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교육기관내 교통약자 시설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 부산자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류강희 영산대학교 공과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의 교육기관내 교통약자 편의시설의 현황을 파악하여 개선을 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중교통(공항, 철도, 지하철, 버스) 및 자가용, 도보 이용시 현재 설치되어 있는 다양한 교통약자 편의시설을 조사하여 교육기관 내 교통약자 편의시설에 반영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의 ‘교통약자’ 총 인구대비 24.8% 수준의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어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법률 제17453호, 공포일 2020.06.09.>을 규정하여 교통약자들을 법률로써 보호하는 실정이다. 교육기관내(부산지역 대학교, 사이버대학교 제외) 교통약자는 전체 5.91%(2017년 ~ 2020년) 이며 이는 전체 학생 100명당 약 6명이 교통약자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우수 33개 캠퍼스, 우수 68개 캠퍼스, 보통 163개 캠퍼스, 개선요망 158개 캠퍼스로 전국의 대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한 ‘장애대학 교육복지지원 실태평가 결과’에서 조사되어 전국 보통 이하의 캠퍼스가 76%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부산지역 내 교육기관 중 대학교 시설을 이용하는 교통약자 편의시설의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여 한정된 예산으로 교통약자와 일반인 모두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시설 즉 보편적 디자인(Universal Design)을 적용하여 교육기관내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기본적으로 교통약자의 이동권 확보를 위한 시설 또는 설비는 이용자의 누구에게나 편리하도록 보편적인 설계, 즉 보편적 디자인(Universal Design)의 개념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며, 교통약자를 위해 개선된 시설이나 설비가 교통약자들에게는 편리하지만 다른 이용자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고 교통약자를 포함한 모든 이용자가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어떠한 상황에서도 대학시설 내 교통약자가 편의시설을 이용할 수 있는 비상대응 메뉴얼이 연구·개발되어 있어야 함을 본 논문에서 강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대학시설 내 교통약자의 건축물 내·외부의 고정 및 이동형 편의시설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었지만, 교통약자 편의시설 중 이동수단(Mobility)에 대한 조사는 그 조사 범위가 너무 광범위하여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본 연구의 한계점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public transportation (airport, railway, subway, bus) and various transportation facilities currently installed when driving or walking in order to improve the current status of transportation facilities in Busan Metropolitan City. Currently, it has a 24.8% share of the total population of the 'traffic vulnerable' in Korea, so it protects the vulnerable under the law by stipulating 'Act on the Promotion of Transportation Convenience' (Act No. 17453, promulgation date 2020.06.09.). The transportation vulnerability in educational institutions (excluding universities in Busan, cyber universities) totaled 5.91% (2017-2020), about 6 out of every 100 students were found to be underprivileged, 33 best campuses, 63 best campuses, and 158 improvement networks. This study is designed to analyze various cases of transportation vulnerable convenience facilities using university facilities among educational institutions in Busan and to build them within educational institutions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which is convenient for both the weak and the general public, with a limited budget. Basically, facilities or facilities for securing mobility rights for the underprivileged need to introduce a universal design, or universal design concept, for the underprivileged, and improved facilities for the underprivileged are convenient for the underprivileged, but should be convenient for all users, including the underprivileged. In particular, I would like to emphasize in this paper that emergency response manuals that allow the transportation vulnerable in university facilities to use convenience facilities should be researched and developed under any circumstances. Therefor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was that the fixed and mobile convenience facilities of the vulnerable in and out of the buildings of the vulnerable in Busan were not investigated because the scope of the survey was too wide.

      •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IT GOVERNANCE : Case Study : INTERNATIONAL WOMEN UNIVERSITY

        누그로호 위드얀토 영산대학교 공과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IT 기술의 활용은 매우 중요하게 되었다. 조직의 비즈니스 프로세스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IT 기술의 활용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IT 관리와 구조가 요구된다. IT 거버넌스는 IT의 가치를 최대화하고 관련된 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조직이 IT 정보를 제어하고 각 비즈니스가 가지는 목표와 IT 정보기술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사례로 적용된 인도네시아 국제 여자 대학교는 정보 기술이 적용된 비즈니스 프로세스를 지원하지만, 비즈니스 프로세스와 관련된 정보 시스템을 구현할 때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되었다. 이 대학은 대학에서 소유한 정보기술 자원의 효율성을 최대화시킬 수 없었으며, IT 시스템 내의 대학 경영 정책은 불일치하였으며 정보 시스템에 대한 평가도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 대학은 IT 거버넌스를 구현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이 없었기 때문에, IT 정보 시스템의 제어와 모니터링은 거의 이루어질 수 없었다. IT 거버넌스 문제에 대한 잠재적인 해결책과 정보시스템의 평가 도구로 COBIT 4.1 프레임워크를 사용한다. COBIT 4.1을 사용하여 IT 거버넌스 평가를 할 때, “IT 목표 식별하기”, “IT 프로세스 식별하기”, “제어 목표 식별하기”, “성숙도 레벨 평가하기” 단계를 따른다. COBIT 4.1의 평가 결과로 국제 여자 대학교에서는 10개의 IT 프로세스가 발견되었다. 성숙도 레벨은 레벨 2 반복이지만, 예측되는 성숙도는 레벨 3 정의이다. 국제여자 대학교는 IT 거버넌스를 더 잘 하기 위해, 내부 통제에 좀 더 많은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The utilization of IT has become an important need for the organization because it can help the organization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business processes of the organization. In addition to this, good IT management and structure are required so that IT will be able to support organization in the achievement of its objectives. IT governance can help the organization to control IT and link it with business objectives while maximizing the value of IT and minimizing the associated risks. International Women University is an university whose business process is supported by IT. But some problem were found in implementing information systems. The university is still not able to maximize their IT resources that they have. Inconsistency management policy of the university in IT system and evaluation of information system has not been done. Poor controlling and monitoring of the IT system of the university because the university does not have guidelines for the implementation of IT governance. COBIT 4.1 frameworks will be used to make an evaluation and give the recommendation of a potential solution for IT governance problem. There are 4 stages in evaluation IT governance using COBIT 4.1 as follows: identification IT goals, identification IT process, identification control objectives, and assessing maturity level. The result show that only 10 IT processes were initialized in International Women University and the current maturity level is at level 2 Repeatable but Intuitive and for expected maturity level is at level 3 defined. Management of International Women University must give more attention to internal control so will be able to create information technology governance better.

      • 대학기숙사 급식의 고객만족도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지역을 중심으로

        최승연 영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본 연구는 부산 지역 대학교 교내 기숙사생들 301명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인 사항, 급식 이용 실태, 품질특성별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대학교 기숙사 급식에 대한 현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점을 도출하여 품질향상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교 기숙사 급식 이용실태에 대해 살펴보면, 대학교 기숙사생들은 아침식사를 규칙적으로 먹는 비율이 절반도 안됐으며, 비교적 저녁식사는 규칙적으로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이유를 보면, 시간이 없는 것이 가장 큰 문제로 나왔으며, 다음으로 같이 식사할 사람이 없다는 것이 큰 이유로 나왔다. 이는 비교적 바쁜 아침시간에는 식사할 시간이 없지만 저녁시간에는 시간도 여유롭고 같이 식사할 사람도 있기 때문에 규칙적으로 식사하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대학생들이 기숙사 급식 중 가장 좋아하는 조리법으로는 볶음류와 구이·튀김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침류에 대해서는 기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좋아하는 부식의 종류로는 대다수의 학생들이 육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왔으며, 곡식류, 해초류에 대해서는 기피하는 것으로 나와 대학생들의 입맛이 육류를 좋아하며 무침이나 해초류를 기피하는 현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들이 급식에서 가장 많이 남기는 음식물로는 국에 대한 응답이 가장 많았으며, 음식을 남기는 이유로는 싫어하는 재료이기에 남기거나 양이 많아서 남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볼 때, 기숙사 급식을 이용하는 대학생들은 음식에 대한 편식이 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음식을 가리는 것으로 볼 수 있다. 기숙사 급식에서 개선되었으면 하고 희망하는 사항에 대해서는 다양한 메뉴를 원하는 비율이 가장 많이 나왔으며, 음식의 질(맛)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학생도 매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급식의 식단을 정할 때 음식의 다양성과 맛을 고려한 식단 작성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기숙사 급식의 품질특성별 만족도에 대해서 살펴보면, 모든 품질특성에 대한 만족도가 3점(보통) 이상으로 나와 비교적 보통이상의 수준으로 볼 수 있으나, 분위기 만족도가 3점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나와 분위기 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분위기 개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조용함이 매우 낮게 나타났으며, 실내 장식이나 편안한 느낌도 보통정도의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기숙사 식당에 분위기 개선이 필요하며, 특히 조용한 분위기 연출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조사대상자의 특성별로 품질특성을 살펴보면, 음식만족도에 대해서는 이공계열이 매우 높은 만족도를 보이는데 반해 인문계열은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왔다. 메뉴 만족도에 대해서도 비교적 이공계열이 높은 만족도를 보였으며, 인문 계열과 예·체능계열은 3점(보통)이하의 만족도를 보였다. 또한, 기숙사 거주기간이 가장 짧은 학생들이 메뉴에 대해서도 가장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생에 대한 만족도는 이공 계열과 예·체능계열에 비해 인문계열의 만족도가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숙사 거주기간이 6개월 미만인 학생들이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만족도에 대해서도 보면 기숙사 거주기간이 6개월 이상 되고, 1년 미만 되는 학생들의 만족도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시설에 대한 만족도를 보면 전공이 이공계열인 학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비교적 인문 계열과 예·체능계열 학생의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위기에 대한 만족도에 대해서도 전공이 이공계열인 학생의 만족도는 보통(3점) 이상인데 반해 나머지 계열의 학생들은 보통에도 못 미치는 수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반적으로 기숙사 급식에 대한 생각을 보면, 전체적으로 보통(3점) 이상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이공계열의 만족도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문계열의 만족도는 보통(3점)에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결론을 정리해 보자면, 기숙사 급식의 이용현황 및 발전방안을 고려할 때, 무엇보다도 기숙사 급식소 이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메뉴를 개발하고, 이에 맞춰 음식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과제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품질특성별 만족도 조사를 고려할 때, 조용한 급식소로 만들 수 있도록 개선해야 한다. 그리고 조사대상자의 인구 통계적 특성별 품질특성에 대한 결과를 고려할 때, 만족도가 낮았던 인문계열 및 예·체능계열의 학생들과 거주기간이 6개월 이상인 학생들을 타깃으로 하는 만족도 향상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끝으로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고려할 때, 음식 만족도, 메뉴 만족도,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노력이 요구되어야 한다. This study will conduct a survey on the use of university cafeteria service and satisfaction levels based on quality characteristics, which in turn, will be used to diagnose problems facing university dormitory cafeteria food services. Furthermore, such results will be used to propose future improvement directions. To achieve such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investigation on the food, menus, sanitary conditions, and services of university cafeteria food services to organize service quality evaluation standar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dormitory students at Youngsan University and Busan University within the Busan, Gyeongnam region.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5.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vestigation of uses of university dormitory cafeteria food service showed that use of breakfast by university dormitory students was less than half, while use of dinner was shown to be more relatively more frequent. The food most preferred by students was shown to be roasted foods and fried foods, while seasoned foods was shown to be mostly avoided. Additionally, the types of food most preferred was meat foods, while grains and seaweed foods was mostly avoided. Such demonstrates a preference for meats. As for improvements desired by students, most preferred a variety of menus, while many students also responded that the quality(taste) of food was very important. Based on such results, when decided menus within cafeteria food services, variety and taste should be key considerations. Second, the results of satisfaction by quality characteristics for dormitory food services showed that satisfaction for all quality characteristics recorded over 3 points(average), demonstrating a relatively above average recognition for current quality. However, satisfaction for atmosphere recorded under 3 points, showing a need to improve upon such area. As for details for atmosphere improvement, quietness was most frequently, followed by an average result for comfortable feeling within the cafeteria. Based on such results,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e cafeteria atmosphere, particularly in ways to improve quietness within cafeterias. Third, the results of quality characteristics based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respondents showed that food, menu, sanitary conditions, service, facilities, atmosphere satisfaction was very high for engineering students, while satisfaction was lower for humanities students and arts/physical education students. Additionally, students having lived in dormitories for shorter periods showed higher satisfaction for menus. Lastly, regarding general opinions for dormitory cafeteria food service, an above average (over 3 points) was shown generally, with higher satisfaction particularly shown for engineering students. On the other hand, humanities students showed satisfaction that was below average. Based on such results of the study, quality characteristics were shown to have an effect on food satisfaction, menu satisfac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Particularly, food satisfaction was shown to have the highest effect, demonstrating a need to consider foods more thoroughly in the future to improve satisfaction levels.

      • 4년제 조리교과과정에 관한 현황과 개선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희동 영산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Study of 4-year bachelor's degree Curriculum in Culinary Arts Kim Hee Dong A Graduate School of Culinary Art Young-San University Academic Advisor Prof. Park Hun Jin With the improvement of life quality, food service industry and food culture become civilized to increase in greater demand for chefs or human resources learned culinary techniques. On this, many institutes, schools, and even universities competitively open culinary arts and the related courses. The problem under this situation is that 4-year bachelor's degree in universities could not make big differences, rather experiences are accepted. A dominant position of 4-year bachelor's degree is a pressing need. Accordingly, this study shows how to make a culinary arts curriculum of 4-year bachelor's degree intensive, rigorous and superior to that of 2-year associate degree. ● Various classes teaching management and motivation of employees, leadership and communication skills, and purchasing and cost controls. ● Profound classes in science, culture, and history of foods. ● Building up self-development through a presentation class. ● Promoting on-the-job training and an active exchange between overseas and colleges. 경제 성장과 함께 GNP, GDP 의 증가되면서 국민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생활양식과 문화의 급격한 변화 등으로 인하여 국내 외식산업은 급속하게 성장하면 변화되어 왔다. 조리 관련 인력의 수요가 매년 엄청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조리학원, 조리고등학교,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에서 앞 다투어 조리 관련 학과를 개설하여 인력을 생산하고 있다. 그리고, 관련학과 개설과 함께 각 교육기관의 특성과 필요에 맞는 교과과정을 필요로 하고 있다. 4년제 대학 조리 관련 학과의 경우 타 교육기관과의 차별화에 성공하지 못한다면, 4년제 대학의 위상이 흔들리게 될 것이다. 이에 4년제 대학을 중심으로, 2년제 대학과의 형태, 목적, 특징을 비교분석하여 4년제 대학 조리 관련 학과의 교과과정 편성을 중심으로 한 차별화의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이론수업의 경우, 2년제 대학과 유사한 수업이 많아. 조리과학, 문화,역사에 대한 깊이 있는 수업과, 경영, 리더쉽 수업을 강화하여, 관리자 또는 기술자로서의 인력을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실습수업은 기능위주의 수업에서 탈피하여 고학년은 창의력을 발휘 할 수 있는 발표및 개발 위주의 수업을 증가 시켜야 한다. 또한 외국, 타대학, 현장과의 교류를 강화하여 졸업후 바로 현장에 투입될 수 있도록 현장실습 등의 수업을 강화 하여야 한다.

      • 전국단위 학력평가 수준 차이가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효과 실증 분석 : 울산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안문영 영산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23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effects of level differences of national academic evaluation on the apartment price. I employed econometric analysis using qualitative empirical variable data which is known to be so by repute. I summarized centering around main particular contents different from general thoughts. I made use of dependent variables which are apartment real sale prices to areas of exclusive use spaces. I made use of independent variables like size(apartment area of exclusive use space), floor(except the 1st floor), building age, stair structure, brand, and scale of apartment complex which are specific variables. I made use of dummy variables which reflect local fixed effect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Ulsan Metropolitan City as reg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A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variables I made use of independent variables like the results of national academic achievement test(percentages under achievement to basic level and above the average) of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cluding the average percentages of national combined academic test and university achievement ability test(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courses), the number of successful applicants in Seoul University and SKY University in Seoul. I analysed small+small middle+middle+middle large+large type apartments using 1,197 data as variables based on the criteria of small(under 40.0:under 12.1pyeong), small middle(40.0∼62.8:12.1∼19pyeong), middle(62.8∼95.9:19∼29pyeong), middle large(95.9∼135.0:29∼40.8pyeong), large(over 135:over 40.8pyeong) in the apartment types except data unsuitable to the criteria and low confident out of 2,028 real sale prices data supplied by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n march, 2015.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 summarized the results of this dissertation centering around 2nd model made use of dummy variables which reflect local fixed effects of administrative districts in Ulsan Metropolitan City. 1. Analysis on effects of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achievement test If the results of high school achievement test become better, the prices of apartment increase. If the results of high school achievement test are worse, the prices of apartment decrease. Statistically all are meaningful. The effects to pull up the prices of apartment because of many students above the average academic ability are greater than the effects to roll back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percentage of students under scholastic achievement to basic level If the results of middle school achievement test are better, prices increase and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If the results of middle school scholastic achievement test are worse, sale prices decrease, but are not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effects to pull up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percentage of middle school scholastic achievement test above the average academic ability are greater than the effects to roll back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percentage of middle school scholastic achievement test under achievement to basic level. In the model included with the variables of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scholastic achievement test above the average academic ability together, the effects to pull up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percentage of high school achievement test above the average academic ability, are clearly greater than the effect to pull up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percentage of middle school achievement test above the average academic ability. In the model included with the variables of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achievement test under achievement to basic level together, the effects to lower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percentage of high school scholastic achievement test under achievement to basic level are greater than the effects to lower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percentage of middle school scholastic achievement test under achievement to basic level. 2. Analysis on the effects of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scores of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and national combined scholastic achievement test of high school If the scores of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courses in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get higher, the apartment prices increase and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effects to raise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scores of natural science courses in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appear greater than the effects to raise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scores of humanities courses in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If the scores of humanities and natural science courses in the national combined scholastic achievement test are higher, the apartment prices increase and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effects to raise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scores of natural science courses in the national combined scholastic achievement test appear greater than the effects to raise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scores of humanities courses in the national combined scholastic achievement test. The average scores of natural science courses in the general high schools are higher than the average scores of humanities courses in the harsh light of reality. Many students who chose natural science courses have confidence in the domains of mathematics and science. And many students in the humanities courses have excellent ability but they generally feel burden in the domains of mathematics and science. In the case of humanities students they feel confidence in the domains of social research studies and these are actual conditions of academic ability in the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Consequently it is significant that the effects to increase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the high scores of natural science courses are greater than the effects of humanities scores in the university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se point to the importance of academic ability in general high schools. As a rule these are the results of particular analysis difficult to think in the general thoughts. 3. Analysis on the effects of explanatory variables in the successful applicants of prestigious university If the students to go to Seoul university and SKY university increase in number, the apartment prices go up and are statistically meaningful. The effects to rais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many students to go to SKY university appear greater than the effects to raise the apartment prices because of many students to go to Seoul university. Consequently, for the sake of increasing the apartment prices when we consult the courses of going to university it is important to help many students go to SKY university including excellent universities widely than going to Seoul university by consulting students in the target career teaching method in entering university. 4. Policy suggestions and hereafter research To study the effects of educational environments to apartment prices make it possible to be utilized as policy materials to reduce educational gaps and intensify responsibility. And it is possible to use as the basic materials of financial support and is helpful to understand the level of individual students and academic achievement ability. Educational environments are the main factors to have an influence on the apartment prices(dealing and lease). We need additional studies about interactive empirical analysis between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different variables in theoretical studies and empirical aspects. I anticipate that the results of study have a few different opinions according to survey regions, methods and targets and dissertation projects to be studied additionally. 본 연구에서는 헤도닉 가격 모형을 활용하여 전국단위 학력평가, 그 외 다른 아파트 특성변수, 지역 특성변수, 교육 특성변수들이 아파트 가격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실증 분석하였다. 소문으로 그럴 것이라고 하는 것을 질적이고 경험적인 변수자료들을 활용하여 계량 분석을 했으며 본 연구 논문의 주요 내용을 중점적으로 요약해 보았다. 종속변수로는 아파트 전용면적()에 대한 아파트 실거래 가격을 활용했으며, 독립변수로는 아파트 특성관련 변수인 아파트 전용면적, 층(1층 제외), 연수, 복도구조, 브랜드 인지도, 아파트 단지규모를 활용했다. 지역 특성변수로 울산광역시 행정구역(區)의 지역적 고정효과를 반영하는 더미변수를 사용했으며 교육 특성변수로는 고등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보통학력 이상 비율), 고등학교 국가수준 성취도평가(기초학력 미달학생 비율), 중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보통학력 이상 비율), 중학교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기초학력 미달 비율), 고등학교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인문계, 자연계), 고등학교 전국연합 학력평가(인문계, 자연계), 서울대 합격자수, SKY대 합격자수 등의 변수들도 아파트 가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는데 활용하였다. 2015년 3월 국토교통부 2,028개 실거래가 자료들 중에 신뢰도가 낮거나 연구기준에 맞지 않는 자료들은 제외하고 소형은 40.0 미만(12.1평 미만), 중소형은 40.0∼62.8(12.1∼19평), 중형은 62.8∼95.9(19∼29평), 중대형은 95.9∼135.0(29∼40.8평), 대형은 135 이상(40.8평 초과)을 기준으로 잡고 1,197개의 자료들을 변수로 활용하여 소형+중소형+중형+중대형+대형 아파트를 분석하였다. 지역 특성변수로 울산광역시 행정구역(區)의 지역적 고정효과를 반영하는 더미변수를 사용한 모형 2를 중심으로 본 연구 논문의 분석 결과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고등학교 및 중학교 성취도평가 효과 분석 고등 성취도평가 결과가 좋아지면 아파트가격은 상승하며, 고등 성취도평가 결과가 나빠지면 아파트가격은 하락한다.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고등학교 보통학력 이상의 학생들이 많아서 아파트 가격을 끌어 올리는 효과가, 기초학력 미달 학생의 비율이 높아서 아파트 가격을 끌어 내리는 효과보다 크다. 중학교 성취도평가 결과가 좋아지면 매매가격은 상승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중학교 성취도평가 결과가 나빠지면 매매가격은 하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다. 중학교 성취도 평가(상) 비율이 높아져서 아파트 가격을 높이는 효과가 중학교 성취도 평가(하) 비율이 높아져서 아파트 가격을 떨어뜨리는 효과보다 확연히 크다. 고등학교 성취도평가(상) 변수 및 중학교 성취도평가(상) 변수를 함께 포함시킨 모형에서 고등학교 성취도평가(상) 비율이 높아져서 아파트 가격을 높이는 효과가 중학교 성취도평가(상) 비율이 높아져서 아파트 가격을 높이는 효과보다 명확하게 크게 나타난다. 고등학교 성취도평가(하) 변수 및 중학교 성취도평가(하) 변수를 함께 포함시킨 모형에서 고등학교 성취도평가(하) 비율이 높아져서 아파트 가격을 낮추는 효과가 중학교 성취도평가(하) 비율이 높아져서 아파트 가격을 낮추는 효과보다 명확하게 크다. 2. 고등학교 수능점수 및 연합고사점수 설명변수의 효과 분석 고등학교의 수능인문 및 수능자연 점수가 높아지면, 아파트 가격은 상승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수능자연 점수가 높아져서 아파트 가격을 높이는 효과가 수능인문 점수가 높아져서 아파트가격을 높이는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 고등학교의 연합인문 및 연합자연 점수가 높아지면, 아파트 가격은 상승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연합자연 점수가 높아져서 아파트가격을 높이는 효과가 연합인문 점수가 높아져서 아파트가격을 높이는 효과보다 크게 나타난다. 현실적으로 보면 일반계 고등학교에서 자연계 평균이 인문계 평균 보다 높은 실정이며 자연계를 선택한 학생들은 수학, 과학탐구 영역에 자신이 있는 학생들이 많다고 볼 수 있다. 인문계에도 우수한 학생들은 많이 있을 수 있지만 평균적으로 보면 수학과 과학탐구에 부담을 느끼는 학생들이 다소 있으며 인문계의 경우 사회탐구 영역에 자신감이 많은 편인 것이 현재 단위학교의 학생들의 학력 실태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수능자연 점수가 높아져서 아파트 가격을 높이는 효과가 인문 점수 영향보다 크다는 것은 의미심장한 일이며 단위학교 학생들의 학력의 중요성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평상시 일반적인 사고에서는 생각하기 어려운 특이한 분석 결과라고 보여진다. 3. 명문대 진학자 설명변수의 효과 분석 서울대와 스카이대에 가는 학생이 많아지면, 아파트가격은 상승하며,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스카이대에 가는 학생이 많아져서 아파트 가격을 높이는 효과가 서울대에 가는 학생이 많아져서 아파트가격을 높이는 효과보다 더 크게 나타난다. 따라서 단위학교에서 진학 지도를 할 때 서울대에 합격하는 것을 중시하는 것 보다는 SKY 대학 등 우수한 대학에 맞춤식 입시지도로 학생들의 적성과 희망을 고려하여 폭넓게 많이 진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아파트 가격 상승을 위해서는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4. 정책적 제안 및 향후 연구 교육환경이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은 교육격차 및 교육적 책무성 강화를 위한 정책 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 할 것이다. 또한 단위학교의 교육과정 개선과 재정적 지원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학생 개개인 및 단위학교의 학업 성취수준 파악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교육환경은 아파트 가격(매매, 전세)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요인이며 앞으로 교육환경과 다른 변수 간의 상호작용 실증 분석에 대한 이론적 연구 및 경험적인 측면에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연구결과는 연구방법과 조사대상 지역에 따라 몇 가지 이견이 있을 수 있고 추가로 연구되어야 할 과제도 있다고 예상된다.

      •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이 학업성취와 진로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지혜 영산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As the number of the people to pursue their health and beautiful life increases, due to the development of economic and social consciousness in the modern society, the beauty industry is also growing rapidly. The number of beauty professionals is also increasing rapidly by being encouraged under this trend. In addition, the number of competent professionals with high educational background who have completed systematic and specialized education courses is also accelerating. Thus, scientific ability and need for systematic adaptive skills of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are being emphasized; however, in reality, students with high education majoring in beauty lack professionalism as beauty professionals. Currently, the beauty industry is facing a chronic labor shortage due to the high turnover rate of highly educated professionals. Accordingly, what is needed urgently is their desirable professional values ​​as beauty specialized professional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data necessary in order to be able to create human images of reasonable beauty professionals with confident self-esteem which a modern society requires and for them to have highly educated, mature and specialized professionalism, by studying and analyzing the correlations between their careers and academic achievement affected by their self-esteem which is an important part of their internal career consciousness for correct professional values ​​formation by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 For this purpose, in this study, after preparing questionnaires, which are based on the questions that have been extract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I reviewed and corrected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questions through preliminary investigation,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targeting 500 college students of beauty-related departments of the universities located in Busan and Gyeongnam area. For the data collected, using the SPSS20.0 statistical program, its validity was identified through question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its reliability was examined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then utilizing these factors, regression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The analy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of the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self-esteem,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attitude, it showed that self-esteem has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s with academic achievement's sub-factors, academic achievement, self-regulation ability and all of the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s: determinacy, readiness, fitness for purpose, and confidence. This indicates that as their self-esteem is higher, their academic achievement has been advanced, by encouraging them with positive academic motive, and it also means that they have mature career attitude for their correct career selection and decision. Second, I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parameter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in relation to the career attitudes a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 As a result, although there was a parameter effect of the academic achievement in the process of affecting readiness―a sub-factor of career attitudes, it can be seen that it didn't have a parameter effect on the self-esteem and the entire career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academic achievement which is performed by the credits or grades acquisition does not have any direc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ir having mature career attitudes. Third, I perform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o examine the parameter effect of self-regulation ability in relation to the career attitudes and self-esteem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 As a result, it can been seen that there was a parameter effect of the self-regulation ability in the process of affecting determinacy and readiness―the sub-factors of career attitudes, and it also had parameter effects in the process of affecting the entire career attitudes. This means that the positive academic attitudes, which means that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beauty-related are positive in their school life and can wisely cope with whatever circumstances occur have more influence than the academic achievement ability which are performed by learning, on having mature career attitudes in determining their career selection. In this study, as we find out that among th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beauty, students with high self-esteem and correct self-regulation ability have mature carer attitudes in deciding their own career, so professors guided projects and specific follow-up studies, which can guide them to self-regulate with positive self-esteem will be needed―other than uniform valuation methods of credits completion only. Through their school life and learning process in such ways, by giving them high self-esteem and mature professionalism as professional workers, we can expect that they will settle and develop as competent talents and at the same time, the endless growth and development in the beauty industry will also be able to be expected in the future. 현대사회의 경제적, 사회적 의식구조의 발달로 인해 개인의 건강과 아름다운 삶을 추구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면서 미용 산업도 급격하게 성장 하고있다. 이러한 추세에 힘입어 미용종사자들의 규모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다. 또한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교육과정을 이수한 유능한 고학력의 전문 인력의 배출도 가속화 되고 있다. 이에 미용전공대학생들의 과학적인 능력보유와 체계화된 적응도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나 고학력 미용전공자들의 전문직업인으로서의 직업의식이 부족한 현실이다. 현재 미용업계는 고학력의 전문 인력의 높은 이직률로 인한 고질적 인력난을 겪고 있다. 이에 미용전문직업인으로서 바람직한 직업관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올바른 직업관 형성을 위하여 내적 진로의식의 중요부분인 자존감에 의한 학업과 진로에 대한 연관성을 연구 분석하여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당당한 자존감을 가진 합리적인 미용전문직의 인간상을 만들고 고학력의 유능하고 성숙한 전문 직업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는 이론적배경과 선행연구들을 통해 추출된 문항들을 바탕으로 설문지를 구성한 후 예비조사를 거쳐 문항의 타당성과 신뢰성을 검토 수정하여 부산 경남에 소재하는 대학교의 미용관련학과 전공대학생 500명을 대상으로 질문조사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설문문항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타당성을 파악하고 신뢰성 분석을 통하여 신뢰도를 검사하였으며 이 후 요인들을 이용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 사용된 변인 자존감, 학업성취, 진로태도의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존감은 학업성취 하위요인 학업성취, 자기조절능력과 진로태도 하위요인 결정성, 준비성, 목적성, 확신성 전체에 모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존재하였다. 이는 미용전공 대학생들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적극적인 학습동기를 부여해줌으로써 학업성취가 정진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올바른 진로선택과 결정을 위한 성숙한 진로 태도를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과 진로태도와의 관계에서 학업성취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용전공대학생들의 자존감이 진로태도 하위요인 준비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학업성취의 매개효과는 있었으나 자존감과 진로태도 전체에는 매개하지 않 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용전공대학생의 학점으로 이수하는 학업의 성취효과는 직접적으로 성숙한 진로태도를 가지는데 있어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과 진로태도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용전공대학생의 자존감이 진로태도 하위요인 결정성, 준비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진로태도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도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미용관련전공대학생의 학교생활에 있어 긍정적이고 발생하는 어떤 상황에서 현명하게 대처하여 자기를 조절할 수 있는 적극적인 학습태도가 학습으로 이수하는 학업성취능력보다 직접적으로 본인의 진로선택을 결정함에 있어 성숙된 진로태도의 자세를 가지는데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에서 미용전공대학생들의 긍정적이고 높은 자존감을 가진 학생과 올바른 자기조절능력을 가진 학생이 자신의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 성숙된 진로태도 자세를 가진다는 연구결과를 얻었으므로 학점 이수만의 획일적 평가방법 외에 긍정적 자아로 자기조절을 할 수 있는 교수지도의 프로젝트 및 구체적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이를 통한 미용전공대학생들의 학교생활과 학습과정을 통해 향후 전문직업인으로써의 높은 자부심과 성숙한 직업관을 부여해 줌으로써 유능한 인재로서 정착 성장해 나갈 수 있을 것을 기대하며 향후 미용분야의 무궁한 발전과 성장도 함께 기대할 수 있을 것 이다.

      • 미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성희 영산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Youth unemployment is coming, and knowledge into economic and social change, a college student in the future for growth as to mature to be able to live productive lives. You should polish your foundation. However, despite concrete action in the course of carrying out their course is very important in the process so far, like knowledge and attitudes and cognitive path. The side has been highlighted. Beauty art career choice by a college student, your composition, in the case of major interest, ability to grow through the professional to high cost and time despite the fact that different. Choose careers for other areas due to lack the job market for the Explorer or turn a completely different as their major cases is happening. This study analyz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in the relation between self leadership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effect relation that behavior centered strategy and cognitive strategy influence to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hich are the strategy of self leadership by college students with beauty major. The results analyzed through empirical study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result of difference level of self leadership, the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ccording to statistical characteristic, shows that there exists no difference according to age, the hair and make up major shows higher cognitive strategy of self leadership than hair and make-up while the skin major shows higher problem solving of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than make up major. It was proved that two-year beauty college shows higher future plan of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than four-year beauty college. The case experienced in leadership training shows higher behavior centered strategy, cognitive strategy of self leadership than the case not experienced while the case experienced shows higher future plan, goal selection of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than the case not experienced. Second, it was proved that the behavior centered strategy and cognitive strategy of self leadership of college students with beauty major influence positively to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 with beauty major, the cases where the problem solving, future plan, goal selection and career information of self-efficacy for career decision making are performed, positively influence to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above study, we can say that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cognitive strategy which can prevent the negative and critical thinking through behavior centered strategy and positive self-dialogue of self leadership which is the influential power that college students with beauty major can set their goal themselves lead the course of effort and self evalu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development of self leadership can bring the result which corresponds to the leadership training theory including the promotion of self-efficacy, the satisfaction increase of college life and basic career ability, is the ultimate goal of college.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it would contribute to the successful career preparation and future organizational life adaptation if the self leadership competency development program of college student is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ult verified by this study can provide the basic data for various measures which can be applicable to the actual work and theoric knowledge of support program that is changeable to the active career preparation for college students with beauty major by analyzing various educational system for the enhancement of the self-efficacy for decision making. 청년실업 문제가 대두되고, 지식경제 사회로 변화하면서 대학생은 미래의 삶을 생산적으로 살아갈 수 있는 성숙한 직업인으로서 성장하기 위한 기초를 닦아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에서 진로수행의 구체적 실천과정이 매우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는 진로에 관한 지식이나 태도와 같은 인지적인 측면만이 부각되어 왔다. 미용전공 대학생의 경우, 본인의 적성, 흥미, 능력에 의한 진로선택을 통해 전문 미용인으로 성장하기 위해 고비용과 시간을 들였음에도 불구하고 다양한 직업분야에 대한 탐색기회 부족으로 인해 다른 분야의 직업을 선택하거나 전혀 다른 전공으로 전향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의 전략인 행동 중심적 전략과 인지적 전략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관계와 셀프리더십과 진로준비행동과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연구를 통해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셀프리더십,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의 정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 연령에 의한 차이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대학 전공이 피부인 경우에 비하여 헤어와 메이크업인 경우가 셀프리더십의 인지적 전략이 높게 나타났고, 메이크업인 경우에 비하여 피부인 경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문제해결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대학 구분에 따른 4년제 미용대학인 경우에 비하여 2년제 미용대학인 경우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리더십 교육 참여 경험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있는 경우가 셀프리더십의 행동 중심적 전략, 인지적 전략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참여 경험이 있는 경우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미래계획, 목표선택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미용전공 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의 행동 중심적 전략과 인지적 전략은 미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더불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의 문제해결, 미래계획, 목표선택, 직업정보를 통했을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이 크게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미용전공 대학생에게 있어 본인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에 대한 노력과 자기평가의 과정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영향력인 셀프리더십의 행동 중심적 전략과 긍정적인 자기대화를 통해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인지적 전략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셀프리더십을 개발하면 자기효능감이 촉진되어 기초직업능력과 대학생활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는 대학의 궁극적 목표인 리더십 육성이론에 부합하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역량 개발 프로그램들이 개발된다면 대학생의 성공적인 진로준비 및 향후 조직생활 적응에 도움이 될 것이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검증된 결과는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제고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체계를 분석하여, 미용전공 대학생의 적극적인 진로준비로 전환될 수 있는 지원 프로그램의 이론적 지식과 실무에 적용 가능한 다양한 방안들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외식산업의 기업가정신, 성공요인 및 경영성과의 구조적 관계

        조연재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외식산업의 기업가정신, 성공요인 및 경영성과의 구조적 관계 조 연 재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호텔외식관광전공 지도교수 이 준 혁 본 연구는 외식산업의 기업가정신, 외식산업의 성공요인 및 경영성과와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최근 COVID-19로 인해 외식산업의 경기가 하락하면서 외식산업의 성공요인이 무엇이며, 또한 어떠한 기업가정신이 필요한 가에 대한 확인을 위한 연구가 될 것으로 생각하였다. 본 연구는 엠브레인 조사업체의 도움으로 진행되었으며, 편의할당표본추출에 의해 300명의 외식업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조사응답자들의 거주지도 전국적인 조 사가 되어 외식산업의 기업가정신, 성공요인, 및 경영성과를 연구하는 데에 매우 유용한 조사였다고 사료된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속성을 정제하여 외식산업의 기업가정신에서는 창의성, 진 취성, 성취욕구, 위험감수성 등의 요인들이 도출되었으며, 외식산업의 성공요인에서는 위 생청결, 서비스력, 자본력, 경영능력, 시설, 브랜드이미지, 입지, 상품력, 배달지원시스템 등의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경영성과에서도 비재무적, 재무적 경영성과 등의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전체 구성요인에 대한 확인요인분석결과 평균분산 추출값(average variance extracted)이 0.5 이상, 개념 신뢰도(construct reliability)는 0.7이상의 요인 들은 외식산업의 기업가정신으로 ‘창의성’, ‘성취욕구’ 등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외식산 업의 성공요인에서는 ‘서비스력’, ‘자본력’, ‘경영능력’, ‘브랜드이미지’ 등의 요인들이 도 출되었다. 또한 ‘재무적’, ‘비재무적’ 경영성과 요인들이 도출되었다. 따라서 집중타당성 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또한 상관관계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판별타당성이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모형분석결과 첫째, 외식산업의 기업가정신에서 성취욕구가 경 영능력, 자본력, 서비스력 등의 순으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식산업의 성공요인에서는 브랜드이미지, 서비스력이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 향을 미치며, 자본력은 재무적 및 비재무적 경영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식산업의 기업가정신은 성취욕구가 재무적․비재무적 경영성과에 유의 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핵심용어: 외식산업의 기업가정신, 외신산업의 성공요인, 경영성과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Restaurant Industry Cho, Yeon-Jae Major in Hotel, Food Service and Tourism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Tourism Youngsan University Advisor : Lee, Jun-hyuk This study attemp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ship, critical success factor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restaurant industry. This study was considered to confirm what the success factors of the restaurant industry are and what kind of entrepreneurship is needed as the restaurant industry's economy has recently declined due to COVID-19.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with the help of Embrain research company, and 300 restaurant workers were surveyed using convenience quota sampling. In addition, the residences of the survey respondents were surveyed nationwide, which is believed to be a very useful survey for studying entrepreneurship, success factors, and management performance in the restaurant industry. In the distillation of attributes through exploratory factor analysis, factors such as ‘creativity’, ‘progressiveness’, ‘desire for achievement’, and ‘risk tolerance’ were derived in the entrepreneurship of the restaurant industry, and in the success factors of the restaurant industry, ‘hygiene and cleanliness’, ‘service ability’, ‘capital power’, ‘management ability’, ‘facilities’, ‘brand image’, ‘location’, ‘product power’, and ‘delivery support system’ were derived. Factors such as ‘non-financial’ and ‘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were also derived from management performance. As a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all constituent factors, the factors with an average variance extracted value of more than 0.5 and construct reliability of more than 0.7 were distilled. As an entrepreneurship of the restaurant industry, 'creativity' and ‘desire for achievement’ factors were derived. Among the success factors of the restaurant industry, ‘service ability’, ‘capital power’, ‘management ability’, and ‘brand image’ were distilled. Additionally, ‘financial’ and ‘non-financial business performance’ factors were also distilled. Therefore, convergent validity and discriminant validity were determined. As a result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the desire for achievemen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anagement ability’, ‘capital power’, and ‘service ability’, respectively. Second, in the success factors of the restaurant industry, ‘brand image’, and ‘service ability’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and ‘capital power’ was also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Third, the desire for achievement of entrepreneurship in the restaurant industry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inancial and non-financial management performance. Key words: Entrepreneurship, Critical Success Factors, Management Performance, Food Service Industry, Restaurant Industry

      • 복부관리요법이 여성의 복부비만 및 미(美)에 미치는 영향

        이경진 영산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8607

        The study selected 52 middle-aged women between 35 and 59 years of age with overweight and abdominal obesity and with a BMI of 23kg/㎡or more, 0.80 or more WHR, and 80cm or more waist measurement, who reside in Busan, Gyeongsangnam-do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 of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manual therapy on abdominal obesity. We obtained final approval from the IRB (Institute Review Board) of Youngsan University on Dec. 23, 2015, and conducted the research experiment from Feb.1 to Mar. 19, 2016 after recruiting participants, pre-training participants, and completing a homogeneity test. The study divided participants into two groups by using a OX random method, implemented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manual therapy – twice per week, total 12 times in six weeks - and measured anthropometric index and stress index at the 1st, 4th, 7th, and 12th sessions, and performed blood tests before the first session and after 12th therapy sessions. The research experiment of 45 participants is completed, except seven participants who decided to drop out due to their personal reasons. The result of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manual therapy affecting abdominal management is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showed that 42 (93.3%) participants are single, 28 (62.2%) of them are in their 40s, and 28 (62.2%) of them gave birth to two children. Of them, 27 (60.0%) participants graduated university and 14 participants earn less than 2 million won each month. Second,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is as follows: Weight (F=8.205, p<0.001), BMI (F=7.460, p<0.001), % fat (F=4.074, p=0.007), abdominal fat rate (F=4.841, p=0.005), and waist measurement (F=148.111, p<0.001)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The changes of blood index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in (t=3.686, p<0.001) before and after therapies. The changes of stress index showed a significant result in LF/HF (F=2.754, p=0.037) before and after therapies. Third, changes in before and after the manual therapy are as follows: Weight (F=8.205, p<0.001), BMI (F=7.460, p<0.001), % fat (F=4.074, p=0.007), abdominal fat rate (F=4.841, p=0.005), and waist measurement (F=148.111, p<0.001)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Changes in stress index showed a significant result in LF/HF (F=2.754, p=0.037) before and after the treatment. Fourth, a comparison of the status of change between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manual therapy is as follows: While weight BMI, % fat, and waist to hip ratio demonstrated significant changes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period of the two group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according to groups. The blood index showed a sta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hange of triglyceride in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group. The stress index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ccording to groups. Fifth, the group of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showe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 after the therap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bodily changes and quality of life-related to obesity, a psychological factor of which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demonstrates a positive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F=79.828, p<0.001).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demonstrated a positive effect on appearance evaluation (F=136.554, p<0.001), health evaluation (F=19.912, p<0.001), appearance orientation (F=57.377, p<0.001), fitness orientation (F=5.527, p=0.023), health orientation (F=31.061, p<0.001), overweight preoccupation (F=68.407, p<0.001), and body areas satisfaction (F=133.102, p<0.001) compared to the manual therapy. Sixth, the quality of life and body images related to obesity had no effect on satisfaction after therapies. The study aims to provide the basis of effective abdominal obesity research through abdominal obesity management by using the extracorporeal shock wave therapy and manual therapy of other abdominal therapies used in the medical field. We hope the study result that suggests changes in the quality of life-related to obesity and bodily image before and after therapies will lead to follow-up experiments that consider enhancement of beauty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modern beauty industry with ever-growing demand. 본 연구는 체외충격파기기요법과 수기요법의 복부관리요법이 중년여성의 복부비만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여성의 미(美)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부산·경남지역의 만 35세 이상에서 만 59세 이하의 BMI 23kg/㎡ 이상, 복부비만율(WHR) 0.80 이상, 허리둘레 80cm 이상인 과체중 및 복부비만 중년여성 52명을 선정하였다. 2015년 12월 16일 영산대학교 연구윤리위원회(IRB)의 최종 승인을 받고 대상자 모집과 대상자 사전 교육, 동질성 검사를 완료한 후 2016년 2월 1일 ~ 5월 31일 연구실험을 진행하였다. OX 무작위 선출법으로 체외충격파기기요법군 26명, 수기요법군 26명으로 연구대상자를 나누고 사전·사후 조사방법으로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및 건강행태, 식생활조사, 비만관련 삶의 질, 신체상(Body Image)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12회 실험이 끝난 이후 체외충격파기기요법과 수기요법에 대한 만족도 설문을 실시하였다. 피험자에 대한 실험은 주 2회, 6주간, 총 12회를 실시하였으며 체외충격파기기요법과 수기요법을 실시한 후 신체계측지표(몸무게, BMI, 체지방률, 복부비만율, 허리둘레)와 스트레스지표(에너지활성도, 자율신경균형도)를 1회차, 4회차, 7회차, 12회차에 측정하였고, 혈액검사(TG, TC, HDL-C, LDL- C, 코티졸)는 1회 관리 전, 12회 관리 후 측정을 실시하였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스스로 중도 포기의사를 표시한 체외충격파기기요법군 2명과 수기요법군 5명 등 7명을 제외한 총 45명이 연구실험을 완료하였다. 체외충격파기기요법과 수기요법이 복부비만에 미치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을 살펴보면 기혼이 42명으로 93.3%였고, 연령은 40대가 28명(62.2%), 2명의 자녀를 출산한 경우가 28명(62.2%)으로 가장 많았다. 최종학력은 대학교 졸업 이상이 60.0%인 27명이었으며, 월수입은 200만원 미만이 14명(31.1%), 200 ~ 400만원 미만이 12명(26.7%), 400 ~ 600만원 미만이 12명(26.7%)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외충격파기기요법 전·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신체계측의 변화를 살펴보면 관리 전·후로 몸무게(F=8.205, p<0.001), BMI(F=7.460, p<0.001), 체지방률(F=4.074, p=0.007), 복부비만율(F=4.841, p=0.005), 허리둘레(F=148.111, p<0.001)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몸무게와 BMI, 체지방률은 실험 7회차 시기부터 효과가 나타났고, 복부비만율은 실험 4회차 시기부터 효과가 나타났으며 허리둘레는 매회 차마다 관리효과가 나타났다. 스트레스지표의 변화를 살펴보면 혈관건강지수, 스트레스지수, 교감활성, 부교감활성은 관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자율신경균형(F=2.754, p=0.037)은 관리 전·후 유의한 결과가 있음이 나타났으며 실험 후 4회차와 7회차에 효과의 차이가 존재하고 이후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혈액지표의 변화를 살펴보면 관리 전·후로 총콜레스테롤, HDL-C, LDL-C, 코티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중성지방(t=3.686, p<0.0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셋째, 수기요법 전후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신체계측의 변화를 살펴보면 관리 전·후로 몸무게(F=8.205, p<0.001), BMI(F=7.460, p<0.001), 체지방률(F=4.074, p=0.007), 복부비만율 (F=4.841, p=0.005), 허리둘레(F=148.111, p<0.001)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몸무게와 BMI, 체지방률은 실험 7회차 시기부터 효과가 나타났고 복부비만율은 실험 4회차 시기부터 효과가 나타났으며 허리둘레는 매회 차마다 관리효과가 나타났다. 스트레스지수, 교감활성, 부교감활성은 관리 전·후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 자율신경균형(F=2.754, p=0.037)은 관리 전·후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실험 후 4회차와 7회차 시기에 차이가 존재하고 이후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혈액지표의 변화를 살펴보면 관리 전·후로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HDL-C, LDL-C, 코티졸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넷째, 체외충격파기기요법과 수기요법의 변화상태 비교는 다음과 같다. 신체계측을 살펴보면 몸무게, BMI, 체지방률, 복부비만율은 각각 두 집단의 측정시기에 따라서 유의하게 변화하였지만 집단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하지 않았다. 스트레스지표를 살펴보면 집단에 따라 혈관건강지수, 스트레스지수, 교감활성, 부교감활성, 자율신경균형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혈액지표는 수기요법군의 경우 중성지방의 변화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반면 체외충격파기기요법군의 중성지방의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다섯째, 심미적 요인인 비만관련 삶의 질 및 신체상(Body Image) 변화 결과를 살펴보면, 체외충격파기기요법군은 수기요법군에 비하여 관리를 받은 후 비만관련 삶의 질이 개선되는 걸로 나타나 체외충격파기기요법이 삶의 질에 더 긍정적 효과가 있음이 나타났다(F=79.828, p<0.001). 체외충격파기기요법은 수기요법에 비하여 신체상의 외모평가(F=136.554, p<0.001), 건강평가(F=19.912, p<0.001), 외모지향(F=57.377, p<0.001), 체력지향(F=5.527, p=0.023), 건강지향(F=31.061, p<0.001), 비만집착(F=68.407, p<0.001), 신체부위만족(F=133.102, p<0.001)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비만관련 삶의 질과 신체상이

      • 카지노 산업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카지노 전문가 FGI (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김이선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07

        카지노 산업의 문제점 및 활성화 방안 연구 : 카지노 전문가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중심으로 김 이 선 영산대학교 관광대학원 호텔외식관광전공 지도교수 원 철 식 카지노는 사회적으로 부정적 인식이 존재하지만, 정부 재정수입 증대, 낙후지역 개 발, 외화획득 등 다양한 효과가 있으므로 정책목표를 통해 카지노의 부작용을 최소 화하고 구체적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관련 법규 및 제도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 다. 최근 아시아 주변 국가의 카지노 산업에서 큰 변화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싱가 포르 정부가 국내 카지노 설립을 결정하고 카지노 산업을 합법화한 결과 막대한 경 제적 부가가치와 관광객의 증가를 가져왔다. 그러므로 카지노 산업은 맹목적인 통 제의 대상보다는 적절한 관리와 주의를 해야 하는 산업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최근의 카지노 산업의 동향과 현재 직면하고 있는 카지노 산업 및 카지 노 종사자의 문제점은 무엇인지 파악하고, 이를 토대로 국내 카지노 산업 및 종사 원들에 대한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국내 카지노 산업의 발전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는 국내 카지노 산업의 문제점과 활성화 방안을 연구하기 위해 FGI(Focus Group Interview, 초점집단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였다. 2023년 10월부터 11월까지 2 개월간 카지노의 전문가에게 주관식 설문지를 배포하여 직접 회수하였으며, 20명이 설문에 응답해 주었다. 카지노 산업의 정책적, 법규 및 제도적인 활성화 방안을 기 대하고 연구를 하였으나, 설문에 대답한 전문가들이 느끼는 문제점은 경영자가 아 닌 종사자 처지에서의 문제점을 대부분 기술하여 카지노 산업의 큰 틀보다는 종사 자의 근무환경이나 근무조건에 대한 개선 및 활성화 방안이 주요 내용이 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카지노 산업 전문가들이 문제점으로 언급한 내용이 3교대 제도라고 하였다. 이로 인한 수면 부족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선방 안으로는 밤 근무 시에는 일의 강도를 낮추고 휴식 보장, 최소한의 근무 및 쉬는 시간을 정해서 근무환경을 변화시키고, 4교대로 바꿔 직원들의 시간을 활용해야 한 다고 했다. 둘째, 진급 정체로 인한 근무조건이 열악하여 실질적 진급이 요구되며, 신사업의 추진으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 및 진급 정체의 문제가 해결되기를 원했다. 셋째, 잘못된 임금제도로 임금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며, 최저 임금 인상에 비해 정체 된 임금으로 새로운 임금 도입시스템이 필요하다. 넷째, 카지노의 특성상 24시간 근 무하여 이로인해 정신적 신체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강원랜드처럼 클로즈 타임을 정하여 카지노를 클로즈 해야 한다. 다섯째, 성희롱 사건 발생 시 다 른 보직으로 발령보다는 징계처분 조치를 하여야 한다. 사회적 이슈가 되는 직장내 성희롱에 대한 근절 방안도 마련되어야 하며, 성희롱 직원은 바로 퇴사 및 사회봉 사 교육을 해야 한다. 여섯째, 고품격 서비스를 하여도 컴플레인을 하므로 이에 대 한 상황 파악 후 상황에 따른 조치를 하여야 한다. 연구의 한계점은 우리나라의 모든 카지노가 아닌 부산의 카지노업체를 대상으로 했다는 점과 카지노 산업의 정책적, 법규 및 제도적인 활성화 방안에 관한 기술이 아닌, 카지노 종사자의 근무환경에 대한 개선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해 연구했다는 한계점이 있다. 핵심어: 카지노 산업, 문제점 및 활성화, FGI A study on the problems and revitalization of the casino industry : Focusing on casino experts FGI (Focus Group Interview) Kim, Yi Sun Department of Hotel and Tourism Graduate School Of Tourism Youngsan University Advisor : Won, Chol Shik Although casinos have a negative social perception, they have various effects such as increasing government financial revenue, developing underdeveloped areas, and obtaining foreign currenc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of casinos through policy goals and prepare related laws and systems to achieve specific policy goals. It is important. Recently, major changes have been occurring in the casino industry in countries around Asia. The Singapore government decided to establish a domestic casino and legalized the casino industry, resulting in enormous economic added value and an increase in tourists. Therefore, the casino industry needs to be recognized as an industry that requires proper management and caution rather than being subject to blind control. This study FGI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was used to study the problems and revitalization of the domestic casino industry. A subjective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casino experts for two months from October to November 2023 and collected directly, and 20 people responded to the survey. Although we conducted research in anticipation of policy, legal, and institutional revitalization measures for the casino industry, most of the problems felt by the experts who responded to the survey wer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employees, not managers, and focused on the working environment of employees rather than the larger framework of the casino industry. Measures to improve and revitalize working conditions became the main focu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ny casino industry experts mentioned the three-shift system as a problem. The problem of lack of sleep due to this was pointed out, and improvement measures include lowering the intensity of work during night work, ensuring rest, changing the working environment by setting minimum work and rest times, and changing to four shifts to utilize employees' time. He said he would do it. Second, the working conditions were poor due to stagnant promotions, so actual promotions were required, and they wanted to create new jobs and solve the problem of stagnant promotions by promoting new businesses. Third, the wage system needs to be improved due to the flawed wage system, and a new wage introduction system is needed due to stagnant wages compared to the minimum wage increase. Fourth, due to the nature of casinos, they work 24 hours a day, which can cause mental and physical problems. Therefore, like Kangwon Land, the casino must be closed by setting a closing time. Fifth, when a sexual harassment incident occurs, disciplinary action should be taken rather than being transferred to another position. A plan to eradicate sexual harassment in the workplace, which has become a social issue, must be prepared, and sexually harassing employees must immediately resign from the company and receive community service training. Sixth, since complaints are made even if high-quality service is provided, measures must be taken according to the situation after understanding the situation.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that it targeted casino companies in Busan, not all casinos in Korea, and that it did not focus on technology related to policies, laws, and institutional revitalization of the casino industry, but on ways to improve and revitalize the working environment of casino workers. There are limitations to this study. Key Words: Casino industry, A problems and revitalization, FGI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