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aid on economic growth and corruption levels in Sub-Saharan Africa

        Okorie, Marcel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7 국내석사

        RANK : 154415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Aid on Economic Growth and Corruption Levels in Sub-Saharan Africa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iveness of foreign aid in promoting economic growth and reducing poverty in the Sub-Saharan Africa sub-region. The study also looks at the relationship between corruption and foreign aid in the region. Using a relatively recent data compared to other foreign aid studies, the study set out to test the hypothesis that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aid and economic growth and also that there i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oreign aid and corruption levels in the region. The data for the study was sourced from World Bank Development Indicator and Transparency International’s Corruption Perception Index. 16 Sub-Saharan African countries were carefully selected for the study. The range of data used was from the year 2000 to 2014. Regression analysis method was employed. The result shows that at a significant level of 0.035, there is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of -0.151 between GDP growth and ODA confirming the first hypothesis. Also, at significant level of 0.000, there is also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of 0.079 between ODA and corruption levels confirming the second hypothesis. The result confirms that foreign aid has a negative impact on economic growth on the Sub-Saharan African continent and foreign aid also leads to increased corruption levels in the sub-region. Some ways through which foreign aid impedes on economic growth in the region was identified as well as the ulterior motives behind the continuous disbursement of foreign aid. The study has implication on sub-Saharan Africa championing an indigenous development model devoid of foreign reliance and interference.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발전 및 부패에 미치는 해외원조의 효율성 분석 본 연구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 성장 촉진 및 빈곤 감소를 목적으로 한 대외 원조의 효과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이 연구는 지역 내 부패 그리고 대외 원조 간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보고 있다. 본 연구는 대외 원조 연구 사례 등 타 선행 연구와 달리 상대적으로 최신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이 연구에서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내 대외 원조와 경제 성장은 반비례하고 지역 내 대외 원조와 부패 레벨이 비례하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를 하기 위하여 세계은행 개발지수(World Bank Development Indicator)와 국제 투명성 기구의 부패 인식 지수(Transparency International’s Corruption Perception Index)에서 데이터들을 표본 추출하였다.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 16개 국가들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고, 2000년부터 2014년까지로 14년 간 수집된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추출한 데이터들을 표본으로 회귀 분석법을 통하여 나타내어진 결과는 0.035의 유의 수준으로, GDP 성장과 공적 개발원조 (ODA) 간 관계가 0.151 정도의 지수로 반비례 하다는 것을 첫 번째 가설에서 확인할 수 있었고, 두 번째 가설에서는 0.00의 유의 수준과 함께 공적 개발원조와 부패 지수 간 관계가 0.079로 비례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대외 원조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의 경제 성장에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또한 대외 원조가 지역 내 부패 지수를 증가시킨다는 것도 확인되었다. 이 지역의 경제 성장에 대외 원조가 방해하는 몇 가지 방법을 대외 원조의 지속적인 지출 뒤 숨은 동기와 함께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지역이 해외 의존과 간섭 없이 지역 특유의 개발 모델을 고수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rural women through capacity building : a case study of Twisungane cooperative in Mayange Sector, Bugestera District, Rwanda

        Tutuba, Jack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5 국내석사

        RANK : 154399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RURAL WOMEN THROUGH CAPACITY BUILDING: A CASE STUDY OF TWISUNGANE COOPERATIVE IN MAYANGE SECTOR, BUGESERA DISTRICT, RWANDA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establish whether capacity building in weaving can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rural women at Twisungane cooperative, in Mayange Sector, Bugesera District. The research study investigated the living experiences of weavers before joining capacity building programs, their understanding of the capacity building; the approaches used to train weavers; benefits, challenges and measures. A qualitative method was employed in the study where discussions were held with a total number of 49 women weavers through 2 focus group discussions and 25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research results revealed that the major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benefited from capacity building programs. This is manifested in their increased incomes from almost zero to a monthly salary of 80,000frw ($110) that has improved their quality of life tremendously. The study recommends availing more capacity building programs in rural areas like adult education as majority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not had the chance of going to school (formal education). Capacity building programs will increase their abilities to perform better different tasks, as it equips women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they need to more effectively manage and succeed in their businesses. Research shows that the level of formal entrepreneurial activity among women increases as their education rises, and there is a major jump in business ownership among those women who go beyond secondary education.

      • (The) effects of focus on form instruction through listening in blended learning on developing students’ grammar and listening skills

        강희연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8 국내박사

        RANK : 154399

        Focus on form (FonF) instruction with communicative activities has received wide attention in grammar teaching and learning.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onF instruction requires sufficient time for ample input and production in appropriate circumstances. Therefore, blended learning can be applied to FonF instruction. This study aims: 1) to examine the effects of FonF instruction through listening activities in blended learning on the development of grammar knowledge and listening comprehension; 2) to explore learners’ meaning negotiation patterns, types, and occurrences; 3) to investigate learners’ perspectives on FonF instruction through listening in blended learning; and 4) to develop a proper instructional model for FonF instruction in blended learning. 118 university students in Korea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 conventional listening group as a control group (CG), a FonF instructional group (FG) and FonF instruction in blended learning group (FBG) as experimental groups. Regarding data collection, pre-, mid-, and post-tests for grammar, pre- and post-tests for listening, an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included interviews, classroom observations, chat-logs during learners’ interactions, and learners’ written tasks in the study.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ree instructions were effective for the development of learners’ grammar knowledge and listening comprehension. FBG was the most effective among the three groups, and FG did not have a greater effect than CG. Second, learners produced more form-focused LREs than meaning-focused LREs in terms of grammar, and FBG produced more correctly revised LREs than the other two groups. Finally, learners had positive perspectives on grammar learning through listening activities, FonF instruction with textual enhancement and communicative activities, and online tasks in blended learning. It is concluded that FonF instruction through listening activities in blended learning positively impacted the development of learners’ grammar knowledge and listening comprehension. Suggestions are also provided for specific FonF instruction models in blended learning.

      • Native and nonnative English speaking teachers’ feedback on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writing : teachers’ beliefs and practices, and students’ incorporation

        Penn, Seo Hyu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8 국내박사

        RANK : 154399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eachers give feedback to Korean EFL student writing and how feedback influences students' revision. This research attempted to fill gaps in the literature by examining teacher feedback in six aspects: (1) what EFL teachers believe regarding teaching writing and giving feedback, (2) teachers’ feedback lengths, types and frequencies, (3) effects of teacher feedback on student revision, (4) students’ reasons for incorporating and ignoring teacher feedback, (5) student perception about teacher feedback and (6) the effects on students’ improved writing and grammar proficiency. This study collected data from 74 English teachers (38 NESTs and 36 NNESTs) to examine their teaching methods of writing, feedback beliefs and their self-reported feedback practice. Ten focus group teachers were chosen to investigate their feedback practice in the language classroom. To explore the effects of teacher feedback, the total of 121 student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three treatment groups (NEST group, NNEST group and both feedback group) and a control group. The findings indicated that both groups of teachers considered teaching English writing and giving feedback to EFL students an integral part of students’ writing and linguistic development. NESTs and NNESTs demonstrated comparable ways of giving feedback to student writing: eighty-eight percent of their feedback was corrective feedback while 12% consisted of teacher commentaries. While teachers were cautious in giving content feedback avoiding teacher appropriation, they marked every error they saw on their students’ writing. These teachers preferred to use direct corrective feedback (99%) than indirect. They also gave more sentence level comments than they did discourse level comments. The most salient differences emerged from the amounts of feedback they gave and the time spent on student writing. The findings of student incorporation and survey responses indicated that students appreciate teacher feedback and tried to incorporate teacher feedback into their revision as best they could. The students were able to incorporate corrective feedback in a higher degree (93%) than teacher commentaries (66%). When the students’ incorporation rates were compared, students were able to incorporate NEST feedback with higher degrees. The current research did not confirm the results from previous studies, of which, had said that the degree of revision was affected by the forms of the feedback. Rather the specificity of the feedback determined the success of the incorporation. While types of feedback were given interrogatively, declaratively and imperatively, the students’ incorporation rates varied. Another finding of the study is that Korean college students made the most frequent errors in the order of sentence structure, word choice, punctuation, articles, singular/plural, word form and pronouns. These are the areas in which Korean students need pedagogical help; especially from their English writing teachers to communicate more efficiently in writing. The current study results are encouraging for both NESTs and NNESTs. While researching the influence of teacher feedback, the treatment groups improved across the board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students’ pre- and post-tests results. Three treatment group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of English writing proficiency and grammar accuracy (ps < .05) over the control gro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e possible link between teacher feedback and student revision. Further, this study found that treatment group students showed preference toward certain types of feedback for what they were, not because it was given by an NEST or NNEST. In addition, the teacher’s status as native or nonnative did not have a significant affect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The current research evidenced that studying student errors through writing and rewriting exercises could benefit these EFL students in a way that promotes students’ linguistic awareness for English development. The results indicate that writing essays, receiving feedback and incorporating feedback are, in themselves, more important than is the status of the teacher whose feedback the students receive.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various instructional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EFL teachers were discussed in the areas of teaching and giving more effective feedback. The current study warrants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teacher training for both NESTs and NNESTs. 본 연구의 목적은 원어민과 한국인 영어 교사들이 한국 대학생의 글에 어떻게 피드백을 주고, 그들의 피드백이 학생들의 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첫째 단계에서는 38명의 원어민 영어교사와 36명의 한국인 영어교사가 설문조사에 참여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74명의 교사들 중 대학생을 가르치고 있는 교육수준과 전공이 일치하는 원어민과 한국인 교사들을 각 5명씩 선별하여, 실험 집단에 속하는 71명의 한국 대학생 영어 학습자들에게 피드백을 주도록 했다. 총 121명의 한국 대학교 1학년 영어 학습자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원어민 교사로부터 피드백을 받은 그룹, 한국인 교사로부터 피드백 받은 그룹, 통제 그룹) 쓰기와 문법 선시험과 후시험에서의 변화, 그리고 그들의 이 두 교사들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위의 양적, 질적 자료 분석 결과, 첫째,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 모두 영어 쓰기를 한국인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것과 학생들의 글에 피드백을 주는 것이 한국인 학생들의 쓰기와 문법 더 나아가 언어실력 향상에 필수적인 요소임을 인식하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본 연구에서 대부분의 교사들은 국적에 상관없이 모두 피드백에 대해 긍정적인 효과를 인식하고 이를 중요한 교육적인 전략으로 간주하고 있었다. 또한 세 명의 상중하 레벨의 학생들의 글에 준 피드백에도 나타났듯이 두 집단의 교사들 모두 피드백에 대한 유사한 개념을 가지고 있었는데, 두 집단의 교사들의 피드백은 내용에 대한 피드백보다는 문법에 대한 피드백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원어민과 한국인 교사들은 그들이 학생들의 글에 소비하는 시간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며, 원어민 교사들이 한국인 교사들에 비해 55%나 많은 피드백을 주었다. 두 집단의 교사들이 실제 영어 수업을 받고 있는 학생들에게 준 피드백 분석 결과, 교사들은 학생들의 글의 내용(13%)보다는 문법 오류(87%)에 집중하여 피드백을 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영어교사들은 선택적으로 피드백을 특정한 오류를 선택하여 주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글에서 발견한 모든 오류에 피드백을 주고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 다른 시사점은 다양한 방식의 문법 오류 피드백 방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에서는 두 집단의 교사들 모두 99%의 피드백이 직접적인 오류 피드백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따라서 교사들은 직접적인 오류 피드백 방식 외에도 다른 다양한 방법의 오류 피드백 방법과 장점을 교사 연수나 세미나를 통해 재교육을 받을 필요가 있음을 본 연구가 시사한다. 학생들의 피드백 활용률 분석 결과, 학생들은 내용에 관한 피드백의 활용률은 원어민교사의 피드백의 경우 76%, 한국인 교사의 경우 61%를 보였고, 문법 오류에 대한 피드백의 경우 원어민 교사의 피드백은 94%, 한국인 교사의 피드백에는 92%의 활용률을 보였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결과와는 달리 한국인 학생들은 의문문으로 피드백이 주어졌다고 해서 학생들의 피드백 반영률이 영향을 주지 않고 오히려 피드백이 얼마나 자세히 무엇을 해야 할지를 알려주었을 때 그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효과적인 교사의 피드백은 일반적이고 모호한 피드백이 아니라 실제로 어떻게 수정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단서를 제공하는 피드백으로, 이러한 피드백만이 학생들의 피드백 반영률을 높인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문법 오류에 대한 피드백의 경우, 본 연구의 학생 참여자들은 선행연구에서 보고된 반영률보다 훨씬 높은 반영률을 보여주었다. 선시험, 후시험 분석 결과,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의 차이 없이, 교사의 피드백을 한 학기 동안 받은 학생들의 실험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후시험 성적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교사의 피드백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한국인 교사의 피드백을 받은 학생들이 원어민 교사의 학생들에 비해 숫자상으로 훨씬 적은 양의 피드백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통제집단에 비해 영어 쓰기와 문법 실력의 향상 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피드백을 받고, 피드백을 공부하고 이를 반영하는 쓰기 활동 차제가 학생들의 쓰기 실력과 문법지식을 증가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또 다른 시사점은 쓰기 교육 과정 개발자들의 교육 개발 과정에서 참고용으로 활용 될 수 있으며, 쓰기 수업을 구상하는 교육 현장에 있는 원어민과 한국인 교사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여겨진다.

      • Regional differences in economic decision-makings in the aspect of the behavioral economics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Russian, and Thai consumers

        Rastokin Evgenii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6 국내석사

        RANK : 154399

        행동경제학의 관점에서 분석한 경제적 의사결정의 지역 간 차이. 한국, 러시아, 태국의 소비자 대상 비교 연구 2002년 Daniel Kahneman이 행동과학 또는 행동경제학으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하고 2008년 Richard Thaler와 Cass Sunstein이 그들의 베스트셀러 공저 Nudge: Improving Decisions about Health, Wealth, and Happiness를 출판한 이후 행동경제학(Behavioral Economics)은 학계는 물론 공공 및 민간부문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커다란 반향을 불러일으키면서 발전되어 왔다. 미국, 캐나다, 호주 등 세계 각국의 정부들이 국민들의 부와 생활방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행동경제학의 연구 결과를 정책에 활용하고 있으며, 이제는 마케팅 분야에서도 소비자들의 의사결정 행태를 보다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행동경제학의 발전으로 일반 사람들은 돈을 절약하거나 건강해지는 데 있어서 보다 더 ‘합리적인’ 경제적 결정을 내릴 수 있게 되었다. 행동경제학은 1970년대에 태동되어 매우 빠른 속도로 사람들의 삶을 분석하는 유용한 도구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행동경제학은 전통적인 경제이론에서 가정하고 있는 사람들의 경제적 의사결정의 ‘오류’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고전경제학 이론은 사람들이 어떤 결정할 때는 늘 효용(utility)이나 화폐가치에 대한 시간의 개념을 인식하고 이에 따라 행동한다고 가정하고 있다. 그러나 실질적으로 사람들의 경제적 의사결정은 그다지 이성적이지 않다. 사람들은 꼭 필요하지도 않은 물품을 구매하기도 하고 당연히 해야 할 은퇴 준비에도 충분하게 대비하지 않는 비이성적인 행태를 보인다. 이러한 일련의 비이성적(irrational) 의사결정은 상당히 체계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기대이론(Prospect Theory)의 경험과 편견 등의 개념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들이 행동경제학의 연구 대상이며, 행동경제학을 통해 전통적인 경제학이론들은 보다 더 현실에 가까워지고 있다. 그러나 행동경제학은 새로운 분야라서 아직까지 대부분 미국 학자에 의해 발전되어 왔으며, 따라서 대부분 연구가 미국에서 만들어진 모델과 미국 소비자들의 행동만 대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행동경제학의 지역적 차이는 일반적으로 무시된다. 가끔 미국인과 중국인을 비교하는 조사를 볼 수 있지만 이 조사에서 발견 된 차이는 때로는 미국과 중국의 차이가 서양과 동양의 문화의 차이로 확대 해석되어 설명되곤 한다. 이 논문은 행동경제학적 분석에 있어서 역사적, 문화적, 사회적, 또는 기타 지역적 특성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러한 지역적 배경의 차이에 따라 서로 다른 지역의 사람들은 같은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다른 형태의 의사결정을 한다는 것을 기본 가설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한 국가에서 나타나고 있는 성향을 그 국가가 속해 있는 대륙 또는 거대 지역을 대변하는 성향으로 결론지을 수 없다는 것이 이 논문의 부차적 가설이다. 주요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사람들의 경제적 의사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편견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러시아와 한국에서 수행되었으며, 총 400명이 설문조사에 응하였다. 그리고 하위 가설을 확인하기 위해 태국에서도 설문조사를 진행하였으며 총 100명이 응답하였다. 첫 번째 편견은 정박효과(anchoring effect)이다. 처음 보게 된 숫자가 응답자의 가격 지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앵커링은 한국, 러시아, 태국 등 세 나라의 수준이 모두 미국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국 응답자는 한국보다 더 미국 성향에 더 가깝게 나타났다. 두 번째 편견은 보유효과(endowment effect)이다.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자신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이 사실보다 더 비싸다고 생각한다. 미국에서는 보유효과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고 있는 반면 한국에서는 상당히 낮게 나타남으로써 보유효과에 지역적 차이가 있음이 입증되었다. 그리고 태국의 보유효과가 한국보다는 미국에 더 가까운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아시아국가들이 다 똑같은 성향을 나타내는 것이 아님을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행동경제학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보유효과’의 음수 현상이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행동경제학의 흐름에 반직관적(conrta-intuitive)인 이 결과는 일부 러시아 소비자 중에서 나타났으며, 그들은 자신들이 소유하고 있는 물건이 실질가격보다 더 싸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세 번째 편견은 무료효과(zero price effect)이다. 사람들은 공짜를 너무 좋아한다. 어떤 상품의 가격표에 큰 글씨로 '0'이 써있으면 이 상품의 소비가 증가한다는 의미다. 그러나 러시아에서 그것은 사실이 아니다. 러시아 소비자들은 무료 제품 또는 '1+1' 프로모션을 두려워한다. 태국 소비자들도 비슷한 행동을 보여준다. 그래서 러시아와 태국은 무료효과가 낮거나 0보다 작은 한 쪽에 있고 미국과 한국은 그 효과가 상당히 큰 반대 쪽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로 조사한 편견은 고유성추구 효과(uniqueness seeking effect) 그리고 밴드웨건 효과(bandwagon effect)이다. 이는 왜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이 많이 소비하는 제품을 사고 싶어하고 또는 반대로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제품을 소비하기 싫어하는 지를 설명한다. 이러한 편견은 일반적으로 서양의 개인주의와 아시아의 집단주의로 설명한다. 이 논문의 설문조사에서는 러시아 소비자들은 높은 고유성추구 효과를 나타낸 반면 한국의 소비자들은 밴드웨건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아시아 국가인 태국은 미국이나 러시아 소비자들과 같은 수준의 밴드웨건 효과를 나타낸 반면 한국 소비자들처럼 낮은 수준의 고유성추구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 마지막으로 사람들의 시점간 선택(intertemporal choice)에 대한 반응을 조사 했다. 이 분석은 사람들이 자신의 미래의 돈과 투자 계획에 대해 어떠한 행태의 결정을 내리는가를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 이 논문에서는 현재편견(present bias)을 테스트했다. 보통 사람들이 ‘지금’ 있는 돈을 ‘미래’ 돈 보다는 더 소중하게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사람들이 돈을 충분히 절약 할 수 없다. 여기는 러시아 소비자와 한국소비자 사이의 차이점이 발견된다. 한국인들은 다른 나라 사람보다는 더 합리적이고 미래에 대해 더 깊게 생각하는 데 반해 러시아인들은 더 나은 미래보다는 ‘지금’ 소비하는 것을 더 선호하는 편이다. 태국 소비자는 미국 소비자와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의 경제적 의사결정 과정에서 지역적 특성이 분명히 존재한다는 가설과 어느 특정 국가의 소비자 성향이 그 국가가 속해 있는 대륙 또는 지역의 성향을 대변할 수 없다는 가설이 모두 입증되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국제 기업이 다른 나라의 소비자 행동 패턴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는 데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그러나 이 연구의 결과를 보다 확실히 입증하고 체계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샘플을 대상으로 하며 보다 정교한 모델 설정에서 출발하는 보다 많은 후속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한국과 러시아 소비자들의 비교 부분에서 두 나라 소비자들의 행동의 몇 가지 중요한 특성을 밝혀냈으며, 또한 그러한 특성이 두 나라 사이에 분명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한국과 러시아의 기업들이 상대 국가의 시장과 소비자 성향을 더 깊이 이해하고 경제적 협력을 증진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한 젊은 연구자의 작은 행동경제학적 연구 결과가 한국과 러시아 간 상호협력과 국익증진에 작은 기여라도 할 수 있기를 바란다. Regional Differences in Economic Decision-makings in the Aspect of the Behavioral Economics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n, Russian, and Thai Consumers The past decade has been a triumph for behavioral economics, the cross-breed of psychology and economics. After Daniel Kahneman won a Nobel Prize in Economics in 2002 and Richard Thaler and Cass Sunstein wrote their bestseller Nudge: Improving Decisions about Health, Wealth, and Happiness in 2008, the great interest to this new field made governments all around the world - from the United States to Australia - use findings of behavioral economics to improve citizen’s wealth and life style. Marketers now can better understand their consumers. Ordinary people can be more ‘rational’ in their economic decisions which helps them to save money and be healthier. The behavioral economics was born in late 1970s and focuses on ‘errors’ in people’s economic decisions. Classic economic theory assumes that people behave according to purchasers‘ utility and money discounting in time. But real people are not such rational – they buy what they don’t really need, don’t save enough money for their retreatment and so on. All these ‘irrational’ decisions are systematic and can be explained with Prospect theory, heuristics and biases. This is the subject of Behavioral Economics, which tries to make economic theory more realistic. However, since the Behavioral Economics is relatively new field of economic theory, there are no many schools in it. All researches and publications are made mostly in the USA and explain the American model of consumers’ behavior. The regional differences in behavioral economics are generally ignored. Sometimes we can see some researches compare American and Chinese consumers and all differences found in those studies are explained with differences between Western and Asian cultures.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at historical, cultural, social and other background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people in different countries can behav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same situation. This was the main hypothesis of this study. The sub-hypothesis is the origin of differences can’t be simply explained by division countries into Western and Asians. To check and verify the main hypothesis this study has developed a survey which explores 5 different biases affected on people’s economic decision. The survey has been done in Russia and Korea. I had about 400 respondents in sample. For checking sub-hypothesis, I have done additional survey in Thailand with 100 respondents. The first bias to be checked was ‘anchoring effect’ – the possibility of first-seen numbers to affect on respondent’s price perception. I have found that in all three countries it’s level is lower than cases of USA and, remarkably, the Thai respondents were closer to American model compared with Korean results. The second bias was ‘endowment effect’ – the trend to value things we have higher than it really is. This effect has a very high level in the USA, and very low in Korea what says that regional differences really exists. Again, the results of Thai experiment are more close to American data, thus not all Asian countries are same, supporting the sub-hypothesis. And finally, I have found the surprising for behavioral economists thing – ‘endowment effect’ can be negative – people can value things they own lower than its market price. I met this situation in Russia. The third bias was ‘zero price effect’ which says people loves free things and putting a big zero on price tag should increase its consumption. But it is not the true in Russia again. Russian consumers are afraid of free goods or ‘one plus one’ promotions. Thais are in solidarity with the Russians. So as the result we have Russians and Thai with negative or neutral effect on one side and Americans and Koreans with strong positive effect on another side. At fourth I have tested ‘uniqueness seeking’ and ‘bandwagon effect’ together – the biases which made people consume what others consume or, oppositely, made them to avoid the popular products in aim to be unique. These biases are usually explained with Western individualism and Asian collectivism. But if all Westerns are individualists why they consume ‘everybody-has’ iPhones? In my study we do found that Russians demonstrate more ‘uniqueness seeking’ behavior and Koreans are very bandwagoned. However, Thais who are also Asians, demonstrate the same level of ‘bandwagon effect’ with Russians and Americans from one side and have low ‘uniqueness seeking’ effect same as Koreans. The last measured bias was related to people’s intertemporal choices. Tha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ing how people make decision about their future money and investment plans. I have tested the ‘present bias’ in the meaning that people value money ‘now’ much more than money in the ‘future’ and that doesn’t let people to save enough. Here I found that Koreans and Russians are different again – Koreans are more ‘rational’ in their way to think about future money, and Russians behave very similar to Americans. Thai’s model is also rather can be called ‘Western.’ As the result, both of hypothesis was supported. The finding of this paper can be used by international companie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sumers’ behavior in other countries. Also, this study shows the path for further studies. It is sharply shown that regional differences across the countries are exist and should be studied more deeply. More experiments in other countries and testing another biases can improve the world vision from behavioral point of view. In part of Korea-Russia comparisons this study has found out some sensitive points of Korean and Russian consumers’ behaviors and, what is the most important, has shown how they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help enterprises in both of the countries to understand their partner and build stronger economic ties, which are in the end good for bilateral cooperation and wealth of the citizens in both countries.

      • Dubbing Dialects in American Animations into Korean and Russian

        Ergashova, Iroda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7 국내석사

        RANK : 154399

        Dubbing Dialects in American Animations into Korean and Russian Animations, having children as their main target audience, do not only provide entertainment, but serve as a medium to transfer and reflect certain ideas and stereotypes. One of the tools exploited for such purposes is usage of dialects in the speech of characters. Numerous studies were dedicated to the topic of role of dialect in animations and to translation of those. However, these studies mainly focus on translation strategies, investigating only the macrolevel of texts. Moreover, these studies are dedicated to the mode of subtitling in translation. Based on this background, the present study provides research of not only translation strategies, but translation techniques as well. Moreover, it analyzes dubbing of animations. In addition, it is conducted on the basis of two target languages, in order to compare and contrast strategies and techniques used in each target language. For the purposes of present study animations Cars 2, Hotel Transylvania 2 and Zootopia and their respective Russian and Korean dubbings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1) What other translation strategies are used in translating dialects in Korean and Russian dubbing besides the ones that have already been studied? 2) What translation techniques are used in translating dialects in Korean and Russian dubbing? 3)What differences, if any, are there between Russian and Korean dubbing practice? To provide answers to these questions the research was conducted as follows. First, the peculiarities of the dialects used in the selected cartoons are analyzed to find out what kind of image was attempted to be created. Second, translation techniques used in the selected dubbing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tical model for the study of prefabricated orality introduced by Frederic Chaume and Rosio Baños-Piñero (2009). The model distinguishes four levels – phonetic and prosodic, morphological, lexical and semantic, and syntactic levels. The animations are examined on all four levels. Next, translation strategies were investigated on the basis of quantitative analyses of the techniques as well as the list of translation strategies introduced by Oh Soo Min (2004). Lastly, translation strategies and techniques in Korean dubbings were compared to those in Russian dubbing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Korean dubbings show tendency to manipulate phonetic and prosodic level the most, whereas Russian dubbings show more manipulation on the other three levels. Second, the manipulations do not differ only in variety, but in quantity as well – Korean dubbings do not use these techniques too often, whereas Russian dubbings heavily depend on the abundance of translation techniques. Third, translation strategies used in Korean and Russian translations differ as well – Korean dubbings demonstrating preference closer to standardization, whereas Russian dubbings reveal tendency to make the speech as far from the standard variety of target language as possible. Lastly, the study resulted in detecting one new strategy used for translation of dialects – translation by foreign language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target language. The research contributes to the study of dialect translation in animations. However, due to the insufficient amount of data, it cannot serve as a basis for generalizatio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achieved results by bigger data and even addition of other target languages.

      • (The) effect of form-focused instruction on the acquisition of intonation patterns in terms of receptive and productive pragmatic knowledge

        최진수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5 국내석사

        RANK : 154399

        화용론적 지식과 억양 유형의 습득과 발화로써의 형태 초점 연구에서의 명시적, 암시적 교수법의 효과 본 연구의 목적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 형태초점 교수법(Form-focused instruction; FFI)을 억양 유형 지도에 적용해보고 그 효과를 화용론적 인지와 발화에 효과가 있는지 관찰해보고자 한다. 둘째, 두 가지 다른 형태초점 교수법, 즉 형태중심 접근법 (Focus on Forms; FonFs)과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 (Focus on Form; FonF)중 어떤 지도 방법이 억양 유형을 배우는 것에 좀 더 효과적인지 비교해 본다. 셋째, 학습자들과의 인터뷰와 생각하며 말하는 과정 (think-aloud)를 통해 화용론적 지식과 억양을 결부시켜 학습하는 과정을 질적인 면에서 살펴본다. 이를 위해 서울의 대학생 49명의 중급 수준 학생들을 대상으로 4시간에 걸친 실험을 진행하였다. 모두 3개의 집단으로 이 실험에 참여했고, 이중 두 집단은 형태초점 기법을 적용하기 위한 실험집단으로, 나머지 한 집단은 통제집단으로 임의로 나뉘어졌다. 이 실험에서는 총 3가지 유형의 목표 억양이 각각 15개의 문장을 통해 설명되었으며, 각 집단의 억양 수업방식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형태중심 접근법 (FonFs)으로 수업을 받은 실험집단에서는 학생들이 시각화된 억양 모형을 익히고 녹음된 원어민의 억양을 들은 후, 해당 억양을 직접 녹음하고 들어보는 등 억양에 중심을 둔 활동들이 수행되었다. 반면, 형태초점 의사소통 접근법 (FonF)으로 수업을 받은 또 다른 실험 집단 학생들은 목표 억양이 포함된 15개의 문장을 듣고 읽으며, 특정 억양과 상황의 연관성을 숙지한 후 서로 역할 놀이(role-play)를 통한 활동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통제집단의 경우, 우연적 억양학습을 위한 활동이 이루어졌다. 즉 학생들은 목표 억양이 포함된 지문을 직접 녹음해보고 원어민의 녹음을 통해 스스로 듣는 활동을 하였는데, 해당 지문에는 학생들이 목표억양의 유형을 인지할만한 활자적 입력강화나 학습활동이 없었다. 수업 후 세 집단에 같은 유형의 한 번의 사후평가가 실시되었고, 학생들의 억양 유형 습득 여부는 화용론적 지식의 인지와 발화의 관점에서 평가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화용론적 발화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 R.Ellis (2005, 2009) 가 제안한 담화완성과업이 (Discourse Completion Task) 사용되었고, 화용론적 듣기 지식은 문장 타당성 판단 테스트를 (Plausibility Judgment test) 통해 측정되었다. 이후 T- 검증을 통해 각 집단의 평균간 유의도를 검증하고, 각 집단의 성취도를 비교함으로써 학습 유형의 차이가 중급 수준의 학습자들의 화용론적 발화, 듣기 지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학습자들이 얻은 화용론적 발화 지식과 듣기 지식 사이에 어떠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지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형태초점 교수법은 암시적/명시적 억양으로써의 화용론적 지식 습득에 영향을 미치며, 이런 점은 듣기와 말하기를 통한 우연적 억양 학습보다 훨씬 효과적이었다. 둘째, 형태 중심 교수법 (FonFs)과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 (FonF) 의 상대적 효과에 관련해, 두 가지 교수법 모두 억양의 학습을 증진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으나, 형태중심 교수법 (FonFs) 이 억양의 형태와 의미를 연결시키는 화용론적 발화 지식에는 조금 더 효과적이었다. 셋째, 학습자의 인터뷰에서 억양에 담긴 화용론적 의미를 학습하는 것은 형태중심교수법(FonFs)과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FonF) 모두 도움이 되었다는 피드백이 많았으며, 생각을 말하는 과정(thinkaloud) 에서는 형태초점은 메타언어(matalanguage)의 사용이 증가하였고 형태 초점 의사소통 접근법을 통해서는 의미를 파악하려는 시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들은 형태초점 교수법이 영어를 외국어로써 배우는 학생들의 효과적인 억양 습득에 꼭 필요한 지도법이며, 형태초점 교수법은 억양의 뜻을 아는 화용론적 듣기 지식뿐만 아니라, 학습한 단어를 즉각적인 발화에 사용할 수 있는 화용론적 발화 지식에서도 분명한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he Effect of Form-Focused Instruction on the Acquisition of Intonation Patterns in terms of Receptive and Productive Pragmatic Knowledge In verbalized contexts between native speakers (NS) and nonnative speakers (NNS), the pragmatic knowledge of intonation is a key factor for effective communication. However, studies regarding pragmatic knowledge have generally focused on written modes without intonation in second language (L2) contexts. Considering the inseparable nature of pragmatics and prosody in an oral context, the present study focuses on the effects of form-focused instruction (FFI) on L2 intonation in terms of receptive and productive pragmatic knowledge gains in oral contexts. To explore the different effects of instruction types in learning pragmatic knowledge within an oral context, the current study presents three aims: (1) to investigate whether form-focused instruction (FFI) leads to the acquisition of intonation in terms of receptive and productive pragmatic knowledge, (2) to compare which type of FFI (FonFs or FonF) is more effective in learning intonation of pragmatic knowledge within an oral context, and (3) to further explore the difference of self-noticing stage during pretest, treatment and immediate posttest between FonFs and FonF group. Following intonation learning, participants completed listening and speaking tests in which they have learned to comprehend native speaker’s (NS) three intonation patterns (fall, rise, and fall-rise) and produce them in an L2 oral context. Two instruction types were implemented in the current study: FonFs and FonF learning in explicit and implicit environment. The FonFs group with explicit instruction was treated with visualized images of intonation patterns and use of meta-language. The FonF group, on the other hand, was implicitly treated with the authentic oral context (e.g., short animated films). The control group was not required to learn but was exposed to three intonation patterns in its frequent appearance during pretest and immediate posttest. All of the participants of the three involved groups were given NS’s recorded audio files. The study was designed with pretest, treatment, and immediate posttest just like studies of L2 prosody that have been generally constructed in one-session design without delayed post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learners of the FonFs group performed better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receptive pragmatic knowledge, and the FonF group showed a larger impact in productive pragmatic knowledge compared to other groups. In addition, the control group showed a slight decrease in listening test scores, but an increase in speaking test scores. These results imply that FFI had a significant effect in both receptive and productive L2 pragmatic knowledge, and not only FFI but the control group also had accumulated slightly productive L2 pragmatic knowledge gains.

      • State, financial liberalization and financial crisis : lessons from the Korean financial crisis 1997-98

        Dolgormaa Lkhagvadorj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5 국내박사

        RANK : 154399

        STATE, FINANCIAL LIBERALIZATION, FINANCIAL CRISIS: LESSONS FROM THE KOREAN FINANCIAL CRISIS 1997-98 In the era of financial globalization, for developing economies that are characterized by weak financial system and limited capital sources the biggest challenge is to achieve and sustain economic growth while avoiding financial crisis. The study aims to clarify causal mechanisms between economic performance and political determinants regarding with a financial crisis in developing economies. And next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draw some lessons from the Korean financial crisis. Korea and Mongolia both have experienced negative effects of financial globalization. Nevertheless outcomes which resulted by response adjustments to financial crisis were different. The Korean financial crisis experience presented that advancing the economy utilizing foreign capitals requires not only fiscal discipline, but also political coherence. Taking these response adjustments into account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tudy attempts to explain why those outcomes resulted and to find out what should to do in order to mitigate structural vulnerabilities in Mongolia. The study involved two kind of qualitative method. As a cross national comparative research, the study examined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process of financial liberalization and financial crisis two cases. The differences between the cases were used to explain outcomes; such as how dissimilar contexts of political arrangements impact on the evolution of financial crisis and responses to them. And process tracing method was employed to analyze this interdisciplinary study. By using the method, the study is expected to deliver a systematic description of the phenomena with in broad theoretical framework. In addition, by questionnaire study based on financial experts, we have confirmed empirical study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 strong support for the hypothesis that characteristics of political system and functions of formal or informal institutions are crucial to stability in financial market. Balance of veto-players in political decision making mechanisms affects magnitude and duration of financial crisis directly determining the cost and time implementation of crisis response. Moreover highly sophisticated informal institutions that connects the state and businesses also contribute to solving structural vulnerabilities quickly through enabling mutual understanding and common interests of market participants. Research results suggest that monitoring on external debt growth and its quality, providing industrial trend information to enterprise through observing their investing and borrowing behaviors are essential to avoid financial shocks. Moreover besides of basic adjustments such as strengthening fiscal discipline and enhancing regulatory arrangements over the financial sector, developing countries like Mongolia are needed to establish institutions that support collaboration state and business and to enhance regional and mutual financial cooperation. 국가, 금융자유화 그리고 금융위기: 1997-98년 한국 금융위기의 시사점 금융세계화 시대 개발도상국가들이 직면하고 있는 가장 큰 도전은 경제성장을 지속시키는 가운데 금융위기를 예방하는 일이 되겠다. 본 논문은 금융위기사례 비교분석을 통해 정치적 요인들과 경제성장간 인과관계 또는 상호작용을 검토하고자 한다. 연구의 다음목적은 한국의 금융위기사례분석을 통해 몽골경제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한국과 몽골 양국 다 금융세계화의 부정적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그 결과는 정부의 위기대응방식과 대응정책내용에 따라 확연히 달랐다. 한국의 금융위기경험은 해외자본을 활용하여 경제성장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재정규율뿐만 아니라 정책의 일관성, 정치제도의 역할도 중요하다는 것을 잘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위기대응으로서 조정정책을 종속변수로 간주하고 몽골경제가 금융불안 또는 통화위기를 빈번히 맞는 이유를 찾아내고, 또한 위기를 야기하는 구조적 취약성을 해결하기 무엇을 해야 하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의 두 가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교차사례 비교연구로서 두 사례의 금융자유화와 금융위기 과정에서의 상이성과 유사성을 검토하였다. 개별사례간 상이성이 설명변수로서 활용되는데, 정치적 조치들이 금융위기 발전과 극복에 있어 결론적 역할을 한다고 가정하였다. 금융위기사례연구는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학제간 연구이기 때문에 Process tracing 연구방법을 추가로 활용했다. 금융위기라는 복잡한 현상을 체계적으로 묘사하는데 본 방법이 도움이 된다. 이들 이외에도 저희는 몽골의 금융분야 전문가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연구에 반영함으로써 실증연구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높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정치적 요인들 즉 정치체제의 유형 그리고 공식 또는 비공식 정치제도가 금융시장 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정치적 의사결정 과정에서의 거부권 행사자간 밸런스는 위기대응조치의 비용과 시간을 결정함으로써 금융위기의 규모와 지속기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더구나 정부와 기업을 연결하는 비공식 조직제도는 시장참가자들의 공동이익과 상호이해를 도모하여 제도적인 위기취약성을 조속히 해결해나갔는데 기여했다. 연구 결론은 정부는 기업분야 투자 및 차입실태를 고려하여 이들에게 관련산업정보를 제공하고, 특히 이들의 대외부채비율과 구조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한편 몽골 같은 개발도상국가는 금융분야의 규제감독과 재정규율강화 이외에도 정부와 기업간 상호협력을 도모하는 제도가 필요하며, 지역 또는 양국간 금융협력이 중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 Essays on Intra-Industry knowledge spillovers from inward FDI in service sector : evidence from discount store and banking industries

        김종회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Graduate Sch 2017 국내박사

        RANK : 154399

        Knowledge Spillovers from Inward FDI in Service Sector : Evidence from Discount Store and Banking Industries This thesis seeks to shed light on the mechanisms of intra-industry knowledge spillovers from inward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in the service sector through two individual empirical examinations in the discount store and banking industries in South Korea (Hereafter Korea). Studies 1 and 2 are derived from survey data from one of leading local discount store chains and from five major local banks in Korea respectively. The thesis will attempt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potential conduits of knowledge flows (demonstration effect, worker mobility, local firms’ learning capability and competitive pressure) and the extent of knowledge spillovers from foreign to local organizations. In addition, by analyzing interdependencies among the elements that affect knowledge spillovers, Studies 1 and 2 examine the mediating roles of variabl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pressure and knowledge spillovers. Further, this thesis presents overall discussions on similar and distinctive aspects found in the two industries (i.e., retail and banking) in the same sector (i.e., service) by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two empirical studies. Since the results of Studies 1 and 2 seem to be almost identical with a few exceptions, there are more things in common than dissimilarities. Most importantly, both studies confirm that knowledge spillover occurs in the service sector in the Korean context. To be more specific, a demonstration effect along with worker mobility and learning capability of local organizations play crucial roles as the conduits of knowledge spillovers from foreign to local businesses. By contrast, competitive pressure does not display any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knowledge spillovers in both industries. The discoveries from the analyse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both studies indicate that a demonstration effect and learning capability positive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pressure and knowledge spillovers. One notabl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tudies is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worker mobility is not significant in the discount store industry while, in the case of banking, worker mobility negativel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itive pressure and knowledge spillovers. The findings largely suggest that, in the knowledge spillover mechanisms in the service sect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petitive pressure stemming from the presence of new foreign participants and worker mobility might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es. 해외직접투자 유입에 따른 서비스 부문의 산업 내 지식 파급 : 대형 할인마트와 은행 산업에서의 실증 연구 본 논문은 한국의 대형 할인마트 산업과 은행 산업을 대상으로 하는 두 개의 개별적인 실증 연구들을 통하여 해외직접투자 유입에 따른 서비스 부문에서의 산업 내 지식 파급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이다. “연구 1”과 “연구 2”는 각각 한국 내 선두 대형 할인마트 기업 중의 하나와 5개 주요 상업 은행으로부터 수집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전시 효과, 근로자 이동, 현지 기업의 학습 능력 및 경쟁 압력과 지식 파급 간의 연관 관계를 확인하고 있다. 또 두 실증 연구들은 변수 간 상호의존관계를 분석함으로써 경쟁 압력과 지식 파급 간의 관계에 대한 다른 변수들의 매개 효과도 검증한다. 나아가 위의 두 실증 연구의 결과를 비교함으로써 두 산업에서 발견된 유사한 측면과 상이한 점들에 대한 전반적인 논의를 제시하고 있다. 몇몇 예외를 제외하면 두 실증 연구의 결과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보이는 바, 기본적으로 차이점보다는 공통점이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두 연구가 공히 한국의 서비스 부문에서 지식 파급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근로자 이동, 학습 능력과 함께 전시 효과가 외자 기업으로부터 현지 기업으로의 지식 파급의 통로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반면에 경쟁 압력은 두 산업 모두에서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구조 방정식 모델을 사용한 분석 결과는 경쟁 압력과 지식 파급 간의 관계가 전시 효과와 학습 능력 등 다른 변수들에 의해 매개되고 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두 연구 간 차이 중 한 가지 주목할 만한 것은, 대형 할인마트 산업에서는 근로자 이동의 매개 효과가 유의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은행의 경우에는 근로자 이동이 경쟁 압력과 지식 파급 간의 관계에 음(-)의 매개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이 결과는 새로운 외국계 참여자로 인한 경쟁 압력과 근로자 이동 간의 관계가 산업의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