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가톨릭 가정 공동체의 위기 극복을 위한 대안으로서 가정교리에 관한 연구 : 부모교육방법을 중심으로

        김병조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간이 걸어가는 수많은 길 가운데 “가정이 첫째가는 길이요 가장 중요한 길”이라고 강조한 요한 바오로 2세의 말처럼 가정은 ‘생명’이 세상에 태어나서 만나는 최초의 사회요, 가장 먼저 사람과 관계를 맺고 공동체를 이루는 곳이다. 혈연 가정을 넘어선 신앙 가정으로서 교회는 가정에 미래가 달려있음을 인식하고, 사회의 ‘기초 공동체’요 ‘작은 교회’라고 하며 그 중요성을 언급해 왔다. 하지만 오늘날 급격한 서구주의적 사고의 물결유입과 산업화, 이혼과 낙태, 가정폭력과 혼인제도의 의미 상실 등 사회 곳곳에서 발생하는 수많은 문제들로 인해 이렇게 중요한 가정 공동체는 오늘날 그 본모습과 기능을 잃어가고 있다. 이는 세상 속에서 가족 간의 끊임없는 사랑과 신뢰의 인간관계를 통해 하느님과의 근본적인 관계를 드러내며 신앙을 전달하고 키워나가야 하는 복음화의 기초라 할 수 있는 가톨릭 가정 공동체도 예외일 수 없다. 이에 본 글은 이러한 가톨릭 가정 공동체의 위기와 원인들에 주목하여 가정 안에서 신앙교육의 부재를 진단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인간사회와 교회의 기본세포, 사랑의 전달자이자 생명에 봉사, 인간성 교육의 원천, 하느님과 대화하는 복음화 공동체, 세상 속에서 권리를 지닌 주체’로서의 가정은 급변하는 세상 속에서 느린 대처능력으로 인해 사회적 측면으로 핵가족화, 부모부재, 가족이기주의, 대중매체 침투로 인한 대화 단절 및 정신과 가치관의 혼란, 잘못된 가정교육관 형성, 신앙적 측면으로 교회의 역할 부재, 신앙교육에 대한 부모의 무관심, 구체적 교육 방법과 제도적 지원의 미흡, 부모와 자녀의 상호작용이 없는 등 여러 원인들이 작용하여 위기에 처해 있다. 오늘날 가톨릭 가정 공동체가 안고 있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교회는 가정의 재인식과 가정교리교육의 중요성, 더불어 하느님을 중심으로 함께 기도하고 대화하는 가정을 만들어나가야 함을 강조하면서 치유와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들(선택, M.E., 혼인강좌, 행복한 가정운동, P.E.T. 등)을 개발․공급하고 있다. 하지만 프로그램에 대한 홍보와 인식의 부족, 교회와 성직자, 수도자, 전문가 중심, 사목자에 의한 일시적이고 행사적인 성격을 지니기도 해 지속적인 도움을 주는데는 한계를 보일 수 있다. 또한 현실적으로 가정에서 자녀들의 신앙을 교육시켜야할 부모들을 위한 부모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고, 구체적인 교육방법과 제도적 지원도 이뤄지지 않고 있다. 사실 교회의 교리교육에서 성인교육, 어린이 교육을 실시해 왔지만, 성인교육에서는 자녀들과 교류하는 점을, 어린이 교육에서는 부모들과 함께하는 방안을 간과한 채 서로 분리되어 흘러왔다. 곧, 성인과 어린이가 각각 신앙의 지식은 성장했다 하더라도, 정작 일상의 삶에서 부모와 자녀가 자연스럽게 신앙에 대한 대화나 체험을 나누는 것은 중요시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로 인해 신앙교육이 가장 잘 이뤄질 수 있는 가정교회인 가정이 소홀히 다뤄져왔고, 교회와 가정, 학교 등 전반적인 일상생활의 영역에서 교육적 상호작용이 이뤄질 수가 없었다. 어쩌면 이것이 오늘날 가정의 위기와 교회의 위기를 가져온 원인일 것입니다. 분명 가정 공동체의 위기 극복과 복음화를 위해서는 먼저 가정 안에서의 교리교육과 신앙의 첫 교육자인 부모가 올바른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이끌고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가톨릭 가정 공동체의 위기 극복을 위한 기존 가정사목프로그램이 가진 문제점을 보완하고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면서 가정복음화에 헌신하려는 시도인 가정교리를 하나의 대안으로 제시했다. 칠레 산티아고 교구에서 성공을 거둔 혁신적 방법으로, 초기교회 가정의 교육적 형태를 모델로 삼은 가정교리는 부모를 교회의 협력자로 보아 부모가 자녀에게 신앙교육을 하도록 하고, 가족 구성원 모두로 하여금 교리교육 활동에 폭넓게 참여하도록 고무한다. 곧, 일상의 삶 안에서 부모로 하여금 자녀들에게 신앙을 가르치게 하여, 신앙의 첫 교육자이자 평생 교육자가 되도록 하며, 서로의 신앙을 삶의 여정 안에서 키워나가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교회의 협력을 기본으로 하지만, 사제나 수도자, 교리교사 중심이 아닌 부모와 자녀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한 가정 중심의 종교교육이라는 것이다. 가정교리는 가정의 복음화, 성인들의 복음화, 자녀에 대한 부모의 임무 인식 및 실천, 안정된 공동체 생활에 참여, 정의로운 사회건설이라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부모를 교리교육시킴으로써 하느님을 이해하고, 부모와 자녀간의 참다운 관계 맺음을 통해 자녀를 하느님께 인도할 수 있도록 교육하며, 가족의 삶을 향상시키고, 교회 기초 공동체 건설을 도와준다. 가정이 교회를 구성하는 건강한 단위가 되는 힘을 스스로 찾도록 돕는 가정교리가 더욱 발전하고,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가정교리를 진행 중이거나 수료한 부모들의 상황과 요구를 면밀히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됨에 따라 설문을 통해 가정교리의 현황과 효과, 한계 및 과제를

      • 靑少年 善導를 위한 基督敎 家庭共同體 接近 模型

        宋在先 全州大學校 1997 국내석사

        RANK : 248701

        Today's youth will play a leading part in the next generation, thus may well be the hope for their countries. As everyone knows that the period of youth is called golden age in their whole lives, there would come a very serious problem if the young people would not be grown up duly to the senior citizens' expectation. Family is the most basic unit in the order of God's Creation where the first and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is carried out through to form any shape of personality, Through and from the place of home, all human beings learn fundamental ways of behavior necessary in the course of life and take their own shapes of personality. Especially, a Christian family is the place of the most basic common personality where the members as a whole live up to God's will and purpose; and it also guides and leads the lives of Christians; and it also functions as a school for the grownups and a training center for their children. Therefore, we can recover the order of God's Creation through the Christian home community which will guides the youth into the right path, prevent and cure all the juvenile delinquencies.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causes of juvenile delinquency through study of the literatures of the teenage problems and has the ultimate purpose of developing a useful and powerful model that can solve the present problem in the Christian home community, The thesis consists of the following five parts. In the first chapter, the necessity and purpose be made out. The second chapter contains the deep investigation of all causes and every form of teenage problems In the third chapter, the concepts of the Christian family come out to understand the Christian home community and compare the homes of the present educationists of Christianity and the homes as a basic order of God's Creation. As a basic concept for developing a model of Christian home community, the fourth chapter looks through into the home community as a place of worship, as a place of education, as a place of communication, and as a place of friendship and public services; and propose several solutions for teenage problems through an approach model of Christian home community about good guidance of the youth. The five and last chapter is the conclusion, which introduces a self-assigned tasks for the youth's guidance. In a word, we senior people as fellow Christians should develop a model of Christian home community, and apply it to our homes in order that the youth could respond to God, and we shoul help them take a right view of what they are and where they are.

      • 가톨릭 가정 공동체 형성을 위한 부모영성교육 프로그램 고찰 : 미국 한인 가정 중심으로

        PARK, AGNES 가톨릭대학교 문화영성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6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spiritual education of Catholic parents in the United States. Parents are the first educators of children in faith and each home is a church in miniature. However, parents frequently experience difficulties in relationships with their adolescent children.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conducting confirmation catechism for adolescents in the form of home catechism and demonstrates its potential as an opportunity for spiritual education of parents themselv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s of family and parents contained in literatures of the Church. Church literature locates the roles of family in first, its function as a Family church second, its care for love and life third, its participation in societal improvement and fourth, its contribution to the formation of human community. Parents are considered in their roles as first, creators, second, teachers, and third, exemplars in faith, that is, in their capacity to embody faith in their lives for the sake of their children. A continued spiritual education of parents is required for them to live up to what these roles call for in their relationship with God. This study defines spiritual education as process of learning and embodying the way of life that is based on spiritual contemplation. It is as a method of achieving this end that this study designs a program for confirmation catechism for adolescents in which the catechism takes place in a home environment. It is expected that parents will benefit from the parent-led sessions by re-educating themselves in confirmation catechism and by imparting their knowledge to their adolescent children in their conversation. The program, it is to be hoped, will ultimately help participating families in their quest to achieve a true family. It is my belief that, in this age of continued education, spiritual education of parents can help them mature in faith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in relationships with their offsprings. My study focuses on helping state side Parents with adolescent children improve their relationships with offsprings; argues for the necessity of spiritual education for them; and details a program to achieve the above mentioned goals. My survey of the literature of the Catholic family is designed to demonstrate the Church’s emphasis on the need for the continuance of religious education and Parents call for continued education. 본 연구는 미국 가톨릭 가정공동체의 한인 부모를 위한 영성교육에 관한 고찰이다. 부모는 자녀들에게 신앙을 가르치는 첫 번째 신앙의 교육자이며 가정은 작은 교회이다. 자녀의 성장을 돕는 부모의 역할은 언제나 쉽지 않지만 특히 사춘기 자녀를 둔 가정은 부모와 자녀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가 신앙의 교육자 역할을 다할 수 있는 방안을 부모 영성교육에서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교회 문헌에서 제시된 가정의 역할과 부모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교회 문헌에 제시된 가정의 역할은 ① 가정교회, ② 사랑과 생명에 봉사 ③ 사회발전에의 참여, ④ 인간 공동체 형성이다. 가톨릭 가정의 부모는 ① 창조활동의 역할, ② 교육자의 역할, ③ 신앙의 모범을 보이는 역할을 한다. 하느님 관계 안에서 이러한 역할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영성교육이 필요하다. 오늘날과 같은 평생학습사회에서 부모가 참여하는 영성교육은 신앙의 성숙을 촉진하고, 자녀와의 관계에서도 건강한 관계를 유지하고 자녀의 정체성 확립에 도움을 줄 수 있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여러 교회 문헌을 통해 종교교육의 계속성과 평생교육의 지속적인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미국한인 사회에 청소년 자녀를 둔 부모들의 자녀와의 관계 개선에 초점을 맞추어, 긍정적 돌봄을 실천할 수 있는 방안을 영성교육에서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영성교육이란 신앙을 실천하며 하느님과의 관계 안에서 의미를 성찰 해나가는 삶의 방식을 배우고 형성하는 과정으로 정의 내린다. 그리고 청소년을 위한 견진교리를 가정교리의 방법으로 운영하며 이를 부모를 위한 영성교육의 기회로 삼을 수 있다고 보고 교육 프로그램을 탐색하였다. 가정교리를 통한 견진교리란 부모가 주간 만남에서 교육을 받고 가정에서 대화를 통해 청소년 자녀를 가르치는 것이다. 부모는 견진교리를 내용으로 하는 영성교육을 받고 실천함으로써 참 가정교회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 가정공동체 회복을 위한 ‘가족치료이론’ 활용방안 연구

        김수만 광주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71

        This research aims at introducing ‘Family Healing’ and providing basic tools for application of the theory. These professional skills would help overcome the family crisis which the Catholic family, a fundamental part of the Catholic Community, is now facing. I intend to present some programs which can be applied to pastoral counselling in this area of church concern. In chapter 1, I question how we can apply the ‘Family Healing theory’ and refer to the necessities, contents, and limits of this study. In chapter 2, the common understanding of the Korean family is dealt with. I also examine various definitions of family and the crucial functions of the family and classify the right functions of a family and its opposite. The family is affected by what is happening in the Korean society. The ‘changing home’ is described. I consider family problems in the light of the factors which are changing the family. In chapter 3, I define the meaning of family from the Catholic point of view. In context of the Bible, I underline the value of family as well as the role of family happiness. In chapter 4, I look at what the ‘Family Healing Theory’ is and consider what the incomplete family needs to recover. For an easy understanding, I study how Family Healing is different from individual psychological treatment and how critical this theory is for family healing. In chapter 5, the Family Healing Theory is looked at in its historical development since 1950, which theory focused on the individual at first. But as family was considered as a unified organization, this theory came to focus on the family unit for treatment. Though ‘Family Healing Theory’ has developed in various ways, I evaluate six important family healing models: 1) the multiplex house healing model, 2) the empirical family healing model, 3) the structural family healing model, 4) the strategic family healing model, 5) the problem-solving family healing model and 6) the story-telling treatment healing model. Each model is explained with theories, major concepts, aims, courses, curer's roles and treatment techniques. Despite the usefulness and contributions of the family healing model, it ignored individuals. Therefore, this model tends to be decisive, environmental and scientific, and this should be avoided and reviewed by Catholic churches. Through each model, we can see not only the ways of viewing family's past, present and future, but also the ways of handling their emotions and behaviors. It then becomes clear what the strength and weakness of each model is. So, we need to be flexible in integrating the models and add theological thought and Biblical reflections in a deeper fashion. In chapter 6, the possibility for Catholic churches to apply the ‘Family Healing Theory’ is considered and its prospect are described. IN the light of the recent context, I search for ways to consider and practice new directions within the Catholic point of view. Also, I describe the meaning of family recovery and the considerations of family healing in Korea. I suggested how we can introduce and utilize the various and effective component of the ‘Family Healing Theory’ within the Korean family situation and pastoral concerns. Therefore, I refer to pastoral supportive programs for family healing within a context of stages of family life such as the Fathers' and Mothers' schools. A pastoral attitude for family counselling and healing are also suggested. How ‘Family Healing Theory’ can be accepted well in the Christian faith is presented. Family experts have used scientific family healing methods so far, but they have ignored its religious component which can help with the limitations to overcome. Churches have to take care of people in these situations, foster sound personalities and the health of the individuals. Family pastoral counselling is necessary part of family recovery. Pastoral counselling has to do with sharing family problems and preparing specific programs for family recovery. Therefore, Churches should provide an answer to contemporary family requests, coping with change in society, and in their pastoral care bring the families closer to the Gospel reality. Then, Catholic family unit can become reconnected with God's love, be reborn in a holy and happy manner and finally meet God. 본 연구는 사목상담에 있어 전문적인 기법들을 활용하고자 하는 모든 사목자들에게, ‘가족치료’라는 전문적인 영역을 소개하고 그것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의 토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는 가톨릭교회의 근원적 기초 공동체를 이루는 가정이 현대에 직면한 다양한 위기를 극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현대 가정에 대한 교회의 사목적 배려 안에서 가족체계이론을 사목상담에 기초하여 사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제Ⅰ장에서는 가톨릭교회 가정공동체 회복을 위해 어떻게 가족치료이론을 사목적 배려 안에서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내용과 연구 방법, 그리고 연구 한계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제Ⅱ장에서는 한국 가정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다. 먼저 가정에 대한 일반적 이해를 위해서 가정에 대한 다양한 정의와 가정이 담당하는 중요한 기능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특히 가정을 기능별로 분석이해 하여 가정의 역할을 잘 하는 순기능 가정과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역기능 가정 그리고 가정의 기능에 따른 부부의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현대사회의 가정 현실에서는 최근 우리 한국 사회가 겪고 있는 가정의 위기와 가족의 변화 양상, 가족변화의 원인을 통해 가족구조의 변화로 인한 문제점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Ⅲ장에서는 가톨릭교회의 가정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다. 가정에 대한 성경적 이해에서는 구약성경과 신약성경에서의 가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통해 가정의 가치뿐 아니라, 가정이 인간의 행복에 가장 중요한 위치에 있음을 살펴보았다. 또한 가정에 관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에서는 현대 가정의 위기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2차 바티칸 공의회를 중심으로 공의회 이전과 이후의 그리스도인의 혼인과 가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제Ⅳ장에서는 가족치료에 대한 이해를 다루었다. 먼저 가족치료의 정의와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가족치료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또한 오늘날 현대사회의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없는 가정의 상황에 대한 가족치료의 필요성과 가족치료가 개인 심리치료와 어떠한 면에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였다. 더불어 가족치료의 가장 중요한 이론적 배경인 체계이론의 기초와 그 특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Ⅴ장에서는 가족치료 이론에 대해서 다루었다. 1950년대를 전후로 시작된 가족치료는 이전까지 한 개인에게 집중하던 경향에서 벗어나 한 가족을 하나의 통일체로 보면서, 가족구성원 서로가 영향을 주고받는 하나의 체계로 간주하고 그 안에서 문제를 해결하려는 움직임이다. 가족치료는 그동안 여러 가지 유형으로 발전되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가족치료 모델 여섯 가지, 곧 다세대 가족치료, 경험주의적 가족치료, 구조주의적 가족치료, 전략적 가족치료, 해결 중심 가족치료, 이야기 치료를 중심으로 각 모델의 이론과 주요개념, 치료목표와 치료과정, 치료자의 역할 및 치료기법 등을 살펴보고 평가하였다. 그러나 가족치료의 유용성과 공헌에도 불구하고 치료방법에만 몰두한 나머지 개인을 무시하며, 결정주의적이고 환경주의적인 기반을 두는 경향과 과학주의적인 발상들은 반드시 배척해야만 한다. 특히 이는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안에서 그리스도교적으로 비평하고 검토해야 할 부분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각 모델을 통해서 가족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바라보는 방식뿐만 아니라 가족의 정서와 행동, 인지를 다루는 방법을 살펴보면서, 각 치료모델의 강점과 약점을 알고 여러 모델의 경계를 넘나들 수 있는 융통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그리스도교적 가족치료가 이루어지려면 가족치료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신학적, 성경적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제Ⅵ장에서는 가톨릭교회의 가정에 대한 가족치료이론의 적용 가능성과 그 전망을 다루었다. 오늘날의 현대 상황들 앞에서 가톨릭교회의 가르침을 통한 가정사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실천하기 위해서, 가장 기초적인 단위로서의 공동체와 관계된 사목 활동 전체인 가정사목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천주교회의 가정사목의 현실과 가정사목이 새로운 지평을 향해 나아갈 방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또한 가족치료이론의 사목적 적용에서는 가족치료이론의 적용 가능성 안에서 가정 회복의 의미와 한국 가정의 가족치료에서의 고려할 점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가족치료이론의 사목적 활용 영역에서는 다양하고 효과적인 가족치료이론을 한국 가정에서 그리고 사목 현장에서 어떻게 도입․활용할 것인가에 대해서, 가족회복을 위한 방안으로 가족생활 주기에 따른 사목적 지원 프로그램과 ‘아버지학교’, ‘어머니학교’, ‘고부학교’를 제시하였다. 또한 사목적 적용에 있어서는 가족상담 및 가족치료에 임하는 사목자의 자세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더 나아가 가톨릭교회의 가르침 안에서 가족치료이론에 대한 그리스도교적 이해와 평가를 통해서 사목상담의 영역에서 가족체계이론이 어떻게 올바르게 수용되어야

      • 現代의 家庭共同體에 대한 司牧相談的 接近 : M. Bowen의 世代間 家族治療理論을 中心으로

        김영직 大田가톨릭大學校 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671

        The family is the first basic community God gave the humanity and at the same time the basis of all of systems (orders). While it directs toward the embodiment of the Kingdom of God, it is also the realization of the Kingdom earlier preoccupied; however, this family community is agitating. It is true that the family have faced an evil influence severely due to lots of threats and the collapse of an outlook on the value, in the varied current of very fast and revolutionary modern society. Certainly the community of life and love consisted of the basis of all the communities have faced the reality of crisis. The individualism and family-egoism came to arrive in the society of an all-purpose principle of material and the first importance in competitive; those tendency has got widespread in the flow of the industerialization and citification. Finally the family has been veiled in this values as well. Korean family of today really met with the reality called the loss of identity in the following parts for examples : the family disorganization due to the increase of divorce rate, the modern society veiled in sexual disorder, the family crisis as the school bringing up a personality, the tendency of life negligence including an abortion, the increase of living together before getting marriage and the weakness and poverty in practicing proper catechism in the household etc. The family should get back afresh the names called "life and loving community", "school bringing up authentic human or a human worthy of man", and "the basic cell of the Church and society". The Church would not look unconcernedly on modern family running to catastrophe. With regard to this the Church carries out varied and worthy of family pastoral in addition to realizing the importance of the family; this treatise would deal with the area of pastoral counsel - family counsel in the pastoral counsel - in order to prevent them from beginning at lots of problems caused by discord of household into getting to family disorganization in the end ; it is of counsel area for showing the mystery of resurrection and Pascha to the families which have suffered in the foundation place of family losing the pleasure and happiness caused by a number of trouble. For this attempt I decided the topic of this treatise as 'the approach of pastoral counsel in relation to the family crisis in our time centering on the family system theory of M. Bowen' ; the concrete reason connected with it is as follows: As for carrying out family counsel the Church does not take charge of the counsel as a kind of vague logic but should be provided with some of concrete guidelines ; it found to be possible for the family system theory widely known by Bowen in the theory of general family therapy to be the suitable guideline. There is one which considers the family to be one of systems, the other which realizes the dynamic power which is formed in this system in the family therapy theory of M. Bowen ; it treats change and understanding between family members in remedying the family of dysfunction to a normal family. His theory shows concrete causes about trouble which might possibly happen in the family. Although his theory belongs to a general family therapy, a part of his view which see the family is very similar to the teaching of Christ and also its effect outstanding, according to the investigation. Accordingly I am showing a positive criticism about the theory of family therapy through this thesis ; and also examining how to adapt it, going through formalities to accept it as the Christian family counsel. The Church tries to explore the possibility which can offer the very clue to family community enveloped in lots of difficulties and confusion in family. This thesis composes of four chapters as follows : First of all one is reflecting the situation modern families get faced and the actual condition of pastoral careful concern about it in the chapter one ; to deal with a whole realization about family taught by Christianity in the chapter two ; to deal with an outline about the theory of family therapy by Bowen in the chapter three ; finally to deal with how to apply the family systematic theory to the pastoral counsel of the Church and the prospect where the possibility shall derive from. All the act of an integrated redemption put into practices by Jesus should extend and succeed through the Church ; the Word of God, first and foremost, should communicate or each of them through his own happy experience. The course of this proclamation and acceptance needs a form of conversation on the assumption reciprocal meeting all the more in the present age confused and complicated. We just here, come to know the fact that the act of an effective pastoral should concern about a way of conversation, a personal meeting. It seem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area of family counsel has very rich meaning in the Catholic Church, at this time the importance of family together with such an intent is demanded day after day ; it is only important that one do not accept indiscreetly the theory of general therapy, but should indeed accompany the detailed reflection(observation) and consideration with regard to the concept, premise and therapy ways etc. When these works got accomplished perfectly, the area of family counsel will take a foundation that can develop much more.

      • 가정위기 극복을 위한 교회의 역활

        김철환 나사렛대학교 신학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32319

        우리는 지금까지 심각한 인간성 상실의 문제를 산업화 도시화 된 현대사회의 심각한 가정해체 현상에서 그 원인을 찾아왔다. 따라서 이제 이러한 총체적 위기와 가정해체를 막기 위해 가정의 기능을 강화하고 그 의미회복을 위하여 교회는 구체적인 대안을 가지고 일해야만 한다. 지금 한국교회가 감당해야 할 우리 사회의 정신문화 개혁은 그렇게 추구하던 세계화, 정보화 시대의 첨단 과학기술 산업화보다 더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사안임에 틀림없다. 이러한 정신문화 개혁은 사회의 교육기관에서 가능한 것이 아니라 가정에서부터 출발하여야 하며, 그리고 이것도 셀(Charles M. Sell)의 주장처럼 결국 교회만이 가정의 질적 향상에 구체적이며, 근본적이며, 항구적인 도움을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정사역(Family Ministry)”이란 단순히 교회의 일이 아니라 교회의 존재목적과 선교적 본질과도 깊이 관련되어 있다. 우리 사회 가운데 가정들로 구성된 유일한 기관은 교회뿐이다. 이제 교회도 가정이 되어가는 대로 교회도 되어 가는 형국을 맞을 것이다. 이런 현실에서 가정회복을 위한 가정사역이 교회의 구색을 갖추는 하나의 기관으로서의 장식물이 아니라, 교회의 가장 소중한 사역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해야 가정회복과 함께 교회의 진정한 성장과 성숙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온 가정사역의 과제가 교회에 정착하기 위해서는 교회지도자들이 무엇보다 가정을 중심으로 한 목회가 필요함을 절감하는 가운데 정책적으로 시행해 가야만 가능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교회 지도자들의 목회자 재교육에서 가정사역에 대하여 자세하게 다루어야 하며, 예비 목회자들을 위하여서는 신학교 교육에서 이러한 가정사역에 대한 비젼과 소명을 분명히 할 수 있도록 교과과정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한다. 왜냐하면 지난 20-30년 동안에 경제성장을 위한 산업화. 도시화는 급격한 사회변동을 일으켰으며 이는 외형적, 내면적으로 가정에 많은 변화를 초래하였고, 이제 가정은 이 사회의 변화와 구조적 모순이 가장 많이 집약된 곳으로 주목을 받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가정의 의미와 현대사회에서의 가정이 처한 위기와 그 대책 등, 신학교에서 구체적으로 신학적 가정론을 정립하여야 한다. 그리고 전체목회자의 의식 전환과 아울러 이러한 가정사역을 효과적으로 수행해 가기 위하여 한국교회는 양질의 전문 사역자를 양성해 내는 데 연합된 힘을 창출해 내야한다. 가정 사역을 위한 프로그램이 개설되고 교인들이 이에 참여한다고 갑자기 우리의 가정이 변화한다는 기대를 가져서는 안된다. 성경말씀 같은 지식조차도 항상 변화를 가져오는 것은 아니다. 신학이 있다지만 실천이 없는 교회가 있듯이, 올바른 교리가 언제나 올바른 삶을 만들어 내지는 않는다. 그러므로 야고보서는 올바른 것을 알면서도 그것을 행하지 않을 수 있다고 경고한다(약4:17). 상실되어가는 가정을 회복하기 위한 인재를 양성하는 일은 “명백하고 권위 있게 제시된 진리”라기 보다는 “진리가 따뜻한 관계(공동체)라는 배경 속에서 제시될 때” 가능하다고 본다. 진리 없는 관계는 우리를 천박한 감상주의로 이끌고, 관계가 무시된 진리는 긴장감과 마찰, 결국에는 환멸 혹은 자기만족을 낳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하나님의 백성의 공동체로서의 교회 이해와 교회 내의 소그룹의 위상을 분명히 세워야 하며 이러한 공동체성이 확립된 가운데 유기적으로 프로그램이 제시되고 운영되어야만 가정의 구체적, 근본적 변화를 가능케 하는 진정한 가정사역의 결실이 나나날 것이다. 따라서 교회는 생활의 변화로 연결되는 풍성한 가정생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이러한 사실과 상황을 직시하고 유기체. 공동체로서의 교회의 중요한 본질을 회복하는 방안으로써 그 이상과 언제나 연결시켜 프로그램을 연구하고 개발해야만 한다. 그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가정사역이란 단순히 교회의 일이나, 교회조직 속의 한 부속물이 아니라 교회의 본질과 깊이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교회는 먼저 생동감이 결여된 과업중심의 기관에서 관계중심의 유기체적. 공동체적 본질로 회복되어야만 한다. 어떤 장소, 어떤 모임에 가족이 이렇게 함께 정규적으로 가는 곳이 교회 말고 또 어디 있겠는가? 따라서 이제는 결국 가정이 새롭게 되기 위해서는 먼저 교회가 새롭게 되어야만 한다는 안목을 교회는 가져야 한다.

      • 가정교회 안에서 어린이 목장모임을 통한 신앙계승에 관한 연구

        이정준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32319

        Abstract A Study on Faith Inheritance Through Children's Ministry of The House Church Name: Jungjune Lee Major: Th.D Department: Practical Theology School Name: Baekseok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Christianity, The study focuses on discovering the suitable ministry surroundings to pass on faith to the next generation. The resources of this study have come from 12 years of child group ministry and multiple years of small group ministry which I have involved. Through the experience and observation, the following fields have been elicited as the suitable surroundings to make our children inherit living faith. They are family community, salvation community, faith community, service community, connective community, and inter-generation community. It is necessary to have these fields reflection in order to pass on faith to the next generation. Children need to be raised in healthy communities to see and learn what the faith is. The communities should be the places where the children can learn Jesus's servantship and leadership. And also the communities have to be affiliated to Sunday schools. It is because the environment and chance which the children can learn and practice leadership through sincere faith should be offered to them. Nowadays it is not easy for the churches to resolve the problems concerning the inheritance of faith. Therefore, this paper is a study concerning the inheritance of faith through Children's Community, which has been found in the church history, the fields of pastoral ministry, and the healthy church communities in the Scripture. I humbly hope this thesis concerning the inheritance of faith to next generation may be a helpful study or small coner stone for all the pastors and church leaders who challenge healthy churches. Key Words: House Church, Cell Church, Faith, Our Generation, Next Generation, Inheritance of Faith, Adult Community Pasture, Children's Community Pasture, Family Community, Salvation Community, Faith Community, Service Community, Connective Community, Inter-Generation Community.

      • 홈스쿨링을 통한 교회공동체 형성모델 연구 : 엘예슈아교회를 중심으로

        최혜경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 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32317

        본 논문의 목적은 홈스쿨링을 통하여 가정을 교회로 세우며 교회로 세워진 가정들이 모여 더 확장된 교회 공동체를 형성하는 대안적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홈스쿨링이라는 프로그램은 하나님과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에 첫 목적이 있으며 하나님과의 관계 회복을 통하여 궁극적으로 그리스도의 제자로서의 삶을 살아가도록 돕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현대사회는 가정은 물론 학교, 교회에 이르기까지 심각한 위기상황에 놓여있다. 가정교육, 학교교육, 교회교육은 이미 심각한 질적 붕괴현상에 놓여 있으며 더 이상 가르침이 실천되는 진리의 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실 속에서 그리스도의 제자로 살아가는 일은 불가능에 가까운 현실이 되어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process of building home church through homeschooling and community church with trained family as an alternative model. The primary purpose of homeschooling program is to recover one''s relationship with God. Through this recovery, homeschooling focuses on helping children live as Christ''s disciples. Modern society that includes family, school, and church are all in danger. The qualities of family education, school education, and church education have already seriously collapsed. Education no longer performs the function as the truth of teaching practice space. For such reality, to live as disciples of Christ is becoming impossible. This is the background to which this study had begun. The problems raised in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 the pathological phenomena crisis of South Korea, the phenomenon of secularization of the church and the crisis of the Christian family. Thus, the researcher suggested homeschooling as an alternative way of solving these problems. Homeschooling as an alternative method enables the recovery of the essence of the family, the building of home church, and the formation of church community. Specifically, the researcher focused on presenting homeschooling alternatives of EL YESHUA Church''s cases. It showed the intrinsic meaning of homeschooling church community''s ultimate role of worshiping community, educational community, ministry community and workplace. Being a disciple of Christ, it is essential that people live and choose to follow Jesus'' will in all areas of life. Home, where parents can become teachers, is the first place that one can learn and practice this. The order and the authority of the kingdom of God must be restored in the home, and rules shall be made in accordance with these order and authority. The practice and maintenance of the formation of God''s law and order is everywhere a church was already been established. Furthermore, the experience to learn about God is the most holistic school there is. If home becomes a church through homeschooling, and if it can bear the role of a school, this home is already working in the establishment of building God''s kingdom. Thus, we can visualize the formation of an attractive community. Homeschooling, as used in this study therefore, means biblical homeschool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