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 연구동향 분석

        변상희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논문의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학문적 정체성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문제를 설정했다. 연구문제 1.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대상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의 통계방법 동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이 첫 게재된 1995년 9월부터 2020년 8월까지 총 390편의 논문을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 분석 준거에 따라 시계열 빈도분석과 연구결과 간 교차분석을 실시했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대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에서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는 성격 및 적응 연구 177편(45%)이며 성과연구가 108편(28%), 진로 및 적성연구 45편(12%) 순으로 나타났다. 이외 연구는 모두 10% 미만으로 나타나 상담 연구 영역 이 성격 및 적응 연구 등 특정 주제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연구대상은 연구대상이 없는 논문 4편을 제외한 386편 중 100편(25%)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했다. 이어 중등 60편(15%), 고등 55편(14%), 성인 46편 (11%), 대학생 37편(9%) 순이다. 연구대상이 둘 이상인 경우를 제외하고 단일 연구대상에서 상담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방법은 전체 390편 중 370편(95%)이 양적연구로 확연히 집중된 반면 질적연구는 18편(4%), 혼합연구는 2편(1%)에 그쳤다. 양적연구는 매해 90%를 넘는 비율을 유지하고 있으며 2015년 이후 질적연구가 소폭 늘었지만 2018년 최대 5편이 게재된 것을 제외하고는 아예 선택되지 않거나 한 해 1~2편 정도만 게재됐다. 넷째, 통계방법은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학전공이 증설된 초반에는 프로그램 효과를 보기 위한 사전-사후 t검증 방법을 사용했으며, 이후 변인 간 상관 및 인과 관계를 보기 위한 상관분석 및 회귀 분석 방법에 집중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2014년 이후에는 구조방정식을 사용하여 다변인간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흐름을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학과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방법, 통계방법의 흐름이 지속적으로 변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연구대상의 다양성과 통계방법의 변화는 상담현장에서 실제 과제를 풀어내고자 하는 연구자들의 노력으로 해석된다. 상담학은 실제를 바탕으로 한 연구이므로 보다 더 확대된 시선의 창의적 연구 노력이 앞으로도 이어지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explore academic identity. To this end, we have established a research problem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How is the research topic trend of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2. What is the trend of the thesis on the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trend of research methods in the thesis on master's degre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search Question 4. How is the statistical method trend of the master's degree thesis at Jeju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90 papers were conducted from September 1995 to August 2020, when a master's thesis on counseling psychology was first published, in accordance with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summary of the findings is as follows. First, 177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45%) were studied, followed by 108 performance studies (28%), and 45 career and aptitude studies (12%). All other studies appear to be less than 10%, confirming that counseling research areas are concentrated on specific topics such as personality and adaptation studies. Second, 100 (25%) out of 386 papers, excluding 4 papers without subjects, were targeted 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was followed by 60 middle and high schools (15 percent), 55 high schools (14 percent), 46 adults (11 percent) and 37 college students (9 percent). Except for cases where there is more than one subject, the least number of studies were conducted on counselors in a single subject. Third, 370 (95%) of the total 390 studies were concentrated on quantitative studies, while only 18 (4%) were conducted on qualitative studies and 2 (1%) on mixed studies. Quantitative research has maintained a ratio of more than 90% every year, and qualitative research has increased slightly since 2015, but only one or two were selected or published a year except for up to five in 2018.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in the early stages of the expansion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e pre-post-t verification method was used to see program effects. Since 2014, we have shown the flow of analyzing multidimensional causality using structural equations. The above findings confirmed that the trend of research topic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s, and statistical methods in the master's degree thesis in counseling psychology at Jeju National University's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continued to change. In particular, the diversity of subjects and changes in statistical methods are interpreted as researchers' efforts to solve real challenges at the counseling site. Since counseling is a practical study, we hope that creative research efforts with a wider perspective will continue in the future.

      •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수리논술 교육 현황과 개선방안 : 주요 사립대학의 수리논술고사 분석을 중심으로

        양은정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39

        한국대학교육협의회의 발표에 따른 2016학년도 대학 모집인원, 수시전형 모집인원 논술고사 실시대학과 논술고사 반영비율, 수능자격 기준, 특정대학의 논술성적 편차 등의 현황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서울 소재의 주요 사립대학들 가운데 5개 대학인 고려대학교, 서강대학교, 성균관대학교, 연세대학교, 한양대학교를 선정하여 2012학년도부터 2014학년도까지 최근 3년간 이들 5개 대학 수리 논술고사의 논제 유형과 과목(영역)별, 단원별, 빈도수와 난이도, 대학별 출제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또한 최근 3년간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의 독서·논술학교에서 실시한 수리논술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수리논술 교육에서 실시한 진단평가, 실전모의고사 문제를 관련과목, 관련단원, 출제형태, 난이도, 단원별 출제빈도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주요 대학의 수리논술 문제 출제빈도와 종합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 수리논술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이고 행·재정적 지원방안과 대책을 제언하였으며, 학교 현장에서 수리논술 교육에 대한 수학교사의 효과적인 지도방안도 자세히 제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이나 일선 학교에서는 수리논술 교육의 방향과 활성화 방안, 그리고 학교 수리논술 교육의 효과적인 방안과 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아울러 수학교사들은 학교 현장에서 효과적인 수리논술 교육을 위해 방향 설정과 지도방안 수립에 도움이 되리라 본다. This study aims at analyzing 2016 university applicant numbers, nonscheduled admission applicant numbers, reflection rate of essay test, qualification standard of the scholastic aptitude test, and score deviation of essay test in specific universitie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five major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such as Korea University, Sogang University, Sungkyunkwan University, Yonsei University, and Hanyang University are selected, and their topics for mathematical essay test and the features of test in the past three years from 2012 to 2014 based on subject type, unit type, frequency of use, level of difficulty are investigated. In addition, the current state of mathematical essay conducted by ‘Reading and Essay School’ program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is analyzed, In the diagnostic test for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and mock test for real SAT, not only related subjects, related units, examination question trends, level of difficulty, the frequency of units are analyzed and its results are also compared to the frequency of questions in major universities mathematical essay tes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the politica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plan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should be implemented for vitalizing mathematical essay education, and effective teaching methodologies for math teachers who want to teach math essay test in schol should be also developed and implemented.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help math teachers build effective math essay teaching plan as well as they would be practical and helpful in establishing math essay education plan and effective strategies for school math essay education.

      • 제주첨단과학기술단지 개발이 토지가격(土地價格)에 미친 영향

        김신덕 제주대학교 경영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제주의 산업구조는 서비스업으로 편중되어 있고 청정자연환경을 강점으로 관광 상품이 국내에서 가장 큰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된다. 이러한 강점을 더욱더 강화하고, 새롭고 경쟁력 있는 산업을 추진하고자 제주특별자치도는 현재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고 있다. 이 계획의 중심역할을 하는 6대 핵심프로젝트는 투자 유치 및 토지 확보가 용이하고 지역사회 공감대 형성 및 시너지 효과가 큰 사업으로 이루어져 있어 제주 경제발전을 선도하는 선도 프로젝트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6대 핵심프로젝트를 이루는 한 가지 요소 중 토지는 고유한 물리적 특성인 고정성과 부증성을 가지고 있다. 토지라는 자원은 이동이 불가능하고, 생산할 수 없는 것이기 때문에 6대 핵심프로젝트가 단계별로 진행되면 될수록 사업부지 인근의 지가는 상승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핵심 프로젝트로 인한 요인이 사업부지 인근의 토지가격에 얼마만큼의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 보고자 한다. 제주의 6대 핵심프로젝트 중 본 연구는 첨단과학기술단지 조성사업을 분석하되 개발사업 이외에도 토지가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동시에 고려하고자 한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2년부터 2010년이다. 이 기간 중 2002년(조성계획 2년 전), 2004년(국가산업단지지정), 2007년(산업시설용지 공급 개시), 2010년(부지조성공사 준공 및 입주 시작)을 분석시점으로 하여 토지가격의 변화를 살펴본다. 또한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첨단과학기술단지조성사업 부지의 경계로부터 3㎞이내의 표준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헤도닉 모형을 추정하되 종속변수는 지가상승률로 하여 다중회귀분석방법을 이용하기로 한다. 이를 통해 첨단과학기술단지와 관련된 여러 가지 독립변수들이 어떠한 형태로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한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범위, 연구의 방법을, 제2장에서는 제주특별자치도의 일반현황과 특별자치도 추진과정을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제주국제자유도시 종합계획의 변천과 성과를 살펴보았고, 제4장에서는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를 개략적으로 알아보았다. 제5장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개발과 지역경제의 변화(2000∼2012)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제6장에서는 선행연구가 어떤 것들이 있는지 조사·분석하였다. 제7장에서는 연구의 시간적 범위 및 분석대상지역에 대해 개관하였으며, 제8장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가 토지가격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분석의 결과를 제9장에 나타냈으며, 마지막으로 제10장에서 분석의 결과와 성과에 대해서 요약하였다. 토지가격 상승률에 영향을 주는 독립변수로는 첨단과학기술단지까지의 거리, 제주대학교 상권, 아라택지개발지구까지의 거리, 남광초등학교 권역더미, 제주대학교 병원, 행정구역, 지목, 용도지역 등을 고려하였으며, 본 연구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토지가격 영향력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하여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의 거리 변수를 주요 분석 관심대상으로 하여 헤도닉 모형을 구성하였는데 모형1은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 2㎞ 이내의 공간적 범위를 설정하였고, 모형2는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 2㎞초과 3㎞이내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모형1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의 거리변수가 인근 토지가격에 미치는 영향이 10% 유의수준에서 유의하였지만 모형2, 즉 2㎞초과 3㎞이내에서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인근 토지에 2㎞ 반경이내에만 영향을 미치고 그 이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다. 특이할만한 것은 모형2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없는 반면, 아라택지개발지구 변수는 10% 유의수준에서 유의하다는 것이다. 이는 모형2, 즉 첨단과학기술단지로부터 2㎞∼3㎞ 반경은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권이 아닌 아라택지개발지구의 영향권 안에 들어가는 지역이라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헤도닉 모형을 적용하여 분석하기 이전에 먼저 실시한 가격상승률 분석에서는 지속적 상승을 보인 토지 비중이 가장 많은 읍면동은 아라2동이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는 월평동, 영평동의 순서로 가격 상승 필지의 비중이 높았다. 이 3개 지역은 첨단과학기술단지의 가장 인접한 지역이면서 오등동, 용강동, 아라1동에 비해 과거에 사람들이 덜 거주하는 곳이었다. 즉 개발 사업이 있기 전에는 사람들이 별로 선호하지 않아 낮은 가격이었다가 개발 사업이 있으면서 큰 폭으로 상승한 것이다. 반면 오등동, 용강동, 아라1동은 개발사업 이전에도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 자연취락지구가 많이 분포하고 있어 개발 사업이 있어도 그 상승폭은 나머지 3개 지역만큼 급격히 커지지는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단순히 지난 10년간 가격상승률이 어느 읍면동이 가장 많았는지만의 결론내릴 수 있었다. 그리고 그러한 가격상승에 영향을 준 것이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일부 있었을 것이라는 추론만이 가능했다. 그러나 헤도닉 모형을 이용함으로써 단순히 추측에 그쳤던 토지가격 영향의 원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즉, 어느 읍면동이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단순한 추론이 아니라 첨단과학기술단지의 반경 2㎞이내까지는 영향을 미치고 그 이상의 공간적 범위에서는 첨단과학기술단지의 영향이 아닌 아라택지개발지구의 영향이 미친다는 구체적인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 국가교육과정과 사범대학 교육과정 연계성 분석 : 제주대학교 사범대학을 중심으로

        이재숙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Nowadays, living in the so-called ‘intelligence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universally characterized as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e already witnessed its advent, shocked by ‘AlphaGo’ in March 2016, which has flooded our society with anticipation-mixed anxiety and voices of urgency toward upcoming fu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three ways. First, it aims to closely examine revision processes of National Curriculum which has focused on educating ‘future talent’ and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in earnest since 2000s. Secondly, it concentrates on analyzing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whose goal is educating teachers who are assumed as another ‘future talent’ in charge of educating students of ‘future talent’. Finall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results, it is designed to provide basic materials in developing progressive education curriculums that is equipped with more efficiency through fusion of National Curriculum and teacher-educating curriculum and consistent with original intent of college of education. Regarding these objectives, research problems are set up as follows. First, what kinds of difference exist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Second, in what way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is associated with National Curriculum? Third, in what direction should be made the revision process of curriculum of Eduction of College in Jeju National University? In order to address these problems, the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in Jeju National University was selected as this department has shown high ratio of successful applicants at national teacher certification exam. With a view to heighten objectivity and reliability in collecting reference materials, the department of Biology in Science College at Jeju National University was singled out for comparison analysis and its related documents were compiled through its web pages and yearly handbooks of Jeju National University. The related materials on the developments of revision process in National Curriculum were procured through related books published by Ministry of Education, introduction and detailed part of National Curriculum Revision. The research result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t was verified that the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has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at of the similar department in the same university. It was also verified that the similar department showed more diversity and quantitative superiority in its curriculum compared with College of Education, which suggest that the curriculum of College of Education be revised. In addition, in terms of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it was verified that the revision process of National Curriculum has adapted to progress of society and world. However, it was difficult to identify connectivity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According to these results, it is urgently necessary to narrow down the gap between National Curriculum and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and then to develop complementary and ‘integrated’ curriculum. In particular, curriculum in College of Education should not exist as perfunctory procedure for teacher’s license, but effective and efficient curriculum for educating qualified teachers should be drastically prepared.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사회는 인터넷으로 통칭되는 디지털 정보기술의 발달로 치닫던 와중에 ‘지식정보사회’라는 커다란 장애물을 만났다. 이는 지금까지 모든 가치의 정점이었던 ‘물질’이 그 자리를 마침내 ‘지식’에 내어주게 된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지식정보화사회’의 영화는 오래가지 못했다. 오늘날 우리가 살고 있는 사회는 ‘지능정보화사회’ 곧 ‘4차 산업혁명사회’에 놓이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미 우리는 2016년 3월 4차 산업혁명사회의 서막을 알리는 ‘알파고’의 등장을 목격했으며 미래에 대한 기대 섞인 불안과 절박함의 목소리가 사회 곳곳에서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미 국가교육과정에서 꾸준히 논의되어 왔으며 2000년대에 접어들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한 ‘미래형 인재’와 ‘창의·융합형’ 인재양성을 위한 국가교육과정의 개정과정을 살펴보고 ‘미래형 인재’를 양성할 또 다른 ‘미래형 인재’인 교원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분석하여 우수한 교원양성기관으로서의 사범대학 본래의 취지를 회복하고 국가교육과정과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융합’을 통해 보다 효율성을 갖춘 발전적인 교육과정의 개발과 편성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다음과 같은 연구 질문을 설정하였다. 첫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교육과정의 차이는 무엇인가? 둘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국가교육과정의 관계는 어떠한가? 셋째, 향후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은 무엇인가? 위 연구 질문에 대해 먼저 제주대학교 사범대학 개설학과 중에서 임용시험에서 좋은 성적과 높은 합격률을 보이고 있는 생물교육학과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분석을 위한 유사학과인 자연과학대학 생물학과와 국가교육과정의 개정 변천과정에 대한 자료는 대상학교 홈페이지와 각 해당년도 편람과 교육부 요람 및 국가교육과정 개정의 총론과 각론을 주요 참고자료로 삼아 수집자료에 대한 객관성과 신뢰도를 높이도록 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는 먼저 횡적인 분석을 통해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일반대학 유사학과의 교육과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사범대학 교육과정 보다는 일반대학 교육과정이 교과목의 양적 우세와 다양성을 보이는 결과가 나타났다. 종적 분석에서 살펴본 사범대학 교육과정과 국가교육과정의 연 계성에서도 국가교육과정의 변천과정을 통해 사회와 세계적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개정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으나 정작 예비교원의 교육과정인 사범대학 교육과정에서는 두 교육과정 간의 연계성을 찾아보기 어려웠다. 세간의 가장 시급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청년실업‘은 교원 임용에 있어서도 예외는 아니다. 오히려 학교현장에 적합하지 않거나 수업 교과내용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는 사범대학 교육과정은 더욱 근본적인 면에서 장기적 ’청년실업자‘를 양산시킬 수 있다는 예측들이 조심스럽게 나오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국가교육과정과 사범대학 교육과정의 연계성 비교에서 두 교육과정의 격차를 좁히고 상호 보완적이며 ‘융합적’인 교육과정의 개발이 시급하고 특히 사범대학의 교원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원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학점채우기’식이 아닌 교사로서의 자질을 갖출 수 있는 과감한 교육과정의 마련을 촉구해본다.

      • 제주도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참여실태에 관한 연구 : 제주대학교를 중심으로

        김한회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대학교 학생들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대학생들의 건강과 체력, 생활체육 활동 여건, 현재 실시하고 있는 생활체육 활동, 운동경기 관람경험, 생활체육 활동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대학생들이 효과적으로 생활체육 활동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주대학교 학생 360명의 대상자를 선정한 후 연구자가 작성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SPSS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나타난 개선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 특성에 맞는 종목의 육성 및 보급 대학생들은 스스로가 건강하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활동은 그 중요성이 높으므로 젊음을 이용한 모험스포츠와 체험스포츠를 제주도 특성에 맞는 종목을 육성 및 보급하는 제주도차원의 노력이 요구된다. 둘째, 제주도 차원의 생활체육 프로그램 개발 대학생들의 여가시간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수의 대학생들이 컴퓨터 게임(1.1%)에 빠져 생활체육 활동을 선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체육의 세계적인 추세를 보면 의식주, 건강, 여가선용 등 생활의 환경요소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의 기본조건이라는 측면에서 누구나 쉽게 참여할 수 있는 마을단위 생활체육 환경조성에 역점을 두고 있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다양한 욕구를 수용하고, 과학적이고, 흥미로운 생활체육프로그램(1인 1스포츠 갖기, 마을단위 생활체육형태의 소규모 생활체육 프로그램)의 제공 등으로 대학생들을 생활체육의 장으로 끌어낼 수 있는 제주도 차원의 프로그램 개발이 특별히 요구된다. 셋째, 전문가를 이용한 운동처방 및 건강상담 시스템 구축 대학생들은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건강유지 및 증진을 위해 생활체육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대학생들의 생활체육 활동은 건강유지 및 증진이 우선인 만큼 건강을 위한 생활체육 활동 이용방법, 적용범위등을 연구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즉 스포츠 의학자, 생리학자, 지역 내 의료기관이나 전문가를 이용한 운동처방 및 건강상담 등의 시스템 구축이 제주도 차원에서 뒷받침되어져야 하겠다. 넷째, 대학생들의 행동하는 생활스포츠 참여로의 유도방안 강구 여학생들의 운동경기관람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경기시설의 부족으로 인한 대학생들이 관람욕구가 충족되지 못하고 있다. 기존의 경기장 시설을 활용한 프로경기의 유치 등으로 보는 스포츠의 만 족을 극대화하고, 이를 행동하는 생활스포츠 참여로 유도하는 적극적인 방안(다양한 스포츠 경기 유치 등)이 강구되어야 하겠다. 다섯째, 제주도 차원의 생활체육 활동의 제반 행정지원과 환경조성 대학생들은 생활체육 활동이 삶을 질을 향상시킨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체험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주도 차원에서 복지향상을 위해 생활체육 활동의 제반 행정지원과 환경을 조성하여 생활체육 활동을 통한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게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se the disparities of university students' consciousness toward health and physical strength, conditions for sports for all activities, their own sports for all activities, viewing experiences of sport games, and sports for all activities. Taking it one step further, this paper prepares a variety of ways that help to realize their effective sports for all activities. I selected 360 Cheju National University students as subjects, questionnaired them, and analysed the questionnaires with SPSS. Accordingly, reform measures are as follows: First, promotion and distribution of local sports University Students are found to recognize themselves that they are healthy. Sports for all Activities are quite important for their health. Therefore, taking advantage of their youth and vigor, efforts are required in the level of Jeju administrative organs to promote and publicize venture sports and on the-sports, feasible in Jejudo. Second, Development of sports for all programs in the level of Jeju administrative organs. This survey shows that these days university students spend more time for their leisure activities, while a small number of them who are addicted to computer games(1.1%), consecutively, indifferent to sports for all activities. Looking into global tendency, the world is focusing on constituting suitable environment for sports for all in their own communities considering living factors such as clothing, food, housing, health, leisure and sports for all which are fundamental condition for daily life. Likewise, it is demanded to create a variety of programs in the level of the Jeju provincial office that are conducive to mak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e in sports for all. For example, we can think of campaign(one sport per one person or creation of sports for all that fit it with particular communities on a small scale). Third, systematizing prescription of exercising ways and counsel for health with the help of specialists. The rate of university students who do exercise regularly is rising and they are found out to do sports for all activities to keep their health. As much as the priority of their sports for all activities is to keep their health, it is required to develop practical methods and scope. That is, with the help of vital dynamists and physiologists, local clinics and specialists, we should systemize physical exercise prescription ways and counsel for health in the level of the Jeju provincial office. Fourth, conceiving methods to induce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The rate of girl audiences is going up, but athletic facilities are still short of to satisfy their viewing desire. Therefore, it is indispensible to generate aggressive alternatives which lead people to enjoy sports for all. For example, to maximize viewing pressure, we can attract professional games, making use of existing gym facilities. Taking it one step further, it is desirable to have people enjoy sports for all there. Fifth, comprehensive financial support and constitution of suitable environment for sports for all in the level of Jeju provincial office. University students are found to recognize that sports for all activities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perform in their daily lives. Therefore, it is considered crucial to finance administratively and constitute suitable environment in the level of the Jeju provincial office in order to make them enjoy healthy and happy lives through sports for all.

      • 제주해녀 노동요를 활용한 동화 스토리텔링

        신임순 제주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문화콘텐츠에 원천 소재를 제공하는 문화원형은 그 자체가 인간의 삶에 대한 모든 것을 담고 있으며, 그 문화원형이 유형이든 무형이든 간에 인간 삶의 이야기와 정서‧지식‧교양 등 다양한 문화적 요소들을 담고 있다. 문화콘텐츠의 창조적 상상력은 인문학적 지식 토대 위에서 가능한 상상력이며, 그 대표적인 방법이 ‘스토리텔링’이다. 제주해녀 문화는 2016년에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었다. 이는 해녀 문화가 지역적 한계를 넘어 세계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문화적인 가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제주의 민속‧산업‧신앙‧풍토‧기후를 반영하여 다양하게 구연되는 해녀 노동요는 해녀의 사회문화적 가치와 세계 인식을 독특하게 반영하고 있다. 제주해녀들의 정서와 가치관을 들여다 볼 수 있는 해녀 노동요에는 제주 해녀들의 역사와 정서가 고스란히 들어있다. 현재는 시대의 흐름과 환경이 바뀌고 해녀의 수가 급속히 감소해감에 따라 노동요는 작업현장에서 분리되어 사설과 가락만이 전승되고 있으며, 따라서 해녀 노동요를 물질하는 현장에서 듣기는 어렵게 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해녀들이 불렀던 노동요의 가치를 살펴보고, 적극적으로 바다를 개척하며 불렀던 노동요를 통해 제주 해녀들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고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동화로 스토리텔링 하는데 의의를 둔다. Ⅱ장에서는 제주해녀의 노동요의 특성을 개괄하고 해녀노동요의 교육적 가치와 Ⅲ장에서는 제주해녀 노동요의 사례와 여성 의식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Ⅳ장에서는 제주해녀 노동요를 활용한 스토리텔링의 창작으로 동화의 창작배경, 동화의 구성과 스토리를 구상하였다. Ⅴ장에서는 지금까지의 논의를 정리하고 그에 따른 가치와 필요성에 대해 살펴 본 내용을 서술하였다. 동화 ‘진주의 바당’은 어린이들에게 제주해녀들의 역사와 문화를 들여다보는 계기가 되어줄 것이며 교육, 문화산업으로의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다. 이후에 진행 될 연구에서는 해녀문화 교재활용 등을 통해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의 관심을 유도하고 해녀들의 정체성을 이끌어갈 인재양성에도 힘써야 할 것이며, 교육대상의 발달 단계에 따라 연령과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과 지역적 특색을 살리는 안목으로 새로운 콘텐츠의 개발이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The culture of Jeju Haenyos has been registered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in 2016. Generally, songs which people chant are inclined to describe, preserve, and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life an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illuminate and re-evaluate the historical and cultural significance and meaning of labor-songs that have been handed down by Haenyo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is study, I will also create a children story by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songs and find out the significance of the story. The songs have been chanted for Haenyos to express and represent their hardworking pains and distresses of their life on the one hand, and to reduce and alleviate them on the other hand. So they are involved in Jeju Haenyos’ social and cultural viewpoints and their perceptions of life and social environment. For the purpose, in chapter Ⅱ, I will look into the traits of Jeju Haenyos’ labor-songs and their implications of education. In chapter Ⅲ, the social and cultural consciousness of Jeju’s women will be examined by way of analyzing the songs. In chapter Ⅳ, first of all, the necessary compositional elements of fairy-tale are confirmed and looked over them. Then I design the concrete plan and contents for a creative children story reflecting the characters of the songs. After all, I write a creative fairy-tale, titled “ The sea of pearl.” In chapter Ⅴ, the social, cultural, and educational meaning and significance of the made-up story to the growing generation will be discussed and arranged. In conclusion, geneally, the children story will be of great help to the new generation’s understanding Jeju Haenyos’ way of life and thought including their history and culture. Besides the story is able to be a good example with which Haenyos’ songs can be appropriately utilized socially, culturally, and educationally for the new generations growing in Jeju in order to enhance their sense of identity and their consciousness of Jeju’s history and culture.

      • 제주도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와 농가인식에 대한 연구

        강성기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23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를 밝히고, 밭담에 대한 농가들의 인식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사례지역의 농업 환경 적 특성을 기반으로 지역별 밭담의 존재형태와 이에 대한 농가들의 인식을 비 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제주도 농업환경에 따른 밭담의 존재형태는 자연환경과 인문환경으로 구분하 여 살펴보았다. 우선, 자연환경 요인으로는 기후와 지질적 특징이 있다. 겨울철 북서계절풍, 여름철 폭우와 태풍 등으로 인하여 전체적인 사례로 볼 때 농가들은 해안가 주변에 농작물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밭담을 높게 축조하였고, 하도 리에는 시멘트 밭담을 출현시켰다. 고산리에는 경작과정에서 돌이 산출되지 않는 지질적 특성으로 인하여 제주도에서 보기 드문 무장전 지대가 형성되었고, 이곳 에 상대적으로 낮은 밭담이 존재하게 되었다. 또한 무장전 지대에는 특정 구역에 밭담이 축조되었다. 다음으로 인문환경 요인으로는 지역별 재배작물의 전환, 농업지역의 도로 개설 및 확장, 농촌 환경의 변화, 과학영농의 점진적인 확대, 경지정리사업 등이 있다. 첫째, 지역별 재배작물에서 위미리에서는 밭농업에서 감귤농업으로 전환되면서 감귤묘목을 강풍 등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밭담을 높게 축조되었고, 이전에 비해 잡굽담의 출현이 높아지는 상황을 맞이하였다. 고산리에서는 벼농사에서 밭농사로 전환하면서 배수로 주변을 중심으로 방축이 증가하게 되었다. 둘째, 대 도로 주변의 밭담은 지역성이 상실된 채 제주도 전 지역에 걸쳐 획일적으로 존 재하는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셋째, 1970년대 이후 제주도 농촌 환경의 변화 는 밭담이 훼손을 가속화시켰고, 이어서 방치된 상황으로 지속시키는 환경을 초 래하였는데 고령화와 농가인구의 감소 등 농촌 환경의 변화는 궁극적으로 농가 의 토지이용방식을 변화시켜 그에 따른 밭담의 관리와 관심도를 저하시켰다. 넷 째, 과학영농의 점진적인 확대는 밭담의 존재형태를 변화시켰는데 위미리 농가 중에서는 과수원에 방풍망이나 비닐하우스 등을 설치하면서 밭담의 필요성이 낮 아져 주변의 밭담을 낮추거나 제거하였다. 다섯째, 경지정리사업은 특정 지역의 밭담을 제거하는 결과를 가져왔고, 따라서 현재 대부분의 사업지구에는 밭담이 매우 낮거나 존재하지 않는다. 이 외에도 중장비 이용은 밭담의 제거와 축조를 과거보다 용이하게 하였고, 맹지로 이어지는 소규모 농로 주변에는 다양한 규모 의 밭담도 새롭게 축조되었다. 밭담의 농가인식에서는 필요·불필요 요인과 함께 그에 대한 인식변화를 중점적 으로 검토하였다. 우선, 사례농가들을 토대로 밭담의 필요성을 검토해 보면 밭담 은 경지 내의 돌 처리, 강풍과 야생동물 및 가축으로부터의 농작물 보호, 토양 유실 방지, 경계 표시, 경관적 가치, 친환경농업에서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반면에 농기계 이용, 과학영농 확대, 감귤농업 지역에서의 일조 피해 등으로 인하여 불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밭담의 필요성에 대한 사례농가들의 시기별 인식변화와 관련지어 볼 때 사례 농가들은 전통농업시기까지만 해도 밭담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나 그 이후부터는 인식변화가 다양하게 조사되었다. 고산리 농가에서는 1970년대 경지 정리사업 이후 벼농사와 함께 밭담의 필요성이 낮아졌다가 1990년 이후 재차 밭 농사를 시작하면서 이전보다 필요성이 높아지는 인식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2000 년대 이후에는 소수의 농가를 중심으로 무장전 지대에 밭담과 방풍수를 도입하 면서 그 필요성은 지속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하도리 농가에서는 1980년대에 작 물을 당근으로 전환하면서 밭담의 필요성이 낮아졌지만 친환경 농법, 경관적 가 치 인식, 야생동물 등으로 인하여 그 필요성이 이전보다 훨씬 높아졌다. 위미리 농가에서는 1960년대에 감귤농업을 시작하면서 필요성이 매우 높아졌지만 1990년대 감귤나무가 성목이 된 이후에 밭담의 일조 피해 등으로 인하여 필요성은 급격히 낮아졌다. 이와 관련한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농가의 재배작물은 밭담의 필요성과 관련 된 인식변화에 가장 큰 요인이 되었으며 지역별로 재배작물이 전환되는 시기에 밭담의 필요성에 대한 농가인식도 크게 변화하였다. 둘째, 위미리는 밭담에 대한 농가들의 인식 변화가 가장 활발하게 나타난 지역으로 주목할 수 있다. 셋째, 밭 담의 필요성에 대한 농가인식이 가장 고조된 시기는 초창기 감귤농업 시기, 벼농 사에서 밭농사로의 전환 시기라고 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친환경 농법, 경관적 가치, 야생동물로부터의 농작물 보호와도 깊게 연관되어 있다. 넷째, 밭담의 필요 성에 대한 농가인식이 저하된 시기는 방풍수가 10m이상 성장하여 밭담의 방풍기 능을 대체하거나 밭담으로 인한 일조 피해가 발생할 시기, 식량작물에서 근채류 로 전환 시기라고 지적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크게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밭담이 실질 적으로 제주도 농업과 관련하여 존재형태와 이에 대한 농가인식의 지역별 차이 를 처음으로 규명한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기존의 밭담에 대한 연구에 비하여 체계적인 방법을 동원함으로써 향후 밭담 관련 연구가 효율적으로 진행될 수 있 는 토대를 마련한 점이다. 셋째, 본 연구는 제주도 밭담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구축하여 지역별 밭담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혔다는 점이다. 넷째, 본 연구는 지 역별로 밭담의 존재형태와 그에 대한 농가인식의 규명을 바탕으로 앞으로 밭담 의 보전방안과 변화 양상을 추정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이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밭담의 존재형태는 특정 지역의 농업 환경 적 특성에 의해 많은 변화와 함께 밭담에 대한 농가인식도 시기에 따른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더불어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향후 밭담의 변화는 이 전보다 더 급격히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밭담의 실질적인 보전과 관 리를 위해서는 현 시점에서 밭담의 활용방안에 초점을 두기 보다는 그 이전 단 계에서 밭담의 실태분석과 보전방안에 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져야 할 것 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nunciate the forms of agricultural stone walls in Jeju with reference to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and to investigate farmers’ perceptions of the walls. To achieve this, existing forms of stone walls in each region and farmers’ perceptions of them are compar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in the case reg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below. According to the Jeju agricultural environment, the existing forms of stone walls around farmland are examined by dividing them into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humanistic environment. First, the factors of the natural environment are the climate and geological features. Overall, farmers built high stone walls to minimize damage to farmland near the sea from northwesterly winds in winter and typhoons with heavy rain in summer. Even cement walls appeared in Hado-ri. Due to the geological features of the Gosan-ri area, the farmlands don’t have stone walls around them, which is rare in Jeju, and only specific areas of land have stone walls which are also lower than those in other regions of Jeju. As factors in the humanistic environment, there are regional differences in crop cultivation, road construction, expansion in agricultural areas, changes in the rural environment, progressive expansion of scientific farming, field readjustment, and more. First, in Wimi-ri, the cultivation of crops changed from dry-field farming to mandarin growing. Therefore, the agricultural stone walls were built higher to protect the trees from strong winds, and the foundation walls were also higher than before. In Gosan-ri, with the change from rice farming to dry-field farming, dikes increased around the waterways. Secondly, agricultural stone walls near the main roads have lost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forms are nearly the same around the island. Thirdly, changes in the Jeju rural environment after the 1970s accelerated the damage to agricultural stone walls, resulting in damage and neglect. In addition, changes in the rural environment such as an aging population and a decreasing farming population eventually changed the way farmlands were used and lowered the maintenance and interest in stone walls. Fourthly, progressive expansion of scientific farming changed the forms of agricultural stone walls. Some farmers in Wimi-ri removed or lowered the stone walls as they installed windbreak nets or greenhouses because they didn’t need the stone walls anymore. Fifthly, readjustment of fields resulted in removing stone walls in some areas. Therefore, in the areas included in the project, the walls are very low or don’t exist. Besides, using heavy equipment made it easier to remove or construct stone walls, so diverse forms of stone walls have been newly constructed around small farm roads. With regard to farmers’ perceptions of stone walls, changes in perception are prioritized. They perceive that agricultural stone walls are necessary to deal with the stones inside the farm fields; to protect crops from strong winds, wild animals, and livestock; to prevent soil erosion; to mark boundaries; and to increase landscape value and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On the other hand, some think that they are unnecessary due to agricultural mechanization; expansion of scientific farming methods; their role in blocking sunlight in mandarin orchards; and more. In consideration of farmers’ perception changes by period, farmers in the traditional farming period thought stone walls were necessary, but their perceptions have changed diversely since then. In Gosan-ri, the necessity for agricultural stone walls was considered low as rice farming became more common after the field readjustment project of the 1970s; however, since 1990 their perceived importance has grown along with the switch from rice farming to dry farming. In addition, their necessity has consistently been considered higher in areas that have introduced stone walls and windbreaks. In Hado-ri, as they started cultivating carrots in the 1980s, the perceived necessity of stone walls decreased, but now it is increasing due to environmentally-friendly farming methods, perceptions of landscape value and protection from wild animals. In Wimi-ri, the necessity was high when the farmers began mandarin cultivation, but then lowered due to concerns that they blocked sunshine as the mandarin trees matured in the 1990s. Considering this situation, it is apparent that the type of crop grow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perception changes around the necessity of agricultural stone walls, and farmers’ perceptions changed greatly in the same period as crop patterns changed regionally. Secondly, Wimi-ri is noted as the place where farmers’ perceptions changed most significantly. Thirdly, the period when stone walls were considered most necessary by farmers was when they started mandarin farming and when they switched from rice cultivation to dry-field farming. Other than that, environmentally-friendly farming, landscape value, and protection from wild animals are also deeply related to perception changes. Fourthly, the period when the perceived necessity was lowest was when windbreak trees grew over 10 meters high, thereby performing the same function as stone walls; when sunshine was blocked due to stone walls; and when crop cultivation changed from major food crops to root vegetable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organized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identified the existing forms of agricultural stone walls with reference to Jeju agriculture, along with regional differences in farmers’ perceptions of them. Secondly,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on agricultural stone walls, this study uses systematic methods, preparing the ground for more comprehensive research on Jeju agricultural stone walls in the future. Thirdly, this study provides diverse data on Jeju agricultural stone walls, broadening our understanding of regional agricultural stone walls. Fourthly, this study outlines preservation plans for stone walls and data for estimating future changes in farmers’ relationships with stone walls. As seen from the findings of this study, the existing forms of agricultural stone walls change according to the agricultural environment of a specific region, and farmers’ perceptions of them also change according to crop changes. Based on these results, rapid change is expected with regard to agricultural stone walls. Therefore, in order to preserve and maintain agricultural stone walls, more research on preservation plans is needed along with analysis on their actual conditions rather than focusing on application plans.

      •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에 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

        홍지환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산업 사회에서 지식지능 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은 학교의 혁신을 요구하고 있다. 미래사회는 정보를 활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할 수 있어야 하며 지식의 해석과 통합을 통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야 한다. 그러나 신자유주의, 한국의 입시구조, 국가주의, 관료주의, 교직 문화의 폐쇄성은 학교의 혁신을 가로막고 있다. 혁신학교는 위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단위학교의 작은 학교 살리기 운동을 교육청 차원의 정책으로 추진한 새로운 학교혁신 모델이다. 2009년 경기도를 시작으로 2022년 2,694개의 혁신학교가 운영되고 있으며 제주에서 또한 2015년부터 도입되어 현재까지 운영되고 있다. 그 동안 다혼디배움학교는 민주적인 학교문화 구축, 창의적인 교육과정 운영, 윤리적 생활공동체 형성 등 제주 교육에 큰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질적 성장을 뒤로 한 채 양적 확산에만 치중했다는 한계점도 지적되어 왔으며 공교육의 정상화를 넘어 미래 교육의 모델을 정립해야 한다는 과제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다혼디배움학교에 관한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며 다혼디배움학교가 걸어온 경로를 되짚어보면서 어떠한 변화 과정을 거쳐왔는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에 관한 역사적 신제도주의 분석을 통해 다혼디배움학교에 영향을 끼쳤던 구조-제도-행위자 요인과 경로변화 요인을 발견하고 다혼디배움학교로 운영 중인 올레초등학교와 바람초등학교의 경로변화 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다혼디배움학교의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다혼디배움학교에 영향을 끼친 구조-제도-행위자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다혼디배움학교의 경로변화 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올레초등학교와 바람초등학교의 경로변화 과정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연구방법으로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의 변화 과정을 역사적 신제도주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정책을 둘러싼 제도와 역사적 산물인 맥락, 행위자, 외적 사건 등이 경로변화 과정에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분석 방법으로는 김윤권(2005)의 구조-제도-행위자 통합적 접근법과 경로변화 분석법을 결합하였으며 교육청 업무담당자와 팀장, 올레초등학교와 바람초등학교에 근무했던 교사와 관리자 총 6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혼디배움학교의 변화 과정을 4단계로 나눌 수 있었으며 세부적으로는 2013년 이전을 맹아기, 2014년부터 2017년까지를 도입기, 2018년부터 2019년까지를 발전기, 2020년부터 2022년 6월까지를 성숙기로 구분할 수 있었다. 둘째, 다혼디배움학교에 영향을 끼쳤던 구조적 요인으로 보수교육감 및 신자유주의 교육에 대한 반감과 진보교육감의 당선, 중앙정부의 정책변화, 코로나19의 발발 등이 도출되었다. 셋째, 다혼디배움학교에 영향을 끼쳤던 제도적 요인으로 연합고사 제도와 ‘i-좋은학교’에 대한 반감,「제주특별법」의 효용성 저하 등 기존 조직과 제도의 한계가 나타났다. 또한, 무늬만 다혼디배움학교의 양산, 행정실무원 배치 중단, IB와의 갈등 등 다혼디배움학교 정책의 한계들도 도출되었다. 넷째, 다혼디배움학교에 영향을 끼쳤던 행위자 요인으로 최초의 평교사 출신 공모 교장 부임과「제주형 자율학교의 지정ㆍ운영 등에 관한 규칙」개정 등 다혼디배움학교 정책 발전을 위한 구성원들의 노력이 나타났다. 반면, 새로운 인사 관리 기준에 대한 반발, 다혼디배움학교 교사들의 매너리즘, 활동가 소진 등 행위자들의 갈등도 도출되었다. 다섯째, 다혼디배움학교의 경로의존적 요인으로 입시 제도, 인사 제도와 같은 기존 제도의 한계점, 다혼디배움학교 도입에 반발하는 기존 제도 수혜자들의 거부감, 혁신학교 일반화 정책, 혁신학교에 대한 피로감 등이 나타났다. 여섯째, 다혼디배움학교의 경로진화 요인으로 경기도에서의 혁신학교 도입, 제주 진보교육감의 당선과 재선이 결정적 사건으로 작용하였으며 그 외에도 혁신에 대한 교사와 지도자의 관심, 다혼디배움학교에 대한 긍적적 인식 및 성과의 확산이 나타났다. 일곱째, 올레초등학교와 바람초등학교의 동형화 요인으로 열악한 교육 환경, 특색 학교 운영 경험, 공모 교장의 부임이 도출되었다. 여덟째, 올레초등학교와 바람초등학교의 이형화 요인으로는 혁신을 주도한 그룹의 차이가 크게 작용하였다. 특히 올레초등학교는 교사들을 중심으로 교육과정 위주의 모델을 발전시킨 반면, 바람초등학교는 공모 교장을 위주로 마을교육공동체, 지역사회와의 협력 모델을 발전시켰다. 본 연구의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 다혼디배움학교의 발전과정에 있어 행위자들의 노력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교장공모제도 확대와 교원들의 근무 연한 조정을 통해 학교혁신의 지속성을 확대해야 한다. 둘째, 다혼디배움학교가 성숙기에 접어들면서 기존 제도로 회귀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따라서 그동안 다혼디배움학교가 걸어온 경로진화적 요인들을 활용하여 현재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셋째, 올레초등학교와 바람초등학교의 경로 변화 과정에 있어 학교 현장이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향후에는 학교 개방, 마을 교육과정 개설 등 학교의 자율권을 더욱 확대하여 학교가 주도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도록 권한을 부여하고 학교에 따른 교육청의 맞춤형 지원을 강화함으로써 다혼디배움학교의 모델을 다양화 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다혼디배움학교에 관한 후속 연구는 교원뿐만 아니라 학부모와 학생, 지역사회를 포함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혼디배움학교가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학교뿐만 아니라 실제 운영에 어려움을 겪는 다혼디배움학교를 포함하여 분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혼디배움학교가 중규모 학교로 확대되고 있음을 감안하여 중규모 다혼디배움학교를 포함한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넷째, 2022년 7월 신임 교육감의 당선 이후 2023년 재지정된 제주형 자율학교(다혼디배움학교)를 포함하여 실행과정을 탐색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transition from an industrial society to an information-based society demands innovation in school education. Future society must be able to create new knowledge by leveraging information and generate new value by interpreting and integrating knowledge. However, new liberalism, the entrance examination structure in Korea, nationalism, bureaucratic culture, and the closeness of teaching cultures serve as obstacles to educational innovation. Innovative schools seek to address these issues by pursuing a small school revival movement at the policy level of the educational authorities. Since 2009, innovative schools have been implemented, with 2,694 such schools currently operating. Jeju has also implemented innovate schools since 2015. Dahondibaum Schools have made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education in Jeju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democratic school culture, the operation of creative curriculum, and the formation of ethical living communities. However, they have also been criticized for focusing on quantitative expansion at the expense of qualitative growth, and they faces the challenge of establishing a model for future education beyond the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To address this issue, various studies on Dahondibaum Schools are needed, and an analysis of the school's development over the past years is necessary by understanding the path they have undergo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structural, institutional, actor-related and path of change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Dahondibaum Schools through an analysis of historical new institutionalism on Jeju Dahondibaeum Schools. Additionally, the study provide implications for political development in Dahondibaeum Schools by comparing the path of Olleh and Baram primary schools. To achieve these research goals, the following specific questions were addressed. First, What are the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actor-related factors that have influenced Dahondibaum School? Second, What are the path of change factors that have shaped the school's evolution and growth? Third, What is the path of change of the Olleh and Baram primary schools? This study analyzed the changes in Dahondibaum Schools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new institutionalism. Through this analysis, the context of policies, institutions, actors, and external events that have influenced the path of change was identified. The research method combined Kim Yoon-kwon's (2005) integrated approach of structural, institutional, and actor-related factors with a path of change analysis. Six people were interviewed including the officer and team leader of education office, teachers, and administrators from Olleh and Baram primary School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hanges in Dahondibaum Schools were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early stage before 2013, the introduction stage from 2014 to 2017, the development stage from 2018 to 2019, and the maturity stage from 2020 to June 2022. Second, the structural factors that influenced Dahondibaum Schools included reluctance towards conservative education and new liberalism education, the election of progressive superintendents, changes in central government policy, and the outbreak of COVID-19. Third, the institutional factors that influenced Dahondibaum Schools were limitations in existing organizations and systems, dissatisfaction with the entrance exam system and ‘i-Good Schools', and a decrease in the effectiveness of the Jeju Special Law. Also, non innovative schools, suspension of administrative officers, conflicts of IB schools are drawn. Fourth, actor-related factors included efforts by members to promote Dahondibaum School policies such as the appointment of the first superintendent from the regular teacher, and the revision of the Jeju-style Autonomous School Rules. On the other hand, conflicts between actors, such as resistance to new personnel rules and teacher burnout, were also found. Fifth, path-dependent factors included limitations in existing systems such as entrance exam and personnel rules, resistance to Dahondibaum Schools among those who benefited from the pre-existing system, generalization policy and fatigue with innovative schools. Sixth, path-evolving factors included the introduction of innovative schools policy in Gyeonggi, the election and re-election of progressive superintendents, and positive perceptions of Dahon dibaum Schools. Beyond that, concern of teachers and administrators on innovation, positive cognition and outcomes of Dahondibaeum Schools are presented. Seventh, homogenization factors between Olleh and Baram primary Schools included poor educational environments, experience in specialty schools, and the appointment of open recruitment superintendent. Finally, heterogenization factors were differences in the group driving innovation, where Olleh primary School focused on developing educational curriculum with teachers, while Baram primary School focused on community cooperation models with the open recruitment superintenden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orts of the act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Dahondibaum Schools. Therefore, the sustainability of school innovation should be expanded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open principal recruitment system and the adjustment of teachers' work years. Second, as Dahondibaum Schools approaches maturity, a regression to the existing system has been observed. Therefore, solutions to current problems should be sought by utilizing the path-evolving factors that Dahondibaum Schools have pursued. Third, it was found that Olleh and Baram primary School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path-changing proces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autonomy of school by opening up schools and developing community-based curriculum to allow schools to take a leading role and enhance customized support for schools to diversify shool models.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can be made. First, future research on Dahondibaum Schools need to be conducted not only with teachers but also with parents, students, and the local community. Second, analysis should be conducted on Dahondibaum Schools that a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actual operation, not only those that are successfully running. Third, considering that Dahodibaum Schools are expanding into a mid-sized school,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mid-sized Dahondibaum Schools as well. Fourth,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explore the execution process, including the re-designated Jeju-type autonomous schools (Dahondibaum Schools) after the election of the new superintendent of education in July 2022.

      •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MTE)이 관광 참여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지역 농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신현철 濟州大學校 經營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과 제주지역의 농촌체험마을에 참여하는 관광객의 행동의도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관광목적지 이미지, 진정성이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에 미치는 영향과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이 재방문 의도, 온라인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관광목적지 이미지, 진정성이 재방문 의도, 온라인구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지역의 농촌체험마을에 참여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고 실증분석을 토대로 다음과 같이 결과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관광목적지 이미지, 진정성은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에 정(+)의 영향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은 관광객 행동의도(재방문 의도, 온라인구전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며,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관광목적지 이미지, 진정성도 마찬가지로 관광객 행동의도(재방문 의도, 온라인구전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렇게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학문적 의의와 실무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관광목적지 이미지, 진정성은 제주지역의 농촌체험마을에 참여하는 관광객들의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방문객 인게이지먼트와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회복경험, 참신성 경험)과의 관계를 제외하고는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관광목적지 이미지, 진정성과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간 영향관계를 검증한 Waitt(2000), Hargrove(2002), Kim과 Ritchie(2014), Coudounaris & Sthapit(2017), Chen & Rahman(2018), Rasoolimanesh, Noor, Schuberth & Jaafar(2019) 등의 연구를 지지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제주지역의 농촌체험마을에 참여하는 관광객들의 인게이지먼트, 진정성 그리고 농촌체험마을의 이미지가 높게 인식될수록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 경험이 일어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제주지역의 농촌체험마을 관광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제공되는 서비스 및 현장에서의 운영 측면도 중요하지만 이러한 농촌마을을 방문하고자 하는 잠재관광객들의 인게이지먼트와 진정성 높은 상품구성 그리고 해당 농촌마을의 목적지 이미지를 어떻게 발전시켜 나갈 것인지에 대한 철저한 진단과 계획을 수립하여 전략적인 육성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결과에 따른 농촌체험마을의 발전 방향으로는 마을별 운영되는 현장 프로그램, 서비스를 구성함에 있어 방문객들의 자발적 의지에 기반한 참여활동이 일어날 수 있도록 특히 해당마을의 고유한 문화와 지역주민과의 교류 등 타 관광체험활동과 차별화되는 요소를 부각시킨 진정성 높은 경험을 상품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억에 남을 만한 농촌체험마을여행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회복 경험, 참신성 경험, 의미 경험, 쾌락주의 경험, 지역문화 경험의 MTE 구성요소별 농촌체험마을의 차별화 전략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타지역 (관광지)과의 경쟁력을 다져나가야 할 것이다. 이에 각 마을별 최우선적으로 보완할 사항을 MTE 구성요소별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하효마을은 감귤을 원재료로 활용하여 가공식품, 관광객 체험활동(각종 만들기)이 주요상품으로 전반적으로 회복, 참신성, 쾌락주의 경험이 강점인 반면에 지역문화 경험과 의미경험을 강화할 필요가 있겠다. 이를 위해 운영주체와 방문객들이 함께 해당 마을탐방, 주민교류 프로그램(농촌 팜파티 등)을 신규 상품으로 개발한다면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 가치를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남리는 머체왓숲이 주요자원이자 운영되는 상품으로 제주특별자치도의 웰니스관광지로 인증된 곳으로 주로 트레킹과 주민해설 그리고 숲속요가 등 주민주도의 웰니스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특징으로 한남리 체험은 회복과 참신성 경험 그리고 의미경험 등이 강점인 반면 웰니스 프로그램으로 치중되어 있기에 한남리의 인문학적 스토리와 지역문화 컨텐츠를 접목시킨 전반적인 웰니스 상품의 스토리텔링화가 보완되어져야 할 사항이다. 그밖에 신흥2리와 치유의숲은 지역문화 기반의 농촌(숲길)체험상품 위주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곳의 강점은 지역주민들이 주도적으로 운영하고 있기에 지역문화 경험과 회복경험, 의미경험은 풍부하나 방문객 입장에서의 참신성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한다면 더욱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이 이뤄질 것이다. 둘째,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은 관광객 행동의도인 재방문 의도와 온라인구전 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Marschal(2012), Kim & Ritchie(2014) 등의 MTE와 관광객 행동의도간의 관계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다만 MTE의 구성요소 중에서 의미경험은 관광객의 재방문 의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제주지역의 농촌체험마을을 방문하는 관광객들은 관광경험을 통해 회복 경험, 참신성 경험, 쾌락주의 경험, 지역문화 경험에 기반과 목적을 둔 소비 욕구가 반영되어 나타났다. 따라서 처음 방문한 관광객보다 재방문 관광객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이는 관광분야에서 잠재고객들을 향한 긍정적 구전확산과 재방문을 유도하는 것은 굉장히 중요하다. 이에 제주지역의 농촌체험관광시장을 더욱 확대하고 활성화 시키기 위해서는 바로 이러한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을 확대해 나가고 농촌체험마을별 고객층을 확보해 나가는 함은 자명한 일이다. 특히 제주지역의 농촌체험마을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단순 홍보나 광고에 그치는 양상을 볼 수 있는데, 이번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앞으로는 각 마을별로 기억에 남을 만한 관광경험을 창출 할 수 있는 서비스 및 상품을 기획하여 방문객들의 온라인구전 확산과 궁극적으로 재방문 활성화에 기여될 수 있도록 마케팅 전략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겠다. 마지막으로 방문객 인게이지먼트, 관광목적지 이미지, 진정성은 재방문의도와 온라인구전 의도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서 Poria et al.(2003), Meledduet al.(2015), Harrigan et al.(2018), Shen et al.(2014) 등의 선행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다만 본 연구에서는 관광목적지 이미지는 관광객 행동의도 중 재방문 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제주지역의 농촌체험마을 여행시장이 아직 적정수준의 규모가 형성되지 않은 점과 최근 코로나19 펜데믹 이후 변화된 국민여행 트렌드 중 하나로 마을여행이 시작된 점 등을 고려해 볼 때 연구대상인 4곳의 농촌체험마을 목적지 이미지가 관광객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제주지역의 농촌체험마을 발전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으로 방문객의 인게이지먼트와 진정성 있는 경험을 창출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적정 시장규모가 형성되었을 때 해당마을에 대한 이미지를 포지셔닝(positioning) 하고 브랜딩 (branding) 해 나가는 마케팅 관점도 필요할 것이다. A Study on the Effect of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on Visitor's Behavior Intention - Focused on Rural Experience Villages in Jeju Island - Shin, Hyunchul Abstract Department of Tourism Management The Graduate School of Business Jeju National University Since the competitiveness of a tourism destination is the result of ex-post evaluation of the image formed by the tourist recalling the experience at the destination, research on the memorable experience should eventually be the focus of tourism experience. There is a big change in tourist behavior and consumption propensity, and since the tourism industry is based on mobility, it is difficult to respond to this pandemic phenomen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tudy and discuss these changed tourism behaviors by applying empirical theories. Recently, interest in memorable tourism has increased and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ut research based on the recent tourism market that has changed in pendemic situations such as epidemics is needed. Based on the above research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Jeju tourism in the midst of a tourism crisis such as the recent pandemic situation by stud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which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tourism industry, and the behavioral intention of tourists visiting Jeju. In particular, it aim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earch by reflecting the changed consumption trend after COVID-19, targeting tourists visiting rural experience villages rather than general tourist destination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want to find out whether engagement, destination image, and authenticity have a positive effect on a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Second, we investigate whether memorable tourism experiences have a positive effect on tourist behavioral intentions (revisit intention, online word of mouth intention), and third, we examine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Jeju visitors represented by revisit intention and online word of mouth inten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ucing engagement, authenticity, and image of a tourist destina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whether a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plays a role as a mediating effect. The questionnaire items in this study consisted of 43 items in 6 fields. Visitor engagement 4 questions, tourism destination image 4 questions, sincerity 2 questions,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18 questions, revisit intention 3 questions, online word of mouth intention 4 questions, totaling 35 questions on a 5-point Likert scale did In order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ight items, such as gender, age, education level, average monthly income, occupation, companion, residence, and visiting area, were configured as a nominal scale. A total of 32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y distributing 350 offline questionnaires, of which 301 copies (86.0%) were used for the final empirical analysis, excluding those with insincere responses. The results of the hypothesis tes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visitor engagement,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authentic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of tourists participating in rural experience villages in Jeju. All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 engagement and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recovery experience, novelty experience) were found to have an effect. These research results are based on Waitt (2000), Hargrove (2002), Kim and Ritchie (2014), and Coudounaris & Sthapit (2017), who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visitor engagement, tourist destination image, authenticity and memorable tourism experiences. Chen & Rahman (2018), Rasoolimanesh, Noor, Schuberth & Jaafar (2019), etc. showed results supporting studies. Second, it was found that a memorable tourism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revisit and online word-of-mouth, which are tourist behavioral intentions. This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TE and tourist behavioral intentions such as Marschal (2012), Kim & Ritchie (2014). However, among the components of MTE, it was found that semantic experience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of tourists to revisit. Finally, it was found that visitor engagement, tourist destination image, and authentic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visit intention and online word-of-mouth intention. These research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uch as Poria et al. (2003), Shen et al. (2014), Meleddu et al. (2015), and Harrigan et al. (2018).

      • 제주시 대중교통 이용 활성화에 대한 연구

        고경실 제주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oint out the operational system in bus run in Jeju Island and lay out scheme in activating the frequency of bus use. For fulfillment of the study purpose statement paradigm of transportation policy, meaning and role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necessity which the government should intervene in the name of an aid were investigated in the literature review. In recent days the philosophy of policy have been converted into the public transportation and the green-oriented transportation policy compared to the domination of the road construction and automobile-oriented policy in the past. In addition to the changing philosophy, the strategy for the implementation has been switched into the TDM (Transportation Demand Management) technique which is an attempt to solve the traffic congestion with few expenses. The overall philosophy of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demand management policy which makes the car drivers bear the economic expenses. In the chapter of an analysis of problems, the dimension for consciousness, demand management, operation of the bus company, and jurisdiction/institutional aspects were investigated.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tical frame mentioned above, presented the scheme for the reinforc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policy. First, the activ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use is swayed by the change of citizen consciousness. Besides, the kindness of the bus driver should be required. Second, the demand management policy causing the economic expenses should be carried out. The raise of the fuel cost, the parking fee, the toll fee, the driving restriction, the automobile tax, the fine, and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for own garage should be implemented. Third, the infrastructure for buses and should be upgraded. The concrete plan is to implement the introduction of public terminal, bus-only lanes, bus-only streets, bus-preferred signals, bus information system, high quality/diversification of the bus, and the improvement of bus stop. Fourth, the administrative/financial supports should be in bus operating companies. The aid for profit-making routes, the aid for student discounts rate, the reduction of fuel tax, the new law, which introduces the special article for funding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and the enactment of the activ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Fifth, the plan for the activ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is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other transportation. The public transportation is not only related to the automobiles but also related to the bicycles. Besides, the relation between area of transportation pacification and public transportation, between the walking environment and public transportation, between taxies and public transportation, and between the cross-country bus and public transportation are important because of the limit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as the sole independent transportation. Sixth, the awareness of role about the bus should be reestablished because it is flexible to the publicity and the role change. In addition, the system for the public management, tentatively called "an ordinance of an activation for local buses" and the special accounts, should be establish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not to investigated the type of the automobile ownership. In other words, the opinion of the policy about the economic expenses would be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whether the compact car drivers or the medium-sized car drivers. An other limitation of this study is not to deduce the public transportation function based on the investigation. The public transportation function is the useful formula predicting the variation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demand caused by policy change though it is differed by environmental changes. A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complemented by future studies, the public transportation in Jeju Island would be much more activa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