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우리나라 國防豫算 制度의 運用에 관한 硏究

        신익현 韓南大學校 經營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1662

        컴퓨터 발달에 따른 정보통신 혁명으로 전쟁 양상도 대량 소모전에서 정보전, 정밀 타격전으로의 변화 및 우주전으로 전구가 확대됨에 따라 각 국간 첨단무기 확보경쟁은 가속화되고, 규모가 거대해지고 있다. 특히 동북아 주변국들은 역내 주도권 확보를 위해 첨단 군사력 건설을 추진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향후 우리의 군사력 건설목표를 “현존 및 미래 불특정 위협에 효과적으로 대비할 수 있는 21세기형의 첨단 정보·기술군 육성”에 두고, 미래 불확실한 안보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전력 확보에 우선하여 투자할 계획임을 국방부는 밝히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필요한 국방예산의 실상을 살펴보면, 1990년대 이후 국가경제 및 정부재정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계속 하락하여 2001년도에는 GDP의 2.8%, 정부재정(일반회계)의 15.5% 수준에 불과한 실정이며, 앞으로도 경제·사회·복지 등 민간부문의 재정소요는 계속 증가되는 가운데, 국방예산의 획득여건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예측된다. 특히, 현행 국방예산 제도 하에서는 매년 정부예산 편성 일정에 따라 일정 비율의 국방예산 획득을 위해 타 부처와 경쟁적 상황 하 국방예산 획득 ‘투쟁’을 반복하고 있어 정작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할 미래 국방력 건설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분석이나 전력투자의 효율성을 제고하기에는 역부족이 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방위세가 신설된 1975년 이후부터 정치적 시대별로 국방예산의 운용 추이를 분석하면서 현행 국방예산 제도가 지닌 문제점을 알아보고, 향후 국방예산을 어떻게 안정적으로 획득하고, 효율적으로 운용할 것인가에 대한 국방예산 제도의 정책적인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국방예산 제도에 국한하여 1975년부터 2001년까지의 기간을 대상으로 하며, 연구방법은 문헌조사에 의존하여 관련 서적, 이미 발표된 국내외 연구 자료 및 학술 논문, 국방부 발표 자료, 기타 각종 통계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국방예산의 안정적 획득과 효율적 운용을 위한 제도를 모색하는데 있어서 먼저 고려 할 사항으로 국방예산을 결정하는 정부예산에 대한 일반개념을 고찰하였으며, 이에 따른 국방예산의 개념과 결정체계, 그리고 국가 안보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국방기획관리체계에 대하여 이론적 고찰을 선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정치·경제·사회적 안보환경과 국방예산의 변화, 그리고 국방기획관리제도의 정비과정을 분석요소로 하여 1975년 이후 정치적 변혁기를 제 3공화국, 제 5·6공화국, 그리고 문민정부 이후의 3단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나라 예산제도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가들의 예산제도와 비교 분석함으로써 최대한 객관성을 유지하고 제도 개선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안정적 국방예산 획득을 위하여 국방기획관리체계와 연계하여 국가안전보장회의의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중기계획의 실효성과 위상의 제고가 이루어져야 하며, 국방예산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통한 국민적 지지기반을 형성하는 대책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동시에 국방예산의 합리적 관리 및 제도적 개선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육성이 필수적이다. 더불어 현재의 군 구조를 감안할 때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결단력과 전략적 사고를 지닌 통치권자의 정치력이 요구되고 있다. 둘째, 한정된 예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써, 현재 명목상으로만 운영중인 계속비 제도 및 다년도 회계제도에 대한 과감한 적용과 활성화가 필요하고, 각 기능별로 추진하고 있는 전력투자사업을 통합전력 운용개념에 입각하여 판단된 사업별 우선순위에 따라 사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예산 배분구조를 개선해야 할 것이다. 또한 전력투자분야 위주의 국방기획관리체계에 경상운영분야를 포함하여 중장기 발전목표를 제시함으로써 유·무형 전력의 균형 있는 발전을 통한 현존 전력 극대화를 도모할 수 있어야 하겠다. The revolution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following the advance of computers reshaped the war from massive consumption to that of intelligence-oriented and precision strikes, and extended the sphere of theatres to airspace. This has accelerated the competition for securing the advanced weapons among the nations and the scale of it is growing bigger than ever. Neighboring countrie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in particular, have been carrying out the construction of advanced military powers to secure the lead in the theatre. MND clearly states that it will prioritize the plans for investment in securing forces effectively respond to the uncertain changes in the security environment of the future, with placing its goal for military build-up in the future on nurturing the advanced information technology oriented force of the 21st century in an effective response to both existing and uncertain threats of the future. If we, however look closely at the reality of defense budget to materialize the plan, its proportion of the national economy and finance has been declining since 1990's currently standing at 2.8% of GDP and at 15.5% of the government finance(General Accounting) in 2001. The finance required for such private sectors as economic, social and welfare continue to grow while, the defense budget is expected to shrink. In particular, under the current defense budget system, in order to secure a certain proportion of defense budget according to the time schedule of the government budget appropriations, it has to compete with other government departments and agencies. Therefore in-depth analysis of future direction of the national defense and the review of force investment effectiveness upon which all the efforts should be placed are hardly carried out in the reality. H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ry to find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current defense budget system by tracking down the records of the defense budget in each of the political periods since the inception of the defense tax in 1975, and to recommend policy suggestions as to how to secure and run a steady defense budget in the years to come. The study is limited to the system of defense budget and covers the periods from 1975 to 2001. The method of study largely falls on the reading materials, focusing mainly on the analysis of references, research materials, academic journals of home and abroad, MND-released data and other statistics data. This thesis first looks at the government budget as a consideration for steadily securing and effectively running a defense budget. The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concept and decision-making process of defense budget, and for the national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to achieve the national securities then follows. Based on these, the thesis takes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security environments, the changes in the defense budget and the add-ons to the national defense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as the key elements to be analysed. The periods covered are dived into three phases, i. e. 3rd administration, 5th and 6th administration and the period after the civil government. Not only the problems of our national defense budget but also those of major countries including the U.S. are considered, providing a maximum objectivity and some fresh insights into the system improvements. The conclusion of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ecure a steady defense budget, the efficacy and status of mid-term plan should be re-considered by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NSC in relation to the national defense planing and management system. The public support for the defense budget should be formed through active PA activities. At the same time, nurturing the professional resource pool for reasonable management and improvements of the defense budget is also essential. Political authorities with determination and strategic mind to complement the current military structure are also required. Second, as a means to effectively running a rather limited budget, the system of roll-over and multi-year auditing which exist only in name should be applied and encouraged. The budget appropriations structure should also be improved in a way that in terms of force investment programs, the various programs should be carried out according to their priorities determined through an integrated force management concept rather than each functions. Lastly the maximization of the current existing forces should be pursued by including the financial aspect to the force-investment-oriented national defense planning and management system and establishing the mid and long term development goals for developing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forces in equal terms.

      • 국방예산 편성 및 집행의 효율화에 관한 연구

        이상철 東國大學校 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1631

        The motivation for this study came out a concern that the economic impact from Korea's recent financial crisis might transform into social and military threats that could lead to a potential national security cris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lternatives on efficienc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 national defense expenses. With growing concerns for the ailing economic, national defense expenses now face challenges from activists who push for a sizable spending cut to be used for economic recovery - ranging from controversies over how much funding is appropriate to even whether we really need any money for defense. In order to accomplish the national goals and interests under such circumstances, this nation needs a balanced allocation of its finance with equal emphasis on the economy, social welfare and national security. Considering that defense expenses constitute a major portion of our national budget, its efficient organization and management would be crucial to promoting fair and efficient allocation of national resources. Following several improvable alterative recommended or covered by this study. Ensuring an efficient organization and management in our mid-term national defense program. Structural improvement in the budgetary items is needed for flexible management of the defense budget. Unified budget management system is recommended in cinjuction with a structural improvement to the budgetary items. Multiple fiscal year accounting system should be introduced to fundamentally eradicate the root cause of disuse budgets in defense management. Finally, I hope that this thesis will be to help solving a lot of problems concerned with a better and more suitable model for determine the national defense expenses

      • 인건비 예산 증가가 국방예산 배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 병 봉급 인상을 중심으로

        김정후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615

        본 연구는 병 봉급 인상으로 인한 급격한 인건비 예산 증가가 국방예산 배 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24년까지의 국방예산을 대상 으로 교차작용항을 투입한 다중회귀모형을 이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건비 예산 증가는 주로 병력운영비와 전력유지비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건비 예산 증가로 인한 다른 예산의 삭감효과는 병 봉급이 급격하게 인상된 시기에 더 크게 나타났다. 셋째, 삭감효과를 보인 예산은 장병 복무여 건 개선과 연관된 예산이거나 행정적 성격이 강한 예산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급격한 병 봉급 인상은 장병 복무여건 개선에 제약이 될 가능성이 있음 을 알았으며, 향후 국방예산 배분에 이를 고려한 선택과 집중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도출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국방예산에서 경직성 경비에 해당하는 인건비 성격 의 예산을 전부 선별 해내지 못했으며, 정부의 프로그램 예산구조가 일관되게 정착된 2010년 이후의 자료를 대상으로 분석하여 시계열이 상대적으로 짧았다 는 한계가 있었다. 주요어 : 국방예산, 대체관계, 병 봉급, 인건비, 다중회귀분석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a sharp increase in personnel expenses due to a raise in soldier wasges on the allocation of defense budgets. The research methodology for this purpose is as follow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multiple regression model on defense sector budge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ncrease in personnel budget had a significantly more pronounced impact on operational expenses than on defense capability improvement expenses. Secondly, during periods of sharp increases in soldier wages, the trade-off relationship between personnel budget and other budgets became more apparent. Thirdly, It was primarily evident that the budget for improving service conditions predominantly influenc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results, it was evident that a sudden increase in soldier wages leads to disruptions in the improvement of soldiers' service conditions. Hence, it can be deduced that future defense budget allocation will necessitate a focus on prioritization and concentration

      • 주요 선진국과 대한민국의 국방예산 및 사회복지예산의 상충관계와 결정요인 연구

        오창현 국방대학교 국방대학교 국방관리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599

        본 연구의 목적은 주요 군사적·경제적 선진국들의 국방예산과 사회복지예산의 상충관계 및 결정요인을 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현재 상황과 비교분석함으로써 다가올 미래를 전망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연립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한 결과 주요 선진국의 경우 국방예산 편성에서 사회복지예산과 상충관계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군복무인원, 무기수입액, 65세 인구비율, 실업률이 있었다. 대한민국의 경우도 국방예산 편성에서 사회복지예산과 상충관계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군복무인원, 국내·외갈등, 경제성장률, 65세 인구비율이 있었다. 주요 선진국과 대한민국의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비교분석하여 도출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65세 인구비율의 가파른 증가와 경제성장률 둔화, 이로 인한 실업률 상승 등은 사회복지지출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됨으로 사회 복지예산과 국방예산의 경합성은 더욱 증대될 것이다. 그러므로 향후 우리나라 안보환경에 부합하는 적정 국방예산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경제성장 동력 원의 육성과 제도적 보완을 통한 사회복지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군복무인원이 국방예산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는 반비례 관계지만 봉급 인상의 안정화와 첨담과학기술를 토대로 병력집약적 구조에서 기술집약적 군 구조로의 전환이 완료된 경우에는 비례관계로 전환될 것으로 예상되며 군복무 인원이 국방예산에 미치는 영향력은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 된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는 점진적으로 무기수입 감소와 국내 단독 개발생산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요 선진국들의 국방지출 대비 무기수입액의 비율이 평균 0.23%로 무기수입에 대한 의존성이 매우 낮아 무기 수입 증감에 따른 국방지출의 영향도 낮은 편이다. 무기수입은 단기적으론 이득이 있어 보이나 장기적으로는 외국기업의 독점가격 강요와 공급의 불안정성 등으로 비효율적인 국방지출이 증가할 수 있기에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주요어 : 국방예산 결정요인, 사회복지예산 결정요인, 연립방정식 모형, 상충관계

      • 국방예산 조기집행이 방위산업체에 미치는 영향 분석

        고석완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599

        정부는 위축된 실물경기 회복, 내수경기 진작, 연도 말 예산의 불용 최소화를 위해 2002년 이후부터 본격적으로 재정의 조기집행을 추진해 오고 있다. 재정의 조기집행이란 정부가 예산 확정 후 재정집행계획을 작성할 때 당초 계획된 재정의 집행 일정보다 예산을 앞당겨 사용하는 것으로, 이 경우 자금을 민간시장에 조기에 공급하고 이러한 자금의 원활한 공급이 기업설비투자와 소비 등을 활성화하여 결과적으로 GDP 성장률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갖게 될 수 있다는 목적으로 사용되는 정책이다. 즉, 재정의 총량이 아니라 재정의 집행시기가 경제성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관점이 반영된 것이다. 그러나 국가 재정을 대상으로 조기집행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국방예산 조기집행의 효과에 대한 연구는 많지가 않다. 구체적으로 방위력개선비 조기집행이 방위산업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방예산 중 방위력개선비에 한정하여 2011년부터 2013년까지 조기집행을 독립변수로 하고 매출액, 영업이익, 방위산업체 종사자 수를 종속변수로 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여, 각 변수들 간의 기술통계를 살펴보고, 종속변수들 간의 상관분석을 통해 상관관계를 파악하였다. 또한 회귀분석을 통해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방위력개선비 조기집행의 타당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 국방예산 운용의 효율성 제고를 위한 방안 연구 : 전력운영비 예산의 재정사업 분석을 중심으로

        박정혜 고려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599

        본 연구는 2014~2017년간 전력운영비 예산의 재정사업 집행결과를 분석하여 ‘비효율’의 형태를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비효율의 최소화를 통한 전력운영비 예산 운용의 효율성 제고방안을 연구하였다. 비효율의 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비효율적 재정사업 유형분류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후 연구모델을 선정하였으며, 연구모델을 적용하여 전력운영비 예산의 비효율적 재정사업을 유형화한 결과와 국방예산 운용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비효율의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4개년간의 전력운영비 재정사업 중 문제사업들을 검토하여 해당 사업들에서 나타나는 비효율을 유형화하고 그 발생원인을 분석한 후 이를 기반으로 사업단계별・발생원인별로 비효율의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전력운영비 예산 운용의 효율성 제고방안을 다각적이고 체계적으로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국방예산운용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과 구별된다. 또한 타 기관에서 바라보는 예산운용과정의 비효율을 분석해 봄으로써 현재 가장 쟁점이 되고 있는 사안을 파악할 수 있고, 제 3자의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분석한 자료를 통해 앞으로 전력운영비 운용 상에서 중점적으로 검토하고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방향성을 진단하였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 국방예산의 효율적 운영 방안 - 방위력개선사업을 중심으로 -

        전진규 공주대학교 경영행정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583

        국방예산의 효율적 운영 방안 - 방위력개선사업을 중심으로 -

      • 안보적·사회적 요인이 국방예산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손영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583

        한국은 세계에서 유일한 분단국가라 불리며 북한과 첨예한 군사적 대립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또한 한반도 주변으로는 지정학적으로 다국간 전략적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은 이러한 여러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상당한 국방예산을 사용하고 있다. 한국에게 있어 국방예산은 다양한 사회적 현안에도 불구하고 지리적, 역사적 상황을 비추어 보건대 절대 빼놓을 수 없는 필수불가결한 비용이며 정부의 재정 내에서도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국민들의 관심을 얻고 있는 만큼 그 이해를 위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의 국방예산에 변화를 만들어내는 요인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는데 집중한다. 이때, 종속변수인 국방예산의 변화는 전력유지비의 변화, 방위력개선비의 변화로 세분하여 살펴본다. 독립변수는 크게 안보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으로 구분한다. 안보적 요인은 연구자의 시각에 따라 다양한 변수들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가장 일반적으로 인정될 수 있는 변수들을 찾기 위해 국방예산관련 이론에서부터 실증적으로 수행된 다양한 연구들을 살펴보았고 최종적으로 북한의 국지도발 여부, 핵실험 및 미사일 발사 여부, 남북 간의 국방예산의 차이를 변수로 모형을 구성하였다. 사회적 요인을 구성하는 독립변수로는 대통령의 정치성향, 국회 다수당의 정치성향, 정부 재정 내의 복지예산의 비중, 남북통합지수가 사용되었다. 이 중 복지예산은 내생적 변수로 이를 통제하기 위해 2stage least squares모형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전력운영비와 방위력개선비의 결과가 다소 상이하게 나타났다. 먼저 전력운영비는 사회적 요인의 국내 정치성향을 설명하는 변수 중 대통령의 정치성향에 따라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정된 회귀계수는 –0.74이고 이는 5%의 신뢰수준하에 유의미하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는데 이는 대통령의 성향이 보수일 경우 보다 진보적일 경우 정부의 재정에서 전력운영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약 0.74% 줄어든다고 해석할 수 있다. 반면 국방예산을 설명하기 위해 내세웠던 나머지 안보적 요인과 사회적 요인은 통계적으로 그 유의미성을 찾을 수 없었다. 이는 연구자로서 다소 실망스러운 부분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했던 연구가설들을 통계적으로 그 가능성을 뒷받침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 하나 눈여겨 볼 지점은 대통령의 정치적 성향이 전력운영비에는 반응하였지만 방위력개선비에는 반응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대통령의 보수적 성향으로 전력운영비의 비중이 높아질 수는 있으나 실제 전투력의 증강을 야기시키는 방위력개선비에는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것을 뜻한다. 전력운영비의 성격을 생각해보면 부대 훈련비용이나 시설물 유지 등 상대적으로 단기간 가변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비용들이다. 반면 방위력개선비는 무기체계 개발이나 구매 등 비교적 장기간의 계획을 바탕으로 움직이며 쉽게 변화하기 힘든 비용이다. 따라서 단기간의 정치적 변화가 방위력개선비에 영향을 주기는 힘든 것으로 보여지며 진보적 대통령이 집권하였더라도 방위력개선비에 대해서는 소극적 입장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해볼 수 있다. 또한 국방예산의 경직성이 실제로 확인되었다. 전력운영비와 방위력개선비 모두 공통적으로 전년도 예산은 다음연도 예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도 예산은 두 개의 종속변수와 모두 양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어 연구 설계 당시 고려하였던 예산의 점증적, 점감적 행태가 실제로 존재한다고 해석될 수 있다. 이는 어찌보면 현대의 관료제하에 나타나는 예산과정의 비합리적 현상으로 여겨질 수 있다. 한 번 형성된 예산은 일종의 관성을 가지고 큰 변화를 허용하지 않으며 다음해에 새롭게 편성된다. 예산의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에서 실제로 필요한 상황에 따라 예산이 변화될 수 없고 관습처럼 이어지는 것이다. South Korea is currently called the only divided country in the world and maintains a sharp military confrontation with North Korea. In addition, geopolitical strategic competition between multiple countries is intensifying around the Korean Peninsula. Korea is using a considerable defense budget to prepare for these various threats. Despite various social issues, Korea’s defense budget is an indispensable cost in light of geographical and historical circumstances, and it occupies a large part of the government's finances and is attracting public attention, so a lot of effort is needed to understand it. This study focuses on examining what factors make a difference in Korea's defense budget. At this time, the change in the defense budget,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is subdivided into changes in power maintenance costs and changes in power improvement costs. Independent variables are largely divided into security and social factors. Security factors can be composed of various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earcher's perspective. In this study, various studies empirically conducted from the theory of defense budget were examined to find the most commonly recognized variables, and finally, a model was constructed with variables such as whether North Korea’s armed provocation, nuclear tests and missiles, and differences in defense budgets between the two Koreas. As independent variables constituting social factors, the president's political orientation, the political orientation of the majority of the National Assembly, the proportion of welfare budgets within the government's finances, and the inter-Korean integration index were used. Among the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ttempted using the two-stage least squares model to control the welfare budget as an endogenous variable.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results of the power maintenance costs and the power improvement costs were somewhat different. First, it was found that power maintenance costs were affected by the president's political orientation among variables explaining the domestic political orientation of social factors. The estimated regression coefficient was -0.74, which showed that it was significant below the confidence level of 5%, which can be interpreted as about 0.74% reduction in the proportion of power maintenance costs in the government's finances if the president's tendency is more progressive. On the other hand, the remaining security and social factors that were put forward to explain the defense budget could not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is a bit disappointing as a researcher, but it means that the research hypotheses presented in this study cannot statistically support their potential. Another point to note is that the president's political tendency reacted to power maintenance costs, but did not respond to power improvement costs. This means that the president's conservative tendency may increase the proportion of power maintenance costs, but does not affect the power improvement costs, which causes an increase in actual combat power. These are costs that can move variably in a relatively short period of time, such as additional training expenses and facility maintenance, considering the feature of power maintenance costs. On the other hand, power improvement costs are difficult to change easily, moving based on relatively long-term plans such as development or purchase of weapons systems. Therefore, it seems difficult for short-term political changes to affect power improvement costs, and even if a progressive president takes power, he does not take a passive position on power improvement costs. In addition, the rigidity of the defense budget was actually confirmed. The previous year's budget was found to have an effect on the next year's budget, in common with both power maintenance costs and power improvement costs. The previous year's budget shows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both dependent variables, so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incremental or decremental behavior of the budget considered at the time of research design actually exists. In a way, this can be regarded as an irrational phenomenon in the budget process under the modern bureaucracy. Once formed, the budget has a kind of inertia, does not allow major changes, and is newly organized the following year. In situations where budget liquidity is insufficient, the budget cannot be changed according to the actual necessary circumstances and continues as a custom.

      • EVMS와 방산물자 원가계산의 연계방안에 관한 연구

        황민오 한성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567

        국방은 우리가 지켜야하는 매우 중요한 과제임에는 틀림없다. 국방을 튼튼하게 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노력을 하지만 특히 첨단 무기체계 개발은 북한과의 대치상태 및 나아가 주변국의 군비 증강에 대비하기 위해 꼭 필요한 것이다. 무기체계 연구개발 사업에 대해 성공적인 사업관리를 위해 비용과 일정을 동시에 관리하고 현재시점에서 투입된 예산에 비해 성과과 얼마이고 향후 최종사업비는 얼마까지 변동이 될 것인가에 대한 질문과 답을 할 수 있는 과학적 사업 관리기법인 EVMS의 효용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 또한 정부의 한정된 예산을 가지고 운영함에 있어서 무기체계 연구개발 사업의 최종 계약금액을 결정하는데 방산물자 원가계산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EVMS와 방산물자 원가계산의 사용 목적은 다르나, 방산업체로부터 실발생 자료를 수집하여 활용한다는 점은 동일하다. 다만 방산물자 원가계산은 연구개발이 완료된 이후에 정산원가를 산정하므로 정산시기에 많은 노력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주기적으로 실발생 자료를 축적하는 EVMS의 자료 활용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다. 이렇게 EVMS의 실발생 비용과의 연계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지만 연계에 있어서 몇 가지 문제점이 있다. 첫째, EVMS의 실발생 비용은 기업회계기준으로 작성되어 방산물자 원가기준과 일부 차이점이 발생하고 또한 이 데이터들은 기업 간에 결정된 가격으로 신뢰성이 낮다고 판단된다. 둘째, EVMS 비용을 관리하는 사업관리자나 방산물자 원가계산을 수행하는 원가담당자 모두 수행업무에 비해 인원이 부족한 상황이고 실발생 비용의 검증을 하지 않으므로 원가담당자가 기업에서 제출한 모든 실발생 자료를 정산시 한번에 검토해야하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셋째, EVMS와 국방통합원가시스템은 추구하는 목적이 다르기에 서로 연계가 되지 않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무기체계 연구개발 사업에서 적용중인 EVMS의 실무적 차원에서 문제점을 검토하여 방산물자 원가계산에 있어 EVMS 실발생 비용을 활용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세부적인 방안으로는 첫째, EVMS 입력자료 개선과 구입단가 적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자료 첨부 기능 추가를 제시하였고, 둘째, 기술전문가인 사업관리자와 방산물자 원가담당자를 통합하여 EVMS 실발생 자료에 대한 검증을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현장 관리팀이라는 조직 신설을 제시하였다. 셋째, EVMS와 국방통합원가시스템과의 자동연계 설계를 위한 개념도를 제시하여 장기적으로 EVMS의 축적된 실발생 비용을 국방통합원가시스템과 연계하여 분석 및 추정하고 원가산정 시 활용할 수 있도록 통합시스템의 구축 설계 개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방안들은 현 실정에서 다소 미흡하고 수용에 따른 부작용 및 한계점이 발생할 수 있겠지만, 지속적으로 축적되는 EVMS의 자료를 방산물자 원가계산에 연계하여 활용한다면 국방예산 집행의 효율성 및 투명성, 신뢰성이 극대화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