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청대전기초사학연구 : 제명화부제명

        김연수 소주대학교 1997 해외박사

        RANK : 1919

        본 논문은 淸代前期 楚辭學에 대한 연구로, 여기에서 말하는 淸代前期는 順治, 康熙, 雍正 세 王朝(1644-1735)의 약 90년간의 기간(拙者는 乾隆, 嘉慶 두 王朝(1736-1820))의 약 80년간을 淸代中期로, 道光, 咸豊, 光緖, 宣統 네 王朝(1821-1911)의 약 90년간을 淸代後期로 구분하였다.)을 가리키며, 이 기간내에 편찬, 간행한 楚辭學 著作을 연구범위로 하였다. 淸代는 전통적인 楚辭學의 총괄시기이며, 現代楚辭學 발전에 있어서도 기초적인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淸代前期는 現代楚辭學 및 中國楚辭學史에 있어서도 매우 중요한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淸代前期 楚辭學의 풍부한 史料와는 상대적으로 현재 소수의 비교적 著名한 楚辭學者 및 著作들에 대한 개괄적인 연구만이 이루어져 있는 형편이다. 따라서 이 시기 楚辭學 著作에 대한 전면적인 수집과 정리, 계통적인 연구, 구체적 분석을 통한 淸代前期 楚辭學의 성취와 특색 및 中國楚辭學史上의 지위를 찾는데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먼저, 이 시기에는 뛰어난 연구성과를 올린 專門的인 楚辭學 硏究者들과 著作들이 대거 출현했다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연구자들 가운데에는 王逸, 洪興祖, 朱熹 등과 어깨를 견줄만한 뛰어난 연구자들이 나왔는데, 즉 王夫之, 錢澄之, 林雲銘, 蔣驥등을 꼽을 수 있다 하겠다. 이러한 연구자들의 출현과 함께 專門的인 楚辭硏究의 저작들도 많이 나왔는데, 즉 王夫之의 《楚辭通譯》, 錢澄之의《굴고》, 林雲銘의《楚辭燈》, 蔣驥의《山帶閣注楚辭》, 李陳玉의《楚辭箋註》, 楊金聲의《楚辭箋註定本》, 周洪辰의《離騷草木史》 ·《離騷拾細》 ·《天問別註》, 賀貽孫의《騷筏》, 毛奇齡의《天問補注》,賀寬의《飮騷》, 계록이의《楚辭詳解》, 王萌의《楚辭評註》, 高秋月과 曺同春의《楚辭約註》, 劉獻庭의《離騷經講錄》, 徐煥龍의《屈辭洗髓》, 張詩의《屈子貫》, 朱冀의《離騷辯》, 李光地의《離騷經九歌解義》, 方苞의《離騷正義》, 夏大霖의《屈騷心印》, 魯筆의《楚辭達》, 王邦采의《離騷彙訂》 ·《屈子雜文箋略》, 吳世尙의《楚辭疏》, 방목여의《離騷經解略》, 願成天의《九歌解》 ·《離騷解》 ·《讀騷別論》 등 삼십여종의 저작들이 전해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그들의 연구 범위가 楚辭學에 대한 版本, 考證, 音韻, 內容과 藝術的인 分析등의 각 층면으로 확대되었으며, 문자훈고에 있어서도 이전 연구자들이 해결하지 못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있다는 것이다. 둘째로, 이 시기는 明淸王朝가 바뀌는 역사적인 과정과 淸王朝가 中原에서의 기반을 다져가는 시점에서 楚辭에 대한 연구 또한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특징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즉 明淸王朝가 바뀌는 初期 30여년간 楚辭 연구에 종사했던 사람들은 明朝의 遺民들로 그들은 楚辭를 註釋하면서 故國에 대한 그리움과 개인의 정감을 나타내었는데, 王夫之의 《楚辭通釋》, 李陳玉의《楚辭箋註》, 錢澄之《屈고》, 周拱辰의《離騷草木史》등이 대표적인 저작들이다. 康熙中後期의 30년간은 淸代 統治地位가 온고하고 程朱의 理學이 유행하여 楚辭硏究 역시 倫理敎化的인 색채가 농후하였는데, 林雲銘의《楚辭燈》, 朱冀의《離騷辯》, 李光地의《離騷經九歌解義》, 劉獻庭의《離騷經講錄》, 方苞의《離騷正義》 등의 저작들을 대표로 들 수 있다. 康熙末年에서 雍正時期의 30년간은 “文字獄”이 조성한 恐怖政治로 말미암아 學術 文化 方向을 考證學으로 몰고 가는 계기가 되었는데, 王邦采의《離騷彙訂》, 蔣驥의《山帶閣注楚辭》 등의 저작들을 대표로 들 수 있다. 세째로, 淸代前期 楚辭學 저작들은 著述體制와 硏究方法에 있어서도 多方面으로 深索을 하였다는 점이다. 당시의 楚辭硏究者들은 前代의 연구자들에 비해 다양한 자기 특유의 構成體制로써 楚辭를 연구하였으며, 이는 본문에서 중점적으로 다룬 王夫之, 錢澄之, 林雲銘, 蔣驥등의 楚辭硏究書에서 확연히 드러난다. 연구방법에 있어서도 서로 다른 각도와 층면에서 서로 다른 硏究成果를 이룩했다는 점인데, 즉 賀貽孫의《騷筏》의 後代詩歌로부터 楚辭를 바라보는 “逆向觀照法”, 錢澄之《莊屈合고》의 “比較硏究法”, 毛奇齡의《天問補注》 와 蔣驥의《山帶閣注楚辭》에서 採用한 “實學考證法”, 王萌《楚辭評註》의 “楚辭相互考證法”, 賀寬의《飮騷》의 “集評”形式 등등 楚辭硏究方法에 있어서 啓發的인 意義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네째로, 淸代前期 楚辭學硏究는 中國楚辭學史上 九十餘年의 짧은 기간이지만 楚辭學硏究에 있어서 集大成的인 意義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淸代의 學問分野가 본래 集大成的인 段階에 있는 것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이 시기의 楚辭學者들은 폭넓은 視野와 博學한 學問硏究로써 漢代以來 一千八百年間 광활한 楚辭學史의 歷史的인 背景下에 以前의 楚辭學 著作들과 그들의 觀點을 이해하여 以前의 연구를 總結하는 集大成的인 硏究成果를 이룩하였다는 점이다. 따라서 淸代 前期 楚辭學은 專門的인 硏究學者와 硏究著作의 數量面에서 뿐만 아니라 硏究方法에 있어서도 탁월한 성취를 이루었으며, 楚辭硏究의 총체적인 水準面에서 淸代楚辭學 및 中國楚辭學史上 매우 중요한 歷史的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淸代楚辭學史論

        임윤선 北京大學 1997 해외박사

        RANK : 1919

        청조시대는 초사연구의 집대성한 시대로써 초사 연구의 더없이 많은 성과를 얻었으며 그 연구 내용의 폭과 깊이에서 어는 정도 한계를 돌파 하였다. 본 논문은 청조시대 초사학 연구의 발전변화상황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으며 목적은 더욱 계통적이고 전면적으로 청조시대 초사학 연구의 상황을 묘사하려는데 있다. 본 논문은 문헌을 기초로 매단계의 시대배경과 학술사상을 결합하여 매 시대 초사연구자의 일생과 정치 주장 및 학술조예와 결합하여 그들의 초사 연구특징을 분석하고 그 성공과 결점을 분석하여 역사와 논술의 결합으로 체계있고 근거있음에 노력하고자 한다. 논문은 세단계로 나누어 청조시대의 초사학 연구성과를 연구하였다. 즉 청조초기(1466~1723년) 청조중기(1723~1840) 청조말기(1840~1911년) 이 단계를 사회 안정성과 경제발전 및 학술사상 등 여러면에서 모두 서로다른 특색이 있음으로 초사학 연구중에서도 서로다른 특색을 나타냈다. 논문중에서는 서론과 본론으로 나눈다. 서론은 전반적인 것을 요약하여 서술하였고 본론에서는 구체적으로 특정 작가와 작품을 서술하였다. 서론에서 우선 전체적으로 해당되는 단계의 역사배경과 학술사상특징을 그 시대의 학자의 학문을 하는 사상·방법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 매개인에세는 시대적인 공통성과 자신의 개성특징이 변증적으로 존재한다. 사회와 총체적인 학술사상 특징에 일정한 이해가 있어야만 매단계의 초사학 연구의 발전상황과 그 단계 초사학연구의 특색을 더욱 절 파악할 수 있다. 서론의 이 두 방면은 모두 전체적인 연구에 착안하였으며 사회배경 학술사상과 초사학연구의 총체적인 관점이다. 전면적인데 대한 이해가 있음으로 개체적인데 대하여 해부하여 분석함으로 더욱더 정확성을 얻을 수 있다. 본 논문은 10장으로 나뉘어져 각 단계에서 비교적 높은 성과와 일정한 대표성을 띈 초사학자를 선택하여 구체적인 연구를 전개하였고 그 일생과 창작동기에 대하여 분석하엿고 그 초사연구관점을 분석하고 초사연구 저서를 평가함으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청조시대 초사학연구성과에 대한 구체적이고 명확한 인식을 갖게하고자 한다. 논술한 주요 초사학자는 왕부지, 임운명, 장익, 대진, 진본예, 양계초 등이다. 본 논문의 부록으로《청대초사학저서도표》로써 청대 초사학발전의 전모를 보고자한다.

      • 韓國 楚辭 文獻 硏究

        가첩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918

        현재 초사학계에서는 일본과 서양의 楚辭 문헌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해서는 아직도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므로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해 전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매우 필요하다. 필자는 학계에서 처음으로 한국의 초사 문헌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전반적으로 깊이 있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필자가 수집 한국의 초사 문헌은 모두 148종이다. 그 중에 초사의 중국 간인본은 28종, 일본 간인본 7종, 한국 간인본 12종, 한국 필사본 101종이 있다. 중국 간본 28종 중에 한국에 전파된 시기를 확정할 수 있는 것은 朱熹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 元 至治 元年 虞信亨宅 刻本, 朱熹 ��楚辭集注�� 山陽楊上林 刻本, 屈復 ��楚辭新注��, 王逸 ��楚辭章句�� 清 溪香館 刻本, 張鳳翼注 ��楚辭�� 등 5종이다. 그중에 朱熹의 虞信亨宅 刻本은 늦어도 1428년 이전에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그 후 17세기 이전에 朱熹의 ��楚辭集注�� 山陽 楊上林 刻本이 조선에 유입되고 屈復의 ��楚辭新注��과 王逸의 ��楚辭章句�� 清 溪香館 刻本이 18세기 이전에 유입되었으며, 張鳳翼 注의 ��楚辭��가 19세기에 한국으로 유입되었다. 한국 간인본 12종은 庚子字, 初鑄甲寅字混入補字, 戊申字(四鑄甲寅字), 訓鍊都監字 등 네 종의 활자본이 있다. 그 중 간행 시기를 확정할 수 있는 것은 9종이 있는데, 가장 이른 시기는 1429년에 금속활자로 간행된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 庚子字本이고, 가장 늦은 시기는 1886년의 방각본 ��賦家正宗�� 文成堂本이다. 그리고 101종의 필사본 중에 필사시기가 가장 이른 것으로 추정되는 것은 李頤命의 ��楚辭�� 필사본으로서 약 1689∼1722년경에 필사한 것이다. 본고는 현재까지 조사한 148종의 한국 초사 문헌 중에서 문헌적 가치가 높은 몇 종을 선별하여 심도 있게 연구하였다. 초사의 중국 간인본 중에서 淸初 溪香館 목판본 ��楚辭章句��와 屈復의 ��楚辭新注��를 선택하였다. 연구 결과 王逸의 ��楚辭章句��청초 溪香館 목판본은 18세기에 이미 조선에 전파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청초 溪香館 목판본 ��楚辭章句��의 출판자 嚴先生은 바로 盧之頤의 선생인 명말청초 항주의 유명한 유학자 嚴武順이라는 사실도 알 수 있었다. 屈復의 ��楚辭新注��에 대한 연구를 통해 중국 國家圖書館 소장의 受業門人同梓本이 초간본일 것으로 추정했고, 초간본과 고려대 소장본은 모두 ��楚辭新注��의 선본이며, 居易堂本은 戊午年에 刊記가 있는 판본 중에서도 졸본이고, 서울대 소장본은 戊午年에 刊記가 있는 판본 중에서도 다른 판본으로 그 출판시기가 초간본 및 弱水草堂本보다 늦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屈復의 ��楚辭新注��가 1756년 이전에 이미 조선에 전파되었다는 사실도 확인하였다. 초사의 한국 간인본에 대한 연구에서 필자는 朝鮮時期 간행된 朱熹의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와 朝鮮時期 초사의 방각본 두 종에 대해 집중적으로 고찰하였다. 연구 결과 조선시기 중간한 朱熹의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의 虞信亨宅刻本의 간인본은 1429년에 금속활자로 간행한 중앙관판본이 있고, 이 1429년 활자본의 복각본, 1454년 지방관판본 및 訓鍊都監本 등이 있다. 조선시기 중간한 ��楚辭集注�� 楊上林本의 판식으로 볼 때에 ��楚辭集注��·��楚辭後語��·��楚辭辯證�� 金屬活字本(戊申字)과 木板本(戊申字覆刻本) 두 종의 간인본이 있다. 조선시기 간행된 방각본 중에서는 ��楚辭�� 庚申本과 ��賦家正宗�� 丙戌本을 연구하였다.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인 ��楚辭�� 庚申本의 간행 시기는 1860년이고, 장서각 소장본인 ��賦家正宗�� 丙戌本의 간행 시기는 1886년이다. 병술본은 경신본의 補刻本이다. ��楚辭�� 경신본은 지금까지 필자가 찾아낸 초사의 조선 판본 중에서 유일하게 조선에서 독자적으로 편찬하고 주석을 가한 초사 문헌이며 ��楚辭��가 한국에 널리 전파된 것을 확인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초사의 한국 필사본에 대한 연구에서 필자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楚辭�� 필사본과 장서각 소장 ��離騷經解�� 필사본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 그 결과 국립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楚辭�� 필사본을 안정복이 필사한 것으로 추정했다. 장서각 소장의 ��離騷經解�� 필사본의 저자는 조선조 후기 문인이고 필사 시기는 1779년 이후이다. 이 필사본은 필자가 현재까지 조사한 자료 중에서 유일하게 「離騷」에 대한 釋義가 비교적 전면적이고 계통적으로 되어 있는 주석본이다. 필자는 또 韓國 文集 속의 楚辭 序跋文과 朝鮮時期 刊行된 ��選賦抄評注解刪補��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총 10명의 조선 문인들이 지은 13편의 초사 서발문이 있는데 모두 한중 양국에서 초사 문헌의 전파를 볼 수 있는 중요한 증거자료이다. ��選賦抄評注解刪補��는 稿本, 官板本, 坊刻本, 傳寫本 네 종류가 있다. 관판본의 간행 시기는 1630년 혹은 1690년일 가능성이 높다. ��選賦抄評注解刪補��는 조선시기 ��楚辭��의 「離騷經」, 「九歌」, 「九章」, 「天問」에 대한 수용과 朱熹의 ��楚辭集注��를 높이 평가한 양상을 연구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문헌적 가치가 있다. 필자는 이상의 한국의 초사 문헌의 수집과 정리, 연구를 진행하는 동시에 楚辭 文獻의 韓國 傳播 原因과 意義에 대해서도 탐구해 보았다. 초사 문헌은 한국에 전해진 이후로 부단히 간행되고 필사되어 왔는데 이러한 전파의 요인을 분석해 보면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주요한 내적 요인으로 첫째는, 굴원과 초사작품에서 체현되는 忠君愛國, 好修爲常, 獨立不遷, 上下求索의 정신이 한국의 역대 뜻있는 선비들의 정신과 공명을 이루었기 때문이다. 둘째는, 朱熹가 주석한 초사 문헌이 조선시기에 조정에서 수차례 간행되었는데, 이것은 주자의 초사 주석본 자체의 학술적 가치가 높기 때문이다. 셋째는, 초사는 辭賦의 원류로서 한국 문인들이 초사를 공부하는 동시에 초사를 통해 자신의 문학적 수양도 풍부하게 하였기 때문이다. 외적 요인으로는 주로 첫째, 조선시기 통치계급이 유교사상을 추숭하고 또한 주자학을 존중하기에 중앙에서 朱熹의 ��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를 간행하고 또 지방 각도에 반사하여 이로써 초사 문헌이 한국에서 대량 간행되도록 추진하였다. 둘째, 조선의 과거제도에서 賦를 중시하였으므로 초사의 독서와 간행이 추진되었다. 셋째, 18세기 중기 이후 한국의 방각본의 성행은 초사의 방각본 유통을 추진하였다. 이상으로 분석해본 내적 요인과 외적 요인으로 인해 초사 문헌은 한국의 조정에서부터 지방관아, 서책시장까지 부단히 간행되고 유통되었으면 독자들의 붓끝에서 끊임없이 필사되기도 하였다. 초사 문헌이 한국에 전파되고 유통된 의미를 분석해 보면, 중국의 입장에서는, 한국의 초사간인본과 필사본은 楚辭學 연구의 일부분이며 동아시아 楚辭學 연구에 필요한 구성부분으로서 문헌의 간행과 유통 자체에 매우 중요한 가치가 있다. 한국의 입장에서 본다면, 초사의 한국 전파에 의해 많은 한국 간인본과 필사본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그리고 조선 문인들은 초사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한시와 시가 창작에서 초사의 전고를 인용하여 창작할 뿐만 아니라 수많은 擬騷 작품을 창작하였고 초사를 연구한 저술들을 창작하였다. 또한 굴원의 인격과 초사의 사상은 조선 문인들의 인격에도 일정한 영향을 주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에 한국의 초사 문헌에 대한 발굴과 연구는 매우 중요한 연구 과제이며 향후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고의 연구는 향후 연구를 위한 토대를 마련하는 것이며 필자가 수집한 자료 외에도 향후 더욱 많은 자료의 발견이 있고 보충되어 더욱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目前,楚辭學界對日本、歐美楚辭文獻已有一定的研究,但韓國楚辭文獻幾乎沒有得到關注和挖掘,進而還未開展全面、系統的收集與研究。因此,本文首次對韓國楚辭版本進行全面的收集與系統的研究。筆者可以斷定是韓國的楚辭文獻共148種中,其中有中國刊印本28種,日本刊印本7種,韓國刊印本12種,韓國筆寫本101種。在中國刊印本28種中可以確定傳入時期的有5種,即,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元至治元年虞信亨宅刻本,朱熹��楚辭集注��山陽楊上林刻本,屈復��楚辭新注��,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張鳳翼注��楚辭��。其中,建安虞信亨宅木板本傳入韓半島的時間最遲在1428年。之後,在17世紀之前楊上林本也已傳入,屈復��楚辭新注��與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在18世紀之前傳入,張鳳翼注��楚辭��在19世紀傳入。在韩国刊印本12種中,其曾用庚子字、初鑄甲寅字混入補字、戊申字(四鑄甲寅字)、訓鍊都監字四類活字刊印,可以確定刊行時期的刊印本有9種,其中最早的刊行時期爲1429年��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庚子字本,最晚爲1886年��賦家正宗��文成堂本。在101種筆寫本中,李頤命��楚辭��鈔本的鈔錄時間最早,在1689年至1722年之間。 在以上調查的148種韓國楚辭文獻中,筆者選取有價值的文獻進行深入研究。在研究中國刊印本時,筆者選取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與屈復��楚辭新注��。研究結論是:首先,王逸��楚辭章句��清溪香館刻本最晚在18世紀時就已傳至朝鮮,同時考證出此刻本的出版者嚴先生即明末餘杭文人嚴武順先生。其次,關於屈復��楚辭新注��,筆者認爲中國國家圖書館藏受業門人同梓本似爲初印本;高麗大學藏本與初印本均爲��楚辭新注��文獻中的善本;居易堂本是有戊午年刊記的刻本中劣本;首爾大學藏本是有戊午年刊記的刻本中的另一種版本,其出版時期應晚於初印本與弱水草堂本。此外,屈復��楚辭新注��傳入朝鮮朝的最早時間應在1756年之前。 在研究韓國刊印本時,筆者從朝鮮時期刊行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與朝鮮時期刊楚辭坊刻本兩方面進行研究。研究結論是:首先,朝鮮時期重刻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虞信亨宅刻本的刊印本主要有1429年中央官板本庚子字本,1429年中央官板本庚子字本的覆刻本,1454年地方官板本庚子字覆刻本,以及訓鍊都監本。其次,從朝鮮時期重刻��楚辭集注��楊上林刻本的版式來看,其主要分爲重刻朱熹��楚辭集注����楚辭後語����楚辭辯證��金屬活字本(戊申字)和木板本(戊申字覆刻本)兩類。再次,在研究韓國刊坊刻本時,筆者選取��楚辭��庚申本與��賦家正宗��丙戌本。國立中央圖書館藏庚申本的刊印時間在1860年,藏書閣藏丙戌本的刊刻時間在1886年,丙戌本是在庚申本的基礎上的補刻本。��楚辭��庚申本是目前筆者所收集到的朝鮮楚辭刊印本中唯一一本在韓半島獨立編選、注疏,并得以出版的楚辭文獻,是楚辭文獻在韓國傳入過程中一座重要的里程碑。 在研究韓國筆寫本時,筆者對国立中央图书馆藏��楚辭��與藏書閣藏��離騷經解��進行研究。研究結論是,首先,筆者得出��楚辞��筆寫本确为安鼎福所钞。其次,藏書閣藏��離騷經解��的著者是朝鮮朝後期文人,撰寫時間在1779年之後。此版本是筆者在韓國目前所見的唯一一本關於「離騷」釋義較爲全面、系統的注本。 此外,笔者选取韓國文集所載楚辭序跋文與朝鮮時期刊行��選賦抄評注解刪補��進行研究。研究結論是:首先,韓國文集中由10位文人撰寫的13條楚辭序跋,都可視爲韓中兩國在歷史上楚辭文獻流播的重要證據。其次,��选赋抄評注解刪補��有稿本,官板本,坊刻本,傳寫本四種,其官板本的開刊時間在1630年或1690年的可能性較大。同時,��選賦抄評注解刪補��體現出朝鮮時期對��楚辭��中「離騷經」「九歌」「九章」「天問」的認同,以及對朱熹注��楚辭集註��的偏愛,故具有重要的文獻價值。 筆者在從以上韓國楚辭文獻的收集,整理與研究的基礎上探求楚辭文獻的傳播原因與意義。從楚辭文獻在韓國不斷被刊印、筆寫的傳播情況來看,有其發展的內在原因與外在原因。內部原因主要有,第一,屈原及楚辭作品中體現出忠君愛國,好修爲常,獨立不遷,上下求索的品格與韓半島歷代有志之士在精神上產生了共鳴。第二,朱熹注楚辭在中央多次刊行的原因在於朱熹注疏本身的學術價值。第三,楚辭是辭賦的源頭,韓國文人通過學習楚辭來豐富自身的文學修養。外在原因主要有,第一,因朝鮮時期統治階層對儒家思想的推崇,同時又伴隨著朱子學在朝鮮初期的形成和展開,使得在中央刊印有朱熹��楚辭集注��·��楚辭辯證��·��楚辭後語��,之後頒賜各道,由此極大地促進了楚辭文獻在朝鮮半島的大量刊行。第二,受韓國科舉制度的影響,進而促使楚辭在韓國的刊行。第三,18世紀中期之後,韓國坊刻本的產生帶動了楚辭坊刻本的流通。因此,在以上內外因的共同作用下,才使得楚辭文獻在韓國的中央官府,地方官府,書肆等處不斷被刊印,在讀者筆下不斷被傳抄。 楚辭文獻在韓國傳播的意義在於,對於中國來說,韓國楚辭文獻是韓國楚辭學的一部分,也是東亞楚辭學不可或缺的一部分,是楚辭文獻學研究的重要資料。對於韓國來說,首先,因楚辭在韓國的流傳使得韓國保存有楚辭的韓國刊印本與筆寫本。其次,韓半島文人在學習楚辭的過程中,不僅在漢詩和歌辭創作中引用楚辭中的典故創作詩句,更寫有了大量的擬騷作品和研騷論斷。再次,屈原的品格與楚辭的思想對韓半島部分文人的志向起到了一定的影響。 總之,關於韓國楚辭文獻的發掘與研究是非常重要的研究課題。但因筆者收集文獻有限,故以上研究結論僅是今後繼續研究的基礎,期待會有更多的考古發現和文獻考證來進行補充。 Currently, literature of Chuci in Japan, Europe and America has been studied by scholars in Chuci circles, but Korean literature of Chuci has been of little concern and excavation, let alone complete collection and systematical exploration. Therefore, this thesis aims for comprehensive collection and systematical research of Korean Chuci for the first time. Through the research, the author has definitely ensured that there are 148 types of Korean editions among all the collected Chuci literature, including 28 and 7 versions printed in China and Japan,respectively, as well as 12 printed editions and 101 written editions in Korea. Among the 28 Chinese editions, the time when 5 of them were introduced has been determined. They are the wooden edition of Zhu Xi’s Chuci Jizhu, Chuci Bianzheng, Chuci Houyu in Yu Xinheng House in 1321( the first year of Zhizhi in Yuan Dynasty), Zhu Xi’s Chuci Jizhu of Yang Shanglin edition in Shanyang County, QuFu’s Chuci Xinzhu, wooden edition in Xixiang pavilion of Wang Yi’s Chuci Zhangju in Qing Dynasty and Zhang Fengyi’s annotated Chuci. The wooden edition in Yu Xinheng House in Jian’an Province was introduced to Korean Peninsula no later than1428. Later, Yang Shanglin edition in Shanyang County was introduced before 17thcentury, Xixiang Pavilion edition and QuFu’s Chuci Xinzhu, before 18thcentury, ZhengFengyi’ annotated Chuci, in 19thcentury. The 12 Korean printed versions are printed in 4 movable types and 9 editions can be clear on the is suing period. The 12 editions were once in Gengzi font, then firstly cast in Jiayin font mixed with other fort and Wushen font(castin Jiayin for fourtimes) and Xunliandujian font. The earliest publications were the Gengzi font editions in 1429 of C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while the latest was the printed edition in Wencheng Hall in 1886 of Fujiazhengzong. Among the 101 Korean written versions, Li Yiming’s manuscript edition of Chuci was the first to be copied between 1689 and 1722. Among all the above 148 Korean literature of Chuci, the author selects some documents of literature value to do deeper research. For Chinese printed versions, the author selects the printed edition in Xixiang Hall of Wang Yi’s Chuci Zhangju and Qu Fu’s Chuci Xinzhu.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Wang Yi’s Chuci Zhangju was introduced to Joseon Dynasty no later than 18thcentury. It’s also tracked down that the publisher of this edition was the very person, MrYan, who was called YanWushun, literatus in Yuhang Strict in Ming Dynasty. Second, the author believes that ShouyeMenrenTongzi edition of QuFu’s Chuci Xinzhu in National Library of China seemed the originally printed edition. Korea University collection and the original one were both reliable editions, while the Juyi Hall edition was a bad one among several versions in 1738(Qianlong period).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ction was another edition in 1738(Qianlong period) and published later than the original edition of National Library of China collection and the edition of Ruoshui Caotang. Third, The earliest introduction of Qu Fu’s Chuci Xinzhu should be before 1756. For Korean printed versions, the author does researches from two aspects of printed editions of Zhu Xi’s Z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and the folk printed edition of Chuci in Joseon Kingdom period.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author finds that the reprints of the wooden editions of Zhu Xi’s C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in Yuxinheng House were mianly the central official edition printed in Gengzi font in 1429, the second printed edition of it after 1429, Gengzi font cover edition of locally official edition and XunJian Dujian edition. Second, in view of reprints of Yang Shanglin edition of Zhu Xi’s Chuci Jizhu in Joseon Kingdom period, the reprinted editions mainly contained metal movable type of ZhuXi’s Chuci Jizhu, Chuci Houyu and Chuci Bianzheng(Wushen font) and wooden edition(cover print in Wushen font). Besides, for Korean folk printed versions, the author selects Gengshen Year edition of Chuci and Bingxu Year edition of Fujia Zhengzong. The Gengshen Year edition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was printed in 1860, and Bingxu Year edition in Jangseogak Archivers, in 1886. Bingxu Year edition was a reprint based on the Gengshen Year edition. The Gengshen Year edition was the only one of all editions collected in Korean printed Chuci that was solely compiled and annotated in Korean Peninsula, and even got published. It was a significant milestone in the process of the introduction of Chuci literature. For Korean written versions, the author conducts a research on the Chuci stored in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Lisaojingjie, stored in Jangseogak Archivers.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written edition of Chuci was copied exactly by An Dingfu. Second, the author of Lisaojingjie was a literatu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was copied after 1779. This version has been the only one annotation edition that the author has read so far in Korea to interpret Lisao both comprehensively and systematically. Besides, The author selects prefaces and postscripts of Chuci recorded in Korean documents and Xuanfu Chaoping Zhujie Shanbu published in Joseon Kingdom period. Conclusions are drawn as follows: first, 13 prefaces and postscripts of Chuci written by 10 literati in Korean works can be regarded as propagation evidence of Chuci in both Korean and Chinese history. Second, Xuanfu Chaoping Zhuije Shanbu boasted manuscript, official edition, folk printed edition and written edition. Chances were high that the official edition was published in 1630 or 1690. In addition, Xuanfu Chaoping Zhujie Shanbu reflected identification for Lisaojing, Jiuge, Jiuzhang and Tianwen as a piece of fu(a lierature genre) and also showed preference for the contents of Lisaojing, Jiuge, Jiuzhang and Tianwen annotated by Zhu Xi, which led to its significant literature value. The author tries to explore the propagation causes and significance of Chuci literature on the basis of collection, sorting and research of Korean literature of Chuci. From the propagation situation where Chuci literature was constantly printed and written in Korea, its development attributes to both internal and external causes. As for internal causes, first, Qu Yuan was patriotic and loyal to the throne, always ready to enhance self-cultivation, unmoved to adhere to self principle and eager to search with no ending, yet high and low, which are also obviously reflected in Chuci works. All these characters and morals resonated with great figures with noble aspirations in history in Korean Peninsula. Second, the annotated Chuci by Zhu Xi was printed in the central government for several times was because Zhu Xi’s annotation of Chuci itself boasted great academic value. Third, Chuci was the origin of ci and fu, two types of literature genre, through which Korean literati can enrich their literary appreciation. As for external causes, first, because of the worship of Confucianism by ruling classes in Joseon Kingdom period as well as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Zhu Xi’s Theory in the early Joseon, Zhu Xi’s Chuci Jizhu, Chuci Bianzheng, and Chuci Houyu was got published in central government and then presented and granted to all directions, which, to a great extent, led to their publication in a large quantity in Korean Peninsula. Second, it was influenced by Korean imperial examination system. Examinees needed to read Chuci literature, which also led to their publication in Korea. Third, after the mid-1700s, the folk printed works in Korea were produced, attributing to the appearance of folk edition of Chuci. Therefore, both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made the Chuci works constantly printed i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nd bookshops, and also constantly spread and copied by readers. For China, the significance of propagation of Chuci literature in Korea lies in that Korean version of Chuci is a part of Korean Chuci study and also an indispensable part of Eastern Asian Chuci study, as well as important materials for Chuci literature research. For Korea, the significance of propagation of Chuci literature in Korea lies in that Korean printed edition and written edition of Chuci still exists and are stored in Korea due to the propagation in Korea in that period. Second, the literati in Korean Peninsula do not only quote classic allusions from Chuci to create poems in their creation of Han poetry and iambic, but also write down a large number of mimetic works of Lisao and assertions on Lisao research in the process of learning Chuci. Third, Qu Yuan’s morals and the thoughts in Chuci have an impact on the aspiration of literati in Korean Peninsula. In a word, it is a significant research project to mine and study Korean literature of Chuci. However, due to the author’s limited collection of Chuci documents, the above conclusions are just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expecting more and more archaeological discoveries or textual literature for supplement.

      • 明代楚辭學史論

        서재일 北京大學 1999 해외박사

        RANK : 1918

        "明代楚辭學"은 "中國楚辭學史"중 빠질 수 없는 重要한 部分이며, 明代楚辭學을 繼承하여 發展시키고, 淸代楚辭學의 中興期를 이어주는 매개체역할을 하였다. 이러한 明代楚辭學의 貢獻과 楚辭學史上의 地位 및 後世에 미친 影響을 본 논문에서 分析하고 評價하였다. 본 논문은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져 있다. 첫째, "万歷前의 楚辭硏究"을 들 수 있다. 明?國에서 万歷前의 200년간의 楚辭硏究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는데, 이 시기를 세 개의 부분으로 나누어, ① 明初百年間의 楚辭硏究와 ② 成?년간에서 正德년간의 楚辭硏究와 ③ 嘉靖년간에서 隆?年間의 楚辭硏究를 들 수가 있다. 이 당시는 楚辭 ?著는 많지 않고, 다만 楚辭를 模倣하여 文人들이 자기의 심로를 토로한 作品과 文學理論들이 있다. 作家로는 宋濂, 劉基, 王陽明 등이 있고, 文學理論家로는 李梵陽,, 何?新, 茅坤, 王世貞 등이 있는데, 이들의 作品과 文學理論을 分析하여 論述하였다. 둘째, "汪瑗과 万歷后의 楚辭硏究"를 들 수가 있다. 晩明의 楚辭硏究의 成就와 論点등을 論述하였는데, 이 시기의 중요한 楚辭?著로는 汪瑗의 楚辭集解와 陳第의 屈宋古音考, 黃文煥의 楚辭?? 등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들의 生平과 著作들의 著作過程 및 體例, 文學??的特色 및 새로운 論点 등을 論述하고 評價하였다. 끝으로 明代楚辭學의 成就는 卓著한 것이다. 그들의 成就를 硏究內容上에서 보면 크게 楚辭硏究의 領域을 擴張하고 前人未發의 論点들을 文字, 訓 를 통해 ?述하였으며, 또 文字, 音韻의 用度로 보면 楚辭音韻硏究에 새로운 章을 열었고, 淸代 楚辭訓 學의 發展에 至大한 影響을 주었으며, 文學??方面에서 보면 ?宋人들이 하지못한 文學的 審美觀을 對象으로 ??하였다는 점이다. 만약, 明代楚辭學이 없었다면 宋代의 楚辭學을 繼承하고 淸代 楚辭學의 輝煌??한 學?成果를 이룰 수 없었다고 감히 말할 수 있을 것이다.

      • 高麗時代 外官 任用體系 硏究

        최은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1916

        This study aimed to outline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during the Goryeo Dynasty through relevant cases and contemplate the significance. During the Goryeo Dynasty, those who reached certain degrees of qualification in accordance with central posts could be appointed as local officials, and the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composed of three stories. Chosawegwanjick was the first local government post to which new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were local government posts to which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posts between Chamsangjick and Chamwejick, and Gyesugwan’s magistrate was a local government post to which local officials wer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Chamsangjick over the 6th-grade government post. Thus, this study examined how this three-story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established, operated and changed during the Goryeo Dynasty. Chosawegwanjick was first applied to Gyeong, Mok, and Dohobu during King Seongjong’s reign. There is a historical record about a man named ‘Wang Gah-do’, and it says that in 995 (the 14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he won the first place in the state examination and was appointed to Seogyeong-jangseogi. In this post, there were 6 different positions, Jiseogyeongyususa, Seogyeongbuyusu, Seogyeongyusu-Pangwan, Sarokchamgunsa, Jangseogi and Beobjo, and out of them, successful state examinees were mostly appointed to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The reason why they were appointed to these two positions was because Goryeo governed its local regions indirectly. With Gyeong, Mok and Dohobu used as administrative footholds, the structure of local officials was established in layers, and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were made to take full charge of local administration with the help of Hyangri, native government workers. Since they passed the state examination and were qualified with their literary arts, they were quite good at paper work-based administration. Therefore, they were dispatched as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Chosawegwanjick was later extended into ordinary control counties in 1018 (the 9th year of King Hyeonjong’s reign) by the time when the local system of Goryeo was completed.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was composed of Pangwan for Ju, Bu, Gun and Bangeojin, and Hyeonwi and Jinbujang for Hyeon and Jin. Unlike Chosawegwanjick for Gyeong, Mok and Dohobu, even officials from the system of Eumseo (officials appointed in the influence of well-known families, not through the state examination) could be appointed to Chosawegwanjick for ordinary control counties, which further led to an quantitative expansion of Chosawegwanjick. The local system during King Hyeonjong’s reign is referred to as control counties-subordinate counties System. Ordinary control counties had jurisdiction over subordinate counties as an administrative foothold, and there could be more than two local officials overlapped in this system. Out of all the jurisdiction scopes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re were some cases corresponding to Gyesugwan. Both Pangwan for Ju, Bu, Gun and Bangwojin and Hyeonwi and Jinbujang carried out their administrative duties with the help of Hyangri as Sarokchamgunsa and Jangseogi did. It indicates an extension of King Seongjong’s way of local governance. For more effective local governance, Goryeo had Chosawegwanjick established in all control counties areas. It is noticeable that Chosawegwanjick played a role as an opportunity for new government officials. Since they had neither career nor administrative experience at all, they had to build their administrative career for three years while being dispatched as local officials. When returning to Gaegyeong (the capital of Goryeo) after their terms of local posts, they could prepare conditions good enough to work as central officials. In other words,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Chosawegwanjick brought effective local governance from the central government’s point of view, and it was also regarded as an opportunity for new officials to attain distinction in Gaegyeong in the future. In 1106 (the first year of King Yejong's reign), the central government attempted to overcome Yuminanjip (the settlement of drifting people) by establishing Gammu in subordinate counties. Considering some cases such as Yang Won-jun, this study found out that Gammu was operated as Chosawegwanjick. Like Chosawegwanjick for ordinary control counties, all new government officials could be appointed to Gammu regardless of their backgrounds when they started government work. In 1172 (the 2th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Gammu was dispatched more by Lee Jun-ui. Basic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appointment of Gammu between King Myeongjong’s reign and King Yejong’s reign, but there were some interesting cases, showing that sons from military nobility or nationally distinguished-service families and successful examinees of Gukjagamshi were appointed to Gammu. After King Gojong's reign, however, Ju-Bu-Gun Pangwan and Hyeonwi were abolished, which reduced the number of Chosawegwanjick. It was the consequence of more Gunhyeon areas under the jurisdiction of Gammu during King Yejong and King Myeongjong’s reigns. The local governance of Goryeo gradually turned into the system of One magistrate-One Gunhyeon due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local officials like Gammu. As a result, the nature of Gammu changed to that of a single magistrate, which indicates changes in Chosawegwanjick.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were government posts to which officials could be assigned during their service in posts between Chamsangjick and Chamwejick. In 995, the organization of Gyeong, Mok, and Dohobu was established, and it is believed that the standard for Pangwan appointment was also set at the same time. With the system of Gyesugwan improved in 1018, Pangwan remained as vice-minister for Gyeong, Mok, and Dohobu. Gyesugwan Pangwan could be applied by officials in either Chamsangjick or Chamwejick, which allowed them to hold an additional governmental position equivalent to Chamsangjick and even helped them express their social status in the local community. Ordinary control counties had two different aspects in nature. One was civilian administration for Ju, Bu, Gun and Hyeon, and the other was military administration for Bangeojin and Jin. magistrate for Ju, Bu, Gun and Bangeojin had the same appointment conditions as Gyesugwan Pangwan, but magistrate for Hyeon and Jin had relatively lower conditions. Before 1018, magistrate for Ju, Bu, Gun and Bangeojin had been already put in place, but it became the most extensive and universal government post after 1018. Therefore, it was important to secure human resources many enough to recruit for this position. Goryeo government officials had their capabilities of literary and public post verified while holding several different positions, such as Gwonmujick and Chamwejick beside Chosawegwanjick. Moreover, when they reached posts between the 7th-grade post and the 6th-grade post, they were given an opportunity to get promoted to Chamsangjick through their career as local officials. To be appointed to Hyeonryeong and Jinjang, officials had to have actual administrative careers more than Chosawegwanjick and less than the 8th-rank post. Considering this fact, it is clear that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higher than Chosawegwanjick, but lower than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Yet, according to such historical records as Baekgwanji Wejick and Sikhwaji Wegwanrok,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treated almost the same as Chosawegwanjick. Ordinary local officials of control counties were qualified and treated according to the practices on Gyesugwan local officials. Since the status of Ju, Bu, Gun magistrate was supposed to be similar to that of Gyesugwan Pangwan,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set lower in qualification and treatment. Specifically, the qualifications of Hyeonryeong and Jinjang were set higher than the 7th-grade post, but lower than the 6th-grade post, which created a phenomenon that they were regarded the same as Chosawegwanjick in qualification. However, as Hyeonryeong and Jinjang corresponded to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it is believed that when being actually appointed, they were regarded higher than Chosawegwanjick, but lower than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re took place some changes in the appointment standard for Gyesugwan Pangwan and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in 1308 (the reinstatement of King Chungseon). Out of Ju, Bu, Gun and Hyeon, Bu was upgraded in status. As a result, ordinary control counties changed to Ju, Gun and Hyeon. While officials over the 6th-grade post were assigned to magistrate for Ju and Gun, but those who even had defects in social standing could be appointed to Hyeonryeong, which shows another change in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addition, as Pangwan and Hyeonwi were abolished, only magistrate was dispatched to ordinary control counties, gradually changing the existing system to One magistrate-One Gunhyeon System. Gyesugwan’s magistrate was the highest post out all the local officials in Goryeo. However, there was a certain difference in rank between magistrate for Gyeong and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Jiseogyeongyususa and Donggyeongyususa were posts to which the third-grade officials could be assigned, while Seogyeongbuyusu and Donggyeongbuyusu were ones to which the fourth-grade officials could be appointed. Yet, Namgyeongyusu and Namgyeongbuyusu were lower than magistrate for Donggyeong and Seogyeong in rank, so the 4th to 5th-grade officials could be assigned to these posts.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had the same appointment standard as the 5th to 6th-rank posts, which was slightly lower than magistrate for Namgyeong. Therefore, the status of Mok and Dohobu magistrate was positioned lower than that of Gyeong magistrate, and officials serving in posts corresponding to Chamsangjick were appointed to this post. When officials completed their duties as Chosawegwanjick, Gyesugwan Pangwan or magistrate of ordinary control counties, they did not go back to the same posts again. Especially, when Gyesugwan’s magistrate completed his duties for Mok and Dohobu, he was assigned to magistrate for Gyeong. It indicates that there was a dividing line between magistrate for Gyeong and magistrate for Mok and Dohobu, and also reveals the symbolism of Gyeong. The change in Gyesugwan’s magistrate started from King Gojong’s reign in earnest. Among Ju, Bu and Gun, many villages were promoted to Dohobu, resulting in a quantitative expansion of Gyesugwan. In addition, with the local system reorganized in 1308, Goryeo changed Seogyeong, Donggyeong, and Namgyeong changed into Pyeongyangbu, Gyerimbu, and Hanyangbu, and Mok, Dohobu, and some orinary control counties into Mok. In 1310, however, some of the Mok areas were demoted to Bu. Through this process, all of the appointment standards for Goryeo local officials changed greatly, which had been maintained for about 290 years. The third-grade officials were dispatched as Buyun and Moksa for Gyeomgyo-jaeshin, while the fourth-grade officials were dispatched as Jibusa. The appointment system for local officials in Goryeo featured a long-term continuity. Although there were some possible factors leading to such changes as more Gammu dispatched and Gunhyeon specially promoted, the basic operation principles established in 1018 were not revised until King Chungseon’s reign. Goryeo established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the beginning of the country foundation and intended to govern local areas by dispatching central government there. This is how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became institutionally completed through King Seongjong and King Hyeonjong reigns. Not all the government officials were dispatched to local regions even though they met the appointment standard for local posts. They tried to consistently select suitable people for effective local governance before dispatching officials. When it comes to the process of selecting central officials for local dispatch, a high-ranking official recommended an official who met the appointment standard. Then, Sangseoyibu investigated him and prepared a draft, and asked the king for approval. Afterwards, when the king approved the appointment, Daegan had the certificate of appointment signed. This process shows that the personnel administration for local officials was conducted in the same manner as that for central officials. Therefore, the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Goryeo featured being operated within the structure of central officials, and no one refused to be appointed to local posts as long as they were officials of Goryeo. It is pointed out that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in Goryeo turned into a mess after the Military Regime period. There were some historical events directly related to the personnel management of local officials, such as the phenomenon of personnel congestion and the implementation of an administrative system called ‘Munmugyochaje’ during this period. Thus, this study looked into how they took place in those days. The personnel congestion of local officials mainly happened to successful state examinees, especially when being appointed to Chosawegwangick. It was because the state examination of Goryeo was regularly performed, and the number of successful examinees was regulated. In other words, the state examination was originally characterized as an employment test to recruit as many government workers as necessary in the early Goryeo Dynasty, but it turned into a qualification test during the Military Regime period. The Munmugyochaje system featured being applied to villages where two or more local posts were established. In other words, a literary official and a military official were dispatched together to govern a local area. Therefore, it seems that this system was applied to all the control counties areas, except villages where Gammu was dispatched. However, there was no case that a military official was dispatched as Chosawegwanjick, and literary officials were mostly appointed to Gyesugwan and ordinary control counties, probably because civil servants were administratively superior to military officers. The military administration tried to maintain its regime by stabilizing local regions rather than exploiting them. Thanks to such an attempt, the appointment system of local officials could be maintained in Goryeo for a long time. 본 연구는 고려시대 外官의 임명 사례를 분석하여 任用體系의 大體를 밝히고 그 의미를 고찰하였다. 고려 외관은 京官에 조응하여 일정한 품질에 도달한 관인을 대상으로 임명하였다. 이에 외관의 구조는 모두 3층으로 구성되어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初仕外官職은 초입사자에게 최초로 제수되는 외관직, 界首官 判官 및 일반 主縣 守令은 叅上職과 叅外職의 계선에 재임하고 있는 관인에게 제수되는 외관직, 그리고 界首官 守令은 6품 이상의 참상직에 재임하고 있는 관인에게 제수되는 외관직이었다. 이에 외관의 3층 구조의 성립⋅운영⋅변화를 살펴보았다. 초사외관직은 성종대 京⋅牧⋅都護府에서 처음 운용되었다. 이는 995년(성종 14)에 王可道가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西京掌書記에 보임되었던 내용에서 비롯된다. 西京留守官에는 知西京留守事, 西京副留守, 西京留守判官, 司錄叅軍事, 掌書記, 法曹가 두어졌는데, 이중 사록참군사와 장서기를 과거급제자에게 제수한 것이다. 과거급제자를 사록참군사⋅장서기에 보임한 이유는 고려가 거점을 중심으로 지방을 간접지배했기 때문이었다. 고려는 경⋅목⋅도호부를 거점으로 하여 외관을 중첩적으로 설치하였고, 사록참군사⋅장서기로 하여금 지방 향리와 긴밀히 행정을 담당하도록 하였다. 과거급제자는 문한의 능력이 검증된 사람들로 문서 행정에 능했다. 그러므로 그들을 사록참군사⋅장서기로 파견하게 되었다. 초사외관직은 고려 지방제도가 완비되는 1018년(현종 9)에 일반 주현으로 확대되었다. 州⋅府⋅郡⋅防禦鎭의 判官과 縣⋅鎭의 縣尉⋅鎭副將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일반 주현의 초사외관직은 경⋅목⋅도호부의 초사외관직과 달리 과거급제자 뿐만 아니라 음서 출신 관인에게도 제수되었다. 이는 초사외관직의 양적 확대를 수반하였다. 현종대 지방제도의 특징은 주현-속현 체제로 일컬어진다. 일반 주현도 거점으로 속현을 관할하였는데, 여기에 2인 이상의 외관이 중첩적으로 설치되었다. 일반 주현의 관할 범위 중에는 계수관에 준하는 경우도 있었다. 주⋅부⋅군⋅방어진의 판관과 현위⋅진부장은 사록참군사⋅장서기와 마찬가지로 지방 향리와 긴밀하게 행정 업무를 수행하였다. 이는 성종대 지방 통치 방식의 확대를 의미하였다. 고려는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위해 모든 주현에 초사외관직을 설치하게 되었다. 다만 초사외관직은 초입사자에게도 기회로 작용하였다. 실직 경력과 행정 경험이 전무한 관인들은 외관에 임명되어 지방에 파견됨으로써 3년 동안 실적을 쌓을 수 있었다. 그리고 임기를 마치고 개경으로 돌아와 중앙 관인으로서 활동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였다. 즉 초사외관직의 성립과 확대는 정부의 입장에서는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가져올 수 있었고, 초입사자의 입장에서는 추후 개경에서 현달할 수 있는 기회로 여겨졌다. 1106년(예종 1)에 정부는 속현에 監務를 설치하여 유민안집을 극복하고자 하였다. 梁元俊 등의 사례를 보건대 감무는 초사외관직으로 운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감무는 일반 주현의 초사외관직과 마찬가지로 입사방법에 구애받지 않고 모든 초입사자에게 제수될 수 있었다. 1172년(명종 2)에 李俊儀에 의해 다시 한번 감무가 증파되었다. 기본적으로 감무의 임명은 예종대에 정해진 것과 다른 점이 없었는데, 일부 감무를 역임했던 사례 중에 무반가문의 자제, 國子監試 합격자, 가족구성원의 공훈으로 임명되기도 하였다. 또한 고종대 이후로 주⋅부⋅군 판관 및 현위가 혁파되어 초사외관직이 감축되었는데, 예종대와 명종대에 감무의 증치로 외관의 관할을 받는 군현이 증가하였기에 나타난 결과였다. 고려의 지방 지배는 감무 등 외관의 증치를 통해 점진적으로 1수령-1군현으로 변모하였다. 그러므로 감무의 성격은 단독 수령으로 바뀌었고, 이는 초사외관직의 변화를 가리키는 것이었다. 계수관 판관과 일반 주현 수령은 참상직과 참외직의 계선에 위치한 관인에게 제수되는 관직이었다. 995년에 경⋅목⋅도호부의 직제가 마련되었고, 판관의 임명 기준도 이때 정해졌다고 여겨진다. 1018년에 계수관제가 정비되면서 판관은 경⋅목⋅도호부의 차관으로 존속하였다. 계수관 판관에는 참상직자와 참외직자 모두 나갈 수 있었는데, 참상직에 해당하는 경직을 겸대하도록 하여 지방 사회에서 그 지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주었다. 일반 주현은 민정적 성격의 주⋅부⋅군⋅현과 군정적 성격의 방어진⋅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주⋅부⋅군⋅방어진의 수령은 계수관 판관과 임명 조건에서 동일하였지만, 현⋅진의 수령은 다소 낮았다. 1018년 이전에 주⋅부⋅군⋅방어진의 수령은 이미 마련되어 있었고, 1018년 이후에는 가장 광범위하면서도 보편적인 관직이었다. 그러므로 이 관직에 충원할 관인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였다. 고려의 관인은 초사외관직을 비롯하여 권무직과 참외직을 역임하여 文과 吏에 대한 능력이 검증받았고 7품 이상 6품 이하에 이르게 되면 외관을 통해 참상직으로 승진할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었다.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 이상 8품 이하의 실직 경력을 보유한 관인에게 제수하였다. 이로 보면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보다는 상위이지만,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보다는 하위였음을 알 수 있다. 다만 󰡔高麗史󰡕 백관지 외직 및 식화지 외관록 등을 보면 현령과 진장은 초사외관직과 유사한 대우를 받고 있었다. 일반 주현 외관의 품질과 대우는 계수관 외관에 대응시키는 방법으로 정해졌다. 주⋅부⋅군 수령이 계수관 판관과 유사한 지위여야 했으므로, 현령과 진장은 그보다는 낮게 책정해야 했다. 따라서 현령과 진장의 품질을 6품 이상보다 한 단계 낮은 7품 이상으로 정했는데, 이것이 초사외관직의 품질과 동일하게 되는 현상으로 나타난 것이다. 다만 현령과 진장은 일반 주현 수령에 해당되므로 실제 임명에서는 초사외관직보다는 높게 하고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보다는 낮게 했다고 여겨진다. 계수관 판관과 일반 주현 수령의 임명 기준은 1308년(충선왕 복위)에 변화가 수반되었다. 먼저 주⋅부⋅군⋅현 중에서 부의 지위가 상승되었다. 이에 일반 주현은 주⋅군⋅현으로 고쳐졌다. 주⋅군의 수령은 6품 이상의 관인에게 제수된 반면, 현령은 신분적으로 하자가 있는 인물이 임명되기도 하는 등 일정한 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판관과 현위가 폐지되어 일반 주현에는 수령만이 파견되도록 하여 1수령-1군현 체제로 바뀌어갔다. 계수관 수령은 고려의 외관 중 가장 지위가 높은 관직이었다. 다만 경의 수령과 목⋅도호부의 수령 사이에 일정한 지위의 차이가 있었다. 지서경유수사와 東京留守使는 3품 관인에게, 서경부유수와 東京副留守는 4품 관인에게 제수되었다. 다만 南京留守와 南京副留守는 서경과 동경의 수령보다는 그 지위가 낮아 4~5품 관인에게 제수되는 차이를 보인다. 목⋅도호부의 수령은 남경의 수령보다 근소하게 낮은 5~6품의 임명 기준을 지녔다. 그러므로 목⋅도호부 수령의 지위는 경의 수령보다 하위에 위치하였고, 참상직에 해당되는 관인에게 제수되었다. 다만 초사외관직과 계수관 판관 및 일반 주현 수령은 그 경력을 보유하면 다시 나가지 않았는데, 계수관 수령은 먼저 목⋅도호부에 다녀온 후 재차 경의 수령에 제수되었다. 이는 경의 수령과 목⋅도호부의 수령 사이에 계선이 있었음을 의미하며, 경이 가지는 상징성을 드러낸 것으로 여겨진다. 계수관 수령의 변화는 고종대부터 본격화되었다. 주⋅부⋅군 중에 도호부로 승격되는 고을이 다수 등장하여 계수관의 양적 확대를 가져왔다. 또한 1308년에 지방제도가 개편되면서 서경⋅동경⋅남경을 平壤府⋅鷄林府⋅漢陽府로 바꾸고 목⋅도호부와 일부의 일반 주현을 모두 목으로 고쳤다. 또한 1310년에 또다시 일부 목을 부로 강등하였다. 이 과정에서 약 290년동안 유지되어왔던 고려 외관의 임명 기준이 모두 변화하였다. 府尹과 牧使는 3품 관인에게 검교재신을 겸대하도록 하고, 知府事에는 4품 관인을 파견한 것이다. 이렇듯 고려의 외관 임용체계는 장기적으로 지속되었다는 특징을 지닌다. 비록 감무의 증치와 군현의 특례 승격 등의 변화가 따를 수 있는 요인도 있었지만, 1018년에 마련된 기본적인 운영원리는 충선왕대에 이르러서야 고쳐진 것이다. 고려는 국초부터 외관을 설치하고 중앙의 관인을 파견하여 지방을 통치하고자 하였다. 이것이 성종대와 현종대를 거쳐 제도적으로 완결성을 지닌 형태로 등장하게 된 것이다. 다만 외관의 임명 기준에 부합하는 관인을 모두 지방에 파견한 것은 아니었다. 고려는 외관을 파견함에 있어서 효과적인 지방 통치를 구현하기 위해 적합한 인물을 꾸준히 선발하였다. 외관으로 파견할 중앙 관인을 선발하는 과정은 고위 관인이 임명 기준에 부합하는 관인을 천거하고 尙書吏部에서 銓注하여 批目을 작성해 국왕에게 결재를 요청하였다. 그리고 국왕이 외관 인사에 결재하여 외관의 임명이 이루어졌고, 마지막으로 臺諫의 署經을 거쳐야 했다. 이는 외관의 인사행정이 경관과 동일하게 이루어졌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고려의 외관제는 경관제의 구조 안에서 운영되었다는 특징을 지니며 고려의 관인은 외관에 임명되는데 있어 거부하지 않았다. 고려의 외관제는 무신집권기 이후로 문란해졌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외관의 인사에 직결되는 변화는 인사 적체 현상과 文武交差制를 꼽을 수 있는데, 이것이 당대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외관의 인사 적체는 초사외관직의 임명 과정에서 과거급제자에 한해 주로 나타났다. 이는 고려의 과거가 정기적으로 시행되고 또 급제 인원이 규정화되었기 때문이었다. 즉 고려전기에 과거는 필요에 따라 관인을 선발하기 위한 임용시험의 성격을 지녔다면, 무신집권기에 과거는 자격시험의 성격으로 전환되었다. 문무교차제는 2인 이상의 외관이 설치된 고을에 적용되는 특성을 지녔다. 즉 文班과 武班이 함께 기용되어 지방을 통치해야 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감무가 파견된 고을을 제외한 모든 주현에 문무교차제가 적용되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초사외관직에는 무반이 파견된 사례가 전무하였다. 또한 계수관과 일반 주현에도 주로 문반 위주의 임명이 이루어졌다. 이는 문반이 행정적으로 무반보다 능했기 때문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무신집정은 지방에 대한 착취⋅수탈보다는 안정을 기하여 정권을 유지하려 하였다.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고려 외관 임용체계는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었다.

      • 역대 屈原 및 <離騷>에 대한 평가 연구

        서지수 경북대학교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84

        本文從古代文人對屈原高尚的人格和“忠君愛國”的思想如何評價出發,以不同時代背景和不同的文人對屈原和<離騷>的評價所呈現出的變化發展進行研究。通過整理從漢代到元明清各個朝代的文人對楚辭中最重要的文人屈原和他的作品<離騷>的評價與注釋,來對屈原和<離騷>進行更加本質性的理解與評價。 楚辭學興起於漢代,最初是以王室爲中心盛行,後來許多學者紛紛開始模仿創作,並且開始對<離騷>等作品進行注釋。漢代大部分文人站在儒家立場上,把屈原評價爲“愛國主義”詩人,但對他的處事態度持否定意見。迄今爲止,大眾普遍認爲的屈原爲“愛國主義”詩人形象正式源於漢代的評價。此外,他們還開始認識到<離騷>的華麗浪漫的藝術性,以及與《詩經》不同的具有幻想性的全新文學世界。雖然揚雄和班固從儒家角度上對屈原的人格與處事態度,以及作品內容的神話性持否定態度,卻從<離騷>作品的藝術價值方面,開拓了新類型的評價。之後,雖然班固受到了王逸的嚴厲批判,但是對<離騷>浪漫主義特色的肯定,對藝術層面的認識方面都具有重大的意義。 魏晉南北朝脫離了漢代儒家立場的評論,將重點放在了純文學價值上,著重於作者的思想感情和美學的唯美主義。雖然無法完全脫離儒家的視角,但還是有了新的突破。劉勰就將焦點放在作品本身的內容和形式特點上,對<離騷>的評價更加具有獨立性。而蕭統,對文體進行更加明確地區分,同時對屈原的文學價值和藝術性也給予了高度的評價。魏晉南北朝時期雖沒有像漢代那樣留下許多對屈原和<離騷>的評價,但也不乏有像顏之推這樣的文人,同意班固的觀點,認爲屈原有過分暴露君主過錯等這樣的批判性觀點。 唐代由於科舉制度的盛行,更加重視文學的價值性,楚辭被視爲文學作品的典範。但是由於社會環境的影響,對楚辭的研究不如之前的朝代活躍。最爲代表性的是柳宗元在永定革新失敗後,認爲自己與屈原的處境相似,於是來到汨羅江邊,寫下了<弔屈原文>,文中表達了對屈原不追逐利益,心懷忠誠,堅守義氣的崇敬之心。 宋代是楚辭學最興盛的時期。這個時期文化活動蓬勃發展,而且隨著印刷技術的發展,各種版本書籍的出現,促進了對楚辭評價的發展。文人站在不同立場,通過多樣化的視角和標准評價屈原的〈離騷〉。評價不僅數量多,而且種類豐富。宋代文人從屈原的生平事跡,作品的風格技巧和文體,到屈原的愛國精神,屈原之死等方面都進行了多種形式的評價。晁補之強調屈原之死爲“忠”,甚爲推崇。靖康之變以後,文人們在強烈的鬥爭背景下借古諷今,形成了頌揚忠君愛國之士,批判賣國賊的學術風氣,漢代的揚雄也因此受到了洪興祖,朱熹的強烈批判。與此相反,“忠君愛國”的代表性文人屈原受到了愛國主義文人的稱贊,洪興祖反復強調“同姓”,認爲屈原是爲了向君主盡忠而選擇死亡。朱熹更是把屈原幾乎所有的作品都解釋爲忠君,認爲屈原的“愛國忠誠”表現地最爲突出。可以看出朱熹雖然站在理學家的立場,對屈原性格的過分中庸等持否定的態度,但也從中折射出對其忠君愛國思想的肯定。對於浪漫主義的藝術手法,宋代以前的學者並沒有完全給予肯定,但是到了宋代,學者們充分肯定了楚辭的神話浪漫主義特色,並對其思想和內容給予了很高的評價,從而進一步提高了楚辭即屈原和<離騷>在文學史上的地位。 明代在繼承宋代的文學特點基礎上,更加傾向於濃厚的復古主義,所以對楚辭的研究並不活躍。清代是楚辭學的大盛時期,出現了大量的楚辭學專家和研究楚辭的專著。明朝滅亡以後,許多學者在對楚辭進行閱讀和評價的同時表達了對故國的看法,並試圖通過現實性的學術研究來探究明朝滅亡的教訓。明末清初的王夫之將自己效忠南明政權的經曆與屈原相比較,以此來寄托自己的身世之感。王夫之反復贊揚屈原的忠誠和高尚的人格,駁斥朱熹的意見,批判懷王的無能。 綜合從漢代到元明清對屈原和離騷的評價內容來看,雖然因爲文人各自的身份或時代背景不同,對屈原的人格,處世態度,浪漫主義藝術手法,忠君愛國的見解,對君王怨恨的感情等方面評價褒貶不一,但總體上給予了很高的評價。雖然會有一些否定性的意見,但對屈原的文學性價值都給予了很高的評價。對“忠君愛國”的見解越來越明確,雖然無法擺脫儒家的視角,沿襲了過去的解釋法,但是通過眾多文人的解讀,使得屈原作爲“忠臣”而家喻戶曉,從中也可以了解到屈原和<離騷>對以前文人中間的巨大影響力.

      • 「離騷」에 나타난 屈原의 작가정신 : 그의 실존적 비극성과 저항성을 중심으로

        장경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70

        이 논문은 「離騷」에 나타난 屈原의 작가정신을 실존적 비극성과 저항성에 초점을 맞추어 고찰한 것이다. 내용은 기원전 4 세기를 전후한 楚 왕조의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으며 몰락해가는 楚 나라의 종말론적인 비극을 앞두고 하나의 영웅으로서 屈原의 인생역정이 담겨진 楚辭 작품을 그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다. 우리들은 독자로서 우리의 삶의 무대가 되고 있는 현대 사회 속에서 楚辭가 던져주는 삶의 의미를 읽어내고 우리 자신에게로 투영시킨다. 屈原이 활약하던 시대는 屈原 자신이 대변하듯 정치적이고도 개인적인 고통과 갈등이 존재하던 시기였고 여기에서 그의 고민들을 엿볼 수 있다. 하지만 屈原이 처한 시공간은 또한 중국의 중원에서 살다간 수많은 역사적 인물들과 유사한 동질성을 가지고 있는데 다시 말해서, 商鞅(? ~ BC 338), 申不害(? ~ BC 337 ?), 伍子胥(? ~ BC 484), 子張(BC 503 ~ ?), 百里奚(? ~ ?) 그리고 孔子(BC 551 ~ BC 479)와도 일정부분 삶의 궤적이 유사하다. 屈原은 자신이 처한 시공간에서 자신이 보았던 세계를 거울과도 같이 명징하게 인식하고 민중과 사회, 그 속에서의 개인의 운명에 대한 역사적 인식을 보여준다. 劉勰의 위대한 비평저작인 『文心雕龍』은 독립적으로 한 장으로 구성된 楚辭 비평 속에서 한 인간으로서 屈原의 비참한 모습과 그가 살았던 楚 나라의 시간과 공간성을 강조하며 그의 작가정신을 높이 평가한다. 특히 楚辭 전편 속에서도 가장 중요하고 핵심으로 평가되는 「離騷」篇은 劉勰의 눈을 통해서 보면, 屈原이 가진 특수한 시공을 통해 그가 가진 국가와 사회에 대한 인식, 그리고 혼란된 정국을 바로잡아보려는 정신적 측면의 승화가 드러난다. 劉勰은 屈原의 인생 전체의 歷程을 통해서 종합적으로 분석해내는 읽기를 통해서 屈原의 창작정신을 드러낸 비평을 기획했다. 屈原과 그를 둘러싼 모든 논의는 아홉 번 꼬이고 중첩되어 엮어져 있으며 그러한 의미로서의 ‘九重天’은 楚辭 속에서 덧 씌워진 실존공간 속의 굴레이자 극복할 수 없는 운명을 암시한다. 屈原은 그의 작품 속에서 그가 가진 독특한 기획과 구상으로 자신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여러 가지 모습을 가진 인간으로 드러내며, 그 속에서 운명에 좌절하지 않고 전쟁에 대한 트라우마와 여성성, 그리고 개인이 가진 받아들일 수 없는 숙명에 대한 거부와 저항을 표시하고 있다. 屈原이 가진 그러한 원대한 문학세계 그리고 작가정신은 그 이후 중국의 운문 작품에 고스란히 내용적으로 반영되기도 하고, 작품의 체제와 형식에 한 전형성을 부여하기도 했다. 그만큼 屈原의 楚辭는 독특하고 개성 넘치는 문학성을 지니고 후대 문학에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屈原은 비극적인 자신의 실존공간 속에서 의지를 키워나가고 또 극복하려고 하지만, 점점 더 깊어가는 시름과 고뇌 속에서 불안한 심리를 가질 수밖에 없다. 우리는 그 속에서 屈原이 가진 실존주의적인 자각을 통해서 자신과 사회 그리고 자신과 타인의 문제를 하나의 주제로 통일시켜 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에서 그가 가진 비극적 성격과 한 개인이 가진 저항성을 함께 읽을 수 있다. This Final Thesis is named that “Writer’s spirit of Qu Yuan(屈原) reflected in 「Lisao(離騷)」". and It's about at the time of 'B.C. 4 century in Chu(楚) Dynasty' so, we have to ask about what will be a Great Poet Qu Yuan's identity and his all existence's destiny in his literature and his life as a warrior, against appocalyps of Chu(楚) nation’s disintegration and what's the meaning to ourself in the present time of our Modern society. Qu Yuan’s ages, no other poet persist like a himself, by all sides suffering and persuing his political and ontological willingness to his mornach and the God and all the things to exist on earth each other society. Especially, In Qu Yuan’s space, there are many things of similary situation like Husserl’s spoken concept the Dual viewpoint, so to speak Shang Yang(商鞅), Zi zhang(子張), Bailixi(百里奚), and the Confucius(孔子) himself. In this viewpoint, such as Mirror, all kinds of crowds of man’s despair and as a man’s tragidies, in compare with France national poet Baudelaire’s saying- that poet’s clearness, like a concept of <Les Fleurs du mal>. If you search for and read that 『the Book of Odes(詩經)』 Xiao Ya(小雅)’s poems, you can see through, so the human of that time says why we must think about Chu nation’s language and why they human use that particle in classical chinese, why they use that the classical canon(經) to reveal that ancient chinese trinity spirit. That is to say, use the 『Maoshi(毛詩)』 says that the Poem’s function that exhortating the empire by innuendo[insinuation] and an active role in political stage of the ancient China. As a literary critic, Liu xie(劉勰) and hero in our literature 『Chu ci(楚辭)』’s writer Qu-yuan have a consubstantiality. Especially, in the Biography of Liu xie in 『Liang shu(梁書)』, our readers as an old literary critics, easy understand tragedy in his own life. It’s what an prosperity and adversity as one man in the sea of lifetime. As a reader and a writer, Qu yuan and Liu xie have a consubstantiality, and as a media, the literary works 『Chu ci』also has a consubstantiality of Chu nation’s people and all of the human in after that Chu dynasty. In comparison, as a noun the Chu(楚) is meant that the world, the universe or the whole space in the work piece, but the Qu(屈), Jing(景), Zhao(昭) is meant that three requisites of round circle of the Sun and human construction like a steeple spire and the human space exist with that heaven and earth as trinity requisites of ‘the heaven is round and the earth is square(天圓地方)’. In here, the man Qu yuan as a writer, with the media master piece『Chu ci』share historicity and a piece of the length of the time being. and the reader Liu xie is also meeting eternity of the instant moment with the space of the 『Chu ci』. Of royal blood and got no any heritage of his parent and lived a paltry life as one monk, Liu xie's greatest masterpiece of the century, 『Wenxindiaolong(文心雕龍)』is reflected one man who was emphasised a space and time from Qu Yuan’s nation Chu and got a same homogeneity with Liu xie. We can read these two media works and also read that Qu yuan's suffered history as got a same homegeneity with Liu xie and his all life biography. So, when we read the 「Jiu Bian(九辯)」facing a situation of the come to an eclaircissement with a Qu yuan. The Chinese Character '辯' is meaning that the come to an eclaircissement and above all, before analysing the literature, the Han(漢)'s exegetist Wang yi(王逸) says that “「Jiu Bian(九辯)」is written by Chu's entertainer Song yu(宋玉)”. But the man, Song yu(宋玉) is student of Qu yuan(屈原) ‘s literary class. He can be explanated Qu yuan’s the very best closer man than any other person. So, we can come to an exact eclaircissment of Qu yuan and get the real figure and proof of analysing as a man, Qu yuan and his life. This ’Bian(辯)‘ Chinese character is also used Liu xie’s speciallized master piece on 『Chu ci』’s literary critics in chapter 5’s 「Biansao(辯騷)」in 『Wenxindiaolong(文心雕龍)』. So to speak, all kinds of eclaircissment that surrounded with Qu yuan, like a nine distorted and nine draped(九重九羅) heavenly place is a bridle which the 『Chu ci』has and can't get over. It's maybe a aspiration, that is so called by Jean Paul Satre. Satre said in his 『Qu’est-ce que la litt’erature? (What is the Literature?)』that "The environment situation creates the writer. On the contrary to this, the readers are recalled to writers. In other words, the readers presented of a problem, what is the liberty of the writers? Environment situation is a <vis a tergo> but the readers are waiting and the vacant ground to fill in and a aspiration between comparison meaning and essential meaning. That is to say, he is a <the Other>." It is meant that environment situation and the whole time being and factor of space are considered that just one thing as a trinity bounded together. And in this whole time being and factor of space as a 4 dimension's eliment is each meant that readers, writers, and the literature work piece and the human power on the public, same as in the present, actual man's 4 dimension.

      • 詩經과 楚辭속에 나타난 戱 硏究

        박희철 明知大學校 大學院 1991 국내석사

        RANK : 1838

        Until the beginning of the Juan Dynasty, literary men had been looked down upon, with no literary system established by then, and however, the drama fully prepared with its structure in the dynasty can be regarded to have begun from the primitive age with its original stage of an integrated state of music, songs and 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rightly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drama, to look closely into the contents of the two typical works of Chinese orthodox literature as well the oldest anthologies in Chinese literature; characters, form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inging and dancing, and the shamanism customs appeared in them. The following are summarised results from the study: First, the origin of the Chinese drama was a form of singing and dancing, and the matrix of such singing and dancing was of Shamanism. Second, a form of mixing 'singing' and 'dancing', a beginning stage of the drama, had been specializing and developing into each field respectively in response to the evolution of literature and art. Third, orthodox literature and the drama had begun from the same origin of a tributary stream and both are mutually supportive. Fourth, in the singing and dancing of the 'Shijing' and the 'Chuci', an enjoyable, musical attribute was emphasized. Generally defining the study so far viewed, even though the singing and dancing contained in the 'Shijing' and the 'Chuck' was not specialized and refined into a complete form of a drama, it could be found out that even only the characters and elements in themselves form a structure of a drama and the elements becoming the resource of a drama had been originated from sham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