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간호사들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 인식 및 이행실태와 관련요인

        문아람 고려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floor nurses'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guidelines on safe handling of cytotoxic drugs and determine how it was affected by the presence and roles of nurses in charge of cancer in order to contribute to improvement in the understanding of guidelines on safe handling of cytotoxic drugs among floor nurses.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resence of nurses in charge of cancer,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exposure to cytotoxic drugs, routes and type of exposure, nursing career and the presence or roles of nurses in charge of cancer, the degree of education, knowledge, and compliance were investigated and analyzed b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mong a total of 166 respondents, most of the respondents were working at the department of hemato-oncology (30.7%) and wards (33.7%); 59.6% were general nurses; 84.9% were unmarried; and 67.5% had nursing career of 5 years or less. 51.8% handled cytotoxic drugs more than four days a week in the last six months; 58.4% had been exposed to cytotoxic drugs, 2.93 ± 6.02 exposures on the average for the six months. The majority of the respondents had been exposed to cytotoxic drugs by the skin, mostly when they removed the drugs from patients and exchanged intravenous injections for patients. They showed very higher demands for education about guidelines on safe handling of cytotoxic for nurses, with the highest demand for schemes to cope with direct exposure to cytotoxic drugs and for guidelines on safety in administering and discarding the drugs. Nurses in other internal medicine and surgery wards showed significant higher recognition of guidelines on safe handling of cytotoxic drugs; floor nurses who had a higher title and were working with nurses in charge of cancer showed higher recognition. They got 81.8 on the average for the compliance with guidelines on safe handling of cytotoxic drugs, with wards having no nurse in charge of cancer showing higher scores on the average.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floor nurses handling cytotoxic drugs were frequently exposed to the drugs and that they had very high demands for education about guidelines on safety in handing the drugs. However, floor nurses working with nurses in charge of tumor showed high recognition of guidelines on safe handling of cytotoxic drugs but low compliance with the guidelines, which suggested that floor nurses should not only be made to recognize but also comply with guidelines on safe handling of cytotoxic drugs through theoretical education and demonstration and practice concerning guidelines on safe handling of the drugs for nurses in charge of tumor. 본 연구는 병동 간호사를 대상으로 항암제 안전관리 지침에 대한 지식, 이행정도를 조사하고 종양전담 간호사의 유무와 역할에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 연구하여 병동 간호사들의 항암제 안전관리 지침의 인식 증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종양전담 간호사의 유무, 항암제 노출경험 및 횟수, 노출경로와 현황, 근무경력 및 종양전담 간호사의 유무나 역할, 교육받은 정도, 인지도 및 이행정도를 자가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한 후 분석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모두 166명으로 대상자는 혈액종양내과(30.7%)와 병동(33.7%)에서주로 근무하고 있으며, 직급은 일반간호사가 59.6%, 결혼여부는 미혼이 84.9%, 근무경력은 5년 미만이 67.5%로 가장 많았다. 최근 6개월 동안 대상자가 항암제를 취급한 빈도는 주 4일 이상이 51.8%, 대상자의 58.4%가 항암제에 노출된 경험이 있다고 하였고, 6개월간 평균 2.93 ± 6.02건의 노출경험을 보고하였다. 항암제 노출경험은 피부접촉이 높았으며, 환자로부터 항암제를 제거할 때와 환자의 정맥주사를 교환할 때 가장 많이 노출되었다. 항암제 취급시 안전관리지침에 관한 교육은 대상자의 68.7%가 간호학과 재학 중 성인 간호학 시간에 잠시 언급되었었고, 간호사 재직 중에는 간호부에서 주관하는 30분에서 1시간 가량의 짧은 교육을 들었다고 대상자의 91.0%가 대답하였다. 또한 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 지침에 관한 교육 요구도는 매우 높았으며 항암제에 직접 노출시 대처방안과 항암제 투약·폐기시 안전지침에 관한 사항에 대해 가장 요구도가 높았다. 항암제 취급시 안전관리 지침에 관한 인지도는 그 외 내과계 병동과 외과계병동간호사가 유의하게 높고, 직급이 높을수록, 종양간호사가 있는 병동간호사가 유의하게 높았다. 항암제 안전관리 지침의 이행 정도의 평균 점수는 81.8점으로 종양전담 간호사가 없는 병동의 평균점수가 더 높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항암제 취급 병동 간호사들의 항암제 노출이 많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고, 항암제 취급시 안전지침에 관한 교육 요구도 또한 매우 높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종양전담 간호사가 있는 병동 간호사의 경우 항암제 안전관리 지침에 관한 인지도는 높지만 이행정도는 낮음을 보여 종양전담간호사의 항암제 안전관리 지침에 관한 이론 교육과 시범·실습을 통해 병동간호사들의 항암제 안전관리지침을 인지하고 있는데 그치지 않고 직접 이행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시사하였다.

      • 아동간호사의 감성지능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의사소통능력 및 환아 부모와의 파트너십 매개효과

        이다견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아동간호사가 지각하는 감성지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 및 간호사와 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C지역과 S지역에 소재한 아동전문병원, 종합병원, 상급종합병원의 아동간호사 20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22년 8월 1일부터 9월 1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ver 26.0과 PROCESS macro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간호사-환아부모 간 파트너십 및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와 Kruskal Wallis test로 분석하였고, 사후검증은 Schéffe's test로 분석하였으며,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아동간호사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간호사와 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 및 직무만족도 간의 직접효과, 매개효과와 매개효과 간의 차이는 Hayes (2013)의 PROCESS macro의 Model 6(2 mediator)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간접효과 검증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하여 진행되었으며, 신뢰도 구간 95%,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10,000으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감성지능 평균은 7점 만점에 4.84±0.72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평균은 자기감성 이해 5.26±0.92점, 타인감성 이해 5.25±0.88점, 감성 활용 4.67±0.89점, 감성 조절 4.17±1.09점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의사소통능력은 평균 6점 만점에 4.17±0.67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평균은 생체 심리 사회적 관점 4.69±0.63점, 권한과 책임의 분배 4.17±0.87점, 인격체로서의 환자 4.07±0.79점, 치료적 동맹 3.90±0.89점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간호사-환아부모 간 파트너십은 평균 5점 만점에 3.94±0.44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 평균은 민감성 4.12±0.50점, 조심성 4.06±0.70점, 전문지식과 기술 4.01±0.49점, 정보공유 3.92±0.74점, 협력 3.87±0.62점, 상호성 3.87±0.53점, 의사소통 3.73±0.59점 순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직무만족도는 평균 5점 만점에 3.45±0.59점으로 나타났다. 2.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종교 유무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2.22, p=.028). 3. 대상자의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간호사-환아부모 간 파트너십,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감성지능은 의사소통능력(r=.55, p<.001), 간호사-환아부모 간 파트너십(r=.44, p<.001) 및 직무만족도(r=.4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의사소통능력은 간호사-환아부모 간 파트너십(r=.64, p<.001), 직무만족도(r=.40,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간호사-환아부모 간 파트너십은 직무만족도(r=.46, p<.001)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아동간호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직무만족도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인 종교 유무를 공변량 보정하여 Hayes (2013)의 PROCESS macro Model 6 (2 mediator)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성지능(B=.25, p<.001)과 간호사-환아부모 간 파트너십(B=.36, p=.001)은 직무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소통능력은 직무만족도(B=.06, p=.426)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지능과 직무만족도의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B=.03)과 간호사와 환아 부모 간 파트너십(B=.03) 각각의 단순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직렬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B=.07). 나아가 매개효과 간의 크기 차이를 검증한 결과, 매개효과 간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를 통해 아동간호사의 감성지능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들 관계에서 의사소통능력과 간호사-환아부모 간 파트너십이 직렬 이중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따라서 아동간호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감성지능을 증진 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과 감성지능이 의사소통능력과 간호사-환아부모 간 파트너십을 통해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고려한 간호인적자원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Skills and Pediatric Nurse-Parent Partn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of pediatric nurses. Research participants were 205 pediatric nurses at a children's hospital, general hospital, and tertiary general hospital located in region C. and S.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1, 2022 to September 1, 2022. The collected data wa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 version 26.0, PROCESS macro program. The differences in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skills, nurse-parent partnership, a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Kruskal Wallis test, and Scheffé test was used for post-hoc analysis. Correlation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direct effect, mediating effect, and difference between mediating effects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communication skills, nurse-parent partnership, and job satisfaction were analyzed by Hayes’ (2013) PROCESS macro Model 6 (2 mediator). An indirect effect test was used for bootstrapping, with the reliability interval set to 95% and bootstrapping set to 10,00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4.84±0.72 out of 7. Among the mean scores for the sub-categories, self-emotion appraisal was 5.26±0.92, other's emotion appraisal was 5.25±0.88, use of emotion was 4.67±0.89, and regulation of emotion was 4.17±1.09. The mean score of communication skills was 4.17±0.67 out of 6. Among the mean scores for the sub-categories, biopsychosocial perspective was 4.69±0.63, sharing power and responsibility was 4.17±0.87, patient as a person was 4.07±0.79, and therapeutic alliance was 3.90±0.89. The mean score of nurse-parent partnership was 3.94±0.44 out of 5. Among the mean scores for the sub-categories sensitivity was 4.12±0.50, cautiousness was 4.06±0.70, professional knowledge & skill was 4.01±0.49, shared information was 3.92±0.74 and collaboration was 3.87±0.62. Reciprocity scored 3.87±0.53, and communication 3.73±0.59. The mean score of job satisfaction was 3.45±0.59 out of 5. 2.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religion (t=2.22, p=.028). 3. Participants of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skills(r=.55, p<.001), nurse-parent partnership(r=.44, p<.001), and job satisfaction(r=.46, p<.001). Communication skills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 -parent partnership(r=.64, p<.001), and job satisfaction(r=.40, p<.001). Also, nurse-parent partnership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r=.46, p<.001). 4. To confirm the effects on participants’’ job satisfaction, the covariate was adjusted for religion. The results of analysis by applying Hayes’(2013) PROCESS macro Model 6 (2 mediator) are as follows. emotional intelligence(B=.25, p<.001) and nurse-parent partnership(B=.36, p=.001) had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 but, communication skills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job satisfaction(B=.06, p=.426). There was no simple mediating effect of each communication skills(B=.03) and nurse-parent partnership(B=.03)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 However, there was a serial doubl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atisfaction(B=.07).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z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emotional intelligence is a critical factor affecting job satisfaction of pediatric nurses, and in these relationships, it was confirmed that communication skills and nurse-parent partnership have a serial double mediating effec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pediatric nurse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al programs that can enha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a nurs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strategy that considers the path in which emotional intelligence affects job satisfaction through communication skills and nurse-parent partnership.

      • 기혼간호사의 배우자 지지와 직무만족이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

        강지연 성균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간호사는 병원 조직 내에서 환자관리에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중요한 전문 인력이라 할 수 있으나 타 여성전문직에 비해 직무 연수가 짧고 이직률이 높아 많은 병원들이 양질의 환자간호에 필요한 자질 있는 인력을 충분히 보유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인력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며 간호의 연속성을 기할 수 있도록 경력이 많은 기혼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여야 한다. 그러나 여성인 기혼간호사는 아내요 어머니라는 역할과 동시에 직장인으로서 가지는 역할기대가 서로 상치되기 때문에 이로 인한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기혼 간호사를 대상으로 배우자의 지지와 직무만족이 기혼간호사의 역할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인력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기혼간호사 중 배우자와 취학 전 자녀가 있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임상시험 심사위원회 승인을 얻은 설문지 총 160부를 배부한 후 100%회수하였고 불완전하게 작성된 2부를 제외한 158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을 이용하여 t-test, ANOVA,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혼간호사의 배우자 지지는 3.78점이며 직무만족은 2.95점으로 나타났다. 직무 만족 하위 요인 중 의료권 상호작용 만족도(M=3.65)가 가장 높은 점수를, 업무 요구도 만족(M=2.19)이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또한 기혼간호사의 역할갈등 은 3.19점으로 나타났으며 그중 주부역할갈등(M=3.71)이 가장 높은 점수를, 다음 으로 직장역할갈등, 어머니역할갈등, 아내역할갈등, 며느리역할갈등 순이었다. 2.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배우자 지지는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 았으나(p>.05), 직무만족의 경우 직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p<.05). 책임간호사(M=3.07)의 직무 만족이 높았다. 역할갈등의 경우 일반간호사(M=3.26)가, 경제적 안정을 이룰 때까지 종사할 생 각을 가진 집단(M=3.36)이, 밤번근무를 하는 간호사(M=3.38)가, 근무지가 특수부 서(M=3.26)인 집단에서의 역할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배우자 지지 및 직무만족이 역할갈등과의 상관관계분석 결과를 보면 배우자 지 지 및 직무만족과 역할갈등은 모두와 음(-)의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p<.05). 4. 배우자 지지중 역할갈등에 미치는 요인은 정서적 지지로 총 설명력은 약 25.0% 이다. 직무만족은 총 설명력 16.5%로 역할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기혼 간호사들은 주부로서, 직장인으로서의 높은 역할갈등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러한 역할갈등은 배우자의 정서적 지지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역할갈등이 낮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배우자의 참여와 지지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배우자 참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기혼간호사들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도록 전문인으로서의 성장 발전을 위한 계속적인 교육과 보상 등의 행정적인 인력관리 시스템을 갖추도록 해야 할 것이다. Nurses are one of the important specialist who play a pivotal role in patient management at a hospital organization. However, conpare to other female professionals, nurses' service training is short and tureover rate is higher, so most hospitals doesn't secure enough qualified nurses. To improve effectiveness of manpower management and nursing quality, prevention of experienced nurses resignation is needed. But many experience difficulty on playing both role as nurse at workforce and as a mother at home. This study is conducted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manpower management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 needed for the development of nursing job and manpower management of married nurses by analyzing the influence of the spousal support and their job satisfaction on married nurses' role conflict. Survey approved by clinical practice screening committee was conducted based on married nurses with spouse and preschool child. 160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except 2 incompleted forms, 158 questionnaire was used for analysis. Data was analyzed with SPSS 15.0 and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was done. The verified data is as follows. First, the married nurses' spousal support scored 3.78, and job satisfaction scored 2.95.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medical service interaction (M=3.610) marked highest and job requirement satisfaction(M=2.19) marked lowest. Also the average of role conflict is 3.19, and among the sub-factors of role conflict, the married nurses' role conflict as housewife(M:3.71) was highest and conflict at work, conflict as mother, conflict as wife, and conflict as daughter-in-law followed. Second, on spousal support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every variables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But on job satisfaction, it shows statistically meaningful depending on one's position(p<.05). Charge nurses' job satisfaction(M=3.67) marked highest. On role conflict, general nurses(M=3.26), nurses who are willing to work until they are economically stabilized(M=3.36), night-duty nurses(M=3.30), nurses at special unit(M=3.26) came out as their role conflict is high. Third, the result of correlation between spous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 shows that spousal support, job satisfaction and role conflict they all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p<.05). Forth, the affecting factor of spousal support to role conflict is emotional support and its' total explanation power is approximately 25.0%. According to job satisfaction total explanation power, which is 16.5%, it turned out to have influence on role conflict. The result fo this study shows that married nurses experience high role conflict between housewife and worker. And higher the spouse's emotional support and higher the job satisfaction is, the role conflict decreases. Therefore, development of spouse participation program to improve spousal support, continual education and administrative manpower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married nurses' job satisfaction as a qualified specialist is needed.

      • 프리셉터 교육행동이 신규간호사의 현장적응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과 극복력의 매개효과

        김은정 충북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프리셉터 교육행동이 신규간호사의 현장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셀프리더십과 극복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충청도에 소재한 2개의 상급종합병원에서 프리셉터 교육과정을 마친 입사 1년 이내의 신규간호사 184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22년 9월 1일부터 11월 10일까지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프리셉터 교육행동의 신뢰도 Cronbach’s α는 .98, 셀프리더십은 .92, 극복력은 .97, 현장적응은 .89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 version 26.0,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프리셉터 교육행동, 셀프리더십, 극복력, 현장적응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으며, 사후검정은 Duncan test를 이용하였다.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으며, 프리셉터 교육행동, 셀프리더십, 극복력, 현장적응 간의 직접효과, 매개효과는 Hayes (2013)의 PROCESS Macro Model 6 (2 mediator)을 적용하여 분석하였고, 간접효과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프리셉터 교육행동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4.10±0.80점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프리셉터 교육행동의 차이에서 남성인 경우(t=2.17, p=.031), 특수부서(중환자실, 응급실)의 경우(F=5.36, p=.005)에 프리셉터 교육행동이 높게 나타났다. 2. 셀프리더십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3.80±0.58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의 차이에서 근무기간이 길수록(F=4.20, p=.021), 현 병원에서 실습의 경험이 있는 경우(t=2.43, p=.016), 프리셉터 교육기간이 8주 이상일 경우(t=-2.60, p=.011)에 신규간호사의 셀프리더십이 높게 나타났다. 3. 극복력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3.76±0.63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극복력의 차이에서 남성인 경우(t=2.08, p=.044), 연령이 높을수록(t=3.51, p=.032), 근무기간이 길수록(F=5.65, p=.004), 현 병원에서 실습의 경험이 있는 경우(t=2.76, p=.007), 희망부서에 배치된 경우(t=2.14, p=.034), 프리셉터 교육기간이 8주 이상인 경우(t=-3.18, p=.002)에 신규간호사의 극복력이 높게 나타났다. 4. 현장적응의 평균점수는 5점 만점에 3.06±0.43점이었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현장적응의 차이에서 근무기간이 길수록(F=3.96, p=.021), 희망부서에 배치된 경우(t=2.90, p=.004), 프리셉터 교육 기간이 8주 이상인 경우(t=-3.72, p<.001), 프리셉터 수가 1명인 경우(t=2.99, p=.004)에 신규간호사의 현장적응이 높게 나타났다. 5. 프리셉터 교육행동은 셀프리더십(r=.374, p<.001), 극복력(r=.308, p<.001) 및 현장적응(r=.481,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셀프리더십은 극복력(r=.784, p<.001) 및 현장적응(r=.485, p<.001)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극복력은 현장적응(r=.487,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6. 신규간호사의 현장적응에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현장적응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난 근무 기간, 희망부서 배치, 프리셉터 교육기간, 프리셉터 수를 공변량 보정 후 Hayes (2013)의 PROCESS Macro Model 6 (2 mediator)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프리셉터 교육행동(β=.18, p<.001)과 극복력(β=.14, p=.030)은 현장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셀프리더십은 현장적응(β=.13, p=.080)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셉터 교육행동과 현장적응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단순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β=.01), 프리셉터 교육행동과 현장적응의 관계에서 극복력의 단순매개효과도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β=.14). 그러나 프리셉터 교육행동과 현장적응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과 극복력이 이중직렬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β=.03). 본 연구결과, 프리셉터 교육행동이 셀프리더십과 극복력을 매개로 신규간호사의 현장적응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보건복지부는 ‘교육전담간호사 지원사업’의 확대를 통해 프리셉터가 신규간호사의 교육에만 전념할 수 있도록 충분한 인력 지원과 선진국 수준으로의 교육기간 연장을 도모해야 한다. 의료기관과 간호조직은 프리셉터의 바람직한 역할수행을 통해 신규간호사의 셀프리더십과 극복력을 높여 전문직 간호사로서 현장에 성공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프리셉터 교육행동 강화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 leadership and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and field adaptation of new nurses. Research participants were 184 new nurses at two certified tertiary hospital located in region C. Data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 2022 to November 10, 2022. The reliability (Cronbach’s α) of the scales used to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was .98, Self-leadership was .92, resilience was .97, and field adaptation was .89. The collected data wa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 version 26.0, PROCESS Macro program. The differences in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self- leadership, resilience, and field adaptation according to the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with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and Duncan test was used for post-hoc analysis. Correlations we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The direct effect, mediating effect, and difference between mediating effects between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self-leadership, resilience, and field adaptation were analyzed by Hayes’(2013) PROCESS Macro Model 6 (2 mediator). An indirect effect test was used for bootstrapping with the reliability interval set to 95% and bootstrapping set to 10,000.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was 4.10±0.80 out of 5. The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being male (t=2.17, p=.031) and for working in special uints such as intensive care unit and emergency room (F=5.36, p=.005) the higher the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2. The mean score of self-leadership was 3.80±0.58 out of 5.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self-leadership, higher clinical career (F=4.20, p=.021), the current hospital experience of introductory (t=2.43, p=.016), if the preceptor training period is more than 8 weeks (t=-2.60, p=.011) resulted in higher self- leadership. 3. The mean score of resilience was 3.76±0.63 out of 5.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resilience being men (t=2.08, p=.044), old age (t=2.17, p=.031), higher clinical career (F=5.65, p=.004), desired department (t=2.14, p=.034), the current hospital experience of introductory (t=2.76, p=.007), if the preceptor training period is more than 8 weeks (t=-3.18, p=.002) resulted in higher resilience. 4. The mean score of field adaptation was 3.06±0.43 out of 5. Regarding the differences in field adaptation higher clinical career (F=3.96, p=.021), desired department (t=2.90, p=.004), if the preceptor training period is more than 8 weeks (t=-3.72, p<.001) and 1 preceptor (t=2.99, p=.004), resulted in higher field adaptation. 5.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leadership (r=.374, p<.001), resilience (r=.308, p<.001), and field adaptation (r=.481, p<.001). Self-leadership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ilience (r=.784, p<.001) and field adaptation (r=.485, p<.001). And resilienc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field adaptation (r=.487, p<.001). 6. To confirm the effects on new nurses’field adaptation, the covariate was adjusted for clinical career, desired department, preceptor training period and number of preceptors. The results of analysis by applying Hayes’(2013) PROCESS Macro Model 6 (2 mediator) are as follows.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β=.18, p<.001) and resilience (β=.13, p=.030) had a direct effect on field adaptation, self-leadership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field adaptation (β=.13, p=.080). There was no simple mediating effect of self-leadership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and field adaptation (β=.10). There was no simple mediating effect of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and field adaptation (β=.14). But, there was a serial dual mediating effect of self leadership and resilience (β=.03).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size of the mediating effect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increases the field adaptation of new nurses through self-leadership, and resilience. Therefor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ould expand the current education support project to provide sufficient manpower and extend the education period to the level of advanced countries so that preceptors can focus only on the education of new nurses. Medical institutions and nursing organizations should develop and apply systematic preceptors’clinical teaching behavior reinforcement programs to successfully adapt to the field as a professional nurse by enhancing self-leadership and resilience of new nurses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 desirable role of preceptors.

      • 간호사의 정보이용행태에 관한 연구

        이경아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의료서비스의 국제화, 개방화와 함께 다양해지는 사람들의 건강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간호사의 역할이 확대됨은 물론 그 전문성 또한 심화되고 있다. 이에 간호사들이 의료진의 일원으로서 그들이 필요로 하는 지식과 기술을 갖추어 양질의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 변화하는 의료환경에서 간호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간호사들의 정보요구에 상응하는 정보서비스의 제공은 필수적인 것이다. 그러나 그 동안 국내에서 의료진을 대상으로 수행된 이용자연구는 대부분이 의사와 전공의를 대상으로 한 것이었으며, 간호사들의 정보요구와 이용에 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간호사들의 정보요구와 이용행태를 분석함으로써, 간호사들이 다양한 간호업무와 연구활동을 위하여 효율적으로 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도록 의학도서관의 장서와 서비스를 개선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 간호사들과 의학도서관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와 면담을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외국의 간호사들의 정보이용과 간호사를 위한 도서관 이용자교육, 간호학과 간호문헌의 특성 및 영역 간호사의 업무, 의학도서관의 특성과 봉사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면담과 설문조사를 통해서 간호사들의 정보이용행태와 의학도서관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였다. 조사대상 간호사는 서울의 500병상 이상의 18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360명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여 회수된 질문지 가운데 분석이 가능한 337부(93.5%)를 간호사의 직위와 학력별로 분석하였다. 또한 의학도서관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18개의 조사대상 병원에 소재하고 있는 의학도서관의 담당자에게 질문지를 배부하였고 17부(94.4%)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정보요구는 환자간호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보를 가장 많이 필요로 하였으며, 다음으로는 강의나 컨퍼런스의 준비를 위한 정보, 전공 분야에 대한 최근의 지식 습득을 위한 정보, 연구수행을 위한 정보, 환자 교육을 위한 정보의 순이었다. 둘째, 간호사들이 주로 이용하는 정보자료는 학술잡지이며, 다음으로는 단행본, 학위논문, 간호관련 인터넷 순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셋째, 단행본 자료와 정기간행물 자료의 이용에 있어서, 간호사들의 대부분이 1-3년 이내의 자료를 이용하였으며,6년 이상이 경과한 자료는 거의 이용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내문헌과 외국문헌의 이용정도에 있어서 간호사들은 국내문헌에 대한 의존도가 컸으며, 외국문헌의 경우 대부분이 영어권 자료에 편중되어 있었고 일본이나 독일의 자료는 전혀 이용하지 않았다. 다섯째, 간호학 자료와 의학자료의 이용정도에 있어서 간호사들은 간호 학술잡지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간호 단행본, 의학 단행본, 의학 학술잡지의 순으로 이용하였다. 간호사들은 간호학 중에서도 성인간호영역과 기초영역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다음으로는 간호관리영역, 모아간호영역, 간호연구영역을 비슷하게 이용하였다. 여섯째, 2차 정보원 이용에 있어서 간호사들은 MEDLINE(MEDLARS onLINE)을 가장 많이 이용하였으며, CINAHL(Cumulative Index to Nursing and Allied Health Literature), 정기간행물 기사색인의 순으로 이용하고 있었다. 일곱째, 간호사들이 주로 이용하는 정보입수채널은 병원도서관이었으며, 가장 유용한 정보입수채널인 동시에 불만족도 또한 높았다. 그리고 정보입수 채널은 간호사들의 정보요구 및 직위에 따라서 다양하게 나타났다. 여덟째, 많은 간호사들이 정보를 입수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었고, 도서관의 간호관련 자료의 부족을 가장 큰 이유로 지적하였으며, 간호사들은 학술잡지, 단행본, 학위논문의 순으로 자료의 확충을 요구하였다. 아홉째, 간호사들의 도서관에 대한 요구사항으로는 간호관련자료의 확충이 가장 컸고, 도서관 이용자교육, 열람시간의 연장, 정보서비스 개선의 순으로 요구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사들의 효율적인 정보이용을 위하여 제안하고자하는 방안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간호사들의 효율적인 도서관 이용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 도서관 이용자 교육을 간호학 커리큘럼에 통합하여 제공해야 한다. 둘째, 의학도서관 사서는 간호사들의 실무교육이나 간호단위 컨퍼런스에 참여하여 의학도서관의 서비스나 정보자료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홍보하여야 한다. 셋째, 간호학 장서를 확충하고 간호학의 주제영역에 대해 균형있는 장서개발을 이루도록 해야한다. 넷째, 의학도서관의 도서선정위원회에 간호사가 포함되어야하며, 포함되는 간호사의 수는 다른 전문직의 인원수에 비례하여 이루어져야한다. 또한 이러한 도서선정위원회의 활동을 통하여 도서관의 업무나 서비스에 대한 간호사들의 인식을 높여야 한다. 다섯째, 간호부의 도서에 대해서 의학도서관이 체계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자료의 중복을 막을 수 있고, 간호부와의 긴밀한 협조를 통하여 간호사들의 정보요구를 파악함은 물론 유용한 자료의 이용을 권장할 수 있다. 여섯째, 간호사들의 3교대 근무시간을 고려하여 의학도서관 열람시간의 개선이 필요하다. 일곱째, 의학도서관이 좀더 전문적이고 이용자 지향적인 충분한 서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임상의학사서와 같은 정보서비스 전담 사서를 두어 적극적인 정보서비스를 제공해야 한다. With the impending opening of the local medical service market to overseas competitors, people's need for quality health service are becoming more diversified than ever. Consequently, nurses will be asked to play more expanded roles and their professional service for the nurses' corresponding information environment is also necessary, so that the nurses can return what they obtained from the information in the form of improved service and equip themselves with stronger competitive edge, all in a bid to better-respond to the opening market. However, majority of the previous studies on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 behavior sector was conducted on physicians, Interns and Residents. The study on user behavior by Korean nurses were non-existent and unprecedente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 behavior of nurses for more efficient information use and information service.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interview and field survey on actual users and staffs of the medical library were used.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to review the application and characteristics of nursing, tasks and roles of nurses, information service of medical library, and user training for characteristics and nurses.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to analyze the information needs and use behaviors of nurses and the current situations of medical libraries. The questionnaires were handed out to the 360 nurses currently working in 18 university hospitals with the capacity of over 500 beds. 337 (93.5%) out of 360 surveys were filled in and collected and anlyzed. I also gave another set of questionnaires to 18 medical library staff, 17 (94.4%) of which returned with their response.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patient care took the largest part of the information needed by the nurses, followed by purposes for lectures or conferences, the latest news about nursing as a professional field, research purposes, and patient education purposes. Second, the most frequently used information materials were academic journals, followed by books, thesis papers and the Internet. Third, with regard to the use frequency of nursing and medical materials, the largest number of the nurses favored nursing journals in descending order. Also, the nurses said they looked into the areas of adult patient care and basic nursing most frequently, then nursing management, mother and child care and nursing research. Fourth, when using literatures, the nurses depended heavily on domestic data. As for overseas data, the vast majority was produced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No nurses responded that they ever used data from Japan or Germany. Fifth, most nurses were using the publications and periodicals that were no older than three years. And, anything older than 6 years was hardily used. Sixth, the best choice of the second information source was MEDLINE, followed by the CINAHL and periodical index. Seventh, most nurses were using the libraries located inside their hospitals as the main channel to obtain work-related information. On contrary to its high accessibility, medical library was also the source of the highest level of dissatisfaction. Information channels varied greatly, depending on nurses' different information needs and different professional status. Eighth, many nurses said they were having trouble obtaining necessary information mainly due to the lack of nursing-related publications in the library. The most demanded publications were in the order of journals, books and thesis papers. Ninth, nurses were urgently demanding that the library collection of nursing-related publication be immediately increased. Other demands included more in-depth training for library users, extension of admission hours, and improvement of information servic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s; First, to ensure more efficient library use by nurses, user education should be integrate in the regular nursing school curriculum. Second, the librarians working in medical library should take more active roles in publicizing the services and information materials offered by the library, by encouraging nurses to participate in conferences or field training. Third, the number of nursing-related publications should be increased immediately and there should be mor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ew publications. Fourth, the book selection committee of medical library must include nurses, the number of which should be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other professions. Also, the nurses in the committee should try to make other nurses more aware of the tasks and services of the library. Fifth, medical library should have more systematic control over nursing department collection to prevent overlapping data. Also, the library should maintain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nursing department to better understand the nurses' demands and further encourage them to use practical data. Sixth, the admission hours need to the extended, considering the nurses' usual 3-shift work rounds. Seventh, for more professional and user-oriented services, the medical library needs staff solely in charge of information services in order to provide more active services like in the case of clinical medical library. Therefore, the library needs staff reinforcement.

      • 중앙공급실 간호사와 일반병동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비교 연구

        박명화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offers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ole conflict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between central supply room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Data was collected from July 2007 to August 2007 by surveying 90 nurses working in the central supply room of 52 hospitals in G Metropolitan City and other hospitals throughout South Korea and 149 nurses working in the medical and surgical ward at general hospitals in H-county. The measuring tool for nurse role conflict developed by KIM and PARK(1995) and the measuring tool for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developed by LEE(1966) were used in this study. Data was analysed using SPSS 12.0 PC+ to compute quantities, ratios, χ²-test, t-test, ANOVA, Tukey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were as follows; 1. With a maximum score of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terrole conflict for general ward nurses (2.91 point) and the role conflict for central supply room nurses (2.89 point). 2. With a maximum score of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central supply room nurses (2.64 point)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of general ward nurses (2.56 point). 3. A majority of central supply room nurses were over 40 years old, married, graduated from junior college, have worked for over 60 months and have never rotating nursing stations. While general ward nurses were contrary with the exception of raising a child under 3 years of ag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work. 4.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 trend (p=.043) for role conflict for central supply room nurses in their twenties and fifties. There were no other significant difference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in role conflic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 in regards to increasing age (p=.000), married statuses (p=.001), advancement in academic career (p=.015), increasing rank (p=.001), rotating nursing stations (p=.000) and aspiring motivation for nursing (p=.004). 5. General ward nurses in their forties(p=.008) and head nurses(p=.015) had significantly high role conflic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high in regards to being married (p=.004), graduating from graduate school (p=.006), increasing rank (p=.001) and working for below 12 months (p=.000). 6.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role conflict and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for central supply room nurses(r=-.106) and general ward nurses(r=.046). The role conflicts for central supply room nurses were similar to those for general ward nurses. Only the variable of age was significant in regards to role conflict. There is a need to consider rotating nursing stations as a strategy to end conflict for new nurses and nurses facing retirement. Also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influencing factors of marital status due to the low levels of job satisfaction for those who were not married. Advanced age, low academic careers, absence of rotating stations, and long terms of employment were characteristics seen for nurses working in the central supply room. It appeared that the distribution of the work force was not considered when looking at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The only common variables for high levels of job satisfaction for central supply room nurses and general ward nurses were high employment rank and advanced academic careers. For both groups gener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work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pite of no significant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role conflict and level of job satisfaction. It can be inferred that job satisfaction is influenced more by some factor other than role and deep further studies are recommended to explore this influencing factor. 중앙공급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 비교분석을 목적으로, 광주광역시 52개 병원과 전국 병원의 중앙공급실에 근무하는 간호사 90명, H군의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내과, 외과 병동의 간호사 149명을 대상으로 2007년 7월부터 2007년 8월까지 자가 보고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김문실과 박상연(1995)이 개발한 간호사용 역할갈등 측정도구와 미네소타 산업관계 연구소에서 개발한 직무만족도를 이상금(1966)이 적용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PC+를 이용하여 기술통계는 실수와 백분율, 중앙공급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간 제 특성 차이는 χ²-test, 일반적 특성별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의 차이는 t-test 와 ANOVA 및 Tukey test,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역할갈등 정도는 4점 만점에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2.91점)과 중앙공급실 간호사의 역할갈등(2.89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직무만족도는 4점 만점에 중앙공급실 간호사의 직무만족도(평균2.64)가 일반병동 간호사의 직무만족도(평균2.56)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중앙공급실 근무 간호사는 40세 이상, 기혼자, 전문대졸, 60개월 이상 재직자, 근무부서 이동이 없는 자가 대다수 였고, 일반병동 간호사는 반대였으며, 3세 이하 자녀 양육을 제외한 모든 일반적, 근무관련 특성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4. 중앙공급실 간호사는 20대와 50대의 역할갈등이 유의하게 높은 경향이었고(p=.043), 그 외 일반적 특성별 역할갈등은 모두 차이가 없었다. 직무만족도는 연령이 높을수록(p=.000), 기혼자(p=.001)가, 학력이 높을수록(p=.015), 직위가 높을수(p=.001), 근무부서 이동자(p=.000), 간호직 지원동기가 본인이 원한 경우(p=.004) 유의하게 높았다. 5. 일반병동 간호사는 40대 연령층(p=.008)과 수간호사(p=.015)의 역할갈등이 유의하게 높았다. 직무만족도는 기혼자(p=.004), 대학원 졸업자(p=.006), 직위가 높을 수록(p=.002), 12개월 이하 재직자(p=.000)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6. 중앙공급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의 역할갈등정도와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각각 r=-.106, r=.046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아니었다. 중앙공급실 간호사의 역할 갈등은 일반병동 간호사와 같았으며, 연령변수만 역할갈등에 유의한 변수로 나타나 신간호사나 퇴직을 앞둔 경우 갈등해소 전략이나 타부서 이동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또한 정상 결혼상태가 아닌 경우 직무만족도가 낮아 결혼 상태별 영향요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중앙공급실 근무 간호사는 고령, 저학력, 근무부서 이동 부재, 재직연한이 높은 특성을 보였으나, 직무만족도는 지위와 학력이 높고 근무이동 경험이 있는 경우여서, 직무만족도를 고려하지 않은 인력 배치임을 나타내었다. 중앙공급실 간호사와 일반병동 간호사 모두 직무만족도가 높은 공통 변수는 고위직과 고학력 뿐 이었고, 두 군간 일반적, 근무관련 특성이 모두 유의한 차이임에도 불구하고 역할갈등과 직무만족도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이는 역할보다는 다른 요인이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친다고 유추할 수 있으며, 영향요인에 대한 심층적인 추후연구를 제언한다.

      • 간호사의 난청노인 환자 간호 지식과 태

        강이슬 울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난청노인을 돌보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난청노인 환자 간호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였다.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난청노인 환자 간호 지식과 태도에 차이가 있는가를 규명하여 지식과 태도의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 수집은 서울에 소재한 일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한 자가 보고 방식으로 실시하였다. 간호사 25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 후 237부를 회수하여 최종적으로 총 228부를 분석하였다. 연구 도구는 본 연구자가 문헌고찰을 통해 개발하여 난청노인 간호에 대한 지식 관련 30문항과 태도 관련 18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23.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Mann-Whitney U test로 분석하고 Scheffe test로 사후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평균 연령은 33.35±7.79세이고 평균 총 임상 경력 기간은 10.29±7.83년이었다. 둘째, 대상자의 난청노인 환자 간호에 대한 지식의 정답률은 62.9%이었다. 셋째, 대상자의 난청노인 환자 간호 태도의 평균점수는 100점으로 환산하여 85.4점이었다. 넷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난청노인 환자 간호 지식 점수는 기혼 간호사가 미혼 간호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617, p=.009). 다섯째, 대상자의 난청노인 간호경험에 따른 난청노인 환자 간호 지식 점수는 효과적인 난청노인 환자 의사소통과 간호중재에 관심이 있는 간호사가 더 높았고(t=-2.180, p=.030), 난청노인 관련 교육이나 습득 경험이 있는 간호사가 교육이나 습득 경험이 없는 간호사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2.929, p=.004). 또한 지난 6개월간 난청노인 간호경험이 10회 초과인 간호사가 10회 이하인 간호사보다 지식 점수가 높았다(F=4.970, p=.002). 여섯째, 임상에서 난청노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한 간호사가 필요하지 않다고 한 간호사보다 간호 지식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고 (U=4433.50, p=.003) 간호태도 점수도 유의하게 긍정적이었다(U=4059.00, p <.001).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간호사는 난청노인 환자 간호 태도는 긍정적이나 난청노인 환자 간호의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으므로 앞으로 표준화된 난청노인 간호 수행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점수가 낮았던 지식 내용을 포함하고 난청노인에 대한 경험을 늘릴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