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어/학과의 발전 과정 및 관계자 인식 연구

        도티녹란 한국외국어대학교 국제지역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논문은 베트남 대학에서 한국어/학과의 발전 과정 및 관계자 인식에 대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세계와 주변 나라의 한국어/학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고 베트남 내 한국어/학 교육 역사와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대표적인 대학의 교육과정 문헌 및 교수, 재학생, 졸업생의 인터뷰를 분석함으로써 베트남 대학의 한국어/학 교육의 실제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어/학과와 교육과정에 대한 관계자의 인식을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설립 연도, 학과 특징, 지역 3가지의 요소를 감안하여 5개의 대학교를 선정하고 한국어/학과를 살펴보았다. 이는 하노이 국립 대학교 인문사회과학대학 (HN USSH), 하노이 국립 대학교 외국어대학 (ULIS), 호찌민 국립 인문사회과학대학 (HCM USSH), 호찌민 외국어 정보대학교 (HUFLIT), 하노이 대학교 (HANU)이다. 본 연구의 주요 연구의 결과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다. 우선 5개의 대학 교육과정의 경향성을 파악하였다.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의 한국학 교육과정은 기업의 요구에 충족하는 다양한 전공 선택을 제공하는 한국어 중심 한국학 교육과정이다. 하노이 인문사회과학대 한국학과는 한국학 연구자를 양성하는 목표에 충실하고 학문적인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호찌민 외국어정보대학교 한국학과가 동방학부에 속하고 있어서 교육과정을 발전시키는 것이 제한적이지만 학생과 기업 요구에 부응하고 있는 유연하고 실용적인 한국학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하노이 국립 외국어대 한국어 및 한국문화 학부 교육과정은 한국어학 및 한국문화를 기초로 통번역, 한국학, 관광, 한국어 교육 전공의 다양한 선택을 제공하고 있는데 한국어학 중심의 학문적 특징이 보인다. 하노이 대학교 한국어학과는 통번역 지향 한국어 교육과정에 충실하고 있고 실제학습활동을 중요시한다. 둘째, 베트남 한국어/학 교육 특징을 파악하였다. 베트남 대학은 30여년 간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의 양적 및 질적 확정이 있었고 이를 기반으로 한국학으로 발전의 가능성이 있다. 하지만 인터뷰 결과를 통해서 취업 등과 같은 학생의 실질적인 필요와 사회적 수요로 인하여 한국어 교육이 단순히 한국학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기 보다는, 한국학과 동등한 지위로 함께 발전하는 특징이 보인다. 베트남에서 한국어/학 교육은 한국 기업에 인재를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기 때문에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의 필요성이 약하고 논문의 필요성이 적다. 교원들의 낮은 급여 로 인해 학문으로서의 한국학을 위한 인력을 양성하는 것도 쉽지 않다. 베트남에서 한국어 교육이 발전하면서 한국학 교육으로 확장하지 않고 한국어 교육이 한국학 교육과 동등한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다. 이는 모순되어 보이지만 베트남 한국어와 한국학 교육 현실을 반영하고 있다. 이에 한국어/학과는 이러한 베트남에서의 한국어 교육 및 한국학 현황의 특징을 상징적으로 드러내 주는 개념어이다.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akeholder perception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in Vietnam universities. To achieve this, we will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in the world and neighboring countries and examine the history and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By analyzing the curriculum documents of representative universities and interviewing professors, students, and graduates, we examines the actual status of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education at Vietnamese universities and the perceptions of those concerned about the Korean Language Studies/ Korean Studies department and curriculum. In this study, five universitie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three factors: the year of establish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artment, and the region. It includ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anoi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 - Information Technology,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 Hanoi University. The results of the main research in this paper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rends of the five university curricula were identified. The Korean Studies curriculum at Ho Chi Minh City University of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is a Korean language-centered curriculum that offers a variety of majors to meet the needs of Korean companies.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Hanoi Universit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operates an academic curriculum that is faithful to the goal of nurturing researchers in Korean studies. The Department of Korean Studies at Ho Chi Minh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and Information is part of the Faculty of Eastern Studies, so development of the curriculum is limited, but it is operating a flexible and practical Korean studies curriculum that meets the needs of students and Korean companies. University of Languages and International Studies's Korean language and culture curriculum offers a variety of majors in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Korean studies, tourism,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Korean studies and Korean culture.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t Hanoi University is faithful to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oriented towards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and values practical learning activitie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Vietnamese universities have confirme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30 years, and based on this, there is a possibility of development into Korean studies. However, the interview results show that Korean language education develops into an equal status with Korean studies rather than simply being composed of a subcategory of Korean studies due to the social needs and practical needs of students such as employment. Sinc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is focused on nurturing talented people in Korean companies, the necessity of Korean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is weak and the need for dissertations is small. Due to the low salaries of teachers, it is not easy to train human resources for Korean studies as an academic discipline.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Vietnam,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developing into an academic equivalent to Korean studies education without expanding into Korean studies education. Although contradictory, this reflects the reality of Vietnames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Therefore, Korean language Studies/Korean Studies department is a conceptual word that symbolically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education in Vietnam.

      • 아랍어 교육을 위한 번역의 활용 방안 연구

        곽순례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9711

        번역은 전통적으로 외국어 교육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외국어 교수법 중 하나이다. 세계화ㆍ정보화ㆍ다문화 시대에서 신속ㆍ정확한 정보의 획득을 위해 번역 그 자체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어 외국어 교육과를 개설하고 있는 대학과 외국어 교육 기관들은 외국어를 가르치기 위한 학습번역뿐만 아니라 전문적인 직업 번역가를 양성하기 위해 전문번역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외국어 교육에서 번역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국내 아랍어 교육에서의 번역 교육의 실태와 그 문제점을 파악하며, 학습자들이 번역실습에서 일으키는 오류사례를 수집ㆍ분석한다. 또한 학습번역과 전문번역 교육 방법의 차이점을 비교 연구하고, 전문번역의 기반인 등가번역의 실례 제시를 통해 효율적인 아랍어 교육을 위한 전문번역 교육방법의 활용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번역의 정의와 번역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한 후, 외국어 교육을 위한 학습 번역과 전문적인 직업 번역가 양성을 위한 전문번역의 목표 및 교육방법 등을 비교 연구하였다. 또한 국내 아랍어 교육에서의 아랍어 번역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한국외국어대학교, 명지대학교, 부산외국어대학교, 조선대학교 아랍어과의 교과과정 및 교재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 4개 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입시반 강좌에 참여한 학생들과 통번역대학원 한아과 재학생들을 대상으로 번역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와 번역실습을 실시하였고, 번역 관련 교과목에서 채택되어 통ㆍ번역 학습자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선정하여 텍스트를 내용면에서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 아랍어 교과과정에 번역과 관련된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으나, 번역수업이 아랍어 교육을 위한 학습번역 수준에 머물러 있으며 외국어 교육의 목표인 의사소통에 중점을 둔 전문번역 교육 수준에는 이르고 있지 않음을 조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아랍어 번역 교재들을 분석한 결과 첫째, 텍스트 주제가 분야별로 균형 있게 다루어지고 있으나 학습자들이 번역연습에서 선호하는 주제를 부분적으로 반영하고 있지 않았다. 둘째, 정보 습득측면에서 일부 텍스트는 시사성과 무관한 주제로 일반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일부 텍스트는 시사성이 있지만 오래되어 최신 정보 습득이 어려웠다. 셋째, 일부 텍스트는 실제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으나 일부는 실제 텍스트가 아닌 아랍어 학습을 위한 정형화된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었다. 본 연구 조사를 통해 아랍어과 학생들의 아랍어-한국어 번역실습에서 나타난 오류가 주로 아랍어 텍스트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인한 외면적 오류와 한국어 어휘 및 표현능력의 부족으로 인한 내면적 오류임이 나타났다. 또한 한국어-아랍어 번역실습에서 나타난 오류는 아랍어의 철자, 문법 오류, 한국어 텍스트의 이해 부족으로 인한 외면적 오류, 그리고 아랍어 어휘 및 표현능력 부족으로 인한 내면적 오류가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양방향의 번역에서 나타난 내면적 오류 사례의 결과를 통해 효과적인 아랍어 교육이 수행될 수 있도록 전문번역 교육방법을 이용한 교수법의 개발이 시급하다는 사실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실증조사인 설문조사, 번역실습 조사를 이용하여 수행되었으며 설문조사와 번역실습 조사에 참가한 학생들이 국내 4개 대학에 고르게 분포되어 전체 아랍어 학습자를 대변할 만하다. 하지만 참여 학생수가 전체 아랍어 학습자 수에 비하여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고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이 참여하지 않아서 아랍어 번역 교육의 현황을 완전히 규명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 연구를 토대로 향후 다양한 수준별 번역실습을 통해 아랍어 번역에 관한 보다 더 정확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전문번역 교육방법을 활용한 교수법 및 평가 방법 등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 효과적인 아랍어 교육을 실시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영어 및 한국어 쓰기불안이 한국인 대학원생들의 영어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다은 한국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5

        영어 및 한국어 쓰기불안이 한국인 대학원생들의 영어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의 목적은 영어교육을 전공하고 있는 한국 대학원생들이 글을 쓸 때 경험하는 영어 쓰기불안과 한국어 쓰기불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이 두 언어불안이 외국어 쓰기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외국어 쓰기 교육에 대한 새로운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모국어)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쓰기불안 간의 상관관계는 있는가? 둘째, 한국어(모국어)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쓰기불안은 각각 영어(외국어)쓰기 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쓰기불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들인 낮은 자기효능감, 평가에 대한 두려움, 쓰기에 대한 거부감 등이 쓰기 수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 위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서울에 있는 H대학교 교육대학교에서 영어 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47명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이들 가운데 두 강좌의 영어 글쓰기 수업을 동일하게 수강하는 학생 2명과 실험참여에 기권하는 학생 4명을 제외시키고 최종적으로 41명의 연구대상자 자료를 본 연구의 표본으로 삼아서 실험자료로 이용하였다. 먼저, 연구자가 본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자 하는 연구의 배경 및 목적에 대하여 피험자들에게 설명을 하고 난 후, 피험자들은 30분 동안 해당 주제(“인생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최고였던) 경험에 대하여 서술하시오”)에 대한 영어쓰기를 실시하였다. 영어쓰기를 마치고 난 후, 15분 동안 Daly와 Miller(1975)의 쓰기불안 측정도구를 기반으로 한 한국어 및 영어 쓰기불안 측정 검사 도구를 이용하여 영어와 한국어 쓰기불안검사를 실시하고, 본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다른 요인을 파악하고자 배경설문지를 실시하였다. 이상의 본 논문 연구에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대학원생들이 글을 쓸 때 경험하는 한국어 쓰기불안과 영어 쓰기불안 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둘째, 한국어 쓰기불안과 영어 쓰기불안 모두 학습자들의 영어쓰기수행과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며, 영어쓰기수행을 설명하는데 두 언어불안은 유의미한 설명력이 있다. 셋째, 쓰기불안을 구성하는 하위 요인인 낮은 자기효능감, 쓰기에 대한 거부감, 평가에 대한 불안감 중에 낮은 자기효능감이라는 요인은 학습자의 영어 쓰기수행을 설명하는데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쓰기에 대한 거부감이과 평가에 대한 두려움은 학습자들의 영어쓰기 수행을 설명하는 요인으로는 미비하다는 결과가 도출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EFL이나 ESL학생들을 위하여 영어쓰기지도교사들에게 더 나은 영어쓰기지도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자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학습자의 한국어(모국어) 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 쓰기불안 간에 유의미한 상관간계가 존재함으로 교사는 영어쓰기 지도 시, 학습자의 영어(외국어) 쓰기불안을 낮추기 위해서 먼저 학습자의 한국어(모국어)어 쓰기불안을 낮추게 된다면 그들이 영어(외국어)로 글을 쓸 때 부정적인 감정을 덜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을 시사해 준다. 둘째, 한국어(모국어)쓰기불안과 영어(외국어)쓰기 불안은 학습자들의 영어로 글을 쓰는 수행에 영향을 줌으로 학습자에게 영어쓰기 지도 시, 영어(외국어/제2언어) 쓰기교수자는 한국어(제1언어)쓰기교수자와 협력적인 교수방법을 통하여 먼저 학습자들의 제 1언어 쓰기불안을 감소시킨다면 그들의 제2언어 쓰기불안감 또한 감소되면서 영어로 글을 쓸 때 부정적인 영향을 덜 받는다는 것을 시사해 준다. 셋째, 두 언어 쓰기불안을 구성하는 하위요인인 낮은 자기효능감, 쓰기에 대한 거부감, 평가에 대한 불안감 중 낮은 자기효능감이 학습자들의 외국어쓰기 수행 시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으로, 외국어 쓰기지도 교수자는 학습자들에게 외국어로 글을 쓸 때 높은 자기효능감을 갖도록 도와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시사한다. 즉, 외국어로 글을 쓰는 것에 대한 성공적인 경험을 많이 부여해주고 학습자의 수준에 적합한 쓰기과제를 제시하고 긍정적인 피드백과 함께 약점을 보완하는 방법을 제공하여 자기효능감이 높아지도록 도와주면 한국어나 영어로 글을 쓸 때 긍정적인 수행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오류 분석을 통한 태국어 작문 지도방안 연구

        김신형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올해는 한국과 태국이 공식적으로 수교한지 54년이 되는 해이다. 한국과 태국은 1958년 공식적으로 외교관계를 수립한 이래 정치, 외교, 경제, 문화 등 여러 방면에 걸쳐서 매우 긴밀한 협력관계를 유지, 발전시켜왔다. 한태 관계는 처음에 정치 경제에서 시작하여 현재는 외교 문화적 관계로 그 중심축이 이동하고 있다. 한태 양국 간의 실질적인 관계가 이루어진 것은 한국전쟁이 일어난 1950년으로, 태국이 유엔군의 일원으로 참전하면서부터였다. 당시 태국정부는 11,876명의 군인을 파견하였고 134명의 전사자가 발생했다. 이를 시작으로 한국과 태국은 현재까지 21개의 국제조약을 체결하였는데 이는 양국의 교역과 투자, 문화 교육, 이중과세 방지, 과학기술 협력, 범인인도, 사법협력, 근로자 협력 사안 등을 총 망라하고 있다. 근래 태국에서는 한국드라마와 노래, 음식,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한국 문화가 크게 인기를 얻으며 한류 열풍을 일으키고 있으며, 최근 한국의 대중매체에서도 태국인이 인기 연예인이 되거나 태국 음식과 마사지, 영화, 그리고 그 밖에 다양한 태국의 문화들을 소개하는 프로그램들도 많아지고, 일상생활에서도 태국 음식이나 마사지, 영화, 그리고 여행 등과 같이 태국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크게 늘어나면서 양국의 문화 교류는 매우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한태 관계의 발전은 언어교육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한국은 1966년에 한국외국어대학교에 태국어과가 설립되어 일찍부터 태국어 교육이 이루어졌다. 그 후 1982년도에 부산외국어 대학교에 태국어과가 설립되었고 이듬해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에 태국어 통번역학과가 설립되었다. 이들 교육기관을 통해 배출된 태국어 전공자들은 현재 한태 관계발전에 적지 않게 이바지하고 있다. 언어란 인간의 생각을 표현하는 도구일 뿐 아니라 그 나라의 사회적 문화적 특징을 이해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으로써 언어 교육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태국어는 한국인들이 학습하기 쉽지 않은 언어로써, 한국과 태국은 비록 지리적으로 같은 아시아에 위치하고 있으나 한국어는 알타이어(Altalic)족, 태국어는 차이나-티벳어(Sino-Tibetan)족으로 서로 다른 언어 유형에 속하며 문법적 특징 또한 매우 다르다. 한국어는 문장 내의 단어가 어형이 변화하지 않고 각 단어의 문법적 관계가 조사 또는 접미사에 의해 표시되는 교착어인 한편 태국어는 문장 내의 단어가 어형 변화가 없고 문법적 관계가 어순 혹은 특정 조동사에 의해 표시되는 고립어이다. 또한, 음성 음운론적으로도 태국어는 한국어와 달리 성조가 있는 언어로, 같은 형태의 단어라 할 지라도 음의 높낮이에 따라 의미가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태국어는 한국인 학습자들에게 배우기 어려운 언어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외국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는 듣기와 읽기에 속하는 이해 기능과 함께 말하기와 쓰기에 속하는 표현 기능, 이 두 가지를 모두 학습해야 하는데 이 중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고루 능력을 갖추도록 하는 것이 외국어 교육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말하기의 경우는 대화의 상대자가 있기 때문에 상호작용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의사 전달이 명확해질 수 있으나, 쓰기의 경우는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오로지 글로만 나타내야 하기 때문에 더욱 어려울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작문은 보다 고차원의 의사소통 수단임은 틀림이 없고, 오늘날 인터넷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각종 전자우편을 통해 쓰기를 매개로 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은 나날이 부각되고 있다. Paulston(1972)은 “외국어 학습 과정의 초급과 중급 단계에서 작문은 다른 언어 기술을 보강하고 강화해 주는 데 기여하며, 과제나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도 매우 중요하고 작문은 학습자의 기억력을 증진시켜 후에 참고를 위한 자료로 이용되어지기도 한다.”고 하며, 작문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교육과정의 변화로 일반적인 외국어 교육에 있어서 듣기와 말하기 교육은 강화되고, 전통적으로 읽기는 항상 중요시되어 온 반면, 쓰기의 영역은 다소 소홀히 다루어져 왔는데, 이러한 경향은 태국어 교육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다. 한국인이 태국어를 학습하는 데 필요한 교재 및 교과 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는 상당수 이루어져왔지만, 태국어 작문 교육 분야에 있어서는 충분한 조사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의 한 학기 교과과정 중에서 ‘작문’ 과목이 차지하는 비율은 총 22개 과목 중, 2학년 과정인 ‘중급태국어작문’과 3학년 과정인 ‘고급태국어작문’, 그리고 4학년 과정인 ‘태국어회화작문연습’ 과목으로 3개 과목뿐이다. 그 중 2학년 중급 태국어작문이라는 과목이 개설되어 있긴 하나, 쓰기에 대한 부담감으로 2학년 학생 보다는 대다수가 3학년 이상의 학생들로 구성되어, 실질적으로 초급 단계에서의 작문 교육은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부산외국어대학교 태국어과의 한 학기 교과과정에서도 1학년~4학년 총 15개 과목 중, 작문 영역에 해당되는 과목은 ‘초급태국어작문실습’ 1개 과목뿐이다. 이 뿐만 아니라, 한국에서의 태국어 교육에 있어서 ‘쓰기’ 영역을 중심으로 한 작문 교재 역시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외국어 학습자의 오류를 분석하는 것은 학습자의 언어 습득 단계가 어디까지 도달했는지를 알려주는 지표가 되고, 교사에게는 앞으로 학습자에게 무엇을 지도할 것인지, 혹은 학습자들이 어떤 방법과 과정을 통해 언어를 습득하는지를 파악할 수 있게 해 준다. 또한 학습자 역시 학습상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전시켜가는 창조적 노력이 된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이 매우 크다. 한국인 학습자의 작문 교육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이한우(1988)는 태국어 학습에 있어서 작문의 중요성과 어려움을 인식하고, 태국어 문법구조의 특징들을 바탕으로 작문 시에 유의해야 할 점을 제시한 바 있다. 정환승(2002)은 태국어와 한국어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고,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태국어를 전공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인 학습자가 태국어로 작문할 때 나타나는 오류를 수집하여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작문 지도 방안을 모색하였다. 태국어 작문 학습의 중요도에 비해서 이와 관련된 연구는 지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졌고 특히나 한국인 학습자가 태국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견지에서 태국어 작문을 교육하는데 있어서 한국인들이 무엇을 가장 어려워하는지, 어느 부분에서 오류가 많이 발생하는지를 조사,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한 효율적인 작문 지도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태국어 학습의 초기 단계부터 작문 지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점차 높은 단계로 훈련을 해 나간다면, 이 후 일상생활이나 업무 수행에 있어서 필요한 보고서 및 학문적인 글과 같은 더 높은 수준의 자유 작문을 할 수 있게 될 것이다. 또한, 학습자에게 작문에 대한 편안한 접근 자세를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며, 반복되는 오류가 습관화되지 않도록 올바른 태국어식 표현을 지도하면서 적절한 교정법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태국어를 학습하는 한국인들에게서 나타나는 작문 오류를 조사하고 분석하여 체계적이고 보다 효율적인 태국어 작문 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조사중첩 교육 방안 연구

        주자욱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효과적인 조사중첩 유형을 교수하기 위해 첫 번째로 조사 체계를 고찰하고 조사중첩 유형을 요구하는 문장을 확인하여 어떤 경우에 조사중첩이 쓰이는지 확인하며, 실제 교재에 쓰인 조사중첩을 분석하여 단계별 교육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기존의 한국어 교재 분석을 통해 조사체계를 정리하고 한국어 교재 내 조사중첩 현황을 파악하였으며 학습자 수준에 따라 분류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교재 간의 조사중첩 교육내용 편차가 큼, 수준별 반복학습과 새로운 유형 제시 등 단계별, 체계적 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음, 초급에서 중급, 고급 학습 조사가 나타나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조사 체계의 정리를 통하여 격조사의 조사중첩 어순에서 발생하는 오류를 줄일 수 있다. 둘째, 보조사의 의미기능을 파악하여 조사중첩형이 사용되는 상황 및 맥 락 등을 학습자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셋째, 학습자의 수준에 부합하는 조사중첩형 교수를 위하여 교수 순서를 정리하기 위한 객관적 기준을 기존 교재 분석을 근거로 제시하였다. 넷째, 실제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수업안을 제시하였다. 즉, 본 연구는 기존의 교재를 분석하여 객관적 근거를 바탕으로 교수 순서 및 수업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나 두 개의 조사가 중첩되는 것만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udy a method for educating learners on effective postposition overlapping types.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sets up the postposition system and identifies the sentences that require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type. In addition, this study aimed to confirm when postposition overlapping would be used and present a step-by-step educational plan by analyzing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used in actual textbooks. The research on the postposition system was organized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analysis of existing Korean textbooks, and the status of postposition overlapping in Korean textbooks was identified. This study confirmed the problems that there was a large deviation in postposition overlapping educational content between textbooks, and that step-by-step and systematic learning, such as repeated learning by level and new type presentation, was not carried out. In addition,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postpositions for intermediate and advanced learners in learning Korean at the beginner level, which was hard to understand as a beginner. Thus, this study suggests a lesson plan to improve the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roughly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this study can reduce the errors that occur in the word order of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of case particles through the arrangement of the postposition system. Second, this study presents educational contents so that learners can easily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context in which the postposition overlapping type is used by understanding the semantic function of auxiliary postpositional particles. Third, this study shows objective criteria for arranging the teaching sequence for postposition-overlapping teaching that matches the learner's level as the basis for analyzing existing textbooks. Fourth, this study presents a specific lesson plan that can be applied to actual lesson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presents the educational order and lesson plan based on objective evidence by analyzing the existing Korean textbook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only targeted at the overlapping of two postpositions.

      • 태국 대학교 한국어 전공 교육과정 내용 연구

        홍혜련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박사

        RANK : 249695

        A Study on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ai Universiti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organize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s, comparing the findings of several case studies and surveys. To accomplish this,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policy of education and the historical events of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Thailand. Second, it analyzed the curricula of foreign language in Thai universities and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from various countries. Third, the study worked to analyze the preferences of professors and stud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their university’s Korean department. This resulted in the proposal of an ideal model for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In chapter 1, the study proposed its purpose and necessity, analyzed previous research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and disclosed its improved methods and composition. In chapter 2, for the basis of the discussion, the study reviewed the policy on education in Thailand, the history of foreign language in Thailand, and the history of Korean education. To discuss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policy of foreign language from the Thai Ministry of Education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Korean education. In chapter 3, in order to establish a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Thai universities, the study scrutinized another foreign language curricula in Thai universities, mainly focusing on Japanese and Chinese. This is because Japanese and Chinese, as well as Korean, are considered Oriental studies, and classified as second languages in Thailand. It is also to be noted that such countries receive governmental support through the dispatch of native speakers, which enables their language programs to be more successful. In addition,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Japan and China have been analyzed and reviewed. For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curricula, research methods and materials of Prof. Dr. Kim Jae-Uk’s research paper have been used. This research has been used as a guide to improve upon the curr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chapter 4, by analyzing the curricula of Korean language in Thai universities, the study aime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the present Korean language curriculum. Feedback from both students and professors in Thai universities were evaluated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a reform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In chapter 5, with proposed revisions to the Thai Ministry of Education’s foreign language policy, the new and improved curricular model for specialized Korean language was created. With proposed revisions from associated professors, the validity of the updated curricular model has been examined. Based off of the revisions and examination, this specialized curriculum is advocated fo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In chapter 6, the conclusion summarized the discussion and propo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future projects. Format of language curricula are continually changing due to a variety of soc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Due to the dynamic nature of educational objectives, which are affected by education policies and the relevance of international societies, course materials and teaching methods need to be continuously adapted. In addition to curricular studying objectives, diverse methods of learning must be developed to fit each students’ needs. Referring to various language majors and Korean majors abroad, the optimal form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for foreign language students to efficiently master Korean, they must be thoroughly educated in literature, linguistics, and general knowledge of Korea. In light of this, proposed subjects for this curriculum include Korean History, Culture, Social Studies, Politics, and Economics. This results in a program reflecting the concept of “Koreanology” rather than Korean language. This holistic approach to learning was the preferred method of education by Thais. Foreign experts in Korean language are expected to not only be fluent in Korean, but also a “Korea expert” ? someone who is familiar with Korean history, culture, and etiquette. Nevertheless, the main inten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o master fluency in Korean language. Second, it is necessary for those studying Korean language to be educated in methods of teaching Korean to others. In general, language instruction and practicums are needed components of education in Thai universities. Although educating students in the area of Korean teaching is not the main objective of Korean language majors, it is necessary to include such curricula since occupations in Korean language instruction are in high demand. Third, based on factors of tourism, technology, and relevant executive subjects, Korean language majors are expected to not only speak fluently, but also be capable of conducting business-level interactions in Korean. Thus, it is necessary to raise awareness of tourism, technology, and various business subjects, incorporating them into Korean language curricula.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Korean education in Thai middle and high schools, the expectations of Korean linguistic skills for university freshmen are increasing. Thai universities need to adapt to this by placing more importance on business-oriented Korean, as opposed to simply linguistics.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improved format of Korean language curricula are as follows: According to educational objectives, two required subjects shall be placed in every semester: basic Korean and lexis, morphology, syntax, and pragmatics. Such classes are intended to aid in the development of general Korean knowledge. The selected subjects are based on the requests of both professors and students, after inquiry and evaluation. The proposed tracks a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General Track>, <Korean Language Expert Track>, <Tourism and Service Related Track>, <Business Track>, and for the executive work, <Liberal Arts and General Administration Track>. These tracks are arranged in a way to help students choose what they want to study according to their desired career. Furthermore, as professors of Korean language are hired by Thai universities, it is an opportune time to implement higher-level Korean language curricula. In today’s society, Thai students majoring in Korean need to be educated on future career opportunities as well as general knowledge of Korea, since the ultimate goal is to gain employment. This improved proposal to Korean university curricula in Thailand is distinctive in the way that it seeks to specify subjects of learning. Therefore, this proposal will be the model for development of specific course studies in Korean departments of Thai universities, reflecting the current educational demands.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intentions of assisting Thai universities in their development of an efficient standard for Korean language curricula. By combining aspects of societal relevancy and structure, this analysis seeks to positively impact the realm of Korean language learning.

      • 한국어 학습자용 워크북 쓰기 활동 유형 분석 연구

        허미정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695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writing activities for the development of Korean Workbooks as a second language. This study will provide support for teachers to select or reorganize Korean workbooks afterwards and will help improve the quality of contents in Korean workbooks. To achieve this purpose, this study selected 7 kinds of intermediate level Korean workbooks, examined their organizational system and analyzed the types of writing activities. The writing activities were analyzed based on Tomlinson's(1983) three types of writing : type of controlled writing, type of guided writing and type of free writing, and Kang, Seung-Hae's(2002) classification of writing activities. Analyzing the writing activities of the Korean workbooks, this study has g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 most writing activity types in the Korean workbooks were the type of controlled writing. The writing activities in the Korean workbooks consist of 85.9% of controlled writing, 10.6% of guided writing and 3.4% of free writing. <Sogang University workbook>, <Yonsei University workbook> and <Ihwa University workbook> did not present the type of free writing. Second, the most various types of writing activities were shown in <Kyung Hee University workbook>. Then comes <Yonsei University workbook> and <Easy Korean Academy workbook> in that order. Third, th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workbooks heavily relying on controlled writing of 'sentence completion' type and 'fill-in-the-blanks' type. The writing activities in Korean workbooks consist of 47.7% of 'sentence completion' type and 23.9% of 'fill-in-the-blanks' typ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will make the following suggestions. First, controlled and guided writing activities should be more diverse and various. And they need to be presented in meaningful and interesting formats. Second, the number of free writing activities must increase in order to strengthen students' writing skills so that they can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 throughout the workbooks. Third, it is important to promote various writing activities from the integrated approach by collaborating with other language skills. It will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language skill.

      • 영어 능격, 중간태동사에 대한 한국 대학생의 이해도 연구

        하예원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9679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Korean College learners of English understand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and to provide some educational suggestions for teaching those constructions.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Grammaticality Judgment test(GJT) was administered to 104 Korean college students who were randomly chosen from different ages, gender, and colleges. SPSS program was used to examine the frequencies of GJT and survey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JT result indicates that Korean college learners show a substantially low level of understanding of the middle and ergative constructions, compared to that of transitive, passive, and ungrammatical sentences. Most of the participants ticked the boxes of ungrammatical for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which implies that they consider those sentences ungrammatical.. To compare and examine their understanding of different uses of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GJT consists of transitive, passive, and ergative sentences for ergative verbs, and transitive, middle, and ungrammatical sentences for middle verbs. The average score of transitive, passive, and ungrammatical sentenses of the 104 Korean college students tested was 87.9%, 85.1%, 77.4% respectively, but that of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was 39.1%, 34.8% respectively. Second, the results of GJT and survey questionnaires suggest that Korean college learners are not expected to use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appropriately from the views of native speakers of English. Most of the participants responded that they have not been taught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and seen them in textbooks or materials. they would not properly use those constructions, when in situations needed to use them. As shown in the GJT result, the fact that they think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ungrammatical implies that they would not use the expressions in any conversations and that using other expressions may cause meaning differences or misunderstandings. Considerable lack of understanding of these two constructions may lead to unnatural, inappropriate communications between Korean EFL learners and native English speakers. Third, the GJT result shows that advanced to low level groups do not have substantial differences of the average scores of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The average score of the ergative and middle constructions of advanced level students was 48.3%, 34.8% respectively, intermidiate 34.6%, 30.6%, low level 42.3%, 40.2%. Based on the results, several plausible implications are given here. First, English teachers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teaching of the ergative and middle verb constructions. Second, in order for Korean EFL learners to better understand how the ergative and middle verbs are used in real life situations, textbooks should provide an authentic texts and discourses of these constructions. Third, teachers are highly recommended to more actively take an interest in teaching and learning of these two constructions. 본 연구에서는 영어 비대격 동사구문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를 능격 및 중간태 구문으로 나누어 한국 대학교 학습자의 이해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영어 평가지를 실행하였다. 또한 능격 및 중간태 동사 구문 학습에 관하여 대학교 학습자들의 의견을 듣고자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학년, 나이, 지역이 다른 무선으로 표집한 대학교 학습자 120명이다. 설문과 영어평가지는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를 분석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영어학습자들에게 능격 및 중간태 구문에 관한 영어 평가지 및 설문지를 시행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능격 및 중간태구문을 틀린문장으로 인식하였고 이와 같은 문장을 학습한 경험이 ‘없다’라고 응답했다. 능격 및 중간태구문 영어평가지는 많은 학생들이 익숙할 것이라 예상되는 능동태문, 수동태문, 강의어를 뺀 비문과 함께 제시하여 이해의 정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통계 분석 결과, 능동태문, 수동태문, 강의어를 뺀 비문은 각각 87.9%, 85.1%, 77.4%로 비교적 높은 정답률을 보인 반면 능격문 및 중간태문은 각각 39.1%, 34.8%로 낮은 정답률을 나타내어 능격문 및 중간태문에 대한 이해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인 대학교 학습자들이 원어민의 관점에서 볼 때 능격 및 중간태 구문을 올바르게 사용할 것을 기대하기 어렵다. 먼저 한국의 대학교 학습자들은 중, 고등학교에서 능격 및 중간태 구문에 관한 수업을 듣지 못했고, 교과서나 교재를 통해 학습한 경험역시 없다고 응답한 학생들이 많았다. 표현자체에 대해 생소하고 익숙하지 않기 때문에 실제 회화상에서도 능격 및 중간태 구문의 사용이 필요한 상황에 놓였을 때 이러한 표현을 구사하기 어렵다. 또한 영어 평가지의 문항 정답률에서도 나타났듯이 능격 및 중간태 구문을 ‘틀린 문장’으로 간주하고 있다라는 점은 이러한 표현을 사용하지 않을 것임을 의미하며 이를 대체할 다른 표현을 사용하였을 때 수반되는 의미의 차이나 오해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셋째, 영어 평가지를 통해 우리나라 대학교 학습자들의 능격 및 중간태 구문의 수준별 이해의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문항 정답률이 높았던 상위권의 학습자들도 능격 및 중간태 구문에서는 각각 48.3%, 34.8%로 중위권의 학습자 문항정답률 34.6%, 30.6%, 하위권의 학습자 문항 정답률 42.3%, 40.2%와 커다란 차이 없이 낮은 문항 정답률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가 영어교육 현장에서의 능격 및 중간태 구문의 지도와 학습에 대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 능격 및 중간태 동사의 학습이 영어 학습에 미치는 중요도를 고려해 볼 필요가 있다. 능격 및 중간태 동사는 비교적 쉬운 동사에 속하고 말하기나 쓰기에 자주 사용되는 빈도수가 높은 단어들이라는 점에서 학습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 둘째, 영어 비대격 동사의 동사교체에 관한 내용을 교과서에 수록할 필요가 있다. EFL 상황에 놓여 있는 우리나라의 학습자들은 교재 및 수업이외에 목표 언어를 접할 기회가 한정돼 있으므로 교과서를 통한 언어자료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셋째, 교사들이 보다 적극적으로 능격 및 중간태 동사 학습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영어 학습에 있어 교사는 학생들과 직접적인 의사소통의 대상이 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자신의 발화를 통해 지속적이고 적절한 긍정적 증거(Positive Evidence)와 부정적 증거(Negative evidence)를 제공함으로써 학습자들이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습득하도록 도와야 한다.

      • 영어회화 교과서와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듣기문항 유형 비교

        이정민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문 개요 국제화 시대에 국제어로서의 영어의 위상과 중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다. 시대적 변화에 따라 우리의 영어교육도 문법위주의 언어지식중심 교육에서 벗어나 의사소통능력 신장을 교육목표로 하는 의사소통중심 교육과정으로 바뀌었다. 인간의 의사소통 활동의 일차적인 형태인 듣고 말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언어소통능력 신장시키기 위해서 제작된 검인정 영어회화 교과서들에서 평가하고 있는 듣기문항들이 교육과정에 명시된 목표를 제대로 구현하고 있는가를 살펴볼 필요가 있다. 한편 교육과정상에 영어교육목표가 의사소통능력에 신장이라고 명시되어 있지만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은 입시위주의 수업을 받으며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의 고득점을 영어학습목표로 삼고 영어학습에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하고 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의 구현체이며 학교교육의 기본 교재인 교과서의 평가문항들과 고등학생들의 현실적인 목표인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평가문항들 사이의 연계성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 7차 교육과정이 고등학교 영어교육에 적용되면서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의 출제범위가 종전의 공통영어수준에서 심화선택과목으로 심화․확대되어 그 출제범위에 포함된 영어회화 교과서의 듣기문항 유형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의 듣기․말하기문항 유형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영어회화 교과목은 음성언어능력 신장을 목표로 하고 있으므로 의사소통능력의 성취여부를 측정하기 위해서 의사소통의 기본 요소인 듣고 말하는 능력을 동시에 평가하여야 하나 일선 학교에서는 현실적인 이유로 음성언어소통능력의 기본능력 중 한쪽 능력인 듣기이해능력 중심으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역시 금전 및 시간적 이유로 학생들의 음성영어구사력을 직접 평가하지 못하고 듣기문항 형식의 간접적인 말하기 평가를 포함한 듣기이해력을 평가하고 있다. 이런 현실적인 이유를 고려하여, 교육과정의 구현체인 영어회화 교과서와 학생들의 현실적인 목표가 되고 있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이 듣기문항 유형에 있어서 서로 연계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검인정 8종 영어회화 교과서의 듣기문항 유형분포에 있어서 서로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난 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듣기․말하기 문항들이 최근 5년간 그 유형분포 상에 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나서 검인정 8종 영어회화 교과서의 듣기문항들과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의 듣기․말하기 문항들의 상관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영어회화 교과서로 교수․학습하는 교사와 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회화 교과서의 유용성과 만족도를 알아보고자 한다. 검인정 8종 영어회화 교과서의 듣기문항들과 2001학년도부터 2005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의 듣기․말하기문항 유형분포를 분석하기 위해서 국립교육평가원(1997)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04)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매뉴얼을 참고하여 듣기문항 유형 분석 기준을 만들었고 그 문항유형 분석 결과와 교사와 학생 대상의 영어회화 교과서설문조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어회화 교과서간의 듣기문항 유형을 살펴보기 위해, 듣기문항의 유형을 크게 기초언어능력과 언어사용능력으로 구분하고, 이를 다시 음운규칙, 어휘, 통사규칙, 담화규칙,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종합적 이해, 이해 및 적용, 적용의 9가지로 분류하였다. 교과서의 듣기문항 유형 분석 결과, 기초언어능력과 언어사용능력을 측정하는 문항의 빈도수에 있어서 8종 교과서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8종 영어회화 교과서의 문항 유형분포에 있어서 서로 차이가 있다는 것은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동일한 교육목표와 내용을 교과서들이 제대로 충실히 반영하고 있지 못하는 것을 보여준다고 해석할 수 있고 이는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목표가 구체적이지 못하고 추상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따라서 교육과정상의 목표와 내용을 제대로 반영하는 검인정 교과서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구체적이고 명시적으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며 교재 제작자들은 이 목표와 내용을 최대한 충실히 따라야 할 것이다. 둘째, 2001학년도부터 2005학년도까지의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듣기․말하기 영역을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종합적 이해, 이해 및 적용, 적용으로 세분화하여 지난 5년간 출제된 행동영역별 듣기문항의 빈도수를 분석한 결과, 사실적 이해영역의 문항 수는 전체 문항수의 38.82%를 차지하였고, 말하기의 간접적인 평가인 적용영역의 문제는 23.53%, 화자의 심정, 대화나 담화의 목적과 주제를 찾는 종합적 이해력을 요구하는 문항 비율은 18.82%였다. 추론적 이해력을 측정하는 문항의 비율은 전체 문항의 11.76%이고, 이해 및 적용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은 7.06%로 가장 낮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문항 비율 조사결과에서 나타나듯이 대학수학능력시험은 가장 단순한 이해력을 측정하는 사실적 이해영역의 문항수가 너무 많이 출제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의사소통능력측정은 단순한 사실적 이해력 평가만으로 부족하므로 제7차 외국어(영어)과 교육과정 목표, 내용 및 수준에 따라 의사소통 능력을 측정하고자 하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는 추론적 이해나 종합적 이해 등 고차원의 사고능력을 요하는 문항의 수가 더 많이 출제 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수학능력시험 듣기․말하기 영역이라고 명시하고는 있지만 말하기 영역에 해당하는 적용영역의 비중이 너무 낮다고 판단되어 진다. 다음으로 대학수학능력시험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면, 2001학년도부터 2005학년도까지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듣기․말하기 문항간의 상관계수가 상당히 높게 나타났다. 상관계수는 최고 .954(’03-’04), 최저 .714(’01-’05)로 지난 5년간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영어)영역 듣기․말하기 문항 유형이 상당히 유사하게 출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즉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듣기․말하기 영역의 문항들이 정형화되어 있음이 드러났다. 셋째, 대학수학능력시험 듣기․말하기 문항 유형과 검인정 8종 영어회화 교과서 문항 유형간의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교과서는 현대출판사의 영어회화 교과서로 상관계수가 .900이다. ‘화자와 청자관계’를 추론하는 문항을 제외한 11개 유형의 문항이 교과서에 포함되어 있었다. 반면에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 유형과 비교해서 가장 이질적인 교과서는 민중서림의 영어회화 교과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수학능력시험과 민중서림간의 상관계수는 .343으로 문항 유형 분포 측면에서 상당한 차이를 드러냈다. 교과서와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듣기문항유형에 대한 상관계수가 교과서 별로 큰 차이를 보이는 것은 일선 학교에서 어떤 출판사의 교과서를 선정하느냐에 따라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준비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회화 교과서는 일차적으로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를 충실히 반영하여야 하고, 또한 가급적이면 학생들의 현실적인 목표인 대학수학능력시험에서 고득점을 달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학교교육의 정상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넷째, 영어회화 교과서에 대한 만족도 설문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연구대상은 경기도 소재 4개교의 교사 22명과 고등학교 2, 3학년생 223명이고 응답자들이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는 3개 출판사-능률영어사, 지학사, 천재교육-이었다. 교과서 난이도에 대해 학생집단이 교사집단보다는 교과서의 난이도가 더 높다고 응답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57%의 학생과 81%의 교사가 교과서의 난이도가 ‘낮다’ 또는 ‘매우 낮다’라고 응답했다. 즉 영어회화 교과서의 난이도가 낮아서 학생들의 학습의욕을 떨어뜨릴 수 있고 교과서를 활용한 수업이 학생들을 지루하게 만들 수 있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교재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묻는 문항에는 18%의 학생과 9%의 교사만이 현재 교수․학습하는 교과서에 만족한다고 응답했다. 극소수의 학생과 교사가 현재 수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과서에 대해 만족하고 대부분의 학생과 교사 모두 현재 사용하는 교재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리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영어교육과정에 제시된 교육목표에 부합하는 교과서 제작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좀더 구체적으로 진술되어서 교재 제작자들 마다 다른 해석을 하지 않고 검인정 교과서 간에 서로 상관관계가 높은 교과서를 만들고, 교재와 교사와 함께 교육의 3대 요소인 학습자들의 요구에 적합한 교재를 제작하는데 본 연구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를 바란다. 우리나라처럼 외국어로서 영어를 배우는 환경에서는 영어학습에 있어서 교과서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므로, 본 연구가 최적의 교과서를 선정․지도해야 하는 교사들에게 교과서 선택과 활용에 도움을 주고, 교과서 제작자들에게는 더 나은 교과서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The Comparison of Listening Question Types in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and CSAT Lee, Jung-min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 types in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in comparison with those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Both high school textbooks and CSAT ar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whose the objective is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ies in English. In reality, howeve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ain goal of English learning is to achieve as high grade as they can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that is CS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hether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contain the same types of listening questions as CSAT and how much learners and teachers find satisfaction in their textbooks of the English Conversation course at school. This thesis has two parts: the comparison of the listening question types in 8 authorized textbooks and those in CSAT and the analysis of survey data on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223 high school students and 22 Korean English Conversation course teachers in Kyonggi province. The finding of the comparison of the question types show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CSAT - 8 authorized textbooks are quit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 most homogeneous textbook in terms of the listening question types in comparison with CSAT is the textbook published by Hyundai publishing compan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SAT - Hyundai publishing company is .900. Hyundai deals with all types of CSAT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s, except one. Meanwhile, Minjung Press turns out to be the most heterogeneous textbook.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SAT - Minjung Press is merely .343. As for the data on the satisfaction with textbooks, three out of 8 authorized textbooks were evaluat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this research. They includes textbooks published by Neungnyul, Jihaksa, and Cheonjae Education. The survey reveals that those three textbooks satisfy neither Korean English language teachers nor learners. Only 18% of the students and 9% of the teachers are in favor of their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level of the books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teachers and students. Over 57% of the students and 81% of the teachers found that the level of their textbooks are rather low for the learners. That means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are not challenging enough to the high school students. As far as the content of listening activities in the books are concerned, no more than 10.8% of the learners and 18.2% of the teachers thought the content of the activities were fun and well-organized. In conclusion, both teachers and students have a negative opinion of their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The lack of interesting content and topic, the amount of learning per lesson, tedious listening activities and the low degree of difficulty in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failed to make the users feel content with their English Conversation course books . In EFL environment, materials play a significant role i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Good and qualified textbooks should be the ones which fulfill learners and teachers' need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a slightest idea and helpful tips to textbook designers as well as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course teachers who design or select the course books. The Comparison of Listening Question Types in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and CSAT Lee, Jung-min Department of English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The research attempts to investigate the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 types in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in comparison with those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Both high school textbooks and CSAT are based on the National Curriculum whose the objective is to improve students' communicative language abilities in English. In reality, however, Korean high school students' main goal of English learning is to achieve as high grade as they can in the college entrance exam, that is CS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whether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contain the same types of listening questions as CSAT and how much learners and teachers find satisfaction in their textbooks of the English Conversation course at school. This thesis has two parts: the comparison of the listening question types in 8 authorized textbooks and those in CSAT and the analysis of survey data on textbook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223 high school students and 22 Korean English Conversation course teachers in Kyonggi province. The finding of the comparison of the question types shows tha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CSAT - 8 authorized textbooks are quite different from one another. The most homogeneous textbook in terms of the listening question types in comparison with CSAT is the textbook published by Hyundai publishing company.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SAT - Hyundai publishing company is .900. Hyundai deals with all types of CSAT listening comprehension questions, except one. Meanwhile, Minjung Press turns out to be the most heterogeneous textbook. The correlation coefficient for CSAT - Minjung Press is merely .343. As for the data on the satisfaction with textbooks, three out of 8 authorized textbooks were evaluated by teachers and students in this research. They includes textbooks published by Neungnyul, Jihaksa, and Cheonjae Education. The survey reveals that those three textbooks satisfy neither Korean English language teachers nor learners. Only 18% of the students and 9% of the teachers are in favor of their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nly in the level of the books between the two subject groups, teachers and students. Over 57% of the students and 81% of the teachers found that the level of their textbooks are rather low for the learners. That means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are not challenging enough to the high school students. As far as the content of listening activities in the books are concerned, no more than 10.8% of the learners and 18.2% of the teachers thought the content of the activities were fun and well-organized. In conclusion, both teachers and students have a negative opinion of their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textbooks. The lack of interesting content and topic, the amount of learning per lesson, tedious listening activities and the low degree of difficulty in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failed to make the users feel content with their English Conversation course books . In EFL environment, materials play a significant role in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Good and qualified textbooks should be the ones which fulfill learners and teachers' need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offer a slightest idea and helpful tips to textbook designers as well as high school English Conversation course teachers who design or select the course books.

      • 초국가적 공간 내의 이주민 관계 연구 : 한국의 사설 외국어학원의 화인 강사를 중심으로

        장설교 韓國外國語大學校 國際地域大學院 2020 국내박사

        RANK : 249679

        This study aims to look at the everyday experiences of immigrant labor at private language institutes in Korea, which will point to a scene of commercialization in a transnational space. The purpose is to examine immigrants working in the white-collar service sector amid the current of multiculturalism in the country. The following ethnic Chinese groups with different immigrant backgrounds are reviewed: hanjok (Chinese), joseonjok (ethnic Koreans from China), and hwagyo (ethnic Chinese residents in Korea). These groups will demonstrate the dynamism of interactions across and within immigrant populations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author of this study has taken a job as an instructor at a private language institute in Korea, observing the ethnic Korean instructors, other employees, students, the other native-language instructors, and Chinese instructor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welve Chinese instructors from hanjok, joseonjok, and hwagyo groups. Theories on the transnational spaces of consumption, immigrant relations, and Chinese diaspora have applied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the Chinese instructors. This study shows how different groups of Chinese instructors are reconstructed by the space of private language institute in Korea, in terms of their position, status, network, and identity. As for the position of Chinese instructors in the private language institute, hanjok represents the ‘authentic Chinese.’ Being the native-language Chinese trusted by Koreans, they hold the center position in the group of Chinese instructors. Joseonjok instructors are in a position that requires them to hide their identity to be hired by a language institute due to the negative image of joseonjok in Korea. Hwagyo instructors are locals born and raised in Korea. However, at a language institute, they highlight how they are different from ethnic Koreans and stress their status as ‘ethnic Chinese.’ Korea’s private language institutes reconstruct the identity of three different groups of Chinese instructors in this manner. Their position in this space is determined by the Korean desire for the consumption of transnational spaces. Two types of commercialization drive the differenti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ethnic Chinese groups: first, local people consume transnational spaces leading to commercialization; second, the status of immigrants gets commercialized as a result. Next, the interpersonal relations constituted by the language institute will be reviewed. In the bilateral relations between the ethnic Chinese and ethnic Koreans, the most crucial factor is whether there is a community of interests between both parties. The relational bond is the strongest when there is a joint lecture by the instructors from both parties. When there is none, they tend to maintain a distant relationship without crossing paths with each other. As for the cooperation with ethnic Koreans, each Chinese instructor group takes a different stand. Hanjok instructors neither feel pressure for the cooperation nor particularly care for it, since to form a community of financial interest with Koreans do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ir income or position in the language institute. Joseonjok instructors take advantage of their Korean proficiency and build an intimate cooperative relationship with their Korean counterparts, promoting their position in the language institute. In this process, they establish a hierarchical relationship with Koreans. Hwagyo instructors regard their Korean colleagues as competitors and, therefore, do not feel comfortable to have a close connection. Thus, each group has a different relationship with ethnic Korean instructors. Their different backgrounds and resources of immigration, as well as the respective positions in Korean society, work to create such differences. As for within-group relations, hanjok people believe that they are the center of the Chinese instructor group. They do not feel too concerned or watchful about their joseonjok or hwagyo colleagues on the periphery. The joseonjok feel superior to the hanjok since they are much more knowledgeable about th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y also have a different relationship with the hwagyo depending on the latter’s origin—Taiwan or mainland China. The hwagyo are old-comers whose ‘translation’ has been completed in Korean society, and, as old-comers, they tend to ally with the hanjok to have an advantage over ethnic Korean competitors. At the same time, their attitude toward joseonjok is similar to that of ethnic Koreans. Within the hanjok group, the level of closeness differs according to the purpose of immigration. Within the joseonjok group, the ethnic homogeneity does not have a bonding role. Meanwhile, within the hwagyo group, the sense of homogeneity arising from the immigrant experiences plays a critical part. The relations with Chinese groups are complex and multilayered in this manner. According to the reasons for immigration or the status of sojourn in Korea, they create an alliance or a hierarchy, building a diverse and dynamic Chinese network at the private language institute in Korea. The reconstruction of transnational identity by the Chinese in transnational spaces, including private language institutes, is related to their choice for the future. While the hanjok instructors or the ‘authentic Chinese native speakers’ remain proactive in their relationship with Korean students, they have a weak relational bond in Korean society in terms of sentiment, language, and kinship. Due to the regulatory constraints for visa status, it is difficult for them to have long-term employment at private language institutes. They make a flexible choice for the future, changing jobs, finding a job in China using their experiences in Korea, or immigrating to another country. The joseonjok instructors have a transnational identity that combines ethnic Korean and ethnic Chinese. In choosing their future, they use the transnational identity: while they have Korean language proficiency and kinship, they have been born and raised in China. Accordingly, they come and go across the two countries, pursuing a financially better life. The hwagyo instructors also have a transnational identity. By nationality, they are Taiwanese; by bloodline, they come from Shandong Province, China; by place of sojourn, they are residents of Korea. The hwagyo instructors believe that they are the ‘Chinese of another level’ differentiated from the new hwagyo, and they do not identify themselves with one specific place— neither mainland China nor Taiwan, nor Korea. They take advantage of such transnational identity as social capital as they live in Korea. This study demonstrates four noteworthy aspects. First, it goes beyond an analysis of phenomena and points to a possible theorization for a new transnational space of consumption that combines the characteristics of a multicultural space, a contact zone, and a transfer space. Second, the study goes one step further from the limited perspectives of regional policy or tourism studies, examining a ‘private institute’ as a transnational space from a perspective of Korean studies. It is a commercialized space, but it can still show one aspect of Korean society that is becoming multicultural. Third, it is more than a selective analysis of immigrants—it is a three-dimensional analysis among and within immigrant groups. Fourth, the study looks into the life of Chinese native-language instructors. While they are immigrant laborers, they are virtually intellectuals who have power and demonstrate the new labor experiences of multicultural subjects. 본 연구는 화인 강사의 일상적 이주 노동 경험을 통해 한국의 사설 외국어학원이라는 초국가적 공간의 상품화 현장을 보여주며, 화이트 컬러 서비스 직종에 종사하는 이주민을 변화하는 한국 다문화 흐름 속에서 조명하고자 한다. 특히 이주 배경이 다른 화인 종족집단, 즉 한족, 조선족, 화교를 통해 한국의 이주민 집단 간 및 집단 내 상호작용의 역동성을 입체적으로 보여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한국의 사설 외국어학원의 실제 강의 업무에 참여하는 한편, 한국인 강사 및 직원 수강생, 화인 강사에 대한 관찰을 실시했다. 그리고 한족 강사, 조선족 강사, 화교 강사를 중심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화인 강사의 실제 경험 자료를 확보했다. 이어서 화인 강사의 경험을 초국가적 소비 공간 이론 및 이주민 관계 이론, 화인 디아스포라 등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연구 결과, 같은 화인 종족집단이지만 한족 강사, 조선족 강사, 화교 강사의 한국 사설 외국어학원에서의 입지 및 신분, 네트워크, 정체성이 각자 학원 공간에 의해 다르게 재구성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