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 상담학과 석사과정 학생의 만성화된 수치심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신원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국문초록 본 연구는 연구자가 만성화된 수치심으로 인해 대학원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그것을 의미화하는 과정을 기술한 자문화기술지(autoethnography)이다. 만성화된 수치심은 Deyoung의 저서 「만성화된 수치심의 이해와 치료: 관계적, 신경생리학적 접근」에서 소개된 개념으로 역기능적 수치심의 만성적이고 전-언어적인 측면을 다룬다. 연구는 연구자가 만성화된 수치심을 경험하고 있다는 전제에서 진행되었다. 상담학을 공부하기 위해 많은 이들이 대학원에 진학한다. 대학원에 진학하고 학업을 수행하는 데에는 다양한 이유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이는 자기 자신을 좀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대학원에 진학할 수 있다. 또 어떤 이는 훌륭한 상담전문가가 되어 다른 사람을 치유하고 싶은 열망이 있을 수 있다. 다양한 가능성을 그리며 상담학과에 진학하는 현상은 고무적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그러나 상담전문가로 성장하는 데에는 여러 어려움이 있는 것 같다. 하나 생각해보자면, 내담자로서의 정체성과 상담전문가로서의 정체성을 혼동하는 문제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학생들이 전문성을 갖추기 위해 상담학과 대학원에 진학하지만 어떤 이들은 내면의 상처를 치유 받기 위해 상담학과에 진학하는 것 같기도 하다. 그것이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대학원에서 관계 맺는 이들, 가령 지도교수나 동료, 선후배들과의 관계에서의 과도한 기대가 자칫 실망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 이는 상담전문가로서 발달하는 데 어려움을 야기할 가능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양상이 드러나는 경우 중 하나인 ‘만성화된 수치심을 경험한 연구자’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관계 외상의 후유증이라고도 볼 수 있는 만성화된 수치심은 대인관계에서 회피 혹은 고통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병리라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만성화된 수치심이 자리 잡은 연구자가 관계성의 깊이를 다루는 상담학을 전공하고 대학원 석사과정까지 진학한 데에는 개인의 치유적 동기가 자리 잡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자의 경험을 의미화하는 것이 소정의 학술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았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만성화된 수치심으로 인해, 상담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타인에 대한 과도한 기대와 좌절이 드러났다. 또한 그러한 좌절 속에 조절되지 않는 정동의 경험이 드러났다. 그리고 스스로의 조절되지 않음에 대해 과도한 수치심을 경험하고 물리적 정신적으로 도망가는 현상이 드러났다. 이후 지도교수를 포함한 대학원 공동체와의 지속적인 조절 경험을 통해 스스로의 만성화된 수치심을 바라보고 다룰 수 있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그렇게 하여 내담자로서 회복되고자 하는 욕구를 관계 속에서 객관화하고 상담전문가로서 발달할 수 있는 태도를 기를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자의 회복과정은 한 개인이 상담학과 대학원에서 상담전문가로 성장하는 데 안전한 혹은 나를 조절해 줄 수 있는 관계 혹은 공동체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여기서 말하는 안전함이란 공감과 수용을 통해 나의 존재가 온전히 받아들여지는 경험뿐만 아니라 상담전문가로서 냉정하게 평가받고 비판받아도 괜찮은 혹은 덜 두려운 관계 경험이 포함된다고 볼 수 있다. 즉, 안전하게 좌절하고 성장할 수 있는 관계 혹은 공동체의 경험이라고 볼 수 있다. 대학원에서, 특히 상담전문가로서의 첫발을 내딛는 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담학과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연구자와 같은 혹은 비슷한 문제를 경험하고 있는 학생들이 또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연구자의 치유 경험을 기술한 연구결과가 비슷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는 다른 이들에게 작은 도움이 될 수 있길 바란다. 주제어: 만성화된 수치심, 석사과정, 상담학과, 상담전문가, 관계, 정동조절, 자문화기술지 This study is an autoethnography that describes the narrative of a researcher's struggle in graduate school life due to chronic shame and making meaning of it. Chronic shame is a concept introduced in Deyoung's book 「Understanding and Treating Chronic Shame: A Relational and Neurobiological Approach」, which deals with chronic and pre-verbal aspects of dysfunctional shame. This study was conducted under the assume that the researcher has been experienced chronic shame. Many enroll at graduate school to study counseling. There will be various reasons for entering to there and conducting studies. For example, someone might go to graduate school to understand themselves better. Another may have aspirations to become a good counselor and heal others. The phenomenon of entering the counseling department while drawing various possibilities seems to be encouraging. However, it seems that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studying counseling and growing as a professional counselor. Among them, it see ms that there is a problem of confusion between the identity as a client and the identity as a counselor. Some go on to graduate school in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to become Professional Counselor, but it seems to be common to see students go on to the department of counseling to heal their inner wounds. Whether consciously or unconsciously, it can lead to excessive expectations and disappointments in relationships with those who, in graduate school, such as advisors, colleagues, and seniors and juniors, which can cause difficulties in developing as counseling experts. In this study, I would like to examine one of the cases in which this aspect is revealed, 'researchers who have experienced chronic shame'. Chronic shame, which can be seen as an aftereffect of relational trauma, can be seen as a pathology that is highly likely to experience avoidance or pai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Nonetheless, it was seems that personal healing motives were in place for the researcher with chronic shame to major in counseling, which deals with the depth of relationships, and advance to the master's course at graduate school. And it was thought that the meaning of such a researcher's experience would be able to derive a certain academic meaning.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follows. First of all, due to chronic shame, excessive expectations and frustration for others were revealed in the master's course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In addition, the experience of disregulated affect was revealed due to such frustration. And it was revealed that they experienced excessive shame about their own uncontrollability and ran away physically and mentally. However, through continuous regulating experiences with the graduate school community, including the advisor, I experienced the process of being able to look at and deal with my own chronic shame. In this way, it was possible to objectify the desire as being a client to recover in the relationship and develop an attitude to develop as a professional counselor. This researcher's recovery narrative suggests the need for a safe or regulating relationship or community for an individual to grow as a professional counselor in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The safety includes not only the experience of being completely accepted through empathy and acceptance, but also the experience of a relationship where it is okay or less fearful to be evaluated and criticized calmly as a counseling professional. In other words, it can be seen experience as a relationship or community that can be safely frustrated and grown.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students who has been experienced the same or similar problems as the researcher in graduate school, especially in the master's course at the graduate school of counseling, which is a first steps as professional counselor. It is hoped that the research can results describing the researcher's healing experience will be of some help to others who has been experienced these difficulties.

      •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질적 연구 수행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안유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질적 연구 수행경험을 살펴봄으로써 상담과 질적 연구가 어떠한 상호작용을 주고받는지에 대한 구체적 자료를 제공하여 질적 연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Giorgi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상담전공 대학원생 총 7명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23개의 하위구성요소와 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나와 타인에 대한 관심이 연구의 기반이 됨’, ‘연구참여자와의 면담에서 시행착오를 겪음’, ‘연구참여자의 이야기를 이끌어내기 위해 노력함’, ‘연구참여자와의 거리를 적절하게 유지하기 위해 노력함’, ‘상담자의 모습과 질적 연구자의 모습이 유사하게 느껴짐’, ‘상담자로서의 역량이 성장함’, ‘나 자신이 성장함’, ‘연구의 의미를 알게 됨’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질적 연구 수행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탐색과 이해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상담전공 대학원생이 질적 연구를 수행하며 갖추어야 할 태도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구를 통한 상담자의 발달에 기초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상담전공 대학원생들의 질적 연구에 대한 접근성을 높이고 필요한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과 발전방향

        안유진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에 대한 전문상담교사의 인식을 살펴봄으로써 교육대학원 2급 양성과정의 발전방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문 상담교사 8명과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여 Braun과 Clarke의 주제분석(Thematic Analysis)의 방법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 결과 2개의 영역에 따른 14개 의 하위범주와 5개의 상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이 전문상담교사로서 직무를 수행하는 데 ‘상담교사로서의 역량 강화’, ‘학교현장에 대한 이해 증진’에 도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실무 역량에 대한 교육 부족’, ‘다양한 역할에 대한 교육 부족’, ‘실습 교육 체계의 미비’로 인해 도움받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교육대학원 2급 양성과정이 전문상담교사로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 문제점과 발전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를 둘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육대학원 전문상담교사 2급 양성과정의 실습체계의 보완 필요성에 대해 제안하였으며, 전문상담교사에게 교육해 야 하는 역할에 대해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전문상담교사들에게 교육해야 할 구체적인 실무역량에 대해 심층적인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제한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lan for the developmen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s second-level training course by examining the perceptions of professional counselors on the second-level training course for professional counselors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ight professional counselors to analyze the data through the method of Braun and Clarke's Thematic Analysi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14 subcategories and 5 upper categori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wo area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second-level training course for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elped to "strengthen their competence as counseling teachers" and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school site" in performing their duties as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y were not helped due to 'lack of education on practical competencies', 'lack of education on various roles', and 'lack of practical education system'.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find out how the second-level training cours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ffected the performance of the job as a professional counselor, discussed problems and development plans, and presented basic data. Specifically, the need to supplement the practice system of the second-level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training cours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as suggested, and the role of teaching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was specifically presented. In addition, it is meaningful to present in-depth data on specific practical competencies to be educated to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 외국인유학생 대학생활만족도의 영향요인 연구

        상경위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각 변인에 대한 설명력의 정도를 파악하며, 이를 바탕으로 한국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찾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대학생활만족도에 대한 개념과 관련이론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학교적 요인, 한국어 숙달수준, 사회적지지, 여가활동참여로 구분하여 연구의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김해시의 인제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는 251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전수 조사하였고, 회수된 179부 중 무효응답 1부 배고 178부의 조사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8.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 독립표본 T-TEST, 일원분산분석(ANOVA)을 실시한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제대학교에서 공부하고 있는 외국인유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가 보통수준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응답자의 개인적 특성을 살펴보면, 여자가 남자보다 10%정도 많았고, 나이는 26세가 가장 많았다. 국적별로는 중국인 유학생이 가장 많았으며, 체류기간은 3년 이상이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학교적 특성에서는 지난학기 성적이 4.0이상이 67명으로 응답자의 54.9%에 답했으며, 과정별로는 대학원석사과정이 38.8%로 가장 높았으며, 전공분야별로는 인문사회과학대학분야가 71.8%로 가장 많았다. 등록금조달방법은 장학금을 받는 유학생이 89.3%로 상당히 높았다. 생활비부담감의 평균은 4.29이며, 거의 보통수준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유학생들의 한국어숙달수준 현황을 살펴보면, 외국인유학생의 한국어실력은 보통수준으로 나타냈다. 사회적 지지는 평균값이 2.97점으로 중앙값 3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참여는 평균값이 2.23점으로 중앙값 3보다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제대학교에 다니는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는 국적, 생활비부담감, 사회적지지, 여가활동참여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었다. 외국인유학생 대상자의 중국국적을 가지고 있는 학생이 기타국적 가진 학생보다 대학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밝혀졌으며, 생활비부담감이 큰 학생, 사회적지지가 낮은 학생, 여가활동을 적게 참여하는 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외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는 사회적 지지수준을 통해 측정하였다. 사회적 지지수준이 높을수록 한국에서 대학생활에 있어서 어려움이 많이 줄이기 때문에 대학생활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외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은 사회적 지지수준임이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함의와 정책적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인제대학교에 있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대학생활만족도 높기 위해 사회적 지지를 높혀야하며, 구체적이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외국인 유학생회로부터 많은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현재 인제대학교에서 공식적인 외국인 유학생회가 없으며, 외국인 유학생의 사회적지지를 높이기 위해서는 우선 외국인 유학생회를 만들 필요가 있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인 친구를 많이 사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현재 인제대학교에 있는 단체 활동을 보면 각 전공별로 있는 MT와 대외교류처에서 외국인 유학생대상으로 하는 문화탐방이 있다. 그 중 대외교류처에서 하는 문화탐방은 외국인 유학생들만 참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한국인 학생도 같이 참여하여 함께 교류할 수 있는 계기가 되면 좋을 것이다. 셋째, 외국인 유학생이 수업의 발표와 과제에 대해 교수님이나 친구의 도움을 많이 받을 수 있도록 전공튜터링제도를 실시해야한다. 인제대학교 대외교류처에서 하는 튜터링제도가 있다. 이 제도는 외국인 유학생의 학습을 도움을 많이 되었지만 참여하는 팀별로 한국어 학습이 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한국어 학습 뿐 만 아니라 전공 수업 역시 힘든 학생들이 있는데 이들에게는 같은 전공의 멘토와 연결되어 한국어 학습만이 아니라 전공을 함께 공부할 수 있는 전공 튜터링제도가 필요하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이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도록 외국어 외국어 홈페이지를 확대하여야 한다. 한국학생들은 기존 인제대학교 홈페이지 등을 통해 학교생활에 필요한 정보 등을 쉽게 찾을 수 있지만 언어 능력이 부족한 경우 이해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외국인 유학생회 등과 같이 외국인 유학생들이 쉽게 접근 할 수 있고 외국인에게 필요한 정보도 제공되고 그 정보들이 각국의 언어로 제공이 된다면 외국인 유학생들은 필요한 정보를 쉽게 얻고 학교에 적응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겪은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경험

        김영진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경험하는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석사학위 논문을 작성하고 상담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수여 받은 8명의 참여자에게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심층 면접을 진행하고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22개의 하위요소, 8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연구 결과는 <연구에 대해 알지 못해 막막함을 느낌>, <학교에서 연구와 관련된 도움을 받지 못함>, <연구방법에 대한 시행착오를 겪음>, <연구 과정에서 내적 위기감을 느낌>, <연구에 대한 내적 동기로 인해 포기하지 않고 끝까지 하게 됨>, <지지와 격려를 통해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끼게 됨>, <연구를 위한 공부를 스스로 함>, <주변 사람들에게 연구에 대한 실질적인 도움을 받음>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이 경험한 연구의 어려움과 대처방법에 대해 심층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본질적 구조를 밝혔다는 데 의의를 둘 수 있다. 또한, 상담전공 석사과정 대학원생들의 대학원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상담과 연구를 서로 접목한 교육을 기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search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experienced by graduate students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To this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data were analyzed for 8 participants who wrote a master's thesis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received a master's degree in counseling major. As a result of the analysis, 22 subcomponents and 8 components were generated. The result of study are <Feeling hopeless because you don't know about the research>, <Not getting help related to research at school>, <Experienced trial and error in research methods>, <Feeling an inner sense of crisis in the course of the study>, <Internal motivation for research leads to end-to-end without giving up>, <Psychological stability through support and encouragement>, <Studying for research by oneself>, <Get practical help from people around you for your research>. Through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fundamental structure was revealed by in-depth research on the difficulties and coping methods of the research experienced by the graduate students of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In addition, By providing basic data on graduate school education for graduate students in the master's course in counseling major, you can expect an education that combines counseling and research. Finall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subsequent studies were made.

      • 응급실 이용자를 위한 의료 정보 서비스 디자인 연구

        서민규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23

        Rapid economic growth,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brings increasing traffic accidents, industrial disasters, and patients with acute illnesses. Moreover, acceleration of aging population induce more incidences of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Especially with the enforcement of 'Saturday Holiday System' expansion, more people take time to enjoy their leisure activities during such weekend. The occurrence has been followed by an increasing number of various trauma patients; the number of patients coming in via ambulance has increased from 8,380,000 in 2007 to 10,180,000 in 2013 and is expected to continuously increase, according to the statistics provid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Due to the continuous use of emergency rooms, it leads to increasing need for emergency rooms, and thus leads to longer wait-time for patents, ultimately aggravating medical attention. The out-patients and their guardians come into the emergency room nervous, anxious, and/or with any other forms of mental distress. As there are delays with the wait-time, lack of medical team, hospital environment, and other congested situations, patients' high expectations come close to the reality. Thus, a survey performed by central emergency medical center depicts a lower satisfaction of patients on emergency room compared to general practices. Due to this, there are potential factors, such as having a dissatisfied patient show violence, or having the patients' anxiety and nervousness escalate because of their own illness or injury. Therefore, a measure needs to take place to alleviate the negative experience by improving the communication with the medical team and the patients. In thi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Korean emergency room environments are examined, and examples of medical environment and service design on the process of emergency medical attention are discussed. Specifically, emergency rooms of Samsung Seoul Hospital in South Korea and National Health Service (NHS) Hospital in England are examined as an example of advanced emergency room service design. Emergency medical centers in Busan and Gyeongnam regions were used as subjects in the study. Five centers were chosen on the basis of having more than 25 numbers of bed hospitals, having more than 100 patients visit daily, and are well known by the general population. Our research was done on the visual and service designs of the current situation. With the data, we collected surveys for three months from 140 patients who had previously used these emergency medical centers to determine possible problems. Compiling the results and the problems from the use of emergency rooms, a leaflet that visually informs ‘treatment processes for emergency room patients' was designed. An efficient and easily accessible five-fold leaflet and a large poster were planned, edited and finally designed according to three feedbacks from professionals. The design of guide maps for medical teams, visitors, and patients are mostly in neutral colors with the essential information highlighted for maximum legibility. The guide maps consist of one to five levels of gradations of color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patients-red for urgent patients, orange for emergency patients, and green for nonemergent patients. The customized colors let the patients easily determine the adequate guide map designed with texts and pictorials. In order to solve the biggest problem: 'long wait time (58%)' according to the emergency room survey, a clock-shaped icon was placed to explain the reason behind the wait including what the medical teams do in the time slot. Furthermore, in order to solve 'medical team's lack of explanation for the next steps (40%),' medical emergency treatment processes were divided into five steps, which consist of detailed information to facilitate users of the map to understand better. Through this research, it is expected to provide practical help, such as advancing patient's negative experience of the emergency room, provide psychological comfort by solving the lack of communication among medical teams and patients, and improve emergency room environment. 현대사회의 급속한 경제성장과 도시화, 산업화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면서 산업재해, 교통사고, 급성질환 환자가 증가하고, 이와 더불어 인구 고령화 현상이 가속화됨으로써 뇌혈관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특히 토요휴무제의 확대 시행으로 국민의 건강증진과 여가생활이 집중되는 휴일에 교통사고, 외상환자 발생 건수가 평일보다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응급실을 이용하는 환자의 수는 2007년 838만 명에서 2013년에는 1,018만 명으로 늘어났으며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다. 계속되는 응급실 이용의 증가로 인해 응급의료에 대한 수요는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으로 응급실 환자의 대기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응급실 내원 환자, 보호자의 대부분은 긴장이나 염려, 불안감을 가지고 흥분된 상태로 들어오게 되는데 대기시간의 지연, 의료진의 부족, 응급실 혼잡한 환경 등이 환자들의 높은 기대 수준과 맞물리면서 부정적 경험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중앙응급의료센터에서 실시한 응급실 서비스 만족도 조사결과 응급실의 만족도는 일반 의료서비스 만족도에 비해 크게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불만이 가중되어 폭력상황을 유발하는 잠재요소가 되기도 한다. 자신의 질병 및 외상, 응급실의 환경적 특성으로 긴장감과 불안감을 고조시키게 된다. 따라서 의료진과 환자 사이의 의사소통을 해결하기 위하여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들의 부정적 경험을 개선할 방안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응급실 환경과 특징조사 및 응급실 진료 프로세스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고 의료 환경과 서비스 디자인의 사례에 대해 고찰하였다. 응급실 서비스 디자인 선진 사례로써 국내 사례는 삼성서울병원 응급실과 해외사례로 영국 런던 NHS병원 응급실과 해외 의료환경 서비스 사례에 대해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으로는 부산 ? 경남지역의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를 중심으로 병상 수가 25개 이상, 하루 평균 이용자 수가 100명 이상 규모의 인지도 높은 병원 5곳을 선정하여 현재 응급실에서 사용되고 있는 시각적 정보 매체와 서비스 디자인을 중점으로 현황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자료를 바탕으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권역응급의료센터와 지역응급의료센터를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140명에게 응급실 서비스 디자인 관련 설문조사를 3개월간 진행하였다. 그 결과를 종합하여 응급실 이용의 문제점을 파악한 후 정보전달의 시각화를 통한 ‘응급실 이용자를 위한 진료 프로세스 안내지도’ 서비스 디자인을 개발하였다. 쉽고 편리하게 이용 가능한 5단 접지 형태인 인쇄용 리플렛과 벽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사인보드 형태로 디자인하였고 3회에 걸친 전문가 피드백을 통하여 개선하였다. 의료진과 이용자 간의 진료 진행과정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는 안내지도 디자인은 가로 400mm, 세로 280mm 크기로 제작되어 응급실을 이용하는 청년층에서 노년층까지 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약간의 크기 조절은 가능하다. 전체적으로 뉴트럴(Neutral) 컬러를 사용하였으며 필요한 정보를 눈에 띄게 하여 가독성을 높였다. 그라데이션(Gradation)을 주어 1단계에서 5단계까지 단계별로 진행되는 느낌을 주었으며, 진행되는 안내라인은 중증도에 따른 환자의 분류색으로 긴급환자는 적색, 응급환자는 주황색, 비응급환자는 초록색으로 각각 표시하여 환자에게 맞는 안내라인의 컬러를 따라가며 볼 수 있도록 디자인 하였으며 텍스트와 픽토그램을 함께 사용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하였다. 설문 결과 응급실의 가장 큰 문제점인 ‘긴 대기시간(58%)’을 해결하기 위하여 단계와 단계 사이에 시계 아이콘을 표시 하여 이용자들이 왜 기다려야 하는지 의료진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인지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다음단계에 대한 의료진의 설명 부재(40%)’를 해결하기 위해 응급실 진료 프로세스를 크게 다섯 단계로 나누어 나타내었고, 단계별로 자세한 설명을 기술하여 이용자들이 응급실의 진료 프로세스를 인지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안내지도를 통하여 응급실 이용자가 부정적 경험을 개선하고, 의료진과 환자사이의 부족했던 의사소통을 해결하여 환자의 심리적 안정감과 응급실 환경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 학부제 입학생의 전공선택 및 결정에 관한 연구 : 인제대학교를 중심으로

        조재분 仁濟大學校 經營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623

        학문의 다원화를 도모하고 학생들의 전공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한 취지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부제는 그에 대한 인식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와 변화하는 교육의 흐름 속에 학부제 실시 후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의 전공선택 문제는 중요한 문제 중의 하나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부제 입학생의 전공선택 및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첫째, 전공선택에 있어 가장 도움이 되었던 요인은 교육과정이 29.9%, 동료 및 선후배 23.6%, 전공교수 12.8%의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전공선택시 영향을 주는 요인과 인구사회학적 특성간의 관계는 대부분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소속단과대학별, 성별, 입시구분별)에서 차이를 보인 반면, 학년별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전공선택시 영향을 주는 요인과 전공만족도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전공수업과 전공만족도 간에 높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회귀분석결과 학부생들의 전공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는 인제대학교 학부생만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기 때문에 연구의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In order to increase the discretion of college students' choice of major, the divisional system has been widely used in Korea. But there are many different points of view about the divisional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empirically how freshmen choose their majors and what factors affects college students' choice of major. It is found that curriculum(29.9%), classmates, seniors and juniors(23.6%) and professors(12%) are the major factors. There is very significant correlationship between lecture of professor and students' satisfaction about major.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t is suggested that lecture of professor is the only independent variable that affects students' satisfaction about their major. The limits of this study is that only the students of In-je University were chosen as research sample, so generalization of conclusion should be restrained.

      • 직장인의 여가활동에 대한 연구 : 인제대학교, 김해시청, 김해 중소·기업체 중심으로

        최광수 인제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직장인의 여가활동 참여 정도와 여가프로그램 사례조사를 통하여 직장인의 여가활동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정책 지원 방안을 규명하고 근거를 제공함으로써 직장인의 효율적인 여가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는 2011년도 현재 인제대학교 &#61598; 김해시청 &#61598; 김해지역 중 &#61598; 소기업체에서 사무행정직의 직장인 250명을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단순무선표집(simple random sampling)을 이용하여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실제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응답이 불성실한 25매를 제외한 225매가 이용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설문지의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여가시간대상 3문항, 여가활동참여도 3문항, 여가활동 참여시간 3문항, 여가지원 및 시설운영현황 4문항, 여가활동 방해요인 3문항, 여가활동 종류 2문항, 여가활성화 지원방안 4문항 등으로 총 22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신뢰도는 .80 ~ .90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방법 및 절차를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직장인의 여가시간에 함께 보내는 대상은 남성의 경우 모든 연령에서 가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의 경우 친구가 가장 많았으며 연령이 증가할수록 가족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활동 특성 및 여가프로그램은 남성의 경우 일주일에 1-2일을 여가활동에 참여한다가 가장 많았으며 일주일에 3-4일을 참여한다가 다음으로 많았다. 여성의 경우도 일주일에 1-2일을 여가활동에 참여한다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일주일에 3-4일을 참여한다고 응답하였다. 참여시간으로는 남성의 경우 2시간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시간이 많았다. 여성의 경우도 2시간이 가장 많았고 다음이 3시간, 1시간이라고 응답하였다. 셋째, 기업의 여가지원 및 시설운영현황은 남성의 경우 있다보다 없다는 응답이 더 많았으며, 여성의 경우도 있다보다 없다는 응답이 훨씬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설운영 현황으로는 대부분이 동호회 위주의 활동으로 이루어졌으며(등산, 볼링, 배드민턴, 테니스, 헬스장등) 스포츠센터 지원, 문화생활비 지원 등으로 나타났다. 넷째, 직장인의 여가활동 종류는 남성의 경우 볼링, 등산외 각종 취미활동을, 여성의 경우 영화 및 연극관람, 휴식&#61598;잠, 등산이 가장 많이 하는 여가활동임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기업 및 정부의 여가활성화 지원방안은 국민 생활패턴이 직장생활에 편중되어 운동시간이 부족해짐에 따라 업무 스트레스와 피로가 증가하고, 시간이 부족한 직장인들의 운동 접근성이 제고될 수 있도록 기업들과 함께 직장 내 생활체육시설확충과 운동시간 확보 및 비용 지원 등 직장인의 현실적인 생활체육활성화가 가능하도록 지원하고 권고해야 하겠다.

      • 사회정의 관심과 실천 모형 검증: 상담전공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박소정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sychological processes based on the social justice interests and commitment of Korean undergraduate counseling students’ as well as to explore implication lessons in order to promote social justice commitment among them. A theoretical frame of predicting social justice commitment originated from Miller and colleagues’(2009) is employed in this study. Specifically, we confirmed the hypothesis that social justice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affect social justice interest and social justice interest affects social justice commitment. It also verified how Social supports and barriers, which are contextual factors, affect social justice commitment. To this end, more than 300 undergraduate counseling students were surveyed on Social Issue Questionnaires(SIQ; Miller et al., 2009), Social Desirability Scales(SDS-24; Kim Young-Suk, 2010), and other demographic questions, and 332 of the 346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To prevent overestimation of measurement, the main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verification under the control of social desirability are as follows. First, social justice interests and practice models, such as prior studies based on SCCT models, have been shown to be suitable for application to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ounseling. Social justice self-efficacy has a static impact on social justice interest and outcome expectation, and social justice interests have a static impact on social justice commitment. Second, unlike prior studies, social justice outcome expectation showed that have no significant impact on social justice interest and social justice commitment. Third, social justice social support, which is a contextual factor, has been shown to be significant in both direct effects on social justice practice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a sense of social justice self-efficacy. On the other hand, social justice social barrier was not concerned with both social justice self-efficacy and social justice commitment, but only with the covariance of social justice social support. Based on the above findings, we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social justice for undergraduate counseling students, and present suggestions for limitations and follow-up research. 본 연구는 사회인지진로이론(SCCT)을 사회정의 영역에 적용한 Miller 등(2009)의 연구를 반복검증하여 국내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사회정의에 대한 관심과 실천에서의 심리적 과정을 살펴보고 사회정의 활동을 촉진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사회정의 자기효능감이 사회정의 결과기대와 사회정의 관심에 영향을 주고 사회정의 관심이 사회정의 실천에 영향을 준다는 가설을 확인하였다. 또 맥락적 요인인 사회정의 사회적 지지와 사회적 장애가 사회정의 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검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에 소재한 상담전공 대학원생 남녀 300여 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이슈 질문지(SIQ),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SDS-24), 인구통계학적 및 사회정의 활동 관련 요인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346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한 8부와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6부를 제외한 332부가 최종 분석에 사용되었다. 측정의 과대 추정을 막기 위해 사회적 바람직성을 통제한 상태에서 구조방적식 모형 검증을 실시한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SCCT 모델을 사회정의 영역에 적용한 선행연구들과 같이 사회정의 관심과 실천 모형은 상담전공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적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정의 자기효능감은 사회정의 관심과 사회정의 결과기대에 정적인 영향을 주고 사회정의 관심은 사회정의 실천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행연구와 달리 사회정의 결과기대는 사회정의 관심과 사회정의 실천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맥락적 요인인 사회정의 사회적 지지는 사회정의 실천에 대한 직접효과와 사회정의 자기효능감을 통한 간접효과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정의 사회적 장애는 사회정의 자기효능감과 사회정의 실천에 모두 유의하지 않고 사회정의 사회적 지지에 대한 공분산만 유의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상담전공 대학원생의 사회정의에 대해 논의하고 연구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우리나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위험요인 분석

        강민숙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8623

        목 적 : 복부비만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요인으로 체내에서 인슐린저항성을 높이고 대사증후군을 유발하여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해마다 높이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우리나라의 대사증후군의 실태를 파악할 필요가 있어 1998년과 2001년에 실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와 2003년 8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검진자의 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대사증후군의 유병률과 그 위험요인을 연구 분석하여 복부비만을 예방할 수 있는 자료가 되고 심혈관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대상은 최근에 실시된 1998년과 2001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와 2003년 8월부터 2004년 5월까지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건강증진센터에 방문한 검진자들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중 1998년은 남자 3,597명, 여자 4,365명, 2001년은 남자 2,863명, 여자 3,705명이 연구대상이었다.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의 건강증진센터 자료 중 전체 1,152명에서 남자 665명, 여자 417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전국 추계인구자료를 이용하여 인구 구성에 따른 연령군별 직접표준화법을 통해 연령-보정 유병률을 산출하였다. 대사증후군과 관련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인구사회학적 요인, 흡연, 음주, 운동 등의 생활습관요인 및 체중, 혈압, 허리둘레, 공복혈당, 콜레스테롤 등 위험인자를 조사하였다. 통계적 검정은 SPSS(ver 10)를 이용하여 chi-square test, 다변량 로지스틱 회귀분석, 교차비 및 95%신뢰 구간을 구하였다. 결 과 :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 의한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1998년에 남자가 17.25%, 여자가 22.09%, 2001년에 남자가 18.63%, 여자가 20.10%로 나타났고, 2003년과 2004년의 건강증진센터의 결과로 남자 24.1%, 여자 19.2%가 나왔다. WHO 아시아-태평양 비만치료 지침에 의한 복부비만에 따른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1998년에 남자 19.99%, 여자 41.63%, 2001년에 남자 24.17%, 여자 41.86%로 나타났다.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으로는 성별(여성), 연령증가, 낮은 교육정도, 월저소득으로 나타났다. 운동이 대사증후군 예방인자로 나타났고, 대사증후군에 따른 뇌심혈관질환의 위험도는 여자가 남자보다 3배에서 6배까지 높았다. 결 론 : 본 연구 결과로 우리나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해마다 급증하고 있으며 특히 복부비만에 의한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크게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의 분석결과에 따른 대책으로 개인적 생활습관을 개선시키고, 국가적으로는 체계적인 예방 관리 대책이 시급하다고 하겠다. Objective : Abdominal obesity as a risk factor of cardiovascular disease helps arouse the insulin resistance in the internals and bring about metabolic syndrome, and it Increases the death rate every year. It has come into the limelight to make a survey of the fact finding of such metabolic abnormalities in Korea. This study analyzes the prevalence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based on both the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conducted in 1998 and 2001, and the records of subjects visiting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Busan Paik Hospital from August 2003 to May 2004. Furthermore, it is expected to establish the data to prevent abdominal obesity, thereby making a contribution to helping to reduce the death rate through cardiovascular disease. Methods : The subjects of this study came from both the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conducted in 1998 and 2001, and medical checkup examinees visiting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Busan Baek Hospital conducted from August 2003 to May 2004. The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of 1998 and 2001 had male subjects of 3,597 and 2,863, and female subjects of 4,365 and 3,705 respectively. Subjects of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Busan Paik Hospital were composed of 665 male subjects and 417 female subjects among the total number of 1,152 examinees.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was calculated through the data of the national census. And we investigated risk factors such as demograghic factor, lifestyle factor(smoking, drinking, and excercise), and obesity, hypertension, hyperlipidemia, hyperglycemia ect. Statistic results were done by the chi-square test,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odds ratio, and 95% confidence interval, using the SPSS (ver. 10.0) program. Results :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of the Korean National Nutrition Survey came out to 17.25% in men and 20.09% in women in 1998, and 18.63% in men and 20.10% in women in 2001.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of the Health Promotion Center Survey conducted in between 2003 and 2004 came out to 24.1% in men and 19.2% in woman.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caused by abdominal obesity, using a guideline for WHO Asia-Pacific obesity treatment, came out to 19.99% in men and 41.63% in women in 1998, and 24.17% in men and 41.86% in women in 2001. It has been shown that some of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were; female, aging, poor education and low monthly income. It has also been shown that exercise was a factor of prevention against the metabolic syndrome and the risk of women catching cerebrovascular and cardiovascular diseases was three to six times as high as men. Conclusion :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has been shown that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radically increases every year. Especially,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caused by abdominal obesity largely increases. To take countermeasures to prevent metabolic syndrome, personal habits related to lifestyle should be improved in private, and systematic prevention managements are required urgently in publ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