanding process on works which are symbolic results of human mind, and student could have knowledge receiptable complex and various modern art and culture,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cept their values. The apprehension needs both the pleasure felt by nostalgic activity and the intellectuality to understand aesthetic and cultual value. This thesis aims to make student understand the process of apprehensive activity in art education of student, develop a pointview of apprehension by seeing works, and acquire its system. Desirable apprehension is to let student find out and understand the moulding student and principle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and interpretation, works by themselves, and grasp the stream of art history. This could raise a profound aesthetic consciousness by accepting various values included in the works and improving aesthetic sense. The thesis also uses an apprehensive record in order to let student internalize the aesthetic value. To achieve the goal of the thesis effectively, teacher should select suitable works to student developing stage, understand about correct pointview of apprehension, and extract teaching student, and therefore, needs broad knowledge on art and its work. New trend of modern art education is to make broad and systemical study on aesthetics, art history and criticism rather than expressive activity, and to develop contents and methodology on teaching of apprehension. This is to make student have the ability they could cope with complex vidual informations more actively by correct and acute reception of aesthetic value in the position of sense education, as well as a rich life by right acception of great works inherited by human mind.

      • 활동 중심 시 감상 지도 방안

        박순미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시 교육이 교사중심, 텍스트 중심으로 정형화되어 획일화된 정답만을 요구하는 분위기 속에서 학습자가 자연스럽게 문학을 향유하지 못하고 도리어 문학에 대한 거부감을 갖게 된 것에 주목하였다. 그리하여 분석위주의 시교육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습자로 하여금 주체적․능동적인 시 표현활동을 통해 시를 이해하고 즐길 수 있는 시 감상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았다. 반응중심문학의 이론이 받아들여져 전개된 7차 교육과정에 실현된 활동중심 문학 교수․학습으로 학습자들은 능동적으로 시 감상학습에 참여하여 시적체험을 창조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시에 대해 친밀감을 갖게 되고 흥미도도 높아졌다. 그러나 활동중심 문학 교수․학습은 문학 감상보다 활동에 치우친 점, 시 텍스트의 장르적인 특성을 무시하고 서사적인 면에만 주목한 점, 활동규칙이나 방법의 어려움으로 인한 심미적인 체험의 방해, 시를 전체로 감상하지 못하는 점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도 드러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 감상학습의 방법으로 초등학생의 특성에 알맞은 활동 중심 시 감상 수업에 중심을 두고 이를 전개하는 과정에서 드러나는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낭송과 비언어적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한 활동 중심 시 감상 교수-학습 방안을 구안하여 적용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초등학교 시 감상 교육의 목표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살펴보고 시의 장르적인 특성과 교육과정 상에서의 지도요소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활동 중심 시 감상 수업의 개념을 정립하고 활동 중심 시 감상 수업의 의의와 실행과정에서의 문제점을 살펴 본 연구의 토대로 삼았다. 또 활동 중심 시 감상 수업에서의 주요 활동인 낭송과 비언어적 표현활동의 방법과 시 교육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낭송과 비언어적 표현활동을 중심으로 한 활동 중심 시 감상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하였다. 지도단계는 ‘1. 시와 친해지기→ 2. 시 알아보기→ 3. 시 표현활동하기→ 4. 시 표현활동 공유하기→ 5. 시 다시 만나기’의 다섯 단계로 설정하였다. ‘시와 친해지기’ 단계에서는 학습자와 시 텍스트의 심미적 교류, ‘시 알아보기’ 단계에서는 교사의 심미적인 자세, ‘시 표현활동하기’ 단계에서는 소집단 선택활동을, ‘시 표현활동 공유하기’ 단계에서는 다양한 반응 수용하기, ‘시 다시 만나기’ 단계에서는 감상문을 씀으로써 시 텍스트로 돌아오기를 강조점으로 두었다. 소집단 학습을 원칙으로 하며 소집단 협의를 통하여 시 표현활동 유형을 주체적으로 선택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 단계에 시 낭송을 여러 번 배치하고 활동지를 기록함으로써 시 텍스트와 관련한 표현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활동 중심 시 감상 교수-학습 모형을 구안한 후에 이를 초등학교 3학년 시 단원에 적용한 실제를 교수․학습 과정안을 통하여 보여주고 지도 결과 구체적인 아동들의 반응과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 활동 중심 시 감상 교수-학습 모형을 적용한 6차시의 수업이 이루어진 후 아동들이 기록한 활동지와 반응지를 분석하여 활동유형 선택의 양상과 활동 중심 시 감상 수업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을 살펴 연구자의 활동 중심 시 감상 교수-학습 방안의 의미를 찾아 보았다. 아동들은 활동 중심 시 감상 교수-학습 방법에 의한 시 감상 수업에서 시 텍스트와 관련하여 표현활동 유형을 선택하였으며, 시 표현활동을 통한 시 수업이 재미있고 시를 잘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로써 연구자의 활동 중심 시 감상 교수-학습이, 기존의 활동 중심 시 감상 수업의 문제점―활동에 치중하여 문학 감상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인지적․정의적인 면의 균형있는 시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는다.―을 극복한 방법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결국, 연구자가 구안한 활동 중심 시 감상 지도 방안은 학습자가 시 표현활동을 자율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주체적․능동적인 시 감상학습이 되었으며 낭송과 비언어적인 표현활동을 통하여 아동들이 시를 좋아하고 즐기면서도 시 텍스트의 내용이나 주제 또한 잘 이해할 수 있는 시 감상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활동 중심 시 감상 교수-학습 방법에 의한 시 감상 수업을 통하여 아동들은 시를 이해하고 즐기는 능동적인 학습 참여자가 되었다. 초등학교에서의 이러한 시 감상의 경험이 아동들의 가슴에 깊은 인상을 남겨 앞으로의 삶 또한 시와 더불어 살아가고 시를 통해 삶이 풍요로워지기를 기대한다.

      • Amelia Arenas의 대화형 미술 감상법 연구

        문혜자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국문요약 본 연구는 미술작품을 보는 활동만으로 다양한 사고가 길러질 수 있을까? 난해한 현대 작품의 경우 어린이들은 어떻게 반응하고 해석할까? 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되었으며, 그 해답의 하나로 아레나스의 대화형 미술 감상법을 고찰하게 되었다. 대화형 미술 감상법이란 미술감상방법에 대해 미술작품을 새롭게 보는 눈을 기르고 의미를 발견하려는 관심에 부응하여 등장하게 되었다. 아레나스는 미술사적 지식 등을 일방적으로 주입하는 기존의 감상방법 등을 비판하고, ‘보는 그 자체’에 초점을 두어 학생과 교사, 학생과 학생간의 상호 대화를 통해 의견을 교환 수렴하고 내면화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과거의 지식위주의 감상방법에서 벗어나 감상자가 어떻게 보고, 무엇을 발견했는지에 중점을 둔 것으로, 보는 이의 경험과 지식, 생각과 느낌, 함께하는 감상자들과의 상호소통을 중시하면서 감상자 스스로 지식을 구조화하는데 의미를 둔 것이다. 이와 같은 아레나스의 대화형 미술 감상법은 하우젠의 VTS 감상이론과 심미적 발달단계 이론 및 교육학적 인지심리학적인 견해를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VTS는 감상자 중심의 대화를 활용하여 미술작품의 독해능력을 향상시키려는 목적에 따라 감상자가 주체적으로 작품의 관찰과 해석에 중점을 둔 감상교육방법이다. MoMA의 스쿨프로그램에서 구체화되었는데 이를 기반으로 한 아레나스의 주요한 특징은 열린 작품관과 어린이들의 회화를 보는 발달특성을 고려한 작품 감상에 있다. 아레나스는 초심자나 어린이를 대상으로 할때 감상은 교사가 작품에 대한 이들의 의견을 인정해주고 받아들여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교사는 어린이들에게 미술 작품을 잘 보고, 생각하게 한 후 무엇이 보이는지, 왜 그렇게 보았는지, 다른 의견은 없는지에 관해 질문하여 작품을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아레나스는 아시아인들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였는데, 그 과정에서 일본인을 대상으로 Mite! TEACHER'S KIT 라는 초, 중등 감상교육프로그램을 만들었다. Mite! TEACHER'S KIT프로그램에 담긴 공통된 메시지는 어린이들의 관찰법에 대해 교사가 인지한 상태에서 어린이들의 각각의 다른 반응들을 수용-교류-통합이라는 세 단계에 기초하여 대화를 이끌어 가는 것이다. 학년을 구분해 놓긴 했으나, 미술 작품 감상에 관해 초심자라면 연령을 구분하지 말고 3학년 프로그램부터 시작하기를 권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아레나스가 실천한 갤러리토크의 대화형 미술감상 수업의 실례는 감상 교육 시 도움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이처럼 아레나스의 대화형 감상교육 프로그램 실제와 이제까지의 연구를 종합하여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화형 미술 감상은 어린이의 지적 성숙에서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미적경험을 제공해 준다. 물론 지식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정답이 존재하지 않는 식의 미술 감상법에 대해 이의를 제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아레나스가 지향하는 방법이 어린이들의 사고를 발달시킨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을 것이다. 아동들은 자신이 관찰한 것들에 대해 인정받고 대화하는 과정에서 작품을 보는 해석능력이 키워지고 난해한 현대작품을 더욱 열린 시각으로 만날 수 있고, 반복하여 접촉한 미술작품들은 시간이 지날수록 더 많은 해석과 지식들을 탐구하게 될 수 있는 기초가 된다. 둘째, 작품을 보고 자신의 견해를 자유롭게 대화하는 경험을 통하여 어린이들의 학습 의욕과 자신감이 향상될 수 있다. 아레나스의 방법을 활용한다면 어린이들이 현대미술을 주체적으로 감상하고 자신만의 독특한 새로운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그렇게 길러진 보는 눈은 전문가의 견지로 이어질 수 있는 교량 역할의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 셋째, 작품을 보면서 대화를 함으로써 교사와 학생간의 상호작용이 활발해지고 서로 간에 신뢰감이 쌓이게 되므로 인격형성에 도움이 된다. 넷째, 타인의 의견을 경청하는 습관을 기르고 타인으로부터 인정받는 행위를 통해 자아효능감이 더욱 커질 수 있다. 다섯째, 이러한 방법이 정형화되는 것을 지양하고 교사들의 창의적인 연구에 의해 보다 참신하고 다양하게 연구되어져야 한다. 또한 이러한 점과는 별개로, 아레나스의 대화형 감상법을 활용 할때 문제점은 대화의 흐름과 관계없이 교사가 계획한 답을 말할 경우 감상수업 과정을 모조리 무너뜨릴 위험성이 있는 점과 미술교사의 역할이 축소될 수 있는 점 그리고 정답이 존재하는 수업을 진행하는 한 대화형 미술 감상법 역시 정답을 강조하는 미술 감상 수업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보완이 필요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 중학교 1학년 국악감상수업 지도 방안 :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16종 음악교과서 국악 감상곡을 중심으로

        김시연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807

        제 5차 교육과정에서부터 국악교육이 학교현장에서 보통교육으로 자리를 잡기 시작하여 현재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는 음악교과서에 국악이 30~40%를 차지하고 있다. 2007 음악과 교육과정에 맞추어 바뀐 7학년 음악교과서 16종을 바탕으로 국악감상영역에서 내용별 시대별 장르별로 살펴보았으며 국악감상 지도시 학생들과의 상호작용과 이해를 목적으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음악과 7차 교육과정 변천과정과 2007년 음악과 교육과정을 살펴보았으며 감상수업 지도시 전체적 흐름의 이해를 위한 구성주의적 협동학습지도안과 감상모형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악 감상곡의 총 게재된 양은 71곡이었으며 7학년 전교과서에 공통적으로 수록된 곡은 “각 지역별 민요 감상곡” 이다. 제주 민요중 <너영나영> 이라는 곡이 새로 추가되어 7학년 교과서에 새로 수록되었다. 그 다음으로 <산조>가 다양한 장르별로 곡이 실렸으며 피리 산조만 게재되어 있지 않았다. 시조 <동창이 밝았느냐> 와 가곡 <초수대엽> 두곡이 감상곡으로 게재되었으며 풍물놀이는 영남가락 중 “별달걸이” 양방언의 <프론티어> , 김영동의 <물고기의 노래> 가 새로 교과서에 게재되었다 . 셋째 16종 음악교과서에 국악 감상곡이 게재된 인터넷 사이트 분석에서 많이 게재되어 있는 출판사별 순서는 (주) 교학사, 더텍스트가 각각 7개의 사이트 소개로 음악을 좀 더 친숙히 다가갈 수 있도록 수록되었다. 넷째, 16종 음악교과서에 국악감상곡이 많이 게재되어 있는 출판사별 순서는 천재음악출판사(백병동외) 가 23곡, 더 덱스트가 19곡, (주) 박영사 18곡, 미래엔 컬처가 18곡, (주) 성안당이 18곡, 세광음악출판사 18곡으로 많이 게제되어 있었으며 천제교육(민은기외) 국악 감상곡이 4곡 등으로 가장 적게 게제되었다. 다섯째, 국악 감상영경의 시대별 분석을 해본 결과 조선후기에 해당하는 근대음악이 42곡이 게재되어 제일 많았으며 창작음악분야인 현대음악이 34곡이 게재되어 그 다음순위를 기록했다. 이 외에 중세시대의 음악이 6곡, 고대시대의 음악이 6곡 조선시대전기에 해당하는 근세음악이 4곡 등으로 분류되었다. 여섯째, 창작국악감상영역에 해당하는 현대음악부분의 곡이 여러 교과서에 다양하게 게재되어 있다. 가장 많은 현대음악을 게재한 교과서는 6곡으로 (주) 박영사, (주) 미래엔 컬처, 세광음악 출판사가 게재하였다. 하지만 태림과 현대출판사에서는 창작 국악 감상곡을 한곡도 게재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전통음악 감상영역이 총 41곡이 게재되어 있었으며 소분류로는 민속음악이 24곡, 선비음악이 9곡, 궁중음악이 9곡, 종교음악이 2곡으로 분류 및 분석되었다. 또한 창작음악 감상영역이 총 34곡으로 게재되어 있었다. 전통음악 영역에 비해 감상곡의 양이 적어 보이긴 하지만 창작음악 영역이 역사가 짧은 것을 감안하면 결코 적은 양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여덜째, 국악감상 지도방안으로 정악곡으로 <여민락>, 민속악곡으로 <산조>, 창작 독주곡인 황병기의 <침향무> 곡을 제주로 된 가야금 악보로 지도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창작관현악곡으로 이성천의 <청소년을 위한 관현악 입문> 곡을 통해 국악 감상수업에 접근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학교 음악수업시 전문음악교육이 아닌 보통음악교육으로서 목표는 음악의 표현보다는 음악을 듣고 음악의 아름다움을 발견하여 심성을 순화시키는 것일 것이다. 체계적인 감상학습을 통해 국악곡에 좀 더 친근하고 효율적으로 다가갈 수 있는 수업방식을 검토해 보아야 할 것이며, 감상의 특성과 음악적 반응의 감상학습 내용을 살펴보고 지도방법상의 유의점과 바람직한 감상 지도의 방향을 모색해야 학생과의 상호교환으로 우리의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켜 새로운 음악문화 창달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From the 5th curriculum, Korean traditional music took its place in school education. In the revised current 2007 curriculum, Korean traditional music occupies 30~40% of the curriculum. By content, era, and genre, I analyzed 16 Music text books for 7th graders based on revised 2007 music curriculum. And I suggested a teaching plan to enhance students' interaction and understanding. Firstly, I looked into the transition process of 7th curriculum and 2007 music curriculum. For appreciation classes, I suggested a teaching plan for constructive cooperative learning and appreciation model for understanding overall flow. Secondly, total 71 Korean traditional music pieces were included in the textbooks for appreciation. All of the textbooks for 7th graders had "folk songs of each region." <Neo-yeongna-yeong >, the folk song of Jeju island has been newly added to the textbooks. <Sanjo> was included with variety of its genre, but flute sanjo was not included. The sijo, <Dongchang-i balg-atneunya>, and the gagok, <Chosudae-yeob> were in the textbooks for appreciation. “Byeoldalgeori” of Yeongnam melody of Poongmul, <Frontier> by Yang Bang-eun, and <Song of a Fish> by Kim Yeong-dong is newly included in the textbooks. Thirdly, in the analysis on the textbooks' introducing internet websites that contain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appreciation, the textbook publishers- Kyohak and The Text introduced 7 websites, which was the biggest number of the websites introduced among textbook publishers, and helped students have access to Korean traditional music in a more familiar way. Fourthly, to list the 16 music textbooks by the numb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appreciation included, the textbook from Cheonjae Music Publishing(Baek Byeong-dong et al.) includes 23, The Dext 19, Pakyoungsa 18, Mirae and Culture 18, Yi 18, Sekwang Music 18. Cheonjae Education(Min Eun-gi et al.) had the smallest number of Korean traditional music, which was 4. Fifthly, I analyzed the field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appreciation by era. 42 pieces from Modern music,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published most in the textbook. The number of contemporary music of composed music field was 34, that of middle age music was 6, that of ancient era was 6, that of modern music of first half of Joseon Dynasty was 4. Sixthly, many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 music pieces of composed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field were included in a number of textbooks in various ways. Pakyoungsa, Mirae and Culture, and Sekwang Music had 6 contemporary Korean traditional music pieces, the largest number among the publishers, on their textbooks. However, the textbook of Taerim and Hyeondae included none of composed Korean traditional music pieces for appreciation. Seventhly, 41 Korean traditional music pieces were included in the textbooks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To subdivide, there were 24 pieces for folklore music, 9 for literati music, 9 for court music, and 2 for religious music. Also, 34 pieces of composed music appreciation field were included. The number of pieces for appreciation is small compared to the fields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considering the short history of composed music appreciation field, it is never a small amount. Eighthly, regarding a guiding plan for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I suggested a teaching plan with gayageum sheet music of <Yomilak> for jeong-aggog , <Sanjo> for folklore music, and <Chimhyangmu> by Hwang Byeong-gi for composed solo. In addition, I suggested approaching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classes by selecting <Introduction to Korean traditional music orchestra for young persons> by Lee Seong-cheon for composed orchestral music. In school music education, the goal of general music education, not that of professional music education, is to listen to the music, find the beauty of it, and purify a heart rather than to learn expression of music. Organized appreciation learning method should be examined to teach Korean traditional music more familiarly and efficiently. One should look into characteristics of appreciation and musical reactions from appreciation learning, and seek desirable way of appreciation guidance and points to keep in mind in order to interact with students, and inherit and develop our culture for growth of a new music culture.

      • 초등학교 음악감상교육의 실태연구

        이유정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Music education is aimed to develop musical potentiality and creativity, to allow own emotion and thought to be expressed through music, to enhance quality of life, and to enable a wholistic human being. Current music education in our country got much higher in the weight on the appreciation sphere. However, the vocalization education is allocated lots of time centering on the designated essential musical piece on the actually educational field, thereby being the real situation that the music-appreciation education is being relatively in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llow music-appreciation education to develop an individual student's inherent musical ability and to enable the qualitatively enhanced appreciation learning to be performed through right music experience, by grasping problems and seeking for improvement plans after survey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current music-appreciation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 of our country. In terms of this study, first, the significance and objective of music education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theoretical background on importance and necessity for music-appreciation education. Second, the right method in music-appreciation education, and the stage in music appreciation were examined. Third, the musically developmental stage was examined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period in elementary school. Fourth, in order to survey the present status of music appreciation during music instruction at elementary school, the survey and analysis on the actual condition were performed through questionnaire targeting elementary-school students. The questionnaire targeted 444 5th and 6th graders in 3 elementary schools where are located in Jinju-si of Gyeongnam. The results of questionnaire were performed the statistical processing with personnel number and percentage by using SPSS 10.0 for Windows. The questionnaire survey contents were researched and analyzed as a whole on the consciousness level of music appreciation, on the actual condition and contents for music-appreciation education, and on the satisfaction and effect of music-appreciation education. The results, which were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ere recognizing the significance of music appreciation as what feels beauty and pleasure through music. Students in 68% responded that a reason for requiring music appreciation is for taking a rest. Second, the music instructional field, which students like to do the most, was music appreciation. However, they responded that the currently school music instruction is being made centering on vocalization or instrument performance. Third, the majority of students responded to be 1~2 times a year in the frequency of viewing a concert. Even the response of having nothing at all accounted for 31.3%. They responded that the music-appreciation instruction at school is about once per 1~2 weeks, and that the music-appreciation time is about 10~20 minutes. Fourth, the music-appreciation instruction at school is being made centering on classic or Korean classical music. However, students are listening at ordinary times centering on popular songs. Also, the response accounted for 43.5% that likes to listen even in the school music-appreciation instruction. Fifth, students' satisfaction at music-appreciation instruction tended to be generally high. However, they responded that music appreciation is helpful to removing stress and frustration and to diversion, and that music appreciation is conducive to promoting musical knowledge and to developing emotion.

      • 초등학교 미술감상 교육에 대한 연구 : 초등학교 미술감상교육 실태조사와 개선방안

        윤성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미술감상은 인간의 내부에 존재하는 미의식의 가치를 인식하고 감동을 느끼며 창조한 작가의 예술성을 공감하며 그 미적 체험을 표출해 내는 표현의 전 단계이다. 또한 미술감상은 인간의 감정을 순화시키고 자기 자신의 바람직한 감성을 유도하며 참다운 개성을 확립시키며 미적 감각을 넓혀 나가는 데 기여한다. 본인은 초등 미술교육에 있어서 표현 위주의 학습에 치중되어 감상 교육이 소홀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감상교육에 대한 의미와 그 중요성을 문헌을 통하여 알아보고 감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점검해 봄으로써 바람직한 미술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통계조사 분석 자료는 제주도내 초등학교 교사 284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감상교육에 관한 인식과 감상지도 실태를 설문지를 통하여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였다. 감상교육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과의 영역 중 감상 영역의 지도가 가장 어려우며, 현행 초등학교 미술과 감상교육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는 견해가 컸고, 둘째, 많은 교사가 감상교육과 관련하여 작품 감상 및 비평, 미술사에 관한 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전혀 없으며, 나름대로 작품을 비교.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것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컸다. 셋째, 감상 교육과 관련하여 교사 개인의 활발한 연구와 노력이 부진한 것으로 사료되었고 적절한 연수의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으며, 타 교과에 비해 자료개발이 되어있지 않아 질 높은 수업을 하기에 애로점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내용을 토대로 현행 감상교육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찾아보고, 몇 가지 대안책을 제시하여보면 첫째, 감상교육을 위한 가장 중요한 핵심은 교사의 의식 전환이며, 그에 따른 교사의 질 향상을 위한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교사 연수가 필요하며, 둘째, 21세기 문화의 시대를 대비하여 감상 지도 내용과 방법, 교사의 창의적인 교수법이 필요하다. 그리고 셋째로는 학교 미술교육의 발전과 함께 미술문화의 사회적 기반과 역할을 확고히 하고 활성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감상교육이 미래지향적이고 전인적 교육을 위한 역할을 다 하려면, 양적, 질적으로 미술문화의 사회적 분위기 조성과 대중매체를 이용한 프로그램 개설, 각 종 이벤트행사로 감상의 장을 넓혀주고, 교사연수의 기회를 확대하여 교사의 미적 시야를 넓혀줌은 물론, 서양미술 일변도의 감상활동을 지양하고 우리문화와 정서에 기초하여 감상교육을 전개하여야 하며, 미적체험활동, 표현활동, 감상활동이 상호 보완적관계로 대등한 위치에 있음을 알고 타 교과와도 적절히 통합하여 지도하여야 한다. 그리하여 미술을 생활 속에서 다 함께 즐기고 향유하면서 자연스럽게 우리 주변에 둘러싸인 생활환경 모두가 감상의 장이며, 감상대상인 예술품임을 인식할 수 있는 감상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진다면 수준 높은 정서함양이 될 것이고 예술품에 대한 흥미와 관심이 증대되고 스스로 아름다움을 찾고 체득하는 과정에 미술교육의 목적인 전인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다. As a prior phase of expression that aesthetic experience is visualized, fine arts appreciation is that one is aware of the value of aesthetic consciousness of human beings, moved by and have sympathy for that. Art appreciation contributes to purifying human sentiments, building desirable sensitivity, establishing true individuality and enlarging aesthetic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he meaning and significance of fine arts education and present some of the right directions for art education by examining its realities and teachers' opinion on that, as it seemed that art education is disregarded in elementary art education that just focuses on express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84 selec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Jeju-do. A survey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ir view of art education and its realities, and the brief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appreciation was most difficult for them to teach in art education, and the dominant opinion was that the current elementary art appreciation education wasn't proper. Secondly, many of them had had no experience to take education in appreciation, criticism and art history. There was a great tendency to consider themselves unable to compare, analyze or assess works of art. Third, they seemed to make poor efforts for appreciation education, and weren't given an opportunity to take necessary training. And they found much difficulties in providing quality instruction, because there were less materials for that education, compared to other subject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findings,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how better appreciation education could be offered: First, the key requirement is teacher's change of mind-set, and organized, rational teacher training should be provided to enhance teacher qualities. Second, more successful, creative appreciation teaching method is required to prepare for the 21st century's culture. Finally, there should be solid infrastructure for better school art education and art culture. To make appreciation education function perfectly in a future-directed, all-round manner, the kind of social climate that can boost art culture in quantity and quality should be created, and more appreciation opportunities should be offered by holding all sorts of events and developing programs using mass media. Teachers should be given more chances to take required training to broaden their aesthetic outlook. Besides, appreciation education should be based on our culture and our sentiment, avoiding excessive reliance on Western art. It shall be noted that aesthetic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re equal, having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s to one another, and there should be balanced integration between appreciation course and other areas. If appreciation education is properly conducted to help students enjoy art and see every environment around us as a work of art worth appreciating, they will grow up to be well-balanced emotionally, have increasing interest in art, and look for beauty in daily living. And then education for the whole man, the goal of art education, will be realized.

      •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3학년 음악 교과서 분석 연구 : 감상영역을 중심으로

        추화정 건국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감상교육은 음악적 정서와 음악의 애호심을 기르고 음악의 가치를 내면화하여 심성을 계발함으로써 정서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학교 수업에서의 음악 감상교육은 학생들이 음악의 미적 가치를 알게 하는 데 있어 근본이 되는 매우 중요한 과정이다. 우리나라 음악교육에 있어서 교과서는 가장 중요한 학습 자료이며 매체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교육 자료가 미비한 감상 학습에 있어서 교과서의 역할은 막중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행 감상교육은 가창 중심의 학습과 방송 매체에서 파생된 대중음악의 범람으로 소외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상교육의 현실을 인식하고 2003년부터 중학교 3학년에 적용되고 있는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을 분석하여 교육과정의 감상영역에서 제시한 항목이 충실히 구현 되었는지와 그 문제점을 파악하여 무엇을 개선해야 하는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먼저 관련 문헌을 통해 음악의 역사적 배경과 감상교육의 중요성, 교과서에 대해 알아보았고, 제 7차 중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전체 악곡 중 감상영역이 차지하는 비율, 한국음악과 서양음악의 비율, 감상곡 수록 현황, 시대별, 작곡가별, 악곡 종류별, 연주 형태별로 중학교 3학년 7종 음악 교과서의 감상영역을 분석하였다. 교과서의 분석결과 교과서 전체의 내용을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가창의 비율이 42.3%로서 가장 높았으며 감상은 감상 제재곡, 참고 감상곡, 감상자료 부분 등을 모두 포함하였어도 17.8%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7종 교과서에 나타난 감상곡에 있어서 한국음악과 서양음악의 비율은 45.4% : 54.6%로 아직도 서양음악의 감상중심으로 교과서가 구성되어짐을 알 수 있다. 감상곡 수록 현황에서 한국음악 감상곡을 보면 모든 교과서에 실린 곡은 한 곡도 없었으며 '천재'와 '태성' 교과서를 제외한 5종 교과서에 실린 곡은 수제천으로 나타났다. 7종 교과서 중 한국음악을 가장 적게 실은 교과서는 '천재' 교과서로 4곡만 수록되어 있었다. 서양음악 감상곡은 총 56곡으로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서양음악 역시 7중 교과서에 모두 공통적으로 실린 곡은 없었다. 가장 많은 곡을 제시한 교과서는 '세광'이고, 가장 적은 감상곡을 제시한 교과서는 '지학'으로 10곡이나 차이가 났다. 감상곡의 시대에 있어서 한국음악에서는 아직도 전통곡이 현대곡(창작곡)보다 높음을 알 수 있다. 서양음악은 전기 낭만시대 음악이 우위를 보이고 그와 비슷하게 현대 음악이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작곡가별로 보았을 때, 한국음악(창작곡)의 경우 16명의 작곡가를 소개하였다. 이 중 안익태와 백대웅의 작품은 2종의 교과서에 제시되었다. 서양음악에서는 총 39명의 다양한 작곡가를 제시하였고 베토벤, 슈베르트, 드보르작 순으로 작곡가를 수록하였다. 악곡 종류별에 있어서 한국음악은 산조와 영산회상을 가장 많이 선곡하였고, 서양음악은 예술가곡과 교향곡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연주 형태에 있어서 한국음악은 합주 형태의 기악곡에 편중되어 있었다. 그 다음으로 성악곡, 독주 순으로 나타났다. 서양음악 역시 합주 형태의 기악곡이 우세하였다. 한국음악과 서양음악의 전체적인 연주 형태별을 봤을 때 기본적인 연주 형태와 다른 편성도 보여주어 다양한 제시를 하려고 한 점이 보였다. 분석의 결과에서 나타난 문제점의 개선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에 감상곡의 선곡 기준과 범위가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하며, 한국음악과 서양음악의 비율이 균형을 이루도록 하고, 감상학습의 내용이 기초부터 심화된 내용까지 체계적이고, 연관성 있게 재구성되어야 할 것이다.

      •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감상수업 학습지도안 연구 : 베토벤 교향곡 제6번 “전원”을 중심으로

        오승엽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음악교육의 목적은 학생의 음악적 잠재력과 창의성을 계발하고 이를 통하여 감정과 생각을 표현하도록 하며, 삶의 질을 높이고 전인적인 인간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해, 가창, 기악, 창작, 감상의 영역을 고르게 가르쳐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교육 현장에서는 가창을 중심으로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에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가창 이외의 영역 중 감상영역을 선택하여 관련 자료를 수집,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도안을 작성함으로서 보다 효과적인 감상수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먼저 제7차 교육과정내용을 조사하여 그 내용을 감상수업에 적용시켜보았다. 표제음악에 대한 문헌수집과 자료를 바탕으로 고등학교 감상 수업 지도안을 연구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도하고 수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감상곡으로 베토벤의 「전원 교향곡」을 선택하였고 지도안을 작성하기에 앞서 작곡자인 베토벤과 이 곡의 음악사적 의미를 조사하였으며 이 곡에 사용된 악기, 곡 전체의 구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세부적으로는 각 악장의 표제와 주제 선율에 대해 분석하였다. 수업현장에서 감상 할 때의 시간적인 면을 고려하여 차시를 둘로 나누어 1차시는 곡 전반에 대한 내용 설명하는 것을 중심으로, 2차시에는 실제로 음악을 감상하는 것을 위주로 하여 지도안을 작성 하였다. 또한 교육과정에서 강조하고 있는 멀티미디어의 활용, 다른 영역과의 통합학습 등을 고려하여 지도안을 작성 하였다. 멀티미디어의 활용으로는 오디오를 이용한 감상뿐만 아니라 영상물을 적극 활용하여 흥미를 유도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게 하였으며 통합학습 면에서는 감상곡의 주제에 대하여 가르칠 때 직접 시창을 하게 하여 가창과 감상 영역간의 통합을 시도 하였다. 음악 교육의 기본인 감상수업이 효율적이고 흥미로운 수업이 되게 하려면 교사는 가장 적절한 교수방법을 선택하고 자료를 수집하여 학습지도안을 작성해야 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수업을 진행해야 한다.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is to develop musical potential and creativity of students and to help them express their emotions and thoughts through this medium; furthermore, its purpose is to enhance quality of life and enable students to become holistic person. In order to realize these purposes, one must evenly teach understanding, singing, instrumental music, creating, and appreciation. However, it is a fact that in current educational setting, the class only focuses on singing. Therefore, the study selected a field other than singing, an appreciation field, and gathered related data and researched on them to produce a teaching plan so that it could help deliver a more effective appreciation class. First, the paper researched on the 7th Contents of Education Curriculum and applied them into appreciation clas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data on program music, the paper researched for guidance plan for high school appreciation class in order that the paper can find out methods to induce students' interests and attract their attention and participation in class. For musical piece to be appreciated, the paper chose Beethoven's Symphony No. 6 Pastorale; and before writing the teaching plan, the paper researched for meanings of composer Ludwig van Beethoven and the Pastorale symphony in the history of music; further, the paper looked into musical instrumentation and the structure of music and organization of the entire music. For detailed parts, the paper analyzed each chapter's title and its theme melody. Considering the amount of time to be spent in appreciating Beethoven symphony No.6 "Pastorale" in an actual teaching site, the guidance plan was made into two parts: first lesson would focus on explaining the entire symphony, while the second lesson would focus on actually appreciating the music. Further, the guidance plan was made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use of multimedia and synthesized learning with other subjects that the curriculum emphasized. In usage of multimedia, not only that the music appreciation made use of audio, but the videos were used to induce interests and attract attention. For synthesized learning with other subjects, the students were asked to do sightsinging the themes of the symphony, in order that the synthesis between singing and appreciating can be tackled. In order to make appreciation class, which forms the base of the musical education, into a class that is effective and fun, teachers must prepare teaching plan by choosing a appropriate teaching method and gathering various materials ; and the teachers should base this in teaching their classes.

      • William Bolcom의 「에덴동산 (The Garden of Eden)」 감상지도방안

        정소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누구에게나 친숙한 악기인 피아노로 연주되는 현대음악, 그 중에서도 재즈 양식을 활용하고, 청중들로 하여금 쉽게 흥미를 느끼게 하는 현대적인 연주기법을 사용하여 작곡된 윌리엄 볼컴(William Bolcom)의 「에덴동산 (The Garden of Eden)」을 제재곡으로 선정하여 감상지도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현대음악의 개념을 ‘전통적인 음악 양식에서 벗어나 기법과 내용 등 음악의 안팎에서 창조성·다양성을 추구하여 표현하고자 한 음악’이라고 정의하며 현대음악 감상의 필요성을 살펴보았다. 현대음악은 창조적인 사고 계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음악 감상은 예술적 의미를 부여하는 경험을 하게 함과 동시에 소리의 표현 형태를 감지하는 능력을 갖추게 한다. 그리하여 음악적 감수성과 이해력 그리고 통찰력을 키울 수 있기 때문에 교육적으로 가치가 있음을 설명하였다. 이어서 미국 현대 피아노음악의 특징과 재즈 양식을 살펴보며 그 중에서 제재곡에 사용된 ‘랙타임’에 대해 알아보았다. 랙타임이란 평이한 리듬 위에 당김음 리듬이 나타나 대조를 이루는 것을 말한다. 또한 이 양식에는 ‘클래식 랙타임 양식’과 ‘스트라이드 랙타임 양식’이 있으며, 제재곡은 두 양식을 바탕으로 작곡되었다. 다음으로 「에덴동산」작품 개요를 위해 작곡가 볼컴의 생애와 그의 음악적 특징을 소개하였고, 제재곡에 속해있는 네 곡을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음악 요소와 개념 체계표’에 의거하여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한 내용을 토대로 ‘랙타임’, ‘당김음 리듬’, ‘표현어법’, ‘연주기법’, ‘화성과 음계’를 지도요소로 선정하고 이에 따라 감상과 함께 할 수 있는 구체적 표현활동을 지도방안으로 제시하였다. 현대음악이 추구하는 창조성과 다양성은 학교 음악교육에 있어서 새롭고 다양한 음악적 경험을 제공함과 동시에 창의적인 사고력을 높여주며, 통찰력을 바탕으로 음악을 내·외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재즈라는 소재는 현대음악과의 거리감을 좁힐 수 있도록 하여 음악 감상의 범위를 넓혀 준다. 본 연구가 음악 감상 수업에서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시각에서 음악을 바라보며, 감성적·언어적인 표현을 하고, 깊이 있는 음악 감상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임명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치원에서의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유아의 정서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수 방법에 관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과 같은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1.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은 유아의 정서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1.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은 유아의 자기인식·표현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2.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3.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은 유아의 타인인식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4,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은 유아의 타인조절/ 대인관계능력?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1-5.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은 유아의 자기동기화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2.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은 유아의 성별에 따라 정서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 연구의 대상은 실험집단으로 전남 구례군에 위치한 G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0명과, 통제집단으로 인접해 있는 J초등학교 병설유치원의 만 5세 유아 20명씩 40명이었다. 실험집단은 6주 방안 매주 2회씩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음악감상은 하지 않고 주로 이야기 나누기를 통하여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였다.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기 전에 두 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동질성 여부를 파악하기 위해 사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사전검사 결과 두 집단간의 정서능력은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후검사는 실험집단 유아의 정서능력 향상을 위하며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을 6주간 실시한 후 두 집단의 유아를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유아의 정서능력을 측정하기 위하며 평정척도 관찰법으로 이병래(1997)가 제작한 정서지능 체크리스트(만 5세용)와 이영자·이종숙·신은수(2000)가 개발한 유아용 정서지능 평가 도구 중 이병래의 정서지능 체크리스트 하위요소 중에 들어있지 않은 자기동기화능력 요소를 추출하고 재구성하였는데 이는 Goleman(1995)의 EQ의 구성요소 중 중요한 요소가 되므로 삽입하게 되었다. 연구절차는 예비검사, 사전검사, 6주간의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유아의 정서능력 측정 결과 분석은 SAS 프로그램의 t 검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이 음악감상을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유아의 정서능력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음악 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이 유아의 성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에 대한 연구결과 남아와 여아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차이가 있었으며. 남아보다 여아가 유의하게 더 높은 점수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볼 때 음악감상을 통한 다문화 교육 활동이 유아의 정서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 현장에서 음악감상 활동과 다문화 교육이 보다 통합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진다면 유아의 정서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기여를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on children's emotional ability and seeking the teaching method which will be helpful to developing children's emotional ability, The research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on children's emotional ability? 1-1. What ar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on self- awareness and self- expression? 1-2. What ar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on children's self-control ability? 1-3. What ar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on others' awareness? 1-4, What ar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on children's control over others and relationship with others? 1-5. What ar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on self-motivation? 2. What are the e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according to children's sex?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in total;20 children of age 6 in G elementary school kindergarten in Gu-rye, Jeonnam participated in experimental group and 20 children of age 6 in J elementary school kindergarten located in the county near to Gu-rye participated in control group.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twice a week for 6 weeks and children of control group just had talks, not participating in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Pretest was administered to examine whether two groups have a homogeneity or not before applying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but there weren't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 ability. Posttest was conducted to develop children's emotional ability after applying six weeks'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in the same way of Pretest. The measurement of children's EQ was conducted by evaluation criterion, E(J checklist (for six-year-old children) made by Lee, Byeong rae(1997) and self motivation (not included in EQ checklist made by Lee, Byeong rae) was extracted and reconstructed from EQ measurement instrument for children invented by Lee, Yeong ja, Lee, long suk and Shin, Fun soo (2000). Self motivation is the essential factor of Goleman(1995) EQ. That's why self motivation was inserted. Research procedures of collected data were arranged by preliminary survey,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for 6 weeks, posttest and the analysis of measure results of children's EQ was conducted by t-test by SAS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who participated in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children of control group. Secondly, the results of the affec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according to children's sex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female and male students and male students got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female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children's EQ. Accordingly, multicultural education with music appreciation will contribute to increasing children's EQ if it is actively utilized in an integrated way at the childhood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