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A) study on performance of economics graduate students, Korea University : who is a good human capital in graduate school?

        김경현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0 국내석사

        RANK : 232287

        The purpose of this investigation is to do determine a prediction model for selecting graduate students in economics area. Although economic graduate course in South Korea is similar to the one in Britain and the United States, little attention has been given to examine a student performance. Athey, Katz, Krueger, Levitt and Poterba(2007), who studied a research on economics graduate school of the United States, even said that economists devote considerable effort to graduate students education but have conducted relatively little research on the determinants of student performance or placement in the job market. As the authors' opinion, a study on performance of graduate students should be an important and urgent problem. But this paper is not concerned here with the determinants of student performance in labor market, the study will be supplemented by previous studied in section Ⅱ.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 firstly, to do a study on human capital in economics, secondly, to do a study on a group of the highest education level, and thirdly, to do a prediction on graduate students performance using pre-admission data of applicants. By analyzing this paper, we examine the sequentiality between economics required subjects of undergraduate and graduate course. And the paper can be concerned with what factors have an effect on economic graduate performance. It is important for selection process of pre-admission to cultivate outstanding scholars in graduate school. Hence, th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screening graduate students in admissions committee.

      • Effects of parent involvement on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in Fiji

        Vuniani Nakatabula Vasu Graduate School of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 2021 국내석사

        RANK : 232271

        연구는 피지의 Vanuabalavu에 있는 Adi Maopa 중학교에서 중학생들의 학업성취에 부모의 개임이 미치는 영향을 탐구했다. 연령, 형제 자매 수, 학력, 가계 소득, 부모의 취업 상태와 같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요인과 학생의 학업 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연구하였다. 또한 성별 및 영어 능력과 같은 학생 요소에 중점을 두었다. 이와 함께 부모의 관여(양육, 학교와의 소통, 가정에서의 학습, 지역사회와의 협업)의 일부 측면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에도 초점을 맞췄다. 연구 샘플은 Adi Maopa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00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이 학생들을 관찰하기 위해 학생과 학부모 1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데이터 수집을 위해 학생과 학부모 모두에게 두 세트의 서로 다른 설문지가 제공되었으며, 데이터는 빈도, 카이-제곱, 상관 관계 및 로지스틱 회귀를 통해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부모 연령, 교육 수준, 고용 상태와 같은 요인이 부모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처럼 보였더라도 모든 부모의 사회학적 요소와 학생 요소가 더 나은 학업 성취도를 예측한다는 것을 밝혀내지 못했다. 하지만, 이 연구는 부모들의 참여와 학생들의 학업 성취 사이의 강한 연관성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정부가 정책 개혁을 통해 부모들의 참여를 강화하고 부모들의 개입을 개선하기 위한 워크숍을 구성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학부모들에게, 야간 통행금지를 설정하고, 밖에서 노는 아이들의 시간, TV 시청 시간, 휴대전화 사용 시간, 컴퓨터 사용 시간을 감시하고, 출석률을 감시하고, 취침시간을 통제하고, 학교 규율과 규칙을 지원하는 것이 적극 권장된다. 이와 함께 학교 행정부는 학부모 참여를 막는 장벽(근무 시간에 학부모-교사 회의를 조직하고, 학부모에게 충분한 신뢰를 주지 않는 등)을 제거하고 투명하게 학교 자금을 관리하고 교내 문제에 대해 우려를 표하는 학부모를 따뜻하게 환영해야 한다. 이것은 부모들이 그들의 자녀 교육에 관여할 모든 권리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게 할 것이다. 다른 하나는 학교장이 학교 프로그램과 진도에 대해 학교-가정 간, 가정-학교 간 의사소통 방법의 질적이고 효과적 활용을 보장해야 한다는 점이다. 또한 지방정부는 학교, 학부모, 지역사회가 긍정적인 소통의 기회를 더 많이 만들어야 한다. 대부분의 권고안은 학부모와의 워크숍 실시를 요구하기 때문에, 중앙정부는 각 학년 내에 학교장이 학부모에게 제공해야 하는 학부모 참여 형식에 대한 커리큘럼을 설계해야 한다는 의견이 높다. 이를 통해 학부모 대다수가 자녀 학업성취도에서 자신의 역할과 책임을 이해할 수 있게 된다. This research explored the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 Adi Maopa Secondary School in Vanuabalavu, Fiji.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socio-economic factors such as age, number of siblings, education level, household income and parent’s employment status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studied. Also it focused on student factors such as gender, English proficiency, attitude and term 1 exam result. Together with this, the study also concentr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me aspects of parental involvement (parenting, communicating with the school, learning at home, collaborating with the community) and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100 students attending Adi Maopa Secondary school and to observe these students, the survey was carried out to the 100 students themselves and their parents. Two sets of different questionnaire were given to both students and parents for the collection of data which were then analyzed through frequencies, chi-square, correlations and Logistic regression. This study did not reveal that all parents’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student factors predict better academic achievement even if a factor like parent’s age, education level employment status, student’s attitude and student’s early exam result seemed to have an impact on them. However, the study revealed a strong connection between parental involvement and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recommends that the government strengthens parents’ involvement through policy reforms and organizes workshops to improve parental involvement. For parents, it is highly suggested to set curfews, monitor the children time of playing outside, TV watching hours, phones, computer; monitor attendance; control children bedtime and support the school discipline plan and rules. Together with this, schools’ administrations must try to eliminate barriers that prevent parental involvement, (organizing parents-teachers’ meetings at working hours, not giving enough credit or consideration to parents…), manage transparently the schools’ funds and warmly welcome parents who show concerns about the school matters. This will let parents know that they have all the rights to be involved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The other one is that school heads must ensure to utilise quality and effective communication methods from school-to-home and from home-to-school about school programs and progress.Also the local government, must create more opportunities for positive communication among the school, parents, and community. Since most recommendations requires workshops to parents, therefore it is highly suggested that the central government must design a curriculum on parent involvement types that needs to be addressed by school heads to parents within each academic year. This will allow majority of the parents to understand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in their children academic performance.

      • Confucianism and its cultural impacts : a comparative study on middle school bullying between China and Japan

        Yunbo Bai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21 국내석사

        RANK : 232271

        School bullying has become a social problem all over the world. In recent years, the problem of bullying in middle schools in China has become more and more serious, and the severity of its consequences has attracted the attention of the Chinese government. In the 21st century, Japan is also one of the countries with serious school bullying problems. According to the theory of social ecological system, we can infer that the participants of school bullying are affected by various surrounding environmental factors. As a macro environmental factor, the culture in society has a subtle influence on students' cognition. As we all know, China and Japan are very close geographically and have conducted many cultural exchanges since ancient times. There are cultural similarities between the two countries, especially, the Confucian culture. So does this mean that the reason for the similar behavior of middle school’s bullying in China and Japan is that they are influenced by the similar Confucian culture? Therefore, this paper will take the participants of bullying on middle schools in China and Japan as the research objects, and mainly analyze the cultural reasons of middle school’s bullying in both countries.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case analysis methods, literature research methods and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are the main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article. The second chapter of the thesis first introduces the differences between Chinese and Japanese Confucian cultures, especially in four aspects: shame culture, harmonious culture, collectivism and family culture. At the same time, it introduces the new development of these four cultures in the two countries and the impacts on the current Chinese and Japanese society. The third chapter of the thesis lists cases of bullying in middle schools in China and Japan, and carefully analyzes the psychology of the participants. It is found that although the behaviors of bullying participants in Chinese and Japanese schools are similar, they have different starting points. Therefore, the fourth chapter further analyzes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three roles in the phenomenon of school bullying in China and Japan, as well as the social and cultural reasons that affect the psychological factors. Through comparative research methods, it is found that the different Confucian cultures in Chinese and Japanese societies have different impacts on the psychology. Although these factors are derived from traditional Confucian culture, they already have had special new developments in China and Japan. Therefore, this article concludes that although the phenomenon of school bullying in China and Japan seems to be the same, the Confucian culture of China and Japan has had impacts on school bullying in China and Japan respectively. Exploring the cultural background of school bullying in China and Japan can enable us to better understand the causes of school bullying and provide some ideas for the future countermeasures of school bullying in the two countries. It has important reference value for the further prevention of school bullying. At the same time, although Confucian culture has its meaning as a traditional culture, it still requires us that in the future China and Japan should constantly reflect on traditional culture, adjusting the traditional culture to new social needs, and better guide people's lives at the level of consciousness.

      • Creating and applying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정해나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2271

        세계화, 국제화 같은 현상을 거점으로 입시와 취업에서 영어점수를 빼놓을 수 없기에 한국교육에서 영어교육은 매우 중요하게 여겨진다. 특히,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영어영역은 대학입시에서 등급의 반영 비율이 높은 과목으로 수험생들의 부담이 크다고 한다. 이러한 현상은 학생들 사이의 경쟁심을 초래하였으며, 교육과정의 범위와 수준을 넘는 과잉학습을 유발시키고, 나아가 학생들간의 영어실력의 격차를 더 별러 놓는 문제점들을 야기시켰다. 초등학교에서부터 영어실력의 격차가 벌어짐으로써 각각의 학생들의 영어실력과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흥미를 향상 시키기에 적합한 정규영어수업을 운영하기가 어려워졌다. 이러한 문제는 학생들이 더욱더 영어사교육에 의존하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한 초등학교 학습과진아들을 위한 영어쓰기 활동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이러한 영어쓰기활동이 학습과진아들의 학습동기,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또한 쓰기 활동에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의 활용하여 정규영어수업 안에서도 개인별 학습이 가능하였는지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대상은 서울의 한 사립초등학교에 재학 중이었던 45명의 4학년 학생들이었으며, 이들은 학교에서 실행된 영어시험에서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하다고 평가된 학생들이었다. 정규 영어교과서에 있는 내용을 토대로 태블릿 컴퓨터, 구글문서, 에드모도, 그리고 인터넷을 사용한 과정중심쓰기 활동을 만들고 이를 정규 영어수업시간에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로서는 쓰기활동 사전, 사후 설문지, 학생들과의 인터뷰, 교사활동일지, 그리고 학생들의 쓰기활동내용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첫 번째, 학생들에게 익숙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쓰기활동이 학습과진아들의 영어학습동기를 향상 시켰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두 번째로, 과정중심쓰기활동과 긍정적인 동료평가로 인해 학생들의 영어 자기효능감이 향상됨을 볼 수 있었다. 세 번째로, 학생들이 직접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사용하는 쓰기활동이 학생들의 수업참여도를 높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네번째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의 활용은 평소 교과서에서는 접할 수 없는 다양한 방법들로 학생들이 필요로 하는 자료와 정보를 보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즉각적으로 원하는 답을 직접 찾아낼 수 있게 하였다. 나아가 학생들이 자신에게 적합한 속도로 쓰기 활동을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점등이 정규수업 활동 안에서도 개별학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다섯번째로,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활용한 수업에서 기계의 기능에 문제가 생겨 학생들의 학습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수업 전 기계들을 확인하고, 문제가 일어날 시에 신속하게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교육부에서 지정한 영어교과과정보다 영어실력이 월등한 초등학교 학습과진아들을 위해 정규영어수업을 통해 보다 더 영어학습에 대한 동기와 자기 효능감을 높여주고, 학생들의 영어실력의 격차가 큰 학급 안에서 조금 더 개별적인 영어학습의 기회를 높여주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흥미로운 멀티미디어와 디지털 기기를 학생들이 직접 사용할 수 있는, 정규 영어교과서의 내용과 연결 된 영어쓰기 활동을 만들어 수업에 적용시켜 볼 가치가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디지털 기기 그리고 과정중심쓰기활동은 개개인의 학생이 본인에게 적합한 속도로 활동을 진행하여 정규영어수업 안에서도 개별학습을 유발시킴으로 영어실력의 차이가 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을 설계하고 진행할 경우, 이러한 지도 방법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다.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and apply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which can be used in regular English classes in schools. Forty-five fourth grade overachievers from a private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during the regular English classes. Many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proved to be more advanced tha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andard which is set by the Korean Ministry of Education. This is namely caused by the prerequisite English education that students receive before starting official English classes in elementary schools. This caused problem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design and conduct English lessons for overachievers whose English proficiency level is higher than the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andard. Thus,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and parents feel that elementary school English class is not sufficient, and feel more needs for private English education to improve English skills and motivation for learning English. Moreov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researchers pointed out the importance of English writing skills and argued that national English curriculum and textbooks lack writing practice in comparison to other areas of English. Thus, the current study attempted to create and apply the process writing activity based on the national English textbook which can be conducted in regular English class in elementary schools for overachievers. Furthermore, as many studies showed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learning and a rise in motivation when multimedia and digital devices are used in education, the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Edmodo and internet were integrated into the process writing activity so the students could complete the activity according to their own learning pace. The study employed pre-writing activity and post-writing activity surveys, student interviews, teacher’s log, and students’ in-class work to observe the result of the writing activity. The researcher focused especially on affective domain such as motivation, self-efficacy, and students’ individualized learning experience. The study’s result showed positive outcomes of the rise i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nd participation among the participants. In addition, the students’ work displayed the individualized learning experience due to the use of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and internet. The result of the current study showed that a process writing activity using the tablet computers, Google Docs, Edmodo and internet should be recommended for elementary school overachievers whose English abilities are superior to the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and find regular English class not motivating. Moreover, the study can be served as a practical guideline for designing and applying English lessons that can be more suitable for overachievers in a regular school class wher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level all varies.

      • (A) qualitative study on the schooling experiences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aduates

        최연수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9 국내석사

        RANK : 232271

        본 연구는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생들의 학교경험과 외국어고등학교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적 담론들이 학생들의 정체성 형성과 미래 전망에 끼친 영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에서는 엘리트 정체성 형성과 학교선택(school choice)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외국어고등학교의 역사와 관련 담론들의 역사적 추이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이 어떠한 이유와 배경에서 외국어고등학교 진학을 선택하였는가? 둘째, 학생들이 외국어고등학교 재학 당시 수업, 교우관계, 학교 문화를 어떻게 경험하였는가? 셋째, 외국어고등학교 졸업생들에게 재학 당시 교육경험은 어떠한 의미를 가지며, 외국어고등학교에 관한 사회적 담론이 학생들의 정체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들 질문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고등학교를 졸업한 일곱 명의 ‘명문대’생과의 심층면담을 주 연구방법으로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통해 내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외국어고등학교 학생들의 외국어고 진학 결정에는 중산층 부모의 적극적인 교육적 관여와 엘리트 고등학교로서 외국어고등학교의 사회적 위상이 작용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둘째, 참여자들은 외국어고등학교에서의 경험이 ‘명문대학교’ 진학에 큰 영향력을 끼쳤다고 보고, 외국어고등학교에서의 학교 경험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그러나 한편, 수집된 면담 자료에 따르면 학생들은 경쟁적이고 가시적인 결과를 중시하는 외국어고등학교에서 수업, 교우관계 등 여러 측면에서 갈등과 모순적인 상황을 경험한 것으로 드러났다. 예컨대, 학생들은 외국어고 내의 학업경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동시에, 지나친 교육경쟁에 비판적인 태도를 보이기도 하였다. 셋째, 학생들은 외고를 둘러싼 여러 사회적 담론과 논란을 인식하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엘리트 학생으로서 자아정체성을 구성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담론들을 적극적으로 재해석하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연구 참여자들은 외국어고등학교를 국가 발전에 기여하는 수월성 교육기관으로 설명하였으며, 도구주의적 관점에서 외국어고의 의의를 주장하였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외국어고 입학을 공정한 경쟁을 바탕으로 한 능력주의적 성취라 이해하고, 외국어고등학교가 교육격차의 심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박하기도 하였다. 더 나아가 연구 참여자들은 개인의 학업성취도를 개개인의 노력과 능력의 산물이라 보았으며, 사회구조적 요인에 대해서는 비교적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위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외국어고등학교를 둘러싼 사회적 담론을 재검토하고자 하였으며, 교육 정책과 정책담론이 학생들의 학교경험과 정체성 형성에 끼치는 영향에 대해 학생들의 관점에서 접근하였다는 데에 그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schooling experiences of Foreign Language High School graduates and how their schooling experiences shape their self-identities and future outlooks. To this aim, this study first investigates the discursive construction of FLHSs as elite high schools and various discourses underpinning the emergence of FLHSs through examining the history of FLHSs and related policies, employing the theoretical lenses of elite identity formation and school choice. By making use of the in-depth interview data, this study then explores how and why the students chose to attend FLHSs, how the students experienced teaching, peer relations and school culture at FLHSs, how the students make sense of their high school experiences and social discourses on FLHSs, and how their interpretations have affected their sense of identity. Major findings reveal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decision to apply to FLHSs were underpinned by discourses of symbolic distinction and public imaginaries of FLHS as academically elite schools. It also turns out that while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general identified positively with their schooling experiences, the students also experienced constant tensions in peer relations, mainly arising from the competitive and outcome-oriented school culture. Furthermore, the data analysis reveals that the students are not only cognizant of various social discourses surrounding FLHSs but also actively negotiate these discourses as they construct their self-identities as elite students. The students perceived FLHSs to be meritocratic institutions which foster educational excellence and, in effect, contribute to the economic and social development of the country. The interview data further illustrate that the students view their academic achievements as the outcome of individual efforts and abilities, with scant attention paid to the systemic inequalities or broader social forces structuring the education system.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attempts to revisit the current dominant social discourses on FLHSs and provide a more nuanced picture of how education policy and policy discourses shape students’ schooling experiences and identities.

      • Essays on the effects of early school enrollment and legal drinking age on risky behaviors and health outcomes

        신유식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2 국내박사

        RANK : 232271

        본 논문은 취학 시기의 효과에 대한 연구와 청소년 음주 규제의 효과에 대한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취학 시기가 학생들의 건강위험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2장에서는 자녀의 취학 시기가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전이 효과에 대해 분석한다. 3장에서는 한국의 청소년 음주 정책이 개인의 음주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다. 세계의 여러 나라들은 아동이 태어난 이후 몇 개월이 되었는지에 따라 학교에 입학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한다. 새 학기가 시작하는 시점에 최소 입학 연령을 가까스로 넘긴 아동이 바로 입학하는 경우, 반에서 나이가 가장 어린 상태가 된다. 이로 인한 불이익을 피하고자, 일부 부모는 해당 아동의 입학 시기를 1년 연기하는 선택을 한다. 이 경우, 해당 아동은 반에서 나이가 가장 많은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입학 시기의 선택이 아동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파악하기 위해 현재까지 다수의 실증 연구들이 실시되어 왔다. 1장은 취학 시기가 학생들의 건강위험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최소 입학 연령을 넘긴 아동이 입학을 미루지 않고 바로 입학하는 선택이 음주, 흡연, 성관계 행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한다. 분석을 위해, 우리나라 12월 출생자들이 1월 출생자들에 비해 학교에 1년 빠르게 입학하는 점을 이용한다. 12월 출생자들은 1월 출생자들에 비해 1년 빠르게 입학하지만, 반에서 상대적으로 가장 어린 상태가 된다. 반면에, 1월 출생자들은 반에서 나이가 가장 많은 상태가 된다. 두 집단은 비슷한 시기에 출생했음에도, 외생적인 상황으로 인해 입학 시기에 차이가 발생하기 때문에 위의 효과를 추정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회귀불연속 방법론을 사용하여 추정한 결과, 학교를 1년 빠르게 입학하는 것은 음주, 흡연 시작 시기를 앞당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년 빠르게 입학하는 것은 최근 30일 동안 음주, 흡연했을 확률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남학생과 여학생 모두에게 나타났다. 2장은 최소 입학 연령을 넘긴 아동이 바로 입학하는 선택을 하는 것이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분석한다. 다수의 문헌에 따르면, 해당 아동은 정서적, 신체적 발달 상태에 이점이 있는 급우들과 경쟁하기 때문에, 학업 성취도와 학교 적응에 있어 어려움을 겪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어 왔다. 이러한 부정적인 영향은 아동에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가족 구성원에게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대부분의 가정의 주양육자인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를 분석하는 위해 호주의 학교 입학 규정에 따라 발생되는 외생적인 상황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자녀의 1년 빠른 입학은 어머니의 불안감을 상승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질성 분석 결과, 이러한 영향은 여학생의 어머니와 소득이 낮은 가구의 어머니에게 두드러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응답을 통해 분석한 결과, 여학생과 소득이 낮은 가구의 학생인 경우, 실제로 학교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에 1년 빠르게 입학하는 것이 아동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정신 건강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3장은 한국의 청소년 음주 규제의 효과성에 대해 분석한다. 한국의 청소년 보호법에 따르면, 만 19세가 되는 해의 1월 1일을 맞이하기 전까지는 청소년으로 규정되며, 주류 구입과 주류 판매 업소 출입이 제한된다. 이 정책의 효과성을 분석하기 위해 소위 빠른 년생 제도가 시행되던 시기의 1, 2월 출생자를 이용한다. 3월~12월생과 이듬해 1, 2월생은 같은 해에 초등학교에 입학하여 같은 해에 고등학교를 졸업한다. 3월~12월생은 대학교 1학년이 되는 해의 1월 1일부터 청소년 음주 규제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반면에, 이듬해 1, 2월생은 해당 연도에 여전히 음주 규제를 적용 받게 된다. 따라서, 해당 연도의 3월~12월생과 1, 2월생의 음주 행위를 비교하여 청소년 보호법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1, 2월생이 음주 규제의 적용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음주 참여 여부와 횟수에 대해서 3~12월생과 크게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e first chapter, I investigate the impacts of early school enrollment on students’ risky health behaviors. In South Korea, those born in December begin school almost one year earlier than those born in January. Using a fuzzy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which exploits the school entry rule in South Korea, I find that early school entry leads students to begin drinking and smoking earlier. In addition, i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drinking and smoking participation over the previous 30 days. However, early school entry has little impact on lifetime sexual intercourse experience. The results of subgroup analysis indicate that my main findings are driven by both girls and boys. The robustness of my results is supported by the use of data from earlier years and various specifications. The second chapter examines the spillover effects of a child’s early school enrollment on their mother’s nervousness. Research has shown that early schooling may have an adverse impact on child development in the short run. If there is such an impact, it may spill over onto mothers, especially in relation to the mother’s mental well-being. To investigate the spillover effects, we utilize the data from the Longitudinal Study of Australian Children. A fuzzy regression discontinuity design is exploited to explore the spillover impacts of a child’s early schooling. We find that a child’s early enrollment increases the level of their mother’s nervousness in the year their child becomes seven. The impact is primarily detected among mothers of girls and mothers from low-income households. Using the responses of the children, we provide suggestive evidence that girls and children from low-income households were suffering from early schooling, and that the impacts might spill over into their mothers. In the last chapter, I analyze the effects of the legal drinking age laws in South Korea on alcohol consumption. In South Korea, an individual is legally allowed access to alcohol from January 1st of the year they turn 19. To investigate whether the regulation effectively restricts alcohol consumption, I compare those who were born around January, but who vary in terms of their status with regard to legal access to alcohol during one specific year. I find no impacts of the regulation on participation in and frequency of alcohol consumption. The findings indicate that strict enforcement and sanctions need to accompany the policy to prevent youth from accessing alcohol.

      • Political socializ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North Korea : a focus on the personality cult of leaders

        Lee, Sharllen O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15 국내석사

        RANK : 232271

        This thesis analyzes the political socialization of North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including the middle school education system and its curriculum, based on the personality cult (or idolization) of North Korean leaders. This study is the first to examine political socialization at the North Korean middle school level. The thesis assumes that the personality cult in middle schools is important, as the middle school education of North Korean teens becomes the basis for their political orientations as adults. The personality cult of North Korean leaders is analyzed through political socialization and a curriculum designed to control everything being taught at the schools in all grades. Specific daily activities and curricula are designed to idolize the leader who dominates society and to induce complete loyalty in the youngsters. The majority of previous studies on North Korean middle school idolization analyzed only North Korean textbooks. Unlike previous studies, this study includes students’ idolization activities along with textbook analysis to examine the subject in a broader manner. Thus, idolization within regular school curricula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s explained. This thesis is divided into three major parts: analysis view, idolization education content and idolization activities. The analysis view discusses the point of view used to analyze idolization education in middle schools. It is deemed that North Korean idolization education (in which students learn leaders’ legendary achievements and participate in diverse idolization activities)is the core of political socialization. The portion on middle school idolization education includes a detailed examination of textbook content and in-depth face-to-face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defectors.

      • (The)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dropouts from primary school in Senegal

        Dame Diop Graduate School of Government, Business, and Entre 2021 국내석사

        RANK : 232271

        The study aimed at assessing the impact of socioeconomic factors on dropouts from primary school in Senegal. The study sample comprised of 100 respondents divided into two groups 50 parents and 50 students. Secondary data was collected through structured questionnaire and various statistical tools were applied. Descriptive statistics was used to describe frequencies and percentages of the results, Chi-square test was use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association and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m respondents were based on socioeconomic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gender, age, education and income level. Marital status, farms need more people, financial support from parents, farm size, intended age of marriage, parent’s work, student’s other occupation and parents bring children to farms) and school related factors (school events attendance, class repetition, school distance and frequency of parents control at home). It was observed that farm size, parents bring children to farms, age of student, other occupation for student, intended age of marriage and parent’s work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chool dropout. The study recommends that the provision of education is necessary to clarify and educate people on the value of education for children to have a better future; the more people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education, the lower the number of school dropout rates as a result the environment and economy of the society is improved. Thus education should be promoted to the communities as the key factor for socio-economic development. Besides, the government and education stakeholders should provide consultation to farmers, especially those who have small plots of lands knowing that they tend to send their children to the farm because they don’t have enough income to pay the school fees. So it requires supports for them instead of keeping their children out of school to support domestic chores or farming. Additionally, the government, NGOs and civil society’s organization should widen the employment opportunities to the local communities especially for the unemployed people because as the research shows people who don’t have work, their children tend to dropout school. Moreover, the awareness programs for the community such as the mindset change against negative traditional values that were reduced the pace of education to rural people should be eliminated henceforth. The Ministry of Education needs to outline the research agenda in view of developing strategies to improve access and success within the education sector, especially as regards to basic education. Research-based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reduce the dropout rate, especially in high poverty and remote rural schools. The research agenda should include: -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olicies and practices as well as determining policy gaps - Tracking cohorts of learners at risk of dropping out - Exploring best practices at schools and ensure their replication - Developing monitoring and evaluation instruments to assess progress and impact of policy and practice. 이 연구는 세네갈의 초등학교 중퇴자에 대한 사회경제적 요인의 영향을 평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학부모 50명과 학생 50명으로 나뉘어진 100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2차 데이터를 수집하고 다양한 통계 도구를 적용했다. 기술 통계량은 결과의 빈도와 백분율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었고, 카이 제곱 검정은 연관성의 유의성을 검사하는 데 사용되었으며 로지스틱 회귀 분석은 연구의 독립 변수와 종속 변수 사이의 관계를 찾는 데 사용되었다. 응답자에게 수집한 정보는 사회경제적 요인(성별, 연령, 교육과 소득 수준, 혼인 여부, 농장의 인원 보충 여부, 부모로부터의 경제적 지원, 농장 규모, 목표 혼인 연령, 부모의 직업, 학생의 다른 직업, 그리고 학생을 농장에 데리고 가는 부모 등)과 학교 관련 요인(교내 행사 참여, 수업의 반복, 학교까지의 거리, 그리고 부모의 통제 빈도 등)을 기반으로 하였다. 농장 규모, 학생을 농장에 데리고 가는 부모, 학생의 연령, 학생의 다른 직업, 목표 혼인 연령, 그리고 부모의 직업은 학교 중퇴에 중요한 관련이 있음이 관찰되었다. 이 연구는 아이들이 더 나은 미래를 향유할 수 있도록 교육의 가치를 명확히 하고 교육하기 위해 교육의 제공이 필요하다고 권고한다. 많은 사람들이 교육의 중요성을 이해할수록, 사회의 환경과 경제가 개선되는 결과로서 학교 중퇴율이 낮아질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은 사회 경제적 발전의 핵심 요소로서 지역사회에 촉진되어야 한다. 게다가, 정부와 교육 이해당사자들은 농부들, 특히 그들의 자녀들을 농장으로 보내는 경향이 있고 소규모의 농지를 소유한 농부들에게 자문을 제공해야 하는데 학교 등록금을 지불할 충분한 소득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이 학교 외에 집안일 혹은 농장일을 거들도록 하는 대신 그들에 대한 지원을 요청한다. 추가적으로, 정부, NGO, 그리고 시민사회단체는 실업자들의 자녀가 학교를 중퇴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 실업자들을 위해 지역 사회로 취업 기회를 넓혀야 한다. 게다가, 농촌에 대한 교육의 속도를 줄인 부정적인 전통적 가치에 대한 사고방식 변화와 같은 지역사회를 위한 인식 프로그램은 앞으로 사라져야 한다. 교육부는 특히 기초교육과 관련하여 교육 분야 내에서 접근성과 성공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을 개발한다는 관점에서 연구과제의 개요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특히 고빈곤과 외딴 시골학교에서 중퇴율을 줄일 수 있는 연구 기반의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 연구 과제는 다음을 포함해야 한다. - 정책 및 실행의 효과 분석 및 정책 격차 파악 - 중퇴 위험이 있는 학습자의 집단 추적 – 학교에서의 모범 사례 탐색 및 복제 보장 - 정책 및 실행의 진행 상태와 영향을 평가하기 위한 모니터링 및 평가 도구 개발

      •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school-based mental health intervention in poor area of Peru : focused on suicide attempt

        김하윤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17 국내박사

        RANK : 232271

        Kore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KOICA) and Yonsei Global Health Center was carried out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with the main goal of preventing adolescent suicidal behavi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using the effect of a school-based mental health intervention in a poor urban area in Peru, as part of an ODA project by the KOICA.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operation and factors affecting on suicide attempt. Utilizing mixed methods and based on the PRECEDE-PROCEED model, the current study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implemented through KOICA’s ODA program in impoverished areas of Peru.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adolescent mental health in the target area, social factors, epidemiological factors, behavioral & environmental factors, educational & ecological factors, and administrative & policy factors were assessed. Then, the operation effect of the 2015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by several areas, including process, impact, and outcome evaluation. In order to do this, the results of the pre-intervention survey conducted with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768 individuals and the post-intervention survey conducted with a stratified random sample of 738 individuals, were analyz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with 64 individuals, including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psychologis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which provided a complementary explanation of the quantitative results of the effectiveness evaluation.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adolescent mental health, social factor, epidemiological factor, behavioral factor, environmental factor, educational factor, ecological factor, and administrative factor, policy factor were assessed. The results of the assessment were compared with Global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 by WHO, which showed that more higher of repeated suicide attempt, suicide ideation, drug use, sexual intercourse, involvement in fights more than 4 times and a lower level of parental understanding. Second, the operation effect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by process evaluation.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average health knowledge scores improved significantly among all of the 15 topics, including mental health education, smoking・alcohol consumption・drug prevention education, and sex education. Qualitative analysis showed a positive change in the learning attitudes of students, which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health knowledge and learning attitude. The qualitative analysis confirmed that participants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content, in particular the health education and counseling, and the family workshop program. Third, the operation effect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by impact evaluation. Analysis of the predisposing factors showed confirmed positive change in the stage of behavior change regarding smoking and alcohol consumption. Analysis of reinforcing factors confirmed the program’s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s with peers. Analysis of enabling factors confirmed the effect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on the experience of acquiring information regarding health risk behaviors such as smoking, alcohol consumption, drug use, and sexual intercourse. Fourth, the operation effect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was analyzed by outcome evaluation. This confirmed the effect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program on the decrease of adolescent suicide attempt. Fifth, the effect of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psychological factor, environmental factors, health risk behaviors, reinforcing factors, and enabling factors on the experience of suicide attempt was analyzed. Results showed that the implementation of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at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e attempt when the reinforcing factor variable regarding parental affection was included in the model. Consequentially, Peru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 of KOICA improved the adolescents’ health knowledge, intention of behavior change, ability to acquire health information, bond within the family through the improvement of parental affe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Furthermore, the program was validated as an effective intervention in diminishing the adolescent experience of smoking, drug use, sexual intercourse, feeling insulted, depression and suicide attempt. In particular, the variable of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e attempt when the variable regarding parental affection was included in the model. Also, in the pre-intervention model, the degree of parental affection that influence suicide attempts was found to be a significant predictor of suicide attempts in pre and post intervention models. In conclusion, in order to the activities made success the school-based mental health education programs to be successful the operation of the program must be include in the school’s annual agenda and school regulations through agreement between the recipient country’s Ministry of Health, Ministry of Education, and local governments. Furthermore utilizing local school teachers as sources of health education can elevate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 considering the lack of manpower in health education among developing countries. Teachers capacity could be improve by providing training about the health education. And also a school health education manual for teachers as well as an education material for students will be necessary for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gram. 일반적으로 청소년기는 다른 연령대에 비해 건강한 집단으로 분류되지만, 현재 전 세계 약 20%에 달하는 청소년들이 정신건강과 관련된 문제를 겪고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은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에서 신체적, 정신적으로 큰 변화를 보여주고 있으며, 특히 페루와 같은 개발도상국가에서는 그 변화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연구의 대상이 되는 페루 도시빈곤지역은 페루국립정신건강연구소 역학조사 결과(2013) 및 WHO에서 페루 전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실시한 Global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2010) 결과와 비교하여 연간 자살생각 경험과 자살시도 경험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KOCIA에서 2014년도부터 시행중인 페루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운영효과를 평가하고, 특히 자살시도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PRECEDE-PROCEED 모형을 바탕으로 혼합연구방법을 통해 KOICA에서 페루 도시빈곤지역의 ODA 사업으로 시행한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 파악을 위한 사회적 요인, 역학적 요인, 행위적・환경적 요인, 교육학적・생태학적 요인, 행정적・정책적 요인을 사정하였다. 이후 양적 연구에서 2015년도 실시된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효과를 과정, 영향, 결과 평가영역 별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무작위 층화표본 추출된 사전조사 768명과 사후조사 73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실험군과 대조군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 학부모, 교사, 심리상담사 총 64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양적인 효과 평가 결과를 보완적으로 설명하였다. 첫째, 학교 청소년 정신건강 실태 파악을 위한 사회적 요인, 역학적 요인, 행위적・환경적 요인, 교육학적・생태학적 요인, 행정적・정책적 요인을 사정하였다. 그 결과 WHO의 Global School-based Student Health Survey 결과와 비교하여 최근 12개월 동안 2회 이상 반복된 자살시도 경험, 자살생각 경험, 마약 경험, 성경험, 4회 이상 폭력사용 빈도가 더 높았고, 부모의 이해정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효과를 과정 평가 영역에서 분석한 결과, 건강지식의 경우 정신건강교육, 흡연・음주・마약예방교육, 성교육 총 15개 주제 모두에서 건강지식 평균 점수가 유의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학습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나타나, 건강지식 향상과 학습태도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 것으로 확인하였다. 프로그램 만족도의 경우, 양적 연구에서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 평균 만족도가 4점 이상으로 대체로 만족한 것을 확인하였고, 질적 연구에서 프로그램 구성에 있어 보건교육 및 심리상담, 가족 워크샵 프로그램에 대체로 만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효과를 영향 평가 영역에서 분석한 결과, 소인요인에서 청소년 흡연, 음주에 대한 행동변화단계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을 확인하였다. 강화요인에서는 또래 친구 관계향상에 효과가 있었으며, 부모와 함께 보내는 시간 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부모와의 유대감 및 의사소통 향상과 함께 부모의 이해 정도, 부모의 애정표현 정도 향상에 효과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촉진요인에서는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이 흡연, 음주, 마약, 성관계 등 건강위해행위에 대한 정보습득 경험 향상에 효과가 있었고 학생뿐만 아니라 교사에게도 정보습득의 기회를 제공한 것을 확인하였다. 건강위해행위에 대하여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청소년 흡연과 마약 행동, 성경험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환경요인에서는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이 모욕경험 감소에 효과가 있었으나 가정 내 신체적 학대나 부모간의 폭력 감소에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정신건강상태에서 청소년의 우울감 감소, 주관적 건강상태 및 주관적 행복도 향상에 효과가 나타났으나, 자살생각의 감소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효과는 보이지 않았다. 넷째,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효과를 결과 평가 영역에서 분석한 결과,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자살시도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프로그램 참여 여부와 정신건강상태, 환경요인, 건강위해행위, 강화요인, 촉진요인이 자살시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자살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 우울감 경험, 주관적 행복도, 흡연 경험, 성경험, 폭력사용 경험, 부모의 애정표현 정도, 성별(남자)로 나타났다. 특히, 학교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 실시 여부가 강화요인인 부모의 애정표현 변수가 포함되었을 때 자살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KOICA의 페루 학교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은 청소년의 건강지식 향상, 행동변화 의지 향상, 건강정보습득 능력을 향상시키고, 부모의 이해와 부모의 애정표현 향상을 통한 유대감을 향상시키며, 흡연, 음주, 마약, 성경험, 모욕당한경험, 우울감, 자살시도 등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개입 프로그램으로 검증되었다. 특히 프로그램의 실시 여부는 도시빈곤지역 청소년의 자살시도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회귀모형에서 부모의 애정표현 변수가 포함되었을 때 자살시도에 대한 프로그램 실시 여부의 영향력이 커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청소년 자살행동이 주요한 사회적지지원인 부모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의미하며, 청소년기 부모와의 의견 불일치, 부모와의 감정적 차이, 부모의 태도, 개방적 의사소통의 결여 등이 자살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능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청소년 자살예방을 위한 개입프로그램에는 부모와 자녀가 함께 관심을 갖고 참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좀 더 효과적인 개입 프로그램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학교 중심의 정신건강교육 프로그램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KOICA 사업 종료 후에도 지속가능한 사업이 되도록 수원국의 보건부, 교육부 및 지방정부와의 협의를 통하여 학교 연간 계획 및 학칙에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명문화가 필요하다. 또한 개발도상국가의 여건 상 보건교육을 전담하여 실시할 인력이 부족한 상황에서 현지 학교 교사를 보건교육 자원으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사를 위한 학교 보건교육 매뉴얼 및 학생 대상 교재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향후에는 지역사회의 사각지역에서 마약, 흡연, 음주, 성폭력, 학대, 자살시도의 더 큰 위험성이 있는 학교 밖 청소년들을 포괄할 수 있는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개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