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보건의료인관련 법적 규제에 관한 비교 연구

        박영태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71

        보건의료인은 보건의료에 관한 전문지식을 갖추고 보건의료행위를 함으로써 사람들의 건강수준을 유지 및 증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자율적인 통제장치나 규율체계를 갖추고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국가는 모든 국민의 건강과 안녕을 보장해야 할 책무가 있기 때문에 보건의료분야에 대한 통제를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국가의 보건의료인에 대한 통제는 법률에 근거한 규제에 따를 때 정당성이 있다. 그러므로 여러 법률에서 보건의료인에 대한 규제 장치를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보건의료 및 보건의료인에 관련된 논의와 그 범위, 규제에 관한 이론 그리고 일본법령에 따른 보건의료인에 대한 규제를 고찰하였다. 그 다음에 연구대상인 보건의료인을 「의료법」의 의료인,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의 응급구조사, 「의료기사등에 관한 법률」의 의료기사등으로 한정하여 이들에 대한 법적 규제를 위 3 개 법률의 현행 법령과 연혁 법률에 규정된 것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위 분석은 보건의료인별로 진입규제, 금지의무관련 규제 및 행정의무 확보를 위한 규제로 나누어 이루어졌고, 보건의료인별 법적 규제의 차이점과 공통점 그리고 개선할 점 등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1993년 문민정부 이후 연혁법령상 보건의료인에 대한 규제의 변화를 분석하여 각 정부별 보건의료인에 대한 규제 변화와 정부의 간여정도를 비교하였다. 보건의료인에 대한 법적규제를 현행법령, 연혁법령, 그리고 일본법령의 경우와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의 보건의료인에 대한 법적 규제는 보건의료인별로 규제 건수에 있어서 차이가 크고 유사한 제도임에도 불구하고 다르게 규정되어 있는 경우도 있으며, 보건의료인에 대한 정부의 개입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다른 연구에 비해 보건의료인에 대한 법적규제 현상을 다각도로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으나, 문헌조사로 이루어져서 보건의료인들이 실제 체감하는 규제수준과는 다를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보건의료인에 대한 법적 규제에 대한 연구가 보다 실증적이고 과학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is doing an important role by maintaining and improving health of the people and by providing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for patients. Therefore,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prefers to render health service under the control system. However, the government tends to control tightly the area of health and medical treatment since it has responsible for the health and wellbeing of the people. As a result, there are many Acts which aim to control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This study focuses on the content of health-medical treatment, the scope of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and the concerned regulations on the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prescribed in the Acts, such as are Medical Service Act, Medical Technicians, edt. Act, and Emergency Medical Act. This Study also focuses on the changes of the regulations of the above Acts since 1993, and additionally makes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n Acts and the Japanese's regulation in relevant Act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the numbers of the regulations are different between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Even if contents are same in Act, some regulations ar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The result also shows that the government intervention of the state in the field of medical service personnel ie. M.D. is relatively high in comparison with other health-medical service personnel. Korean Acts in the field of health and medicine have much more regulations than Japanese relevant Acts. This study has done an in depth research on the legal regulations of the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in various ways compared with other study in the field of the health and medicine. But this study has limit of being researched only by the literature survey. I hope there will be a much more developed empirical and scientific study on this field of health and medical personnel. Key Words : Health and medicine, health and medical service personnel, regulation, Medical Service Act, Medical Technicians, edt. Act, Emergency Medical Act

      • 노인전문병원 입원환자(가족)의 만족도와 병원선택요인 연구 : 서울·경기권 일부 노인전문병원을 대상으로

        염경희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50655

        세계적인 고령화 추세에 우리나라도 2010년 말에 65세 이상 인구 고령화 비율이 10%를 상회할 전망이다. 노인 인구수의 증가는 노화로 인한 노인의 신체적 약화로 심신의 기능이 저하되어 의료기관을 통한 의료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 환자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노인전문병원의 수가 급속히 증가하면서, 노인환자를 전문적으로 치료하고 요양 할 수 있는 사회적인 수요에 부응하여 노인전문병원의 경쟁이 치열해 짐에 따라 병원마다 차별화된 경영전략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노인병원에 입원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의료서비스 이용자(환자,가족)의 노인병원 선택요인과 노인전문병원 선택성향, 이용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의료경영환경을 개선하고 양질의 노인의료서비스를 제공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어 노인의료복지의 질적인 개선에 이바지 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관심을 가졌던 부분은 노인성 질환으로 인해 장기입원환자와 관련된 병원들이 노인의료서비스 역할을 성실하게 수행하기 위하여서는 무엇보다도 그들 환자와 가족(보호자)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점이었다. 노인전문병원에 입원하는 노인환자는 어떤 특성이 있는지, 병원의 입원에 대한 결정에 있어서 고려사항은 무엇인지, 입원결정은 주로 누가하게 되는지, 평균 입원기간, 입원 어르신의 경제상태, 입원비 부담, 선호하는 병원의 입지조건, 시설환경 수준에 대한 기대치,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재이용의사와 각각의 응답에 따른 이유 등을 규명하여 노인의료전문기관의 사회적 역할 증대 및 노인병원 마케팅 전략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통한 노인의료복지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인전문병원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보고자 하였다. 서울 및 경기도 권에 위치한 7개의 노인전문병원의 만 60세 이상의 입원노인과 가족들을 대상으로 환자(가족)의 만족도와 병원선택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분석을 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원환자의 나이는 주로 70-79세가 32.6%로 가장 많았고 학력수준은 중졸이 32.6%로 가장 많았다. 종교유형으로는 기독교가 29.3%로 가장 높았고, 입원노인들 중 91.3%가 종교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의 수는 3명이상이라는 답변이 61.9%로 자녀수가 많은 노인환자들이 입원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2. 입원전 동거가족 형태는 배우자 44.6%, 독거 20.7%로 배우자와 사별 뒤에는 독거하는 형태로 나타나 결혼한 자녀가 부양하지 않는 경우가 65.3%가 되는 것으로 집계되었다. 3. 입원비 부담에 대해서는 본인부담 또는 의료보험 등을 통한 부담방식이 27%였으며, 월소득에 따른 입원비 부담에 대한 분석에서 200만원이하의 월소득자가 28.6%를 차지하고 있는데 노인전문병원의 평균입원비가 150만원 내외 인 것을 감안하면 보호자의 부담이 매우 큰 것으로 보였다. 4. 환자의 병원선택요인은 중증의 장기입원환자가 대다수인 노인전문병원의 특성상 병원직원의 친절과 사려 깊은 간호를 만족도의 우선순위로 꼽았다. 입원결정은 누가 하는가에 대한 문제에 있어서는 획일적으로 결론을 내기 보다는 입원환자의 경제적인 특성에 따라서 주로 환자 가족이 입원결정을 한다는 예상을 깨고 노인환자 본인이 결정하는 경우가 40.2%를 차지하여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딸 23.9%, 아들 14.1% 이었으며 의료기관의 권유가 15.2%로 아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병원선택요인으로 입원비와 접근성이 중요한 요인으로 선행연구 되었으나 보호자가 딸인 경우는 가까운 거리를 선호하고 30Km 미만의 거리가 76.5%를 차지하였는데 본인선택 또는 의료기관 추천에 의해서는 90Km 미만에도 4.34%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본인결정과 의료기관의 추천은 병원의 인지도와 의료서비스의 질을 더 중요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만족도에 관해서는 노인전문병원에 입원 하고 있는 환자의 개인적인 특성중 의료서비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기대수준으로 기대수준이 낮을수록 만족도가 높고 기대수준이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론적 배경에서 제시했던 연구결과와 같은 결과로서 일반적인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소득과 학력수준, 평균 입원비가 높을수록 만족도가 낮았고, 일상생활 및 의료서비스 부분에서도 역시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기대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6. 재이용의사에서는 확실한 재이용의사를 밝힌 경우가 52.1%로 나타나 조사대상 노인전문병원의 긍정적인 응답이 있었으며 이는 곧 노인전문병원의 노인의료서비스의 질적인 향상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반영해 주고 있다. 반면에 재이용의사에서 가장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인 요인은 비싼 진료비, 의료진과 직원의 불친절, 편의시설, 의료장비, 치료방법의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얻은 결론 및 제언은 다음과 같다. 노인전문병원은 질병에 대한 치료 뿐 만 아니라 전인적인 의료지원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의료사회사업을 활성화시킴으로써 기본적인 의료적 개입과 지속적인 공익사업의 자세와 지역에 산재해 있는 각종 사회복지단체와 등과 연결하여 양질의 노인의료복지서비스를 전개하는 노인병원의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노인전문병원의 경영자 및 구성원들은 적극적인 방안모색과 더불어 차별화된 경영전략을 세워나가야 할 것으로 본다. 이를 위해서는 경영자의 적극적인 의식전환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것은 노인관련병원의 계속적인 증가추세 속에서 타 병원과 차별화된 경영전략을 필요로 하는데 각 노인전문병원 만의 경쟁적인 포지셔닝 전략을 세워 나가야 할 것이다. 의료기관 이용환자 및 가족의 만족도 수준을 높여야만 재 이용률이 높아지게 되고 이로서 병원이 활성화 되고 나아가 노인의료복지의 질적인 향상을 도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은 의료진 및 직원의 적극적인 태도의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는데 병원 의료종사자 구성원들의 진심 어린 마음의 태도와 변화는 재원기간의 만족도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이기에 이 부분의 변화와 혁신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 하나는 노인전문병원내의 가족에 대한 편리한 이용시설과 냄새의 제거, 공간의 배치, 편의시설의 확충, 프로그램의 다양화, 사회복지 서비스의 제도화 등 이용자의 입장에 서서 병원을 운영하려는 지속적인 노력이 요청된다. With global aging continuing on, Korea is expected to reach above 10% for the percentage of the elderly aged 65 or older at the end of 2010.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elderly naturally leads to the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patients who have their body and mind function weakened due to physical deterioration and receive medical service at a medical institution. The explosive increase of geriatric hospitals has reinforced competition among those hospitals which meet the social needs of taking professional care of, treat, and nurse elderly patients. As a result, geriatric hospitals are in need of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ies to survive in the competition.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factors that would affect the selection of a geriatric hospital by the users(patients and their family members) of medical service who were admitted to one and received treatment, as well as factors that would affect the tendency of selecting a geriatric hospital and user satisfaction. It also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o help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medical management and offer high quality medical service to the elderly and make a contribution to the qualitative enhancement of medical welfare for the elderly. The study took interest in the fact that geriatric hospitals related to long-term hospitalization due to geriatric diseases should develop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elderly patients and their families(caregivers) in order to provide medical service to the elderly in a sincere manner. The study attempted to find implications for the expansion of the social roles of geriatric medical institutions and their marketing strategies and come up with the plans to activate a geriatric hospital to increase the quality of medical welfare for the elderly by investigating the foll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patients admitted to a geriatric hospital, what should be considered in making a hospitalization decision, who would usually make a hospitalization decision, the average period of hospitalization, the economic condition of the hospitalized elderly, burden of hospitalization costs, location conditions of a favorable hospital, expectations for the facility environment, factors to affect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and intention for reuse and reasons behind it. The subjects were the elderly patients aged 60 or older hospitalized in seven geriatric hospital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and their family members. They were surveyed for factors to affect the satisfaction of the patients(and their family members) and their selection of a geriatric hospital. The major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1. Of the subjects, those who were aged between 70 and 70 were the most at 32.6%; those who graduated from middle school were the most at 32.6%; those who were Christians were the most at 29.3%; 91.3% of the inpatients had a religion; and 61.9% said they had three children or more, which suggests that the percentage of inpatients with children was high. 2. As for the type of the family they lived together before hospitalization, 44.6% lived with their spouses; 20.7% lived alone after the death of their spouses; and 65.3% did not have their married children support them. 3. As for the burden of hospitalization costs, 27% paid the costs themselves or through the medical insurance. The analysis results of the burden of hospitalization costs according to monthly income reveal that 28.6% had monthly income of 2 million won or less. Considering that the average hospitalization costs at a geriatric hospital are 1.5 million won, the burden on the caregiver seems to be very heavy. 4. They first considered the kindness of the hospital staff and considerate care when selecting a geriatric hospital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a geriatric hospital most of whose patients are long-term inpatients with a serious disease. As for who makes the hospitalization decision, 40.2% of the inpatients said they made the decision themselves, which result was contrary to the expectation that their family members would usually make the decision according to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inpatients rather than a uniform conclusion. The daughters made the decision in 23.9%, and the sons in 14.1%, which was lower than 15.2% by the recommendation of a medical institution. The previous studies report that hospitalization costs and access are important factors in choosing a hospital.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npatients preferred a short distance when their daughters were the caregivers, and 76.5% had a distance of 30km or shorter. When they made the decision themselves or got a recommendation from a medical institution, the distance was 90km or shorter in 4.34%, which suggests that they placed more value on the recognition level of the hospital and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 when they made the decision or got a recommendation from a medical institution. 5. Of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the inpatients at a geriatric hospital, expectation turned out to affect satisfaction with medical service. The lower expectation they had, the higher satisfaction they had, and vice versa, which result is the same as that review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seems like a common phenomenon. The higher income level, education level, and average hospitalization costs they had, the lower satisfaction they had; and the higher income level they had, the more expectation they had for everyday life and medical service. 6. As for intention for reuse, 52.1% were positive, saying that they would use the service of the current geriatric hospital, which reflects the increasing quality of medical service for the elderly at geriatric hospitals. The negative factor that had the most impacts on intention for reuse was high medical fees, which were followed by unkindness of the doctors and staff, convenience facilities, medical equipments, and treatment methods in the order. Those research findings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and suggestions: Geriatric hospitals need to expand their roles to include the basic medical intervention, ongoing public good service, and development of high quality medical and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in conjunction with all kinds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by activating their medical social service so that they can provide treatment for diseases and further whole- person medical support. Thus the management and staff of a geriatric hospital should search for active plans and set up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ies, which requires an active turn of consciousness on the part of the management. Each geriatric hospital is forced to set up its own competitive position strategies since the continued growth of geriatric hospitals in number calls for differentiated management strategies. They also need to rais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patients who use their medical service and their family members in order to raise the reuse rate, activate their medical operations, and help to increase the quality of medical welfare for the elderly overall. Also required are active changes to the attitudes of the medical personnel and staff. Changes and reform in the area are essential since the sincere attitudes and changes of the medical personnel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ncreasing the satisfaction level of inpatients during hospitalization. In addition, the management of a geriatric hospital needs to make constant efforts to run the hospital in the shoes of the users by installing convenience facilities for the families, getting rid of bad smell, organizing the spatial structure right, extending the convenience facilities, providing more diverse programs, and institutionalizing social welfare service.

      • 전문직자아개념, 사회적지지 향상을 통한 보험심사간호사의 조직몰입 관리 전략

        김은숙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50655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esent the management strategies for positive development and specialization of medical insurance review work by identifying the impa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professional self-concept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social suppor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is study conducted and analyzed the survey targeting 287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of superior general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Seoul, Gyeonggi, Incheon area and SAS Enterprise Guide 4.1 program was used for collected data and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professional self-concept, social support, organizational commitment was carried out an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for the impact of professional self-concept, social support and general characteristic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ccording to the findings, the management strategies of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s are presented as follows. 1. To increase the degree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 management strategy cultivating professional competency responding actively to changes in health care policy and healthcare environment and improving employee performance is needed. 2. To strengthen social support system, a management strategy building psychological well-being and collabora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fair assessment on job performance is needed. 3. If clinical experience for medical insurance review work is more than 10 years, organizational commitment scores are lowered and therefore, a management strategy increasing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by placing appropriate manpower with less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in the department of medical insurance review work is needed. 4. If continuing medical insurance review work for more than 10 years, business performance is increased by increasing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refore, a management strategy such as position suitable for career and compensation like objective pay etc. or motivation etc. is needed. 5. Since overtime added in addition to regular business hours is the factor lowering the degree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it is necessary to improve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social support system by applying mentoring system that a reliable experienced man with in-depth review work experience guides and advises man to man and a management strategy shortening the work adaptation period by providing various cases and specializing in medical insurance review work is needed. 6. Since nurses who have a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 license highly immerses themselves, strategies such as personal management appropriately placing experienced clinicians who acquired relevant licences in the medical insurance review related department and fairness perception suitable for license acquisition etc. are needed. In terms of system, by recognizing a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 qualification as a nationally recognized qualification, a developmental management strategy for medical insurance review nurse to be a group of experts which can give grounds in and lead policy changes of health care field is needed. 의료산업의 내ㆍ외적인 환경 변화와 보건의료정책의 변화로 인해 효율적인 의료행위의 관리와 의료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문제는 병원의 생존과 직결되어 있다. 이 연구는 보험심사간호사의 일반적 특성,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지지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보험심사 업무의 긍정적 발전 및 전문화를 위한 관리전략을 제시하기 수행된 연구이다.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 소재의 상급종합병원과 종합병원의 보험심사간호사 28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시행하였으며, SAS Enterprise Guide 4.1 program을 사용하여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지지, 조직몰입 간의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전문직 자아개념, 사회적 지지 및 일반적 특성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은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이 보험심사간호사의 관리 전략을 제시한다. 1. 전문적 실무능력, 만족감, 의사소통 능력 등의 전문직 자아개념 정도를 높이기 위해 직무 능력의 향상과 보건의료 정책 및 의료 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전문가적 역량을 키우는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2. 사회적 지지 체계(정보적 지지, 정서적 지지, 물질적 지지, 평가적 지지)를 강화하기 위해 직무 성과에 대한 공정한 평가와 심리적 안녕감과 협동적 조직문화를 구축하는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3. 보험심사 업무를 위한 임상 경력이 10년 이상인 경우 조직몰입 점수가 낮아지므로 임상 경력 10년 이내의 적정 인력을 보험심사 업무 부서에 배치하여 조직몰입 정도를 높이는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4. 보험심사 업무를 10년 이상 지속하는 경우 조직몰입 정도를 높여 경영성과를 높이므로 경력에 합당한 직위의 제공과 객관적인 보수 등의 보상이나 동기부여 등의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5. 정규 업무 시간 외에 추가되는 업무의 연장은 조직몰입 정도를 낮추는 요인이므로, 풍부한 심사 업무 경력과 신뢰할 수 있는 경력자가 1:1로 지도와 조언을 하는 멘토링(mentoring)제의 적용을 통한 전문직 자아개념과 사회적 지지 체계를 향상시키는 방안이 필요하며, 다양한 사례 제공을 통하여 업무 적응 기간을 단축시키고, 보험심사 업무를 전문화 시키는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6. 보험심사간호사 자격증이 있는 경우가 조직몰입 정도가 높아 관련 자격증을 취득한 임상 경력자의 보험심사 관련 부서에 적정 배치하는 인사관리와 자격증 취득에 합당한 공정성 지각 등의 전략이 필요하다. 제도적으로는 보험심사간호사 자격이 국가 공인 자격으로 인정되어 보험심사간호사가 보건의료분야의 정책변화에 근거를 부여하고, 선도할 수 있는 전문가 단체로 나아가는 발전적인 관리 전략이 필요하다.

      • 노인 정신 질환 치료를 위한 독서치료의 적용 가능성에 대한 고찰

        홍을표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본 연구는, 인간의 정신적 문제를 치유하기 위하여 독서 치료가 일정하게 효과를 보고 있다는 기존의 연구 성과를 추적하여 정리하고, 그 중에서도 주로 노인의 정신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임상 환경에서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향후 독서 치료가 국내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이론적 및 임상적 적용 가능성을 찾고자 했다. 그리고 아동기의 독서 치료가 주로 발달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라면 노년기의 독서 치료는 인생의 완성기에 있는 노년기 특유의 정신 심리적 상태에 적응하는 새로운 유형의 독서 치료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래서 국내에서 노인 우울증에 대한 독서 치료 요법의 연구 사례와 해외에서 이미 선행적으로 시행하고 있는 성인 및 노인의 정신 문제에 대한 독서 치료 요법의 사례를 중심으로 고찰하여, 노인기의 정신 질환을 해결하기 위한 정신의학적, 노인 복지학적, 노인 심리학 및 노인 교육학적인 조건과 방법을 채택하여 우리나라에 적용하는 문제를 검토했다. 국내의 독서 치료 연구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우선 도서관, 학교, 상담소, 병원, 교도소, 병영 등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발달/예방적 연구와 임상/치료적 연구가 필요하다. 2) 다양한 층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정신 질환 유형에 적용되는 독서 치료 연구가 이루어져 결국 도서관 유형별(공공, 학교, 대학, 기업, 병원, 요양원, 교도소, 병영 등)로 활용될 수 있는 독서치료 프로그램 모형 개발이 필요하다. 3) 급격한 고령화 추세에 비추어, 노인복지시설에서 노인층을 대상으로 한 독서 치료 프로그램 모형 개발은 보다 시급하다. 외국의 독서 치료 사례를 통하여 그것을 국내에 적용하는 몇 가지 현실적인 제언을 한다. 1) 우리나라에서도 미국에서처럼 사서의 기능 확대에 대응하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 직업기술사항과 치료기준에 대한 검토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 독서 치료사의 자격증 제도를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2) 우리나라에서도 미국과 같이 독서 치료 요법이 공공도서관의 서비스로 확대되도록 해야 한다. 도서관이라는 중립적이며 협력적인 기관에서 지역사회 구성원들과 개별적이며 상호적인 관계가 우호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3) 노인의 정신 질환 치료와 예방을 위한 노인 독서 치료사 제도를 도입할 것을 제안한다. 노인 독서 치료사가 노인의 정신적 특성을 고려한 엄선된 독서 자료를 활용하여 병원, 노인복지시설 등 노인 주거 및 요양 시설에서 체계적인 독서 치료가 이루어질 수 있다면, 우리나라 노인들의 정신 질환을 치료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research aims to investigate the application of bibliotherapy for the mentally disordered seniors who are more than 65 years old. This study is based on literatures review of the bibliotherapy which have been study to be the effective therapy for the mental disorder of all ages. Among the investigative products of bibliotherapy, the outputs of clinical treatment for this purpose was collected and trie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pplication by which the elderly's mental disorder would be cured within the clinical conditions of Korea. In this study, four domestic articles concerning the bibliotherapy for the elderly's mental disorder was also reviewed. Among these articles, only one could be applied to the clinical research for the purpose of bibliotherapy for adults' mental disorder. Under the review of above articles related to the application of bibliotherapy for the elderly, there were some results as follow ; Firstly, clinical researches which were applied in the collective places such as libraries, schools, hospitals and prisons, should be needed for the purpose of bibliotherapical approach related to the elderly's mental disorder such as depression. Secondly, this clinical research should be planned to develop the model of bibliotherapy for the elderly. Thirdly, in addition to the explosive population of older adults in Korea, the program based on the model of bibliotherapy should be timely developed. I propose that the licence system of bibliotherapy used in America be also applied in Korea. Then, the bibliotherapist and poetry therapist for the elderly would be available in clinical institutions such as nursing homes, hospitals, libraries, and so on. It is clear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s mental disorder need differential treatments by psychological approach. Then, these treatments would be very appropriate to the problematic occasions which are inherited in health, solicitude and solitude belonging to bereavement, religious solace, affectionate relation among the family members, and the motivation of social participation. I propose the institutionalized system of bibliotherapy in which the bibliotherapists would be able to care the elderly suffering from some mental disorders. They could serve the systematically designed reading materials in hospitals, nursing homes, and other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effects of bibliotherapy on mental disease of the elderly will be highly contributed to improving the quality of elderly life. Key Words : bibliotherapy, elderly's mental disorder, depression

      • 노인들의 만성질환별 관리방법인식과 관리실천의 상관성 연구 : 서울노인복지센터 이용회원을 중심으로

        최미숙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55

        노인건강문제의 큰 특징은 만성퇴행성 질환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것이며 이러한 만성질환은 복합적인 원인에 다면적인 관리가 필요하나, 노인들의 질병관리에 대한 소극적인 인식과 관리로 노인건강의 증진을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만성질환 노인들의 만성질환 관리방법에 대한 인식 및 관리실천을 파악하고 그 적절성을 분석하여 효과적인 만성질환 관리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는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서울노인복지센터 회원 209명을 대상으로 기존자료를 참고하여 재구조화한 설문지로 측정하였으며, 통계분석을 위해 SPSS Windows 12.0을 통계 패키지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남성 81.3%, 여성 18.7%로 남성노인의 비율이 높았으며, 연령별로는 70-79세가 56.0%로 가장 많았다. 2. 대상자의 건강상태는 유병 만성질환수 1개가 44.5%, 2개가 38.8%였으며, 유병기간은 13-60개월 41.2%, 1-12개월 22.6% 순이었다. 연구대상자의 유병률은 고혈압 66.0%, 골관절질환 54.1%, 당뇨병 23.9%, 심혈관질환 17.2%, 호흡기질환 12.9% 순이었다. 3. 연구대상자의 유병질환에 따른 관리방법 필요성 인식정도에 있어서 고혈압(2.83±0.43), 골관절질환(2.81±0.46), 당뇨병(2.88±0.39), 심․혈관질환(2.92±0.37)은 모두 운동요법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호흡기질환에서만 금연(2.93±0.27)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4. 운동요법 실태는 실천율이 82.8%로 높았으나, 운동강도에 있어서는 몸에 증상이 없는 정도로만 한다가 50.3%로 나타난 점과 운동요법시 주의사항 내용 중 체력에 맞춰 무리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점에 있어 노인들이 운동실천에서 운동강도가 부적절함을 알 수 있었다. 5. 음주군의 음주횟수가 거의 매일 및 주 2-3회 58.2%로 나타난 점과 흡연군의 흡연기간이 30년 이상 88.0%로 나타난 점은 노인의 음주 및 흡연실태에 있어 중독의 심각성을 알 수 있었다. 6. 약물요법 실태는 약물치료군이 78.9%였으나, 약물미치료군의 경우 미치료 이유로 자의적인 판단으로 중단하였다고 응답한 율이 38.1%로 가장 많았다. 7. 유병 만성질환별 관리방법인식과 관리실천과의 상관성을 살펴보면, 고혈압 질환자의 경우 필요성 인식에 있어 운동요법이 평균 2.83±0.43으로 높은 반면 인식과 관리실천과의 상관계수가 r=0.11, 골관절질환자의 경우는 운동요법에 있어 인식과 관리실천과의 상관계수가 r=0.24로 낮은 상관성을 보였다. 당뇨 질환자의 경우 운동요법(2.88±0.39)과 식이요법(2.82±0.52)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상관성은 낮게 나타났으며, 약물요법에서 상관계수가 r=0.33을 나타냈다. 심․혈관 질환자의 경우 운동요법(2.92±0.37)이 가장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상관관계는 낮게 나타났으며, 금주에 있어서 상관계수가 r=0.43으로 다소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호흡기 질환자의 경우 금연(2.93±0.27)이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필요성 인식과 실천과의 상관계수가 r=0.23을 나타냈다. 8. 일반특성에 따른 인식정도를 비교해 볼 때 운동요법에 대한 주의사항 인지군에 있어서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인식률이 유의미한 차이(p<0.05)로 높다는 결과가 나타났으며 간이식생활진단 평가(p<0.01)와 음주와의 관계(p<0.05)에서도 바람직한 관리실태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볼 때, 만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은 만성질환관리방법에 있어 운동요법이 가장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관리실천과의 상관성은 낮게 나타났으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만성질환에 적합한 운동요법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고 본다. 또한 인식과 관리실천과의 상관관계가 나타난 부분에 있어서는 보다 정확한 정보의 제공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육정도에 있어 수준이 높을수록 식이요법, 운동요법, 약물요법에 대한 주의사항 인식률이 높은 점과 관리실천에서도 바람직한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볼 때 고학력 노인세대를 맞이하는 미래를 준비하는 보건의료인들은 정확하고 전문적인 만성질환관리방법에 대한 정보 및 지식을 교육을 통해 실천 가능할 수 있으며 실질적인 효과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역량을 확대하여야 한다고 본다. The major characteristic of aged people’s health issues is that the majority of their illnesses are chronic regressive, caused by numerous factors and thus requiring a multifaceted approach in terms of care. However, it is difficult to expect much improvement in field of care-taking for aged people given the reality of passive health care for the elderly and poor awareness of such issues. This study began with the intended purpose of providing basic data that can be used analytically to construct an efficient method of health-care for the elderly. In order to do so, it proceeded by investigating the current status of health-care for old people in regards to chronic diseases, and by examining the current level of awareness on these issue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targeting 209 members of the Seoul Seniors Welfare Center and the survey was restructured in consideration to previous data. The SPSS Windows 12.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e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group, there were more elderly men (81.3%) than elderly women (18.7%). Classifying them by age, the largest group was the ‘between 70-79 years of age’ group at 56 percent. 2. Regarding the health conditions of the target group, 44.5% of them suffered from one chronic disease while 38.8% suffered from two chronic diseases. The duration of sickness was 13-60 months for 41.2% percent of the target group, while 22.6% of them had duration of 1-12 months. The prevalence rates of specific diseases amongst the target group were: 66% for high blood pressure, 54.1% for Arthritis, 23.9% for Diabetes, 17.2% for heart and blood related disorders, and 12.9% for respiratory diseases. 3. Concerning healthcare for the diseases suffered by the target group, the statistics on the level of awareness for specified methods were: (2.83±0.43) for high blood pressure, (2.81±0.46) for Arthritis, (2.88±0.39) for Diabetes, and (2.92±0.37)for heart and blood related disorders (all showing awareness that exercise is need most in such cases). The single exception was the case of respiratory disorders, where quitting smoking (2.93±0.27) was found to be needed most. 4. In terms of application, 82.8% were found to be actually practicing exercise therapy. However, the level of exercise amongst aged people seems to be insufficient considering the 50.3% who claimed that they only exercised to the extent that it had no effect on their bodies, and the overwhelming number of responses that showed concern over exercising too much. 5. Drinking frequency amongst the drinking group showed that 58.2% of them drank everyday or at least 2-3 times a week. The smoking group also revealed that 88.0% of them have been smoking for over 30 years. These statistics expose the serious nature of alcohol and tobacco addiction amongst elderly people. 6. As for medicinal therapy, 78.9% responded to be on some form of medicine. Amongst those who were not on medicinal therapy, 38.1% claimed that they voluntarily quit drugs because they did not work. 7. In the case of high blood pressure, awareness for the need to exercise was high in average at 2.83±0.43, bu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level of awareness and actual healthcare practices was very low level at r=0.11. For Arthritis patients, the coefficient between awareness and actual practices was also low level at r=0.24. In the case of Diabetes patients, exercise(2.88±0.39) and dietary treatment(2.82±0.52) were both noted as being important but low correlation (although medicinal therapy with a coefficient of r=0.33). As for patients with heart and blood vessel disorders, exercise(2.92±0.37) was noted with low correlation, whereas abstaining from drinking showed a relatively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of r=0.43. For patients with respiratory disorders, quitting smoking(2.93±0.27) was recognized as being important, and although the coefficient of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practices was low level at r=0.23. 8. Comparing the level of awareness on general characteristics, it was shown that the level of awareness for exercis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f the target group had a higher level of education. The same pattern applied to the dietary lifestyle check (p<0.01) and the drinking habits (p<0.05), where better educated people tended to take better care of themselves.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needed that elderly people are aware of the importance of exercise in treating their chronic illnesses but virtually without correlation to actual treatment—it seems necessary to develop and access an appropriate method of exercise for elderly people. Even for the areas in which a correlation between awareness and actual practices has been partially proven, we still need more accurate information. Given that well educated old people tend to know more about the importance and subtleties of dietary treatment, exercise, and medicinal treatment—as well as showing more positive behavior in terms of health—welfare and healthcare officials should strive to provide more accurate and professional information regarding chronic illnesses in order to usher in an new era of highly-educated elderly people. Key Words : elderly, chronic disease, correlation, recognition, practices

      • Zendance 치유무용이 장애청소년의 부적응행동 감소에 미치는 영향 : 정신지체와 발달장애 청소년에 대한 사례연구

        김은진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이 연구는 일곱 명의 정신지체 청소년들과 한 명의 발달장애 청소년의 부적응행동 감소에 미치는 젠댄스의 치유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사례연구이다. 이 사례연구는 2006년 4월에서 2006년 11월까지 7개월 동안 수행되었으며, 일주일에 주1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매회 프로그램은 90분 동안 진행되었다. 특히 13째 주~16째 주 사이에는 주3회 프로그램을 실시했다. 매회 프로그램은 역시 90분 동안 진행되었다. 젠댄스란 ‘각각의 움직임 하나하나에 집중하여 완벽한 균형과 중심을 이루도록 하는 동적(動的) 명상’이다. 본 프로그램에서 젠댄스를 활용할 때, 본 연구자는 신체적 움직임 하나하나에 집중할 뿐만 아니라 개개인의 마음의 움직임 하나하나에도 집중하는 방법을 취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치유 과정을 체험해 갔다. 전체 프로그램은 1) 스트레칭, 2) 에너지를 발산할 수 있는 역동적 댄스, 그리고 3) 젠댄스로 구성되었다. 세션이 계속됨에 따라, 젠댄스의 시간비율을 점차 늘여갈 수 있었다. 젠댄스 기법을 응용한 본 연구자의 창의적 춤과 움직임들은 참가자들이 에너지를 발산하고, 느낌을 표현하고, 기쁘게 춤 출 수 있도록 도왔고, 젠댄스 명상은 그룹을 평화롭고 차분하게 만들었다. 이러한 풍요로운 체험을 통해서 그들은 자신을 통제하고 부적응행동을 다소 혹은 크게 줄일 수 있었다. 특히 젠댄스의 걷는 명상과 수인법 명상은 본 연구자의 관찰에 의하면 주의집중 행동을 눈에 띄게 향상시켰다. 불안이나 불만이 커질 때 부적응행동 양상이 두드러졌으나, 에너지를 발산하고 감정을 표현하는 역동적 무용 활동 후 줄어들었다. 젠댄스 심화프로그램 이후 부적응행동이 비교적 빨리 줄어드는 사례가 있었다. 또한 어떤 사례들은 본 연구자와 참가자 사이의 좋은 래포 형성이 부적응행동의 신속한 감소에 중대한 역할을 했음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는 치유를 향한 개인의 자발적 동기와 노력을 유발시키는 것이 치유 과정에서 근본적 요인이 됨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젠댄스 치유무용은 부적응행동을 감소시킴에 있어서 유효하며, 장애 청소년들을 위한 다양한 치유 교육 프로그램들 안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할 잠재력을 지녔다. 본 연구자는 이 연구가 젠댄스 치유무용 프로그램들을 심화하고 확장하기 위한 디딤돌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f the healing effect of Zendance on the decrease of maladaptive behavior of seven mentally retarded and one developmentally disabled adolescents. The case study was carried out for 7 months, from April 2006 through November 2006. Usually we (I and the participating adolescents) met one time a week for a 90 min. session. Especially during 13th~16th weeks, we met three times a week. Each time we also had a 90 min. session. Zendance is ‘a moving meditation to aim at the perfection of centering and balancing with calm focus in every movement.’ When I make the good use of Zendance in the program, I adopted the method to concentrate not only on each bodily movement but also on each mental activity. Through this, the eight participants went through the healing process. The program was composed of 1) stretching, 2) dynamic dance to release energy, and 3) Zendance. As sessions went by, I could increase Zendance proportion in the program. My own creative dance and movements, which was an application of Zendance technique, helped the participants to release their energy, to express their feelings, and to dance joyfully. Zendance meditation made the group peaceful and calm. Through this rich experience they could control themselves and decrease their maladaptive behavior to some or a great extent. Particularly walking and mudra meditations as parts of Zendance improved attention behavior remarkably in my judgement based on my own observation. More anxiety or dissatisfaction they had, more maladaptive behavior they exhibited. However this maladaptive behavior was diminished through dynamic dance to release energy and to express feelings. There was a case showing Zendance intensive program decreased maladaptive behavior relatively fast. some other cases showed that forming rapport between myself and the participants played an significant role in decreasing maladaptive behavior rapidly. This research also demonstrated that the individual's self-motivation and efforts for healing was an essential element in healing process. To conclude Zendance Therapy is effective to decrease maladaptive behavior, and has potential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diverse therapeutic and educational programs for disabled adolescents. I think that this research may serve as a steppingstone to deepen and widen Zendance Therapy programs. key words : Zendance, dance therapy, Zendance therapy, meditation, disabled adolescents, maladaptive behavior, mentally retarded, developmentally Disabled, attention behavior.

      • 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우리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effect of nurse job satisfaction on quality of life Han WooRI Major in Public Health The Graduate School of Health and Welfare, CHA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eon Byung Yool)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utdy to identify the effect of nurse job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life and to confirm the correl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47nurses from C Hospital in Gyeonggi-do. As a research tool, Slavitt, Stamps, Piedmont & Hasse(1978) developed it, and Jung-Hye Park(2002) used a modified/supplemented tool.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ProQOL), a Korean translation of the questionnaire published on www.proqol.org, a homepage for quality of life produced by the original tool developer Stamm(2009), was used.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November 16 to November 22,2020,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Version 21.0 program I di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was the highest with 3.01points for professionalism and professional quality of life was 2.98 points on mean. Second,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nurse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p=0.019) and Current department career(p=0.018), and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p=0.004). Third,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r=.447, p<0.01) with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Among the sub-factors of job satisfaction, professionalism(r=.656, p<0.01), request of administration(r=.273,p<0.01) and work demand(r=.333,p<0.01)had a positive correlation. Fourth, The effect of job satisfaction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professional was confirmed(B=.835, p<0.01), and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addition, Among the sub-factors, professionalism(B=.564, p<0.01) appea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Based on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job satisfaction of nurses has an effect on the quality of professional lif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rategies and programs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quality of life of nurses, and through this, we think that efficient human resources can be managed.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소재 500병상 이상 규모의 C종합병원의 간호사 14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직무만족을 파악하기 위하여 Slavitt, Stamps, Piedmont, & Hasse(1978)가 개발하고, 박정혜(2002)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전문직 삶의 질(Professional Quality of Life Scale, ProQOL)을 측정하기 위하여 원 도구 개발자인 Stamm(2009)이 제작한 전문직 삶의 질 홈페이지인www.proqol.org에 공개되어 있는 설문지 한국어 번역판(2009)을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2020년 11월 16일부터 11월 22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전문성이 3.01점으로 가장 높았고 전문직 삶의 질은 평균 2.98점이었다. 둘째 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직무만족은 연령(p=0.019) 및 현 부서 경력(p=0.018)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 삶의 질은 결혼상태(p=0.004)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은 전문직 삶의 질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r=.447,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직무만족의 하위 요인 중 전문성(r=.656, p<0.01), 행정요구(r=.273,p<0.01), 업무요구(r=.333,p<0.01)가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왔다. 넷째, 직무만족이 전문직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고(B=.835, p<0.01)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또한, 하위요인 중 전문성(B=.564, p<0.01)이 전문직 삶의 질에 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이 전문직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병원 간호사의 직무만족 향상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전략 및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효율적 인적 자원을 관리 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 :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

        이하영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50639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수준에 따라 신체적, 정신적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수면의 질의 매개효과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스마트폰을 사용하고 있는 중학생 29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주요 통계분석은 상관분석과 위계적 회귀분석을 사용하였으며, 매개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인 중학생의 스마트폰 사용양상을 파악할 수 있고, 스마트폰이 단순한 전화기의 기능뿐 아니라 소통을 위한 중요한 수단임을 알 수 있다. 둘째, 스마트폰의 사용시간이 길어질수록 중독의 위험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셋째, 스마트폰 사용수준은 신체적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수인 수면의 질의 영향을 받으면 하위요인 중 생활장애와 강박증상이 유의하지 않는 완전 매개임을 알 수 있다. 넷째, 스마트폰 사용수준은 정신적 건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매개변수인 수면의 질의 영향을 받으면 하위요인 중 생활장애는 완전매개이며, 병적몰입의 경우 부분매개효과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결론으로 미루어 볼 때 스마트폰의 사용수준과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의 관계에서 수면의 질은 매개하며, 스마트폰 사용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수면의 질의 저하로 신체적 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병적몰입도가 클 경우 정신적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건강한 청소년기를 보내기 위하여 스마트폰의 올바른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과 수면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는 것이 필요하다.

      • 상해 후 발생된 불면증에 대한 이압요법의 효과

        이영진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39

        상해 후 발생된 불면증으로 고통 받는 환자에게 이압요법을 적용시켜 수면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6년 8월부터 약 2개월에 걸쳐 이루어졌고 광주광역시 소재 K병원에 각종 상해(교통사고, 산재, 일반 상해)로 입원중인 환자 중 실험군 10명, 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반복측정 설계로 연구하였다. 실험방법은 이압요법을 오전 11시경 시행하였고 3일 간격으로 좌, 우측 귀를 번갈아가며 불면증에 해당하는 이혈 부위에 1.5mm의 T-침을 매침 하였고 수시로 자극하도록 교육하였으며 이압요법 시행 3일 후, 6일 후, 9일 후 각각 수면점수와 수면만족도 점수를 측정하였고 9일 동안의 이압요법을 마친 후 6일 후에 다시 한 번 수면점수 및 수면만족도점수를 측정함으로써 이압요법 효과의 지속도를 알아보았다. 수면점수 측정은 오진주 등(1998)이 개발한 4점 척도 15문항의 수면 측정도구를 이용하였고 수면만족도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의 시각적 상사척도로 측정하였다.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χ²검정과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 반복측정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 적률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압요법을 적용한 실험군은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과의 비교에서 9일 후와 15일후 수면점수 변화의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2) 이압요법을 적용한 실험군과 적용하지 않은 대조군의 수면만족도점수 의 변화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실험군에서 보다 큰 변화를 보이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3) 수면점수와 수면만족도점수의 상관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이압요법이 상해 후에 발생된 불면증 환자의 수면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지만 수면만족도를 높이는데도 도움이 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이압요법이 불면 증세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pply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for the patients suffering from insomnia after having injuries and to examine its effects on their sleep. The data were collected for around two months from August 2006, and research was made through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post‐test with an experimental group (n=10) and a control group (n=10) who were selected from patients admitted to K Hospital in Gwang‐ju for various types of injuries (traffic accidents, industrial accidents, general injuries, etc.).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by applying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at 11 o’clock in the morning and three times at intervals of three days, alternating between the left and right ears. In acupuncture, 1.5mm long T‐needle was applied to ear points corresponding to insomnia, and the patients were instructed to stimulate the points from time to time. Each patient’s sleep score and sleep satisfaction score were measured after 3, 6 and 9 days from the application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In addition, after six days from the last application, we measured the sleep score and the sleep satisfaction score again to examine how long the effect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lasted. The sleep score was measured using 15 questions on a five‐point scale developed by Oh Jin‐joo (1998), and the sleep satisfaction score was measured using a visual analogue scale on a ten‐point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for Windows through χ²‐test, t‐test, one‐way ANOVA, repeated measure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sleep score on day 9 and day 15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P< 0.05). 2)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in their sleep satisfaction scor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3)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leep score and the sleep satisfaction sco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r²= .912).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is effective in improving insomnia patients’sleep after having injuries and, 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enhancing their sleep satisfaction. This study also showed the possibility of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as a useful tool for easing the symptoms of insomnia. Keywords: injuries, insomnia, auricular acupressure therapy

      • 점토 매체 중심의 미술치료가 아동의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

        이상미 차의과학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3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clay medium-centered art therapy on electroencephalogram of children and to seek an effective counterplan that helps their emotional stability and healthy growth by applying the suitable art therapy program for their diseases and characteristics to them and reducing their stres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 First, how does clay medium-centered art therapy have an effect on the change of alpha wave of children when compared with plane medium-centered one? Second, how does clay medium-centered art therapy have an effect on the change of theta wave of children when compared with plane medium-centered one? Third, how does clay medium-centered art therapy have an effect on the stress index of children when compared with plane medium-centered one? Forth, how does clay medium-centered art therapy have an effect on the activity change of left·right brains of electroencephalogram of children when compared with plane medium-centered one? To verify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clay medium-centered and plane medium-centered art therapies were conducted on 42 elementary students with 10∼13 ages who live in Ilsan, Gyeonggi-do each once (total two times) and electroencephalograms of children were compared and analyzed measuring them just before and after doing each art therapy. The data of 3 persons that caused errors in the electrocorticographic process were not used and the one of 39 persons were done in analysis. For experimental fairness, 21 persons first conducted art therapies by clay media and the rest 21 ones first did them by plane media. This study used 2-channel cable brainwave detector(LXEJ102, CANS 3000, LAXTHA Inc) and Data Acquisition & Analysis S/W called Telescan to measure electroencephalogram and did Cognitive Functions Assessment(Cognitive Ability tests) and S/W (LXSMD3-1) to measure evoked electroencephalogram. This study conducted analysis using SPSS WIN 14.0 program which is the statistical program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rom it. The main results gotten from this experimental study are as follow: First, the index of alpha wave was meaningfully improved in all of art therapies by clay medium and plane medium. As for comparison of the change between groups, the index of alpha wave of art therapy by clay medium was meaningfully done when compared with one by plane medium. Second, the index of theta wave was meaningfully improved in all of art therapies by clay medium and plane medium. As for comparison of the change between groups, the index of theta wave of art therapy by clay medium was meaningfully done when compared with one by plane medium. Third, the stress index was meaningfully reduced only in art therapy by clay medium. And it was little bit reduced in one by plane medium but there was no meaningful result in it. Forth, as for the result of the activity change of left·right brains, activity of right brain was meaningfully activated after conducting art therapy by clay medium. It was little more done in art therapy by plane medium but there was no the meaningful result in it. When the above results are examined, the alpha wave which is the stable wave was more generated in art therapy by clay medium than in it by plane medium and the theta wave which controls a sensible area also was more generated in art therapy by clay medium than in it by plane medium. Also, the result of this study has found that the stress index used in it was more reduced in art therapy by clay medium. Therefore, art therapy by clay medium can be more effective for stress reduction and the activity increase of right brain than it by plane medium. Especially, this study can have the meaning in that directions to verify effectiveness of art therapy are presented because there have been little precedent studies such as the scientific verification methods by electrocorticography in art therapy and I expect that the future studies related to it will be continued. Key Words : Clinical Art Therapy, Clay Medium, Stress, Electroencephalogram, Alpha wave, Theta wave. Activity of left·right brains. 본 연구는 점토 매체 중심의 미술치료가 아동의 뇌파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 결과에 따라 아동에게 질병과 특성에 따른 적합한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스트레스를 감소시켜 정서적 안정과 건강한 성장을 돕는 효과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매체 중심의 미술치료가 평면매체 중심의 미술치료에 비해 아동의 알파파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점토매체 중심의 미술치료가 평면매체 중심의 미술치료에 비해 아동의 세타파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점토매체 중심의 미술치료가 평면매체 중심의 미술치료에 비해 아동의 스트레스 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점토매체 중심의 미술치료가 평면매체 중심의 미술치료에 비해 아동의 뇌파 변화 중, 좌·우뇌 활성도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위와 같은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경기도 일산에 거주하고 있는 초등학교 10∼13세 학생 42명을 대상으로 하여, 동일 집단에 점토매체 중심의 미술치료와 평면매체 중심의 미술치료를 각 1회씩 총 2회 실시하였고, 각 미술치료 실시 바로 전과 후에 뇌파를 측정하여 비교 분석 하였다. 이 중 뇌파측정과정에서 오류를 일으킨 3명의 데이터는 사용하지 않았고, 39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실험의 형평성을 위하여 21명은 점토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를 먼저 실시하였고, 나머지 21명은 평면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를 먼저 실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뇌파를 측정하기 위해 2채널 유선뇌파 측정기(LXEJ102, CANS 3000, LAXTHA Inc) 와 Telescan 이라는 Data Acquisition & Analysis S/W를 사용하였고, 유발 뇌파를 측정할 수 있도록 Cognitive Functions Assessment(인지능력검사)와 S/W (LXSMD3-1)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 프로그램인 SPSS WIN 14.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 연구를 통해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점토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평면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에서 모두 알파파 지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집단 간 변화량 비교에서는, 점토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가 평면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에 비해 알파파 지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점토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와 평면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에서 모두 세타파 지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고, 집단 간 변화량 비교에서는, 점토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가 평면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에 비해 세타파 지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스트레스 지수는 점토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에서만 유의미하게 감소하였고, 평면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에서는 약간 감소하기는 하였지만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는 못하였다. 넷째, 좌·우뇌 활성도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점토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를 실시한 후에 우뇌의 활성도가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평면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에서는 우뇌의 활성도가 더 높아지기는 하였지만 유의미한 결과를 보이지는 않았다. 이상에서 볼 때, 점토매체를 이용한 미술치료가 평면매체 미술치료에 비하여 안정파인 알파파를 더 많이 발생하도록 하고, 감성 영역을 지배하는 세타파 역시 더 많이 발생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스트레스 지수가 더 많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 감소에 더 효과적이며, 우뇌 활성도 증가에 더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본 연구는 미술치료에 있어서 뇌파 측정을 통한 과학적인 검증 방법 등의 선행 연구가 거의 없었기에, 미술치료의 효과성 검증을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의미를 가진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이와 관련한 후속 연구가 계속 되길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