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 대학생의 코로나19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 요인 : 건강 신념 모형, 계획된 행동 이론, 통합된 행동 모형에 근거하여

        박세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우리나라 대학생의 코로나19 및 신체활동에 대한 인식이 이들의 신체활동 참여 의도 및 행동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연구 1에서는 전통적 건강 신념 모형에 자기 효능감 변인이 추가된 확장된 건강 신념 모형을 적용하여 대학생들의 코로나19 위험 인식과 신체활동에 대한 평가가 이들의 신체활동 참여에 미친 영향을 조사했다. 이 연구의 자료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서울대학교에 재학 중인 학부생에게서 수집했으며, 이들의 중강도 및 고강도 신체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친 변인들을 검증하기 위해 성별 층화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기술 통계 분석 결과, 중강도 신체활동에는 남학생이 평균적으로 여학생보다 많이 참여하였으나, 고강도 신체활동에는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많이 참여하였다. 다중 회귀 분석 결과, 대학생의 고강도 신체활동은 남녀 모두 신체활동에 대한 자기 효능감에 의해서만 유의하게 설명되었다. 한편, 중강도 신체활동의 경우 남학생은 신체활동에 대한 인지된 장애물에 의해, 여학생은 현재 건강 상태에 따른 코로나19 감염 가능성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연구 2에서는 계획된 행동 이론을 바탕으로 코로나19의 발생 전후 대학생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신념과 신체활동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코로나19 발생 이전에 수집된 자료와 마찬가지로 서울대학교 사회대학 또는 경영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로부터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3은 통합된 행동 모형을 근거로 행동의 현저성, 지식과 기술, 환경적 제약이 신체활동 참여 의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의도-행동 간 차이를 감소시키는지 검증하였다. 연구 3의 자료는 연구 2의 자료와 함께 세 차례에 걸쳐 수집되었다. 먼저,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하여 신체활동에 대한 신념을 도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신체활동 참여에 대한 인식, 의도, 신체활동의 현저성, 그리고 지식과 기술 등에 관한 응답을 수집했다. 약 한 달 후, 신체활동 참여 시간과 환경적 제약에 관한 자료를 수집했다. 연구 2의 분석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후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시간이 절반으로 감소했음에도 행동 의도는 증가했다. 이에 대해 건강 증진, 가족 구성원, 게으름이 영향을 주어 코로나19 발생 이전과는 완전히 달랐다. 연구 3의 결과, 신체활동의 환경적 제약과 지식과 기술은 신체활동 의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신체활동에 대한 설명력을 유의하게 높여주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코로나19 시대에 우리나라 대학생들의 신체활동 참여 행동에 관한 경험적 근거를 제공한 동시에 이에 관한 세 가지 이론의 한계와 발전 가능성을 제시한 데 의의가 있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of COVID-19 and physical activity (PA) on their intention and participation in PA. The extended health belief model with self-efficacy added to the health belief model was applied to examine the impact of risk perception of COVID-19 and evaluation of PA on PA participation in study 1.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survey of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Seoul National University. Gender-stratifi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moderate physical activity (MPA) and vigorous physical activity (VP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male students participated more in MPA than female students per week, but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more in VPA than male students on average.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self-efficacy was the only variable that significantly explained VPA in both male and female participants. On the other hand, perceived barriers of PA significantly affected to MPA among male students, whereas the likelihood of contagion of COVID-19 in current health state significantly affected MPA among female students. Study 2 compared PA beliefs and factors influencing PA participation before and after the COVID-19 outbreak based o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For this purpose, data were gather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enrolled in College of Social Science or Business School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Study 3 was based on the integrative behavioral model. It attempted to investigate whether salience, knowledge and skills,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of PA can decrease intention-behavior gap by interaction with intention to PA. Data for study 3 were collected three times with data for study 2. Beliefs about PA were elicited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and they were used to obtain answers regarding perceptions of PA, intention, salience of behavior, and knowledge and skills in the second survey. The third survey was conducted about one month after the second survey. In this survey, students were asked about PA behavior and environmental constrai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study 2, the intention to PA has been increased although PA participation time was reduced in half after the emergence of COVID-19. Moreover, it can be postulated that these outcomes are caused by salient beliefs of PA such as improvement of health, family members, and laziness, which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ones before the emergence of COVID-19. The results of study 3 showed that environmental constraints and knowledge and skills of PA significantly improved the explanatory power through the interaction with intention to PA.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for Korean university students’ PA behavior in the COVID-19 pandemic, at the same time showing the limitations and development potentials of the three theories of applicability in this pandemic crisis.

      • 코로나19 상황에 따른 한국 청소년 신체활동수준 추이분석

        유재훈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전, 후의 추이비교를 실시하여 한국 청소년의 신체활동 수준을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둔다. 2005년부터 교육부, 보건복지부, 질병관리청이 한국 청소년들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고자 매년 수행하는 청소년온라인건강행태조사(2016-2020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KYRBWS) 제12차(2016년)~제16차(2020년)까지 전국의 중고등학생 300,095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변인으로는 청소년 온라인건강행태조사 설문 중 신체활동에 관한 설문 ‘하루60분 이상 중강도 신체활동일수’와 ‘하루20분 이상 고강도 신체활동일수’를 이용하였고 코로나19 전·후의 추이 비교를 실시하기 위하여 복합표본설계 교차분석 방법을 (Rao-Scott χ2-test)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비교 분석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코로나19 시기 전(2016년~2019년)과 비교하여 코로나19 시기 후(2020년)에 두 가지의 신체활동 관련 변인(하루60분 이상 중강도 신체활동 일수, 하루20분 이상 고강도 신체활동 일수)모두 코로나 19시기 전과 비교하여 코로나19 시기 후 해당 변인 및 항목별로 뚜렷한 감소세를 나타냈다. 신체활동수준 변인 중 ‘하루60분 이상 중강도 신체활동 일수’는 최초자료수집연도(2016년)와 최근(2020)까지 비교하여 ‘신체활동없음’항목은 최초자료수집연도(2016년)부터 코로나19 직전 수집연도(2019년)까지 4년 동안 줄곧 35%~36%대를 유지하다 코로나19 후(2020년) 39.1%로 급상승하여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주1일 이상~주3일 이하’항목도 최초자료수집연도(2016년)부터 계속 감소 추세를 이어오다 코로나19 후(2020년)에 최저치를 기록하였다. ‘주4일 이상~주6일 이하’항목과 ‘주7일 이상’항목은 큰 변화가 없었다. 신체활동수준 변인 중 ‘하루20분 이상 고강도 신체활동 일수’는 최초자료수집연도(2016년)와 최근(2020)까지 비교하여 모든 항목에서 감소세가 뚜렷하였다. 먼저 ‘신체활동없음’ 항목은 최초자료수집연도(2016년)부터 2018년까지 23%후반에서 24%초반에 머무르다 코로나19 시기 후 수집연도(2020년)에는 39.3%로 최고치를 나타냈으며‘주1일 이상~주2일 이하’,‘주3일 이상~주4일 이하’, ‘주5일 이상’항목 모두 코로나19 이전 4개년도(2016년~2019년)의 최저치를 경신하였다.

      •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의 환경변화와 원격언어재활서비스

        이민정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global spread of the COVID-19 virus has changed the say of life of many people, which has also affected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environment. Due to the spread of social distancing, the method of telepractice service is gradually attracting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field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COVID-19 outbreak and the perceptions of speech-language pathologists regarding telepractice services. For this purpose, a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8 speech-language pathologists. The study participants selecte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from Daegu and Gyongbuk, who had experience in speech therapy before the outbreak of COVID-19.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ata collected after the interview, there are three main themes: ‘Change in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COVID-19 outbreak’, ‘ Telepractice services’, and ‘Prediction and preparation for th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 environment after COVID-19’, and 9 sub-themes, 126 concepts were derived. Due to the epidemic of COVID-19, speech-language pathologists were able to find out what changes they experienced in the field of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in detai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useful research data amid the growing need for remote language rehabilitation services due to the spread of infectious diseases, and will be helpful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elepractice services.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전 세계적인 확산은 많은 사람의 삶의 방식을 변화시켰고 이는 언어재활서비스 환경에도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거리 두기의 확산으로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방식이 점차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 현장의 변화와 원격언어재활서비스에 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에 대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언어재활사 8인과의 개별 심층면담을 통해 질적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참여자는 코로나19 발생 이전부터의 언어치료 경력이 있는 대구·경북의 언어재활사를 선정했다. 면담 후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코로나19 유행으로 인한 언어재활서비스의 변화’, ‘원격언어재활서비스’, ‘코로나19 이후 언어재활서비스 환경에 대한 예측과 대비’ 총 3개의 대주제와 하위주제 9개, 12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코로나19의 유행으로 인해 언어재활사는 언어재활서비스 현장에서 어떤 변화를 경험하였는지를 알아보고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발전 방향에 대해 구체적으로 탐색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전염병의 확산으로 원격언어재활서비스에 대한 필요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유용한 연구 자료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원격언어재활서비스의 발전에 기초자료로 도움이 될 것을 기대한다.

      • 코로나 19 확진자의 기저질환과 위중증 및 사망과의 관련성 : 질병관리청 임상역학정보(2020)를 이용하여

        오화영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Despite widespread vaccination agains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various problems, such as mutant viruses, breakthrough infections, and increased symptom severity, have been occurring.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patients with underlying diseases have different symptom severity and fatality rates than those without any such disease. However, studies on severe diseases in South Korea, have been limited to analyzing deaths, and their results cannot be accurately compared because they did not account for factors besides underlying diseases.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generate foundational information about the symptom severity and mortality of COVID-19 infection by correcting for demographic, health, and functional factors.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s results can be used to produce more effective quarantine and health policies. This study used clinical epidemiological information in 2020 provided by the Central Disease Control Headquarters of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The full dataset contained data about 5,628 people, but only data about 5,077 people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SAS version 9.4 was used to conduct univariate analyses, namely descriptive analysis, and chi-square tests, and multivariate 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mult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ree models. Model 1 analyzed how factors related to underlying diseases were related to symptom severity and to mortality. Model 2 was the same as Model 1 except that it also corrected for demographic and social factors. Model 3 was the same as Model 2 except that it also corrected for health and functional status factors. The ratio of men and women between the critical and death groups was 7.1% for men and 4.5% for women. A comparative analysis by gender was conducted and a model for the final multicollinearity analysis was developed and analyzed. In the multivariable analysis, Model 3, which corrected for all variables examined in this study, showed that symptom severity and mortality rat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higher in both men and women with severe and chronic kidney disease, cancer, rheumatism and autoimmune diseases, and women compared to chronic kidney disease. This study was a large-scale retrospective cohort observational study of all confirmed COVID-19 patients in South Korea. It identified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COVID-19 infection. It wa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underlying disease factors and clinical severity, compared this relationship by gender, and comtrolled for various variables. This study’s results can be used to develop better health policies, such as identifying and developing different policies for high-risk groups according to their underlying disease-related factors. In the future, different health care policies, such as related to education, and management practices may need to be developed for high-risk groups. It is hoped that this study’s results can serve as the foundation for such policies and changes, ultimately reducing human and economic losses caused by COVID-19 and helping to better protect people’s lives and health.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백신 접종 시행에도 불구하고 변이 바이러스, 돌파 감염, 중증화율 증가 등 다양한 보건학적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선행연구에 따르면,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코로나19 감염의 중증도와 치명률의 차이를 보인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국내 선행연구에서는 사망자로 국한된 연구로 위중증군에 대한 분석이 부족하였으며, 기저질환 외의 다른 요인을 보정하지 않아 정확한 비교가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로나19 확진자를 대상으로 인구사회적 요인과 건강 및 기능상태 요인을 보정하여 기저질환과 위중증 및 사망과의 관련성을 분석함으로써 코로나19 방역 대책과 보건정책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의 임상역학정보(2020)를 이용하였으며, 총5,628명 중 5,077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를 사용하였으며, 기술 분석 및 카이제곱 검정을 이용한 단변수 분석,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한 다변수 분석을 시행하였다. 다변수 분석의 경우 3개의 모형으로 나누어, 기저질환 요인과 위중증 및 사망군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모형1, 인구사회적 요인을 보정한 모형2, 건강 및 기능상태 요인을 추가로 보정한 모형3으로 구성하였다. 그리고 연구 대상자의 위중증 및 사망군 간의 남녀 비율로 남성은 7.1%, 여성은 4.5%로 남녀 간 성별의 차이가 있어 성별 간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으며, 변수 선택과 다중공선성 확인 과정을 거쳐, 최종 다변수 분석을 위한 모형을 확정하여 분석하였다. 다변수 분석에서 모든 요인을 보정한 모형3의 경우, 남녀 모두 당뇨병, 치매 유병군에서 비중증군 대비 위중증 및 사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 남성은 암, 류마티스 및 자가면역질환 유병군, 여성은 고혈압, 만성신장질환 유병군에서 비중증군 대비 위중증 및 사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본 연구는 국내 코로나19확진자 전체를 대상으로 한 대규모의 후향적 코호트 관찰 연구로서, 코로나19 감염과 국내 확진자의 인구적 특성을 반영한 대표성을 띈 연구이다. 기저질환 요인과 임상 중증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함에 있어, 각 요인에 따른 영향을 통제하였고 성별 간 비교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코로나19감염의 위중증 및 사망과 관련이 있는 기저질환 요인을 고위험군으로 분류하여 방역대책에 활용하는 등 보건정책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향후 고위험군에 해당하는 기저질환자에 대한 교육과 홍보 및 고위험군 환자에 대한 선제적 관리와 같은 다각화된 보건의료정책이 필요할 수 있다. 본 연구가 이러한 보건의료정책의 기초자료로 제공되어,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사회적 손실을 줄이고,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보호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경험과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박주희 영남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경험과 스트레스가 대학생의 진로타협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국에 있는 대학생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29명의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여자 대학생이 남자 대학생보다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경험 정도를 더 크게 인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가정형편이 매우 좋은 대학생이 가정형편이 좋거나 보통인 대학생보다 진로타협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을 보면 4학년, 여학생, 가정형편이 좋지 않은 학생이 진로준비행동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경험의 영향을 많이 받을수록 적극적으로 진로타협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코로나19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진로준비행동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코로나19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는 상대적으로 재난에 취약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진로 지원에 집중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코로나19로 인한 부정적 경험의 영향과 코로나19 스트레스를 많이 받은 대학생들이 진로발달과정에 공백이 생기거나 압박감으로 성급하게 진로준비에 내몰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적극적인 진로상담과 지원을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 코로나19가 중국의 대 미국 수출에 미치는 영향

        허숭언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2020년 발생한 코로나19는 전세계 여러 나라 경제에 커다란 악영향을 미쳤다. 세계 2위의 국내총생산(GDP)를 가진 중국도 대외무역업에서 심각한 악영향을 받았다. 특히, 미국에 대한 수출은 미국수요감소 측면뿐만 아니라 노동력, 자금, 기술 등의 공급 측면에서도 부정적으로 영향을 받았다. 이런 배경하에서 코로나19가 중국의 대미 수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중·미 무역의 추이를 정리하고, 코로나19 전 중국의 대미 수출 현황 및 코로나19 발생 후 중국의 대미 수출 현황의 비교를 통해 코로나19가 중국의 대미 수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한편, 중국의 대미 수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중국의 대미 수출액, 중국GDP, 중국CPI, 미국GDP, 미국CPI, 위안화 환율을 설정하였고, 이와 함께 중국과 미국의 코로나19 발생 기간을 코로나 더미변수로 추가 설정하였다. 모형 추정에 대해 사용되는 자료는 2002년부터 2020년까지의 분기별 데이터이다. 모형 추정에 앞서 단위근 검정(unit root test) 및 공적분 검정(cointegration test)을 시행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오차수정모형(error correction model)을 활용하여 계량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중국의 코로나19 발생기간에는 중국의 대미 수출이 억제된 반면, 미국의 코로나19 발생기간에는 중국의 대미 수출이 증가했음을 알 수 있다.

      •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이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건강신념의 매개효과

        임채원 서경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30대 직장여성이 지각하는 코로나19 위험이 건강신념과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코로나19 위험지각이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건강신념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실제 뷰티 및 헬스케어 산업현장에서 뷰티헬스행동을 촉진할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본 조사는 현재 서울, 경기, 충청, 전라에 거주하는 20대∼30대 직장여성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29일부터 4월 28까지 31일간 온라인 설문지 총 586부 중 주요 측정항목에 대한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한 578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의 처리방법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과 Baron & Kenny의 3단계 검증을 실시하였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의 결과는 20대가 45.8%, 주거지역은 서울이 69.0%, 학력은 전문대 졸업이 54.7%, 결혼상태는 미혼이 94.8%, 직업은 전문, 기술직이 55.0%, 월평균 뷰티케어 관리비용은 10∼20만 원 미만이 33.6%, 월평균 헬스케어 관리비용은 10만 원 미만이 39.1%로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 건강신념, 뷰티헬스케어행동의 수준은 사회적 위험지각 4.19점, 지각된 취약성 4.29점, 화장품사용행동 3.76점 순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이 건강신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코로나19 위험지각의 신체적 위험지각(=.388, p<. 001), 사회적 위험지각(=.380, p<.001) 순으로 지각된 심각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사회적 위험지각(=.442, p<.001), 신체적 위험지각(=.161, p<.001), 경제적 위험지각(=-.086, p<.05) 순으로 지각된 취약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신체적 위험지각(=.328, p<.001), 사회적 위험지각(=.326, p<.001), 경제적 위험지각(=-.151, p<.001) 순으로 지각된 혜택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경제적 위험지각(=.479, p<.001), 신체적 위험지각(=.278, p<.001), 사회적 위험지각(=.070, p<.05) 순으로 지각된 장애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20∼30대 직장여성의 건강신념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건강신념의 지각된 장애(=.356, p<.001)만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신념의 지각된 장애(=.452, p<.001), 지각된 취약성(=-.131, p<. 01) 순으로 헬스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신념의 지각된 혜택(=.149, p<.01), 지각된 장애(=.126, p<.01), 지각된 취약성(=.114, p<.05) 순으로 화장품사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이 뷰티헬스케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코로나19 위험지각의 경제적 위험지각(=.397, p<.001), 사회적 위험지각(=.099, p<.05) 순으로 뷰티헬스케어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경제적 위험지각(=.406, p<.001), 신체적 위험지각(=.101, p<.05) 순으로 헬스관리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사회적 위험지각(=.220, p<.001), 경제적 위험지각(=.189, p<.001) 순으로 화장품사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의 경제적 위험지각(=.227, p<.001), 신체적 위험지각(=-.136, p<.01) 순으로 피부미용행동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건강신념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심각성은 사회적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 중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심각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신체적 위험지각과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혜택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혜택은 사회적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며, 경제적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 중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혜택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혜택은 경제적 위험지각과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며, 신체적 위험지각과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 중 화장품사용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혜택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혜택은 사회적 위험지각, 경제적 위험지각과 화장품사용행동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장애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장애는 사회적 위험지각, 경제적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 중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에서 지각된 장애의 매개효과를 알아본 결과, 지각된 장애는 경제적 위험지각과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며, 신체적 위험지각과 헬스관리행동과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20∼30대 직장여성의 코로나19 위험지각이 높을수록 건강신념과 뷰티헬스케어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건강신념이 높을수록 뷰티헬스케어행동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건강신념은 코로나19 위험지각과 뷰티헬스케어행동과의 관계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뷰티헬스케어행동을 하는 데 있어서 시간적, 경제적 어려움과 같은 장애 요인를 해소하기 위해 20∼30대 직장여성을 위한 접근성이 높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온라인 플랫폼 등으로 뷰티와 건강을 복합적으로 지원하여 뷰티헬스케어행동을 통해 지각하는 혜택이 높아진다면 이는 동기를 유발함으로써 뷰티헬스산업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COVID-19 risk perceived by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on their health belief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and also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lief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Also,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programs that could promote the beauty health behaviors in the actual beauty & health care industrial sites.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for 31 days from March 29th to April 28th 2021, targeting the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currently residing in Seoul, Gyeonggi, Chungcheong, and Jeolla. Total 578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after excluding eight questionnaires with insincere responses to the major measurement items from 586 questionnaires. As the data-processing methods, the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Baron & Kenny’s three-step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based on the contents above are as follows. First, i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the highest percentages were shown in the 20s(45.8%) for age, Seoul(69.0%) for residential area, graduation from college(54.7%) for level of education, the unmarried(94.8%) for marital status, professional & technical work(55.0%) for occupation, 100,000∼200,000won(33.6%) for monthly average beauty care expenses, and less than 100,000won(39.1%) for monthly average health care expenses. Second, in the level of COVID-19 risk perception, health belief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it was highly shown in the order of social risk perception(4.19), perceived susceptibility(4.29), and cosmetics use behaviors(3.76). Third,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OVID-19 risk perception on health belief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the physical risk perception(=.388, p<.001) and social risk perception(=.380, p<.001)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severity. The social risk perception(=.442, p<.001), physical risk perception(=.161, p<.001), and economic risk perception(=-.086, p<.05)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The physical risk perception(=.328, p<.001), social risk perception(=.326, p<.001), and economic risk perception(=-.151, p<.001)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benefits. The economic risk perception(=.479, p<.001), physical risk perception(=.278, p<.001), and social risk perception(=.070, p<.05)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perceived barriers. Fourth,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health belief on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only the perceived barriers(=.356, p<.001) of health belief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arriers(=.452, p<.001) and perceived susceptibility(=-.131, p<.01) in order of health belief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enefits(=.149, p<.01), perceived barriers(=.126, p<.01), and perceived susceptibility(=.114, p<.05) in order of health belief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smetics use behaviors. Fifth,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effects of COVID-19 risk perception on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the economic risk perception(=.397, p<.001) and social risk perception(=.099, p<.05)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economic risk perception(=.406, p<.001) and physical risk perception(=.101, p<.05)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health care behaviors. The social risk perception(=.220, p<.001) and economic risk perception(=.189, p<.001)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smetics use behaviors. The economic risk perception(=.227, p<.001) and physical risk perception(=-.136, p<.01) in order of COVID-19 risk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skin beauty care behaviors. Sixth,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belief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the perceived severity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severity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o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it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enefits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enefit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and also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enefits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o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enefit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and also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enefits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cosmetics use behaviors o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enefit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risk perception and cosmetics use behaviors, and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cosmetics us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arriers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arrie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social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and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barriers o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of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e perceived barriers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economic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and also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 between physical risk perception and health care behaviors.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when the COVID-19 risk perception of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was higher, the health belief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got higher. And when the health belief was higher, the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also got higher. Also, the health belief played the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 between COVID-19 risk perception and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Thus, if the perceived benefits are increased through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by complexly supplying the beauty and health based on the highly-accessible mobile application and online platform for working women in their 20s∼30s for relieving the barriers to beauty health care behaviors such as temporal & economic difficulties, it could be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 beauty heath industry through the motivation.

      • 국내관광 선택속성과 코로나19 위험지각, 방문의도의 구조적 관계 : 정부 코로나19 대응평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지영근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코로나19는 우리 삶의 많은 부분을 변화시켰으며, 관광의 형태와 관광지 선택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그리고 질병에 대한 위험지각 역시 관광행동과 관광선택에 다양한 변화를 야기하고 있으며, 정부의 질병 및 위험에 대한 대응평가도 관광객들의 행동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광객들이 지각하는 국내 관광지 선택속성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파악하고, 코로나19라는 전염성 질병으로 인한 위험지각과 방문의도 간에 어떠한 연관성을 가지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코로나19로 인하여 잠재적 관광객으로 하여금 장기간 각인되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질병 위험지각이 정부의 코로나19 대응평가와 상호작용하여 관광지 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 다가올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관광 활성화를 위한 정부의 역할과 지역관광마케팅 방향에 대한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대 이상의 내국인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2021년 10월 4일부터 10월 2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실증분석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적 관광소비자들은 관광지를 선택함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목적지의 방역수준과 방역관련정보를 중요하게 고려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현재 잠재적 관광객들은 관광지 내 마스크 의무착용과 같은 현지의 방역관리 정책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있으며, 목적지의 코로나19 확진자 추이와 같은 현지의 방역 정보가 관광지 선택의 기준으로 변화되어진 것이다. 따라서 관광마케터는 잠재적 관광객의 선택기준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철저한 방역관리와 투명한 방역정보 제공을 기본적인 관광마케팅의 도구로 삼을 필요가 있다. 둘째, 국내관광지 선택속성 중 접근성과 방역수준이 지각된 전염성과 지각된 심각성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광지의 선택에 있어서 목적지의 접근성이나 방역수준을 중요하게 고려하는 관광객들은 코로나19로 인한 전염의 우려와 감염병 확산에 대한 심각성을 높게 인식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추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관광지 접근성과 방역수준에 대한 개선 및 관리를 통하여 잠재적 관광객의 코로나19에 대한 감염 우려와 위험지각이 악화되지 않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셋째,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지각을 전염성과 심각성으로 분류하고 관광지 방문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결과, 전염성과 심각성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을수록 관광지 방문의도가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전염성에 대한 위험지각이 높아질수록 방문의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결과는 코로나19라는 질병 감염에 대한 두려움을 높게 인식할수록 관광활동을 자제하려는 자연적 심리변화로 볼 수 있다. 따라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관광객의 유입이 절실한 관광지일수록 철저한 방역관리는 물론이고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하여 얻어진 감염확산 감소 효과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고 신속하게 제공하여 잠재적 관광객으로 하여금 심리적 불안감이 해소될 수 있도록 관광마케팅 전략을 세울 필요가 있다. 넷째, 본 연구에서 주목한 지각된 위험과 방문의도의 관계에서 정부 코로나19 대응평가의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지각된 전염성이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에서 정부 코로나19 대응평가의 유의한 조절역할이 확인되었다. 그러한 조절효과의 방향성에서는 정부의 대응을 높게 평가하는 경우에 위험지각으로 인해 관광지 방문의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나타나지 않았지만 정부의 대응을 낮게 평가할수록 질병 전염의 위험지각으로 인해 관광지 방문의도가 낮아지는 현상이 더욱 낮아지는 부정적(-) 강화 현상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부의 코로나19에 대한 대응이 적절하지 못하고 신뢰할 수 없다고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경우에는 질병 감염에 대한 우려인식이 높아지며 관광지 방문을 위험행동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결국 개인이 자신의 삶과 관련된 주요한 질병에 대한 위험성을 지각하면서 미래행동을 계획할 경우에 그 질병을 관리하는 정부라는 주체에 대한 평가와 상호작용하여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으로서, 국가적 재난을 관리할 뿐만 아니라 자신이 행동할 거점인 관광목적지를 직․간접적으로 관리하는 정부를 동일한 주체로 인식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해보면, 현재 잠재적 관광객들은 관광지 선택에 있어서 목적지의 방역수준을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고 있으며, 그러한 관광지 방역수준의 중요도는 코로나19 위험지각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고 위험지각으로 인하여 관광지 방문의도가 감소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다. 여기에 정부의 코로나19 대응을 부정적으로 평가하게 되면 관광지 방문의도가 감소되는 현상이 더욱 강하게 감소되어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정부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지속가능한 관광산업 촉진을 위해 잠재적 관광객의 관광지 방문의도가 감소되지 않도록 현재는 물론이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의 상황에서도 감염병과 관련된 위험정보를 투명하고 신속히 공개하거나 국민의 위험인식을 경청하고 소통하는 등의 재난관리정책을 통하여 국민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재난대응에 대한 신뢰를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COVID-19 has brought changes to many aspects of our lives and is causing many changes in the forms of tourism and the choice of a tourist destination. The perceived risk of diseases is also causing various changes to tourist behavior and choices, and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 to diseases and risks also causes changes to tourist behavior. Thus,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changed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of tourists and further analyzes the effects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on perceived COVID-19 risk and visit intention. The study also aims to test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s to COVID-19 on these influential relationships to understand tourist behavior in relation to diseases and changing environments and provide implications needed by the concerned academic and business circles. For this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300 male and female adults in their twenties or older that have lived in the nation for ten days in total from October 4~13, 2021. Collected data was used in an empirical analysis.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and AMOS programs.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perceived COVID-19 risk, intention to visit domestic tourist destinations, and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 to COVID-19. This was follow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to test the measurement instruments in terms of validity and reliability and b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converg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as preliminary analysis to test the hypothesis. In additio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arried out to test the hypothesis, and inter-group causal relationship analysis and significance testing followed to analyze the moderating effects. The results of hypothesis testing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level of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one of the domestic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perceived severity, a subfactor of perceived COVID-19 risk; second, domestic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ad no direct impacts on the intention to visit a tourist destination; third, perceived severity, a subfactor of perceived COVID-19 risk, had significant negative (-) effects on the intention to visit a domestic tourist destination; finally,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s of perceived COVID-19 risk on visit intention. When the government's responses to COVID-19 were highly evaluated, the higher perception of perceived severity led to the reduced intention to visit a domestic tourist destination. Based on these analysis results, the study offers the following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as for its academic contributions, first, the study divided perceived COVID-19 risk into perceived severity and perceived contagiousness and tested actual effectiveness and influence, thus demonstr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measurement items in perceived risk related to COVID-19 and infectious diseases; second, selected attributes were divided into four dimensions, including the level of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along with the old ones such as natural environment, culture and society, and accessibility. In particular, the study tested the effectiveness of the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level to provide the criteria of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third, the study measured the perceptions of the tourism consumer on the government's responses or the evaluation of its responses to COVID-19 and tested their roles as a moderating variable, thus introducing the government's response and role into the risk of various tourist environments. As for practical implications, first,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of domestic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show that accessibility scored the highest importance points at 4.129, which raises a need to reflect the importance that tourism consumers place on accessibility, including transportation and road networks in domestic tourism. The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level also scored high importance points at 4.012, which implies that tourist destinations and facilities should be thorough with their management and responses of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against infectious diseases such as COVID-19; second, as the epidemic prevention and control level, one of the destination selection attributes, had significant positive (+) effects on perceived severity, it is important to open the epidemic prevention, control, and management level of a tourist destination or facility transparent to the public and demonstrate high epidemic prevention, control, and management level than compliance with the government's guidelines; third, the study categorized perceived COVID-19 risk into perceived severity and contagiousness risk and analyzed their effects on the intention to visit a tourist destination, finding that a higher perceived severity led to a lower intention to visit a tourist destination. These results show natural psychological changes to refrain from tourist activities according to a higher perception of risk in the spread of the epidemic along with fear for contracting COVID-19. In the post-COVID-19 era, tourist destinations desperate for the inflow of tourists should set a tourism marketing strategy to resolve the psychological anxiety of potential tourists b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the effects of social distancing on the reduced spread of infection in a transparent and accurate manner as well as thorough epidemic prevention, control, and management.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spread of infection at tourist destinations, in particular, makes potential tourists feel the severity first-hand. When successful epidemic prevention, control, and management generate effects and reduce the severity of infectious spread at tourist destinations,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resulting epidemic prevention, control, and management level and its effects should be utilized in tourism marketing so that it can attract potential tourists in the post-COVID-19 era; finally, the study tested the moderating effects of the evaluation of the government's responses to COVID-19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risk and visit intention and found that it had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n the influences of perceived severity on visit intention. When the government's responses are highly evaluated, higher perceived severity leads to the reduced intention to visit a domestic tourist destination. When people believe that the government has made proper and reliable responses, they have high perceptions of the government's announcements and severity and tend to reduce risky activities, including the intention to visit a tourist destination. Since the government's responses can have impacts on tourists visits and sales at domestic tourist destinations, the government needs to be careful about its responses to the COVID-19 situation. The government's COVID-19 policies can, in particular, determine the sales and survival of dining, service, and tourism industries, which raises a need for the government to make more accurate and effective responses.

      • 코로나19로 인한 마스크 착용이 여성들의 메이크업 및 피부상태에 미치는 영향

        난살마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COVID-19, which has shown a large and long risk in the world, is still socially dangerous from 2020 to 2022.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nounced rules for distancing society wearing masks to reduce the spread of COVID-19. So, it became necessary to wear a mask. More and more people are starting to raise skin problems and change their daily lives because they wear masks indoors. In many changes, more and more people are going out without makeup as they use masks. In addition, acne and dermatitis have emerged as the most common skin diseases in skin problems, and they are changing from makeup to makeup. Therefore, this study examined changes in lifestyle before and after COVID-19 for domestic women through empirical analysis, looked into the makeup of wearing a mask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looked into the skin condition of wearing a mask before and after COVID-19. The data collection of this study was analyzed as an SPSS program using Google forms for a total of 12 days from April 16 to April 28, 2022.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as an analysis technique, and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whether there were any changes in lifestyle, makeup, and skin conditions before and after COVID-19. In addition, cross-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perception of skin changes due to mask wear after COVID-19 and to find out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In terms of age, 91 people in their 20s (33.5%) and 91 people in their 40s (33.5%) were the most common, followed by 68 people in their 30s (25.0%), and married couples were similar. The main types of masks were KF94/N95 188 people (69.1%), and the daily mask wearing time was high at 91 people (33.5%) for 6-8 hour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nalyzing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variables before and after COVID-19, sleep time has increased since COVID-19, and sleep time has accelerated since COVID-19. In addition, it can be seen that the weekly outing time has decreased since COVID-19, and the daily outing time has decreased after COVID-19. After COVID-19, it can be seen that makeup is not applied or eye makeup is increased, and after COVID-19, makeup is applied once/week, so the number of makeup is relatively reduced, and after COVID-19, the number of makeup is reduced because it is uncomfortable due to masks. Before COVID-19, basic makeup was focused on strengthening skin elasticity or whitening, while after COVID-19, basic makeup was focused on moisture management.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that more than 50% prefer to finish naturally, although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fore and after COVID-19. Before COVID-19, lip makeup was mainly used to lighten the color, but after COVID-19, transparent lip balms were mainly us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from the change when expected. Therefore, in the minute study, it can be said that there is a change in lifestyle in makeup or skin condition. It seems true that many people think that the only place where free makeup is possible on a face covered with a mask is the eyes. 전 세계 각국에서 높은 파급력으로 대유행하고 있는 코로나19는 2020년에서 2022년 현재까지 장기화되면서 사회적, 정신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코로나19의 감염률을 감소시키기 위해 마스크 착용과 사회적 거리 두기 수칙을 공표함에 따라 마스크를 필수적으로 착용하게 되었다. 출, 퇴근이나 외출 시 마스크의 오랜 착용으로 많은 사람들이 여드름과 피부염 등의 피부트러블을 겪는 이들이 늘어나는 추세다. 또한 마스크를 착용하면서 메이크업을 하지 않고 외출하는 여성들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국내 여성들 대상으로 코로나19 전·후에 의한 생활 습관 변화를 살펴보고, 코로나19 인한 전·후 마스크 착용이 메이크업과 피부 상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마스크 착용한 총 272명 여성을 대상으로 2022년 04월 16일부터 04월 28일까지 총 12일에 걸쳐 google forms를 사용하여 SPSS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기법으로는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코로나19 전·후의 생활 습관, 메이크업, 피부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시행하였고, 코로나19 이후 마스크 착용에 따른 피부 변화 인식에 대해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교차분석을 시행하였다. 연령대는 20대 91명(33.5%), 40대 91명(33.5%)이 가장 많았고, 그 뒤로는 30대 68명(25.0%)으로 나타났고, 결혼 여부는 기혼과 미혼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주 착용 마스크 종류는 KF94/N95 188명(69.1%)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하루 마스크 착용 시간은 6~8시간 91명(33.5%)으로 높게 나타났다. 코로나19 전·후 변수 간의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코로나19 이후 수면시간이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고, 코로나19 이후 취침 시간이 빨라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코로나19 이후 주 외출 시간이 줄어든 것으로 볼 수 있고 코로나19 이후 하루 외출 시간이 줄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 코로나19 이후에는 메이크업하지 않거나, 아이 메이크업에 중점을 둔 메이크업이 늘어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코로나19 이후에는 주 1회 정도 메이크업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비교적 메이크업 횟수가 줄어든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리고 코로나19 이후에는 마스크 오랜 시간 착용으로 인해 메이크업 횟수가 감소한 것으로 볼 수 있고, 코로나19 이전에는 피부 탄력 강화나 미백에 중점을 두고 기초 메이크업을 한 반면, 코로나19 이후에는 수분관리에 중점을 두고 기초 메이크업을 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코로나19 이전이나 코로나19 이후 모든 면에서 다소 차이는 있으나 50% 이상이 내츄럴하게 마무리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코로나19 이전에는 색을 연하게 하는 립 메이크업을 주로 하였으나 코로나19 이후에는 투명 립밤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결과를 보면 예상한 대로 코로나19 전·후로 메이크업이나 피부 상태, 생활 습관 등의 변화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국 주지사와 상원의원의 트위터 활용분석: 코로나-19시기를 중심으로

        최석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코로나-19를 비롯한 재난상황에서 정부는 재난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소셜미디어, 특히 Twitter를 점점 더 많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의 재난 대응에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시기에 미국의 주지사와 상원의원이 누가, 얼마나, 어떤 내용으로 트위터를 행정에 활용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주지사와 상원의원의 (1) 전체 트윗수, 코로나-19시기 트윗수, 팔로잉수, 팔로워수, (2) 소속정당(공화당, 민주당)에 따라 트윗 내용의 의미론적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2가지 연구문제를 구성했다. 본 연구는 2020년 01월 19일부터 2022년 04월 23일까지 미국의 50개주 주지사 48명과 상원의원 99명의 트윗을 크롤링하여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주지사와 상원의원의 소속정당에 따라 어떤 내용으로 트윗을 작성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 의미네트워크분석(단어빈도분석, 중심성 분석, CONCOR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코로나-19시기에 주지사와 상원의원에 따라 트위터 활용수준의 차이가 크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지사와 상원의원의 전체 트윗수, 팔로잉수, 팔로워수에 비해 코로나-19시기 트윗수의 표준편차가 매우 작은 것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주지사와 달리, 상원의원은 소속정당에 따라 코로나-19 키워드 트윗 내용에 의미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지사의 소속정당에 상관없이 코로나-19 키워드 트윗 내용은 건강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민주당과 달리, 공화당 소속 상원의원의 코로나-19 키워드 트윗 내용은 바이든 행정부와의 정치적 갈등과 경제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그동안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위기상황에서 트위터의 활용은 신속한 정보전달과 함께 시민들로부터 정부신뢰를 제고할 것이라는 전망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정치인의 소속정당에서 기인한 정보편향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코로나-19와 같은 사회적 혼란과 불확실성이 높은 상황에서 정부가 트위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연방정부 차원에서 가이드라인을 마련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또한, 본 연구는 한국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의 정부들이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위기상황에서 소셜미디어를 활용하는데 참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Governments are increasingly using social media, especially Twitter, to provide information during crisis events, including the COVID-19 pandemic. However, there is lack of research on how governments respond to crises, such as the COVID-19 pandemic, using social media.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governors and senators who used Twitter for administrative purpos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the extent to which they did so, and the content published. That is, this study set Research Questions to determine (1) differences between the governors’ and senators’ total number of tweets, number of tweets during the COVID-19 period, number of followings and number of followers, and (2) semantic differences in the tweets’ content based on political party (Republican and Democratic). This study crawled tweets of 48 governors and 99 senators across 50 US states from January 19, 2020, to April 23, 2022, and examined them using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Additionally, this study analyzed their content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text-mining, word frequency analysis, centrality analysis, and CONCOR analysis were also performed. As a result, this study fou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witter usage level between the governors and senators of both political parti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s the standard deviation of tweets during COVID-19 was no significant compared to the total number of tweets, number of followings, and number of followers. Further, while no semantic difference existed in the content of governors’ COVID-19 keyword tweets depending on their party, such a difference was found for senators. This is because all governors’ tweets focused on health, while Republican senators’ tweets also focused on the economy and political conflict. Therefore, although governments can use Twitter for rapid information dissemination and trust building, information bias can occur depending on the communicating official’s party affiliation. Therefore, federal guidelines are needed regarding active use of Twitter during crises. This study can serve as a reference for other countries’ governments, such as South Korea, in using social media during cris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