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현직교사의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 수학 경험 연구

        석재현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a representative program of the teacher re-education process, but the number of major installations and freshmen is decreasing. The study sought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incumbent teachers in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s. To that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cumbent teachers who studied at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operated on a seasonal ba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Motives for applying for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urned out to be "Extremely for students," "to see the forest of education," and "a spoonful of promotion." The course experience was shown as "school field rather than theory,"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time of healing camp," "like Argos' eyes," "papers is that student do for oneself" and "fellowship like soldiers". The use of experience has been shown as 'use the knowledge of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in the school field',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f education polic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reflection on teaching life'. Through this experience, the meaning of the major in education administration turned out to be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at we are doing now," while the overall experience in the re-education proces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urned out to be "the sweet and salty experienc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은 교사 재교육과정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나, 최근 전공 설치와 신입생 수가 감소하고 있다. 이 연구는 현직교사가 교육행정 전공에서 과연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계절제로 운영되는 국립의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한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직교사의 지원 동기는 ‘궁극적으로는 학생을 위하여’, ‘교육이라는 숲을 보기 위해서’, ‘승진 한 숟가락’으로 나타났다. 과정 경험은 ‘이론보다는 교육현장’, ‘교육시스템에 대한 공부’, ‘힐링캠프의 시간’, ‘아르고스의 눈과 같이’, ‘논문은 스스로’, ‘전우애’로 나타났다. 경험 활용은 ‘교육행정 전공의 지식을 현장으로’, ‘교육정책의 이해와 수용’, ‘교육 환경에 대한 이해도 제고’, ‘교직 생활에 대한 성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교육행정 전공의 의미는 ‘우리가 지금 하는 것이 곧 교육행정’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은 ‘단짠단짠 교육대학원 경험’으로 나타났다.

      • 초등교사의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 연구

        신혜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2021년, 교육부는 ‘초ㆍ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을 발표했으며 주요 내용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기능을 강화하고, 교원양성 기능을 대폭 축소하겠다는 것이다. 국가의 정책 전략과 더불어 현직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육대학원의 교사재교육 기능의 강화를 위한 방향과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교육대학원의 교사재교육 기능과 관련하여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하고 졸업한 초등교사의 경험을 통해 의미를 탐색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교사는 왜 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가, 둘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에서 교사는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셋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은 교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연구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2011년~2021년 사이에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초등 교사 1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해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녹음한 면담 내용을 전사해 4차례의 분석 과정을 거쳤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이유는 인정받는 교사가 되기 위해, 진로를 위한 보험 차원에서, 소진 상태를 회피하기 위해서, 또 특정 교육대학원을 선택한 이유를 통해 교육대학원을 지원하는 동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는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과정 속에서 학교 현장에 활용되는지에 많은 관심을 나타냈고,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수업을 듣고 적응을 하면서 수업을 대하는 태도에 변화를 보였다. 또 대학원 생활에서 논문을 쓰느냐, 쓰지 않느냐에 큰 의미를 두었고, 교과 전공인지 비교과 전공인지에 따라 수업에 대한 인식에 서로 차이가 있는 모습을 보였다. 학교(직장) 생활과 병행하며 공부하는 교사로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였고, 교육대학원을 다니는 동안 교육과정 안에서만 교류를 갖는 것이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에게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과정 경험은 계속 배움의 길로 이어지도록 하였으며, 교육에 대한 시야를 확장시켰고, 학교 현장에 활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모습은 연구참여자 중 소수에 해당되었고, 변화의 활용의 모습은 일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기능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retraining in-service teachers and fostering teacher education as a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However, the ambiguous par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led to problems with diversity in educational curricula, lack of quality management, and ineffective operation due to the mixture of its roles and demands for improvement continued. In 2021, the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a plan for improvement measures in educat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strengthening re-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with reduced function for teacher training. Establishing direction and strategy to support the graduate school's re-educating operations to enhance in-service teachers' professionalism with national policies is critical.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studied and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lated to the re-education of teachers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i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ed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y do teachers apply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hat and how do the teachers experience during the re-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rd, what do the teachers learn from re-education experienc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etween 2011 and 2021 were chosen as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our analysis processes by transcribing the interviews recor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aso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pply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various with motivation to be a recognized teacher, to secure a career, to avoid exhaustion, and to choose a specific graduate school. Second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great interest in whether they were used in the school field in the re-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hanged their attitude toward classes while taking classes and adapting to course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y put a significant meaning on whether to write a thesis or not in graduate school,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classe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subject courses or extracurricular. In-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studying and working simultaneously and only had exchanges within the curriculum while attending graduate school. Thirdly, the experience of re-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k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tinue learning, expanding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us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school field. However, only a small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such features and utilized such chang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re-education func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 개념적 접근 방법을 활용한 음악 학습 지도 방안

        송지영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하나의 음악적 경험을 통해 개념이 형성되면 그 개념은 다음 경험을 더 풍부하게 만들며, 처음 학습되어진 개념을 변화하고 확대시킨다. 이러한 학습의 전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 음악의 기본적인 ‘구조’, 즉 ‘개념'의 이해이다. 보다 효율적인 학습을 하기 위해서는 ‘개념적 접근 방법’, 즉 모든 음악적 활동의 기초가 되는 음악 개념의 이해를 중심으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음악에서의 개념은 음악의 구성 요소를 의미한다. 음악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학자들마다 견해를 달리하고 있으나,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영역에서는 음악의 개념을 리듬, 가락, 화성, 형식, 셈여림, 빠르기, 음색의 7가지로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음악 개념들은 또한 하위에 세부적인 음악 개념들을 포함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에 ‘개념적 접근 방법’을 적용함으로써 음악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이를 통해 하나의 음악적 개념을 다른 모든 작품에도 적용시킬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음악교육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개념적 접근 방법’을 음악교육에 적용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 다루는 내용과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념적 접근 방법’의 의미와 중요성을 고찰하고, ‘개념적 접근 방법’을 적용한 예로 지적 발달 과정에 따른 개념의 형성 과정과 나선형 교육과정, 직관적 사고에 대해 살펴보았다. 둘째, ‘개념적 접근 방법’을 음악 교육에 적용한 예를 고찰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실제 수업에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지도안을 구상하기 위해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의 이해영역에서 제시한 음악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았다. 셋째, 제 7차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음악의 개념 중 리듬, 협주곡, 빠르기의 세 가지 개념을 선정하여 학습 방안을 모색하였다. 선정한 음악 개념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각 음악의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악곡들을 다양하게 제시하여야 하고, 해당 개념을 학생 자신들의 의도에 따라 자유롭게 표현하는 창의적 표현학습이 병행되어야 하며, 학습한 음악 개념에 대해 정의적 진술을 내리는 방안을 통해 음악 개념에 대한 이해를 더욱 뚜렷이 정립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작중인물 교육연구 : 염상섭의 『삼대』를 중심으로

        공미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소설의 인물은 소설 속에 등장하는 단순한 인물의 의미로 그치지 않는다. 학습자들은 소설을 읽음으로써 작중인물과 만나고 그들의 삶을 간접 경험한다. 이런 경험은 세계에 대한 인식을 넓혀 나가고, 작중인물의 삶과 가치관을 동일시할 수 있다. 이는 소설 작품을 단순히 이해한다는 차원을 넘어서서 삶의 가치나 방법을 배울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이와 같이 작중인물 교육은 소설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그 의의를 분명히 할 수 있을 것이며, 학교 현장에서 학습자들이 이러한 기능을 잘 수용할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할 필요가 있다. Ⅱ장에서는 2009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문학 목표를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구체적인 문학교육의 목표와 소설교육의 목표를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현행 고등학교 1학년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소설 작품인 염상섭의 『삼대』의 인물에 대해서 연구하였다. 세대를 중심으로 하여 봉건적 인물, 이중적 인물, 진보적 인물로 나누어 분석해 보았다. Ⅳ장에서는 작중인물 교육의 모형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제시하였다. 작품을 읽기 전 활동, 읽기 중 활동, 읽기 후 활동으로 나누어 인물을 교육하기에 적합한 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물교육의 여러 모형 중에서 적합한 모형을 선택하여 고등학교 수업에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본고는 학습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인물지도 방안을 구체적으로 마련하여 학습자들이 소설 작품을 즐겨 읽을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 소설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 데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고의 작중인물 지도 방안을 보충하고 새로운 지도 방안을 더 많이 모색하여, 교육 현장에 적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Characters teaching. Among those various fictions included in the textbook, this paper is focusing on the "Third Generation" by Sang-Seob Yeom. This selection is suitable for teaching the character of the novel, has a very high educational effect. The Characters of a novel are not just simple characters in the novels. Learners can meet the characters and go through their lives by reading novels. Thanks to these experiences, they are able to widen an awareness of a world and to identify themselves with a life and value of characters of a novel. It has an importance in that learners can find the value and style of living beyond a dimension that they simply understand the work. Therefore, teaching the characters of a novel has a critical status in novel education. We should ensure of that meaning and need to guide for learners to accept the functions. In chapter Ⅱ, I examined the purpose of literature in 2009 Revised Korean Curriculum and proposed a new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and novel education. In chapter Ⅲ, I studied the characters of ‘Third Generation' by Sang-Seob Yeom which is included in current Korean high school textbook for the 10th grade. I analyzed the types which are based on feudal, hypocritical, and progressive. In chapter Ⅳ, I specifically presented a model of teaching on the characters of the novel which consists of before-reading, during-reading, and after-reading activities to be suitable to teach the characters. Also I made a method for applying a model to classes for the high school. This thesis has an aim to make a proposal on teaching characters of a novel for learners to actively participate in classes and to help realize the ultimate goal of the novel education. I hope that this thesis can provide assistance to further studies by adding and finding the new ways of teaching characters of a novel.

      • 중등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 교육내용 분석 : 중학교 1학년 다문화 관련 단원을 중심으로

        김은하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재 한국은 국제결혼의 증가와 외국인 노동자, 새터민(북한이탈주민)의 급격한 유입으로 빠르게 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가치와 공존을 중시하는 다문화 교육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7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 5종의 다문화 관련 단원인 5개 단원을 기준으로 다문화 내용요소를 얼마나 반영하고 있는지 내용과 영역별 비중 분석을 통해 다문화 교육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분석의 결과와 논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의 영역별 편차가 심하며, 내용요소도 부족하다. <표Ⅵ-2>에서 살펴보았듯이, 각 영역별 편차를 살펴보면 다양성에 대한 내용이 약 37%인 반면, 편견에 대한 내용은 약 8%, 협력에 대한 내용은 약 3%밖에 되지 않았다. 둘째, 타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는 가치․태도적 측면의 내용이 부족하다. 예컨대 다양성 영역에서 보면 다양한 문화 소개의 비중은 약 60%, 상대성 영역에서 문화교류에 대한 비중 약 51%로 높은 반면 문화에 대한 편견이나 타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하지 못해 나타나는 문화 갈등 사례는 약 9%였다. 셋째, 기존의 한민족 중심성, 주류 집단 중심성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예컨대, 정체성 차원에서 살펴 볼 때, 한국, 한국인, 한국문화, 한류 등 한국의 우수성과 자긍심을 키우는 내용은 다수인 반면,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고 있는 다문화 사회에서 다양한 문화의 가치를 존중하는 내용은 부족하였으며 주류 중심성에서 벗어나기 위한 다양한 소수집단의 내용도 부족하였다. 기존 교육과정 보다는 다양한 민족 집단이 소개되었지만 그 사례가 한정적이었으며 분석한 모든 교과서가 아닌 몇 개의 교과서에서 살펴 볼 수 있었다. 넷째, 한국의 다문화 사회로의 변화에 대한 내용을 다루면서 외국인 근로자와 국제결혼의 증가에 대한 내용은 새롭게 추가 되었으나 새터민에 대한 내용은 거의 없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근거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교육의 올바른 이해와 다문화 교육내용요소의 체계화를 위해서는 다문화 교육에 대한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 둘째, 현장 교사들이 다문화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차원의 국가적 지원이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교육은 교과내용만으로 이루어지는 교육이 아닌, 일종의 사회운영원리이자 이념이므로 실제 다문화 수업 현장에서는 어떠한 일들이 일어나고 있는지 면밀히 검토하는 경험적인 분석도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With the increase of international marriage and drastic inflow of foreign workers and saeteomins (residents from North Korea), Korea has quickly turn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ccordingly,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places importance in diverse values and co-existence emerged as important task. Therefore, this study has attempted to find out how well the social studies textbooks of the first year students in middle school following the revised curriculum in 2007 reflecting the multi-culture contents through the analysis of ratio for each content and territory. The detailed study purpose is shown as follows. First, the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eletes the contents of single race country and adds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to reflect more of the present multicultural society reality a little more. The detailed revision contents is to be found out hereto. Second, the textbook by the2007 Revised Curriculum is applied in sequence from the first year student in middle school in 2010. The analysis is undertaken to find out what is the conten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ratio for each territory as shown on the social studies textbook of the first year student in middle school. And thir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result, the points of improvement in the social studies textbook have to be find out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foregoing study purpose, this study is to take a look at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the social reality to quickly changing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need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re found out. Second, after taking a look at the concept, objective and content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 analysis standard of the social studies textbook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be undertaken. Third, the relativity of the social studies education an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2007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have to be looked at. Fourth, by selecting 5 types of social studies textbook for first year student in middle school following the2007 Revised Curriculum, it is to analyze the context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on the basis of diversity, relativity, identity, equality, removal of bias, and cooperation. And, fifth, by comprehensively clear the analysis result, it proposes the direction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under the social studies. The result and discussion of the analysis implemented on its basis are shown as follows. First, the deviation for each territory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as severe and it lacked the content element. As shown on the <Table Ⅵ-2>, looking into the deviation for each territory, the contents on diversity was approximately 37% while the contents on bias was approximately 8%, and the content on cooperation was approximately 3% only. In addition, the contents related to the change into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Korea are not shown in all textbooks but shown on 2-3 textbooks for each territory. Therefore, there was a limit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systematic ways. Second, contents of value and attitude aspect to understand or respect other cultures are insufficient. For example, the ratio of the diverse culture introduction looking from the diversity territory was approximately 60%, the ratio on the cultural exchange in the relativity territory was approximately 51%, and the culture conflict case shown for not understanding or respecting the other cultures or bias on culture was approximately 9%. Third, it has not been greatly deviated from the Korean centered and main group centered aspect of the past. For example, looking into the identity level, contents to advance excellence and pride of Korea, Korean, Korean culture, hallyu and others are prevalent while the contents to respect the value in diverse culture co-exist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and the contents of minority group to breakaway from the main stream centered aspect. Rather than the existing education course, diverse ethnic groups are introduced but the cases are limited, and it is shown in a few textbooks, not in all textbooks analyzed. And, fourth, contents on the increasing foreign workers and international marriage have newly added, but the contents on sateomin was almost non-existence. In particular, Korea with its characteristics as the divided nations is expected to require education on bias-free education on sateomins as a part of education for peaceful unification that such contents have to be added. The proposal to present this analysis result is shown as follows. First, for th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systematization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contents, there is a need of guideline o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Unlike the 7th education program, the2007 Revised Curriculum has mentione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directly and it was reflected o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but it presents the contents related to the multicultural education very abstractly. Therefore, unde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there is a need to develop the guideline to present the objective and contents element of the concrete multicultural education for each class and objective territory. Second, there is a diverse level of national support for on-site teachers to efficiently implemen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n other words, the national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to make efforts for systematic improvement for teaching-learning support method, diverse learning data provis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for teachers involv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ird,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s a type of social principle and ideology, not just an education formed with the curriculum contents that it has to make the empirical analysis to closely review what is going on at the multicultural class sites.

      • 중학교 과학 영재교육 운영에 관한 연구

        이정래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63

        Educating the talented who will create and lead knowledge and information has come to the fore as a crucial issue to enhance national competitiveness in the 21st century. The world has put an effort and investment in the field of education for the gifted so as to foster the talented. The United States and Israel started educating the gifted a long time ago and took the lead in the area. This thesis aims to take a look at the education for the gifted of the United States and Israel, compare it to that of Korea and figure out drawbacks and solutions for Korean education for the gifted. The U.S. government has been putting a lot of efforts to improve the quality of education for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through a variety of curriculums and special programs designed for them. It offers students a wide range of choices to apply for a curriculum and provides one on one lessons depending on students' level. Furthermore, a solid connection from elementary school to high school has been built up and qualified teachers who have received teacher training program and held Master's or Doctor's degree from prestigious universities under the aegis of government are fully in charge of education for the gifted. Education for the gifted of Israel aims to turn out excellent students with Multiple Intelligence by not only focusing on science education but also offering students a chance of encountering other various learning fields such as mathematics, art, history, geography, and so on. It lays the groundwork for success from early childhood and runs in-depth advanced program until high school. It also assigns outstanding instructors into educational field. The thesis has found out drawbacks of Korea's education for the gifted comparing it with those of the United States and Israel, which has led to solutions such as designing a curriculum to educate the gifted, tightening up and developing leadership programs, assigning qualified teachers and promoting their professionalism and extending high school education for the gifted. 21세기 글로벌 시대에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창의적 지식과 정보의 창출 및 이를 주도해 나갈 인재의 양성이 중요한 핵심 과제로 대두되었으며 자국 발전을 위한 핵심 과학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이미 세계 각국은 우수한 과학 인재들을 양성할 수 있는 영재교육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다방면의 투자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미국과 유럽 및 이스라엘 등 선진국들은 이미 영재교육의 기틀을 마련하여 다양한 영재학교, 영재센터, 영재교육 프로그램 등 학생들의 능력과 수준에 맞는 영재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여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노력해 나가고 있다. 본 논문은 미국과 이스라엘의 영재교육을 우리나라의 영재교육과 비교하여 살펴보고 우리나라 중학교 영재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미국의 영재교육은 속진교육과 심화교육을 교육제도 안에서 허용하며 다양한 교육 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영재교육의 운영에 있어서도 교육과정, 교수법, 영재교육프로그램 등이 획일화되어 있지 않고 학교별, 영재교육센터별로 탄력적이며 신축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따라서 이런 다양한 운영과정에서 조기진급과 조기 졸업이 가능하고 상급학교의 진학에 나이 규제를 받지 않는다. 또한, 미래사회에 필요한 리더를 키우기 위해서 오랜 기간 국가적으로 인적․물적 자원을 공급하고 영재담당교사의 연수기회 확대와 많은 열정 있는 교사들이 영재교육에 힘쓰고 있다. 이스라엘의 영재교육은 어렸을 때부터 가정에서 영재교육이 이루어지며 한 분야의 전문가를 키우기 보다는 모든 분야를 두루 통합할 수 있는 전인 발달을 목표로 한다. 이런 교육 목표를 이루기 위해 과학 영재교육에서도 과학 분야 이외의 예술, 수학, 문학 등 다양한 분야의 교육을 함께 실시한다. 영재교육 프로그램도 지적능력이 빠른 학생을 진급시키는 속진학습을 배제하고 심화학습에 중점을 둔다. 심화학습 프로그램들은 창의력을 발달시킬 수 있는 내용으로 구성되며 영재에 관해 전문적 지식을 갖추고 있는 우수한 영재교사들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연구에 나타난 우리나라 영재교육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몇 가지를 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는 영재교육 목표에 도달할 수 있도록 영재교육과정의 다양한 운영 방식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는 우수한 영재 교사를 양성하고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영재교사의 연수 증가와 인력의 증대 및 전담교사제가 필요하다. 셋째는 리더십 프로그램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시급하다. 넷째는 초․중․고 영재교육의 연계성 유지를 위해 고등학교의 영재교육의 확대가 필요하다. 따라서 우리는 외국의 우수한 영재교육제도를 받아들이면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고쳐나가고, 교사, 학생, 학부모, 지역, 국가의 협력과 인식 제고를 통해서 개인은 자아실현을 국가는 경쟁력 강화를 이루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중등 교원의 직무영역별 연수 실태 및 요구 분석

        홍정화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에서는 유능한 교사는 자신의 직무영역을 잘 이행해내는 교사라는 전제하에 전문가인 교사가 하는 직무를 7개의 영역으로 나누고 각 영역의 전문성 신장을 위해서 연수 프로그램이 얼마나 제공되고 있는지 자료를 분석하고, 중학교 교사의 직무영역별 연수실태와 연수 요구는 어떠한지를 중학교 교원의 인식 조사를 통하여 살펴보고 교원연수 정책 수립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교 교사를 위해서 직무영역별 연수 프로그램이 얼마나 제공되고 있는지 자료(공문)를 분석한다. 둘째, 중학교 교사의 직무영역별 연수 참여 실태는 어떠한지 분석한다. 셋째, 중학교 교사의 전문성향상을 위한 직무영역별 연수요구(연수의 필요성, 바람직한 연수 시간, 연수주기, 연수 방법, 연수 지도자, 전문성 신장의 최적의 방법, 원하는 연수 주제)는 어떠한지 분석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계문헌을 수집하고, 2008년 연수관련 자료(공문)을 분석하였으며, 질문지를 이용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료(공문) 분석은 2008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대전광역시 중학교에 송부되어온 연수 프로그램 안내 관련 공문을 분석하여 7개의 직무 영역별 연수 프로그램으로 분류․정리하였으며, 질문지는 김이경외(2005)의 직무수행 기준을 이용하여 7개의 직무영역을 설정하고 진재훈((2004)과 김의규(2003), 김혜숙외(2002)의 설문 조사 문항 중 일부를 인용 혹은 추가․편집하여 작성하였으며 이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연수 실태와 연수 요구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단순 무선 표집으로 선정된 대전광역시 교육청에 소속한 중학교에 근무하는 교사 4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처리를 위하여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Cronbach α, t검증, F검증, Scheffe' 방법을 이용한 사후분석, 다중응답분석 등의 통계적 방법으로 하였다. 통계처리에 의해 밝혀진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직무 영역별 프로그램 수가 수업 지도, 학생 지도, 학교 경영 지원, 기타(자기개발) 영역 연수 프로그램은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으나 학급 경영 영역,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영역,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영역은 연수 프로그램이 많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둘째, 2007년부터 2008년까지 2년 동안 이루어진 직무영역별 연수 실태에서 교사들은 수업 지도, 기타(자기개발), 학생 지도 영역 순으로 연수를 많이 받았고, 다음으로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학급 경영, 학교 경영 지원 영역,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영역 순으로 나타났다. 수업지도 영역은 경력이 적은교사, 담임교사, 공립학교 교사가 연수를 많이 받고 있었으며 특히 영어교사의 연수 실태는 97.7%에 이르고 있어 영어 중요성에 대한 사회적 분위기의 압박감이 큰 작용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학생 지도 영역은 부장 교사와 공립학교 교사가, 학급경영 영역은 경력이 적고 담임인 교사가, 기타(자기개발) 영역은 비담임 교사, 공립학교 교사, 예체능과 기타과목 교사의 연수 비율이 높았다. 학교교육과정 편성 운영,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운영 영역, 학교경영지원 영역의 연수 이수 실적은 매우 낮은 편이나 연수 요구도는 보통 이상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연수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보완이 필요하다고 보여진다. 셋째, 직무영역별 연수 요구에 대해서 연수의 필요성, 바람직한 연수 시간, 주기, 직무영역별 전문성 신장의 최적 방법, 바람직한 연수 방법, 연수 지도자, 직무영역별 필요 연수 주제 순으로 서술한다. 연수의 필요성에 대하여 수업 지도, 학생 지도, 학급 경영, 기타(자기개발) 영역에서는 5점 척도를 기준으로 평균 4점(필요하다)을 상회(4.41 ~ 4.07)하여 연수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강하고,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학부모 및 대외 관계, 학교 경영 지원에서는 3.65 ~ 3.40으로 필요한 쪽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급 경영 영역은 연수 필요 요구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제공된 연수 프로그램이 충분치 않아 연수 실태도 낮아 보인다. 직무영역별 1회당 가장 바람직한 연수 시간으로 수업지도, 학생지도, 학급경영, 기타(자기개발)영역은 16-40시간, 학교교육과정편성운영, 학부모 및 대외관계, 학교경영지원 영역은 15시간 이하를 선택하였다. 45-60시간에 비해 낮은 것은 60시간 연수의 평가 중압감과 전문성 신장을 필요로 하면서도 학습의 중압감이 겹쳐 적은 연수 시간을 택하였으며 15시간 이내 연수는 전문성 신장 기능으로서의 연수 시간으로는 적은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직무영역별 연수 주기에 대하여 수업 지도 영역은 1년에 한 번, 학생 지도, 학급 경영, 기타(자기개발) 영역은 2년에 한번,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학부모 및 대외 관계, 학교 경영 지원 영역은 3년에 한번을 선택하였다. 이 자료는 가장 중요한 연수의 직무영역 순서를 표현한 것으로 보여진다. 직무영역별 바람직한 전문성 신장 방안으로 수업 지도 영역에서는 동료 자문 및 연구회 활동을 선택하였으며, 학생 지도, 학급 경영,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학교 경영 지원 영역에서는 연수기관연수(연수원 등)을 선택했고, 학부모 및 대외관계 영역에서는 학교 내 자율연수를, 기타(자기개발) 영역에서는 민간기관 연수를 선택하였으나 연수기관연수(연수원 등)도 선택율이 높다. 직무영역별 바람직한 연수 방법으로 수업 지도, 학생 지도, 학급 경영,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영역에서는 사례 및 분임토의 방법을,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영역에서는 강의식 수업을, 기타(자기개발) 영역에서는 실기실습을 가장 많이 선택하고 있다. 사례 및 분임 토의 방법을 선호하는 이유는 학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연수를 받으려는 교사들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직무영역별 바람직한 연수 지도자로는 수업 지도, 학생 지도, 학급 경영,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영역에서는 부장교사 혹은 수석교사를 선호하고 있으며,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영역은 장학사(연구사)를, 기타(자기개발) 영역은 민간기관 전문인(학원강사)를 선호하고 있다. 이것 역시 현장 응용력을 중요시하는 의사가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 직무영역별 필요한 연수 내용으로는 수업 지도 영역에서는 교과․학습 자료 제작, 학생 지도 영역에서는 생활지도Ⅰ(기본 생활 습관 지도 및 예절지도), 학급경영 영역에서는 학급 경영 방법(일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 영역에서는 학교 교육과정 계획 수립, 학부모 및 대외 관계 영역에서는 문제 사례별 학부모 상담 및 갈등 해결, 학교 경영 지원 영역에서는 각종 위원회 업무(학운위, 인사위, 교육과정위 등) 내용 및 수행 방법, 기타(자기개발) 영역 연수로 어학이 가장 필요하다고 의견을 내고 있다. Teachers perform various things that can be classified into seven job areas in order to teach students professionally. Those things are teaching guidance, student guidance, class management, curriculum organization · management, relationships with parents of students and outside of the school, school administration support, professional development (job training, which is replaced by self development in this study.) These seven job areas are related to each other organically and help the education at school work out smoothly. Teachers need to improve their specialties constantly. This study shows that job training is the best method to improve teachers’ special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follows: First, to analyze how many job training programs are offered to improve secondary school teachers’ specialties in seven job areas in 2008. Second, to inform implications of policy making and improvement through the research of the status of secondary school teachers' job training and their needs for job training in seven areas. This study is measured by analysis of data and questionnaire.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shows high needs for job training in teaching guidance, student guidance and self development areas. Various programs are offered to them for job training and the results are good enough. Second, although the teachers feel high needs for training in class management, they are not provided with enough training programs for that area and the results of the training are not as good as above three areas. There is a need for supply of various and adequate training programs for class management area. Third, the teachers perceive that the job training is more needed in areas of curriculum organization·management, school administration support, and relationships with parents of students and outside the school. Except for the area of school administration support, however, the number of job training programs offered is small and the results of training are much lower than those of above three areas. We need to offer autonomous training programs for each school unit and establish policies and programs to make the teachers participate constantly. In addition, the teachers tend to take more training for self development area than other areas after teaching guidanc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policies for job training for the areas that are related to student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first since they can affect students directly. And the teachers choose the director teacher of the department, the chief teacher, the current principal and the vice principal as the best instructor in the job training courses. The percentage of teachers who prefer to take the real life examples and role playing discussions for teaching method is high. Based on these findings, teachers hope to get mor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and instructors which can apply to their work directly. To improve the teachers’ specialties for each job area, we will create a greater variety of more practical training programs and provide the teachers with them based on teachers’ opinions reflected in this study.

      • K-POP을 활용한 한국문화 교육 방안 연구

        김재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Recently, there is a globally increasing interest on the social culture of Korea, and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trying to learn Korean for various purposes is constantly increasing. There may be various reasons for each individuals trying to learn Korean, but there are many cases where their desire for learning started with favorable impression towards the Korean culture from their learning of various Korean mass media. This is an evidence that the Korean pop culture is seen as quite attractive to foreign learners. Learning a foreign language is not just about becoming proficient at the simple referential function of a language. A fluent communication is only possible with the understanding of the cultural background of the language that is the subject of studying. Being simply good at speaking or listening cannot be called being excellent in linguistic ability, and for the improvement of linguistic ability, it shall also be done a cultural education on the language that is the subject of learning. In this way, various education with a wide scope on Korean culture is necessary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lso, the right understanding in Korean culture by the learners will increase the functional aspect of the Korean language ability for them,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assistance for a fast adaptation in Korean society, which will let them achieve their educational goal in a faster and more effective way. However, in the field of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at present, education on Korean culture is not really being actively carried out. In a modern society that is changing day by day, it is thought that learning Korean culture in the existing education method will be difficult to induce cause or interest of learning or to allow for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in depth for its learners. For this reason, this study recommends plans for education of Korean culture using K-POP, which can relatively be easy to access for the Korean language learners amongst many Korean mass media. In this way, it is believed to help the learner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in depth in an easier and more interesting way at the practical field of Korean education, therefore, serving the purpose of helping them to achieve fluent communication in Korean. Firstly, in Chapter 2, the relationship between linguistic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is studied. Accordingly, it is reviewed in advance how to set up objectives for cultural education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what to teach with the set objectives so that standards are set up based on these. In Chapter 3, teaching materials on Korean language are analyzed to find out how it is performed the education on Korean culture using songs in Korean education at present. Also, a survey is carried out with subjects of students from the first through to the fourth grade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Korean at a university in Thailand to find out the demands of actual students. In Chapter 4, a literature review on various subjects related to K-Pop is carried out to find out about its features. Accordingly, standards are prepared for selecting what to recommend in terms of plans for education on Korean culture. And, it is also discussed the methods of teaching and learning when the plans are implemented on the educational fields, as well as the relevant educational values and some relevant issues that may be raised. In Chapter 5, it is analyzed two K-Pop songs selected as per the recommended standards. Based on the analysis, practical teaching plans on education of Korean culture are recommendedin units. In this study, it is recommended the plans for education on Korean culture using K-Pop, which is largely popular being in the center of the Korean wave. However, the educational plans have limitations as they are not implemented in the real field of Korean education, and it is difficult to prove how effective they would be for the learners in the real educational field. For a study that is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it shall be remedied for the issues by implementing these in actual classes and analyzing the results that follow. In the education of foreign language, the needs for cultural education have already been proven by many researches and there are cultural educations being carried out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ccordingly. However, the reality is that the objectives and the education courses are not clear with only a few variety of education methods. Accordingly,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continuous and new researches on educational plans foreducationinKoreancul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