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코로나19 전담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의사소통 능력 및 간호근무환경이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정태명 인천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descriptive research design to identified the nursing professionalism,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nursing working environment degree of COVID-19 dedicated hospital nurse, and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person-centered care. Methods: Participants were 211 nurses working in one tertiary hospital, two general hospitals, and one hospital operating as a COVID-19 dedicated hospital in the metropolitan area.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analysis, an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6.0 program. Result: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42±0.43, communication competence was 3.58±0.53,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3.05±0.50, and person-centered care was 4.01±0.51. The difference in nurs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F=2.896, p=0.036)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linical career(F=6.685, p<.001), hospital type(F=7.989, p<.001). Person-centered ca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clinical career(F=9.756, p<.001), hospital type(F=12.039, p<.001). Person-centered ca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r=.574, p<.001), communication competence(r=.555,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r=.448, p<.001). As a result of multipl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mmunication competence(β=0.331, p<.001), hospital type(β=0.253, p<.001), nursing professionalism(β=0.233, p=.002), nursing work environment(β=0.181, p=.006) and clinical history (β=-0.109, p=.045) in that order. The regression model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F=30.467, p<.001), and showed an explanatory power of 49.6%. Conclusion : In order to improve person-centered care, it was necessary for individuals and hospital organization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nurses to participate in various education and programs to enhance their nursing professionalism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In addition, it seemed that efforts were needed to prepare and maintain a positiv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through manpower expansion and material suppor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코로나 전담병원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의사소통 능력, 간호근무환경, 인간중심간호의 정도를 파악하고, 인간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방법: 수도권 소재의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운영 중인 상급종합병원 1곳과 종합병원 2곳, 병원 1곳에서 근무하는 평간호사 211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및 Scheffé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하였다. 결과: 간호전문직관은 평균 3.42±0.43점, 의사소통 능력은 평균 3.58±0.53점, 간호근무환경은 평균 3.05±0.50점, 인간중심간호는 평균 4.01±0.51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임상경력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F=2.896, p=.036)를 보였다. 간호근무환경은 임상경력(F=6.685, p<.001), 병원유형(F=7.989, p<.001), 인간중심간호는 임상경력(F=9.756, p<.001), 병원유형(F=12.039, p<.001)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인간중심간호는 간호전문직관(r=.574, p<.001), 의사소통 능력(r=.555, p<.001), 간호근무환경(r=.448,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중회귀 분석 결과 의사소통 능력(β=0.331, p<.001), 병원유형(β=0.253, p<.001), 간호전문직관(β=0.233, p=.002), 간호근무환경(β=0.181, p=.006), 임상경력(β=-0.109, p=.045)의 순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 회귀모형은 통계적으로 유의(F=30.467, p<.001)하였으며, 변수의 전체 설명력은 49.6%로 나타났다. 결론 : 인간중심간호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개인 및 병원 조직은 간호사가 간호전문직관과 의사소통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과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인력 확충과 물질적 지원 등을 통해 긍정적인 간호근무환경을 마련하고 유지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남자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이시라 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남자간호대학생들의 바람직한 간호전문직관 정립을 위해 나아갈 간호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남자간호대학생의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기간은 2010년 5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4년제 간호대학의 남자간호대학생 2, 3, 4학년 14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도구는 &#8988;간호사이미지&#8991;, &#8988;전공만족도&#8991;, &#8988;간호전문직관&#8991;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dow 17.0 program을 이용하였고, 실수와 백분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Linear Regression(Stepwise)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 연구대상자의 간호사이미지 점수는 최대 5점에서 평균평점 3.75±0.43점이었으며, 전공만족도는 최대 5점 중 평균평점 3.77±0.54점, 간호전문직관은 최대 5점 중 평점평균 3.63±0.45점이었다. 2. 간호전문직관과 전체 간호사이미지의 상관관계는 r=.82(p<.001)였으며, 간호전문직관과 전공만족도의 상관관계는 r=.71(p<.001)으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3. 연구대상자의 학년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2학년 3.65±0.35점, 3학년 3.47±0.58점, 4학년 3.76±0.47점으로, 3학년이 2학년과 4학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F=3.64, p=.029), 아버지의 직업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아버지 직업이 있는 경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61, p<.001). 4.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간호사이미지, 전공만족도의 하부영역과 일반적 특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학년과 아버지 직업 유무를 독립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사회참여’, ‘자질’, ‘일반만족’, ‘역할’을 포함한 회귀식이 74.4%의 설명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남자간호대학생들이 간호사가 된 후에 임상현장에 보다 잘 적응하고 간호전문가로서의 역할을 담당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현재의 수준보다 높은 간호전문직관을 정립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간호사의 ‘사회참여’ 이미지에 더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3학년 학생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전공에 보다 쉽게 적응할 수 있는 교육적 중재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n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with the major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the male students in nursing. The research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with a structured questionnaire, a sample of 143 male students in nursing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2010 to September, 2010 using instrument for the nurse image, the satisfaction of major and the nursing professionalism. The linear regression analyzed with the stepwise approach were us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of major on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male students in nursing. The mean scores of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of major were respectively 3.75±0.43 and 3.77±0.54. The mean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was 3.63±0.45. The social participation, the aptitude, the general satisfaction, the rol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explainning for 74.4% of the variance in nursing professionalism. In conclusion, nursing professionalism is developed from nursing students based on the nurse image and satisfaction of major when they are in college. To level up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ursing students, nursing education system should concern about social image of nurses and apply supportive care to male nursing students. Key word : Male student in nursing, Nursing professionalism, Nurse image, Satisfaction of major

      • 학업병행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간호전문직

        김태은 아주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업병행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간호전문직관 본 연구는 학업병행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파악하고,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가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국내 대학원 석사 및 박사 학위과정 중인 남녀 간호사 121명을 대상으로 자료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은 2021년 6월 30일부터 8월 31일까지 2개월간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의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는 t-test, ANOVA, 사후검정으로 Scheffé 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간호전문직관 간의 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는 평균평점 4점 중 2.47(±0.31)점, 사회적 지지는 평균평점 5점 중 4.06(±0.49)점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은 평균평점 5점 중 3.47(±0.44)점이었다. 2.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를 살펴보면, 대상자의 학업과정(F=-2.76, p=.007), 전공분야(F=3.27, p=.024), 병원 근무기간(F=4.35, p=.015)에 따라 간호전문직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사회적 지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46, p<.001)를 보였으며, 직무스트레스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r=-.431, p<.001)를 보였다. 4. 연구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회귀분석결과, 대상자의 직무스트레스(β =-.278, p =.003), 사회적 지지(β =.234, p=.015), 병원 근무기간(β =.190, p =.018)이 유의한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7.9%(adj. R2=0.279)로 나타났다(F=12.62, p<.001). 결론적으로 학업병행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은 근무기간과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병행 간호사에 대한 가족, 동료, 상사의 관심 증대 및 이들의 사회적 지지를 높이고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추기 위한 조직차원의 노력을 통해 궁극적으로 학업병행 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전문간호사의 정치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박우영 연세대학교 간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identifies the job characteristics and the degree of nursing professionalism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s a factor influencing their political competency and determines a way to improve such political competency by identify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is facto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June 16, 2021 for advanced practice nurses who have acquired one or more advanced practice nurse licenses in 13 fields recognized by the Medical Act, registered with the Korean Association of Advanced Practice nurses, and are currently working in hospitals and local communitie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program using a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from June 16 to September 16. A total of 135 people responded, of which 4 questionnaires were not suitable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13 questionnaires with some missing responses were omitted; a total of 118 questionnaires were finally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By gender, 97.5% of the participants were women, and most were in their 30s (58.5%). As for the position, general nurses accounted for the most at 62.7%, and those with less than two years of experience as professional nurses accounted for the most at 48.3%. A total of 30.5% of the participants had political competency education experience, 24.6% had experience i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14.4% had joined a political party. 2. Regarding the degree of political competency, participants scored an average of 3.00±0.54 out of 5, and by sub-domain, the score for political efficacy was 3.86±0.55, political activity was 2.95±0.66, political knowledge was 2.92±0.65, and political interaction was 2.28±0.81 points. The degree of job characteristics showed an average of 3.69±0.41 points out of 5, and by sub-area, feedback was 3.97±0.54, task importance was 3.89±0.59, task identity was 3.74±0.68, autonomy was 3.55±0.7, and variety was 3.28±0.58 points. The degree of nursing professionalism averaged 3.38±0.48 out of 5 points, and by sub-area, professionalism of nursing was 3.71±0.52, the roles of nursing service was 3.59±0.63, selfconcept of the profession was 3.45±0.54, and social awareness was 3.15±0.57, and originality of nursing was 3.01±0.66 points. 3.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political competency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ased on the following: age (t=2.392, p=0.018), place of work (t=2.525, p=0.013), position (t=5.693, p=0.004), experience as an advanced practice nurse (t=4.065, p=0.008), educational experience (t=2.960, p=0.004), and political party membership experience (t=3.628, p<0.001). 본 연구는 전문간호사의 정치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전문간호사의 직무특성과 간호전문직관의 정도를 파악하고 정치적역량과의 관련성을 규명함으로써 전문간호사의 정치적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상관성 연구이다. 본 연구는 의료법에서 인정하는 국내 13개 분야에서 1개 이상의 전문간호사 자격증을 취득하여 한국전문간호사협회에 등록하고 현재 의료기관, 지역사회 등의 실무에서 근무하고 있는 전문간호사를 대상으로 2021년 6월 16일부터 9월 16일까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 프로그램을 통해 자료수집을 실시하였다. 총 135명이 응답하였고 이 중 연구의 목적에 적절하지 않은 대상자의 설문지 4개와 일부 응답이 누락된 설문지 13개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118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성별은 여성이 97.5%로 대부분이었고 연령은 30대가 58.5%로 가장 많았다.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62.7%로 가장 많았으며 전문간호사 경력은 2년 이하가 48.3%로 가장 많았다. 정치적역량 교육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30.5%였으며, 정치 참여 활동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24.6%, 정당 가입 경험이 있는 대상자는 14.4%였다. 2. 대상자의 정치적역량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00±0.54점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별로는 정치효능감 3.86±0.55점, 정치행동 2.95±0.66점, 정치지식 2.91±0.65점, 정치적상호작용 2.28±0.81점이었다. 직무특성의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9±0.41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피드백 3.97±0.54점, 과업중요성 3.89점±0.59점, 과업정체성 3.74점±0.68점,vi 자율성 3.55점±0.74점, 기술다양성 3.28±0.58점이었다. 간호전문직관 정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38±0.48점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별로는 간호의 전문성 3.71±0.52점, 간호실무역할 3.59±0.63점, 전문직 자아개념 3.45±0.54점, 사회적인식 3.15±0.57점, 간호의 독창성 3.01±0.66점이었다. 3. 대상자의 정치적역량은 일반적 특성 중 연령(t=2.392, p=0.018), 근무지(t=2.525, p=0.013), 직위(t=5.693, p=0.004), 전문간호사 경력(t=4.065, p=0.008), 정치적역량 교육 경험(t=2.960, p=0.004), 정당가입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t=-3.628, p<.001). 4. 대상자의 정치적역량, 직무특성,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에서 직무특성과 정치적역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간 크기의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395, p<.001), 간호전문직관은 정치적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간 크기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343, p<.001). 5. 대상자의 정치적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한 결과 직무특성의 하위 영역 중 기술다양성(β=.247, p=.005), 간호전문직관(β=.211, p=0.16), 근무지(β=-.169, p=.043) 순으로 정치적역량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정치적역량 측정 도구를 활용하여 전문간호사의 정치적역량 수준을 파악하였으며 정치적역량, 직무특성, 간호전문직관 간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직무특성의 하위영역 중 기술다양성과 간호전문직관, 그리고 근무지가 전문간호사의 정치적역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전문간호사의 정치적역량을 향상하기 위해 전문간호사의 직무특성과 간호전문직관을 고려한 정치적역량 관련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또한 전문간호사의 업무 및 환경적 특성을 고려한 유연하고 합리적인 직무설계 개발과 전문간호사 직무 수행의 자율성과 독자성을 높이기 위한 관련 기관 및 협회 차원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

      •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희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요양병원 간호사의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주희 (지도교수: 신소영) 간호학과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요양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 재직의도의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고, 재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추후 이들의 재직의도를 높이기 위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 대상자는 B광역시에 소재한 9개의 요양병원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중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며 연구 참여에 동의한 183명이다. 자료수집은 2020년 07월 06일부터 07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window 26.0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one-way ANOVA, 사후검정은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는 총 183명이며, 평균연령은 41.66±12.29세로, 20∼29세가 25.7%(47명)로 가장 많았다. 성별은 여자가 96.2%(176명)로 많았으며, 배우자 유무에서 배우자가 있는 자는 55.2%(101명)였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12.09±8.58년으로, 5년 미만이 24.6%(45명), 5∼10년 미만이 19.7%(36명), 10∼15년 미만이 16.4%(30명), 15∼20년 미만이 19.1%(35명), 20년 이상이 20.2%(37명)였다. 현 병원 근무경력은 평균 2.56±2.80년으로, 1년 미만이 31.7%(58명), 1∼3년 미만이 38.3%(70명), 3∼5년 미만이 14.8%(27명), 5∼10년 미만이 10.9%(20명), 10년 이상이 4.4%(8명)였다. 근무형태는 고정근무 42.1%(77명), 2교대 근무 19.7%(36명), 3교대 근무와 상근근무는 각각 19.1%(35명) 순으로 나타났다. 병상수는 100∼200병상 미만이 35.0%(64명), 300병상 이상이 34.4%(63명), 200∼300병상 미만이 25.1%(46명), 100병상 미만이 5.5%(10명) 순으로 나타났다. 교육정도는 대학교 졸업이 53.0%(97명)로 가장 많았으며, 3년제 졸업이 38.3%(70명), 대학원 이상이 8.7%(16명)였다. 월급여는 250만원 미만이 54.1%(99명)로 가장 많았으며, 250∼300만원 미만이 36.1%(66명), 300만원 이상이 9.8%(18명)였다. 2. 대상자의 역할갈등은 135점 만점에 88.91±10.27점이었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관은 90점 만점에 62.57±8.15점이었고, 간호근무환경은 116점 만점에 79.99±9.03점이었다.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30점 만점에 20.54±4.27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역할갈등의 차이는 성별(t=2.52, p=.012), 현 병원 근무경력(F=2.96, p=.021), 근무형태(F=4.99, p=.002)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은 병상수(F=4.57, p=.00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호근무환경은 현 병원 근무경력(F=2.78, p=.028), 병상수(F=7.0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재직의도는 연령(F=2.71, p=.032), 배우자 유무(t=3.51, p=.001), 병상수(F=7.0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재직의도는 간호전문직관(r=.39, p<.001), 간호근무환경(r=.5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역할갈등(r=-.30, p<.001)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 간호전문직관(r=.48,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8. 대상자의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병상수(β=-.15, p=.026), 간호전문직관(β=.19, p=.007), 간호근무환경(β=.36, p<.001)으로 나타났다. 병상수,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의 재직의도에 대한 설명력은 34.0%였다(F=16.66, p<.001). 결론: 본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의 병상수,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이 재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요양병원 간호사의 재직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적 차원에서 간호전문직관과 간호근무환경이 주요 영향 요인임을 인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효과적인 중재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주제어: 요양병원, 역할갈등, 간호전문직관, 간호근무환경, 재직의도 Abstract Influence of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by Joo Hee Kim (Advisor: Prof. So Young Shin, Ph.D., RN) Department of Nursing Graduate School, Inje University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degree of and relationships among role conflict, nursing professionalism,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retention intention of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By identifying the factors influencing retention intention, it has a purpose to provide basic data needed to develop effective programs for increasing their retention intention later. Method: Among the nurses working at 9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this descriptive study included 183 subjec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fter understating its purpose and metho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with the structured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July 6th through July 31th,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one-way ANOVA, Scheffé test for post-hoc analysis, Pearson's co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the IBM SPSS window 26.0 program.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 total of 183 participants, their age varied in the range of 41.66±12.29, with the largest age group 20 to 29 (n=47) accounting for 25.7%. For gender, 96.2% (n=176) was female, and for marital status, 55.2% (n=101) was found to live with spouse. Total clinical experiences varied in 12.09±8.58 years, specifically under 5 years for 24.6% (n=45), 5 to 10 years for 19.7% (n=36), 10 to 15 years for 16.4% (n=30), 15 to 20 years for 19.1% (n=35), and over 20 years for 20.2% (n=37). Clinical experiences in current hospital was in the range of 2.56±2.80 years, specifically under 1 year for 31.7% (n=58), 1 to 3 years for 38.3% (n=70), 3 to 5 years for 14.8% (n=27), 5 to 10 years for 10.9% (n=20), and over 10 years for 4.4% (n=8). By working type, the most was fixed work for 42.1% (n=77), followed by two shifts work for 19.7% (n=36), three shifts work and sprint work for 19.1% (n=35), respectively. For number of beds, the highest portion was 100 to 200 beds for 35.0% (n=64), followed by over 300 beds for 34.4% (n=63), 200 to 300 beds for 25.1% (n=46), and under 100 beds for 5.5% (n=10). For education level, bachelor was the most for 53.0% (n=97), followed by 3-year diploma for 38.3% (n=70), and master and over for 8.7% (n=16). For monthly income, the highest portion was under 2.5 million Korean won for 54.1% (n=99), 2.5 to 3 million Korean won for 36.1% (n=66), and over 3 million Korean won for 9.8% (n=18). 2. The mean score for role conflict of the subjects was 88.91±10.27 out of 135 points. The mean score for nursing professionalism was 79.99±9.03 out of 90 points and the mean score for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76.99±9.03 out of 116 points. The mean score for retention intention of the subjects was 20.54±4.27 out of 30 points. 3. Role conflic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gender(t=2.52, p=.012), clinical experiences in current hospital (F=2.96, p=.021) and working type (F=4.99, p=.002). 4. Nursing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umber of beds (F=4.57, p=.004). 5. Nursing work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experiences in current hospital (F=2.78, p=.028) and number of beds (F=7.06, p<.001). 6. Retention inten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ha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ge (F=2.71, p=.032), living with spouse (t=3.51, p=.001) and number of beds (F=7.06, p<.001). 7. Retention intention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39, p<.001)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r=.51, p<.001).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role conflict (r=-.30, p<.001)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48, p<.001). 8.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s influencing retention intention of subjects were number of beds (β=.15 p<.026), nursing professionalism (β=.19, p<.007)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β=.36, p<.001). The explanatory of number of bed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retention intention was 34.0% (F=16.66,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s that for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number of bed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retention intention. Therefor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organizationally perceiv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as main influential factors and develop effective mediating programs to enhance retention intention of the nurses at long-term care hospitals.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Key words: Long-term care; role; conflict; professionalism; workplace; retention

      • 간호 자율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

        백미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문개요 본 연구는 간호사의 간호 자율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직무스트레스와 간호전문직관의 매개 효과를 파악하고, 간호사의 간호 자율성을 향상시키고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는 S시에 소재한 500병상 규모의 K의료기관에 재직하는 간호사로 본 연구의 목적과 자료 수집 절차에 대해 이해하고 연구에 참여하기로 동의한 간호사 93명이였다. 자료 수집 기간은 2019년 8월 12일부터 8월 19일까지 진행하였다. 연구 도구는 간호 자율성 측정 도구(Schutzenhofer Professional Autonomy Scale: SPAS), 직무만족도 측정 도구와 간호전문직관 측정 도구, 직무스트레스 측정 도구로 이루어져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는 SAS version 9.4(SAS Institute, Cary, N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결과 연령은 25~29세가 45.1명(45.16%)으로 가장 많았으며, 결혼 상태는 미혼이 83명(89.25%)으로 가장 많았다. 종교는 무교 그룹이 62명(66.67%)으로 가장 많았으며, 최종 학력은 4년제 졸업이 75명(80.65%)으로 가장 많았다. 근무경력은 5년 이상이 35명(37.63%)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직위는 일반 간호사가 91명(97.85%)으로 가장 많았다. 근무 부서는 외과계 병동이 39명(41.94%)으로 가장 많았고, 월 평균 야간 근무 수는 6회가 44명(47.31%)으로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대상자가 인지하는 업무강도는 상이 64명(68.82%)으로 가장 많았다. 2. 직무스트레스, 간호전문직관, 간호 자율성, 직무만족도는 Likert 5점 척도를 기준으로 3.80±0.51, 3.49±0.31, 3.02±0.58, 2.96±0.36의 순으로 나타났다. 3. 인구학적 특성 및 근무 환경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에서는 연령(F= 3.808, p=.026)과 업무 강도(t=12.801,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간호 자율성과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간호 자율성과 간호전문직관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가지며(r=.277, p<.01), 간호전문직관과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을 확인할 수 있었다(r=.535, p<.01). 즉, 간호 자율성이 높을수록 간호전문직관의 점수가 높아지고 직무만족도도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간호 자율성과 직무스트레스는 유의한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는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r=-.385, p<.01). 5. 간호 자율성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β=-.006, p>.05). 간호 전문직관의 매개 효과 검증에서 간호 자율성은 간호전문직관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β=.277, p<.01), 간호전문직관이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β=.503, p<.001) 간호전문직관이 간호 자율성과 직무만족도에 매개효과로 확인되었다. 직무스트레스 매개효과 검증에서는 간호 자율성은 직무스트레스에 유의한 영향이 나타나지 않았으며(β=-.105, p>.05),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확인되었다(β=-.333, p<.001). 이상의 결과는 간호전문직관이 간호 자율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 자율성을 통한 간호전문직관의 증진을 유도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임을 의미하다. 직무스트레스는 간호 자율성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관계를 매개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그러므로 임상현장에서 간호 자율성과 간호전문직관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간호사의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다양한 접근으로 직무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할 것으로 보인다.

      •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강현옥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descriptive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self - 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research data for the subject of study was collected from 609 students in total from Aug. 20 to Sep 10, 2009, including 299 students from 3 universities and 310 from 2 junior-colleges in D city. The instruments for this research was the Professional Self-Concept of Nurses Instrument(PSCNI),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WIN 12.0 program, which determined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 The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is 2.7 points out of 4, th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tice 2.9 out of 5, and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3.3 out of 5. Difference in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shown in gender, religion, type of residence,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grade, reason for choosing the nursing department,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jor, relationship with peers during the practice, difficulty with relationships, person in charge of practice, major facility for practice, and the practice workload. Difference in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as shown in educational system, experience of practice, religion, the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reason for choosing the nursing department,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jor, relationship with peers during practice, difficulty with relationships, person in charge of practice, and satisfaction with amount of practice workload. Differ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 of the subjects was shown in gender, experience of practice, satisfaction with college lif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and major, relationship with peers during practice, person in charge of practice, major practice facility, and satisfaction with practice workload.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among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If we examine the main factor for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subjects, practice experience is ranked first, followed by satisfaction with amount of practic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self-concept of professional nursing,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In conclusion, the main factors of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are practice experience, satisfaction with the amount of practice and the practice, self-concept on professional nursing,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Therefore, we need to continuously study how to increase satisfaction with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self-concept of a professional nursing, and satisfaction with clinical practice. By understand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of student nurses, we can derive a more reasonable and effective curriculum and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 만족도 및 임상수행능력과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자에 대한 자료수집은 2009년 8월 20일부터 9월 10일까지 D 광역시의 3개교 4년제 간호학생 299명, 2개의 3년제 간호학생 310명 총 6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였다. 연구도구는 Arthur(1990)가 개발한 것을 송경애와 노춘희(1996)가 번안한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조결자와 강현숙(1984) 및 이성은(2001)이 개발한 것을 이순희, 김숙영, 김정아(2004)가 수정 보완한 임상실습 만족도 측정도구, 이원희 등(1990)이 개발하고 최미숙(2005)이 수정·보완한 임상수행능력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SPSS/WIN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평균,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간호전문직 자아개념은 4점 만점에 2.7점, 임상실습 만족도는 5점 만점에 2.9점, 임상수행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평점 3.3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차이는 성별, 종교, 거주형태, 대학생활 만족도, 학업성적, 간호학과 선택 동기, 실습 만족도, 전공 만족도, 실습동료와의 관계, 어려웠던 대인관계, 주 실습지도자, 주된 실습기관, 실습량 만족도에서 나타났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임상실습 만족도 차이는 학제, 실습경력, 종교, 대학생활 만족도, 간호학과 선택 동기, 실습 만족도, 전공 만족도, 실습동료와의 관계, 어려웠던 대인관계, 주 실습지도자, 실습량 만족도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임상수행능력 차이는 성별, 실습경력, 대학생활 만족도, 실습 만족도, 전공 만족도, 실습동료와의 관계, 주 실습지도자, 주된 실습기관, 실습량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임상수행능력 차이가 나타났다. 임상수행능력과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수행능력과 임상실습만족, 간호전문직 자아개념과 임상실습만족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대상자의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살펴보면 실습경력, 실습량 만족도, 실습 만족도,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실습경력, 실습량 만족도, 실습 만족도,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으로 나타났다. 간호학생의 임상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영향 요인을 고려하여 적절하고 효율적인 교육과정, 내용 및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임상수행능력, 간호전문직 자아개념, 임상실습만족을 긍정적으로 높일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이 계속적으로 모색되어야겠다.

      • 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

        염선녀 가야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이 환자중심간호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시 소재한 300∼450병상의 종합병원 3곳에서 근무하고 있는 간호사 242명을 임의 표본추출 하였으며, 자료 수집은 2022년 2월 7일부터 2월 18일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 Version 21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피어슨의 상관관계분석(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단계적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셀프리더십 평균 3.58±0.37점(5점 만점), 간호전문직관 평균 3.62±0.42(5점 만점), 환자중심간호 평균 3.67±0.46(5점 만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환자중심간호의 차이는 결혼상태(t=-2.45, p=.015), 근무형태(t=-2.81, p=.005), 부서만족도(F=5.53, p<.001), 환자중심간호 교육경험(t=3.4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상자의 환자중심간호는 셀프리더십(r=.433, p<.001), 간호전문직관(r=.442,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셀프리더십은 간호전문직관(r=.485,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대상자의 환자중심간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간호전문직관(β=.277, p<.001), 셀프리더십(β=.259, p<.001), 환자중심간호 교육경험(β=.151, p=.008), 근무형태(β=.145, p=.010)순이었으며 환자중심간호를 28.1% 설명하였다(F=24.60, p<.001). 따라서 병원간호사가 양질의 환자중심간호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간호사의 긍정적인 간호전문직관 함양 및 셀프리더십 역량 강화와 환자중심간호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교육이 요구된다. 주요어 : 환자중심간호, 간호, 셀프리더십, 간호전문직관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attempted to understand the effect of hospital nurses' self-leadership and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on patient-centered nursing. The study subjects randomly sampled 242 nurses working at three general hospitals with 300 to 450 beds located in G, an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February 7 to February 18, 2022.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using the IBM SPSS Statistical Version 21 program, t-test and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s self-leadership average was 3.58±0.37 points (out of 5 points), the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average was 3.62±0.42 (out of 5 points), and the patient-centered nursing average was 3.67±0.46 (out of 5 points). Second, the difference in patient-centered nursing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 is marital status (t=-2.45), p=.015), type of work (t=-2.81, p=.005), departmental satisfaction (F=5.53, p<).001), patient-centered nursing education experience (t=3.46, p<.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001). Third, the subject's patient-centered nursing is self-leadership (r=).433, p<.001),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r=.442, p<.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001. In addition, self-leadership is a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r=.485, p<).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001. Fourth, the factor affecting patient-centered nursing of the subject is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277, p<.001), Self-leadership (==.259, p<.001), patient-centered nursing education experience (==.151, p=.008), type of work (==.145, p=.010) followed by 28.1% patient-centered nursing (F=24.60, p<).001). Therefore, in order for hospital nurses to provide high-quality patient-centered nursing, it is necessary to cultivate positive nursing professionals, strengthen self-leadership capabilities, and develop and educate programs for patient-centered nursing. Key words: Patient-centered nursing, nursing, self-leadership, nursing professional intuition

      • 간호학과 학생의 성격강점, 간호전문직관, 강점활용 및 대학생활적응의 관계

        김성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rsing professional value and strengths use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college life satisfaction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Four hundred and forty-four Korean undergraduate participants completed the character strengths scale, the college life satisfaction scale, the strengths use scale and the nursing professional value scale. Results pointed to love and vitality as most highly associated with college life satisfaction. These associations were mediated by students’ nursing professional value. Moreo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trengths us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love and vitality and their nursing professional value was significant. The present findings provide guidance for how to develop interventions aimed at enhancing nursing undergraduates’ college life satisfaction. key word: character strengths, college life satisfaction, strengths use, nursing professional value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성격강점을 탐색하고, 이 성격강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와 성격강점과 간호전문직관의 관계에서 강점활용의 조절효과를 살펴보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D와 G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 1학년에서 4학년에 해당하는 444명을 대상으로 2022년 3월 1일부터 3월 30일까지 설문 조사 후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고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4개 성격강점 중에서 창의성, 유머, 영성을 제외한 21개 성격강점은 모두 대학생활적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다중회귀분석 결과 그 중 사랑과 활력의 강점이 대학생활적응을 가장 잘 설명하는 변인으로 드러났다. 둘째, 사랑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셋째, 활력과 대학생활적응의 관계에서 간호전문직관의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넷째, 사랑과 간호전문직관의 관계에서 성격강점활용이 조절변인으로 기능하였으며, 활력과 간호전문직관의 관계에서 강점활용이 조절변인으로 기능하였다. 즉 성격강점활용이 높은 간호대학생의 사랑 및 활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정적 상관관계는 성격강점활용이 낮은 간호대학생의 사랑 및 활력과 간호전문직관의 정적 상관관계보다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을 위한 개입시 성격강점을 인식시켜주고 성격강점을 활용한 프로그램 구성과 적용을 통해 간호전문직관의 수준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이 필요하다. 주요어: 성격강점, 대학생활적응, 간호전문직관, 강점활용

      •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지각된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이 전환충격에 미치는 영향

        이미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is a cross-sectional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professionalism and transition shock, which is known as a factor influenc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new graduate nurses, and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desirable preceptor clinical teaching behavior on transition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a nurse who was assigned a preceptor during training period among nurses with less than 1 year of experience working at Gyeonggi tertiary general hospital, and a total of 121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collection was from December 1, 2021 to March 11, 2022, and was conducted in a self-reporting online survey method.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otal 77 items, part of 8 questions on general characteristics, 29 questions on nursing professionalism (5-point Likert scale), 22 questions on preceptor clinical teaching behavior(5-point Likert scale), and 18 questions on transition shock(4-point Likert scal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IBM SPSS Statistics ver. 25.0 program was used.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e’s post hoc analysis, and Mann-Whitney U and Kruskal-Wallis H tests were performed to confirm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variables.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used for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and the factors affecting the new graduate nurs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erceived preceptor clinical teaching behavior on the transition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were analyzed by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verage score of nursing professionalism of new graduate nurses was 3.32±0.40 on a 5-point scale, perceived preceptor clinical teaching behavior was 4.07±0.75 on a 5-point scale, and the average score of transition shock was 2.86±1.66 on a 4-point scale. The variables tha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transition shock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ubjects were gender(t=2.929, p=.004) and clinical career(F=8.275, p<.00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ransition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at the Doing stage(1st to 4th month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new graduate nurses at the Knowing stage(9th to 12th months).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ew graduate nurs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erceived preceptor's clinical teaching behavior(r=.253, p=.005). The transition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nursing professionalism (r=-. 411, p<.001), and perceived preceptor clinical teaching behavior(r=-.404, p<.001). In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nursing professionalism of new graduate nurses and perceived preceptor clinical teaching behavior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nfluence on the transition shock of new graduate nurses(t=-4.042, p<.001). As a result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y setting the transition stage according to gender and clinical career as a control variable, the new graduate nurse's nursing professionalism and perceived preceptor clinical teaching behavior had 32.4% of explanatory power for the new graduate nurse's transition shock(F=12.501, p<.001).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high nursing professionalism of new graduate nurses and the desirable clinical teaching behavior of preceptors can be helpful in reducing the transition shock of new graduate nurses. Therefore, we suggest the development of a preceptor training program reflecting desirable clinical teaching behaviors and follow-up studie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role transition for new graduate nurses and to establish an educational system that enhances nursing professionalism.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이직의도 영향요인으로 알려진 간호전문직관과 전환충격의 관계를 규명하고, 신규간호사 교육과정에서 바람직한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이 신규간호사의 전환충격을 낮추고 성공적 역할전환에 도움을 줄 수 있을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수행한 횡단적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이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일개 상급종합병원에 재직중인 경력 1년 미만의 신규간호사이다. 교육기간에 프리셉터를 배정받지 않은 간호사는 제외하였으며, 분석에 사용된 응답 건수는 총121건이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12월 1일부터 2022년 3월 11일까지 이며, 온라인 설문조사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설문지는 총77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일반적인 특성 8문항, 간호전문직관 29문항(Likert 5점 척도),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 22문항(Likert 5점 척도), 전환충격 18문항(Likert 4점 척도) 이다. 자료 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일반적인 특성 및 변수 간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기술 통계와 Independent t-test, One way ANOVA, Scheffé의 사후분석, Mann-Whitney U 와 Kruskal-Wallis H 검정을 실시하였다. 변수 간의 상관관계는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활용 하였으며,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지각된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이 신규간호사의 전환충격에 미치는 영향 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과 위계적 회귀분석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 평균 점수는 3.32±0.40점(5점 척도)이었으며, 신규간호사들이 지각한 프리셉터의 임상교육행동 평균 점수는 4.07±0.75점(5점 척도), 신규간호사의 전환 충격은 2.86±1.66점(4점 척도)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환충격을 분석한 결과, 성별(t=2.929, p=.004)과 임상경력(F=8.275, p<.00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Scheffé 사후분석 결과에서 임상경력 1~4개월차(Doing 단계) 간호사의 전환충격이 9~12개월차 (Knowing 단계) 간호사의 전환충격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지각된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r=.253, p=.005),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전환충격(r=-.411, p<.001), 지각된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과 전환충격(r=-.404, p<.001)은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지각된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은 신규간호사의 전환충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t=-4.042, p<.001), 대상자의 성별과 임상경력에 따른 전환단계를 통제변수로 설정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에서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과 지각된 프리셉터 임상교육행동은 신규간호사의 전환충격에 대해 32.4%의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F=12.501, p<.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신규간호사의 높은 간호전문직관과 프리셉터의 바람직한 임상교육행동이 신규간호사의 전환충격을 줄이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신규간호사의 전환충격을 이해하고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이는 방향의 교육체계 수립 및 바람직한 임상교육행동을 반영한 프리셉터 양성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