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恨)' 에 대한 신학적 고찰 : 민중신학과 영산신학에 나타난 기독교적 '한(恨)'의 구조와 특징을 중심으로

        정호준 한세대학교 영산신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한에 대한 연구는 그 시기에 따라 1970년대부터 각 시기별로 구분할 수 있다. 1970년대에 와서 군사정권에 대한 민중운동이 일어나면서 민중과 한의 개념이 급부상한 한 연구의 태동기이다. 인문학적인 한론은 한의 다정다감한 정감의 측면과 간절한 소원의 측면에 주목한 정한론과 원한론이 있으며 민중론적 한론은 한을 사회개혁의 에너지로 보았다. 1980년대에는 민주화운동의 시대로서, 한 연구의 전개기이다. 인문학적 한론에서 한맺힘과 한풀이를 이원대칭적 구조로 본다. 민중론적 한론은 개념의 발전을 많이 이루지 못했다. 1990년대는 87년 6월항쟁으로 정권이 민주적으로 교체되었고, 91년 소련의 몰락으로 냉전시대가 지나가면서 이데올로기 대립의 시대는 지나간 시기로서, 한 연구의 결실기이다. 인문학적 한론에서는 삭임의 기능을 가진 일원론적 한이 연구되었고, 심리학적 한론에서는 정동, 정조, 성격특질이란 심리학적 개념으로 한을 설명했다. 정신병리학적 한론에서는 한이 방어기제적인 특징을 지니고, 신체적 증상을 유도한다고 보았다. 상담학적 한론에서는 한을 치유해야할 마음의 상처, 관계의 깨어짐등으로 이해하였다. 2000년대 들어와서 90년대 이루어진 연구들을 토대로 여러 학문과 교류하며 한의 연구가 확장된 한 연구의 확장기이다. 이는 심리학, 정서심리학, 신학등 90년대의 논의들을 계승, 발전시킨 연구들이라 할 수 있다. 한의 속성에 대한 질문은 “감정인가?, 부정적인가?, 에너지인가?, 한국적인 것인가? 집단적으로 해소되는가?” 라는 다섯 가지 질문으로 정리할 수 있다. 한의 해소는 크게 외적인 방법, 내적인 방법, 초월적인 방법의 세 가지로 구분된다. 외적인 해소는 직접적인 해소로 한을 유발한 원인과 상황이 종결되는 종한(終恨)이라고 볼 수 있는데, 그것은 일순간에 이루어지는 일회적인 것이고 직선적인 성격을 띄며 종한의 구조는 다시 반복할 수 있는 반복성을 가진다. 내적인 해소는 간접적인 해소로 개인적인 해한과 집단적인 해한으로 구분된다. 집단적인 해한은 한국 전통가운데 놀이와 예술, 종교 -탈춤, 판소리, 굿- 세 가지 모습으로 이루어졌다. 해한은 민중들, 상황, 매개자, 작품이라는 네 가지 요소로 이루어지며 과정가운데 신명이 나타난다. 해한은 공동체적으로 풀어낼 때 더 효과를 발휘하며, 순환적이고 반복적인 속성을 가진다. 초월적 해소는 한의 순환의 고리를 뛰어넘는 승한(昇恨)의 과정이다. 이것은 각 종교가 추구하는 구원과도 같은 것이다. 한은 감정이나 에너지도 아니다. 부정적이지도 긍정적이지도 않다. 그것은 어떻게 발전되느냐에 따라 긍정적이기도 하고 부정적이기도 한 정서적 머묾의 상태이다. 한이란 ‘인간이 처한 대립적, 역설적, 모순적 상황에 대하여 인간 본연이 가지는 마음의 반응 상태’를 말한다. 한은 다섯 가지의 특성을 지닌다. 첫째, 한은 저절로 생성되며 움직이려는 속성을 지닌다(유동성). 둘째, 한은 아래로 흐르는 특징을 가진다(하향성). 셋째, 한은 풀이를 통해 위로 끌어올릴 수 있다.(풀이성) 넷째, 움직이려는 한의 속성은 움직이지 못할 때, 응축된 에너지로 드러난다.(응축성), 다섯째, 한의 구조속에서 풀이와 하향의 반복은 계속된다(반복성). 천이두와의 차이점으로는 한의 정의가 다르고, 한을 푸는 행위의 주체성이 다르다. 삭임의 과정도 다르게 이해되는데, 천이두의 삭임은 침전의 과정이라면, 기독교적 한의 한풀이는 흘러넘침의 과정이다. 천이두는 한을 구조적으로 초월해서 해결하고자 할 때, 부정적 한의 개념인 체념에서 시작하지만 기독교는 간절한 소망이 초월의 실마리가 된다. 민중신학과 영산신학은 한을 다룬 한국의 대표적인 신학이다. 민중신학은 ‘실천의 신학’으로서 체제와 교리에 반대하는 반정통신학의 특징을 가진다. 서구적 주객도식을 반대하고 구원자와 구원받는 이가 하나인 민중구원론을 주장한다. 또한 반자본주의적 특징을 가지고 있다. 민중신학은 죄를 기득권층이 약자를 억압하는 개념으로 보고 민중의 한을 억압된 감정, 사회개혁의 에너지로 보았다. 한의 해결은 단으로 해결되는데, 단은 한의 보복적인 악순환을 막고 한의 에너지를 키워서 한의 절대적 해소를 성취하자는 개념이다. 한의 구조에서 살펴볼 때 민중신학은 해한의 요소가 부족하였다. 자력적인 종한을 강조했으며, 실천과 사회정치적 참여를 시도했다. 그리고 승한의 요소는 결여되었다. 영산신학은 영산 조용기 목사의 신학이다. 영산신학은 ‘체험의 신학’으로 오순절신학과 희망신학의 두 가지 특징을 가진다. 오순절신학은 성령충만과 방언의 체험을 강조하고 신유를 강조하는 신학이다. 희망신학은 삼중축복을 강조하며 믿음과 희망을 강조하고 소그룹적 목회를 지향한다. 영산은 한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언급하지 않았지만, 그의 목회는 한의 상황에서 시작한 목회였으며 그는 한을 긍정적 해결태인 소망을 희망이라는 말로 표현했다. 그의 설교와 목회적 특징은 해한적인 요소가 매우 강하다. 첫째로 입술을 사용한 개인적 한풀이의 기도와 말의 강조이다. 부르짖는 통성기도를 통해 개인은 해한 가운데 신명을 경험한다. 둘째는 공동체적 한풀이로서의 예배형식이다. 예배때의 합심기도와 아멘으로의 화답, 박수치는 찬양을 통해서 사람들은 공동체적 일체감을 느낀다. 셋째, 삼중축복의 강조는 종한으로서의 한의 해소를 지향한다. 한의 구조에서 살펴볼 때 영산신학은 해한의 요소가 강조되었다. 해한은 민중의 욕구를 충족해주었고, 교회는 폭발적으로 성장했다. 종한의 요소도 강조되는데, 민중신학과는 달리 종한의 요소를 통해 하나님에 대한 체험이 강조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지나친 종한의 강조와 승한의 결여는 종한을 얻지 못한 사람들을 소외시키고 말았다.

      •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IT GOVERNANCE : Case Study : INTERNATIONAL WOMEN UNIVERSITY

        누그로호 위드얀토 영산대학교 공과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07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IT 기술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IT 기술의 활용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IT 관리와 구조가 요구된다. IT 거버넌스는 IT의 가치를 최대화하고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직이 IT 정보를 제어하고 각 비즈니스가 가지는 목표와 IT 정보기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사례로 적용된 인도네시아 국제 여자 대학교는 정보 기술이 적용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지원하지만,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 시스템을 구현할 때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되었다. 이 대학은 대학에서 소유한 정보기술 자원의 효율성을 최대화시킬 수 없었으며, IT 시스템 내의 대학 경영 정책은 불일치하였으며 정보 시스템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대학은 IT 거버넌스를 구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없었기 때문에, IT 정보 시스템의 제어와 모니터링은 거의 이루어질 수 없었다. IT 거버넌스 문제에 대한 잠재적인 해결책과 정보시스템의 평가 도구로 COBIT 4.1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COBIT 4.1을 사용하여 IT 거버넌스 평가를 할 때, “IT 목표 식별하기”, “IT 프로세스 식별하기”, “제어 목표 식별하기”, “성숙도 레벨 평가하기” 단계를 따른다. COBIT 4.1의 평가 결과로 국제 여자 대학교에서는 10개의 IT 프로세스가 발견되었다. 성숙도 레벨은 레벨 2 반복이지만, 예측되는 성숙도는 레벨 3 정의이다. 국제여자 대학교는 IT 거버넌스를 더 잘 하기 위해, 내부 통제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The utilization of IT has become an important need for the organization because it can help the organizatio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business processes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o this, good IT management and structure are required so that IT will be able to support organization in the achievement of its objectives. IT governance can help the organization to control IT and link it with business objectives while maximizing the value of IT and minimizing the associated risks. International Women University is an university whose business process is supported by IT. But some problem were found in implementing information systems. The university is still not able to maximize their IT resources that they have. Inconsistency management policy of the university in IT system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system has not been done. Po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of the IT system of the university because the university does not have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IT governance. COBIT 4.1 frameworks will be used to make an evaluation and give the recommendation of a potential solution for IT governance problem. There are 4 stages in evaluation IT governance using COBIT 4.1 as follows: identification IT goals, identification IT process, identification control objectives, and assessing maturity level. The result show that only 10 IT processes were initialized in International Women University and the current maturity level is at level 2 Repeatable but Intuitive and for expected maturity level is at level 3 defined. Management of International Women University must give more attention to internal control so will be able to create information technology governance better.

      • 아웃바운드 여행객의 카지노 이용 의도에 대한 선행요인과 제약요인

        장인선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아웃바운드 여행객의 카지노 이용 의도에 대한 선행요인과 제약요인 장 인 선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호텔관광경영학과 지도교수 오 창 호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해외 방문 관광객 수는 팬데믹 이전의 수준으로 회복되기 시작했다. 이에 따라 인접 국가들은 카지노 산업의 확장을 지속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연구Ⅰ에서 카지노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 인을 탐색하고, 연구Ⅱ에서 카지노 이용 의도에 대한 제약요인을 규명하였다. 구체 적으로 연구Ⅰ에서는 게임에 대한 태도, 긍정적 기대 정서, 부정적 기대 정서, 주관 적 규범, 지각된 행동 통제, 욕망, 과거 방문 빈도, 카지노 게임 사전지식, 카지노 재방문의도 간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Ⅱ에서는 내재적 제약, 대인 관계 제 약, 구조적 제약이 카지노 방문 여부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카지노 산업 시스템 발전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엠브레인 패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 다. 구체적으로 연구Ⅰ에서는 최근 3년 이내에 해외여행 경험과 동시에 카지노를 방문한 경험이 있는 개인 300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연구Ⅱ에서는 최근 3년 이 내에 해외여행은 경험 했지만 카지노 방문 경험이 없는 개인 300명의 데이터를 추 가로 수집하였다. 최종적으로, 연구Ⅰ에서는 254개의 유효표본이 사용되었고, 연구 Ⅱ에서는 501개의 유효표본이 사용되었다. 구조방정식 모델과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주요 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Ⅰ에서는 첫째, 긍정적 기대 정서, 부정적 기대 정서, 주관적 규범은 욕망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 였다. 반면, 게임에 대한 태도와 지각된 행동 통제는 욕망에 정적 또는 부적 영향을 미치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과거 방문 빈도, 카지노 게임 사전지식, 욕망, 지각된 행동 통제는 카지노 재방문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 쳤으나, 과거 방문 빈도와 카지노 게임 사전지식이 욕망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았다. 연구Ⅱ에서는 내재적 제약, 대인관계 제약, 구조적 제약이 카 지노 방문 여부에 부의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목표지향적 행동모델과 여가제약모델을 카지 노 산업으로 확장과 관련한 이론적 시사점과 해외 여행객들의 카지노 이용률 제고 를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카지노 방문객의 행동을 이해 하고 이를 통해 카지노 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한다. 핵심어 : 아웃바운드 여행객, 카지노, 이용 의도, 목표지향적 행동모델, 여가제약모델 Antecedents and Constraints of Outbound Tourists’ Intention to Use Casinos Jang, In Sun Department of Hotel, Restaurant, and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Youngsan University Advisor: Oh, Chang ho Since the COVID-19 pandemic, the number of outbound travelers has begun to recover to the levels in the pre-pandemic. Accordingly, neighboring countries continue to expand their casino business. Based on this industrial backgrou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have two folds: (1) Study I investigates the relationships between attitudes toward casino games, positive anticipated emotions, negative anticipated emotions,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desire, frequency of past visits, prior knowledge of casino games, and the intention to revisit casinos (2) Study II examines the effects of intrinsic, interpersonal, and structural constraints on casino visit intention. This study collected data through an online panel survey conducted by Embrain. Specifically, Study I employed 254 valid samples from 300 individuals who had both traveled abroad and visited a casino within the past three years, while Study II utilized 501 valid data which consists of data in Study I and an additional 247 individuals who had traveled abroad but had not visited a casino within the past three years.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logit regression analysis resulted in the following findings: In Study I, positive anticipated emotions, negative anticipated emotions, and subjective norms had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desire. In contrast, attitudes toward casino games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on desire, but these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Additionally, the frequency of past visits, prior knowledge of casino games, desire,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the intention to revisit casinos. However, the effects of the frequency of past visits and prior knowledge of casino games on desire were not significant. In Study II, intrinsic, interpersonal, and structural constraints negatively and significantly affected the intention to visit casino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current study provides theoretical implications by extending both models of goal-directed behavior and leisure constraints to the casino industry. This study also sugges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increasing casino utilization among outbound tourists. Furthermore, the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behavior of casino visitors and exploring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es for the casino industry. Keywords: outbound travelers, casino, intention to us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model of leisure constraints

      • 국내 대학의 아시아 조리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 태국․ 베트남․ 인도 요리를 중심으로

        신유진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아시아요리 수요에 따른 4년제 대학교 조리 관련 학과 교육과정을 개발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진행을 위해, 국내의 아시안 레스토랑 현황을 조사한 뒤 조리 관련 학과가 있는 4년제 대학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조리학과 학생들의 아시아 조리 교육수요를 설문조사하였다. 결과에 따르면, 첫째, 44.7%의 응답자가 국내 아시아조리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교육기관이 없다는 점을 지적했다. 또한 70%의 응답자는 4년제 대학에 아시아조리 교육과정 설립을 원했다. 둘째, 40.7%의 응답자는 아시아 조리 교육기관에서 전문적인 강사 및 교수를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의외로 많은 사람들이 조리과학, 음식재료학, 식문화 등과 같은 조리이론과목에 관심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아시아 조리학이 국내에서 하나의 학문으로 자리 잡기 위해서는 국제화시대에 맞는 전문 인력양성을 위하여 전문적이고 세분화된 교육과정 도입 뿐 만 아니라 전문적인 강사 및 교수를 확보하여야 할 것이다.

      • 유니크 베뉴(Unique Venue)의 장소성과 MICE 행사 평가에 관한 연구

        신민화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607

        유니크 베뉴(Unique Venue)의 장소성과 MICE 행사 평가에 관한 연구 신 민 화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호텔관광경영학과 지도교수 오 창 호 본 연구는 MICE 행사 참가자의 유니크 베뉴의 장소성과 MICE 행사 평가에 관한 연구로 베뉴 특성(유니크 베뉴/ 일반 베뉴)과 베뉴의 개회 행사 및 프로그램과 MICE 행사내용의 유사성에 따라 4개 집단을 분류하여 시나리오 분석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유니크 베뉴의 장소성을 장소적 속성과 개인적 속성의 하원 차원으로 분류하였으며, MICE 행사 평가는 MICE 행사에 대한 기대감과 행동의도의 두 가지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유니크 베뉴의 장소성을 장소적 속성과 개인적 속성의 하원 차원으로 분류하였으며, MICE 행사 평가는 MICE 행사에 대한 기대감과 행동의도의 두 가지 차원으로 분석하였다. 유니크 베뉴와 일반 베뉴의 장소성에 따른 MICE 행사 평가에 대한 분석 결과, 유니크 베뉴와 일반 베뉴의 장소적 속성과 개인적 속성 모두 MICE 행사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유니크 베뉴의 경우 일반 베뉴 보다 장소적 속성이 MICE 행사 평가에 주는 영향력이 큰 반면, 일반 베뉴는 유니크 베뉴 보다 개인적 속성이 MICE 행사 평가에 주는 영향력이 높았다. MICE 행사 평가에 대한 유니크 베뉴의 성격과 MICE 행사 유사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한 결과, 유니크 베뉴의 성격과 MICE 행사 유사성은 유니크 베뉴의 장소성과 MICE 행사 평가에 조절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니크 베뉴와 MICE 행사 내용의 유사성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간 장소성이 유니크 베뉴에서 개최되는 행사 평가에 주는 영향력 차이에 대한 추가 연구결과, 유사성이 높은 집단이 유사성이 낮은 집단 보다 장소적 특성과 행동의도 관계를 제외한 나머지 관계의 영향력이 더 높게 나타나 장소성이 MICE 행사 평가에 주는 영향력은 유니크 베뉴의 성격과 MICE 행사의 유사성이 높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기존 유니크 베뉴의 참가자 관련 연구는 행사 주최자를 대상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본 연구는 MICE 행사 참가자를 통해 유니크 베뉴의 장소성에 대한 영향력을 도출하였으므로 학문적 시사점과 함께 MICE 산업 관련 정책기관과 이해관계자에게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핵심어 : 유니크 베뉴, 스폐셜베뉴, 베뉴, 장소감, 장소성, MICE 행사, MICE 산업, 기대감, 행동의도 A Study of Unique Venue Placeness and MICE Event Evaluation Shin, Min Hwa Department of Hotel, Restaurant, and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Youngsan University Advisor: Oh, Chang ho This study investigated MICE event participants' placeness of unique venues and evaluation of MICE events, and tested the hypotheses through scenario analysis by classifying four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enues (unique venues/regular venues) and the similarity of the opening events and programs of the venues and the contents of the MICE events. The placeness of unique venues was classified into two dimensions: place attributes and personal attributes, and the evaluation of MICE events was analyzed into two dimensions: expectation of MICE events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MICE event evaluation according to the placeness of unique and generic venues showed that both place attributes and personal attribut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ICE event evaluation in both unique and generic venues. However, in unique venues, place attributes had a greater impact on MICE event evaluation than in generic venues, while personal attributes had a greater impact on MICE event evaluation in generic venues than in unique venues. The moderating effects of venue type and MICE event similarity on place and MICE event evaluation were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venue type and MICE event similarity had moderating effects on place and MICE event evaluation. Further research on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placeness on evaluation of events held in unique venues between groups with high and low similarity of unique venues and MICE event content showed that the influence of place on MICE event evaluation was greater for groups with high similarity than for groups with low similarity, excep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plac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al intention, and the influence of place on MICE event evaluation was greater the higher the similarity between the nature of unique venues and MICE events. While previous studies on unique venue participants have focused on event organizers, this study provides the influence of unique venues placeness through MICE event participants, which has both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policy makers and stakeholders in the MICE industry. Key words: Unique Venues, Specialty Venues, Venues, Placeness, Sense of Place, Placability, MICE Events, MICE Industry, Expectations, Behavioral Intentions

      • 교육기관내 교통약자 시설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자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류강희 영산대학교 공과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교육기관내 교통약자 편의시설의 현황을 파악하여 개선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중교통(공항, 철도, 지하철, 버스) 및 자가용, 도보 이용시 현재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교통약자 편의시설을 조사하여 교육기관 내 교통약자 편의시설에 반영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교통약자’ 총 인구대비 24.8% 수준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어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법률 제17453호, 공포일 2020.06.09.>을 규정하여 교통약자들을 법률로써 보호하는 실정이다. 교육기관내(부산지역 대학교, 사이버대학교 제외) 교통약자는 전체 5.91%(2017년 ~ 2020년) 이며 이는 전체 학생 100명당 약 6명이 교통약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우수 33개 캠퍼스, 우수 68개 캠퍼스, 보통 163개 캠퍼스, 개선요망 158개 캠퍼스로 전국의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한 ‘장애대학 교육복지지원 실태평가 결과’에서 조사되어 전국 보통 이하의 캠퍼스가 7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부산지역 내 교육기관 중 대학교 시설을 이용하는 교통약자 편의시설의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여 한정된 예산으로 교통약자와 일반인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 즉 보편적 디자인(Universal Design)을 적용하여 교육기관내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교통약자의 이동권 확보를 위한 시설 또는 설비는 이용자의 누구에게나 편리하도록 보편적인 설계, 즉 보편적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통약자를 위해 개선된 시설이나 설비가 교통약자들에게는 편리하지만 다른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고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어떠한 상황에서도 대학시설 내 교통약자가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비상대응 메뉴얼이 연구·개발되어 있어야 함을 본 논문에서 강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대학시설 내 교통약자의 건축물 내·외부의 고정 및 이동형 편의시설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었지만, 교통약자 편의시설 중 이동수단(Mobility)에 대한 조사는 그 조사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여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ublic transportation (airport, railway, subway, bus) and various transportation facilities currently installed when driving or walking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status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Currently, it has a 24.8% share of the total population of the 'traffic vulnerable' in Korea, so it protects the vulnerable under the law by stipulating 'Act on the Promotion of Transportation Convenience' (Act No. 17453, promulgation date 2020.06.09.). The transportation vulnerabilit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excluding universities in Busan, cyber universities) totaled 5.91% (2017-2020), about 6 out of every 100 students were found to be underprivileged, 33 best campuses, 63 best campuses, and 158 improvement networks.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various cases of transportation vulnerable convenience facilities using university facilities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Busan and to build them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which is convenient for both the weak and the general public, with a limited budget. Basically, facilities or facilities for securing mobility rights for the underprivileged need to introduce a universal design, or universal design concept, for the underprivileged, and improved facilities for the underprivileged are convenient for the underprivileged, but should be convenient for all users, including the underprivileged.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emphasize in this paper that emergency response manuals that allow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university facilities to use convenience facilities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under any circumstances. Therefor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fixed and mobile convenience facilities of the vulnerable in and out of the buildings of the vulnerable in Busan were not investigated because the scope of the survey was too wide.

      •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이 학업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혜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07

        As the number of the people to pursue their health and beautiful life increases, due to the development of economic and social consciousness in the modern society, the beauty industry is also growing rapidly. The number of beauty professionals is also increasing rapidly by being encouraged under this trend. In addition, the number of competent professionals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 who have completed systematic and specialized education courses is also accelerating. Thus, scientific ability and need for systematic adaptive skill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e being emphasized; however, in reality, students with high education majoring in beauty lack professionalism as beauty professionals. Currently, the beauty industry is facing a chronic labor shortage due to the high turnover rate of highly educated professionals. Accordingly, what is needed urgently is their desirable professional values ​​as beauty specialized professiona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ata necessary in order to be able to create human images of reasonable beauty professionals with confident self-esteem which a modern society requires and for them to have highly educated, mature and specialized professionalism,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ir careers and academic achievement affected by their self-esteem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ir internal career consciousness for correct professional values ​​formation by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after preparing questionnaires, which are based on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extra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I reviewed and correc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estions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500 college students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of the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area. For the data collected, using the SPSS20.0 statistical program, its validity was identified through question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s reliability was examin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then utilizing these factors,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self-esteem,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attitude, it showed that self-esteem h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s sub-factors, academic achievement, self-regulation ability and all of the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s: determinacy, readiness, fitness for purpose, and confidence. This indicates that as their self-esteem is higher, their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advanced, by encouraging them with positive academic motive, and it also means that they have mature career attitude for their correct career selection and decision. Second, I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parameter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in relation to the career attitudes a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 As a result, although there was a parameter effec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affecting readiness―a sub-factor of career attitudes, it can be seen that it didn't have a parameter effect on the self-esteem and the entire career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which is performed by the credits or grades acquisition does not have any direc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having mature career attitudes. Third, I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parameter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y in relation to the career attitudes a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 As a result, it can been seen that there was a parameter effect of the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process of affecting determinacy and readiness―the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s, and it also had parameter effects in the process of affecting the entire career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positive academic attitudes, which means that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related are positive in their school life and can wisely cope with whatever circumstances occur have more influence than the academic achievement ability which are performed by learning, on having mature career attitudes in determining their career selection. In this study, as we find out that among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students with high self-esteem and correct self-regulation ability have mature carer attitudes in deciding their own career, so professors guided projects and specific follow-up studies, which can guide them to self-regulate with positive self-esteem will be needed―other than uniform valuation methods of credits completion only. Through their school life and learning process in such ways, by giving them high self-esteem and mature professionalism as professional workers, we can expect that they will settle and develop as competent talents and at the same time, the endless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beauty industry will also be able to be expected in the future. 현대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의식구조의 발달로 인해 개인의 건강과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미용 산업도 급격하게 성장 하고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미용종사자들의 규모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이수한 유능한 고학력의 전문 인력의 배출도 가속화 되고 있다. 이에 미용전공대학생들의 과학적인 능력보유와 체계화된 적응도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고학력 미용전공자들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직업의식이 부족한 현실이다. 현재 미용업계는 고학력의 전문 인력의 높은 이직률로 인한 고질적 인력난을 겪고 있다. 이에 미용전문직업인으로서 바람직한 직업관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올바른 직업관 형성을 위하여 내적 진로의식의 중요부분인 자존감에 의한 학업과 진로에 대한 연관성을 연구 분석하여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당당한 자존감을 가진 합리적인 미용전문직의 인간상을 만들고 고학력의 유능하고 성숙한 전문 직업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배경과 선행연구들을 통해 추출된 문항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한 후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토 수정하여 부산 경남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미용관련학과 전공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질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문항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성을 파악하고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신뢰도를 검사하였으며 이 후 요인들을 이용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변인 자존감, 학업성취, 진로태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존감은 학업성취 하위요인 학업성취, 자기조절능력과 진로태도 하위요인 결정성, 준비성, 목적성, 확신성 전체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이는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해줌으로써 학업성취가 정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올바른 진로선택과 결정을 위한 성숙한 진로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과 진로태도와의 관계에서 학업성취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용전공대학생들의 자존감이 진로태도 하위요인 준비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성취의 매개효과는 있었으나 자존감과 진로태도 전체에는 매개하지 않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용전공대학생의 학점으로 이수하는 학업의 성취효과는 직접적으로 성숙한 진로태도를 가지는데 있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과 진로태도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이 진로태도 하위요인 결정성, 준비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진로태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도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용관련전공대학생의 학교생활에 있어 긍정적이고 발생하는 어떤 상황에서 현명하게 대처하여 자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적극적인 학습태도가 학습으로 이수하는 학업성취능력보다 직접적으로 본인의 진로선택을 결정함에 있어 성숙된 진로태도의 자세를 가지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미용전공대학생들의 긍정적이고 높은 자존감을 가진 학생과 올바른 자기조절능력을 가진 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 성숙된 진로태도 자세를 가진다는 연구결과를 얻었으므로 학점 이수만의 획일적 평가방법 외에 긍정적 자아로 자기조절을 할 수 있는 교수지도의 프로젝트 및 구체적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통한 미용전공대학생들의 학교생활과 학습과정을 통해 향후 전문직업인으로써의 높은 자부심과 성숙한 직업관을 부여해 줌으로써 유능한 인재로서 정착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향후 미용분야의 무궁한 발전과 성장도 함께 기대할 수 있을 것 이다.

      • A HYBRID MODEL OF ARIMAX?BIDIRECTIONAL LSTMFOR TIME SERIES FORECASTING : A CASE STUDY OF COVID-19 CASE

        누그로호 위드얀토 영산대학교 공과대학원 2025 국내박사

        RANK : 248607

        시계열 데이터 예측을 위한 ARIMAX-양방향 LSTM 하이브리드 모델 : 코로나19 사례 연구 누그로호 위드얀또 영산대학교공과대학원 컴퓨터·정보공학과 지도교수 : 김 진 환 현재 백신이 공급되면서 팬데믹에 대한 대처가 개선되어 경제가 개선되고 정상적인 지역 사회 활동으로 돌아가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팬데믹 상황을 미래에도 예측할 수 있도록 각 국가가 보다 적절한 정책과 처리를 구현하여 미래의 COVID-19 사례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이 있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회귀 모델에서 다른 요인을 사용하는 시계열 예측에 널리 사용 되는 두 가지 방법인 ARIMAX와 양방향 LSTM에 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즉, 선형(정상) 모델을 예측하는 데 매우 뛰어난 ARIMAX 모델과 비선형(비정상) 모델을 예측할 수 있는 것으로 LSTM보다 더 나은 양방향 LSTM 모델이다. 이 두 모델을 사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은 두 가지 방법을 별도로 사용하는 것에 비해 오차 범위가 작고 기존 변동을 줄이는 훨씬 더 나은 예측 결과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이브리드 ARIMAX-양방향 LSTM 모델을 만드는 과정에는 6가지 하위 프로세스가 포함된다. ARIMAX를 사용한 데이터 변환, 데이터 정규화(최소-최대 스케일링), 유전 알고리즘을 사용한 특징 선택, ARIMA 모델과 양방향 LSTM 모델 을 위한 하이퍼파라미터 튜닝, 양방향 LSTM을 사용한 예측 모델, 마지막으로 하이브리드 모델 생성이다. 하이브리드 모델은 모델을 개별적으로 실행하는 것보다 훨씬 더 나은 예측 결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하이브리드 ARIMAX-양방향 LSTM 알고리즘은 다른 딥러닝 기반 하이브리드 모델뿐만 아니라 하이브리드 ARIMAX-LSTM 알고리즘 보다 더 나은 것으로 입증되었다. 하이브리드 ARIMAX- 양방향 LSTM 알고리즘은 매우 좋은 예측을 제공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구현이 널리 수행되지 않았기 때문에 사용 및 활용에 대한 연구에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보다 많은 사용 및 활용에 대한 연구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키워드 : 시계열 데이터, 예측, 양방향 LSTM, ARIMAX, 하이브리드, 코로나 19. A HYBRID MODEL OF ARIMAX-BIDIRECTIONAL LSTM FOR TIME SERIES FORECASTING A CASE STUDY OF COVID-19 CASE Nugroho Widyanto Department of Computer and Information Engineering The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Youngsan University Advisor : Jin-Whan Kim Currently, there has been improvement in the handling of the pandemic with the availability of vaccines, which has had an impact on improving the economy and starting to return to normal community activities. However, further studies are still needed. So that this pandemic condition can be anticipated in the future, there must be a model that can predict future COVID-19 cases, so that each country can anticipate it by implementing more appropriate policies and handling. In this research, we will propose combining two methods that are popularly used in the case of time series forecasting. ARIMAX, known for its superiority in predicting linear (stationary) models, and bidirectional LSTM, a more advanced approach than LSTM that can predict non-linear (non-stationary) models, will be combined in this research. The hybrid approach used for these two models is expected to provide much better prediction results with a smaller error range, as well as reducing existing variations, compared to using both methods separately and another hybrid model. The process of creating a hybrid ARIMAX-Bidirectional LSTM model involves six sub-processes: data transformation using ARIMAX, data normalization (min-max scaling), feature selection using a genetic algorithm, hyper-parameter tuning for ARIMAX models and BiLSTM models, prediction models with BiLSTM, and lastly the creation of a hybrid model. The hybrid model was proven to provide much better prediction results than the models run individually. Hybrid model of ARIMAX-Bidirectional LSTM has also been proven to be better than the Hybrid model of ARIMAX-LSTM, as well as other deep learning-based hybrid models. Even though the Hybrid model of ARIMAX-BiLSTM can provide very good predictions, the implementation of this Hybrid model has not been widely carried out, Therefore, it presents a great opportunity to conduct research on the use and utilization of this hybrid model. Keywords : Time Series, Forecasting, Bidirectional LSTM, ARIMAX, Hybrid, COVID 19.

      • MZ세대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력, 공감력이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8607

        MZ세대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력, 공감력이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 김현진 영산대학교 일반대학원 간호학과 지도교수 조영신 본 연구는 MZ세대 간호사의 노인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력, 공감력의 정도를 확 인하고, 노인간호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이러한 요인들이 노인간호수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제공하며 간호 실무 개선을 위한 실 질적인 통찰 및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U광역시에 소재한 3개 종합병원에서 65세 이상의 노인환자를 돌 보는 병동에 근무하는 MZ세대 간호사 152명을 대상으로 편의 표집하였다. 자료수 집 기간은 2024년 7월 1일부터 2024년 8월 31일까지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statistics 29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 t-test, ANOVA, 피어슨 상관계수(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단계적 다중회귀(stepwise multiple regression)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성이 147명(96.7%)으로 대부분이었고, 평균 연령은 28.86±2.98세였다. 결혼 상태는 미혼이 127명(83.6%), 최종학력은 학사가 149명(98. 0%)이었으며, 종교는 없는 경우가 122명(80.3%)으로 가장 많았다. 현 근무부서는 외과계 병동이 93명(61.2%)으로 대부분이었으며, 총 임상 경력은 12개월에서 60개 월 미만이 85명(55.9%)으로 절반 이상 많았다. 대상자 중 37명(24.3%)만이 노인간호 교육경험(최근 2년이내)과 노인과의 동거경험이 있었다. 2) 대상자가 인식한 노인에 대한 지식은 30점 만점에 평균 20.59±2.70점, 의사소통 력은 75점 만점에 평균 56.07±6.06점, 공감력은 64점 만점에 평균 41.89±8.21점, 노 인간호수행 정도는 최대 55점 만점에 평균 39.45±6.16점이었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지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t=-2.15, p=.03 8), 결혼 여부(t=-3.57, p<.001), 총 근무 경력(F=4.45, p=.00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의사소통력, 공감력, 노인간호수행은 유 의한 차이가 없었다. 4) 대상자의 노인간호수행의 정도는 노인에 대한 지식(r=.29, p=.003), 의사소통력 (r=.44, p<.001), 그리고 공감력(r=.24, p<.001)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대상자의 노인간호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의사소통력(β=.42, p<.001), 노 인에 대한 지식(β=.17, p=.021), 순이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21.0%였다(F=21.00, p <.001).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MZ세대 간호사의 노인간호수행의 향상을 위해 노인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력이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타겟팅된 전략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따라서, MZ세대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교육 전략을 통해 이들의 역량을 향상 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의사소통 기술 향상에 중점 을 두어야 하며, 이와 같은 프로그램이 실증적으로 검증된다면, 임상 현장에서 노인 간호수행의 질을 실질적으로 개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솔루션을 제공할 것이다. 아 울러, 향후 연구에서는 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지역의 간호사 를 포함하여 참여자 범위를 확대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주용어 : MZ세대 간호사, 노인에 대한 지식, 의사소통력, 공감력, 노인간호수행

      • Sous-Vide 조리법을 이용한 추어 첨가 떡갈비의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황성준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25 국내석사

        RANK : 248607

        Sous-Vide 조리법을 이용한 추어 첨가 떡갈비의 품질 특성에 관한 연구 황 성 준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조리예술전공 지도교수 송호수 본 연구는 모든 연령대에 적합한 sous-vide 추어 떡갈비를 제조하기 위해 미꾸라 지 살을 3%, 7%, 12% 함량별 추어 떡갈비를 기호도 조사 후 sous-vide 요리에 적 합한 온도에서 추어 떡갈비 시료를 제작하였고 아미노산, pH, 저장성, 휘발성 염기 질소, 질감 및 색상의 온도에서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 이 요약된다: 12%의 추어 페이스트가 들어간 추어 떡갈비가 가장 좋은 만족도를 나타내었으며 70℃, 60℃ sous-vide 조리실험에서 60℃가 가장 좋은 관능 결과를 보였고 근육과 뇌 조직에 고농도로 존재하며 항산화, 항염증, 항당화 등의 생체 활 성에 도움을 주는 카르노신이 다량 함유되어 있었다. pH와 세균 수는 10℃ 저장조 건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으나 대조군에서는 저장 5일 후부터 세균 수가 증가하 였고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1시간(60℃) sous-vide 조리한 추어 떡갈 비가 경도, 응집력, 검성, 씹힘성 등 부드러운 값을 나타내었으나 3시간 조리에서의 변화와 거의 동일 하였고. 휘발성 염기질소는 대조군이 1일차에서 7.4±0.10 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으나 3일차부터는 변화가 거의 동일 하였다. 색도 측정 기준 중 L, a, b 값은 저장 중에는 큰 변화는 없었으나, L 값이 약간 더 밝은 수치를 나타내었 으며 a, b 값은 1시간 실험구가 다른 실험구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결론적 으로 추어의 함량은 12%로 제조시 맛과 조직감, 색상을 개선하고 수분손실이 적어 sous-vide 방식으로 60℃에서 조리한 추어를 첨가한 떡갈비가 소비자 기호도를 개 선하는 데 적합한 방법으로 사료 되었다. A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Tteokgalbi made with Mudfish using a sous-vide recipe. Hwang, Sung-J un Department of Culinary Arts Graduate School of Tourism Youngsan University Advisor : Song, Ho-Su This study aimed to develop sous-vide mudfish meat patties suitable for all age groups by preparing samples with 3%, 7%, and 12% loach paste content and conducting a preference survey. Samples were then cooked at temperatures appropriate for sous-vide cooking, and their amino acid composition, pH, storage stability, volatile basic nitrogen (VBN), texture, and color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Loach meat patties with 12% loach paste showed the highest satisfaction levels. In sous-vide cooking experiments at 70°C and 60°C, the patties cooked at 60°C demonstrated the best sensory evaluation results. Additionally, carnosine, known for its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anti-glycation bioactivities, was found in high concentrations in the muscle and brain tissues. Under storage at 10°C, pH and bacterial counts did not show significant changes, whereas bacterial counts in the control group increased after five days of storage, and no E. coli was detected. The patties cooked at 60°C for one hour exhibited better tender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compared to other samples, showing negligible differences from patties cooked for three hours. For VBN, the control group exhibited a high value of 7.4±0.10 on the first day, but changes stabilized from the third day onwards. Regarding color measurement (L, a, b values),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during storage, though the L value (lightness) was slightly higher, and the a (redness) and b (yellowness) values were higher in the one-hour sous-vide samples compared to other conditions. In conclusion, loach patties prepared with 12% loach paste improved flavor, texture, and color while minimizing moisture loss. Cooking at 60°C for one hour using the sous-vide method is considered an effective way to enhance consumer preference for loach meat pat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