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 가족탄력성(Family resilience)의 효과를 중심으로

        김미옥 梨花女子大學校 2001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successful positive-adaptation of their families by applying strength perspectiv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focused on the deficit perspective such as difficulties of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family stress, putting the main emphasis on the relief of maladaptation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Recently, it emphasized to the positive adaptation of family rather than the negative side. A key part of this new trend is the study on family resilience. This study primarily investigate family resilience affects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adaptation of their families, applying the concept of family resilience to the familie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narrows the whole problem down into th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1. What are the effects of family stress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adaptation of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what roles do family resilience play in the adaptation of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2. What are the effects of family adaptation and family resilience on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y? And what are the major variables in family adaptation and family resilience to explain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 survey was conducted upon 285 persons from the family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ith the age range of 3 year old through junior in elementary schools who are members of rehabilitation center. The survey tools was family stress, family adaptation, and social competence. And Family Resilience was measured family coherence, family attitude to disabilities, family strength, family function, coherence and family resources.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y SPSS PC+ 10.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used by AMOS 4.0 as well.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1. Analysis on the differences of the variables The variables analyzed by the socio-demograpic characteristics of subject of study. Family stress depends on the degree of disabilities of children and family income. And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was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a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ducational level of mother, family incom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was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the degree of disabilities of children. But socio-demograpic characteristics of the family did not show statistical significance with the social competence of the children with disabilities. Additionally, the View of family on disability was statistical difference across age of children, the degree of disabilities of children, the elapsed time after disability, educational level of mother. 2. The result of hypothesis test 1) Hypothesis test on family adaptation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family adaptation is well explained by family resilience rather than family stress.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are in nega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family adaptation by family stress is 18.4%.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have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adjusted R square of family adaptation by family resilience is 49.4%. It showed that family resilience is a mai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And family resilience functioned to moderate family adaptation between family stres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on family adaptation was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family stress & role stability, the interaction variable of family stress & attitude of family on disabilities Therefore, it concluded that family resilience is not only a mai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but also in relation to family stress have interaction effect. 2) Hypothesis test on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ocial competence and family resili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weak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family resource in family resilience is the significant variable in social competence and the adjusted R square is 15.4%. Also, social competence and family adaptation has weak positive correlation and adjusted R square is 10.1%. But the regression eqation on family adaptation and family resilience shows that family adaptation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family resource in family resilience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So it showed the social competenc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explained well using family resilience rather than family adaptation. 3. Implication in Social Work Practice These finding have provided variou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for social workers of rehabilitation. Theoretically, this study showes that family resilience is not only a main effect on family adaptation but also in relation to family stress have interaction effect. So this result will contribute the building of theory not only study on family resilience but also study on family stress and adaptation Practically, this study showes that the adaptation is well explained by family resilience variable rather than family stress. This shows that strength perspective-based intervention(family resilience) can be more effective than deficit perspective-based intervention(family stress). 본 연구는 강점관점(Strength Perspective)으로 장애아동가족을 조망하여, 성공적인 가족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향상에 기여하는 가족탄력성의 효과를 보고자 한 것이다. 선행연구는 장애아동가족의 갈등, 스트레스 등 결점관점(Deficit Perspective)에 근거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결점 관점의 연구는 그 해결점 역시 부적응의 감소라는 측면에서 장애아동가족에게 개입하고자 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강점 관점이 재강조되면서 장애아동가족의 부적응이 아니라 성공적인 적응에 관해 연구하고 개입하려는 움직임이 있다. 이러한 일단의 선행연구 안에 가족탄력성에 관한 연구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 개념을 장애아동가족에게 적용하여, 가족탄력성의 기능에 의해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가족스트레스, 적응 및 가족탄력성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차이를 주는 아동 및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을 살펴보았다. 또한 가족탄력성의 효과에 의하여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에 대한 가설검증을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질문을 갖는다. [연구질문 1]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은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연구질문 2] 가족적응 및 가족탄력성은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그리고 아동의 사회적 능력을 가장 잘 설명하는 가족 변인 (가족적응 및 가족탄력성)은 무엇인가? 본 연구의 조사는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는 3세 이상 초등학교 저학년에 재학중인 장애아동가족 28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도구로는 가족스트레스 척도, 가족적응 척도, 사회적 능력 척도를 사용하였고, 가족탄력성을 측정하기 위해 가족통제감 척도, 장애에 대한 가족의 태도 척도, 가족강점 척도, 가족기능 척도, 응집력 척도, 가족자원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0.0을 사용하여 기술적 통계, t검증 및 One-way ANOVA, 단순적률 상관관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4.0을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연구대상의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 1)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측정변인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가족스트레스는 아동의 장애정도와 가족의 월수입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족탄력성은 신념체계, 조직패턴, 의사소통과정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된다. 이 중 신념체계는 장애아동의 연령, 성별, 장애정도, 장애발견 후 경과시간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가족의 특성으로는 응답자의 학력, 가족원 중 다른 장애구성원의 유무, 가족의 월수입에 따라 신념체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조직패턴은 장애아동의 연령, 성별, 장애명, 장애정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응답자의 학력, 가족의 월수입, 가족원 중 다른 장애를 가진 가족구성원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가족의 의사소통과정은 장애아동의 연령, 응답자의 학력, 가족의 월수입, 응답자의 종교에 따라 측정변인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가족탄력성에 따라 본 연구의 측정변인별로 평균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특히 장애아동의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연령이 가족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에서 유의미하게 차이를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에서는 응답자의 학력과 가족의 월수입이 가족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가족적응은 장애아동의 연령만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원 중 다른 장애 가족구성원 존재 여부, 응답자의 학력, 가족 월수입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 주었다.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있어서는 장애정도가 심해질수록 사회적 능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연구대상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의 장애에 관한 시각 차이 장애아동의 연령과 장애정도, 장애발견 후 경과시간은 아동의 장애에 관한 가족의 시각에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령기 이전(7세미만)아동 가족이 초기학령기(초등학교 저학년)아동 가족에 비해 향후 자녀의 장애에 대한 예후에 대해 긍정적인 기대를 하고 있었고, 장애자녀를 통해 삶의 귀한 경험을 했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장애수용정도에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아니었지만, 학령기 아동 가족이 이전 가족에 비해 더 높은 평균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이 학령기로 진입할 경우 정규교육과정에서의 지체와 학교 부적응 문제 등이 유발되어 자녀의 장애에 대한 예후나 삶의 귀한 경험을 했다고 생각하는 등의 장애에 대한 긍정적 측면은 감소하지만, 자녀의 장애에 대한 현실감있는 이해를 통해 장애수용정도는 높아진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장애발견 후 경과시간에 따라 가족의 장애에 대한 시각의 모든 변수에 차이가 있는 것과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가족변인으로는 응답자 학력이 장애자녀를 통해 삶의 귀한 경험을 했다고 생각하는지 여부에 차이를 주는 변인으로 나타났으며, 학력이 높을수록 더 높은 평균치를 보여 주었다. 그러나 향후 자녀의 장애에 대한 예후나 장애수용정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가족의 장애에 대한 시각과 측정변인과의 상관관계 가족의 장애에 대한 시각은 가족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향후 자녀의 장애에 대한 예후를 가족이 어떻게 생각하는지가 가족스트레스와 부적관계를 나타내었다. 이는 가족스트레스가 많을수록 가족의 장애에 대한 시각이 부정적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가족탄력성은 전반적으로 가족의 장애에 대한 시각과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념체계에서는 장애에 관한 가족의 태도가 향후 자녀의 장애에 대한 예후에 가장 큰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조직패턴에서는 가족자원이 역시 향후 자녀의 장애에 대한 예후에 대해 긍정적인 평가를 하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과정은 전반적으로 낮은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는데, 응답자의 장애수용정도와 의사소통간에 가장 높은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관계의 정도는 r=.216으로 미약하였다. 가족적응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 역시 전반적으로 낮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여 주었으나,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가족이 장애자녀를 통해 삶의 귀한 경험을 했다고 생각하는지 여부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 가설검증 결과 1) 가족스트레스 및 가족탄력성과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에 관한 가설검증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은 가족스트레스보다는 가족탄력성에 의해 더 잘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장애아동의 가족스트레스와 가족적응은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가족스트레스의 가족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18.4%로 나타났다. 장애아동의 가족탄력성과 가족적응간에는 모든 하위요인에서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그 설명력은 각각 신념체계 37.5%, 조직패턴 46.6%, 의사소통과정 36.9%로 나타났다. 가족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변인은 신념체계의 가족통제감과 가족강점, 조직패턴의 응집력과 가족자원, 의사소통과정의 의사소통과 정서반응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이 서로 통제된 상태에서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검증 결과, 신념체계의 가족통제감, 조직패턴의 응집력과 가족자원, 의사소통과정의 정서반응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가족적응에의 영향변인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전체 설명력은 49.4%로 나타나서, 가족탄력성은 가족적응에 매우 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가족탄력성의 가족적응에 관한 주효과(Main effect)가 입증되었다. 한편, 가족탄력성은 가족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는 가족적응에 조절변수(moderator)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별로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가족스트레스와 역할 안정성의 상호작용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족탄력성의 모든 하위요인을 투입한 전체모델에서는 가족스트레스와 장애에 대한 가족 태도의 상호작용 변수와 가족스트레스와 역할 안정성의 상호작용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가족적응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대한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가족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는 가족적응에 대한 상호작용 효과(Interaction effect)가 있음을 제시해준다. 2) 가족적응 및 가족탄력성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가설검증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가족탄력성은 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조직패턴의 가족자원만이 사회적 능력에 영향을 주는 유의미한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탄력성의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설명력은 13.4%였다.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가족적응 역시 약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장애아동의 가족적응이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가설검증 결과, 가족적응, 아동의 장애정도, 응답자의 학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로 조사되었으며 그 설명력은 10.1%였다. 그러나 가족적응과 가족탄력성을 동시에 투입하여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본 결과는 가족적응은 유의미하지 않고, 가족탄력성의 가족자원만이 유의미한 변수로 채택되었다. 따라서 장애아동의 사회적 능력은 가족적응보다는 가족탄력성에 의해 더 잘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하여 본 연구결과가 갖는 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이론적 함의는 가족탄력성의 개념을 장애아동가족에 최초로 적용해 봄으로써 가족연구의 범위를 확장하고, 가족탄력성이 장애아동가족에 어떠한 기능을 하는지 밝혀내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주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가족스트레스와의 관계에서는 상호작용효과가 있음을 밝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탄력성 연구 뿐만 아니라 가족스트레스와 적응에 대한 연구의 theory building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2. 임상적 함의는 본 연구가 장애인복지실천의 강점관점으로의 전환 필요성 및 중요성을 입증하는데 기여하였다. 즉 본 연구는 장애아동가족의 적응이 가족스트레스 보다는 가족탄력성 변인에 의해 더 잘 설명됨을 밝힌 바 있다. 이는 가족스트레스에 대한 결점 관점의 개입보다는 가족탄력성이라는 강점 관점의 개입이 가족적응에 더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해준다. 또한 본 연구는 가족적응 및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영향력이 있는 가족관련 변인을 구체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장애인복지실천의 가족관련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할 것이다. 3. 정책적 함의로는 장애아동부양에 대한 수당제도를 현실화하여 장애아동가족이 경제적 부담으로 인한 이중적인 양육부담을 갖지 않도록 지원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장애아동가족의 월수입이 가족스트레스, 가족탄력성, 가족적응 모두에 중요한 차이를 가져오는 변인임이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장애가 가족에게 경제적 부담을 줌으로써, 결과적으로 경제적 요인이 가족의 장애에 대한 대처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애아동가족의 재활비용에 대한 경제적 지원을 현실화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장애에 대한 개입을 장애인 당사자의 재활이나 치료에 국한하지 않고 가족에 대한 개입으로 확대하여 그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정책이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사후대책이 아닌 예방정책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가족탄력성이 노인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

        윤석훈 신한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 사회의 급격한 사회변동은 노인들이 과거에 비해 사회적 역할활동으로부터 조기 이탈이라 할 수 있는 은퇴 및 퇴직 등으로 사회적 지위와 역할 등에 보조적·주변적 역할 등을 담당하게 되었다. 노인의 사회적 역할은 성공적인 노화를 위한 핵심 요소로써 노인들의 지속적인 활동은 자아실현의 요인이며 나아가 삶의 질의 지표로도 이해할 수 있을 만큼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최근 사회적 활동의 참여정도와 노인의 생활만족도간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활동이론의 패러다임과 함께 핵가족 시대의 고령화 사회에서 가족관계가 여전히 노인의 삶의 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가족탄력성의 위기상황과 역경에 대처하는 가족관계의 긍정적인 능력은 성공적인 역할수행을 위한 노년기 노인에게 가장 중요한 자원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북부지역의 노인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가족탄력성이 노인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를 통하여 노인의 역할수행지원정책과 서비스를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북부에 거주하고 있는 65세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로 토대로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를 분석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기술통계분석방법을 이용하여 인구사회학적특성과 가족탄력성, 가족 안과 밖에서의 역할수행을 확인하였다. 둘째, 상관관계 분석방법을 통하여 가족탄력성과 노인의 역할수행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변수간의 유의한 관계를 확인하였다. 셋째, 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여 가족탄력성의 하위변수인 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과정등이 가정내에서의 역할, 또는 가정밖에서의 역할 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남녀 노인의 구성비는 남성49.7%, 여성 50.3%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대는 70세-75세미만이 49.4%로 가장 많았으며 90세이상이 1.9%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력은 중졸이 41.2%로 가장 많았으며 현재 혼인상태로 배우자와 동거가 67.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노인여가시설방문은 주2회이상이 43.3%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상태는 보통이다 48.8%, 좋다가 38%로 나타나 연구대상자가 인식하는 스스로의 건강상태는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대상자의 가족탄력성 하위요인중 가족신념의 수준은 3.90( SD= .647) 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하위요인중 가족통제감이 4.10(SD= .698)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조직유형의 수준은 3.43( SD= .522)로 세부하위요인중에는 융통성의 수준이 3.96(SD= .609)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의사소통의 수준은 3.56( SD= .461)로 세부하위요인중에는 상호협력적 해결수준이 3.74(SD= .608)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말하자면 연구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은 하위요인중 가족신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다음으로 가족의사소통, 가족조직유형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대상자의 역할수행중 가정밖 역할수준이 3.68(SD= .610)로 가정내 역할수준 3.34 (SD= .689)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과 역할수행수준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연령과 학력, 가족형태, 종교유무, 건강상태에 따라서 가족탄력성과 역할수행수준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대상자의 가족탄력성과 역할수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가족탄력성의 신념체계와 의사소통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가정밖 역할수행수준이 높아지며 가족탄력성의 조직유형 수준이 높을수록 노인의 가정내 역할수행수준이 높아짐을 알수 있었다.. 여섯째, 연구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이 역할수행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탄력성은 노인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다름과 같이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해보면, 첫째,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년기가 연장됨에 따라 노년기에 속한 노인의 건강한 역할수행을 위하여 가족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노인의 가족탄력성과 역할수행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연구결과는 가족탄력성의 회복이나 향상을 지원함으로서 노인의 역할수행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토대로 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노인의 가정밖 역할인 사회적 역할, 즉 은퇴 후 직업, 자원봉사활동 등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인 신념체계와 의사소통요인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내용을 포함시키고 노인부부 및 가족을 위한 역할, 즉 가정내 역할수행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인 가족조직유형요인을 향상시킬 수 잇는 내용을 포함함으로서 노인역할수행을 위한 효과적인 지원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넷째, 노인의 가족탄력성이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중 가족탄력성의 의사소통요인이 노인의 역할수행에 보다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바탕으로 노인과 노인가족을 위한 지원서비스와 프로그램을 개발, 실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평균수명의 연장과 더불어 노인세대가 증가함에 따라 노인과 노인가족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노인세대층이 확대됨에 따라 노인의 욕구도 다양해지고 있으며 무엇보다 노인부부와 노인부모. 자녀관계 등 노인가족문제도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노인가족을 위한 복지정책이 마련되어야 하며, 지역내 노인복지관, 종합사회복지관, 건강가정지원센터등이 연계하여 노인과 노인가족을 위한 통합적인 서비스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도적인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Abstract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Elderly Role Performance Yun, SeokHu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Shinhan University The rapid social change of modern society has become a supplementary and peripheral role to the social status and role by retirement and retirement, which can be called early departure from social role activities compared to the past. The social role of the elderly is a key element for successful aging, and the importance of the continuing activity of the elderly is emphasized as a factor of self-realization and also an indicator of quality of life. In addition to the paradigm of activity theory,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 of involvement of social activities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he family relationship still plays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in the nuclear family aging society. In addition, the positive ability of family relationships to deal with the crisis of family resilience and adversity is the most important resource for the elderly in order to fulfill a successful r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elderly in the elderly using leisure facilities in the Gyeonggi area, I have left.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urveyed the elderly over 65 years old residing in Gyeonggi - do based on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s follows. First,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 confirm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amily 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in and out of the family.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the role performance of the elderly was ident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Third, using the regression analysis method, we examined the effect of the sub - variables of family resilience, such as belief system, organizational type, and communication process, on the role in the home or outside the home. The results of the abov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composition ratio of male and female elderly was similar to that of male (49.7%) and female (50.3%). In addition, 49.4% of the aged 70 to 75 years old were the most, while those aged 90 and over were the lowest at 1.9%. The most educated were 41.2% of middle school graduates and 67.3% of them were living with their spouses. In addition, visits to the elderly leisure facilities were twice as many as twice a week (43.3%), and their health status was usually 48.8% and good 38%. Second, the level of family belief among the sub-factors of family resilience of the subjects was 3.90 (SD = .647) (SD = .698) was the highest among the sub-factors. The level of family organization type was 3.43 (SD = .522). Among the sub-factors, the level of flexibility was 3.96 (SD = .609). The level of communication was 3.56 (SD = .461). Among the sub-factors, the level of mutual cooperation was 3.74 (SD = .608). In other words,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subjec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family belief among the sub factors, followed by family communication, family organization type. SD = .610), which is higher than the in-home role level of 3.34 (SD = .689).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of family 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re was no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and family resilience and role according to age and education, family type, religion,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vel. Fifth,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of the subjec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higher the belief system and communication level of family elasticity, In the home. Sixt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on the level of role performance. The results showed that family resilience influenced the role performance of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the elderly age is extended due to the extension of the life expectancy, it can be seen that the role of the family is important for the healthy role of the elderly in the old age. Secon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lderly 's family resilience and role performance, which can improve the elderly' s role performance by supporting the recovery or improvement of family resilience. Third, the program to support the social role of the elderly, such as retirement, job, and volunteer activities, includes the contents that can improve the belief system and communication factors, which are sub -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The role for the family, that is, the program to support the role in the home, can include the contents that can improve the factor of the family organization type which is the sub-factor of family resilience in the program Fourth, family resilience of elderly affects role performance. Among them, communication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have more influence on role performance of elderly peopl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e program. Fifth, as the elderly generation increases with the increase in the average life expectancy, the elderly and the elderly family are increasing their interest. As elderly households are expanded, the needs of elderly people are becoming more diverse. The problem of the elderly family including the child relationship is also increasing. At this point, welfare policies should be prepared for the elderly family, and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provided so that the elderly welfare center,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

      • 가족탄력성에 기초한 원예치료가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적응 향상에 미치는 영향

        정수연 건국대학교 농축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장애아동 가족은 장애아동의 출산으로 예상하지 못한 위기에 직면하게 되면서 만성적 가족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위기상황에 처한 장애아동 가족에게 가족탄력성에 기초한 원예치료를 실시하여 가족적응을 돕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장애아동 부모, 장애아동, 비장애형제 4인으로 구성된 14가족으로, 경기도 K시에 위치한 ○○장애인복지관을 이용하여 실험군 7가족에게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대조군 7가족에게는 원예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았다. 연구기간은 2009년 3월부터 12월까지 격주 토요일, 120분씩, 18회를 실시하였다. 원예치료 동안 가족탄력성 하위 요인인 신념체계, 조직패턴, 의사소통 과정을 매회기에 적용하여 실시하였다. 평가도구는 가족탄력성 척도, 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형제의 행동 평정 척도, 가족적응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원예치료 실시 전․후에 평가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전·후 대조군과 실험군의 효과성 비교 결과, 실험군에서는 가족탄력성 척도의 하위 요인인 신념체계의 가족통제감과 장애에 대한 가족의 태도, 조직패턴의 역할 안정성, 응집력과 가족자원, 의사소통 과정의 문제해결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 신념체계의 가족강점과 의사소통 과정의 의사소통과 정서반응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 평정 척도의 하위 요인인 협력하기, 주장하기, 자기통제, 합계는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장애아동에 대한 비장애형제의 행동 평정 척도의 긍정적 행동인 수용도와 지지의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부정적 행동인 적대감과 당황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원예치료 실시 후 실험군과 대조군의 가족적응을 비교한 결과, 실험군은 유의한 향상이 있는 반면, 대조군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가족탄력성에 기초한 원예치료는 장애아동 가족의 가족탄력성을 강화하고 장애아동의 사회적 기술과 비장애형제의 긍정적 행동을 증가시켜 가족적응 향상에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The family of disabled children experiences chronic stress in the family as they face conflict with the birth of a child with disabilities. This research focuses on helping the family adapt by conducting horticultural therapy based upon family resilience for the disabled children's family. The research subjects are composed of 14 families respectively with four members including the parents of the child with disability, the disabled child and the non-disabled sibling of the child with disability contacted from Center for Handicapped Person in K city of Gyeongggi-do. A horticultural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on the experimental group composed of 7 families while the control group, also composed of 7 families, did not receive any activity for horticultural therapy. The research was conducted over a total of 18 sessions each lasting 120 minutes on every other Saturday from March to December in 2009.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such as belief systems, organizational patterns, communication processes were applied for each session of the program. Evaluation tools used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included family resilience scale, social skills rating system, Schaeffer sibling behavior rating scale, and family adaptation scale. Comparison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before and after the horticultural therapy revealed meaningful increase in the family resilience scale subordinate factor such as family sense of control regarding belief systems, attitude toward disabled people, and role performance, cohesion, and family inventory of resources in the organizational patterns, and problem solving in the communication process.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family strength of the belief system or communication and affective responsiveness in the communication processes. On the other hand, the subordinate factors of social skills rating system for the disabled children such as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and the total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s. Furthermore, positive behavior, reception, and support under Schaeffer sibling behavior rating scale for non-disabled siblings showed meaningful improvements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egative behaviors such as hostility and confusion. In addition, comparison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on family's adaptation reveal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had meaningful improvements while there were no meaningful changes in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horticultural therapy based upon family resilience is effective for strengthening family resilience of the disabled children's family, improving the social skills of the disabled children and increasing the positive behavior of non-disable sibling.

      • 만성질환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선애 부산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Family resilience is a relatively new concept, which describes how family members can adapt to stress and bounce back from adversity. Families with a chronic disease child have some qualities that allow them to resolve their problems and survive the difficult situation, one of which is family resilience. This powerful quality can help the family members relieve the stress and aid them to adapt to their inevitable hard circumstance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mily resilience, which is one of the strongest benefits among those qua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is quality relieves the stress of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and to prove that family adaptation is influenced by the quality in an affirmative way. The projects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are First,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families which have intensive family resilience among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Second, to find out whether the stress of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have relation with family adaptation,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relation, if any. Third, to find out whether the family resilience of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has relation with family adaptation,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and the amount of the relation, if any. Fourth, to find out whether family stress has relation with family resilience,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and the amount of the relation, if any. Fifth, to find out how and how much these three factors -family stress,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affect one another. This study applied data out of the survey of 202 families with chronic illness child and 240 families with common child. The survey tools utilized the stress, hardiness, cohesion,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crisis evaluation, health inquiry, and adaptation of families. The methods for analyzing the results are frequency analysis, mean analysis,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SPSS 10.0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MOS 4.0 for path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exist some families which have intensive family resilience, in spite of family adversity coming out from taking care of chronic illness child. Bu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and common ones about the family resilience. 2. Family stress have some negative influence on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have intensive family stress, and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compared with common child family. 3. Family resilience of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has meaningful cause-and-effect relation with family adaptation. Also,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influences positively on family adaptation. 4. Family resilience leads to the family adaptation in the process of decreasing stres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family resilience affects family adaptation in a cause-and-effect way, and buffers the adversity of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som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to the social workers and professions helping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 청소년기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남‧녀 대학생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 : -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서진희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대학생들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살펴 가족탄력성을 강조하고 발달시켜하는 부분을 살펴봄으로서 가족치료 및 상담적 접근과 가족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함의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및 경기지역, 충정지역 소재의 대학에 재학 중인 545명을 대상으로 첫째, 남·녀 대학생에 따라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 가족탄력성, 대인불안감이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았다. 둘째, 청소년기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이 남·녀 대학생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셋째, 남·녀 대학생의 청소년기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에 따른 대인불안감에 대해 가족탄력성이 조절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녀 대학생에 따라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 가족탄력성, 대인불안감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남‧녀 대학생이 청소년기에 경험한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은 대인불안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녀 대학생이 청소년기에 경험한 집단 괴롭힘 피해와 대인불안감 간의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의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과 남·녀 대학생의 대인불안감에 미치는 영향관계에서 가족탄력성의 조절효과를 탐색함으로써 초기 성인기의 대인불안감에 대해 인식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는 점, 가족탄력성이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을 극복하는 데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남으로써 개인의 문제에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는 점, 청소년기에 집단 괴롭힘 피해경험을 한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가족상담 서비스 및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 데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that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would have on the social anxiety of university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family therapy, counseling approach, and family education program by looking into the area where the family resilience should be emphasized and developed based on the exploration of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on such relationship of influence.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total of 545 students attending the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ial regions were investigated for the followings: First, we examined possible difference in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we examined to find whether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would affect the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rd, we examined whether the family resilience would have a moderating effect on social anxiety based on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amo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was found to affect the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family resilience was found to have the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was conducted based on the perception towards the social anxiety in early adulthood by exploring the moderating effect of family resilience in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between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and social anxiety among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and validated that the family resilience was an important factor in overcoming the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and therefore had an effect on personal problems, and furthermore, provided basic data for developing the family counseling service and education programs targeting the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bullying victimization experience in adolescence.

      •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가족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매개효과

        김미정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on post-traumatic growth(PTG) of a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and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 of the meaning of life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family- resilience and role of the meaning of life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in order to help post-traumatic growth(PTG) of a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a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the consultation and education program for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To achieve this, this study revealed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 post-traumatic growth model, the theory of family-resilience model, and the theory of stress-coping-adaptation. A survey was conducted on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utilizing structured questionnaire for three weeks commencing on October 17 through November 7, 2018 and 113 responses from questionnaire were selected for analysis. For data processing, SPSS 25.0 was utilized to estimate frequency, percentage, the mean, standard deviation reliability coefficient (Cronbach's α), and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Scheff's test,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Bootstrap analysis were performed. The findings from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mily-resilience among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significantly varies per level of education and presence of religion; college graduates scored higher than high-school graduates and those who have religion scored higher than who does not. Second, meaning of life among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significantly varies per level of education, the degree of pain during the course of cancer treatment, and the gender of a child; college graduates scored higher score than high-school graduates, those who experienced less pain during treatment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extremely suffered, and those who have girls scored higher than the one with boys. Thir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among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varies upon the recurrence of a child's disease, and duration of disease-tracking period: those who do not have relapse of the disease scored higher, and those who were under being monitored more than 2 years scored higher than those whose child are in the middle of treatment. Fourth, post-traumatic growth(PTG) among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significantly varies per the level of education, presence of religion, the degree of pain during treatment management and the recurrence of a child's disease: college graduates scored higher than high school graduates, those who have religion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do not, those who experienced less pain during treatment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extremely suffered and those who did not have relapse scored higher than those who did. Fifth,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variables discussed above. Post-traumatic growth (PTG)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amily-resilience, the meaning of life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Sixth, it has been confirmed that family-resilience of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affects post-traumatic growth(PTG) by dual-mediating the meaning of life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Family-resilience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ost-traumatic growth (PTG) from overall and indirect effect perspective however did not from direct effect perspective. The indirect effect of the mediation, the meaning of lif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PTG)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indirect effect of the mediation,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PTG). Considering all discussed above, sequentially, the mediated effect of meaning of life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PTG) were significant. To summarize, the higher family-resilience level among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was, the higher the meaning in life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became, which confirmed that it had a positive effect on post-traumatic growth(PTG). The effect of family-resilience on post traumatic growth has been verified to include the full mediating effect of the meaning of life and active stress coping strategy. Thus, it suggests that family-resilience is important for mothers with childhood cancer to improve post-traumatic growth(PTG). Improving the family-resilience of the mother of childhood cancer, positively meaningful on trauma, will discover the meaning of life, and assist adapting well to active stress copying strategy. Finally it will improve post-traumatic growth(PTG) of a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the consultation and education program to help post-traumatic growth(PTG) of childhood cancer patient's mothers. 본 연구는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가족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가 매개효과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가족탄력성의 효과성과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역할을 검토하여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을 도울 수 있는 상담 및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사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국내의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에 관한 연구는 개인적 측면의 단편적인 변인만을 탐색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으며, 가족 체계적 관점에서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Walsh(1998)의 가족탄력성 모델, Lazarus와 Folkman(1984)의 스트레스-대처-적응 이론, Tedeschi와 Calhoun(1995, 2004)의 외상 후 성장 모델을 기반으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가족탄력성, 삶의 의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도출하였으며, 소아암 환아 어머니를 대상으로 각 변인과 외상 후 성장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고,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종합병원에서 소아암 진단을 받고 치료 중이거나 치료 종료 후 추적관찰 5년 이내의 만 18세 미만 환아의 주보호자인 어머니를 대상으로 설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는 2018년 10월 17일부터 11월 7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자료 점검을 통해 최종 113명의 응답결과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및 기술 통계 분석, 신뢰도 분석(Cronbach's α),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t sample t-test)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Pearson의 상관분석, Scheffe's 사후검증, 위계적 회귀분석(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고,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Hayes(2010)가 제안한 부트스트랩 검증(Bootstra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가족탄력성은 대상자의 교육수준, 종교에 따라 가족탄력성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가족탄력성은 고졸보다 대졸 이상이 높게 나타났고, 무교보다 종교가 있는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삶의 의미는 대상자의 교육수준, 치료 관리 시 고통 정도, 자녀의 성별에 따라 삶의 의미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삶의 의미는 고졸보다 대졸 이상, 치료 관리 시 고통정도가 높은 경우보다 보통 이하인 경우, 자녀의 성별은 남자보다 여자인 경우 삶의 의미가 높았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는 일반적 특성과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자녀의 재발경험, 추적관찰 기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는 재발경험이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높고, 추적관찰 기간은 치료 중인 경우보다 2년 이상인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외상 후 성장의 차이는 대상자의 교육수준, 종교, 치료 관리 시 고통정도, 자녀의 재발경험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 외상 후 성장은 고졸보다 대졸 이상이, 무교보다 종교가 있는 경우, 치료 관리 시 고통은 높은 경우보다 보통 이하인 경우, 재발경험은 없는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각 변인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조사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은 삶의 의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외상 후 성장과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고, 삶의 의미는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외상 후 성장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는 외상 후 성장과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조사대상자의 외상 후 성장은 가족탄력성, 삶의 의미,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와 모두 정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여섯째, 조사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이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이중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조사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총 효과와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였지만, 직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이 삶의 의미를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지 않았고, 조사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이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또한 조사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이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를 순차적으로 매개하여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유의미하였다. 즉 조사대상자의 가족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는 매개효과가 유의미함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가족탄력성 수준이 높을수록,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 수준이 높으며,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가족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에서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완전매개효과를 검증할 수 있었다. 즉 소아암 환아 어머니가 위기 상황에서 역경을 극복하고 회복하여 외상 후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가족탄력성이 중요한 역할을 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가족탄력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외상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부여를 통해 삶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하며,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방식을 사용하여 스트레스 상황에 잘 적응하게 함으로 소아암 환아 어머니가 외상 후 성장에 이르도록 도울 수 있을 것이다.

      • 가족탄력성이 재혼가족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안순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aims to find out how family resilience affects a married couple adaptation of blended couple, without any negative prejudice and focusing on the point of positive strong point of view. Also, I'd like to find out ways to improve the adaptation of those couples by clearly stating what factors affect them the most. In order to do so, we surveyed members of remarriage club of I church, located in Inshindong in Incheon, N church in Chungnam, S church in Incheon again and woman organization of J church in Seoul. We used SPSS Window 12.0 statistics program and used technological statistic ways, Pearson mathematical mutual analysis, Ranking and analyzing reoccurrences, T-test and F-test on the collected data. As a resul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mily resilience and a married couple adaptation of blended marriage, is in some kind of static and mutual status. However, the eight unimportant factors were related with family resilience without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influences of other factor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family resilience which showed high mutual relationship with the adaptation of the couples, were familial resources within the organization patterns of the family, stabilizing the roles of family members, controlling the belief system within the family members and the occupying space of the family. The emotional part of communication processes within the family didn't have very much mutual relationship with the married couple adaptation blended couples and family resilience, when compared with other factors. We looked at the result of the three least important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the belief system within the family members, organization patterns and the processes of communication. 73 percent checked the belief system, 76 percent checked the organization patterns and 76 percent checked the processes of communication as to what influences the adaptation between the couples and this explains very well what we tried to show in this research. By going through these results, we were able to find out that the least important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influenced greatly the married couple adaptation of blended couples. Especially, the feeling of control over the belief system, stabilizing role of organization patterns and familial resources, accurate communication process, problem solving, and emotional response did influence the married couple adaptation of blended couples. Also, when we analyzed what change of factors in family resilience influence the blended couples in a situation where the least important factors of social population change and the least important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were controlled. Compared to the 28 percent which the explanation of the social population change factors recorded, the explanation of family resilience which had eight more factors attached to it, recorded 81 percent. This help us get to the conclusion that family resilience is a very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s the married couple adaptation of blended couples. As an overall result,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the married couple adaptation of blended couples, explains that there is a dynamic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 higher the family resilience is, the higher the married couple adaptation of blended couples. Through this research, we can ignore the current social prejudice and mistakes of looking at them negatively, and also learn that the secondly married couples are surviving and recovering from difficulties with the help of the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In conclusion, family resilience has been proved to have a positive affect on adaptation of couples. I believe this research is a significant data and also gives basic information to other researches that are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the married couple adaptation of blended couples, since no such data exists. 본 연구는 재혼가족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강점관점인 긍정적인 시각에 초점을 두고 가족탄력성이 재혼 가족 부부 적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가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가족탄력성의 여러 변인 중 재혼가족 부부 적응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혀 가족적 접근을 통한 재혼가족의 부부 적응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인천 시 일신동에 위치한 I교회의 재혼가족 모임 회원과 충남의 N 교회, 인천의 S교회, 서울의 J교회 소속의 여성단체의 적극적인 도움을 받아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Window 12.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적인 통계방법, Pearson 적률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T-검증 및 F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가족 탄력성과 재혼가족의 부부 적응과의 관계는, 가족탄력성의 8가지 하위요인들이 다른 변수들의 영향력이 고려되지 않은 상관관계에서 모든 부부 적응의 하위 요인과 정적 상관을 맺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부 적응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는 가족탄력성 요인은 조직패턴의 가족자원 과 가족역할 안정성, 신념체계의 가족 통제감, 가족강점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소통의 정서반응은 가족탄력성 다른 요인에 비해 부부 적응과의 상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탄력성의 세 가지 하위요인인 신념체계, 조직패턴, 의사소통과정이 재혼가족의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는 신념체계 73%, 조직패턴 76%, 의사소통 76%로 관찰되어 아주 높은 설명력을 보여 주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가족탄력성의 각 하위요인이 재혼가족의 부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변인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신념체계의 가족통제감, 조직패턴의 역할 안정성과 가족자원, 의사소통과정의 명확한 의사소통, 문제해결, 정서반응이 재혼가족의 부부 적응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가족탄력성의 하위요인이 서로 통제된 상태에서 가족탄력성의 전체변인이 재혼가족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수들의 설명력인 28%에 비해 8개 요인을 추가한 가족탄력성의 전체 설명력이 81%로 아주 높게 나타나 가족탄력성이 재혼가족의 부부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가족탄력성과 부부 적응의 상관관계에 대한 전체적인 결과 해석은 가족탄력성과 재혼가족 부부 적응간의 상관관계는 역동적인 관계를 보여주고 있으며,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재혼가족의 부부 적응도는 높아진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재혼가족의 가족 구성원이 사회적 편견과 오해의 부정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강점관점의 가족탄력성의 요인을 가지고 위기와 역경으로부터 잘 극복하고 회복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가족탄력성은 재혼가족의 부부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가족탄력성과 재혼가족의 부부 적응의 연구가 전무한 상황에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황시윤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 이를 중도입국청소년들이 학교생활을 잘 적응하기 위해 활용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탄력성,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 적응 등의 변인과 하위 요인별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중도입국청소년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학교생활 적응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탄력성,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 적응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중도입국청소년들이 지각한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을 적응하는 데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광주광역시, 경기도 지역의 중·고등학교 및 중도입국청소년 관계 지역 센터에 재학 중인 중도입국청소년 190명이다. 본 연구의 중도입국청소년들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청소년들의 인구학적 특성요인(성별, 학년, 부모와의 동거 여부, 국내 거주기간, 국내에서 교육받은 기간, 한국어 수준, 학업성적, 경제 상태, 부모출신 국가), 가족탄력성요인(신념체계, 조직유형, 의사소통 과정)과 사회적 지지요인(사회적지지원과 지지유형)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탄력성 분석 도구는 Walsh(1998)가 개발하고 박주연(2011)이 번안한 가족탄력성 측정 도구를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다. 그리고 구조적인 측면을 분석하기 위해 박지원(1985)의 사회적 지지 도구를 설명하는 기능적인 측면에서의 3가지와 이경주(1997)가 개발한 사회적 지지 척도 4가지를 사용하였다. 또한 학교생활의 적응을 측정하기 위해 민병수(1991)가 개발하였으며 이훈진(1999)이 사용한 도구를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특히 중도입국청소년들의 한국어 수준을 고려하여 모든 문항들을 러시아어, 중국어, 베트남어, 영어, 일본어 등으로 각 나라의 전문가가 번역하여 다시 한국어로 역 번역하는 과정을 거쳐 설문지의 의미를 최대한 확보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2월 8일부터 2018년 2월 11일까지 약 2개월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SPSS 20.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과 일원분산분석(one-way ANVO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탄력성 수준은 전체 평균은 3.69로 비교적 높은 편이며, 하위요인별로는 신념체계(3.75), 조직유형(3.66), 의사소통과정(3.65)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수준은 평균 3.75로 높은 편이며, 지지원에서는 가족지지(3.91)를 가장 많이 받고, 친구지지(3.82), 교사지지(3.66) 순으로 나타났다. 지지유형별로는 정서적지지(3.77), 정보적지지(3.70), 물질적지지(3.65), 자존감지지(3.66) 순으로 나타났다. 학교생활 적응 수준은 전체 평균 3.51로 나타났으며, 학교교사(3.65), 학교생활(3.51), 학교공부(3.50), 학교친구(3.43) 등의 요인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도입국청소년의 주요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학교급(t = 2.54, p < .05)과 한국 거주기간(F = 3.32, p < .05), 한국에서의 교육기간(F = 3.55, p < .05)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 수준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도입국청소년이 지각한 가족탄력성, 사회적 지지, 학교생활 적응 등 연구변인들 간에 상관성을 살펴본 결과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변인 간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r = .66, p < .001)을 보였으며, 가족탄력성과 학교생활 적응 변인 간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r = .51, p < .001)을 보였다. 사회적 지지와 학교생활 적응 변인간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r = .62, p < .001)을 보였다. 넷째, 중도입국청소년이 지각한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가 학교생활을 적응하는 데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에 대해서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변인들은 학교생활 적응 변인을 40% 정도 설명하였고, 가족탄력성(b = .12, t = 2.32, p < .05)과 사회적 지지(b = .35, t = 6.59, p < .001) 변인 모두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족탄력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학교생활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변인 모두 중도입국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예측 변인이며, 사회적 지지가 가족탄력성에 비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중도입국청소년들이 학교생활에 적응할 수 있도록 가족 구성원들 간의 서로 다른 문화에서 오는 갈등을 해결하고, 가족 화합을 위한 심리상담프로그램을 지원해야 한다. 또한 학부모가 자녀의 교육에 적극 참여할 수 있도록 학부모들을 위한 자국어로 번역된 가정통신문 등을 제공하여야 한다. 특히 중도입국청소년들에게는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과 지지집단을 만들어 경험을 나누고 소통하도록 하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함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migrant youths, and to utilize the result to make the migrant youths adjust well to school lif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to achieve such purpose of this study. First, what are the variables of migrant youths such as famil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and level according to sub-elements? Second, what is the difference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according to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igrant youths? Third,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famil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school adjustment of migrant youths? Fourth, what is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on the school adjustment that is perceived by migrant youth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90 middle and high schoolers who attend to migrant youths-related local centers in Seoul Metropolis, Incheon Metropolitan City, Gwangju Metropolitan City, and Gyeonggi province. The factors that have an effect on the school adjustment of migrant youths were set up as the factor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sex, grade, living with parents or not, duration of residence in Korea, duration of education in Korea, Korean level, academic performance, economic status, and parents' country of origin), the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belief system, organization type, and communication process), and the factors of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source and support type). As for tool for analyzing family resilience of migrant youths, the family resilience measuring tool, that Walsh(1998) developed and Bak, Ju-yeon(2011) arranged, was restructured to fit fo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n order to analyze structural aspect, three kinds of social supports, that Bak, Ji-won(1985) developed, from the aspect of function that explains social support tool, and four kinds of social support scale, that Lee, Gyeong-ju(1997) developed, were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tool that Min, Byeong-su(1991) developed and Lee, Hun-jin(1999) applied was used by devising and complementing it. The significance of questionnaire was secured to the maximum degree through the process of translating all the questions into Russian, Chinese, Vietnamese, and Japanese by experts in each country and then translated back into Korean, considering the Korean level of migrant youth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about two months from December 8, 2017 to February 11, 2018. The research method includes frequency analysis, t-test, one-way ANVO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20.0.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family resilience level, the whole average was 3.69, relatively high, and as for average according to each sub-factor, belief system was 3.75, organizational type, 3.66, and communication process, 3.65 in the order. As for the social support level, the average was 3.75, relatively high, and as for support source, family support was 3.91, the highest, and then friend support, 3.82, and teacher support, 3.66, in the order. As for the support type, emotion support was 3.77, information support, 3.70, material support, 3.65, and support for self-esteem, 3.66, in the order. As for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level, the whole average was 3.51, and the school teacher, 3.65, school life, 3.51, school study, 3.50, and school friend, 3.43 in the order showing high level of adjustment. Second, the ma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migrant youth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adjustment to school life according to school ranks (t = 2.54, p < .05), duration of residence in Korea (F = 3.32, p < .05), and duration of education in Korea (F = 3.55, p < .05). Third, correlation between research variables, which were perceived by migrant youths, such as family resilience,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wer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 = .66, p < .001) in general,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resilience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 = .51, p < .001) in general.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adjustment to school life variable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 = .62, p < .001) in general. Last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which was perceived by migrant youths,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As a result, it was found out that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accounted for 40% of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variable, and both family resilience (b = .12, t = 2.32, p < .05) and social support (b = .35, t = 6.59, p < .001)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migrant youths'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higher the family resilience of the migrant youths and the more the social support they receive, the better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It was found out that both family resilience and social support variables are predictive variables that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migrant youths' adjustment to school life, and social support has a stronger effect than family resilience on the adjustment to school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solve the conflicts from the different cultures among family members and to support the psychological counseling program for family harmony so that migrant youths can adjust to school life. The teacher's letter translated to mother tongue for parents should be provided so that parent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children's education. It is also suggested that a plan to make a group of people who are undergoing a similar difficulty and a support group for sharing each other's experience and communicating should be prepared for the migrant youth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