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대학행정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 몽골 'Ikh Zasag 국제대학교'와 한국'울산대학교'의 비교 연구

        바타르쿠 이시둘람 울산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온라인 대학행정 서비스에 대한 서비스 품질이 고객 만족도와 재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몽골 사립 대학교들 중에 “IKH ZASAG”대학교와 대한민국의 울산대학교의 학생을 대상으로 비교 연구했다.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는 Davis et al.(1989)의 TAM 모형, Zeithaml, Parasuraman and Berry (1988)가 제시한 SERVQUAL 척도를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Gronroos (1982, 1984), Bitner (1990)의 연구 등을 이론적 토대로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을 설정했다. 본 연구는 서비스 품질, 시스템 품질, 고객만족도, 서비스 이용 태도, 재이용의도의 5가지 항목의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설문조사하였으며, SPSS 및 AMOS 구조방정식 모형을 채택하여 수령타당성, 판별타당성 그리고 본 연구모형의 적합도 및 가설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울산대학교 학생들은 서비스에 전반적으로 만족하며 재이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학교 당국이 만족도를 향상시키고자 꾸준히 노력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반면, 전반적인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도에 영향을 주지 못한다는 결과를 보여준 몽골 Ikh Zasag 국제대학교의 경우는 학생들이 대학에서 제공해 주는 온라인 서비스에 신뢰가 없어서 만족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므로 Ikh Zasag 국제대학교는 앞으로 학생들의 신뢰도, 편리성, 유용성을 높이기 위하여 서비스품질, 시스템 품질 개선 및 마케팅에 많이 투자해야 될 것이고,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에서 나타났듯이 몽골의 대학교에서 마케팅의 실질적인 전략을 실행하며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인식차이 분석 : 울산대학교병원을 중심으로

        윤숙화 울산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71

        < 국 문 초 록 >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인식차이 분석 - 울산대학교병원을 중심으로 -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경 영 학 전 공 윤 숙 화 본 연구의 목적은 환자에게 제공되고 있는 간호서비스의 질을 평가하고, 입원환자가 인식하는 간호서비스 만족도와 간호사가 인식하는 간호서비스 수행도를 비교하고 두 집단 간의 간호서비스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차이를 파악하여 환자의 기대에 적합한 간호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한다. 또한 간호업무 수행 시 제공 되어지는 간호서비스를 환자가 어떻게 인식하는 지를 파악하여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간호서비스를 제공하여 환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울산시에 있는 울산대학교병원 입원환자 170명과 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료수집기간은 2011년 5월2일부터 5월11일까지 10일간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는 La-Monica(1987)등이 Risser(1975)의 환자만족도 도구를 근거로 개발한 환자만족도 측정도구(Patient Satisfaction Scale : LOPSS)를 양은진(2002)의 연구에서 수정, 보완하여 사용한 30개 문항의 5점 척도도구이다. 자료 분석방법은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중 환자의 일반적 특성은 환자의 성별은 여자가 89명(52.4%), 교육정도는 고졸이 90명(52.9%), 종교는 불교가 82명(48.5%), 결혼상태는 기혼이 139명(81.8%), 월수입은 200~300만원이 55명(39.0%)이었으며 환자의 평균연령은 41.5세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은 평균연령 29세로 결혼상태는 미혼이 123명(61.5%), 학력은 전문대졸이 132명(66.3%),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38명(69.0%), 임상경력은 5~10년이 61명(30.5%), 간호직을 택한 동기로는 취업의 용이성이 98명(49.0%)로 나타났다. 둘째,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와 간호사의 수행도간 인식차이는 전문․기술영역의 결과를 보면 ‘숙련된 기술로 능숙하게 일처리’하는 것에 대한 환자의 평가는 평균 4.253, 간호사의 평가는 3.612로 두 집단의 평균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자에게 도움이 되는 의견을 제시’하는 것에 대한 환자의 평가는 평균 4.059, 간호사의 평가는 3.518로 두 집단의 평균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성․공감성영역의 결과를 보면 ‘환자의 기대만큼 친절하게 대함’, ‘환자의 말을 경청하고 응답’, ‘환자의 병원생활이 즐겁도록 배려’, ‘환자들에게 공평하게 대함’, ‘환자의 의견과 요구를 고려해서 간호함’, ‘환자가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응함’, ‘환자의 문제를 잘 이해함’에 대해서도 환자가 간호사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영역의 결과를 보면 .‘치료계획에 따라 환자가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 ‘환자가 편안하게 질문할 수 있도록 행동’, ‘주사, 투약, 검사 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제공’, ‘간호사는 자신이 이야기하는 것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가지고 있음’에 대해 환자가 간호사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외의 다른 문항에 있어서는 환자와 간호사간에 유의한 인식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와 간호사의 중요도에 대한 인식차이는 ‘숙련된 기술로 능숙하게 일처리’, ‘안전하게 주사와 처치’에 대해서도 환자가 간호사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자가 도움이 필요할 때 언제든지 응함’에 대해서만 환자가 간호사보다 더욱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의 모든 문항에 있어서는 환자와 간호사의 유의한 인식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간호서비스에 대한 입원환자의 만족도와 간호사의 수행도 평가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문항에 있어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반면 항목별 중요도 평가에 있어서는 대부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간호서비스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와 간호사의 수행도 평가는 두 집단 모두 중요도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실제로 환자가 입원해 있는 동안 간호사로부터 제공받은 간호서비스에 대한 요구와 기대에 만족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문제로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간호사들은 입원환자와 간호사의 인식차이를 제대로 알고 간호서비스 질을 향상시켜 환자들의 간호서비스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하겠다.

      • 다가구주택의 평면유형에 따른 주거만족도 분석 : 울산광역시 도심지, 대학가, 공단밀집지역

        박태준 울산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71

        현재 다가구주택은 1993년 이후, 독신자와 대학생, 신혼부부들에게 선호되어 급속도로 개발, 보급되어 오던 주택으로서, 점차 우리의 실정에 맞게 계속해서 개선되어져 가고 있으나 오래전부터 독신가구의 비율이 높았던 선진국들과 비교해서 양적, 질적 측면, 특히 질적인 측면에서 아직은 많은 개선이 필요한 것이 또한 사실이다. 울산광역시 역시 다가구주택은 독신자와 대학생, 신혼부부들에게 선호되어 개발된 주택으로 이러한 다가구주택의 선호대상에 맞게 대부분의 다가구주택들이 대학가들이나 단독주택 밀집지역인 도심단독주택가에 주로 많이 분포 되어있으며, 울산시의 경우 1960년대의 공업화로 인한 마을형성과 함께 공단밀집지역에 다가구 단독주택이 생겨나기 시작하였다. 이들의 지역은 최근 울산지역에서 원룸형의 다가구주택 붐이 일어나고 있는 지역 중 매우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지역으로 남구지역은 전체 단독주택 중 다가구주택이 차지하는 비율이 80%를 넘어서고 있으며, 온산지역의 경우 울주군 지역 중 다가구주택의 34.2%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울산시 전체에서는 9번째로 많은 다가구주택의 비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이들 대학가지역과 도심지역, 공단밀집지역의 경우 울산시의 다가구주택 현황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지역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다가구주택의 경우 다른 아파트 형 주거와 오피스텔 형 1-2인 가구 등 다른 주거와 비교하여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져 있지 않은 실정이며 특히 울산의 경우 다가구주택이 가진 문제점뿐만이 아니라 공단조성과 그에 따른 다가구 주거들의 무분별한 조성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가구주택이 밀집한 도심지역인 남구 달동·삼산동 지역, 대학가중심지역인 무거동 지역, 공단밀집지역인 온산공단 주변인 울주군 온산읍 지역 3개를 선정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들 3개 지역에 거주하는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을 분류하고, 분류한 유형에 따른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파악하여 내부평면 구성방식의 개선안을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조사대상 지역 다가구주택의 현황과 특성을 파악한다. 둘째, 조사대상 지역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을 분류한다. 셋째, 각 다가구주택의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를 분석한다. 넷째, 각 다가구주택의 내부평면 유형별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주거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한다. 다섯째, 각 유형별 거주자들의 만족도 및 선호도를 반영하여 만족도가 높은 내부평면 유형에 따른 개선안을 마련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 다가구주택의 내부를 이루는 공간 중 방, 욕실, 다용도실, 주방의 구성방식에 따라 평면유형을 분류해 본 결과 본 연구의 조사대상 다가구주택의 평면유형을 4개의 유형(원룸형(내부주방), 원룸형(미니주방), 투룸형, 쓰리룸형)으로 범주화하여 분류하였다. 첫 번째 유형인 원룸형(내부주방)은 방이 1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방이 내부에 방과 함께 통합되어 있고 욕실과 다용도실이 구성된 형태로 방과 주방이 통합된 형태(1RK)이다. 이 형태는 4가지 유형 중 완전 통합형에 가까운 원룸형 구조로서 가장 작은 규모의 구조를 가지기도 한 형태이기도 하며, 대학가나 1인가구가 거주하는 평면유형으로 가장 많은 유형이기도 하다. 이 유형의 경우 주방이 내부에 위치해 있어 위생 및 청소, 환기 등의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야기하며 다가구주택의 열악한 주거환경을 형성하는데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형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이 유형의 경우 작은 평수로 여러 가구를 지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많은 다가구주택을 건축하는 사람들이 선호하는 유형이기도 하다. 두 번째 유형인 원룸형(미니주방)은 앞의 첫 번째 원룸형(내부주방)과 달리 주방이 분리된 형태로 완전 통합형인 첫 번째 유형에서 주방이 분리된 원룸형태(1R+K)이다. 이 유형의 경우 첫 번째 유형인 원룸형(내부 주방)이 주방이 방 내부에 있음으로 인해 환기 및 미관 청소 등 여러 가지 문제 등을 야기할 수 있는 것을 개선한 형태로 열악한 다가구주택의 환경을 조금 더 개선한 형태로 볼 수 있다. 이 유형은 1인가구 거주용 원룸형으로 현재 가장 많이 선호하는 주택 평면유형이다. 세 번째 유형인 투룸형의 경우는 1개의 방과 거실로 이루어진 형태로 거실에 주방이 통합된 형태(1R+LK)이다. 이 형태는 앞의 두 원룸형과 다르게 거실이 추가된 형태로 규모가 넓으며 방 이외의 거실이 따로 있어 공간활용도가 뛰어나고 1인 뿐만이 아니라 2인까지 사용가능한 구조로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 유형인 쓰리룸의 경우는 가장 규모가 큰 유형으로 방 2개와 거실을 가지며, 거실에 주방이 통합된 형태(2R+LK)이다. 이 형태는 1인이 사용하기에는 큰 평면유형으로 2인이 사용하기에 적절한 공간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 형태는 1인 가구보다는 2인가구인 신혼기 가구나 2인 동거가구에 적합한 평면유형으로 대학가지역보다는 도심지지역이나 공단밀집지역에 더 많이 분포한 유형이다. 본 조사의 연구방법으로 연구의 대상지역은 다가구주택이 많이 밀집한 도심지지역 주변인 남구 달동·삼산동 지역, 대학가 주변인 무거동 지역, 공단밀집지역인 온산공단 주변인 울주군 온산읍 지역 3개를 선정하였으며, 3개 지역의 비율을 동일하게 하여 층화한 후 다가구주택 1-2인 타가 거주자를 대상으로 단순무작위로 선정하였다. 총 100가구를 선정하기 위하여 1단계에서는 지역에 따라 조사대상을 할당하고 2단계에서는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1-2인 타가 거주자로 조사대상 할당하였고, 응답대상자는 1인 또는 2인 거주자로 신혼기인 경우 아동의 경우는 3인까지 대상자로 포함하여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자가 소유자를 제외한 전세 및 월세, 사원주택 등에 거주하는 타가 거주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실시하였다. 2013년 10월 7일부터 10월 20일까지 총 120부의 설문지를 배포 후 내용이 부실하거나 맞지 않는 31부의 설문지를 제외하고 40부를 배포 후 회수하여 총 12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조사자료 분석에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를 통해 전반적인 경향을 파악하고 주요개념에 대한 집단별 평균비교를 통해 만족도와 필요여부에 대한 평균을 비교하기 위하여 평균비교 F검정과 t-검정 실시하였으며, 또한 두 변수간의 관계를 분석하여 종속 변수가 독립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하여 교차분석과 χ²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조사결과에 따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본 논문에서는 다가구주택이 도심지역과 대학가지역, 공단밀집지역인 3개 지역의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각 지역별로 4개의 평면유형이 가지는 특성을 살펴 볼 수 있었다. 그러므로 이에 따른 각 지역별 특성이 반영된 연구의 결론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 번째, 대학가 지역인 무거동의 경우는 대학생이 많이 거주하고 있는 곳으로 대부분 원룸형(내부주방), 원룸형(미니주방)의 두가지 유형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붙박이장과 외부발코니에 대한 필요성이 높게 요구되고 있어 향후 이에 대한 개선안이 이 지역의 다가구주택 건축에 반영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둘째, 도심지역인 달동·삼산동 지역은 원룸형(미니 주방)과 투룸형에 많이 거주하고 있으나 향후 투룸과 쓰리룸에 거주하길 원하는 비율이 높고 거실에 대한 불만이 높아 이에 대한 검토와 보완이 필요하다. 셋째, 공단밀집지역인 온산읍지역은 원룸형(미니 주방)과 투룸, 쓰리룸형 등 세 지역 중 제일 넓은 규모에 거주하고 가장 많은 기혼자들이 거주하고 있어 다른 집단과 차이가 있음을 나타내어 이에 대한 특성이 반영된 계획이 필요할 것이다. 이 지역은 다른 지역과 다르게 공용시설인 휴게실과 회의 및 다목적실을 필요로 하고 있어 계획과정에서 이에 대한 파악과 숙지가 필요할 것이다. 이상의 결론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현대사회 생활양식의 변화와 가구 분화 등으로 인하여 다가구주택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다가구주택의 경우 일률적인 평면유형으로 공급되어지고 있으며, 거주자에 초점을 두어 사용자의 측면에서 평면유형의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본다. 둘째, 최근 다가구주택에 대한 수요의 급격한 증가로 인하여 공급이 급격히 증가되었으며 앞으로의 주택시장 동향과 사회변화를 예측해 볼 때 이러한 변화는 가속화할 수도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이를 위해 적절한 공급과 계획을 위하여 본 연구의 결과에 나타나듯이 지역적 특성과 유형에 따라 수요층의 특성에 맞는 구체적인 계획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다가구주택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본격적으로 실시되기 시작한 시점인 2000년대 이후의 주택유형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방법과 연구대상에 있어 연구자의 주관적 해석과 논의로 인한 다소 한정적인 연구의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를 객관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연구진행을 통해 연구의 기준을 마련하고 확립하여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또한 울산의 전체 지역이 아닌 일부지역만을 대상으로 조사함으로써 연구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점을 가지므로 다양한 지역과 많은 다가구주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 A대학병원 사례를 중심으로

        이미정 울산대학교 경영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국내·외 의료관광 산업의 활성화 정도에 비교하여 전반적으로 부족한 울산지역 의료관광 활성화 방안을 알아보기 위하여 국내 외국인 의료관광 현황, 의료관광의 국내·외 성공사례 및 제약 요인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울산지역 A대학병원의 사례연구를 통하여 해외환자 유치 및 의료관광의 활성화 정도를 알아보고 울산지역 의료관광 전문가 인식을 중심으로 심층 면담을 통해 다양한 논의와 실제적인 제안사항 등을 살펴보고자하였다. 이를 위하여 1차 A대학병원 해외환자 유치 TFT의 자료를 살펴보았고 2차적으로 울산지역 의료관광 전문가의 인식을 중심으로 의료관광의 기반조성정책 및 의료 인프라, 의료 경쟁력, 경쟁력을 위한 제고 방안 등을 심층 면담하여 이를 토대로 PEST, SWOT 분석을 통하여 활성화를 위한 전략 수립을 하였다. 그 결과 A대학병원을 중심으로 외국인을 위한 건강검진 프로그램의 개발 및 다양한 외국인 대상 의료서비스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후 전문 특화 의료서비스 개발과 중국과의 MOU 체결로 A대학병원 중심의 활성화 방안이 울산지역 지자체의 지원과 더불어 전문에이전시 육성, 지자체 차원의 홍보 활동이 이루어진다면 긍정적인 발전이 기대되는 상황으로 나타났다.

      • 가상대학 활성화 방안 : 울산대학교 중심으로

        조상석 울산대학교 정보통신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71

        지식은 보다 나은 생활환경여건과 발전의 원동력으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기 때문에 누구나 지식을 얻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더 나은 지식을 교육받기를 원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는 학습자들에게 보다 쉽고, 보다 많은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들을 모색하게 하였다. 최근 들어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으로 거리와 시간, 그리고 장소에 구애없이 누구나 언제나 어디서나 교육받을 수 있는 가상대학이라는 새로운 개념의 교육방법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논문은 가상대학의 올바른 개념 정립과 현재 국내·외에서 시범운영 및 설립운영 중에 있는 가상대학의 사례를 알아본다. '98년 교육부로부터 가상대학 시범운영 대학으로 지정받아 운영 중인 울산대학교 가상대학이 제대로 활성화되고 있지 못하고 있는 이유 등을 알아보고,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우리 대학 구성원들 모두가 새로운 교육여건의 변화를 보다 능동적으로 수용하고, 새로운 교육환경 변화에 적극 대처하고자 하는 기대에서 시작한다. Since knowledge is considered a dynamic(driving) force in the improvement of living conditions and the qualities of human life, we are constantly trying to obtain more information and quality education. To satisfy people's desire to learn, we have paid much attention to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thods of conveying knowledge and information to learners. Recentl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have made it possible to establish a new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a Cyber University, in which anyone can receive education regardless of time, distance, and place. In this thesis, we have established a proper definition of a Cyber University and examined several local and international Cyber Universities presently in operation or under construction. In particular, we investigated a case of a Cyber University run by the University of Ulsan, which earned permission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to open it in 1998. We examined why the Cyber University at UOU has not been vitalized and suggested possible methods to run it more effectively. This thesis has started in the hopes that all university members in Ulsan will accept the changes in educational conditions and be able to cope with a different educational environment.

      • 울산중구 노인의 자원봉사활동 참여 실태 및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 : 노인일자리,취미활동,평생학습 참여자를 중심으로

        신인숙 울산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ABSTRACT A Study of Volunteer Service Activity by Senior and Solution for Revitalization at Jung-gu, Ulsan Graduate School of Policy of Ulsan University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Shin, In-suk Regarding the volunteer service activity status by seniors, which is the beautiful and healthy feature of old age, and the revitalization solution, the result of study hypothesized and verified is as follows. First, in general, existence of spouse is irrelevant, and those with higher academic ability,“sales/simple job”or“agricultural/forestry/fishery job”, or regular income level were positive in participating the senior volunteer service activity. Second, regarding the correlation with participation of occupation for the aged, instead of those participating in hobbies or lifetime education, those participating the volunteer service activity had higher correlation, which was 66.7%. The rate of response of having positive effect by participating the volunteer service due to high satisfaction level in occupation of the aged was high. Third, participation frequency of hobbies or duration of participation was not related to participation of volunteer service activity, and the rate of response of having positive effect by participating the volunteer service activity due to high satisfaction level in hobby activities was increased. Fourth, frequency and duration of participating lifetime education were not related to participation of volunteer service activity, and there was positive effect on participating volunteer service activity as the satisfaction level of lifetime education led to participate in volunteer service activity. Fifth, the rate of response of having high satisfaction level from current volunteer service activity by the aged is comparatively high, and to participate in the volunteer service activity, followed by the rate of response of“training for volunteer service activity”and“aid for transportation and meal”for participation of volunteer service activity. Moreover, as the duration of participation is longer, the satisfaction level is increased, and since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participation frequency and satisfaction level is 0.71, they show regardful positive correlation. Sixth, as a result of correlation analysis of volunteer service activity, the satisfaction level of occupation of the aged, satisfaction level of hobbies, satisfaction level of lifetime education, and satisfaction level of volunteer service activity show positive correlation. In case of lifetime educ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 is 0.546, which is the most among correlation coefficients of each activity. Therefore, occupation of the aged is the major path to senior volunteer service activity, and senior hobbies and senior lifetime education also show positive effect in participating senior volunteer service activity. This study, thus, suggests that connection between volunteer service and recruitment business by establishing“volunteer service team for each recruitment business for the aged”, agreement with the lifetime education institute,“volunteer service team for study circles”,“senior-friendly policy”,“senior-friendly industry”, volunteer service center, and lifetime double-cropping connection center. 국 문 초 록 본 연구에서 울산 중구의 노인일자리, 취미생활, 평생학습 참여자를 중심으로 건강하고 보람찬 아름다운 노후 모습인 노인자원봉사활동 참여 실태 및 활성화 방안에 대하여 가설 검증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에서 배우자 유무는 의미가 없으며, 교육정도에 대해서는 학력이 높을수록, 과거의 직업은‘판매?노무직’과‘농업?임업?어업’이, 생활수준은 보통이 노인자원봉사활동 참여에 긍정적이었다. 둘째, 노인일자리 참여 여부가 취미활동, 평생학습에 대한 참여 여부보다는 자원봉사 참여 경험에 연관성이 응답자의 66.7% 높은 비율로 나타난다. 노인일자리 사업 만족도가 높을수록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것에 긍정의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취미활동 참여 빈도 또는 참여 기간은 자원봉사활동 참여와 연관성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며 취미활동의 만족도가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것에 긍정의 영향을 미쳤다는 응답 비율은 증가하였다. 넷째, 평생학습 참여 빈도 및 참여 기간은 자원봉사활동 참여와 연관성은 없으며, 평생학습의 만족도가 자원봉사활동 참여를 유도하는 것에 대해서는 자원봉사활동 참여 의향에 긍정의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현재 자원봉사활동을 하는 어르신이 만족스럽다는 응답 비율이 높은 편이고,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기 위하여‘자원봉사에 대한 교육’,‘교통비, 식비 제공’순으로 응답 비율을 나타냈다. 또한 자원봉사 참여기간이 길수록 만족도는 증가하고, 자원봉사 참여 빈도와 만족도 간의 상관계수는 0.71이므로 유의한 양적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자원봉사활동의 상관분석 결과를 보면, 노인일자리 사업 만족도, 취미활동 만족도, 평생학습 만족도와 자원봉사활동 만족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평생학습의 경우 상관계수가 0.546으로 각 활동 분야의 상관계수 가운데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일자리 사업이 노인자원봉사활동을 유도하는 경로로 가장 중요하며, 노인취미생활과 노인평생학습도 노인자원봉사활동 참여 경로와 참여 의향에 모두 긍정의 영향을 보이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이에“노인일자리사업별 자원봉사단”구성 및 운영, 평생학습운영기관과 협약 체결 및“학습동아리별 자원봉사단”조직운영,‘고령친화 정책’과‘고령친화 산업’육성, 자원봉사센터 거점운영 지정과 인생이모작이음센터 개설로 자원봉사와 일자리 사업을 연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연구의 제언을 하였다.

      • 고대 울산중산동세력에 대한 연구

        한미애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ABSTRACT> The study on the ancient force of Jungsan-dong, Ulsan Han Mi Ae Department of History and culture Graduate school Ulsan University That about 70 ‘states’ had been formed in the southern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in the period of Three Hans is verified through the literature record. Among these ‘states’, it is considered that powerful ‘the state of Saro’, ‘the state of Baekje’ and ‘the state of Guya’ grew into Silla, Baekje and Gaya afterward. In the time before the ancient country was formed, various ‘states’ were establishing the systematic relations one another and maintaining the lateral position. However, the force which secured the economic strength by having a grip on the production and controlling the circulation, as suppressing nearby forces and winning the political power, gradually becomes to grow into the potent force. Although various forces which were constituting ‘the state’ could be explained by the unit of settlement, it is difficult to grasp it with the settlement which was investigated till now. Thus, it is thought that through the massive tomb site which was most often confirmed, it could grasp their existence. The tomb site has a very close relevance to the settlement and generally, the tomb site is located in the place which the remains of settlement are confirmed. The remains in Jungsan-dong, Ulsan for which the force of Jungsan-dong, Ulsan created were construc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from the 2nd century to the 7th century A.D. and not only the ancient tomb but also the settlement and the vestige of the production were confirmed diversely. Seeing the facts that remains were formed on a large scale and that it was maintained for a long time, it could be seen as a cultural area which had communal characteristic or as the influential central force in the region. It is considered that by the location in which remains were formed or the aspect that was confirmed through the vestige, the force of Jungsan-dong was the one among the core forces which constituted the state of Saro. The study on the force of Jungsan-dong, Ulsan was carried out with the remains as the center, a study on the burial system which received attention at that time of excavation. It was focused on lightening the origin and the transition of Silla’s burial system which was the one of matters of primary concern for the archeologic academia by analyzing the tomb with coffin that was confirmed in this place. Afterward, the tomb with coffin which was confirmed in Jungsan-dong has been becoming the object of analysis which could not be omitted for the study on the tomb of coffin in Yeongnam region. For the studies which are carried out lately, a fact that takes note of the force of Jungsan-dong that formed the remains is distinguishing. It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taking an interest to the force for the first time, but seeing that it was used attendantly to conduct a study on other forces; it is not that it was covered thoughtfully. For this study, through the remains of Jungsan-dong, Ulsan in the second to seventh century in which the force of Jungsan-dong had been formed and developed, to try to investigate about what the characteristic of force which had lived in this place was and about what relationship they had established with Silla and had grown up is the objects. In the introduction, it notified the critical mind in which became to conduct a study on the force of Jungsan-dong through organizing the history of study and explained the flow for description of thesis. In the second chapter, it examined the topography in which the force of Jungsan-dong had been located and the remains which were confirmed in and around it. In the whole area of Jungsan-dong, as the resources are abundant and the traffic routes of land and sea routes are secured, the transportation of supplies is very advantageous. It is considered that this natural environment had a considerable effect on a thing that the force of Jungsan-dong grew up. Moreover, it could tell that the force of Jungsan-dong made Dalcheon forge which was located in the place that was 4km from Jungsan-dong remains as the base for the growth. And through the force of Hwangseong-dong which was located in the inner part of Gyeongju, it could grasp the relation between two groups. In the third chapter, on the basis of second chapter, it examined about what characteristic the force of Jungsan-dong had and about how the relation between the force of Jungsan-dong and Silla changed with the course of time. As the one of forces which constituted the state of Saro, it was establishing a very close relation with Silla from the early time. As to a thing that strong force appears among regional forces which are the same status and it grows up as the ancient country by consolidating them, the iron has a very important meaning. Jungsan-dong force was a force which produced the iron and furthermore, by using the advantageous traffic routes, they accumulated the wealth through being in control for the circulation of iron. By such a reason, it has the high grade of rank among the forces which constituted the state of Saro. Over the time, as the core force of the state of Saro developed the power and changed to Silla, the force of Jungsan-dong became the object for the management and control by Silla. It is incorporated into the production system for the iron of Silla and seeing that the charcoal kiln with side window is discovered in bulk in Maegok-dong, it produces the iron which is a large amount than before. In the time that the organization of region of Silla is completed afterward, it becomes that the production of iron was transferred to Yangsan region and Jungsan-dong as the production force of iron becomes disappeared. Seeing that in the border spot between Gyeongju and Ulsan, Gwanmunseong is fortified and the remains which have the patriotic characteristic are established, the whole area of Jungsan-dong has the military and defensive characteristics and becomes to play the role as the gateway to Silla. 국 문 요 약 고대 울산중산동세력에 대한 연구 한미애 삼한시대 한반도 남부지방에는 70여개의 ‘국’이 형성되어 있었다는 것을 문헌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들 ‘국’ 중 유력한 ‘사로국(斯盧國)’, ‘백제국(伯濟國)’, ‘구야국(狗倻國)’은 이후 신라, 백제, 가야로 성장한 것으로 보고 있다. 고대국가가 형성되기 이전시기에는 각 ‘국’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수평적인 위치를 유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점차 생산을 장악하고 유통을 통제하여 경제력을 확보한 세력이 주변세력들을 누르고 정치적 권력을 차지하면서 유력세력으로 성장해 나갔다. ‘국’을 구성하고 있는 여러 세력들은 취락단위로 설명할 수 있지만 현재까지 조사된 취락만으로는 파악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가장 많이 확인된 거대한 고분군을 통해서 이들의 존재를 파악할 수 있다고 본다. 고분군은 취락과 매우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으며 취락유적이 확인되는 곳은 대부분 고분군이 위치하고 있다. 울산중산동세력이 조성한 울산중산동유적은 A.D 2~7세기의 오랜 기간에 걸쳐서 축조되었고, 고분뿐만 아니라 취락, 생산유구가 다양하게 확인된다. 대규모로 유적이 형성된 점, 오랜 시간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아 중산동세력은 공동체적 성격을 가지는 하나의 문화권이나 영향력을 가지는 지역 중심 세력으로 볼 수 있다. 유적이 형성된 위치나 유구에서 확인되는 양상으로 보아 중산동세력은 사로국을 구성하고 있는 핵심 세력 중 하나인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까지 울산중산동세력에 대한 연구는 유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는데, 특히 발굴 당시 주목 받았던 묘제에 대한 연구가 주로 진행되었다. 이곳에서 확인된 목곽묘를 분석하여 고고학계의 최대 관심사 중 하나였던 신라묘제의 기원과 변천을 밝히는 것에 초점이 맞추어졌다. 이후 중산동에서 확인된 목곽묘는 영남지역 목곽묘 연구에서 빠질 수 없는 분석 대상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유적을 형성한 중산동세력에 주목한다는 점이 특징이다. 중산동세력에 대해 처음으로 관심을 가졌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다른 세력을 연구하기 위해 부수적으로 활용하였다는 점에서 깊이 있게 다루어 진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중산동세력이 형성되고 발전했던 2~7세기의 울산중산동유적을 통해 이곳에 살고 있던 세력의 성격이 무엇이었는지, 그리고 이들은 신라와 어떤 관계를 맺고 발전해 나갔는지 살피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서론에서는 중산동유적과 세력에 대한 연구사 정리를 통해 중산동세력에 대해 연구하게 된 문제의식을 밝히고, 논문의 서술 흐름에 대해 설명하였다. 2장에서는 중산동세력이 위치하고 있는 곳의 지형과 주변에서 확인된 유적들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중산동일대는 자원이 풍부하고, 육로와 해상과 같은 교통로가 확보되어 있어 물자의 수송이 매우 유리하다. 이러한 자연환경은 중산동세력이 성장하는데 있어 큰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또한 중산동유적과 4km 떨어져 위치하는 달천철장은 중산동세력이 성장기반으로 삼았던 것을 알 수 있다. 경주내부에 위치하는 황성동세력을 통해서는 두 집단의 관련성을 파악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2장을 토대로 중산동세력이 가지는 성격이 무엇이며, 시기가 변함에 따라 중산동세력과 신라와의 관계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살펴보았다. 중산동세력은 사로국을 구성하는 세력 중 하나로 신라와는 이른 시기부터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같은 위계를 가지는 지역 세력들 사이에서 유력세력이 등장하고, 그들을 통합하여 고대국가로 성장함에 있어 철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중산동세력은 철을 생산하는 세력이었고, 또한 유리한 교통로를 이용하여 철 유통을 장악하고 부를 축적하였다. 그런 이유로 중산동세력은 사로국 구성 세력들 중에서도 높은 위계를 가졌다. 시간이 흐르면서 사로국의 중심세력이 힘을 키우게 되고 신라로 변화하면서 중산동세력은 신라의 관리와 통제의 대상이 되었다. 신라의 철 생산체계에 편입되고, 매곡동에서 측구부탄요가 다량 확인되는 것으로 보아 이전 보다 많은 양의 철을 생산했다. 이후 신라의 지방정비가 완료되는 시점에서 철 생산은 밀양이나 양산지역으로 옮겨지게 되고, 철 생산세력으로서 중산동은 없어지게 되었다. 중산동일대는 경주와 울산의 경계지점에 관문성이 축성되고 호국적 성격을 지니는 유적들이 설치되는 것으로 보아 군사?방어적 성격을 가져 신라 관문으로서 역할을 한 것으로 추정된다.

      • 蔚山廣域市敎育廳 行政監査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정병형 蔚山大學校 政策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지방자치제도가 정착되어가고 행정의 기능과 역할이 증대되면서 행정의 양적인 팽창과 질적인 변화로 보다 전문성과 다양성을 요구하게 됨에 따라, 행정활동은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합법성 뿐만 아니라 경제성과 능률성 및 효과성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그 기능을 다양하게 수행하여야 한다. 교육행정도 교육권의 침해를 방지하고 다양한 교육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지방교육행정의 효율적 운영과 시행착오를 예방하고 행정의 책임성을 강화하여야 한다. 이런 측면에서 행정활동의 내부통제방법으로서 교육행정의 본질을 추구하면서 교육의 질적 향상과 행정의 능률성 및 적정성을 유지하는데 자체감사의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교육청이 광역시 승격 이후 5년이 경과하는 시점에서 감사부서의 조직과 행정감사실태를 전반적으로 검토하여 부정부패의 방지, 진실성 및 적정성 비판, 자원의 효율적 사용과 행정 및 회계업무의 개선을 위한 지도, 수행결과 평가에 대한 환류 등 감사의 기능을 적절하게 수행하여 교육행정 본래의 목표를 달성하는데 이바지 하고자, 현행 행정감사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자체감사의 기능을 활성화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연구방법으로는, 교육행정 감사제도의 운영현황과 문제점에 대하여 관련문헌과 선행연구들을 알아보고, 최근 3년간의 울산광역시교육청 감사조직의 구성과 교육목표 달성과 가장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는 지역교육청과 사업소, 고등학교, 특수학교를 대상으로 실시하는 종합감사의 사례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으며, 전·현직 감사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면담을 통하여 행정감사 실태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분석결과 제시된 현행 행정감사의 문제점으로는 첫째, 감사담당공무원의 비전문성 및 선발제도를 들 수 있다. 감사담담공무원 대부분이 장기간 근무하는 사람이 없고, 절대적으로 필요를 느끼는 교육이수가 미진하며, 전문성이 결여되어 있으므로 효과성·능률성보다는 합법성 감사에 치중하고있을 뿐 아니라 감사담당공무원의 선발에 있어서도 전문가나 적격자 선발보다는 순환보직에 의하여 임용하는 경향이 많다. 둘째, 감사인력에 비해 업무량이 과다하고 사기가 저하되어 있다. 외부감사 수감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내부감사의 질을 높이거나 수준 높은 감사를 이행하는데 장애요소가 되고, 주로 상급기관에서 실시하는 외부감사에 대하여 중복감사와 상대적으로 거부감을 느끼는 등으로 인하여 사기가 저하되어 있다. 셋째, 감사실시와 결과처분에 있어서 공정성과 엄정성이 결여되어 있다. 조직내부에서 감사자의 신분상 보장이나 감사자 자신의 의식구조에 의하여 전례답습적인 업무처리로 공정성과 엄정성 결여된 부분이 많다.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제시된 개선방안으로는, 첫째, 감사담당공무원의 능력을 향상시켜야 한다. 장기근무를 위한 전보제한기간을 준수하고, 교육훈련을 강화하여 우수한 공무원을 확보하여야 한다. 감사담당공무원의 임용방법을 개선하여 자격증소지자, 관련학과 출신자 선발 등과 감사직렬을 신설하거나 광역단위 지역감사기구를 설치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둘째, 확고한 감사기반 조성이 필요하다. 외부감사로부터 부담을 덜기 위하여는 내부감사의 신뢰성을 높이고 수준을 향상시켜 외부감사기관 스스로가 자체감사기구에 의존하도록 기반을 조성하여야 한다. 셋째, 감사결과의 철저한 관리가 있어야 한다. 감사결과처분에 대하여 수시로 홍보하여 인식을 제고 시키고, 동일한 사안이 재발하여 지적되지 않도록 수감실적을 누진적으로 관리하는 등 감사실시 결과처분에 대하여 철저한 관리가 필요한 것이다. 결론적으로, 오늘날의 감사기능은 주요시책이나 사업의 효율성까지도 감사하여 합리적 대안을 제시하는 등 발전적이고 적극적인 현대적 의미의 감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감사담당공무원의 감사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확고한 자체감사 기반을 조성하며 감사실시 결과의 사후관리에 철저를 기하여, 교육현장에서의 학교수업이 가장 바람직한 방법으로 나아가게 함으로써 궁극적인 교육목표가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이 분야에 대한 관심과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마지막으로 시간적, 경제적 제약으로 울산광역시교육청 행정감사에 국한하여 최근 3년간의 종합감사 실적과 전·현직 감사담당공무원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면접조사를 근거로 제시한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한계가 있음을 밝힌다. As the local governance has been established and the functions of administration have increased, administration, which is expanding quantitatively and changing qualitatively, stands in need of professionalism and diversification. Therefore, the administrative activities should be positive and perform various functions legitimately to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and justice. Educational administration should be focused on efficient management of the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rough trial and error, and the strong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should be taken to impede infringement of education right and meet the various educational needs. In this respect, self-audit & inspection as a method of internal control is required to pursue the essenc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keep administrative efficiency and accountability. This research is focused on reviewing the structure of audit &inspection department and the status of administrative inspection since Ulsan was elevated to Metropolitan City five years ago.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activating the functions of self-inspection by means of recognizing problems of the current administrative inspection and presenting improvement plans, which contribute to attaining the go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through prevention of corruption, criticism against its authenticity and feasibility, guidance about efficient resource use and audit, and feedback on the performance results. Research methods used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is study reviews the materials and precedented investigations on the conditions and problems of inspection systems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then, it analyzes the comprehensive cases of audit & inspection implemented in the local educational offices, high schools, and special schools which have been closely related to organizing inspection structure and accomplishing the educational goal of Ulsa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in the last three years. Finally, through the interview with the former and current officials in charge of audit & inspection, it also examines their perceptions and opinions about the problems of and remedies for the current administative audit & inspection systems and procedures. The study found the following problems of the current administrative inspection. First, inspection officials are not enough professional and the appointing system is inadequate. Most of the inspection officials are in short-term service and lack in professionalism due to the insufficient training opportunities. Therefore, inspection is only based on its legitimacy, not on its utility and efficiency, and the inspection officials tend to be appointed to the position on a recurrent basis, disregarding their professionalism or eligibility. Second, the officials have too much work to do and their morale has been lowered. This is because they spend long time on external inspection, lack time to improve the quality of internal inspection or implement high-quality inspection, and even feel uncomfortable with external inspection by upper-level organizations. Third, the implementation processes and results of inspection are absent in impartiality and strictness. It is because inspectors' positions are not guaranteed and their own consciousness does not get out of precedented methods of job execution. The remedies or improvement plans for these problem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nspection officials' competence should be improved. Competent officials should not be transferred during their fixed contract term for long service and should be appointed through the consolidated training. Diversified efforts to gain better appointment methods are necessary. Second, it is necessary to place inspection systems on a solid basis. To lighten the burden of external inspection, increased reliability and quality are required, which makes external inspection organization depend on self-inspection. Third, the results of inspection should be thoroughly handled. It means the feedbacks of inspection are reported as often as possible to make them recognized and handled continuously not to repeat the same matters. Findings support the conclusion that the function of audit & inspection, today, needs to be developed to propose reasonable alternative plans by effectively inspecting the task efficiency or even major policy procedures. To do this, consistent interests and additional research are required to efficiently accomplish the educational goals by means of improving inspection officials' competence and professionalism, placing self-inspection on a firm basis, and directing school education to the best way. Nonetheless, limitations may exist in the generalizability of the empirical results, due to the limited size of date and sampling methods.

      •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의 공간구조변화에 관한 연구 : 일제강점기를 중심으로

        김종기 울산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경상좌도 병마절도사’가 머물렀던 성이기 때문에 조선시대까지의 공식적인 명칭은 ‘경상좌도병마절도사영성’이지만 현재 사적 제320호로 지정된 공식 명칭이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으로 되어 있어 이를 따랐음.(문화재청에서 사용해 오던 공식 명칭은 ‘울산 병영성’이었으나 2011년 7월 28일 수정고시) 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의 전통적 성곽도시가 일제강점기를 거치면서 어떤 변화과정을 거치게 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은 성벽을 제외한 대부분의 역사적 흔적은 사라져 버렸지만 한국의 전통적 성곽도시의 하나로서 지금까지 도시공간 속에서 그 명맥을 유지해 오고 있다. 이에 도시기능의 계승과 단절이라는 관점에서 성곽도시의 공간구조적 변화특성을 규명하는 의의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한국의 지방도시는 1392년 개국한 조선왕조에 의해 약 500년간 지배를 받으면서 읍성과 같은 하나의 고유한 성곽도시유형을 정착시켰다. 하지만 20세기에 들어 일본제국에 의한 식민지 지배를 거치면서 우리의 고유한 성곽도시는 크게 왜곡되었다. 기존의 도시를 감싸고 있던 성곽들이 차례로 철거되는가 하면 도시기능의 재편으로 도시기능이 계승된 곳과 단절된 곳이 생겨나게 되었다. 일부의 읍치는 객사와 동헌이라고 하는 기존의 중심시설들이 군청과 학교, 경찰서 등으로 전환되면서 지역의 중심지로서의 도시기능을 그대로 계승하여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군청 등이 설치되지 않은 읍치는 기존의 도시기능의 상실로 중심지로서의 기능을 잃어갔다. 하지만 이처럼 도시기능이 단절된 도시부에 해당하면서도 성벽이 남아있는 곳이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이다. 이와 같이 군청 소재지로 전환되지는 않았지만 지금까지 과거의 성벽이 잔존하고 있는 울산 경상좌도병영성을 대상으로 하여 군사중심 성곽도시의 공간구조적 특징과 그 속에 내재된 사회적 속성을 규명함으로써 일본 제국에 의한 식민지 지배가 한국의 전통도시에 끼친 영향을 보다 분명히 밝힐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의 구성 및 고찰 내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제1장에서는 조선시대 병영성의 개요에 대해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조선시대의 지리지와 당시의 지도를 분석하여 팔도에 분포하였던 병영이 가진 일반적 공간구조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울산 병영성에 대해서는 각종 지도자료들과 함께 고고학적 조사결과들을 종합분석하여 조선시대의 울산 병영성의 공간구조를 규명하였다. 제2장에서는 공공시설과 성벽, 도로 등과 같은 도시시설을 중심으로 전통적 성곽도시인 울산 병영성이 근대 도시로 변화되어 가는 과정에 나타나는 공간구조적 특징을 규명하였다. 즉, 조선시대에 울산 병영성의 가장 중심되는 시설이었던 객사가 초등학교로 전용되었다가 1930년 이후 일본식 교사로 대체되면서 사라져 가는 과정과 객사 주변에 집중되어 있던 각종 관청들이 사라져 가는 과정을 규명하였다. 뿐만 아니라 병영성을 남북으로 가로지르는 삼일로가 1924년 개설된 이후 1980년대까지 이 지역에 대한 도로확충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는 도시기반시설의 확충이라고 하는 관점에서 울산 병영성이 완전히 소외되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병영성의 성벽은 방치에 가까울 정도로 관리의 대상이 되지 않았던 것이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성벽이 남을 수 있었던 배경에는 지역 주민들의 보존의지가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추정된다. 다음으로 제3장에서는 1912년 제작된 토지대장과 지적도를 사용하여 병영성의 물리적 공간 속성과 함께 사회적 공간 속성인 토지이용의 변화특성을 규명하였다. 우리나라의 전통적 지도들을 살펴보면 객사 및 성곽 등과 같은 주요 도시시설들과 교통로, 주변 자연환경의 관계를 중심으로 표현하고 있어 민가들을 포함한 이른바 시가지의 구체적 공간구조를 파악하는데 한계가 있다. 우리나라에서 (비록 목측(目測)이기는 하지만) 측량이라고 하는 근대적 수법을 사용하여 지도를 처음 제작한 것은 1895년 무렵 일본의 육지측량부가 비밀리에 제작한 약도로 1/50,000 스케일의 지형도 현재 일본 국회도서관에 소장되어 일반 공개 하고 있음. 가 있으며 이후 주요 도시부에 대해 추가적으로 1/10,000 지형도를 제작하고 있어 대략적이나마 당시의 시가지 공간구조를 전해주고 있다. 하지만 지적원도의 경우 1/1,200로 제작되었을 뿐만 아니라 지목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지금 현재로서는 1900년대 초의 도시공간구조를 가장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현재 도시역사 연구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사정시점이라고 하는 정지된 시점의 공간구조만이 확인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990년대까지 사용된 이후 보관되고 있는 폐쇄지적도와 더불어 토지대장을 함께 분석에 사용함으로써 사정시점의 공간구조가 이후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토지대장 상에는 지목과 지적이라고 하는 물리적 속성과 함께 지가와 소유자라고 하는 사회적 속성까지도 함께 기록되어 있어 이를 분석하여 병영성의 토지이용상의 변화특성을 규명할 수 있었다. 병영성의 성벽은 지금까지도 비교적 잘 남아 있고, 객사터 또한 병영초등학교 부지로 사용되고 있어 그 위치를 찾는데 어려움은 없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자료만으로는 객사 이외의 관청시설들은 위치조차 확인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통해 1912년에 작성된 지적원도와 토지대장의 내용을 조선시대의 각종 자료와 함께 분석한 결과 객사를 중심으로 남쪽과 서쪽에 관청과 공방들이 집중하였던 가구(街區)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이후 도시기능이 단절된 병영성에서 이들 관청이 입지해 있던 필지는 민간에게 불하되면서 대지에서 경작지로 전환되는 등 이른바 역도시화가 진행되고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제 4장에서는 울산읍성에 대한 선행연구 성과를 최대한 활용하여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병영성의 공간구조적 특성을 비교분석하여 조선시대까지는 유사한 공간구조적 성격을 가졌던 읍성과 병영성이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어떤 차이를 드러내게 되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앞서도 언급하였듯이 읍성의 경우 각종 행정시설이 가지고 있던 기능이 일제 강점기에도 거의 그대로 계승되어 군청이나 경찰서 등과 같은 식민지 지배 시설로 전환되었다. 이러한 도시기능의 계승은 농경지가 감소되고 대지가 증가하는 현상, 필지가 세분화되어 가는 현상 등을 유발하여 이른바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에 비해 도시기능이 단절된 병영성은 과거의 관청들이 위치해 있던 필지가 민간인에게 불하되면서 적지 않은 면적이 농경지로 전환되었다. 뿐만 아니라 과거 군사용으로 사용되었던 성벽 주변의 공지들도 농경지로 전용되다가 차츰 민간인들에게 불하되어 가는 등 지역 전반에 걸쳐 대지가 감소하고 농경지가 증가하는 이른바 역도시화가 진행되고 있었다.

      • 생태도시 조성방안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북구를 중심으로

        박상우 울산대학교 정책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산업도시 울산이 친환경적인 생태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울산은 과거 60~70년대 산업화 과정을 거치면서 물질적인 풍요를 얻었으나 환경파괴로 인해 점차 도시의 생명력을 잃어가고 있다. 울산시는 인간과 자연의 공생을 통해 ‘생태도시 울산’을 선언하고 그간의 개발중심의 도시행정에서 벗어나 도시 전반에 생태적 개념을 도입, 친환경적 도시조성을 위한 첫발을 내딛게 되었다. 이를 위해 울산은 산업화의 부작용을 치유하고 자연과 인간의 공존을 통한 지속 가능한 도시로의 발전을 위한 ‘생태도시 울산계획’을 수립하였다. 생태도시 울산계획은 3대 기본개념으로 청정환경 중시형 도시, 자연생태계 보존, 복원도시, 지속 가능한 생태도시를 제시하고, 중점 추진방안으로는 청정한 생활환경개선과 녹지공간확보, 자연생태계 보전. 복원 및 생태공간 창출, 친환경적인 교통시스템 도입, 시민환경의식 고취, 공해도시 이미지 개선 등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생태도시 울산계획의 조성전략 중, 울산 북구의 도시 실정에 맞는 생태도시 조성방안으로, 무룡산 산림공원화 사업, 강동해안 가꾸기 사업, 자전거 전용도로 개설공사, 하천정비 및 복구공사, 금천 아름마을 가꾸기 사업, 내수면 수산자원 연구소 및 생태자연 학습원 건립계획을 중점적으로 검토하였으며, 울산에 적용가능한 국내외 우수 사례도 벤치마킹 하였다. 특히 울산북구는 타 구·군에 비하여 후발지역이 많고 개발유보지역이 많은 까닭에 개발의 압력이나 수준이 다른 구·군과는 다른 곳으로서 생태적 도시행정 마인드가 유달리 강조되어야 할 곳이다. 생태도시 조성을 위한 개선방안으로 정책적, 제도적, 기술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고, 그 실천적 과제로서 자연생태의 원형성 파악, 광역자연생태 시스템의 구축, 하천환경의 원형적 파악 및 생태복원, 문화적 원형성 파악, 실천적 제도의 정비와 지원 등을 제시하였다. 결국 지속가능 한 개발과 생태학적 도시개발의 가능성을 극대하기 위해서는 첫째, 자연과 생태계 보전이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새로운 토지이용 질서의 구축과 함께 낭비적인 투자지출요인을 방지하여야 할 것이고, 둘째, 자연성을 선호하는 주민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친자연적인 공간을 확보하여 어린이 교육과 인간의 정서순화에도 기여토록 하며, 셋째, 특히 울산 북구에서 활발한 신규개발을 생태적으로 건전하게 유도하고 개발주체와 기업 등이 스스로 생태의 중요성을 인식케 하여 친환경적인 사업이 추진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도 생태도시 조성을 위해서는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장의 확고하고 일관성 있는 정책의지가 가장 중요하고, 관련 지방 공무원, 지역주민 및 대표들의 생태적 마인드를 고양시키는 것이 급선무로서 지속성과 일관성의 유지가 가장 중요하다. 사실상 생태도시의 실천은 사람의 문제이지 제도나 재정의 문제만이 아니다. 생태도시는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그리고 지역주민들이 보다 많은 관심을 갖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아가야 할 과제로서, 성공적인 생태도시를 위해서는 기존도시의 생태적 한계를 정확히 파악하고 목표를 갖고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또한 생태도시라는 새로운 개념의 도시 창출은 지속적인 연구를 토대로 개념을 정립하고 이를 통해서 진정한 생태도시의 창출이 이루어 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olutions for industrial city Ulsan to be reborn as an Ecopolis. Ulsan has achieved a certain level of material wealth through industrialization in the 60's and 70's. However, Ulsan is losing its power of life owing to environmental destructions. The Ulsan metropolitan city government announced the vision of "Ecopolis Ulsan" where humans and nature peacefully live together. They decided to escape from the old development-oriented municipal administration, and introduce ecological concepts to the city in general, thus making the first step to building an environment-friendly city. Accordingly, Ulsan established "Ecopolis Ulsan plan" by curing the ill effects of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ing into a sustainable city through the co-existence of nature and humans. The Ecopolis Ulsan plan presented the 3 basic concepts consisting of clean environment oriented city, ecosystem preserving and restoring city, and sustainable ecological city. For key implementation methods, they selected: acquisition of clean living environment and green space; preservation and restoration of ecosystem, and creation of ecologic space; introduction of environment-friendly transportation system; instillation of environmental consciousness among citizens; and improvement of the polluted city image. This study examined specifically the plans appropriate for the actual situations of Ulsan Buk-gu, i.e., Muryong Mountain forest park project, Gangdong coast cultivation project, dedicated bicycle road construction, river improvement and restoration construction, Geumcheon Arum-village cultivation project, Naesumyeon marine resources research institute and ecosystem learning center building plan, and also benchmark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best practices that can be applied to Ulsan. In particular, because there are many areas in Ulsan Buk-gu that fall behind other districts and development-reserved areas, the pressure for development is stronger than other districts. Therefore, much more emphasis on ecological municipal administration is rquired. In this study, I presented the methods for building an ecopolis, from the aspects of policy, system and technology. As practical issues, I suggested: identification of the ecological prototype, construction of a wide ecosystem, identification of the prototype of river environment and restoration of ecosystem, identification of cultural prototype, and improvement and support of practical systems. In conclusion, in order to maximize the possibil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copolis: First, we should build a new order of land utilization in which the preservation of nature and ecosystem takes precedence, and at the same time prevent causes for extravagant investments; Second, we should secure nature-friendly space that can respond to the needs of residents who prefer nature and contribute to the education of children and refinement of human emotion; Third, especially in Ulsan Buk-gu, we should encourage ecologically wholesome development, and allow the developers and companies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cosystem on their own so that environment-friendly projects can be promoted. In order to make an ecopolis, above all, the intention of the head of self-governing body to drive firm and consistent policies is most important, and it is urgent to enhance the ecological mind of the public sectors, local residents and their representatives. Persistence and consistency are the key. In fact, the building of an ecopolis depends on residents, and not on policies or finance. Making an ecopolis is a project that must be persistently developed by the central and regional governments and residents with more interest. To succeed in making an ecopolis, we should clearly understand the ecological limits of the existing city, and continuously promote it with concrete goals. Furthermore, we should clarify the concepts of the ecopolis based on the continuous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