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포츠브랜드의 소구유형과 소비자가치 기준에 따른 광고효과연구

        오창희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에서는 경쟁이 심화 된 스포츠 시장에서 우위를 선정하는데 필요한 핵심적인 도구인 광고를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최근 광고마케팅 전략 중 차별화된 광고전략에 있어 광고소구전략을 펼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스포츠브랜드 제품을 대상으로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를 연구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인쇄광고물은 Photoshop CS2 프로그램을 이용해 각각의 소구유형을 나타내는데 적합한 광고메시지를 삽입하여 광고물을 제작하였다. 또한 기존상표에 대한 태도가 광고의 노출효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함과 동시에 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현존하는 브랜드를 사용하되 해당브랜드를 알지 못하는 사람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성인 20대, 30대 남녀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수집한 자료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총 419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 V.23.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 분석 및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포츠제품광고의 소구유형과 소비자가치기준에 따른 광고효과는 이성적 감성적 그리고 혼합적 소구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혼합적 광고와 감성적 광고는 이성적 광고보다 더 높은 광고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스포츠제품광고의 소구유형과 쾌락적 소비성향에 따른 광고효과의 차이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혼합적 광고와 감성적 광고는 이성적 광고보다 더 높은 광고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스포츠제품광고에서의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구매의도, 구전의도의 영향관계는 이성적, 감성적 그리고 혼합적 광고에서 모두 광고태도가 브랜드태도에, 브랜드태도가 구매의도에, 브랜드태도가 구전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광고소구유형에 따른 광고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새롭게 시장에 진입하는 신규브랜드 혹은 신제품의 경우 이성적, 감성적 광고소구를 적절하게 섞은 혼합적 광고가 효과적일 것이라는 이론적 근거를 제시하였다.

      • 무형자산의 가치평가기준 비교분석

        이기호 韓南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86

        This i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standards of social accounting such as accounting, appraisal and valuation, focusing on technology and intangibles. Accounting standards such as International Accounting Standards(IAS), American GAAP and Korean Accounting Standards(KAS) are not suitable for intangible or knowledge assets. Accounting Standards has some limitation to recognize and value the Intangibles. Accounting Standards are based on historical cost principles and conservatism for asset recognition. It makes Financial Statements difficult to represent real value of intangibles. So the value-relevance of financial reporting are decreasing. Also appraisal standards for real property are not enough for those assets. NACVA Professional Standards, Korean Valuation Standards for Technology and Business, and business valuation parts of International Valuation Standards and USPAP are the samples of social accounting for those assets. Valuation will be a catalyst for the production of technology and knowledge, and in turn the knowledge society. This is the first study on developing new model of knowledge assets measurement. This paper suggests a model connecting the model of knowledge assets measurement with business valuation principles and approaches. The model is tested through high-tech start-up. Traditional knowledge assets measurement models are classified into monetary model and index model. The former is divided between IC(Intellectual Capital Statement) model and BSC(Balanced Scorecard) model. The latter is divided among Market Value Use Method, Access Earnings Method, Economic Income Use Method, and Unit Knowledge Assets Measurement Method. Monetary models are based on the Generally Accepted Valuation Principles and Approaches and index models are on value factors analysis. These models have been developed without understanding other models because they have different ways to develop. Two models are connected through KVA checklist pool for the analysis of value factors.

      • 미래사회에 부응할 청소년의 가치기준 내면화 접근 프로그램 연구

        백승준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71

        가치관이란 ‘개인이 특정 상황에서 어떤 선택이나 결정을 내려야 할 때, 특정한 방향으로 행동하게 하는 원칙, 믿음, 신념’을 의미한다. 이러한 가치관은 성장과정을 통해 우리가 살아온 환경과 주위 사람들의 영향을 받아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어린 시절에 부모나 좋아하는 사람들의 행동들을 내면화함으로써 가치체계가 형성되는데 이렇게 형성된 가치관은 점차 성장하면서 정형화된다. 하지만 우리 사회는 지금 이기주의, 정실주의, 배금주의 및 쾌락주의 등의 병폐적 가치관으로 인해 가치관 왜곡의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여파가 가장 큰 집단이 바로 청소년이다. 급격하고 혼란된 사회변동의 와중에서 청소년들은 그들 나름대로의 의식구조를 분명히 형성하지 못하여 심한 가치관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게 되고, 그로 인한 부적응 행동은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의 시기에 처한 청소년들에게 올바른 가치관 형성을 위한 교육적 배려가 필요하다. 다시 말해서 청소년들에게 가치관 내면교육을 통해 올바른 삶의 가치와 사고 및 행동방식, 올바른 인간성을 추구하는 가치관 확립과 그것에 기초한 확고한 자아정립이 요구된다. 하지만 오늘날 한국 사회는 입시 위주의 지적 교육에만 치중한 나머지 가치관 교육 내지 형성에는 피상적이다. 그러므로 많은 청소년들이 가치관 혼동을 가져오고 있다. 이러한 윤리 및 가치관상의 사회적 해체과정에서 우리의 청소년들이 바람직한 가치관을 형성할 것을 기대한다는 것은 緣木求魚에 가깝다. 사회에서 합의된 가치관이 없을 때 청소년들은 합리적 판단의 준거를 찾기 어려우며, 결과적으로 편의적 이기주의나 불합리한 행동의 자기합리주의에 몰입되기 쉽다. 역대 대통령이 정당성과 도덕성이 결핍된 사람으로 판정된 현실에서, 교장선생님이나 담임선생님을 어려워하기를 기대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며, 사회적 출세나 경제적 부(富)가 존경의 지표로 판을 치는 권력, 금전 지향적인 사회가치 환경에서 권력이나 경제적 부의 측면에서 별 볼일 없는 자신의 아버지를 자식이 존경하기를 기대하는 것은 어렵다. 청소년은 우리 앞날을 가늠할 미래사회의 주역이다.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사회의 중핵적 가치관을 심어주는 것은 청소년 본인에게나 가정 및 국가의 입장에서도 극히 필요하고 중요한 일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가치관을 올바로 진단하여 바람직한 가치관 교육을 위한 참고자료를 얻는 것이다. 올바른 가치관 정립을 위해 국가는 국가대로 정책을 세워 노력하고, 시민단체는 시민단체대로 시민운동을 전개하는 노력을 펴고, 학교는 학교대로 입시 위주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인성교육으로 바른 가치관을 심는 일로 치유해야 한다. 그러므로 이러한 것들을 시급히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민 모두가 바람직한 가치관의 정립이 가장 절실히 요구된다.

      • 가상사회에서 시각화된 디지털상품의 가치기준 연구

        박재형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68

        미국이나 다른 나라들에 비해 적극적인 친교활동이 없던 우리나라에서는 PC통신이 활성화된 이후로 가상커뮤니티를 통한 사람들 간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있다. 최근의 인터넷의 빠른 확산과 더불어 인터넷 커뮤니티 역시 급속도로 커나가고 있는 시점에서 인터넷 커뮤니터 안에서의 디지털상품, 즉 아이템 등의 구매와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디지털상품은 가상사회가 존재하기 이전에는 거의 그 존재나 가치를 평가받지 못했지만, 가상사회가 급속도로 커지고 활성화 되어감에 따라 디지털상품에 대한 존재나 가치도 사람들에게 중요한 이슈가 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사회가 가지고 있는 경제구조의 특징은 무엇이며, 그 속에서 탄생한 디지털상품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실제상품과 어떠한 차이점이 있으며 소비자가 디지털상품을 구매할 때 어떠한 점에 가치를 두는지, 어떤 부정적인 시선을 가지고 있는지에 관해 밝히고자 한다. 디지털혁명은 피터 드러커가 말한 것과 같이 산업혁명과 유사한 진행과 더 큰 산업의 발전을 가져왔다. 네트워크의 발달은 사람들의 지적공유의 욕구를 자극해 왔고, 점점 사람들을 네트워크 안으로 끌어들이게 되었다. 디지털기술의 발달은 네트워크 안에 모인 사람들에게 단순한 지식의 공유 이상의 것을 제공해 주게 되었고,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거대기업과 정부는 네트워크가 미래의 경제흐름의 열쇠란 것을 인식하였다. 그 결과 네트워크 안에서의 변화가 일어나기 시작했는데, 그것이 바로 사람들을 더 모아 네트워크를 거대하게 만들려는 거대기업의 계획이었고, 그를 위해 다양한 컨텐츠로 사람들을 모으게 되었다. 가상사회는 네트워크가 더 많은 사람들을 끌어 모을 수 있게 만들었다. 사람들이 네트워크에 항상 접속하는 이유가 가상사회로 집약되었고, 가상사회는 네트워크시대의 경제를 이끌어가는 축이 되고 있다. 피에르 레비는 가상화는 허구나 허상이 아닌 현실화에 대한 반영이라고 말하고 있다. 즉 가상사회는 현실사회가 가상화를 통해 새롭게 반영된 모습이라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가상이라는 단어가 주는 의미는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측면도 가지고 있다. 가상사회, 또는 그 안에서 거래되는 디지털상품이 사람들에게 부정적인 측면으로 보여지는 원인은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는 가상이라는 단어가 주는 비현실적 가치에 대한측면이다. 일반적으로 사람 들은 디지털이나 가상의 존재를 한정된 가상이라는 공간 아래서만 존재하는 대상이기 때문에 그것에 대한 가치를충분히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집단지성의 무의식화에 의해 가상사회나 디지털상품이 영리적인 목적으로만 발전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러한 가상사회와 디지털상품의 부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가상사회는 끊임없이 활성화되고 있고, 디지털상품 역시 그 가치를 증대해 나가고 있다. 그렇다면 소비자들이 디지털상품의 구매에 있어서 그 상품의 가치를 어디에 둘 것인가? 이 연구에서는 실제상품의 구매요인에 있어서 상품학에서 말하는 가치를 기준으로 디지털상품의 구매에 있어서 비슷한 요인이 작용할 것이라는 가설을 두고 그 가설을 입증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상품이 실제상품과 물리적으로 다른 성질로 인해 갖게 되는 나름대로의 특성이 어떻게 가치 판단에 반영될 것인가라는 측면에서 시각화된 디지별상품의 경우 뉴미디어적인 물리적 특징에 의해 소비자들은 뉴미디어의 특징들에 그 가치를 둘 것이라는 가설을 입증하고 있다. 결론에서는 가설에서 입증된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하고 있다. 즉, 시각화된 디지털상품을 소비자가 선택하기까지의 가치판단의 기준은 실제상품의 구매요인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실제상품과 다른 물리적 특징으로 인해 디지털상품은 뉴미디어적인 특징에 의해 그 가치를 또한 판단하게 된다는 점이다. 또한 디지털상품이 실제상품과 달리 가상사회에서만 존재한다는 점과 무의식화 된 공간에서 거래된다는 점이 갖는 부정적인 이미지를 해결할 때 비로소 올바른 디지털상품의 가치에 대해 논할 수 있게 될 것이며, 디지털상품의 가치가 증대될 것이다.

      • 합병결의가 주가에 미치는 영향 : 유가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의 비교 분석

        이종필 부산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68

        본 연구는 합병기업의 합병 후 장단기 성과를 시장별로 비교·분석한 후 기업의 인수가치가 다른 특성요인들과 더불어 합병기업의 장단기 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한 표본은 2000년부터 2010년간 합병 공시 및 합병이 완료된 사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표본은 유가증권 시장은 217건, 코스닥시장은 379건에 대해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합병기업의 공시일 주변 초과수익률을 측정한 결과, 유가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 모두 유의적인 양(+)의 시장 반응을 보였다. 둘째, 합병기업의 장기 주식성과는 유가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는데, 코스피 조정 누적수익률은 합병월을 기준으로 직전 월에서 큰 폭의 상승이 있은 후에는 큰 폭의 하락이나 상승이 없이 지속되지만, 업종평균 조정누적수익률은 합병 월에서 가장 높은 누적수익률을 기록한 이후에 11개월에 유의적인 음(-)의 값을 보이며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였다. 코스닥 시장에서도 코스닥 지수조정 누적수익률과 업종평균 조정 누적수익률은 유가증권 시장의 모습과 유사하였다. 셋째, 유가증권시장에서는 초과 영업현금 흐름 수익률로 측정한 경영성과는 합병 후 2년이 경과한 후에는 유의적인 음(-)의 성과를 보이다가 점차 성과가 개선이 되어 5년에는 유의적인 양(+)의 성과를 보였지만, 코스닥 시장에서는 합병 전에 유의적인 음(-)의 성과를 보이다가 합병 후에도 비유의적인 음(-) 성과를 보이고 있어 유가증권시장과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였다. 넷째, 합병기업의 본질가치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q 비율은 유가증권 시장과 코스닥 시장이 모두 합병 연도를 기준으로 하락하는 모양을 보였으며, RIM으로 추정한 본질가치는 유가증권이 합병이후 상승하는 모양을 보인 반면에 코스닥 시장에서는 하락하는 모습을 보여 대조를 이루었다. 잔여가치로 추정한 본질가치는 양 시장에서 모두 합병 이후 4년까지는 하락하다가 5년차에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다음으로는 합병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 주식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보면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부채비율과 최대주주지분율이 유의적인 양(+)의 영향, 시가총액의 자연로그값, 피인수기업의 주식보유비율, 소규모 합병, 계열사간의 합병은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쳤다. 코스닥 시장에서는 합병기업의 자산가치 대비 기준주가, 피인수기업의 자산가치 대비 수익가치가 유의적인 양(+)의 영향, 시가총액의 자연로그값, 피인수기업의 주식보유비율, Q 비율, PER, 소규모 합병, 계열사간의 합병은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끼쳤다. 둘째, 장기 주식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보면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소규모 합병, 계열사간의 합병은 유의적인 양(+)의 영향, 합병기업의 자산가치 대비 기준주가, 단기 주식성과와는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끼쳤고, 코스닥 시장에서는 합병기업의 최대주주지분율, 시가총액의 자연로그값, 합병전 영업현금흐름률, 소규모 합병이 유의적인 양(+)의 영향을 끼쳤다. 셋째, 장기 경영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보면 유가증권 시장에서는 피인수기업의 주식보유비율, 코스닥 시장에서는 소규모 합병이 유의적인 음(-)의 영향을 미쳤다. This paper is a study on short and long-term performances of M&A, especially focusing on intrinsic value of that. Most existing empirical studies do not analyze short term and long term performances by their intrinsic values. So we attempted to find the results of M&A performance using that of M&A firms as well as how to consider using our results. The final samples are consists of 217 firms in KRX and 379 firms in KOSDAQ completed and announced by non-financial corporations listed in the KRX and KOSDAQ from 2000 to 2010. According to our preliminary analysis, short-term and long-term CARs showed similar results to existing research. And AROCFs (abnormal return on operating cash flow) for checking long-run operating performances also showed similar pattern. Our main results are as follow ; First, the less intrinsic value acquiring companies (the more predecessor companies) have, the higher short-term CARs they might receive. Second, in contrast, long-term CARs and AROCFs are not consistent.

      • 자원기준상대가치를 이용한 만성중이염수술환자의 간호활동원가분석

        김미선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415

        본 연구는 의료 행위에만 적용되고 있는 상대가치 수가체계를 간호에 적용한 것으로 간호수가 산정 시 원가분석에 도움이 되고자 만성중이염수술 환자를 대상으로 제공되는 간호활동에 대해 박정호 등(1998)의 자원기준 상대가치점수를 이용한 간호활동원가산정 연구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성중이염으로 유양돌기삭개술과 고실성형술을 시행한 환자로 2009년 2월 1일부터 4월 30일까지 3개월간 대상자에게 입원일부터 퇴원일까지 행해지는 모든 간호활동을 시간(초)과 건수로 조사하였다. 수집된 간호활동을 분석하여 상대가치 1점당 원가를 구하고 이를 이용한 간호활동원가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간호활동원가를 기 개발되어 있는 만성중이염수술 환자의 표준임상경로지(Critical Pathway : CP)에 따른 간호활동원가와 비교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 대상자의 연령은 평균 48세(SD=12.6)였고 여자가 18명(60.0%), 남 자가 12명(40.0%)이었으며 입원일수는 평균 7.9일(SD=1.2)이었다. 2) 만성중이염수술 환자에게 있어 경상적으로 일어나는 간호활동은 호흡간호, 영양간호, 운동 및 자세유지, 안위간호, 위생, 안전, 상담 및 교육, 투약, 의사소통, 환자간호 관리 및 정보관리의 10개영역, 26항목으로 나타났다. 3) 단위시간(초)당 간호인건비는 간호사의 인건비 연간 총액의 평균39,865,789원을 연간 환자간호에 소요하는 시간 7,171,200초로 나누어 초당 인건비 5.6원으로 산출되었다. 4) 간호소비원가는 83,867.6원으로 산출되었다. 간호기록과 입력 및 출력이 16,191.4원으로 가장 높았고 일반적 정맥주사 8,537.1원, 속도조절 정맥주사 8,039.7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간호소비원가가 높은 활동은 소비시간과 소비건수가 상대적으로 높았다. 5) 소비한 상대가치 총점은 1,164.5점으로 상대가치 1점당 원가는 72.0원으로 산출되었다. 6) 간호활동원가는 83,843.7원으로 산출되었다. 간호기록과 입력 및 출력이 9,734.4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의사처치확인 및 검색 9,302.4원, 속도조절 절맥주사 9,072.0원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소비한 상대가치점수가 높을수록 간호활동원가가 높게 나타났다. 그리고 상대가치점수가 같은 활동이어도 소비건수가 많을수록 간호활동원가가 더 높았다. 7) 소비시간이 많은 활동이어도 상대가치 점수가 낮은 간호활동은 간호활동원가가 간호소비원가보다 낮게 나타났다. 8) 입원일에 따라 행해지는 간호활동은 차이를 보였고, 간호활동원가는 수술일이 13,417.8원으로 가장 높았다. 이것은 수술일에 행해지는 투약, 교육 등의 간호활동이 다른 날 보다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9) 만성중이염수술 환자의 표준임상경로지에 따른 간호활동은 21항목이었다. 이에 따른 간호활동원가는 72,014.4원이었으며 수술일이 12,340.8원으로 다른 입원일보다 높았다. 10) 본 연구와 표준임상경로지에서의 공통점은 수술당일의 간호활동원가가 높게 나타나났다는 것이다. 이것은 투약, 교육 둥이 다른 입원일에 비해 더 많이 행해지고 있으며 간호활동에 소비되는 간호적 기술 및 육체적·정신적 노력 및 스트레스 등이 높다는 것이라 하겠다. 11) 간호활동은 질환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소비시간이 많은 활동이어도 간호활동원가가 낮은 경우 소비시간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겠다. 결과적으로, 간호활동은 질환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며 입원일마다 행해지는 간호활동도 차이가 있다. 간호활동의 과중도를 파악하고 적절한 배분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질환마다의 간호활동원가분석이 필요하고 간호수가 산정 시 바탕이 되어야 하겠다. 이 연구는 일개 대학병원에서만 조사되었으므로 반복연구가 필요하며 다른 질환에서의 간호활동원가분석도 필요하다고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