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시홍수 피해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임희진 연세대학교 공학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2

        우리나라는 집중호우 등 크고 작은 자연재해로 인해 인명피해와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며, 난개발로 인한 수계의 변경, 도시화 및 밀집화로 불투수 면적의 증가, 저류공간 축소 등 재해 위험성은 급속도로 증가하는 추세이다.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 피해규모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시간 범위는 최근 10년 간(1997년-2006년)의 시계열 자료를 사용하였다. 둘째, 공간 범위는 경기도 지역 25개 시?군을 대상으로 하였다. 셋째, 모형 설정에 있어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독립변수로는 유발요인, 가중요인, 방재요인으로 선정하였고 종속변수로는 홍수 피해액의 건물 피해액과 공공시설 피해액의 합계로 도시홍수 피해규모를 살펴보았다. 동일한 화폐가치에서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97년 소비자 물가지수를 기준으로 홍수 피해액의 물가상승률을 맞추었다. 또한 홍수 피해액을 시각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GIS를 활용하여 도면에 나타냈다. 분석은 유발요인, 가중요인, 방재요인의 카테고리로 관련 변수들을 선정하고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도시홍수 피해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단계적 회귀분석은 첫째, 도시홍수 피해규모가 높은 지역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하였고 둘째, 1997년-2006년 경기도 지역을 대상으로 도시홍수 피해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Durbin-Watson값의 자기상관성 문제를 Prais-Winsten 방법을 이용하여 자기상관 보정을 실시하였다.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유발요인의 하절기 강우 집중도, 가중요인인 불투수층 면적, 방재요인인 하수관거 보급률이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 유의하게 나타난 요인들은 향후 경기도 방재 계획 수립에 참고자료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제조업 사고패턴 분석을 통한 위험가중 SIF 위험성 결정 방법론에 관한 연구

        김인성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348

        This study is a study on a methodology that presents a model so that the risk assessment, which is carried out as a key tool to prevent SIF (Serious Injury and Fatality), is quantitative and reflects risk weighting factors. To date,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risk assessment-related studies on specific methods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SIF accidents without omission. In addition, there is little research on specific application methods for aggravating factors according to accident-vulnerable groups and work characteristics where accidents occur relatively frequently. Therefore, This study identify patterns of manufacturing accidents and aggravating factors of accidents and present a quantitative risk-weighted risk evaluation model. This research model is demonstrated by pilot application to the plastic processed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Potential and corresponding precursors can be identified for accidents that occurred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from 2012 to 2021, and can be quantitatively applied to identify risk factors during risk assessment and determine the severity of accidents at the risk evaluation stage. New workers less than 6 months old, foreign workers, elderly workers over 55 years old, work that exposes hands and arms to risk areas, and work performed from 9 a.m. to 12 p.m. had a significantly higher accident rate (p<.05). So it can be applied as a weighted value (0.25 to 0.5)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at the risk determination stage. Based on the current working conditions for the identified precursors, a method was presented to quantitatively evaluate the possibility of an accident through NIOSH's HOCs and the share of precursor statistics. Finally, the 'Risk-Weighted SIF Risk Evaluation Solution' research model for the manufacturing industry risk Evaluation methodology was presented, and through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esearch model can more closely evaluate the risk of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when conducting a checklist-type risk assessment to prevent SIF accidents, it can be composed of Potential and Precursor items. Among the precursor items of accident patterns, there is a need to control and manage items not specified in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ct through law revision. The frequency of accidents in non-routine work is relatively high, so risk management and control should be focused on this. There is a need to revise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s 'Guidelines on Risk Assessment' to reflect accident aggravating factors according to work characteristics during risk assessment. This study shoul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evaluation and advance the evaluation method by ensuring a harmonious evaluation with the existing subjective risk assessment.

      • 철강 신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평가 요인 가중치 도출에 관한 연구

        우기택 포항공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32283

        오늘날 첨단기술과 급변하는 경제상황으로 기업간 경쟁은 더욱 치열해 지고 있으며, 최근의 모든 산업분야에서 신제품 개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철강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기술평가요인들을 분류하여 과연 어떠한 요인이 우선적으로 고려 되어야 할지에 대해서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계층분석법)를 활용하여 철강 신제품 개발을 위한 기술평가요인 가중치 도출에 관한 연구를 추진 하였다. 기술평가요인 선정 시 기술평가와 관련되는 해당 논문의 사례 및 철강산업의 특성을 반영하여 지표를 선정 한 이후 철강산업의 전문가 집단의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 18개 요인을 도출 하였으며 AHP방법론을 활용하여 도출된 요인을 포스코의 연구개발, 품질관리, 생산관리, 마케팅 전문집단의 설문을 실시 하였고, 이 설문결과를 AHP의 분석프로그램인 “Expert Choice11”을 활용하여 철강 신제품 기술평가요인간 가중치를 도출 하였다. 가중치 도출결과 18개 요인 중에서 대 분류 항목인 시장/사업환경 기반 요소 중 에서 시장성장성, 고객요구의 수용가능성 및 수익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도출 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철강 신제품 개발 기술평가요인 가중치 결정을 할 수 있는 모델을 국내 최초로 개발하게 되었으며 연구결과 나온 평가모델을 실제 신제품 개발 사례에 적용을 하여 철강산업에 활용 가능한 모델임을 확인 하였다. 향후 연구방향으로서는 휴대폰 등 첨단산업, 조선산업, 중공업 및 자동차 산업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게 된다면 보다 전반적인 산업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평가모델을 개발 할 수 있을 것이다. Due to state-of-the-art technology and a rapidly changing economic situation, competition between companies is getting tougher, and the importance of new product development in all areas of industry has been magnified. In this study, technical evaluating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new steel products were classified and what factors should be primarily considered were searched by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Through these methods, weighting values of technical evaluation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new steel products were investigated. The final 18 technical evaluating factors were identified reflecting the opinion of the expert group of the steel industry, indicators chosen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eel industry practices and technology evaluating and related paper. These were carried out a survey with AHP methodology, targeting the expert groups in POSCO's research and development, quality control, production management, and marketing. The survey results were used to derive weighting values among technical evaluation factors by utilizing AHP analysis program "Expert Choice11". Market growth, acceptability of customer needs, and profitability among Market/business environment based components in main category were drawn as important factors. In this study, the model to determine weighting factors among technical evaluation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new steel products was developed for the first time in Korea. The usefulness of the evaluation model in the steel industry was confirmed by applying to the case of new product development. For the future study, if the study were expanded to mobile phones, such as high-tech industry, shipbuilding industry, heavy industry, automotive industry, etc., the more useful evaluation model would be developed for a wide variety of industries.

      • 계층적분석방법을 이용한 선수 선발의 타당성 검증 : 엘리트 축구 감독을 대상으로

        김정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23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selection of players who are judged subjectively by the soccer leaders at the site an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in the selection of play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first, this study explored ways that field soccer leaders calculate the weight of performance factors importance using AHP. Using AHP, the subjective judgment of the major performance-related factors was objectified and the possibility of selecting the competitors was explored more reasonably. Secon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player selection methods carried out by soccer leaders, the methods of selecting players that soccer leaders judged subjectively and the methods of selecting players using AHP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methods was diagnosed and the level of the competitors selected by the competitor's evaluation scores, such as the season's rating and the season's winning and losing scores, was compared and analyzed. Third, the trend of selecting players was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occer leaders centering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two research objectives. Analysis of variance(ANOVA) by characteristics was performed for the differences between two methods selecting players. The conclusions drawn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mportance weights of the performance factors in each position were calculated by field soccer leaders using AHP, and the importance weights of the performance factors were different. These results mean that subjective judgments by football leaders for each position have been well reflected in objective weights using AHP, and suggest that it is possible to utilize AHP as a way to objectify subjective judgments of football leaders.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layer selected by the football leader's all subjective judgment and the player selected using the AHP was six to seven on average among the total 10 players except for the goalkeep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each of the 10 competitors selected by the two selection methods has a difference of more than half of the competitors. In order to diagnose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selection methods and compare and analyze the level of the selected competitors, t-tested with the points of the competitor's evaluation and the points of the winning or losing, both of which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thod of selecting players using AHP may select higher-quality players than the method of selecting players by the soccer leader's total subjective judgment.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players selected by subjective judgment and those selected by AHP was set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n the ANOVA (ANOVA) conducted by leader characteristic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in coaching experience, age, and coaching licence, and the higher the coaching experience or age, the greater the difference between players selected by two methods. These results suggest that groups with high leadership experience or age relied more on subjective and empirical judgements than the objective factors used in AHP to select players.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의 축구 지도자들이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선수 선발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고, 선수 선발 시 계층적분석방법(AHP)의 적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현장의 축구 지도자들이 AHP를 이용하여 경기력 요인 중요도 가중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탐색하였다. AHP를 이용하여 경기력 관련 주요 요인에 대한 주관적 판단을 객관화 한 후 이를 이용하여 선수를 더 합리적으로 선발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둘째, 축구 지도자들의 선수 선발 방법에 대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축구 지도자들이 주관적으로 판단하여 실행하는 선수 선발 방법과 AHP를 이용한 선수 선발 방법을 비교·분석하였다. 두 방법으로 선발된 선수의 차이를 진단하고, 선수 평가 점수인 시즌 평점과 시즌 승패 점수를 기준으로 선발된 선수의 수준을 비교·분석하였다. 셋째, 앞선 두 개의 연구 목적 달성 과정에서 나타난 결과들을 중심으로 축구 지도자들의 특성(지도 대상, 지도자 자격증, 지도 경력, 연령, 선수 경력)에 따른 선수 선발의 경향을 비교·분석하였다. 각 특성에 따라 집단을 구분하여 두 선발 방법으로 선발된 선수의 차이에 대해 특성별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의 축구 지도자들이 AHP를 이용하여 포지션별로 경기력 요인의 중요도 가중치를 산출한 결과 경기력 요인의 중요도 가중치는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각 포지션에 대한 축구 지도자들의 주관적인 판단이 AHP를 이용해 객관화된 가중치에 잘 반영되었음을 의미하며, 축구 지도자의 주관적 판단을 객관화하는 방법으로서 AHP를 활용하는 것이 가능함을 시사한다. 둘째, 축구 지도자의 전적인 주관적 판단으로 선발한 선수와 AHP를 이용해 선발한 선수의 차이는 골키퍼를 제외한 전체 10명의 선수 중 평균 6~7명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가지 선발 방법으로 선발한 선수는 각각 10명의 선수로 그중 절반 이상의 선수가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이다. 이러한 두 선발 방법의 차이를 진단하고, 선발된 선수의 수준을 비교·분석하기 위해 선수 평가 점수인 시즌 평점과 시즌 승패 점수로 t-test를 한 결과 AHP를 이용해 선발한 선수의 선수 평가 점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축구 지도자의 전적인 주관적 판단에 의한 선수 선발 방법 보다 AHP를 이용하는 선수 선발 방법이 더 수준 높은 선수를 선발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전적인 주관적 판단에 의해 선발한 선수와 AHP를 이용해 선발한 선수의 차이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여 지도자 특성별로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 결과 지도경력, 연령, 지도자 자격증에서 집단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지도경력이나 연령이 높은 집단일수록 두 선수 선발의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도경력이나 연령이 높은 집단이 선수를 선발하는 데에 경기력 요인 이외에 다양한 경험적 요인이 많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는 지도경력이나 연령이 높은 지도자들은 계층적분석방법에서 활용하는 객관적 요인 이외에 주관적이고 경험적인 판단에 더 많이 의존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 기업 정보보호 통제항목 간 결함발생의 영향분석 및 심각도 측정 연구 =

        김환국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15918

        통신, 금융, 의료, 자동차 등 각 산업분야에서 정보통신기술의 의존도가 높아짐에 따라, APT 공격, 악성코드, DDoS 공격 등 조직적이고 지능화된 사이버공격으로 인한 정보유출, 서비스 장애 등 사이버 침해사고 또한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확산되는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정보자산의 보호, 침해사고 대응을 위한 기업의 정보보호 역량 강화를 위한 관심과 중요성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의 정보보호수준 및 관리역량을 측정하기 위해 정보보호관리체계(ISMS) 인증, 개인정보보호관리체계(PIMS) 인증, 정보보호준비도 평가(Security Assessment test for Readiness) 등의 다양한 정보보호관리 정책과 제도들에 관심이 높은 실정이다. 반면, 2016년 인터파크 개인정보유출 사고 등 정보보호관리체계인증을 받은 기업에서 정보유출사고가 발생함으로 인해, 여러 가지 측면에서 현재의 정보보호 수준측정에 대한 실효성 이슈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는 기업이 정보보호관리체계 인증(ISMS)을 획득 후 지속적인 유지관리의 미흡, 일회성 투자, 한시적 대응으로 인해 정보보호 관리가 제대로 이뤄지고 있지 않고 있다는 이슈가 있으며, 심사관점에서는 심사원들의 역량 및 경험이 천차만별이어서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기준을 통한 종합적 분석이 어렵다는 한계 등으로 정보보호관리체계인증의 개선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이에 그 간 기업의 정보보호수준을 평가하고 측정하는 방법론들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들이 지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대표적으로 전문가 설문조사 방식으로 기업의 정보보호수준을 측정하는 것으로 응답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따른다는 한계가 있고, 국제표준인 ISO27001 (ISO/IEC), NIST SP800-53A, K-ISMS 등의 외부기준에 의하여 기업의 정보보호관리체계와 정보보호 조치의 이행여부를 측정하는 것으로 객관적인 점검항목의 신뢰성 및 체계성 등으로 인해 많이 활용되고 있으나, 점검항목에 따른 정보보호 활동을 정량화된 등급으로 측정한 방법은 마련되어 있지 않아 기업의 보안수준을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 실효성에 대한 이슈가 꾸준히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그간의 정보보호 수준측정의 이론적 모형은 측정지표의 범용적인 활용 측면에서 제한적이고, 일정수준 기준선(Baseline)의 측정방식(Pass/Fail), 동일 가중치 적용, 가중치 산정 시 델파이 전문가 분석의 주관적 편향 등의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정보보호수준측정 방법론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선행연구들의 면밀한 고찰을 통해 기업의 수준 측정항목, 측정항목의 결함의 영향도, 객관적 가중치 산정 근거 등 수준측정 항목 및 방법론의 객관적이고 실증적인 방법을 모색하고 정책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인 연구 접근방법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보호수준측정방법의 타당성 측면에서는 새로운 측정항목을 개발하기 보다는 수준측정에 용이하고 적합한 방법을 찾는 것에 있다. 즉, 범용 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한국의 정보보호관리체계(K-ISMS) 인증의 측정지표를 기초로 하였고, 국내외 정보보호 통제모형의 고찰을 통해 정책적 위험요인, 관리적 위험요인, 기술적 위험요인으로 구성된 측정모형을 구성하였다. 둘째, 실용적 접근방법 측면에서는 결함발생 위험도 중심의 수준측정 방법을 채택하였다. 이는 일정수준 기준선을 통과 여부를 측정하는 기존 방식은 현재 상황의 문제점을 정확히 파악하기 어렵고, 침해사고 발생 시 자칫 면죄부로 인식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 이다. 이에 수준측정 시 위험도 수준에 따라 결함제거에 보다 집중할 수 있도록 결함발생빈도 및 강도 중심의 위험도 측정 방식을 적용하였다. 셋째, 정보보호수준의 위험도 측정 시, 측정항목들의 결함발생 중요도 및 가중치 산정 체계를 구축하였다. 정보보호 분야에서 수준측정을 위한 측정지표들은 대부분 동일가중치 또는 전문가의 주관적인 판단에서 가중치를 제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특성상 중요한 결함임에도 불구하고 소홀히 취급되거나 측정항목들의 결함 간에 상대적 영향력, 중요도에 대한 분석이 미흡하기 때문이다. 넷째, 위험도의 가중치 산정 체계의 객관성 확보 측면에서 2013년 K-ISMS 인증을 수검한 183개 기업들의 결함 메타 데이터를 근거로 분석하였다. 즉, 데이터마이닝과 확률적 통계분석을 통해 결함발생의 상대적 영향력 및 중요도를 실증 분석하였는데, 이러한 통계적인 데이터를 활용한 접근 방법은 기존 전문가 중심의 수준측정의 한계를 벗어나 데이터를 근거로 객관적인 가중치 산정의 실증적 증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결함빈도의 가중치 산정의 경우 요인분석을 활용하였으며, 결함심각도의 가중치 산정의 경우 이원비교 및 Case-Control 방법론의 상대적 리스크 (OR) 기법을 적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 방식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기존 방법론(동일 가중치 기법, 전문가 설문을 통한 AHP 분석)들과 비교분석 및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가중치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이때, 위험도 시뮬레이션 시에 통계적 품질 관리 기법(SPC, Statistical Quality Control)을 적용하였다. 한편 본 연구를 통해 기업의 정보보호 수준 측정 시 결함중심의 문제 파악과 우선순위를 통한 결함 제거에 집중할 수 있으며, 기업의 정보보호관리 의사결정 수단의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고, 측정항목의 중요도 및 가중치 산정에 관한 객관적인 근거를 확보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기대한다. 다만, 제한적인 데이터 표본 한계 등으로 시계열적 분석, 효과적인 가중치 산정, 정교한 위험도 측정 방법 등 보다 심도 있고 종합적인 분석은 향후 연구과제로 남겨두었다.

      • (A) study on leading measures of value-based safety : focused on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safety culture of power plants in South Korea

        이정현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1 국내박사

        RANK : 215838

        For proactive safety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mature a safety management culture in an organization into a value-based safety management culture that recognizes and manages safety management system not only as an accident prevention approach but also as an organizational value. To this end, it is imperative to understand the safety culture at the integrated level in which all aspects of 3E,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human and organizational variables ar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accordingly. However,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apply the integrated safety culture structure in South Korea. First, this paper seek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lead to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a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second, tried to identify the basic dimensions that constitute a safety culture for the sake of matured safety culture. Finally, a method for calculating the importance weights of safety culture components was suggested, and a method for assessing the maturity level of safety culture by integrating those components was discussed. In the introduc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certain limitations were encountered in the implementation and maintenance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n the workplace, such as excessive cost, complex documentation,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by hierarchical leadership groups. In order to activate the safety management system, incentives such as lowering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rates and relaxation of safety supervision obligations are anticipated, but for this purpose, it was derived that measur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ystem certification should be attained preemptively. In addition, by applying the integrated model established through the review of safety culture constituent dimensions to the case of power plants in South Korea, it was found that it is appropriate that the safety culture be structured into the observable attributes, unobservable organizational attributes, and unobservable individual attributes. In order to identify the safety culture structure and prepare strategic plans for maturity, a method of calculating the adjusted weights applying the AHP-entropy method was suggested, and as a result of applying this method to power plants in South Korea, it was revealed that the importance weights of safety behavior ranked high. This paper has significance in that it assesses the level of maturity of the organization's safety culture in terms of the integration of 3E, SMS, and HOF and suggests a methodology for deriving a safety culture enhancement plan.

      • 생태하천복원 우선순위 결정을 위한 복원탄력성 평가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성남시 탄천을 중심으로

        김솔 을지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15836

        기존에 있던 많은 평가지표를 통하여 하천복원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하천복원 사업을 진행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천의 복원탄력성을 평가하여 하천의 복원사업의 우선순위결정을 위한 복원탄력성 식을 만들고자 연구하였다. 또한, 시간의 경제성과 비용의 감소를 위하여 회귀분석을 통하여 복원탄력성간편을 만들고자 하였다. 복원탄력성 평가에 관한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1. 본 연구에서는 경기도 성남시 탄천 본류에 대해서 2016년부터 2019년 까지 분기별로 그리고 8개 지점에 대하여 생태하천복원사업 사후모니터링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2. 물리, 생태, 수질, 친수분야 별 30개 지표값에 대해서 표준화를 실시하였고 요인분석의 주성분분석을 통하여 25개의 최종 지표를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25개 지표를 복원탄력성 값을 산정하기 위해 25개 지표에 대해 엔트로피 방법으로 가중치를 산정하여 복원탄력성 값을 산출하였다. 3. 탄천의 복원탄력성 값을 산출한 결과 W2, W4, W6, W8 지점의 복원탄력성 값이 증가하는 추세를 나타내며, W1, W3, W5, W7 지점의 복원탄력성 값은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이는 하천을 복원하며 자연2019년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W6 지점 15.361, W4 지점 15.452, W2 지점 15.456, W8 지점 15.652 순으로 복원탄력성 값이 높아졌으며 W3 지점 15.062, W7 지점 14.416, W5 지점 12.048, W1 지점 11.711 순으로 복원탄력성 값이 낮아졌다. 복원탄력성 값의 변화를 살펴보면 가장 많이 향상된 지점의 차이 값은 W7 지점 1.441, W2 지점 1.168, W3 지점 1.097, W5 지점 0.875, W4 지점 0.796, W1 지점 0.566으로 차이 값이 높아졌고, 복원탄력성 값이 감소된 지점의 차이 값은 W8 지점 –1.01, W6 지점 –1.477로 나타났다. 이러한 지점별로의 차이는 기능성을 상실한 구조물을 제거하거나 개량하여 동물 및 물질의 흐름을 가능하도록 한 하천 복원의 목적이 큰 것으로 나타난다. 4. 시간의 경제성 및 비용적인 측면의 감소를 위하여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하여 생태하천복원사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는 복원탄력성간편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5. 복원탄력성 값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식을 도출하기 위해서, 종속변수는 복원탄력성 값으로 하였으며, 물리, 생태, 수질 및 친수분야 별 25개의 독립변수를 선정하고 상관분성에 의해 복원탄력성 값과 유의확률이 0.05 이상으로 상관성이 큰 17개 항목을 선정하였다. 그 후, 다중회귀분석을 수행함으로써 도출된 8개의 회귀식 중 회귀식의 선형성을 설명하는 결정계수값 Ad.R2이 0.720으로 가장 크고 공선성 값이 모두 10 이하인 식 8을 복원탄력성간편 회귀식으로 결정하였다. 복원탄력성간편 = 5.597×P2 + 14.615×P7 + 3.164×P8 + 25.511×FAI + 1.026×T.coli + 1.089×F.coli – 14.498×S4 + 0.612

      • 지리가중회귀분석을 이용한 결핵 치료결과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사회 특성 요인

        정다운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9519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 사망률 및 재치료자 비율의 수치는 꾸준히 감소하고는 있으나 다른 경제협력개발기구 국가들에 비해 높은 수준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는 여전히 우리나라의 주요한 공중보건학적 문제로 남아있다. 결핵 치료의 성공적인 결과를 위해서는 생물학적, 임상적 또는 행동적 측면을 포괄하는 다원적 과정을 거쳐야 하며, 일반적으로 결핵은 사회적 상태 및 보건 서비스의 지원에 의해 영향을 받는 사회적 질병으로 정의된다. 결핵은 지역별로도 발생과 사망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고 있어 연령군 및 지역별로 드러나지 않는 감염의 확산, 재발, 치료 실패와 사망으로 이어지는 경로가 유지되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이러한 감염성 질환에 대한 공간적 특성을 규명하려는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결핵 연구의 경우 공간분석에서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는 것은 보여줬지만 각 지역과 결핵 간의 인과관계 및 위험요인을 도출한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지역에 따른 결핵 치료 성공률의 증가와 더 나아가 결핵으로 인한 사망 및 결핵의 재발 예방을 위해서는 각 지역별 치료성공의 위험 요인을 규명할 필요가 있다. 이의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결핵 환자들의 치료 성공과 관련된 지역 요인의 관리를 위한 기반연구로 수집된 지역사회단위 자료를 활용하여 각 지역별로 결핵 치료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여 정책 수립에 활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2014년 결핵 신고자료 코호트와 관련된 통계 자료를 기반으로 지리가중 회귀모형을 통해 모델을 2개로 구분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첫 번째 모델은 남성환자 비율, 지역박탈지수, 지역별 1인당 건강보험료, 지역내 예산 중 복지사용 내역비율, 현재흡연율, 고위험 음주율, 지역별 의사비율, 지역 내 10만명당 종합병원 이상 수, 도말양성률이 결핵 치료 성공률에 지역별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 두 번째 모델은 노인환자 비율, 남성환자 비율, 지역별 1인당 건강보험료, 빈곤율, 현재흡연율, 고위험 음주율, 지역별 의사비율, 지역 내 10만명당 종합병원 이상 수, 도말양성률이 결핵 치료 성공률에 지역별로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지리적 가중회귀 분석(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을 사용하여 통계분석 하였다. 첫 번째 모델의 결과를 살펴보면 지역박탈지수가 높을수록 지역내 예산 중 복지사용 내역비율이 낮을수록 도말양성률이 높을수록 결핵 치료 성공률을 낮추며 지역별로 강원도 지역에서 지역박탈지수와 지역내 예산 중 복지사용 내역비율이 회귀계수상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도말양성률은 전라남도 지역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모델의 결과는 노인환자 비율이 높을수록 결핵 치료 성공률을 낮추며 회귀계수상 큰 영향을 미치는 지역은 전라남도 지역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결핵 성공률과 관련 있는 지역 사회 특성 요인을 찾아 효과적인 중재의 단위에서 건강 증진 사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지리적 가중 회귀분석을 통해서 결핵 치료 성공률의 지역 사회 특성 요인을 파악하여 지역에 따라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서로 상이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결핵 치료 지연 및 실패의 위험성이 큰 지역을 우선적으로 취약 집단에 대한 사회 및 경제적인 지원을 통해 적절한 생활환경이 제공되도록 해야 할 것이며, 이와 더불어 의료기관 및 보건소를 대상으로 주기적인 교육 실시 및 정기적인 검진의 지원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Although the incidence and mortality rate of tuberculosis (TB) in Korea have been steadily decreasing, they are still higher than those among other member countries in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Tuberculosis remains to be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in Korea. The successful outcome of tuberculosis treatment requires a successful multicausal process that transcends biological, clinical or behavioral aspects. Generally tuberculosis is recognized as a social disease. The incidences of tuberculosis and mortality expose a wide gap by region. To identify the reason of regional differences, spatial characteristics of infectious disease have been explored. Although previous spatial analyses on tuberculosis in Korea have shown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regions, studies that elicited contextual causal and risk factors of tuberculosis by each region and were spar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success rate of tuberculosis treatment in each region by using community data collected to provide a basis successful for the management of tuberculosis patients. For analysis of new TB patient cohort data in 2014 which was combined tuberculosis infection report data with related regional data, two models were established using GWR . In the first model, the proportion of male patients, regional deprivation index, health insurance rate per capita, local welfare rate among local budget, current smoking rate, high risk drinking rate, percentage of doctors by region, number of general hospital per 100,000 in the region, and the effect of smear positive rate were comprised. Second model included the rate of elderly patients, the proportion of male patients, and other control covariates. In both models, effects by using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first model indicate that factors related to low success rate of tuberculosis were high regional deprivation index, low local welfare rate among local budget, and high smear positive rate. The regional deprivation index and the local welfare use rate among local budget in the Gangwon-do were foun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TB success rate, and the smear positive rate was found to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TB success rate Jeollanam-do. The second model showed that only one the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low success rate of tuberculosis was high rate of elderly patien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factors of success rate of tuberculosis treatment were identified through GWR analysis. It is necessary to provide socio-economic support for appropriate living environment through vulnerable groups especially living in areas with a high risk of delays and failures in tuberculosis treatment. In addition, periodic education and regular screening by medical institutions and public health centers are needed to improve the success rate of TB treat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