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연구 :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중심으로

        채규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음악학도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느끼는 곤란함과 자료검색을 위한 2차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음악교육 연구의 정보자료로서 음악교육 문헌관계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를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2년 2월까지 제출된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33편의 논문 총람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33편의 장르별 연구경향은 14개의 장르 중에서 음악교육론 영역과 국악교육영역에 각각 67편(20.1%)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 논문 작성자들 대부분이 초등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로서 좀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의 표출로서 음악교육학적 측면에서 음악교육방법을 연구해 보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서양식의 음악교육을 답습해온 이제까지의 교육에서 탈피해 우리의 것을 바로 알고자 하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조를 반영하여 국악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장르별-연도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기 전인 1998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28편), 성악교육(14편), 국악교육(14편), 작곡교육(11편), 교육과정(10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는 1999년에는 국악교육 9편, 성악교육 7편, 음악교육론 3편으로 국악교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후 2002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국악교육(49편), 음악교육론(39편), 성악교육(30편), 교육과정(23편), 감상교육(19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국악교육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시기인 6차 교육과정 때부터 국악교육에 많은 관심과 영역이 할애되었고 7차에 이르러 초등음악의 5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국악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1편도 제출되지 않았던 피아노 교육관련 논문과 불과 2편만이 제출되었던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999년 이후 피아노 교육이 총 7편,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1편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어느 영역에도 소속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의 논문들도 1999년 이후 10편이 발표되었다. 셋째, 장르별-학교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였으며, 음악재능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진주교육대학교였다. 성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였으며, 작곡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였다. 국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광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서 장르별로 비중을 두어 연구하는 영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는 14개 영역 중 종교음악교육,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특수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고른 연구의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래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초등음악교육전공이 개설되고 논문이 발표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a general view of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s a valuable source of music research 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music genre. It is helpful for music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the plethora of music materials and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arc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total number of 333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February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trend by a genre showed that 14 categories among 333 the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ere composed of 67 thesis(21.1 %). Th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 was don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a good indication that teachers attempt to do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f music edu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avoiding imitating Western style of music education and higher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the gene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re and annual publication showed that 28 thesis were about special areas of music education with 14 being about vocal music, 11 about writing music, and 10 about music curricula before theses of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1998. The theses relevant to music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99. Nine theses were about traditional Korean music, seven on vocal music and three on music education. The trend of genre from 1999 to 2002 showed that 49 theses were made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39 about music education, 30 on vocal music, 23 about music education, and 19 concerning how to listen to music. It is believed that much interests in Korean music started at the 6th music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hes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comprised of roughly 50 % of 7th music curriculum. There was no thesis at the area of piano education from 1992 to 1998 and only two thesis at the area of music evaluation. However, since 1999 seven theses of piano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eleven on music evaluation. Third, general analysi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Busan, Seoul, Inchon,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of music education, a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a lot of theses related to talented music education. Gongju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associated with vocal music.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most theses about writing music. Kwangju, Busan, Incheon, Chunche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had more theses connect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result illustrated the fact that different college explored different genre of music. 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a tendency of studying a variety of spheres among fourteen areas except fields of religion, kindergarden,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exploring elementary school music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lity at the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their first master thesis.

      • 글로컬 지역문화 활성화 방안 : 슬로시티 전주를 중심으로

        김혜원 全州大學校 大學院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세계는 글로컬(glocal)이라는 조건 속에서 변화하고 있다. 세계성과 지역성은 서로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며 서로에게 영향을 주며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국가의 역할보다는 지역 도시의 역할이 중요해졌고, 빠른 정보와 이동성은 세계화를 진행시켜 지역 문화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문화도시는 지역 차별적인 문화적 콘텐츠를 갖추어 도시의 정체성을 선명하게 드러내는 도시이다. 글로컬라이제이션이 구현되는 지역 문화 컨텐츠의 활성화는 한국형 문화도시를 어떻게 구축하는가에 달려 있다. 전주가 택한 방법 중 하나는 국제슬로시티 가입이었다. 슬로시티는 지역의 정체성, 전통성의 회복을 통해 지역 활성화를 도모하고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을 추구하고자 하는 대안적 도시이다. 지역 자연과 문화 정체성을 통해 지역과 교류하며 성장하고자 하는 마을공동체 운동으로 슬로시티가 활성화되었고, 인간 사회의 진정한 발전과 소멸되지 않는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준비하려고 한다. COVID-19 사태로 전 세계가 팬데믹 상태에 빠지고 난 뒤 기후변화와 환경문제에 관심이 더욱 급증한 가운데 전주가 일찍이 행한 슬로시티 정책은 생태와 환경에 중심을 둔 정책이라는 데서 그 가치가 빛을 발하고 있다. 전주한옥마을이 국내에서 7번째로 국제슬로시티로 지정받았고, 5년 후 도시 전체가 국제슬로시티로 재인증 되는데 인구 60만 이상의 대도시가 국제슬로시티로 지정된 것은 전주가 첫 사례였다. 슬로시티 전주의 확대 재인증에 따라 공간적 한계를 담은 마을 단위의 슬로시티 정책에서 도시 전역으로 확대된 슬로시티 유형과 도시정책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다. 글로벌 도시정책 브랜드인 ‘Cittaslow’를 적용한 전주시 도시 브랜딩 현황을 도입과정과 단계별 사업사례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이를 연계한 지역의 문화 특수성과 정체성을 고려한 차별화된 글로컬 지역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본 논문은 슬로시티 전주 로컬에서 하는 글로컬 지역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연구했다. 전북 문인들의 활동공간 장소 마케팅 방법으로 4개의 활용방안을 제안했다. 인문학 슬로투어리즘 방안으로 첫째, 전주도서관 투어와 연계한 문학 여행과 둘째, 문인들의 활동공간 명소화 작업 셋째, 시비로 읽는 문학 여행이다. 넷째, 전주와 완주가 함께 만드는 슬로투어 <시골여행>을 제안했다. 인문학의 도시 전주의 특색에 맞게 도서관 투어, 정원 문화도시 프로그램과 연계하여 스토리텔링 기법을 사용해 차별화된 지역만의 문화콘텐츠로 재탄생하는 방법을 모색했다. 책의 도시, 인문학의 도시 전주 슬로시티 품격에 맞는 따뜻한 인문학 슬로관광이 현대인에게 위로가 되는 매력력인 지역 문화콘텐츠로 활성화되어 슬로시티 전주 지역관광의 질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world is changing under the condition of glocal. Globality and locality have organic connections, affect each other, and cause change. The role of local cities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the role of the state, and rapid information and mobility progresses globalization,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local culture. A cultural city is a city that clearly reveals the identity of the city by having regional differentiated cultural contents. The revitalization of local cultural contents in which glocalization is implemented depends on how to build a Korean-style cultural city. One of Jeonju's methods was to join the international slow city. Slow City is an alternative city that seeks to revitalize the region through the restoration of local identity and tradition an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Slow City has been revitalized as a village community movement that seeks to grow by interacting with the region through local nature and cultural identity, and it seeks to prepare for the true development of human society and the sustainability of an indestructible city. Amid a surge in interest in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al issues after the COVID-19 crisis plunged the world into a pandemic, Jeonju's early slow city policy is shining in that it is a policy focused on ecology and environment. Jeonju Hanok Village was designated as the seventh international slow city in Korea, and five years later, the entire city was recertified as an international slow city, and Jeonju was the first case where a large city with a population of more than 600,000 was designated as an international slow city. It is time for research on slow city types and urban policies that have been expanded throughout the city from village-level slow city policies that contain spati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udy the current status of Jeonju city branding applying "Cittaslow," a global urban policy brand, focusing on the introduction process and step-by-step business cases, and to suggest a plan to revitalize differentiated glocal cultural contents considering the cultural specificity and identity of the region linked to it.al limitations according to the expanded recertification of slow city pole. This paper studied ways to revitalize the cultural contents of the glocal area in Jeonju, Slow City. Four applications were proposed as marketing methods for Jeonbuk writers' activity spaces. As a way to slow tourism in the humanities, first, a literary trip in connection with a tour of the Jeonju library, and second, a literary trip read as a poem. Fourth, he proposed a slow tour <country trip> created by Jeonju and Wanju together. In connection with library tours and garden cultural city programs to suit the characteristics of Jeonju, a city of humanities, we sought a way to recreate it as a differentiated cultural content unique to the region using storytelling techniques. It is hoped that the warm humanities slow tourism that fits the dignity of Jeonju Slow City, the city of books and the city of humanities, will be activated as a local cultural content that is a comforting attraction for modern people, thereby promoting the qualitative growth of local tourism in Jeonju.

      •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과 라이프 스킬 비교 연구

        왕영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This study aims to provide practical guidance for improving the life skill of University Students by exploring the difference betwee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with their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in four ways. First, th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s are analyzed based o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of Universit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class in China and Korea. With the variables of gender, age, grade, and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the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analyzed respectively.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analyzed. Third,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is explored. So,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ranking effect of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For this purpose, 300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Jeollabuk-do, Ch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selected for Korean subjects, while 450 University Students from three universities in Jiangsu Province, Yangju University, and Nanjing University were selected as Chinese subjects. For data processing, this study uses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analysis,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Scheffé verification,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equation structure models as spss26.0 program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Among them, 642 cases (231 cases in Korea and 411 cases in China) are used excluding invalid answer data.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ego-resilience betwee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e level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s higher than tha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mong them,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and optimism, cause analysis, relationship, empathy, communication, and emotional control, which are sub-factors.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are classified, explained, and analyzed by country. As a result of the variance analysis of gender, age, grade,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of them,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differ significantly in physical self-concept, but Korean university students show gender differences only in physical self-concept. Second, after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background variables (gender, age, grade, nationality), regression analysis shows a positive predictive effect 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Third,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life skill, and this mediating effect includes three paths. There is one parallel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respectively, and one sequenc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However, in the sequence mediating effect, the effect of ego-resilience is more significant than physical self-concept. It was found that the mor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in the physical self-concept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course, the better their awareness of the degree of participation and ego-resilience will be increased. A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egree of participatio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ranking effect of life skill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between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and life skill is evident. In other words, the ego-resilience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has a complete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gree of participation in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life skill. This study observes the collective differences in physical self-concept, ego-resilience, and life skill of the two groups who participat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The collective characteristics of life skill mastery verified the mediating effect of physical self-concept and ego-resilience in the impac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participation in the curriculum on life skill are proved and the importance of ego-resilience to acquire life skill is verified. It is important because it can give implications for training practitioners. In additio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compares th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ng in after-school Physical education class and provides data support for students' mental health. 본 연구는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과 라이프 스킬의 차이를 알아보고,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과의 상관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및 자아탄력성이 어떠한 매개 효과를 갖고 있는지를 검증함으로써, 대학생의 삶의 라이프 스킬 수준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지도 전략을 제공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중국과 한국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에 따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차이를 분석했다. 성별, 연령, 학년, 교양 참여 정도에 따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은 교양체육 참가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서 각각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했다. 둘째,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셋째,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탐구했다. 또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들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를 탐구했다. 이를 위한 연구 대상은 전라북도 소재 전주대학교와 전북대학교 그리고 전주교육대학교 총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 30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고, 중국에서는 장쑤성 소재의 태주대학교와 양주대학교 그리고 난징공과대학교 3개 대학에 재학 중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 450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데이터 처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SPSS26.0 프로그램으로 빈도 분석, 탐색 분석, t검정, 일원 분산 분석, Scheffé 검증, 상관 분석, 다중 회귀 분석 및 방정식 구조 모델을 사용하여 매개 효과의 유의성을 확인했다. 이 중 불성실 답변 자료를 제외한 642면(한국 231면, 중국 411면)의 분석 자료를 사용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양체육 수업에 참여하는 한국 대학생과 중국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에서는 차이 있었는데, 중국 대학생이 한국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 중 하위요인인 생활만족도와 낙관성, 원인분석력,관계성,공감능력,커뮤니케이션능력,감정통제력에서 통계학적 차이가 있었다.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을 분리하여 국가별로 설명하고 분석을 전개했다.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성별, 연령, 학년, 교양수업 참여도에 대한 분산분석 결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수업 참여 수량에서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 모두 차이를 보였는데, 중국 대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서 성별과 학년의 현저한 차이를 보였으며,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는 연령의 차이를 보였으나, 한국 대학생은 신체적 자기개념에서만 성별 차이를 보였다. 둘째, 배경 변수(성별, 연령, 학년, 국적)의 영향을 통제한 후 회귀분석 결과 교양체육 참가정 도는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에 대해 긍정적인 예측 효과를 보였다. 셋째,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은 교양체육 참가 정도와 라이프 스킬 사이의 매개 효과를 가지며, 이 매개 효과는 3개의 경로를 포함한다.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병렬 매개 효과 각각 1개와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의 서열 매개효과 또는 시퀀스 매개 효과 1개이다. 그러나 서열매개 효과에서는 신체적 자기개념보다 자아탄력성의 효과가 더 중요하다. 대학생이 교양체육과정에서 신체적 자기개념에 참여할수록 교양체육 참가정도에 대한 인식이 좋아지고 자아탄력성이 풍부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교양체육 참가 정도,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서열 매개 효과를 각각 검증한 결과, 중국과 한국 대학생의 경우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라이프 스킬 사이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즉,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은 교양체육 참가정도와 라이프 스킬의 관계에 대해 긍정적인 매개 효과를 갖는다. 본 연구는 교양체육 교육과정에 참여한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신체적 자기개념, 자아탄력성, 라이프 스킬의 집단적 차이를 관찰하였다. 라이프 스킬 숙달의 집단 특성을 밝히고, 교양체육의 교육 과정 참여가 라이프 스킬에 미치는 영향에서 신체적 자기개념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라이프 스킬 습득을 위한 자아탄력성의 중요성을 발견했다. 이것은 교육 실무자에게 참조 값을 제공할 수 있다는 데 중요한 의미가 있다. 또한, 본 논문은 교양체육에 참여하는 중국 대학생과 한국 대학생의 심리적 관점을 비교하고, 학생들의 정신건강을 위한 자료 지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 남장로교 선교사 윌리엄 M. 전킨의 한국 선교 활동 연구

        이남식 전주대학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구한말 호남지방에서 활동했던 선교사 윌리엄 맥클리어리 전킨(William McCleary Junkin)의 한국 선교 활동을 역사적으로 정밀하게 추적 재구성한 것이다. 1892년 11월 서울에 도착한 전킨은 그 후 1896년 4월 군산으로 완전히 이주할 때까지 서울에 체류하면서 한국어를 배우고 남장로교의 전반적인 호남 선교 준비 활동에 참여하였다. 전킨은 1893년 겨울 딕시를 떠나 도시 성벽 밖의 새로운 집으로 이사했다. 서울 서소문밖의 그 집을 오픈하여 한국인 전도에 나선다는 생각이었다. 전킨은 동학으로 인해 선교사들의 도성 밖 출입이 제한된 1894년 6월부터 서소문 사역을 시작하였다. 사실상 전킨의 단독 목회가 시작된 것이다. 그는 자신의 서소문 자택 사랑방을 전면 개방하여 한국인들을 맞아들였다. 벌써 전킨의 한국어 구사 능력은 일상적인 대화가 가능한 수준이었다. 1895년 3월 전킨의 서소문 사역은 이제 단순한 전도의 거점을 넘어 서서 신앙공동체로 발전하기 시작했다. 바로 그 때 전킨 목사가 인도하는 첫 예배가 드려졌던 것이다. 또 전킨은 1895년 4월 2일 주일 자신의 서소문공동체에서 신앙을 고백하는 5명을 문답하였다. 이 5명 가운데 2명은 드루의 환자였고, 다른 1명은 드루의 하인으로 일하고 있던 남자 아이였다. 문답 결과 두 명이 합격하여 세례를 받았다. 이는 남장로교 선교사에 의해 베풀어진 최초의 세례식이었다. 그 후 전킨은 1895년 봄 군산을 다녀온 이후 전킨부인과 매티 테이트에 의해 관리되고 있던 자신의 서소문공동체의 구성원 7명을 문답하여 그 가운데 3명에게 세례를 주었다. 이로써 전킨의 교회는 세례교인 5명의 회중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그 후 드루와 함께 군산으로 내려간 전킨은 1896년 7월 20일 군산 사람 송영도 김봉래에게 세례를 베풀었다. 호남 최초의 세례였다. 군산교회는 이렇게 시작되었다. 그 후 군산교회는 성장 가도를 달렸다. 전킨은 1897년 7명에게 세례를 베풀었고, 1898년에는 14명에게, 1899년에는 상반기에 30명, 하반기에는 무려 56명에게 세례를 주었다. 그리고 전킨이 안식년을 맞아 미국을 떠나기 직전인 1900년 4월에는 모두 53명에게 세례를 주었다. 이 때 군산선교부 경내에는 만자산, 남차문, 송지동, 통사동 등 모두 네 곳에 신앙공동체가 세워져 있었다. 안식년 후 전킨은 곧 선교현장에 복귀하였다. 1902년 군산 영역에서는 51명의 학습인이 스스로 문답에 참여하여 그 중 18명이 세례를 받아 교회의 정회원이 된 것을 비롯해 모두 77명이 세례를 받았고, 4명의 아이가 유아세례를 받았다. 그 후 1904년까지 전킨은 군산 영역의 공동체들을 계속 관리하고 목회후보생을 교육시키며 군산남학교의 관리자로서 학생들에게 영어성경과 구약성서역사 그리고 작문을 가르쳤다. 전킨부인은 1902년 군산남학교를 시작한데 이어 1903년 스트래퍼에 의해 시작된 군산여학교를 1904년 인수 받아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남장로교 한국 선교부는 1904년 연례회의에서 군산 선교사 전킨을 전주로 전임시켰다. 그리고 그의 사역지를 전주 3마일 이내로 제한하였다. 그의 건강을 염려하여 내린 조치였다. 전킨의 사역은 모두 4개의 영역-전주사역, 지방사역, 전주남학교, 평양신학교-에서 진행되었다. 전킨이 담당하고 있던 전주교회 사역은 전킨 부임 이후 번영을 구가하게 되었다. 전킨은 1906년 전주 서문밖에 780평의 대지 위에 57평 건평의 한양절충식 새로운 예배당 건축을 주도하여 교회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전킨의 지방사역지는 김제와 금구 등 두 개 군이었다. 또 전킨은 해리슨에 이어 전주남학교도 관리하였다. 전킨 부인 역시 전주여학교와 전주교회 주일학교를 맡아 사역하였다. 전킨은 1908년 1월 2일 전주에서 사망했다. 장티푸스가 폐렴으로 발전한 것이다. 천성적으로 몸이 약했던 데다가 열정적인 선교로 몸에 많은 무리를 주었던 때문이었다. 전킨의 시신은 군산으로 옮겨져 1월 4일 그의 2명의 아들 곁에 묻혔다. 전킨은 슬하에 모두 5명의 자녀를 남겼다. 전킨부인은 그 해 봄 미국으로 귀국하여 자녀들을 교육시킨 후 1952년 11월 1일 별세하였다. 윌리엄 전킨은 한국 사람을 가장 잘 이해한 선교사였다. 사실 그것은 한국어를 잘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이었다. 그는 한국인들과 함께 살았고 그들의 마음과 삶에 들어가 있었다. 거기서 그는 그들의 사고방식을 이해했고, 인간관계를 형성했다. 그는 한국인들의 일거수일투족에 정말 흥미를 느꼈다. 그들의 단점과 장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있었다. 그러면서 그 모든 것을 떠나 그들을 사랑할 줄 알았다. 그가 세운 교회는 지금도 왕성하게 믿지 않는 자들을 주님께 인도하고 있다. 그의 선교의 열매는 전라도지역에서 빛을 발하고 있다.

      • 한국 영화·영상산업 발전 방안 연구 : 전주영화제작소를 중심으로

        문병용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55

        Since 2000, the Jeonju International Film Festival was held in Jeonju, the film and video industry in Jeonju has undergone many changes every year.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film and video industry such as Jeonju Film Commission, Jeonbuk Independent Film Association, and Jeonju Public Media Center Young Shimi have been established to conduct film-related projects, educational programs, and small screenings. Through the achievements of these projects, the Jeonju Cinecomplex opened on May 19, 2009 in the location of Wansan Health Center in Jeonju-si, instilling new changes and vitality in the film and video industry in the region, establishing the Jeonju Independent Cinema House. Even the plan is being materialized. Starting from the program planning manager of Jeonju Digital Independent Cinema, Jeonju Cinecomplex in the early days of its opening in 2009, based on the experience and data experienced while actually operating and managing the Jeonju Cinecomplex to date, the progress of the projects that have been carried out over the past 10 years and what was the outcome. Looking back from an objective perspective, from the establishment of the Jeonju Independent Cinema House what the Jeonju Cinecomplex should prepare for the film and video industry in the Jeonju region before its establishment, and based on its years of experience in operation and its role after its establishment. We want to come up with an efficient plan.

      • 역사·문화재를 매개로 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 전주한옥마을의 지역성을 중심으로

        김준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55

        Although urban regeneration that carried forward for long to urban vitalization plan which city declines progressed in simply spatial and physical regeneration, Jeon-ju Hanok village pushed created urban regeneration successfully, utilizing inherent historical tradition and unique cultural properties. I tried to propose the progress direction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hat local residents are the main agent through strengthening of residents abilities, apprehending and analyzing actual condition of Jeon-ju Hanok village. Therefore in this study first examin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urban regeneration and conservation system of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in that which is based on these properties, correlation with city and urban regeneration plan through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Then I considered case region through literature research, data collection, field study and so on where progressed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by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apprehended actual and present condition of Jeon-ju Hanok village urban regeneration that pushed Hanok village construction business where history and tradition is fresh preserving and succeeding to originality and static beauty that Hanok have. Decline problem of city recognized as the factor deepen gap between city and country, therefore, Urban regeneration that consider identify and historicity of city became necessary. Range of urban regeneration is about big city and the region physical, environmental, social, economical, historical and cultural decline progresses in local small city. Urban regeneration in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 preserve and regenerat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of many environmental element, discover intrinsic value of traditional local living culture so reinforce city competitiveness by characteristic place marketing with inspiration pride of resident.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preservation system is dualize in large frame. Cultural protection administration appoint area and conduct preservation simply to protect cultural heritage by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Urban planning maintain conservation of traditional area in downtown by appointing use district of law about plan and use of territory to recreate traditional environment as the plan of urban development. While the potential that characteristic value of local culture has is becoming larger in correlation between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and city, local-characteristic cultural element created through history of each city itself is becoming background of city competitiveness. Therefore necessity of discover and preservation about history and culture each city and country has is coming to the fore, the fundamental element for city vitalization begins from all contents of history and culture inherent in city itself. Under these recognition, promotion plan for sustainable city regeneration of Jeon-ju Hanok village drew through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o create landscape of perimetric obsolete Hanoks common future image of Hanok village have to be considered preferentially through administration and discussion between residents and experts rather than forced execution through reinforcement of regulation. Second, because diffusion of commercial facility could lead deterior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being the cause of decrease in resident population, and work cavitation phenomenon of Jeon-ju Hanok village in the long term, to maintain identify of Jeon-ju Hanok village active plan preparation for diffusion prevention of non-residential facilities is necessary based agreement for making common future image through administration and discussion between residents and experts. Third, explaining hide stories of Hanok that philosophy of life is inherent rather than only landscape could enhance understanding about Hanok, so examining local characteristics and the value of history and culture newly and reviewing the growth process of city has our lives could make Jeon-ju Hanok village draw continuous interest. Finally, it has to be carried forward in inhabitants initiative village making through continuous intervention of administration and support, strengthening of residents abilities and drawing community participation as operation management main agent of sustainable Jeon-ju Hanok village urban regeneration construction business. Therefor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could be found in the point that realizing common future image through originality and innovation as urban regeneration plan utilizing historical and cultural properties of Jeon-ju Hanok village area, for establishment of local identify emphasizing excessive diffusion prevention of non-resident facilities, excavation traditional culture contents, participation of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and residents so seeking for development direction of sustainable urban regeneration thinks environment and future. Also it could be utilized to prepare direction of future urban regeneration business. 오랫동안 쇠퇴해가는 구도심 활성화 방안으로 추진되어 왔던 도시재생은 단순히 공간적․물리적 재생으로 진행되어 왔지만 전주한옥마을은 고유한 역사적전통과 독특한 문화재를 보전 활용하여 창의적인 도시재생을 성공적으로 추진하여 왔다. 이러한 전주한옥마을의 실태를 파악하고 특성을 분석하여 주민역량 강화를 통해 지역주민이 주체가 되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도시재생의 이론적 고찰과 역사․문화재를 기반으로 하는 도시재생에 있어서 역사․문화재 보전제도, 도시와의 상관관계 그리고 역사․문화재를 통한 도시재생의 전략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후 역사·문화재를 보전 활용하여 성공적인 도시재생을 추진한 지역들을 대상으로 문헌연구, 자료수집, 현장조사 등을 통해 사례지역들을 고찰하였으며 한옥이 지니고 있는 독창성과 정적인 아름다움을 보전 계승하여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 쉬는 한옥마을 조성사업을 추진한 전주한옥마을 도시재생의 실태와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성과 요인들을 비교 분석하여 전주한옥마을 도시재생의 성과와 과제를 도출하였다. 도시의 쇠퇴문제는 도시와 지역 간 격차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인식되었고 따라서, 도시의 정체성, 역사성을 고려한 도시재생이 필요하게 되었다. 도시재생의 범위는 대도시와 지방중소도시 내 물리적, 환경적, 사회적, 경제적, 역사․문화적으로 쇠퇴화가 진행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한다. 역사․문화적 측면의 도시재생은 도시를 구성하는 많은 환경요소 중 역사․문화유산을 보존 재생하여 도시경관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지역의 전통생활문화의 내재가치를 발견하여 주민의 자긍심 고취와 함께 특성 있는 장소마케팅으로 도시경쟁력을 강화한다. 역사․문화재 보존제도는 큰 틀에서 이원화 되어있다. 문화재 보호행정은 문화재보호법에 의해 지구지정 및 보존을 행하여 단순히 문화유산을 보호하자는 것이고, 도시계획은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의 용도지역 및 용도지구의 지정을 통해 도심 내 전통지구의 보존을 유지하여 도시개발을 위한 방편으로서 전통적 환경을 재창조 한다는 것이다. 역사․문화재와 도시와의 상관관계에 있어서 지역문화의 고유가치가 지닌 잠재성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각 도시의 역사를 통해 생성되어온 장소 특정적 문화요소 자체가 도시경쟁력의 배경이 되어주고 있다. 따라서 각 도시와 지역이 지닌 역사와 문화에 대한 발굴 및 보존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도시 활성화를 위한 기본적 요인이 바로 도시자체에 내재된 역사·문화의 모든 콘텐츠로부터 비롯되고 있다. 이러한 인식하에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해낸 전주한옥마을의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추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변의 노후화된 한옥들의 경관형성을 위해 규제의 강화를 통한 강제적인 집행보다는 행정과 주민,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한옥마을의 공통의 미래상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야하고 둘째, 상업시설의 확산은 주거환경의 악화로 이어지고 거주인구감소의 원인이 되어 장기적으로는 전주한옥마을 공동화현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므로 전주한옥마을의 정체성을 유지하기 위해 행정과 주민, 전문가들의 협의를 통해 공통의 미래상을 만들어내기 위한 합의를 기반으로 비주거시설 확산방지의 적극적인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셋째, 단순한 경관만이 아닌 삶의 철학이 담긴 한옥의 숨은 이야기들을 설명해줌으로써 한옥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 장소의 특징과 역사, 문화의 가치를 새롭게 살펴보고 우리의 삶을 담고 있는 도시의 성장과정을 재조명한다면 관광지로서의 전주한옥마을에서 벗어나 지속적인 관심을 끌 수 있는 장소가 될 것이다. 넷째, 행정의 지속적인개입과 지원을 통해 주민역량을 강화하고 주민참여를 이끌어내어 지속가능한 전주한옥마을 도시재생조성사업의 운영·관리 주체로서 주민주도형 마을 만들기로 추진되어야 한다. 따라서 전주한옥마을 지역의 역사·문화재를 활용한 도시재생의 전략으로서 창의성과 혁신을 통한 공통의 미래상을 구현하고, 지역의 정체성확립을 위한 비주거시설의 지나친 확산방지와 전통문화콘텐츠 발굴 그리고 정부와 지자체, 지역주민의 참여를 강조하여 환경과 미래를 생각하는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를 찾을 수 있으며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방향을 마련하는데 매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되는 연구라 할 수 있다 .

      •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 지각된 가치, 만족도 연구 : 전주시를 중심으로

        오승옥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55

        스마트관광이란 다양한 관광활동에 ICT가 개입되고, ICT를 매개로 다양한 정보가 상호교환되는 사회문화 및 경제적 활동이며(Buhalis &Amaranggana 2013, 2015; Gretzel et al. 2015a, 2015b), 관광객에게 앱과 플랫폼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스마트하게 경험하게 하는 새롭게 지능화한 관광을 의미한다. 세계 각국은 개별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ICT와 관광을 융합한 새로운 스마트관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김경태 2015) 경험이라는 요소가 강조가 되기 때문에 경험 또는 체험을 사고 파는 관광분야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발전하고 있다(E. Sternberg 1997). 특히 관광산업은 코로나 19로 인한 펜데믹 상황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고 코로나 19 이후 관광트렌드가 소규모 비대면 관광, 언택트(비대면) 중심의 관광소비가 예상되고 있다(연합뉴스 홍인철 2020.) 즉, 모바일과 ICT를 접목해 교통, 언어, 예약, 결재까지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관광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새로운 전략을 통해 적극적인 관광객 유치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스마트관광에 대한 관광객들의 인식이 높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이에 대응해 효율적인 스마트관광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의 어떠한 요인들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관광객의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은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20년 9월 26일부터 10월 18일까지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같은 기간 SNS를 활용하여 모바일 설문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 또는 최근 1년 이내 전주지역 관광경험이 있는 사람 중 만 19세~65세까지 500명을 대상으로 관광정보 웹사이트 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관광정보를 검색했거나 공유 또는 관광상품을 결재하거나 예약하는 등 스마트관광을 경험했던 관광객을 모집단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 중 상호작용을 제외한 개인화, 접근성, 정보성은 지각된 가치의 정서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향력의 크기는 개인화 > 접근성 > 정보성 > 상호작용 순이다. 이는 여행계획을 하는데 있어 관광객들은 관광관련 여행 관련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및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관광 기술의 사용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는 이론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따라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에 고객맞춤형 상품개발과 정보제공, 관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관광객이 여행계획을 세우고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기쁘고 즐겁고, 재미있는 요소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의미여서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에 고객의 이런 감성적이고 정서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내용들이 많이 들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이 기능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전주시의 관광관련 애플리케이션인 한바탕전주와 트루전주가 있는데, 접근성은 좋지만 자동결제 시스템이나 교통정보, 다양한 관광지 안내 등 정보성과 댓글, 질의 응답, 이용후기 등 이용자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에서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전주시에서는 이런 점을 보완해 스마트 정보기술 속성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고려한 컨텐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개발한다면 고객이 품질과 가치를 지각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 중 정보성, 개인화, 상호작용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관광객의 만족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직까지는 전주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능이 부족에 이점을 보완해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은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의 정서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의 일부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소의 영향력은 현지환대경험 > 자기유익경험 > 우연한 경험 > 독특하고 이국적인 체험 > 현지문화 > 인프라시설 순이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인 가운데 현지문화, 우연한 경험, 인프라 시설, 자기유익경험, 현지환대 경험이 정서적 가치에 영향을 주었고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은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능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소는 독특하고 이국적 경험, 자기유익 경험, 현지 환대 경험이며 현지문화, 우연한 경험, 인프라시설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 요소 가운데 전주시민들의 관광객에 대한 환대, 관광객이 느낄 수 있는 자기만족, 전주만이 가질 수 있는 특별한 경험과 이색적인 체험 등의 프로그램들을 더 많이 기획하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인중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과 인프라 시설, 자기유익경험이 영향을 미쳤고 현지문화, 우연한 경험, 현지환대 경험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 같은 결과는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들은 다른 지역에서 느낄 수 없는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이나 자기유익경험, 인프라 시설에 만족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현지문화와, 우연한 경험, 현지환대 경험에는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광객들에게는 기억에 남는 경험이 중요한 의사결정요인이라고 할 수 있고, 관광객들에게 만족스러운 경험 제공은 관광기업의 존재이유이며 지속적인 성공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열쇠(박완규·김용범·최유진, 2017; Ooi 2005)라는 선행연구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여섯째,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의 정서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 모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부분의 연구와 일치한 결과로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이 적절한 가격과 가치있는 여행을 하고 여행을 통해 즐겁고 기쁘고 편히 쉴 수 있는 기능적·정서적 가치에 만족했을 경우 전주시의 스마트관광 만족도 역시 높았다는 결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 요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관광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새롭게 보완·개편해 모바일 숙박 및 음식점의 예약 및 결제시스템이 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전자결제시스템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 가상현실(VR), 무료와이파이,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프로그램 제공, 스마트 교통정보 시스템 확충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mart tourism is a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ctivity in which ICT is involved in various tourism activities and various information is exchanged through ICT(Buhalis & Amaranggana 2013, 2015; Gretzel et al. 2015a, 2015b), and apps and platforms to tourists. It refers to a newly intelligent tourism that enables a smart experience of real-time and customized information through service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all-out efforts to provide new smart tourism services that combine ICT and tourism to attract individual tourists(Kim Kyung-tae 2015), and as the factor of experience is emphasized, it is developing into an important paradigm in the field of tourism that buys and sells experience or experiences(E. Sternberg 1997). In particular, the tourism industry cannot help but seek differ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the fendemics caused by COVID-19, and tourism consumption centered on small-scale non-face-to-face tourism after COVID-19. In other words, it is faced with a reality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ctive tourist attraction plans through new strategies such as building a mobile-oriented smart tourism platform. Therefore, at a time when tourists' awareness of smart tourism is increasing, what factors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properties affect in providing efficient smart tourism information, and what constituent factors remain in the memory of tourists. It is an element of tourism experience, and a study was conducted on how it affect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ourists who visited Jeonju from September 26 to October 18, 2020, and mobile surveys were simultaneously conducted using SNS during the same period.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tourists who have visited Jeonju City, or 500 people aged 19 to 65 among those who have experienced tourism in Jeonju within the last year. Search and share tourist information using a tourist information website or smartphone application, or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population of people who experienced smart tourism such as reservation and payment for tourism produ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ersonalization, accessibility and information quality, excluding interaction among smart tourism technology attributes(STTA),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motional value of perceived values.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is in the order of personalization > accessibility > information > interaction. This is a result that tourists can reconfirm the theory that the use of STTA such as tourism-related travel websites, social media, and smartphones is widespread in travel plan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ourism and development of customized products and information on smart applications and websites. It also means that tourists are greatly influenced by happy, enjoyable and fun factors in making travel plans and making decisions, so the application and website should contain a lot of content that can give customers this emotion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TTA properties did not have an effect on functional value. As a result of this, there are Hanbatang Jeonju and True Jeonju, which are tourism-related applications in Jeonju. But the accessibility is good, but it is relatively in the interaction with users such as automatic payment system, transportation information, and various tourist information and comments, questions and answers, and reviews. It is analyzed that the functional value was not affected in the insufficient part. In the future, if Jeonju develops contents and user interfaces(UI) that take into account the relative influence of STTA by supplementing these poin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perception of quality and value. Third, among the attributes of STTA, information, personalization, and interac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ccordingly, the more information is provided to mobile applications, customized services are provided for each customer, and interactions with users become more active, the more tourists You will be able to increase your satisfaction. In addition, Jeonju's mobile application still lacks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customers, so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satisfaction by supplementing this advantage. Fourth, th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MTE)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motional value of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and some factors of the functional val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fluence of the elements of the MTE is in the order of local hospitality > self-interest experience > serendipity experience > unique experience > local culture > infrastructure facilities. Specifically, it was analyzed that among the factors of the MTE,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e, infrastructure facilities, self-interest experience, and local hospitality influenced emotional values and that unique experiences did not affect them. The elements of the MTE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unctional value were unique experiences, self-interest experiences, and local hospitality experiences, and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es, and infrastructure facilities have not effect. Therefore, among the most elements of the MTE, programs such as Jeonju citizens' hospitality to tourists, the self-satisfaction that tourists can feel, and the special experience and unique experience that only Jeonju can have should be planned and developed.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MTE on satisfaction, unique experiences, infrastructures, and self-interest experiences among the factors of the MTE were affected, and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 and hospitality experiences were satisfied. Did not affect These results mean that tourists visiting Jeonju City are satisfied with unique experiences, self-interest experiences and infrastructure that cannot be felt in other regions, and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e, hospitality experiences. For tourists, MTE is an important decision-making factor, and providing a satisfying experience for tourists i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ourism companies and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leading research of the most effective key to continued success(Park Wan-kyu, Kim Yong-beom, Choi Yoo-jin, 2017; Ooi 2005). Sixth, it was analyzed that both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of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s a result of most studies, it is analyzed that Jeonju City's smart tourism satisfaction was also high if tourists who visited Jeonju City were satisfied with the appropriate price and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to enjoy, enjoy and relax through Jeonju travel. Last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lectronic payment system so that the reservation and payment system of mobile accommodation and restaurants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by newly supplementing and reorganizing tourism websites and mobile application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TTA. It is believed that virtual reality(VR), free WiFi, provision of customizing service and programs, and expansion of smart traffic information systems are exp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