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안동 문화자원 활용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

        이재일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안동 문화자원 활용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융합콘텐츠학과 문화예술경영 전공 이재일 이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안동의 공연관광 콘텐츠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공연은 현장성이 중시되고 관광 상품화에 적합하므로 새로운 관광시장 창출이 가능하다. 공연관광 상품은 고부가가치형 콘텐츠로 관광시장 성장을 위한 주요 상품 중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최근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문화예술 장르와 첨단 기술을 결합한 융⋅복합 공연 관광의 성공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유명 관광지에서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콘텐츠를 개발했을 때 그 효과가 배가 된다는 사실을 해외는 물론 국내의 특정 관광지에서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공연관광의 국내사례로 넌버벌 퍼포먼스인 난타와 점프를 통해 국내 공연관광의 성과와 현황을 파악했다. 전통예술 공연을 진행한 워커힐 상설공연과 정동극장 그리고 최근의 광주 국악 상설공연 등도 같은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전통예술진흥재단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콘텐츠발굴을 위한 활발한 지원 사업을 확인하였으며 국내 각 지방의 공연관광 콘텐츠 제작사례를 분석하였다. 해외 사례로는 중국 인상 시리즈와 우견 시리즈, 프랑스 퓌뒤푸 테마파크의 공연을 비교 분석하여 각 지역의 고유한 문화자원의 긍정적인 활용사례와 흥행요소, 발전상황을 분석하였다. 국내외 사례 연구를 통해 공연관광 콘텐츠가 다양한 지역 문화자원의 발굴과 활용에서는 일정 부분의 성과를 거두었음에도 특정 장르의 편중 현상과 대부분 단발 공연으로 끝나는 현실적 문제와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안동은 지역 문화자원이 풍부한 문화관광 도시이다. 전통문화 공연관광 콘텐츠로 하회별신굿 탈놀이 상설공연, 안동차전놀이 정기공연, 하회선유줄불놀이 정기공연을 분석했다. 대표적 기획 제작 공연관광 콘텐츠는 모두 뮤지컬로서 왕의 나라, 퇴계연가, 이육사, 신 웅부전(고등어 찜닭에 빠진 날)을 분석하였다. 안동은 다양한 공연관광 콘텐츠를 보유하고 있지만 하회별신굿탈놀이 상설공연 이외의 콘텐츠는 아직은 주목할 만한 성과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꾸준한 공연 활동을 통해 작품의 완성도를 높이는 등 적극적이고 현실적인 보완대책이 필요하다. 이에 안동차전놀이 상설공연과 원도심 야간 공연관광 콘텐츠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면서 안동의 지역 공연관광 콘텐츠의 창작과 유통의 활성화, 공연관광 콘텐츠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토대의 구축을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했다. 본 연구는 안동의 지역 문화자원을 활용한 공연관광 콘텐츠의 활성화 방안을 고찰함으로써 공연관광 콘텐츠가 안동 브랜드와 이미지 제고에 보탬이 되는 데 일조하고자 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주제어 : 안동, 지역 문화자원, 공연관광, 공연관광콘텐츠

      • 스포츠관광 활성화를 위한 2017 안동마라톤대회

        홍형철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23

        초록 마라톤은 기원전 490년 아테네와 페르시아의 전쟁에서 아테네의 밀리티아테스 장군이 페르시아 군을 격파한 승전보를 갖고 마라톤으로부터 아테네까지 달린 전령 페이디피데스를 기리기 위해 시작된 스포츠이다. 당시 그가 달린 거리는 36.75km이지만 근대 올림픽으로 오면서 초기 대회에서 40km 전후를 달리다 거리의 표준을 갖자는 각국의 의견을 수렴해서 1908년 제4회 런던 올림픽을 계기로 42.195km를 확정하기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마라톤의 역사는 1920년 경성일주마라톤이 시초이며 당시 최송석 선수가 우승을 하였고 그 이후 제11회 베를린 올림픽에서 손기정 선수의 일장기 유니폼 우승과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에서 황영조 선수의 우승 그리고 1996년 애틀랜타 올림픽 이봉주 선수의 준우승 등으로 이어져 왔다. 안동마라톤대회는 2005년도에 안동낙동강변마라톤대회로 시작해서 매년 5000여 명의 참가자들로 이어져왔고 2017년도에 들어와서 안동댐 본댐 정상부가 일반에 개방되면서 마라톤 길이를 연장할 수 있어 풀코스를 신설하고 대회명을 안동마라톤대회로 바꾸고 규모를 키워왔다. 현재 안동마라톤대회는 낙동강변의 풍부한 수자원을 활용해 다양한 이벤트 및 퍼포먼스를 선보이는 최고 매력의 마라톤으로 각광받고 있다. 안동댐을 배경으로 한 특색 있는 고난도 풀코스 개발과 낙동강변의 수려한 환경과 더불어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체육문화축제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안동마라톤 대회의 기획에서 진행 및 결과에 이르는 전반적인 실무프로젝트를 보고 하고자 한다.

      • DEVELOPMENT OF THE FORECASTING CONTROL SYSTEM FOR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EE) ON HOT PEPPER : 고추에서 담배나방의 예찰 방제 체계 개발

        YOON, SUNGMI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담배나방은 고추의 대표적인 일차 해충으로서, 고추 재배 농가에 경제적 손실을 입히는 원인 중 하나이다. 현재 농가에서 담배나방의 방제는 7~10일 간격의 주기적인 약제 살포에 의존하고 있다. 이는 약제 남용과 인건비 등의 경제적 부담을 주며, 제품의 가치를 감소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필드 모니터링을 통해 담배나방의 발생 모델을 평가하고, 예찰 방제 시스템을 테스트하여 적기에 적정량의 화학 농약만으로 담배나방의 방제를 가능하게 하여 기존의 여러 문제점들을 줄이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필드 모니터링을 통해 발생모델을 검증해본 결과, 월동세대의 발생 밀도는 매우 적었고, 1세대의 성충 발생분포는 모델의 예측 치 와 매우 유사함을 보였다. 큰 유역 안에서 여러 필드의 담배나방 발생패턴을 비교해본 결과, 발생량의 차이는 있었지만 매우 비슷한 발생경향을 보였다. 3곳의 다른 시험포장(2006,안동-A; 2007,안동-B; 2007,영양)에서 모니터링 방제의 효과를 평가하였다. 안동-A 시험포장의 모니터링 처리구에서는 유충에 의한 과실 피해율이 3-7%를 보였다. 안동-B 시험포장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약제 살포 일주일 후에 4-7%의 낮은 피해율을 보였고, 8월 28일 조사결과 모니터링-2 처리구에서만 낮은 피해율을 보였으며, 그 외 다른 포장에서는 15-25%의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영양 시험포장에서는 모니터링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낮은 피해율 보였으나 관행처리구가 무처리구보다 더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예찰 방제 효과시험은 안동-A, 안동-B 시험포장에서 실시하였고, 예찰처리구는 5번, 관행처리구는 8번의 약제를 살포하였다. 안동-A 시험포장에서는 1-15%의 과실피해율을 보였으며, 무처리구가 예찰처리구와 관행처리구에 비해 높은 피해율을 보였다. 반면, 안동-B포장의 무처리구에서는 12-23%의 높은 과실 피해율이 나타났다. 농약살포지역과 비 살포지역간에 유의성을 보였으나, 예찰처리구와 관행처리구 간의 차이는 없었다. 수확철인 8월에 수확물 피해율 조사결과, 안동-A 시험포장의 모든 처리구가 5% 이하의 낮은 피해율을 보였으나, 안동-B 시험포장의 무처리구, 예찰처리구 그리고 관행처리구 에서는 각각 34, 16 그리고 15% 의 피해율을 보였다. 반면에, 수확이 끝나는 시기인 9월의 조사 결과 안동-A 와 안동-B 시험포장 에서 전체적으로 높은 피해율을 보였으나 무처리구(48, 61%) 대비 예찰처리구(27, 39%)와 관행처리구(27, 33%)가 비교적 낮은 피해율을 보였다.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ee) is one of the serious insect pests of pepper which causes severe damage to the crops and reduces the yield every year. To control this pest, farmers are using calendar basis application of pesticides which resulting high cost, decrease the fruit quality and pollute the environment. So,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OTB occurrence model from the field monitoring and test the forecasting control system which can be easily implemented with maintaining low costs and less hazardable circumstances. The model output from the field validation showed the overwintering population occurrence was narrowly estimated but found widely distributed. However, the overwintering population densities were very low and the first generation adult population seems closely represented by the model. The large scale OTB occurrence patterns were similar when OTB caught from different fields with few exceptions. Three different trials (2006, Andong-A; 2007, Andong-B and 2007, Youngyang) were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monitoring control. The monitoring plots of Andong-A showed the stable damage rates which were in between the 3-7%. The different response was found in Andong-B field where damage rates were low (4-7%) in all treatments after 1 week of spray, and the sampling on 28 August showed lower damage rates only in monitoring 2 but others were higher in between 15-25%. The 3rd trial in Youngyang showed relative damage rate was lower in monitoring control plots than control plots, but higher in conventional plots. However, in most cases, spray in monitoring control plots was made around 14 days after the actual peak time of the adult emergence. The forecasting control conducted in Andong-A and B fields where 5 and 8 times insecticides were applied in forecasting and conventional plots. Andong-A field showed 1 to 15% fruit damage rates with higher in control plots and lower in forecasting and conventionally sprayed plots. On the other hand, fruit damage rates were much higher throughout the season ranging from 12-23% in the standing crops in control plots in Andong-B field.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were found in between chemical treated plots and non-treated plots, but no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forecasting and conventional plots. The harvested fruit damage rates from Andong-A were low (<5% in all treatments) whereas damage rates were 34, 16 and 15% from control, forecasting and conventional treatments in Andong-B fields during season. On the contrary, fruit damage rates were much higher in Andong-A and in Andong-B damage rates were 61, 39 and 33% in the control, forecasting and conventional treatments, respectively during offseason.

      • 안동민속박물관 일대의 관광지화와 관광의 성격 변화 : 월영교에서 안동민속박물관에 이르는 관광단지를 중심으로

        김미쁨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는 안동민속박물관 일대 관광지의 조성 배경과 과정, 관광 양상을 통해 관광의 성격 변화를 분석한 글이다. 안동댐 건설 후 수몰지역에 있던 생활사자료와 민속자료를 활용하기 위해 안동민속촌과 안동민속박물관이 건립되었다. 그 후 안동댐을 활용한 월영교와 개목나루가 순차적으로 조성되었다. 40여 년 동안 관광시설이 개별적으로 조성된, 안동민속박물관 일대 관광지는 현재 안동을 대표하는 관광단지이다. 안동민속박물관 일대 관광지는 시기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되어 왔기에, 관광의 양상과 성격 등에 대한 조사 연구가 필요하다. 안동민속박물관 일대 관광지의 조성 배경과 과정, 관광의 양상과 성격에 대해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안동민속박물관 일대 관광지는 1971년에 착공된 안동댐 건설 후 댐과 낙동강 담수를 관광용으로 활용하고 댐에 대한 주민들의 부정적인 시선을 개선하기 위해 관주도로 조성한 것이다. 안동민속박물관 일대는 댐 수변 공간에 조성되었고, 시기에 따라 사람들에게 관심을 받는 관광지 혹은 민속촌처럼 일상생활의 공간으로 활용되기도 했다. 특히 안동의 문화를 관광자원화 한 안동민속박물관 일대는 안동지역의 자연환경적·문화적 정체성을 형성하는 공간으로 지금까지도 많은 사람이 찾아오는 관광지이다. 둘째, 안동은 민속에 관한 관심이 높은 지역이었기에 다른 시군보다 이른 시기에 민속을 활용한 관광지가 안동에 조성되었다. 안동민속촌의 조성 시기는 한국민속촌의 건립 시기와 비슷하고, 안동민속박물관 건립논의는 1974년 무렵부터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1979년에는 안동대학에 민속학과가 창설되었고, 그후 안동에는 민속분야의 크고 작은 박물관과 전시관이 설립되었다. 이를 보면, 다른 지역에 비해 안동은 전통적인 것 가운데서 민속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었고, 민속을 다양한 방법으로 보존하여 활용하고자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안동민속박물관 일대 관광지는 관광 주체, 시기 등에 따라 휴양지, 관광지, 일상생활의 공간 등으로 활용되었다. 같은 관광지라 할지라도 다양한 요인에 따라 활용 양상이 달라졌고, 그에 따라 관광의 성격도 변했다. 안동민속박물관 일대 관광지는 문화관광, 향수관광의 장소에서 자연관광, 체험관광의 장소로 변했다. 1970년대에는 안동댐 주변에 수몰지역 고가옥을 구제하는 차원에서 이건한다든지 지역의 민속을 탈맥락적으로 재현하는 민속박물관을 만드는 방식으로 ‘안동댐과 낙동강물을 관광의 단순 배경지’로 생각하였고, 이것이 1990년대까지 지속되었다. 2000년대에 들어와서 안동댐보조댐과 낙동강 담수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의 관광자원화가 이루어져서 월영교와 개목나루가 탈맥락적으로 조성되었다. 이에 따라 안동민속박물관 일대 관광지에 대한 관광의 성격은 1990년대까지와 2000년대 이후가 명백히 구분되기 시작하였다. 즉, 1990년대까지의 문화관광, 향수관광, 지역민관광이 2000년대부터는 자연관광, 체험관광, 외지인 관광으로 변화되었다. 이것은 사회상의 변화, 문화자원과 자연자원에 대한 가치 인식의 변화, 관광객의 기대, 관광의 효과 등이 변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 지방정부의 출산장려 정책에 관한 연구 : 안동시를 중심으로

        홍성란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23

        As there has been a sense of crisis with Korean birth rate falling to the lowest level in the world, this study is intended to survey the realities of the low birth rate in Korea and analyze the causes. In addition, the study is to examine the ideas of childbirth held by fertile women residing in Andong City and to analyze their satisfac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s policies to promote childbirth. Both literary surveys and questionnaires have been used to reach these goals. The analysis model has established a demographic factor, a social factor, and an economic factor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low birth rate as a dependent variabl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male and female residents in Andong City aged twenty or above. 350 questionnaires were mailed, 300 out of them were recollected, and thirty out of the returne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due to their low validity. In the end, 27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and the data derived were processed and analyzed with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of ver.17.0. The analysis has led to the following findings. There are three aspects on the complicated causes of the low birth rate: economic, social and institutional. As for the economic aspect, the educational expenses and child-rearing costs are thought of as heavy burden. From a social viewpoint, the values of marriage have changed, and institutionally, there is no sufficient support system such as a maternity leave or a parental leave. To help Andong City solve these problems and promote childbirth, the followings are suggested. First,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be improved to solve the problems of educational expenses and nursing costs. Second, recently, the values of marriage have changed. Work is given priority to marriage. This prevalent way of thought has led young people to avoid childbirth. They should be persuaded to believe that marriage and childbirth are very valuable, and to have their values changed. Third, of late, there has been an increasing tendency to avoid childbirth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handling work and child-rearing. To solve this problem, legal actions should be taken to make systems such as a maternity leave and a parental leave. As the above research findings have shown, the problem of the low birth rate is not only a personal or familial matter, but a national one. Therefore,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policies to promote childbirth, local governments as well as the national government should be committed to making the environment favorable to childbirth and nursing, and raising the low birth rate.

      • 鄕土地緣産業 育成 方案에 관한 硏究 : 民俗酒 安東燒酎를 중심으로

        김연박 안동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23

        I. Introduction These days, the prevalence of new liberalism, globalization, and the information phenomenon across the world have contributed to increasing the gap not only between the nations but between the central region of Seoul and its neighboring and other local regions in Korea. Measures to narrow down and get rid of the gap can be drawn from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regions and the promotion of region-related industries. This study has analyzed the realitie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focuses on the Minsokju Andong Soju (Folk Liquor Andong Soju), and prepared some plans to promote this industries related to the region. The Minsokju Andong Soju which still employs the original distilling method handed down from the period of the Silla Dynasty, has taken its place as a representative industry related to the Andong area since it first launched products on the first of September, 1990. It is still in business as of November 2008. II. Theoretical Background and Frame of Analysis Region-related industries form industrial clusters characterized by the region, and are defined as small and medium size enterprises producing consumer products utilizing the regional resources such as the raw materials, capital, labor and technology for that region.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it is necessary for the nation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to play a positive role in doing so. Region-related industries have an effect on the economy, finance and social culture of that region. They are regarded as the special products and treasures of the region. Finding measure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focusing on the Minsokju Andong Soju, a representative industry related to Andong. Region-related industries are expected to play a positive role in solving the problems of the region's falling behind and an increasing gap between regions, and in unifying the nation and strengthening national competitiveness. To understand these roles of the industries, the attitudes of people in general toward the Minsokju Andong Soju, and the roles of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national government in promoting region-related industries have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items analyzing consumers' attitudes toward the Minsokju Andong Soju are as follows: (ⅰ) the degree of their understanding the product, (ii) their experience of the product (iii) ways to raise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market it. The items analyzing the policies of the local government are (i) the fun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ii) the system for regional cooperation and (iii) organizations connected to region-related industries. The items analyzing the policies of the national government are (i)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ii) comprehensive plan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iii) other ways to support region-related industries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III. Analysis of the Realitie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Focusing on the Minsokju Andong Soju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to investigate consumer attitude toward the Minsokju Andong Soju. The subjects of the study's questionnaires were 870 adult male and female, aged residents in Andong city, aged Daegu, Gyeongbuk area, Seoul and other regions 20 or more. They were sampled at random. The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and collected by mail or by visiting the subjects in person for 53 days between July 4, 2008 and August 25, 2008.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program SPSS 14.0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It was processed using frequency analysis to produce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The data was processed using a Chi-Square test in order to investigate, by age and by place,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Minsokju Andong Soju, the difference of the product from other products of Andong soju,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and drinking the product, the product price, raising the product quality, and ways to market the produc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data was proved. As for the degree of understanding the product, the Minsokju Andong Soju has taken its place as a pronoun representative of soju (a Korean liquor) and food because the product of the Minsokju Andong Soju is a reputable hard drink, it is designated as an intangible cultural asset of Gyeongsangbukdo (province), and it is distilled by Cho Ok-hwa herself who is a master of Korean traditional food. However, young people have a poor understanding and are ill informed of the kinds of liquors and can't distinguish the product of the Minsokju Andong Soju from soju made by other companies in Andong. With reference to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and drinking the product, they purchase the product to give as a present for others rather than for drinking it themselves, which is the most prominent feature. The product is recognized as a strong spirit with a high level of alcohol, but the younger they are, the less experience of drinking the product buyers have, which makes it difficult to create consumers. Speaking of raising the product quality and ways to market the product, the response that drinking the product causes little hangover is prevalent. The product is recognized as an expensive and high quality liquor. IV. Plans to Support and Fostering Region-Related Industries Plans to foster region-related industries are as follows: an exact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product, supports for the quality product, strengthening the fun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and increasing the support of the national government. To improve the product quality, it is necessary to enhance the understanding of the product. Through advertisement of the product, young people need to be better informed of the product, and marketing strategies are needed to raise the value of the brand of the Minsokju Andong Soju. In particular, as people can't distinguish genuine the Minsokju Andong Soju from other kinds of soju made in Andong, measures to differentiate the product are needed: application for a patent, strengthening product advertisement, making the product the Minsokju Andong Soju brand, and improvements in the design of the product need to be implemented. Based on the experience of purchasing and drinking the product, motivation to buy the product is regarded as a measure to vitalize the product marketing. Purchase by age, and the difference in the experience of drinking the product show the necessity for the development of new products to secure future consumers. With respect to the quality of the product and its marketing, people need to be informed that the Minsokju Andong Soju is a distilled liquor of high quality, and that the liquor tax accounts for 72% of the price of the product. Marketing strategies need to be developed linking the Minsokju Andong Soju. In order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local government. There are several ways to do so: investigating the region, establishing a comprehensive plan, building up a system for regional cooperation, and organizing and operating a region-related industry promotion center. Promoting region-related industries needs stronger support from the national government, for which the following are suggeste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system for fostering region-related industries should be improved. A department fully responsible for region-specializing industries should be established. There should be supports for developing technology, for example, the operation of a job training center, and for creating markets for the product. V. Conclusion In order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aise the product quality and to form marketing strategies but also for the local government to make plans to promote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to set up a department fully responsible for promoting such industries. In addition, the national government has to strongly support the promotion of region-related industries by laying down laws to encourage them. In the future, further research should be done to better understand the realities of region-related industries and to aid in the preparation of preparing measures to promote them. 오늘날 세계는 신자유주의의 만연, 세계화.정보화 현상으로 국가 간, 중앙과 지방의 격차는 더욱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은 지역의 균형발전과 향토지연산업의 육성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이 논문은 향토지연산업의 실태를 민속주 안동소주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육성방안을 마련하였다. 신라시대부터 전승되어 온 민속주 안동소주는 안동의 대표적인 향토지연산업으로서 위치를 지니고 있으며, 1990년 9월 1일에 출시되어 2008년 11월 현재까지 판매되고 있다. 향토지연산업은 지역적인 기업집단을 형성하고 당해 지역을 특징짓는 산업으로서 그 지역의 자원(원료, 자본, 노동력, 기술 등)을 활용하여 소비재 상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으로 정의를 내렸다. 향토지연산업의 경쟁력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향토지연산업을 육성시키려는 의지와 적극적 역할이 필요하다. 지역의 특산물과 고유한 관련성이 있는 향토지연산업은 경제적·재정적·사회문화적 효과가 있는 중요한 산업이다. 향토지연산업의 육성방안의 모색은 안동의 대표적 향토지연산업인 민속주 안동소주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지역의 낙후성, 지역 간의 격차를 해소하고 국민통합과 국가경쟁력의 강화 측면에서 향토지연산업은 긍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분석하기 위해서 민속주 안동소주에 대한 태도분석, 지방정부의 정책 분석, 중앙정부의 정책 분석이다. 민속주 안동소주에 대한 태도를 분석하기 위한 요소로, (ⅰ) 제품에 대한 이해도 (ⅱ) 제품에 대한 경험 (ⅲ) 제품에 대한 품질 제고 및 마케팅 방안이다. 지방정부의 정책분석 요소로 (ⅰ) 지방정부의 기능 (ⅱ) 지역협력체계 (ⅲ) 향토지연산업 관련기구이다. 중앙정부의 정책분석 요소로 (ⅰ) 법.제도 (ⅱ) 종합계획 (ⅲ) 기타지원방안이다. 민속주 안동소주에 대한 소비자의 태도를 조사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대상자는 안동시, 대구·경북지역, 서울, 기타지역 등 전국의 20세 이상 성인남녀 870명을 무작위 표본 추출방식을 사용하여 표본을 선정하였다. 설문조사기간은 2008년 7월 4일부터 8월 25일까지 53일간 직접 방문 또는 우편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4.0(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했으며, 빈도수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빈도 분석을 했다. 또한 소재지별, 연령별 민속주 안동소주의 제품에 대한 이해도, 타 제품과의 차이점, 제품에 대한 구매 및 사용경험, 제품의 가격, 제품의 품질 제고 및 마케팅 방안을 조사하기 위하여 교차분석(카이제곱검증)을 이용하여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제품에 대한 이해도의 경우 민속주 안동소주가 명실상부한 유명한 술이라는 점, 고급전통주라는 점, 경북 무형문화재·전통식품명인 조옥화씨가 만드는 안동소주라는 점 등이 소주와 음식의 대명사로 자리매김하였다. 그러나 젊은층의 경우 주종에 대한 이해와 홍보가 부족하고 민속주 안동소주와 타 안동소주와의 구별에 있어 혼란이 야기되고 있다. 제품에 대한 구매 및 사용경험의 경우, 실제 음용(먹고 마심)이 낮고 선물용 구매가 가장 두드러진 특징이다. 도수가 높은 독한 술이라는 인식이 자리매김하였으나 젊은층일수록 마셔본 경험이 없어 고객 창출에 곤란을 야기하고 있다. 제품의 품질 제고 및 마케팅 방안의 경우 음주 후 뒤 끝이 깨끗하다는 반응이 나타나고 고급술인 비싼 술로 인식되고 있다.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품질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지원, 지방정부의 기능 합리화, 중앙정부의 지원강화이다. 품질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제품에 대한 이해도 증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젊은 층에 대한 홍보강화와 브랜드 가치의 향상을 위한 마케팅 전략이 요구된다. 특히 타 제품과의 인지도에서 혼란을 겪고 있으므로 특허의 출원, 홍보강화, 브랜드화, 디자인의 개선 등 차별화에 대한 대책마련과 홍보강화가 필요하다. 제품사용에 대한 경험의 측면에서 육성방안은 구매 동기의 부여가 필요하다. 연령에 따른 구매, 사용경험의 차이 때문에 미래의 고객 확보를 위한 새로운 상품개발이 필요하다. 제품에 대한 품질 및 마케팅의 측면에서 육성방안은 민속주 안동소주가 고급술 증류식소주며 주세가 72%라는 제품에 대한 이해를 위한 홍보가 필요하다. 그리고 향토음식과 연계해 개발하는 마케팅 전략도 필요하다. 향토지연산업의 육성을 위해 지방정부의 기능을 합리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향토지연산업 육성을 위한 지역조사와 종합계획의 수립, 지역협력체제구축, 향토지연산업 육성센터 설치·운영이다.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중앙정부의 지원강화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향토지연산업육성법 등의 법·제도 개선, 지역특화산업 전담부서 설치, 직업훈련소 운영 등 기술개발 지원, 판로 개척 지원 등이다.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제품에 대한 품질 제고와 마케팅 전략의 수립 뿐만 아니라 지방정부에서 향토지연산업을 육성하기 위한 계획과 기관의 설치가 필요하며 중앙정부에서는 향토지연산업 육성법의 제정을 통해 이를 적극 지원함으로써 지역의 균형발전과 지역 간의 격차해소에 행정력을 집중하여야 한다. 앞으로 각 지역별로 향토지연산업에 대한 현황파악과 육성방안마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역적 실천 양상과 대안의 전망 : 안동시 송천초등학교와 미래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구가은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는 안동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실천 양상을 분석하여 그 대안적 성격과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 실천을 이어온 안동시 송천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2021년 ‘안동미래교육지구’ 사업의 전개에서 나타나는 교육현장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이 교육을 매개로 협력 및 연대하는 공동체이다. 현대사회의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협력적 관계에 기반한 교육 실천을 통해 대안의 전망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를 커먼즈 체계 내 공동체문화 실천의 한 양상으로 바라보며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이 가지는 대안적⋅미래지향적 측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혁신교육의 흐름과 마을교육공동체의 부상에 대하여 이론적 정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안동지역 교육공동체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며 송천초등학교의 교육 실천사례를 서술한다. 이어 ‘안동미래교육지구’ 사업을 통해 드러난 각 주체들의 공동체문화 실천사례를 바탕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의 의의와 대안의 전망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은 해체된 관계성을 다시 연결하고 재생산하며 미래적 가능성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더불어 지역사회와 마을이 품고 있는 민속적 가치를 교육현장 속에서 새롭게 재발견⋅재구성해내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민속의 현대적 양상에 주목하여 마을교육공동체가 지니는 대안적⋅민속적 가치를 조망하였다는 의의를 담고 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aspects of practicing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Andong and considered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an alternative. For that, with the case of Songcheon Elementary School in Andong that has continued its educational practice, this author has examined concrete aspects found at the site of educ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Andong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in 2021.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a group of people in which various types of agents from schools or the local community cooperate in unity with education as a medium. In order to solve educational problems arising in contemporary society, we are producing the prospect of alternatives through educational practice grounded on cooperative relationship. Viewing it as an aspect of practicing community culture within the commons’ system, this researcher has attempted to understand alternative and future-oriented perspectives which the practi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equipped with. Concrete discussion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of all, this author arranged theories about the trends of innovative education and the ris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Next,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education community in Andong, this study described educational practice with the example of Songcheon Elementary School. After that, based on the cases of practicing community culture by different types of agents found in ‘the Andong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practi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its prospect as an alternativ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s practice reconnects dismantled relationships and reproduces relationships and also extends future possibilities. Moreover, it rediscovers and reconstructs ethnological value that the community and village are equipped with at the site of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nvestigated alternative and ethnological value that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has focusing on the modern aspects of folklore.

      • 도시 커먼즈 구성의 실천 양상과 민속적 의미 : 안동 문화도시 프로젝트 경우를 중심으로

        김은채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23

        이 연구는 안동 문화도시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공동체문화 실천을 통한 도시 커먼즈 구성 과정과 민속적 의미를 규명한다. 안동 문화도시 프로젝트 과정에서 구성된 도시 커먼즈 ‘모디’는 지역사회와 자본주의의 심화로서 발생하는 모순에 대안적인 성격을 갖고, 그 실천들이 현재 사회·경제·문화적으로 새로운 지대를 구축하려는 활성화의 흐름과 연결된다. 이를 협력과 연대를 기반으로 한 공동체문화 실천 양상으로 바라보며 도시 커먼즈 ‘모디’의 실천이 가지는 민속적 의미와 대안의 가능성을 규명해보았다. 구체적인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구 안동역 공간과 도시 커먼즈로 구성되는 과정에 그 장소적 의미들을 도출하였다. 둘째, 안동 문화도시 프로젝트의 도시 커먼즈 구성 배경과 전개 과정을 살폈다. 셋째, 구체적인 실천사례를 분석해 도시 커먼즈 실천 구조와 그 함의를 규명하였다. 넷째, 논의된 도시 커먼즈 실천을 바탕으로 민속적 의미와 위상을 논의하였으며, 마지막으로 도시 커먼즈 ‘모디’의 실천 한계와 대안에 관한 전망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는 시민들의 공동체문화 실천들이 커먼즈를 구성하고 활성화되는 과정을 논의하며, 민속의 공동체문화 실천들이 변환되어 도시 커먼즈에 구현되는 과정에 주목함으로써 민속학 연구 영역을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onstruction processes of urban commons and their folklore meanings through community culture practices based on the Andong Cultural City Project. The urban commons of "Modi", which formed during the process of the Andong Cultural City Project, characteristically serves as an alternative to contradictions arising from the deepening of community and capitalism, and its practices are linked to current trends of revitalization that are trying to establish new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zones. It was observed as an aspect of community culture practices based on cooperation and solidarity, and the ethnological meanings of the practice of the urban commons of "Modi" and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s were identified. Specific discussions were developed as follows. First, locational meaning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of the former Andong Station space being constructed into urban commons. Second, examinations were made of the background and development process of the urban commons construction of the Andong Cultural City Project. Third, specific cases of practical application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structure of urban commons practices and their implications. Fourth, based on the urban commons practices that were discussed, folklore meanings and status were discussed, and finally, prospects for practical limitations and alternatives of the urban commons of 'Modi' were examine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expanded the area of folklore research by discussing how the community culture practices of citizens form and revitalize commons, and by placing focus o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folk culture practices into urban commons.

      • 地方政府의 再活用廢棄物 管理體系에 관한 實證分析 : 安東市를 中心으로

        이상열 安東大學校 行政經營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8623

        This study analyzes the present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s of Andong city for recycling living wastes. Waste management has become one of the most important problems of the municipal government administration, as environmental contamination from such wastes continues to worsen.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limited to recyclable wastes. The research methods I used are bibliographical research, field survey and interviews of government officials, wastes collection workers and Andong city residents. The analysis in this study shows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management recycling of living wastes in Andong city: 1) Separate collection of recyclable wastes is not properly done. 2) The percentage of food wastes-26% is considerably high. 3) The municipal government instituted a program, in which residents pay disposal fees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ags used to take out wastes. However, many residents still refuse to use these bags. This program is called Jongryangje. 4) Even though much expense has been invested for efficient wastes disposal, it has not been effectively implemented. 5) Andong city has a bilateral wastes control agency managed by civilian business organizations as well as Andong city. However, they have not established efficient management and control system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this study makes some suggestions to improve the present wastes control systems of Andong city. these are as follows: 1) The city government should provide more intensive publicity campaigns to raise public interest in recycling. 2) The city government should reactivate Jongryangje. Food wastes may be lessened by providing educational programs to encourage reasonable food culture. 3) In terms of the whole process of wastes disposal, Andong city has taken charge of some parts while other parts are religated to business organizations. This bilateral system has been found ineffective. It would be more effective to commit the whole management process to a civilian contractor rather than having it remain under city government's direct management. 4) Some programs must be devised to improve residents'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and to promote citizens' voluntary participation in recycling movement. 5) Some measures must be devised to draw citizens' cooperation through, for example, residents' conferences. Although the city government now takes a lead in the management of wastes disposal, it can not be done successfully without the active cooperation of residents.

      • 안동생강의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스토리텔링 개발

        강미혜 안동대학교 한국문화산업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경북 안동은 전국 최대의 생강 주산지이다. 기후와 토양이 생강 재배에 적합하여 품질 좋은 생강이 생산된다. 그러나 안동생강과 그 공동 브랜드인 ‘그대생강’에 대한 인지도는 낮은 편이다. 따라서 생강의 건강 효용성, 생강 재배 환경의 우위, 차별화된 고품질 특산품으로서 안동생강을 부각시키기 위한 홍보마케팅 강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안동생강의 공동 브랜드 ‘그대생강’의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개발해 지역 특산물로서 이미지를 구축하고 안동생강 산업 활성화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역 특산물 브랜드와 이와 연관된 스토리텔링에 대해 알아보고, 안동생강의 특징과 브랜드화 현황에 대해 검토했다. 또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지역 특산물 브랜드 스토리텔링 개발 방안을 정립했다. ‘그대생강’ 브랜드 활성화를 위한 스토리텔링의 개발 과정은 다음과 같다. 1단계는 자료 조사를 통해 스토리텔링 소재를 수집하였다. 생강, 특히 안동생강과 관련된 기초 조사, 자원 핵심 조사, 전승 가치 및 활용 가치를 조사하였다. 인류에게 오래 동안 약으로 사용되어온 생강은 무엇보다 역사 문화적 이야기 소재가 많다. 2단계는 자료 조사를 토대로 스토리 자원을 추출하였다. 우선 안동생강의 스토리 속성을 분석하여 목록을 작성했다. 그 결과 두루 이롭게 쓰이면서도 본연의 색과 향기를 잃지 않는 생강의 고귀함, 강직함, 정결의 이미지를 한국 정신문화의 수도 안동의 이미지와 결부시킬 수 있었다. 이러한 연결은 생강의 매력성과 안동의 지역성을 동시에 부각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다. 3단계로 스토리텔링을 개발하였다. 핵심 테마를 ‘격(格)이 다른 안동생강’으로 설정하였고, 핵심 스토리로 《안동 생강선생 이야기》 시리즈를 기획했다. 개발한 시나리오는 다음과 같다. 1편 〈안동 생강선생을 소개 하오〉, 2편 〈도산십삼차(陶山十三茶)의 탄생〉, 3편 〈사랑을 이어주는 그대생강〉이다. 마지막 4단계에서는 스토리텔링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였다. 스토리텔링 확장을 위한 지역 연계 사업화 프로그램으로 ‘그대’생강의 이미지를 활용한 소비자 참여형 스토리텔링의 확산방법 및 생강‘선생’의 이미지를 부각한 선생님과 함께 하는 뉴트로 생강 축제 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격이 다른 안동생강에 대한 정체성을 확립하는데 일조함으로써 그대생강 브랜드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통해 안동생강의 효능과 정보, 역사적 사실 등이 널리 알려지고, 생강이 양념이라는 이미지를 벗어나 유용하고 매력적인 지역 특산물로 자리매김하기를 바란다. 나아가 안동생강 브랜드 스토리텔링을 문화관광 사업에 활용하여 지역 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