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재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95

        앱을 활용한 인성교육 기반 초등 진로 교육 연구 최 재 부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윤리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근 호) 본 연구는 코로나19 시기 비대면 교육으로 인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코로나19 시기 비 대면 교육이 교과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축소되거나 형식적인 교육에 그쳤다. 또한,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이 일부 공통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 성교육과 연계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미비하다. 그리고 초중고 학생 들에게 1인 1 기기가 보급되고 있음에도 학생들이 활용할 수 있는 진로교육 앱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 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개념을 바탕으로 두 교육의 관련성을 밝히고, 인성교육 과 진로교육에서 ‘자존감’과 ‘공동체 의식’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며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의 필요성을 밝힌다. 또한 국내 진로교육 현황을 살펴보며 진로 연계 교육과 앱 활용 교육이 필요함을 확인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이 ‘자존감’을 기르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며 다양한 직업과 분야를 경험할 수 있도 록 인성 기반 진로 교육 앱을 개발하고 교수 학습과정안을 만들어 수업에 활용한 과정을 소개한다. 본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연구 방법은 앱을 활용한 수업 중 학습지, 설문조사, 참여 관찰 을 활용하고 효과성 검증을 위해 통계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 한 자존감 측정 방법으로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존감 척도를 이훈진과 원호 택이 번안한 한국판 척도 10문항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긍정적 자존감 5문항과 부정적 자존감 5문항으로 전체 1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식 5점 평정을 따르고 있다. 측정 결과 분석을 위해 IBM SPSSStatistics27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 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을 위해 Cronbachα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표본이 N≤30 이므로 정규분포의 검증을 위해 정규성 검정을 실시하였다. 셋째, 실험군의 앱 활용 전과 후의 자아존중감 척도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해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은 서로 밀접한 관련이 있다. 인성교육을 바탕으로 한 진로교육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적성과 가 치관을 바르게 이해하고, 진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며, 자존감을 향상하 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다른 사람과 더불어 살아가는 삶의 중요성을 느끼 고 ‘공동체 의식’을 함양하는 데 도움이 된다. 나아가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 활용 교육은 학생들이 진로에 대한 정보를 탐색하고, 진로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 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구의 제한점은 초등학생 6학년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규모 연구라는 점이 다.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대상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년과 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 여, 앱의 효과를 보다 종합적으로 검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인성교육과 진로교육의 연계를 통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하 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이루어진다면, 초등학생들의 진로 설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끝으로 인성교육을 연계한 효과적인 진로교육 방법을 개발 하기 위한 연구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인성교육 기반 진로교육 앱의 개발과 보급이 필요하다. 주요어: 진로교육, 인성교육, 인성교육 연계 진로교육, 자존감, 공동체 의식, 앱 활용 교육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손자병법(孫子兵法)과 상담 : 갈등관리를 중심으로

        장호용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손자병법(孫子兵法)과 상담: 갈등관리를 중심으로 장 호 용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본 연구의 목적은 『손자병법』을 중심으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리 단서 를 파악하고 상담학적 접근을 통해 갈등관리의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탐구하고 학교 현장에 적용하여 교육적 의미를 도출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1)『손자병법』을 중심으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 리 단서를 추출할 수 있는가? 2)『손자병법』에서 추출한 갈등관리 단서로 상담학 적 접근을 통해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고안할 수 있는가? 3)『손자병 법』을 통해 정리한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가? 이며 박성희(2008)의 ‘고전에서 상담 지식을 추출하기’ 방법을 활용하였다. 『손자병법』에서 나타난 손자(孫子)의 사상과 갈등관리 단서를 추출하였다. 『손자병법』에서 손자가 추구한 궁극적 목표는 ‘전승(全勝)’이다. 전승이란 온전 하게 승리한다는 뜻으로 손자는 아군과 적군이 모두 온전한 상태에서 아군이 승리 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최고의 가치로 보았다. 손자는 전승을 위해서 최소 비 용으로 최대효과를 누릴 수 있는 ‘효율성 추구’의 마음가짐을 강조하였고, 효율성 을 추구하기 위한 아군의 ‘주도권 장악’의 마음가짐을 강조하였다. 손자는 전쟁에 서 효율성을 추구하며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사전점검표의 역할인 오사칠계(五 事七計)를 활용하였다. ‘지피지기(知彼知己)’의 개념은 적군을 아는 지피와 아군을 아는 지기를 합한 것으로, 적군과 아군을 알고 준비하면 전승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인적이변(因敵而變)’의 개념은 적군의 상황에 따라서 아군이 적절하게 변화하면 전승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손자병법』에서 추출한 갈등관리의 목표와 원리를 상담학적으로 해석하여 구조 화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담자는 ‘지피지기의 원리’를 바탕으로 내담자와 상담자 자신에 대해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상담자는 ‘인적이변의 원리’를 바탕으로 내담자와의 변화에 집중하며 적절한 반응을 하기 위 해 노력해야 한다. ‘지피지기의 원리’의 하위 요소로는 ‘불태’, ‘지피’, ‘지기’로 구조화하였다. 연 구자가 지피지기의 원리를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과의 갈등 상황에 적용하였을 때, 초등학교 교사가 위태롭지 않아야 한다는 마음가짐(불태)을 시작으로 학생을 학생 의 시선에서 바라보며(지피) 교사 자신의 성격과 가치관 등을 파악하며 객관적으로 바라보는(지기) 모습을 도출하였다. ‘인적이변의 원리’의 하위 요소로는 ‘속전속결’, ‘임기응변’으로 구조화하였다. 연구자가 인적이변의 원리를 초등학교 교사와 학생과의 갈등 상황에 적용하였을 때, 교사와 학생 모두 지치지 않게 신속하게 처리하되 학생의 변화에 맞춰 적절하 게 끝내는 ‘속전속결’ 모습과 교사가 학생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처하는 ‘임기응변’ 모습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시대와 장소, 상황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갈등관리’라는 시각에 근거 하여 『손자병법』을 상담학적으로 해석하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손자병법』 으로 추출한 갈등관리의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을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 한 교육 및 상담적 개입 방안에 대한 노력이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손자병법, 갈등관리, 갈등관리 상담학적 원리와 전략, 교사-학생 갈등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청주시 공립초등학교 학교회계 불용액 현황 및 원인 분석

        서민성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 문 요 약 청주시 공립초등학교 학교회계 불용액 현황 및 원인 분석 서 민 성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정책 및 리더십 전공 (지도교수 김 민 조) 교육과학기술부는 2020년 지방 교육 재정분석 개선안의 주요 내용으로 연례적으로 지적되고 있는 이·불용액 규모 최소화를 위해 이·불용액 비율 및 증감률, 시설사업 예측도를 주요 지표로 중점 관리하며 2018년 학교회계 이·불용액이 2.24조원으로 2017년 1.76조원 대비 0.48조원(27.3%) 증가하여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학생 수는 감소하더라도 꾸준히 증가하는 단위학교의 교육수요를 위해서는 재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교육 성과를 높이는 노력이 필요하다. 학교회계 불용액은 학교 교육활동을 보다 효과적이고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있는지에 대한 지표이다. 교육청은 단위학교의 불용액 현황을 자체 분석하여 재정지원 방식의 개선을 통해 학교회계가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단위학교는 불용액 최소화를 통해 학교재정운영의 효율성과 건전성을 확보하고 계획적인 재정운영을 도모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주시 공립초등학교 학교회계 불용액 현황과 불용액 규모는 적정한가? 둘째, 청주시 공립초등학교 학교회계 불용액 발생 원인을 학교재정담당자들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 2016~2018회계연도 학교회계 예산·결산자료를 바탕으로 불용액 현황들을 분석하고 불용액이 가장 많이 발생한 세부사업을 선정하여 불용액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청주시 공립초등학교의 불용액 현황 및 원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6∼2018학년도까지 청주시에 소재한 86개 공립초등학교에서 최근 3년간 11,748,258천원의 적지 않은 불용액이 발생하였으며 2018학년도에는 불용액이 4,984,700천원으로 가장 많은 불용액이 발생하였다. 둘째, 2018학년도에 불용액이 가장 많이 발생한 시설장비 유지사업, 부서기본운영 사업의 원인 분석 결과 행정실이 사업집행의 주무부서로서 예산이 부족한 사업과 신규 사업 지원을 위해 예산을 여유 있게 편성함에 따라 불용액이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학교회계의 효율적 집행과 불용액 발생 최소화를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학교회계 예산 담당자는 교직원들과 서로 소통하면서 예산 집행내역을 파악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하며 예산을 효율적으로 사용하도록 수시로 교직원 회의 시 집행 독려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의 학교회계시스템은 여러 세부사업으로 나누어져 있고 한 개의 세부사업 안에도 다양한 세부항목으로 구성되어 예산이 남으면 집행하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유연한 예산집행이 가능하도록 학교회계 운영 시스템 및 제도 개선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학교 현장에서 건전한 재정운영과 효과적인 교육활동 지원을 위해 적정한 인력 배치가 무엇보다 중요하며 효율적인 예산집행에 기여하는 교직원들을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도 필요하다. 넷째, 교육청에서는 예산의 과도한 이월을 지양하고 불용액 과다로 교육과정 운영에 부실화를 초래하는 일이 없도록 학교회계 운영에 철저를 기하고자 예산 감액 등 다양한 방법을 시도하고 있으나 학교에 따라 여러 사유로 불용액이 많이 발생한다. 단위학교에서 회계연도 말에 불용액을 줄이기 위해 소모적으로 예산을 집행하기보다는 교육청에서 일정부분 반납 받아서 필요한 곳에 사용하거나 예산이 더 필요한 학교에 지원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개선하는 것도 검토할 만하다. 주제어: 학교회계 불용액, 학교회계의 효율적 집행, 건전한 재무관리 ※ 본 논문은 2020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로봇교육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이진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9

        논 문 요 약 로봇교육이 ADHD아동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 이 진 향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실과교육 전공 (지도교수 남 현 욱) 본 연구의 목적은 주의집중 과잉행동 장애를 가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로봇 교육활동이 학생들의 문제행동과 주의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을 임상 전문가, 학생, 교사의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ADHD 아동의 치료가 특수교육 외에 로봇 교육활동을 통해서도 문제행동을 개선하고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검증 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ADHD아동으로 판정되었거나 담임교사가 추천한 4-6학년 학생 8명을 학부모의 동의를 얻어 선정하였다. 토요 방과 후 로봇 교실을 조직하여 주 1회 10차시를 지도하였으며 로봇교육활동의 효과를 살펴보고 다각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임상전문가에 의한 주의산만도 측정, 교사에 의한 ADHD 평정척도(CTRS-R), 아동의 주의집중력 검사 도구(ADS)를 활용하여 자료를 얻었으며, 그 자료를 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임상전문가에 의한 행동관찰 측정 결과는 ADHD 아동의 주의산만 행동이 지도회수가 증가 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있어 주의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교사의 주의력결핍 평정척도(CTRS-R) 검사를 로봇 교육 프로그램 적용 전, 후에 조사한 결과, 교실에서 아동의 주의집중력이 향상되었다. 셋째, 아동의 주의력 장애 진단시스템(ADS)을 통하여 보다 객관적으로 아동의 주의 집중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로봇 교육활동은 ADHD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로봇 교육활동의 다양한 교육적 효과를 제시한 것이다. ABSTRACT The Effect of the Robot Education on the Behavioral Problems and Attention of ADHD Children Lee Jin Hyang Major in Practical Arts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upervised by Professor Nam, Hyun-wook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arget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in elementary students using operational design in robots. The study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students with ADHD using a robot building program. The effects were judged by clinical professionals, students and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the potential for this program to improve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students in this study of ADHD were selected by homeroom teachers and doctors after careful consideration. The student's grades ranged from grade four to six. Each student's parents also consented to the study. The study was performed over ten Saturday after-school periods. The study utilized various observers to measure the results of the student. This included clinical professionals, homeroom teachers, and the students themselves. Based on the results from these observat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rough the observation of clinical professionals, the program resulted in the improvement of student's attentiveness. Second, the results from the previous and post analysis of the revised Conners Teacher Rating Scale (CTRS-R) measured the improvement of the ADHD student's attentiveness in the classroom. Third, the results from the ADHD Diagnostic System (ADS) showed that concentration had improved in ADHD students. This study presents that this robot program has been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concentration in ADHD students. The robot program has proven that it has a variety of educational benefits present. * 본 논문은 2015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석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다문화사회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편견과 변화에 관한 연구 - 국적과 종교를 중심으로 홍 석 기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다문화교육 전공 (지도교수 박 선 운) 본 연구는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을 살펴보고, 다문화 수업이 학생들의 편견 감소를 비롯한 다문화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는 것 에 목적이 있다. 초등학생이 갖는 편견의 경우 직접 경험한 불안함이나 공포보다는 소셜미디어를 비롯하여 여러 대중매체와 같은 외부적 요인에 의해 형성된다는 특징 이 있으며, 다양한 사회적 경험이 없는 초등학생이 외국인의 생김새에 대한 농담, 피부색에 대한 농담, 종교, 국적, 성 소수자에 대한 혐오 표현을 스스럼없이 하는 경우가 있다. 초등학생 시기에 무의식적으로 뿌리내린 편견은 사춘기를 지나 성인 기로 접어들면서 지속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초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지닌 편견의 양상과 원인을 살펴보고 적절한 교육을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연구의 필요성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청주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1명을 대상으로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과 다문화 수업을 연계 한 6차시의 프로젝트 수업을 진행하였다. 먼저,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교 및 무슬림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을 살펴보았 으며 그 속에 녹아있는 편견을 찾아보았다. 이어 학생들의 편견 감소 및 다문화 인 식 함양을 위한 다문화 수업이 진행되었으며 학생들의 변화된 생각을 포토보이스 방법을 활용하여 다시 확인하는 과정을 거쳤다. 포토보이스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본 다문화 구성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 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한국인의 특성을 구분하는데 생활‧문화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하였다. 그러나 이의 근저에는 한국인으로서 지녀야 할 법‧제 도적 요소와 생물학적 요소를 강조하고 있는 학생들의 생각이 기반이 되고 있었다. 이러한 생각은 다문화 수업 후 한국의 역사와 전통을 중시하는 방향으로 바뀌었다. 둘째,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특성으로 미국인으로 대표되는 서구 백인의 이미 지를 제시하였다. 영어를 사용하고 햄버거와 같은 음식을 즐기며 이국적인 외모를 가진 존재라고 생각하였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외국인의 다양성을 인정 하는 생각을 드러내었으나 남학생의 경우에는 아직 인종적 편견을 드러내었다. 셋째,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생각과 감정은 기쁨, 놀라움, 무관심, 회 의적인 시각으로 드러났으나 이슬람교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나 지식은 나타나지 않 았다. 이는 이슬람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배경지식이 부족한 것이라고 추론되었다 다문화 수업 후 초등학생들은 한국 사회의 무슬림을 이웃으로 받아들이고 그들의 아픔과 고통에 공감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을 위해 향후 초등학교에서 어떠한 변화가 필요한지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첫째, 다양한 다문화 경험이 필요하 다. 정치, 지리, 경제적 경계를 뛰어넘어 다양한 문화에 대해 올바른 정보를 바탕 으로 배우고 공부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에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제2외국어로 서 영어만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과정에도 개선이 필요하다. 다양한 외국어 교육을 비롯하여 영어가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과의 대화를 위한 도구라는 점을 강조할 필 요가 있다. 셋째, 초등학생들에게 이슬람을 비롯한 다양한 종교, 문화적 배경을 가 르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내용을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다양한 종교에 대해서 배 울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기 시절에 형성되는 잘못된 정보로 인한 편견이나 차별에 대항하고 올바른 다문화 의식을 함양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다문화 인식, 다문화 구성원, 한국인, 외국인, 이슬람, 편견, 다문화 교 육 홍석기 다문화교육전공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조복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조 복 형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이 연구는 초·중 통합운영학교 교사의 학생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질적 사 례연구이다. 통합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는 생활지도를 어떻게 하는지 그 과 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초·중 통합학교 교사들의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기 위해서 초등교사, 중등교사, 관리자 그룹으로 나누어서 총 18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 정하였다.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 방법으로 진행되었고, 사례 내 분석, 사례 간 분석을 통해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형 소규모 통합학교 교사들은 서로 다른 생활지도 기준과 내용, 학년 별 생활지도 특성 등 통합운영학교 생활지도에 대해서 서로 다른 경험을 가 지고 있었다. 초등교사는 활동마다 세세한 기준을 정해서 생활지도를 하는 점과 중등교사는 울타리만 쳐 주면 그 속에서 자율성이 생기면서 학생들이 관리되는 점을 통합학교 생활지도에서 색다른 경험이었다고 한다. 초·중학 생들이 함께 참여하는 풍성한 교육 행사 결과를 보고 부정적이었던 통합운 영학교에 대한 생각이 긍정적으로 바뀌고 있었다. 통합학교 교사들은 학생 정보공유로 수월한 생활지도, 다양한 학생들이 서로를 통해 배우면서 성장하는 모습을 경험하고 있었다. 공동프로그램 운 영으로 학생성장을 지원하고 충분한 활동 공간을 제공하여 교사간 갈등을 줄여야 하는 점이 통합운영학교를 피할 수 없는 상황에서 공동 생활지도의 중요성은 함께 풀어야 가야 할 과제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통합학교 교사들 은 학생들 생활지도를 계획하고 실행하는 단계에서 초·중 통합학교 생활지 도를 연계하여 공동 성장에 대한 적극적인 기대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바람직한 초·중 통합학교 학생생활지도를 위해서는 현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상에 맞는 생활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통합학교 교사들 다양 한 상호작용에 관한 분석과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주요어: 농촌형 소규모, 초․중 통합운영학교, 학생 생활지도 경험, 질적 사례연구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문제중심학습 기반 생성형 AI 활용 교육이 초등학생의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조진오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문제중심학습 기반 생성형 AI 활용 교육이 초등학생의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조 진 오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정보․로봇전공 (지도교수 김 동 호) 과거 상상 속 창작물이었던 인공지능이 이제는 우리 생활 속에서 쉽게 찾아서 활 용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급격한 인공지능의 발달로 인해 사회 전반적으로 큰 변 화가 일어나고 있다. 사진기가 발명되기 전에는 기록을 남기기 위해 화가의 정밀 묘사능력이 중요하였지만 사진기의 발명으로 인해 화가들의 묘사능력의 중요도가 떨어진 것처럼 이러한 사회 변화 속에서는 현재 중요하게 여겨지는 능력이 외면받 기도 하고, 새로운 능력을 필요로 하기도 한다. 따라서 교육 또한 사회 변화에 발 맞추어 변화할 필요가 있다. 최근 인공지능 교육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지만 인공지능 발달의 최선두에 서 있는 생성형 인공지능 교육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을 위한 문제중심학습 기반 생성형 인공지능 활용 교육 프로그 램을 개발 및 적용한 후 인공지능 리터러시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프로그램을 위해 현행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인공지능 내용 요소들을 추출한 후 문제중심학습 모형의 절차에 따라 총 16차시의 생성형 인공지 능 활용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텍스트, 이미지, 음악 등 다양한 생성형 인 공지능 활용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 세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국어, 미술, 음악, 사회 교과에 활용하였다. 그리고 6학년 학생들을 상대로 교육을 실시 하여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인공지능 리터러시 와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생성형 인공지능을 다룬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이 개 발되어 학생들이 생성형 인공지능을 교육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기회가 확장되기를 바란다. ※ 본 논문은 2023년 1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 영어 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IPA(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로서 ChatGPT의 효과적 활용

        이수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 영어 학습 활동 개발 및 적용: IPA(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로서 ChatGPT의 효과적 활용 이 수 민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어린이영어융합교육전공 (지도교수 민 덕 기) 본 연구의 목적은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을 ‘인공지능형 개인 비서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IPA)’로서 ChatGPT-4를 활용하여 개발하고, 활동 결과 핵심 문장 기억과 정의적 영역 측면에서 어떤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다. 체화된 인지 기반 활동은 마음(mind)에서 몸(body)과 환경(environment)로의 인지의 확장을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신체의 사용을 권장한다. 따라 서, ChatGPT-4와 상호작용을 통해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을 개발하 고, 개발한 활동이 체화된 인지 수준에 따라 어떤 교육적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 개발 과정에서 ChatGPT-4와의 상호 작용 양상은 어떠한가? 둘째,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은 핵심 문장 기억에 효과가 있는가? 셋째,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에 대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효과 가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충청북도 중소도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23명 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실시하였다. 체화된 인지 기반 영어학습활동은 프롬프트 엔지니어링 기법을 사용하여 프롬프트를 작성하여 ChatGPT-4에게 투입하였고, 이 후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개발하였다. 개발한 4개의 영어학습활동은 ‘영어학습 활동 체화된 인지 기반 체크리스트(심규남 외, 2024)’를 기준으로 약· 강 강도 활동 으로 각각 2개씩 분류하였다. 이를 이용숙(2002)의 실행 연구 설계 모형을 따라 2차 례에 걸쳐 강도가 다른 활동 2개씩 나눠 투입하였다. 다음으로,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이 핵심 문장 기억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활동을 시기별 (활동 직후·일주일 뒤)로 기억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시한 기억 검사는 크게 외연적 인출과 내연적 인출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외연적 인출 유형은 자유 회상, 시각 단서 제공 회상을 통해 결과를 얻었고, 내연적 인출 유형은 이해·표현 기능 평가 문항을 통해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리고 각각의 검사 결과에 대해 평균 및 표준편차를 구하고,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 투입 전 사전 정의적 영역 검사를 실시하였고, 모든 활동을 마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 여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개발한 초등영어학습활동이 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미 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2회의 사전활동 점수의 평균으로 분류한 상·중·하 집단에서 2명씩, 총 6명을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ChatGPT-4를 IPA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ChatGPT-4를 통해 체화된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에 대한 정보와 창발적인 아이디어를 얻었고, 이후 지속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초등영어학습 활동을 개발하였다. 이후 연구자의 수정 및 다른 현장 교사들과 영어 교육 전문가 의 검토를 거쳐 최종 영어학습활동을 개발할 수 있었다. 둘째, 실행 연구 설계 절차에 따라 1차로 약 강도 영어학습활동 1개(<약1>)와 강 강도 영어학습활동 1개(<강1>)을 투입하였다. 활동 실행 후 회상 자료를 분석한 결 과, 많은 학생들은 영어가 아닌 한글로 핵심 문장을 회상하고 영어 문장 회상을 어 려워 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억 검사 분석 결과, 활동의 체화된 인지 수준 정도 가 높을수록 핵심 문장을 효과적으로 기억한다고 보기 어렵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1차 연구의 부족한 점을 확인한 다음, ChatGPT-4에게 문제 해결을 이끌어 낼 수 있는 프롬프트 제공하여 상호작용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체화된 인지 기반 초 등영어학습활동을 2차 설계하였고 동일한 절차로 활동을 투입하였다. 그 결과 기존 보다 영어 문장으로 회상을 시도한 학생이 늘었고, 기억 검사 결과 평균 점수 또한 대부분 향상되었다. 1차와 2차 영어학습활동에 대한 대응표본 t-검정 결과, 강 강도 활동에 대해서 2차 영어학습활동이 유의미한 차이를 불러왔다는 것을 알 수 있었 다. 또한 <강2> 활동의 기억 검사 유형별 평균 점수 대부분이 <약2> 활동의 평균 보다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 사전·사후 시기에 학생들에게 정의적 영역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 동은 정의적 영역의 다섯 가지 세부 영역(흥미, 동기, 불안감, 자신감, 태도)에서 긍 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추가 면담 결과 학생들은 기존 영어 수업 활동과는 다르게 신체를 사용하는 것에 많은 흥미를 느꼈으며, 앞으로도 체화 된 인지 기반 신체활동을 수행하기를 희망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본 연구는 비교 집단이 없다는 한 계점이 있기 때문에,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을 수행한 집단과 기존 영 어활동을 수행한 집단을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생 간 영어학습 편차가 큰 학생들로 구성된 학급 또는 기초 영어 문해력이 부족한 부진 학생들에게 적합한 체화된 인지 기반 초등영어학습활동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IPA로서 ChatGPT를 활용하는 방법을 체계화하는 자료 개발이 필요하다. 주요어: 체화된 인지, 생성 AI, ChatGPT-4, 초등영어학습활동, 실행 연구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임.

      •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면적 상담사례연구 : 다면적 상담사례연구

        권미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면적 상담사례연구 권 미 영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김 은 향) 본 연구는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위한 다면적 상담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담임교사인 연구자가 내담자의 부모와 학급 학생들과 협력관계를 맺고 다면적 지원 체계를 구축하였으며, 내담자 대상의 개인 상담과 부모교육 및 상담, 학급 차원의 교육적 개입을 실시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면적 상담은 ADHD로 인한 과잉행동, 충동성, 부주의 완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다면적 상 담은 ADHD 아동의 학교 적응에 효과가 있는가? 연구 대상은 ADHD로 진단받은 초등학교 4학년 아동으로 또래와의 관계에 어려움 을 겪고 있으며, 학교 활동에 원만히 참여하지 못하는 등 부적응 행동을 보였다. 연구자는 내담자의 어려움을 개선하고 학교적응을 돕기 위하여 부모와 학급 학생들 과의 협력체계를 바탕으로 다면적 상담을 설계하였으며, 약물치료와 함께 5개월에 걸쳐 주 1회 20∼40분씩 14회기의 교육 및 상담을 실시하였다. 다면적 상담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K-Conners와 K-ARS, ACTeRs, CAT 종합 주의력 검사, KPRC 한국아동인성평정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고 그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아동의 행동 변화에 대한 교사의 관찰기록을 기반으로 아동의 변 화를 질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면적 상담 후 과잉행동과 충동성, 부주의 등 의 ADHD 증상 개선이 이루어졌다. 둘째, 다면적 상담 후 아동의 학교활동 참여, 또 래관계, 정서적 태도 등 학교적응 수준이 향상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교사-부 모의 협력체계, 또래 협력체계를 활용한 다면적 상담이 ADHD 아동의 학교적응에 긍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ADHD 아동의 학교적응을 돕기 위해 교사와 부모, 학급 학생들의 다면적 지원체계를 구축하고 상담적으로 접근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는 초등학교 장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상담적 방식으로 그 효과성과 적용 가능성 이 크다. 그간 ADHD 아동에 대해 다양한 방식의 상담적 접근 및 연구가 이루어졌으 나 본 연구를 통해 교육적 장면에서 효율적으로 적용 가능한 상담적 개입 방향에 대해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후속 연구를 통해 ADHD 아동을 위한 다면적 상담 방안이 확충된다면 학교 현장에서 더욱 의미있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한다. 주요어: ADHD, 학교 부적응, 문제행동, 다면적 상담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사례연구

        정유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9679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 사례연구 정 유 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교육 전공 (지도교수 이 재 용) 본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하여 해결중심 단기상담 을 적용한 개인 상담 사례연구이다. 질적 연구방법인 사례연구 방법으로 내담자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 해결중심 개인 상담을 실시하고, 자기 자신, 학교, 가정, 대인관계 등 4가지 하위 영역에서 자존감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내담자의 자아존중 감의 4가지 하위 영역에서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 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해결중심 단기상담을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는가? 둘째, 해결중심 단기상담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은 어떤 변화를 경험하였 는가?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는 충청북도 C시에 위치한 N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 교 1학년 아동 3명이다. 이들은 담임교사의 추천을 받은 학생들로 학교에서 불안하 거나 위축된 모습을 보이고, 상대적으로 학업 성취도가 낮은 상태였으며 자아존중 감을 높이고자 희망하여 동의서를 받아 연구에 참여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의 해 결중심 단기상담의 진행은 2023년 9월부터 11월까지 약 2개월 동안 이루어졌으며, 6회기에 걸쳐 진행되었고 회기별 30∼40분 동안 진행되었다. 본 연구는 수집한 자 료들을 반복해서 읽으면서 참여자의 답변의 의미를 파악하고 구조화하여 자아존중 감의 하위영역별로 구분하였다. 상담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결중심 단기상담은 자아존중감의 저하로 인해 삶의 여러 영역에서 어려 움을 경험하고 있는 아동을 위해 효과적인 상담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결 중심 단기상담의 기본 원리와 주요 기법을 바탕으로 상담을 구성하였고, 내담자의 긍정적인 변화를 이끌어냈다. 둘째, 해결중심 단기상담에 참여한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자아존중감이 긍정적 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내담자의 주 호소 문제의 해결과 척도 질문을 통해 자아존 중감 점수가 증가한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기 자신에 대한 자아존중감 뿐만 아니라 학교, 가정, 대인관계와 같이 넓은 영역에서의 자아존중감의 향상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실시한 해결중심 단기상담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초등학교 1학년 학교 상담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주요어: 초등학생, 1학년, 자아존중감, 해결중심 단기상담, 사례연구 ※ 본 논문은 2024년 2월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대학원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 문임.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