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캠퍼스 에너지 효율화 방안 연구 : 혼합적 연구방법론 중심으로

        이문범 호서대학교 기술경영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71

        최근,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소비량이 이슈가 되고 있다. 대학은 백화점 등과 더불어 에너지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에너지사용군으로 조사되었다(대학뉴스, 2019). 특히 2018년까지 7년 연속 서울시 에너지 최다 소비 건물로 서울대학교가 1위를 차지할 정도로 대학 캠퍼스가 에너지 소비 절감의 핵심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소비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과 입주기업이 함께 고민하는「전력 에너지 절감」을 연구목표로 설정하고 이에 관한 정책적 연구와 데이터 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문제의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 적용된 혼합연구방법론은 정량적 방법과 정성적 방법을사용하면서 각 연구의 장점을 취하고 약점은 보완하기 위해 시도되는 연구 방법이다. 대학 캠퍼스의 에너지 소비효율 향상과 비용 절감을 위한 정책적 측면의 연구로서 첫째, 신속한 의사 결정 및 캠퍼스 에너지 소비에 대한평가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대학의 자체 전담 조직 등을 담아내는 제도연구와, 둘째, 그린 캠퍼스 등에 대한 산학협력단 차원의 정책 참여 및 전담 예산 편성 등의 정책 재정 수립연구, 셋째, 관련 정보의 데이터베이스화를 포함한 프로파일링 등을 통한 에너지 소비량에 대한 정확한 데이터 및 에너지 저감의 방해요인을 찾고 이를 제거하는 모델링 구축 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정량적 연구로서는, 본 논문에서는 호서대학교 산학협력의 일환으로 사례기업을 선정하고 자료 수집, 데이터 전처리, 최적화 알고리즘 선정,분석 및 결론을 통하여 최적의 알고리즘을 선정하고, 어떤 개선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지 검증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3가지 분석알고리즘(SVR, LSTM, C-LSTM)에 대한 모형의 검정력에서 가장 큰 신뢰도를 보인 SVR 알고리즘을 적용한 예측분석으로 분당, 시간당 전력 소비 추세 곡선을 확인하였고, 에너지 과소비 특이점을 확인하였다. 추가로 시행된 하위센서 분석을 통하여 더 정밀하게 건물 단위가 아닌 설비시설에 단위의 에너지 다소비 특이점을 파악하였다. 이를 통하여 본 논문은 캠퍼스 전력 사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시스템 구축 모델을 제시하고 구체적으로 이를 구현할 데이터 센터와 모델을 확대 적용하였다. 더 나아가 모바일 어플리케이션과 IoT하드웨어 접목 연구로 그 영역의 확장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학교 당국과 입주 기업들에게 데이터 기반의 현장 문제 해결을 지속적으로 해나가고자 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해결방안을 제공할 것이다.

      • 대학내 기념관 건축에 관한 연구 : 호서대학교 장영실 기념관을 중심으로

        오영숙 호서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re recently have been founded the new colleges that surpassed the spatially and temporally limited concepts of traditional colleges. The roles of colleges as well have been broaden from just education and studies to their connection and cooperation with industries. This trends force them to change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to the basic infrastructures for industrial development. Their features, hence, have become various and complex. In this process, lots of memorial buildings within many colleges have been being constructed. However, the skepticism on the construction of these multi-functional memorial buildings is arising. The skeptics argue that the enormous amount of money expend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se buildings can be wasted on account of the lack of systemized operational programs. I hereby analyzed the current situations, facilities and operational programs of these memorial buildings in colleges and suggested my opinion on the appropriate way to construct 'Jang young-sil memorial' in 'Hoseo University'. The outcome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ly, It can be classified as 'person oriented' and 'fact oriented' memorial buildings. And the location of the memorial buildings in campus is influencd by the establishing purposes. Secondly, the memorial buildings have been constructed in recent are composed of various facility program, and especially research support program occupies great importances. Thirdly, the management program is important which can make self-profit model in financial aspects. And local demand based management program will make strong relationship with local area and the memorial buildings in campus. As a results of these study, the new design model of memorial building in campus is proposed.

      • 산학협력촉진법상 산학연협력 기술지주회사 제도에 관한 연구

        한규일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55

        Universities are socially demanding university-led companies that allow companies to have global competitiveness and lead the stabilization of the corporate ecosystem through open innovation (open innovation). In the past, the government included the promotion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n the purpose of the law through the revision of the Industrial Education Promotion and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romotion Act in 2003 in the promotion of industrial education necessary for fostering industrial manpower. Accordingly, the government revised the Act on December 21, 2007 to allow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o establish and operat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to spread technology and knowledge to local industries, and expanded the scope of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on July 25, 2011. Through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universities are attempting a virtuous cycle structure through the production of innovative talent by achieving research-based commercialization promotion and commercialization in the role of fostering manpower that they have been pursued. Accordingly, this thesis will investigate the issues of technology transfer owned by universities and the limitations of holding companies that are small and medium-sized corporations in the start-up period and requirements for establishing holding companies under the Commercial Act. problems with investment in kind, problems with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terms commonly used under individual laws, structural problems with the governance structure of technology holding companies and the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group's business support system, and timing of technology evaluation and inventor compensation.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laws related to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I will focus on fostering local industries and present development measures such as supplementing the legal system.

      • 대학 로고디자인의 감성요소를 통한 브랜드 인지도 향상 연구 : 중국 ‘985프로젝트’대학교를 중심으로

        펑윈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55

        대학교 브랜드 이미지의 핵심 요소인 대학교 로고는 대학 문화 형성의 발전을 촉진하고 대외 전시의 중요한 창구이며, 대학의 브랜드 이미지 및 홍보에 큰 역할을 한다. 또한 대학교 로고는 대학 브랜드 문화를 더욱 부각하고 브랜드 가치를 구현하여 향상시키며 시장 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이는 충분히 연구할 가치가 있는 문제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 디자인의 감성 요소 분석과 구체적인 실증방법을 통해 중국 대학교 로고 이미지 감성 디자인 요소의 적용을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대학의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여, 우수한 재인성, 기억력, 예술성을 갖춘 디자인 방법론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제1장에서 연구 배경과 목적과 함께 연구 문제를 제시하고, 연구 대상과 연구 방법을 선정하며, 선행 연구를 통해 연구의 차이점과 필요성을 고찰하였다. 제2장에서 ‘중국 대학교 로고’, ‘감성 디자인’, ‘브랜드 인식’, ‘소비자 지식수준’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진행하였고, 특히 이론 연구를 통해 연구 모델을 도출하였다. 제3장에서 985프로젝트’의 39개 대학교 로고에서 시각적 기호를 추출하고 분류한 후 사례 분석 대상으로 하여 감성 디자인의 본능 측면, 행동 측면, 반성 측면과 브랜드 인지의 브랜드 기억, 브랜드 재인, 대중의 지식수준 등에 대한 디자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4장에서 연구 모델과 사례 분석의 결론에 따라 가설을 제시하고 실증 분석 설문지를 설계하였다. 제5장에서 설문지 설문스타를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SPSS 데이터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설문지 데이터에 대한 실증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제6장에서 실증 분석을 근거로 가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첫째, 중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 디자인은 감성 디자인 요소에 융합되어 브랜드의 관련 속성에 대한 대중의 연상을 적절히 유발하여 대중의 감성적 공감을 불러일으켜 대중이 대학교 이미지를 더욱 신속하게 이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를 빠르게 기억하고 재인식하며, 이를 통해 브랜드 인식을 더욱 심화시킬 수 있다. 둘째,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감성 디자인 요소와 브랜드 인지 관계는 대중의 지식수준에 따라 결과가 달라지며, 이는 주로 대학교에 대한 대중의 친숙도에서 나타난다. 따라서 대학교는 브랜드 인지도를 더욱 적절히 향상시키기 위해 감성 디자인을 브랜드 로고 디자인에 융합하며, 대학교 브랜드 문화의 집약적이고 효과적인 전파에 중점을 두는 동시에 대학교는 자체 건설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며고 교수 및 과학 연구 수준을 향상시키며, 특색을 집약하고 핵심 우위 학과를 만드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발전 방법이다. 셋째,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디자인 요소에 대한 현황 분석에 따르면 중국 대학교의 로고 디자인에 핵심적인 디자인 요소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이는 우선 높은 재인성을 가진 텍스트에 의한 중국어 학교명, 영어 학교명, 개교 시간으로 나타난다. 그다음 학교 운영 이념, 학과 특색, 역사 연혁, 지역 특색 등 문화적 의미를 추출하여 표현한 그래픽 기호이다. 마지막으로 학교의 특색을 대표하는 색채요소이다. 넷째, 도널드 아서 노먼의( Donald Arthur Norman) 감성 디자인 이념은 디자이너에게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조사 대상 395명 중 18-30세 참여율이 최고 65.8%이며, 대학교 로고가 나타나는 장소인 ‘입시 관련 자료 사이트’에 대한 관심도가 가장 높았다. 따라서 로고 디자이너로서의 디자이너는 이 연령대의 감성적 니즈와 함께 자료 인쇄 및 웹사이트 게시와 같은 상호작용적이고 흥미로운 행동 수준에서 로고의 감성적 공감을 충분히 고려해야 한다. 다섯째, 브랜드 로고의 그래픽 기호, 텍스트 기호, 컬러 기호의 선호도 관점에서 볼 때 응답자는 그래픽 기호> 텍스트 기호> 컬러 기호 순으로 감성 공감을 형성한다. 또한 그래픽 기호에서 선호도는 건축 그래픽> 동물 그래픽> 식물 그래픽> 인물 그래픽> 산천 그래픽> 기타 형상 순으로 나타났다. 텍스트 기호 선호도는 중국어 학교명> 학교명 약칭> 개교 시간> 학교 교훈> 영어 명칭 순이었다. 컬러 기호 선호도는 빨간색> 파란색> 두 가지 이상의 색> 기타 단색 순이었으며, 위 결과는 디자이너에게 효과적인 디자인 방법론을 제공할 수 있다. 결국 대학교 브랜드 로고의 감성 디자인 구축은 대학 이미지와 브랜드 인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매개체로써 대학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는 매우 중요한 감성 디자인 전략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연구가 향후 중국 대학교의 브랜드 로고 디자인 마케팅 전략에 일조하기를 기대한다. As the core element of the brand logo of a university, the brand logo of a university promotes the development of the cultural construction of a university. It is an important window for a university to display externally and plays a huge role in the brand logo and brand communication of a university. How to better highlight the brand culture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through the brand logo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highlight and enhance brand value, and then establish a good brand logo and improve market competitiveness has become a problem worth studying. Therefore, based on this problem,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emotional design of Chinese university brand logos, specifically studies the impact of the application of Chinese university school logo image emotional design elements on university brand cognition through empirical methods. The design structure of nature and artistry provides inspiration for the construction of the brand logo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the future. Chapter 1, first of all, present the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raise research questions, select research subjects and research methods, and find the differences and necessity of research through previous studies. Chapter 2, theoretica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University of China logo', 'emotional design', 'brand recognition', and 'consumer knowledge level'. A research model was derived through theoretical research. Chapter 3, '985 Project' extracted and classified visual symbols from 39 university logos, and conducted design analysis in terms of emotional design instinct, behavior, reflection, brand memory, brand recognition, and public knowledge. Chapter 4, hypotheses were presented and empirical analysis questionnaires were designed according to the conclusions of the research model and case analysis. Chapter 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hrough questionnaire survey stars, and empirical analysis of questionnaire data was conducted using SPSS data software. Chapter 6, the hypothesis is verified and concluded based on empirical analysis. First, Chinese university brand logo design can be fused with emotional design elements to attract the public's association with brand-related attributes and arouse public emotional empathy, allowing the public to understand the university image more quickly. It can also quickly remember and re-sign brands, and deepen brand awareness. Second, the results differ according to the level of public knowledge in the brand logo emotional design element and brand cognitive relationship of Chinese universities. It mainly appears in public familiarity with universities. Therefore, the most effective way to develop is to integrate emotional design into brand logo design to improve brand awareness and to focus on intensive and effective dissemination of university brand culture, while universities pay more attention to their own construction, improve teaching and scientific research levels, and focus on features and create core advantages. Thir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current status of brand logo design elements at Chinese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reflect key design elements in logo design at Chinese universities. First of all, it is a text with high re-personality and appears as a Chinese school name, an English school name, and an opening time. Next, it is a graphic symbol that shows and extracts cultural meanings such as school management ideology, department characteristics, history histor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Finally, it is a color element that represen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Fourth, Donald Arthur Norman's emotional design ideology has a very important impact on designers. Of the 395 surveyed, participation rates between the ages of 18 and 30 were up to 65.8%, the most interested in "admission-related materials and sites," a place with university logos. Therefore, designers as logo designers had to fully consider the emotional needs of this age group as well as the emotional empathy of the logo at the level of interactive and interesting behavior such as printing materials and posting websites. Fifth,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ference of graphic symbols, text symbols, and color symbols of the brand logo, respondents form emotional empathy in the order of graphic symbols > text symbols > color symbols. In graphic symbols, preferences are in order of architectural graphics > animal graphics > plant graphics > human graphics > mountainous graphics > other features. The preference for text symbols is in the order of Chinese school name > abbreviation of school name > school opening time > school lesson > English name. Color symbol preferences are in order of red > blue > two or more colors > other monochrome. Through the above results, effective reference materials can be provided to designers. In the end, the establishment of the emotional design of the university brand logo is a very important emotional design strategy that improves the university brand image as an important medium that affects the university image and brand awarenes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be a reference to the brand logo design marketing strategy of Chinese universities in the future.

      •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연구

        한진위안 호서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한국어 특징 가운데 하나는 높임법이 정교하게 발달한 언어라는 것이다. 그리하여 외국인이 한국어를 학습할 때에 어려움을 겪는 문법 범주 가운데 한 가지가 높임법이라고 한다. 한국어의 높임법을 모르면 한국어로 의사소통을 원만히 하기 어려울 정도로 높임법이 한국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대단히 크다. 본 논문은 한국어의 가장 큰 특징적인 높임법을 연구 대상으로 삼고 중국어권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구성을 조사, 특성을 분석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효과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본 논문의 내용을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1장에서 본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살펴본 후, 연구 대상을 제시한다. 2장에서는 한국어 높임법에 관하여 이론적으로 검토 분석한다. 우선 한국어 높임법의 개념과 기능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한국어 높임법 실현 양상을 문법 형태와 어휘 형태에 의한 높임 표현으로 나누어 분석한 뒤, 한국어 높임 표현의 요인을 상하 관계, 친소 관계, 공식성으로 살펴보았다. 3장은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교육 내용 분석이다. 이 장의 구성은 크게 3분야로 나뉜다. 첫째, 한국어 교재 높임법의 현황이다. 이 절에서 먼저 대상 교재와 분석 방법을 설명한 후,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구현 양상에 대해 분석한다. 둘째, 한국어의 높임법은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높임법을 중심으로 고찰한다. 한국어 교재 대화 텍스트의 높임법에 대하여 다루고 있는 내용을 주체 높임법 표현, 상대 높임법 표현, 어휘적 높임 표현 등을 포함하여 고찰해 본다. 이러한 논의 후에 한국어 교재에 존재한 높임법의 문제점과 한국어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문제점들을 고찰하였다. 또한 주체 높임법 선어말 어미 ‘-시-’와 관련한 교육 내용을 1) 주체 높임 선어말 어미 ‘-시-’의 존대 대상과 기능, 2) 주체 높임과 간접 높임의 제시 현황, 3) 청자 또는 상황 주체 높임의 제시 현황, 4) ‘-시-’의 중복 표현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상대 높임법에 대해 사회언어학적 측면을 고려하여 아래 다섯 가지를 중심으로 논의하였다. 1)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상대 높임법 양상, 2)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사회적 관계, 3) 화자와 청자 간에 사용된 상대 높임 양상, 4)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호칭 현황, 5) 호칭과 상대 높임법의 공기 관계에 대해 분석하였다. 한편, 어휘적 높임법 사용에 대해 겸양 어휘와 존대 어휘 등의 항목으로 나누어 교재에 나타난 어휘적 높임법 요소를 어떻게 사용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논의 후에 한국어 교재에 존재한 높임법의 문제점과 한국어 교재의 대화 텍스트에 나타난 부적절성을 발견했음을 알 수 있다. 4장에서는 앞서 3장에서 논의된 한·중 양국의 주요 대표적인 한국어 교재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중국어권 학습자용 한국어 교재의 높임법 개선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학습자들이 높임법의 특성을 정확히 알고 이를 실제 의사소통 상황에서 적절히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 높임법 교육 내용의 개선 방안과 대화 텍스트의 개선 방안을 설정하고 그 구체적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5장의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주요어: 한국어교재, 높임법, 주체 높임법, 상대 높임법, 존대 어휘, 겸양 어휘, 사회언어학, 의사소통능력, 대화 텍스트, 사회적 관계, 화 계, 호칭, 공기 관계, 개선 방안.

      • 중국 대학 피아노 교육에서 중국 작품의 활용 양상 : 학생과 교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정웨이 호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39

        중국 대학 피아노 교육에서 중국 작품의 활용 양상 - 학생과 교사에 대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호서대학교대학원 문화예술학과 박사과정 정웨이 지도교수: 권도희 본 연구에서는 중국 민족음악 교육사를 검토하고 중국 피아노 교재 분석과 학생 및 교강사의 설문조사를 통해, 중국 대학 피아노 교육에서 의 중국 작품의 활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중국 피아노 교육의 발전 과정을 민국시대(1912-1949), 신중국 건국 초기(1949-1966), 문화대혁명 시대(1966-1976), 개혁개방부터 20세기 말 (1978-2000), 최근(2000-)의 다섯 시기로 구분하여, 민족음악 교육의 발 전과 함께 중국 피아노 음악교육이 서양식 피아노 교육에서 점차 중국 본토의 피아노 교육으로 변화한 것을 파악하였다. 다만 대부분의 교재 에는 중국식 피아노 작품은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보여, 학생들의 피아노 학습 수요를 충족시키기에는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민국시대는 민족화에 대한 탐구가 중요시되어 중국의 민속음악이나 전통음악을 도입한 중국식 피아노 작품이 다수 창작되었다. 신중국 건국 초기에 중국식 피아노 작품 창작은 민족화와 관련하여 큰 성과를 거두었으나, 문화대혁명기에 문화예술 사업이 큰 충격을 받으면서 중국 식 피아노 창작도 침 제된다. 개혁개방 초기부터 20세기에 이르러 교 육이 회복되면서 중국식 피아노 작품의 창작 수도 증가하고, 소수민족 음악이 피아노 창작의 민족화에 중요한 자원으로 사용되었으며, 최근 동안에는 강한 지역적 특성과 민족적 특성을 가진 피아노 작품이 다수 창작되었다. 300명의 대학 음악 전공생과 30명의 대학 피아노 교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중국식 피아노 교육에 관한 현 황을 파악했다. 학생들은 중국식 피아노 작품을 학교 수업에서 배우기를 희망하고 있었으며, 교강사들은 피아노 교육에서 중국식 작품의 비 중이 상대적으로 적고 수업 시간에 교육의 수요를 충족시키기 어렵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러한 문제점과 교육 현장의 요구에 따라 중국식 피아노 작품 과정 시스템을 설계하고 피아노 이론 과정과 피아노 실기 과정을 결합한 중 국식 피아노 작품 학습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중국식 피아노 작품을 교육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그 방안을 제안했다. 중국 대학 피아노 전공의 교육 목표에 맞추어 중국식 피아노 작품의 교육 과정 계획 및 평가 시스템을 설계했는데, 이는 중국 대학 피아노 교육에서의 효율적 활용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summarizes the history of Chinese folk music education, analyzes the Chinese piano teaching materials, and discusses the application of Chinese works in Chinese university piano education. The development course of piano education in China is divided into five periods: Republic of China (1912-1949), New China (1949-1966), Cultural Revolution (1966-1976), Reform and Opening up to the end of 20th century (1978-2000).However, in most textbooks, the proportion of Chinese piano works is relatively low, which cannot meet the needs of students to learn piano.During the Republic of China, the exploration of nationalization was emphasized, and many Chinese-style piano works introduced Chinese folk music or traditional music were created.In the early days of the founding of New China, the creation of Chinese piano works made great achievements in nationalization, but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the cause of culture and arts was greatly shocked and the creation of Chinese piano was suppressed. From the beginning of reform and opening up to the 20th century, with the recovery of education, the number of Chinese piano works has increased. A questionnaire survey of 300 music students and 30 piano teacher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actual teaching situation of Chinese piano teaching.Students want to learn Chinese piano works in the school classroom, and the teaching staff think that the proportion of Chinese piano works in piano education is relatively small, and classroom teaching is difficult to meet the teaching needs. According to these problems and the requirements of the educational field, it is possible to design a Chinese-style piano work curriculum system and grasp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 Chinese-style piano work learning program combining piano theory and piano practice. In response, he suggested how to use Chinese piano works in education. Aiming at the teaching goal of piano major in Chinese universities, this paper designs a training course planning and evaluation system for piano works in Chinese universities. 本研究對中國民族音樂教育史進行了綜述,通過對中國鋼琴教材的分析和學生和教研人員的問卷調查,探討了中國作品在中國大學鋼琴教育中的應用現狀。 將中國鋼琴教育的發展歷程分爲民國時期(1912—1949)、新中國成立初期(1949—1966)、文化大革命時期(1966—1976)、改革開放到 20 世紀末(1978—2000)和新世紀(2000—)五個時期,隨着民族音樂教育的發展,瞭解到中國鋼琴音樂教育逐漸由西式鋼琴教育向中國本土鋼琴教育轉變。但在大部分教材中,中式鋼琴作品所佔比重相對較低,不能滿足學生學習鋼琴的需求。民國時代重視對民族化的探索,創作了很多引進中國民俗音樂或傳統音樂的中國式鋼琴作品。新中國成立初期,中式鋼琴作品創作在民族化方面取得了巨大成果,但在文化大革命時期,文化藝術事業受到巨大沖擊,中式鋼琴創作也受到壓制。從改革開放初期到 20 世紀,隨着教育的恢復,中式鋼琴作品的創作數量也不斷增加,少數民族音樂作爲鋼琴創作的民族化的重要資源,在新世紀中創作了一大批具有強烈地域特點和民族特色的鋼琴作品。 對 300 名高校音樂專業學生和 30 名高校鋼琴教師進行問卷調查,瞭解中式鋼琴教學的實際教學情況。學生希望在學校課堂上學習中式鋼琴作品,教研人員認爲中式鋼琴作品在鋼琴教育中的比重相對較小,課堂教學難以滿足教學需求。 根據這些問題和教育現場的要求,可以設計中國式鋼琴作品課程系統,掌握開發結合鋼琴理論課程和鋼琴實踐課程的中國式鋼琴作品學習項目的必要性。對此,提出了如何在教育中利用中國式鋼琴作品的方案。針對中國大學鋼琴專業的教學目標,設計了中式鋼琴作品培訓課程規劃及評價體系,有望在中國大學鋼琴教育中得到有效利用。

      • 중국 예비 초등학교 전과목교사의 미술 교육과정과 미술교과 인식 분석 연구 : 허난성 7개 사범대학교를 중심으로

        자오홍싱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중국의 초등학교 전과목교사 양성대학의 미술 관련 프로그램 운영과 예비교사 역량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서 미술 관련 프로그램 설치 및 운영 실태를 조사하였으며, 미술 프로그램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인지와 지도역량의 정도를 비교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 예비 초등학교 전과목교사의 미술교육과정을 개선하고 예비교사의 초등학교 미술교수 및 지도역량을 강화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중부지역 허난성의 7개 양성대학의 4학년 예비교사 9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양성대학별로 4명씩 총 28명의 학생을 정성연구 참여자로 선정해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초등학교 전과목 양성대학의 과정은 각 양성대학의 졸업학점 차이가 크지 않으며, 졸업할 시수가 상대적으로 많지만 미술 관련 과목의 종류, 학점, 수업 시수가 모두 극히 제한되어 있거나 부족하다. 따라서 기본 학점, 수업 시수, 보충과정, 심화과정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미술과목 수업 공간과 전문적인 지도가 부족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미술 관련 과목에 전문적인 실무 장소와 일부 도구 재료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심사와 평가는 과정성 심사를 더 중시하고 평가와 심사방식을 다양화하고 미술교수실천의 기회와 횟수를 보장하여야 한다. 둘째, 미술교과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관심도는 10과목 중 6위로 중하위권이었다. 이를 위해 대학의 교수들은 예비교사의 미술교과과정에 대한 인식과 자신감을 고취시키고, 예비교사의 학습흥미를 고취시키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으며, 교수 스스로도 시대에 맞게 다양한 교수방법을 모색하고 수준 낮은 학습자에게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미술교과의 중요도에 대해 10과목 중 9번째로 인식도가 낮았다. 대학의 교수자는 예비교사들이 미술교과에 대한 새롭고 포괄적인 인식을 갖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으며, 전 과목 교원자격 인정 미술 관련 내용의 개혁과 보완, 초등학교에서 미술 관련 내용의 수요 등 예비교사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넷째, 미술 관련 수업에 대한 예비 교사들의 만족도는 10과목 중 8위로 매우 낮았다. 대학의 교사 양성은 이론 감상 등의 교과과정을 특별히 보장하고, 미술의 필수과목을 강화하며, 선택과목과 필수과목을 효과적으로 연계시킬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론과 실천 과정이 긴밀하게 결합된 여러 교과 융합 교과 수업을 개설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미술교과 지도역량의 정도는 10과목 중 9위로 극히 낮았다. 양성대학의 교수자들은 예비교사의 미술 관련 지식 부재와 부족함을 보완하고 실습과 훈련 등을 통해 교수방법을 향상시키며, 미술교안, 모의수업 연습 기회를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rt-related programs and pre-service teachers to further strengthen the capabilities of art-related programs in China's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college and compared the degree of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and guidance cap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the art curriculum of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China and to strengthen the art teaching and guidance capabilities of pre-primar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on 943 fourth-grade pre-service teachers at seven training universities in Henan Province in central China. A total of 28 students, 4 for each training university,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in qualitative research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urse of the Chinese elementary school's whole course training college does not differ significantly in graduation credits, and the number of hours to graduate is relatively high, but the types of art-related subjects, credits, and classes are all extremely limited or insuffici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basic credits, number of classes, supplementary courses, and advanced courses. There is a lack of art class space and professional guidance. To do so,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rofessional working place and some tool materials for art-related subjects. The examination and evaluation should be more important, the evaluation and evaluation method should be diversified, and the opportunity and number of the practice of art professors should be guaranteed. Second, preliminary teachers' interest in art subjects was 6th out of 10 subjects, which was in the middle and lower ranks. To this end, university professors need to try to inspire pre-service teachers' awareness and confidence in the art curriculum, inspire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in learning, and find various teaching methods according to the times, and pay special attention to low-quality learners. Third, pre-service teachers had the 9th lowest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art subjects out of 10 subjects. University instructors need to try to have a new and comprehensive perception of art subjects and to make sure that pre-service teachers are interested, such as reform and supplementation of art-related content recognized as teachers in all subjects and demand for art-related content in elementary schools. Fourth, the satisfaction of pre-service teachers with art-related classes was very low, ranking 8th out of 10 subjects. It is necessary to specifically guarantee the curriculum such as appreciation of theory, strengthen the essential subjects of art, and effectively link elective subjects with essential subject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pen several curriculum convergence curriculums that closely combine theory and practice processes. Fifth, the degree of art subject guidance competency that pre-service teachers think was extremely low, ranking 9th out of 10 subjects. Instructors at the training university should compensate for the lack and lack of art-related knowledge of pre-service teachers, improve teaching methods through practice and training, and provide art teaching and simulation class practice opportunities.

      • 대학생의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지연 간의 구조적 관계

        리샹린 호서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지연은 인구학적 변수(성, 나이, 전공)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지연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업지연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넷째, 완벽주의가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다섯째, 시간관리 성향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중국 호남 문리대 대학생 1020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다. 완벽주의 척도는 높은 기준, 질서, 차이성 3개의 하위요인으로 총 22문항, 시간관리 성향은 시간적 가치감, 시간 모니터링, 시간적 효능감 3개의 하위요인 44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는 학습능력, 학습행동 2개의 하위요인으로 22문항, 학업지연 척도는 보고서 작성, 시험공부, 매주 읽기 과제, 학교행정처리, 교수 면담 5개의 하위 요인으로 총 15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자료는 SPSS 26.0와 SMART PLS3.0, AMOS 25.0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완벽주의와 시간관리 성향은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연은 여학생보다 남학생이 높았다. 완벽주의는 대학 3학년이 가장 높았고 1학년은 가장 낮았다. 시간관리 성향 중 시간적 가치감과 시간 모니터링에서 대학 4학년생이 가장 높았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2, 3학년 점수가 가장 낮았다. 학업 지연은 대학 2학년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연에서 예체능 및 이공계열은 인문이나 자연계열보다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둘째, 적응적 완벽주의(r=-.199~-.328, p<.001), 시간관리 성향(r=-.005~-.121, p<.01) 학업적 자기효능감(r=-.196~-.354, p<.001)과 학업지연은 부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r=.074~.098, p<.01), 시간관리 성향(r=.080~.248, p<.01) 간에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었다.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지연는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r=.213~.335, p<.01)이 나타났고,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학업적 자기효능감(r=-.089~-.098, p<.01), 시간관리 성향(r=-.081~-.169, p<.01) 간에는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었다. 셋째, 적응적 완벽주의(높은 기준, 질서)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영향(β=.59, p<.001)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학업지연에는 부적으로 영향(β=-.66,p<.001)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적응적 완벽주의(차이성)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부적으로 영향(β=-.65,p<.01)을 주며, 학업지연에는 정적으로 영향(β=.70, p<.01)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성향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으로 영향(β=.71, p<.001)을 미쳤고, 시간관리 성향(β=-.62, p<.05), 학업적 자기효능감(β=-.68, p<.001)은 학업지연에 부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적응적 완벽주의가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적 완벽주의의 하위요인(높은 기준, 질서)에서도 부분 매개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부적응적 완벽주의(차이성)가 학업지연에 대한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뚜렷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성향과 하위요인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하위요인들은 부분 매개효과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간관리 성향과 하위요인(시간 모니터링, 시간적 효능감)이 학업지연에 미치는 영향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요인인 학습행위에서는 완전 매개효과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완벽주의, 시간관리 성향,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지연에 대해 구조모형 검증을 통해 대학생의 학업지연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 탐색해 보았다. 대학생들의 완벽주의 특성과 시간관리 수준에 맞춰 학업적 자기효능 향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활용함으로써 부정적 완벽주의를 낮출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 지연 행위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고, 교육 장면이나 상담 장면에서 지속적으로 응용되는 기법과 프로그램 개발 등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