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자원봉사자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관여도, 만족도, 직무충실도 간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이영춘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591

        국문초록 자원봉사자를 위한 재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 관여도, 만족도 및 직무충실도 간의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 본 연구는 자원봉사자의 봉사활동지속을 위해 재교육프로그램이 미치는 영향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는데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동기유발, 대인관계 기술, 문제해결 능력은 재교육 프로그램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사회적 책임감, 사회적 활동,개인적 생활, 자아실현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충실도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가 사회적 책임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책임감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동기유발, 대인관계 기술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가 사회적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4.3%이고, 회귀분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활동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대인관계 기술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가 개인적 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0.8%이고, 자원봉사자의 개인적 생활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대인관계 기술,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가 자아실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44.8%이고, 자원봉사자의 자아실현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동기유발, 대인관계 기술,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가 직무충실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결과 회귀모형의 설명력은 38.7%이고, 자원봉사자의 조직충실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재교육 프로그램 관여도의 하위요인별 대인관계 기술, 문제해결 능력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자원봉사자의 직무충실도의 향상을 위해서는 만족도의 하위요인별 사회적 책임감, 개인적 생활, 자아실현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자원봉사에 참여하고 있는 자원봉사자들은 재교육에 대한 관여도와 만족도가 높을수록 높은 직무충실도가 있으며, 조직에 대한 존중감과 지속적 봉사의도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들이 인지하는 재교육의 필요성과 만족도와 그에 따른 관여도가 직무충실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결론지었다. 자원봉사활동을 더욱 체계적으로 개인 성향에 맞도록 개발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을 하며 재교육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원봉사자가 원하는 활동을 배울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자원봉사활동이 민간운동으로 전개하고 지속적 봉사활동을 위하여 자원봉사자들에게 기초교육을 실시하고 전문적인 재교육을 활성화하여 전문화되고, 계획적인 자원봉사자가 많이 양성되도록 재교육 프로그램은 반드시 필요하다고 제언 하는 바 이다.

      • 어머니의 아동기경험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장영심 한북대학교 생활문화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591

        Abstract The Influences of a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n Parenting Attitude Chang Young Sim Major in Psycho Therapy and Counseling For Children Dept. of Child and Family Studies Graduate School of Human Life and Culture Science Hanbuk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and to find out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these factors on parenting attitude. Study subjects were 221 mothers with children attending nurseries and kindergartens in the northen Gyeonggi area. In order to measure the childhood experience of the mothers, Epstein's(1983) Mother-Father-Peer Scale (MFPS) later modified by Jeon Hyun Jin's research(1996) was used, and in order to measure the parental role satisfaction, Lee Min Ja's(2008) measurement tool which is a modification of the tool developed by Hyun On Kang and Jo Bok Hee(1994) was used, and for measuring the parenting attitude, Choi Hee Jun's(2004)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of Lee Won Young's(1983) adaptation of the basis of Schaefer's(1959) MBRI(Marher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was used. For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he SPSS 19.0 program was used to calculate the technical statistics of each variable, and in order to find out the correlation between each variables and the power of explanation, Pearson's product-moment correlation analysis and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as a result of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a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and parenting attitude, the level of encouraging independence against over-protectiveness and the level of acceptance against refusal, which are sub factors of a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All sub factors of a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Supporting the spous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and no parental role conflicts which are sub factors of a mother's parental role satisfactio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and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Supporting children showed positive relationships with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as well as statistical parenting attitude, and negative correlations with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Secondly, the relative effects of a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and parental role satisfaction on parenting attitude was looked at. The variables with the greatest effectiveness on affective parenting attitude were in the order of general satisfaction, parent-children relationships, supporting children, and level of acceptance against refusal. The variables with the greatest effectiveness on rejective parenting attitude was shown to be no parent role conflicts, followed by parent-children relationships. The variables with the greatest effectiveness on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 were in the order of parent-children relationships, level of encouraging independence against over-protectiveness, level of acceptance against refusal, and supporting children. The variables with the greatest effectiveness on statistical parenting attitude were in the order of supporting children, no parent role conflicts, and parent-children relationships. Recently, the interests on the roles of various factors of the effect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young childhood experience of the parent or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influence, on parenting attitude, are increasing, and especially,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the mother's psychological environment being emphasized, this study has significance. Key words : mother's childhood experience, parental role satisfaction, parenting attitude 어머니의 아동기경험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아동기경험 및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태도간의 관계를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양육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어떤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북부에 소재해 있는 어린이집, 유치원에 다니고 있는 자녀를 둔 어머니 22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아동기경험을 측정하기 위해 Epstein(1983)의 부모-또래-척도(Mather- Father-Peer Scale: MFPS)를 전현진(1996)의 연구에서 수정한 것을 사용하였고, 부모역할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현온강․조복희(1994)가 개발한 도구를 수정한 이민자(2008)의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Schaefer(1959)의 MBRI(Marher Behavior Research Instrument)의 척도를 기초로 하여 이원영(1983)이 번안한 자료에서 최희준(2004)이 수정 보완한 것을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각 변인에 대한 기술통계치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들 간의 상관과 설명력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아동기경험 및 부모역할만족도와 양육태도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어머니의 아동기경험 하위요인인 독립성조장 대 과잉보호차원은 자율적 양육태도와 수용 대 거부차원은 애정적 양육태도와 정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아동기경험 모든 하위요인은 거부적 양육태도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어머니의 부모역할만족도의 하위요인인 배우자 지지, 부모자녀관계, 부모역할갈등 없음은 애정적 양육태도 및 자율적 양육태도와 정적 상관을, 거부적 양육태도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자녀의 지지는 애정적 양육태도 및 자율적 양육태도, 통제적 양육태도와 정적 상관을, 거부적 양육태도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어머니의 아동기경험 및 부모역할만족도가 양육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애정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일반적 만족감이었으며, 부모자녀관계, 자녀의 지지, 수용 대 거부차원 순서로 나타났다. 거부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부모역할갈등 없음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부모자녀관계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율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부모자녀관계였으며, 독립성조장 대 과잉보호 차원 , 수용 대 거부차원, 자녀의 지지 순서로 나타났다. 통제적 양육태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변인은 자녀의 지지였으며, 부모역할갈등 없음, 부모자녀관계의 순서로 나타났다. 최근 부모의 어린 시절 경험이나 심리적 특성과 같은 개인적 특성들이 양육태도에 영향을 주는 여러 요인들의 역할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고, 특히 어머니의 심리적 환경의 중요성이 보여 지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주제어 : 어머니의 아동기경험, 부모역할만족도, 양육태도

      •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배우자 역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조해선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591

        Abstract Phenomenological Study on Spouse Ro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Cho, Hae-seon Dep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and Social Welfare Hanbuk University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material for successful marriage and adaptation improvement to stable rural community as deeply examining husband and wife role and experience recognized by fema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It is ultimately to establish social support system as providing basic material for stable early adaptation of rural multicultural family wife as a rural community member, policy and system for improve quality of life and develop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rogram. This study performed quality study to examine cognition and experience as it is about wife role of fema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Specifically the results of in-depth interviews with 13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was analyz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 The summari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At first,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wife's cognition about husband role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they were 'nice and warm man', 'no special thought', 'clean and cool looking man', 'man without straitening wife', 'husband taking care of housekeeping', 'having independent family' and 'strong responsibility to children'.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did not deeply think about husband's role at international marriage, but it could be known that vague longing for rich country, Korea by Korean wave and its expectation continued to expectation on husband. Also, because of lack of prior investigation and understanding about Korea culture, it could be known that they considered own country's social mood, family and marriage culture to be existed in Korea. At second,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experience of husband role by females in rural multicultrural family, they were 'good-tempered and nice to me', 'adjust to me', 'irresponsibility and apathy', 'cannot lean to him', 'no housekeeping', 'intermediate role between his family', 'more taking care of children, parents and relatives', 'drink, gambling and violence'. The experience of husband role was little different from cognition of husband role by females in rural mulitcultural family. It could be known that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co-existed in experience of husband role cognized by females in rural mulitcultural family, At third,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cognition of wife role by females in rural multicultrural family, they were 'nice to husband', 'not full responsibility of housekeeping', 'child birth and raising', 'equal relation with husband family', 'never think about it'. They were recognizing that the wife role is to be nice to husband and birth and raise children, and they also thought that they should be nice to husband family such as well preparing basic food, clothing and shelter and traveling own country with husband's parents, etc. At fourth, as the results of analysis on experiment of wife's role by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in this study, they were 'keep staying at home', 'must adjust to Korea (husband and his family)', 'must accept husband and Korea culture', 'my responsibility of children', 'conflict with husband family', 'farming and economic activity', 'I waive more frequently'. Based on above results and discussion, this study concluded as follows. At first, as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cognition of husband role and wife role by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it could be known that most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had weak cognition on wife role of what should provide to husband as a wife but they rather thought more frequently about what kind of husband can be good or husband role expecting that he provided this to me. At second, as examining the experience difference between husband role and wife role, it was found that both husband role and wife role experienced by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is relatively big in weights on husband family. The rearing and education of children was definitely wife role and emotional interaction necessary for intimate couple relations was made. At third, as comparing the difference between experience and cognition of husband role, females considered personal,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husband and relations with herself as a wife before marriage, but after marriage in Korea, they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relations with husband family and relatives and husband role was more biased on taking care of husband family and relatives.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family range in Korea society is wider than thoughts of females in multicultural family and accordingly role of couples is more diverse. At fourth, as examining the difference between cognition and experience of wife role,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had weak cognition and did not deeply think about wife role. On the other hand, they were forced to accept husband, husband family and Korean culture as wife roles in Korea and deeply participated in farming and economic activities. Wife role showed changes with time and it was directly and indirectly forced to keep staying home, give birth and raise children and adjust to husband and husband family at early marriage. They had conflicts with husband family but showed to be gradually given up. Afterwards, they actively changed to be adapted to Korean society and showed to become attached to husband and Korean culture and accept them in mind. This study has meaning of providing basic materials for successful marriage of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and improvement of stable rural community adaptation as deeply examining the experience and cognition on wife role which is the reason for females in rural multicultural family to emigrate to Korea and the most core factor. 국 문 요 약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배우자 역할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본 연구의 목적은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이 인식하는 남편, 아내의 역할과 경험을 있는 그대로 심도 있게 탐색함으로써 성공적인 결혼생활과 안정적 농촌사회 적응능력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궁극적으로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이 농촌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안정적인 조기 정착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적 지원체계를 구축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배우자 역할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있는 그대로 살펴보기 위하여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 13명을 심층면접한 결과를 현상학적방법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착하고 따뜻한 남자’, ‘그냥 별 생각 없었음’, ‘깨끗하고 멋있게 보이는 사람’, ‘아내를 고생 안 시키는 남자’, ‘가사는 내 몫이 아닌 남편 몫’, ‘독립된 가정 꾸리기’, ‘자식에 대한 책임감이 강함’ 이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들은 국제결혼을 하면서 남편의 역할에 대해 깊이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막연하게 잘 사는 한류의 나라 한국에 대한 동경과 함께 그에 대한 기대가 남편에 대한 기대로 이어져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국의 문화에 대한 사전 조사와 이해가 부족하여 자신의 출신국에 존재하는 사회분위기 및 가족과 부부문화가 한국에도 존재할 것이라고 여기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마음이 좋고 잘 해줌’, ‘나에게 맞춤’, ‘무책임과 무관심’, ‘마음을 기댈 수 없음’, ‘집안 일 별로 안함’, ‘시댁과의 중간역할’, ‘아이와 부모, 친척 먼저 챙김’, ‘술과 도박, 폭력을 함’이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은 남편역할에 대한 인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들이 지각하는 남편역할에 대한 경험은 긍정적인 것과 부정적인 것이 함께 공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아내역할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 ‘신랑에게 잘 함’, ‘가사는 내 몫이 아님’, ‘아이 낳아서 키움’, ‘시댁과 대등한 관계’, ‘그런 생각 한 적 없음’이었다. 신랑에게 잘 해주고 아이를 낳아서 키우는 것이 아내의 역할이라고 인식하며, 기본적인 의식주를 잘 준비해 주고 시부모와 자신의 출신 국으로 여행도 가는 등 잘 해 드려야 한다는 생각도 하였다. 넷째, 본 연구에서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아내역할에 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계속 집에 있음’, ‘한국(남편, 시댁)에 맞춰야 함’, ‘남편과 한국문화를 수용함’, ‘아이는 내 몫임’, ‘시댁과의 갈등’, ‘농사와 경제적 활동’, ‘내가 많이 포기함’이었다. 이상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남편역할과 아내역할 인식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전반적으로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 대부분이 아내로서 남편에게 무엇을 해줄까 하는 아내역할에 대한 인식에 대한 내용은 상당히 빈약하였으며, 자신이 담당해야 할 아내의 역할보다는 남편이 어떤 사람이면 좋은가, 나에게 이런 걸 해주면 좋겠다고 바라는 남편역할을 상대적으로 더 생각을 많이 해 본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남편역할과 아내역할 경험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이 경험한 남편역할과 아내역할 모두 시댁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크다는 것이 밝혀졌다. 아이의 양육과 교육은 확실히 아내의 역할이었으며, 부부간의 서로 친밀한 부부간에 필요한 정서적 상호작용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셋째, 남편역할 인식과 경험 간의 차이를 비교해 보면, 여성들은 결혼 전에는 배우자로서 남편의 개인적, 정서적 특징과 아내인 자신과의 관계만 생각하였다면, 한국으로 결혼해서 이주한 후의 결혼생활은 시댁과 친척과의 관계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으며 남편의 역할도 시댁과 친척을 돌보는 것에 많은 부분이 치중되어 있다는 것이다. 즉 한국사회의 가족의 범위가 다문화가정 여성이 생각했던 것보다 넓다는 것이며 이에 따라 부부의 역할이 더욱 다양해짐을 의미한다. 넷째, 아내 역할 인식과 경험 간의 차이를 살펴보면, 앞에서도 언급하였지만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은 아내역할에 대한 인식은 빈약하고 깊이 생각하지 않았다. 반면 한국에서 아내의 역할 중 남편, 시댁과 한국문화를 수용할 것을 강요당하고 농사와 경제적 활동에 많이 참여하고 있었다. 아내의 역할은 시간적 흐름에 따라 변화를 보이는데 결혼 초기에는 계속 집에 있고 아이를 낳아서 키우며, 시댁과 남편에 맞춰야 한다는 것을 직접적, 간접적으로 강요받았다. 시댁과 갈등을 빚기도 하지만 차츰 포기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아이를 위해 한국사회에 적극적으로 적응해가려고 변화하며, 점차 남편과 한국문화에 정이 들고 마음으로 수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이 한국으로 이주해 온 이유이자 가장 핵심적인 요인인 배우자역할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심도 있게 살펴봄으로써 농촌 다문화가정 여성의 성공적인 결혼생활과 안정적 농촌사회 적응능력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만성질환 입원 노인 환자의 가족지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에 관한 연구

        이진희 한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591

        본 연구는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를 대상으로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만성질환으로 입원한 노인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얻기 위해 시행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의정부시에 소재한 종합병원에 만성질환으로 입원 중인 65세 이상의 노인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총 연구 대상자는 194명이었다. 선정 기준은 65세 이상의 만성질환 진단명(고혈압, 당뇨, 뇌혈관질환, 심혈관질환, 골관절질환, 만성호흡기계 질환)을 가진 의식이 명료한 입원 노인 환자로 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이해하고 본 연구에 참여하기로 서면 동의한 자로 자료수집 기간은 2013년 7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약 3개월 간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 백분율, 최소값, 최대값,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가족지지 정도는 40.58(±7.77)로 평균 보다 높았고, 건강증진행위 정도는 79.94(±11.88)로 평균보다 높았으며, 대상자의 삶의 질 정도는 102.07(±13.96)로 평균 보다 높았다. 2.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가족지지는 경제사정(F=3.77, P=.006), 주된 소득원(F=3.39, P=.006), 건강문제 상의(F=6.59, P=.000), 가족관계(F=30.61, P=.000), 치료비 지불(F=2.87, P=.024)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는 학력(F=3.17, P=.015), 경제사정(F=3.49. P=.009), 주된 소득원(F=4.95, P=.000), 건강문제 상의(F=6.81,P=.000), 인지하는 가족 관계(F=7.86, P=.000)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삶의 질은 학력(F=2.7, P=.031), 경제 사정 (F=9.81, P=.000), 건강문제 상의(F=2.51,P=.031), 지각된 건강상태(F=4.30, P=.002), 가족관계(F=.691, P=.000)와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가족지지와 건강증진행위는 양의 상관관계(r=.46,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지지와 삶의 질은 양의 상관관계(r=.41.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은 양의 상관관계(r=.4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만성질환 입원노인들의 가족지지가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가족지지가 만성질환 입원 노인환자들의 건강증진행위와 삶의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변수이므로 가족지지를 높일 수 있는 간호중재 개발과 적절한 치료법에 관한 연구가 더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the factors which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in senile patients who admitted with chronic disease. Senile patients who were admitted with chronic disease in Uijeongbu city were enrolled. The familial support, health improving behaviors, and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were examined. They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selves. All analyses were performed using SPSS software, version 18.0. The data was showed in percentage, minimum value, maximum value, mean value, standard deviation. T-test,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efficient were used. The degree of familial support was 40.58 ( ±7.77). The degree of health improving behavior was 79.94 (±11.88). The degree of quality of life was 102.07 (± 13.93) and higher. They all were higher than mean values. The familial suppor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s of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socioecomic state, educational state. The health improving behavior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levels of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income, economic state, and educational state. The quality of lif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economic state, familial relationship, health problem, and educational state.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familial support and health improving behavior (r=0.46, p<0.001). Familial suppor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quality of life (r=0.41, p<0.001). Health improving behavior showed positive correlation with quality of life (r=0.45, p<0.001). The higher familial support was, the higher health improv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were. Familial support was the important factor to effect on health improving behavior and quality of life. Thus nursing intervention and proper treatment to increase in familial support will be need through further study.

      • 다문화가정남편의 부부갈등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

        장은경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591

        국 문 요 약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 경험에 대한 질적사례 연구 본 연구는 국제결혼으로 이루어진 다문화가정의 부부갈등을 남편의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 전개과정, 대처방법을 있는 그대로 탐색해 봄으로써 다문화가정을 이해하고 지원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 및 제도,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국제결혼으로 다문화가정을 형성한 남편을 대상으로 부부갈등에 대한 심층면접을 실시한 후 자료를 질적사례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은 ‘남편과 시부모의 무시’, ‘신뢰하지 않는 남편’, ‘친정과 친자녀에 대한 경제적 지원 부담’, ‘결혼에 대한 현실성 부족’으로 나타났다. 남편은 다문화가정을 이루면서 이러한 아내의 결혼동기와 기대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여 부부갈등에 대한 내재적 요인을 갖고 있었으며 결과적으로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이 일어나는 계기가 되고 있었다. 둘째,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전개과정은 ‘부부와 가족의 문화 갈등의 심화’, ‘비난과 분노 조절의 어려움’, ‘헤어짐과 이혼에 대한 예고와 아내의 가출’, ‘대화와 소통의 한계’로 나타났다. 국제결혼한 남편은 아내 나라의 언어나 문화를 배우려는 노력이 매우 미약하며 이는 부부간의 의사소통의 문제로 발전하였다. 부부갈등 시 감정적인 부분들을 해결하지 못하여 분노가 쌓이고 오해를 만들었다. 갈등이 고조됨에 따라 이혼과 가출을 할 수 있는 기회들이 만들어졌으며 부부갈등 상황에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었다. 셋째, 남편이 경험한 부부갈등의 대처방법은 ‘참고 달래줌’, ‘함께 경제활동하기’, ‘몰두할 대상이 생김’, ‘종교와 모임’, ‘국가기관의 이용’, ‘믿음과 규칙이 생김’, ‘아내의 활동 범위 제한’으로 나타났다. 국제결혼으로 한국에 온 다문화가정의 여성들이 최근에 이혼률이 높고 가출을 하는 주변의 이런 상황들로 어려움을 겪는 가정들을 많이 본 다문화가정의 남편들은 경제상황이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아내의 경제활동을 가출로 연관지어 생각하여 항상 불안한 마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마음은 갈등 상황에서 참고 달래줌으로써 아내의 가출에 대한 의식적, 무의식적인 불안감에 대한 대처방법으로 나타내고 있었다. 남편이 경험하는 부부갈등의 대처방법은 서로 참고 달래주고 믿음을 갖고 아내를 인정하는 것이 부부갈등을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한 갈등을 혼자 해결하기 보다는 국가기관의 도움을 받거나 종교나 다른 다문화가정의 모임을 통해 지혜롭게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모습들을 보여주고 있었다. 넷째, 부부갈등 경험이 다문화가정 남편의 삶에 대한 의미는 ‘나 하나 믿고 왔는데 참아요’, ‘언제 도망갈까 내재된 두려움’, ‘나를 내려놓고 아내에게 맞춤’, ‘시간이 약이죠’, ‘국가와 다문화 관련 기관에 대한 경험과 생각’이었다. 본 연구의 결론은 남편이 참고 달래주고 아내에게 맞추는 것이 부부관계와 적응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문화가정 부부갈등을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해서는 부부가 동등하고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관계를 형성하면 건강하고 행복한 가정을 만들 수 있는 측면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남편의 부부갈등을 남편의 경험을 통하여 있는 그대로 살펴보았다. 부부갈등의 결정적 사건, 전개과정, 대처방법 및 부부갈등의 의미를 탐색해 봄으로써 이를 통하여 다문화가정에 대한 정책 및 제도, 상담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노인여가 프로그램의 운영효율성과 이용만족도 간의 관계

        정인숙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591

        【Abstract】 A Study o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the User Satisfaction of the Leisure Programs for the Aged In-Sook Jeong Major of Social Welfare,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Knowledge and Social Welfare Hanbuk University Korean society is rapidly transforming into an aging society, and the sociological changes of population caused by it bring about substantial changes of the political view as well as the study. Furthermore the demand for the aged welfare is gradually increasing. In oder to meet this demand for the aged welfare, the government suggested that at least one senior welfare center be built in each city·county·borough in 2009. But the plan for the senior welfare center practically had many limitations on the finance, the location and the programs. Operating the senior welfare center for consumer-directed services is linked to the recent survey about the user satisfaction. The survey about the user satisfaction is inevitable to develop professional services and programs which meet the elderly's demand, and to provide a better environment. In this sen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the user satisfaction of leisure programs for the aged , and to seek for solution to improve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the user satisfac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 was conducted at three senior welfare centers in three cities (U, D, P) of Northern Gyeonggi Province. Of the leisure programs for the aged, three programs which had in common, the dance sports class, the singing class and the computer class,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operational efficiency, the effectiveness was measured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based on input factors(the budget input, the number of staffs, the number of instructors, and the class hours) and output factors(the number of users). User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using the questionnaires about the dance sports class, the singing class and the computer clas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listed below. First, the programs in 'the situations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are high' should make desperate efforts to prevent the breakaway of users in order to maintain relatively high present operational efficiency, and should not push forward with input factors such as the budget and staffs excessively in the name of increasing the user satisfaction. [U Dance] and [U Song] are the programs in this situation. Second, the programs in 'the situations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is low and user satisfaction is high' need an endeavor at improvement to reduce input factors such as the budget, the class hours, the number of staffs, the number of instructors and so on. [D Computer] and [U Computer] are the programs in this situation. Then, the programs in 'the situations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is high and user satisfaction is low' need increasing the input of factors such as facilities, the budget, staffs and instructors, and upgrading to improve the user satisfaction not reducing relatively high operational efficiency. [P Song], [P Dance] and [D Song] are the programs in this situation. Lastly, the programs in 'the situations that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are low' need the aggressive marketing strategies and public relations which can raise input factors such as the budget, the class hours, the number of instructors, the number of staffs and so on, increase the user satisfaction, and develop and attract potential users in order to enhance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P Computer] and [D Dance] are the programs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has the limits that there were no standardized criteria to measur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that some errors could be included in that the elderly subjects didn't understand exactly the intention of researchers and then gave ridiculous answers, and that although the programs were similar, the satisfaction levels could be different because of other various external factors(school fees, the running of shuttle buses and so 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sense that it suggests the ways to enhance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at the same time by measuring which situations the leisure programs of senior welfare centers are in, in terms of the operational efficiency and user satisfac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한국사회의 급속한 고령화로 야기된 인구사회학적 변화는 학문뿐만 아니라 정책의 관점까지도 상당한 변화를 가져왔으며, 노인복지의 수요도 점차 커져가고 있다. 이러한 노인복지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2009년 정부는 각 시ㆍ군ㆍ구에 최소 1개소 이상의 노인복지관 건립을 원칙으로 내세웠으나, 현실적으로 노인복지관은 재정문제, 입지나 프로그램에 있어서 많은 제약을 나타냈다. 수요자 중심의 노인복지관 운영은 이용노인의 만족도에 대한 최근의 조사의 흐름에 연계되어 있다. 노인들의 욕구를 파악하여 욕구에 부합하는 전문적인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보다 나은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용만족에 관한 조사는 불가피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 여가 프로그램의 운영 효율성과 이용 노인의 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여 운영의 효율성과 이용만족도의 향상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자료조사는 경기북부 3개시(U, D, P)를 선택하여 그곳의 노인복지관 세 곳을 대상으로 노인여가 프로그램 중 성격이 유사하거나 공통적으로 수행되고 있는 댄스 스포츠 교실, 노래 교실, 컴퓨터 교실의 3개 프로그램을 선정하였다. 운영효율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DEA(자료포락분석)방법을 활용하여 투입요소(프로그램에 투입된 예산, 프로그램 전담 직원수, 교ㆍ강사 수, 시간 수)와 산출요소(이용자 수)를 정하여 효율성을 측정하였다. 이용만족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노인여가 프로그램 중 댄스스포츠, 노래,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기 위해 설문지 기법을 이용하여 이용만족도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영효율성도 높고 이용만족도가 높은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들은 현재의 비교적 높은 상태의 운영효율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이용자들의 탈락방지를 위한 노력을 해야 하고, 이용만족도를 높이는 명분으로 예산, 인력의 확충 등 투입요소를 과도하게 추진해서는 안 될 것이다. 이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에는 [U댄스]와 [U노래]가 있다. 둘째, ‘운영효율성은 낮고 이용만족도가 높은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들은 투입의 측정지표인 예산, 시간 수, 직원 수, 강사 수 등 투입요소를 줄이기 위한 개선노력이 필요하다. 이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에는 [D컴퓨터]와 [U컴퓨터]가 있다. 셋째, ‘운영효율성은 높고 이용만족도는 낮은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들은 비교적 높은 운영효율성을 떨어뜨리지 않으면서 이용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시설, 예산, 직원, 강사의 투입을 증가시키고, 프로그램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에는 [P노래], [P댄스], [D노래]가 있다. 넷째, ‘운영효율성도 낮고 이용만족도도 낮은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들은 운영효율성과 이용만족도를 동시에 높이기 위해서는 프로그램에 투입되는 예산, 시간 수, 강사 수, 직원 수 등 투입요소를 상향조정해서 이용만족도를 높이고 잠재 이용자수를 개발하여 유치하는 적극적 마케팅과 홍보가 필요하다. 이 국면에 해당되는 프로그램에는 [P컴퓨터]와 [D댄스]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효율성과 만족도를 측정하는 표준화된 척도가 없다는 점, 조사대상인 노인 응답자들이 연구자의 의도를 정확하게 이해하지 못함으로 인해 설문의 본래 의도와 다른 응답을 함으로써 발생한 오류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유사한 프로그램이라도 여러 가지 외적 요인들(수업료, 셔틀버스 운행 등)에 의해서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 등이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현재 노인복지관의 여가프로그램들이 운영효율성과 이용만족도의 측면에서 어느 국면에 해당되는지를 측정해 봄으로써 운영효율성과 이용만족도를 동시에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는데 의의가 있다.

      • 노인요양병원 상사의 특성과 통제가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

        이석재 한북대학교 지식복지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591

        노인 요양 병원 내 직원들의 상사특성을 알아보며, 통제에 따른 상사신뢰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분석하여 향후 노인요양병원의 돌봄 환자안전관리 활동이 보다 효과적이며 체계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요양병원의 상사특성은 직원의 능력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62.3%였다. 상사특성의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배려성, 업무능력, 회계 및 재무능력 도전성 순으로 직원의 능력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배려성이 높을수록, 업무능력이 높을수록, 회계 및 재무능력이 높을수록, 도전성이 높을수록 직원의 능력통제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노인요양병원의 상사특성은 직원의 활동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47.8%였다. 상사특성의 하위변인별로 살펴보면, 업무능력, 도전성, 회계 및 재무능력 순으로 활동통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업무능력이 높을수록, 도전성이 높을수록, 회계 및 재무능력이 높을수록 직원의 활동통제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 노인요양병원 상사의 배려성은 직원의 활동통제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요양병원 상사의 통제수준은 직원의 상사신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설명력은 66.5%였다. 상사의 통제수준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능력통제, 활동통제 순으로 상사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능력통제와 활동통제가 높아질수록 직원의 상사신뢰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상사 특성과 상사신뢰의 관계에서 상사통제의 매개역할을 분석한 결과 능력통제와 활동통제는 상사특성 전체와 하위요인 모두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사의 업무능력, 회계/재무지식, 배려성, 도전성과 상사신뢰 간의 관계에서 능력통제와 활동통제는 부분매개 조건을 충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상사의 업무능력과 회계 및 재무지식, 배려, 도전에 대한 조율안내, 지도의 능력에 맞는 활동통제는 상사신뢰를 높여 주는 변수임이 판명되었으며, 또한 상사의 특성에 따른 매개에 따라 상사의 신뢰를 높여주는 매개요인임을 입증시켜 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노인요양병원에서의 상사의 직무특성에 따른 배려와 전문지식을 바탕으로 한 적당한 통제가 제공될 때 상사의 신뢰 또한 높아져 노인요양병원 서비스의 개선과 환자 지향적인 돌봄 서비스를 통해 수준 높은 서비스 실현이 가능한 변수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노인요양병원에서의 상사의 업무적 관심과 지도를 통한 적절한 직무특성에 맞는 역할과 함께 수행직원의 능력과 활동역할에 맞는 통제는 오히려 상사의 거부감이나 권위적인 일반 생각보다 적절한 통제와 조율이 상호신뢰를 높여주는 기제로서 적극적인 활용이 요구됨을 시사하는 점이라 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