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적인 풍모 보호 아래 명인의 생가 경관 디자인에 대한 연구 : 이달(李達)의 옛집 환경 정비 설계를 사례로

        潘紫何 우석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908

        優秀的傳統文化是一個國家以及民族傳承發展的根本,文化是一個民族的血脈,文化自信是更基本、更深層、更持久的力量。如今隨著社會的快速發展,人民生活品質的不斷提升,促使旅遊產業加速崛起,名人故居已然成為助推一個地區或城市發展的新動力,同時也是其所在國家和民族重要的歷史文化遺產和彌足珍貴的人文資源。在此背景下,名人故居景區如何體現其深厚的文化意蘊,展示其悠遠的人文背景,打造其獨特的景區環境,保護其珍貴的傳統風貌,都是值得我們深思的問題。 名人故居屬歷史文化遺產建築,對於歷史文化遺產的保護理論已經逐漸成熟,但是中國在對於歷史文化遺產保護的歷史還不足50年,相對於西方國家的遺產保護歷史,我國在現代保護方法和製度上還存在不足,如從建築單體到群體,從建築本體到周邊環境的認知,也遠遠落後於國際上遺產保護水平先進的國家。中國中央辦公廳、國務院辦公廳於2017年1月印發了《關於實施中華優秀傳統文化傳承發展工程的意見》,其中對文化傳承發展作出指示,並要求保護和傳承發展名人故居的歷史文化遺產。近年來,中國對名人故居的保護逐漸重視,通過名人故居的保護打造旅遊資源的核心價值,通過名人故居的景觀改造達到文化傳承的目的。 本文主要以基於傳統風貌保護前提下的李達故居作為研究對象,從景觀設計的角度進行分析和總結。目前關於景觀設計方面的研究較多,但研究名人故居景觀設計的非常少,所以本文的研究具有較大的應用意義和研究價值。此研究不論是在學術上,還是在實際應用中都具有很強的可操作性。筆者在李達故居環境整治景觀設計項目的過程中全程參與,歷時三年,從現場調研、勘探測繪、文獻研究、案例分析、項目方案設計、專家研討及項目立項建設。在此過程中,細致的了解研究了關於名人故居保護設計的相關知識,故選擇此主題為碩士畢業論文。希望通過自身的研究經歷,為類似的名人故居保護設計提供實踐參考價值。 正文部分以“提出問題一分析問題一解決問題—得出結論一提出建議”的步驟來進行闡述。首先,第一章緒論部分就研究背景、研究目的、研究意義和研究價值進行闡述。其次,第二章和第三章是以名人故居景觀設計進行理性探索,主要包括:名人風貌保護的相關理論依據,國內外對名人故居保護相關政策,國內劉青霞故居保護實例分析和本文的研究方法。該部分通過對名人故居、景觀設升、傳統風貌保護等相關概念及相關的理論和思潮的闡述,結合國內外的優秀案例進行分析,引申出名人故居傳統風貌景觀設計中需要考慮的要點。再次,第四章為本文的核心論述部分,結合李達故居實際項目,對故居景觀各部分進行了專項的設計研究,通過整合景觀設計中各個階段的分項設計,總結出了一個基於傳統風貌保護下的名人故居景觀設計的從局部到整體的完整設計框架、具體方法和解決方案,並提出了相關的建議。最後,得出結論希望能為相關研究和設計提供理論依據供大家評論。 우수한 전통문화는 한 나라 및 민족의 전승 발전의 근본이고, 문화는 한 민족의 혈맥이며, 문화 자신감은 더욱 기본적이고, 더욱 심층적이며 더욱 지구적인 힘이다. 현재 사회가 신속히 발전하고 인민의 삶의 질이 끊임없이 향상됨에 따라 관광산업의 굴기를 가속화 시켰다. 유명인의 옛집은 이미 한 지역이나 도시의 발전을 추진하는 새로운 동력이 되었고, 그 소재국과 민족의 중요한 역사 문화 유산이자, 소중한 인문 자원이 되었다. 이러한 배경에서, 명인의 옛집 관광지가 어떻게 그 깊은 문화적 함의를 나타내고, 그 유원한 인문적 배경을 보여주며 독특한 관광지 환경을 조성하고, 진귀한 전통 풍모를 보호하는지는 모두 우리가 깊이 생각해 볼 만한 문제이다. 명인의 옛집은 역사 문화유산 건축에 속하고, 역사 문화유산에 대한 보호 이론이 점점 성숙해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은 역사 문화유산에 대한 보호 역사가 50년도 안 된다. 서양 국가의 유산 보호 역사에 비해 중국은 현대 보호 방법과 제도에 아직도 부족하다. 예를 들어 건축 단체에서 단체, 건축 본체에서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 국제적으로 유산 보호 수준이 선진적인 나라에도 크게 뒤처져 있다. 중국 중앙판공청, 국무원 판공청은 2017년 1월에「중화의 우수한 전통문화 전승 발전 공정 실시에 관한 의견」을 인쇄 발부하였는데, 그 중 문화 전승 발전에 대해 지시를 내리고, 명인의 옛집에 대한 역사 문화유산을 보호하고, 전승 발전시킬 것을 요구하였다. 최근 몇 년 동안 중국은 명인의 옛집에 대한 보호를 점차 중시하고 있다. 명인 옛집의 보호를 통해 관광 자원의 핵심 가치를 만들고, 명인 옛집의 경관 개조를 통해 문화 전승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논문은 주로 전통적인 풍모 보호를 바탕으로 하는 이달의 옛집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경관 디자인부터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요약했다. 현재 경관 디자인 방면에 관한 연구가 비교적 많지만, 명인의 옛집경을 연구한다. 디자인이 매우 적기 때문에 본 논문의 연구는 비교적 큰 응용 의미와 연구 가치를 가진다. 이 연구는 학술적으로나 실제 응용에서나 모두 매우 강한 조작성을 가지고 있다. 본인은 이달 옛집 환경 정비 경관설계 프로젝트의 과정에서 전 과정에 참여하여 3년에 걸쳐 현장 조사 연구, 탐사 측량, 문헌 연구, 사례 분석, 프로젝트 방안 설계, 전문가 연구 토론 및 프로젝트 입안 건설을 하였다. 이 과정에서 유명인의 옛집 보호 디자인에 관한 지식을 세밀하게 이해하고 연구했기 때문에, 이 주제를 석사 졸업 논문으로 선택했다. 본인의 연구 경력을 통해 유명인의 옛집 보호 디자인에 실천적 참고 가치를 제공하기를 희망한다. 본문 부분은 ‘문제 제기 1 분석 문제 1 해결 - 결론 도출 1 제안’의 단계로 설명한다. 첫째, 제 1 장 서론 섹션에서는 연구 배경, 연구 목적, 연구 의의 및 연구 가치에 대해 설명한다. 둘째, 제 2 장과 제 3 장은 유명인의 주거 경관 디자인으로 이성적인 탐색을 수행한다. 주로 유명인의 풍모 보호에 관한 이론적 근거, 국내외에서 유명인의 주거 보호에 관한 정책, 국내 유청하 옛집 보호 실례 분석과 본 논문의 연구 방법은 명인의 옛집, 경관 설치, 전통 풍모 보호 등 관련 개념과 관련된 이론과 사조에 대한 논술을 통해 국내외의 우수한 사례를 결합하여 분석하고, 명인의 옛집 전통 풍모 경관 디자인에서 고려해야 할 요점을 제시한다. 제4장은 본 논문의 핵심 논술 부분으로 이달의 옛집 실제 프로젝트와 결합하여, 옛집 경관의 각 부분에 대해 전문적인 디자인 연구를 실시했다. 경관 디자인 중의 각 단계의 항목별 디자인을 통합함으로써 전통적인 풍모를 바탕으로 보호된 유명인 옛집 경관 디자인의 일부분에서 전체로의 완전한 디자인 구조, 구체적인 방법과 해결 방안을 정리하고 관련 건의를 제기했다. 마지막으로, 결론은 관련 연구와 디자인에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여 모두가 평론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is the fundamental foundation for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of a country and a nation. Culture is the bloodline of a nation, and cultural confidence is a more fundamental, deeper, and lasting force.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ociety and the continuous improvement of people's quality of life, the tourism industry has accelerated its rise. Celebrity residences have become a new driving force for the development of a region or city, and are also important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precious cultural resources of the country and nation where they are located. In this context, how to embody the profound cultural significance, showcase its distant cultural background, create its unique scenic environment, and protect its precious traditional style in the former residence of celebrities is a question worth pondering. The former residences of celebrities belong to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buildings, and the protection theory for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has gradually matured. However, China has less than 50 years of history in protecting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and compared to the heritage protection history of Western countries, there are still shortcomings in modern protection methods and systems in China, such as the understanding of individual buildings to groups, and from the building itself to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t also lags far behind countries with advanced international heritage protection levels. The General Office of the Central Committee of China and the General Office of the State Council issued the "Opinions on Implementing the Inheritance and Development Project of Chinese Excellent Traditional Culture" in January 2017, which provided instructions for cultural inheritance and development, and required the protection and inheritance of the historical and cultural heritage of famous people's former residences. In recent years, China has gradually attached importance to the protection of celebrity residences, creating the core value of tourism resources through the protection of celebrity residences, and achieving the goal of cultural inheritance through the landscape transformation of celebrity residences. This article mainly focuses on Li Da's former residence under the premise of traditional style protection, and analyzes and summarizes it from the perspective of landscape design. At present, there is a lot of research on landscape design, but there is very little research on the landscape design of celebrities' former residences. Therefore, this study has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and research value. This study has strong operability in both academic and practical applications. The author participated in the entire process of Li Da's former residence environmental renovation landscape design project, lasting for three years, from on-site research, exploration and mapping, literature research, case analysis, project scheme design, expert discussion, and project approval and construction. During this process, I carefully understood and researched the relevant knowledge about the protection and design of celebrities' former residences, so I chose this topic as my master's thesis. I hope to provide practical reference value for the protection and design of similar celebrity residences through my own research experience. The main body is composed of The steps of "posing a problem, analyzing a problem, solving a problem, drawing a conclusion, and proposing suggestions" are explained. Firstly, the introduction section of Chapter 1 elaborates on the research background, purpose, significance, and value. Secondly, Chapters 2 and 3 explore the landscape design of celebrity residences rationally, mainly including the theoretical basis for celebrity style protection,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for celebrity residences protection, and domestic and foreign policies for celebrity residences protection Analysis of the protection examples of Liu Qingxia's former residence and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article. This section elaborates on the concepts, theories, and trends related to celebrity residences, landscape design, and traditional style protection, and analyzes excellent cases both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to extend the key points that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traditional style landscape design of celebrity residences. Once again, Chapter 4 is the core discussion part of this article. Combining with the actual project of Li Da's former residence, a special design study was conducted on each part of the landscape design of the former residence. By integrating the sub design of each stage of landscape design, a complete design framework, specific methods, and solutions from local to overall based on the protection of traditional style were summarized, and relevant suggestions were put forward. Finally, the conclusion is drawn in the hope of providing theoretical basis for relevant research and design for everyone to comment on.

      • 재한 일본인의 문화 충격에 관한 연구

        Furukawa, Ayako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890

        본 연구는 각종 거주 목적으로 한국에서 생활하는 일본인들에게 나타나는 문화 충격의 양상에 대한 분석과 재한 일본인들의 문화 충격을 완화 및 악화시키는 요소를 찾아내는 데 그 목적이 있다.1장에서는 최근의 재한 일본인 동향과 문화 충격의 다양성이라는 관점에서재한 일본인의 문화 충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제시하였다.2장에서는 문화와 문화 충격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문화 충격의 개념, 문화 적응 과정과 문화 충격의 관계 등을 알아보고 재한 일본인의 문화 충격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되는 요인을 선정하였다.3장에서는 한국어 습득, 취업, 국제결혼의 각 목적으로 한국에 거주하는 재한 일본인 17명이 인터넷 개인 사이트에 쓴 1년 동안의 일지에 나타난 문화 충격 110개를, 문화 충격을 받은 시기, 문화 충격의 내용, 문화 충격에 대한 재한 일본인의 의견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4장에서는 3장에서 추출된 문화 충격의 양상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문화 충격과 거주 기간에서는 한국에 거주한 지 3개월째에 가장 많은 문화 충격이 나타나고 6개월 전후를 경계로 문화 충격이 회복되는 이문화 적응의 다음 단계로 이행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요인별 분석에서는 생활과 가치관의 차이로 인한 문화 충격은 시간 경과에 따라 어느 정도 완화 및 해소되나 대인 관계의 변화와 집단 적대감으로 인한 문화 충격은 적응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요인인 것을 알 수 있었다. 거주 목적에 따른 문화 충격의 순위는 한국어 습득, 취업, 국제결혼 순서이었다. 취업 목적으로 한국에 거주하는 일본인은 다른 거주 목적의 재한 일본인에 비하여 문화 충격으로 인한 심리적 안정 상실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면서도 문화 충격이나 문화 차이를 정확하게 평가하거나 인정하려고 노력하는 이문화 이행 단계에서 적응 행동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는 결과가 나왔다.5장에서는 4장에 나타난 재한 일본인의 문화 충격 양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충하고, 문화 충격 완화와 악화에 영향을 주는 요소를 조사하기 위하여 가장 많은 문화 충격을 받는 유형인 한국어 습득을 위한 재한 일본인에게 심층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문화 충격 요인을 완화시키는 요소로는 한국인 지원자 유무와 친밀도, 자기 자신의 고정 관념 극복의 두 가지가 나타났고, 과거사로 인한 집단 적대감과 한국의 보수성으로 인한 상처가 문화 충격 요인을 악화시키는 요소인 것을 알 수 있었다.6장에서는 본 연구에 나타난 재한 일본인의 문화 충격의 양상에 대한 모든 결과와 분석, 이들에 대한 제언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였다.7장에서는 한국 문화가 갖는 고정 관념으로 인한 재한 일본인의 문화 충격을 완화시킬 요소와 문화 충격의 강도를 세분화하여 분석할 것의 중요성 등 본 연구에서는 충분이 분석을 하지 못하였거나 분석하는 데 제한이 있었던 점 등 앞으로의 문화 충격과 문화 적응에 관련된 연구에의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spects of the cultural shock occurring among the Japanese people who are living in Korea for various purposes of residence, and find out elements that mitigate or strengthen their cultural shock.Chapter 1 presents the necessity and purposes of the study on the cultural shock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from the viewpoints of trends among Japanese residents in Korean and of varieties of the cultural shock.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ulture and cultural shock, chapter 2 investigates the concept of the cultural shock,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of cultural adaptation and the cultural shock, and selects those elements that are taken to have influence on the cultural shock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Chapter 3 introduces 110 examples of cultural shock, which are found in the journals that 17 Japanese residents in Korea have written for a year at their own internet sites, who are living in Korea for various purposes such as the Korean language acquisition, employment, and international marriage etc. We classifies and arranges these examples by time of cultural shock, contents of cultural shock, and opinions about cultural shock among the Japanese residents in KoreaChapter 4 synthetically analyzes the aspects of the cultural shock extracted in chapter 3. We have a result, fro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cultural shock and terms of residence, that when a Japanese resident has gone through 3 months in Korea he/she confronts cultural shock most frequently, and that towards the 6thmonth of living in Korea, he/she shifts to the next step of adaptation to the other culture at which he/she recovers from the cultural shock. From our factor analysis, we have found out that the cultural shock due to the differences in living styles and senses of values is mitigated to a certain degree as time goes by, whereas it takes a long time to overcome the cultural shock due to changes in personal relationships and to collective hostility. As for the cultural shock by living purposes, we rank the Korean language acquisition, employment, and international marriage in this order. We have a result that the while feeling insecure as to lost of psychological stability compared to other Japanese residents, Japanese residents in Korea for the purpose of employment frequently tend to show adaptive behavior at the step of transition at which they try to correctly evaluate or recognize cultural shocks or cultural differences.Chapter 5 deals with our interview in depth with the Japanese residents for the purpose of the Korean language acquisition, who consist of the greatest cultural-shocked type, in order to supplemen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aspects of the Japanese residents’ cultural shock discussed in chapter 4, and to investigate elements that have influence on the mitigation and strengthening of the cultural shock. As a result, we can find out two elements that mitigate factors of the cultural shock; the existence of Korean supporters and familiarity to them, and the overcoming of the residents’own fixed ideas. On the other hand, we also find out two elements that strengthen factors of the cultural shock; the collective hostility due to the past historical facts and hurts from Korea’s conservatism.Chapter 6 synthetically presents all the results from, analyses of, and suggestions about the aspects of the cultural shock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which appear in this study.Chapter 7 presents some suggestions to future studies related to the cultural shock and cultural adaptation, which this study does not deal with sufficiently, and cannot analyze due to its limitation. These suggestions are related to the importance of elements that mitigate the cultural shock of Japanese residents in Korea due to Korean culture’s stereotyped ideas, and to the significance of detailed analyses of the strength of the cultural shock.

      • Exploring the Antecedents of Residents’ Support in Heritage Sites: Focused on Chenjiagou- the Birthplace of Taijiquan, China

        위옥천 배재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879

        Many excellent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ialogue between different civilizations. The activation of cultural heritage has been a research topic in last 20 years. The first step of activation of cultural heritage is popularization, means that the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should enter the contemporary life, and must be closely related to people in the community(that is, residents). The vast majority research on ICH adopted the perspective of tourists/managers, there is a distinct lack of research on how ICH is understood from the residents perspective. Moreover, authenticity, psychological ownership perceived value and sense of place are closely related to ICH and the sites,while they are rarely considered simultaneously by researchers. Thus, a framework was constructed to explain residents’ support for ICH sustainable development,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and explains residents' representation process of ICH through SRT. It can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and reference for the work of heritage management department and community management department. Taking Chenjiagou (birthplace of Taijiquan) in Wen county, Henan province as research cases, the current study conducted an online-survey from 18 May to 2 June 2020. A framework was constructed to explain residents support for ICH sustainable development(N=448), verifies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by SPSS 24.0 and R-studio program, and explains residents’ representation process of ICH through SRT.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influences of (a) authenticity on perceived value and sense of place, (b) psychological ownership on perceived value, (c) perceived value on sense of place and residents’ support for ICH are all significant. Furthermore, sense of place partially impacts residents’ support for ICH. Conversely, psychological ownership of ICH does not directly affect the sense of place, but only when perceived value is used as an intermediate variable. The findings contribute to (a) expanding the framework of social representation theory in the studies of residents’ support by empirically measuring the role of authenticity, perceived value and psychological ownership as the predictor and residents’ representation of ICH, (b) developing a measurement scale of authenticity and perceived value for ICH. (c) sustainable tourism studies by introducing a case of ICH created by a small village, which is now well-known all over the world. Final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to policymakers and DMOs are recommended.

      • REURBANISATION THROUGH CULTURAL FLAGSHIP STRATEGIES : the attitude of and effects on residents in regenerated areas of Glasgow and Manchester

        Seo, Joon Kyo University of London 2000 해외박사

        RANK : 2878

        The thesis takes its inspiration from the current debate over urban cultural policy and its effect on urban regeneration. In the 1960s and the 1970s, most older industrial cities in Europe suffered from massive economic decline along with social unrest. The cities of Glasgow and Manchester were two of the older industrial cities in Britain, which suffered the worst urban decline. In order to overcome such urban decline, many European cities have adopted new means of urban growth strategies. Cultural flagship development strategies were begun in the US, but the strategies have become a focal point in urban regeneration policies of many European cities. The cities of Glasgow and Manchester have used cultural flagship development to endeavour to transform their city’s overall image and the strengthening of their economic base. In spite of extensive literature debating the issues of cultural flagship strategies, there is a lack of empirical studies on residents who live in cities which have employed the strategies for their city’s development. This empirical study examines residents in some parts of Glasgow and Manchester (Crown Street & Merchant City in Glasgow and Hulme (Royce Place) & Whitworth Street in Manchester) where housing regeneration has taken place. The study focuses upon residents’ reasons for residential relocation in the research areas, and their view on the perceptions of the cities of Glasgow and Manchester and on the use of cultural flagship strategies to improve their city. By analysing residents’ points of view, one can gain insight into what the cities of Glasgow and Manchester have achieved over a decade through the use of cultural flagship schemes. The thesis advanced is that it explains factors that stimulated the process of re-urbanisation in the four chosen areas of Glasgow and Manchester. The thesis also dismisses the fundamental hypothesis that there would be highly contrasting opinions on cultural flagship strategies between residents with different social and economic backgrounds in the survey areas as the strategies would seem to be likely to benefit economically better-off residents more than economically worse-off residents. However, the thesis found that both types of residents in the areas showed a very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strategies and the current developments of Glasgow and Manchester. The changes in the perceptions of Glasgow and Manchester were seen in the eyes of residents as largely a result of cultural improvements in the cities. However, it seems to be inevitable that there is an unequal distribution of benefits from cultural flagship developments among the residents in the survey areas since cultural flagship developments were largely designed to attract businesses and wealthy residents. The main benefits generated by cultural flagship strategies largely went to those residents in the central city areas with high household incomes. Moreover, the cultural flagship strategies seem to deepen the polarisation in the cities of Glasgow and Manchester between, on the one hand, residents with low-income and who are unemployed and, on the other, residents with high-income and secure occupations. Nevertheless, an interesting factor in the study is that a vast majority of the residents in the survey areas reacted positively toward cultural flagship developments of their city.

      • 문화 자원조사와 문화 마케팅 전략 연구 : - 제주시 용담동지역을 중심으로-

        김황국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875

        세계 각국은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장소마케팅 기법을 적극 도입하고 하고 있다. 지역의 문화자원을 활용한 관광 상품은 그 지역의 고유한 문화를 알리고 홍보하는 귀중한 자원으로 평가받고 있다. 허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관광 상품에만 초점을 맞추고, 보여주기 식 개발로 인하여 지역의 고유한 문화자원이 무분별한 개발로 퇴색되어 가고 있는 실정이다. 21세기 세계의 관광시장 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의 관광시장도 SNS, 블로그, 모바일 앱, 웹사이트를 통하여 관광 상품의 실시간으로 소개가 되고 평가가 되고 있다. 이는 시대의 흐름에 관광시장의 빠르게 변화해야 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기도 한다. 도시의 문화공간에 설화 및 이미지를 부각시키고, 스토리텔링을 통한 이야기를 만들어내어 도심의 문화공간의 관광공간이 아닌 체류하고 체험하는, 문화적 소통을 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 시킬 필요성이 있다. 따라서 문화마케팅을 통한 장소의 브랜드화는 관광소비자가 관광목적지를 정하는 요즘시대의 트랜드의 흐름을 읽는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000년대의 경관형 관광의 변화가 지금의 SNS 및 모바일 앱을 이용한 실시간형 관광으로 변화하고 있는 요즘 도심의 문화를 연결할 수 있는 생동감 넘치는 문화관광 상품이 새로운 관광의 변화를 예고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용담동 지역을 문화자원으로 지역의 마케팅 전략을 마케팅 믹스 7P기법(4P인 제품(product), 가격(price), 유통(place), 홍보(promotion)에 사람(people), 물리적 실체(physical evidence), 과정(process)을 추가한 7P전략)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4개의 문화유형별 전략수립은 유형Ⅰ은 장소-현대형 상품, 유형Ⅱ는 개체- 현대형 상품, 유형Ⅲ 개체-전승형 상품, 유형Ⅳ는 장소- 전승형 상품으로 전략을 수립하여 문화상품의 구성전략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도시(장소)마케팅으로서 지역주민과 함께하고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지역전문가와 지역주민이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예산을 지원할 필요성이 있다는 결과를 얻어내었다. 또한 지역에 필요한 문화나 지역자원을 지역주민들 스스로 개발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정책을 펼칠 필요성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역발전을 위해 지역문화마케팅 전문가 그룹 및 자문단을 조직하여 지역주민이 지역의 고유성 및 정체성을 살리면서 지역문화발전을 위해 스스로 기획할 수 있는 토대를 만들어 줄 필요성이 있다. 이는 지역별로 차별화 될 수 있는 문화적 공간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들의 스스로 기획하고 정책을 건의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지역의 공동체 문화를 형성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 줄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으로의 원도심 및 도시문화 마케팅은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한 지방정부와 지역전문가 그룹이 서로 의견을 교환하여 지역주민이 스스로 개발에 참여할 수 있는 내성적 개발형태가 되어야 할 것이다. Each country around the world is actively introducing place marketing technique using regional cultural resources. The tourist programs using regional cultural resources are considered as precious resources that introduce and promote the original culture of each region. However, Korea is still focusing on the tourist programs and the original cultural resources of each region are destroyed by reckless development just to show off. Not only the tourist market of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but also the tourist market of Korea, introduces and evaluates tourist programs in real-time via SNS, Blogs, mobile Apps, and Websites. This means that the tourist market must evolve fast to keep up with the flow of time.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stories and images of cultural spaces in the cities and create stories to tell to make the cultural spaces into places to experience and culturally communicate beyond mere sightseeing. Therefore, branding the places through cultural marketing is an important factor to read the trends of contemporary era where the tourism consumers decide their destinations. As sightseeing tours of the 2000s are shifting to real-time tourism via SNS and mobile Apps, cultural tourism programs that actively connect to the urban culture of each city would lead the change of new tourism. This study analyzed the marketing strategies of Yongdam-dong, Jeju City,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using the Marketing Mix 7P Technique (7P including 4P, which are product, price, place, and promotion, combined with people, physical evidence, and process). Also, the strategies for the four types of culture were classified into Type I for place-contemporary products, Type II for individual-contemporary products, Type III for individual-succeeded products, and Type IV for place-succeeded products, to systematically analyze the composition of cultural products. As a result, it was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programs with local experts and residents and provide budget in order to develop urban (place) marketing with the local residents. Also, it is necessary to promote policies for the local residents to develop the culture and resources contributive to each region. For the regional development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 group of regional cultural marketing experts and/or advisors for the local residents to discover the originality and identity of their region and plan fo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culture. This would create distinct cultural spaces in each region and improve the local residents' ability to plan and suggest policies to develop a unique culture for each community. Finally, urban and cultural marketing in the future should be intrinsically developed for the local residents to exchange opinion with the local government and regional expert group and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process.

      • 한국 전통주거공간의 기호론적 해석

        김주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874

        현대에 들어 문화를 이해하고 비평하는데 있어서 기호학이라는 개념은 여러 분야에서 두루 사용되고 있다. 자연의 질서에 인간이 의미를 부여하고, 그것을 해석하여 인간의 삶에 도움이 되도록 바꾸어 나간 것이 문화이기 때문이다. 그러한 현상 중에서도 주거는 하나의 주거문화 매개체로서의 이해가 필요한 시기이며, 기호학을 통해 주거개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는 것은 주거공간 해석에 있어서 보다 폭넓은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전통주거공간의 특성을 기호학 이론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해석해보고자 하였다. 특히 전통 주거는 우리 민족 고유의 주거문화를 표현한 중요한 유산이며 의미의 집합체로서 기호학적 관점에서 해석해볼 수 있는 주요한 대상이다. 이는 전통문화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건축기호론을 통하여 그 해석의 범위를 확장시키고, 과거의 문화를 새로운 각도로 이해하게 함으로써 미래 주거문화를 창조할 수 있는 기반을 다질 수 있다는 데에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현장사례조사를 연구방법으로 사용하였으며, 문헌조사를 통해 기호학과 건축·공간 기호학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그에 대한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틀을 개발하여 실제 사례분석을 하는데 적용하였다. 먼저 기본적인 문헌고찰로서 기호학과 건축에서 도입한 기호학 이론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 환경디자인 분야에서 기호학과 상징·은유와 관련하여 실제 사례를 다룬 선행 연구의 경향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사례분석에 있어서는 전통주거공간의 시간적 범위를 조선시대로 한정하고, 내용적 범위에 있어서는 일반적인 규범이 비교적 균일하게 지켜진 상류주택(반가)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사례분석 대상으로는 관가정과 양진당, 충효당의 세 곳을 선정하였으며, 이 사례들은 조선시대 초기(관가정)와 중반(양진당, 충효당)에 건립된 종가(宗家)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다. 전통주거공간의 내용적인 분석 대상으로는 기능·의미 관점에서 문, 창호, 벽/바닥/천장 등의 디자인 요소와 안방, 사랑방, 부엌 등의 공간 요소를 분석하였으며, 사용방법 관점에서는 주거생활 행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위상학적 관점에서는 연결/분할, 개방/폐쇄, 내부/외부, 중심/주변 등의 개념을 설정하여 각 공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기호학적 모델로는 주거공간의 기능과 의미 관점, 사용방법 관점에서의 분석을 위해서 퍼스의 ICON, INDEX, SYMBOL 체계의 기호 이론을 바탕으로 한 틀을 적용하였고, 위상학적 관점에서의 분석을 위해서는 그레마스의 기호사변형 구조이론을 적용하였다. 그리고 전통주택 사례를 퍼스와 그레마스의 기호론적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은 체계로 서술하였다. 우선 각 사례별 주요 분석내용을 기술한 후, 이들 간 유사한 점을 논하며, 사례별로 고유하게 나타나는 특성을 요약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의 대표적 전통주거 세 사례를 이해하는 새로운 시각으로 시도한 기호학적 해석을 위해, 퍼스의 ICON, INDEX, SYMBOL과 그레마스의 기호사변형 개념을 사용하여 전통주거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음이 증명되었다. 즉, 퍼스의 기호론은 각 주택의 건축구성요소와 생활공간, 주거생활 행위를 물리적인 요소(ICON)와 기능적 요소(INDEX), 상징적 요소(SYMBOL)로 나누어 각 요소들이 지니는 의미들을 체계화하는데 유용하였다. 그레마스의 공간기호론은 특히 공간을 분석하는데 있어 이항대립적인 특성을 지니는 공간들을 연결/분할, 개방/폐쇄, 내부/외부, 중심/주변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도록 하여 전통주거공간이 가진 복합적인 성격을 드러내는데 유용하였다. 또한 기호학적 분석틀을 통해 기술된 각 사례별 해석과 사례별 유사점, 차이점은 전통주거를 이해하는 또 하나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결국 전통주거의 기호론적 분석은 한국 주거문화를 또 하나의 각도에서 체계적으로 짚어보고자 한 시도이다. 이러한 전통주거의 기호론적 해석으로 얻어진 결과가 보다 인간적이며, 한국적인 문화를 표현할 수 있는 주거의 문화를 생성해내는 데 활용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concepts of semiotics are being widely used across the fields to understand and criticize modern culture. If the human life itself is culture, it is fair to say that nothing would reflect the actions of signs better than culture. It is because humans giving meaning to the Nature, interpreting it and transforming it to the benefit of them is what culture is about. It is time that a house should be given new meaning as a medium for cultur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better understand the concept of housing with the help of semiotics and systemize the specific characters of traditional residences by applying semiotics to architecture and interior. For this study, cases were analyzed by looking at relevant literatures and fields. First, as for literatures, it was looked into the theories of semiotics employed by semiotics and architecture, and worked on the previous studies that applied semiotics, or symbols and metaphors to real cases by characterizing them into traditional/modern/interior. For case analysis, the period of time was limited to the era of Chosun Dynasty, and the target was confined among traditional houses, to houses of nobility which meet relatively well the general rules of architecture. More specifically, it was chosen three traditional residences, Kwan Ga Jung, Yang Jin Dang, and Chung Hyo Dang. As for contents of those houses, it was focused on the appearances of the housing space as signs and divided them into functional/design factors, and spetial factors. In addition, it was looked into the relationships between each space by establishing the concepts such as "connection/separation", "space/boundary", "interior/exterior", and "center/peripheral". Peirce's theories was employed to study functional/design factors, while to analyze the latter factors, Greimas' quadrilateral. was introduced. The results of studying Korea's traditional residences with the help of semiotics are as following. First, the semiotics intended to eliminate inhumane factors and strengthen humane features instead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interpreting traditional residences. Second, the physical factors of the traditional residences showed the properties of signs in the forms of first, ICON, second, INDEX, and SYMBOL, each of which then has underlying meaning according to form, materials, colors, decoration, way of arrangement, uses, and value. Thirdly, in terms of assisting function, Korean traditional residences provide assistance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user. Forth,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traditional houses can be explained by the concept of counterpart. Here, the counterparts showed the contrasting characteristics of connection/separation, openness/closeness, interior/exterior, etc. Fifth, the traditional residences suggest various meanings and signs. The houses studied have SYMBOLs in common, but their ICONs and INDEXes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different context. Semiotic analysis of the traditional residences is an attempt to make a systemic approach to the traditional culture. I hope that the findings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traditional residences with the help of semiotics will help create residential culture that can express well Korean culture.

      •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도시재생이 주민참여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 중심으로

        정영미 인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874

        This study analyzes the mediating effects of economic factors and the moderating roles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local residents on the impacts of the physical and cultural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based on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 on local competitiveness and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ce.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the residence of urban regeneration neglected in previous projects, the study proposes a direction of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roject policies to secure local competitiveness, increase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ce, promote their participation, and provide ground data for such policies. The researcher conducted a survey with 500 residents living in the cultural district of Incheon Open Port to test the research model proposed in the study. As for methodology, logical positivism and a deductive method were applied as social science methods. Collected data was put in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ith the SPSS 22.0 program, and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with the AMOS 22.0 program to analyze a structural equation model.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carried out to analyze the content of questionnaire items in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analysis results identified two physical factors of urban regeneration: the regeneration of modern buildings and amenities for residents, two cultural factors: the utilization of local cultural heritage and the utilization of cultural space, two resident quality of life factors: residen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and three economic factors: expectations for rising land value, attraction of tourists, and job creation & business district revitalization. The findings of each variable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matrix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physical factors, including the regeneration of modern buildings and amenities for residents, had considerable relations with residen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and that the cultural factors including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space also had considerable connections with residen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The regeneration of modern buildings, as one of the physical factors, had considerable connections with such economic factors as job creation, expectations for rising land value, and attraction of tourists. Amenities for residents had considerable connections with job creation and some connections with expectations for rising land value and attraction of tourists.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space as a cultural factor had considerable relations with economic factors. Of the economic factors, job creation, business district revitalization, expectations for rising land value, and attraction of tourists had considerable relations with residen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Secondly, the study analyzed causal relationships among the variables and offer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① Amenities for residents, a physical factor of urban regeneration, had positive effects on residen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which raises a need to plan and implement urban regeneration in a way that residents take active part in and are satisfied. These findings imply a need to reflect amenities for residents actively rather than the regeneration of modern buildings to enhance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residents.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s a cultural factor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residen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and the utilization of cultural space had positive effects on residen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residents need a space for their active cultural activities after urban regeneration. It is thus needed to reflect various cultural spaces to enjoy cultural life more than now in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② The regeneration of modern buildings and amenities for residents as physical factors had positive impacts on the attraction of tourists as an economic factor. Amenities for residents had positive impacts on job creation and business district revitalization. The utilization of cultural space as a cultural factor had positive impacts on the expectations for rising land value, attraction of tourists, job creation, and business district revitalization. That is, local residents want diverse economic effects from urban regeneration. These findings show a need to take into consideration tourists for the regeneration of modern buildings as an economic factor in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secure as many amenities for residents to promote their convenient usage by tourists, and ensure diverse cultural spaces to maximize economic effects, including rising land value, attraction of tourists, job creation, and business district revitalization. ③ Expectations for rising land value, attraction of tourists, job creation, and business district revitalization as economic factors had positive influences on th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These findings show a need to increase expectations for rising land value, take into account all kinds of amenities for tourists to attract more tourist visits, create jobs for local residents, and promote business district revitalization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so that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can be maximized. ④ The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s of economic factors and found that expectations for rising land value had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 of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on residen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based on rising land value can increase resident satisfaction and active resident participation while the general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cannot expect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ce. The attraction of tourists had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s of the regeneration of modern buildings on resident participation,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s of amenities for residents on resident participation, and full mediating effects on the impacts of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on resident participation.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regeneration of modern buildings and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can increase resident satisfaction and induce active resident participation while the common regeneration of modern buildings and the common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cannot induce resident satisfaction and active resident participation. ⑤ The study analyzed the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the residential area on the impacts of physical and cultural factors on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ce in an urban regeneration project and found that they had partial moderating effects between the income level of residence and years of local residence. These findings imply that urban regeneration needs to consider the local income level of residence and years of local residence at the planning stage of amenities for residents and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space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It is especially needed to take a customization approach on amenities for residents and the utilization of cultural heritage and space to vitalize the satisfaction and participation of residents with a monthly income level of 2,000,000 won or less, as well as amenities for residents and the utilization of cultural space for th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ith a monthly income level of 2,000,000~3,000,000 won. There is also a need for a customization approach on amenities of residents for the satisfaction and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local residence and on amenities of residents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residents with over 16 years of local residence. Finally, the study discussed i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s follows: ① There are some difficulties with the overall generalization of its findings since the study sampled from residents in the cultural district of Incheon Open Port. A follow-up study will need to expand the scope of subjects comprehensively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diverse areas. ② The study used a questionnaire as a survey instrument to use the subjective evaluation of local residents as an objective indicator. A follow-up study will need to take an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qualitative research such as in-depth interviews as well as quantitative research such as a questionnaire. 도시재생은 낙후된 도시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지역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물리적, 환경적 정비를 중심으로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영역을 고려한 종합적으로 추진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역사문화콘텐츠를 활용한 도시재생의 물리적·문화적 요인이 주민참여와 주민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제적 요인의 매개효과와 지역주민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이 어떻게 조절역할을 하는지 분석하였다. 따라서 기존에 간과하였던 도시재생에 대한 거주 주민들의 인식을 파악하여 지역경쟁력 확보와 함께 주민 삶의 만족도와 주민참여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도시재생 사업의 방향을 제시하고 근거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인천개항장 문화지구에 거주하는 주민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방법은 사회과학 방법론 중에서 논리실증주의와 연역적 방법을 적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 대해서는 기술적 통계분석은 SPSS 22.0을 활용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분석하기 위해 AMOS 22.0을 이용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설문 내용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분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도시재생의 물리적 요인은 근대건축물 재생과 주민편의시설 2개 요인으로 분류되었으며, 문화적 요인은 지역 문화유산 활용과 문화공간 활용의 2개 요인으로, 주민 삶의 질은 주민만족도와 주민참여 2개 요인으로, 경제적 요인은 지가상승 기대와 관광객 유치, 일자리 창출 및 상권 활성화 3개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그리고 각 변수들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관행렬 분석결과, 물리적 요인의 근대건축물 재생과 주민편의시설은 주민만족도와 주민참여에 상당한 관련성이 있으며, 문화적 요인의 문화유산 활용과 문화공간 활용은 주민 만족도와 주민참여에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물리적 요인의 근대건축물 재생은 경제적 요인의 일자리 창출과 지가상승 기대, 관광객 유치와 상당한 관련성이, 주민편의시설은 일자리 창출에 상당한 관련성이 있고, 지가상승 기대와 관광객 유치와는 약간의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적 요인의 문화유산 활용과 문화공간 활용은 경제적 요인에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요인의 일자리 창출과 상권 활성화와 지가상승 기대, 관광객 유치는 주민 만족도와 주민참여에 상당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각 변수들에 대한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① 도시재생의 물리적 요인 중 주민편의시설은 주민 만족도와 주민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시재생은 주민이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하고, 주민들이 만족하도록 계획하고 진행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민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물리적 요인 중에서 근대건축물 재생보다 주민편의시설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문화적 요인 중 문화유산 활용은 주민 만족도와 주민참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문화공간 활용은 주민 만족도와 주민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주민들은 도시재생 후 주민들이 문화 활동을 적극적으로 할 수 있는 공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따라서 도시재생을 추진할 때에는 지금보다도 더욱더 문화생활을 할 수 있는 다양한 문화공간을 반영할 필요가 있다. ② 물리적 요인의 근대건축물 재생과 주민편의시설은 경제적 요인의 관광객 유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주민편의시설은 일자리 창출 및 상권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문화적 요인 중 문화공간 활용은 지가상승 기대와 관광객 유치, 일자리 창출 및 상권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주민들은 도시재생을 통하여 다양한 경제적 효과를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도시재생을 할 때, 경제적 요인 중 근대건축물에 대해 관광객을 고려한 재생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주민편의시설을 최대한 확보하여 관광객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지가상승과 관광객 유치, 일자리 창출 및 상권 활성화와 같은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문화공간이 확보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③ 경제적 요인의 자가상승 기대와 관광객 유치, 일자리 창출 및 상권 활성화는 지역주민의 만족도와 주민참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시재생을 계획하고 실시하는데,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민 만족도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도시재생을 통하여 지가 상승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며, 관광객이 많이 방문할 수 있도록 관광객을 위한 각종 편의시설 등을 고려해야 하고, 도시재생을 통하여 지역주민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상권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계획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④ 경제적 요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문화적 요인 중 문화유산 활용이 주민 만족도와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경제적 요인의 지가상승 기대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도시재생을 할 때 일반적인 문화유산 활용은 지역주민의 만족과 참여를 기대할 수 없으나 지가상승을 고려한 문화유산 활용은 주민 만족도를 높이고, 적극적인 주민참여를 기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물리적 요인의 근대건축물 재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매개역할을, 주민편의시설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역할을, 문화유산 활용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서 완전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적인 근대건축물 재생과 문화유산 활용은 주민들의 만족과 적극적인 주민참여를 이끌어낼 수 없지만, 경제적 측면의 관광객 유치를 고려한 근대건축물 재생과 문화유산 활용은 주민만족도를 높여주고, 적극적인 주민참여를 불러올 수 있음을 시사한다. ⑤ 도시재생의 물리적·문화적 요인이 주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서 거주 지역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주민들의 소득 수준과 지역 거주기간에서 일부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주민편의시설과 문화유산 활용, 문화공간 활용 계획하는데 지역주민의 소득 수준과 지역 거주기간을 고려한 도시재생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소득 수준이 200만원 이하의 주민들을 위해서는 주민 만족도와 주민참여를 활성화하기 위해 주민편의시설과 문화유산 활용, 문화공간 활용 측면을 맞춤식으로 고려해야 하며, 200-300만원 미만의 주민집단을 위해서는 주민참여를 위해 주민편의시설과 문화공간 활용을 맞춤식으로 계획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지역 거주 5년 미만의 지역주민의 주민 만족도와 적극적인 주민참여를 위해서는 주민편의시설을 맞춤식으로 계획하고, 16년 이상 거주 주민의 적극적인 주민참여를 위해서는 주민편의시설에 대해 맞춤식으로 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방향으로 ① 본 연구는 인천 개항장 문화지구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설정하였기에 본 연구 결과를 전체적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지역을 고려한 종합적인 범위로 조사대상자를 확대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② 본 연구는 설문지를 조사 도구로 사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는 지역주민의 주관적인 평가를 객관적인 지표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한 것이다. 따라서 향후 후속 연구에서는 설문지를 사용하는 양적 연구와 더불어 심층 면담 등과 같은 질적 연구를 동시에 진행하는 통합연구가 필요하다.

      • Residents' Perception on Positive and Negative Tourism Impacts in a Religious Destination : a case study of Lumbini, Nepal

        사갈, 판티 동아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863

        관광이 지역 경제, 사회, 문화,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것은 관광관리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는 지속 가능한 관리를 가능하게 하며, 부정적인 결과를 완화하고 긍정적인 기여를 극대화하여 경제 성장과 지역적 요구 간의 장기적인 조화의 균형을 맞추는 데 기여한다. 이 연구는 사회 교환이론(SET)을 근거로 네팔의 대표적 종교 관광지인 룸비니 지역을 대상으로 관광의 영향에 대한 주민들의 인식과 관광 개발에 대한 지역 주민들의 지지를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네팔은 국내외 관광객이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지역 주민들이 관광의 영향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관광 개발에 대한 지지는 어떠한지 등에 대한 정보는 거의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관광이 지역 주민들에게 미치는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경제적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긍정적 영향과 아울러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 가설을 제시하였으며, 실증연구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30명의 응답자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측정 척도의 타당성과 신뢰도를 평가하고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 분석(EFA)과 회귀 분석이 적용되었다. 자료의 분석 결과 관광이 미치는 사회, 문화, 환경, 경제적인 측면의 긍정적 영향과 관광 개발 지지 의사 사이에는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긍정적인 사회적 영향에 대한 인식이 관광개발에 대한 지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문화적, 환경적, 경제적 요인의 순으로 나타났다. 관광으로 인한 사회적 편익이 지역사회 전반에 걸쳐 가시화될 때 주민들은 관광 개발을 지지할 가능성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부정적인 영향에 대한 인식의 경우, 사회, 경제, 문화 영역에서 부정적인 영향은 관광 개발에 대한 지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 측면의 부정적 영향에 대한 인식은 기대와는 달리 관광 개발에 대한 지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특히 저개발 지역에서 주민들이 인식하는 관광으로 인한 단기적인 경제적 혜택이 환경 비용보다 크게 인식되고, 관광의 환경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훼손보다는 개발이라는 측면으로 바라볼 수 있다는 측면에서 이해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관광 정책 입안자와 관리자가 관광개발에 있어 관광에 대한 지역주민의 긍정적 및 부정적인 영향을 포함하는 다양한 의견을 고려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Research on the impacts of tourism is crucial to understand its effects on local economies, society, cultures, and environments. It helps shape sustainable practices, mitigate negative consequences, maximize positive contributions, and balance economic growth and long-term harmony between tourism development and local needs. Influenced by the principles of social exchange theory (SET),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sidents' perceptions of the impact of tourism and local residents'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in a religious destination targeting Lumbini, Nepal. Although there is a tremendous increase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tourists, very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regarding how local residents perceive tourism impacts and their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in the region. This study emphasizes the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with both positive and negative impacts of tourism to the local residents. To meet the study goals, eight research hypotheses were proposed, and data was collected from 230 respondents through online surveys.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EFA)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applied to asses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measurement scales and to test the hypotheses. The results indicat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positive impacts such as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with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Notably, positive social impact demonstrates the most substantial positive influence, followed closely by cultur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factors. Residents are more likely to support tourism development when tourism's social benefits are visible across the community. Additionally, negative impacts, particularly in the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domains, inversely influence the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Surprisingly, the results reveal an unexpected positive relation between environmental negative impact and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The underlying reason behind this is that the residents believe that the immediate benefits of economic growth could help fix any environmental issues that overshadow the concerns about environmental costs.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insights for researchers and policymakers to include different stakeholders in future tourism development.

      • Psychiatric Residents’ Perceptions of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for Mental Health Care Delivery

        Matthews, Carol A Walden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Theses 2020 해외박사(DDOD)

        RANK : 2862

        Considering and respecting patients’ cultural needs is integral in providing culturally competent mental health care. In 2013, an urban community hospital conducted the Community Health Needs Assessment with patients, community stakeholders, and health care providers. The assessment revealed the need to address a more diverse patient population with culturally different health needs through training culturally diverse health care providers. Thus, the focus of this qualitative case study was on how the academic training of psychiatric residents in cultural competency affected the delivery of culturally responsive mental health patient care. The conceptual framework of Jeffery’s cultural competence and confidence model grounded this study in understanding the process of teaching and learning cultural competence. The research question related to how psychiatry residents perceived their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in the delivery of culturally appropriate mental health care. Data was collected from eight psychiatric residents. Through a qualitative data analysis of the focus group, field notes, and review of training materials, the findings provid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residents’ perspectives of their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The focus group discussion with the residents was transcribed, coded, and analyzed for themes in the impact of the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Residents’ perceptions suggested training enhancements in an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patient’s culture, language differences, and community are weaved into the cultural competency clinical training. This study supports social change in its benefit to culturally diverse patient populations in understand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mpetency training in the delivery of quality mental health care.

      • 파주 통일촌 에코뮤지엄 계획

        이창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861

        Since the cultural heritage began to be protected under international agreements, preservation targets have been expanded from individual cultural properties, such as buildings, to cultural landscapes of villages and towns, including surrounding area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landscape of Korea is the DMZ border area. DMZ, which is 248 km long and borders eight regions, crosses the waist of the Korean peninsula from west to east, penetrating various natural landscapes and characteristic local cultures such as Korea's seas, rivers, fields, plains, and mountains. The DMZ border area, which has been untouched for decades as a symbol of the division between South and North along with its unique cultural landscape, is a unique landscape that can only be experienced in Korea. However, with the recent improvement of south and north Korea relations, such as the April 27 Panmunjom Declaration and the September 19 Military Agreement, the DMZ border area is under development pressure.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n alternative for balanced and coexisting life, tourism, ecology, and military activities of residents in the Tongilchon in Paju located in the DMZ border area. For this, through the interview with local people living in the area, it was intended to discover and utilize local resources. It also tried to propose a way for residents to actually participate and be needed Study Area Paju Tongilchon is located within the civilian control zone of the DMZ West Front and 4.5km from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MDL). The Tongilchon, built in May 1972 as a state-led village, has frequently caused incidents due to conflict between selected residents and geographical specificity adjacent to North Korea. However, the border area where the Tongilchon is located is concentrated on macroscopic discourses such as peace, system, and ecology, and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who have lived in the border area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and local resources are mixed without being linked. In addition, The recent improvement in relations between the South and the North has led to a "change" of Civilian Control Lines(CCL) and various development plans.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a study was needed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culture and scenery of the Tongilchon, to re-examine the values ​​of the region, and to respond to changing border region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the Tongilchon Eco Museum plan. In order to apply the concept of the eco-museum to the Tongilchon, we reviewed related theories and analyzed the cases created in Japan and Korea to propose an implementation system. In addition, the current status of tourism in the DMZ border area,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ongilchon, landscape, history, life culture, ecology, and human resources were studied and discovered. The resource analysis and eco-museum plan focused on interviews with local residents and sought to draw contemporary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as well as historical ones. The Tongilchon eco museum plan derived through resource analysis and theoretical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the physical and non-physical resources of the Tongilchon were reconstructed by using the regulations of the civilian control area where tourists' access and activities are restricted. In order to increase the accessibility of visitors to the outside of the Civilian Control Lines(CCL), mobility was proposed to enable movement between bases. Each base facility is composed of a core museum, a general museum, and a garden landscape, and detailed programs are presented. Second, it tried to improve local values ​​by storytelling the history, cultural values, and life ​​discovered through the stories of the residents. The story of the Tongilchon was divided into the history of Jangdan-gun, the history of the land, and the history of the border area, and presented related tour routes and tourism programs. Third, it aimed to present an integrated eco-museum model of Western DMZ. Imjingak, where civilians are free to move and enter, is set as the Core Museum, and Tongilchon, Haemaruchon, and Daeseong-dong within the Civilian Line are set as satellite museums. The independence of each satellite museum was maintained, but a cooperative relationship was established to construct an organic linkage model. The network formed between the satellite museums will be able to efficiently use the resources of the limited border area and improve the scop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by linking the regional resources of the segmented border area. In this way, this study studied the space and local resources of the Tongilchon through meeting with residents in order to apply the concept of eco-museum to the Tongilchon, and considered the future of the region together. The Tongilchon eco-museum plan derived through this process can be used as a reference in planning the future Tongilchon and can provide a direction for residents who want to change the Tongilchon. 문화유산을 국제적 합의 속에서 보호하기 시작한 이래로 보존 대상은 건축물과 같은 개별 문화재에서 주변지역을 포함한 마을 및 도시의 문화경관으로 확대되어 왔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경관은 DMZ 접경지역을 들 수 있다. 길이 248km, 8개 지역을 접하고 있는 DMZ는 한반도 허리를 서에서 동으로 가로지르는 축으로 대한민국의 바다와 강, 들, 평야, 산 등 다양한 자연경관과 특색있는 지역문화를 관통한다. 독특한 문화경관과 함께 남과 북의 분단의 상징으로 수십 년간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았던 DMZ 접경지역은 한국에서만 경험할 수 있는 독특한 경관이다. 그러나 최근 4·27 판문점선언, 9·19 군사 분야 합의 등 획기적인 남북 관계 개선으로 DMZ 접경지역은 개발의 압력에 처해있다. 이에 본 연구는 DMZ 접경지역에 위치한 민북마을 파주 통일촌을 대상으로 주민들의 삶, 관광, 생태, 군사활동이 균형을 이루고 상생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해당 지역에 살고있는 지역민과의 인터뷰를 통해 지역자원을 발굴하고 가치를 부여하여 활용하고자 하였다. 또한 주민들이 실질적으로 필요하고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지 파주 통일촌은 DMZ 서부전선 민간인통제구역에 위치한 마을로 군사분계선(MDL)과 4.5km 떨어져 있는 민북마을이다. 1972년 5월 국가 주도로 건설된 통일촌은 선발된 주민 사이의 갈등과 북한과 인접한 지리적 특수성으로 사건사고가 빈번했지만 마을주민은 하나가 되어 지역의 역사와 문화를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통일촌이 위치한 접경지역은 평화, 체제, 생태 등의 거시적인 담론에 집중되어 접경지역에 터전을 일구어 지금껏 살아온 지역주민의 삶은 상대적으로 도외시되어 왔고 지역자원은 연계되지 못한 채 혼재되어 있다. 또한 최근 남과 북의 관계개선으로 민통선 북상과 각종 개발계획 등에 의한 ‘변화’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통일촌의 문화와 경관의 연속성을 유지하고 지역의 가치를 재조명하며 변화하는 접경지역에 대응할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통일촌 에코뮤지엄 계획을 제시하였다. 에코뮤지엄 개념을 통일촌에 적용하기 위해 관련 이론을 고찰하고 일본과 국내에 조성되어 있는 사례를 분석하여 실행체계를 제안하였다. 또한 DMZ 접경지역의 관광현황과 통일촌의 물리적 특징, 경관·역사·생활문화·생태·인적자원을 연구 및 발굴하였다. 자원분석과 에코뮤지엄 계획은 지역주민의 인터뷰에 중점을 두었으며 역사적 자원뿐만 아니라 동시대적 유·무형자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자원 분석과 이론 연구를 통해 도출한 통일촌 에코뮤지엄 계획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객의 출입과 활동이 제한되는 민통선지역의 규제를 활용하여 통일촌의 물리적·비물리적자원을 재구성했다. 민통선 외부방문객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하여 각 거점 간 이동이 가능한 모빌리티를 제안하였다. 각 거점 시설은 코어시설, 일반시설, 정원경관으로 조성되며 관련 세부 프로그램을 함께 제시하였다. 둘째, 주민들의 이야기를 통해 발굴한 생활·역사·문화적 가치를 스토리텔링하여 지역의 가치를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통일촌의 이야기는 장단군의 역사, 땅의 역사, 접경지역의 역사로 나누었으며 관련 관람루트와 관광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셋째, 서부DMZ의 통합적 에코뮤지엄 모델을 제시하고자 했다. 민간인의 행동과 출입이 자유로운 임진각을 코어박물관으로 설정하고 민통선 내 통일촌, 해마루촌, 대성동을 위성박물관으로 설정했다. 각 위성박물관의 독립성은 유지하되 협력관계를 구축하여 유기적인 연계 모델을 구성하였다. 위성박물관 사이에 형성된 네트워크는 한정된 접경지역의 자원을 효율적 이용할 수 있고 분절된 접경지역의 지역자원을 연계하여 역사적·문화적 층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에코뮤지엄 개념을 통일촌에 적용하기 위하여 주민과의 만남을 통해 통일촌의 공간과 지역자원을 연구하고 지역의 미래상을 함께 고민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도출된 통일촌 에코뮤지엄 계획은 향후 통일촌을 계획함에 있어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통일촌을 변화시키고자 하는 주민들에게 하나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