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유아의 환경지식·태도와 어머니의 환경관심도·실천도의 관계연구

        송명선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1919

        인간은 오랫동안 환경 속에서 살아오면서 너무나도 당연하게 자연을 이용하며 살아왔다. 그러나 최근에는 인류의 산업화 활동으로 지구 환경이 급속도로 변화되면서 자연의 평형을 상실시키고, 생활환경을 악화시켜, 인류의 생존에 위협을 가져오는 환경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본 논문은 유치원생과 어머니들의 환경인식 실태를 살펴보고 바람직한 환경교육의 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실태조사는 유아 및 어머니를 통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유아들의 환경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 유아들은 성별에 따른 환경에 대한 태도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남·여아 모두 비교적 환경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환경에 대해 지식이 많은 유아일수록 환경에 대한 태도가 올바르다는 결과를 볼 수 있었다. 이는 환경지식과 태도가 상관관계가 있으므로 지식의 습득과 행동의 변화가 조화된 학습 방법이 조화롭게 이루어져야 함을 암시하고 있다. 둘째, 어머니들은 환경문제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있었으며 지역의 오염보다는 우리나라의 오염정도를 더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적극적인 참여행동으로 실천에 옮기는 정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에 대한 부모의 관심도와 실천도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나 환경에 대한 관심이 많은 부모일수록 생활 속에서 환경보호를 위한 실천을 잘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환경교육은 인간을 대상으로 그들의 행동 수정을 교육의 힘에 의지하지 않을 수 없다는 신념에서 출발하며, 자신과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바르게 인식하여, 환경을 보전할 수 있는 태도 및 지식과 기능을 습득하고, 환경보전을 실천할 수 있는 인간으로 길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지속적인 환경교육의 필요성을 말해주고 있는 것이다. 셋째, 어머니의 환경에 대한 관심도와 실천도 둘 다 유아의 환경지식과 상관관계가 있다고 볼 수는 없었다. 그러나 어머니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유아의 환경에 대한 태도와는 상관이 있게 나타났다. 유아의 태도 변화가 지속적인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유치원에서의 교육이 가정이나 지역과 연계될 때 유아 스스로가 보다 더 큰 사회조직의 작은 하나임을 깨달을 수 있다. 환경교육은 특정한 하나의 교과나 영역으로 다루어질 수 있는 학문분야가 아니라 평생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과정이고, 어디서나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환경교육 방법이 필요하고 가정의 역할이 대두된다. 즉, 체험활동 중심의 구체적인 환경보전활동을 가정에서 해 주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넷째, 바람직한 유치원 환경교육을 위해서 지식의 습득과 행동의 변화가 조화된 학습 , 목표나 집단에 따라 다른 교수-학습이 모색되어야 한다. 유아들에게는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시청각 자료와 다양한 교구 및 체험을, 어머니에게는 실생활과 연관된 환경교육을 실시하여야 한다. 즉, 형식적인 교육이 아닌 "생활 속에서" "환경 속에서"의 교육이어야 한다. 또한 어머니의 환경인식이 유아의 행동변화에 영향을 주므로 어머니 대상 환경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 되어야 하겠다. 유아들은 가정생활을 통해 자연 속에서의 아름다움, 생명들에 대한 경외감과 사랑을 함께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해야 한다. 이상 유아와 어머니의 환경 인식실태를 살펴본 결과 대부분의 유아 및 어머니들은 현재의 환경에 대해 심각하게 우려함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심각하다고 생각하는 만큼 적극적인 실천은 하지 않아 말과 행동이 대조를 이루었다. 그러나 다행히 환경교육에 참여할 의사가 있다고 대부분 응답하여, 유치원에서 어머니들의 환경 문제에 대한 의식과 환경교육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어머니 환경교육을 한다면 지금까지의 환경교육보다는 좀 더 효과적인 결과를 기대해 볼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A human being has lived in the environment utilizing the nature for a long time. Recently, environmental problems has been seriously risen by changing global environment rapidly due to industrialization activity of human beings, leading to natural imbalance and deteriorated life environment.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examine the actual condition for environmental recognition of mothers and early childhood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a desirable environmental educa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are as follows: The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female and male early childhood on the behavior for environment with relatively high environmental understanding. Especially, the more they understand the environment, the better they have behavior for the environment. This result implies that learning method containing acquirement of knowledge harmonized with change in behavior is required because environmental knowledge is correlated with behavior. The second, mothers recognized that national environmental pollution is more serious than local environmental pollution. However, they scarcely tried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The more they are interested in environment, the more they make an effort to protect environment in their lives. Environmental education aims at fostering men to practice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to acquire knowledge, behavior and ability for environmental preservation with right understanding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This result suggests the necessity of continuous environmental education. The third, the concern and practice for the environment of mothers was not correlated with knowledge for the environment of early childhood. However, the environmental recognition of mothers was correlated with the behavior for the environment ofearly childhood.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should be connected with home education and local education to attain continuous alteration in behavior of early childhood. The forth, to achieve a desirable environmental education in the kindergarten, the learning method containing acquirement of knowledge harmonized with change in behavior, that is, different education method depending on groups and goals, should be developed. The early childhood should be educated with audio and video materials, different teaching aids and experience while the environmental education for mothers should be connected to their real life. In addition,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for mothers should be activated because environmental recognition of mothers influences change in behavior of early childhood. Mothers should help their children (to) have a chance for experiencing the beauty of nature, awe and love for lives through family life. As a result of the present investigation, most of mothers and early childhood were seriously concerned about the current environment. However, they hardly acted to solve the environmental problems. Fortunately, mothers answered to have a mind to participate in the environmental education.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systematical and continuous environmental education including their requirements may provide more effective result than the present education.

      • 職務特性, 知識經營시스템構築, 職員成果의 關係分析 : 會計情報시스템品質의 調節效果를 中心으로

        서용욱 가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1919

        Corporations have invested in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since knowledge is today’s capital and knowledge capital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sets. Today,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are based on information system which is the key in gaining an advantage in decision making and evaluating performance. This study developed and tested on the relationships among job characteristics, knowledge management and employee performance. In particular, moderating effects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quality between job traits and knowledge management, and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employee performance and mediating effects of knowledge management building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mployee performance have been analyzed. The factors for research variables used in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Structuring, suitability, interdependence, autonomy and difficulty were used for job characteristics’s factors. Knowledge accumulation and sharing were used for factors of knowledge management building. Innovation performance, in-role performance and extra-role performance were used for employee performance’s factors.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that were collected from 350 employees of 28 relatively small manufacturing companies. Finding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job characteristics such as suitability, interdependence, autonomy and difficulty had exert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knowledge accumulation. Second, structuring, interdependence, and autonomy had exert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knowledge sharing, but suitability and difficulty had not exerted significant influences on knowledge sharing. Third, knowledge management factors such as knowledge accumulation and sharing were positively related to employee performance such as innovation, in-role and extra-role performance. Fourth, suitability, interdependence, autonomy and difficulty had exert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innovation performance. Structuring, interdependence, and autonomy had exerte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in-role performance as well as on extra-role performance. Fifth,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 quality had no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knowledge management and also between knowledge management and employee performance. Finally, knowledge management building factors such as knowledge accumulation and knowledge sharing had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mployee performance such as innovation, in-role and extra-role performance. Based on these findings, some suggestions are provided. First, we can find out different meaningful job characteristics for knowledge accumulation and knowledge sharing. Second, knowledge management building is a very important factor for an employee’s performance, so companies should try to create new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to share it with all members in the company. Third, as knowledge management building has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characteristics and employee performanc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can be good implements in enhancing corporate performance. Finally,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should be changed and be adapted in the corporation’s existing and desired processes and systems. For business success, companies should utilize information resource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especially knowledge accumulation and sharing) should be used for information resources such as workforce, time (organizational slack),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frastructure. However, there is no single knowledge management method uniquely suited for all the companies. Therefore, the first important step is to be aware of the need for process and system in creasing the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지식경영시스템(knowledge management system)은 산업사회에서 지식사회, 정보사회로 이동하면서 다양한 정보기술에 기초한 관리시스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치열한 경쟁 하에서 생존을 위해 많은 기업이 보다 체계적인 관리시스템을 이용하면서, 정보와 지식의 활용을 통하여 성과를 제고하고자 하는 지식경영시스템의 중요성이 점점 더 회자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제조기업의 직원이 담당하는 직무특성, 지식경영시스템구축 그리고 직원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특히 조절변수로 회계정보시스템품질을 이용하였다. 즉 회계정보시스템품질이 직무특성과 지식경영시스템구축, 지식경영시스템구축과 직원성과의 관계에서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는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직무특성과 직원성과의 관계에서 지식경영시스템구축이 매개효과를 보이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표본은 28개 중소제조기업의 직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수집한 350부의 설문서를 주로 다중회귀분석법을 이용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나타난 주요 내용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 중 구조화를 제외한 적합성, 상호의존성, 자율성, 복잡성은 모두 지식축적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직무의 적합성이 높을수록, 상호의존성이 높을수록, 자율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복잡성이 높을수록 지식축적활동도 높아지고 있었다. 반면에 직무의 구조화는 지식축적에 유의적이지 않았다. 둘째, 직무특성 중 적합성, 복잡성을 제외한 구조화, 상호의존성, 자율성은 모두 지식공유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즉 직무의 구조화가 높을수록, 상호의존성이 높을수록, 그리고 자율성이 높을수록 지식공유 활동도 높아지고 있었다. 반면에 직무의 적합성과 복잡성은 지식공유에 유의적이지 않았다. 셋째, 지식경영시스템구축 요인인 지식축적과 지식공유 모두 직원의 혁신성과, 업무성과 그리고 업무외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넷째, 직무특성이 직원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다소 차이가 있었다. 즉 직무특성중 적합성, 상호의존성, 자율성, 복잡성은 혁신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구조화, 상호의존성, 자율성은 업무성과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나, 적합성과 복잡성은 업무성과에 유의적이지 않았다. 또한 구조화, 상호의존성, 자율성은 업무외성과에 유의적이나 적합성과 복잡성은 유의적이지 않아, 직무특성 중 업무성과와 업무외성과에 유의적인 요인은 동일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직무특성이 지식경영시스템 구축요인인 지식축적과 지식공유에 영향을 미칠 때, 회계정보시스템품질이 조절효과를 보이는가를 분석한 결과, 회계정보시스템품질은 전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경영시스템 구축요인이 직원성과인 혁신성과, 업무성과, 업무외성과에 영향을 미칠 때 회계정보시스템품질이 조절효과를 보이는가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회계정보시스템품질은 전혀 조절효과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지식경영시스템구축 요인인 지식축적과 지식공유가 직무특성과 직원성과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보이는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a) 상호의존성, 자율성, 적합성이 여전히 혁신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아 지식축적은 상호의존성, 자율성, 적합성과 혁신성과와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며, 복잡성과 혁신성과와의 관계를 완전매개 하였다. (b) 지식축적은 상호의존성, 자율성과 업무성과와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c) 지식축적은 상호의존성, 자율성과 업무외성과와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d) 지식공유는 상호의존성, 자율성과 혁신성과와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e) 지식공유는 상호의존성, 자율성과 업무성과와의 관계를 부분매개 하였다. (f) 지식공유는 상호의존성, 자율성과 업무외성과와의 관계를 부분매개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한 시사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특성에 따라 지식경영시스템구축에 미치는 영향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는 이론적으로 의미 있는 연구로 사료된다. 즉 직무특성 중 지식경영시스템구축에 중요한 직무특성과 그렇지 않은 직무특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이다. 구체적으로 보면 지식축적에는 직무구조화가 유의적이지 않았으나, 지식공유에는 유의적이었다. 또한 직무의 적합성과 복잡성은 지식축적에는 유의적이었으나, 지식공유에는 유의적이지 않았다. 둘째, 지식경영시스템구축 요인인 지식축적과 지식공유는 직원의 혁신성과, 업무성과, 업무외성과에 모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기업은 적극적인 지식경영시스템구축에 노력할 필요가 있다. 대기업들은 이미 지식경영시스템구축에 많은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나, 중소기업의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지식경영시스템에 대한 관심도가 낮은 상태이다. 그러나 본 연구 결과는 중소기업의 경우에도 지식경영시스템구축은

      • 지식산업센터의 입주환경 요인과 운영관리 요인이 입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디지털단지를 중심으로

        황은식 한국벤처대학원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1919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 구로구 구로동과 금천구 가산동 소재 서울디지털단지 입주업체를 대상으로 하여 한국산업단지공단 지식산업센터의 입주환경 요인과 운영관리 요인이 입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및 입주만족도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구조적 인과관계와 일반적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실증분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정부 및 지자체, 한국산업단지공단, 서울디지털단지 등의 지식산업센터에 대한 현황 파악과 정책 수립, 입주업체들의 경영정책과 방향, 건설사의 지식산업센터 건설방안 및 소요 시기와 규모 등에 관한 내용과 현황을 제시하는 데에도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를 포함한 이론적 고찰, 연구모형 설계 및 가설 설정, 설문조사, 실증분석 순으로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을 위해 SPSS와 AMOS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과 결과로 첫째, 입주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 요인으로 입주환경 요인들과 운영관리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또한 입주업체가 만족하는 요인으로 입주만족도를, 타인에게 지식산업센터를 추천하는 요인으로 추천의도를 도출하였다. 둘째, 성별, 연령, 학력, 업무형태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입주 형태, 창업 기간, 입주 단지, 입주 기간, 업체 규모, 업종, 생산품 유형, 조직 형태, 공간 면적의 입주업체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셋째, 현 지식산업센터에 입주하고 있는 이유와 지식산업센터의 입주환경 요인 또는 운영관리 요인에 불만족하여 이전 또는 규모 변경 필요성과 관련한 지식산업센터 이용실태를 분석하였다. 넷째, 정부에 대한 지원 및 건의사항으로 세제 및 금융지원의 확대와 재취득자에 대한 세제 지원, 경영정보 제공, 원․부자재 등의 공동구매 및 공동수입 알선과 지원, 제품의 공동판매 및 공동수출 알선과 지원, 공동 물류창고 시설 지원, 도로 및 교통시설 등 주변지역 도시기반시설의 확충 개선, 규제 완화 및 행정 절차의 간소화 등이 필요함을 분석하였다. 다섯째, 기술통계 및 차이 분석, 입주단지별 비교, 입주단지별 이용실태 비교, 입주형태별 이용실태 비교, 입주형태별 입주실태 비교 분석을 실시하였고, 요인 분석, 타당성 분석, 신뢰도 검증, 연구모형 적합도 평가를 실시하여 타당성, 신뢰성,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서울디지털단지 전체를 대상으로 가설검증 결과 경제적, 제도적, 입지 및 환경, 사업적, 관리, 청결, 주차 요인은 입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보안안전 요인은 입주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아울러 입주만족도는 추천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서울디지털 1, 2, 3단지별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설문조사 결과 나온 건의사항으로 서울디지털단지를 가로질러서 소통을 막고 있는 철도의 지하화, 출근 시 지하철 출구 막힘 해결, 공원과 쉼터의 부족 해소, 심한 대기오염 방지 등 불편사항의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지식관리 시스템을 위한 RDF 스키마 기반의 지식지도 생성에 관한 연구

        이현규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1919

        The application and utiliz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in the business process for a strategic advantage is prevailing in the realm of modern business environment. However, The current stat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techniques is still in their primitive stages. We experience a lot of difficulties in extracting and storing useful knowledge from formal and/or informal knowledge sources. We also have difficulties in searching and retrieving knowledge which has the closest semantic resemblances to the intended knowledge query. This paper attempts to implement the semantic web paradigm, which enables the semantic search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web environment, by adopting the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the RDF-schema and the Dublin core data element structure in the process of building knowledge map. Since the RDF, RDF-schema, and the Dublin core data element structure comply with the XML grammar, we have greater convenience and flexibility in representing knowledge into the XML document format. Representing knowledge following the RDF-schema and the Dublin core structure enables the well-formed and semantic description of knowledge, facilitating the representation of knowledge into the frame format. Proper linking of the RDF-schema based frame representation of the knowledge elements of an organization produces a knowledge map, which enables the construction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that allows the semantic search of knowledge on the Web. When the organizational knowledge base is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RDF-schema based knowledge representation, we will realize that the semantic search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the web is just one step ahead.

      • 소재부품기업의 지식자원비용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김선배 안양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1919

        소재부품산업의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소재부품은 완제품 수요에서 유 발되며 완제품의 가격, 성능 및 품질을 결정한다. 둘째, 소재부품은 완제품 수요와 다르게 특허나 표준 등을 통하여 높은 진입장벽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산업화 과정에서 산업의 연관구조를 임계수준 이상으로 구축하지 못 할 경우에는 소재부품산업으로 진입하는 데 많은 비용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특성은 경쟁환경 요인의 제품차별화, 진입장벽, 시장규모와 관련이 있다. 최근의 연구는 판매관리비로 인식된 지식자원비용이 지식자원의 증가로 연결되어 기업성과를 달성하는 데 최종적으로 기여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소재부품산업의 특성과 경쟁환경의 관련성으로 볼 때 소재부품기업의 지식자원비용은 산업 전반에 미치는 영향이 클 뿐만 아니 라 기업성과를 향상하는데 중요한 비용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지식자원비 용에 관한 선행연구의 결과는 지식자원비용이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로 혼재한다. 또한, 회계분야에서 소재부품 기업에 관한 연구와 경쟁환경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맥 락에서 소재부품기업이 속한 산업의 경쟁환경에 따라 판매관리비로 인식 된 지식자원비용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지식 자원개발활동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참고할 수 있는 학문적 이해와 실증적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Karuna(2007)가 제안한 경쟁환경 요인에 따라 소재부 품기업의 판매관리비로 인식된 지식자원비용이 기업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 분석하는 데 있다. 따라서 2004년부터 2014년까지 한국거 래소에 상장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부품기업의 판매관리 비로 인식된 교육훈련비가 진입장벽이 낮은 산업에 속한 기업과 시장규모 가 큰 산업에 속한 기업을 제외하고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쟁환경과 관계없이 총자산이익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에 속한 기업을 제외하고 자기자본이 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매출성장률에 미치 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음을 보였다. 즉, 교육훈련비가 매출 성장에는 도움 이 되지 않으나 수익성 개선과 기업가치를 향상하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둘째, 소재부품기업의 판매관리비로 인식된 연구개발비가 경쟁환경에 관 계없이 기업가치와 매출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또한, 제품차별화가 낮은 산업에 속한 기업, 진입장벽이 높은 산업에 속한 기업, 시장규모가 큰 산업에 속한 기업에서 총자산이익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자기자본이익률에 미치는 영향은 경쟁환경과 관계없이 회 귀계수가 정(+)의 값을 갖지만 유의하지 않음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연 구개발비가 기업가치와 매출 성장에 기여하고 있으며, 이익 창출에는 일부 유의성이 없는 기업도 있으나 모두 정(+)의 계수 값을 나타내므로 이익 창 출에 기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소재부품기업의 판매관리비로 인식된 광고선전비가 경쟁환경에 관 계없이 기업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시장규모가 큰 산업에 속한 기업을 제외하고 총자산이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차별화가 낮은 산업에 속한 기업, 진입장벽이 낮은 산업에 속한 기업, 시장규모가 작은 산업에 속한 기업에서 자기자본이익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매출성장률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즉, 광고선전비는 단기적으로 이익을 악화시키나 Tobin`s Q와 매출 성장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투자자들이 소 재부품기업의 판매관리비로 인식된 광고선전비가 미래 기업성과를 향상할 것이라고 긍정적인 판단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소재부품기업의 판매관리비로 인 식된 교육훈련비가 매출 성장에 미치는 영향이 혼재하고, 판매관리비로 인 식된 광고선전비가 단기적으로 이익을 악화시키나 소재부품기업이 치열한 경쟁환경에서 장기적으로 기업성과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교육훈 련, 연구개발, 기업 이미지, 제품에 대한 광고선전이 요구된다. 둘째, 본 연구는 회계분야에서 산업수준의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기업의 특정 비용과 기업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할 경우에 비용특성과 경쟁환경의 고려가 필요함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회계정보이용자들의 지식자원개발활동과 관련한 정책수립, 경영계획, 투자분석, 신용평가에 참 고할 수 있는 회계정보를 도출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parts industry, First, the material parts is caused by the demand for finished products and determine the price, performance and quality of finished products. Second, material parts can establish high barriers to entry through patents and standards, unlike demand for finished products. In addition, In the industrialization process, if the linkage structure of the industry can not be constructed above the critical level, a large expenses is required to enter the material parts industry. These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product differentiation of competitive environment factors, entry barrier, market size. Recent research has recognized that the knowledge resources expenses, which is recognized as the 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 expenses(hereafter SG&A expenses), is linked to the increase of knowledge resources and is likely to contribute to achieving firm performance finally. In particular, given the relevanc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terial parts industry and the competitive environment, the knowledge resources expenses for material parts companies has a large impact on the industry as a whole, but also important in improving firm performance. However,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on knowledge resource expenses are mixed with research that knowledge resource expenses has a positive or negative effect on firm performance. In addition, research on material parts companies in the field of accounting and research on competitive environment are lacking. In this context, we analyze the knowledge resources expenses, which is recognized as SG&A expenses, I think that academic understanding and empirical research that can refer to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e knowledge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are necessar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knowledge resource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material parts companies on firm performance according to competitive environment factors proposed by Karuna(2007). Therefore, this study selected firm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from 2004 to 2014 as an examp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material parts compan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obin`s Q except for companies belonging to industries with low entry barrier and those belonging to industries with large market size. Also, Regardless of the competitive environment,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turn on assets(ROA), and i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return on equity(ROE) excluding the companies belonging to industries with high entry barrier. The effect on sales growth rate(GRW) was not significant. In other words,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do not contribute to sales growth but contribute to improving profitability and enterprise value. Second,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material parts compan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obin`s Q and sales growth rate(GRW) regardless of competitive environment. And it has a positive impact on the return on assets(ROA) in companies with low product differentiation, firms with high entry barrier, and companies with high market size. Regardless of the competitive environment, regression coefficients have positive(+) values, but not significant, on the return on equity(ROE). In other words,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ses contributes to Tobin`s Q and sales growth rate(GRW), and some companies have little significance in profit generation, but all of them can be considered to contribute to profit generation with a positive coefficient. Third, advertising expenses(AD)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material parts compan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obin`s Q regardless of competitive environment, and it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eturn on assets(ROA) except for companies with big market. In the case of companies with low product differentiation, companies with low entry barrier, and companies with small market size, has been shown that the advertising expense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return on equity(ROE), the companies with low product differentiation, the companies belonging to the industry with low entry barrier, and the companies with the small market size but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ales growth rate(GRW). Although advertising expenses in the short term, deteriorating profits, it has a positive impact on Tobin's Q and sales growth rate(GRW). In other words,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advertising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the material parts companies are positive for improving the future firm performance.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s of education and training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of material parts companies on sales growth rate(GRW) are mixed. In addition, advertising expenses recognized as SG&A expenses are worsening profits in the short term. However, in order to improve long-term firm performance in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material parts companies, continuous education and training, research and development, firm image, and product promotion are required. Second, this study expanded the scope of research at the industrial level in the field of accounting.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m's specific expenses and firm performance suggests that expense characteristics and competitive environment should be consider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hat accounting information that can be referenced in policy formulation, management plan, investment analysis, and credit evaluation related to knowledge resource development activities of users of accounting information is derived.

      • 중소기업의 지식공유 활동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수용의도와 지식경영시스템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유리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919

        기업의 경영 활동에 있어 조직원의 경험과 노하우를 통하여 창조되고 구축될 수 있는 암묵적 지식, 즉 경험 지식을 저장, 공유, 습득함으로써 문제 해결 능력을 높이는 지식공유 활동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다시금 새로운 핵심 키워드로 자리 잡고 있다. 비즈니스의 글로벌화, 시스템화, 자동화, 디지털화되어짐에 따라 4차 산업 시대의 핵심 인재는 지식 근로자로 변화되고 있으며 홍수처럼 쏟아지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지식을 공유하는 것은 지식의 자기 증식성으로 인해 지속 가능한 경쟁우위의 원천이 되고 있다.본 연구는 지식공유 활동에 대해 기업 내 업무 지식공유와 관련된 내용으로 개념을 정의하고, 지식공유 활동에 대한 국내외 선행연구 결과를 분석하여 지식공유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변수를 정의하였다. 지식공유 활동에 대한 중소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통해 지식공유 활동이 재무적·비재무적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 하였다. 또한 연구 대상을 중소기업으로 한정하여 지식공유에 대한 효과를 실증 분석하여 지식 경영 효율적인 실행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study began with the issue of 'In a time when the corporate paradigm is changi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knowledge-sharing activities will be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reating a sustainable competitive advantage for companies.' In a hyper-connected technology society —the society in which everything is connected and shared— and the changing market environment to on-demand consumer created market in which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the key element for innovation in enterprise is "creating and sharing knowledge." In a knowledge society, it is important for companies to share knowledge in order to survive. Nevertheless,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t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SME’s) are slow due to the lack of collective intelligence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 bureaucracy, non-flexible organizational culture. 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have a positive effect on both the financial and non-financial performance of a company by means of the members' acceptance intention to share knowledge and the us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mong the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organizational culture, CEO's willingness to knowledge manage, evaluation and compens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dividual's acceptance intention, and organizational culture was an important factor in the utilization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affect the performance of companies, and that in order to revitalize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organizational cultures that can freely share and utilize knowledge need to be created and institutional support is needed for them. The assumption that at this time of changing industrial ecology and business paradigm, indicated that it is necessary to raise the level of knowledge sharing among organization members and to establish and operate a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efficient knowledge management in order for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o be continuously competiti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