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재정립에 관한 연구

        윤정노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2017년 8월 기준으로 국내 체류 외국인 수가 최초로 200만 명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우리나라 전체 인구의 3.9%에 해당한다. 국내 체류 외국인은 2000년 49만1천명에서 2007년 100만 명을 돌파한 이 후 2016년에는 100만 명이 더 늘어 200만 명을 넘어섰다. 체류 중인 외국인의 국적은 중국인이 101만 2,273명으로 가장 많은 50.6%를 차지했다. 그 다음으로 미국인 7.8%, 베트남인 7.2%, 태국인 4.6%, 필리핀인 2.7%, 우즈베키스탄인 2.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에 장기 체류 외국인이 증가한 이유는 중국인의 유입 증가와 취업자 및 유학생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2015년 말 기준으로 우리나라 다문화가구는 278,036가구로 추정된다. 이는 2015년 주민등록 인구통계상의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1.32%를 차지하는 것으로, 2012년 조사(266,547가구)에 비해 4.3% 증가한 것이다. 우리나라 다문화가구의 거주지를 지역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문화가구의 76.4%가 도시 지역에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16개 시도별로 구분하여 살펴보면 서울과 경기 지역에 전체 다문화가구의 절반 정도(서울 21.6%, 경기 27.8%) 가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는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정착과 가족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한국어교육, 가족 및 자녀교육, 상담, 통번역 및 정보제공, 역량강화지원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다문화가족의 한국 사회 조기적응 및 사회경제적 자립지원을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2012년 국비지원기준으로 전국에 204개소가 설치․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이용률은 매우 낮다. 이용률이 낮은 이유는 개인적인 이유도 있겠지만 이러한 기관이 존재한다는 것 자체를 모르는 결혼이민자가 많다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와 지방자치단체는 결혼이민자가족에게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홍보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모든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프로그램 내용이 비슷비슷하여 차별성이 없다. 따라서 각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차별성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다문화가족 자녀의 연령분포를 살펴보면, 초등학생(만 12세)이하의 자녀가 87.2%로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고, 아동의 연령이 낮을수록 어머니가 자녀양육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기 때문에 다문화가족 자녀를 위한 교육정책을 수행함에 있어서 결혼이민자 본인과 자녀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교사들의 급여수준이 너무 낮아 교사로서의 긍지나 자부심을 갖고 책임 있는 교사로서 기대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교사의 급여수준을 하루아침에 끌어올리기는 예산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급여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As of August 2017,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exceeded 2 million for the first time. This corresponds to 3.9% o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The number of foreign residents in Korea surpassed 1 million in 2007, from 491 thousand in 2000 to over one million in 2016, exceeding 2 million. When we look at the residence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Korea by region, 76.4% of multicultural households live in urban area (eastern part). According to 16 cases, Seoul and Gyeonggi area have about half of all multicultural households (Seoul 21.6%, Gyeonggi 27.8%).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provides comprehensive services such as Korean language education, family and child education, counseling,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information provision, and capacity building support to support stable settlement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family life. In order to support socioeconomic independence, 204 facilities are installed and operated nationwide in 2012 based on the government support for the cost of living. However, the utilization rate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s very low. The reasons for low wages are for personal reasons, but there are many marriage immigrants who do not know the existence of such institutions. Therefore,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need to actively promote the role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for married immigrant families. And the program contents of all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re similar, so there is no differen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progr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s for the age distribution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87.2% of the children are below elementary school age (12 years old), and the lower the child's 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program in which marriage immigrants and their children can participate together. Finally, the level of salaries of the teachers at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s too low to be expected to be a responsible teacher with pride or pride as a teacher. There may be a budgetary problem to raise teacher salaries overnigh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to improve the salary level from a long-term perspective.

      • 가족지원서비스 개선에 관한 실증연구 : 고양시 덕양구 행신1동 중심으로

        주윤정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산업사회에서 정보화 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가치관과 사회제도의 변화함에 따라 가족의 형태가 양화 되고, 여기에 경제적 불안이 가족해체현상을 가속화함으로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은 가족의 형태가 다양화 되고 있는 현시점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시각정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가족해체와 가족위기의 긴급성에 따른 복지적 개입들이 그동안 피상적이고 잔여적인 요보호 개인중심의 사후치료적인 서비스 중심에서 벗어나 현대사회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가족문제 예방 및 해결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 위해서는 가족중심의 통합적이며 사전예방적인 보편적 복지서비스체계를 확립하려는 다양한 노력들을 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들은 가족지원서비스의 대상자인 가족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기보다는 가족지원서비스를 제공하는 운영주체가 누구이며, 그 운영자의 공급만족을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여 왔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가족지원서비스의 개선을 위한 노력은 지역사회 내의 가족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가족의 복지욕구를 조사하여 충분히 반영할 수 있는 가족지원서비스로 지역사회에서 자리매김하기 위해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서비스 수행이나 서비스 계획의 선행 작업으로서 지역주민의 복지욕구 조사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그동안 가족지원서비스의 공급자 측면의 연구 중심에서 벗어나 가족의 복지욕구와 가족지원서비스의 필요성을 수요자 측면에서 연구를 함으로써 지역주민의 필요에 맞는 가족지원서비스의 방향을 모색하고자한다. 이에 문헌을 통해 가족의 변화와 가족의 욕구에 대한 고찰과 함께 가족지원서비스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고, 설문지와 사례조사를 통해 지역사회 내 가족의 복지욕구를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가족지원서비스에 대한 개선안을 제안하여 지역사회 내 가족의 복지 및 나아가 가족지원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연구를 시작하였다. 지역사회 내 가족의 복지욕구조사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 조사했는데 첫 번째가 지역사회 내 다양한 가족의 복지욕구실태 조사와 두 번째가 가족지원서비스 전달체계의 하나인 지역사회복지관의 서비스내용을 중심으로 가족문제를 예방하거나 해결하기 위한 가족지원서비스의 필요정도를 조사하였다. 가족생활, 아동양육, 노인부양, 가족관계, 경제적 욕구, 가족스트레스, 지역공동체의 욕구 등 다양한 가족생활 전반에 관한 복지욕구 실태를 조사 한 결과 경제적 욕구, 가족부양의 욕구, 부부관계욕구에 대하여 가장 민감한 반응을 보이면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주민의 경제적 요인과 가족의 안전성이 가족생활에 미치는 영향력이 크다. 둘째, 아동양육에 대한 욕구는 아동보호에 대한 문제와 부모-자녀간의 관계 측면을 중요시한다. 셋째, 노인부양의 욕구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서 아동양육문제와 마찬가지로 일차적 책임을 지고 있는 현실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호소한다. 전반적으로 부모의 건강문제나 부양에 따른 경제적 부담문제에 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난다. 넷째, 배우자가 있는 가족대상 부부관계를 중심으로 배우자와의 성격 · 생각차이로 인한 불만과 경제적 문제로 인한 갈등이 있다. 다섯째, 가족경제생활의 욕구를 실직가족을 대상으로 실업 후 가족생활의 변화를 살펴보면 생계유지의 어려움, 의료비 부담문제, 부부문제, 자녀문제 순으로 나타난다. 실업가족의 경제적 문제가 가장 시급한 문제였고 이로 인한 가족갈등이 가족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예측할 수 있다. 여섯째, 지역공동체로의 욕구에서는 지역주민 스스로 그 가족문제를 지역내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책임의식과 주인의식을 바탕으로 자조적인 지역주민조직 활동에 대한 욕구가 강하다. 가족지원서비스에 대한 조사 결과로는 경제적 기능에 대한 강화 및 지원, 가족 내에서 수행하는 역할들에 대한 지원, 가족관계를 증진하기 위한 전문적인 상담 및 지원, 주민 스스로 지역사회문제에 스스로 참여하고 공동체 의식을 갖도록 주민조직의 육성 및 지원 등으로 요구되고 있다. 가족지원서비스에 대한 참여의향에 대한 질문에는 자녀나 부모의 참여 프로그램에 관심을 보였지만 대부분 '참여의항은 있으나 여건이 안 된다' 에 본인의 의사를 반영하고 있었다. 지역주민의 가족기능강화와 삶의 질을 증진을 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지역사회 서비스 전달체계에서 부족한 서비스를 파악하면서 이를 보완할 수 있는 서비스를 개발하여 지역사회 내 가족지원서비스의 질적인 성숙을 이루어야 한다. 이것은 지역주민의 서비스 만족도와 참여율을 높이고 가족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가족 중심의 가족지원서비스프로그램 개발이 절실함을 시사한 조사결과라 생각한다. 본 연구는 지역주민의 가족복지욕구조사에서 제기된 지역주민의 가족기능강화와 삶의 질을 증진을 하기 위한 구체적이고 보다 더 세부적인 가족지원서비스 프로그램의 내용이나 전달방식을 거의 다루지 못하였다. 이것을 향후 가족지원서비스의 과제로 보고 후속 연구가 활성화되기를 바라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재까지 구조적 결손가족의 기능적 결손에 대한 보완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앞으로 가족지원서비스는 가족의 기능적 결손보완을 통한 전체가족의 접근에로의 변화를 제안하고자 한다. 둘째, 가족지원서비스의 개선을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가족을 고려하면서 가족중심의 포괄적·종합적인 측면의 서비스를 하기위한 방법으로 아웃리치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 내 가족을 한 단위로 보면서 가족기능강화를 위한 각종 사회적 가족지원서비스를 체계화 시키고 강화되어야한다. In the process of shifting from industrialization to information, family patterns have vari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values and social system, in addition, economic stability accelerating family dismantling phenomena, have surfaced as a serious social issue. This request of the times has offered a need of view adjustment as to how to look at the current condition of family patterns being diversified. Welfare interventions against family dismantling, and the urgency of family crisis have exerted various efforts to establish a family-focused integrative, preventive, universal welfare service system in order to effectively do with the prevention and solution of various family issues revealed in a modern society, getting away from a superficial, protection-required individual focused post-treatment service. However, these efforts can be considered to have been made to understand who is the operator of the family support service and elevate the operator's provision satisfaction, rather than to reflect the beneficial families' natural characteristics. Thus, subsequent efforts to enhance the family support service should be exerted focusing on the families in the community, and taking its firm root in the community as the family support system to fully reflect the family welfare needs. This study would stress the significance of local residents' welfare needs as the precedent work of an effective service performance or plan. Getting rid of the provider-focused research of the family support service, the study tries to conduct research into the family's needs and the need of the family support service on a demander respect, and search for the direction of the family support system suited to local residents' needs. Thereon, the study launched considering the family's needs and a precedent research to the family support system, substantially grasping the family's welfare needs in the community through a questionnaire, and a case study, offering a reform plan to the family support system, and preparing for basic data to the family welfare and support service program. Researches into the family welfare needs in the community were divided to two at large; Actual conditions of various families' welfare needs; Need of the family support service to prevent or solve family issues focusing on the service contents of the local social welfare center, one of delivery system of the family support service. The research findings on family life, children's support, elderly people's support, family relation, economic needs, family stress, community needs, marital relational needs, showed that economic needs, family support needs, marital relational needs were the most sensitively responde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conomic factor of local residents and he family stability have a big effect on the family life. Second, desire to children's protection stresses an issue of children's protection and relational aspect between fathers and children. Third, desire to elderly people's support appeals to a lot of difficulty due to the reality that men are more responsible for it than women as an issue of children's support. As a whole, desire to economic burden due to parents' health problem and support is indicated to be high. Fourth, mainly in the marital relation of the families with souses, there are conflicts by the spouses' differences of characters and thoughts, and economic problems. Fifth, changes of post-unemployment family life to unemployed families were difficulty in making their living, burden of medical care costs, marital problems and children's problems in the descending highest priority order. It can be predicted that the economic problem of the unemployed families were the most urgent, which triggered their family conflicts. Sixth, what is strong in desire to the community is a sense of responsibility to solve the family problem in the community and an self-supported community organization activity based on a sense of mastership.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family support service, solidification and support of economic functions, support to roles performed in the family, special counselling and support to improve family relations, cultivation and support of residents' organizations to facilitate the residents' independent participation at the community issues and their community awareness. To questions to their participation intention to the family support service, they showed interests in children' or parents' participation programs, but most of them reflected their intention in the question item, 'there is not participation condition.' To enhance the local residents' family function and life quality, a service to grasp and complement insufficient service in existing community service transmission service delivery system should be developed, and the community family support service should be qualitatively matured. This research result is thought to be that hinting that various families focused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development is urgent to enhance the residents' servic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ratio, and satisfy the family needs. This research rarely addressed the contents or transmission method of material and more detailed family support service programs to strengthen family functions and increase life offered in the community family welfare need research. Hoping to make this a future family support service task, for subsequent researches to be activated, this study would offer following suggestions. First, thus far, complementation to functional deficit of structurally deficient families has been focused, but future family support system is proposed to approach the entire family through the complementation of family deficit. Second, to improve the family support system, an out-reach service should be actively utilized as a means to provide family-focused comprehensive, inclusive service considering various types of families. Third, all sorts of social family support service should be organized and consolidated for family functional solidification seeing a community family as one unit.

      • 한국 사회 이주민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황명아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국 사회 이주민을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을 지원하는 기관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특정 대상만을 위한 제한적이고, 일괄적인 서비스에 그치고 있음을 지적하고, 급변하는 다문화현상과 지역의 다양한 이주민의 특성에 맞는 다문화가족지원이 가능하도록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을 제시하고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지역사회 내에는 이주민의 출신 국가와 이주 배경이 다양해지면서 다양한 외국인들이 거주하게 되었다. 또한 기존의 다문화가족의 경우에도 거주 기간이 점차 늘어남에 따라 그에 따른 새로운 서비스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은 다문화가족지원법에 근거한 지원 대상의 제한과 중앙정부 주도하의 일괄적인 지원에 치우쳐져 다양한 유형의 다문화가족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지역의 다양한 이주민을 지원하기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2장에서는 먼저 관련 통계자료 및 문헌 자료를 통해 다문화가족의 개념과 다양한 유형의 다문화가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사회 내에는 현재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지원하고 있는 국제결혼가족 외에도 다양한 이주배경을 가진 다문화가족이 거주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 운영과 지원체계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이러한 다문화가족현황이 실제 현장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는지 파악하기 위해 전국에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가운데 사례 기관을 선정하고, 각 기관의 다문화가족지원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지역의 특성 및 지역이주민의 현황에 따른 다문화가족지원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있는 사례를 추출하여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지역이주민을 지원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3장까지의 내용을 바탕으로 지역적 특성과 다양한 이주민을 지원하기 위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역할과 활성화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무엇보다 기존의 지원 대상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주민을 한국 사회의 구성원으로 인정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이를 바탕으로 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새로운 모델을 제안하였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고에서는 기존의 다문화가족지원이 특정 대상을 위한 지원에 머물러 있었던 점을 지적하고, 다양한 이주민을 포함하고 지역적 특성에 맞춘 지원이 가능하도록 새로운 다문화가족지원체계 및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앞으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특정한 대상지원을 벗어나 지역의 다양한 이주민을 위한 종합적인 지원을 시행함으로써 이주민의 한국 사회 적응을 돕고, 더 나아가 선주민과 조화를 이루며 살아갈 수 있도록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체계적인 지원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이 직무자율성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성옥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이 직무자율성과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이며, 실증분석 검증을 통하여 다문화가족지센터장의 코칭리더십 역량강화 방안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안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첫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이 구성원의 직무자율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둘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구성원의 직무자율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셋째, 다문화가족지원센타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유효성간의 관계에서 직무자율성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넷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과 직무자율성의 관계에서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조절효과를 하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다섯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 역량강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전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구성원을 대상으로 2017년 6월 30일부터 8월 15일까지 설문을 실시하여 324부를 회수하였으며, 실증분석에는 307부를 사용하였다. 측정도구는 SPSS 21.0 통계 프로그램으로 기초통계분석과 신뢰성분석을 하였다. AMOS 21.0 통계프로그램으로는 확인적 요인분석과 타당성분석 및 연구모형에 대한 가설검증을 하였다. PROCESS macro 2.15 통계프로그램으로는 매개효과 분석 및 조절효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은 직무자율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구성원들의 직무자율성은 조직유효성의 하위변인인 조직몰입과 조직시민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직무자율성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몰입 및 조직시민행동과의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매개효과를 보여주고 있다. 넷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과 직무자율성 간의 인과관계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 역량이 매우 중요한 것으로 검증됨에 따라 코칭리더십 역량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하게 되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 역량강화 방안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최근 급증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을 지원하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구성원을 대상으로 센터장의 코칭리더십과 직무자율성 및 조직유효성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밝혔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하여 첫째, 센터장의 코칭리더십 발휘는 구성원들의 직무자율성을 높여주고 직무자율성은 조직유효성을 높여줌이 실증 검증됨에 따라 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의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의 역량강화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둘째, 구성원들의 직무자율성은 센터장의 코칭리더십과 조직유효성간의 매개역할을 통하여 조직의 유효성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변인임을 제시하였다. 셋째, 리더-구성원 교환관계(LMX)가 센터장의 코칭리더십과 직무자율성간의 조절역할을 통하여 센터장과 구성원간의 교환관계의 역할의 중요성을 제시하였다. 넷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의 효과성에 대한 실증연구는 다른 사회 영역까지 확장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는 전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217개소의 유효설문지(전체인원대비 약 15%)를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대표할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다문화가족지원센터와 같은 공공조직에서도 코칭리더십의 효과성을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이와 유사한 많은 조직에서도 코칭리더십의 적용을 통하여 조직의 효과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센터장의 코칭리더십의 중요성이 제시됨에 따라 향후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이러한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센터장의 코칭리더십 역량을 강화할 수 있도록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의 코칭리더십 역량강화프로그램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최근에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조금씩 진행되고 있으나, 센터의 역할이나 정책 등에 대한 연구가 대부분으로 본 연구와 같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 및 구성원을 대상으로 하는 코칭리더십 연구가 없어 이론적인 배경을 연구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장 및 구성원을 중심으로 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is a research on the effects of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on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propose a program for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rough empirical analysis and verification. The first specific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nalyze the effect of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on the autonomy of the members. The second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job autonomy of the member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on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third is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of job autonom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urth is to empirically analyze whether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LMX)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the job autonomy. Fifth is to propose the methods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s of the research, 324 copies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conducted from June 30 to August 15, 2017 and 307 of them were used for empirical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1.0 statistical program. AMOS 21.0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easibility analysis, and hypothesis testing on the research model. Process macro 2.15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moder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is proven that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has a statistically positive significance on job autonomy. Second, it is proven that the job autonomy of the members has a statistically positive significance on the lower factors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job autonom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urth,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LMX)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casual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and job autonomy. Lastly, as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has been proven to be crucial, a program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coaching leadership became necessary. Therefore, a program was designed proposed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lies on the fact that it has empirically prov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which supports the increasing number of multicultural family, job autonomy,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cknowledging the significance above, First, since the significance of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is confirmed as it is proved that the coaching leadership increases the member’s job autonomy and job autonomy increases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necessity of strengthening the capacity of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is proposed. Second, it is proposed that the member’s job autonomy is a crucial factor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mediating role between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Third, the significance of leader-member exchange relationship (LMX), which mediates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and job autonomy, is proposed. Fourth, the empirical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coaching leadership of the director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has the potential to be applied to other social aspects. This research is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 of the nationwid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s it used surveys from 217 other centers (about 15% of the population). In addition, as the effectiveness of coaching leadership in public office, such as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is verifi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many other similar organizations can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organiz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coaching leadership. Finally, since the significance of the director’s coaching leadership is revealed, the research proposed the coaching leadership capacity enhancement program of the director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to be used in each centers.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directions based o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limitations of the research was a difficulty in study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since there is no other research conducted on coaching leadership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heads and members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 recent studies o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re progressing gradually only based on the role and policies of the center. Future studies should be conducted in various fields, centering on the head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and their members. Keyword : coaching leadership,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OCB(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job autonomy, LMX(leader-member exchang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

      • 종업원의 직장-가정 갈등에 관한 연구 : 조직 및 가족지원에 따른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유덕 순천향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8703

        최근 들어 사회적으로 종업원의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균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도 직장-가정 갈등이 초래하는 문제들이 미치는 파장의 범위가 넓고, 그 정도가 심각하기 때문이다. 전통적 사회와 달리 현대에는 여성의 사회참여와 여성 노동력의 활용이 국가와 기업경쟁력의 일환으로 생각되고 있으며, 여성의 사회진출이 많아짐에 따라 기존의 가족구성원의 역할분담이 새로이 정립되고 있으며, 남성과 여성의 경계가 점차 없어져 가고 있는 추세이다. 과거에는 직장-가정 갈등이란 기혼 직장여성의 경우, 육아와 가사문제의 부담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라고 생각했으나, 이제는 여성 뿐 아니라 남성에 대한 가정에서의 역할이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가정내의 문제가 직장으로 이전되는 현상도 많아지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위한 과정에서 종업원이 지각하게 되는 직장-가정 갈등의 유발요인과, 완화요인으로서의 조직차원의 지원정도와 가족차원의 지원정도를 살펴보고,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및 가정생활만족과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아래와 같이 연구 과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직장-가정 갈등을 유발하는 요인과 WIF, FIW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직장-가정 갈등을 완화하는 요인과 직장-가정 갈등(WIF, FIW)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직장-가정 갈등을 완화하는 요인의 조절효과는 어떠한가? 넷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종교, 월평균 가구소득, 혼인상태)에 따른 직장-가정 갈등의 차이는 어떠한가? 다섯째, 직장-가정 갈등이 결과요인(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가정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위의 연구 과제를 바탕으로 연구모형을 설정하였다. 연구모형을 실증분석하기 위해 충청남도에 소재한 4년제 대학에 근무하는 교직원을 모집단으로 선정한 후, 그 중 충남 서북부지역 8개 대학에 재직하는 480명의 교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자료 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4.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 위계적 조절회귀분석을, Amos 7.0을 이용하여 경로계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변인이 WIF, FIW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초과근무시간은 WIF에, 역할갈등, 역할과부하는 WIF와 FIW 모두에서, 자율성은 FIW에 정(+)의 영향을, 피드백은 WIF와 FIW 모두에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초과근무시간과 역할과부하는 WIF에, 역할갈등과 자율성 및 피드백은 FIW에 더 많은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비직무변인이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배우자 취업여부와 부부갈등 및 자녀유무의 경우가 WIF와 FIW 모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배우자 취업여부와 부부갈등 및 자녀유무는 WIF보다 FIW에 더 많은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조직지원이 WIF, FIW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결과, 가족친화적 정책의 시행정도는 WIF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는 WIF와 FIW 모두에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직지원은 FIW보다 WIF에 더 큰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족지원이 WIF, FIW에 미치는 영향의 분석 결과, 도구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 및 여가적 지원은 WIF, FIW 모두에서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구적 지원과 여가적 지원은 FIW보다 WIF에, 정서적 지원은 WIF보다 FIW에 더 큰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가족친화적 정책의 시행정도는 직무변인과 WIF와의 관계에서 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는 직무변인과 WIF, FIW 모두의 관계에서 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조직지원은 FIW보다 WIF에 더 큰 부(-)의 조절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족지원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도구적 지원과 정서적 지원은 비직무변인과 WIF, FIW 모두의 관계에서 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으며, 여가적 지원(스포츠 활동)은 배우자 취업여부, 가사활동시간, 자녀유무와 WIF와의 관계에서 유의한 부(-)의 조절효과가 나타났다. 도구적 지원은 부부갈등, 가사활동시간, 자녀유무에서 FIW보다 WIF에 더 큰 부(-)의 조절적인 영향을, 배우자 취업여부에서는 WIF보다 FIW에 더 큰 부(-)의 조절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서적 지원은 배우자 취업여부, 부부갈등, 가사활동시간 및 자녀유무에서 WIF보다 FIW에 더 큰 부(-)의 조절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적 지원은 배우자 취업여부, 가사활동시간, 자녀유무에서 FIW보다 WIF에 더 큰 부(-)의 조절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성별, 연령, 학력, 종교, 월평균 가구소득, 혼인상태)에 따라 직장-가정 갈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성별에 따라 WIF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FIW는 남성보다 여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30대에서 WIF와 FIW를 가장 높게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종교가 있는 경우가 WIF를 높게 지각하고 있었으며, 월평균 가구소득이 낮을수록 WIF뿐만 아니라 FIW도 높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WIF, FIW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가정생활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WIF와 FIW의 수준이 높을수록 종업원의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가정생활만족 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조직차원 및 개인차원에서의 직장-가정 갈등의 관리방안을 강구하기 위한 시사점을 아래와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조직차원에서 종업원의 직장생활과 가정생활간의 유기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관리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나 정책의 시행정도가 직장-가정 갈등을 감소시켜 종업원들의 생산성 향상, 이직 감소, 유능한 인재의 확보 및 조직몰입 향상 등 종업원의 근로의욕과 직무만족을 증가시키기 때문에 기업과 종업원 모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본다. 아울러 가족친화적 조직분위기는 관리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관리자의 직장-가정 갈등에 대한 이해와 지지적 태도가 직장-가정 갈등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관리자의 교육과 훈련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둘째, 개인 및 가족차원에서 직장생활과 가정생활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들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를 통해서 가족의 여가적 지원은 종업원의 직장생활 뿐만 아니라 가정생활에도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종업원들의 삶에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 생각된다. 특히 노동환경의 변화로 인해 종업원들의 직장 동료 또는 가족들과 함께 활용하는 여가활동시간은 직장 또는 가족구성원과의 친목도모, 심리적 안정, 협력적인 유대강화 및 상호간의 이해증진을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종업원들은 직장동료 및 가족구성원과의 양적․질적인 여가활동시간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셋째, 가설검증에서 밝혀진 초과근무시간의 증가가 직장-가정 갈등을 증가시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는 적절한 초과근무 시간관리가 필요하다고 본다. 왜냐하면 직장-가정 갈등이 종업원의 직무태도에 직접적인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Recently, concern about work-life balance of employees is increasing in the society. The reason is problems caused by work-family conflicts have a wide range of wavelength and serious extent. Female society participation and utilization of female work force are considered to be one part of nation and company competitiveness in the present age unlike the traditional society, and traditional role share of family members is newly established according to increasing society entry of women, and it is a trend that a boundary between man and woman is gradually vanishing. In the past, the work-family conflicts was thought as a problem generated due to burden of childcare and house-work problems, however, role of a woman as well as a man in the family is now raised importantly, and a family problem is transferred to a work has been increas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study subjects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an induction factor of the work-family conflicts that employees feel in a process for work-life balance, a support degree of system and family dimensions as a relief factor, and relationships between home life and job satisfaction, system devotion and departure intention. First, how is the relations between factors causing the work-family conflicts and WIF & FIW? Second, how is the relations between factors relieving the work-family conflicts and WIF & FIW? Third, how is adjusting effect of the factors relieving the work-family conflicts? Fourth, how is the difference of the work-family conflicts according to population-sociological characteristics(sex, age, academic ability, religion,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and marriage state)? Fifth, how is the influence that the work-family conflicts affects result factors(job satisfaction, system devotion, departure intention, home life satisfaction)? After selecting the faculty working at 4 year term universities located in Chungcheng nam-do to as a population to prove and analyze the above study model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 with respect to the faculty of 480 persons served in 8 universities in a west-north region of Chung nam among them.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T-test, dispersion analysis of one element disposition and rank adjusting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for data analysis by using SPSS 14.0, and difference of path coefficients was analyzed by using Amos 7.0. First, after investigating how work variance influences WIF and FIW, it was shown that overtime affected WIF, role conflicts and role overload affecting WIF and FIW, self-regulation affecting FIW positively, and feedback afftected WIF and FIW negatively. Also, it was shown that the overtime and the role overload affected WIF, and the role conflicts, the self-regulation and the feedback affected FIW more differentially. Second, after investigating how non-work variance influences the work-family conflicts, it was shown that partner employment, conjugal conflicts and children existence affected WIF and FIW positively. Also, it was shown that the partner employment, the conjugal conflicts and the children existence differentially affected FIW more than WIF. Third, after investigating how the system support influences WIF and FIW, it was shown that execution of family-friendly policy significantly affected WIF negatively, and family-friendly system environment significantly negatively affected WIF and FIW. Also, it was shown that the system support negatively affected WIF more largely than FIW. Fourth, after investigating how the family support influences WIF and FIW, it was shown that instrumental, emotional and leisure support significantly negatively affected WIF and FIW. Also, it was shown that the instrumental support and the leisure support negatively affected WIF more largely than FIW, and the emotional support negatively affected FIW more largely than WIF. Fifth, after control effect of the system support was analyzed, it was shown that execution of the family-friendly policy showed negative control effect in relations between work variance and WIF, and the family-friendly system environment showed the negative control effect in relations between the work variance and WIF & FIW. Also, it was shown that the system support had the negative control affect WIF more largely than FIW. Sixth, after the control effect of the family support was analyzed, the instrumental and emotional support showed the negative control effect in relations between the non-work variance and WIF & FIW, and the leisure support significantly showed the negative control effect in relations between partner employment, home activity time, children existence and WIF. The instrumental support showed negative control influence more largely in WIF than FIW with respect to the conjugal conflicts, the home activity time and the children existence, and in FIW more largely than WIF with respect to the partner employment. The emotional support showed the negative control influence more largely in FIW than WIF with respect to the partner employment, the conjugal conflicts, the home activity time and the children existence. The leisure support showed the negative control influence more largely in WIF than FIW with respect to the partner employment, the home activity time and the children existence. Seventh, after influence affecting the work-family conflicts according to the population-sociological characteristics(sex, age, academic ability, religion,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and marriage state) was analyzed, it was shown that WIF difference according to the sex did not appear, and a man had higher FIW than a woman. It was shown that people in the thirties had experienced the highest WIF and FIW, sensed WIF highly when having any religion, and sensed WIF and FIW highly as having lower average monthly family income. Eighth, after analyzing how WIF and FIW influences job satisfaction, system devotion, departure intention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it was shown that WIF and FIW negatively affected the job satisfaction, the system devotion, the departure intention and the family life satisfaction, etc. of employees as a level of WIF and FIW gets higher. Implications for considering a managing method of the work-family conflicts in systematic and personal dimensions through this study results were suggested as the followings. First, it should be actively managed to maintain organic relations between work and life of employees in the systematic dimension. Since execution of family-friendly system environment or policy can increase labor desire and job satisfaction of employees such as productivity improvement and departure decrease of employees, securing of capable manpower and systematic indulgence improvement by reducing the work-family conflicts, it could be helpful to both the company and the employees. In addition, role of a manager is important for the family-friendly system environment. As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attitude about the work-family conflicts of the manager can decrease the work-family conflicts, necessity for education and training is suggested. Second, it is necessary to make efforts for maintaining balance between work and life in personal and family dimensions. As family leisure support turned to be have a positive role in work-family life of employees in this study, it will do an important role in the life of employees. Especially, leisure activity time enjoying together with colleagues of employees or family due to change of labor environment can improve friendship promotion, psychological stability, cooperative relation enforcement and understanding improvement between them.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employees need utilization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leisure activity time with colleagues or family. Third, since increase of overtime illustrated in hypothesis examination is a reason that increases the work-family conflicts, proper overtime management is necessary in a position of the company.

      • 보육교사의 자녀양육태도와 가족양육지원 및 양육죄책감에 관한 연구

        윤정선 우석대학교 경영행정문화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A Study on Parenting Attitude, Caregiving Support, and Parenting Guilt of Child Care Teachers Written by: Joungsun, Yoon Department of Family Welfar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Administration Culture WooSuk University Advisor: Prof. Seonghee, Le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general tendency of the parenting attitude, family caregiving support, and parenting guilt of child care teachers and analyze whether the parenting guilt differed b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job characteristics, and 양육지원자 of child care teachers. Moreover, this study aimed to search the means to alleviate the parenting guilt of child care teachers and improve the positive parenting attitude to their children by examining the relative influence of variables affecting the parenting guilt of child 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pplicants to the Jeolabuk-do child care teacher continuing education course (job training, 1stgrade promotion education, teacher job training), who had a child or children and were working as a staff of a child care center. Three hundred forty-five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out of 400 copies. SPSS 18.0 was used to conduct statistical analysis. (1) Descriptive statistics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overall tendency of the parenting attitude, caregiving support, and parenting guilt of child care teachers. (2) ANOVA was conducted to examine if there was a difference in parenting guilt b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job characteristics. (3)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enting attitude, and caregiving support on the parenting guilt of child care teac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tendency of parenting attitude of child care teachers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ordinary people. Results showed that they had affectionate, achieving, rational, and self-regulating parenting attitude. The caregiving support of child care teachers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norm. In the sub-domain, emotional support was the highest followed by material support and information support. The parenting guilt of child care teachers was found to be at a normal level and they felt slightly less guilty for the others parenting and the parental role than the normal level. They felt slight higher guilt for caring than the normal level. Secondly, the education level among the sociodemographic variables of child care teachers was the only significant variable. Child care teachers with the high school diploma tended to feel more guilt for overall parenting guilt and others parenting than child care teachers with the undergraduate degree. The child care work experience and daily working hours among child care teachers’ job characteristics were significant. Child care teachers with more than six years of child care work experience felt higher guilt for the others parenting than those with between three and six years of experience did. Child care teachers with less than three years of child care work experience felt higher guilt for the parental role than those with between three and six years of experience did. Child care teachers working more than eight hours per day felt higher parenting guilt than those working less than eight hours per day did. They also felt higher guilt for the parental ro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arenting attitude and the parenting guilt of child care teachers were closely correlat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 care teachers had desirable and healthy parenting attitude because they provided appropriate support and, consequently, they had lower parenting guilt. The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caregiving support and the parenting guilt were negatively correlated. Fourthly, the relative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variables, job characteristics, parenting attitude, and caregiving support on the parenting guilt and lower factors of it of child care teach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ducation level and rationalirrational parenting attitude affected them. Specifically, the parenting guilt increased when child care teachers were high school graduates and guilt feeling increased when they had more irrational parenting attitude. The analysis results on the lower factors of child care teachers’ parenting guilt showed that child care teachers felt higher guilt for others parenting when the education level of them was the high school diploma and child care experience was between three and six years. Moreover, more irrational parenting attitude and less material support increased the parenting guilt regarding others parenting. It was higher when child care teacher worked more than eight hours per day than when they worked less than eight hours per day. The more they had irrational parenting attitude, the more they felt guilt for caring. The results revealed that affection-hostile parenting attitude and rational-irrational parenting attitude affected the guilt on the parental role. Overall,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rational-irrational parenting attitude of child care teachers affected the parenting guilt of them the most. 보육교사의 자녀양육태도와 가족양육지원 및 양육죄책감에 관한 연구 가족복지전공 윤 정 선 지도교수 이 성 희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자녀양육태도와 가족양육지원, 양육죄책감의 일반적 경향을 살펴보고,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업특성, 양육지원자에 따라 양육죄책감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또한 보육교사의 양육죄책감에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보육교사의 양육죄책감을 완화하고 자녀에게 긍정적인 양육태도를 증가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둔다. 본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보육교직원 보수교육과정 신청자(원장사전직무교육, 1급 승급교육, 교사직무교육)를 대상으로, 현직에 근무하는 보육교직원 중 자녀를 둔 보육교사 대상으로 표집하였다. 설문지 400부 중 34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 프로그램 SPSS 18.0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첫째, 보육교사의 자녀양육태도와 가족양육지원, 양육죄책감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기 위해 기술통계(Descriptive Statistics)로 분석하였다. 둘째, 보육교사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직업특성에 따라 양육죄책감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일원배치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셋째, 보육교사의 양육죄책감에 대한 사회인구학적 특성, 자녀양육태도, 가족양육지원의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보육교사의 자녀양육태도에 대한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애정적, 성취적, 합리적, 자율적 양육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가족양육지원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편으로, 하위영역으로 보면 정서적 지원이 가장 높고 물질적 지원, 정보적 지원순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양육죄책감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났고, 타인양육, 부모역할에 대해서는 보통보다 약간 낮은 수준의 죄책감을 돌봄에 대해서는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죄책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서는 학력만 의미가 있게 나타났는데, 대학교이상인 학력의 보육교사들보다 고등학교를 졸업한 보육교사들이 전체 양육죄책감과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을 더 많이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들의 직업특성에서는 보육경력과 일일근무시간이 의미있게 나타났다. 보육경력에 따라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은 보육경력이 6년 이상인 보육교사들이 3년 이상-6년 미만인 보육교사보다 높았고, 부모역할에 대한 죄책감은 보육경력이 3년 미만인 사람들이 3년 이상-6년 미만인 사람들 보다 높게 보고하였다. 보육교사의 일일평균근무시간에 따른 양육죄책감은 8시간미만으로 근무하는 사람들보다, 8시간 근무하는 사람들이 양육죄책감이 높았으며, 부모역할에 대한 죄책감이 높게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자녀양육태도, 가족양육지원, 양육죄책감간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양육태도와 양육죄책감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보육교사들이 바람직하고 건강한 양육태도를 지니고 있는 것은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 적합한 지원을 제공하고, 이에 양육죄책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가족양육지원과 양육죄책감 간에도 부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가족양육지원이 많으면 양육죄책감이 낮아지는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보육교사의 양육죄책감과 그 하위변인들에 사회인구학적변인, 직업특성, 양육태도, 가족양육지원이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학력과 합리-비합리적 양육태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육교사가 고졸 일 때 양육죄책감이 높아지며, 비합리적 양육태도를 지닐수록 죄책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양육죄책감 하위변인에 따른 분석결과, 보육교사의 학력이 고졸일 때, 보육경력이 3년-6년 미만이 아닌 사람들이 타인양육에 대한 죄책감이 높았다. 또한 비합리적 양육태도를 지닐수록, 가족의 물질적 지원이 부족할수록 타인양육에 대한 양육죄책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가 8시간 미만으로 근무하는 사람들보다 8시간 이상으로 근무할 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비합리적 양육태도를 지닐수록 돌봄에 대한 죄책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애정-적대적 양육태도와 합리-비합리적 양육태도가 부모역할에 대한 죄책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적으로, 보육교사의 합리-비합리 양육태도가 그들의 양육죄책감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장애아동 가족지원 서비스 만족도 및 욕구에 관한 연구 : 경상남도 장애아동 가족을 중심으로

        정경아 가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한 가정에 장애아동의 출현으로 장애아동 부모는 자녀의 반응결여와 발달지체로 인한 실망감과 좌절감 등 심리적 불안정을 경험하는 동시에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과정에서 비롯되는 과다한 비용부담으로 인해 그 고통이 가중되고 있으나 장애아동의 가족지원과 관련된 정책과 실제가 통합되어 있지 못하여 장애아동의 가족보다는 장애아동 개인에 초점이 주어지는 경향이 있고 지원의 수준도 장애아동 가족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장애아동의 출현 이후에 가족구성원들 간에는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장애아동을 양육하는 가족들의 다양한 욕구와 현재 지원 받고 있는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조사하여 현 실정에 맞는 장애아동 가족지원서비스의 정책 개선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상기한 연구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경상남도 창원시, 마산시 및 진해시 장애인 복지관과 경상남도 장애인부모회에 등록되어 있는 장애아동 부모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통계분석을 위해 최종 140부의 사례가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장애아동의 출현 이후 장애아동 가족의 변화에서 ‘부부만의 시간을 포기해야만 했었다’, ‘비장애 자녀도 정서적 불안이 증가되었다’, ‘비장애 자녀를 위한 시간을 충분히 갖지 못했다’ 는 응답이 높았다. 또한 사회생활의 주변에서는 ‘동정어린 눈빛으로 바라보는 경향이 있다’는 응답이 높아 장애아동의 출현으로 인하여 가족 구성원 전체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족지원 서비스 만족도의 분석결과를 보면 먼저 경제적 지원 서비스 만족도의 경우 장애아동 의료비 지원과 장애수당 및 장애부양수당에 대한 만족도가 매우 낮았고, 그에 비해 대중서비스나 세금 감면 지원 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지원 서비스 만족도에 있어서는 가족 교육 프로그램 지원과 교육 정보제공의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수교육지원, 가정방문교육, 재활치료 정보제공 및 지원에 대한 만족도가 낮게 나타났다. 대리양육지원 서비스 만족도에 있어서는 가정위탁보호지원 만족도가 높았으나 주·단기보호시설지원, 생활시설지원, 가정방문 아동보호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지원 서비스 만족도에 있어서는 장애아동 이동수단 지원, 장애인 복지시설 이용 지원의 경우 만족도가 높은 반면 대중 편의시설 지원 및 무료법률상담 지원에 대한 만족도는 낮게 나타났다. 가족기능 강화지원 서비스 만족도에 있어서는 장애아동 가족을 위한 모임과 야외활동 지원의 만족도가 높은 반면 보호자 외출이나 여가활동지원, 장애가족 상담 및 교육지원의 경우에는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원 서비스 만족도의 차이는 장애아동의 나이가 많을수록 전 만족도 항목에 걸쳐 낮게 나타났으며, 가정의 월수입이 높을수록 경제지원 만족도와 대리양육 지원 만족도에 있어서 불만족이 더 많았고, 장애아동의 등급이 1, 2, 5, 6 등급인 경우가 3, 4 등급의 경우보다 경제, 교육, 대리, 가족지원 만족도에 있어서 불만족이 더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셋째, 가족지원 서비스의 욕구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면 먼저 가족기능 강화지원 욕구의 경우 장애 부모 자신만을 위한 시간지원과 장애아동 위탁관련 시설지원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정보지원 욕구의 경우에는 장애자녀 교육에 관한 정보, 재활이나 치료에 관한 정보 및 장애자녀 성교육 정보 지원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경제적 지원 욕구에 있어서는 의료비나 교통비 보조지원, 재활 치료비 지원, 보장구 구입비 지원 등에서 대부분 높은 욕구가 있다고 나타났으며, 의료재활 지원 서비스 욕구에 있어서는 재활치료 전문상담지원, 가정방문 의료활동 지원 욕구가 높았으며, 사회적 지원 서비스 욕구에 있어서는 편의시설 지원, 장애아동 취업 및 교육기관의 확대에 대한 욕구가 높게 나타났다. 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가족지원 욕구의 차이 검증에 있어서는 장애아동의 등급이 높을수록 가족, 정보, 의료, 사회 지원 욕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미 차이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가 장애아동 가족지원 서비스의 개선 방향에 대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아동의 전 가족을 위한 지원 대책을 세워야한다는 것이다. 이는 다시 말해서 지금까지의 장애아동 가족지원 서비스가 장애아동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기 때문에 가족 전체에 대한 영향을 전혀 고려하지 않았고 그 결과 불필요한 비용과 비효율적인 지원 서비스가 되어왔다는 것이다. 둘째, 장애아동복지시설을 확충해야 한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장애아동은 가정에서 부모의 희생으로 양육되고 있기에 장애아동을 위한 시설의 확충은 장애가족의 지원을 위한 최선의 방법인 것이다. 셋째, 사회적 지원 서비스에 지원 정책 수립의 주안점을 두어야한다는 것이다. 정책수립에 있어 장애아동 When a disabled child appears in a family, the parent of a disabled child not only experiences psychological anxiety such as disappointment and frustration owing to lack of response and retarded development but also suffers from excessive financial burden of fostering that child. However, the policies and practice on the family support of the disabled children aren't integrated and there is a tendency that the focus is placed on an individual disabled child rather than on the family of a disabled child. Also the level of support is very insufficient to meet the needs of the families of the disabled children. So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know whether there are any changes among family members after a disabled child appears and to propose some reform measures based upon actual circumstances on policies of family supportive system by investigating on various desires of families in fostering disabled children and content degree of presently executed family supportive system. To achieve the above mentioned purpose of research, I made up questionnaires to welfare institutions for the disabled children in the city of Changwon, Masan and Jinhae and families of the disabled children registered in 'Association of Parents of the Disabled Children' in Kyung Sang South Province and finally used 140 cases to do statistical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ing. Firstly, in respect of family changes of the disabled children, after a disabled child appears, the responses of 'They gave up their time of only husband and wife relationship.' 'Emotional anxiety of the non-disabled children has increased.' 'They don't afford to spend enough time with the non-disabled children.' are high. Also the response to 'There is a tendency of looking at them with sympathy.' is high. Therefore it is clear that all the family members are experiencing many sufferings after a disabled child appears Secondly, in reviewing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content degree of family supportive service, in case of financial supportive service, the support of medical expenses, allowance for the disabled and supporting the disabled is very low. in contrast, It appears that the content degree for public service and tax reduction supportive service is high. Concerning education support service, the content degree about supporting for family education program and offering educational information is high. On the other hand, the content degree about supporting for special education, home visit education and offering and supporting information on rehabilitation treatment is low. Regarding proxy fostering service, the content degree for home foster care support is high, while on the other that of supporting periodical and short-term institutional protection by a home visit is low. In respect to social supportive service, the content degree for supporting means of movement for the disabled children and utilization of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is high. However, the content degree for supporting public convenient facilities and giving free legal advice is low. Concerning strengthening family function supportive system, the content degree for supporting meeting for the families of the disabled children and outdoor activities is high. In contrast, the content degree for supporting in case of an outgoing of a protector and leisure activities, consulting families of the disabled and education is low. In regard to the difference of content degree of family supportive service according to demographic trait, the older the disabled children are, the lower the content degree of all items is. The higher the monthly income is, the lower the content degree of financial support and proxy fostering is. The disabled children of level of 1st, 2nd, 5th and 6th are much dissatisfied with the degree of content for financial, educational, proxy, and family support than those of 3rd 4th and proved as statistically meaningful. Thirdly, regarding analytical result for family support service, in case of strengthening family supportive function, the desire for time support for only the parents of the disabled and forster care facilities is the highest. In case of information support, the desire for supportive information on education, rehabilitation, treatment and sexual education of the disabled children is high. In case of financial support, the desire for supportive subsidies to medical bills, transportation expenses, rehabilitation treatment bills and purchase of protective equipment is high. In case of desire for medical rehabilitation supportive service, the desire for professional consulting and home visit medical care support is high. In case of social supportive service, the desire for convenient facilities, employment of the disabled children and expansion of educational institutes is high. Concerning proving differential desire for family support desire according to demographic trait, the higher level of disability is, the higher the desire for family, information, medical and social support is. This is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above mentioned analytical result sugges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family supportive services for the disabled children as following. Firstly, we should consider a counterplan for the whole family members of the disabled children. In other words, because the family supportive system of the disabled children has centered on a disabled child until now, the impact on the whole family members has ignored. As a result, unnecessary expenses and inefficient supportive services have occurred. Secondly, welfare facilities for the disabled children should be expanded. As most disabled children are cared at the sacrifice of parent at home, it is best for support of the family to expand facilities for the disabled children. Thirdly, the focus on supportive policy formulation should be directed to social supportive service. In establishing policies, long-term measures and related laws an

      • 장애아동 가족기능강화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 요구

        강혜경 단국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가족이 정상적인 가족기능을 할 수 있도록 가족지원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장애아동 부모의 요구차이를 비교하고, 실제 가족이 장애아동을 양육할 때 발생하는 어려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요구하는 것은 무엇인지 알아보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으로 서울·경기지역에 거주하는 장애아동 아버지와 어머니 180명을 이 연구의 대상자로 선정하여 조사하였으며,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전반적인 부모들의 요구차이는 없었으며, 가족지원 프로그램 40개 문항에 대하여 아버지들은 82.14%, 어머니들은 79.55%로 매우 필요함, 필요함”의 높은 요구경향성이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들의 요구수준이 어머니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아버지와 어머니들이 가족지원 프로그램 40개 문항에 대한 t검정 결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는 것은 19개 문항으로 47.5%이었으며, 특수교육의 필요성, 초등학교 입학·유예, 통합교육, 치료교육 적격성, 문제행동 수정, 교육계획 및 활동에 참여, 장애의 영향과 대처, 양육의 어려움, 장애 자녀와 의사소통, 가족의 여가, 자녀의 성인기 진로, 부모 사후의 자녀 문제, 장애복지정책, 지역사회 전문가 정보, 탁아나 보호시설의 지원 순 이었다. 그러나 장애아동 형제와 관련된 장애아동 형제의 심리적 갈등, 다른 장애형제와의 지지 모임, 장애형제에 대한 정보, 장애형제와 장애아동 관계, 부모와 장애아동 형제 관계 등 6개 문항의 요구수준은 낮게 나타났다. 셋째, 자녀의 발달문제로 가족이 갖는 어려운 점, 장애자녀의 양육을 위하여 필요한 가족지원 프로그램, 지역사회에서 해결해야 하는 문제점에 대한 의견조사 문항에 대하여 교육 및 치료교육기관, 자녀양육, 탁아 및 보호, 방과 후 프로그램, 복지정책, 경제적 지원, 부모지원 및 가족문제, 장애인식과 아동의 미래에 대한 요구를 나타냈다. 넷째, 의견조사 내용과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높은 요구수준을 나타내는 문항은 교육 및 치료교육기관, 자녀양육, 탁아 및 보호, 방과 후 프로그램, 복지정책, 경제적 지원, 부모지원 및 가족문제 등으로, 대부분 일치하였다. 다섯째, 우리나라 장애아동 가족지원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대하여 아버지와 어머니들은 교육기관 설치, 일반학교에 현재보다 많은 특수교사와 보조교사의 배치, 단기·주간 보호기관, 방과 후 프로그램, 장애아동의 조기진단 및 지원, 재정적 지원, 학부모를 위한 여가·건강지원, 가족지원 프로그램 홍보, 장애인식을 위한 적극적이고 체계화된 국가의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or not there were any gaps among the needs of parents with disabled children for family support programs and what they actually needed in working out challenging problems with the rearing of their disabled children in an effort to help normalize their family functio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80 fathers and mothers who had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resid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overall difference among the needs of the parents for family-support programs. When 40 items were utilized to assess their needs, the fathers(82.14%) felt the high need for family-support programs, and the mothers(79.55%) found those programs to be necessary. The fathers called for family-support programs more than the mothers. Second, when t-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ir response toward 40 items, there was a significant gap among their reactions to 19 items (47.5%). They weren't much in want of support about six items, including the psychological conflict of the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 supportive meeting with the siblings of other disabled children, information on the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 relations between disabled children and their siblings, and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and the siblings of disabled children. Third,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ir opinions about what gave them difficulty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what type of family-support programs were required to bring them up and what problems should be handled by local community, they pointed out the necessity of education, remedial education institutes, support for child rearing, daycare services, after-school programs, welfare policies, economic aid, and support for themselves and the future of their children. In addition, they called on people to look at disabled people in a different way. Fourth, their response to the items corresponded to their opinions in most casts. Fifth, as for possible solutions for the problems with family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the fathers and mothers believed that it's required to increase educational institutes, let regular schools secure mor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assistant teachers, install short-term care and daycare facilities, prepare after-school programs, make an early diagnosi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publicize family-support programs. In addition, they called for financial aid and leisure and health programs geared toward themselves, and considered it necessary for the government to take actions to change people's mind-set about the disabled.

      •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가족지원프로그램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천윤선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가 함께 생활하는 통합보육시설에서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들을 대상으로 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함으로써 통합보육시설에서 효율적인 가족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인식은 어떠 한가? 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하여 발달지체 영아의 부모와 유아의 부 모(자녀의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하여 자녀의 장애정도와 통합교육을 받 은 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하여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요구는 부 모의 연령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하여 서울시 국공립 보육시설 중 통합보육시설에 다니는 발달지체 영·유아를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75명을 대상으로 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인식 및 요구를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t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연구문제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영아의 부모와 유아의 부모의 인식 차이를 살펴보면 부모참여, 부모상담, 부모교육, 비장애 형제 모임, 아버지 모임, 자원봉사, 지역사회 연계, 인터넷 모임 프로그램의 8가지 하위 영역 중 부모참여, 부모상담, 부모교육, 비장애 형제 모임, 아버지 모임에서 영아의 어머니와 유아의 어머니의 인식 차이가 있었으며, 유아의 어머니보다 영아의 어머니가 더 높은 인식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장애 정도에 따른 인식차이는 부모상담, 부모교육, 지역사회 연계, 인터넷 모임에서 장애 정도가 심할수록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합교육 기간에 따른 인식차이는 부모교육, 비장애 형제 프로그램, 지역사회 연계, 인터넷 모임에서 교육 기간이 길수록 인식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비장애 형제 프로그램은 대상자의 연령에 따라 정기적으로 실시되어야 한다는 21번 문항을 제외한 모든 문항에서 교육기간이 길수록 높은 인식 수준을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부모들의 인식에 적합한 프로그램 이 시행되기 위해서는 홍보활동과 장애에 대한 지역사회 구성원들의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둘째, 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한 부모들의 참여를 촉진하기 위해서 자녀의 연령별 부모의 요구를 파악해 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하며 자녀의 장애정도에 따라서도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실시되어야 한다. 셋째, 지역사회의 가족지원센터 설치와 이를 중심으로 한 전문가 연계, 가족문제, 상담,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양육부담 해소를 위한 휴식 및 여가지원 탁아시설 지원 및 확충이 필요하다. 넷째, 가족 구성원의 강점을 활용할 수 있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가족-교사간, 가족 간의 긍정적 관계로 개선되어야 한다. 이상과 같은 결론을 통해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가족지원 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다른 지역의 발달지체 영·유아 부모의 가족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보는 다양한 연구와 일반적인 부모의 특성에 따른 인식수준을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 다문화가족서비스 전달체계에 관한 연구 :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중심으로

        김승일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의 다문화가족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성과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다문화가족들에게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 수급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할 수 있는 다문화가족서비스 전달체계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미 잘 알려져 있듯이, 다문화가족서비스는 2005년 여성가족부에서 공식회의에서 「결혼이민자」라는 용어를 사용한 이래, 이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가 추진되기 시작하여, 2006년 결혼이민자가족지원센터 21개소를 지정 시범ㆍ운영, 2008년 다문화가족지원법 제정, 2012년 2월 다문화가족지원법의 개정에 따른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설치 및 위탁운영 근거」 마련 등 10여 년이 경과 하면서 중앙부처로부터 각각의 지자체에 이르기까지 다문화가족서비스를 위한 전달체계가 거의 완전히 구축되었다. 이처럼 다문화가족서비스가 제공되기 시작한 지 10여 년이 지났지만, 이를 위한 전달체계는 여전히 많은 문제점을 노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진단하고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아직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무엇보다도, 다양한 이민배경의 다문화가족들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대로 제공하지 못하거나 변화하는 다문화가족의 욕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함으로서 다문화가족서비스의 수급에서 불균형 문제가 발생하는 등 기존 다문화가족서비스 전달체계가 그 한계를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2014년 여성가족부는 “통합적 가족정책 전달체계 마련으로 새로운 정책환경에 능동적 대응하고자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건강가정지원센터와 통합하여 가족통합지원센터(가칭)로 개편, 한부모ㆍ조손가구, 북한이탈주민 등 다양한 가족에 대한 포괄적 지원, 지역사회 다양한 가족의 수요에 효과적 대응, 그리고 생애주기별 통합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나타났다. 이러한 현실 세계와 정부 정책영역에서도 급격한 변화가 이루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러한 문제들을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전달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대안을 모색하는 노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이전 연구에서 제대로 다루지 않았던 다문화가족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밝혀내고, 다문화가족서비스의 수급과정에서 나타나는 불균형 문제와 끊임없이 변화하는 다문화가족의 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도록 기존 다문화가족서비스와 전달체계의 개선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특히 다문화가족서비스 전달체계에서 핵심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의 기능과 역할을 재정립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하였다. 첫째, 전국 218개소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중 40개소를 선택하여 공급자의 경우 센터 종사자 그리고 수혜자의 경우 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39개소(일반형 14개소, 확대형 25개소)에서 공급자 257명, 수혜자 417명의 설문지를 수거하여 분석하였다. 둘째, 설문조사의 타당도를 높이기 위해 일반형 2개소 이상, 확대형 2개소 이상에서 설문조사에 참여한 공급자와 수혜자의 인터뷰를 하였다. 셋째, 다문화가족서비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다문화 관련 전문가인 학계 및 현장 활동가 5명의 인터뷰를 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센터 종사자들은 다문화가족서비스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변수들 간의 평균값을 비교해 보면, 시설요인 접근성(4.136), 인적요인 전문성(4.234), 민원요인 책임성(4.132)에 비해 조직요인 통합성(3.846)과 재정요인 적절성(3.808)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정부와의 위계적인 관계에서 벗어날 수 없고 정부의 지시에 따라야 하는 구조이어서 자율성과 창의성을 발휘하기 어려우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관련 기관인 다문화가족지원 거점센터, 한국건강가정진흥원, 여성가족부 등과 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는 것 그리고 센터 종사자들이 제대로 보상을 받지 못하고 있으며, 정부 보조금도 충분하지 않다는 것 등으로 인식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종사자 인터뷰 참조). 둘째, 공급자의 효과성(4.26)과 수혜자의 만족도의 평균값이 둘 다 매우 높게 나왔다. 이것은 종사자와 수혜자 모두 현재의 제도를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는 일반형과 확대형 간의 차이가 거의 없다. 그것은 다문화가족만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던 일반형 다문화가족지원센터가 국민을 대상으로 가족서비스를 제공하던 건강가정지원센터로 흡수 통합된 경우(확대형) 외형적으로 규모가 커졌으나 서비스의 종류와 질에 있어서 일반형보다 크게 나을 것도 없고 다르지도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한편, 수혜자의 경우 종사자에 대한 만족도(4.326) 보다 서비스(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4.392)가 조금 더 높은 것은 센터의 서비스를 가소성의 관점에서 볼 때 한국 사회에 적응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서비스이고, 수혜자가 지불해야할 비용이 없는 시혜적 성격의 서비스이기 때문으로 추측된다(수혜자 인터뷰 참조). 셋째, 공급자(센터 종사자)의 입장에서 다문화가족서비스 전달체계의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였다. 기존연구에서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밝혀진 인적요인 전문성, 민원요인 책임성, 재정요인 적절성, 조직요인 통합성, 시설요인 접근성 등 다섯 가지 요인 중에서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앞의 세 가지, 즉 전문성, 책임성, 적절성이었고, 나머지 두 가지, 조직요인 통합성과 시설요인 접근성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전문성이 전달체계의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종사자의 업무처리 능력, 직무역량, 업무 관련 필요한 자격증의 보유, 수혜자의 사생활 존중 등과 같은 종사자의 전문성은 효율적인 전달체계에 필요한 조건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수혜자에 대한 센터 종사자의 책임성이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근무하는 종사자들이 수혜자들에게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를 제공받은 수혜자에 대해 철저히 사후관리를 함으로써 종사자들이 수혜자에 대한 책임을 다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뜻한다. 마지막으로, 적절성이 효과성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다문화가족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예산과 종사자에 대한 적절한 임금을 확보하고, 예산이 반드시 필요한 영역에 적정 규모로 배분되어 오남용이 없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핵심 단어 : 다문화가족서비스, 전달체계, 효과성, 만족도, 공급자, 수혜자, 다문화가족정책, 다문화가족지원법,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