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드로잉-명상 프로그램이 심혈관계 환자의 신체적.심리적 증상에 미치는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드로잉-명상 프로그램이 신체적 증상과 심리적 증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은 D광역시의 A복지관을 이용하는 성인 중 심혈관질환을 앓고 있거나 의심이 되는 28명을 선별하여 실험집단 14명, 통제집단 14명으로 구성하였으나, 사전·사후·추후 검사 시 한 번이라도 빠지거나 프로그램에 2회 이상 불참한 집단원은 연구대상에서 제외한 25명이 최종 분석 대상이었다. 프로그램 실시는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모두 동질집단임을 확인한 후, 처치집 단인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09년 7월 14일부터 9월 1일까지 총 15회기를 실시 하였다. 프로그램진행 시에 묵언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였으며, 장소는 환기가 잘되고 채광이 좋으며, 에어컨디셔너의 설치로 항상 23∼24도의 온도와 60%의 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복지관 강의실로 동일 공간이었고, 시간도 오전 10시∼12 시로 동일한 시간대에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소요시간은 도입과정 20분, 준비 기 명상 20분, 휴식 10분, 집중적 명상 50분, 통찰적 명상 20분으로 총 120분 동 안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신체적 증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혈압과 심장박동 수를 측정하고, 신 체적 증상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심리적 증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스트레스 반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Version 12.0 Program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사전검사의 동질성 검사를 위해 독립 t-test를 실시하고, 각 집단의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배분율을 산출하였다. 집단과 검사 시기에 따른 심혈관계 환자의 신체적·심리적 증상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반복측정 변량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는 경우에는 단순 주 효과를 검증하고 아울러 집단과 검사시기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Tukey다중비교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심혈관계 환자에게 신체적 증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드로잉-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혈압과 심장박동 수, 신체적 증상 척도에서 집단의 주 효과, 검사시기의 주 효과, 그리고 검사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심혈관계 환자에게 심리적 증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드로잉-명상 프로그램을 적용한 결과 스트레스 반응 척도에서 집단의 주 효과, 검사시기의 주 효과, 그리고 검사 시기 간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what effects a drawing-mediation program can induce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the people with cardiovascular diseases. Study subjects are composed of 28 adults, all selected from A community welfare center in D city, who were diagnosed as or suspicious of having cardiovascular disease. None of the subjects, consisting of the control group of 14 and experimental group of 14, completed the whole series of the program sessions. After eliminating those who missed more than twice of the program sessions, only 25 out of 28 were finally chosen as the subjects to be analyzed for the study. The experimental group was given a total of 15 sessions from July 14 through September 1 after confirming that both the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 were of homogeneity. The place for the program sessions was a lecture room of A community welfare center, which was well ventilated and well lighted keeping the temperature of 23-24 degrees with 60% humidity. The sessions were made during 10am through 12pm for two hours in the order of 20 minutes of introduction, 20 minutes of preparatory meditation, 10 minutes of rest, 50 minutes of concentrated meditation, and 20 minutes of insightful meditation. Blood pressure and the number of heart beats were measured in order to check the physical symptoms through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while stress scale were measured through 'stress response inventory' as for the psychological symptom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SPSSWIN 12.0, in which adopted are independent t-test for homogeneity of the pretests for both groups; percentile through frequency analysi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s; repeated measure ANOVA for physico-psychological symptoms or changes according to the group and test time measured; and Tukey's multiple comparisons for simpl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according to the group and the test time assessed. The results obtained by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to the physical symptoms of cardiovascular patients on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the drawing meditation program proves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improving blood pressure, the number of heartbeat, main effects of the group and the test time,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est times. Second, as to the psychological symptoms of cardiovascular patients on 'stress response inventory', the drawing meditation program turns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 main effects of the group, main effects of the test time, and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test times.
김종희 蔚山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2000 국내석사
화석에너지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하나뿐인 지구가 거의 혼수상태에 빠져 들어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심각한 환경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필요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지구온난화현상에 의거 북극과 남극의 얼음이 녹아 저지대가 잠기고 기상이변 현상이 속출하고, 이에 더하여 산성비 문제가 지구 생물 터전 황폐화시켜 결국 생태계 교란으로 이어져 인간자체의 종말을 가져다 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한국에서도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객관적으로 입증되었는데 지난 75년간 한반도의 연평균 기온이 1.1도 상승하여 아열대성 기후로 변해가고 있고, 서울 비원 수목의 종과 수에 있어 심각한 감소 현상이 보고된바 있다. 이런 와중에 세계무역기구 등장과 1992년 6월 리우 환경 회의에서 기후변화 협약 채택은 환경효율성을 둘러싼 국제간의 경쟁과 무역 규제가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더군다나 선진국은 기후변화 협약을 앞선 기술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미래 국제 시장 확보를 위한 일종의 그린 마켓팅 전략으로 활용할 계획으로 삼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 기준이나 ISO 14000계열 등과 같은 환경기준을 범세계적으로 적용하려 하고 있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국가는 오히려 경쟁력을 강화하거나 독점적 시장 점유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반대로 이를 외면하는 국가는 시장에서 퇴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하여 화석에너지 과소비의 원인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대책 방향을 찾아 실천해야 한다. 한국의 에너지 과소비구조의 원인은 정부정책의 요인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먼저 에너지 정책은 정부 부서의 경제성장 중심의 안정공급위주, 효율성 위주 정책으로 시장성을 간과한게 하나일 수 있다. 두 번째로 산업의 대외경쟁력 중심으로 지향하다 보니 에너지 가격 결정 역시 적정수준의 에너지 가격이 아닌 비 이상적 에너지 가격구조로 국민들로 하여금 에너지 소비를 억제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세 번째로 산업 구조가 고부가가치 중심보다는 단순 조립 작업중심에다 생산공정 구조자체도 기술 및 투자부족으로 에너지 소비 절약에 뒤떨어진 면이 없지 않았음이 지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국가 에너지 관리 조직이 현재 및 향후의 복잡 다단하고 광범위한 에너지 공급, 소비 구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 에너지 분야 문제점에 대한 대책 방향으로써 먼저 시장기능과 정부정책의 효율성을 적당히 안배한 합리적 정책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시스템적으로 자연스럽게 에너지 소비가 적은 사회구조로 빠른 전환이 요구되며. 끝으로 공급보다는 수요위주의 에너지 관리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화석에너지 사용을 지속 가능한 환경과 경제성장을 중심 축 으로 한 국가 전략과제로 삼아 발전 성장시켜야 할 것이다. It's not exaggeration that the earth has nearly fallen into a comatose status by using fossil energy recklessly. Owing to consumption of fossil energy emitting the carbon dioxide superfluously which has made the earth reach to the global warming, the arctic and antarctic ice melt away to have some low area submerged, consecutive weather abnormal phenomena would be easily expected. What's worse the acid rain will devastate the eco-life ground, finally eco-catastrophe will occur in front of the human beings' end. In fact,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clearly and objectively proved to be serious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has increased up to 1.1℃ changing the country into subtropical zone since the last 75 years. Also it's reported in an academic circle that kinds and quantity of those trees heavily have decreased by the pollution in the yard of BI WON, SEOUL. In this situation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came forth and the adoption of UNFCCC in 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n Jun. '92. means that certain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trade regulation appear universally to achieve the eco-efficiency. Additionally, the advanced countries are making use of this UNFCCC as a kind of green marketing strategy to secure a new rising international market on the basis of the leading technology and strong economic force. Furthermore, there is a tendency to apply the energy efficiency basis and the series, ISO 14000 to environmental criteria as international trade standards in the world. A country that uses the fossil energy efficiently h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arative position of grabbing market monopoly , on the other hand a country that avoids the chance would be vanished away. Consequently the cause and problem of over fuel consumption should be made out transparently, be solved clearly for sustainable environment. The reasons of fuel fossil abuse in Korea can be easily found out in the government policy, first of all it is one of those that the energy policy has been done only in stable energy supply for just economic growth and efficiency then overlooking market function itself. the second, the energy price has not an influence on energy over consumption by the people because the energy price system is not an appropriate level for pursuing international competition, lagged behind in contrast with the consumption price one, the third, it's pointed out that the domestic industry structure is set up in simple assembly line rather than the high value added industry, also the production process itself has been out of date in technology and has been short of capital investment not to help energy save. Finally, the energy manage regime is not reasonable to lead now and future energy supply and demand structure which is really sophisticated, multi-stepped and wide. As countermeasure direction to energy part problems, it's essential that a reasonable policy is needed to mix the energy market function and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policy. It's necessary that the social structure should be naturally and promptly changed into another society which not overly use the fossil energy systematically. Also it is judged that the energy manage policy is needed changing into demand management system, not supply-centered management system. Now,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nergy policy should be the national corner stone that can be developed for the sustainable environment and economic growth.
수정된 쌍곡선법을 이용한 장기침하량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연약한 점성토로 구성되어 있는 해안이나 연안지역에 구조물을 축조하거나 성토를 하는 경우 오랜 기간에 걸쳐 상당량의 압밀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전 설계단계에서의 장기침하량예측은 기술적으로,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일반적으로 장기침하량예측은 크게 Terzaghi의 1차원 압밀이론을 근거로 예측하는 방법과 현장 침하량계측을 통하여 장래의 침하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이론에 적용된 가정조건이 실제 현장의 지반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예측치와 실측치간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후자의 경우 실측된 계측자료를 근거로 이루어지는 방법이므로 현장 계측자료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며 또한 그 자료의 신뢰도에 따라 침하량 예측결과가 크게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현장침하량 계측자료를 통한 장기침하량예측기법은 간단명료하고 경제적인 기법이라 현재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 중 쌍곡선법(Hyperbolic Method)이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이지만 현장 계측치에 따라 가정 기본식의 선형성이 다소 뚜렷하지 못한 경우가 없지 않다. 이는 분석가에 따라 해석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기술 적용상의 어려움과 경제적 비용을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data 분석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쌍곡선법의 기본 가정식의 선형성 문제에 주안점을 두어 현장 침하계측자료 분석시 기본 가정식의 선형성을 확보하고 그 선형구간을 확장한 새로운 침하예측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성토완료 직후의 현장 침하계측자료를 배수재가 설치된 지역과 배수재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으로 구분하여 최종 압밀침하량, 수직압밀계수 등을 기존예측기법과 비교 검토하여 제안한 새로운 침하예측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기법보다 초기 직선 기울기의 선형이 확보되었고 또 그 구간도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 If the soft ground located near the coast or river is used as building of structures or construction of embankment site, a large consolidation settlement would occu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the prediction of long-term settlement in the design procedure is technically and economically very important. Generally, the methods of the prediction of long-term settlement are classified into the method based on the Terzaghi's one dimensional consolidation theory and the method using in-situ measured settlement data. In the case of the former method, because the hyperthesis of Terzaghi's theory does not consider the effects of soil properties in the field, the predicted settlements are largely different from the in-situ measured settlements. In the case of the latter method based on the in-situ measured settlement data, it requires many measured settlement data and the predicted settlements can be influenced by the reliability of data. But, because of simple and economical procedure, it is widely used. Among methods using in-situ measured settlement data, the hyperbolic method is most widely used. But, this method does not have clear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settlement and time. Therefore, more and more, it heavily causes technical problems and economical costs. In this study, focused on securing the linear of basic hyperthesis and expanding the ranges of the linear,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new method was verified through comparing with that of different methods.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is known that the linear of the initial line of the proposed method is more apparent than that of others and the ranges of the proposed method are more expanded.
김종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2 국내석사
Nutrition labeling on food packages is increasingly found to promote healthier food choices associated with lower risk of chronic kidney disease (CK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nutrition labels use and CKD risk, we conduct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study of 32,080 adults from the 2008–201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tion labels use was collected vi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scertainment and severity of CKD was determined by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or proteinuria. In multivariable-adjusted (MV) logistic regression models, increasing awareness and use of nutrition label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CKD risk (MV-adjusted OR “nutrition labels aware and use” group vs. “nutrition labels unaware” group [95% CIs]: 0.75 [0.59–0.95], P-trend: 0.03). This inverse association varied with CKD’s risk to progression with 21% and 42% reduced risk observed for CKD subtypes with “moderate” and “high” risk to progression, respectively (all P-trend ≤ 0.04). Furthermore, the nutrition labels use and CKD risk association significantly differed by age, with 35% reduced risk observed in the older group aged 49 years or older, but not in the younger group (P-interaction < 0.001). Our results suggest increasing perception and use of nutrition labels may contribute to CKD prevention and its early asymptomatic progression, especially in older adults. 식품의 영양소 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식품 포장의 영양 표시는 만성 신부전(CKD)의 예방과 관련 있는 건강한 식품 선택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영양 표시 사용과 CKD 위험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08-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19세 이상 성인 32,080명에게서 수집된 단면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영양 표시와 CKD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영양 표시의 인식 및 사용에 대한 정보는 설문지(self-reported questionnaire)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CKD 및 CKD 중증도는 추정된 사구체 여과율과 소변 스틱 검사의 결과로부터 추정된 단백뇨에 의해 결정되었다. 다변수 조정 로지스틱 회귀 모델에서 영양 표시의 인식 및 사용이 증가할 수록, CKD 위험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Multivariable-adjusted OR “nutrition labels aware and use” group vs. “nutrition labels unaware” group [95% CI]: 0.75[0.59–0.95], P-trend: 0.03). 특히, 이 연관성은 CKD의 예후 진행 위험 정도에 따라 정의된 CKD 중증도에 따라 달라짐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영양 표시 사용하는 그룹은, 영양표시를 인지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저위험 CKD 및 고위험 CKD를 가지게 될 오즈가 각각 21%, 42% 감소하였다(모든 P-trend ≤ 0.04). 또한 영양 표시 사용과 CKD 위험 연관성은 연령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49세 이상의 고령자 그룹에서는 영양 표시의 사용하는 그룹에서, 영양표시를 인지 및 사용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CKD 위험 오즈가 35% 감소됨을 볼 수 있었으나, 49세 이하의 그룹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interaction < 0.001). 즉, 본 연구 결과는 영양 표시의 인지와 사용이 CKD의 위험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그 효과가 연령이 높을 수록, 그리고 초기 CKD 예후 진행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박정희 정권의 정치이념과 체육정책의 내적 연관관계를 분석 해명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 사회의 근대화 과정에서 부각된 박정희 대통령의 정치이념을 분석, 이러한 정치이념이 투영된 체육정책의 전개과정을 박 정권의 내셔날리즘적 논리 구조로 재해석하여 그 정책적 패러다임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정책적 패러다임을 기초로 해서 표출된 체육정책 전개양상의 현실적 의미를 밝히고 그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의 시대는 민족적 시련기였으며, 이념적 혼란과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얼룩진 좌절과 시련으로 점철되었다. 그는 약소 민족의 비애를 절감하였으며, 8․15 해방 이후 국권의 회복이 이루어졌음에도 소모적인 정쟁으로 근대화의 길을 열어 나가지 못하는 정치 사회현실에 군사쿠데타의 길을 택하게 된다. 그는 사회구조의 변혁과 자주적 국민의식 제고를 위해 새마을 운동을 전개하는 등 한국적 민주주의의 정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게 된다. 박 정권의 체육정책은 ’민족중흥을 위한 건민(健民) 사상‘을 바탕으로「체력은 국력」이라는 구호를 일반화하여 국민체육의 개념을 구체화하는 스포츠 내셔날리즘적 의미를 부각시켜 나갔다. 박 정권의 국민체육진흥정책은 국민체육시대 개막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국민체육진흥법의 제정을 통해 전국민을 위한 체육활동 생활화 즉 ‘sports for all' 이라는 정책적 방침을 구체화하여 각 직장 및 지역에 이르기까지 체육시설을 확충하는 명실상부한 국민체육시대를 열어 나갔다. 박 정권하의 국민체육진흥정책이 제도적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체육진흥법을 제정하고 이에 연관되는 제반 관련법을 정비하였으며, 정부 조직으로서의 체육행정 조직의 기초를 마련하고 민간조직으로서 대한체육회가 총괄적인 계획 수립 집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박 정권은 학교체육 활성화에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는 학교 교과과정을 통해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의 체위를 향상시키고 체력을 증강하는 국민기본체력 유지와 증대를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최근 국민들에 대한 체력 검사 결과 식생활의 개선으로 체위는 향상되었지만, 청소년들의 체력이 상당히 약화되었다는 점을 주목해 볼 때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된다. 「체력은 국력」이라는 구호를 내세워 국력의 극대화 필요성을 국민총화의 개념으로 연결시키고자 한 정치적 의도의 소산이라고 하더라도 그 실질적인 의미는 평가 절하될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박 정권의 체육정책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접근 그리고 그 현실적 의미에 대한 체육사적 이론 정립이 요구된다. 특히 엘리트체육의 경우 박 정권은 체육정책에 있어 다른 어떤 분야보다 정책적 비중을 실어서 이를 통한 사회통합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스포츠 외교 강화의 수단으로 삼았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스포츠 외교의 차원에서 국내외 경기대회를 운영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련 체육시설의 확충과 스포츠과학 진흥에도 관심의 폭을 넓혔고, 그 결과 88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함께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한국 사회의 위상에 걸맞는 체육 인프라 구축에 성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접근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박 정권하의 체육정책이 지니는 시대성과 그 성과를 말해준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박 정권이 이처럼 근대화 추진의 성과를 가시화하고 남북한간의 스포츠경쟁을 통해 국민적 통합력을 제고시키려는 의도가 엘리트체육 위주의 지원체제로 기울어지게 하였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그러나 엘리트체육의 활성화는 학교체육과 사회체육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어 80년대 이후 체육 융성의 기반을 다지게 되고, 90년대 사회발전을 상징하는 대중스포츠시대 개막의 원동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소홀히 할 수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60~70년대 근대화과정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던 박 정권은 시대적 제약성에도 불구하고 스포츠 내셔날리즘의 기치를 앞세워 국민체육시대를 열고, 체육 행정과 재정 분야의 체제 정비 및 제도화를 통해 국민생활체육의 기틀을 마련하는 커다란 업적을 이룬 것이다.
청소년의 흡연예방교육에 대한 강의식과 온라인토론식의 비교 연구
김종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흡연은 금연함으로서 완전히 예방가능한 반면에 가장 중요한 사망원인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식이 보편화되면서 성인 남성 흡연율은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게 되었지만 이와는 반대로 청소년의 흡연율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에의 접근은 한층 쉬워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흡연예방교육에 대한 강의식과 온라인토론식의 교육방법의 효과를 비교하여 알아봄으로써 청소년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향후 이를 위한 보건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1년 9월 24일에서 2001년 10월 20일 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동작구에 위치한 1개 고등학교에서 세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두 학급은 실험군으로, 나머지 한 학급은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두실험군 학급 중 한 학급에는 강의식교육을 적용하고 다른 학급에는 온라인토론식 교육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 학급에는 아무런 교육을 어떤 교육도 적용하지 않았다. 자료수집은 교육 전 사전조사, 교육 후 사후조사, 2주후 추후조사로 구분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자가 직접 시행하였다. 흡연예방교육은 강의식과 온라인토론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일주일에 두 번씩 총 네 번에 걸쳐서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 Win을 이용하였고 세 집단의 흡연관련 실태는 two-way ANOVA를 적용하여 검증하였고, 강의식교육집단과 온라인토론식교육 집단의 만족도에 대한 분석은 t-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보다 흡연에 대한 지식 점수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1.869, p>0.05) 둘째, 강의식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온라인토론식교육을 받은 학생들보다 태도점수는 높았으나 통계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온라인토론식 흡연예방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이 강의식 교육을 적용한 실험군보다 추후조사에서도 점수가 높았다. 셋째, 강의식과 온라인토론식 경우 흡연예방교육 전후 흡연량의 변화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넷째, 온라인토론식 교육은 강의식 교육보다 솔직하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타인의 생각을 공유하여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다섯째, 강의식교육집단과 온라인토론식교육집단 모두 온라인토론식교육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고등학생 대상의 청소년 흡연예방교육은 교육방법에 따라서 흡연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행위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온라인토론식 교육방법을 선호하며 만족도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강의식 교육방법을 실시한 실험군의 흡연지식 및 태도 변화에 있어서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교했을 때 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흡연지식 및 태도, 행위를 변화시켜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서 강의식과 온라인토론식 교육을 병행할 것을 제언하며 웹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를 이용한 흡연예방교육 자료 개발이 좀 더 확대되야 할 것이다. Smoking can be completely preventive by quitting but is know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ath causes. As this awareness is all-pervasive, the smoking rate of Adult has decreased. But the adolescence smoking rate has increased rapidly. At the same time, development of internet made be more easier to access to the health information.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with lecture and online discussion fo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nd this study was tried to offer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of health education , to serve health promotion for adolescence. The duration of data collection was from September 24, 2001 to October 20, 2001. The research subject students are selected at random from 3 classes of the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where is DongJak-Gu, Seoul, Korea. Two classes are experimentation group fo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at are devided by lecture-based and online discussion-based. One class is a control group that is not served any kind of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by measurement of knowledge, attitude, practice on smoking. The pre research is conducted before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nd post research were formed twice immediately after the education, 2 weeks later after the education.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was served 4 times per 2 weeks. Collected data were analyzied by using the SPSS 10.0 for win program. Analysis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 students used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it used two-way ANOVA for analyses on the actual condition related smoking of three groups. And the t-test was used for analyzing degree of satisfaction both lecture-based group and online discussion-based.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otal of knowledge points in experimentation groups was mo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its statistically difference is significant. 2. The students' attitude points in lecture-based group were higher than any other groups but their differences statistically is not significant. 3. Based on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mong three groups, the change of smoking rate was not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smoking of lecture based was high than that of online discussion based 5.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online discussion-based was more higher than that of lecture-based. And it is statistically different.
한국 회사채시장에 대한 연구 : 코로나19 전후를 중심으로
김종희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As COVID-19 which began in early 2020 became a pandemic, the global financial market faced the COVID-19 economic crisis amid unprecedented levels of volatility and market unrest around the world. The emergence of ESG(Environmental, Social and Governance) is another issue that became also a hot agenda in the global financial market as much as the COVID-19 pandemic. Accordingly, in this study, we studied and analyzed these two agendas, which are recognized as the biggest issues in the financial market recently, with similarities in time before and after COVID-19 in 2020, focusing on the domestic corporate bond market. First, in Chapter 2, we analyzed how the external shocks of the COVID-19 pandemic affected the domestic corporate bond issuance market and how it affected the process of forming corporate bond issuance rates. In the period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various factors such as demand forecasting etc were taken into account when determining interest rate bands and fixed interest rate to see how the process to final decision on the issuance rate is affected. At the same time, the analysis of the COVID-19 impact on the corporate bond issuance market is also includ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proven through empirical data that the COVID-19 situation expanded in the size of the desired yield band, which is used to determine interest rates when issuing corporate bonds. In addition, yearly comparative analysis showed empirical results that not only did investors who participate in demand forecasting become more sensitive to credit ratings due to the COVID-19 situation and market polarization deepened, but also the phenomenon of relative undervaluation of issued bonds became clear and it became difficult to form reasonable expectations for future returns. In Chapter 3, we analyzed how ESG is affecting the domestic corporate bond market, and in particular, how they relate to credit spreads in corporate bond yields. In this study, we analyzed whether ESG ratings have an impact on corporate bond credit spreads in terms of corporate governance through panel analysis and yearly cross-sectional analysis and found they have statistically insignificance. However, in the case of the cross-sectional analysis, the low confidence level at the beginning of the analysis period gradually increased and reached to 95% in 2019, and then decreased after 2020. This is because the liquidity crunch in the corporate bond market due to COVID-19 caused financial indicators and credit ratings etc to have the most direct effect on determining credit spreads rather than mid- to long-term factors such as ESG ratings and Also It is believed that increased in volatility of individual company’s ESG rating due to active response by companies to improve or maintain their rating to change in market and policy etc. Meanwhile, this study has limitations due to its relatively small sample size and as well as limited data analysis period given that the domestic ESG investment environment is still at an early stage compared to advanced countries overseas. The increasing attention to ESG factors in the domestic corporate bond market is a relatively new phenomenon. While ESG investment performance has yet to be clearly demonstrated its importance and influence on credit spreads have not been fully reflected in the market. However, with increased awareness of ESG issues among investor as well as research results that confirms its positive impact on investment performance, it is believed that this will soon change.
김종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여성 결혼이민자대상 그림책 읽기 사례 연구 김 종 희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우리나라에 정착하는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거주 기간은 점점 길어지고 있는 반면 이들에게 한국어 사용은 여전히 가장 큰 고충이다.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자녀교육, 경제활동 등 생활영역의 범위가 확대되고 역할도 다양해짐으로써 가정 안에서 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으로서 역할이 점점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여성 결혼이민자들에게 한국어 교육은 기능적 의사소통 능력과 더불어 사회 구성원으로서 상호작용적 의사소통에 관한 것이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연구자와 연구 참여자간의 일대일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나타나는 반응 양상을 분석하여 한국어 교육에 시사하는 바가 무엇일지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7년 8월부터 2018년 2월까지 주1회 그림책 총 22권으로 진행하였다. 그 중 5권은 예비 연구로 진행하여 그림책 선정,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 연구 환경 등 연구 방법의 적절성을 검토하는데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총 17권의 그림책으로 각 가정을 방문하여 연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한국어 교육을 받아 본 경험이 있으며 현재 한국 국적을 취득한 자로 5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두 명의 여성 결혼이민자이다. 연구자는 연구의 본질 및 전 과정을 이해하고 의미를 탐구하고자 완전참여자와 관찰자로서의 참여자로 이중적 역할로 참여하였다. 또한 일대일 상호작용을 통해 유도된 담화나 자연적인 담화에서 결과물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연구자는 한국 사회의 가치관이나 규범 혹은 문화 등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려는 태도를 지양하였다. 연구 도구인 그림책은 이중독자 구조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림책은 어린이만 보는 책이라는 인식에서 벗어나 성인을 대상으로 자신의 삶을 돌아보게 하고 깊은 사고를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 대상인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환경과 특수성을 고려하여 성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 목적에 따라 그림책의 선정기준을 마련하였다.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은 표지읽기, 읽어주기, 상호작용하기, 낭독하기, 글쓰기 등 총 5단계로 진행하였다. 연구 자료는 면담 자료, 현장 음성녹음 전사 자료, 연구 참여자의 쓰기 자료, 연구자의 관찰일지 등 다양한 출처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질적 연구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두 가지 이상의 자료를 사용하는 자료 삼각 검증(triangulation)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 텍스트를 낭독할 때 문자 그대로 읽지 않고 음절의 축약, 형태 변형, 조사 생략 또는 추가를 해서 읽는 모습이 관찰되었다. 이는 한국어 문법 구조에 대한 학습이 부족한 채 말하기에서 나타나는 오류가 그대로 반영된 것이다. 그러나 꾸준히 그림책 낭독을 한 결과 문법적 오류를 인식하고 자신의 음성을 통해 문자 언어의 구조나 표현에 익숙해지면서 읽기의 오류가 차츰 줄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그림책을 읽는 것보다 자기 생각을 표현하는 글쓰기에 적잖은 부담을 갖고 있었다. 연구 초반에는 한 두 줄의 문장으로 표현하다가 이후 스스로 그림책의 문장 단위를 인용하거나 혹은 전체를 베껴 쓰기를 하는 등의 전략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읽기를 통해 풍부한 언어를 접하게 되고 상호작용을 기반이 되어 쓰기 능력이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셋째, 그림책 읽기를 통해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자신을 객관화하고 타인과 주변 세계를 이해하면서 새로운 자아를 발견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다양한 주제의 그림책을 통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연구자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였다. 이러한 상호작용은 언어 속에 반영된 사회 전반적인 이해를 하고 사회 구성원과의 진정한 의사소통을 실현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여성 결혼이민자들은 그림책 읽기 프로그램을 통하여 성인 독자로서 그림책의 즐거움과 가치를 발견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는 자녀에게 직접 소리 내어 그림책을 읽어주고 함께 즐거움을 공유하였고 그 시간도 점층적으로 증가하였다. 연구 참여자의 배우자 역시 그림책에 관심을 갖고 자발적으로 자녀에게 읽어주게 되었고 이를 통해 부부 간의 새로운 공감대를 형성하는 기회가 되었다. 본 연구에 의하면 여성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그림책 읽기는 언어적 측면에서 의사소통 능력이 신장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그림책을 매개로 한 상호작용은 자신이 속한 사회구조 속에서 의사소통에 필요한 적절한 기술을 사용하게 한다. 추후 여성 결혼이민자에게 필요한 진정한 의사소통 능력을 위해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가 다양한 접근 방법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여성 결혼이민자, 그림책, 1:1 상호작용, 상호적 의사소통, 자기표현. A Case Study on Reading Picture Books for Women Marriage Immigrants Kim Jong Hee Gangwon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n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Major While the length of residence for women marriage immigrants who are settling in Korea is increasing, the difficulty of using Korean is still the greatest grievance for them. The role of women marriage immigrant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not only in the household but also as members of the society, as the scope of their lives, such as children education and economic activities, is expanding as well as their roles. Korean education necessary for these women marriage immigrants include interactive communication as members of the society along with functional communication skills. The study has conducted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for women marriage immigrants to contemplate what Korean education suggests by analyzing the response patterns focused on one-to-one interaction between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22 picture books once a week from August 2017 to February 2018. Five of them were used as the preliminary study to examine the adequacy of study methods, including picture book selection,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and study environment. 17 selected picture books have been used to conduct the study program by visiting each household. The participants have experience in receiving Korean education at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consisting of two women marriage immigrants who are currently Korean citizens residing in Korea for more than 5 years.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 the dual role as an observer and a full participant to understand the nature and the whole procedure of the study and to explore its meaning. In addition, the researcher avoided unilaterally delivering cultures, norms, and values of Korean society in the process of drawing the outcomes from the natural conversation or conversation induced through one-to-one interaction. Picture books, a study tool, have a characteristic of a dual reader. Picture books allow adult readers to look back on their lives and to have profound thoughts, straying from the perception that they are only children's books.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nd distinct characteristics of women marriage immigrants who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standard for selecting picture books were set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study for adults. The program consisted of five steps: reading the cover, listening, interacting, reading aloud, and writing. Data was collected from a variety of sources, including interview data, voice recording data, written data of study participants, and observation log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analysis has applied data triangulation method using two or more data to increase the generalisability of qualitative studies. The outcome of the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observed that they didn't read out the letters from the texts of picture books, but abbreviated syllables, modified the format, and omitted or added postpositional particles. This reflected the errors in speaking that they acquired with insufficient learning of the grammatical structure. However, as the study progressed, reading errors gradually decreased as they recognized grammatical errors and became familiar with the structure or expression of the written language while steadily reading picture books. Second, the participants were placed under considerable pressure on writing to express their thoughts rather than reading picture books. In the beginning of the study, they expressed in one or two sentences, and then they either quoted the sentence unit from picture books or copied them all. Consequently, they learned various expressions and improved writing skills based on interaction. Third, through the reading of picture books, women marriage immigrants experienced the journey of self-discovery by understanding others and the world around them and by objectifying themselves. They expressed their own opinions from the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and started critical thinking through picture books with various subjects. Such this interaction can provide the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the society reflected in the language and realize the true communication with members of the society. Lastly, women marriage immigrants discovered the pleasure and value of picture books as adult readers through the picture book reading program. As a result, the participants shared fun together by reading picture books out to their children, and that time gradually increased. The spouses of the participants also showed interest in picture books and voluntarily read to their children, giving them the opportunity to form the new marital bond. The study showed that reading picture books for women marriage immigrants has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in terms of language. Furthermore, interaction by the media of picture books used the appropriate skill required for communication within their social structure.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y on Korean education becomes active through various approaches in order to achieve true communication skills necessary for women marriage immigrants. Key words: Women Marriage Immigrants, Picture book, 1:1 interaction, Mutual communication, Self-expre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