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직접투자 결정요인에 대한 연구

        이준원 高麗大學校 2017 국내박사

        RANK : 1662

        전 세계 국가들은 기술이 발전함에 따른 국제화에 발맞추기 위해 적극적인 개방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선진국과 개도국을 막론하고 모든 국가들이 자본유입, 기술이전, 고용창출을 통해 자국의 경제발전을 도모할 수 있는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유치를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전세계 FDI 규모는 198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추세는 향후 계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런 외국인직접투자의 증가는 대체로 선진국의 비중이 높지만, 최근에는 과거에 비해 개도국으로의 투자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그리고 M&A 형태의 투자 비중이 과거에 비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즉, 최근 FDI 흐름의 특징은 다양한 국가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투자 유입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과거의 일반적으로 알려진 FDI 흐름의 결정요인이 최근에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전 세계 FDI 흐름의 유형별·양자간·지역별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서 전 세계 FDI 흐름에 대한 거시적인 결과를 도출하고 이에 따라 FDI 유입 및 유출 정책 수립에 참고할 만한 연구결과를 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1996~2014년 기간 동안의 128개 국가별 FDI 데이터를 이용해 FDI 유입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적 및 비경제적 요인을 투자유형별·경제발전단계별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다음 2001~2014년 기간 동안의 120개 국가의 패널 자료를 구축하여 양자간 FDI 결정요인 및 지역별 FDI 결정요인을 분석한다. 양자간 FDI 결정요인의 경우 국가를 경제발전단계별로 구분하여 총 4가지 투자시나리오에 대한 FDI 결정요인을 비교분석하고, 지역별 FDI 결정요인의 경우 국가를 미주지역, 아시아지역, 아프리카지역, 유럽지역 4개 지역별로 나누어 총 16개 투자시나리오에 대한 FDI 결정요인을 비교 분석한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유형별 FDI 결정요인 분석에서 전체 FDI와 유형별 FDI는 일부 변수에서 공통점이 발견되기도 하였지만, 일부 변수에서는 상이한 결과가 나타났다. 전체 국가를 대상으로 한 분석에서는 소득수준과 시장규모가 유형에 관계없이 FDI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국가위험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외 전체 FDI와 그린필드형 FDI는 무역개방도와 투자협정으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물가수준으로부터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반면, M&A FDI는 환율수준, 금융시장발달정도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투자협정으로부터는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다음으로 경제발전단계별로 구분하여 분석했을 때, FDI 결정요인은 유형에 상관없이 OECD 국가와 비OECD 국가 간에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먼저 OECD 국가의 경우 유형별로 다른 결과가 나타났는데, 대체로 비경제적인 요인보다는 경제적 요인에 의해 FDI가 결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비OECD 국가의 경우 전체 FDI와 유형별 FDI 모두 OECD 국가에 비해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나타났다. 또한 대체로 OECD 국가들은 경제적 요인들이 투자에 주요 결정요인이지만, 비OECD 국가는 경제적 요인과 비경제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결정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양자간 FDI 결정요인 분석에서 경제적 요인의 특징은 첫째, 모든 국가 간 FDI 흐름에서 양국의 경제규모는 FDI의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경제규모유사성으로 인한 수평적 FDI는 OECD 국가가 투자국인 시나리오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양국의 노동력 차이로 인한 수직적 FDI는 OECD 국가 간 투자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2000년대 이후 비OECD 국가들이 많이 포함된 개도국 국가들의 노동 비용이 증가하여, OECD 국가들은 투자 성공을 위해서 효율적인 기술이전 효과가 나타나고 생산성이 높은 OECD 국가 중 비교적 노동비용이 저렴한 곳으로 투자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과거 지식자본모형 이론에 따른 수직적 FDI 흐름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했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금융시장발달정도는 모든 투자시나리오에서 FDI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또한 과거와는 달리 최근에는 글로벌 금융 거래가 활성화 되었고, 이것이 FDI 흐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넷째, OECD 국가가 투자국인 시나리오에서 보다 다양한 경제적 요인이 FDI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OECD 국가들은 투자를 결정할 때, 비OECD 국가보다 다양한 경제적 요인을 고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비경제적 요인의 특징은 첫째, 투자협정이 같은 국가 그룹 간 FDI에서만 투자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먼저 OECD 국가 간 투자협정에 따라 FDI가 증가하는 것은 OECD 국가 간 투자협정이 비교적 높은 수준의 개방도를 가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비OECD 국가 간 투자협정은 서로 간의 제도적 안정장치를 마련하는 차원에서 FDI가 증가하는 것으로 보인다. 둘째, 다른 국가 그룹 간 투자 시나리오에서는 사업자유화, 국가위험도 등이 투자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비OECD 국가에서 OECD 국가로의 FDI에서는 국가위험도가 높지만 투자 인센티브가 높은 국가로 많이 투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 지역별 FDI 결정요인 분석에서는 첫째, 대체로 모든 지역 간의 투자시나리오에서 경제규모 증가로 인한 수평적 FDI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양자간 FDI 결정요인 분석 결과와 같은 것으로 본 연구의 분석의 신뢰성을 높여준다. 둘째, 경제규모유사성 증가에 따른 수평적 FDI는 주로 아시아지역과 유럽지역의 역내투자와 지역 간 FDI에서 나타났다. 셋째, 양국의 노동력 차이에 의한 수직적 FDI는 주로 아시아 지역과 아프리카지역의 FDI 유입에서 나타났고, 미주지역 내 기업들이 노동력 차이를 이용한 수직적 FDI를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럽지역 내에서는 수평적·수직적 FDI가 모두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유럽지역 국가 간 투자가 다양한 형태로 활발하게 이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넷째, 미주지역과 아시아지역으로의 FDI에서는 대체로 시장규모가 증가할수록 FDI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아시아지역과 유럽지역의 역내 FDI, 아시아지역과 유럽지역 간의 FDI 시나리오에서는 다양한 결정요인들이 FDI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아시아 지역과 유럽 지역의 FDI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유럽지역에서 아시아지역으로의 투자협정 체결은 유럽에서 아시아로의 투자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미주지역과 아프리카지역으로의 투자는 대체로 비경제적 요인이 FDI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FDI가 유형별·경제발전단계별·지역별로 결정요인의 차이점이 존재하며, 각각의 투자시나리오별로 다른 투자 전략의 수립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각각의 국가 그룹과 지역별로 다른 지역에서 투자되는 투자 흐름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파악하고 투자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시사점이라고 생각되며, 학술적으로도 의미하는 바가 크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정책점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본 보고서의 연구 결과, 국가 간 다양한 시나리오 별로 결정요인이 다르게 나타났다. 즉, 각 국가 간 FDI 흐름은 경우에 따라 주요하게 생각하는 결정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를 위해서는 투자시나리오마다 다른 투자 유치 전략을 가질 필요가 있고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참고하여, 보다 효율적인 투자 유치 전략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금융시장발달정도는 대체로 FDI의 중요한 결정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금융시장이 발달되어야 투자유인이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각 국가들은 외국인직접투자 유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금융시장에 발달에 대한 전략적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셋째, 투자협정도 FDI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그린필드형 FDI에 중요한 결정요인이 되며, OECD 국가 간 FDI, 유럽에서 아시아로의 FDI에서 투자협정이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OECD 국가들은 향후 OECD 국가들 간의 투자협정을 체결할 수 있는 통상전략이 필요하며, 아시아 국가들은 유럽 국가들과의 투자협정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 특히 이미 FTA를 통해 투자협정을 체결한 국가들의 경우 FTA 이행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의 경우 EU와의 FTA에서 투자협정 관련 이행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를 통해 보다 많은 투자유치를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 넷째, 노동력 차이에 의한 수직적 FDI는 OECD 국가 간 FDI에서 발생하며, 주로 미주지역 기업들의 투자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직적 FDI 유치를 위해서는 보다 저렴한 노동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저렴한 노동력을 가지지 못한 국가의 경우 노동력의 기술 수준을 높여 높은 생산성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교육, 전문인력 육성 등 비교적 기술 습득이 빠르고 생산성이 높은 노동인력을 생산해 내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아시아 지역 역내 FDI와 유럽 지역 간의 FDI에서 경제규모유사성이 결정요인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시아 국가들과 유럽 국가들은 자신의 지역 역내 FDI를 유치하거나, 상대 지역 국가로부터 FDI를 유치할 때, 경제규모가 유사한 국가들을 대상으로 투자유치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보다 높은 투자효과를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핵개발 전략이 핵협상에 미치는 영향 : 이란과 북한 사례를 중심으로

        김재희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1662

        Today, as it is called the Second Nuclear Age, nations seeking to possess nuclear weapons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re in constant distress. In order to solve problems related to nuclear weapons,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proposed coercive or conciliatory solutions through cooperation. However, because the development motives and strategies of potential nuclear state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solution of solving the nuclear issue is not applied in a lump. Therefore, analyzing the motives for development (WHY) and nuclear acquisition and operation strategies (HOW) of these potential nuclear states could be the first step to solve the nuclear problem.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nuclear negotiations by examining the motives, nuclear acquisition and operation strategies of the potential nuclear states and to suggest measures for concluding nuclear negotiations. The main determinants of Iran's nuclear development are security threats and regional hegemony. The most dangerous factor in Iran's security situation was Iraq in the 1980's and then Israel as a major threat. The Iran Iraq war that broke out in 1980 led to Iran's decision to pursue a nuclear arsenal. After that, the enrichment of neighboring countries and hostile countries, and the provision of US nuclear umbrella contributed to the further development of Iran's nuclear development. Since Iran began nuclear development as a "nuclear program for peace" supported by the West, the initial nuclear weapons acquisition strategy was a hedging strategy. Since then, the Islamic Republic's nuclear acquisition strategy has been a hiding strategy to avoid international sanctions and surveillance. The nuclear operation strategy can be regarded as a catalytic that regards Russia as a sponsor country. In Russia, however, depending on whether it has a relationship with the West, it may or may not help Iran. Therefore, it is prudent for Iran to choose a catalytic strategy against Russia. For asymmetric escalation strategy, Iran is not exposed to serious security threats at present, so it is unlikely to choose this strategy. Recalling that Iran's supreme leader takes control of the military, a assured retaliation strategy is the most likely strategy to choose. In addition, since Iran's nuclear target is deterred by its opponents' use of nuclear weapons, a strategy that can be controlled from a central point is more appropriate. North Korea felt a serious security threat when it was reported that the US could use nuclear weapons at the time of the Korean War and then started nuclear development. Therefore, the main driver of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is related to security. In addition, it has some purposes of maintaining the regime, making a leap in conventional military force with South Korea, guaranteeing military security, normalizing relations with the United States, and improving negotiating power for normal status. The Kim Il Sung regime, with the support of the Soviet Union in the name of energy development, started a nuclear program despite the opposition of the Soviet Union. In particular, the Soviet Union, which was in conflict with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Cold War, built a strategy to pursue a barrier and continued nuclear weapon development. The Kim Jong-il regime has also pursued nuclear development in spite of international condemnation and sanctions, and has chosen the strategy of hiding in order to avoid the sanction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ince then, the Kim Jong-Eun government has completed the nuclear development through the hiding strategy and reached the nuclear test. North Korea's nuclear strategy is a catalytic strategy to place the Soviet Union and China as a powerful sponsor. As long as North Korea does not deteriorate its relationship with China, it is unlikely to choose the strategies of assured retaliation or asymmetric escalation. In the case of assured retaliation, North Korea's leadership can pick it up because it is possible to take control of the military. However, not the actual use of nuclear weapons, but just the nuclear threat can not be passed on to the United States, and the asymmetric escalation type has not the possibility of being chosen in the case that North Korea's second-strike is not proved. Therefore, it is the best choice for Kim Jong-Eun regime to resolve the situation through the intervention of the sponsoring powers when threatening to use nuclear armed forces. The impact on Iran and North Korea's nuclear negotiation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international factors and domestic factors. In the case of Iran, international political factors include the US policy toward Iran, the role of the European Union in mediation, and Israel's willingness to actively negotiate with the nuclear powers. Domestic political factors include the change of power from hard-core to mid-moderate conservatives, serious economic hardship, and public opinion of Iranian people who want to reform and open up. North Korea has international political factors such as US policy toward North Korea, China's involvement,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North Korea policy. Domestic political factors include the maintenance of the system and the economic difficulties derived from international sanctions. The international and domestic political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the Iranian and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processes have been parameters that affect the nuclear negotiations of these countries along with nuclear development decision factors, nuclear acquisition and nuclear operation strategies. The nuclear issues of Iran and North Korea today have become common ones fo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to solve together. Before presenting the solution, I think it is desirable to solve the nuclear problem by examining the causes and processes of starting the nuclear issue and resolving it from the root of the problem. In addition, it is important to build confidence and willingness to resolve the nuclear issues of the parties involved in nuclear negotiations. If two states and the international society go through the transition process from their security assurances and the resolution of the problems connected with survival to the transparent nuclear disarmament demanded b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uch as the United States, the road map for the solution of the nuclear problem will be completed.

      • 커피전문점 방문수요의 결정요인 분석

        최성임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1661

        In recent times, fast-growing domestic coffee market in Korea has dramatically as people's beverage trend diversifies and more brand cafe are open. In addition to the trend of expenditure in modern society is rapidly changing with the new aspect of american style's beverage habit. However,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in coffee brand cafe deman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development of coffee brand cafe industry by classifying social class with the application of involvement. This study was designed to approach coffee brand consumers with the aspect of choice behavior according to coffee consumption. to accomplish an aim of this study, literature review and empirical study were followed and the overall goal of this study, two different demand determinant approach methods were provided. First, it is to determine the attributes for coffee brand cafe selection. Second, from the frequency of coffee consumption, coffee demand was derived. With these results of choice behavior and demand prediction, this study may provide guideline to coffee industry when market segment. Data a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s of general public.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systematic sampling are used to select respondents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otal size of the sample was 997 and 807 of which as utilized. As a research methodology, a statistical package of SPSS 18.0 for Window was used to analyse the collected data and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analysis, factor analysis, one-way ANOVA executed. Also LIMDEP(LIMited DEPendent variable model) 8.0 was used Negative Binomial Poisson Model for estimating determinants of frequency coffee consumption, As a result,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ntribute to identifying the determinants related positively to potential coffee brand markets. Moreover, the results may provide implication for marketing plans for brand coffee distributors.

      • 회사신뢰 및 상사신뢰의 결정요인과 효과성에 관한 연구

        이영석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박사

        RANK : 1661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five-factor model regarding determinants of company trust and leader trust, and investigated its effectiveness in organizations. In study 1, five dimensions were identified to explain company trust, based on preliminary interviews, field survey,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es. It was found that people trusted their company on the basis of the task dimension when the company demonstrated organizational competencies, of the person dimension when it provided consideration to themselves, of the membership dimension when it treated all other members with fairness concerns, of the self dimension when it behaved with moral principles, and of the meta dimension when it showed responsibility toward a society.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ved the hypothetical structure of the five-factor model. In addition, the same theoretical framework was applicable to explain leader trust, and hence items from preliminary interview were categorized into the five dimensions. People trusted their leader on the basis of the task dimension when the leader demonstrated managerial competencies, of the person dimension when he or she provided consideration to themselves, of the membership dimension when he or she treated all other members with fairness concerns, of the self dimension when he or she behaved with moral principles, and of the meta dimension when he or she showed responsibility toward a company. Again,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the five-factor model. In study 2, scales measuring company trust, leader trust, cooperating intention toward company and leader, and loyalty toward company and leader were developed. Past research on organizational trust was not clear on distinguishing the above concepts, because its measurement of trust included them interchangeably. The present study overcame this limitation by developing each scale separately and by excluding overlapping items from each scal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ccessfully supported the measurement model of each scale. In study 3, an integrated model of organizational trust was hypothesized and tested from the sample of 1057 employees.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ings. First, 5 factors of trust determinants influenced company trust and leader trust, except for the path from organizational competencies to company trust. Leader trust was shown to influence company trust. Second, company and leader trust influenced cooperating intention and loyalty toward both company and leader. Cooperating intention influenced OCB, and loyalty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rd, mediating effects from company and leader trust to OCB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ru cooperating intention and loyalty were supported. Fourth, effects from consideration, morality, social responsibility, and organizational competencies to company trust were moderated by collectivistic values of organizational members. These results proved that the 5-factor model of trust determinants was conceptually useful to predict levels of company and leader trust, and they were successful in further predicting the degree of OCB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 프로야구 여성팬의 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관람 결정요인 분석

        조운용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660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야구 여성팬의 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관람 결정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프로야구 구단들의 마케팅 실무자들에게 여성 팬 확보를 위한 전략 수립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실증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2002년 한국프로야구 정규시즌의 직접관람자 중 홈팀의 여성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후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여 총 60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507명의 자료가 실제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Windows용 SPSS 10.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요인분석(factor analysis), 신뢰도분석(reliability analysis), 군집분석(cluster analysis), 독립 t-검정(independent samples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등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거쳐 얻어진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경기관람 결정요인의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직업에 따라 경기관람 결정요인 중 경기장 시설 및 환경요인과 팀 이미지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수입과 학력에 따라서는 팀 이미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연령과 결혼유무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관람빈도에 따라서는 경기관람결정요인 중 팀 성적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팀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2. 본 연구에서는 프로야구 여성팬의 행동적, 태도적 충성도를 비교 분석하여 집단의 세분화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프로야구 여성팬은 4개의 상이한 집단으로 구분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에 따른 경기관람 결정요인의 차이 분석을 실시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3.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 전체의 팀 충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경기관람 결정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행동적 충성도에서는 팀 성적, 팬 서비스, 팀 이미지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태도적 충성도에서는 경기관람결정요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팀 충성도에는 팀 성적, 팬 서비스, 경기장 시설 및 환경이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4. 본 연구에서는 여성팬을 유형별로 분류하여 경기관람결정요인이 팬 유형별 팀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잠재적 여성팬 집단의 경우 경기장 시설 및 환경요인과 팬 서비스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낮은 여성팬 집단의 경우에는 경기관람결정요인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여성팬 집단의 경우 팀 성적만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식적 여성팬 집단의 경우에는 팬 서비스와 팀 성적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decisive factors for the game spectation which affect to the degree of female fans loyalty for their team. I believe this study will provide the actual basic data to help making the starategy for the female fans. For this study, 600 subjects were selected using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rom the female fans who directly spectated their home game (2002. Regular season game of Korea Professional Baseball) Among them, 507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survey questionaire. Using self-administation method managed SPSS(version10.0) program was managed for this study. with this data,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luster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and multiful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acquired from these method and analysis. 1. In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type of occupation had meaningful difference in conditional factor and team-imageable factor. Income and eduactional career had meaningful difference in team-imageable factor. But age and marrige didn't show meaningful difference. Spectatorial frequency had meaningful difference in team's achievement, loyalty for team, and behavioral loyalty. 2. In regard to the behavioral and attitudinal loyalty,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4 different groups. And these 4 groups showed meaningful difference in all factors. 3. In regard to decisive factors for the game spectation which affect to the degree of all subjects' loyalty for their team, about the behavioral loyalty, team achievement, fan service, team image had meaningful effect. Regarding attitudinal loyalty, all factors had meaningful effects. And regarding team loyalty, team achievement had meanigful effect. 4. In regard to the different effect which affect team loyalty according to the female fans type, latent loyalty groups were affected by fan service, facility and condition of stadium. low loyalty group was not affected by any factor. high loyalty group was affected only by team achievement. And spurious group was affected by fan service and team achievement.

      • 원전지역 주민들의 다차원적 원자력수용성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김근식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박사

        RANK : 1660

        This study analyzed the multidimensional acceptance of the siting of nuclear power plants on the part of residents living near them, and the determinants that influence this key target group of policymaking in this field. The existing discussion of the level of acceptance of nuclear facilities has generally focused on the social acceptance displayed by the public. In addition, the acceptance of residents living near nuclear power plants has also been discussed in terms of the single dimension of local acceptance of individual nuclear facilities. However, recent discussions of this phenomenon since the Fukushima accident focusing on multiple dimensions of nuclear acceptance, such as ‘reluctant acceptance’, have produced a new configuration of the concept of nuclear acceptance. In addition, a debate has emerged about the reaction to new facilities, including the renovation of old nuclear power stations. In this study, depending on the types of nuclear facility and the level of acceptance displayed toward them, the attitude of nearby residents was classified multi-dimensionally. The level of acceptance of a nuclear facility is categorized in terms of reactions to new nuclear power plants, renovated old nuclear power plants and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And the level of acceptance is subdivided into compensatory and conditional acceptance, risk mitigation conditional acceptance and reluctant acceptance. Discussion of the existing nuclear acceptance determinants mainly center around the psychometric paradigm based on risk perception factors (benefit perception, risk perception, trust, etc.). Recently, however, an argument about nuclear acceptance determinants has been made on the basis of new acceptance determining factors such as the affective attitudes and values of the public, in order to actively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Moreover, since the Fukushima accident, a discussion about relevant structural factors at the macro level has emerged, focused on issues such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the energy security provided by nuclear power. Accordingly, the determining factors affecting the multidimensional nuclear acceptance of the nuclear inhabitants in the study were selected, namely risk perception factors (benefit perception, risk perception, nuclear energy trust), value factors (environmentalism, materialism, political ideologies), affective factors, structural factors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energy security benefits), and incident factors (Fukushima accident, KHNP corruption scandals).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separate the compensation and non-compensation nuclear regions, and compare them in terms of the multidimensional difference in nuclear acceptance between the two types of region. The summary of findings on the level of multidimensional nuclear acceptance on the part of nuclear residents is as follows: First, the multidimensional nuclear acceptance level of nuclear inhabitants varied depending on their judgment dimension and the type and size of a facility. The level of acceptance of new nuclear power plants and their risk mitigation conditional acceptance in the judgement dimension was the highest. Second, the multidimensional nuclear acceptance level between compensation and non-compensation areas varied depending on the judgment dimension and facility type. While the new nuclear power plant acceptance of compensation area inhabitants was highest, non-compensation area inhabitants showed the highest acceptance rates for renovated old nuclear power stations. Next, the summary of findings on the determinants of the multidimensional nuclear acceptance of nuclear residents is as follows: First, risk perception is the most powerful determinant of the level of acceptance of high 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ies, while on the other hand, affective factors are the most influential over the level of acceptance in general. Second, structural factors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multidimensional acceptance of the totality of nuclear residents, except for the acceptance of some facility typ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theoretical and political aspects. One theoretical implication is the possibility of an extension of the existing concept of acceptance to include a discussion of multidimensional acceptance on the part of nuclear residents. This can also be applied to the determinants of nuclear acceptance.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risk perception factors, the impact of new structural determinant factors and emotional factors were demonstrated. The poli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extrapolated from the information about the various nuclear acceptance perspectives of nuclear residents. In addition, empirical results related to the determinants of multi-dimensional acceptance can provide policy guidance for improving nuclear residents’ level of acceptance. These factors may help to establish more realistic policy alternatives and options. 이 논문에서는 원자력 시설 입지정책에서 핵심적인 정책대상집단인 원전지역주민들의 다차원적 원자력수용성과 그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원자력수용성 논의는 주로 일반국민이나 대중들의 사회적 수용성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으며, 원전주민들의 수용성 역시 개별 원자력시설에 대한 단일차원의 지역 수용성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다. 하지만 후쿠시마 사고 이후 최근의 원자력수용성 논의들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다차원적 수용성에 대해 논의하고 있으며, 마지못한 수용과 같은 새로운 차원의 수용성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또한 노후원전의 수명연장 수용성과 같은 새로운 시설 차원의 수용성 논의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 시설 차원과 수용성 판단 차원에 따라 원전주민들의 수용성을 다차원적으로 분류하였다. 시설 차원의 원자력수용성은 신규원전, 수명연장, 고준위방폐장에 대한 수용성으로, 판단 차원의 원자력수용성은 보상 조건 수용성, 위험 완화 조건 수용성, 마지못한 수용성으로 세분하였다. 기존의 원자력수용성 결정요인에 관한 논의들은 주로 심리측정패러다임에 기반한 위험지각 요인(편익인식, 위험인식, 신뢰 등)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심리측정패러다임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가치나 감정 등과 같은 새로운 수용성 결정요인들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더욱이 후쿠시마 사고 이후에는 원자력의 기후변화 완화 및 에너지 안보와 같은 거시적 차원의 구조적 요인에 대한 논의도 나타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도 원전주민들의 다차원적 원자력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수용성 결정요인들을 위험지각 요인(편익인식, 위험인식, 원자력 신뢰), 가치적 요인(환경주의, 물질주의, 정치이념), 감정적 요인, 구조적 요인(기후변화 완화 및 에너지 안보 편익), 사건적 요인(후쿠시마 사고, 한수원 비리 사건)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원전지역을 보상지역과 비보상지역으로 구분하여 두 지역 간 다차원적 수용성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원전주민들의 다차원적 수용성 인식에 대한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전주민들의 다차원적 원자력수용성 인식은 시설 차원과 판단 차원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다. 시설 차원의 수용성은 신규원전이 가장 높았으며, 판단 차원의 수용성은 위험 완화 조건적 수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상지역과 비보상 지역 간에도 다차원적 수용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설 차원의 수용성의 경우 보상지역 주민들은 신규원전 수용성이 가장 높은 반면, 비보상지역 주민들은 수명연장 수용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원자력시설이 갖고 있는 위험성에 근거하고 있으며, 원전주민들의 원자력수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적 수단들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원전주민들의 다차원적 수용성 결정요인에 대한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간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전반적으로 고준위방폐장 수용성에는 위험인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반면, 나머지 수용성에는 감정적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적 요인은 일부 시설 차원의 수용성을 제외하고, 원전주민들의 다차원적 수용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함의는 이론적 측면과 정책적 측면에서 논의할 수 있다. 이론적 측면에서의 함의는 원전주민들의 원자력수용성을 다차원적으로 논의함으로써, 기존의 원자력수용성 개념을 확장하였다는 것이다. 이는 수용성 결정요인에도 적용할 수 있는데, 기존의 위험지각 요인 외에 새로운 결정요인으로 구조적 요인과 감정적 요인의 영향력을 실증하였다는 것이다. 정책적 측면에서 본 연구가 갖는 함의는 원전주민들의 다양한 원자력수용성 인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다차원적 수용성의 결정요인에 대한 실증분석 결과는 주민들의 원자력수용성을 높이기 위한 정책적 고려 사항들을 제공한다는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요인들은 보다 현실적인 정책대안 및 방안의 수립에 도움이 될 것이다.

      • 레퍼토리 그리드 방법론을 이용한 정보기술 리아웃소싱 결정요인

        우동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659

        정보기술 아웃소싱은 국내 정보기술 서비스 시장에서 40% 이상의 비중을 차지하는 큰 시장이고 정보기술 서비스 영역에서 가장 큰 포지션으로 성장했다. 현재에도 매년 2% 이상의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고 비용 절감 대상에서 기업의 핵심역량으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리아웃소싱에 직면한 기업이 업체를 변경하거나 유지하기 위한 결정의 시기가 도래하고 있지만, 선행연구에서는 최초 아웃소싱 도입을 위한 결정요인이나 개별 아웃소싱 유형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정보기술 리아웃소싱에 대한 연구도 확인하였지만, 일부 품질요인이나 위협요인 등 특정 관점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정보기술 아웃소싱 서비스 사용자와 서비스제공자 관점의 결정요인을 통합적으로 도출하였고 응답자 그룹 간 결정요인의 빈도와 중요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알게 된 시사점은 첫째, 정보기술 아웃소싱 서비스 경험자를 대상으로 개인별 인지 항목을 범주화하여 17개의 리아웃소싱 결정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정보기술 리아웃소싱 결정요인과 기존 아웃소싱 결정요인 간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셋째, 정보기술 아웃소싱 업체를 결정하는 요인의 중요도를 확인하였다. 넷째, 사용자그룹과 서비스제공자 그룹 간의 리아웃소싱 결정요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한계는 첫째, 특정 산업군에 종사하는 아웃소싱 경험자를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모든 정보기술 아웃소싱 산업군에 적합한 리아웃소싱 결정요인을 도출하지 못하였다. 둘째, 아웃소싱 서비스를 이용하는 담당자 업무영역별 결정요인의 차이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셋째, 도출된 리아웃소싱 결정요인 내 중요한 세부 속성을 확인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응답자 그룹별 리아웃소싱 결정요인을 도출하였지만, 다양한 산업군과 사용자 업무영역별 결정요인의 차이는 확인할 수 없으므로 해당 결정요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리아웃소싱 결정요인은 아웃소싱 계약을 통해 업체를 유지하거나 변경해야 하는 기업의 의사결정권자에게 참고가 될 것이다. 또한, 아웃소싱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업체에는 서비스 이용자 관점의 인지구조를 통합하여 도출한 리아웃소싱 결정요인을 근거로 고객 서비스 품질을 향상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is a large market accounting for more than 40% of the domestic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market, and has grown to the largest position in the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 area. Even now, it maintains a growth rate of more than 2% annually, and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ore competency of the company in cost reduction targets. Although the time has come for companies facing re-outsourcing to make decisions to change or maintain a company,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r individual types of outsourcing for the first time outsourcing has been predominant in previous studies. Research on information technology re-outsourcing was also confirmed, but research was conducted focusing on specific factors such as some quality factors or threat factors. Therefore, in this study, determinants from the perspectives of 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service users and service providers were derived, and the frequency and importance of determinants among the respondent groups were analyz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first, for those who experienced 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services, each individual cognitive item was categorized and classified into 17 re-outsourcing determinants. Secon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ants of information technology re-outsourcing and the determinants of existing outsourcing was identified. Third, the importance of factors determining 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companies was confirmed. Fourth, the difference in the re-outsourcing determinants between the user group and the service provider group was confirme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first, it was not possible to derive re-outsourcing determinants suitable for all information technology outsourcing industries by conducting interviews with outsourcing experienced persons engaged in a specific industry group. Second, it was not possible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the determinants of each business area in charge of using outsourcing services. Third, important detailed attributes in the derived determinants of re-outsourcing could not be identified. Although the determinants of re-outsourcing by respondent group were derived through this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terminants by various industries and user work areas could not be confirmed, so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confirm the differences in the determinants. It is expected that the re-outsourcing determinants derived from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for decision makers of companies who need to maintain or change companies through outsourcing contracts. In addition, vendors providing outsourcing services take into account the determinants of re-outsourcing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hoping to help improve the quality of customer service.

      • 이전적지의 용도 결정요인 중요도에 따른 개선방안 연구

        지준만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1646

        A Study on the Improvement Plans according to Significance of Determinants for Relocated-Site Use Ji, Jun Man Dept. of Real Estate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Due to various phenomena including relocation of government agencies in an effort to alleviate the problem of population density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e nation’s policies to promote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the number of relocated sites in the downtown area has shown continuous increase. Furthermore, the number of such relocated-sites is expected to constantly rise going forward due to increasing demand to relocate disqualified facilities and industrial sites in the down town area to the outskirts of the city, in accordance with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environmental change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ocated-site development cases in the downtown area, figure out tre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cases by type and hosting party, analyze significance of determinants for facility use, and finally draw a conclusion of reasonable improvement plans for utilizing relocated-sites. This study has sought to find out significance of determinants in relocated-sites use through AHP analysis. Most of previously conducted studies in relation to relocated-sites focused on expert group. Unlike these existing studies, this paper aims to present improvement plans based on difference of significance between the people in the region, a non-expert group, and the expert group. The improvement plans, which are presented based on difference of significance between the two groups regarding determinants of relocated-sites use, have been drawn after going through the process to apply opinions to each corresponding area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The summary of reasonable improvement plans of relocated-sites use that have been concluded from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various interested parties must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n the past, residents were considered as a beneficiary party and did not take part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However, it should be institutionalized that residents also must be included in the group of parties wh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long with a development company, administration experts and policy makers. Second, the study suggested administrational system enabling residents’ opinions to be applied to the work process in order to promote effective decision making process through the combination of residents’ willingness to participate and government’s willingness to work together, using the residents participating model developed on the basis of the partnership between residents and administrational office. Third, vitalizing residents’ participation using various techniques must be carried out. With the use of various IT communication platforms, including online media and SNS, group discussion by residents regarding major development issues and governance activities of relocated sites must be vitalized. In addition, residents’ participation channels should be diversified and it must be sought based on the legal ground to make residents’ participation compulsory. Fourth, the new system allowing residents to provide feedbacks to the decisions related to land use resulted from relocated site development must be established. A legal ground encouraging resident council to participate in the adjustment process of development plans must be sought by establishing decision-making system participated by residents. Fifth, standards of public contribution must be institutionalized in a detailed manner, in order to rationalize decisions made on the public contribution of relocated sites. To this end, each local governmental entity must set their own coverage and scope at a certain ratio for public-based facility according to institutionalized regulations so that interested parties can agree to the government’s decision if they find necessary. Sixth, current ‘Site Regulation Minimized District System’ must be retained in order to revive development business of relocated sites. With this system, it is expected that construction density will be more effectively used in the new development than the one determined in the previous use. Lastly, local government officer and public workers must recognize positive impacts brought by residents participation to begin with, and then offer various opportunities allowing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work process. Residents’ participation will contribute to minimize social conflicts that might be indispensably arising from the process of deciding the use of relocated site. This study attempts to seek rational improvement plans of development business with concentration on residents’ participation which showed considerable discrepancies in the significance analysis of determinants for relocated site use between experts and non-expert groups. Such attempt is expected to make contribution to reduce social conflicts that might be arising from the course of decision making process on the use of relocated sites and its development business. Keywords: relocated site, determinants, significance, resident participation, public contribution, site regulation minimized district system. 이전적지의 용도 결정요인 중요도에 따른 개선방안 연구 우리나라는 수도권 과밀 및 집중 해소, 국가 균형발전 정책의 일환인 공공기관 이전 등으로 도심 내의 이전적지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향후 도시의 사회적, 경제적, 정책적 환경변화에 따른 도심 부적격 시설 및 공업용지의 도시외곽이전 소요 발생으로 이전적지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심지 이전적지의 개발 활용사례 분석을 통하여 유형별·주체별 변화 추이와 특성을 도출하고, 용도 결정요인의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여 이전적지 활용의 합리적 개선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AHP 분석을 통해 이전적지의 용도 결정요인 중요도를 도출하였다. 이전적지 관련 선행연구의 대부분은 전문가집단에 초점을 둔 경우가 많았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비전문가집단인 지역주민과 전문가집단의 양자 간의 차별성에 근거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전적지 용도 결정요인에 대한 두 개 집단 간의 중요도 차이를 근거로 제시한 개선방안은 표적집단면접을 통해 관련분야의 의견을 반영하는 절차를 거쳤다. 연구결과 도출된 이전적지 활용의 합리적 개선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의사결정 참여이다. 기존의 의사결정 참여주체인 개발사업 시행자·행정·정책전문가와 함께 그동안 수혜적 대상으로 인식하였던 주민이 주체적으로 이전적지 관련 의사결정에 참여하도록 제도화하여야 한다. 둘째, 주민과 행정청의 민관협력 파트너쉽에 근거한 주민참여 모형으로, 주민참여 의지와 행정청 의지 결합을 통한 효과적 의사결정이 유도되도록 주민 의견의 행정 반영체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셋째, 다양한 기법을 활용한 주민참여 활성화이다. 온라인매체·SNS 등 다양한 IT소통 수단을 통하여, 주요 개발이슈에 대한 시민 집단참여 토론, 이전적지 개발의 거버넌스 활동의 활성화와 동시에 주민참여의 법적 의무화를 통해 주민참여 통로의 다양화와 명시화가 강구되어야 한다. 넷째, 이전적지의 개발에 따른 활용용도 의사결정 피드백시스템의 구축이다. 참여적 의사결정시스템 구축을 통해 계발계획 조정과정에서 주민협의체가 참여할 수 있도록 법적 뒷받침이 강구되어야 한다. 다섯째, 이전적지의 공공기여 의사결정을 합리화하기 위하여 공공기여 기준을 구체적으로 제도화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지방자치단체별로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이해관계자가 동의할 수 있도록 제도화된 규정에 따라서 일정비율의 공공기반시설 부담내용과 범위를 결정하여야 한다. 여섯째, 이전적지 개발사업의 활력 부여를 위하여 현행 입지규제최소구역제도의 존치가 요구된다. 이 제도를 통해 이전적지의 기존 용도지역에서 정한 건축 밀도보다 효율적인 개발용도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일곱째, 지방자치단체장과 공무원의 주민참여에 대한 긍정적 효과의 인식을 통하여 주민참여의 기회를 적극적으로 제공하여야 한다. 주민참여는 궁극적으로 이전적지 용도 결정에서 유발될 수 있는 사회적 갈등 요소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본 연구는 전문가와 비전문가의 이전적지 활용용도 결정요인 중요도 분석에서 현격한 차이를 보인 주민참여에 초점을 두고 개발사업의 합리적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구 시도는 이전적지 용도 결정과 그 개발 사업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회적 갈등을 해소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주제어: 이전적지,결정요인,중요도,주민참여,공공기여,입지규제최소구역

      • 핸드볼 경기 관중의 경기관람 결정요인, 관람만족, 팀 동일시, 소비행동의 관계

        이광우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1645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for providing basic materials used in establishing marketing strategy to keep and secure fans as apprehend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in factors of viewing a competition, viewing satisfaction, Team identification and consumer behavior. The research team visited the In-Cheon stadium and Sam-Chunk stadium. This research team contacted consumers who viewed 2012 SK Hand Ball Korean league as a sample. The method of collecting a sample is convenience sampling method. Through this method, we collected about 400 people and excluded unfaithful responses and 349 responses were analyzed and the sample was used in SPSS Windows Ver. 18.0 and AMOS 18.0. Through these programmes, we made a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correlation and confidence interval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eople in 40s showed the differences in the main factors of viewing the competition, Team identification and consumer behaviour and there is no difference in viewing satisfaction after researching according to demographic statistical character. There are several reasons why these results were caused. For example, people in 40s who viewed national team to win a great grade in the international competition would have a strong attachment through grass root marketing. Also, the number of man teams had more numbers than the numbers of woman teams, which led to popularization. However, the institute of handball should revise to make professional handball stadium and promote marketing strategies in order to increase viewing satisfaction.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viewing the competi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influenced sub factors which ar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 marketing factor.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good stadium and make good quality competitions and ensure professional work forces and promote various activities in order to establish more spectators.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the competition and Team identification influenced sub factors which ar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team and athletes factors. That is to say, the spectators who have identity with team would support strong teams and purchase more products concerned with team. Fourth, the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of viewing the competition and consumer behaviour influenced sub factors which ar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and factors concerned with the competition that is, re-viewing willingness and intention of saying to others. Thus, the institute of handball and the management of handball should support many funds to do good competitions. Fifth, viewing satisfaction influenc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ewing satisfaction and Team identification. That is to say, through viewing the competition, viewers want to be united with team and to become together. Sixth, the relationship between viewing satisfaction and consumer behaviour influenced both re-viewing willingness and the intention of saying to others. Thus, it is necessary to develop marketing strategies and broadcast the competition to increase consumer behaviour. Finall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m identification and consumer behaviour influenced re-viewing willingness and intention of saying to others. Thus, the institution of handball should develop various events and marketing strategy viewers can become familiar with in order to increase identity with team which will contribute to intention of viewing. To sum up, all the factors which are viewing satisfaction, identity with team and consumer behaviour make an effect on viewing the competition. Therefore, we should consider all the factors as important in order to increase the number of viewing the competition and be satisfied. Also, the institute of handball should establish suitable strategies. 본 연구는 핸드볼 경기 관중의 경기관람 결정요인, 관람만족, 팀 동일시, 소비행동의 관계를 연구함으로써 핸드볼 팬 확보 및 활성화와 더불어 지속적인 핸드볼 고정팬을 유지하기 위한 마케팅 전략수립에 사용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 연구의 대상은 ‘2012 SK 핸드볼 코리아리그’를 관람하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경기가 열리는 인천과 삼척 경기장을 직접 방문, 경기를 관람하는 소비자들을 모집단으로 설정하였다. 표집방법은 비확률 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총 400명을 표집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조사 후 무기입 자료 및 불성실한 응답 자료를 제외하고 총 349부의 설문지를 분석에 사용하여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 방법은 SPSS Windows Ver. 18.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t-test, 일원변량분석(ANOVA), 상관관계분석, 신뢰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변인에 따른 경기관람결정요인, 관람만족, 팀 동일시, 소비행동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40대가 경기관람 결정요인, 팀 동일시, 소비행동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관람만족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1980년 초반부터 1990년 중 후반 사이에 핸드볼이 국제대회에서 성적을 거두는 것을 보고 자란 40대가 grass root marketing 으로 인한 핸드볼에 대한 애착이 강한 것으로 생각되며, 남자팀에 비해 여자팀의 수가 더 많기 때문에 앞으로 핸드볼도 프로화가 되고 남자팀 수가 많이 늘어나면 핸드볼도 발전하고 대중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스포츠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됩니다. 또한 핸드볼 경기 관중의 관람만족을 높이기 위해서 핸드볼 협회는 전용 경기장 및 대회에 대한 홍보와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여 관람만족을 높일 방법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경기관람 결정요인과 관람만족의 관계는 경기관람 결정요인의 하위요인인 사회․심리적요인, 마케팅요인에서 관람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핸드볼의 많은 관중의 유치하기 위해서는 보다 우수한 경기장 및 질 높은 경기, 전문 인력보충, 다양한 촉진 활동을 통한 관중의 관람만족을 제고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경기관람 결정요인과 팀 동일시의 관계는 경기관람 결정요인의 하위요인인 사회․심리적요인, 선수․팀 요인에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동일시가 높은 관중이 심리적으로 강한 팀에 대한 지지뿐만 아니라 팀 관련 용품 구매등과 같은 부분에서도 적극적으로 팀을 지원하게 될 것이다. 넷째, 경기관람 결정요인과 소비행동의 관계는 경기관람 결정요인의 하위요인인 사회․심리적요인, 경기관련요인에서 소비행동의 하위변인인 재관람의사, 구전의도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앞으로 핸드볼 협회 및 팀 마케팅 경영진은 선수들에 대한 질 높은 지원으로 선수들이 좋은 경기를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관람만족과 팀 동일시의 관계는 관람만족이 팀 동일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핸드볼 팀 경기 관람을 통해 만족하였을 때 팀과 함께 하길 원하며 팀에 일부가 되길 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째, 관람만족과 소비행동의 관계는 관람만족이 소비행동의 하위변인인 재관람의사와 구전의도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핸드볼 관중의 관람만족과 소비행동을 높이기 위해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고 TV중계도 보편화 되어질 수 있도록 핸드볼 협회에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팀 동일시와 소비행도의 관계는 팀 동일시가 소비행동에 하위변인인 재관람의사와 구전의도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관중이 보다 친숙함을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이벤트와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여 팀에 대한 동일시를 높임으로써 관람의도를 증가시켜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핸드볼 경기 관중의 경기관람 결정요인, 관람만족, 팀 동일시, 소비행동의 관계에서 인구통계학적 특성 변인이 관람만족을 제외한 경기관람 결정요인, 팀 동일시, 소비행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기관람 결정요인, 관람만족, 팀 동일시, 소비행동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핸드볼 관중이 더 증가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방법을 연구하여 핸드볼 관중의 관람만족을 높이고 다시 경기장을 찾아 경기를 관람할 수 있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할 것이다.

      • 국내외 항공노선별 여객수송량 변화추이와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유혜미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1645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항공노선별 여객수송량 변화와 결정요인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인천국제공항의 개항연도인 2001년 이듬해인 2002년부터 10년간의 국내 항공노선별 여객수송량의 변화추이는 2004년 고속철도(KTX)의 개통으로 인해 계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국가간 여객수송량의 변화는 반대로 증가하였다. 이는 국민소득의 증가와 무역량의 증가 등으로 국가간 교류가 많아진 것과 관계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2002년 이후 10년간 여객수송량의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10년간 국내외 노선별 항공여객수송량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항공여객수송량 결정요인의 분석은 패널회귀분석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국내노선의 여객수송량 결정요인 분석은 내륙공항간 여객수송량과 제주국제공항을 이용하는 여객수송량의 결정요인을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제주국제공항은 내륙공항간 통행과는 달리 대체 육상교통수단의 부재로 결정요인 또한 다를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국내 내륙공항간 여객수송량의 결정요인 분석결과 출발지와 목적지의 인구, 항공통행시간에 대한 철도통행시간의 비율, 지역간 철도통행량이 항공여객수송량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주국제공항의 여객수송량은 출발지와 목적지의 인구가 영향력이 있는 변수로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국가간 여객수송량의 변화추이와 결정요인에 관한 분석은 우리나라와 통행량이 많은 상위 20개 국가를 선정하여 분석한 결과 출발지와 목적지의 GDP와 무역액이 종속변수인 연간 국가간 여객수송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노선별 여객수송량의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공항운영 및 수요예측 방법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paper analyzes yearly variation of the air passenger travel volume for domestic and international network connecting major airports in Korea. Using aggregated statistical data, yearly variation of the air passenger travel is analyzed. The paper includes som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es on panel data for domestic network connecting major airports and international network in top 20 countries with high traffic volumes. The analysis is conducted on the period between the year 2002 and 2011. Furthermore, some direct air travel demand models are developed for finding factors affecting air passenger travel volume of each domestic routes connecting major airports and international routes. In this study, various attempt are made to develop several models for the air travel demand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explanatory variables utilizing stepwise panel regression technique. The model with the two variables(the sum of origin population and destination population, train time / air time) i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odel to represent the domestic route air travel volume. The model with the two variables(origin population, destination population) i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odel to represent air travel volume of routes connecting the Jeju international airport. The model with the two variables(the sum of origin gdp and destination gdp) is found to be the most appropriate model to represent the international route air travel volume. Finally, some analytical results are summarized, and policy implication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