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국어 교육실습의 실태 분석 :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실습을 중심으로

        이지영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95

        본 연구는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실습을 중심 으로 한국어 교육실습의 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대학원 한국어 교육실습생의 실습 전․후와 실습 대상인 외 국인 학습자의 실습 받은 후의 인식변화를 묻는 설문, 면담, 관찰을 통하여 기 술하였다. 아울러 같은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진행하는 비학위 한국어교원 양 성과정 교육실습생의 설문 조사와 관찰 기술도 보완적으로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 교육실습생에 대해 실습기관과 학습자들은 교육실습 전․후 대 체로 호의적으로 대해 주었다. 교육실습 방법으로는 강의실습, 모의수업, 강의 참관 등의 형태로 이루어졌으며 모든 교육실습 방법을 거쳤음을 알 수 있었다.교육실습생은 교육내용의 설계 기준으로 해당 수업내용의 이해를 중요하게 생 각했다. 교수법에 대한 이해 부족과 학습자와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은 부분 들을 힘들어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한국어 교육실습 기관과 한국어 지도교사의 협력과 호의에 따라 한국 어 교육실습이 영향받는 것을 알 수 있었고, 한국어 지도교사의 역할이 크므로 전문성 제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실습생들은 이수한 교육과정을 통해 전문성 신장에 긍정적인 인식 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학위 과정의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교육실습생들의 교육실습에 대한 인식과 실태도 교육대학원 한국어 교육실습생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한국어 학습자들은 교육실습생의 수업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의사소통과 한국어 학습뿐 아니라 흥미와 태도 또한 긍정적으로 향상된 것으 로 분석되었다. 한국어교원이 학습자의 언어를 조금 배우거나 영어를 적절히 활용한다면 학 습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이해에 도움이 될 것이다. 해외실습이나 방학 중 실습 또는 봉사활동을 이용한 수업실습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된 진주교육대학 교육대학원 한국어교육 전공의 교육과정 과 교육실습은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형태에 따라 교육과정과 교육실습에 차 이가 있다. 그러나 석사학위 과정 이외에 학사학위 과정, 비학위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등의 교육실습 개선에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중심어: 한국어 교육실습, 한국어교육 전공, 한국어교원 양성과정, 사회통합 프로그램(KIIP)

      •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진주검무 지도 프로그램 개발

        김성민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전통교육은 현재의 전통예술교육의 융합과 창의적 소통을 바탕으로 자국의 문화를 자원으로 활용하고 있으며 문화를 창조한 우리 조상들의 가치와 사상을 고유의 정서와 미적 사상을 통해 전통을 학습하고 한국문화를 아는 것이 중요 한 시점이다. 또한 우리 문화와 타문화의 보편성을 이해하는 것은 다양한 문화 가 교류하고 소통하는 문화적 현상을 인식하는 것과 더불어 우리 민족의 고유 성과 독특성을 알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전통문화예술을 체계적으로 교육하고 자원화 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의 개발 보급이 필요하고 이를 구축할 수 있는 교육 시스템이 절실하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진주검무를 무용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서 진주검무를 통해 우리나라 전통무용의 가치와 중요성을 알 수 있도록 중요무형문화재 제12호로 지정된 진주검무를 분석하여 진주검무의 이해를 위한 이론과 기본 장단 및 춤사위를 체계적으로 구성하여 초등학교 교사들을 위한 진주검무 지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목적 을 두었다. 이를 위해 이해 중심 프로그램, 체험 중심 프로그램, 창작 중심 프로그램을 통합하여 12차시 수업을 개발하였으며, 각각의 활동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 고 세부 활동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를 기초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해 중심 프로그램은 영상을 바탕으로 역사나 검무에 대한 개념을 이 해하고 이를 발전시키는 단계로 검무에 대한 이해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두 었다. 이해과정의 활동은 검무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창작과정에 필요한 창의 적인 사고의 발판을 마련해주도록 구성하였다. 둘째, 체험 중심 프로그램은 학생들의 감각과 창의력을 키우기 위해 진주검 무 공연 영상을 감상하면서 몸의 감각을 자극하고 표현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체험 중심 활동 내용은 진주검무 춤사위배우기, 진주검무 장단배우기, 진주검무 소품 만들기로 구성 하였으며 이와 같은 활동을 통해 검무에 대한 감각을 체득 하도록 하였고, 춤사위, 장단, 만들기를 표현함으로써 예술적 체험의 기회를 제 공하고자 한다. 셋째, 창작 중심 프로그램은 이해과정과 체험과정을 바탕으로 지금까지의 경 험을 종합하고 자신의 개인적인 경험과 학습을 통해 표현해본 다양한 통합적 사고를 이루는 과정이다. 즉, 감각적으로 경험한 것과 직접 경험을 통합한 새 로운 작품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창작과정의 활동은 1차시에서 9차시 까 지 배운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창의적인 표현과 감상의 영역을 유기적으로 연결 시켜 학습의 창작 개발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 지역문화를 활용한 초등학교 미술 지도 방안 : 진주 지역의 문화재,축제를 중심으로

        송순옥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47

        Some argue that art education needs to focus on helping figure identity of Korean culture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other cultures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one of the latest trends in art education. In addition, the 7th Education Course requests teaching regional culture that can help figure identity of Korean art culture through appropriate education programs befitting each and every region, and revis ededucational course in 2007 also emphasizes it. If cultural resources located in Jinju area are used in art classes, their educational value would be great and educational methods would be diversified, However, it has been hardly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In this regard, the study suggested how to apply art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 use of culture in Jinju. It aims to provide education through integration of subjects, use websites and festivals, induce a visit to museums, apply appreciative work sheets and make the most of NIE so that students better understand art culture in their own areas and have more interest in them helping them have pride in their own community. The study aimed to restore traditional values by using regional cultural assets and festivals in an effort to localize elementary art education courses and help students who are members of local community figure their root and identity. Chapter 2 dealt with concept, characteristics, necessity and educational values. Chapter 3 contained main regional cultural materials in Jinju and examined how to include them into art text books.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to figure the contents, standard and methods of education befit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pter 4 aimed to figure art education methods based on the use of culture in Jinju and apply them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questionnaire research produced following research. First, students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regional society and realize the importance of the value of regional culture. Second, students were able to better understand art culture in their own community and developed interest in it. Third, students were able to develop appreciative ability and aesthetic expression ability that are required to figure historical facts, formative beauty and spiritual value in local culture. Fourth, students were able to have pride in local community. Fifth, students were able to enhance identity and creativity with regard to local culture. Sixth, students were able to better appreciate and understand traditional arts. Those who had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traditional arts were able to approach them with interest by using local culture. In addition, students were able to have a chance to enjoy local culture through activities in the field and appreciation of cultural assets. 최근 미술교육의 한 흐름인 ‘다문화 미술교육’에서 다른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우리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시킬 수 있는 미술교육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우리 미술 문화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지역문화를 그 지역 실정에 적합한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가르칠 수 있도록 요구하고 있으며,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문화적 가치 부분을 강조하고 있다. 진주지역에 소재한 문화 자원을 미술과 수업에 활용할 경우 교육적 가치가 크고 방법은 다양하지만, 아직 교육 현장에서의 활용도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주의 문화를 활용한 미술 지도 방안을 모색하여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과간 통합에 의한 지도, 둘째 Web을 활용한 지도, 셋째 축제를 활용한 지도, 넷째 박물관 관람을 통한 지도, 다섯째 감상용 Work Sheet에 의한 지도, 여섯째 NIE를 활용한 지도를 통해 학생들이 우리 고장의 미술문화를 올바르고 쉽게 이해하고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게 하며, 지역 사회에 대한 애착심과 자긍심을 갖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문화재와 축제를 미술교과 교육과정의 지역화의 방안으로 활용하여 전통적인 가치들을 되살리며, 지역의 구성원인 학생 자신들이 문화의 뿌리를 알게 하며, 지역의 문화주체로서 주체성과 정체성을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행에 앞서 Ⅱ장에서는 지역문화의 개념·특성·필요성·교육적 가치를 다루었다. Ⅲ장에서는 진주의 주요 지역문화자료를 살펴보고 진주의 문화 자료의 미술 교재화 방안을 다루었다. 여기서는 학생들의 설문에 의해 조사된 내용과 초등학생들에게 적용하기에 무리가 없는 내용을 중심으로 수업의 내용, 수준, 방법 등의 교육과정을 설정하는데 주요한 준거로 활용하였다. Ⅳ장에서는 진주의 문화를 활용한 미술지도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수업에 적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학생들의 설문을 통한 결과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지역사회를 바르게 이해하고, 지역문화에 대한 가치와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하게 되었다. 둘째, 우리 고장의 미술문화를 쉽게 이해하고, 더욱 흥미롭게 접근하게 되었다. 셋째, 지역문화 속에 담긴 역사적 사실, 조형적인 아름다움, 정신적인 가치를 찾아낼 수 있는 감상능력과 미적 표현력이 길러지게 되었다. 넷째, 지역 사회에 대한 애착심과 자긍심을 가지게 되었다. 다섯째, 지역문화에 대한 정체성과 창조성 확립에 기여하게 되었다. 여섯째, 전통미술에 대한 감상과 이해에 도움이 되었다. 이전에는 어렵고 지루하게 생각했던 전통미술을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지역문화를 활용함으로써 친근감을 가지고 즐겁게 참여하게 되었다. 또한 현장체험 활동, 문화재 감상활동 등을 통하여 지역 문화에 대하여 더욱 재미있고 흥미롭게 접근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었다.

      •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요인 분석

        김원형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경상남도의 각 시·군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교사들을 대상으 로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요인 분석’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서, 궁극적으로는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높이는 현실적인 방안을 탐색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개인(내부) 요인’을 ①성별, ②연령별, ③근무지역별, ④학교규모별, ⑤직위별, ⑥승진노력별, ⑦승진 가능별 변인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경 (외부) 요인’을 ①인간관계, ②업무관계, ③국가교육정책·제도, ④경남교육정책·제도, ⑤사회인식 변인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요인들이 초등교사의 교직 헌신도 를 저하시키는 데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의 진행을 위해 설문지를 제작·배포하여 최종 570부의 설문지를 SPSS 18.0 버전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통해 비모수 순위 분석, 평균 차이 분석의 방법 으로 통계처리하고 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통해 얻은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경(외부) 요인별 영향력 에 대한 비중(순위)에 대해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응답 결과를 보여주었다. 각 영역에서 가장 중요도가 큰 요인으로 생각하는 것은, ①인간관계 요인에서는 ‘학생’, ②업무관계 요인에서는 ‘학생생활지도’, ③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에서는 ‘교육공무원 승진체계’, ④경남교육정책·제도 요인에서는 ‘배움중심수업 장려’, ⑤사회인식 요인에서는 ‘학부모가 교사를 보는 인식’이었다. 둘째, 교사의 개인(내부) 요인별 차이에 따라,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 경(외부) 요인에 대한 인식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가장 두드러 진 인식의 차이로는 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였다. 그리고 ①성별에 따라 국가교육정책·제도, 사회인식 요인에 대한 인식, ②연령별에 따 라 인간관계 요인에 대한 인식, ③근무지역별에 따라 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 에 대한 인식, ④학교규모별에 따라 국가교육정책·제도, 업무관계 요인에 대한 인식, ⑤직위별에 따라 인간관계 요인에 대한 인식, ⑥승진노력별에 따라 인간 관계, 국가교육정책·제도 요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의 개인(내부) 요인 각각의 집단별로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 경(외부) 요인에 대한 인식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각 환경(외부) 요인에 대해, 성별에 따른 남교사와 여교사 간의 인식 차이가 가장 두드러졌으며, 그 외에 연령별에 따른 차이, 근무지역에 따른 차이, 학교규모에 따른 차이, 승진노력별에 따른 차이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이 연구의 결론 및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은 개인(내부) 요인에 따라서 교직 헌신도를 저하시키는 환경(외 부) 요인에 대한 인식 수준이 각각 다르다는 것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 서 확인되었다. 따라서 교사의 교직 헌신도를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교사의 개인별 변인 특성과 환경적 요인을 고려한 차별화된 제 도적 장치 마련과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교 현 장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대책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며, 정부와 사회, 교육부와 시도교육청은 교사의 교직 헌신도 제고를 위한 방안 마 련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경상남도의 초등교원 양성기관인 진주교육대학교와 임용기관인 경상남 도교육청이 교사의 교직 헌신도 제고를 위한 협력적 관계를 유지할 필요가 있 다. 두 기관이 예비 교사와 현직 교사에 대해 교직에서의 갈등 요소와 그에 따 른 해결방안 모색과 정책 수립에 함께 할 수 있는 협의체를 구성하고, 관련 논 의가 진행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진주교육대학교에서는 교원양성 본연의 목표 구현과 함께 교육현장에 대한 괴리감을 감소시켜줄 수 있는 예비 교원 양성교육을 위해서, 교직 실무와 함께 교사의 교직 헌신도와 관련한 내용으로 강좌를 개설하는 등 이와 관련된 교육 기회를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넷째, 경상남도교육청은 교사들의 개인(내부) 요인과 교사를 둘러싼 환경(외 부) 요인들에 의해서 교사들이 각각 다른 유형의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점 을 인식하고, 이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깊이 있는 고민과 연 구를 통해 일련의 내용을 프로파일링(profiling)1) 하여, 현장 교사들이 서로 다 른 다양한 환경에서 겪는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이나 맞춤형 연수를 설계해서 교사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다.

      • 초등학교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지도 방안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도덕과를 중심으로

        이상백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교육은 한 민족의 동질성을 통합하고 또한 결속시키는 가장 확실한 수단이다. 그러나 지난 50년간의 남북한 교육은 오히려 민족의 적대감과 이질성을 심화시키고 분단을 고착화하는 역기능의 역할을 하였다. 복합적 민주사회의 다원성에 부응할 수 있는 교육 방식의 다양화를 꾀하고, 피교육자의 대상에 맞는 방법과 자료 기법을 동원해야 한다. 통일은 각 사회 부문에 따라 다르게 적용되는 문제이며, 이는 제도적 통일, 사회적 통합, 문화적 공존의 차이와 다름의 인정에서 출발해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 통일 한국의 주인이 될 새 세대에게는 한반도 통일과정과 통일 후에 발생 될 수도 있는 갈등 및 혼란을 극복할 수 있는 성숙되고 책임감 있는 인식의 틀을 지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문제의식에서 급변하는 통일환경의 변화에 적응하고 통일 세대의 주역이 될 초등학생들에게 통일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는 한편, 통일문제에 관한 긍정적인 자세와 건전한 통일관을 형성하여 통일 이후에 예상되는 사회적인 혼란과 갈등을 최소화하고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효율적인 목표 달성을 위한 방법으로 초등학교 통일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이론 중심의 강의식 및 주입식 통일교육 방법이 아니고 학생의 수업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초등학교 통일교육에 적합한 교수-학습 지도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통일원과 교육부 및 기타 관련단체 등에서 발행하는 정기 간행물 및 연구논문과 일반 대학원과 교육대학원의 학위논문, 통일정책과 통일교육의 내용을 다룬 책자와 자료들을 참고하여 문헌 연구 중심의 연구 방법에 역점을 두고 초등학교 통일교육 수업에 적합한 교수-학습 모형을 탐색해 보고 이를 토대로 각 학년별 도덕과 통일교육 관련 단원의 특성에 맞는 통일교육 교수-학습모형을 선정하였다. 통일교육 실시에 있어 어떠한 모형을 선택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가르쳐야 할 내용, 학생들의 특성이나 환경적인 여건 등을 고려한 적절한 수업모형의 선택은 수업의 효과를 결정짓는데 커다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회 문제나 가치 문제를 다루는 수업을 위한 모형들은 모두 통일교육을 위한 수업모형에 포함 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수업 모형들은 지식, 가치관, 판단력, 의지나 동기, 행동 성향 등을 기르는데 적절한 것들이다. 이와 같은 수업 모형들은 크게 교사가 주도적으로 학습내용을 제시하고 수업을 이끄는 전통적인 ‘주입식 수업모형’ , 학생들의 사고를 촉진시키고 발표를 통해 학생들을 수업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는 ‘탐구식 수업모형’ 그리고 학생들의 직접 혹은 간접적인 경험을 통해 통일 문제를 절실하게 인식하고 실천하고자 하는 행동 성향을 기르려는 ‘체험식 수업 모형’의 세가지 유형으로 묶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 모형들을 다시 세분화하여 집단탐구 수업모형, 개념분석 수업모형, 비교분석 수업모형, 가치갈등 수업모형, 토의 수업모형, 시사자료 활용수업 모형, 등 총 10가지의 수업모형에 대해 탐색해 보았다. 이중에서 초등학교 도덕과 통일교육 관련 단원의 특성을 분석하여 가장 적합한 8개의 학습 모형을 선정하였으며, 학습모형에 따라 학년별 차시별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 적용 하였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통일교육 활성화를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지도 방안을 구안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수업모형은 실혐연구를 거치지 않았지만 실험연구가 시행된다면 초등학교 통일교육의 일반화에 기여하게 될 것이다. 앞으로도 통일교육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법들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더욱 활성화 된다면 통일교육의 교육적 효과도 배가 될 것이다. Education is the most secure means of unifying and strengthening the identity of a people. However, the education in the South and the North has deepened the hostility and disparateness between the two, thus it has played negative function to fix the partition of the peninsula. Various means of education should attempt to meet the variety of the complex democratic society, and new techniques and materials suitable should be employed for the educatees. The notion of reunification should be differently applied to each part of the society, which should start with the awareness of the fact that there are differences among the unification of systems, social unification, and cultural coexistence. Therefore, the new generations, who will be the owners of the reunified Korea, should possess the responsibility and maturity to overcome the possible discord or disorder which would occur during or after the process of reunification. Based on the awareness of the above questions, this study aims to seek for a new teaching-learning program effective for the education of reunification in elementary schools, which will lead the students to participate in the reunification education more actively with a little emphasis on theory in class and grinding. In this study a teaching-learning plan is attempted, which will make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et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n reunification, and implement them with the correct awareness of reunification to be able to minimize the possible discord and disorder during or after the reunification. For this, the appropriate teaching-learning model was found for the reunification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putting emphasis on research method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y examining various documented materials, after consulting periodicals of Ministry of Unification, Ministry of Education and other related organizations, research papers, dissertations in graduate schools and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books and materials for the reunification policy and education of reunification. Based on the result, a teaching-learning model was selected for the reunification education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thics and the reunification education subject of each grade. In performing the reunification education, the matter that which model we should choose is very important. Because selecting the most efficient lesson model with regard to the contents to teach, specialties of students and other conditions are the key to enhance the effect of education. Lesson models for education of general social problems or values can be combined with models for the reunification education and they will be good for developing knowledge, sense of values and judgement, will, motive, and behavior inclination. These models can be comprized broadly as three types, including traditional 'grinding type lesson model' in which teacher plays a leading part in presenting and leading lessons at class, 'inquiry type lesson model' with which considers students are to be furthered and they can actively participate in lesson process through making presentations, and 'empirical type lesson model' that intends to foster behavior inclination to be aware of and practice reunification matters through students' direct and/or indirect experience. In this study, the above mentioned models were divided in a more detailed way into ten lesson models such as 'group research lesson model,' 'concept analysis lesson model,' 'comparative analysis lesson model,' 'value conflict lesson model,' 'discussion lesson model,' and 'lesson model utilizing current event materials.' Among these ten models, the most pertinent eight lesson models were selected after careful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units of elementary school ethics subject related with the reunification education to develop and implement a design for teaching-learning curriculum of elementary ethics subject. This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d suggest an effective teaching-learning plan for the activation of reunification education. No empirical studies have done yet, but if any experiment is carried out, it will greatly contribute to the generalization of the reunification education at elementary schools. It is necessary to continue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techniques in the reunification education, and it is expected that if further researches are to be activated, there might be more educational effect for the reunification education.

      • 진주지역 이주노동자의 한국어교육 실태분석 및 지도방안

        최남선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논문은 진주지역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지 도방안을 연구한 것이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으로 진주지역 이주노동자들에게 좀 더 효과적이며 효율적인 한국어교육의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된 연구를 검토해 봄 으로 수도권(61.9%) 다음으로 이주노동자 분포가 많은 영남지역(19.7%), 특히 진주시의 이주노동자 한국어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이 논문의 의의를 찾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외국인이 한국에 들어와 급여를 받고 일하는 인력 모두를 ‘이주 노동자’라고 정하였다. 이주노동자 정책은 산업연수제도에서 고용허가제 또 방문취업제로 변화를 겪어왔음을 밝혔다. 또한 일본과 독일의 이주노동자 정책을 살펴보고 각 나라의 자국어 교육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진주지역 이주노동자와 교사, 교육기관 센터장을 연구의 대상으 로 하여 인터뷰와 설문지법으로 요구조사를 하였다. Ⅳ장에서는 자료의 분석을 모두 여섯 가지로 하였다. 첫째, 사회 인구학적 특 성으로 이주노동자들은 주로 남자이며, E7이나 E9의 합법체류자들이 많았고, 고등학교 이상의 고학력자가 많았다. 둘째, 목적과 목표의 적합성으로 센터장, 교사, 이주노동자가 한국에서 보다 나은 삶을 위해 한국어교육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의 전문성으로 교사 전원이 한국어교육이나 국어국문 학을 전공하였다. 넷째, 한국어교육의 효율성으로 이주노동자들이 입국 전 한국 어교육이 입국 후 한국에서 생활하는데 상당히 도움이 되며, 한국어교육 중 쓰 기와 문법부분이 취약한 것으로 나왔다. 다섯째, 학습 내용의 적합성으로 학습 시간이나 요일은 이주노동자의 상황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왔다. 그러나 교 재의 부분은 모국어 설명이라든지 작업장 어휘가 부족하다는 요구가 나왔다. 여섯째, 일반적 상황으로 교사들의 힘들거나 보람을 느낄 때를 알아보았다. 또 한 이주노동자 상황으로 교사에게 바라는 점이라든가, 한국어교육을 통한 개인 적인 목표를 알아보았다. Ⅴ장에서는 분석된 자료를 가지고 다음과 같이 한국어교육 지도방안을 제시 하였다. 첫째, 한국어 학습 방안이다. 교재의 발음기호 표시와 발음지도가 필요하며, 쓰기지도가 필요하다. 이주노동자들이 입국 전․후 상황에 따른 한국어 교재가 필요하다. 한국어교육 초급자들에게 매개 언어를 사용해야 한다. 기관에서는 학 습 의욕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진주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지역어를 함께 지도해야 한다. 둘째, 한국어교육 환경 방안이다. 쾌적한 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원거리 학습자들에게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여 학습하도록 도와야 한다. 지속적인 교사 교육이 있어야 한다. 두 센터의 연대의식이 필요하다. Ⅵ장에서는 지금까지의 연구 분석 요약과 함께 연구의 한계점을 말하였다. 이 논문이 진주지역 이주노동자들에게 한국어교육을 좀 더 효과적이며 효율 적인 방법으로 교육하는데 사용되어지길 바란다. 또한 다양한 지역의 이주노동 자를 대상으로 한 또 다른 연구의 초석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미적 체험의 세목화 지도를 통한 미적 사고력 증진에 관한 연구

        박광우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행 교육 과정에서 미술과 교육은 아동들이 미술을 생활화 할 수 있도록 생활 속에서의 미적 체험과 전통미술 및 세계 미술 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해 감상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제7차 교육 과정이 공포 된지도 수년이 지났지만, 아직도 미적 체험 영역에 대한 실제적인 지도방법에 있어서는 어려움이 있는 것은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 지역과 주변 지역에 산재해 있는 미적 체험 대상에 대해 ‘미적 체험의 세목화 지도’를 통하여 아동들이 생활 속에서 미술을 즐길 수 있는 미적 안목과 미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 연구 및 선행 연구를 통하여 미적 체험과 미적 사고력에 대한 제 이론을 살펴보고 미적 사고력 신장 방안을 탐색해 보았다. 둘째, 미적 체험은 감성과 지성을 수반하고 관심의 집중을 필요로 하며 지각의 과정을 거친다. 이 지각의 과정을 도울 수 있는 미적 체험 내용 요소를 살펴보고 시각적 요소, 감성적 요소 등으로 세목화 하였다. 셋째, 진주시와 주변의 7개 군 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자료를 선정·수집하고 분류한 미적 체험 대상을 정하고 학년별로 투입할 미적 체험 학습지를 제작 하였다. 넷째, 미적 체험 학습지도안을 구안하고 제작된 자료를 투입하여 지도 전과 후의 결과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다섯째, 미적 체험의 세목화 지도는 미적 사고력 증진에 효과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는 현장 지도 과정상 연구자가 재직 중인 진주시 덕오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례 수는 3, 4, 5, 6학년 학생 23명 전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범위에서 교과의 범위는 미술과의 ‘미적 체험’ 영역에 한정하였고, 지역적인 범위는 진주시와 진주시의 인접한 7개의 군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1차 활동으로 미적 체험 활동 결과를 문자로 적어 보게 하고, 2차 활동으로 미적 체험의 세목화 지도 내용 요소를 이해시키고 난 후 미적 체험에 대한 느낌을 짧은 문장으로 기록하였다. 또 기록된 내용들을 시간적, 내용적으로 순서를 정하여 다시 긴 문장으로 정리하는 교육을 통하여 미적 안목과 미적 사고력의 변화를 비교·분석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연구 결과는 미적 체험의 세목화 지도 후 어린이들의 미적 체험 내용 요소가 늘어났고, 미적 언어의 사용이 증가 하였으며, 미적 용어가 풍부해지고 긴 문장으로 서술할 수 있는 어린이가 늘어났다. 따라서 미술에 대한 질적인 교육을 받은 어린이들은 미적 아름다움에 더욱 민감해지고 깊이 생각하게 되며, 심화된 경험을 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미적 체험의 세목화 지도는 어린이들이 미적 대상을 보는 미적 안목과, 미적 사고력을 신장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알게 되었다. 초등학교 시기에는 주변 환경에 대한 인식 능력과 감수성이 크게 발달하면서 사물을 보는 방식에 관심과 주의를 기울이게 되므로, 미적 체험 활동을 통하여 사고력과 문제 해결력의 발달을 촉진하고 극대화시킬 수 있는 활동을 제공하는 것은 바람직한 교육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In existing curriculum, the education of art field makes an emphasis on appreciative education for children to live with art in daily life, and to promote better understanding on aesthetic experience, traditional art and worldwide fine art culture. Even though several years have passed away from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proclamation, it is true that we still have difficulty in practical teaching method on aesthetic experience part. In this study, therefore, we aimed for children to improve aesthetic eye and aesthetic thinking ability to enjoy art in their daily lives through the 'dividing guidance of aesthetic experience' against aesthetic experience targets which scattered in Jinju City Area and nearby. This study tries to attain the research purpose as follows; Firstly, through the literature study and precedent research investigation, we tried to search the promotion scheme for aesthetic thinking ability with the glance of various kind of theories on aesthetic experience and aesthetic thinking ability. Secondly, aesthetic experience accompanies to sensitivity and intelligence, needs to the concentration on matters of concerns, and expreiences process of perception. After investigation on aesthetic experience contents factors, we tried to divide them into visual and sensitive factors out of perception process. Thirdly, after deciding aesthetic experience targets according to the selected, collected and classified data which were scattered in Jinju City Area and nearby seven counties, we produced aesthetic experience learning sheet to apply each grade. Fourthly, we made an comperative analysis the results before and after guidance with the adoption of aesthetic experience teaching guidance. Finally, we found out that the dividing guidance of aesthetic experience affected aesthetic thinking ability promotion. The study was carried out against the incumbent workplace children attending in Deok-O Elementary School, Jinju City, for which the researcher work, and the number of case was altogether 23 children in 3, 4, 5, 6 year grade. As for the scope of study, we placed limitation within 'aesthetic experience' of art field as a curriculum range, and also Jinju City Area and neighboring 7 counties as a regional range.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write down the result of aesthetic experience activity as a character, and then to understand the factors of dividing guidance of aesthetic experience, the children wrote down their feeling against aesthetic experience in short sentence. Moreover, we adopted study method to comperative analysis of the change on aesthetic eye and aesthetic thinking ability through the education for arranging written materials in ordering time and contents, then the children rewriting long sentence. The result of study showed that the dividing guidance of aesthetic experience extended children's aesthetic experience contents factors, enlarged usage of aesthetic language, increased the number of children capable of describing long sentence with abundant aesthetic words. Therefore, we understood that the children well educated on art came to more sensitive and considerate on aesthetic beauty, and came to experience propound experience. The dividing guidance of aesthetic experience was effective on promoting children's aesthetic eye and thinking ability. In the age of elementary school, as children came to pay attention to the way of observing things with the development of perception ability and sensibility against surroundings, offering activities capable of maxmizing and promoting development of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ability through the aesthetic experience activities is said to be desirable educational activity.

      • 2015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3ㆍ4학년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 분석

        허희찬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The Analysis of Disability-Related Contents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books for Third and Fourth Grade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허 희 찬 지도교수 정 용 석 본 연구는 2015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 분석 을 통해 교과서가 나아가야 할 방향 제시 및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개정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 요소는 어떠한가? 둘째, 2015개정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의 장애 유형은 어떠한가? 셋째, 2015개정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의 장애인관은 어떠한가? 넷째, 2015개정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의 장애이해 교육방법은 어떠한가?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을 분석한 선행연구는 7차 교육과정이 도입된 이후부 터 시작되어 2007개정교육과정부터 수시 개정을 대상으로 2015개정교육과정 초 등학교 1·2학년 연구까지 이어져 오고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과서 분석의 흐름에 이어 2018년에 도입된 2015개정교육 과정 초등학교 3·4학년 교과서에 실린 장애 관련 내용 요소 및 장애 유형은 어떠 하며, 사회적·의료적 관점을 근거로 한 장애인관은 어떻게 반영되었는지, 그리고 활동 및 이해중심 장애이해 교육방법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개정교육과정 3·4학년 교과서의 장애 관련 내용 요소는 장애 관련 삽화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그 이유는 삽화가 장애 관련 내용을 표현하기 쉽고 학생들이 이해하기에도 교육적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보조도구 및 편의시 설이 휠체어 등 특정 보조도구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생활 속에서 접할 수 있 는 장애인 주차장, 장애인석 표시 등 장애인을 배려한 공용시설 및 공공기관에서 의 다양한 보조도구 및 편의시설의 내용을 교과서에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2015개정교육과정 3·4학년 교과서의 장애 유형은 지체장애에 많이 편중 되어 있으며 그 이유는 대부분이 휠체어를 탄 장애인의 그림 또는 사진의 삽화가 많기 때문이다. 다양한 장애 유형이 있음을 인식할 수 있는 기회를 생각한다면 표현하기 어려운 정서·행동장애, 의사소통장애, 학습장애 등의 장애 유형도 나타 낼 수 있는 방법이 앞으로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2015개정교육과정 3·4학년 교과서의 장애인관은 의료적 모형 보다 사회 적 모형이 더 많이 제시되고 있고 이것은 장애를 개인의 결함 보다 사회적 결함 에 따른 것으로 보고 장애를 인식하는 사회적인 제약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는 장 애 관련 내용이 더 많이 제시되고 긍정적인 방향으로 교과서가 편찬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2015개정교육과정 3·4학년 교과서의 장애이해 교육방법은 장애 관련 내 용이 활동중심 보다 이해중심으로 대부분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교과서를 통해 장애이해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은 충분할 수 있으나, 머리로 인식하고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 직접 장애인을 만나고 마음으로 느낄 수 있는 기회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초등학교의 활동중심 교육활동 강조에 부합하여 모의 장애체험, 역할극, 장애인 강사초청 등 활동중심 장애이해 교육방법이 교과서에 좀 더 제시되는 것 이 필요하다.

      • 교육실습이 예비초등교사의 교수역량에 미치는 효과

        조주한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교육실습이 초등예비교사의 교수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는데 목 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남도에 위치한 총 5개의 교육실습학교에 실습 중인 실 습생 총 401명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개인 배경 및 교육실습 환경 특성 변인을 파악하였다. 교육실습이 개인 의 교수역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실습 전·후 예비교사들의 교수 역량 제 영역에 나타난 변화를 t-검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2학년 때 실시되는 참관실습과 3학년 때 실시되는 수업실습의 효과도 비교하였다. 또한, 교육실습과 교수역량 사이의 인과관계를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교수역량의 하위 영역 대부분은 교육실습을 통해 향상되었다. 2학년들은 참관실습 후 모든 하위 영역에서 매우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3학년들은 수업 실습을 경험한 후에 교수태도를 제외한 교과지식이해력, 교수설계, 교수기술적용 력, 학생평가실행력 등에서 유의미한 개선 효과를 보였다. 또한 실습 유형에 따 른 효과는 참관실습이 수업실습보다 크게 나타났다. 3학년 때 보다는 2학년 때 실습 경험이 역량 계발에 보다 극적인 효과를 보였다. 둘째, 개인 배경 및 교육실습 환경 특성에 따라서도 교육실습의 효과는 다양하 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참관실습 후 여학생은 남학생에 비 해 대부분의 교수역량 영역에서 우수하였으나, 교수태도 영역만큼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수업 실습 후에 여학생들은 교수설계 및 학생평가실행력 영역에서 상대 적으로 높은 향상을 보였다. 또한, 참여한 실습학교와 배정된 학년에 따라서도 달랐으며, 교육대학에 진학한 동기 및 교육대학의 적성여부와 지난학기 학업수준 도 교육실습 효과에 주요한 매개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개인이 가 진 배경과 실습 학교가 가진 교육환경이 교육실습이 예비교사의 교수역량에 미 치는 효과에 직·간접적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암시한다. 셋째, 회귀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교육실습 유형이 개인의 교수역량 개선에 미 치는 직접 효과는 매우 컸다. 실습을 경험한 후에 참관실습이 수업실습보다 예비 교사들의 모든 교수역량 하위영역을 강화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습 전의 교 수역량을 통제하여 실습을 통한 개선 효과를 탐색한 최종 모형에서도 참관실습 은 학생평가실행력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우세함을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는 교육실습과 관련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몇 가지 시사점을 준다. 첫째, 교육대학 교육과정과 부합하는 단계적 실습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교육대학생들이 경험하는 4번의 교육실습 프로그램 이 별다른 차이를 가지지 못하고 운영되고 있다는 것을 암시하기도 한다. 그러 므로 교육실습생이 교육대학 교육과정을 통해 초등교사로 성장하는 발달단계에 맞는 교육실습 프로그램을 고민해봐야 한다. 이를 통해 실습생들이 매번 새로 운 경험을 하고, 교수역량을 키워나갈 수 있는 내실 있는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실습유형에 따라 목적에 맞는 특색 있는 실습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참 관실습에서는 교육현장에 대한 이해와 흥미를 갖는 것에 초점을 두고, 주변인 혹 은 관찰자의 입장에서 교사와 학생, 학생 상호간의 역동적 관계를 살펴볼 수 있는 실습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수업실습은 참가수업실습(수업실습Ⅰ)과 실제수업 실습(수업실습Ⅱ)으로 나뉘어 실시하므로 참가수업실습에서는 학교와 학급 경영 및 교사의 수업과 직무를 파악할 수 있는 전문적인 연수가 필요하며, 적은 시수 의 수업을 배정하여 교육과정과 수업, 평가를 체계적으로 계획하여 실행할 수 있 는 연구 환경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이어서 실제수업실습에서는 수업에 대한 많 은 경험을 갖도록 수업시수를 확대 배정하고 다양한 교과의 수업을 연구하고 실 천할 수 있게 해야 할 것이다. 실무실습은 학교에서 마주치는 다양한 업무에 적 응력을 높일 수 있어야 한다. 현장과 수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교의 사무 를 습득하고, 교사의 과업에 대한 이해를 향상할 수 있는 개선이 요구된다. 셋째, 초등예비교사들에게 필요한 교수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 교수 기회와 경 험을 제공할 수 있는 제도들과 실습 프로그램의 개선이 병행되어야 한다. 국가 수준의 교원양성교육과정은 사회적 요구와 현장교육 실태를 바탕으로 정선되어야 하며, 교육대학의 역량강화사업은 예비교사가 학교 현장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실제 학생 지도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현장중심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교육실 습학교와 지도교사를 위한 연수프로그램과 인센티브도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