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통형 廢사일로(Silo)의 프로그램 재구성을 통한 활용에 관한 연구 : 마산항 廢사일로를 Marine city museum으로 계획

        백현주 홍익대학교건축도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과거 유휴화된 근대산업시설은 그 역사적 가치를 충분히 검토하지 않은 채 새로운 건물의 건축을 위해 철거하는 것이 당연시 되던 때가 있었다. 이에는 어떠한 고려와 고민도 없었고 마치 헌옷을 갈아입듯 아무렇지 않게 허물어버린 자리에는 시간의 흔적이라곤 엿볼 수 없는 새로운 건축물이 들어섰다. 공간이 기억하는 시간의 기록들은 그렇게 사라져갔다. 하지만 인간의 역사(歷史)란, 말 그대로 살아온 흔적을 기록으로 남기는 행위이고 그 시대의 사람들이 살아온 양상을 살펴보는데 있어 유형물로서의 건축물은 그 무엇보다도 좋은 문화유산임에 틀림없다. 더욱이 문화유산의 개념은 이를 편협하게 보아 고대의 그것만이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현재 우리가 살아가는 시간 또한 역사의 연속선상 한 시점일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역사의 각 시점에서 다양한 양상에 관한 기록을 남긴다는 관점에서도 점차 그 흔적을 찾기 어려운 근대산업시설에 대한 보전의 가치와 의미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근대산업시설에 대하여도 고전적의미의 문화재와 같이 보전을 목적으로 하는 ‘산업유산’ 개념이 도입되어 관련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근대산업시설을 ‘유산’이라는 틀에 가두어 관조(觀照)하기보다는 합리성과 실용성을 추구하는 현대인들의 특성에 따라 실질적 활용방안에 대한 고찰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즉, 건축물의 본래 목적으로서 기능적인 요소를 배제하지 않음은 물론이거니와 이를 현재의 도시 주변상황에 맞추어 활용의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해당 건축물의 프로그램은 그 시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니즈(Needs)에 따라 얼마든지 바뀔 수 있음을 전제하고, 프로그램의 전환 및 재구성을 통해 건축물에 잠재된 무한한 가능성을 현실화하는 것을 궁극적인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또한 학문적 연구로서 현실의 문제를 고민하고자 최근 그 활용방안에 관해 활발한 논의가 진행되었던 마산항을 그 대상지로 선정하였으며 그 중에서도 마산항의 상징과도 같은 사일로를 활용의 대상으로 삼되, 그 활용 방안에 있어 마산항은 물론이거니와 도시와의 조화를 꾀하였다. 과거 도시의 상징물이었으나 폐허로 방치되어온 사일로가 그 형태적 가치를 충분히 살린 채, 항구에 위치한 입지적 특성을 살려 Marine City Museum을 기본으로 종합 멀티플렉스 공간으로 재탄생하여 문화 재생산의 도구로 기능할 수 있도록 구상하였다. 이로써 본 연구는 위와 같은 문제제기 및 그 개선의 방향으로 제시한 전제들을 바탕으로, 건축 당시의 한정적이고 고정적인 프로그램에 얽매이지 않고 공간 프로그램을 재구성함으로써 건축물의 재생,활용을 모색하고 이처럼 한 건축물의 프로그램 재구성이 도시 전체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자 한다. In the past, there was a time when demolishing unused past modern industrial installations had been taken for granted without considering their historical values enough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building. There was no consideration or worry, and new structures from which no signs of the time were found entered in the place demolished like changing dirty clothes. The records of hours the space remembered have disappeared. And yet human history literally is an act of recording lived traces, and structures as tangible properties is surely the best cultural heritages to examine the phases of the lives of people at the time. Moreover, the concept of a cultural heritage is not limited to that of ancient times narrowly. This is because the time we are living also would be a point of time on the continuum of history. Thus, also in the perspective of leaving records of various aspects in each point in history, there are values and meanings of conservation of modern industrial installations of which the traces are gradually getting more difficult. Therefore, recently, there have been active studies as the concept of ‘Industrial Heritage’ has been introduced to the modern industrial installations as well as cultural heritages in a classical meaning for the purpose of conservation. In addition to this, the present study aimed to discuss a plan for the substantial uses of the modern industrial installations for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people who pursue rationality and practicality instead of contemplating them in the frame of ‘heritages.’ In other words, this study tried not to exclude functional elements as the original purpose of the structure and to maximize the effects of application for the current situations around cities. It assumed that the programs of the relevant structures may be changed with the needs of the people living the time and worked on the study with the ultimate goal of realizing infinite potential in the structure through the conversion and reconstitution of the program. Also, in order to investigate real problems as an academic research, this study selected Masan Port as a target, for which the application plans active discussions were carried out recently, and the silo like the symbol of it was selected as the target of an application, for which the harmonization with the Masan Port but also Masan city was devised. It planned the abandoned and ruined silo which had been the symbol of the city in the past to maintain its morphological value sufficiently and function as a tool of cultural reproduction born again as an integrated multi-flex space based on a marine city museum by making use of the site characteristics of its location in the port. This study tried to seek for the renovation and utilization of the structure by reconstituting the space program not constrained by the limited and fixed program at the time of construction based on the above problems raised and the assumptions presented as a direction of improvement attempt to propose a way in which the program reconstitution of the structure can draw out positive changes of the entire city.

      • 수복형 도시환경정비사업에 있어서 최유효이용 개발에 관한 연구 : 서울시 광장시장지구를 중심으로

        서헌 홍익대학교건축도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95

        With the economic development plans of 1960s, Korea’s housing environment has physically improved thanks to the redevelopment projects designed to upgrade poor living conditions, but more general improvement in non-physical improvement -with local community, for example -has not been made. In this regard, the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the problems arising from the fast-growth of the economic development phase and started to find different ways to improve quality of life by securing pleasant and convenient living environment, building beautiful landscape, providing cultural spaces and establishing local communities. This is because the urban redevelopment project of the past has not been implemented in a systematic manner, which led to the following results: cityscape was ruined by the reckless development; basic infrastructure was insufficient, the number of existing local residents that stay in their old community after redevelopment projects reduced and redeveloped communities were disconnected from the existing community because the projects were implemented without considering the existing community. As a result, in some cases, the quality of the living environment in general has deteriorated after the redevelopment. The redevelopment project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of the downtown Seoul was expected to damage the historic meaning and attraction of the city’s downtown in that it is going to demolish all the existing urban areas to establish new buildings and city areas, and because of the project period’s extension due to its lack of business viability, urban renewal has been postponed. In addition, other problems have arisen, and excessive development efforts have worsened the traffic jam and hurt the cityscape. Seoul city government had led the urban renewal efforts by demolishing existing areas and redeveloping new urban areas. However, it is now looking for a way to change and differentiate methods, speed, size, density and investment methods of development efforts. In addition, Seoul has also recognized the need to implement customized measures consider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downtown Seoul, where various colors and features are intertwined. As a way to solve the problems, a new alternative was proposed: reclamation-style redevelopment to maintain the traditional city areas instead of the existing projects of demolition and redevelopment. While reclamation-style redevelopment has been implemented for more than 20 years since it was introduced for the first time in July 1990, there is no specific and practical measures established to put this new style of development into practice, and it is imperative to find a way to do so. Therefore,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urban redevelopment is needed in order to avoid any trials and errors of the past. To this e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clear vision and goals of urban improvement and propose specific strategies to realize them. This study explains the need of new redevelopment measures in Korea, regarding highest and the best use of old commercial areas of downtown Seoul, and examines the concept of urban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and reclamation-style redevelopment project. Building on this analysis, the study also selected specific area as an example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and propose an urban development model for the highest and the best use of the old areas of downtown Seoul. The area this thesis selected for this study is Gwangjang market, which is located in central Seoul and has unique local characteristics as well as tradition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This i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old and dilapidated central parts in Seoul. In order to examine physical conditions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 area, this study collected and analyzed data on roads, lots, and buildings of the whole area in order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Gwangjang market. Based on the data produced from th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and current status, the study conducted feasibility study on demolition-style project and reclamation-style project in order to provide grounds on why they are more efficient than the existing complete demolition style. Building on the grounds on efficient use provided above, the study suggested a mixed model of demolition-style and reclamation-style redevelopment by combining their advantages only. This is going to set forth new framework for Seoul’s urban renewal projects and meet the needs of the Seoul city government. In this regard, this study compares reclamation-style projects in Korea and overseas (e.g. use of BID) to suggest the need to conduct comprehensive studies on reclamation-style redevelopment as an important pillar of the urban renewable paradigm in the 21st century. The urban renewal paradigm of the 21st century shall encompass not only physical improvement but also cultural restoration, and therefore, this study has examined development measures that fits Korea’s local environment and, as a more specific and practical measures, has proposed the reclamation-style development as a way to secure the highest and best use of the urban resources in the area. 1960년대 경제개발을 위한 정책은 열악하고 노후한 환경의 개선을 위하여 지금까지 시행된 재개발·재건축사업 등 정비사업을 통해 주거의 물리적 상태는 향상되었으나 지역 커뮤니티 등 비 물리적인 환경까지 전체적으로 개선되지는 못했다. 정부도 과거 산업화 시대의 압축 성장에 따른 문제점을 인식하고 쾌적하고 편리한 환경조성, 아름다운 경관조성, 문화적 공간연출, 공동체 형성 등 지역의 삶의 질을 제고하고자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안을 모색하기 시작했다. 이는 지금까지 시행되었던 과거의 정비사업이 계획적으로 추진되지 못하여 고밀개발에 따른 도시경관의 훼손 및 기반시설의 부족, 기존 커뮤니티를 고려하지 않은 사업추진에 따른 주민 재정착률 감소 및 주변 여러 시설들과의 단절 등을 초래하였기 때문이며, 이로 인하여 지역 전체적으로는 오히려 생활환경의 질을 악화하는 경우도 있었다. 또한 기존 서울의 4대문안(도심부) 도심재개발사업(도시환경정비사업)은 전면 철거를 통해 신규 도시조직을 형성한다는 점에서, 도심부의 역사성과 매력을 훼손하고 있으며, 실제로는 사업성 부족으로 인한 사업진행의 장기화로 도심 재생이 지연되는 역효과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과도한 개발로 인한 교통 혼잡과 경관이 훼손되는 등의 많은 문제가 제기 되어 왔다. 최근 예전의 철거재개발 방식을 사용하여 도심의 변화를 주도하였던 서울시는 변화하는 환경에 따른 개발방식과 변화속도, 개발규모, 개발밀도, 공공투자와 지원방식의 차별화를 모색하고 있다. 또한, 서울시는 다양한 특성이 매우 혼잡하게 섞여 있는 서울 도심부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처방이 필요하게 되었음을 인식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방안으로 기존의 대규모 철거재개발 방식이 아닌 도시조직을 유지·보존할 수 있는 수복형 정비수법을 도입하는 새로운 대안이 부각되었다. 하지만 1990년 7월 “수복재개발방식”이 최초 도입된 후 20여년 이상 동안 진행 되고 있으나, 계획(안)으로만 있을 뿐 수복형 정비수법의 활용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적용 가능한 제도화 방안이 아직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대책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시행착오를 반복하지 않기 위한 종합적이고 계획적인 환경정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도시환경 개선에 대한 미래상과 목표를 명확히 설정하고 구체적인 실천 전략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서울시 도심 노후 상업지역의 최유효이용 개발과 관련하여 국내에도 새로운 정비개발수법의 필요성을 밝히고 구체적으로 도시환경정비사업과 수복형 정비사업의 개념을 고찰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구체적인 사례 대상지를 선정하여 지역의 특성을 분석하고 서울시 도심 노후 상업지역 개발이 최유효이용 개발로서 시행될 수 있는 정비개발 모델을 제안 하고자 한다. 사례 대상지로는 서울시 도심에 입지하면서 지역 고유한 특성과 전통성 및 역사성을 가지고 있는 광장시장지구를 선정하였다. 광장시장지구는 대표적인 도심 노후 상업지역으로서 물리적 조건 및 개발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도심부 전체의 도로, 필지, 건물현황 등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분석을 통하여 대상지인 광장시장지구의 특성 현황을 조사·분석하였다. 특성 현황 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도출된 자료를 바탕으로 광장시장지구의 정비개발 방식을 철거형 개발과 수복형 정비를 적용시켜 타당성 분석을 함으로써 기존의 전면철거형 개발방식 보다 효율적인 이용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그 연구의 근거를 바탕으로 철거형 재개발방식과 수복형 정비수법의 장점만을 혼합하여 적용함으로써, 서울시 도시환경정비사업에 새로운 틀을 설정하고, 서울시가 추구하고자 하는 목적성을 부합하여 국내 수복형 정비사업과 외국의 수복형 정비수법(BID활용 등)의 사례를 비교, 분석을 통해 21세기 새로운 도시재생의 패러다임의 한 축인 수복형 정비수법의 활용방안에 대한 종합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1세기 도시정비·재생의 패러다임에는 물리적 환경개선 뿐만이 아닌 문화라는 키워드를 혼합하고 있는 시점이고, 좀 더 우리나라의 환경에 맞는 개발방안을 연구하고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방안으로서 서울시 도시환경정비사업을 통해 수복형 정비수법을 활용한 최유효이용 개발을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 도시재생의 촉진을 위한 용적이전제도 적용 방안 : 서울시 중구 필동길을 중심으로

        성준영 弘益大學校建築都市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51695

        신도시 및 강남 위주의 개발에 치중한 도시 계획으로 서울 도심부는 낙후됨에 따라 기성시가지의 도시재생을 통한 도심 재활성화를 위해 해외의 개발권양도제도 등의 도입을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이 중 개발권양도제도의 개발권 개념의 단점을 보완하고 국내 결합개발제도를 준용하여 일본의 용적이전제도의 도입을 통해 도시재생과 관련한 다양한 제도의 활용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본 연구에서는 「2020도심재창조종합계획」의 일부분인 녹지문화축이 조성되는 대상지를 중심으로 제도를 적용해 보고자 한다.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권양도제도의 개발권 개념을 보완하기 위한 용적이전제도는 개발권 대신 용적률을 거래하는 측면에서 국내도입의 가능성이 있다. 둘째, 도시재생과 관련된 유일한 국내 제도인 결합개발제도는 용적이전제도의 도입과 관련하여 준용의 제도로 참고할 수 있다. 셋째, 용적이전제도의 국내에 적용해 봄으로써 도시재생에 긍정적 효과를 예상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선행되고 있는 일본의 특례용적률적용구역제도의 절차를 이해하고 현행 사례를 분석하며 국내 결합개발제도 사례의 비교를 통해 연구에 적용될 용적이전 인센티브모델을 형성하였다. 여기서는 공시지가와 법정용 적률을 사용하였으며, 대지면적은 기반시설부담률을 적용한 순수 대지면적을 이용하였다. 이를 통해 녹지문화축이 조성되는 종로구 필동길에 적용함으로써 용적률을 세운재정비촉진구역에 이전하였는데, 이 때 수용지역은 재정비구역 내 세운6, 8구역을 각각 수용지역-1과 수용지역-2로 지정함으로써 용적이전 인센티브모델의 적용 결과를 비교하여 그 기준을 도출할 수 있었다. 이러한 용적이전제도를 적용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면적을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상대적으로 면적이 넓은 수용지역-1의 경우 학교 및 공원과 주차장의 면적을 제외한 수용지역-2 와 비교하였을 때 용적이전 이후 남는 용량이 약 40%로 약 30%인 수용지역-2에 비해 수용지역의 규모가 송출지역에 비해 크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송출지역과 수용지역을 선택할 때 이러한 면적의 규모기준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분석하였을 때, 기준이 되는 수용지역의 용도가 상업 및 준주거 지역일 경우 그 결과의 차이가 크므로, 송출지역 및 수용지역을 지정함에 있어서 그 용도지역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용적이전제도는 수용지역에서 발생하는 수용용량 내에서의 용적을 수용 및 인센티브를 부여한 것이므로, 결과적으로 종로구 전체의 용적용량에는 증가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이는 곧 기성시가지의 재활성화에 있어서 과밀화를 방지할 수 있는 밀도관리방안으로도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용적이전제도를 통해 녹지가 조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대상지의 손실보상이 가능하고, 재개발구역 내로의 이전을 통해 구역의 개발비용 지원이 가능하다는 긍정적 효과도 있지만, 국내에 적용하기 위한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었다. 첫째, 용적이전에 있어서의 각종 기준 선정이다. 송출지역과 수용지역의 면적기준 및 공시지가 외의 분명한 용적용량산출기준이 필요하다. 둘째, 결합개발제도와 같은 제도적 기반 조성이 요구되며, 셋째, 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공공기관의 통제와 제제 및 용적은행의 마련이 시급하다. 이를 통해 용적이전제도의 도입 가능성을 높임으로서, 도시재생을 촉진할 수 있는 제도적 방안으로 마련하고자 한다. The urban center of Seoul was behind in development because of new town and Gangnam-oriented urban plan. So there are continued to attempt to introduce land-use systems for revitalization of established city. Associated with these efforts, this study examine to supply of TDR's shortcoming and to apply of Korea's CRP(Conjoint Renewal Program) for introduction a「FAR(Floor-Area-Ratio) Transfer System」to enable to use of various system. Therefore, first step is understand about FAR transfer system and CRP by precedent examples. According to comparison between two systems, second step makes 'FAR transfer incentive transfer model' and this model applied to this studies's site in third step. The site is on the Seoul's community development plan for civic center activating. This plan create green network named 'green axis' from Gyeongbokgung to Korean Village and the Namsan. But the state plan is insufficient about development and financial losses for land owners and residents's compensation. This paper examines about FAR transfer system as measures for compensation of losses in sending area, Fill-dong street with receiving area as district-6 and district-8 sewoon shopping area. According to result of applying by 'FAR transfer system model' using land prices and pure land area, firstly, it I possible to compensate only used by existing FAR of sending area without the financial support of public institutions. Secondly, receiving area obtain the cost of the developments and sending area is expected to profits due to develop of transfer FAR in receiving area in future. Thirdly, because of the limitations for introduced in Korea, there are required to apply as suit Korea's condition. So the legal basis is urgently needed based on the law of CRP(Conjoint Renewal Program), and public institution's role of control and efficient operation. In addition, FAR bank is required for efficient operation of the system in future.

      • 고속철도 역사 역세권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오송역 광역역세권을 중심으로

        서종길 홍익대학교건축도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1679

        경부고속철도 계통과 호남고속철도 계통으로 수도권과 광역시를 제오한 나머지 지역 KTX역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에 새로운 역의 경우 기존 시가지를 거점으로 역세권 보다는 기존시가지와 다소 떨어져 새로운 역세권을 형서하고 있다. 이에 신설역사의 경우 아직 유동인구가 확보되어지지 않아 새로운 역세권에 대한 개념을 정리하고 이에 맞는 도시개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한다. 역세권은 유동인구가 확보되기 때문에 다양한 측면에서 개발계획이 적용된다. 대표적으로 신시가지형의 경우 철도역사건설시 주변지역을 동시에 개발하는 것으로서 역세권이 가진 가능성이 신시가지 조성의 원인이 된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역세권 자체의 확장과 함께 주변 역세권과의 관계이다. 고속철도와 관련된 개발은 고속철을 이용한 이동시간이 매우 짧기 때문에 각 역의 특징적 기능이 중복되거나 주변연계 교통이 부족하다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고속철 역세권 개발은 역사가 시설되는 지역의 관점이 아니라 전체적인 국토개발의 차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경부고속전철 및 호남고속전철의 분기점인 오송역의 경우도 주변에 이미 자족기능을 가진 도시가 많고, 인근역인 대전과 천안이 30Km 정도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지나치게 낙관적으로 인구유입을 예상하고 신시가지형을 도입할 경우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오송역의 직접역세권은 오송생명단지의 배후도시, 오창 산업단지 및 세종시와 청주시를 대상으로 하는 역세권의 설정이 유효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유사한 여건의 국내 KTX 역사와는 달리 오송역은 충북선의 경유지로서 경기도 일부지역과 충청남도 및 정라도 지역의 교통거점으로 사용이 가능한바 오송역은 환승의 거점으로 접근하는 전략이 유효할 것이다. 오송역의 직접역세권 과 간접역세권을 다시 설정하고, 오송역의 정체성을 철도를 비롯한 모든 육상교통이 가장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역사로 설정하여 연계교통망 중심의 독자적 역사를 제언하였다. 충청남북도의 접경에서 두 지역을 연결시키고, 독특한 아이덴티티를 갖춘 세종시 등의 접근성을 보완하면서 KTX와 충북선의 교차지역으로서의 아이덴티티를 살려 가장 편리한 교통연계망을 갖춘 역사로서 아이덴티티를 부여하기 위함이다. 나아가 인근 역사간 무리한 경쟁은 과투자로인한 국가적 손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충청북도와 충청남도 그리고 중앙정부가 협조하여 정확한 수요예측을 통해 천안역과 대전역과의 관계설정을 명확하게 하고 기능을 분산시켜야 한다. 고속철도 역사는 해당 역사가 설치되는 지역의 입장이 아니라 국토의 전반적인 관점에서 중복되는 기능은 배제하고 특성을 가장 부각시키는 방식의 지역 간 협력적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고속철도 역사계획에는 중앙정부가 중심이 되어 각 역사가 위치한 지자체 간 기능분담과 합리적 연계계획 기능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A development plan is applied to the station area in various aspects because of a floating population. In case of a new built-up area, normally the neighboring area is developed at the same time when the station is under construction and a possibility of station area results in the creating of a new built-up area. The important things, here, are a expansion of station area and relationship between it and other near station areas. A problem can be occurred by overlapping of certain functions of each station and a lack of connective traffic for developing related with high-speed railroad due to a very short travel time. To this end, the development of high-speed railroad station area needs to be understood not only in the level of a relevant area but of an overall national land planning. In case of Osong station, an intersection which Gyeongbu and Honam high-speed railroads are crossing, a problem can be occurred when we decide to construct a new built-up area with expecting the influx of the population optimistically since there are already many self-contained cities and Daejeon and Cheonan stations are around 30km away from the station. Hence it’s considered to be effective to set up the station area including cities behind Osong BioHealth Science Technopolis, Ochang Industrial Complex, Sejong city and Cheongju city, by regarding Osong station area conservatively in this study. Moreover, different from other KTX stations under similar condition in Korea, the strategy to set Osong station as a base of transfer will be effective because the station that Chungbuk Line is passing through can be used as a traffic base of some areas of Gyeongido, Chungcheongnamdo, and Jeollado. This study proposes the independent station with a connective traffic by setting a scope of Osong station area conservatively and deciding the identity of Osong station as the most convenient station for overall land traffics including a railroad. It intends to place an identity as a station with the most convenient traffic network by connecting the two areas at the border between Chungcheongnamdo and Chungcheongbukdo, complementing accessibility of Sejong city that has an unique identity, and confirming it as an intercrossing area between KTX and Chungbuk Line. Furthermore since competition between neighboring stations may result in national loss by overinvestment, Chungcheongbukdo, Chungcheongnamdo, and the government need to cooperate to make relationship between Cheonan station and Daejeon station clearly and to devide functions through an accurate demanding forecasting. We need a cooperative development between areas in a way of excluding overlapped functions and highlighting useful characteristics in the level of an overall national land, not the area where the station is under construction.

      • 도시적 맥락을 적용한 문화 인큐베이터 계획안

        우광진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5343

        근대주의자들에 의해 꿈꾸어졌던 기능만을 앞세운 절대적 건축물과 도시는 다원화되고 불확정적인 현대에 와서 그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주위의 환경과 무관한 건축물과 정체성 없는 도시들은 더 이상 하나의 환경으로써 의미를 찾기 힘들어졌으며 도시와 건축물과 내부 공간들의 관계성은 사라져 가고 있다. 1990년대 이후에는 모더니즘의 재해석을 통해 현대 도시의 여러 문제점들에 대한 새로운 모색이 많은 건축가들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가 가지는 정체성과 다양성을 유지하는 패러다임을 바탕으로 도시의 요소들을 일체화 시키거나 건축물과 밀착시킴으로써 도시의 연속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들은 맥락주의적 관점에서 출발하였다고 볼 수 있으나 과거 시각적인 조화만을 모색하던 건축적 맥락에서 한발 더 나아가 건축물을 도시 안에서 움직이는 체계로써 규정한다. 맥락이란 하나 이상의 것들이 얽혀져 관계성을 갖고 이것이 공간적, 시간적 연속성을 띄게 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본 논문은 시각성에 바탕을 둔 유형적 맥락의 형성보다는 문화적이고 사회적인 무형적인 도시 맥락의 적용과 형성에 더 큰 비중을 두었다. 본 논문은 맥락주의의 이론적 고찰을 토대로 도시의 유형적, 무형적 맥락을 문헌과 관찰, 데이터 분석에 의해 도출 한 뒤 이를 맥락 주의적 관점에서 건축화 시켜 계획안을 작성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맥락 주의적 관점이란 경계의 재 정의를 통해 관계성을 회복하여 전체의 연속성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를 건축적으로 해석하자면 도시와 건축물, 건축물의 내, 외부 공간, 내부 공간과 내부 공간, 가구와 건축물의 경계를 재정의한 후 도시에서부터 실내공간까지 도시적 맥락을 형성하는 것이다. 휴먼스케일을 고려해볼 때, 도시적 밀도가 높은 우리나라에서 실내 공간이 도시의 맥락에 끼치는 영향은 매우 크다고 볼 수 있다. 실내 공간은 입면(Facade)를 통해 외부로 나타나기 마련이고 사람들은 도시의 밀도와 스케일상 이에 민감히 반응한다. 건축물의 용도 변경 주기가 짧아진 현대에 이르러서는 도시의 맥락과 실내 공간과의 관계는 더욱 더 중요해 지고 있다. 계획 대상지인 홍대 지역은 다양한 문화 예술의 인적 자원이 풍부한 곳으로 복합적인 문화 생산지로써 정체성을 가지며 독특한 맥락을 형성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지나친 자본화와 상업화에 의해 그 인적자원들이 점차 홍대지역에서 밀려나고 있기에 그들에 대한 보호와 육성, 교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지며 이를 위한 공간을 "문화 인큐베이터"라 칭한다. 따라서 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선정, 조합 후 다음과 같은 디자인 개념으로 관계성을 형성한다. 1. 프로그램의 삽입 2. 경계의 재정의 3. 연속성 4. 매핑(MAPPING) 본 계획안은 프로그램의 선정에서부터 디자인까지 도시의 맥락을 적용한 하나의 체계로서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Buildings and cities emphasized only their function by Modernists, have shown their limitation as the present age has been becoming diversified and indefinite. These days, buildings have no connection with the surroundings and cities do not have their own identity. Therefore, buildings and cities cannot regarded as one environment any more and there are no correlation between them. Since 1990's, many architects have studied to find solutions to Modern cities' problems through reinterpretation of Modernism. There are movements to regain urban continuity by unifying its elements or kniting them together, on the basis of the paradigm preserving its identity and diversity. Although the new movements originated in a contextual point of view, they are against the past architectual context seeking visual harmony only And, they define that a building is a moving system in the city Context means that one or more things are mixtured and connected with each other, and they show the continuity of time and space. And, the thesis gave priority to the formation of cultural, social and immaterial urban context over visuality- based material context. This thesis is aimed at making a plan applying urban material and immaterial contexts to buildings from a contextual point of view after getting them from literature, observation and data analysis based on theoriential study of context. A contextual point of view means that things have a correlation between them and show the continuity as a whole by redefining the boundaries. Architecturally, this is interpreted as a formation of urban context between a city and a building, between interior space and exterior space, between interior spaces and between furniture and a building. Considering human scale, interior spaces have a strong influence on urban context in Korea whose urban density is too high. The building's interior is exposed to its exterior through facade. Also, the interrelation between urban context and interior space is growing important as the change cycle of intended usage of buildings are getting shorter in modern times. The planning site, the hong-ik university area is rich in human resources for various cultures and arts. As a complex culture producing center, this area has its own identity and makes a context. However, the human resources have been pushed out of the area due to excessive commercialization these day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tect and foster the human resources and activate interchanges between them, and the space for these activities is called "a Cultural Incubator" in the plan. In accordance with the following design concepts, this plan makes interrelations after selecting and composing the programs for "a Cultural Incubator". 1. Insertion of programs 2. Redefinition of boundaries 3. Continuity This plan is significant as a system applying urban context from exterior to interior space at every stage from selection of programs to a design.

      • 정보화 시대의 복합 문화 시설 계획안 : 인사동 미디어 아트센터

        김지연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5327

        우리는 지금 정보화 시대에 살고 있다. 정보사회는 1940년대부터 미래학자들의 입에 오르내리기 시작하였고, 마이크로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하면서 현실화되기 시작하였다. 미래 학자에 따라 정보화 사회는 후기산업사회, 고도 지식사회로도 불리기도하며 다양하게 정의되어 지고 있다. 20세기 중반이후 컴퓨터의 발달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멀티미디어, 하이퍼미디어로 정보매체의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은 기존의 문화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면서 새로운 정보문화를 형성하게 되었다. 정보문화란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새로운 정보기기의 보급이 인간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면서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인식과 활용의지를 나타내는 가치관과 규범 그리고 이들 요소들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는 체계"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문화와 관련된 용어가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정보화시대의 이러한 정보문화의 형성은 건축공간에도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정보화시대에는 새로운 도시의 틀이 형성되어 가고 있다. 다양한 형태의 영역들이 그 복합성 속에서 연결되는 방식과 거기에서 이루어지는 물질, 사람, 정보의 흐름을 도시의 주요 구성 인자로 보는 관점이 중요하게 되었다. 그리고 현대 건축의 프로그램에는 연결의 중요성으로 인해 현대 도시의 밀집성과 복합성 그리고 네트워크 상의 흐름과 연속성이 반영되어진다. 즉, 흐름과 연결이 중요해진 정보화시대에는 도시의 프로그램을 건축이 수용하여 도시를 더욱 활기차게 해야 한다. 그래서, 정보화시대에 새롭게 형성되어진 정보문화로 인해 필요하게 된 문화시설을 계획하게 되었다. 대지의 선정은 서울시 도시중심부이면서도 전통문화자원이 풍부하고 이벤트가 많은 도시적 환경을 가지고 있는 인사동지역을 선정하였다. 계획대지의 특징은 전통문화자원이 풍부한 인사동지역에 산업화 사회의 이질적인 요소를 담고 정체성 잃은 상태로 존재하고 있다. 연결과 흐름이 중요한 정보화 사회에서 이러한 대지를 주변 상황과 연계를 가지도록 도시적 요소들을 적용하여 연결하는 측면에서 해석하여 적절한 문화시설을 계획하고자 했다. 먼저, 기존 사례분석을 통해 구성하고 있는 복합 프로그램을 조사하고, 인사동의 도시적 공간구조와 사람들의 움직임을 자연스럽게 하는 요소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인사동이 가진 일부 기능을 수용하여 인사동과 연계를 가져 사람들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하는 프로그램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정보화시대에 필요한 디지털로 저장된 문화예술정보와 정보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인사동 안내 서비스 받을 수 있도록 정보검색공간과 인사동 홍보전시관 기능을 삽입하였다. 왜냐하면, 특정지역의 정보화는 전통문화산업의 쇠퇴나 산업구조의 변화에 유효하게 대처하며, 또한 지역의 개성이나 독자성을 새롭게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이기 때문이다. 건축 계획적 측면에 있어서는 사례조사에서 나타나고 있는 공간적 구현 요소인 연속성, 소통성, 투명성을 수용하고자 하였다. 본 작품에서는 크게 두 가지에 대한 제안을 하고 있다. 첫 번째는, 정보화로 인해 형성되고 있는 정보문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문화시설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정보통신네트워크의 접근과 활용이 적극적으로 가능한 문화시설로 제안하였다. 두 번째는, 정보화 시대에는 급격한 산업화로 인해 미처 대처하지 못한 정체성을 잃은 대지를 재해석해야 한다. 정보화 도시의 성격변화를 수용하고 거기에 대응해야 하기 때문이다. 건축에서 단순히 도시의 다양한 요소를 놓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요소들을 연결하는 프로그램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We are now living in the information age. Information society started to be talked about by futurologist ever since the 1940s and it became actualiz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micro-computers and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The information age society is also called post-industrial society and high-knowledge society, and also defined diversely, according to futurologists. After the mid-20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computer from analog to digital, multimedia and hypermedia have brought about changes in information media. In particular,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formed a new information culture while having a great effect on the existing culture greatly. Information culture could called "the sense of value and norm of the members of the society that show their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the will to use information, while the supply of new information machineries and tool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technology influence human life on the whole; it is also the system that includes the interaction of all these factors". Also, the terms pertaining to information culture are being expressed diversely. A new city frame is being formed in the information age. The process of various forms of fields linking in its complexity, and looking at the flow of information, people and materials that are formed as the main constituent factors of city has become an important viewpoint. In addition, the closeness and complexity of the modern city, the flow of network and continuation are being reflected in the program of modern construction, due to the importance of linking. In other words, construction has to accommodate the program of the city and make the city more vigorous, in this information age where flow and linking have become important. Therefore, culture facilities that became necessary due to the newly formed information culture in the information age have been planned. Insa-dong area, which has an urban environment, abundant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and where many events are held, while being in the center of Seoul, was chosen for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 of the planning site is that the Insa-dong area, which is abundant with traditional culture resources, exists in a state without identity, with incorporated heterogeneous factor of industrialized society.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lan a appropriate culture facility, by interpreting in the aspect of applying and linking urban factors so that such site can be link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in this information society where linking and flow are important. Firstly, the complex program that is formed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cases was researched, and the factors that naturalized the urban spatial structure and the movement of people in Insa-dong were investigated. A program that naturalizes the flow of people with linkage with Insa-dong, by accommodating a part of the functions of Insa-dong, was formed based on the results. Next, the functions of Insa-dong publicizing exhibition hall and information searching space were inserted, so that cultural arts information and information on Insa-dong that are saved digitally, can be in service through the information communications network. this is because the information-orientation of a specific area is dealt with to be effective in the change of industrial structure or decline of traditional culture industry, and also, it will contribute to the new formation of individuality or originality of an area. I tried to accommodate continuation, communication and transparency, the spatial materialization factor that are shown in case studies in the aspect of construction planning. There are two proposals for this work. Firstly, the culture facility that can actively correspond to information culture formed through information-orientation was proposed. This was proposed as a culture facility where active utilization and approach of information communications network are possible. Secondly, sites that have lost its identity by not being able to cope with rapid industrialization in the information age have to be reconstructed. The change in characteristic of the information city has to be accommodated, and corresponded according to it. A program that links each factor, not just simply placing the various factors of city together, was proposed for the construction.

      • 홍대 지역 문화적 인프라 구축을 위한 창작스튜디오 계획 : Landscape urbanism의 특성을 활용하여

        이지훈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5327

        21세기는 문화예술의 세기다. 세계의 많은 국가들이 국가적 차원에서 문화 산업을 지원하고, 다양한 기업들이 문화 활동에 투자한다. 21세기에 들어서면서 문화에 대한 향수권을 내세우는 각종 이론뿐만 아니라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법제가 마련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문화예술의 세기’로 규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한 다양한 문화 공간이 구축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는 홍대 앞 거리는 이미 자생적으로 생겨난 여러 문화를 가지고 있다. 미술, 디자인, 대중음악, 춤, 공연, 영상 등 인디정신과 언더정신의 집합체라 할 수 있는 곳이다. 인디 혹은 언더문화로 불리는 비 제도권 문화와 다양한 이벤트가 있는 홍대 앞은 사람과 프로그램이 주가 되어 지역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하지만 다양한 프로그램과 사람들의 행위를 담아 낼 수 있는 장소라는 측면에서 의미가 있지만 깨끗이 치우고 다듬어 진 곳엔 상업적인 대학문화가 부분적으로 관입되어 가면서 홍대 앞 특유의 문화를 잠식 시키고 있으며 이는 결국 여느 대학가와 크게 다르지 않은 모습으로 변해가게 될 것이다. 이를 홍대 지역의 문화적 감수성이 묻어나는 스타일로 만들어 나가고, 일상의 모습을 담아내는 것을 통해 홍대 지역의 문화적 다양성이 기념비적 문화시설을 통해 살아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당인리 발전소로부터 이어진 폐선부지에 무허가 건물들로 형성된 ‘홍대 앞’ 365거리의 문화적 활성화를 돕고자 제안되었다. 365거리는 자본의 유입으로 점차 상업적으로 변질되며 가로의 성격을 변화 시켜왔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유형의 대지를 문화적으로 활성화하기위하여 홍대의 문화적 특성에 부합할 수 있는 창작스튜디오라는 건축적 프로그램을 제안하고 이를 설계하기 위한 도구로서 랜드 스케이프 어바니즘(Landscape Urbanism)의 특성을 적용한다. 연구의 흐름은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진행하였다. 제 1장에서 연구의 목적과 배경을 정하고 방법을 기술하였다. 제 2장에서는 창작스튜디오와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의 개념 및 주요역할과 필요성 을 고찰하고 스튜디오의 시설 및 공간의 분석을 통하여 창작스튜디오의 계획 방향을 설정한다. 제 3장에서는 대지선정 및 분석으로 홍대 앞 걷고 싶은 거리 조성계획안에 대한 고찰과 계획대상지에 대한 정체성과 공간분석을 한다. 제 4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된 건축계획 방향을 바탕으로 홍대지역의 문화적 인프라 구축을 위한 창작스튜디오 계획을 제안한다. 지역 문화시설로서 증대되는 문화적 욕구를 충족시켜주고 이용자의 입장을 최대한 고려하여 편의를 제공하며 효과적으로 홍대 앞 거리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한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21st century is regarded as the period for culture and art. Many countries in the globe support industries about cultural activities in government perspective, and various companies pays for the cultural and artistic ceremonies and happenings. Coming with 21st century, some significant views about cultures and their supporting legislations and in Korean society, and various kinds of cultural spaces has been built to encourage the paradigm of 'the century for culture and arts'. This study has investigates the street in front of Hong-ik University (in short, Hongdae), which has prospered its own cultures. Individually dependent atmosphere such as arts, design works, commercial music, dances, performances, media arts are gathered together, and these show most informal street cultures with various kinds of events, and authentic local atmosphere. However, this cultural features are disappearing with the influx of commercial collegiate characteristics, and it finally cleans the Hongdae are with less programs and performances, and is expected to be similar to the other universities' streets. This study aims to maintain its own sensibilities with its own street styles, and daily lives in the area, while memorable spaces or buildings are remained with cultural variety. This study is coming from the attempt to prosper Hongdae 365 Street in culturally development with unauthorized buildings from Dangin-ri powerplant. 365 Street has been changed to commercial area with inflow of capital. So this study suggests a creative studio as an architecture program, which can at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Hongdae area, and applies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Urbanism as a planning tool. This is the content and order of the study- 1. Sets the purposes and background of the research, and explains the method of the study. 2. Looks out the definition, main roles and necessities of creative studio and landscape urbanism, and makes a framework of the studio designing from the facilities and space analysis. 3. Analyzes the identity and space of the studio, with the planning of local area development, and location selection and candidate sites. 4. Based on the approach of studio built up and its design attemption, suggests to build the creative studio for cultural infrastructure setup.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 alternative to boom up the Hongdae area’s cultural atmosphere effectively, while satisfying the users’ shoes and fulfilling the cultural demand with proper facilities.

      • 공원과 연계성을 갖는 랜드스케이프 상업건축 계획안 : 신촌 다주상가공원화의 서 측면을 중심으로

        윤일찬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5327

        도시는 인간이 밀집해서 거주함으로써 성립된다. 따라서 어떤 구체적인 방법을 수립하지 않는 한 시가지에 녹지를 확보해 가는 것은 지극히 어려운 기술이다. 그러나 인간은 옛날부터 자연의 특성과 그 시대의 기술수준에 대응하면서 자연과의 공생 도모를 위해 많은 고민을 해왔다. 도시공간의 변화는 사회적으로 매우 다양할 뿐 아니라 거대한 유기체로서의 도시는 끊임없이 변화와 성장을 거듭해 왔다. 특히 현대 도시공안에서 점차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도시 오픈스페이스의 사회적 의미는 공간의 기능과 그 구조가 변화됨에 따라 다양화 되어가고 있다. 변화라는 도시의 속성에 대해서 도식 공간은 필연적으로 이를 방영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도시공간에서 중요한 오픈스페이스인 도시공원 역시 이러한 특성들을 반영함으로서 도시공원의 의미와 역할을 찾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는 신촌에 새로운 녹지공간의 형성으로 그 녹지공간이 주변 상업건물과 공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 건축적 디자인을 만드는가에 있다. 두 번째 목적은 신촌지역의 사회적, 도시적, 지역적 특성을 분석하고 현대사회에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오픈스페이스의 역할을 기능적으로 관찰하여 그 지역의 특성에 맞는 확장개념을 랜드스케이프적 특성에 부합하여 공원과의 연계를 갖는 디자인 방법을 제안하려 한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하여, 대상지인 신촌 노고산동에 위치한 새로운 고원과 맞물려 있는 대지에 사회적 의미와 다양성부여를 위한 건축적 제안으로 공원의 경계를 해석하여 주변 도시환경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게 하였다. 근린공원으로 조성될 현 다주상가 주변은 현재 슬럼화 되어 있는 상업지역과 고층화된 오피스텔에 둘러싸여 점차 이질화 되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도시와 공원의 경계를 해석함에 있어 고원과 주변 도시환경에 다양한 요소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도시와 공원의 각 경계가 확장되어 장소화 시킴으로서 두 가지 성격, 새로 생길 공원과 도시의 성격을 동일화 시켜 동적인 활동들이 공간과 대지 가로 공간에서 일어 날수 있게 하였고 이를 랜드스케이프 건축이라는 요소를 통해 각 장소에서 발생하나는 독립적이면서도 개성있는 활동들이 그 이용자들에게 시각과 동선의 유기적 연결로 인하여 같은 공간에서의 동일감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 공공용지 개발에서의 장소마케팅 전략에 관한 연구 : 서울 홍대지역 공유지 개발을 사례로

        박인회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35327

        Place marketing is an effort through administrative analysis regarding a place. The technical strategy for selling and marketing a place maximizes the profit through effective process; it increases the place value as real estate; it has been perceived as a new strategic method of development business. City governance appeared as the role and responsibility of local governments increased along with the burdens of promoting neoliberal-like independent progress and development method of region and city. And the competition of urban areas using place marketing is continuing the effort to preoccupy the urban areas along with the dilemma of zero-sum game. Such structure of city development was originated from the conflict relationships of elements that form city and region and was exposed, and it focuses on the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a smooth plan of promoting business within the region and the effectiveness maximization of the place, rather than on the solution of geographically unbalanced development that is capitalistic. The problem can be found in the sense of regional difference that is generated from such development structure, lack of community spirit, uniform urban landscape caused by the monopoly of big capitalism, area secession caused by the increase of land value, and unstable social structure due to the change in economic population. If the purpose of real estate development is limited to the increase of land value, it is nothing but instrumental building action, which can only be silent regarding the understanding and responsibility toward regional development. However, if land and real estate become physical foundations of developing complex space that includes history and geography, economy, and culture by combining space and time within the category of place, it must reestablish the definition of (the sense of) place and participate in regional development. Especially, the real estate development regarding the practical use of the land for public use must consider the regional infrastructure and people’s convenience by understanding and securing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public character of the place. The purpose and establishment method of place marketing sh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land for public use and private land, and the step-by-step process that agrees with the character of the land must be reestablished. First, the strategic systems analyses of the senses of place, identity, and entrepreneurialism are necessary by studying the place in the humane perspective and by sub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ce marketing, which is the combination of administrative techniques of marketing. Also, the role of place marketing in the development of land for public use has an implication from the approach of the development paradigm and space political economy. The strategy of place marketing that used the land for public use was reestablished based on the examples of the Hongdae area. The problem of development example and the suggestion for the supplement point of direction were subdivided after categorizing them into the place strategy and marketing strategy, and the strategic response and direction toward the vitalization of region and the sense of regional place were set. The method of place recognition as the identity through the rootage of place and the space of flow is a selective position, which the developing subject must do first. It could be a vague starting point, but it could become the basic start that can consider individual’s individuality and singularity while being aware of capitalism that dominates the modern society as the specific universal. Place marketing is used as a strategic tool from such planning step, and it has self-identity that connotes the place itself to be a purpose. It has a limit to consider the entire classes of interest in the urban area, but it is the time to have regional and urban discussions based on the place that reflects the interests of the entire classes in the physical and economical combinations of the society. 장소마케팅은 장소에 대한 경영학적 분석을 통한 노력이다. 장소를 판매, 마케팅하기 위한 기술적 전략은 효율적 프로세스를 통한 이익 극대화와 부동산으로서의 장소 가치를 상승시키며, 개발사업의 새로운 전략 수단으로 인식되어 왔다. 도시 거버넌스(governance)는 지역과 도시의 신자유주의적 독자적인 발전, 개발방식 도모의 부담과 함께 지방자치단체의 역할, 책임이 증대됨에 따라 출현하게 되었고 장소마케팅을 활용한 도시지역의 경쟁은 제로섬게임(zero-sum game)의 딜레마와 함께 도시지역들의 선점을 위한 시도를 계속 진행 중이다. 이러한 도시개발 구조는 도시와 지역을 형성하는 요소들의 갈등관계에서 발생, 노출되었고 자본주의적 지리불균형 발전에 대한 해결 보다는, 지역 내의 원만한 사업추진 방안과 장소의 효율성 극대화를 통한 지역발전에 초점을 두고 있다. 문제점은 이러한 개발구조에서 발생되는 지역 이질감, 공동체의식의 결핍과 거대 자본주의의 독식으로 획일적 도시경관과 지가 상승으로 인한 지역 이탈과 경제인구 변동에 따른 불안정한 사회구조 등에서 찾을 수 있다. 부동산개발의 목적이 지가 상승에 국한된다면, 지역 발전에 대한 이해와 책임에서 묵언 할 수밖에 없는 도구적 건설행위에 불가하게 된다. 그러나 토지와 부동산이 장소의 범주에서, 공간과 시간의 결합으로 역사와 지리, 경제와 문화를 포괄하는 복합적 공간개발의 물리적 기반이 된다면 장소(성)의 의미를 재정립하고 지역발전에 가담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공공용지 활용에 대한 부동산 개발은 장소에 대한 특수성과 공공성을 이해, 확보하여 지역의 기반시설과 주민편익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공공용지와 사유지의 용도에 따른, 장소마케팅의 목적과 수립 방법을 구분하고 토지 성격에 부합하는 단계별 프로세스에 대해 재정립하여야 한다. 먼저, 장소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과 마케팅의 경영학적 기법의 조합인 장소마케팅의 성격을 세분화하여, 장소성과 정체성, 기업주의 방식의 전략체계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공공용지 개발에서 장소마케팅의 역할은 개발의 패러다임과 공간의 정치경제학적 접근에서 함의를 가진다. 공공용지를 활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은 홍대지역의 사례를 바탕으로 재정립하였다. 개발사례의 문제점과 방향에 대한 보완점 제시는 장소전략과 마케팅전략으로 분류하여 세분화하고, 지역의 활성화와 지역 장소성에 대한 전략적 대응과 방향을 설정하였다. 장소의 뿌리내림을 통한 정체성과 흐름의 공간으로서 장소 인지방법은 개발 주체가 선행되어야 할 선택적 입장이다. 모호한 출발점이 될 수 있지만, 구체적 보편자로서 현대사회를 지배하고 있는 자본주의의를 의식하며 개개인의 개별성과 특이성을 함께 고려할 수 있는 기초적 출발이 될 수 있다. 장소마케팅은 이러한 기획단계에서부터 전략적 도구로 활용되며, 그 자체가 목적이 될 장소를 내포하는 자기동일성을 가진다. 도시지역의 이해 계층을 모두 고려하기에는 한계를 가지지만, 사회의 물리적, 경제적 결합에서 모든 계층의 이해를 반영한 장소를 기반으로 한 지역과 도시담론이 필요한 시점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